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45B1 -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45B1
KR102315345B1 KR1020150090978A KR20150090978A KR102315345B1 KR 102315345 B1 KR102315345 B1 KR 102315345B1 KR 1020150090978 A KR1020150090978 A KR 1020150090978A KR 20150090978 A KR20150090978 A KR 20150090978A KR 102315345 B1 KR102315345 B1 KR 10231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terminal device
node terminal
peripher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254A (ko
Inventor
박성우
이상준
가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45B1/ko
Priority to PCT/KR2016/001067 priority patent/WO2016208841A1/en
Priority to CN201680024545.3A priority patent/CN107534684B/zh
Priority to US15/019,017 priority patent/US9998582B2/en
Priority to EP16156723.5A priority patent/EP3110178B1/en
Publication of KR2017000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은 주변 기기에 부착되며, 부착된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노드 단말 장치 및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은 IOT 서비스 지원이 불가능한 주변 기기에 대해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nod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가 가능한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통신 발달에 따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자 기기 간에 정보를 주고 받는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에 대한 관심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개발되거나 출시되는 전자 기기는 IOT 서비스를 위한 통신 모듈, 플랫폼, 서비스 기능이 지원되어 전자 기기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IOT 서비스를 위한 통신 모듈, 플랫폼, 서비스 기능 등이 지원되지 않은 전자 기기 즉, 제품 출시가 오래된 전자 기기는 IOT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출시되어 IOT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통해 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자 기기 간의 IOT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이 일치해야만 만다. 만약, IOT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전자 기기 간에 서로 호환되는 플랫폼이 탑재되지 않은 경우, 전자 기기 간의 IOT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OT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전자 기기에서 IOT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은 주변 기기에 부착되며, 부착된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노드 단말 장치 및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의 페어링 요청에 따라 상기 노드 단말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며, 페어링된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변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지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상대적인 거리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주위에 메시지 팝업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를 상기 영상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UI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 UI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드 단말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일 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일 면에 부착되면,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노드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노드 단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주변 기기 관리 방법은,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드 단말 장치의 페어링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노드 단말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페어링된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변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상대적인 거리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지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주위에 메시지 팝업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를 상기 영상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UI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드 단말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일 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일 면에 부착되면,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은 IOT 서비스 지원이 불가능한 주변 기기에 대해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IOT 서비스를 통해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의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 노드 단말 장치에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 단말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주변 기기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가 재배열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제1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제2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 UI에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추가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주변 기기 UI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은 노드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드 단말 장치(100)는 주변 기기에 부착되어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판단된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 내의 방, 주방, 거실 등에 복수의 전자 기기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에어컨(10), 냉장고(20) 및 세탁기(3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되는 주변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컨(10)과 같은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에어컨(10)의 동작 상태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컨(1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에어컨(10)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통해 에어컨(10)이 현재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파악된 동작 상태에 따라 에어컨(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어 정보가 수신된면,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커(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에어커(10)는 노드 단말 장치(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에어컨(10)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혹은 에어컨(10)의 바람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의 절차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미등록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페어링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페어링을 요청한다(S110,S115). 실시예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페어링 요청을 위한 IR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 요청을 위한 IR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한 IR 신호에 포함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IR 신호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IR 신호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등록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IR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한편, IR 신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IR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하면서,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여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등록한다(S120).
