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654B1 -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 Google Patents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654B1
KR102317654B1 KR1020190178703A KR20190178703A KR102317654B1 KR 102317654 B1 KR102317654 B1 KR 102317654B1 KR 1020190178703 A KR1020190178703 A KR 1020190178703A KR 20190178703 A KR20190178703 A KR 20190178703A KR 102317654 B1 KR102317654 B1 KR 10231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ot
logic
sens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6831A (en
Inventor
정진우
최정근
이재연
홍사민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654B1/en
Publication of KR2021008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5Stackable modules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과 논리 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이 블럭 형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IoT 디바이스를 통해,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환경 변화에 따라 네트워크 모듈과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센서 모듈의 선택적 구성과 논리 모듈의 논리 구조 설정을 통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비된 전자기기에 다양한 Io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an IoT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a logic module, and a network module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block form, a sensor module By configuring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modul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sensed through the It relates to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various IoT functions in a device.

Description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본 발명은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과 논리 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이 블럭 형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IoT 디바이스를 통해,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환경 변화에 따라 네트워크 모듈과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센서 모듈의 선택적 구성과 논리 모듈의 논리 구조 설정을 통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비된 전자기기에 다양한 Io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an IoT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a logic module, and a network module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block form, a sensor module By configuring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modul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sensed through the It relates to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various IoT functions in a device.

사물 인터넷(IoT)은 기존의 유선통신기반 인터넷 및 모바일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의 인터넷으로서,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로통신 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나아가 사물 간의 자율적 통신도 가능한 사물통신(M2M)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으로의 진화에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이 IoT 디바이스로 변화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이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 망을 구축하게 된다.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n advanced stage of the Internet compared to the existing wired communication-based Internet and mobile Internet.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range of possibl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things, and things and things is expanded, and furthermore, things It has developed into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 where autonomous communication is also possible.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various devices are being transformed into IoT devic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various network methods to construct an Internet network.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지시를 수신하여 원격으로도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사물 인터넷 기기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고, 하나의 사물 인터넷 기기가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존재하기는 하나, 아직까지 사물 인터넷 기기는 기능의 확장성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IoT devices have been disclosed that receive a user's instruction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 necessary functions to the user remotely. 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scalability of functions is not high in IoT devices.

따라서, 사물 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후, 사용자가 사물 인터넷 환경이 제공하는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 제공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미 구축된 환경의 사물 인터넷 기기를 변경하거나 기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needs to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after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is established, it is inconvenient to change or additionally install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the already established environment. hav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 10-2019-0100494호에서와 같이, 탈부착형 모듈을 이용한 IoT 환경 구축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00494,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IoT environment using a detachable module has been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가전제품과 비가전제품에 부착이 가능한 탈부착형 모듈과 서버를 이용하여 IoT 실내 환경을 구축하여, 비 IoT 환경의 가정에서도 I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ior art builds an IoT indoor environment using a detachable module and a server that can be attached to home appliances and non-home appliances, so that an IoT environment can be built even at home in a non-IoT environment.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IoT 환경 구축 방법은, 실내에 IoT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서버의 구성이 필수적이어서, 서버 구축에 소요될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고, 또한, 모듈 생산 시에 탈부착형 모듈의 제어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특정하여 탑재하여야 함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의 적용에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IoT 모듈이 부착된 제품의 동작 조건 등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번 새로운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동작 프로그램을 변경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하여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IoT environment construction method provided through the prior art,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is essential to build the IoT environment indoors, so there is an economic problem required for server construction, and also, control of the detachable module during module production As a control algorithm must be specifically loaded f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rsatility is poor because there is a hassle such as having to change the .

