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407B1 -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 Google Patents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407B1
KR102314407B1 KR1020200030536A KR20200030536A KR102314407B1 KR 102314407 B1 KR102314407 B1 KR 102314407B1 KR 1020200030536 A KR1020200030536 A KR 1020200030536A KR 20200030536 A KR20200030536 A KR 20200030536A KR 102314407 B1 KR102314407 B1 KR 10231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drip
head
coffe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5154A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07B1/en
Publication of KR2021011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54A/en
Priority to KR1020210135490A priority patent/KR1023946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6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a sealed water boiling vessel in which the steam pressure urges the hot water through a rising 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드립 방식으로 추출되는 커피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립기구의 세팅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커피 원두로 떨어지는 물의 온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 및 순환 배관과, 분쇄 원두가 담긴 드립기구를 회전시키면서 상대 운동을 유발하는 헤드 모듈을 포함하고, 헤드 모듈의 무빙헤드에는 순환 배관이 직결되어 있는 온수 노즐 및 드립기구 위치 확인기능을 제공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내장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coffee extracted by a hand drip method,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setting of the drip mechanism can be precisely adjusted and the temperature of water falling into coffee bean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iler for supplying hot water and a circulation pipe, and a head module for inducing relative motion while rotating a drip mechanism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and a circulation pip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ving head of the head module. It has a built-in laser pointer that provides a hot water nozzle and drip device positioning function.

Description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본 발명은 핸드 드립 방식으로 추출되는 커피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피 추출을 위한 드립기구 놓는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커피 원두로 떨어지는 물의 온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coffee extracted by a hand drip method, and in particular, a device configured to precisely control the position of a drip mechanism for coffee extraction, and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water falling into coffee beans is about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는 커피 원두에 물을 붓는 동작과 물의 온도, 물 붓기 시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커피 맛이 좌우된다. 핸드 드립 커피는 숙련된 바리스타가 아니면 일정 수준 이상의 커피를 추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명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숙련된 바리스타들이 핸드 드립 커피를 서비스하는 업체들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핸드 드립 추출 방식의 커피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In hand drip coffee, the taste of coffee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action of pouring water into coffee bean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nd the time of pouring water. Hand drip coffee has not been populariz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brew coffee beyond a certain level unless you are an experienced barista. However,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offer hand drip coffee by skilled baristas centering on famous franchise coffee shops is gradually increasing. The demand for hand-drip brewed coffee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자동화된 기계에 대한 아이디어도 점차 많이 공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343호는 그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는 커피를 추출할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와, 드립기구로 온수를 공급하는 헤드부, 드립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및 온수 노즐을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의 사용자는 회전판 위에 드립 서버와 드리퍼를 올려놓고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회전판, 드립 서버, 드리퍼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으면 온수 낙하 지점이 정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문제가 있다. An idea for an automated machine for extracting hand drip coffee is also increasingly being disclosed,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34343 discloses an example thereof. This patent discloses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including a device for supplying hot water for extracting coffee, a head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drip mechanism, a rotary plate for rotating the drip mechanism, and a transfer device for horizontally transferring a hot water nozzle are doing The user of this device is configured to extract coffee by placing the drip server and the dripper on the rotating plate, but if the central axes of these rotating plates, the drip server, and the dripper do not mat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t water drop point deviates from the original position.

도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에서 분쇄된 커피 원두가 담기는 드리퍼(1)와 추출된 커피가 담기는 드립 서버(2)는 회전판(3)에 놓인 상태에서 회전하고, 그 위에서 온수 노즐(4)이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온수를 떨어 뜨려 커피가 추출된다. 만일 드리퍼(1)나 드립 서버(2)의 중심축이 회전판(2)의 중심축과 일치되지 않고 어긋나게 놓이면 드리퍼(1) 위에 떨어지는 온수의 낙하 궤적이 중심에서 이탈하여 한쪽으로 치우친 나선 모양을 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드리퍼(1)의 중심이 크게 어긋나 있는 경우 자칫 온수가 커피 원두로 떨어 지지 않고, 커피 필터나 드리퍼(1) 내벽면에 떨어지게 되어 커피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more detail, in the conventional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the dripper 1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and the drip server 2 containing the extracted coffee are placed on the rotating plate 3 in a state of It rotates, and the hot water nozzle (4) drips hot water while transpor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it to extract coffee. If the central axis of the dripper (1) or the drip server (2) is not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plate (2) and is displaced, the falling trajectory of the hot water falling on the dripper (1) is deviating from the center to draw a skewed spiral shape. there is a problem that If the center of the dripper 1 is greatly displaced, the hot water may not fall to the coffee beans, but fall on the coffee filter or the inner wall of the dripper 1, so tha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coffee extrac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또한,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헤드부까지 순환시키는 온수 순환 배관이 구성되고, 온수 순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수 배관을 통해 커피 추출에 필요한 온수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장시간 대기 후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배수 배관에 고여 있던 냉각된 물이 원두로 공급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커피의 맛과 향을 제어하는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is configured to have a hot water circulation pipe that circulates the hot water heated in the boiler to the head part, and is configured to extract hot water required for coffee extraction through a drain pipe branching from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for a long time. When extracting coffee after waitin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oled water accumulated in the drain pipe was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This acted as an obstacle in controlling the taste and aroma of coffe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34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3434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 추출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인자들에 대한 미세한 조절이 가능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apable of finely controlling major factors affecting coffee extraction.

