KR102320852B1 -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52B1
KR102320852B1 KR1020210112843A KR20210112843A KR102320852B1 KR 102320852 B1 KR102320852 B1 KR 102320852B1 KR 1020210112843 A KR1020210112843 A KR 1020210112843A KR 20210112843 A KR20210112843 A KR 20210112843A KR 102320852 B1 KR102320852 B1 KR 10232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urrent
electrode
signal
electro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르텍
Priority to KR102021011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various treatment modes by applying at least two channels of electrical current flow to at least two pairs of electrode units, thereby enabling the direction of an electrical current flow between the electrode units to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signal generator generating a carrier signal of a first channel; a second signal generator generating a carrier signal of a second channel; at least four electrode units outputting the electric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electric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two electrode unit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and the four electrode units and outputting the electric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a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enabling the connection of two electrode units that outputs the electric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to be dynamically exchanged.

Description

전기자극 장치{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본 발명은 전기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2채널 이상의 전류 흐름을 적어도 두 쌍의 전극부에 인가하고 전극부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provides various treatment modes by applying a current flow of at least two channels or more to at least two pairs of electrode parts and dynamically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arts.

일반적으로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를 사용하는 전기자극 장치는 인체에 부착되는 도자, 전극패드, 접착패치 등의 전극부에 전류 흐름을 인가하여 신체의 피부와 근육 등의 수축과 이완 또는 심부열을 발생시킨다.In gener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s that use low, medium, and high frequencies apply current flow to electrode parts such as ceramics, electrode pads, and adhesive patches that are attached to the body to caus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skin and muscles of the body, or deep heat. make it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와 달리 저주파 또는 중주파는 신체의 피부와 근육 등의 수축과 이완을 발생시키고, 주로 피부 표면에 작용하는 저주파와 달리 중주파는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어 고가의 전기자극 장치에 활용되고 있다.Unlike high frequencies that generate deep heat, low or medium frequencies caus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skin and muscles of the body. is becoming

저주파 전기자극 장치는 주로 한 쌍의 전극부에 전류 흐름을 인가하여 주로 피부 표면에 전기자극을 발생시키고, 중주파 전기자극 장치는 주로 두 쌍의 전극부에 2채널의 전류 흐름을 인가하여 피부 표면보다는 좀 더 심부에 전기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low-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mainly generates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skin surface by applying a current flow to a pair of electrode parts, and the medium-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mainly applies a two-channel current flow to the two pairs of electrode parts, rather than the skin surface.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generated in a more deep part.

중주파 전기자극 장치는 2채널의 전류 흐름이 심부에서 간섭파를 발생시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발생시키기도 하지만, 두 쌍의 전극부가 치료 부위에 고정되어야 하고 인가되는 2채널의 전류 흐름 방향이 각 쌍의 전극부 사이에서만 인가되고 있으므로, 전류의 주파수와 세기 등을 변화시키더라도 각 쌍의 전극부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서로 다른 쌍의 전극부들 사이로 동적으로 교환시키지 못하여 전극부에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리듬이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mid-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he two-channel current flow generates an interference wave in the deep part to cause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Since it is applied only between the electrode parts of Since current flow and rhythm are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various treatment modes cannot be provided.

등록특허공보 제10-1169007호는 간섭파 전류를 이용한 저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섭파 전류를 이용하여 심부의 침투율을 높이고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간섭파 전류의 완만한 조절이 가능하고 환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파수 출력부와 도자 사이에 릴레이가 구비되어 각각의 채널에 대하여 주파수 출력부의 전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주파수 출력부로부터 도자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전류의 주파수와 세기 등을 변화시키더라도 도자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교환시키지 못하여 도자에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리듬이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69007 relates to a low-frequency treatment device using an interference wave current. It uses the interference wave current to increase the penetration rate of the deep part, and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rference wave current gently and to provide a constant level to the patient. A relay is provided between the frequency output unit and the conductor in order not to apply more than a level of current so that the current flow from the frequency output unit to the conductor can be blocked when the current level of the frequency output unit for each chann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However, even if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current are changed,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between the conductors cannot be dynamically exchanged. have.