이 같은 일련의 동작을 통해 노드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노드 단말 장치(10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싱한다(S125). 구체적으로, 노드 단말 장치(10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비프음과 같은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같은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가 센싱되면, 노드 단말 장치(100)는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13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동작 상태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IOT(Internet of Things) 외부 서버(300)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다(S135). 여기서, 외부 서버(300)는 복수의 주변 기기별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패턴 정보 및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비프음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서버(3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기기 정보를 획득한다(S14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된 진동 피드백에 대한 감지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3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에 포함된 진동 패턴 정보와 진동 피드백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센싱 데이터와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진동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기기 정보가 획득되면, 외부 서버(300)는 획득한 기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와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S145,S150).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외부 서버(3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혹은 외부 서버(300)에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기기 정보와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 노드 단말 장치에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단말 장치(10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는 'S' 제조사의 'V3' 모델의 세탁기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세탁기에서 세탁 동작을 수행하면, 세탁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세탁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 피드백에 대한 'A'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V3' 모델의 세탁기에 대한 기기 정보가 미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A'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A'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3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 중 'A'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서버(300)는 각 제조사별로 제조된 모델별 주변 기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패턴 정보 및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비프음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서버(300)는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에 포함된 진동 패턴 정보와 노드 단말 장치(100)에서 센싱된 세탁기의 진동 피드백에 대한 'A'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A' 센싱 데이터와 유사한 'a' 진동 패턴을 가지는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A' 센싱 데이터와 관련하여 획득된 기기 정보는 제조사 정보, 주변 기기의 식별(모델) 정보,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센싱 패턴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별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동작 상태별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기기 정보가 획득되면, 외부 서버(300)는 획득한 기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세탁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한편, 노드 단말 장치(100)는 탈부착이 가능한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주변 기기에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단말 장치(100)는 에어컨(10) 및 냉장고(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단계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에 부착된 이력이 있는 에어컨(10)에 대한 주변 기기 및 현재 노드 단말 장치(100)가 현재 부착된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와 에어컨(10)에 대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또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와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이,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저장된 상태에서, 노드 단말 장치(10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155,S160).
이 같은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식별하여 해당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기획득한 기기 정보로부터 센싱 데이터와 유사한 센싱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센싱 패턴 정보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센싱 데이터와 관련하여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와 관련하여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은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획득한 제어 정보를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165,S170). 이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 후,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75).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의 노드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단말 장치(100)는 감지부(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입력부(140) 및 IR 송수신부(150)를 포함한다.
감지부(11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센싱한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1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측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미도시),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비프음을 감지하기 위한 음성 인식 센서(미도시) 및 주변 환경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써, 예를들어, 블루투스(bluetooth)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일반적으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 등과 혼용될 수 있으며, 노드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 장치가 될 수 있다. 이같은 프로세서(130)는 감지부(110) 및 통신부(12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입력부(140) 및 IR 송수신부(150)와 결합되어 단일칩 시스템(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프로세서(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별 제어 정보 중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 센싱 데이터와 관련하여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이 같은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IR 송수신부(150)를 제어한다. 따라서, IR 송수신부(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는 노드 단말 장치(100)의 IR 송수신부(150)를 통해 송출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R 송수신부(15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IR 신호를 송출할 뿐만 아니라, 노드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페어링을 위한 IR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파워 온 명령 또는 페어링 요청 명령 등을 입력받는다.
한편,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미등록되어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40)를 통해 최초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어 노드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위한 IR 신호를 송출하도록 IR 송수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IR 송수신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위한 IR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IR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40)를 통해 페어링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위한 IR 신호를 송출하도록 IR 송수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IR 송수신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위한 IR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IR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노드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에서, 주변 기기의 일 면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감지부(110)를 통해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같은 감지부(110)를 통해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가 센싱되면, 프로세서(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출하도록 IR 송수신부(150)를 제어한다. 따라서, IR 송수신부(15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주변 기기는 송출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400) 혹은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211), 무선 랜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213)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등의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215)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노드 단말 장치(100)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블루투스(bluetooth)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213)이란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신부(210)는 상술한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통신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215)는 USB 2.0, USB 3.0, HDMI, IEEE 1394 등 다양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커넥터(215)는 프로세서(2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커넥터(21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영상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넥터(215)는 커넥터(15)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220)는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가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복수의 기기 정보 중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기획득한 기기 정보로부터 센싱 데이터와 유사한 센싱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센싱 패턴 정보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 동작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해당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30)는 기등록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는 제조사 정보, 주변 기기의 식별(모델) 정보,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센싱 패턴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별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동작 상태별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되고 운영체제의 자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턴 온(Turn on)되는 경우, 저장부(230)에서 읽혀지고, 컴파일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실행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230)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처리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영상 컨텐츠,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230)는 롬(ROM), 램(RAM)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프로세서(22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식별한다. 