또한, 본 발명은 드리퍼와 온수 노즐 간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얼라인이 용이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that facilitates alignment with respect to a relative position between a dripper and a hot water nozzle.

또한, 본 발명은 드리퍼, 드립 서버를 회전판에 놓을 때 중심을 맞추기 용이하게 구성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configured to facilitate centering when placing a dripper and a drip server on a rota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을 위해 드리퍼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 조절이 용이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that facilitates temperature control of hot water supplied to a dripper for coffee extraction.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시 드리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균일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in which the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to a dripper is uniform during coffee extra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 추출을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공급 모듈과, 상기 온수 공급 모듈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드립기구에 떨어질 때 소정의 낙하 궤적을 형성하도록 기구적 동작을 발생시키는 헤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 공급 모듈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물을 상기 헤드 모듈로 순환시키는 순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모듈은 드립기구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부와, 드립기구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부에서 수평 운동하며 드립기구 위로 온수를 떨어뜨리는 무빙헤드와, 상기 무빙헤드의 수평 운동을 유발하는 이송기구부를 포함한다.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hot water supply module that heats and supplies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coffee extraction in a hand drip method, and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supply module. a head module for generating a mechanical operation to form a predetermined falling trajectory when the dripping device falls on the drip mechanism, wherein the hot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 boil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water heated in the boiler and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o the head module, wherein the head module includes a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drip mechanism in place; , and a transfer mechanism for caus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head.

또한,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테이블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헤드 모듈은 일부가 상기 테이블 내부로 매립되고, 일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헤드 모듈은 드립기구를 거치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테이블로부터 일정 높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바디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바디부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암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헤드는 상기 사이드암의 단부에 진퇴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table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boiler is built in the table, the head module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table, and a part is upper part of the table The head module is installed to be exposed as a rotator, and the head module includes a rotating plate on which the drip mechanism is mounted, a body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table to serve as a support, and a later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plate by a predetermined height. It includes an extended side arm, and the moving head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side arm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 순환 배관은 상기 무빙헤드 내부를 순환하여 지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빙헤드와 함께 일체로 진퇴운동하며, 상기 무빙헤드 내부에는 상기 순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노즐과, 상기 온수 노즐의 개폐를 단속하는 노즐 밸브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irculation pipe is installed to circulate through the inside of the moving hea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moving head, and inside the moving head, a hot water nozzle branching from the circulation pipe to discharge hot water, and the hot water nozzle A nozzle valve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s installed.

또한, 상기 온수 노즐은 드립기구를 향해 떨어지는 온수가 연직 하방을 향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hot water nozzle is installed so that the hot water falling toward the drip mechanism is vertically downward.

또한, 상기 무빙헤드에는 상기 무빙헤드로부터 상기 회전판을 향하여 연직 하방으로 빔을 방사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laser pointer capable of emitting a beam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moving head toward the rotat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moving head.

또한, 상기 온수 노즐과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온수 노즐의 이동 경로와 일치된다. In addition,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hot water nozzle and the laser pointer coincides with a movement path of the hot water nozzle.

또한,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사용자가 드립기구를 상기 회전판 위에 거치하는 준비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연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무빙헤드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작동되어 빔라인을 형성하도록 제어된다. In addition, i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the laser pointer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head is moved so that the laser pointer is position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in the preparation step for the user to mount the drip mechanism on the rotating plate. Controlled to form a beamline.

또한,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립기구에 떨어지는 온수의 낙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 및 상기 회전기구부를 일체로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mechanism for vertically moving the rotary plate and the rotary mechanism integrally to adjust the drop of hot water falling on the drip mechanism.

