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401B1 -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401B1
KR102320401B1 KR1020210019092A KR20210019092A KR102320401B1 KR 102320401 B1 KR102320401 B1 KR 102320401B1 KR 1020210019092 A KR1020210019092 A KR 1020210019092A KR 20210019092 A KR20210019092 A KR 20210019092A KR 102320401 B1 KR102320401 B1 KR 10232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terminal
freight
event
lo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정훈
Original Assignee
문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훈 filed Critical 문정훈
Priority to KR102021001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4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2P loan-based fare prepayment-type freight transport relay service provision system comprising: a shipper terminal which transmits a dispatch request event and receives a successful bid event with the lowest bid corresponding to the dispatch request event; a transport terminal which receives the dispatch request event, participates in an open bidding, transmits a fare, and receives a successful bid event to be assigned the dispatch request event, when the transmitted fare is the lowest; and a freight transport relay service provision server which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dispatch request event from the shipper terminal,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corresponding to dispatch data included in the dispatch request event, a relay unit for broadcasting the dispatch request event to the extracted transport terminal, a bidding unit for receiving a fare from 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and transmitting a successful bid event to the lowest bid transport terminal and the shipper terminal, a P2P unit for prepaying the fare to the transport terminal by P2P loan, when the transport terminal outputs a transport completion event, and a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the settlement of the fare on a preset payment date from the shipper terminal. The P2P loan-based fare prepayment-type freight transport relay service provision system can reduce waste of time and work load.

Description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P2P Loan-based freight transportation brokerage service provision system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본 발명은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운송인(운송사, 운송 화물기사 등)과 화주를 공개입찰로 중개하고, 운송이 완료된 경우 확정매출을 신고하면 운송인에게 P2P 대출로 대금을 선지급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2P loan-based freight charge advance payment type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brokering freight forwarders (carriers, freight drivers, etc.) and shippers through open bidding, and reporting fixed sales when transportation is completed It provides a platform to prepay the carrier with a P2P loan.

전 세계 산업 전반으로 벤처·창업 비즈니스 모델을 O2O 비즈니스 모델이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다양한 서비스 산업이 생겨나고 있다. 화물운송 산업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지만 O2O 비즈니스 모델과 같이 채널을 다양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국외에서는 우버(Uber)가 화물차 운전자와 화물차를 필요로 하는 이를 연결해 주는 우버 프레이트(Uber Freight) 서비스를 출시했는데, 우버 프레이트는 자신의 화물차를 소유하고 있는 검증을 마친 운전자와 연결해 주며 운전자는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운행 거리, 기타 작업, 운송 비용을 쉽게 확인가능하다. 또, 화주와 운전자 간 비용을 두고 흥정할 필요가 없으며, 화물차 운전자에게도 결제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운송비를 받기까지 수주가 걸린 반면, 우버 프레이트는 며칠 내로 운송비를 받을 수 있으며 지정된 기간 내로 지불하지 않으면 요금이 추가된다.As the O2O business model occupies most of the venture and start-up business models across industries around the world, various service industries are emerging. Although many difficulties exist in the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efforts to diversify channels such as O2O business models are continuing. Overseas, Uber launched Uber Freight, a service that connects truck drivers with those who need them. You can easily check the destination, stopover, distance traveled, other operations, and transportation costs.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haggle over the cost between the shipper and the driv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ayment is quick even for the truck driver. While it may take weeks to receive shipping, Uber Freight can collect shipping within a few days, with additional charges if not paid within the specified timeframe.

이때, 국내에서도 화주와 운전자 간을 연결하는 화물운송 중개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졌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4303호(2018년08월23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9-0019599호(2019년02월27일 공개)에는, 운송자와 화주 간 상호 입찰을 통해 합리적인 합의를 통해 물류서비스를 중개하도록, 화주가 등록한 운송정보를 파트너 코드를 부여 받은 화주가 입찰에 참여하고, 최저입찰가를 정하기 위해서 실시간 메뉴를 생성하며, 예상 낙찰가를 보여주고 입찰된 내역을 히스토리 정보에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고, 운송정보에 대해서 최저가 낙찰이 되면 운임을 결제하고 최종 계약 성사 후 운송이 완료되는 구성과, 위치를 기반으로 차주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주 순위 리스트를화주단말로 전송하며, 화주단말로부터 차주 순위 리스트를 기초로 선택된 차주에 관한 차주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화주 순위 리스트를 생성하고, 화주 순위 리스트를 차주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cargo transport brokerage platform that connects the shipper and the driver was also conducted in Korea. In No. 2019-0019599 (published on February 27, 2019), the shipper, who is given a partner code for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shipper, participates in the bidding to mediate logistics services through a reasonable agreement through mutual bidding between the shipper and the shipper. In order to set the lowest bid, a real-time menu is created, the expected successful bid is shown, the bid details are stored and displayed in th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is paid when the lowest bid is reached, and the transportation is completed after the final contract is concluded. Generates a borrower ranking list based on the configuration and location, transmits the generated borrower ranking list to the shipper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borrower selected based on the borrower ranking list from the shipper terminal, and generates a shipper ranking list at the same time and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shipper's ranking list to the borrower terminal is disclosed, respectively.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차주의 운전자에 대한 운임지급은 어음형태로 지급되는 경우가 많아 운송이 완료된다고 할지라도 운전자는 운임지급이 되었는지에 대한 팔로우업(Followup)을 실시해야 하고, 이에 따라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고 지급에 대한 확인, 독촉 및 재확인의 별도의 업무 로드가 걸리게 된다. 또, 차주, 운송 주선사, 콜센터와 화물차주 사이의 의사소통은 전화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종 데이터 수기로 작성하거나 하나의 엑셀 파일을 여러 명이 공유하며 작업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화물 운송시장은 현금 거래 위주로 이루어지고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기에도 용이하지 않다. 이에, 운임지급을 플랫폼 연계 대출 형식으로 P2P 대출로 운송자에게 선지급함으로써 운행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주에게는 빠르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운송자를 선택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ed, the fare payment to the driver of the borrower is often paid in the form of bills, so even if the transportation is completed, the driver must follow up whether the fare has been paid, As a result, they cannot concentrate on driving and take on the separate task load of verifying, reminding, and reconfirming payments. In addition, communication between borrowers, transport brokers, call centers and freight owners is mainly done over the phone, and it remains at the level of writing various data manually or sharing one Excel file with several people, and the freight transport market is cash It is transaction-oriented and it is not easy to collect various data.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allows freight forwarders to focus on operation by prepaying freight forwarders with P2P loans in the form of platform-linked loans, while allowing shippers to select carriers at a fast and reasonable price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임지급을 어음형태가 아닌 플랫폼 연계 대출인 P2P 대출로 운송자에게 선지급함으로써 운행을 제외한 정산이나 독촉에 따른 시간 낭비 및 업무 로드를 줄여주고, 화주에게는 결제날짜에 운임지급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금 운용에 문제가 없게 하면서도, 화주와 운송자 간을 역경매 방식으로 최저가 입찰되도록 함으로써 화주와 운송자 모두 빠른 의사결정을 함과 동시에 안전한 계약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waste of time and work load due to settlement or prompting, except for operation, by prepaying the freight forwarder with a P2P loan, which is a platform-linked loan,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bill, and pays freight on the payment date to the shipper A P2P loan base that can help both shippers and carriers make quick decisions and secure contracts by allowing the lowest bid between shippers and carriers to be bid through reverse auction while eliminating problems in fund management by allow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freight forwarding-type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차의뢰 이벤트를 전송하고, 배차의뢰 이벤트에 대응하는 최저가 입찰로 낙찰 이벤트를 수신하는 화주 단말, 배차의뢰 이벤트를 수신하고, 공개입찰에 참여하여 운임비를 전송하고, 전송된 운임비가 최저가인 경우 낙찰 이벤트를 수신받아 배차의뢰 이벤트를 할당받는 운송 단말 및 화주 단말로부터 배차의뢰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배차의뢰 이벤트에 포함된 배차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을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로 배차의뢰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중계부,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로부터 운임비를 수신하고 최저가 입찰한 운송 단말 및 화주 단말로 낙찰 이벤트를 전송하는 입찰부, 운송 단말에서 운송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P2P 대출(Peer-to-Peer Lending)로 운송 단말로 운임비를 선지급하는 P2P부, 화주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결제일에 운임비의 정산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는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spatch request event, a shipper terminal that receives a successful bid event with the lowest bid corresponding to the dispatch request event, and receives a dispatch request event and , participates in public bidding to transmit freight rates, and receives a successful bid event when the transmitted freight rate is the lowest.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a relay unit for broadcasting a dispatch request event to the extracted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a transport terminal and a shipper that receive the freight rate from 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and bid the lowest The bidding unit that transmits the successful bid event to the terminal, the P2P unit that prepays the freight fee to the transport terminal by P2P lending (Peer-to-Peer Lending) when the transport terminal outputs the transport completion event It includes a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the settlement of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운임지급을 어음형태가 아닌 플랫폼 연계 대출인 P2P 대출로 운송자에게 선지급함으로써 운행을 제외한 정산이나 독촉에 따른 시간 낭비 및 업무 로드를 줄여주고, 화주에게는 결제날짜에 운임지급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금 운용에 문제가 없게 하면서도, 화주와 운송자 간을 역경매 방식으로 최저가 입찰되도록 함으로써 화주와 운송자 모두 빠른 의사결정을 함과 동시에 안전한 계약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paying the freight forwarder with a P2P loan, which is a platform-linked loan,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bill, it reduces the waste of time and work load due to settlement or prompting other than operation, and the shipper By allowing freight to be paid on the payment date, there is no problem in fund management, and by making the lowest bid between shippers and carriers through reverse auction, both shippers and carriers can make quick decisions and make safe contracts at the same time.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type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2P loan-based freight fee payment 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for freight forwarding based on a P2P lo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a sense at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serve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for (to)” or “step for”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the ~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the ~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data,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of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type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payment 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1 includes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 a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 ,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may be included. However, since th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through the network 200 . . In addition,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elem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은,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물운송을 의뢰하는 화주(貨主)의 단말이다. 무역에서 화주는 Exporter, Shipper, 매도인, 수출자, 수출업자 등으로 불리우고 있는데, 운송시에 운송업체가 수출자를 대상으로 화주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는 자라면, 관세사, 운송사, 포워딩, 실화주 등 그 용어나 개념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화주 단말(100)은 공개입찰로 운송자가 결정되는 경우 운송자의 정보 및 화물의 실시간 위치를 트래킹한 정보를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화주 단말(100)은 운송 단말(400)로부터 운송이 완료되어 확정매출이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결제일에 P2P 대출 서버(500)로 결제대금을 완납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shipper's terminal 100 is a terminal of a shipper who requests cargo transportation using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type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trade, the shipper is called Exporter, Shipper, Seller, Exporter, Exporter, etc. During transportation, the shipping company also uses the term shipper for the export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grows up, it is defined as encompassing all the terms and concepts such as customs broker, shipping company, forwarding, and actual stock. In addition, the shipp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from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information on the carrier and track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freight when the carrier is determined through an open bidding. In addition, the shipp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fully pays the payment to the P2P loan server 500 on a preset payment date when the transportation is completed from the transportation terminal 400 and the fixed sales are input.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a laptop computer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computer, and a laptop computer.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로부터 운전자등록증, 사업자등록증, 보험증권 등을 포함하는 운송자 정보를 입력받고 인력풀(Pool)을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를 등록받고 P2P 풀(Pool)을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화주 단말(100)로부터 화물운송 의뢰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화주가 운송하기를 원하는 화물의 크기나 화물을 실어나를 수 있는 컨테이너의 크기, 위치 및 운송자의 스케줄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을 추출하고, 추출된 운송 단말(400)로 화물의뢰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중계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운송 단말(400)로부터 공개입찰을 받은 후 최저가로 입찰한 운송자를 낙찰자로 선정하고 낙찰 즉시 화주 단말(100) 및 운송 단말(400)로 낙찰 이벤트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운송 단말(400)의 위치 및 화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화주 단말(100)로 공유할 수 있고, 운송 단말(400)에서 화물의 운송이 완료한 후 확정매출을 입력하는 경우 P2P 대출 서버(500)로부터 운송 단말(400)로 운임비를 선지급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운임비, 운송비, 운임대금, 운송대금 등은 서로 용어는 다르지만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결제일에 화주 단말(100)에서 대금을 P2P 대출 서버(500)로 입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transporter information including a driver's license, business license, insurance policy, etc. from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and builds a manpower pool. have. In addition,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registration and builds a P2P pool. And, when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cargo transport request event from the shipper terminal 100, the size of the cargo desired by the shipper or the size of the container capable of carrying the cargo, the location and It may be a server that extracts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porter's schedule, and relays the cargo request event to the extracted transport terminal 400 by broadcasting. Then,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open bid from the transport terminal 400, selects the transporter who bid the lowest price as a successful bidder, and immediately sends a successful bid event to the shipper terminal 100 and the transport terminal 400 It may be a sending server. 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collect the location of the transport terminal 400 and the location of the cargo in real time and share it with the shipper terminal 100 , and the transport of the cargo is completed in the transport terminal 400 . When entering the fixed sales after doing so, it may be a server that prepays the freight fee from the P2P loan server 500 to the transportation terminal 400 . In this case, the terms freight cost, transport cost, freight cost, transport cost, etc.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y are all defined with the same concept. In addition,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monitoring whether the payment is deposited from the shipper terminal 100 to the P2P loan server 500 on a preset payment date.

