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054B1 -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054B1
KR102317054B1 KR1020210000490A KR20210000490A KR102317054B1 KR 102317054 B1 KR102317054 B1 KR 102317054B1 KR 1020210000490 A KR1020210000490 A KR 1020210000490A KR 20210000490 A KR20210000490 A KR 20210000490A KR 102317054 B1 KR102317054 B1 KR 10231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ffee
beverage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프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to KR102021000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054B1/en
Priority to PCT/KR2021/000048 priority patent/WO202214555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8Adjus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A device for manufacturing beverag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ing unit; an extracting unit which includes a first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beverage, and receives and rotate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nd a water storing unit which injects water into the rotating extracting unit. The extracting unit is formed in a first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hole. Since the rotating first material is touched to the inputted water, the beverage is manufactured. The manufactured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tructur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otating motor; a first magnetic body which is rotated by receiving rotation of the motor; and a second magnetic body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and is rotated by rotation of the first magnetic body based on magnetism. The extrac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ic body. A grinding unit for combination and separation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extracting unit. When a size of the first material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beverage, the grinding unit is combined. After grinding the size of the first material to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by a pulverizing unit included in the grinding unit, the grinding unit is separated. After separating the grinding unit, the beverage is manufactured by touching the rotating first material and the inputted wat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an amount of coffee beans.

Description

음료 제조 장치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a rotating extraction unit including beverage materials, and discharging a beverage manufactured to the outside through a mesh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국내 Coffee 시장 규모 및 1인당 Coffee 소비량과 관련하여, 시장 전문조사기관인 AC닐슨에서 발표한 국내 커피 시장은 규모가 2007년 1조 5580억원에서 2012년에 4조 1300억원으로 약 2.5배 증가했다.Regarding the size of the domestic coffee market and coffee consumption per capita, the size of the domestic coffee market, announced by ACNielsen, a market research institute, increased 2.5 times from 1.558 trillion won in 2007 to 4.13 trillion won in 2012.

1인당 커피 소비량의 조사결과는 커피소비량이 가장 큰 북유럽의 경우, 원두의 소비량이 8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북유럽-일본-한국 순으로 1인당 커피 소비량에서 원두의 비율이 낮아지는데, 이를 반대로 생각해 보면 커피 소비량이 많아질수록 원두커피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예상된다.As a result of the per capita coffee consumption survey, in the case of Northern Europe, where coffee consumption is the largest, the consumption of coffee beans is high at 80%, and the ratio of coffee beans per capita is decreasing in the order of Northern Europe, Japan and Korea. Conversely, as coffee consumption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coffee beans are more preferred.

또한, Coffee Trend 소비자 분석에 따르면 커피숍을 찾아 커피를 즐기는 소비자는 점차 집 안에서 커피 머신을 통해 커피 등을 즐기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Coffee Trend consumer analysis, consumers who enjoy coffee at coffee shops are gradually changing to enjoy coffee through a coffee machine at home.

커피머신을 소비자가 구입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원할 때 언제든지 커피 음용이 가능하고, 커피를 직접 내릴 수 있으며, 커피전문점 수준의 커피 음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The biggest reason consumers want to buy a coffee machine is that you can drink coffee whenever you want, brew coffee yourself, and drink coffee at the level of a coffee shop.

최근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 등이 떠오르고 있다.Recently, as coffee spreads more and more into homes, it’s time for a high-quality, high-quality coffee. Consumer demand is increasing, and as an alternative, Dutch coffee or cold brew is emerging.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우려내는 커피이다.Dutch coffee or cold brew is coffee brewed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for a long time.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Because Dutch coffee is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it has a longer period of not losing flavor than other coffees, which is advantageous for distribution. Also, since it is sold as an undiluted solution, you can make coffee simply by adding water, milk, syrup, etc. according to your preference. It has been completed and is evaluated to be more convenient than capsule coffee.

다만, 그 제조 방법이 장시간(500cc 물을 추출 시 6~12시간 소요)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manufacturing method requires a long time (6 to 12 hours for extracting 500cc water),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expansion because it cannot be mass-produced even if it is manufactured.

또한,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 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extract a certain taste, there is a problem that a designated recipe according to a technique and extraction tool must be applied.

또한,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posure to unsanitary environments such as microbial growth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traction tool is difficult to clean.

또한, 제조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제공되는 커피의 온도가 결정되는 문제점(찬물로 제조하더라도 뜨거운 커피를 제공 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to be provid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be prepared (the consumer's need to receive hot coffee even if it is prepared with cold water).

또한, 커피 외에도 소비자들은 녹차, 홍차 등 각종 차 즉, 음료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In addition to coffee, consumers are paying great attention to various teas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that is, beverages.

따라서 종래와 같은 장시간을 소요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커피, 녹차, 홍차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such as coffee, green tea, and black tea having a flavor desired by consumers without taking a long time as in the prior art.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1593982 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593982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by introducing water into a rotating extraction unit including beverage materials, and discharging a beverage manufactured to the outside through a mesh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the conventional We want to solve the problem.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stock solution within a short time by using a rotational induction centrifugal separation in a low-temperature/high-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having a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and capable of manufacturing a beverage of a desired temperature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of the device by the IoT-based various coffee recipe programs.

또한, 본 발명은 원두를 미리 물에 불릴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획득되는 커피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ffee obtained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coffee beans can be soaked in water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 내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 원두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이 적용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o which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amount of coffee beans desired by a user in the inside of the basket is applied.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음료 제조 장치는, 구동부; 음료 제조를 위한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추출부; 및 상기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홀(hole)을 포함하는 제 1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며, 상기 제조된 음료는 상기 제 1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1 자성체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 2 자성체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추출부 사이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그라인딩부;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음료가 제조되기 위해 요구되는 미리 지정된 크기보다 상기 제 1 재료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그라인딩부가 결합되며, 상기 그라인딩부에 포함된 분쇄부에 의해 상기 제 1 재료의 크기가 상기 미리 지정된 크기 이하로 분쇄된 후, 상기 그라인딩부는 분리되고, 상기 그라인딩부가 분리된 이후,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driving unit; An extracting unit comprising a first material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nd a water storage unit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rotating extraction unit,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raction unit is formed in a first structure including a hole, and the rotating first material is in contact with the injected water As the beverage is manufactured, the manufactured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tructure, the driving unit, a rotating motor; a first magnetic body rotating by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a second magnetic bod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ic body based on magnetism, wherein the extra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driving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Between, a grinding unit capable of combining and separating; Is further included, when the size of the first material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required for the beverage to be manufactured, the grinding unit is coupled, and the size of the first material is increased by the grinding unit included in the grinding unit. After being pulverized to the predetermined size or less, the grinding unit is separated, and after the grinding unit is separated, the beverage can be prepared by contacting the rotating first material with the injected water.

또한, 상기 그라인딩부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의 분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nding unit may include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driving unit; The crushing uni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nd a reduc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f the pulverizing unit. may include.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축에 다이렉트로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a first coupling portion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a second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driving part; may include.

또한, 상기 분쇄부는 복수이고, 상기 감속부의 기준 축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준 축의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분쇄부의 분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rushing units may be plural, the reference shaft of the reduction unit may be movable within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degree of crushing of the plurality of crushing unit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reference shaft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를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3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의 제 2 자성체는,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3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 2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추출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지정된 크기 이하로 분쇄된 상기 제 1 재료가 상기 추출부 내로 수집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third magnetic body that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wherein the second magnetic body of the extraction par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hird magnetic body based on magnetism, and the In a state in which the extraction uni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gnetic body, the first material pulverized to a siz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collected into the extraction unit.

또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추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를 제 1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를 제 2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물의 배출이 중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raction uni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and when the user firs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extraction unit only through a hole open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and when the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a second time, the discharge of the water is stopped can be

또한, 상기 제 1 변화 및 제 2 변화로 인해 상기 추출부로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추출부 내에 포함된 상기 제 1 재료를 불리는 과정을 진행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의 불림 과정이 종료된 이후,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due to the first change and the second change, a process of soaking the first material contained in the extrac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is performed, and the soaking period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is performed. After the process is finished, the beverage may be manufactured by contacting the rotating first material with the added water.

또한, 상기 추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추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려 고정되는 재료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 내부에 고정된 재료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부에 투입되는 상기 제 1 재료의 양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unit and is inserted into the extraction unit by using a material control unit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extraction unit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unit by using the material control unit fix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The amount of may be adjustable.

또한, 상기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 각각은,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제 1 재료는 커피(coffee) 재료 및 티(tea)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의 제 1 구조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저장부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are coupled, and the first material includes a coffee material and a tea material, and through the first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A bever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everage discharged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the beverage storage unit may be detachable.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가 변화되며, 상기 입력부는 터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터치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 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extraction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and; At least one of the rotation degree of the extraction unit and whether the driving unit is driven may be changed.

또한, 외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음료의 추출시간,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상기 물의 공급여부 및 상기 물의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e extraction time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extraction unit, the driving unit At least one of whether to drive, whether to supply the water, and the flow rate of the water may be determined.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전술한 음료 제조 장치; 및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진동에 의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에 삽입되는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삽입 파트의 표면은 복수의 제 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중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삽입되는 공간은,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링; 및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와의 마찰을 통해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미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bove-describ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is inserted,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is a pad for preventing sliding by vibration; Containing, the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inserted into the pa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the space in which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is inserted in the pad, to press the side of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at least one ring for;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for preventing sliding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rough friction with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a rotating extraction unit including beverage materials, and discharging a beverage manufactured to the outside through a mesh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stock solution in a short time using a rotational induction centrifugal separation in a low-temperature/high-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having a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and capable of manufacturing a beverage of a desired temperature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of the device by the IoT-based various coffee recipe programs.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를 내리는 행위를 통한 경험적 요소 중요시하는데, 이러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고, 버튼 등이 사라진 심플한 외관을 갖는 커피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 consumers place importance on experiential factors through the act of brewing coffee, and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se needs and provide a coffee machine having a simple appearance without buttons and the like.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 외에도 녹차, 홍차 등 각종 차에 관심이 많은데, 종류에 상관없이 단 기간에 차가운 온도에서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음료를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consumers are interested in various types of tea,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in addition to coffe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rotating body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pad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age due to vibration of the device.

또한,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를 통해, 커피 등의 원액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supporting the extraction of the stock solu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stock solution such as coffee.

또한, 본 발명은 원두를 미리 물에 불릴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커피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yield of coffee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coffee beans can be previously soaked in water.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 내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 원두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이 적용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o which a structure that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coffee beans desired by the user inside the basket is applied.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자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서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통해 음료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 추출부의 회전 정도와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식에 의해 제조된 커피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TDS, 제조시간 등을 비교한 표 및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자성에 의해 모터의 일축이 밀리면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를 제안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전해 살균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수전해 살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전극 및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구동부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구동부 캡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는 도 22에 따른 구동부 캡을 포함하는 구동부가 배치되는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료 제조의 양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불림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6b는 그라인딩 기능이 제공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그라인딩 기능과 관련하여, 분쇄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6a 및 도 26b와 다른 구조의 기기를 기반으로, 불림 및 그라인딩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gnetic part applied 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c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extraction unit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beverage is manufactured through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rotation degree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extraction unit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in FIG. 6 .
8 is a table and graph comparing the TDS, manufacturing time, etc. of coffee prepared by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coffee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Figure 9 shows an implemented exampl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propos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a problem in which a failure frequently occurs while one shaft of the motor is pushed by magnetism.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electrolysis sterilization function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 beverage at a temperature desired by a us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of FIG. 11 .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providing a beverage of a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of FIG. 11 .
14 shows a specific form in which a heating element is dis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 specific form in which an electrode and a heating element are dis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of the device by the IoT-based various coffee recipe program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show a structure of a rotating body for generating bubble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9A to 21 show a pad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age due to vibration of a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llustrates a driving unit cap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shows a specific form in which a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unit cap according to FIG. 22 is disposed.
Figure 24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beverage prepara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6A shows a structure providing a soaking func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B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grinding function is provided.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degree of grinding in relation to the grind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8A and 28B show an example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a soaking and grinding function based on a device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S. 26A and 26B .