즉, 프로세서(22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복수의 기기 정보 중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기 정보를 획득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는 제조사 정보, 주변 기기의 식별(모델) 정보,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센싱 패턴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별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동작 상태별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식별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가 획득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기기 정보에 포함된 센싱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데이터와 유사한 센싱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로부터 센싱 패턴 정보와 매칭된 동작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는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센싱 패턴 정보로부터 제어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기획득한 제어 정보를 셍싱 데이터를 전송한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단말 장치(100)는 에어컨(10)에 부착되어 에어컨(1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에 따라 에어컨(10)이 냉방 동작을 수행할 경우, 에어컨(10)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에어컨(10)의 냉방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한다. 이때, 노드 단말 장치(100)는 주변 온도를 추가로 센싱할 수 있다. 이후, 노드 단말 장치(100)는 센싱된 진동 피드백 및 센싱된 주변 온도값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복수의 기기 정보 중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에어컨(10)의 기기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진동 피드백과 기획득한 기기 정보에 포함된 센싱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진동 피드백과 유사한 센싱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와 매칭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10)이 냉방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기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와 매칭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10)이 냉방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에어컨(10)의 기기 정보에는 디폴트된 온도값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주변 온도값과 기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주변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주변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이하이면, 프로세서(220)는 기기 정보에 포함된 에어컨(10)의 동작 상태별 제어 정보 중 에어컨(1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 혹은 에어컨(10)에 설정된 온도값을 높이는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를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에어컨(10)의 온도값을 높이는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와 매칭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컨(10) 온도 설정이 조정되었음을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에어컨(10) 측으로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혹은 에어컨(10)에 설정된 온도값을 주변 온도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 IR 송수신부(250) 및 입력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되어 프로세서(22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기등록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복수의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40)는 복수의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부(120)가 터치 패드로 구현될 경우, 터치 패드인 입력부(120)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R 송수신부(25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20)는 IR 송수신부(25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IR 송수신부(250)는 미등록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위한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IR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IR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하면서,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여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노드 단말 장치(100)의 페어링 요청에 따라,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에 대한 이용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용 안내 메시지는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주변 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40)는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주변 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이용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이용 안내 메시지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를 주변 기기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2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 중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와 관련된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후, 외부 서버(30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부(23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입력부(260)는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프로세서(22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입력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패널은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주변 기기 UI에 기등록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주변 기기 각각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각각의 노드 단말 장치(100)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판단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판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각각의 노드 단말 장치(100) 간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각각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재배열하여 재배열된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각각의 노드 단말 장치(100) 간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재배열된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노드 단말 장치(100) 및 그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가 등록되면, 프로세서(220)는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주변 기기 UI에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 UI에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상대적인 거리를 지정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40)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결정된 위치 및 지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주변 기기 UI 화면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이, 기등록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는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부여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기기 정보에 포함된 동작 상태별 센싱 패턴 정보와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센싱 패턴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해당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부여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40)는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에 애니메이션 효과가 부여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주변 기기 UI 화면에 포함된 UI 엘리먼트에 부여된 애니메이션 효과로부터 각각의 주변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주위에 메시지 팝업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는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 주위에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주변 기기 UI 화면상에서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와 기획득한 기기 정보에 포함된 동작 상태별 센싱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센싱 패턴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해당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주위에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는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주변 기기 UI 화면에 팝업 형태로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 각각의 주변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UI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메시지 UI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와 기획득한 기기 정보에 포함된 동작 상태별 센싱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센싱 패턴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UI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상에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UI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여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기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와 관련된 메시지 UI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팝업 형태로 메시지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주변 기기 UI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화면에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변경된 UI 화면을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없는 곳에 위치하여도 이동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통해 각각의 주변 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 각각을 나타내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복수의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주변 기기 UI 화면 생성 명령이 입력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각각의 주변 기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분할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중심으로 9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분할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9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분할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된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영역에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 각각을 나타내는 UI 엘리먼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④ 영역에 에어컨(1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610), ③ 영역에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620) 