여기서,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a laptop computer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computer, and a laptop computer.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은,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운송자, 운전자, 기사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운송 단말(400)은, 운전자등록증, 차량등록증, 보험증권 등의 각종 필요서류와, 위치 정보, 스케줄 정보 등을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여 운송자로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운송 단말(400)은,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화물운송 의뢰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받은 경우, 이에 대한 공개입찰을 진행하고, 낙찰된 경우 낙찰 이벤트를 수신하며, 낙찰 이벤트 후 GPS의 엑세스를 허용하여 자신의 위치 및 화물의 위치를 트래킹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운송을 완료한 후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확정매출을 등록하고, P2P 대출 서버(500)로부터 운임비를 선지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such as a transporter, a driver, or a driver using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service-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e transport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for registering as a transporter by uploading various necessary documents such as a driver's license, vehicle registration card, insurance policy, etc., location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etc. to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In addition, the transport terminal 400, upon receiving a cargo transport request event broadcast from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nducts an open bid on it, and receives a successful bid event if the bid is successful, and GPS after the successful bid event It may be a terminal that allows access to to track its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cargo. In addition,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terminal that registers a fixed sales with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completing the transport, and receives a freight charge from the P2P loan server 500 in advanc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a laptop computer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computer, and a laptop computer.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대출 계약을 맺고, 운송 단말(400)에서 확정매출을 등록하는 경우, 운임비를 운송 단말(400)로 선지급하고, 화주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결제일에 대금을 완납받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P2P 대출 서버(500)는, 개인, 카드사, 핀테크사, 금융기관 등의 서버일 수 있으며, 그 주체를 한정하지 않는다. The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enters into a loan contract with the freight transportation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based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and transports When the terminal 400 registers the fixed sales, it may be a server that prepays the freight fee to the transportation terminal 400 and receives the full payment from the shipper terminal 100 on a preset settlement date. In this case, the P2P loan server 500 may be a server such as an individual, a card company, a fintech company, or a financial institution, and the subject thereof is not limited.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a laptop computer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computer, and a laptop computer.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lemented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추출부(320), 중계부(330), 입찰부(340), P2P부(350), 요청부(360), 트래킹부(370), 모니터링부(380) 및 인력관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receiving unit 310 , an extracting unit 320 , a relay unit 330 , a bidding unit 340 , a P2P unit 350 , and a requesting unit 360 . ), a tracking unit 370 , a monitoring unit 380 and a manpower management unit 39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로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화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argo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o the P2P loan server 500,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at least one transportation terminal 400, and The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may install or open a P2P loan-based freight fee prepaid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or the like.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shipp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P2P loan server 5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includes an app (App)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설명하기 앞서 P2P 대출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한 개념은 도 2에서 중복하여 기술하지 않는다.Before describing FIG. 2 , the basic concept of P2P lending will be described. The concepts described below will not be repeated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P2P 대출(Peer-to-Peer Lending)이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로부터 모집한 금액을 차입자에게 공급하는 형태의 대출을 말한다. 일반적인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개인 간 대출 및 차입이 이루어지는 거래로써 크라우드 펀딩의 일종으로 대출형 크라우드 펀딩이라고도 불린다. 한국 P2P 금융협회에 따르면 P2P 금융은 온라인을 통해 모든 대출과정을 자동화하여 지점운영비용, 인건비, 대출영업비용 등의 불필요한 경비 지출을 최소화하여 대출자에게는 더 낮은 금리를, 투자자에게는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금융과 기술을 융합한 핀테크 서비스이다. P2P 대출거래에서 대출중개업자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투자자와 차입자를 중개해 주고 수수료를 수취하는 사업을 영위한다.Peer-to-Peer Lending refers to a type of loan in which the amount raised from investors is supplied to borrowers through an online platform. It is also called loan-type crowdfunding as a type of crowdfunding as a transaction in which loans and borrowings are made between individuals through an online platform without going through a general financi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Korea P2P Finance Association, P2P finance provides lower interest rates to borrowers and higher returns to investors by automating all loan processes online to minimize unnecessary expenses such as branch operating costs, labor costs, and loan operating costs. It is a fintech service that converges finance and technology. In peer-to-peer loan transactions, loan brokers engage in the business of intermediary between investors and borrowers on an online platform and collect commissions.

대출 및 자금조달(Lending and Funding) 서비스에 신기술이 적용되면서, 이는 전통적인 신용대출시장의 이용에 어려움을 겪었던 개인, 사업자에게 신용거래에 대한 접근성 측면에서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크라우드펀딩과 P2P 대출이 그 대표적인 예인데, 세계적으로 대출 및 자금조달과 관련한 새로운 사업모델이 급부상하고 있고, 특히 P2P(Peer-to-Peer) 방식의 플랫폼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P2P 플랫폼은 다음의 유형 중 하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회적 대의 또는 장래의 보상(보통 투자프로젝트에서 제작하는 상품 및 서비스)을 목적으로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하고자 하는 개인은 기부형 및 후원형 플랫폼(Donation and Reward-based Platforms)을 이용하여 일정 금액을 기부할 수 있다. 대출투자형 플랫폼(Loanbased Platforms)은 대여자의 투자금 회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며, 주식형 플랫폼(Equity-based Platform)에서 투자자는 자금을 모집하는 회사로부터 지분을 받는다.As new technologies are applied to the Lending and Funding service, it is of great help in terms of access to credit transactions for individuals and businesses who have had difficulties in using the traditional credit loan market. Crowdfunding and P2P lending are typical examples. New business models related to lending and financing are rapidly emerging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P2P (Peer-to-Peer) platforms. A P2P platform may take the form of one of the following types. Individuals who wish to participate in crowdfunding for the purpose of social causes or future rewards (usually products and services produced in investment projects) can donate a certain amount using Donation and Reward-based Platforms. can Loanbased Platforms make it easier for lenders to recover their investment, and on Equity-based Platforms, investors receive shares from the company that raises funds.

