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431B1 -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431B1
KR102314431B1 KR1020190117527A KR20190117527A KR102314431B1 KR 102314431 B1 KR102314431 B1 KR 102314431B1 KR 1020190117527 A KR1020190117527 A KR 1020190117527A KR 20190117527 A KR20190117527 A KR 20190117527A KR 102314431 B1 KR102314431 B1 KR 10231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ilane
surface treatment
weight
galvaniz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955A (ko
Inventor
조수현
손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1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31B1/ko
Priority to EP20870134.2A priority patent/EP4036273A4/en
Priority to JP2022518825A priority patent/JP7447245B2/ja
Priority to CN202080065185.8A priority patent/CN114502673B/zh
Priority to US17/762,964 priority patent/US20220371049A1/en
Priority to PCT/KR2020/012844 priority patent/WO2021060818A1/ko
Publication of KR2021003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81After-treatment with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10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 C09D5/103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containing 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22C18/04Alloys based on zinc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4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molybdates, tungstates or vanad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 C23C28/321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with at least one metal allo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05D2202/15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2/00Sheets
    • B05D2252/02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3/00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18/00Other type of polymers
    • B05D2518/10Silicon-contain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50/00Compositions for coatings
    • C08G2150/90Compositions for anticorros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282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09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20Use of solutions containing sil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20 내지 40 중량%;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 40 내지 60중량%; 경화제 5 내지 15 중량%; 방청 내식제 0.5 내지 1.5중량%; 몰리브덴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실란 커플링제 1.0 내지 3.0 중량%; 유기금속 착화합물 1.0 내지 2.0 중량%; 산제거제(Acid scavenger) 1.0 내지 2.0 중량%;알루미늄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및 윤활제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롬프리 표면처리 코팅물로 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도금강판은 특히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크롬을 처리하기 위하여 부가설비 설치문제, 제조비용 상승문제, 및 환경오염 문제의 염려 없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COATING COMPOSITION FOR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LACKENING-RESISTANCE AND ALKALI-RESISTANCE THE SURFACE TREATED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PREPARED BY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URFACE TREATED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은 금속재료의 표면에 적용되는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및 그 적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가전 용도로 사용되며, 마그네슘(Mg) 및 알루미늄(Al)을 함유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을 가진 강판의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크롬 프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상기 용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을 함유한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을 가진 강판은 순수 아연도금강판에 비하여, 적청의 내식성이 우수한 강재이다.
이러한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을 함유한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을 가진 강판은 노출면의 대부분이 아연(Zn) 또는 아연합금(Zn alloy)으로 되어 있어, 일반 환경, 특히 습윤 분위기에 노출될 때 표면에 백청의 발청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도금층에 포함되어 있는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은 아연보다 산소 친화력이 좋기 때문에 아연에 결합하는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흑변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종래에는 방청처리의 일환으로서 금속표면에 5 내지 100㎎/㎡의 크로메이트 전처리피막을 형성한 후 유기피막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전처리제에 포함된 크롬 등의 중금속으로 인해 부가적인 전처리 설비와 공정이 필요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금속 폐수로 인해 작업자의 안정성이 문제되었다. 또한, 수세수와 폐수 등에서 발생하는 6가 크롬함유 용액은 특수한 처리 공정에 따라 처리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고, 크로메이트 처리된 도금강판도 사용 중 또는 폐기시에 크롬이온이 용출되는 문제가 있어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크롬이 함유되지 않은 내식용 금속 코팅제와 같은 표면처리제를 개발하였다.
일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3-28857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71233호에서는 중인산 알루미늄을 함유하거나, 탄닌산에 초산나트륨, 붕산나트륨, 이미다졸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으로 피막물질을 형성하였으나, 내식성이 떨어진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32574호에서는 탄산지르코늄, 바나딜이온, 지르코늄 화합물 등으로 구성된 표면처리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내식성이 양호하지만 내흑변성에 취약하다.
그리고, 일본 등록특허공보 평7-096699호에서는 티타늄계, 지르코늄계, 인산계, 몰리브덴계 화합물 등으로 구성된 표면처리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등이 사용된 용융아연합금도금강판에서는 흑변을 억제하지 못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340호에서는 몰리브덴산암모늄, 수분산 우레탄 수지, 이소프로필아민, 탄산지르코늄암모늄, 에폭시계 실란커플링제, 실리카졸로 구성된 표면처리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 표면처리 도막의 두께가 증가하여 전도성과 용접성이 요구되는 곳에 적용이 어렵고, 두께를 감소시킬 경우에는 충분한 내식성을 부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3-288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712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2574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평7-0966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3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수한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내식성의 특성을 부여하는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및 표면처리된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 오염 물질인 크롬 등의 중금속 성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문제를 발생시키기 않는 도금강판의 표면처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20 내지 40 중량%;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 40 내지 60중량%; 경화제 5 내지 15 중량%; 방청 내식제 0.5 내지 1.5중량%; 몰리브덴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실란 커플링제 1.0 내지 3.0 중량%; 유기금속 착화합물 1.0 내지 2.0 중량%; 산제거제(Acid scavenger) 1.0 내지 2.0 중량%; 알루미늄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및 윤활제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처리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은 수산기 값이 80 내지 200㎎KOH/g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일 수 있다.