및 ⑨ 영역에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630)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위치가 결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 간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재배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주변 기기 간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재배열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에어컨(1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710)는 ④ 영역에 표시되도록 결정되고,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720)는 ③ 영역에 표시되도록 결정되며,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730)는 ⑨ 영역에 표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같이,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710~730)가 표시될 위치가 결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BT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 같은 BT 신호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노드 단말 장치(100)는 노드 단말 장치(100)에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BT 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일괄적으로 BT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RSSI를 통해 주변 기기 각각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BT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세기값에 기초하여 각각의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를 재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10), 냉장고(20) 및 세탁기(30) 중 냉장고(2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장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고, 세탁기(3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크게 측정되며,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신호 세기가 가장 작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③ 영역에 위치하는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72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장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재배열하고, ⑨ 영역에 위치하는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73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하도록 재배열하여 재배열된 복수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주변 기기 UI 화면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를 통해 각각의 주변 기기가 위치한 지점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 정도를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를 등록하는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미등록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페어링 요청에 따라,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가 올바르게 주변 기기에 부착되도록 화면상에 이용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주변 기기에 대한 리스트 UI 화면(81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리스트 UI 화면(8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냉장고에 대한 주변 기기(811)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선택된 냉장고에 대한 주변 기기(811)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손잡이에 붙여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820)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경우, 실시간으로 냉각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 같은 냉장고의 기기 특성에 따라 '손잡이에 붙여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8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820)에 따라 냉장고의 손잡이 부분에 노드 단말 장치(100)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냉장고의 진동 피드백을 센싱하고,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300)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냉장고에 대한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냉장고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UI 화면(8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세탁기에 대한 주변 기기(813)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선택된 세탁기에 대한 주변 기기(813)의 기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전면부에 부착 후, 전원을 켜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830)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경우, 세탁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만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 같은 세탁기의 기기 특성에 따라 '전면부에 부착 후, 전원을 켜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8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830)에 따라 세탁기의 전면부에 노드 단말 장치(100)를 부착한 후, 세탁기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세탁기의 전원이 온 되어 세탁기의 전원이 온 되었음을 알리는 비프음이 출력되면, 세탁기의 전면부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세탁기로부처 출력된 비프음 관련 이벤트 알림 피드백을 센싱하고,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300)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세탁기에 대한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세탁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동안에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이,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태에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에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UI(910)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UI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20), 세탁기(30) 및 에어컨(10) 각각의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냉장고(20), 세탁기(30) 및 에어컨(10) 각각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냉장고 문이 열렸습니다.'라는 메시지 UI (920), '세탁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 UI (930) 및 ‘에어컨 작동을 중단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 UI(9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 UI를 통해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에어컨(1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1010),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1020) 및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1030)를 포함하는 제어 화면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화면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세탁기(30)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1030)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30)에서 빨래 행굼 동작을 수행할 경우와 탈수 동작을 수행할 경우, 세탁기(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30)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각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상이한 진동 피드백을 센싱하고, 각각의 동작에 따라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세탁기(30)에서 빨래 행굼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된 진동으로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1031)에 약 진동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30)에서 탈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된 진동으로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1033)에 강 진동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주변 기기 UI 화면의 각각의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 혹은 각각의 UI 엘리먼트에 부여된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각각의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주변 기기 UI 화면을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서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주변 기기 UI 화면에 대응되는 가상의 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와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적어도 두 개의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BT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적어도 두 개의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BT 신호가 수신되면, RSSI를 이용하여 수신된 각각의 BT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각 기기별로 측정된 BT 신호에 대한 세기값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와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방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 같은 신호 정보 및 방위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한 신호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BT 신호를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노드 단말 장치(100) 각각이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를 파악한다. 여기서, BT 신호를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노드 단말 장치(100) 각각이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주변 기기 UI 화면상에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기저장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신호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BT 신호를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노드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신호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BT 신호를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노드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을 수행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가 파악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파악된 위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UI 엘리먼트위치가 변환된 주변 기기 UI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9개로 분할된 영역 중 ① 영역에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동작을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동쪽 방향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위치하는 영역 및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 UI 화면 내 포함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변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④ 영역에 표시되는 에어컨(1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110)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하단 중간 영역에 표시되도록 변환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③ 영역에 표시되는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120)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좌측 상단 영역에 표시되도록 변환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⑨ 영역에 표시되는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1130)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우측 상단 영역에 표시되도록 변환한다.