등록특허공보 제10-2007954호는 RET 및 CET 고주파 치료 기능을 구비한 전기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량성 전류 통전 방식을 사용하는 CET(Capacity Electric Transfer)와 저항성 전류 통전 방식을 사용하는 RET(Resistive Electric Transfer) 겸용의 고주파 치료기이고, 스위칭부는 릴레이(Relay)을 구비하며, 조작부의 제어에 따라 제2 승압부의 출력을 CET 출력 단자 또는 RET 출력단자로 출력하고 있으나, 전류의 주파수와 세기 등을 변화시키더라도 전극패드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교환시키지 못하여 전극패드에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리듬이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954 relates to an electric therapy device having RET and CET radio frequency treatment functions, and CET (Capacity Electric Transfer) using a capacitive current conduction method and RET (Resistive Electric) using a resistive current conduction method Transfer), the switching unit has a relay,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unit, the output of the second boosting unit is output to the CET output terminal or RET output terminal, but the frequency and strength of the current are chang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various treatment modes cannot be provided because the flow and rhythm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uman body from the electrode pads are limited because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 between the electrode pads cannot be dynamically exchanged.

등록특허공보 제10-2098056호는 전기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저주파 대역, 중주파 대역, 고주파 대역의 전기 자극을 선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체지방 지수 측정 결과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하체의 체지방 지수에 따라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사용자별 또는 신체 부위별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기 자극을 제공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전극 패드는 전기 자극의 주파수만 변화될 뿐이므로, 전류의 주파수와 세기 등을 변화시키더라도 전극패드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교환시키지 못하여 전극패드에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리듬이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98056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in order to selectively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a medium frequency band, and a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he user's gender included in the body fat index measurement result; Although electrical stimulation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is provided for each user or body part that provides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age and body fat index of the lower body, the electrode pad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delivering electrical stimulation only changes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erefore, even if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current are changed,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ads cannot be dynamically exchanged. Therefore, the flow and rhythm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electrode pads are limited, so various treatment modes are not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132호는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 정현파와 다른 정현파를 간섭시킨 변조주파수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자극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다른 출력의 주파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주파수채널을 다양화하고 있으나, 전류의 주파수와 세기 등을 변화시키더라도 전극패드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교환시키지 못하여 전극패드에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리듬이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77132 relates to a low-frequency stimulator, which provides various stimulation modes using a modulation frequency that interferes with a basic sine wave and other sine waves, so that different output frequencies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health condition. Although the frequency channels are diversified, even if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current are changed,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ads cannot be dynamically ex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d is not provided.

등록특허공보 제10-1169007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69007 등록특허공보 제10-2007954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954 등록특허공보 제10-2098056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9805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132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77132

본 발명은 적어도 2채널 이상의 전류 흐름을 적어도 두 쌍의 전극부에 인가하고 전극부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various treatment modes by applying at least two or more channels of current flow to at least two pairs of electrode parts and dynamically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ar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쌍의 전극부를 사용하여 각 쌍에 교대로 또는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근육 조직에 전류를 흘려 보내어 통증을 줄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pain by sending a current to a muscle tissue by applying different frequency signals to each pair alternately or at the same time using two pairs of electrode uni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쌍의 전극부를 사용하여 각 쌍에 교대로 또는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근육 조직에 전류를 흘려 보내어 통증이나 손상으로 움직임이 둔해져 굳어버린 근육을 수축 및 이완시키는 자극으로 움직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wo pairs of electrode parts to apply different frequency signals to each pair alternately or at the same time to flow a current to the muscle tissue to contract and relax the stiffened muscle due to pain or damage Its purpose is to help restore movement by stimulating stimul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전극부에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좀 더 복잡한 리듬의 신호를 근육 조직에 흘려 보내어 사용자의 만족도와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and treatment effect by applying different frequency signals to each electrode unit and sending a more complex rhythmic signal to the muscle tissu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 purpos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explicitly shown above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roug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will be able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In this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following structure is included.

본 발명은 전기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채널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신호 발생기; 제 2 채널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신호 발생기; 제 1 채널의 전류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적어도 4개의 전극부; 제 1, 2 신호 발생기와 상기 4개의 전극부 사이에서 제 1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가 동적으로 연결이 교환되도록 하는 신호 분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rrier signal of a first channel;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rrier signal of a second channel; at least four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A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for dynamically exchanging connec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and the two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two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and the four electrode uni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신호 분배 처리부는 신호 분배 제어기와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분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제 1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가 동적으로 연결이 교환되도록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switches, the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controls on/off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he plurality of switches outputs a current of a first chann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electrode parts and the two electrode parts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are turned on/off so that connections are dynamically ex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제 1 채널 및/또는 제 2 채널의 전류의 세기 및/또는 위상을 가변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utput variable unit for variably adjusting the intensity and/or phase of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or the second channel.