상기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는 테트라에틸오르소 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 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 실란, 디메틸디메톡시 실란, 디메틸디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1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2-(3,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2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3 실란의 중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멜라민계 경화제, 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및 옥사졸린계 경화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청 내식제는 인산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바나듐계 화합물, 세륨염계 화합물 및 셀레늄염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몰리브덴계 화합물은 몰리브덴 산화물, 몰리브덴 황화물, 몰리브덴 아세트산염, 몰리브덴 인산염, 몰리브덴 탄화물, 몰리브덴 염화물 및 몰리브덴 질화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록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및 2-퍼플루오로 옥틸 에틸 트리메톡시 실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유기금속 착화합물은 실란계 화합물, 티타늄계 화합물 및 지르코늄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산제거제는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및 옥사졸린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계 화합물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알루미늄 설페이트, 알루미늄 니트레이트, 알루미늄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플로라이드 및 알루미늄 니트라이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윤활제는 파라핀계 왁스, 올레핀계 왁스, 카나우바계 왁스, 폴리에스테르계 왁스, 폴리에틸린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폴리에틸렌-테프론계 왁스 및 폴리테프론계 왁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하며,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20중량%이고, 잔부 용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용매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알코올 3 내지 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상에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표면처리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표면처리 조성물을 건조하여 표면처리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1.5 내지 30㎛ 두께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롤코팅, 스프레이, 침적, 스프레이 스퀴징 또는 침적 스퀴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소재강판 최종도달온도(PMT) 기준으로 70 내지 150℃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열풍건조로 또는 유도가열로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풍건조로는 내부 온도가 100 내지 250℃일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로는 1000 내지 4500A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을 수냉(水冷)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은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속 공정의 속도는 80 내지 120m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강판;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 및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 상에 형성된 표면처리 피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은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인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이 제공된다.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은 계면에 형성된 Al 농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은 70% 이상(100% 포함)일 수 있다.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은 Al 0.2 내지 15중량%, Mg 0.5 내지 3.5중량%,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은 두께가 0.3 내지 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롬프리 표면처리 코팅물로 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도금강판은 특히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크롬을 처리하기 위하여 부가설비 설치문제, 제조비용 상승문제, 및 환경오염 문제의 염려 없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금속재료의 표면에 적용되는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및 그 적용에 관한 것으로, 수용성 유기수지 및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크롬프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면처리 조성물은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20 내지 40 중량%;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 40 내지 60중량%; 경화제 5 내지 15 중량%; 방청 내식제 0.5 내지 1.5중량%; 몰리브덴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실란 커플링제 1.0 내지 3.0 중량%; 유기금속 착화합물 1.0 내지 2.0 중량%; 산제거제(Acid scavenger) 1.0 내지 2.0 중량%; 알루미늄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및 윤활제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 용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유기수지 및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크롬프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로 표면 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은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해 환경물질인 6가 크롬을 함유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수용성 유기수지 및 무기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피해 및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의 주제 수지로서, 표면 처리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에 우수한 내식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에 의한 반응생성물로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은 수산기 값이 80 내지 200㎎KOH/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의 수산기 값이 80㎎KOH/g 미만인 경우, 수분산 안정성이 저하되고, 무기 화합물과의 반응을 위한 관능기 자리(site)가 부족하게 되어 요구되는 물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수산기 값이 200㎎KOH/g을 초과하는 경우, 수분산 안정성은 우수하나, 피막 전조 후 내수성, 내식성 및 알칼리 탈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의 수산기 값은, 예를 들어, 80 내지 180, 80 내지 150, 100 내지 200, 100 내지 15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식성 확보가 어려우며 5,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액 안정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어, 1,000 내지 4,500, 1000 내지 4000, 1000 내지 3500, 1500 내지 5000, 1500 내지 4500, 1500 내지 4000, 2000 내지 5000, 2000 내지 4500, 2000 내지 400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이다.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20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식성 및 내알칼리성 확보가 어려운 반면,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처리 조성물 내 실란계 졸-겔(Sol-Gel) 수지 및 무기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내식성이 오히려 저하하고 내흑변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는 내식성 향상 및 내스크레치성 향상을 위해 포함되며, 테트라에틸오르소 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 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 실란, 디메틸디메톡시 실란, 디메틸디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1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2-(3,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2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3 실란을 사용한 중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4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내식성 및 내스크레치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반면,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이 브리틀(brittle)하여 가공성에 문제가 있다.