1. 한국공개특허 제 10-2019-0100494호(공개일 : 2019. 08. 29) "탈부착형 모듈을 이용한 IoT 환경 구축 방법"1.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00494 (published date: August 29, 2019) “Method for building an IoT environment using a detachable module”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과 논리 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이 블럭 형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IoT 디바이스를 통해,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환경 변화에 따라 네트워크 모듈과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센서 모듈의 선택적 구성과 논리 모듈의 논리 구조 설정을 통해,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비된 전자기기에 다양한 Io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nd in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at least one sensor module, a logic module, and a network module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block form. By configuring the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modul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module, through the selectiv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constituting the device and the logical structure setting of the logic modu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IoT functions in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homes or office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에 IoT 기능을 지원하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변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센서값에 따른 센서 신호를 생성하여 논리 모듈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설정된 논리 판단 로직에 따라 논리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논리값에 대한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 모듈로 전송하는 논리모듈; 및 상기 논리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모듈, 논리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은 각각 블럭형의 모듈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순차적인 적층구조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an IoT customizing device supporting an IoT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by sens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sensor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sensor value, a logic module at least one sensor module that transmits to a logic module for calculating a logic value according to a set logic determination logic based on the senso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calculated logic value to the network module; and a network module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gic module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provides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odular structure and coupled through a sequential stacked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탈부착형 센서 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센서 기반 IoT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IoT custom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sensor-based IoT environment to be easily implemented by selectively utilizing various types of attachable and detachable sensor modules.

또한, 사용자가 논리 모듈의 논리 판단 로직과 설정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 하에서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가 작동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및 시점에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 한다.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user to adjust the logic decision logic and setting values of the logic module, the IoT customizing device is operated under the conditions desir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environment and at the time desired by the user.

또한, 서버 등의 별도의 설비 없이 IoT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경제적으로 I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착 모듈(250) 장착을 통해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센서 기반 IoT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configure IoT devices without separate facilities such as servers, it supports to economically build an IoT environment in an indoor space, and enables simple installation of IoT customizing devices by mounting the attachment module 250 . By supporting it,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sensor-based IoT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의 구성을 예로써 보여주는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미세먼지 농도 감지 기반의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oT customizing device based on fine dust concentration sensing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unless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의 구성을 예로써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는 제1 주변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센서 신호를 논리 모듈(120)로 전송하는 제1 센서모듈(100), 제2 주변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센서 신호를 논리 모듈(120)로 전송하는 제2 센서모듈(110), 상기 제1 센서모듈(100) 및 제2 센서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설정된 논리 판단 로직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모듈(130)로 전송하는 논리 모듈(120) 및 상기 논리 모듈(1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 the IoT customiz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first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nsed sensor signal to the logic module 120. A first sensor module 100, The sensor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 the first sensor module 100 and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 which detects the seco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nsed sensor signal to the logic module 120 . The logic module 120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logic determination logic set based on th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network module 130 and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ogic module 12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etwork module 130 that transmits to the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이때, 상기 제1 센서모듈(100) 및 제2 센서모듈(11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정보에는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조건과 관련하여 온도, 습도, 인체의 움직임, 빛, 조도, 적외선, 가스 농도, 음향, 진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sensor module 100 and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includes temperature, humidity, human movement, light, illuminance, infrared rays, and gas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sound, vibration, etc. may be included therein.

또한, 각각의 적층되는 모듈에는 서로 인접하는 단부에 상호 결합을 위한 돌출부/결합홈 구조와 같은 결합구조(미도시)가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stacked modul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structure (not shown) such as a protrusion/coupling groove structure for mutual coupling at the ends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fitted.

또한, 끼움결합된 모듈 간의 신호의 전달은 모듈을 관통하는 신호 라인이 구비되거나, 또는 블루투스나 Wi-Fi 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the fitted modules may be provided with a signal line passing through the module, 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가 제1 센서모듈(100) 및 제2 센서모듈(110)의 두개의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가 반드시 두 개의 센서모듈을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하나의 센서모듈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the IoT customizing device includes two sensor modules of the first sensor module 100 and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the IoT customiz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two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two sensor modules, and in some cases,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include only one sensor module.

논리 모듈(120)은 센서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센서 신호를 조합하여, 탑재된 논리 판단 로직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logic module 120 combines the sensor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s,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unted logic determination logic.

여기서, 논리 모듈(120)에 탑재되는 논리 판단 로직으로는, AND, OR, Interrupt 모드 등이 대표적인데, 이때, AND 및 OR 모드의 경우에는 제1 센서모듈(100) 및 제2 센서모듈(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nterrupt 모드의 경우에는 센서모듈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Here, as the logic determination logic mounted on the logic module 120, AND, OR, Interrupt mode, etc. are representativ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ND and OR mode, the first sensor module 100 and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nd in the case of Interrupt mode,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signal received from one sensor module.