본 발명의 상기 신호 분배 처리부는 제 1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가 동적으로 연결이 교환되도록 하여 제 1 채널의 전류가 제 1 전극부와 제 3 전극부로 출력되고, 제 2 채널의 전류가 제 2 전극부와 제 4 전극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1 모드, 제 1 채널의 전류가 제 1 전극부와 제 4 전극부로 출력되고, 제 2 채널의 전류가 제 2 전극부와 제 3 전극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모드, 제 1 채널의 전류가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로 출력되고, 제 2 채널의 전류가 제 3 전극부와 제 4 전극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3 모드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ynamically exchanges connections between the two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two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so that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transferred to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mode is output to the negative and third electrode units, and the second channel current is output to the second and fourth electrode units, the first channel current is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fourth electrode unit,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to the third electrode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the third mode to be output to the fourth electrode unit.

본 발명의 제 1 신호 발생기는 제 1 채널의 캐리어 신호에 제 1 리듬 신호를 곱하여 발생시키고, 제 2 신호 발생기는 제 2 채널의 캐리어 신호에 제 2 리듬 신호를 곱하여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ignal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by multiplying the carrier signal of the first channel by the first rhythm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generator multiplies the carrier signal of the second channel by the second rhythm signal.

본 발명의 효과는 적어도 2채널 이상의 전류 흐름을 적어도 두 쌍의 전극부에 인가하고 전극부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여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current flow of at least two channels or more to at least two pairs of electrode parts and dynamically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art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various treatment mod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두 쌍의 전극부를 사용하여 각 쌍에 교대로 또는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근육 조직에 전류를 흘려 보내어 통증을 줄여주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reduce pain by sending a current to a muscle tissue by applying different frequency signals to each pair alternately or at the same time using two pairs of electrode uni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두 쌍의 전극부를 사용하여 각 쌍에 교대로 또는 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근육 조직에 전류를 흘려 보내어 통증이나 손상으로 움직임이 둔해져 굳어버린 근육을 수축 및 이완시키는 자극으로 움직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applying different frequency signals to each pair alternately or at the same time using two pairs of electrodes, current flows through the muscle tissue to contract and contract the stiffened muscles due to pain or damage. It makes it possible to help restore movement with relaxing stimuli.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각각의 전극부에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좀 더 복잡한 리듬의 신호를 근육 조직에 흘려 보내어 사용자의 만족도와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different frequency signals to each electrode unit to flow a more complex rhythmic signal to the muscle tissue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and treatment effect.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explicitly shown above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roug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도 1은 종래의 전기자극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동작시 전극부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른 3가지 모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동작시 2채널의 전류 흐름을 두 쌍의 전극부에 인가하는 3가지 모드를 도시한다.
도 6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제 1, 2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신호 파형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와 제 1, 2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신호 파형도를 예시적으로 함께 도시한다.
도 9는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1분 단위로 변하는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
1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igure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ircuit diagram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ree modes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art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ree modes of applying a two-channel current flow to two pairs of electrodes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exemplarily show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7 exemplarily shows signal waveform diagrams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8 exemplarily show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a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and a signal waveform diagram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Fig. 9 shows a case in which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a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is multiplied by a rhythm signal changing in units of one minute.
Fig. 10 shows a case in which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is multiplied by another rhythm signal.
11 shows a case in which another rhythm signal is multiplied by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12 shows a case where another rhythm signal is multiplied by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Fig. 13 shows a case where another rhythm signal is multiplied by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do not limi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not explicitly shown in the embodiments are also provided below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possessor will be regarded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전기자극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1 show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자극 장치는 제 1, 2 출력 가변부(11, 12), 제 1, 2 신호 발생기(21, 22)로부터 4개의 전극부(210, 220,230,240)로 신호를 전달하는 2개의 커넥터(JP10,JP14)가 연결되면 이러한 연결이 고정되어 4개의 전극부(210, 220,230,240)에 연결되는 2채널의 신호를 동적으로 교환시키지 못하여 전류의 주파수와 세기 등을 변화시킬 수 있을 뿐이므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과 리듬이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하지 못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transmits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21 and 22 to the four electrode units 210, 220, 230, and 240. When the two connectors (JP10, JP14) are connected, these connections are fixed and the two-channel signals connected to the four electrode units 210, 220, 230, 240 cannot be dynamically exchanged, so that the frequency and strength of the current can be changed. Therefore, since the flow and rhythm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uman body is limited, various treatment modes cannot be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는 제 1, 2 출력 가변부(110, 120), 제 1, 2 신호 발생기(210, 220)로부터 4개의 전극부(210, 220,230,240)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신호 분배 처리부(30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110, 120),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210, 220) from the four electrode parts (210, 220, 230, 240) to transmit a signal In order to do this, a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300 is included therebetween.