상기 경화제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주제 수지인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보조 주제 수지인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와의 가교 결합을 통하여 견고한 유기수지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경화제는 멜라민계 경화제, 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및 옥사졸린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가교 결합을 형성하지 못하여 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가교결합으로 인하여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형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예를 들면, 7 내지 15중량%, 10 내지 15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방청 내식제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포함되는 물질로서, 인산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바나듐계 화합물, 세륨염계 화합물 및 셀레늄염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청 내식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청 내식제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목적하는 내식성의 확보가 어려운 반면, 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내흑변성 및 내알카리성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의 내흑변성 향상을 위해 몰리브덴계 화합물이 포함되며, 상기 몰리브덴계 화합물은 몰리브덴 산화물, 몰리브덴 황화물, 몰리브덴 아세트산염, 몰리브덴 인산염, 몰리브덴 탄화물, 몰리브덴 염화물 및 몰리브덴 질화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몰리브덴계 화합물은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계 화합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내흑변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반면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흑변성의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오히려 내식성이 크게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몰리브덴계 화합물을 무기 바인더로서 사용함에 있어서, 무기 바인더가 아닌 배합 내에 블랜딩 형태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크게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 조성물은 표면처리 조성물의 수용성 유기수지와 무기화합물 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성 유기수지를 변성시켜 커플링 결합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록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및 2-퍼플루오로 옥틸 에틸 트리메톡시 실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화합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내식성과 발수성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반면, 3.0중량%를 초과하여도 내식성과 발수성 상승에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유기금속 착화합물은 표면처리 조성물과 소재 강판과의 결합 밀착성을 향상시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유기금속 착화합물은 실란계 화합물, 티타늄계 화합물 및 지르코늄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금속 착화합물은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금속 착화합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표면처리 조성물과 강판과의 밀착성 및 내식성 저하가 발생하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 밀착성 및 내식성의 상승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 조성물에서 산제거제(acid scavenger)는 표면처리 조성물 내 존재하는 잔류 산을 제어함으로써, 내흑변성 저하 및 내식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및 옥사졸린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제거제는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일 경우 내흑변성 개선 및 내식성 저하 방지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반면, 2.0 중량%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내흑변성 개선 및 내식성 저하 방지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 조성물은 표면처리 조성물을 통한 내흑변성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알루미늄계 화합물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알루미늄 설페이트, 알루미늄 니트레이트, 알루미늄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플로라이드 및 알루미늄 니트라이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계 화합물은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인 경우, 내흑변성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반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수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윤활제는 상기 크롬프리 표면처리 조성물에 윤활성을 부여하여, 특히 고객사 가공 공정 시 윤활특성에 의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윤활제는 파라핀계 왁스, 올레핀계 왁스, 카나우바계 왁스, 폴리에스테르계 왁스, 폴리에틸린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폴리에틸렌-테프론계 왁스 및 폴리테프론계 왁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윤활제는,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의 슬립성이 부족하여, 추후 표면처리된 강판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 시 표면 처리층 및 소재의 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반면, 상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 표면에 과도한 윤활제 입자가 분포하게 되어 내식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 조성물은 각 성분들을 희석시키기 위해 용매로서 물을 포함한다. 상기 물은 탈이온수 또는 증류수를 의미한다. 상기 용매는 본 발명의 각 구성성분 외에 잔부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그 함량은 80 내지 90중량%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은 용액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조용매로서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전체 용매 중의 3 내지 5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로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강판;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 및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 상에 형성된 표면처리 피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은 상술한 표면처리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이 제공된다.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은, Al 0.2 내지 15중량%, Mg 0.5 내지 3.5중량%,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 강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소지 강판과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의 계면에는 Al 농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이 70% 이상(100% 포함), 보다 바람직하게는, 73% 이상(100% 포함)일 수 있다. 