이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 및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UI 엘리먼트 각각의 위치가 변환된 주변 기기 UI 화면이 생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UI 엘리먼트 각각의 위치가 변환된 주변 기기 UI 화면을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위치하는 영역 및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하단 중간 영역에 에어컨(1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210), 상단 좌측 영역에 냉장고(2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1220) 및 상단 우측 영역에 세탁기(30)에 대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230)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주변 기기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주변 기기 각각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주변 기기 각각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따라, 에어컨(10)이 표시되는 영역에 '에어컨 작동을 중단합니다'라는 메시지(1210'), 냉장고(20)가 표시되는 영역에 '냉장고 문이 열렸습니다.'라는 메시지(1220') 및 세탁기(30)가 표시되는 영역에 '세탁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1230')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주변 기기 관리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미등록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페어링 요청을 위한 IR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IR 신호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등록한다(S1310,S13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에 대한 이용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330). 여기서, 이용 안내 메시지는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를 주변 기기에 부착하기 위한 안내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이용 안내 메시지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를 주변 기기에 부착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가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S1340).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한다(S1350). 이후, 외부 서버(30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동작 상태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 및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S1360,S1370).
이후, 페어링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센싱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노드 단말 장치(100)의 단말 정보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식별하여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획득한 기기 정보로부터 센싱 데이터와 유사한 센싱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센싱 패턴 정보와 매칭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센싱 데이터와 관련하여 획득된 동작 상태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싱하여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S1410). 이 같은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420,S143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와 관련하여 그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1440). 이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센싱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식별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별 기기 정보 중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기 정보를 획득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는 제조사 정보, 주변 기기의 식별(모델) 정보, 해당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센싱 패턴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별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동작 상태별 발생하는 센싱 패턴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식별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가 획득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기기 정보에 포함된 센싱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센싱 데이터와 유사한 센싱 패턴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획득한 센싱 패턴 정보로부터 센싱 패턴 정보와 매칭된 동작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같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하여 획득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하여 획득한 제어 정보를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주변 기기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주위에 메시지 팝업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UI는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메시지 UI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를 식별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식별된 주변 기기의 기기 정보 및 수신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주변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가 획득하고, 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UI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상에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UI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술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여 식별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센싱 데이터를 전송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기획득한 동작 상태 정보와 관련된 메시지 UI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주변 기기 UI 화면 또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주변 기기 각각에 대한 현재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거나, 혹은 페어링 요청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위한 IR 신호를 전송한다(S1510).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된 후, 주변 기기에 부착되면, 노드 단말 장치(100)는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피드백 및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한다(S1520). 이후, 노드 단말 장치(100)는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1530).
이후, 노드 단말 장치(100)는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40). 판단 결과,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노드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S1550). 구체적으로, 노드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IR 신호를 주변 기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는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주변 기기 UI에 신규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 UI에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추가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의 각 단계를 통해 주변 기기 및 그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등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610).
이 같은 주변 기기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신규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주변 기기 UI 화면 상에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주변 기기 UI 영역 중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영역을 신규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로 결정한다(S1620,S163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신규 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해당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결정한다(S1640). 여기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BT 신호로써, 최초 주변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수신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신규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신규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주변 기기 UI 화면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650).