제 1, 2 출력 가변부(110, 120)는 신호의 세기와 위상을 가변 조절하여 4개의 전극부(210, 220,230,240)에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와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110 and 120 may adjust the strength and phas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uman body from the four electrode units 210 , 220 , 230 , and 240 by variably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and phase.

제 1, 2 출력 가변부(110, 120)는 신호의 세기를 제 1 단계부터 제 10 단계까지 조절하여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강도를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110 and 120 can adjust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uman body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from the first step to the tenth step, and the user can vary the intensity of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can experience

제 1, 2 출력 가변부(110, 120)는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제 1 출력 가변부(110)의 위상과 제 2 출력 가변부(110, 120)의 위상이 0도에서 360도 사이에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110 and 120 adjust the phase of the signal so that the phase of the first output variable unit 110 and the phase of the second output variable unit 110 and 120 are between 0 and 360 degrees. can be adjusted.

예를 들면, 제 1 출력 가변부(110)의 위상과 제 2 출력 가변부(110, 120)의 위상이 서로 동일한 경우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동시에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제 1 출력 가변부(110)의 위상과 제 2 출력 가변부(110, 120)의 위상이 서로 180도 차이가 나는 경우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번갈아가며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hase of the first variable output unit 110 and the phase of the second output variable unit 110 and 120 are identical to each other, the user may feel the same as tapping simultaneously at each electrode unit in which the muscle is contracted and relaxed. When the phase of the first output variable unit 110 and the phase of the second output variable unit 110 and 120 are 180 degree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user alternately taps each electrode in which the muscle contracts and relaxes. You may feel the same way.

상기 신호 분배 처리부(300)는 제 1, 2 출력 가변부(110, 120), 제 1, 2 신호 발생기(210, 220)로부터 4개의 전극부(210, 220,230,240)로의 연결이 고정되지 않고 교환될 수 있도록 하여 4개의 전극부(210, 220,230,240) 사이에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In the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300,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210 and 220 to the four electrode units 210, 220, 230, and 240 is not fixed, but to be exchanged. Thus,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change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 between the four electrode parts 210 , 220 , 230 , and 240 .

4개의 전극부(210, 220,230,240) 사이에 전류의 흐름 방향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동시에 두드리거나 번갈아가며 두드리는 것이 치료 부위를 옮겨가면서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If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 is dynamically changed between the four electrode parts 210, 220, 230, and 240, the user feels the same as tapping while moving the treatment area by tapp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ely on each electrode part where the muscle is contracted and relaxed. can receive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circuit diagram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채널과 제 2 채널의 신호가 제 1 커넥터(JP10)와 제 2 커넥터(JP11)에 연결될 때 그 연결이 고정되지 않고 동적으로 교환될 수 있도록 신호 분배 제어기(310)에 의하여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signals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channel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JP10 and the second connector JP11, the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310 so that the connection is not fixed and can be dynamically exchanged.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S1 to the fourth switch S4 may be controlled.

제 1 스위치(S1)는 제 1 채널과 제 1 커넥터(JP10)의 제 2 단자의 연결을 온/오프하거나 제 1 채널과 제 2 스위치의 연결을 온/오프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S1 may turn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JP10 or turn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switch.

제 2 스위치(S2)는 제 1 스위치와 제 2 커넥터(JP11)의 제 1, 2 단자의 연결을 온/오프할 수 있다.The second switch S2 may turn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witch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second connector JP11.

제 3 스위치(S3)는 제 2 채널과 제 2 커넥터(JP11)의 제 1 단자의 연결을 온/오프하거나 제 2 채널과 제 1 커넥터(10)의 제 2 단자의 연결을 온/오프할 수 있다.The third switch S3 may turn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hannel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JP11 or turn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hannel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10 . have.

제 4 스위치(S4)는 제 2 채널과 제 2 커넥터(JP11)의 제 1 단자 또는 제 2 단자의 연결을 온/오프할 수 있다.The fourth switch S4 may turn on/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hannel and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JP11.

상기 신호 분배 제어기(310)는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개별적인 하드웨어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310 is driven in one piece of hardware or individual hardware in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to control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S1 to the fourth switch S4. I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도 3에는 예시적으로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가 릴레이 스위치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릴레이 스위치 외에도 반도체 스위치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3 exemplarily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are relay switches, in addition to the relay switches, switching elements such as semiconductor switches may be used.