여기서, 점유 면적율이란, 도금 강재의 표면에서 소지철의 두께 방향으로 투영하여 바라보았을 때, 3차원적인 굴곡 등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을 가정할 경우의 소지철의 면적 대비 Al 농화층의 면적의 비를 의미한다.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을 70% 이상 확보할 경우, Al 농화층은 미세한 입자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가지게 되어, 도금성 및 도금 밀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재에 있어서, Mg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 강재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식 환경하에서 도금층의 표면에 치밀한 아연수산화물계 부식 생성물을 형성함으로써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 강재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내식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Mg는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도금욕 표면에 Mg 산화성 드로스가 도금욕 표면에 급증하여 미량 원소 첨가에 의한 산화 방지 효과가 상쇄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Mg는 3.5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2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재에 있어서, Al은 도금욕 내 Mg 산화물 드로스 형성을 억제하며, 도금욕 내 Zn 및 Mg과 반응하여 Zn-Al-Mg계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도금 강재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Al은 0.2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도금 강재의 용접성 및 인산염 처리성이 열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Al은 15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은 상술한 표면처리 조성물이 건조된 코팅층으로, 표면처리 피막층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이 모두 휘발된 후 남은 성분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에는 용매인 물 또는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표면처리 성분에 포함되어 있던 용매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유기수지 및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표면처리 피막층에 포함된 성분은 전체 고형분 100중량%를 기준으로 한 함량에 해당한다.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의 각 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표면처리 피막 조성물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상에 상술한 표면처리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표면처리 조성물을 건조하여 표면처리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와 같은 표면처리 조성물을 삼원계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도금층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은 1.5 내지 30㎛의 두께로 코팅할 수 있다. 이러한 두께로 코팅된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은 건조 공정을 통해서 건조 피막층 두께가 0.3 내지 3㎛가 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의 두께가 1.5㎛ 미만이면 강판 조도의 산 부위에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이 얇게 도포되어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 초과하면 두꺼운 피막층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용접성 및 가공성 등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코팅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롤코팅, 스프레이, 침적, 스프레이 스퀴징 및 침적 스퀴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 상에 코팅된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건조하는 공정은 소재강판 최종도달온도(PMT) 기준으로 70 내지 150℃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소재강판 최종도달온도(PMT) 기준으로 70℃미만이면 유기수지의 경화반응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견고한 피막구조 형성이 미흡하며 내식성 및 내알칼리성이 열위해 질 수 있고, 150℃초과하면 수냉 과정 동안에 수증기 및 흄 발생으로 인하여 작업 생산성이 나쁘게 되고 증발한 수증기가 건조설비 상부에 응축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제품의 표면품질이 열위해 질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열풍건조로 또는 유도가열로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건조로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경우 상기 열풍건조로는 내부 온도가 10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도가열로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코팅 조성물을 건조하는 경우 상기 유도가열로에 인가되는 전류는 1000 내지 4500A인 것이 바람직하며, 1500 내지 3500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건조로의 내부 온도가 100℃미만이거나 유도가열로에 인가되는 전류가 1000A 미만이면 표면처리 코팅 조성물의 경화반응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내식성 및 내알칼리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건조로의 내부 온도가 250℃초과이거나 유도가열로에 인가되는 전류가 4500A 초과하면 수냉 과정 동안에 수증기 및 흄 발생으로 인하여 작업 생산성이 나쁘게 되고 증발한 수증기가 건조설비 상부에 응축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제품의 표면품질이 열위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건조하여 표면처리 피막층을 형성한 후,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을 수냉시켜 최종적으로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은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속 공정의 속도는 80 내지 120m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 공정 속도가 80mpm 미만이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120mpm 초과하면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이 건조되는 공정에서 용액이 비산하여 표면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 및 평가 방법
본 실시예에서 표면처리된 강판의 물성 평가의 방법 및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판 내식성>
ASTM B117에 규정한 방법에 의거하여, 시편을 처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강판의 백청 발생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백청 발생 시간이 144시간 이상
○: 백청 발생 시간이 96시간이상 144시간 미만
△: 백청 발생시간이 55시간 미만 96시간 미만
X: 백청 발생 시간이 55시간 미만
<가공부 내식성>
시편을 에릭슨 시험기(Erichsen tester)를 이용하여 6mm의 높이로 밀어 올린 후, 24시간 경과하였을 때 백청 발생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48시간 경과 후 백청발생 5% 미만
△: 48시간 경과 후 백청 발생 5% 이상 7% 미만
X : 48시간 경과 후 백청 발생 7% 이상
<내흑변성>
시편을 50℃, 상대습도 95%가 유지되는 항온 항습기에 120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시험 전/후의 시편 색상 변화(색차: ΔE)를 관찰하였다. 이때,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ΔE ≤ 2
○: 2 < ΔE ≤ 3
△: 3 < ΔE ≤ 4
X: ΔE > 4
<내알칼리성>
시편을 알칼리 탈지용액에 60℃, 2분간 침적 후 수세, Air blowing후 전/후 색차(ΔE)를 측정하였다. 알칼리 탈지 용액은 대한 파카라이징사의 Finecleaner L 4460 A: 20g/2.4L + L 4460 B 12g/2.4L (pH=12)를 사용하였다. 이때,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ΔE ≤ 2