또한, 상기 온수 노즐은 상기 순환 배관에 직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t water nozzle may be install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또한, 상기 레이저 포인터, 상기 온수 노즐, 상기 노즐 밸브는 상기 무빙헤드 내부에 설치되어 일체로 수평 이송된다. In addition, the laser pointer, the hot water nozzle, and the nozzle valve are installed inside the moving head and horizontally transferred integrally.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순환 배관 및 온수 노즐 연결 구조에 따르면 순환 배관을 흐르는 온수가 식지 않고 그대로 커피 원두로 전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irculation pipe and the hot water nozzle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can be transferred to the coffee beans as it is without cooling.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배수 배관 내에 냉각된 물이 원두로 공급되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원두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phenomenon in which water cooled in the drain pipe is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립기구를 거치할 위치를 표시해주는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고 있어, 드립기구를 회전판에 놓을 때 그 중심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이는 드리퍼로 떨어지는 온수가 그리는 낙하 궤적이 설계된 사양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커피 추출 조건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aser pointer indicating a position to mount the drip mechanism, so that when the drip mechanism is placed on the rotating plate, it is easy to position the drip mechanism so that the center coincides with it. This allows the coffee extraction conditions to be precisely controlled by ensuring that the falling trajectory drawn by the hot water falling into the dripper matches the designed specifications.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온수 순환 상태를 유지하는 순환 배관과 온수 노즐이 직접 연결됨으로써 소정 온도의 온수가 원두로 바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드리퍼에 공급되는 온수가 균일한 온도로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되는 물의 온도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be directly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by directly connecting the circulation pipe maintaining the hot water circulation state and the hot water nozzle. Therefore,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dripper can be supplied at a uniform temperatur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upplied water is easy.

도1은 종래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에서 드리퍼에 그려지는 나선 궤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헤드 모듈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사이드암 및 무빙헤드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무빙헤드 및 이송기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무빙헤드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iral trajectory drawn on the dripper i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head module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ide arm and the moving head of the hand drip coffee brew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head and a transfer mechanism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oving head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describ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equival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understood from the entire specifica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xpressions such as “including”, “consisting of” and “having” that may be used below do not ex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function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first…” which may be used hereinafter ”, “Second… Expressions such as ”, “first”, and “seco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xpressions such as “coupled” and “connected” that may be used hereinafter should be understood as not only directly coupled or connected, but also other components present or interven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do.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use of terms hereinaft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singular expression does not ex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회전판 위에 올려진 드리퍼 위로 온수를 떨어 뜨리는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한다. 온수는 드리퍼에 담긴 분쇄 원두를 통과하여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면서 커피 성분과 함께 드립서버에 담긴다. 드리퍼는 제자리에서 회전 운동을 하며,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은 드리퍼의 상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드리퍼의 회전 운동과 온수 노즐의 수평 운동 조합에 의해 드리퍼에 떨어지는 온수는 원형 또는 나선형의 궤적을 그린다. 도2는 드리퍼에 떨어지는 온수의 궤적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리퍼(11)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M1)으로 회전하고, 온수 노즐(14)은 회전 중심(O)에 대하여 반경 방향(M2)으로 이송되면서 온수 노즐(14)에서 떨어지는 온수는 드리퍼(11) 위에서 나선형의 궤적(S)을 그린다. 그런데 만일 드리퍼(11)의 중심이 회전 중심(O)에 위치하지 않고 이격된 위치(P1)에 놓이면 온수가 소정의 위치에 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리퍼(11)가 놓일 위치를 표시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coffee in a manner of dropping hot water onto a dripper mounted on a rotating plate. The hot water passes through the ground beans in the dripper and flows down by gravity, and is put in the drip server along with the coffee ingredients. The dripper rotates in place, and the nozzle that supplies hot water moves horizontally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dripper. The hot water falling into the dripper by the combination of the rotary motion of the dripper and the horizontal motion of the hot water nozzle draws a circular or spiral trajectory. Figure 2 shows the trajectory of the hot water falling on the dripper. As shown in this figure, the dripper 11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M1, and the hot water nozzle 14 is transferred from the hot water nozzle 14 in the radial direction M2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 The falling hot water draws a spiral trajectory (S) on the dripper (11). However, if the center of the dripper 11 is not located at the rotation center O, but at a spaced position P1,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hot water cannot fal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he dripper 11 is to be plac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it.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장치의 외관과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테이블(20), 커피 추출을 위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 모듈(200), 온수가 드리퍼 상에 소정의 낙하 궤적을 그릴 수 있도록 온수 노즐과 드리퍼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유발하는 헤드 모듈(100)을 포함한다. 헤드 모듈(100)은 그 일부가 테이블(20) 위로 노출되고, 아래 부분은 테이블(20)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3 and 4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xterior and internal configuration of a hand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2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hot water supply module 200 that supplies hot water for coffee extraction, and a predetermined falling trajectory of the hot water on the dripper. It includes a head module 100 that induces a relative motion between the hot water nozzle and the dripper to draw. A part of the head module 100 is exposed above the table 20 , and a lower part thereof is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able 20 .