종래기술의 문제점 Problems of the prior art

Global Martet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세계 커피시장은 1,256억달러 수준으로 나타난다.According to the Global Martet report, in 2015, the global coffee market was valued at USD 125.6 billion.

2015년 다소 등락을 나타내며 주춤하였으나, 2016년 이후 성장세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향후 2020년 커피시장 규모는 1,680억달러로 추정된다.Although it showed some fluctuations in 2015 and slowed down, it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6, and the size of the coffee market in 2020 is estimated to be $168 billion.

특히, 2015년 기준 커피 시장 규모 상위 5개국(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브라질) 규모가 전체 시장의 48%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In particular, as of 2015, the top five countries (Japan, the United States, Germany, France, and Brazil) account for more than 48% of the total coffee market.

또한, 농수산식품부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커피 시장규모는 약 8조7,906억원으로 3조 원대 초반 이던 10년전에 비해 3배 성장하였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size of the coffee market in 2017 was about KRW 8,790.6 billion, which has tripled compared to 10 years ago when it was in the early 3 trillion KRW range.

2017년 세계 커피시장의 약 0.45% 정도의 시장규모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난다.In 2017, it appears to have a market size of about 0.45% of the global coffee market.

20세 성인 기준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2년 288잔에서 2017년 500잔으로 증가속도가 높아지고 있어, 향후에도 국내 커피머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Coffee consumption per capita based on 20-year-olds is increasing from 288 cups in 2012 to 500 cups in 2017, and the demand for domestic coffee machines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s well.

또한, 국내 커피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각종 장비와 원두를 직접 구입해 집에서 나만의 커피를 즐기는 홈카페 시장도 커지고 있다.In addition, as the domestic coffee market is growing rapidly, the home cafe market is also growing, where you can directly purchase various equipment and coffee beans to enjoy your own coffee at home.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의 ‘2017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 결과에 따르면 커피머신을 이용하는 사람은 47.2%로 2014년 35%보다 12.2%포인트 증가하였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2017 Coffee Shop Use and Home Café Related Survey’ conducted by Embrain, an opinion polling institution, the number of people using a coffee machine was 47.2%, an increase of 12.2 percentage points from 35% in 2014.

또한, 프리미엄 가정용 커피머신 판매량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sales of premium home coffee machines are on the rise.

호주 프리미엄 주방가전 브레빌(Breville) 공식수입사 HLI에 따르면, 가정용 반자동 커피머신의 판매량은 2013년 315대에 불과했으나 2016년에는 1,000대 이상, 2017년에는 2,000대가 팔리면서 원년 대비 4년 만에 570%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According to HLI, an official importer of Australian premium kitchen appliances, Breville, the sales of semi-automatic coffee machines for home use were only 315 units in 2013, but more than 1,000 units in 2016 and 2,000 units in 2017 were sold, making it 570 units in 4 year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 has been increased.

한편, 커피머신을 구입하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원할때 언제든지 커피 음용이 가능(62.7%), 커피를 직접 내릴수 있음(60.7%), 커피전문점 수준의 음용 가능(52.6%)으로 나타났다.On the other hand, as to the reasons for purchasing a coffee machine, coffee can be drunk whenever desired (62.7%), coffee can be brewed directly (60.7%), and drinkable at the level of a coffee shop (52.6%).

커피에 대한 기호가 다양해진만큼 향후에도 선호하는 원두를 찾아 집에서 커피를 마시는 홈카페족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와 관련된 커피 머신 시장도 지속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As tastes for coffee have diversified,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home cafes who drink coffee at home in search of preferred coffee beans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the related coffee machine market is also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최근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 등이 떠오르고 있다.Recently, as coffee spreads more and more into homes, it’s time for a high-quality, high-quality coffee. Consumer demand is increasing, and as an alternative, Dutch coffee or cold brew is emerging.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우려내는 커피이다.Dutch coffee or cold brew is coffee brewed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for a long time.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Because Dutch coffee is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it has a longer period of not losing flavor than other coffees, which is advantageous for distribution. Also, since it is sold as an undiluted solution, you can make coffee simply by adding water, milk, syrup, etc. according to your preference. It has been completed and is evaluated to be more convenient than capsule coffee.

단, 핸드드립(hand-drip)/브루잉(Brewing) 등의 경우에는,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1)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hand-drip/brewing, there is a problem (hereinafter, problem 1) that a designated recipe according to a technique and extraction tool must be applied in order to extract a certain taste.

나아가 제조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제공되는 커피의 온도가 결정되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2), 즉, 찬물로 제조하더라도 뜨거운 커피를 제공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무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provid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be prepared (hereinafter, Problem 2), that is, the consumer's need to receive hot coffee even though it is prepared with cold water is ignored.

또한, 더치커피(Dutch Coffee)/콜드브루(Cold Brew) 등의 경우에는, 제조 방법에 있어, 장시간(500cc 추출 시 3~10시간 소요)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3)이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Dutch Coffee / Cold Brew, there is a problem (hereinafter, Problem 3) that requires a long time (3 to 10 hours is required for 500cc extrac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

또한, 커피 관련 공통적 문제점으로,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4)가 존재한다.In addition, as a common problem related to coffe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xposure to unsanitary environments such as microbial growth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raction tool is difficult to clean (hereinafter, Problem 4).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a rotating extraction unit including beverage materials, and discharging a beverage manufactured to the outside through a mesh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We want to solve the problem of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stock solution within a short time by using a rotational induction centrifugal separation in a low-temperature/high-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having a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and capable of manufacturing a beverage of a desired temperature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of the device by the IoT-based various coffee recipe programs.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특징은 다음의 복수의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lurality of elements.

(1) 저온 또는 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기술 (이하, 핵심기술 1)(1) Technology for extracting undiluted solution in a short time using rotational induction centrifugation in a low- or high-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hereafter, core technology 1)

(2)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의 개발 (이하, 핵심기술 2)(2) Development of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water electrolysis sterilization function (hereinafter, core technology 2)

(3) 제조하는 물의 온도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 제조 기술 (이하, 핵심기술 3)(3) Beverage manufacturing technology at the desired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eing manufactured (hereafter, core technology 3)

(4)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에 따른 장치의 동작 제어 (이하, 핵심기술 4)(4) Device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various coffee recipes based on IoT (hereafter, core technology 4)

(5)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 (이하, 핵심기술 5)(5) Rotating body structure for bubble generation (hereafter, core technology 5)

(6)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 (이하, 핵심기술 6)(6) Pad structure to prevent slippage due to vibration of the device (hereafter, core technology 6)

(7)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 (이하, 핵심기술 7)(7) Structure to support extraction of undiluted solution (hereafter, core technology 7)

(8) 음료 제조의 양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 (이하, 핵심기술 8)(8)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control the amount of beverage production (hereafter, core technology 8)

(9) 불림 및 그라인딩 기능이 제공되는 구조 (이하, 핵심기술 9)(9) Structure that provides soaking and grinding functions (hereafter, core technology 9)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필수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음료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Components of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음료 제조 장치(100)는 구동부(110), 저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커피 저장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riving unit 110 , a storage unit 120 , a user input unit 130 , a sensing unit 140 , an output unit 150 , a memory 160 , a coffee storage unit 170 , and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190 may be included.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음료 제조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are not essential,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먼저, 구동부(110)는 음료 제조 장치(100) 내의 커피 추출부(122) 등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동력을 생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driving unit 110 provides a function of generating power for inducing rotation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10)는 모터부(111)와 자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or unit 111 and a magnetic unit 112 .

먼저, 모터부(111)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전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그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기계이다.First, the motor unit 111 is a power machin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0 and rotates, and generates rotational force on its shaft.

본 발명에 따른 모터부(111)는 공급되는 전기 방식에 따라 직류용, 단상 교류용, 3상 교류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unit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C type, a single-phase AC type, a three-phase AC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a method of supplying electricity.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10)는 모터부(1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cept that further includes a shaft (not shown)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unit 111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성부(112)는 서로 이격되어 자성으로 함께 회전하는 구조 이외에도 자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구조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parts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sm in addition to a structur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es together magnetically, and may be utilized as a structure that rotates in a coupled state.

이때, 샤프트를 이용하는 구조와 대비하여 2개의 자성부(112) 중 상단 또는 하단의 자성부(112)의 말단을 고정하는 부속품이 이용되지 않을 수 있어 샤프트 이용 구조 대비 마모를 대비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compared to the structure using the shaft, the accessory for fixing the end of the upper or lower magnetic part 112 among the two magnetic parts 112 may not be used, so it prepares for wear compared to the structure using the shaft and reduces the cost effect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자성부(112)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magnetic unit 112 provide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to rotate.

본 발명에 따른 자성부(11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agnetic units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2개의 자성부(112)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wo magnetic parts 112 may be applied 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성부(112)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동력을 전달하는 막대 모양의 기계 부품인 샤프트로 상호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magnetic part 11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rconnected by a shaft, which is a rod-shaped mechanical part that transmits power, unlike the prior art, but is spaced apart, and the rotation is transmitted by mutual magnetism. ha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자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2a and 2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gnetic part applied to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본 발명에 2개의 자성부(112)가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많은 개수의 자성부(112)가 적용될 수 있다.2A and 2B, it is assumed that two magnetic units 112 a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magnetic units 112 may be applied.

도 2a의 (a)에는 제 1 자성부(112)가 도시되고, 도 2a의 (b)에는 제 2 자성부(112')가 도시되어 있다.The first magnetic part 112 is shown in (a) of FIG. 2A,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is shown in FIG. 2A (b).

여기서 제 1 자성부(112)는 전술한 모터부(111)과 연결되고, 모터부(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자성부(112)는 회전하게 된다.Here, the first magnetic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motor unit 111 , and the first magnetic unit 112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111 .

또한, 제 2 자성부(112')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제 1 자성부(112)와 연결되지 않고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art 112 using a shaft and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제 1 자성부(112)가 회전하는 경우,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격된 제 2 자성부(112')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magnetic part 112 rotates,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spaced apart by using the magnetism between the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can also be rotated. do.

여기서 제 2 자성부(112')는 후술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제 2 자성부(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피 재료를 포함한 채 회전하게 된다.Here,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is connected to a coffee extracting unit 12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rotates with the coffee material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격된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의 세기를 더 강하게 하여 제 1 자성부(112)의 회전에 제 2 자성부(112')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 각각을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ic part 112 by strengthening the magnetic strength between the spaced apart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Each of the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 wa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were coupled to react sensitively.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1개의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보다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된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이격된 자석의 회전을 더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rotation using a magnet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can induce rotation of spaced apart magnets more easily than rotation using a single magnet through an experiment.