○: 2 < ΔE ≤ 3
△: 3 < ΔE ≤ 4
X: ΔE > 4
<용접성>
용접성은 공압식 AC Spot용접기를 이용하여 가압력 250kg, 용접시간 15Cycle 통전전류는 7.5kA에서 Spatter가 없으며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용접 가능
△: 용접 가능하나, 품질 불량
Х: 용접 불가능
<용액 안정성>
제조된 표면처리 용액조성물 200 밀리리터를 50℃ 온도의 오븐에 보관한 후 7일 경과 후의 침전 또는 겔 발생 유, 무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양호
Х: 불량
실시예 1: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로 폴리에스터 폴리올의 수산기값이 120mgKOH/g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인 양이온 폴리우레탄수지,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로 메틸트리에톡시 실란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및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을 사용한 중합물, 경화제로 멜라민 경화제 (CYMEL 303), 방청 내식제로 바나듐계 방청제, 몰리브덴계 화합물로 몰리브덴 황화물, 실란 커플링제로 2-퍼플루오로옥틸 에틸 트리메톡시 실란, 유기금속 착화합물로 티타늄계 화합물, 산제거제로 옥사졸린계 산제거제, 알루미늄계 화합물로 알루미늄 니트라이드, 윤활제로 폴리에틸렌-테프론 왁스를 고형분 100중량%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금층이 중량%로, Mg 1.5중량%, Al 1.5중량% 및 잔부 Zn으로 이루어진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편면 도금량 두께 0.5 내지 2.0㎛)을 7cmx15cm(가로x세로)의 크기로 절단하여 유분을 제거한 3원계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준비하였다. 상기 용융아연도금강판은 도금층과 소지강판의 계면에 Al 농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은 85% 였다. 이후 상기와 같은 3원계 용융아연도금강판 표면에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바 코터(Bar Coater)로 7㎛의 두께로 도포한 후 PMT(Peak Metal Temperature(소지표면온도)) 120±20℃의 조건으로 경화시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폴리우레탄수지 졸-겔 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1 18 60 13.5 1 0.5 2 1.5 1.5 0.5 1.5 X X X
발명예1 20 60 11.5 1 0.5 2 1.5 1.5 0.5 1.5
발명예2 30 50 11.5 1 0.5 2 1.5 1.5 0.5 1.5
발명예3 40 40 11.5 1 0.5 2 1.5 1.5 0.5 1.5
비교예2 42 40 9.5 1 0.5 2 1.5 1.5 0.5 1.5 X X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3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를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1은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알칼리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된 비교예 2는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2: 실란계 졸-겔 수지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Sol-Gel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3 38 40 13.5 1 0.5 2 1.5 1.5 0.5 1.5 X X
발명예4 40 40 11.5 1 0.5 2 1.5 1.5 0.5 1.5
발명예5 50 30 11.5 1 0.5 2 1.5 1.5 0.5 1.5
발명예6 60 20 11.5 1 0.5 2 1.5 1.5 0.5 1.5
비교예4 62 20 9.5 1 0.5 2 1.5 1.5 0.5 1.5 X X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란계 졸-겔 수지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발명예 4 내지 6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실란계 Sol-Gel 수지를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3은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한 비교예 4는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및 내흑변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3: 경화제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용액안정성
경화제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5 3 34 54.5 1 0.5 2 1.5 1.5 0.5 1.5 X X X X
발명예7 5 33 53.5 1 0.5 2 1.5 1.5 0.5 1.5
발명예8 10 30 51.5 1 0.5 2 1.5 1.5 0.5 1.5
발명예 9 15 29 47.5 1 0.5 2 1.5 1.5 0.5 1.5
비교예6 17 28 46.5 1 0.5 2 1.5 1.5 0.5 1.5 X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민 경화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7 내지 9는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멜라민 경화를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5는 용액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물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6은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4: 방청 내식제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방청 내식제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경화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7 0.3 30 50 12.2 0.5 2 1.5 1.5 0.5 1.5 X X
발명예 10 0.5 30 50 12 0.5 2 1.5 1.5 0.5 1.5
발명예 11 1 30 50 11.5 0.5 2 1.5 1.5 0.5 1.5
발명예 12 1.5 30 50 11 0.5 2 1.5 1.5 0.5 1.5
비교예8 1.7 30 50 10.8 0.5 2 1.5 1.5 0.5 1.5 X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청 내식제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10 내지 12는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방청 내식제를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7은 평판 내식성, 가공후 내식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이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8은 내알카리성이 취약하고 흡습 작용에 의해 내흑변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5: 몰리브덴계 화합물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몰리브덴계 화합물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9 0.05 30 50 11.95 1 2 1.5 1.5 0.5 1.5 X
발명예 13 0.1 30 50 11.9 1 2 1.5 1.5 0.5 1.5
발명예 14 0.5 30 50 11.5 1 2 1.5 1.5 0.5 1.5
발명예 15 1 30 50 11 1 2 1.5 1.5 0.5 1.5
비교예 10 1.2 30 50 10.8 1 2 1.5 1.5 0.5 1.5 X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리브덴계 화합물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13 내지 15는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몰리브덴계 화합물을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9는 내흑변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10은 평판 내식성 및 가공부 내식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6: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실란 커플링제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 11 0.5 30 50 13 1 0.5 1.5 1.5 0.5 1.5 X X X
발명예 16 1 30 50 12.5 1 0.5 1.5 1.5 0.5 1.5
발명예 17 2 30 50 11.5 1 0.5 1.5 1.5 0.5 1.5
발명예 18 3 30 50 10.5 1 0.5 1.5 1.5 0.5 1.5