도 3의 릴레이 스위치가 사용되는 경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는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가 모두 오프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When the relay switch of FIG. 3 is used in more detail, FIG. 3 shows a case in which all of the first switches S1 to S4 are in an off state.

상기 신호 분배 제어기(310)가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제 1 스위치(S1)는 온 상태, 제 2 스위치(S2)는 오프 상태, 제 3 스위치(S3)는 온 상태, 제 4 스위치(S4)는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전극부(210)와 제 3 전극부(23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2 전극부(22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어 2개의 전류가 서로 교차되어 사용자의 근육에 인가될 수 있다.The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310 controls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S1 to the fourth switch S4 so that the first switch S1 is in the on state, the second switch S2 is in the off state, and the When the third switch S3 is in the on state and the fourth switch S4 is in the off state, the first channel current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220 and the fourth electrode unit 240 so that the two currents cross each other to be applied to the user's muscles.

상기 신호 분배 제어기(310)가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가 모두 온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전극부(21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2 전극부(220)와 제 3 전극부(23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어 2개의 전류가 서로 수평으로 평행하게 사용자의 근육에 인가될 수 있다.When the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310 controls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S1 to the fourth switch S4 and the first switch S1 to the fourth switch S4 are all in the on state, The first channel current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fourth electrode part 240 , and the second channel current is output from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30 . Currents may be applied to the user's muscles horizontally an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신호 분배 제어기(310)가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제 1 스위치(S1) 내지 제 4 스위치(S4)가 모두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4개의 전극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 1 전극부(210)와 제 2 전극부(22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3 전극부(23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어 2개의 전류가 서로 수직으로 평행하게 사용자의 근육에 인가될 수 있다.When the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310 controls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S1 to the fourth switch S4 and the first switch S1 to the fourth switch S4 are all in the off state, When the four electrode units ar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first channel current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220 , and the third electrode unit 230 and the fourth electrode unit 240 .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the , so that the two currents may be applied to the user's muscles in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각 회로소자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이오드 D1, D2는 역기전력을 방지하고, 캐패시터 C1, C2와 저항 R2, R4는 변압기 T1, T2의 2차측의 출력 파형을 부드럽게 하는 기능을 한다.In detail about each circuit element, the diodes D1 and D2 prevent back electromotive force, and the capacitors C1 and C2 and resistors R2 and R4 function to smooth the output waveform of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s T1 and T2.

도 4는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동작시 전극부들 사이의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른 3가지 모드를 도시한다.Figure 4 shows three modes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between the electrode part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4(a)는 4개의 전극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 1 전극부(210)와 제 3 전극부(23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2 전극부(22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어 2개의 전류가 서로 교차되어 사용자의 근육에 인가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4 , FIG. 4( a ) shows that when the four electrode parts ar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first channel current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the unit 220 and the fourth electrode unit 240 so that the two currents cross each other and are applied to the user's muscles.

이러한 경우에는 2개의 전류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muscle may be contracted and relax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wo currents cross each other.

도 4(b)는 4개의 전극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 1 전극부(21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2 전극부(220)와 제 3 전극부(23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어 2개의 전류가 서로 수평으로 평행하게 사용자의 근육에 인가되고 있다.FIG. 4(b) shows that when the four electrode parts ar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first channel current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fourth electrode part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the three-electrode unit 230, and the two currents are applied to the user's muscles in parallel and horizontally with each other.

이러한 경우에는 2개의 전류가 서로 수평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muscle may be contracted and relax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wo currents being horizontal to each other.

도 4(c)는 4개의 전극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 1 전극부(210)와 제 2 전극부(22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3 전극부(23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어 2개의 전류가 서로 수직으로 평행하게 사용자의 근육에 인가되고 있다.FIG. 4(c) shows that when the four electrode parts ar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the 4 electrode unit 240 so that the two currents are applied to the user's muscles in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러한 경우에는 2개의 전류가 서로 수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muscles may contract and rela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d parallel to two currents.