도 2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는 4개의 조각 자석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복수의 조각 자석의 결합 형태를 통해 제 1 자성부(112)의 회전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자성부(112')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회전하게 된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ure 2a, the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is composed of four piece magnets, and through the coupling form of the plurality of piece magnets,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ic part 112 responds more sensitively to rotation.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자성부(112)가 4개의 조각난 자석으로 구성된 실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B , an actual form in which the first magnetic part 112 is composed of four fragmented magnets is shown.

도 2a 및 도 2b에서는 4개의 자석으로 자성부(112)가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2A and 2B have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the magnetic part 112 is implemented with four magne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ases including a plurality of magnets may be included.

한편, 저장부(120)는 물 또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거나 구동부(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20 stores a beverage such as water or coffee or provides a function of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110 .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물 저장부(121) 및 커피 추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torage unit 121 and a coffee extraction unit 122 .

먼저,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water storage unit 121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water for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and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또한, 상기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have.

이때, 사용자가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채된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changed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the user rotating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water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only through an open ho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121 .

따라서 상기 동작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rough the above opera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다음으로,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Next,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may place the coffee material for coffee production therein, and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110 .

여기서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커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피 이외에 홍차, 녹차 등의 차도 포함할 수 있으며, 결국,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Here, the coffee extractor 122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coffee is the target,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ffee, and may include tea such as black tea, green tea, etc. in addition to coffee.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Beverages such as coffee may be produced by contact of the coffee extractor 122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10 and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1 .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커피 추출부(122)를 회전시켜, 내부에서 회전하는 커피 재료와 물을 접촉시켜 음료를 제조하게 되므로, 뜨거운 물이 아닌 차가운 물에서도 손쉽게 소비자가 원하는 풍미를 포함하는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coffee extractor 122 to produce a beverage by contacting the coffee material and water rotating inside, so that a beverage containing the flavor desired by the consumer can be easily obtained even in cold water rather than hot water. can be manufactured.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해, 물의 온도, 장 시간 걸리는 제조 방법 등의 걱정 없이 소비자는 커피 등의 음료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is structure, the consumer can easily manufacture beverages such as coffee without worrying about the temperature of water or a long-time manufacturing method.

또한, 상기 커피 추출부(122)는 적어도 일부가 매쉬 구조(mesh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122 may be formed in a mesh structure.

결국,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생성되면, 상기 제조된 음료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a result, when a beverage such as coffee is produced by contact of the rotating coffee extractor 122 and water input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prepared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or 122 . do.

또한, 상기 매쉬 구조는 이중의 형태로 구현되어 매쉬 구조에 포함된 홀의 오픈(open)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sh structure is implemented in a double shap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hole included in the mesh structure is open.

예를 들어, 2중으로 이루어진 매쉬 구조 중 제 1 매쉬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여 내부의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이고, 제 2 매쉬 구조는 제 1 매쉬 구조를 둘러싸고 있고, 제 1 매쉬 구조의 홀을 막거나 오픈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esh structure among the mesh structures made of a double is a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the beverage therein, including at least one hole, and the second mesh structure surrounds the first mesh structure, the first mesh structure can block or open the hole of

일반적으로 음료를 제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 2 매쉬 구조를 오픈하는 위치로 변경하여, 제 1 매쉬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음료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a beverage is produc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econd mesh structure is changed to an open position, so that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at least one hole of the first mesh structure.

단, 음료의 본격적인 생산 이전에 음료의 재료에 물을 투입하여 예비적으로 추출을 진행하고, 그 이후에 음료 제작을 하는 경우에는, 예비적 추출을 위해 제 2 매쉬 구조를 닫는 위치로 변경하여, 제 1 매쉬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홀이 모두 막아져서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before the full-scale production of the beverage, water is added to the beverage material to preliminarily extract, and then, in the case of beverage production, by changing the second mesh structure to the closing position for preliminary extraction, At least one hole of the first mesh structure is block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insid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상태, 음료 제조 장치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음료 제조 장치의 방위, 음료 제조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음료 제조 장치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음료 제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대표적으로 센싱부(140)는 외부 터치 자극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such as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loc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like.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ypically, the sensing unit 140 may b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n external touch stimulus.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upled,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which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 a sound output module 152 , an alarm unit 153 , a haptic module 154 , and the like.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음료 제조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UI) or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beverage manufacturing is displayed. In addition, a photographed and/or received image or UI or GUI may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t least one of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of a transparent type or a light-transmitting type so that the outside can be viewed through them.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transmitting structure.

또한, 음료 제조 장치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layered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hange in capacitance occurring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ed position and area,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he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a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has been touched, and the like.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or the inner region of the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wrapp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span than contact sensors and their utility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of a capacitive typ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ct of bringing the pointer closer to the touch screen without making contact so that the pointer is recognized as being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at which a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at which the pointer vertically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in proximity.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proximity touch distance, proximity touch direction, proximity touch speed, proximity touch time, proximity touch position,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stored in the memory 160 .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음료 제조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또한, 알람부(153)는 음료 제조 장치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음료 제조 장치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In addition, 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153 .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may be output sequentially.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is a pin arrangement that move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the blow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the nozzle or suction port, the grazing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the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etc.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an effect caused by heat absorption and an effect by reproducing a feeling of cold and heat using an element capable of absorbing heat or generating heat.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음료 제조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may not only deliver the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may also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output data.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input.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disk and an optical disk.

커피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coffee storage unit 170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beverages, such as coffe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저장부(170)는 음료 제조 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음료를 따르기 위한 별도의 주둥이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ffee storage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from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pout structure for pouring the beverag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음료 제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It carries out the relevant control and processing, for example, for the manufacture of beverages, etc.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capable of recognizing a hand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

핵심기술 1Core technology 1

핵심기술 1은, 저온 또는 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Core technology 1 relates to a technology for extracting a stock solution in a short time using a rotational induction centrifuge in a low- or high-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이하에서는 전술한 음료 제조장치(100)의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핵심기술 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re technology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s 3a to 3c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 장치(100)는 가장 상단에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3a,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user input unit 130 for generating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100 at the top.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에 따른 명령에 따라 커피 추출부(122)의 회전 정도가 변화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ffee extractor 12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comman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unit 130 .

즉, 모터(111)의 회전 속도를 사용자 입력부(130)에 따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며, 최종적으로 커피 추출부(122)의 회전 정도가 변화되는 것이다.That i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1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unit 130 , and accordingly,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magnetic uni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is adjusted, and finally the coffee extraction unit The degree of rotation of (122) is changed.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부(130) 하단에 전원 공급부(190)로서 배터리가 배치되고, 전원 공급부(190) 주변을 물 저장부(121)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Next, a battery as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user input unit 130 , and the water storage unit 121 surrounds the power supply unit 190 .

여기서,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Here, the water storage unit 121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water for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and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또한, 상기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have.

이때, 사용자가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채된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changed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the user rotating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water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only through an open ho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121 .

따라서 상기 동작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rough the above opera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하단에 모터부(111)가 배치되고, 모터(111)와 연결된 제 1 자성부(112)가 배치된다.In addition, the motor unit 11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first magnetic unit 112 connected to the motor 111 is disposed.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성부(112)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동력을 전달하는 막대 모양의 기계 부품인 샤프트로 상호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part 11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rconnected by a shaft, which is a rod-shaped mechanical part that transmits power, unlike the prior art, but is spaced apart and rotated by mutual magnetism. structure to be transmitted.

즉, 제 1 자성부(112)는 전술한 모터부(111)과 연결되고, 모터부(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자성부(112)는 회전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magnetic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aforementioned motor unit 111 , and the first magnetic unit 112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111 .

또한, 제 2 자성부(112’)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제 1 자성부(112)와 연결되지 않고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portion 112 ′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ortion 112 using a shaft and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제 1 자성부(112)가 회전하는 경우,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격된 제 2 자성부(112’)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magnetic part 112 rotates,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spaced apart by using the magnetism between the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can also be rotated. do.

여기서 제 2 자성부(112’)는 후술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제 2 자성부(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피 재료를 포함한 채 회전하게 된다.Here,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is connected to a coffee extracting unit 12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rotates with the coffee material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격된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의 세기를 더 강하게 하여 제 1 자성부(112)의 회전에 제 2 자성부(112’)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 각각을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ic part 112 by strengthening the magnetic strength between the spaced apart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Each of the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 wa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were coupled to react sensitively.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1개의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보다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된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이격된 자석의 회전을 더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rotation using a magnet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can induce rotation of spaced apart magnets more easily than rotation using a single magnet through an experiment.

또한, 제 2 자성부(112')의 하단에는 커피 추출부(122)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제 2 자성부(1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may place coffee ingredients for coffee production therein, and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above-described second magnetic unit 112 ′.

여기서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커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피 이외에 홍차, 녹차 등의 차도 포함할 수 있으며, 결국,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Here, the coffee extractor 122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coffee is the target,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ffee, and may include tea such as black tea, green tea, etc. in addition to coffee.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제 2 자성부(1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Beverages such as coffee may be prepared by contact of the coffee extractor 122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and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1 .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커피 추출부(122)를 회전시켜, 내부에서 회전하는 커피 재료와 물을 접촉시켜 음료를 제조하게 되므로, 뜨거운 물이 아닌 차가운 물에서도 손쉽게 소비자가 원하는 풍미를 포함하는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coffee extractor 122 to produce a beverage by contacting the coffee material and water rotating inside, so that a beverage containing the flavor desired by the consumer can be easily obtained even in cold water rather than hot water. can be manufactured.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해, 물의 온도, 장 시간 걸리는 제조 방법 등의 걱정 없이 소비자는 커피 등의 음료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is structure, the consumer can easily manufacture beverages such as coffee without worrying about the temperature of water or a long-time manufacturing method.

또한, 상기 커피 추출부(122)는 적어도 일부가 매쉬 구조(mesh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122 may be formed in a mesh structure.

결국,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생성되면, 상기 제조된 음료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a result, when a beverage such as coffee is produced by contact of the rotating coffee extractor 122 and water input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prepared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or 122 . do.

또한, 커피 추출부(122)의 하단에는 커피 저장부(170)가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offee storage unit 17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여기서 커피 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Here, the coffee storage unit 170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beverages, such as coffe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저장부(170)는 음료 제조 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음료를 따르기 위한 별도의 주둥이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ffee storage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from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pout structure for pouring the beverage.

다음으로, 도 3b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100)의 외관을 상측에서 일정 각도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Next, Figure 3b shows the appearanc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side at a certain angle, Figure 3c shows a state viewed from the side.

또한,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100)는 도 3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음료 제조 장치(100)는 가장 상단에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표시된다.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as described in FIG. 3a ,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s the uppermost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The generated user input unit 130 is displayed.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 하단에 전원 공급부(190)로서 배터리가 배치되고, 전원 공급부(190) 주변을 물 저장부(121)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In addition, a battery is disposed as the power supply unit 190 at the lower end of the user input unit 130 , and the water storage unit 121 surrounds the power supply unit 190 .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하단에 모터부(111)가 배치되고, 모터(111)와 연결된 제 1 자성부(112)가 배치된다.In addition, the motor unit 11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first magnetic unit 112 connected to the motor 111 is disposed.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성부(112)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동력을 전달하는 막대 모양의 기계 부품인 샤프트로 상호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part 11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rconnected by a shaft, which is a rod-shaped mechanical part that transmits power, unlike the prior art, but is spaced apart and rotated by mutual magnetism. structure to be transmitted.