비교예 12 3.5 30 50 10 1 0.5 1.5 1.5 0.5 1.5 X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16 내지 18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실란 커플링제를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11은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불량의 결과를 보이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12는 피막의 건조도가 높아져 Hard한 피막이 형성되어 가공부 내식성이 취약하고 내흑변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7: 유기금속 착화합물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용액안정성
유기금속 착화합물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 13 0.8 30 50 12.2 1 0.5 2 1.5 0.5 1.5 X X X
발명예 19 1 30 50 12 1 0.5 2 1.5 0.5 1.5
발명예 20 1.5 30 50 11.5 1 0.5 2 1.5 0.5 1.5
발명예 21 2 30 50 11 1 0.5 2 1.5 0.5 1.5
비교예 14 2.3 30 50 10.7 1 0.5 2 1.5 0.5 1.5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 기준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금속 착화합물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19 내지 21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유기금속 착화합물을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13은 표면처리 조성물과 강판과의 밀착성 및 내식성이 저하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14는 더 이상의 효과가 없으며, 용액 안전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8: 산 제거제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용액안정성
산 제거재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알루미늄계 화합물 윤활제
비교예 15 0.8 30 50 12.2 1 0.5 2 1.5 0.5 1.5 X X X
발명예 22 1 30 50 12 1 0.5 2 1.5 0.5 1.5
발명예 23 1.5 30 50 11.5 1 0.5 2 1.5 0.5 1.5
발명예 24 2 30 50 11 1 0.5 2 1.5 0.5 1.5
비교예 16 2.3 30 50 10.7 1 0.5 2 1.5 0.5 1.5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제거제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22 내지 24는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산제거제를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15는 평판내식성 및 가공부 내식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16은 용액안정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9: 알루미늄계 화합물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알루미늄계 화합물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윤활제
비교예 17 0.05 30 50 11.95 1 0.5 2 1.5 1.5 1.5 X
발명예 25 0.1 30 50 11.9 1 0.5 2 1.5 1.5 1.5
발명예 26 0.5 30 50 11.5 1 0.5 2 1.5 1.5 1.5
발명예 27 1 30 50 11 1 0.5 2 1.5 1.5 1.5
비교예 18 1.2 30 50 10.8 1 0.5 2 1.5 1.5 1.5 X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 기준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계 화합물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25 내지 27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알루미늄계 화합물을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17은 내흑변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18은 내알카리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10: 윤활제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성분을 고형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상기 고형분을 용매로서 물 81.4중량% 및 에탄올 3.4중량%와 혼합하여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코팅층을 갖는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평판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액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조성(중량%)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윤활제 폴리우레탄수지 Sol-Gel 수지 경화제 방청 내식제 몰리브덴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금속 착화합물 산 제거재 알루미늄계 화합물
비교예 19 0.8 30 50 12.2 1 0.5 2 1.5 1.5 0.5 X
발명예 28 1 30 50 12 1 0.5 2 1.5 1.5 0.5
발명예 29 1.5 30 50 11.5 1 0.5 2 1.5 1.5 0.5
발명예 30 2 30 50 11 1 0.5 2 1.5 1.5 0.5
비교예 20 2.3 30 50 10.7 1 0.5 2 1.5 1.5 0.5 X X r D
* 조성의 함량은 고형분 15중량% 기준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활제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함량을 만족하는 발명예 28 내지 30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윤활제를 너무 적게 첨가하는 비교예 19는 가공부 내식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너무 많이 첨가하는 비교예 20은 평판 내식성 및 가공부 내식성이 불량하고,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이 저하하는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11: 피막층 두께 및 건조온도에 따른 물성 변화
발명예 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처리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표면처리 조성물을 시편에 코팅하되, 코팅된 피막층의 두께와 PMT 온도를 하기 표 11에 기재된 두께로 제어하였다.
제작한 시편의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및 용접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는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막층 두께
(㎛)
건조온도
(℃)
평판 내식성 가공부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 용접성
비교예 19 0.1 120 X
발명예65 0.3 120
발명예66 1 120
발명예 67 2 120
발명예 68 3 120
비교예 20 3.5 120 X X
비교예 21 1 50 X X X X
발명예 69 1 70
발명예 70 1 100
발명예 71 1 150
비교예 22 1 170 X
상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3 내지 3.0㎛로 피막층을 형성하는 발명예 65 내지 68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형성된 피막이 너무 얇은 비교예 19는 평판 내식성, 내흑변성, 내알칼리성에서 보통(△)의 결과를 보였으며 가공부 내식성은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너무 두껍게 형성시킨 비교예 20은 내흑변성 및 용접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이며 발명예 68에 비교하여 향상되는 물성이 없으므로 경제적 측면에서 발명예 68 이상의 피막두께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표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막의 건조온도가 70 내지 150℃로 피막층을 형성하는 발명예 69 내지 71은 모든 물성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건조온도가 너무 낮은 비교예 21은 충분한 건조가 되지 않아 용접성을 제외한 모든 물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건조 온도가 너무 높은 비교예 22는 공기 냉각과정 (수냉) 동안에 강판에서 발생한 수증기의 결로 현상에 의한 강판 상의 흄 드랍으로 인해 내흑변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27)

  1.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20 내지 40 중량%;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sol-gel) 수지 40 내지 60중량%;