본 발명은 2개 채널의 전류가 4개의 전극부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치료 부위를 중심으로 2개의 전류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되는 모드, 2개의 전류가 서로 수평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되는 모드, 2개의 전류가 서로 수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되는 모드를 포함하고, 이러한 3가지 모드가 반복적으로 교대로 작동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 in which the user's muscles contract and relax in a direction where the two currents intersect each other around the treatment site by being attached to the user's skin when the currents of the two channels are connected to the four electrode units, and the two currents includes a mode in which the user's muscles contract and relax in a direction horizontally parallel to each other, a mode in which two electric currents contract and relax the user's muscl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se three modes are repeatedly alternated will work with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자극 장치의 동작시 2채널의 전류 흐름을 두 쌍의 전극부에 인가하는 3가지 모드를 도시한다.Figure 5 shows three modes of applying a current flow of two channels to two pairs of electrodes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4개의 전극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 1 전극부(210)와 제 3 전극부(23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2 전극부(22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Referring to FIG. 5 , FIG. 5( a ) shows that when four electrode parts ar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first channel current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t is a circuit diagram when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the unit 220 and the fourth electrode unit 240 .

이러한 경우에는 2개의 전류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muscle may be contracted and relax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wo currents cross each other.

도 5(b)는 4개의 전극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 1 전극부(21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2 전극부(220)와 제 3 전극부(23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FIG. 5(b) shows that when the four electrode parts ar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fourth electrode part 24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t is a circuit diagram when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the three-electrode unit 230 .

이러한 경우에는 2개의 전류가 서로 수평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muscle may be contracted and relax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wo currents being horizontal to each other.

도 5(c)는 4개의 전극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제 1 전극부(210)와 제 2 전극부(220)에서 제 1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고 제 3 전극부(230)와 제 4 전극부(240)에서 제 2 채널의 전류가 출력되는 경우의 회로도이다.FIG. 5( c ) shows that when the four electrode parts ar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0 . It is a circuit diagram when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from the fourth electrode unit 240 .

이러한 경우에는 2개의 전류가 서로 수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자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muscles may contract and rela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d parallel to two currents.

이러한 회로도에 의한 3가지 모드에 따라 사용자가 전기자극 장치의 동작을 시작하면 소정의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교대로 작동하게 되어 전류의 흐름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ree modes according to the circuit diagram, when the user start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it is repeatedly operated alternately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current flow can be variously applied to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또한 인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다양하게 함에 따라 이를 리듬과 전류의 세기/위상 변화와 조합하게 되면 더욱 더 다양한 치료 모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flow of current applied to the human body is varied,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diverse treatment modes by combining this with rhythm and current strength/phase change.

도 6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6 exemplarily show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파형도의 가로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전압을 의미하며, 제 1 신호 발생기 또는 제 2 신호 발생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는 4.10kHz로서 중주파수 신호이다.Referring to FIG. 6 , the horizontal axis of the signal waveform diagram means time and the vertical axis means voltage, and the basic carrier frequency of the first signal generator or the second signal generator is 4.10 kHz, which is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도 7은 제 1, 2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신호 파형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7 exemplarily shows signal waveform diagrams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신호의 위상과 제 2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신호의 위상이 약 180도 정도 차이를 보이고, 410 m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신호가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되어 인가되면,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번갈아가며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phase of the signal from the first variable output unit and the phase of the signal from the second output variable unit have a difference of about 180 degrees and have a frequency of 410 mHz, and this signal is a carrier frequency. When modulated and applied, the user may feel as if tapping alternately at each electrode part where the muscle contracts and relaxes.

도 8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와 제 1, 2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신호 파형도를 예시적으로 함께 도시한다.8 exemplarily show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a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and a signal waveform diagram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도 8을 참조하면,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와 제 1, 2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신호 파형도를 함께 보여주기 위하여 가로축의 시간 단위를 1초로 설정함으로써 제 1, 2 출력 가변부로부터의 저주파 신호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order to show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basic carrier frequency and the signal waveform diagram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the time unit of the horizontal axis is set to 1 second, so that the low-frequency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ariable units are set to 1 second. and the high-frequency signals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are shown together.

도 9는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1분 단위로 변하는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Fig. 9 shows a case in which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a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is multiplied by a rhythm signal changing in units of one minute.

도 9를 참조하면,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가 반전되면서 1분 단위로 변하는 리듬 신호가 곱해져서 전극부에 인가되면,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when a rhythm signal that changes in units of 1 minute is multiplied and applied to the electrode part while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basic carrier frequency is inverted, the user taps at regular time intervals at each electrode part where the muscle is contracted and relaxed. You may feel the same way.

도 10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Fig. 10 shows a case in which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is multiplied by another rhythm signal.