핀테크(FinTech)란 대체로 디지털 기술이 주도하는 금융서비스의 빠른 발전을 표방하는 일종의 표어(Catchy Label)이다. 정부의 입장에 따르면 핀테크는 일종의 혁신지만, 실무상 정의된 사례는 거의 없다. 일부 문헌에서 핀테크를 정의 내릴 때 그 기반이 되는 기술 및 용역을 제공하는 기업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거나 스타트업 기업 만을 포함하는 함축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잘못 사용하는 예도 가끔 찾아볼 수 있다. 때로는 디지털 기술과 해당 기술이 적용되는 금융서비스 간의 관계에 대한 별다른 구분 없이 개념 정의되기도 한다. 핀테크 개념은 신기술로 가능하게 된 금융, 금융기술에서의 혁신, 디지털 방식으로 실현 가능해진 금융혁신, 금융 산업에 적용된 새로이 등장하는 디지털 기술, 금융서비스 산업을 전환할 가능성을 가진 다양한 혁신적 사업모델과 신흥기술 또는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기술의 사용을 수반하는 새로운 혁신 등으로 정의된 바 있다.FinTech is a kind of catchy label that stands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financial services led by digit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position, Fintech is a kind of innovation, but there are few cases where it is defined in practice. In some literature, when defining Fintech, it is sometimes misused to mean the same as a company that provides the underlying technology and services, or to have an implied meaning that includes only start-up companies. Sometimes, the concept is defined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the financial services to which the technology is applied. The concept of fintech includes finance made possible by new technologies, innovation in financial technology, financial innovation made possible through digital methods, newly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applied to the financial industry, and various innovative business models with the potential to transform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It has been defined as an emerging technology or new innovation involving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to provide financial services.

사실 핀테크의 경우와 같이 디지털 기술의 사용을 통해 가능한 모든 금융혁신을 포괄하여 정의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위 개념 정의 및 분류 또한 금융서비스와 관련한 디지털 기술의 다양한 활용 방식을 모두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특히 기관 내부 절차, 규제 준수 및 의사소통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신기술의 사용은 위 개념 정의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기술적 혁신으로 효율성이 개선되는 이상, 현재 진행 중인 발전 양상은 금융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운용 방식에 지속적으로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서비스의 비용 및 보안 측면에서 기업과 소비자에게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핀테크는 금융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적용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에 의존하는 사업모델 및 상품,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는 디지털 플랫폼과 연관된 과정을 아우르는 폭넓은 개념으로 정의하기로 한다.In fact, as in the case of fintech, it is not easy to define all financial innovations possible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Also,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above concepts cannot be considered to be aware of all the various ways of using digital technologies related to financial services. In particular, the use of new technolog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ternal procedures, regulatory compliance, and communication within institutions is difficult to find in the definition of the above concept. However, as long as efficiencies are improved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current development will continue to significantly change the way financial service providers operate their services, and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es and consumers in terms of service cost and security. Accordingly, Fintech will be defined a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not only the application of new digital technology to financial services, but also business models and products that depend on the technology, and more generally, processes related to digital platforms.

상술한 개념을 기반으로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화주 단말(100)로부터 배차의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화주 단말(100)은, 배차의뢰 이벤트를 전송하고, 배차의뢰 이벤트에 대응하는 최저가 입찰로 낙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below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cept, the receiver 310 may receive a dispatch request event from the shipper terminal 100 . The shipper terminal 100 may transmit a dispatch request event and receive a successful bid event with the lowest bid corresponding to the dispatch request event.

추출부(320)는, 배차의뢰 이벤트에 포함된 배차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을 추출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320 may extract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corresponding to the dispatch data included in the dispatch request event.

중계부(33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로 배차의뢰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양 당사자를 이어주는 서비스에서는 중개(仲介)라는 용어가 맞지만, 중계부(330)에서는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므로 중계(仲繼)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The relay unit 330 may broadcast the dispatch request event to the extracted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 In a service that connects two parties, the term mediation (仲介) is correct, but since the relay unit 330 broadcasts a message, the term relay (仲繼) will be used.

입찰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로부터 운임비를 수신하고 최저가 입찰한 운송 단말(400) 및 화주 단말(100)로 낙찰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운송 단말(400)은, 배차의뢰 이벤트를 수신하고, 공개입찰에 참여하여 운임비를 전송하고, 전송된 운임비가 최저가인 경우 낙찰 이벤트를 수신받아 배차의뢰 이벤트를 할당받을 수 있다.The bidding unit 340 may receive a fare from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and transmit a successful bid event to the lowest bid transport terminal 400 and the shipper terminal 100 . The transport terminal 400 may receive a dispatch request event, participate in an open bidding to transmit a freight rate, and receive a successful bid event when the transmitted freight rate is the lowest to be assigned a dispatch request event.

이때, 과열경쟁으로 최저가가 안전운임이나 국토부 고지에 의거한 운임보다 더 낮게 설정될 수도 있으므로, 운임비는 안전운임을 기준으로 하고, 거리운임은 국토부 고지 및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도 상 경로거리로 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안전운임을 위한 안전운임제는, 화물차주가 지급받는 최소한의 운임을 공표하는 제도다. 화물의 무게, 운송 거리를 고려해 운임을 표준화하는 것으로, 낮은 운임으로 인해 과로·과적·과속의 위험을 안고 운행하는 화물운송 종사자의 근로 여건을 적정 운임 확보를 통해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At this time, since the lowest price may be set lower than the safety fare or the fare based on the notice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ue to overheating competition, the fare is based on the safety fare, and the distance fare is the route distance on the notice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at least one preset map. can be calculated as At this time, the safe fare system for safe fares is a system that announces the minimum fare paid by freight owners. This is to standardize freight rates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and distance of freight.

컨테이너의 경우, 자동차관리법 제3조에 따른 특수자동차로 운송되는 수출입 컨테이너는 안전운임의 적용을 받으며(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제5조의4) 안전운임은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된다. 시멘트는, 자동차관리법 제3조에 따른 특수자동차로 운송되는 시멘트로, 안전운임의 적용을 받지만, 철강재는 안전운송원가 대상이다. 안전운송원가는 시장에서 운임 결정 시 참고를 위한 금액으로 강제성은 없다. 일반형 화물차 운송 품목은, 안전운송원가 대상입니다. 안전운송원가는 시장에서 운임 결정 시 참고를 위한 금액으로 강제성은 없다.In the case of containers, import/export containers transported by special vehicles in accordance with Article 3 of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are subject to safe fares (Article 5-4 of the Freight Vehicle Transportation Business Act), and a fine for negligence is imposed in case of violation of the safety fare. Cement, which is transported by special vehicles according to Article 3 of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is subject to safety freight rates, but steel materials are subject to safe transportation costs. The safe transportation cost is an amount for reference when determining freight rates in the market and is not compulsory. Items transported by standard trucks are subject to safe transportation costs. The safe transportation cost is an amount for reference when determining freight rates in the market and is not compulsory.

입찰부(340)는, 화물운송모형을 구축하고 화물운송 경로를 제시해줄 수도 있다. 이때,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면, 컨테이너 운송이란, 컨테이너에 미리 화물을 적입하여 운송하는 유닛 로드(Unit Load) 시스템의 일종으로 송하인으로부터 최종 수하인에 이르기까지 컨테이너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물류의 전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단위물량 시스템 특징으로 인해 운송수단이 바뀌더라도 적입된 내용물들은 재적입이나 적출 없이 그대로 운송이 가능하므로 신속성, 경제성,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The bidding unit 340 may build a freight transport model and suggest a freight transport route. At this time, when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of the container transportation system, container transportation is a type of unit load system that loads and transports cargo in advance in a container. It refers to the integration of all components of logistic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 quantity system, even i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changed, the loaded contents can be transported without reloading or unloading, so it is possible to obtain great benefits in terms of speed, economy, safety, etc.

컨테이너 물류는 크게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의 물류와 컨테이너 운송물류로 구분되며, 컨테이너 운송물류는 다시 해상운송, 항공운송, 육상운송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육상운송의 경우도 운송수단에 따라 공로운송과 철도운송으로 구분되며, 다시 공로운송은 컨테이너 운송업체의 관리방식에 따라 장거리운송, 근거리운송 및 셔틀운송으로 나눌 수 있다. 장거리 및 근거리운송은 수출입 물량의 주체가 되는 화주 위치가 어느 정도 멀리 있는가에 따라 구분되며, 셔틀운송의 경우는 컨테이너 터미널과 터미널의 임시 버퍼 기능 및 빈 컨테이너의 적재기능을 담당하는 ODCY 간의 컨테이너 운송, 터미널과 재래부두 간의 환적(Transshipment) 화물을 위한 운송, 그리고 철도수송을 위한 연결운송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Container logistics are largely divided into logistics within container terminals and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and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maritime transport, air transport, and land transport. Also, in the case of land transportation, air transportation and rail transportation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ir transportation can be divided into long-distance transportation,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and shuttl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container transportation companies. Long-distance and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how far the shipper’s location, which is the main agent of import and export, is far away. Transport for transshipment cargo between terminals and conventional piers, and connecting transport for rail transport, etc. belong to this category.