온수 공급 모듈(200)은 커피를 추출할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헤드 모듈(100)로 공급한다. 온수 공급 모듈(200)은 헤드 모듈(100)로 공급되는 온수가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순환시킨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공급 모듈(2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가열하는 보일러(210)를 포함한다. 보일러(210)은 소정의 저장 용량을 갖는다. 보일러(21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커피 추출에 적절한 온도(예, 95±2℃)로 가열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보일러(210)에는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 및 밸브, 온도 제어를 위한 온도계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온수 공급 모듈(200)은 보일러(210)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헤드 모듈(100)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 배관(220)을 포함한다. 순환 배관(220)은 보일러(210)로부터 헤드 모듈(100) 내부의 선단부까지 연장되었다가 다시 보일러(210)로 복귀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보일러(210)에서 가열된 온수는 순환 배관(220) 내부를 타고 흘러 헤드 모듈(100)로 공급된다. 헤드 모듈(100)에서 배출되지 않은 온수는 다시 순환 배관(220)을 타고 흘러 보일러(210)로 보내진다.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heats water to extract coffe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supplies it to the head module 100 .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continuously circulates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head module 1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s shown in FIG. 4 ,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ncludes a boiler 210 that heats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Boiler 210 has a predetermined storage capacity. The boiler 210 heats the water stored therein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coffee extraction (eg, 95±2° C.). Although not shown, the boiler 210 may include a heater for supplying heat, a sensor and a valve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by sensing the level of stored water, a thermometer for temperature control, and the like. The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ncludes a circulation pipe 220 for supplying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boiler 210 to the head module 100 . The circulation pipe 220 forms a flow path that extends from the boiler 210 to the front end of the head module 100 and then returns to the boiler 210 . The hot water heated in the boiler 210 flows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is supplied to the head module 100 . The hot water not discharged from the head module 100 flows again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is sent to the boiler 210 .

헤드 모듈(100)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의 손동작을 재현하도록 작동된다. 헤드 모듈(100)은 분쇄된 커피 원두가 담긴 드리퍼와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 사이에 상대 운동을 유발하는 기구 구성을 포함한다. 도3 내지 도5를 함께 참조하면, 헤드 모듈(100)은 아래 부분 일부가 테이블(20) 내부에 잠긴 상태로 설치된다. 헤드 모듈(100)은 드립 서버(12)가 놓이는 회전판(121)을 포함한다. 드립 서버(12) 위에는 분쇄 원두가 담기는 드리퍼(11)가 놓인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드리퍼(11) 및 드립 서버(12)를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이 둘을 모두 통칭하여 드립기구(10)라고도 한다. The head module 100 is operated to reproduce a hand gesture of a barista extracting hand drip coffee. The head module 100 includes a mechanism for inducing a relative motion between a dripper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and a nozzle for supplying hot water. Referring to FIGS. 3 to 5 together, the head module 10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lower part of the head module 100 is locked inside the table 20 . The head module 100 includes a rotating plate 121 on which the drip server 12 is placed. A dripper 11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is placed on the drip server 12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ereinafter, the dripper 11 and the drip server 12 are each individually or both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drip mechanism 10 .