도 10을 참조하면,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가 반전되면서 5개의 리듬 신호 2번 반복된 후 10개의 리듬 신호가 곱해져서 전극부에 인가되면,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5번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2번 반복하여 받은 후 10번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basic carrier frequency is inverted and the 5 rhythm signals are repeated twice, then the 10 rhythm signals are multiplied and applied to the electrode part, the user can use each electrode part where the muscle is contracted and relaxed. You may experience the same sensation of tapping five times twice, followed by the same sensation of tapping 10 times.

도 11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Fig. 11 shows a case where another rhythm signal is multiplied by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도 11을 참조하면,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가 반전되면서 10초 단위로 변하는 리듬 신호가 곱해져서 전극부에 인가되면,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도 9의 경우보다 좀 더 빠르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when a rhythm signal that changes in units of 10 seconds is multiplied and applied to an electrode part while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basic carrier frequency is inverted, the user may see a little more than the case of FIG. 9 in each electrode part where the muscle contracts and relaxes. It can feel like tapping faster at regular intervals of time.

또한 출력 가변부는 도 9의 경우보다 전류의 세기를 좀 더 크게 조절하여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강도를 좀 더 강하게 경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variable unit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to be larger than in the case of FIG. 9 ,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the strength of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more strongly.

도 12는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Fig. 12 shows a case where another rhythm signal is multiplied by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도 12를 참조하면,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가 반전되면서 3개의 리듬 신호가 반복되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전극부에 인가되면,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3번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when the three rhythm signals are repeated and applied to the electrod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ile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basic carrier frequency is inverted, the user taps three times at each electrode in which the muscle contracts and relaxes. The same feeling can be receiv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도 13은 제 1, 2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에 또 다른 리듬 신호가 곱해지는 경우를 도시한다.Fig. 13 shows a case where another rhythm signal is multiplied by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fundamental carrier frequency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도 13을 참조하면, 기본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 파형도가 반전되면서 3개의 리듬 신호가 2번 반복된 후 9~10개의 리듬 신호가 곱해져서 전극부에 인가되면, 사용자는 근육이 수축되고 이완되는 각 전극부에서 3번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2번 반복하여 받은 후 9~10번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when the signal waveform diagram of the basic carrier frequency is inverted and 3 rhythm signals are repeated twice, then 9 to 10 rhythm signals are multiplied and applied to the electrode unit, the user can determine the angle at which the muscles contract and relax. After repeatedly receiving the same feeling as tapping 3 times on the electrode part, you may feel the same as tapping 9 to 10 times.

11, 110: 제 1 출력 가변부
12, 120: 제 2 출력 가변부
21, 210: 제 1 신호 발생기
22, 220: 제 2 신호 발생기
210~240: 제 1~4 전극부
300: 신호 분배 처리부
310: 신호 분배 제어기
S1~S4: 제 1~4 스위치
11, 110: first output variable unit
12, 120: second output variable unit
21, 210: first signal generator
22, 220: second signal generator
210 to 240: first to fourth electrode parts
300: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310: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S1~S4: 1st~4th switch

Claims (5)

전기자극 장치에 있어서,
제 1 채널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신호 발생기;
제 2 채널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신호 발생기;
제 1 채널의 전류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적어도 4개의 전극부;
제 1, 2 신호 발생기와 상기 4개의 전극부 사이에서
제 1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가 동적으로 연결이 교환되도록 하는 신호 분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분배 처리부는 제 1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가 동적으로 연결이 교환되도록 하여
제 1 채널의 전류가 제 1 전극부와 제 3 전극부로 출력되고, 제 2 채널의 전류가 제 2 전극부와 제 4 전극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1 모드,
제 1 채널의 전류가 제 1 전극부와 제 4 전극부로 출력되고, 제 2 채널의 전류가 제 2 전극부와 제 3 전극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모드,
제 1 채널의 전류가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로 출력되고, 제 2 채널의 전류가 제 3 전극부와 제 4 전극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 3 모드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 장치.
In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 firs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rrier signal of a first channel;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rrier signal of a second channel;
at least four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gnal generators and the four electrode units.
Two electrode parts for outputting a current of a first channel and a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part for dynamically exchanging a connection between two electrode parts for outputting a current of a second channel ,
The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dynamically exchanges connections between the two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two electrode uni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a first mode in which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the fourth electrode part;
a second mode in which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fourth electrode part,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a third mode in which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is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is output to the third electrode part and the fourth electrode par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배 처리부는 신호 분배 제어기와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분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제 1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와, 제 2 채널의 전류를 출력하는 2개의 전극부가 동적으로 연결이 교환되도록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ignal distribution processing unit includes a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switches,
The signal distribution controller controls on/off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The plurality of switches is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electrode par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 the two electrode parts for outputting the current of the second channel are turned on/off so that the connection is dynamically exchanged.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채널 및/또는 제 2 채널의 전류의 세기 및/또는 위상을 가변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utput variable for variably adjusting the intensity and/or phase of the current of the first channel and/or the second channe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신호 발생기는 제 1 채널의 캐리어 신호에 제 1 리듬 신호를 곱하여 발생시키고,
제 2 신호 발생기는 제 2 채널의 캐리어 신호에 제 2 리듬 신호를 곱하여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gnal generator multiplies the carrier signal of the first channel and generates the first rhythm sig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ignal generator multiplies the carrier signal of the second channel with the second rhythm signal.
KR1020210112843A 2021-08-26 2021-08-26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KR102320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43A KR102320852B1 (en) 2021-08-26 2021-08-26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43A KR102320852B1 (en) 2021-08-26 2021-08-26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852B1 true KR102320852B1 (en) 2021-11-02