컨테이너 내륙수송은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Port Container Terminal)에서 수출 컨테이너의 선적(Loading)과 수입 컨테이너의 양하(Unloading)가 이루어져 컨테이너 터미널이 컨테이너의 수요와 공급의 종착점이 되며, 컨테이너 터미널의 임시 버퍼 기능과 빈 컨테이너의 적재 기능을 담당하는 ODCY도 컨테이너 터미널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컨테이너 내륙수송을 위한 차량배차는 컨테이너 터미널과 ODCY에서 내륙수송을 위한 차량배차가 이루어지며, 컨테이너 화주가 위치한 내륙의 거점 도시들이 컨테이너 화물의 수요/공급지가 된다. 따라서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 또는 ODCY를 컨테이너 화물수송을 위한 차량배차 터미널로 간주할 수 있다.Container inland transportation consists of loading of export containers and unloading of import containers at the port container terminal, so that the container terminal becomes the end point of supply and demand for containers, and the temporary buffer function of the container terminal and ODCY, which is responsible for loading empty containers, also plays the role of a container terminal. Therefore, vehicle dispatch for inland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is made at the container terminal and ODCY, and the inland base cities where the container shipper is located become the supply and demand for container cargo. Therefore, a port container terminal or ODCY can be regarded as a vehicle dispatch terminal for container freight transportation.

실제 대부분의 컨테이너 운송업체에서는 물량 운송을 위해 필요한 차량을 대략 결정하여 우선적으로 차량을 확보한 후 배차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며, 장거리, 근거리 및 철도운송 등은 이후 독립적으로 배차를 수행하고 있다.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 경우 전형적인 작업시간인 아침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환적화물 경우는 재래부두와의 연결 때문에 대부분의 물량 처리가 야간에 이루어진다. 즉 셔틀운송의 경우 주야간 운송이 별도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 각각 차량의 주야간 확보도 별도로 운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개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차량운영을 진행하는 경우, 최적화 모형을 이용하여 차량경로까지 지정해줄 수 있다.In fact, most container transport companies roughly determine the vehicles needed for bulk transportation, first secure the vehicles, and then establish and operate a dispatch plan. In the case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the service is provided from 8:00 am to 6:00 pm, typical working hours. In the case of transshipment cargo, most of the volume processing takes place at night because it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pier. That is, in the case of shuttle transportation, day and night transportation is carried out separately, and accordingly, each vehicle is separately operated day and nigh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not only intermediary, but also vehicle operation, a vehicle route may be designated using an optimization model.

<차량운영계획 절차><Vehicle operation plan procedure>

우선 계획초기에 컨테이너 운반물량 데이터와 차량 이동시간 데이터가 주어지면 Maxwell and Muckstadt의 최적화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차량대수의 하한값을 확인한다. 차량의 총 작업시간은 적재운반시간과 공차이동시간의 합으로 표현되고, 적재운반시간은 운반물량 데이터와 차량이동시간 데이터가 주어지므로 확정적이다. 그러나 공차이동시간은 차량운영에 따라 변동이 있으므로 최적화 모형은 일정한 대수의 차량으로 운반작업 수행 시 공차이동시간을 최소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적화 모형을 통해 얻은 결과는 주어진 차량 대수로 운행할 수 있는 최소 공차이동시간을 나타낸다. 실제로 차량을 운영하면서 생기는 공차이동시간은 항상 이 최적화 모형을 통해 얻은 이상적인 최소 공차이동시간보다 크거나 같고, 절대로 작을 수는 없다. 차량 대수는 총 차량운행시간을 계획기간의 시간으로 나누어 얻는다. 최적화 모형을 통해 차량 하한값이 결정되면, 그 차량대수를 가지고 Greedy 방법을 적용하여 각 차량의 초기 경로계획을 수립한다. First, when container transport volume data and vehicle travel time data are given at the beginning of planning, the lower limit of the number of vehicles is checked based on the optimization model of Maxwell and Muckstadt. The total working time of the vehicle is expressed as the sum of the load transport time and the empty travel time, and the load transport time is definitive because the transport volume data and the vehicle travel time data are given. However, since the tolerance travel time varies depending on vehicle operation, the optimization model aims to minimize the tolerance travel time when carrying out a transport operation with a certain number of vehicl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optimization model represent the minimum tolerance travel time that can be operated with a given number of vehicles. In practice, the tolerance travel time generated while operating the vehicle is alway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deal minimum tolerance travel time obtained through this optimization model, and can never be less. The number of vehicles is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vehicle operation time by the time of the planning period. When the vehicle lower limit is determined through the optimization model, the initial route plan for each vehicle i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Greedy method with the number of vehicles.

초기 경로계획이 수립되면, 최적 경로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타 휴리스틱 중에 하나인 전역 탐색능력이 우수한 SA(Simulated Annealing, SA)를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얻은 각 차량의 최적경로와 작업완료시간을 확인하여 운반 작업이 계획기간 내에 완료되는지 확인 후, 계획기간 내에 완료되면 현재의 차량대수가 운영상 최소한의 차량이며, 공차운행을 최소로 하는 최적 차량경로가 된다. 만약 알고리즘 수행결과, 운반 작업이 계획기간 내에 완료되지 못하면 차량의 수를 1 대 증가시켜 다시 알고리즘 수행을 반복한다.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여 운반 작업이 계획기간 내에 완료되면 현재 차량대수가 운영상의 최소차량 대수가 되고, 이때 얻어진 각 차량의 경로는 공차운행을 최소화하는 최적 운반경로가 된다When the initial route plan is established, an algorithm based on simulated annealing (SA), which has excellent global search capability, which is one of meta heuristics, is per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solution so that an optimal route plan can be established. After checking the optimal route and work completion time of each vehicle obtained by performing the algorithm, and confirming that the transport work is completed within the planned period, if it is completed within the planned period, the current number of vehicles is the minimum vehicle in operation, and It is the optimal vehicle route. If, as a result of the algorithm execution, the transport operation is not completed within the planned period, the number of vehicles is increased by one and the algorithm execution is repeated. If the transport operation is completed within the planning period by performing these steps, the current number of vehicles becomes the minimum number of vehicles in operation, and the obtained route for each vehicle becomes the optimal transportation route that minimizes the empty operation.

<최적화 모형을 통한 차량 하한 값 설정><Setting the vehicle lower limit value through the optimization model>

컨테이너 화물운송용 차량 대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공장 내부에서 AGV(Automated Guided Vehicle)의 최소차량 대수를 결정하기 위해 개발된 Maxwell and Muckstadt의 접근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모형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해만으로는 차량운송경로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추가적인 운송경로 선정 알고리즘이 보충되어야 하며, 또한 차량이 하루의 마지막 적재컨테이너 운반을 마친 후에 실제적으로는 수행하지 않는 공차운행이 추가되어, 컨테이너 운송모형과 같이 1 회 차량운행시간이 AGV시스템과는 달리 총 운행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에서는 부정확한 추정 값을 제공할 수 있으나, 근사적인 차량 대수 추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그 유용성이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vehicles for container freight transport, the approach of Maxwell and Muckstadt, which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minimum number of vehicles for AGV (Automated Guided Vehicle) inside a factory, can be equally applied. However, since the vehicle transportation route cannot be identified only with the solution obtained from the model result, an additional transportation route selection algorithm must be supplemented. Unlike the AGV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accurate estimate value in a situation where the one-time vehicle operation time can affect the total operation time, such as the container transport model, but it is It has its usefulness.

컨테이너 화물운송에서는 차량이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컨테이너 화물을 배달한 경우에 배달을 완료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배달할 컨테이너 화물이 없는 경우에는 운반을 기다리는 컨테이너 화물이 있는 다른 장소까지 공차인 상태로 이동해야만 한다. 모든 컨테이너 화물의 픽업 지점 및 배달지점은 정해져 있으므로 각 지점에서 운반할 컨테이너 화물이 주어져 있고 각 지점 간의 차량이동시간이 정해져 있으면 차량이 컨테이너 화물을 운반하는 시간은 일정하다. 차량의 총 운행시간은 화물의 운반시간과 공차로 이동하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물을 적재하고 운반하는 시간이 일정한 상태에서는 차량의 총 이동시간이 공차로 이동하는 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필요한 차량 대수 하한값은 차량의 총 운행시간을 차량 1 대의 가용시간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In container freight transportation, when a vehicle delivers container cargo from one point to another, if there is no container cargo to be delivered from the point where delivery is completed to another point, there is an empty vehicle to another place with container cargo waiting for transport. must move to Since the pickup point and delivery point of all container cargoes are fixed, if the container cargo to be transported at each point is given and the vehicle travel time between each point is set, the time for the vehicle to transport the container cargo is constant. Since the total running time of a vehicle is composed of the cargo transport time and the empty travel time, if the loading and transporting time is constant, the total travel time of the vehicle is directly affected by the empty travel time. The lower limit of the required number of vehicles can be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operating time of the vehicle by the available time of one vehicle.