또한, 제 2 자성부(112')의 하단에는 커피 추출부(122)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제 2 자성부(1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and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may place coffee ingredients for coffee production therein, and the second magnetic unit described above. I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112').

또한, 상기 커피 추출부(122)는 적어도 일부가 매쉬 구조(mesh structure)로 형성되고,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생성되면, 상기 제조된 음료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122 is formed in a mesh structure, and beverages such as coffee are produced by contact of the rotating coffee extractor 122 and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1 . When done, the prepared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or 122 .

또한, 커피 추출부(122)의 하단에는 커피 저장부(170)가 배치되고, 커피 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ffee storage unit 17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and the coffee storage unit 170 stores beverages such as coffe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function is provid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서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extraction unit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것과 같이,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torage unit 121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water for input in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and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도 5를 참조하면,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 and a plurality of holes ( 123) may be included.

이때, 사용자가 음료 제조 장치(110)의 상단 영역(200)을 회전시킴으로써,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rotating the water storage unit 121 by rotating the upper region 200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10 .

이와 같이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치된 복수의 홀(123)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changed,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open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123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only through the hole.

따라서 상기 동작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rough the above opera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기초로 음료가 제조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beverage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통해 음료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beverage is manufactured through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모터(111)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제 1 자석(112)이 회전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Referring to FIG. 6 , first, the first magnet 112 is rotated us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motor 111 ( S100 ).

S100 단계에서의 제 1 자석(112)의 회전 및 자성에 대응하여 샤프트 없이 이격된 제 2 자석(112')이 회전하게 된다(S200).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d magnetism of the first magnet 112 in step S100, the second magnet 112' spaced apart without a shaft is rotated (S200).

이후, 제 2 자석(112')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 2 자석(112')과 연결된 커피재료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부(122)가 회전하게 된다(S300).Thereafter, us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gnet 112 ',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including the coffee material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 112' is rotated (S300).

S300 단계 이후,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물 저장부(121)에 저장된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고(S400),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 내의 커피 재료로 투입된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500).After step S300,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21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130 is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S400), and as the coffee material in the rotating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e step of extracting coffee by the input water proceeds (S500).

이후, 추출된 커피가 매쉬 구조의 커피 추출부(122) 외부로 토출되고(S600), 토출된 커피가 커피 저장부(170)에 유입된다(S700).Thereafter, the extracted coffe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of the mesh structure (S600), and the discharged coffee is introduced into the coffee storage unit 170 (S700).

이후, 사용자는 커피 저장부(170)는 음료 제조 장치(100)로부터 분리하여 마실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can drink the coffee storage unit 170 by separating it from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

한편,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 추출부의 회전 정도와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Meanwhile,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rotation degree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extraction unit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in FIG. 6 .

도 7에서 S100 단계 내지 S700 단계는 도 6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과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화를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도 6과 다른 단계들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Steps S100 to S700 in FIG. 7 are the same as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so for the sake of simpl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steps different from those of FIG. 6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S300 단계 이후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모터(111)의 RPM이 변경되는 단계(S310)가 진행된다.Referring to FIG. 7 , after step S300 , a step S310 in which the RPM of the motor 111 is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130 is performed.

모터(111)의 RPM 변경에 대응하여, 제 1 자석(112) 및 제 2 자석(112')의 회전 정도가 함께 변화된다(S320).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RPM of the motor 111,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112 and the second magnet 112' is changed together (S320).

따라서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커피 추출부로 투입되는 단계(S400)에서 커피 추출부(122)가 회전하는 정도를 상기 S310 단계 내지 S320 단계를 통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ffee extractor 122 in the step (S400)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is put into the coffee extractor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130 is adjusted through the steps S310 to S320. it is possible

또한, S400 단계 이후에, 커피 머신의 상단부(20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단계(S410)와 상단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커피 추출부로 투입되는 공간이 변화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In addition, after step S400, in response to the step (S410) of the user rotating the upper end 200 of the coffee machine and the step of changing the spac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is put in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upper end (S420) ) is in progress.

이후, 변화한 공간에 따라 커피 추출부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는 단계(S430)가 진행된다.Thereafter, a step (S430) of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changed space is performed.

따라서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 내의 커피 재료로 투입된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단계(S500)에 있어 투입되는 물의 양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Therefore, the advantage is provided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input in the step (S500) of coffee is extracted by the water injected into the coffee material in the rotating coffee extraction unit.

한편,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식에 의해 제조된 커피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TDS, 제조시간 등을 비교한 표 및 그래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table and graph comparing the TDS, manufacturing time, etc. of the coffee prepared by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ffee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커피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결과물을 상호 비교하고자 한다.Referring to FIG. 8 , a result of coffee prepared by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ffe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is to be compared with each other.

도 8에서 D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결과값을 나타낸다.In FIG. 8, D1 represents a result value of coffee prepared by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X 축의 TDS는 total dissolved solids의 약어로서, 전용 함유 농도를 의미하고, 최종 결과물에 포함된 커피 원액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이다.In addition, TDS on the X-axis is an abbreviation of total dissolved solids, which means the concentration of exclusive cont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offee undiluted solution included in the final result.

또한, 브릭스(Brix)는 당도를 측정하는 단위로서, 100g의 물에 녹아 있는 사탕수수 설탕의 g수를 말한다.In addition, Brix is a unit for measuring sugar content, and refers to the number of g of cane sugar dissolved in 100 g of water.

또한, extraction time은 커피 추출에 걸린 총 소요시간을 의미하고, extraction temp는 커피를 추출한 온도를 의미한다.In addition, extraction time means the total time taken for coffee extraction, and extraction temp means the temperature at which coffee is extracted.

또한, 도 8에서 D2는 회전을 적용한 침출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물에 커피를 담근 상태에서 회전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종래의 방법이다.In addition, D2 in FIG. 8 is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by leaching method applying rotation,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of extracting coffee by rotating it in a state of immersing coffee in water.

또한, 도 8에서 D3는 침출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물에 커피를 담근 상태로 시간을 두고 기다려 커피를 추출하는 종래의 방법이다.In addition, D3 in FIG. 8 is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by leaching,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of extracting coffee by waiting for a while in a state of immersing coffee in water.

또한, 도 8에서 D4는 여과식으로 커피에 물을 부어 커피를 바로 추출하는 종래의 방법이다.In addition, in FIG. 8, D4 is a conventional method of directly extracting coffee by pouring water into coffee in a filtration method.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1 방식이 침출식 D3 방식과 회전 및 침출식 D2 방식보다 TDS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8 , it can be seen that the D1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er TDS than the leaching D3 method and the rotating and leaching D2 method.

여기서, 여과식 D4 방식이 D1 방식보다 TDS가 높기는 하나 D4 방식은 D1 방식에 비해 시간이 10배로 오래 걸린 결과물이다.Here, although the filtered D4 method has a higher TDS than the D1 method, the D4 method takes 10 times longer than the D1 method.

즉, extraction time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장 적은 소요시간에 침출식 D3 방식과 회전 및 침출식 D2 방식보다 높은 TDS를 포함하는 커피를 제조하고, D4 방식보다 10배 빠르게 커피를 추출하고 있는 것이다.That is, referring to the extraction time results,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coffee with a higher TDS than the leaching D3 method and the rotary and leaching D2 method in the shortest time required, and extracts coffee 10 times faster than the D4 method. will be.

또한, 커피 추출 온도는 23도로서, 상온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D1 방식을 수요자들이 원하는 풍미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on temperature is 23 degree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coffee of the flavor desired by consumers by the D1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room temperature.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 설명한 TDS의 결과값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FIG. 8(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TDS described in FIG. 8(a).

전술한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water is added to the rotating extraction unit including the beverage material to manufacture a beverage, and to provide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manufactu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can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9 shows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는 상부 캡, 물 저장부(121), 구동부(110), 커피 추출부(122), 커피저장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cap, a water storage unit 121 , a driving unit 110 , a coffee extraction unit 122 , a coffee storage unit 170 , and the like. have.

여기서 상부 캡(cap)은 사용자 입력부(130) 및 센싱부(140)를 포함한다.Here, the upper cap includes a user input unit 130 and a sensing unit 140 .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또한, 센싱부(140)는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상태, 음료 제조 장치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음료 제조 장치의 방위, 음료 제조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음료 제조 장치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음료 제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대표적으로 센싱부(140)는 외부 터치 자극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such a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the loc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etc.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s generated. Typically, the sensing unit 140 may b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n external touch stimulus.

또한,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121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water for inpu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and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The water storage unit 12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and a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이때, 사용자가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채된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changed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the user rotating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water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only through an open ho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121 .

또한, 도 9에서는 커피 추출부(122)가 도시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9 ,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is shown, and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may place coffee ingredients for coffee production therein, and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110 . . At this time, a beverage such as coffee may be produced by contact of the coffee extractor 122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10 and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1 .

또한, 커피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ffee storage unit 170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beverages, such as coffe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자성부(112)는 전술한 모터부(111)과 연결되고, 모터부(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자성부(112)는 회전하고, 제 2 자성부(112')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제 1 자성부(112)와 연결되지 않고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Meanwhi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 the first magnetic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aforementioned motor unit 111 , and the first magnetic unit 112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111 .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art 112 using a shaft and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제 1 자성부(112)가 회전하는 경우,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격된 제 2 자성부(112')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magnetic part 112 rotates,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spaced apart by using the magnetism between the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can also be rotated. do.

여기서 제 2 자성부(112')는 커피 추출부(122)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제 2 자성부(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피 재료를 포함한 채 회전하게 된다.Here,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is connect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 and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rotates while including the coffee material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한편, 이러한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의 자성에 의해, 모터부(111)의 일축이 지속적으로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모터부(111)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one axis of the motor unit 111 is continuously pulled or pushed by the magnetism of the first magnetic uni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the failure of the motor unit 111 occurs frequently. problems may aris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 시 마찰계수 최소화를 위해 추가 마그네틱(410, 420)을 배치하고, 추가 마그네틱의 척력을 통한 자기부상을 기초로, 모터부(111)의 일축에 대한 힘을 상쇄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magnets 410 and 420 are arranged to minimize the friction coefficient during rotation, and based on the magnetic levitation through the repulsive force of the additional magnetic, the method of offsetting the force on one axis of the motor unit 111 is provided. I would like to suggest

도 10은 자성에 의해 모터의 일축이 밀리면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를 제안하는 도면이다.10 is a view propos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a problem in which a failure frequently occurs while one shaft of the motor is pushed by magnetism.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부 캡, 물 저장부(121), 구동부(110), 커피 추출부(122), 커피저장부(170) 등이 도시되고, 구동부(110)의 일 구성으로,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를 포함하는 자성부(112)의 구조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above-described upper cap, water storage unit 121, driving unit 110, coffee extracting unit 122, coffee storage unit 170, etc. are shown, and as on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110, The structure of the magnetic part 112 including the first magnetic par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is shown.