이 같이, 기등록된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드 단말 장치(100)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주변 기기 UI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주변 기기 UI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신호 정보와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방위 정보를 수신한다(S1710). 여기서, 신호 정보는 각 기기별로 측정된 BT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값을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와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적어도 두 개의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BT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적어도 두 개의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100)로부터 BT 신호가 수신되면, RSSI를 이용하여 수신된 각각의 BT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각 기기별로 측정된 BT 신호에 대한 세기값을 나타내는 신호 정보와 사용자 단말 장치(400)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방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 같은 신호 정보 및 방위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한 신호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BT 신호를 전송한 적어도 두 개의 노드 단말 장치(100) 각각이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를 결정한다(S17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기결정된 사용자 단말 장치(400)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가 변환된 주변 기기 UI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변 기기 UI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 전송한다(S1730,S174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주변 기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형태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노드 단말 장치 110 감지부
120,210 : 통신부 130,220 : 프로세서
140,260 : 입력부 150,250 : IR 송수신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11 : 근거리 통신 모듈
213 : 무선 통신 모듈 215 : 커넥터
230 : 저장부 240 : 디스플레이부
300 : 외부 서버 400 : 사용자 단말 장치

Claims (22)

  1.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노드 단말 장치; 및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기기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기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 단말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일 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일 면에 부착되면,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진동 피드백 또는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획득된 기기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에 따른 복수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획득된 기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피드백과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상기 동작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노드 단말 장치와 통신이 불가하며,
    상기 노드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의 페어링 요청에 따라 상기 노드 단말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며,
    페어링된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의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 기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지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상대적인 거리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주위에 메시지 팝업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를 상기 영상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UI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 UI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노드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12. 노드 단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의 주변 기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주변 기기의 일 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상기 노드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진동 피드백 또는 이벤트 알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기 저장된 기기 정보로부터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관련된 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획득된 기기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피드백과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상기 동작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기기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에 따른 상기 복수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노드 단말 장치와 통신이 불가하며,
    상기 노드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주변 기기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단말 장치의 페어링 요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노드 단말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페어링된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주변 기기의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주변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부착된 노드 단말 장치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 UI에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의 상대적인 거리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UI 엘리먼트의 위치 및 지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상기 주변 기기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에 애니메이션 효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주위에 메시지 팝업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이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메시지 UI를 상기 영상 컨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UI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중,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상에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UI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21. 삭제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노드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 단말 장치가 부착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방법.
KR1020150090978A 2015-06-26 2015-06-26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78A KR102315345B1 (ko) 2015-06-26 2015-06-26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6/001067 WO2016208841A1 (en) 2015-06-26 2016-02-01 Node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nod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1680024545.3A CN107534684B (zh) 2015-06-26 2016-02-01 节点终端装置、显示装置、包括节点终端装置和显示装置的外围设备管理系统及其方法
US15/019,017 US9998582B2 (en) 2015-06-26 2016-02-09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isplay apparatus and a node terminal apparatus
EP16156723.5A EP3110178B1 (en) 2015-06-26 2016-02-22 Node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nod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78A KR102315345B1 (ko) 2015-06-26 2015-06-26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54A KR20170001254A (ko) 2017-01-04