이때, 화물운반시간이 상수 값을 가지게 되므로, 공차 운행시간을 최소로 하는 문제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총 차량운행시간은 적재 운행시간, 차량출발/도착기지와 운반지점 간 운행시간 그리고 각 운반지점 간 공차운행시간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SA 알고리즘의 단점인 수렴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ASA 알고리즘(Accelerated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을 적용하여 해 유도과정으로 구성하고 다양한 이웃해 생성을 위한 효과적인 전이(Transition)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ASA 알고리즘은 SA 알고리즘의 기본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내부루프에서 마코프 체인의 평형성을 더욱 강화시켰기 때문에 SA 알고리즘의 장점과 이론적 조건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수렴속도가 매우 빨라질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cargo transport time has a constant value, it can be seen as the same as the problem of minimizing the tolerance running time. The total vehicle operation time can be expressed as the sum of the loading operation time, the operation time between the vehicle departure/arrival base and the transportation point, and the empty operation time between each transportation point. In this case, in order to shorten the convergence time,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SA algorithm, the ASA algorithm (Accelerated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is applied to configure the solution derivation process, and an effective transition method for generating various neighboring solutions can be used. Since the ASA algorithm further strengthens the equilibrium of the Markov chain in the inner loop without chang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SA algorithm, the convergence speed can be very fast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and theoretical conditions of the SA algorithm.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A 알고리즘의 기본 형태는 Metropolis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여 어닐링에서의 온도를 낮추는 과정을 덧붙여서 얻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목적함수를 최소화(또는 최대화)하는 조합최적화문제에서 현재해를 선택하고, 이웃해를 얻어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전체 해 공간을 탐색하며, 이 탐색결과 근사 최적해를 얻을 수 있다. 이웃해로의 이동은 현재해의 비용보다 목적함수가 개선시킬 수 있는 경우에 허용되는데, 이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지역 최적해에 빠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SA는 온도에 대한 에너지변화에 따른 확률(Metropolis Criterion)에 의해 비용이 큰 이웃해로의 이동도 허용함으로써 SA가 지역 최적해에 빠졌을 경우, Hill Climbing 방법을 통해 이를 탈피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The basic form of the SA algorithm that is currently generally used can be seen as a method of obtaining by adding the process of lowering the temperature in the annealing based on the Metropolis algorithm. In a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 that minimizes (or maximizes) the objective function, the entire solution space is search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selecting a current solution and moving to obtain a neighboring solution, and as a result of this search, an approximate optimal solution can be obtained. Moving to a neighboring solution is permitted if the objective function can improve it rather than the cost of the current solution. Repeating this process may result in falling into a local optimal solution. Therefore, SA also allows movement to a neighboring sea with high cost due to the probability (Metropolis Criterion) according to the energy change with respect to temperature, so that when SA falls into the local optimal solution, it can be escaped through the Hill Climbing method.

각 차량의 단위경로는 운반물량의 상차지점과 하역지점으로 표현된다. 또한, 전체 운반 작업 수행과정 최적화 목적 하에 차량출발지에서 최초 상차지점까지의 이동시간과 마지막 운반 작업을 수행 후 차량도착지로 복귀하는 이동시간은 0으로 가정한다. 이전 단위 경로의 하역지점과 다음 단위 경로의 상차지점이 동일한 경우는 하역을 마친 후 그 지점에서 바로 상차하여 다음 하역지점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전 단위 경로의 하역지점과 다음 단위 경로의 상차지점이 다른 경우에는 공차로 이동하여 그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unit route of each vehicle is expressed as a loading point and an unloading point of the transported quantity.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optimizing the entire transport operation process, it is assumed that the travel time from the vehicle origin to the first loading point and the travel time to return to the vehicle destination after performing the last transportation work are zero. If the unloading point of the previous unit route and the loading point of the next unit route are the same, the unloading point of the previous unit route and the loading point of the next unit route are the unloading point of the previous unit route and the loading point of the next unit route. In this other case, it can be seen as moving to tolerance and performing the next operation.

차량 수는 최적화 모형을 통해 구한 소요차량 대수 하한 값을 이용하여 대수를 설정한다. 각 차량 경로는 단위물동량의 나열된 형태이다. ASA 알고리즘에서 운반 작업 수행시간뿐만아니라 공차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운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 록 코드화 할 수 있다.The number of vehicles is set using the lower limit of the number of required vehicles obtained through the optimization model. Each vehicle route is an enumerated form of unit cargo volume. In the ASA algorithm, it can be coded so that the operation time can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not only the carrying operation time but also the tolerance movement time.

<초기해 생성><Create initial solution>

초기해 생성단계는 Greedy 방법을 이용하여 공차이동을 최소로 하면서 모든 차량이 비슷한 작업완료시간을 가지도록 차량 경로를 설정한다. 이를 위하여, 모든 작업차량 중 현재 가장 빨리 작업이 완료된 차량에 아직 할당되지 않은 작업들 중 공차 이동시간이 가장 작은 작업을 할당한다. 초기해가 완성되면 이를 기반으로 ASA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공차이동을 최소화하는 각 차량의 최적경로를 구하게 된다.In the initial solution generation step, the vehicle route is set so that all vehicles have a similar task completion time while minimizing the tolerance movement using the Greedy method. To this end, the task having the smallest tolerance movement time among tasks not yet assigned to the vehicle in which the work is currently completed the earliest among all the work vehicles is assigned. When the initial solution is completed, the ASA algorithm is performed based on this to find the optimal path for each vehicle that minimizes the tolerance movement.

<이웃해 생성><Create Neighbors>

이웃해를 생성하기 위해 TSP문제에서의 2-전이(Transition)방법에 근거하여 다양한 가능해를 얻기 위한 전이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총 작업물량 개수 중 일정 비율만큼의 작업물량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2-전이방법을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임의의 작업물량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선택된 작업물량을 임의의 다른 작업물량과 서로 교환하여 가능해를 구한다. 이러한 2-전이는 초기에 설정된 전이율(Transition Rate)에 따라 랜덤하게 그 비율만큼의 작업물량이 선택되어 수행된다. 각 차량경로를 나타내는 각각의 초기해는 각 차량마다 그 String Length(해의 길이)에 있어서 편차가 존재한다. 초기에 적절한 String Length를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여, 초기해 생성과정 수행 후 물량을 배정하고 남는 공간은 0의 값으로 초기화된 가상경로 개념을 도입하여 해 탐색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장치가 없으면 초기해가 어떻게 설정되는가에 따라 최적해에 있어서도 각 차량의 작업물량 개수는 초기해와 동일하게 같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작업물량의 순서를 바꿀 수는 있지만 어느 한 차량의 작업물량을 다른 차량의 작업에 배당할 수 없으므로, 해의 탐색범위가 많이 제한되어질 수밖에 없다.Based on the two-transition method in the TSP problem to generate neighboring solutions, a transition method to obtain various possible solutions can be used. This method repeats the 2-transfer method by randomly selecting a certain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works and repeating the two-transfer method. Seeking the possible This 2-transition is performed by randomly selecting the amount of work corresponding to the ratio according to the initially set transition rate. Each initial solution representing each vehicle path has a deviation in its String Length (length of solution) for each vehicle. By setting all appropriate String Lengths to be the same at the beginning, after performing the initial solution creation process, the amount of space is allocated and the remaining space is initialized to a value of 0. If there is no such device, depending on how the initial solution is set, even in the optimal solution, the number of work volumes of each vehicle is inevitably the same as the initial solution. Since it cannot be allocated to the work of the vehicle, the search range of the solution is inevitably limited.

2-전이가 발생하면 동일 차량의 경로 내에서 작업 순서를 바꾸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전이가 발생하게 되면 다른 차량과의 작업 물량 교환으로 볼 수 있으며, 다른 전이가 발생하면 현재 차량에서 선택된 작업물량을 삭제하여 다른 차량의 작업에 추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랜덤하게 선택, 반복함으로써 현재해 에서 변경가능한 모든 가능성을 확보하여 해의 전역탐색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2-When a transition occurs, it can be viewed as a reordering of tasks within the path of the same vehicle. In addition, when a transition occurs, it can be viewed as an exchange of work volumes with other vehicles, and when another transition occurs, it can be viewed as adding the work volume selected from the current vehicle to the work of another vehicle. By randomly selecting and repeating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secure all possible changeable possibilities in the current solution to enhance the global search capability of the solution.

P2P부(350)는, 운송 단말(400)에서 운송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P2P 대출(Peer-to-Peer Lending)로 운송 단말(400)로 운임비를 선지급할 수 있다. P2P부(350)는, 운송 단말(400)에서 운송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화주 단말(100)로 확정매출에 대한 청구서를 발송할 수 있다. 또, P2P부(350)는, 핀테크(Financial Technology) 카드사 업체와 연계된 개인이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신청하여 투자를 유도할 수 있다.When the transport terminal 400 outputs the transport completion event, the P2P unit 350 may prepay the freight fee to the transport terminal 400 through a P2P loan (Peer-to-Peer Lending). The P2P unit 350 may send an invoice for the fixed sales to the shipper terminal 100 when the transport terminal 400 outputs the transport completion event. In addition, the P2P unit 350 may induce investment by applying for a loan from an individual or a financial institution associated with a fintech (Financial Technology) card company.

요청부(360)는, 화주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결제일에 운임비의 정산을 요청할 수 있다.The requesting unit 360 may request settlement of the freight fee on a preset payment date from the shipper terminal 100 .

트래킹부(370)는, 화주 단말(100)에서 낙찰 이벤트를 수신한 즉시 운송 단말(400)의 운송자 정보 및 화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운물류에서 주요 물류 거점 공간인 컨테이너 터미널, 해역, 항만, 도로, ICD 등을 공간데이터로 표시하고 GPS 좌표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주요 물류거점에 대하여 안에 있고(IN), 바깥에 있고(OUT), 언제 들어오고(INTO), 언제 나오고(OUTOF), 통과하였는지(THROUGH)에 대한 위상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이동체가 어느 물류거점을 언제 들어갔는지(INTO) 또는 나왔는지(OUTOF) 또는 통과하였는지(THROUGH)의 위치 변화정보를 Spatial Event로 정의할 수 있다.The tracking unit 370, upon receiving the successful bid event from the shipper terminal 100, may share th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er of the transport terminal 400 and the location of the cargo in real time. For example, in shipping and logistics, container terminals, sea areas, ports, roads, ICDs, etc., which are major logistics hub spaces, can be displayed as spatial data and the location can be tracked using GPS coordinate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topological relationship of being inside (IN), outside (OUT), entering (INTO), when coming out (OUTOF), and passing (THROUGH) for major logistics bases. In particular, location change information of when the moving object entered (INTO) or exited (OUTOF) or passed (THROUGH) which logistics base can be defined as a Spatial Event.