    경화제 5 내지 15 중량%;
    방청 내식제 0.5 내지 1.5중량%;
    몰리브덴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실란 커플링제 1.0 내지 3.0 중량%;
    유기금속 착화합물 1.0 내지 2.0 중량%;
    산제거제(acid scavenger) 1.0 내지 2.0 중량%;
    알루미늄계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및
    윤활제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은 수산기 값이 80 내지 200㎎KOH/g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종의 실란 화합물이 가교 결합된 실란계 졸-겔 수지는
    테트라에틸오르소 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 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 실란, 디메틸디메톡시 실란, 디메틸디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1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2-(3,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2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인 제3 실란의 중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멜라민계 경화제, 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블록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및 옥사졸린계 경화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 내식제는 인산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바나듐계 화합물, 세륨염계 화합물 및 셀레늄염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계 화합물은 몰리브덴 산화물, 몰리브덴 황화물, 몰리브덴 아세트산염, 몰리브덴 인산염, 몰리브덴 탄화물, 몰리브덴 염화물 및 몰리브덴 질화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3-글리실옥시프록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실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및 2-퍼플루오로 옥틸 에틸 트리메톡시 실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착화합물은 실란계 화합물, 티타늄계 화합물 및 지르코늄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제거제는 카르보이미드계 화합물 및 옥사졸린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계 화합물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알루미늄 설페이트, 알루미늄 니트레이트, 알루미늄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플로라이드 및 알루미늄 니트라이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파라핀계 왁스, 올레핀계 왁스, 카나우바계 왁스, 폴리에스테르계 왁스, 폴리에틸린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폴리에틸렌-테프론계 왁스 및 폴리테프론계 왁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하며,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20중량%이고, 잔부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용매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알코올 3 내지 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15.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상에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을 건조하여 표면처리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을 1.5 내지 30㎛ 두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롤코팅, 스프레이, 침적, 스프레이 스퀴징 또는 침적 스퀴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소재강판 최종도달온도(PMT) 기준으로 70 내지 150℃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열풍건조로 또는 유도가열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건조로는 내부 온도가 100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로는 1000 내지 4500A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을 수냉(水冷)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은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속 공정의 속도는 80 내지 120mpm인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제조방법.
  24. 강판;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 및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 상에 형성된 표면처리 피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은 계면에 형성된 Al 농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은 70% 이상(100% 포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은 Al 0.2 내지 15중량%, Mg 0.5 내지 3.5중량%,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 피막층은 두께가 0.3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KR1020190117527A 2019-09-24 2019-09-24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527A KR102314431B1 (ko) 2019-09-24 2019-09-24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0870134.2A EP4036273A4 (en) 2019-09-24 2020-09-23 SURFACE TREATMENT SOLUTION COMPOSITION OF TERNARY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TO PROVIDE EXCELLENT RESISTANCE TO BLACKENING AND EXCELLENT ALKALI RESISTANCE, SURFACE TREATED TERNARY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THE USER AND ITS USER MANUFACTURING PROCESS
JP2022518825A JP7447245B2 (ja) 2019-09-24 2020-09-23 優れた耐黒変性及び耐アルカリ性を付与する三元系溶融亜鉛合金めっき鋼板用表面処理組成物、これを用いて表面処理された三元系溶融亜鉛合金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080065185.8A CN114502673B (zh) 2019-09-24 2020-09-23 表面处理溶液组合物、利用其进行表面处理的三元系热浸镀锌合金钢板及其制造方法
US17/762,964 US20220371049A1 (en) 2019-09-24 2020-09-23 Ternary hot-dip galvannealed steel sheet surface treatment solution composition for providing excellent blackening resistance and alkali resistance, ternary hot-dip galvannealed steel sheet surface-treated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20/012844 WO2021060818A1 (ko) 2019-09-24 2020-09-23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527A KR102314431B1 (ko) 2019-09-24 2019-09-24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955A KR20210035955A (ko) 2021-04-02
KR102314431B1 true KR102314431B1 (ko) 2021-10-20

Family

ID=7516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527A KR102314431B1 (ko) 2019-09-24 2019-09-24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71049A1 (ko)
EP (1) EP4036273A4 (ko)
JP (1) JP7447245B2 (ko)
KR (1) KR102314431B1 (ko)
CN (1) CN114502673B (ko)
WO (1) WO2021060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7926A (zh) * 2020-04-15 2022-11-25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防黑变涂料组合物