센서모듈들의 센싱값에 따른 AND 및 OR 모드의 논리값 판단Determination of logical values of AND and OR modes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s of sensor modules ANDAND OROR 제1 센서모듈first sensor module 제2 센서모듈2nd sensor module 최종 논리값final logical value 제1 센서모듈first sensor module 제2 센서모듈2nd sensor module 최종 논리값final logical valu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1One 00 00 1One 00 1One 00 1One 00 00 1One 1One 00 00 00 00 00 00

표 1은 센싱값에 따른 AND 및 OR 모드의 논리 판단 결과 산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Table 1 is a table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alculating a logic determination result in AND and OR modes according to sensed values.

먼저, AND 모드의 경우, 제1 센서모듈(100) 및 제2 센서모듈(110)의 센싱값이 모두 1의 논리값을 가지면, And 논리연산의 최종 논리값은 1이지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0의 최종 논리값을 갖는다.First, in the case of AND mode, if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module 100 and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both have a logical value of 1, the final logical value of the And logical operation is 1, but in other cases It has a final logical value of 0.

한편, OR 모드의 경우, 제1 센서모듈(100) 또는 제2 센서모듈(110)의 센싱값이 모두 0의 논리값을 가지면, OR 논리 연산의 최종 논리값은 0이 되지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1의 최종 논리값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R mode, if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module 100 or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all have logical values of 0, the final logical value of the OR logic operation becomes 0, but otherwise has a final logical value of 1.

또한, Interrupt 모드의 경우에는, 논리 모듈(120) 바로 하단에 존재하는 센서모듈에 대한 신호만을 받아 논리 결과를 판단하며,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판단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terrupt mode, the logic result is determined by receiving only the signal for the sensor module that exists immediately below the logic module 120, and when there is no signal, it is not determined.

이외에도, 논리 모듈(220)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센서모듈의 센서값들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하여 설정할 수 있는 Block programming 모드로도 작동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ogic module 220 can operate in a block programming mode in which the user can program and set a specific determination algorithm for sensor values of the sensor module, if necessary.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동작 환경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동작 환경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선택하고, 이에 결합되는 논리 모듈(120)의 논리 판단 로직을 의도에 맞추어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센서 기반 IoT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ensor module suitable for the operating environment is selected, and the logic module 120 coupled thereto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that the user wants to implement through the IoT customizing device. ), by setting the logic decision logic according to the int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or-based IoT environment desired by the user.

네트워크 모듈(130)은 논리 모듈(120)로부터 논리값을 전송받아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전자기기가 구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The network module 130 receives a logic value from the logic module 120 ,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drive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IoT customizing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또한, 네트워크 모듈(130)은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논리 모듈 알고리즘 또는 센서의 제어값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논리 모듈(12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의 작동 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control value of the logic module algorithm or sensor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the network module 130 receives the user's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logic module 120 ,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the IoT customizing device. Support to change conditions.

또한,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는 다른 모듈들의 전력 소모가 크거나, 상시적으로 동작해야 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배터리 모듈(미도시)이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 논리 모듈(120) 내부에 충전형 배터리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customizing device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battery module (not shown) in case the power consumption of other modules is large or a function that needs to be operated all the time is included. In this case, in general, logic The module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inside.

예로써, 도 1과 같이 구성된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의 구성을 통해 실내에 구비된 에어컨을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실내에 사람의 존재 여부와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동작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합리적인 바, 제1 센서모듈(100)은 온도 센서, 제2 센서모듈(110)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room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IoT customizing devic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it is reasonable to provide an operation function by sensing the presence of a person in the room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The first sensor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as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as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human movement.

즉, 온도 센서가 설정온도 이상의 실내 공간 온도를 감지하면, 상단 모듈로 센서 신호를 전달하도록 설정하고, 모션 센서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역시 상단 모듈로 센서 신호를 전달하도록 설정한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an indoor space temperatu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the sensor signal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upper module, and the motion sensor is set to transmit the sensor signal to the upper module as well when a human movement is detected.