이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추가 마그네틱(410, 420)은 커피 추출부(122)와 커피저장부(17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dditional magnetics 410 and 42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ffee extractor 122 and the coffee storage unit 170 .

즉, 모터부(111)의 회전 시,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에 의한 마찰계수 최소화를 위해, 커피 추출부(122)와 커피저장부(170) 사이의 공간에 추가 마그네틱(410, 420)을 배치한다.That is, when the motor unit 111 is rotated, in order to minimize the friction coefficient by the first magnetic unit 112 and the second magnetic unit 112 ′, between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and the coffee storage unit 170 . Place additional magnets 410 and 420 in the space.

이때, 추가 마그네틱(410, 420) 중 제 1 추가 마그네틱(410)과 제 2 추가 마그네틱(420)은 서로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척력에 의한 자기부상 되는 효과를 기초로, 모터부(111) 의 일축에 대한 힘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dditional magnetic 410 and the second additional magnetic 420 of the additional magnetics 410 and 420 are arranged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with each other, and based on the effect of being magnetically levitated by this repulsive force, the motor unit 111 ) can be offset against the uniaxial force of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 방법이 장시간(500cc 물을 추출 시 6~12시간 소요)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requires a long time (6 to 12 hours when extracting 500 cc water),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expansion because it cannot be mass-produced even if it is manufactured.

또한, 커피 외에도 소비자들은 녹차, 홍차 등 각종 차 즉, 음료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는데, 종래와 같은 장시간을 소요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커피, 녹차, 홍차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o coffee, consumers are very interested in various teas, such as beverages,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can provide

핵심기술 2Core technology 2

핵심기술 2는,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Core technology 2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에서는, 핵심기술 2를 통해,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core technology 2, it is highly likely to be exposed to unsanitary environments such as microbial growth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xtraction tool is difficult to clean.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전해 살균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electrolysis sterilization function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 beverage at a temperature desired by a us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가 도시되고, 500 부분에, 수전해 살균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위한 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a structure for the function of providing a beverage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a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may be inserted in the 500 part.

도 11을 참조하면, 500부분은 상부 물통(121), 물 투입을 위한 복수의 개방홀(123), 핵심기술 2에 적용되는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 및 후술하는 핵심기술 3을 위한 발열체(5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500 part includes an upper bucket 121 , a plurality of open holes 123 for water input, an electrode 510 for producing sterile water applied to core technology 2, and a core technology 3 to be described later. It includes a heating element 520 .

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에 대해서도 도 11에 도시된다.A view viewed from above is also shown in FIG. 11 .

즉, 도 11을 참조하면, 중심에 있는 스틱부(110)가 도시되고, 스틱부(110)를 둘러싸면서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이 배치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 11 , the stick part 110 in the center is shown, and the electrode 510 for producing sterile water is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stick part 110 .

또한, 전극(510)을 둘러싸면서 발열체(520)가 배치되고, 스틱부(110), 전극(510) 및 발열체(520)는 상부 물통(121)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물이 된다.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520 is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electrode 510 , and the stick unit 110 , the electrode 510 , and the heating element 520 become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upper bucket 121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500 부분에 삽입되어 무균수를 제조하는 전극(5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lectrode 510 inserted into the 500 part to produce sterile wa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2는 도 11의 수전해 살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of FIG. 11 .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산성수, 알칼리수 및 살균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기분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2 , an example of an electrolysis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acidic water, alkaline water, and sterilizing water as needed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는 + 단자(20), 제 1 - 단자(10), 제 2 - 단자(30), 격막(515), 투입부(511), 하우징(514), 역류방지부(513), 제 1 배출부(512) 및 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electro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 terminal 20 , a first - terminal 10 , a second - terminal 30 , a diaphragm 515 , an input part 511 , and a housing 514 . ), a backflow prevention unit 513 , a first discharge unit 512 , and may include.

가장, 먼저 투입부(511)는 전기분해를 위해 전해질이 투입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원수가 투입될 수 있다.First, in the input unit 511, electrolyte is input for electrolysis, typically raw water may be input.

또한, 하우징(514)은 본 발명의 전기분해 장치의 각 요소들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 역할을 담당하며, 도 7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상기 구성들을 포함하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514 serves as a case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each element of the electrolysi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more various form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form shown in FIG. 7 .

다음으로, 역류방지부(513)는 투입부(511)를 통해 입력된 원수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가 투입부(511)를 통해 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Next,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513 prevents the raw wat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11 or the ionized water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from being discharged backward through the input unit 511 , and a specific operation method f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

또한, 제 1 - 단자(10)와 + 단자(20)는 도 1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 전극과 (+) 전극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first - terminal 10 and the + terminal 20 refer to the (-) electrode and the (+) electrod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6C .

또한, 제 1 - 단자(10)와 + 단자(20) 사이에는 격막(515)이 존재하고, 도 1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 단자(10)에서는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고, + 단자(20)에서는 산성 이온수가 생성된다.In addition, a diaphragm 515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 terminal 10 and the + terminal 20, an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6C , alkaline ionized water is generated in the first - terminal 10, + At the terminal 20 , acidic ionized water is generated.

이때, + 단자(20) 측에는 제 2 - 단자(3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 terminal 30 is provided on the + terminal 20 side.

+ 단자(20)와 제 2 - 단자(30) 사이에는 격막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도 1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무격막의 상황에서 원수에 존재하는 미량의 물속 미네랄과 잔류염소가 전해질 역할을 하므로 전극의 소재에 따라 교효율의 전해 살균수를 얻을 수 있다.A diaphragm is not provided between the + terminal 20 and the second - terminal 30, and as described in FIGS. 1A to 6C , in the absence of a diaphragm, a trace amount of minerals and residual chlorine in the water present in the raw water are electrolyte Since it plays a role, it is possible to obtain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with cross-efficienc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또한, 무격막 전해조 내에 NaCl 혹은 HCl을 첨가하여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여 살균수로 활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generating hypochlorous acid water by adding NaCl or HCl in the non-diaphragm electrolyzer and utilizing it as sterilizing water may be applied.

단,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 단자(30)에 - 전극을 걸어주는 것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hooking the - electrode to the second - terminal 30 may be selectively used.

즉, 사용자 입력부 또는 제어부를 통해, 제 2 - 단자(30)에 - 전극이 걸리는 경우에는 살균수가 생성되지만 - 전극이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원래의 산성 이온수가 생성된다.That is, through the user input unit or the control unit, when the electrode is applied to the second terminal 30 , the sterilizing water is generated, but when the electrode is not applied, the original acidic ionized water is generated.

따라서 제 1 배출부(512)를 통해서는 알칼리 이온수가 배출되고, 제 2 배출부(516)를 통해서는 산성 이온수 또는 살균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Therefore, alkaline ioni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512 , and acidic ionized water or sterilized water is sel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516 .

한편, 추가적인 전극을 + 단자(20) 측이 아닌 제 1 제 1 - 단자(10)에 배치할 수도 있다.Meanwhile, an additional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1 - terminal 10 instead of the + terminal 20 side.

즉, + 단자(20)를 제 1 + 단자(20)로 호칭하면, 제 1 - 단자(10) 측에 제 2 + 단자(50)를 추가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 terminal 2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 terminal 20 , the second + terminal 50 may be added to the first - terminal 10 side.

이때, 수돗물이 아닌 정수물을 투입하는 경우, 상기 전극의 동작을 통해 균을 없애고, 결국 무균수를 제조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purified water, not tap water, is added, bacteria are remov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lectrode, and sterile water can be produc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극(510)을 통해, 무균수를 제조하고, 무균수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거나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lectrode 510, by preparing sterile water and using the sterile water to prepare a beverage or perform washing, exposure to unsanitary environments such as microbial growth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high, and the extraction tool 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clean.

핵심기술 3Core technology 3

핵심기술 3은, 제조하는 물의 온도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Core technology 3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a temperature desired by a user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be manufactur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가 도시되고, 500 부분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위한 구조물(520)이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a structure 520 for the function of providing a beverage of a user's desired temperature may be inserted in the 500 part.

도 11을 참조하면, 500 부분은 상부 물통(121), 물 투입을 위한 복수의 개방홀(123), 핵심기술 2에 적용되는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 및 핵심기술 3을 위한 발열체(520)를 포함한다.11, the 500 part is an upper bucket 121, a plurality of open holes 123 for water input, an electrode 510 for producing sterile water applied to core technology 2, and a heating element for core technology 3 ( 520).

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에 대해서도 도 11에 도시되는데, 중심에 있는 스틱부(110)가 도시되고, 스틱부(110)를 둘러싸면서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이 배치되며, 전극(510)을 둘러싸면서 발열체(520)가 배치되고, 스틱부(110), 전극(510) 및 발열체(520)는 상부 물통(121)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물이 된다.The view viewed from the top is also shown in FIG. 11 , wherein the stick part 110 at the center is shown, and the electrode 510 for producing sterile water is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stick part 110 , and the electrode 510 . The heating element 520 is disposed while surrounding the stick portion 110 , the electrode 510 , and the heating element 520 become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upper bucket 121 .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520)는, 나사선 타입의 유로로서, 투입된 물을 유로를 회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열하는 구조물이다.The heating element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ew-type flow path, and is a structure for heating input water while rotating and moving the flow path.

도 13은 도 11의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providing a beverage of a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of FIG. 11 .

도 13을 참조하면, (a)는 500 부분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발열체(520)의 배치 지점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13 , (a) is a view of the portion 500 viewed from the upper side, and the arrangement point of the heating element 520 is indicated.

또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나사선 타입의 유로로 형성된 발열체(520)가 도시된다.Also, referring to FIG. 13B , a heating element 520 formed as a flow path of a screw thread type is illustrated.

또한, 도 13의 (c)를 참조하면, (b)의 나사선 타입의 유로를 펼쳤을 때, 길게 연장되는 발열체(520)가 도시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3(c), when the screw-type flow path of (b) is unfolded, the heating element 520 extending long is show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14 shows a specific form in which a heating element is dis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520)가 도시되고, 도 14에 도시된 나사선 타입의 유로인 발열체(520)를 따라 투입된 물이 회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열된다.Referring to FIG. 14 , a heating element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nd water injected along the heating element 520 , which is a spiral type flow path illustrated in FIG. 14 , is heated while rotating and moving.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전극 및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 15 shows a specific form in which an electrode and a heating element are dis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15에서는 500 부분과 관련하여, 상부 물통(121), 물 투입을 위한 복수의 개방홀(123), 핵심기술 2에 적용되는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 및 핵심기술 3을 위한 발열체(520)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가 도시된다.That is, in FIG. 15, in relation to part 500, the upper bucket 121, a plurality of open holes 123 for water input, an electrode 510 for producing sterile water applied to core technology 2, and core technology 3 for A specific form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520 is disposed is show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520)는 히팅소재로 구현될 수 있고,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구조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정 열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도포하여 히팅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element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heating material, may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ity,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heating function by applying a material that generates a specific heat.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발열체(520)를 기초로, 제조하는 물의 온도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beverage of a desired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be manufactured based on the heating element 520 .

즉, 찬물로 커피를 제조한 경우, 사용자는 찬 커피를 그대로 섭취할 수도 있으나 발열체(520)를 구동시켜, 따뜻한 커피를 제공받아 섭취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coffee is prepared with cold water, the user may consume the cold coffee as it is, but may also consume hot coffee by driving the heating element 520 .