일반적인 위치추적 시스템에서는 GPS 데이터를 일정시간 단위로 받아 화물의 물류거점에 대한 Spatial Event 를 체크하여 INTO, OUTOF, THROUGH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위치변화가 특정시점에 발생하더라도 RFID 태그가 일정 시간을 기다려 단위시간별로 GPS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발생시점의 Event 감지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실시간 Spatial Event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Spatial Event 생성을 알아내기 위해 수신받은 태그 데이터의 현재 위치에 대하여 제일 가까운 물류거점을 DB의 Table에서 탐색해야 한다. 여기서, 제일 가까운 물류거점을 찾아내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한다.A general location tracking system receives GPS data in units of a certain time and checks the Spatial Event for the logistics base of the cargo to generate INTO, OUTOF, and THROUGH. Because GPS data is transmitted by waiting unit time, the event detection at the time of occurrence may be missed. That i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real-time spatial events. And, in order to find out Spatial Event generation, the nearest logistics ba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ceived tag data should be searched in the DB table. He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nearest logistics base.

특히 글로벌 환경에서 해당 물류거점을 찾아내기 위해 모든 물류거점을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위치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량의 물류거점 데이터를 읽어서 공간연산을 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빠른 속도의 위치 검색을 위해 물류거점의 일정지역을 그룹화 시켜서 R-tree 인덱스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위치추적이 가능한 Spatial Event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고, R-tree 인덱스 기반의 최근접 물류거점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takes a lot of time to sequentially search all the logistics bases in order to find the corresponding logistics base in the global environment. Also, whenever a location change occurs, a large amount of logistic base data must be read from the database to perform spatial calculation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R-tree index can be applied by grouping certain areas of logistics bases for fast location search. Accordingly, a Spatial Event generation algorithm capable of real-time location tracking can be used, and an R-tree index-based nearest logistics base search algorithm can be used.

위치 추적을 위해, 위치정보 생성기, 공간 연산자, 공간질의 처리기, Location Table, Spatial Event Table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 이동체와 물류거점 위상관계를 이동체가 공간에 포함되는 관계인 IN, 이동체가 공간에 포함되지 않는 관계인 OUT, 이동체가 공간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함되는 관계인 INTO, 이동체가 공간에 포함된 상태에서 포함되지 않는 관계를 나타내는 OUTOF, 이동체가 공간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함되었다가 포함되지 않는 관계를 나타내는 THROUGH 의 5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공간연산자를 설계할 수 있다. 이동체가 어느 물류거점을 언제 들어갔는지(INTO) 또는 나왔는지(OUTOF) 또는 통과하였는지(THROUGH)의 위치변화정보를 Spatial Event로 정의할 수 있다.For location tracking, components such a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a spatial operator, a spatial query processor, a Location Table, and a Spatial Event Table may be included. The top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argo moving body and the logistics hub is IN, a relationship in which a moving object is included in space, OUT, a relationship in which a moving object is not included in space, INTO, a relationship in which a moving object is includ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object is not included in space, and includes in a state in which a moving object is included in space. The spatial operator can be designed by dividing it into five types: OUTOF, which indicates a relationship that does not exist, and THROUGH, which indicates a relationship that is included and not included when a moving object is not included in the space. The location change information of when the moving object entered (INTO) or exited (OUTOF) or passed (THROUGH) which logistics base can be defined as a Spatial Event.

<위치정보 생성><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해운물류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공간 위상관계와 특수한 공간 위상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두 가지 타입의 공간 연산자가 필요하다. 특수한 위상관계란 해운물류에서 Gate가 있는 공간의 경우 특정 Gate를 통과해야만 IN의 위상관계를 만족하는 경우(컨테이너 터미널, ICD, 항만)가 있다. 반면 도로, 해역과 같은 공간은 Gate가 없고 단순하게 일반적인 공간관계에 의해 위상관계가 정해진다. 특히, 앞의 위상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는 공간연산자를 설계하여야 글로벌 해운물류 환경의 위치추적을 잘 처리할 수 있다. 위치정보 생성기는 해운물류 과정에서 이동체의 위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공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정 시간 화물 이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대용량일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데이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변화시점의 데이터인 INTO, OUTOF, THROUGH와 같은 Spatial Event를 감지하여 저장하는 것은 대용량의 스트림 데이터를 최소한으로 저장하면서 사용자들이 최대한의 위치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하다.In the shipping and logistics environment, two types of spatial operators are needed that can solve general spatial topology and special spatial topology. Special phase relationship is a case in which the phase relationship of IN is satisfied only after passing through a specific gate in the case of a space with a gate in shipping and logistics (container terminal, ICD, port). On the other hand, in spaces such as roads and sea areas, there is no gate and the phase relationship is simply determined by the general spati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patial operator that can solve the above phase problem well so that the location tracking of the global shipping and logistics environment can be handled well.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stores spatial data whenever a change in the location of a moving object occurs in the shipping and logistics process. Storing cargo movement dat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not only large-capacity, but also repetitive data is gene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ct and store spatial events such as INTO, OUTOF, and THROUGH, which are data at the time of change, so that users can inquire the maximum amount of location information while storing a large amount of stream data to a minimum.

Spatial Event Table은 위치정보 생성기를 통하여 생성된 Spatial Event를 저장함으로써 물류이력 정보를 모아놓게 된다. 릴레이션 스키마는 태그번호, 컨테이너 번호, 일시, 위치코드, 위치이벤트와 같은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ocation Table은 해운물류상의 주요 물류거점에 관련한 일반 속성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Gate를 통과해야 하는 공간영역은 Gate의 네 점 좌표와 Gate의 방향을 나타내는 dir(Direction)속성을 가진다. 릴레이션 스키마는 위치코드, 위치명, 위치타입, 좌표1, 좌표2, 좌표3, 좌표4, 방향의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atial Event Table collects logistic history information by storing the Spatial Event creat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The relation schema may include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tag number, container number, date and time, location code, and location event. Location Table can store general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major logistics bases in shipping and logistics. The spatial region that must pass through the gate has the four-point coordinates of the gate and the dir (Direction) property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gate. The relation schema may include property information of location code, location name, location type, coordinate 1, coordinate 2, coordinate 3, coordinate 4, and direction.

<실시간 위치추적><Real-time location tracking>

위치정보 생성기는 사용자의 위치추적에 관한 질의를 쉽게 처리하기 위하여 화물의 물류거점에 대한 Spatial Event를 감지, 생성하여 DB에 저장한다. 먼저 수신된 RFID 태그의 GPS좌표 데이터를 읽어서 태그와 제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류거점을 탐색하고 최단 거리을 구한다. 위치정보 생성기는 태그가 거리만큼 이동하면 태그에게 새로운 GPS 좌표를 보내달라고 요청한다. DB에 물류거점에 대한 각 위치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현재의 태그 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물류거점을 찾아서 진입하는지(INTO), 통과하는지(THROUGH), 밖으로 나오는지(OUTOF)의 이벤트를 감지하는 데에 일정 시간 단위로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거리 단위로 이동하면 수신한다. 태그가 일정거리만큼 이동하고 데이터를 보내오면 새로운 태그 좌표를 가지고 공간 연산을 실행한다. Spatial Event 발생여부를 확인했을 때 결과가 False가 나오면 최근접 물류거점에 대한 Spatial Event가 발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 GPS 좌표를 기준으로 새로운 최근접 물류거점을 찾아내고 최단거리를 확인한다. 다시 태그에게 최단거리만큼 움직이면 태그의 GPS 데이터를 보내달라고 요청하게 된다. 같은 과정으로 물류거점에 대하여 Spatial Event 확인을 위한 INTO 공간연산을 실행해서 True가 나오면 결과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일정거리만큼 움직여서 이동했을 때 태그가 GPS 데이터를 보내고, 공간연산을 실행하기 때문에 특정시점에서 일어난 Spatial Event를 발생 순간에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detects, creates, and stores Spatial Events for cargo logistics bases in order to easily process user's location tracking queries. First, by reading the GPS coordinate data of the received RFID tag, the logistics base closest to the tag is searched and the shortest distance is obtained. The geolocation generator asks the tag to send new GPS coordinates when the tag moves the distance. A certain time unit is used to detect the event of entering (INTO), passing (THROUGH), or coming out (OUTOF) by finding the nearest logistics base from the current tag coordinates after storing each location data for the logistic base in the DB. It does not receive tag data as a tag, but receives it when moving by a unit of a certain distance. When the tag moves by a certain distance and data is sent, spatial operation is executed with the new tag coordinates. If the result is False when checking whether a Spatial Event occurs, a new nearest logistics base is found based on the current GPS coordinates and the shortest distance is checked because a Spatial Event for the nearest logistic base has not occurred. If the tag moves the shortest distance again, it asks to send the tag's GPS data. In the same process, execute INTO spatial operation to check Spatial Event for the logistics base, and if True is returned, the result is saved. In this way, when moving by a certain distance, the tag sends GPS data and performs spatial calculation, so that a spatial event that occurr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can be detected at the moment of occurrence.