또한, 논리 모듈(120)의 논리 판단 로직은 AND 로직으로 설정하여, 실내 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에어컨이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실내 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지 않거나, 높더라도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컨이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gic determination logic of the logic module 120 is set to AND logic,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and a human movement is detected,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indoor space The air conditioner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air conditioner does not operat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is not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or when no movement of a person is detected even if it is high.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미세먼지 농도 감지 기반의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oT customizing device based on fine dust concentration sensing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는 미세먼지 센서모듈(200), 모션 센서모듈(210), 논리 모듈(220), 네트워크 모듈(230), 알람 모듈(240) 및 부착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oT customizing device of FIG. 2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ne dust sensor module 200 , a motion sensor module 210 , a logic module 220 , a network module 230 , an alarm module 240 , and an attachment module 250 . .

이때, 미세먼지 센서모듈(200)은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농도값에 대한 신호를 상단 모듈로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fine dust sensor module 200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and transmits a signal for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to the upper module.

또한, 모션 센서모듈(210)은 모션 센서가 내장되어, 실내 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단 모듈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or module 210 has a built-in motion sensor, detects a movement of a person in an indoor space,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upper module.

이어서, 논리 모듈(220)은 전달되는 센서값들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예로써, 'AND'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고,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기청정기가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Then, the logic module 2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ensor values. For example, when the 'AND' mode is se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indoor spac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the set value, and the When motion is detecte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operate the air purifier.

이때,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는 실내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 미세먼지 농도와 관련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해, 알람 모듈(2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oT customiz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module 240 to provide an alert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to a person in an indoor space.

여기서, 알람 모듈(240)은 LED 램프 등 발광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미세먼지 경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스피커가 구비되어, 음성 또는 경고음을 통해 미세먼지 경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Here, the alarm module 240 may provide a fine dust alert to the user through a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an LED lamp, and a speaker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fine dust alert through a voice or a warning sound.

이 경우, 논리 모듈(220)이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통해, 공기청정기 뿐만 아니라, 알람 모듈(240)도 함께 작동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rough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logic module 220, not only the air purifier but also the alarm module 240 is operated together.

또한,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는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 주변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자석, 고리, 벨크로 테이프, 거치부 등의 부착 수단이 구비된 부착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customiz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ttachment module 250 provided with attachment means such as a magnet, a ring, a Velcro tape, a mounting part, etc.,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or around an electronic device.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2의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는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실내 공간에 사람이 있으면서도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알람 모듈(240)의 스피커 또는 LED 램프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태임을 경고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실내 환경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oT customizing device of FIG. 2 detect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indoor spac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air purifier when there is a person in the indoor space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 while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alarm module Through the speaker or LED lamp of 240, the user is warned that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탈부착형 센서 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센서 기반 IoT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oT custom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sensor-based IoT environment to be easily implemented by selectively utilizing various types of detachable sensor modules.

또한, 사용자가 논리 모듈의 논리 판단 로직과 설정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 하에서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가 작동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및 시점에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 한다.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user to adjust the logic decision logic and setting values of the logic module, the IoT customizing device is operated under the conditions desir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environment and at the time desired by the user.

또한, 서버 등의 별도의 설비 없이 IoT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경제적으로 I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착 모듈(250) 장착을 통해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센서 기반 IoT 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configure IoT devices without separate facilities such as servers, it supports to economically build an IoT environment in an indoor space, and to easily install IoT customizing devices by installing the attachment module 250 . By supporting it,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sensor-based IoT environ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100 : 제1 센서모듈 110 : 제2 센서모듈
120 : 논리 모듈 130 : 네트워크 모듈
200 : 미세먼지 센서모듈 210 : 모션 센서모듈
220 : 논리 모듈 230 : 네트워크 모듈
240 : 알람 모듈 250 : 부착 모듈
100: first sensor module 110: second sensor module
120: logic module 130: network module
200: fine dust sensor module 210: motion sensor module
220: logic module 230: network module
240: alarm module 250: attachment module

Claims (8)