핵심기술 4Core Technology 4

핵심기술 4는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에 따른 장치의 동작 제어와 관련된 것이다.Core technology 4 is related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evice according to various coffee recipes based on IoT.

종래에는,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 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extract a certain taste, there is a problem that a designated recipe according to a technique and an extraction tool must be appli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핵심기술 4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Core Technology 4.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of the device by the IoT-based various coffee recipe program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600)과 음료 제조 장치(100)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6 , the terminal 600 and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re shown.

단말(600)과 음료 제조 장치(100) 간에는,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Between the terminal 600 and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nformation may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Wideband (UWB), ZigBee, and Wireless Fidelity (Wi-Fi) technologies.

또한,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may include.

또한, 단말(600)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 등의 맛을 도출하기 위한 레시피를 지정할 수 있고, 이를 전달 받은 음료 제조장치(100)는 지정받은 레시피에 따라 음료를 제조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600 may designate a recipe for deriving a desired taste, such as coffee, by a user through a specific application, etc., and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receiving the recipe manufactures a beverage according to the designated recipe.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 연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맞추어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이 자동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in conjunctio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extraction tim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offe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ffee recipe program specified by the user.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음료제조장치(100)는 다음의 3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 기호에 따른 음료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After all,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anufacture a beverag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rough the following three methods.

(1) 상부 CAP에 회전체 속도 조절용 터치센서를 적용하여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1) The coffee extraction tim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can be adjusted by applying a touch sensor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rotating body to the upper CAP.

전술한 상부 캡(cap)의 사용자 입력부(130) 및 센싱부(140)를 기초로,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Based on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he sensing unit 140 of the above-described upper cap, coffee extraction tim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can be easily adjusted.

(2) 사용자가 상단 cap 구조를 회전시켜,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2)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rotate the top cap structure to determine whether water is supplied or not.

(3)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 연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맞추어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3)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extraction tim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offee according to the coffee recipe program specified by the user by interlocking wit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따라서 상기 구조 및 기능을 통해, 종래의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 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above structure and func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pplying a designated recipe according to a technique and an extraction tool in order to extract a conventional constant taste.

핵심기술 5Core technology 5

핵심기술 5는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Core technology 5 relates to the structure of a rotating body for foam generation.

커피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 카페라떼, 카푸치노 등을 위하 우유 거품을 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anufacturing beverages such as coffee, milk froth may occur for cafe latte, cappuccino,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자성체를 이용한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ng body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s using an additional magnetic body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는, 제 2 자성부(112')를 대신하여 제 1 자성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art 112 instead of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즉, 커피추출부(122) 단의 제 2 자성부(112')를 제 1 자성부(112) 측으로부터 분리하고, 대신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연결하여 커피 저장부(170) 상의 커품을 유도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magnetic part 112' of the coffee extraction part 122 en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part 112 side, and instead a rotating body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s is connected to the coffee storage part 170. can induce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7 and 18 show a structure of a rotating body for generating bubble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a) 내지 (c) 를 참조하면,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700)의 헤드가 도시된다.Referring to (a) to (c) of Figure 17, the head of the rotating body structure 700 for generating bubbles is shown.

즉, 제 1 자성부(112) 측과 자성을 이용하여 붙는 머리부(710)와 연결부(720)이 도시된다.That is, the first magnetic part 112 side and the head 710 and the connecting part 720 attached using magnetism are shown.

특히, 도 17의 (c)를 참조하면, 머리부(710) 내에는 회전 자성체(730)가 삽입되어 제 1 자성부(112) 측에 자성을 통해 연결된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17C , the rotating magnetic body 730 is inserted into the head 710 and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ic part 112 through magnetism.

또한, 도 17의 (d)를 참조하면, 연결부(720) 내에는 연결 자성체(740)가 삽입되어 하단의 거품 구조물과 연결 가능하다.In addition, referring to (d) of Figure 17, the connection portion 720 is inserted in the magnetic connection body 740 can be connected to the foam structure at the bottom.

도 18을 참조하면, 거품 구조물이 연결 자성체(740)를 이용하여 헤드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8 , a state in which the foam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head using the connecting magnetic body 740 is shown.

거품 구조물은 연결 자성체(740)에 자성을 통해 달라붙는 서포트부(750)와 회전체(760)로 구성된다.The foam structure is composed of a support part 750 and a rotating body 760 that adhere to the magnetic connection body 740 through magnetism.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760)는 거품 발생시, 음료가 외부로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작되었다.In particular, the rotating body 7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beverage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when bubbles are generated.

즉, 제 1 부분(761)은 회전을 유도하는 제 2 부분(762)보다 좁고, 더 이격이 많은 회전 구조로 제작된다.That is, the first portion 761 is narrower than the second portion 762 for inducing rotation, and is manufactured in a rotational structure with more spacing.

제 1 부분(761)이 음료로 삽입시 이러한 구조를 통해,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이 방지되고, 제 2 부분(762)이 음료로 삽입되면 본격적으로 음료(우유 등)를 회전시켜 거품을 발생시킨다.When the first portion 761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the beverage is prevented from splashing out through this structure, and when the second portion 762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the beverage (milk, etc.) is rotated in earnest to generate bubbles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가 자성체 구조물을 이용하여, 거품 발생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aming function to the user by using an additional magnetic structure.

핵심기술 6Core technology 6

핵심기술 6은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Core technology 6 relates to the pad structure to prevent slipping due to vibration of the device.

회전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 기기가 미끌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extracting the beverage through rota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device slid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제안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ad structure for preventing such slippage.

도 19a 내지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9A to 21 show a pad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age due to vibration of a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패드(800)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19A , a pad 800 for preventing slipp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패드(800)는 측면에 배치되는 링부(820)와 파인 형태의 바닥부(840)로 구성된다.The pad 800 is composed of a ring portion 820 disposed on a side surface and a bottom portion 840 in a fine shape.

특히, 바닥부(840)에는 복수의 돌기부(810)가 배치된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protrusions 810 are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840 .

돌기부(810)는 도 1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9B , the protrusion 810 has a structure that becomes thinner toward the upper side and becomes thicker toward the lower side,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of absorbing vibration.

또한, 패드(800)는 하면에 진공구조가 배치된 진공부(8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ad 800 includes a vacuum unit 830 having a vacuum structure disposed on its lower surface.

도 20을 참조하면, 도 19a의 패드의 하면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0 , a specific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d of FIG. 19A is shown.

도 20을 참조하면, 바닥부(840)의 하면(840')이 도시되고, 복수의 돌기부(810)의 하측 도습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0 , the lower surface 840 ′ of the bottom part 840 is show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810 is shown.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진공부(830)의 하면 구조물(850)이 도시되고, 중앙부(851)를 중심으로 원형의 나이테 형태를 취하고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0 , the lower surface structure 850 of the vacuum unit 830 is shown, and has a circular tree ring shape with the central part 851 as the center.

사용자가 진공부(830)의 중앙부(851)를 압력으로 누르는 경우, 하면 구조물(850)의 진공 유도에 의해 바닥과 진공부(830)는 달라붙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entral part 851 of the vacuum part 830 with pressure, the floor and the vacuum part 830 adhere to the bottom structure 850 by vacuum induction.

또한, 커피 저장부(170)의 하단에는 추가적인 돌기 패드(860)가 배치되고, 돌기 패드(860)는 바닥부(840)에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dditional protrusion pad 86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ffee storage unit 170 , and the protrusion pad 860 may be seated on the bottom portion 840 .

이때, 돌기 패드(860)는 바닥부(840)에 안착되면서, 링부(820)가 측면을 압박하고, 복수의 돌기부(810)가 돌기 패드(860)와 진공을 유도함으로써, 제품은 패드 구조(800)에 밀착되어 미끌어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while the protrusion pad 860 is seated on the bottom 840, the ring part 820 presses the sid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810 induces a vacuum with the protrusion pad 860, so that the product has a pad structure ( 800) and does not slip.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드 구조를 통해,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age due to vibration of the device through the pad structure.

핵심기술 7Core technology 7

핵심기술 7은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Core technology 7 relates to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extrac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the stock solution in a short time by using the rotation induction centrifugation method in a low-temperature/high-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이때,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을 높여주면, 원액의 추출을 더 짧은 시간 내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ontact between the material such as coffee and water is increased, the extrac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a shorter time.

도 22는 본 발명의 구동부(1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구동부 캡(113)을 도시한 것이다.22 illustrates a driving unit cap 113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23는 도 22에 따른 구동부 캡(113)을 포함하는 구동부(100)가 배치되는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 23 shows a specific form in which the driving unit 100 including the driving unit cap 113 according to FIG. 22 is disposed.

도 22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 캡(113)은 자성부(112)의 일단에 배치된다.The driving unit cap 1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2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magnetic unit 112 .

도 23을 참조하면, 구동부(110)가 도시되고, 구동부(100) 내부에 삽입되는 모터부(111)와 자성을 가진 자성부(112)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3 , the driving unit 110 is shown, and the motor unit 111 inserted into the driving unit 100 and the magnetic unit 112 having magnetism are shown.

또한, 자성부(112)의 하단에 구동부 캡(113)이 배치되고, 구동부 캡(133)을 포함하는 구동부(110)는 물 저장부(121) 하단의 수용 영역에 삽입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cap 113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agnetic unit 112 , and the driving unit 110 including the driving unit cap 13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area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또한,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커피 추출부(122)가 배치되고, 전술한 것과 같이, 구동부(110) 상의 자성부(112)와 커피 추출부(122)에 포함된 자성부(122')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유도되고,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이 추출된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 and 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unit 112 on the driving unit 110 and the magnetic unit 122 includ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 ') Rotation is induced by the magnetism of the liver, and the stock solution is extracted within a short time using centrifugation.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을 높여주기 위해, 구동부 캡(113)의 제 1 물 흐름 라인(113a)과 제 2 물 흐름 라인(113b)를 이용한다.Referring back to FIG. 22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ter flow line 113a and the second water flow line 113b of the driving unit cap 113 are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between water and materials such as coffee.

구동부 캡(133)을 포함하는 구동부(110)가 물 저장부(121) 하단의 수용 영역에 삽입된 경우, 물 저장부(121)에 저장된 물은 도 22의 (a)에 도시된 구동부 캡(113)의 제 1 물 흐름 라인(113a) 또는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driving unit 110 including the driving unit cap 13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area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transferred to the driving unit cap shown in (a) of FIG. 113) may be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or 122 through the first water flow line 113a or the second water flow line 113b.

도 22의 (b) 및 (c)를 참조하면, 구동부 캡(113)의 구조 및 제 1 물 흐름 라인(113a)과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의 구조가 도시된다.22B and 22C ,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part cap 113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water flow line 113a and the second water flow line 113b are illustrated.

또한,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부(12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24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ffee extractor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상단에 구동부(110) 상의 자성부(112)와 연동하여 자성을 기초로 회전하기 위한 자성부(122')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4 , a magnetic unit 122 ′ for rotating based on magnetism in conjunction with the magnetic unit 112 on the driving unit 11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이때, 도 24의 내부를 참조하면, 제 1 계단부(123a)와 제 2 계단부(123b)가 구비된다.At this time, referring to the inside of FIG. 24 , a first step portion 123a and a second step portion 123b are provided.