CN113289876B (zh) * 2021-04-30 2022-07-29 重庆大学 一种兼具自修复功能和超双疏功能的金属防护膜制备方法
CN114289281A (zh) * 2021-12-02 2022-04-08 烨辉(中国)科技材料有限公司 制备抗黑变的铝锌镁产品的方法和用该方法制得的产品
CN114536910A (zh) * 2022-02-28 2022-05-27 苏州派孚机械有限公司 一种tpo复合金属板
CN117363210A (zh) * 2023-10-10 2024-01-09 佛山罗斯夫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面水性多彩乳液聚合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857B2 (ko) 1973-07-17 1978-08-17
JPS5171233A (en) 1974-12-18 1976-06-19 Nippon Steel Corp Aenmetsukikozaino boseishitajishoriho
JPS5328857A (en) 1976-08-31 1978-03-17 Jietsuto Ro Kk Selffspray type centrifugal dust collector
DE4015703A1 (de) * 1990-05-16 1991-11-21 Basf Lacke & Farben Verfahren zum beschichten elektrisch leitfaehiger substrate und kathodisch abscheidbarer waessriger elektrotauchlack
DE4224617A1 (de) * 1992-07-25 1994-01-27 Herberts Gmbh Wäßriges Überzugsmitte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bei Verfahren zur Mehrschichtlackierung
JP3254847B2 (ja) 1993-09-30 2002-02-12 凸版印刷株式会社 無機系化粧板の製造方法
JP4293697B2 (ja) * 1998-12-28 2009-07-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非クロム型処理亜鉛系めっき鋼板
JP3801463B2 (ja) 2001-05-11 2006-07-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クロメートを含有しない処理皮膜を有する耐食性に優れためっき鋼材の製造方法
JP2004263252A (ja) 2003-03-03 2004-09-24 Jfe Steel Kk 耐白錆性に優れたクロムフリー化成処理鋼板
JP3927167B2 (ja) 2003-11-14 2007-06-06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食性,耐黒変性に優れた溶融Mg含有亜鉛合金めっき鋼板
JP2006192717A (ja) 2005-01-13 2006-07-27 Nippon Steel Corp 表面処理金属,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面処理液
JP3872493B1 (ja) 2005-08-17 2007-01-24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金属材料用水系表面処理剤及び表面被覆金属材料
CN101960047A (zh) * 2007-12-27 2011-01-26 Posco公司 包含碳纳米管的钢板表面处理用不含铬涂料组合物、钢板表面处理的方法以及使用其进行过表面处理的钢板
DE102010030114B4 (de) * 2009-08-11 2021-11-04 Evonik Operations Gmbh Wässriges Silansystem für den Blankkorrosionsschutz,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ssen Verwendung sowie mit diesem behandelte Gegenstände und Korrosionsschutzschicht
JP5499773B2 (ja) * 2010-02-26 2014-05-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亜鉛系めっき鋼板用の表面処理液ならびに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68332B2 (ja) * 2010-09-24 2013-03-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亜鉛系めっき鋼板用の表面処理液ならびに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059514B (zh) * 2013-10-12 2016-08-24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润滑处理剂组合物和热镀铝锌板及其制备方法
KR101586840B1 (ko) * 2013-12-23 2016-01-19 동부제철 주식회사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함유 합금 도금 강판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강판
CN103911063B (zh) * 2014-04-10 2016-07-27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润滑处理剂组合物和热镀铝锌板及其制备方法
JP6147314B2 (ja) * 2014-10-22 2017-06-14 日新製鋼株式会社 化成処理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87501A (ja) 2015-11-06 2017-05-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表面処理鋼板
KR101786358B1 (ko) * 2016-06-14 2017-10-1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아연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86392B1 (ko) * 2016-10-10 2017-10-17 주식회사 포스코 3가 크롬 및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표면처리 용액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아연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75214B1 (ko) * 2017-12-22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내식성 및 내흑변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818A1 (ko) 2021-04-01
US20220371049A1 (en) 2022-11-24
JP2022549841A (ja) 2022-11-29
CN114502673A (zh) 2022-05-13
JP7447245B2 (ja) 2024-03-11
KR20210035955A (ko) 2021-04-02
EP4036273A4 (en) 2022-11-23
CN114502673B (zh) 2023-05-26
EP4036273A1 (en)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431B1 (ko)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730672B1 (en) Surface treatment solution composition for ternary hot-dip zinc alloy-plated steel sheet, provid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blackening resistance, ternary hot-dip zinc alloy-plated steel sheet surface-treated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9804102B (zh) 表面处理溶液组合物、利用该组合物进行表面处理的镀锌系钢板及其制造方法
US11634819B2 (en) Solution composition for steel sheet surface treatment, zinc-based plated steel sheet surface-treated with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560929B1 (ko) 우수한 내식성을 부여하는 아연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아연도금강판
JP4747625B2 (ja) 耐食性と耐疵付き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5152187A1 (ja) 亜鉛めっき鋼材用の金属表面処理剤、被覆方法及び被覆鋼材
KR102142771B1 (ko) 3가 크롬 및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된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방법
KR102407717B1 (ko)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29819B (zh) 表面处理组合物、利用其进行表面处理的三元系热浸镀锌合金钢板及制造该钢板的方法
KR101182373B1 (ko)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323424B2 (ja) 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2007204769A (ja) 耐食性、耐疵つき性、耐変色性及び耐水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246689B2 (ja) 耐食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金属板
KR102385548B1 (ko)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75042A (ko) 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81109A (ko) 내식성 및 환경 안정성이 우수한 삼원계 용융아연도금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319702A (ja) 耐白錆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