<Spatial Event 추출><Extract Spatial Event>

먼저 태그가 센싱된 정보를 위치추적 시스템에 전송한다. 위치정보 생성기는 화물의 GPS 데이터(경도, 위도)를 읽어오고 태그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물류거점을 미리 저장된 Location Table에서 조회한다. 그리고, 해당 태그의 이전 Spatial Event가 있는지 조회한다. 조회한 결과 Spatial Event로 INTO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에 생성될 Event는 OUTOF이고, Spatial Event로 OUTOF 또는 THROUGH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에 생성될 Event는 INTO 또는 THROUGH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전 Event에 OUTOF가 있으면 최근접 물류거점에서 INTO가 발생했는지를 조사한다. 이전 Event가 INTO인 경우에는 공간 연산자 OUTOF를 호출하고, 연산결과가 True이면 Spatial Event Table에 결과를 저장한 후, 태그 좌표를 기준으로 최근접 물류 거점을 탐색한 후 최단거리를 구한다. 그리고, 태그에게 최단 거리만큼 이동하면 태그 좌표 데이터를 보내달라고 요청한다.First,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tag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reads the GPS data (longitude, latitude) of the cargo and inquires the logistics base closest to the tag location in the pre-stored Location Table. And, it inquires whether there is a previous Spatial Event of the corresponding tag. As a result of the inquiry, if INTO is the Spatial Event, the next event to be generated is OUTOF. Based on this, if there is an OUTOF in the previous event, it is investigated whether INTO occurred at the nearest logistics base. If the previous event is INTO, the spatial operator OUTOF is called, and if the operation result is True, the result is stored in the Spatial Event Table, then the nearest logistics base is searched based on the tag coordinates and the shortest distance is obtained. Then, it asks the tag to send the tag coordinate data when it moves by the shortest distance.

<최근접 위치 탐색 알고리즘><Nearest Location Search Algorithm>

Spatial Event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태그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최근접 물류거점을 미리 저장해놓은 물류거점 Location Table에서 빨리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모든 물류거점에 대하여 가까운 지역에 있는 거점들을 그룹화시켜 R-tree 인덱스를 구축한다. 그룹화된 공간 물류거점들을 포함한 가장 작은 사각형을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 이라고 한다. 태그 좌표가 포함된 공간 물류거점을 조회할 때에는 루트로부터 단말 노드로 트리를 탐색해 내려가 검색 영역에 들어오면, 단말 노드에 속한 공간 객체 중에서 검색 거점인지를 탐색하게 된다. 즉, GPS 좌표가 포함된 단말 노드의 공간 물류거점 객체들 중에서 조회하려는 공간 객체를 탐색하여야 한다.In order to create a Spatial Event,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quickly search for the nearest logistic base from the current tag location in the Logistics Base Location Table, which is stored in advance. First, the R-tree index is constructed by grouping the bases in the vicinity of all logistics bases. The smallest rectangle containing the grouped spatial logistics nodes is called 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 When searching for a spatial logistics base including tag coordinates, when the tree is searched from the root to the terminal node and entered the search area, it is searched for a search base among spatial objects belonging to the terminal node. That is,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 spatial object to be inquired from among the spatial logistics base objects of the terminal node including GPS coordinates.

그런데, B 노드 MBR안에 태그 좌표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웃 A노드 MBR의 공간 객체에 대하여 찾고자 하는 최근접 물류거점이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포함하여 최근접 물류거점을 탐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 태그좌표(경도, 위도)가 포함된 MBR을 찾는다. 찾은 MBR에서 태그와 가장 가까운 물류거점과의 최단거리를 구하고, 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의 MBR을 구한다. 원의 MBR과 겹치는 이웃 노드 MBR을 검색하고, 그 안에 포함된 모든 물류거점 공간 객체와의 최단거리를 구한다. 그래서, B MBR의 최단거리와 이웃 노드 MBR에 포함된 물류거점들 중 태그와 가장 가까운 공간객체와의 최단거리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가진 물류거점을 최근접 물류거점으로 결정한다.However, although tag coordinates are included in the B-node MBR,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nearest logistics base to be searched for with respect to the spatial object of the neighboring A-node MBR appears. The method of searching for the nearest logistics base including these problems is as follows. First, we find the MBR containing the received tag coordinates (longitude, latitude). Fin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ag and the nearest logistics base from the found MBR, and find the MBR of the circle using this as the radius. Search the MBR of the neighboring node overlapping the MBR of the original, and find the shortest distance to all logistics base spatial objects included in it. So, by comparing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B MBR with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ag and the nearest spatial object among the logistics nodes included in the MBR of the neighboring node, the logistics base with a small value is determined as the nearest logistics base.

이로써 글로벌 물류거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공간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서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하고자 하는 물류거점을 빨리 찾아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물의 공간 이동변화에 따른 Spatial Event 생성을 발생시점 순간에 감지함으로써 실시간적인 위치추적을 처리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quickly find the logistics base you want to search, rather than sequentially reading and searching all spatial data stored in the global logistics base databa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real-time location tracking by detecting the generation of Spatial Events according to the spatial movement of cargo at the moment of occurrence.

일반적으로는 화물의 이동정보에 대하여 경도, 위도의 한 점으로 표시할 뿐 특정 물류거점을 들어가고, 나오고, 통과하는지에 대한 동적인 위상관계를 나타내주지 못하지만,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물류거점의 진입, 통과, 이탈에 관하여 발생시점의 실시간 위치추적이 가능하고, 현재 태그의 위치를 기점으로 글로벌 물류거점에 대한 위치추정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류관리를 위한 물류가시성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위치추적에 대한 질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In general, only one point of longitude and latitude for cargo movement information is displayed, but it does not show the dynamic topological relationship of entering, exiting, and passing through a specific logistics base. Real-time location tracking of entry, passage, and departure is possible, and location estimation for global logistics bases can be quickly grasped from the current tag loc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ogistics visibility for the logistics management, and further, to quickly process the query for the location tracking.

모니터링부(380)는, 화주 단말(100)에서 기 설정된 결제일에 P2P 대출을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업체로 운임비를 결제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80 may determine whether the freight fee has been paid to at least one company that has issued a P2P loan on a preset payment date in the shipper's terminal 100 .

인력관리부(390)는, 운송 단말(400)로부터 운전면허증, 차량등록증, 사업자등록증 및 사업자통장사본을 포함하는 운송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력풀(Pool)을 구축하고, 운송 단말(400)의 GPS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의 위치 및 실시간 화물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npower management unit 390 collects transporter data including a driver's license, vehicle registration card, business registration card and a copy of the business passbook from the transport terminal 400 and builds a manpower pool, GPS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terminal 400 can be collected to perform vehicle location and real-time cargo tracking.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 도입에 따른 화주와 운송업체의 수송수단 선택 특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모형의 형태는 개별행태모형이며, 화물가능한 지역을 대상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화주 및 운송업체를 대상으로 신규 운송수단 선호도(Stated Preference)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SP조사의 고려요인으로는 수송시간, 수송비용, 서비스 수준을 선정할 수 있다. 또, 거리대별로 모형을 구분하고, 모형 추정한 후, 거리대별로 구분한 모형의 설명력 및 개별 파라메타가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고, 이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탄력성과 시간가치의 범위 역시 적정한 수준으로 평가되는 경우, 신규 운송수단의 수송수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략을 산출할 수도 있고, 만약 시간가치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도출되었다면 시간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인력풀과 플랫폼을 변형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 options of shippers and transport compani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modal automated transport system. The form of the model is an individual behavior model, and it is possible to conduct a Stated Preference survey for shippers and transport companies that transport containers to areas where cargo is possible. As factors to consider in the SP survey, transportation time, transportation cost, and service level can be selected. In addition, after classifying the model by distance band and estimating the model, the explanatory power and individual parameters of the model classified by distance band secure statistical significance. If evaluated, a strategy that can increase the transportation demand for new transportation methods can be calculated, and if the time value is derived at the highest level, the manpower pool and platform can be transformed in the direction to increase the time value.

이하, 상술한 도 2의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400)로부터 운전면허증, 사업자등록증 등을 수신하여 인력풀을 구축하고, (b) 적어도 하나의 P2P 대출 서버(500)로부터 플랫폼 등록을 받아 대출업체의 풀도 함께 구축한다. 그리고, (c) 화주 단말(100)로부터 배차의뢰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매칭되는 운송인의 리스트를 추출하고, 해당 운송 단말(400)로 배차의뢰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한 후, 공개입찰로 최저가를 입찰하는 운송인을 낙찰자로 선정한 후, (d) 화주 단말(100) 및 운송 단말(400)로 모두 낙찰 이벤트를 전송하고, 도 4의 (a)와 같이 배송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4의 (b) 및 (c)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인은 운송사, 운송 화물기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driver's license,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etc. from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400 to build a manpower pool, (b) at least one P2P By receiving platform registration from the loan server 500, a pool of loan companies is also built. And, (c) when a dispatch request event is received from the shipper's terminal 100, a list of matching carriers is extracted, the dispatch request event is broadcasted to the corresponding transport terminal 400, and then the lowest bid is bid through an open bidding. After selecting a carrier to be a successful bidder, (d) transmits a successful bid event to both the shipper terminal 100 and the transport terminal 400, and enables tracking of the delivery as shown in (a) of FIG. 4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as in FIGS. 4 (b) and (c). Here, the carrier may include a transport company, a transport freight driver, and the like.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type freight transportation brokerage service of FIGS. 2 to 4 a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example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화주 단말로부터 배차의뢰 이벤트를 수신하고(S5100), 배차의뢰 이벤트에 포함된 배차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을 추출한다(S5200)Referring to FIG. 5 ,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a dispatch request event from the shipper terminal (S5100), and extracts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ispatch data included in the dispatch request event (S5200)

그리고,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로 배차의뢰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하고(S5300),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로부터 운임비를 수신하고 최저가 입찰한 운송 단말 및 화주 단말로 낙찰 이벤트를 전송한다.(S5400).And,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broadcasts the dispatch request event to the extracted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S5300), receives the freight fee from 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and wins the bid event to the lowest bid transport terminal and shipper terminal is transmitted. (S5400).