즉, 평행한 일부 영역을 갖는 계단 영역으로 구성된 제 1 계단부(123a)와 제 2 계단부(123b)가 계단 형식으로 구비된다.That is, the first step portion 123a and the second step portion 123b configured as step areas having partial parallel areas are provided in a step form.

전술한 것과 같이, 구동부 캡(133)을 포함하는 구동부(110)가 물 저장부(121) 하단의 수용 영역에 삽입된 경우, 물 저장부(121)에 저장된 물은 도 22의 (a)에 도시된 구동부 캡(113)의 제 1 물 흐름 라인(113a) 또는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공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ing unit 110 including the driving unit cap 13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area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121,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shown in (a) of FIG. It may be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through the first water flow line 113a or the second water flow line 113b of the illustrated driving unit cap 113 .

이때, 제 1 물 흐름 라인(113a)은 제 2 물 흐름 라인(113b)과 비교하여 중심으로 말미가 꺽인 형태를 가지고, 제 1 물 흐름 라인(113a)을 통해 공급된 물은 커피 추출부(122)의 제 1 계단부(123a)로 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water flow line 113a has a shape bent to the center compared to the second water flow line 113b,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water flow line 113a is the coffee extractor 122 . ) falls to the first step portion 123a.

또한,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을 통해 공급된 물은 커피 추출부(122)의 제 2 계단부(123b)로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water flow line 113b falls to the second step portion 123b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제 1 계단부(123a) 및 제 2 계단부(123b)로 떨어진 물은, 제 1 계단부(123a)와 제 2 계단부(123b)의 평행한 영역에서 회전에 의해 흩뿌려지는 형태로 주변에 분사되고, 결과적으로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도가 상승된다.The water that has fallen to the first step portion 123a and the second step portion 123b is scattered around the first step portion 123a and the second step portion 123b by rotation in a parallel region. It is sprayed, and as a result, the contact degree of the material such as coffee and water is increased.

본 출원의 발명자는 제 1 물 흐름 라인(113a), 제 2 물 흐름 라인(113b), 제 1 계단부(123a) 및 제 2 계단부(123b)를 이용하여 물과 커피 등의 재료를 회전시켜 추출하는 경우, 물과 커피 등의 재료가 100% 접촉하여 추출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rotates materials such as water and coffee using the first water flow line 113a, the second water flow line 113b, the first step portion 123a and the second step portion 123b. In the case of extrac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an experiment that the extraction process proceeded with 100% contact between water and materials such as coffee.

따라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을 높여주면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the stock solution in a short time using the rotational induction centrifugation method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between the material such as coffee and water in a low/high 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핵심기술 8Core technology 8

핵심기술 8은, 음료 제조의 양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다.Core technology 8 is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control the amount of beverage production.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료 제조의 양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5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beverage prepara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음료의 원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재료 조절부(910)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 a material control unit 91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raw material of the beverage may be additionally used.

즉, 재료 조절부(910)는, 커피 추출부(122) 내에 삽입되고, 비스듬한 형태로 커피 추출부(122)의 내부에 걸리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at is, the material control unit 910 is inserted into the coffee extractor 122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that is caught inside the coffee extractor 122 in an oblique form.

만약, 재료 조절부(910)가 커피 추출부(122)의 중앙에 걸려 고정되는 경우, 커피 재료는 재료 조절부(910)의 위 또는 아래에만 충전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1/2의 커피 재료만을 손쉽게 채워 넣을 수 있다.If the material control unit 910 is caught and fixed in the center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e coffee material can be filled only above or below the material control unit 910, so that the user can use 1/2 of the coffee. You can easily fill it with just the ingredients.

다른 일례로서, 재료 조절부(910)가 커피 추출부(122)의 1/3 지점에 걸려 고정되는 경우, 커피 재료는 전체 총량의 1/3만 채워질 수 있어 사용자는 제조되는 음료의 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material control unit 910 is fixed to the 1/3 point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the coffee material can be filled with only 1/3 of the total amou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beverage to be prepared.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커피 재료를 다 집어 넣으면 100g 정도 충전되고, 재료 조절부(910)를 이용하면 50g, 25g 등으로 다양하고 간단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all the coffee ingredients are put in, about 100 g is charged, and by using the material control unit 910,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variously adjust to 50 g, 25 g, and the like.

한편, 재료 조절부(910) 위 아래로 간격이 좁아지는 가이드 형태의 구조를 추가적으로 취하고 있어, 커피 재료(가루)를 물이 통과하는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커피 맛을 높이면서, 생성되는 커피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control unit 910 additionally take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guide in which the interval is narrowed up and down, and by extending the time for water to pass through the coffee material (powder), the amount of coffee produced while increasing the taste of coffee can also be adjusted.

핵심기술 9Core technology 9

핵심기술 9는, 불림 및 그라인딩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Core technology 9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soaking and grinding functions.

먼저, 불림 기능부터 설명한다.First, the calling function will be described.

커피 가루를 바로 물과 접촉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것보다는, 미리 적정한 양의 물을 적셔 커피 가루를 불려 놓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커피의 맛과 풍미를 더 높일 수 있다.Rather than extracting coffee by directly contacting the coffee powder with water, soaking the coffee powder in an appropriate amount in advance and extracting the coffe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can enhance the taste and flavor of coffee.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림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물을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structure providing such a calling function.

도 26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불림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26A shows a structure for providing a calling func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a를 참조하면, 전술한 자성부(112, 112'), 커피 추출부(122)와 도 25에서 설명한 재료 조절부(910)가 커피 추출부(122)에 배치된 모습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6A , a state in which the aforementioned magnetic units 112 and 112 ′,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and the material adjusting unit 910 described in FIG. 25 are dispos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is shown.

이때, 본 발명에서는, 뜸들이기 또는 불림을 위한 복수의 물 구멍(921, 922, 923, 924)를 활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a plurality of water holes (921, 922, 923, 924) for steaming or soaking.

즉, 물 저장부(121)에 저장된 물이 사용자 입력부(130)의 조작에 따라 제 1 물구멍(921), 제 2 물구멍(922)를 통해 하단으로 배출되고, 커피 추출부(122) 상단에 배치된 제 3 물구멍(923) 및 제 4 물구멍(924)를 통해, 커피 추출부(122)에 배치된 커피 가루에 일부 전달된다.That i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21 is discharged to the bottom through the first water hole 921 and the second water hole 92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30 , and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The third water hole 923 and the fourth water hole 924 are partially transferred to the coffee powder disposed in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사용자 입력부(130) 상의 조작 또는 미리 지정된 조작에 따라, 일정 물의 양이 커피 가루에 전달된 이후에는, 더 이상의 물은 공급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불림 단계가 진행된다.According to an operation on the user input unit 130 or a predetermined operation, after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transferred to the coffee powder, no more water is supplied, and the soaking step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불림 단계가 진행된 이후, 전술한 동작에 따라 커피가 추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맛과 풍미를 가진 커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soaking step is performed, when coffee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coffee having a desired taste and flavor by a user.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인딩 기능을 탑재한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equipped with a grinding func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서는, 커피 추출부(122)의 적어도 일부가 홀(hole)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회전하는 재료와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음료가 제조 및 배출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므로,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되는 커피는 원두가 아닌 커피 가루가 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hole, and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a beverage is manufactured and discharged by contact of a rotating material and input water, so the coffee extraction unit ( 122) should be coffee powder, not coffee beans.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커피 가루를 구매하여 본 기기를 활용할 수도 있으나 커피 원두를 구매하는 이벤트도 발생할 수 있다.A user using the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device by purchasing coffee powder, but an event of purchasing coffee beans may also occu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피 원두를 구매한 사용자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그라인딩 기능을 통해, 커피 원두를 커피 가루로 분쇄하고, 분쇄한 커피 가루를 기초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unction for a user who has purchased coffee beans to grind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and extract coffee based on the ground coffee powder through the grinding func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6b는 그라인딩 기능이 제공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6B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a grinding function is provided.

도 26b를 참조하면, 모터부(111), 자성부(112, 112'), 물 저장부(121), 커피 추출부(122), 사용자 입력부(130) 등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6B , the motor unit 111 , the magnetic units 112 and 112 ′, the water storage unit 121 , the coffee extractor 122 , the user input unit 130 , and the like are illustrated.

앞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구조와 비교하여, 모터부(111)의 위치가 상단으로 올라가고, 전원 공급부(190)를 배터리가 아닌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공급받는 것 이외에, 나머지 동작하는 방식이나 구조는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화를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Compared to the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bove, the position of the motor unit 111 rises to the top,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instead of a battery. Since they are the same, repe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추출부(122)와 자성부(112, 112') 사이에 그라인딩부(1000)가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nding unit 1000 may be additionally inserted betwee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and the magnetic units 112 and 112 ′.

도 2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부(1000)는, 복수의 코니컬 분쇄부(1010), 감속부(1020), 원두 저장부(1030), 육각 결합부(1040), 회전 결합부(1050), 그라인딩 자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B , the grinding un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ical grinding units 1010 , a reduction unit 1020 , a bean storage unit 1030 , a hexagonal coupling unit 1040 , and a rotation coupling unit. 1050 , and a grinding magnetic unit 112 ″ may be included.

먼저, 원두 저장부(1030)는 원두 상태의 커피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여기서 저장된 커피는 복수의 코니컬 분쇄부(1010)의 회전 및 접촉에 의해, 가루로 분쇄된다.First, the bean storage unit 1030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coffee in a coffee bean state, wherein the stored coffee is ground into powder by rotation and contact of the plurality of conical grinding units 1010 .

또한, 감속부(1020)는, 복수의 코니컬 분쇄부(1010)의 회전과 관련하여, 감속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In addition, the deceleration unit 1020 is used for deceleration control in relation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conical crushing units 1010 .

한편, 그라인딩부(1000)는 전체 시스템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적용되고, 결합시 감속부(1020)의 일 축인 육각 결합부(1040)는 모터부(111)와 육각 결합되어 모터부(111)의 회전의 힘을 다이렉트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grinding unit 1000 is applied to enable coupling and separation to the entire system, and when coupled, the hexagonal coupling unit 1040, which is one axis of the reduction unit 1020, is hexagonally coupled to the motor unit 111 to be coupled to the motor unit 111 . )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directly.

또한, 그라인딩부(1000)의 결합을 돕기 위해, 회전 결합부(1050)는 모터부(111) 측의 홈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한 걸림 동작으로 강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in order to help the grinding unit 1000 to be coupled, the rotation coupling unit 1050 is coupled to the groove on the motor unit 111 side and strongly coupled with a locking operation by rotation.

한편, 복수의 코니컬 분쇄부(1010)의 회전 및 접촉에 의해, 가루로 분쇄된 커피가 회전하면서 하단의 커피 추출부(122) 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커피 추출부(122)의 자성부(112')와 그라인딩부(1000)의 그라인딩 자성부(112'')는 자성을 통한 자석 결합하여, 자성에 의해 상호 회전하면서, 가로로 분쇄된 커피가 커피 추출부(122)로 전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the rotation and contact of the plurality of conical grinding units 1010, the magnetic unit ( 112 ') and the grinding magnetic unit 112 '' of the grinding unit 10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magnetism, and mutually rotated by magnetism, the horizontally ground coffee may be transferr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22. .