Family

ID=7847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843A KR102320852B1 (en) 2021-08-26 2021-08-26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940B1 (en) * 2022-02-26 2023-02-17 주식회사 코어무브먼트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ystem and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variable channe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32Y1 (en) 2002-03-02 2002-05-3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Low frequency stimulator
JP2003339819A (en) * 2002-05-28 2003-12-02 Shinichi Kawamata Composite wave generator to reaction point
KR101169007B1 (en) 2010-07-29 2012-07-30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Low Frequency Therapy Apparatus Using Interferential Wave Current
KR102007954B1 (en) 2017-08-04 2019-10-21 김기태 Medical Device Capable of RET High Frequency Treatment and CET High Frequency Treatment
KR102098056B1 (en) 2019-10-24 2020-04-07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health care system unsing the same
KR20200099953A (en) * 2019-02-15 2020-08-25 인에이블 주식회사 Electrical Stimulator
KR20210064622A (en) * 2019-11-26 2021-06-03 이정국 Low frequency therapy device for urinary incontinen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32Y1 (en) 2002-03-02 2002-05-3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Low frequency stimulator
JP2003339819A (en) * 2002-05-28 2003-12-02 Shinichi Kawamata Composite wave generator to reaction point
KR101169007B1 (en) 2010-07-29 2012-07-30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Low Frequency Therapy Apparatus Using Interferential Wave Current
KR102007954B1 (en) 2017-08-04 2019-10-21 김기태 Medical Device Capable of RET High Frequency Treatment and CET High Frequency Treatment
KR20200099953A (en) * 2019-02-15 2020-08-25 인에이블 주식회사 Electrical Stimulator
KR102098056B1 (en) 2019-10-24 2020-04-07 주식회사 신성아이씨티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health care system unsing the same
KR20210064622A (en) * 2019-11-26 2021-06-03 이정국 Low frequency therapy device for urinary incontine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940B1 (en) * 2022-02-26 2023-02-17 주식회사 코어무브먼트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ystem and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variable channel
WO2023163291A1 (en) * 2022-02-26 2023-08-31 주식회사 코어무브먼트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ystem and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variable cha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6429B2 (en) Interferential current treatment apparatus
CA2396334C (en) Electro therapy method and apparatus
US96692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US9186506B2 (en) Portable unit for treating chronic pain
US20100145399A1 (en) Multifunc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multifunction devices
KR101057974B1 (en) Electrotherapy device with high frequency therapy and low frequency therapy
JP7048121B2 (en) Electrical stimulator
JPH08511445A (en) Nerve stimulator and link support
EP0357647B1 (en) Electrostimulating device
KR20190042394A (en) Low frequency massager
KR102320852B1 (en)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WO2008015957A1 (en) Low frequency therap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CN114288552A (en) Pulse signal output method and device, electric pulse massag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876296B (en) Electronic acupuncture therapeutic instrument
KR102427506B1 (en) Interferential current type low-frequency pulse stimulator
KR101499567B1 (en) Control Device for developing a mixtur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2122147B1 (en) Micro-current supply massage device with electric stimulation function
KR20150121900A (en) Control Device for developing a mixtur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US20100036464A1 (en) Electronic stimulation device
JPH07194711A (en) Gloves for electric treating instrument
CN211675900U (en) Intelligent communication device of physiotherapy equipment
Forneiro et al. Therapeutic electrical stimulator
NZ719996A (en) Electro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