또,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운송 단말에서 운송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P2P 대출(Peer-to-Peer Lending)로 운송 단말로 운임비를 선지급하고(S5500), 화주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결제일에 운임비의 정산을 요청한다(S5600).In addition,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outputting a transport completion event from the transport terminal, prepays the freight fee to the transport terminal by P2P lending (Peer-to-Peer Lending) (S5500), and on the payment date preset from the shipper terminal Request for fare settlement (S5600).

상술한 단계들(S5100~S56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6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600)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6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2P loan-based freight fee advance payment 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FIG. 5 i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5 is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also be implemented.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typ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implemented in a terminal, etc.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7)

배차의뢰 이벤트를 전송하고, 상기 배차의뢰 이벤트에 대응하는 최저가 입찰로 낙찰 이벤트를 수신하는 화주 단말;
상기 배차의뢰 이벤트를 수신하고, 공개입찰에 참여하여 운임비를 전송하고, 전송된 운임비가 최저가인 경우 낙찰 이벤트를 수신받아 상기 배차의뢰 이벤트를 할당받는 운송 단말; 및
상기 화주 단말로부터 배차의뢰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배차의뢰 이벤트에 포함된 배차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을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로 상기 배차의뢰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중계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 단말로부터 운임비를 수신하고 최저가 입찰한 운송 단말 및 상기 화주 단말로 낙찰 이벤트를 전송하는 입찰부, 상기 운송 단말에서 운송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P2P 대출(Peer-to-Peer Lending)로 상기 운송 단말로 상기 운임비를 선지급하는 P2P부, 상기 화주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결제일에 상기 운임비의 정산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는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입찰부는 화물운송모형을 구축하고 화물운송 경로를 제시하며,
상기 화물운송모형은,
컨테이너 운반물량 데이터와 차량 이동시간 데이터가 주어지면 최적화 모형을 기초로 차량대수의 하한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차량대수의 하한값을 기초로 차량의 초기 경로를 설정하되, 계획기간 내에 운반작업이 완료되지 못하면 차량대수를 1씩 증가시키며,
모든 작업차량 중 현재 가장 빨리 작업이 완료된 차량에 대해, 아직 할당되지 않은 작업들 중 공차 이동시간이 가장 작은 작업을 할당하여 초기해를 생성하고,
생성된 초기해를 기초로 ASA(Accelerated Simulated Annealing)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공차이동을 최소화하는 각 차량의 최적경로를 구함으로써 구축되며,
상기 운임비는 안전운임을 기준으로 하고, 거리운임은 국토부 고지 및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도 상 경로거리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hipp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dispatch request event and receiving a successful bid event with the lowest bid corresponding to the dispatch request event;
a transport terminal that receives the dispatch request event, participates in an open bidding and transmits a freight rate, receives a successful bid event when the transmitted freight rate is the lowest, and is assigned the dispatch request event;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 dispatch request event from the shipper terminal, an extractor for extracting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ispatch data included in the dispatch request event, Broadcasting the dispatch request event to the extracted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A relay unit that receives the fare from the at least one transport terminal and transmits a successful bid event to the lowest bid transport terminal and the shipper terminal, and when the transport terminal outputs a transport completion event, P2P lending (Peer- To-Peer Lending), a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comprising a P2P unit that prepays the freight rate to the transport terminal, and a request unit that requests settlement of the freight rate on a preset payment date from the shipper terminal; Containing,
The bidding unit builds a freight transport model and suggests a freight transport route,
The freight transport model is
Given the container transport volume data and vehicle travel time data, the lower limit of the number of vehicles is set based on the optimization model,
Set the initial rou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t lower limit of the number of vehicles, but if the transport operation is not completed within the planning period, the number of vehicles is increased by 1
Among all the work vehicles, the initial solution is generated by assigning the task with the smallest tolerance movement time among the tasks that have not yet been assigned to the vehicle whose work has been completed the earliest,
It is constructed by performing ASA (Accelerated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based on the generated initial solution to find the optimal path for each vehicle that minimizes tolerance movement.
The freight rate is based on a safety freight rate, and the distance freight is calculated as a route distance on at least one map notified and prese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2P부는,
상기 운송 단말에서 운송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화주 단말로 확정매출에 대한 청구서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2P unit,
When the transport terminal outputs a transport completion event,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bill for fixed sales is sent to the shipper's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2P부는,
핀테크(Financial Technology) 카드사 업체와 연계된 개인이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신청하여 투자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2P unit,
Fintech (Financial Technology) A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inducing investment by applying for a loan from an individual or financial institution linked with a credit card compan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에서 낙찰 이벤트를 수신한 즉시 상기 운송 단말의 운송자 정보 및 화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트래킹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트래킹부는,
주요 물류거점에 대하여 안에 있고(IN), 바깥에 있고(OUT), 언제 들어오고(INTO), 언제 나오고(OUTOF), 통과하였는지(THROUGH)에 대한 위상관계를 표현하고,
빠른 속도의 위치 검색을 위해 물류거점의 일정지역을 그룹화 시켜서 R-tree 인덱스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Further comprising; a tracking unit for sharing so that the carrier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cargo can be checked in real time upon receipt of the successful bid event from the shipper's terminal;
The tracking unit,
It expresses the topological relationship of being inside (IN), outside (OUT), when entering (INTO), when leaving (OUTOF), and passing (THROUGH) for major logistics bases,
A system for providing freight forwarding brokerage service based on P2P loan, characterized in that it applies an R-tree index by grouping certain areas of a logistics base for a fast location sear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에서 상기 기 설정된 결제일에 상기 P2P 대출을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업체로 상기 운임비를 결제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a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reight fee has been paid by the shipper terminal to at least one company that has issued the P2P loan on the preset payment date;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운송 단말로부터 운전면허증, 차량등록증, 사업자등록증 및 사업자통장사본을 포함하는 운송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력풀(Pool)을 구축하고, 상기 운송 단말의 GPS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의 위치 및 실시간 화물 추적을 수행하는 인력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It collects transporter data including a driver's license, vehicle registration certificate, business registration card and a copy of business passbook from the transport terminal, builds a manpower pool, and collects GPS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terminal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real-time cargo Human Resources Management Department;
P2P loan-based freight forwarding freight transport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KR1020210019092A 2021-02-10 2021-02-10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KR102320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92A KR102320401B1 (en) 2021-02-10 2021-02-10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92A KR102320401B1 (en) 2021-02-10 2021-02-10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401B1 true KR102320401B1 (en) 2021-11-02

Family

ID=7847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092A KR102320401B1 (en) 2021-02-10 2021-02-10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4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7057A (en) * 2023-06-16 2023-09-19 上海钢联物流股份有限公司 Steel mill logistics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ehicle-cargo match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934B1 (en) * 2017-10-23 2019-01-24 주식회사 와이엘피 Online intermediating apparatus for cargo transportation
JP2019212286A (en) * 2018-06-04 2019-12-12 チャン シン コ Home delivery system in linkage with mar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934B1 (en) * 2017-10-23 2019-01-24 주식회사 와이엘피 Online intermediating apparatus for cargo transportation
JP2019212286A (en) * 2018-06-04 2019-12-12 チャン シン コ Home delivery system in linkage with mar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7057A (en) * 2023-06-16 2023-09-19 上海钢联物流股份有限公司 Steel mill logistics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ehicle-cargo matching
CN116777057B (en) * 2023-06-16 2023-12-12 上海钢联物流股份有限公司 Steel mill logistics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ehicle-cargo matc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6172A (en) A kind of wisdom logistics platform system
US20190251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reight transportation
JP202250828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multimodal cargo services
KR20190019599A (en) Intermediation method and system for freight transport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KR20210008581A (en) System for providing logistics transportation service for multi pick up and delivery with imporved navigation algorithm
Taniguchi et al. Concepts of an integrated platform for innovative city logistics with urban consolidation centers and transshipment points
Nchimbi et al. MAGITS: A mobile-based information sharing framework for integrating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n agro-goods e-commerce in developing countries
Aydınocak Internet of things (IoT) in marketing logistics
KR102320401B1 (en) System for providing peer-to-peer lending based prepaid type freight broerage service
Zhuckovskaya et al. Digitalization of Labor as a Key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Logistic Activities in the Conditions of COVID-19
McLeod et al. Collaborative parcels logistics via the carrier’s carrier operating model
Witkowski Electronic freight exchange and logistics platforms in building of supply chains
Loan et al. Last–Mile Delivery in B2C E-Commerce–Common Practices in Some Countries, But What Do They Mean for Businesses in Vietnam?
KR20230032524A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freight brokerage using transportaion history matching based on blockchai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20210067250A (en) provision system of information for carriage of goods
Dubolazov et al. Use of Internet of things to assess KPI in the transport logistics service
Dubina et al. Digitaliz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Logistics and Supply Chain
Pua Case Study on the Role of Philippine Logistics in E-Commerce and Cross Border Trade
KR20010098143A (en) Method for transporting freight
KR102524738B1 (en)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type mediation platform system that integrates freight transportation and warehouse operation
Zhanna RAIL TRANSPORT IN E-COMMERCE: AN OVERVIEW OF THE OPPORTUNITIES
KR20200058716A (en) Service Method and Flatform for Lending Heavy Equipment
JP7237105B2 (en) Delivery mediation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uan et al. A data-based opportunity identification engine for collaborative freight logistics based on a trailer capacity graph
Stepanov et al. Development of Regional Systems of Freight Forwarding and Logistics 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