전자기기에 IoT 기능을 지원하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변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센서값에 따른 센서 신호를 생성하여 논리 모듈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설정된 논리 판단 로직에 따라 논리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논리값에 대한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 모듈로 전송하는 논리모듈; 및
상기 논리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를 동작시키는 네트워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센서모듈, 논리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은 각각 블럭형의 모듈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센서모듈, 논리모듈 및 네트워크 모듈 순으로 적층되는, 순차적인 적층구조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논리 모듈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AND 모드, OR 모드 또는 Interrupt 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논리 판단 로직에 따라 논리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센서 모듈의 선택적 구성과 사용자에 의한 논리 모듈의 모드 설정을 통해, 다양한 센싱 조건에 따른 IoT 환경을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In an IoT customizing device that supports an IoT 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t least one sensor module for detect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ing a sensor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sensor valu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nsor signal to the logic module;
a logic module for calculating a logic value according to a set logic determination logic based on the senso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calculated logic value to the network module; and
a network modul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gic module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It is composed, including,
The sensor module, the logic module, and the network module are each made of a block-type modular structure, and are combined through a sequential stacking structure in which the sensor module, the logic module, and the network module are stacked in the order,
The logic module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logic value according to a logic decision logic selected from an AND mode, an OR mode, or an Interrupt mode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IoT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IoT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sensing conditions to electronic devices through selective configuration of sensor modules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to configure a device and mode setting of a logic module by a user custom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주변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인체의 움직임, 빛, 조도, 적외선, 가스 농도, 음향 또는 진동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sensor module,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human movement, light, illuminance, infrared rays, gas concentration, sound or vibr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서로 다른 종류의 주변환경 정보를 각각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module is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ensor modules for sensing different types of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는,
부착 위치의 고정을 위한 부착 모듈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oT customizing device includes: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n attachment module for fixing the attachment posi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모듈은,
자석, 고리 또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ttachment module is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a ring or a Velcro t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에는,
상기 논리 모듈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주변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모듈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oT customizing device includes: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n alarm module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logic module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the user is additionally provid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모듈은,
스피커 또는 LED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모듈 적층 구조를 갖는 IoT 커스터마이징 디바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larm module is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a block-type module stack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eaker or an LED lamp.
KR1020190178703A 2019-12-30 2019-12-30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KR102317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03A KR102317654B1 (en) 2019-12-30 2019-12-30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03A KR102317654B1 (en) 2019-12-30 2019-12-30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831A KR20210086831A (en) 2021-07-09
KR102317654B1 true KR102317654B1 (en) 2021-10-27

Family

ID=7686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03A KR102317654B1 (en) 2019-12-30 2019-12-30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6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903B1 (en) * 2021-08-31 2023-08-21 주식회사 단디정보기술 Smart control IO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46B1 (en) * 2017-11-16 2018-09-21 한국세라믹기술원 SELF-GENERATION IoT SENSOR MODULE AND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311B1 (en) * 2015-08-31 2017-06-09 주식회사 바른기술 IoT CONTROL LOGIC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96125B1 (en) * 2017-01-23 2019-07-03 당현식 Research Assistant IOT System
KR20180130934A (en) * 2017-05-30 2018-12-10 (주) 나인원 A smart coding block sets of wireless communication-based capable of software coding education
KR102040910B1 (en) 2018-02-05 2019-11-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BUILDING IoT ENVIRONMENT BY ATTACHABLE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46B1 (en) * 2017-11-16 2018-09-21 한국세라믹기술원 SELF-GENERATION IoT SENSOR MODULE AND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831A (en)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32876A1 (en) Ventilation fan and ventilation system
CN106462118A (en)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based on sensed conditions and related methods
US9345116B2 (en) Sensor network-enabled light socket adaptor
CN104020733A (en) LED illuminating device,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172002B1 (en) Digital device artificial intelligen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and sensor
JP2014505977A (en) Detecting illumination device for module having electromagnetic wav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used therefor
CN104697108A (en) Air conditioner
US20190150251A1 (en) Smart illuminating controller
CN108572554A (en) A kind of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method and relevant device
KR102317654B1 (en) An IoT customizing device having modulized block structures
JP2003174382A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relay device
WO2016015263A1 (en) Wireless wifi intelligent ceiling lamp system capable of realizing infrared remote control over household appliances
JP2008283298A (en) Learn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KR101081911B1 (en) Energy effective smart control system
KR20150045552A (en) A smart system of sensible lightings
JP2014150339A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controller
CN110119094A (en) One kind controlling smart home system based on earth horizon sensor
JP2011081521A (en)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KR102165151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conditioner
WO2008007893A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ventilation fan
WO2017081721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20140285013A1 (en) Electrical Apparatus Control System
JP7330547B2 (en) Power saving control system us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KR102015895B1 (en) LIGHT DEVICE FOR RELAYING THINGS, Io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934262B1 (en) Interoperability system of electronic switch and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