KR102315345B1 true KR102315345B1 (ko) 2021-10-20

Family

ID=5541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978A KR102315345B1 (ko) 2015-06-26 2015-06-26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98582B2 (ko)
EP (1) EP3110178B1 (ko)
KR (1) KR102315345B1 (ko)
CN (1) CN107534684B (ko)
WO (1) WO2016208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2432B (en) * 2014-11-18 2021-09-08 Arm Ip Ltd Methods of accessing a remote resource from a data processing device
EP3208700B1 (en) * 2016-02-05 2020-04-01 Lg Electronics Inc.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US20180184464A1 (en) * 2016-12-28 2018-06-28 SafeNet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devices to cloud-based applications
KR20200043075A (ko) 2018-10-1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 장치의 음향 출력 제어 시스템
US11233671B2 (en) * 2018-11-28 2022-01-25 Motorola Mobility Llc Smart internet of things menus with cameras
KR102096028B1 (ko) * 2019-09-19 2020-05-26 한국스마트팩토리데이터센터 주식회사 지능형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장치
JP7373759B2 (ja) * 2020-02-27 2023-1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故障診断装置、故障診断システム、家電機器、センサユニット、及び故障診断方法
US11457483B2 (en) * 2020-03-30 2022-09-27 Citrix Systems, Inc. Managing connections between a user device and peripheral devices
CN112214126B (zh) * 2020-09-23 2022-11-15 杭州鸿雁电器有限公司 操作面板及其显示方法、设备
WO2023210843A1 (ko) * 2022-04-29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28164A (ko) * 2022-08-24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0520A1 (en) * 2005-06-09 2008-06-05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nsumable to an appliance
US20120173177A1 (en) * 2010-07-13 2012-07-05 Hiromichi Nishiyama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al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0604B2 (en) * 2001-10-18 2007-08-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appliance network
KR100434292B1 (ko) * 2002-02-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040203387A1 (en) * 2003-03-31 2004-10-14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with a wireless data enabled remote control
KR20050034412A (ko) * 2003-10-09 200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CA2611527A1 (en) * 2005-06-09 2006-12-21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d management of, at least one component within a household appliance
US9614964B2 (en) 2005-08-19 2017-04-04 Nextstep, Inc. Consumer electronic registration, control and support concierge device and method
CN102239451B (zh) * 2008-12-05 2014-09-03 费希尔控制国际公司 用于过程控制环境的便携式通讯器的用户界面
CN101557332B (zh) * 2009-02-17 2011-05-11 刘利华 智能家居信息管理系统
US9571625B2 (en) * 2009-08-11 2017-02-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902831B (zh) * 2010-06-30 2013-04-24 太原理工大学 适用于机械设备振动检测的无线传感器网络节点
CN102185746A (zh) * 2011-04-27 2011-09-14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室内设备自动布局的方法及系统
TWI615037B (zh) * 2012-06-27 2018-02-11 尤比奎蒂網絡公司 控制感應器裝置的方法和設備
US9425978B2 (en) 2012-06-27 2016-08-23 Ubiquiti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interfacing devices
US9131266B2 (en) * 2012-08-10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Ad-hoc media presentation based upon dynamic discovery of media output devices that are proximate to one or more users
WO2014084646A1 (en) * 2012-11-29 2014-06-05 Lg Innotek Co., Ltd. Sensor, ne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800429B2 (en) 2013-03-15 2017-10-24 Smartbotics Inc. Adaptive home and commercial autom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based on the proximity of controlling elements
GB2513956B (en) * 2013-03-15 2021-01-06 Fisher Rosemount Systems Inc Context sensitive mobile control in a process plant
US10691281B2 (en) 2013-03-15 2020-06-2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 plant with location aware mobile control devices
US10158536B2 (en) * 2014-05-01 2018-12-18 Belkin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n IoT device
CN104539677A (zh) * 2014-12-19 2015-04-22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数控机床共享系统及方法
US20160370833A1 (en) * 2015-06-16 2016-12-22 Taiwan Intelligence Service Company Ltd. Electrical Appliance Administ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0520A1 (en) * 2005-06-09 2008-06-05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nsumable to an appliance
US20120173177A1 (en) * 2010-07-13 2012-07-05 Hiromichi Nishiyama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al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4684A (zh) 2018-01-02
US9998582B2 (en) 2018-06-12
EP3110178B1 (en) 2019-12-11
CN107534684B (zh) 2020-08-28
KR20170001254A (ko) 2017-01-04
WO2016208841A1 (en) 2016-12-29
US20160381201A1 (en) 2016-12-29
EP3110178A1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345B1 (ko)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3494462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469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75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EP340212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peripheral devices in a home network
US9766849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295686B1 (ko) 외부 전자 장치와 하이브리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248244B1 (ko)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이용하는 유니버설 디바이스 제어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637069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屏幕的方法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2020027240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354011B1 (ko)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86204B1 (ko) 이벤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308533B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0213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041734A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73380B1 (ko) 적외선 학습 기반의 온습도 조절 제어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장치
KR1026261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