또한, 원두의 분쇄 정도는 감속부(1020)의 동작을 통해 조절될 수 있고, 도 27은 본 발명의 그라인딩 기능과 관련하여, 분쇄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beans can be adju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duction unit 1020, and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degree of grinding in relation to the grind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을 참조하면, 감속부(1020)의 기준 축(1021)이 분쇄도 조절 영역(1022)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기준 축(1021)의 분쇄도 조절 영역(1022) 내의 이동에 대응하여 원두의 분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the reference shaft 1021 of the reduction unit 1020 may move within the grinding degree adjustment region 1022 , and the coffee beans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reference shaft 1021 within the grinding degree adjustment region 1022 . The degree of pulverization can be adjusted.

또한, 커피의 분쇄 동작이 종료되면, 육각 결합부(1040) 및 회전 결합부(1050)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그라인딩부(1000)를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inding operation of coffee is finished, the coupling of the hexagonal coupling part 1040 and the rotation coupling part 1050 may be released, and the grinding part 1000 may be separated.

이후, 가루로 분쇄되어 커피 추출부(122)에 담긴 커피 가루를 기초로, 전술한 동작에 따라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 of extracting coffe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ffee powder ground into a powder and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on unit 122 .

따라서 커피 가루를 구매한 사용자 이외 커피 원두를 구매한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기능을 통해, 커피 가루로 분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 과정 및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 user who has purchased coffee beans other than a user who has purchased coffee powder can also grind to coffee powder through the gri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btain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and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28a 및 도 28b는 도 26a 및 도 26b와 다른 구조의 기기를 기반으로, 불림 및 그라인딩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S. 28A and 28B show an example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a soaking and grinding function based on a device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S. 26A and 26B .

도 28a 및 도 28b의 기기 구조는, 모터부(111), 자성부(112, 112'), 물 저장부(121), 커피 추출부(122), 사용자 입력부(130), 커피 저장부(170) 등이 도시되어 있다.The device structure of FIGS. 28A and 28B is a motor unit 111 , a magnetic unit 112 and 112 ′, a water storage unit 121 , a coffee extraction unit 122 , a user input unit 130 , and a coffee storage unit 170 . ), etc. are shown.

도 28a 및 도 28b의 기기 구조는, 도 26a 및 도 26b의 기기 구조와 비교하여, 모터부(111)가 하단으로 내려온 것 이외에, 나머지 동작하는 방식이나 구조는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화를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device structure of FIGS. 28A and 28B is, compared to the device structure of FIGS. 26A and 26B, except that the motor unit 111 is lowered to the bottom, and the remaining operating methods and structures are the same, so for simplicity of the specification ,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28b를 참조하면, 모터부(111)와 커피 저장부(170) 측과 물 저장부(121) 사이에, 전술한 그라인딩부(1000)가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B , the above-described grinding unit 10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motor unit 111 and the coffee storage unit 170 and the water storage unit 121 .

따라서 원두 저장부(1030)가 원두 상태의 커피를 제공하고, 저장된 커피는 감속부(102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코니컬 분쇄부(1010)의 회전 및 접촉에 의해, 가루로 분쇄되며, 커피의 분쇄 동작이 종료되면, 육각 결합부(1040) 및 회전 결합부(1050)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그라인딩부(1000)를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1030 provides coffee in a coffee bean state, and the stored coffee is ground into powder by the rotation and contact of the plurality of conical grinding units 1010 under the control of the reduction unit 1020 , and coffee When the grinding operation of , the coupling of the hexagonal coupling unit 1040 and the rotation coupling unit 1050 is released, and the grinding unit 1000 may be separated.

이후, 가루로 분쇄되어 커피 추출부(122)에 담긴 커피 가루를 기초로, 전술한 동작에 따라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Thereafter, based on the coffee powder ground into a powder and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or 122 , the process of extracting coffe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by injecting water into a rotating extraction unit including beverage materials, and discharging a beverage manufactured to the outside through a mesh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stock solution in a short time using a rotational induction centrifugal separation in a low-temperature/high-temperature complex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n apparatus having a water electrolytic sterilization function and capable of manufacturing a beverage of a desired temperature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of the device by the IoT-based various coffee recipe programs.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를 내리는 행위를 통한 경험적 요소 중요시하는데, 이러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고, 버튼 등이 사라진 심플한 외관을 갖는 커피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 consumers place importance on experiential factors through the act of brewing coffee, and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se needs and provide a coffee machine having a simple appearance without buttons and the like.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 외에도 녹차, 홍차 등 각종 차에 관심이 많은데, 종류에 상관없이 단 기간에 차가운 온도에서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음료를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consumers are interested in various types of tea,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in addition to coffe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rotating body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pad structure for preventing slippage due to vibration of the device.

또한,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를 통해, 커피 등의 원액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supporting the extraction of the stock solu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stock solution such as coffee.

또한, 본 발명은 원두를 미리 물에 불릴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커피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yield of coffee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coffee beans can be previously soaked in water.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 내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 원두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이 적용된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o which a structure that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coffee beans desired by the user inside the basket is applie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hardware,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driven by the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processor by various known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Claims (12)

구동부;
음료 제조를 위한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추출부; 및
상기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홀(hole)을 포함하는 제 1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며,
상기 제조된 음료는 상기 제 1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1 자성체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 2 자성체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추출부 사이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그라인딩부;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음료가 제조되기 위해 요구되는 미리 지정된 크기보다 상기 제 1 재료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그라인딩부가 결합되며,

상기 그라인딩부에 포함된 분쇄부에 의해 상기 제 1 재료의 크기가 상기 미리 지정된 크기 이하로 분쇄된 후, 상기 그라인딩부는 분리되고,

상기 그라인딩부가 분리된 이후,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며,

상기 그라인딩부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의 분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축에 다이렉트로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부는 복수이고,
상기 감속부의 기준 축은 미리 지정된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준 축의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분쇄부의 분쇄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를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3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의 제 2 자성체는,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3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 2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추출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지정된 크기 이하로 분쇄된 상기 제 1 재료가 상기 추출부 내로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drive unit;
An extracting unit comprising a first material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nd
Including; a water storage unit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rotating extraction unit;

The extraction part is formed in a first structure, at least a part of which includes a hole,
The beverage is prepared by contact of the rotating first material and the injected water,
The prepared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tructure,

The drive unit,
rotary motor;
a first magnetic body rotating by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and a second magnetic body tha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ic body based on magnetism,
The extra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gnetic body,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a grinding unit that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is further included,

When the size of the first material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required for the beverage to be prepared, the grinding unit is coupled,

After the size of the first material is pulverized to the predetermined size or less by the grinding unit included in the grinding unit, the grinding unit is separated,

After the grinding part is separated, the beverage is prepared by contact of the rotating first material and the injected water,

The grinding unit,
a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driving unit;
The crushing uni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and
a decel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f the pulverizing unit; including,

The coupling part,
a first coupling part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a second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driving unit; includes,

The pulverizing part is plural,
The reference axis of the reduction unit is movable within a predetermined area,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f the pulverizing unit is adjusted in response to a posi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reference axis,

Further comprising; a third magnetic body rotating by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through the first coupling part;
The second magnetic body of the extraction uni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hird magnetic body based on magnetism,
In a state in which the extractor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magnetic body, the first material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s collected into the extra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추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를 제 1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를 제 2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물의 배출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torage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raction uni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When the user firs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extraction unit only through a hole open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When the user changes the second posi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of the water is stopp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화 및 제 2 변화로 인해 상기 추출부로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추출부 내에 포함된 상기 제 1 재료를 불리는 과정을 진행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의 불림 과정이 종료된 이후,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By us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due to the first change and the second change, a process of calling the first material contained in the extrac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is performed;
After the soaking proces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ends,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is produced by contact of the rotating first material and the injected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추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려 고정되는 재료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 내부에 고정된 재료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부에 투입되는 상기 제 1 재료의 양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unit, and a material control unit that is caught and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raction unit;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material control unit fixed inside the extraction unit, the amount of the first material input to the extraction unit can be adjus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 각각은,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제 1 재료는 커피(coffee) 재료 및 티(tea)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의 제 1 구조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저장부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i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are combined,
The first material comprises a coffee material and a tea material,
A bever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everag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storage unit is detachabl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가 변화되며,
상기 입력부는 터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터치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extraction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and,
The input unit is composed of a touch sensor,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extraction unit and whether the driving unit is driven or not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touches the input unit.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음료의 추출시간,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상기 물의 공급여부 및 상기 물의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extraction time of the beverage, the rotation degree of the extraction unit, whether the driving unit is driven, whether the water is supplied, and the flow rate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is determined.
제 1항 및 제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 및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진동에 의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에 삽입되는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삽입 파트의 표면은 복수의 제 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중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삽입되는 공간은,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링; 및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와의 마찰을 통해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2.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6 to 1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is inserted,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is a pad for preventing sliding by vib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beverage production device to be inserted into the pad,

A space in which the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is inserted among the pads,
at least one ring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Beverage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for preventing slippage of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through friction with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KR1020210000490A 2021-01-04 2021-01-04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KR102317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90A KR102317054B1 (en) 2021-01-04 2021-01-04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PCT/KR2021/000048 WO2022145556A1 (en) 2021-01-04 2021-01-05 Beverage-ma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90A KR102317054B1 (en) 2021-01-04 2021-01-04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054B1 true KR102317054B1 (en) 2021-10-26

Family

ID=7826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490A KR102317054B1 (en) 2021-01-04 2021-01-04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7054B1 (en)
WO (1) WO202214555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982B1 (en)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Dutch coffee machine
KR20200119174A (en) *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캠프런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715A (en) * 1984-11-29 1986-06-19 株式会社東芝 Coffee maker
JPH0339156Y2 (en) * 1985-10-15 1991-08-19
JP2810564B2 (en) * 1991-09-06 1998-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Drip coffee maker
KR101583770B1 (en) * 2014-03-11 2016-01-08 박종하 Rotary-Type Crude Liquid Extra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982B1 (en)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Dutch coffee machine
KR20200119174A (en) *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캠프런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5556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689B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and system
JP5530435B2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CN103813740B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TW202029917A (en) Electric kettle
TW201534259A (en) Single-serv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CN206183035U (en) Automatic feeder and tea -drinking dash bubble machine
CN104302213B (en) Dispenser with the holding system for different size vessels
CN108489588A (en) Electronic scale and the brewing process for using electronic scale
CN110769725A (en) 3-axis biplane-actuated hand-simulated coffee machine structure
CN202751213U (en) Multi-function and full-automatic tea dispenser
KR20130077845A (en) Beverage production device with enhanced control means
KR102317054B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WO2019037189A1 (en) Intelligent coffee scale
CN201146798Y (en) Soybean milk machine
KR100995873B1 (en) a device for extract coffee having hand mill
CN105813512A (en) Consumable recognition system, set of consumables and beverage dispenser
CN203539113U (en) Automatic coffee machine
CN20629525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utomatic coffee machine
CN109126981A (en) A kind of small-sized stone milling machine
KR102097002B1 (en) Hydrogen water capsule automatic vending machine
CN211130698U (en) Intelligent tea drinking machine
CN208610610U (en) A kind of coffee machine with powder amount identification device
KR20100117254A (en) Operating method of drip-type drink machine
CN104523152B (en) A kind of beverage producing equipment of convenient control quantities of beverage
CN105286421A (en) Stirring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