회전판(121) 아래에는 회전판(1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부(120)가 구성된다. 회전기구부(120)는 회전 운동을 유발하는 액추에이터(122)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22)는 회전판(121) 및 드립기구(10)에 회전 운동(도3 M1 참조)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회전기구부(120) 아래에는 회전기구부(130)를 위아래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130)가 구성된다. 승강구동부(130)는 헤드 모듈(100) 내부에 위치 고정되는 액추에이터(131)와, 액추에이터(131)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브라켓(132)을 포함한다. 승강브라켓(132)은 액추에이터(131)의 회전축상에 미끄럼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액추에이터(1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회전기구부(120)는 승강브라켓(132) 위에 설치되어 승강브라켓(132)과 함께 위아래로 움직인다. 회전기구부(121)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회전판(121) 위에 놓이는 드립기구(10)도 함께 위아래로 움직이는 승강 운동(도3, M3 참조)이 발생한다. 드립기구(10)의 승강 운동(M3)에 의해 온수 노즐과 드립기구(10) 사이의 상하 높이 차, 즉 드리퍼(11)에 공급되는 온수의 낙차가 조절될 수 있다.A rotating mechanism unit 120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121 is configured under the rotating plate 121 . The rotating mechanism unit 120 includes an actuator 122 that induces a rotational motion. The actuator 122 generates a rotational motion (refer to FIG. 3 M1 ) in the rotary plate 121 and the drip mechanism 10 . And below the rotating mechanism unit 120, the lifting driving unit 130 for elevating the rotating mechanism unit 130 up and down is configured. The elevating driving unit 130 includes an actuator 131 fixed to a position inside the head module 100 , and a lifting bracket 132 elev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31 . The lifting bracket 132 is screwed so as to be slidable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actuator 131 and is configured to ascend and desc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ctuator 131 . The above-described rotating mechanism unit 120 is installed on the lifting bracket 132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fting bracket 132 .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tary mechanism unit 121, the drip mechanism 10 placed on the rotary plate 121 also moves up and down (see Fig. 3, M3). The vertical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ot water nozzle and the drip mechanism 10 , that is, the fall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dripper 11 may be adjusted by the elevating movement M3 of the drip mechanism 10 .

헤드 모듈(100)은 드립기구(10)의 위에서 드립기구(10)를 향해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을 떨어뜨리기 위한 기구 구성을 포함한다. 헤드 모듈(100)은 테이블(20)의 상방으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바디부(103)와 바디부(103)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암(104)을 포함한다. 사이드암(104)은 테이블(20)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판(121)의 연직 상방을 향해 연장된다. 사이드암(104)의 바깥 단부에는 사이드암(104)에 대하여 진퇴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헤드(102)가 구성된다. 무빙헤드(102)는 사이드암(104)의 형성 방향에 나란하게 직선 운동(도3, M2 참조)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무빙헤드(102)는 회전판(121)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움직인다. 사이드암(104) 내부에는 무빙헤드(102)의 직선 운동을 유발하는 이송기구부(110)가 구성된다.The head module 100 includes a mechanism for dropping water for coffee extraction from the top of the drip device 10 toward the drip device 10 . The head module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03 serving as a support upward of the table 20 and a side arm 104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3 . The side arm 104 extends vertically upward of the rotating plate 12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20 by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outer end of the side arm 104 , a moving head 102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arm 104 is configured. The moving head 102 is installed so as to be capable of linear motion (refer to FIG. 3, M2) parallel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side arm 104. The moving head 102 moves in parallel with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121 . Inside the side arm 104, a transfer mechanism 110 for causing a linear motion of the moving head 102 is configured.

도6은 사이드암(104) 및 무빙헤드(102)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무빙헤드(102) 및 그 이송기구부(11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8은 무빙헤드(102)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을 참조하면, 무빙헤드(102)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헤드케이스(102C)를 포함한다. 이송기구부(110)는 헤드케이스(102C)의 후방에서 헤드케이스(102C)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 운동 시키도록 동작한다. 이송기구부(1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111)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11)는 진퇴 운동하는 가동축(111a)를 포함한다. 헤드케이스(102C)의 후방에는 가동축(111a)의 동작에 의해 함께 진퇴운동을 가이드하는 브라켓(112)이 결합된다. 브라켓(112)은 사이드암(104)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113)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동축(111a)은 그 전방 단부가 브라켓(112)에 결합된다. 액추에이터(111)의 작동에 의해 가동축(111a), 브라켓(112), 및 헤드케이스(102C)가 일체로 거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케이스(102C)는 상하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형태를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무빙헤드(102)는 백열전구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무빙헤드(102)는 구형상의 벌브부(bulb part)(102a)와 막대형상의 자루부(102b)를 갖는다. 자루부(102b)는 벌브부(102a)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ide arm 104 and the moving head 102,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head 102 and the transfer mechanism 110 thereof. And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oving head (102). Referring to these, the moving head 102 includes a head case 102C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transfer mechanism 110 operates to move the head case 102C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head case 102C. The transfer mechanism 110 includes an actuator 111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he actuator 111 includes a movable shaft 111a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A bracket 112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ogether by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haft 111a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ead case 102C. The bracket 112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sliding guide 113 fixed to the inside of the side arm 104 .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shaft 111a is coupled to the bracket 112 .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11, the movable shaft 111a, the bracket 112, and the head case 102C behave integr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d case 102C is configured as a vertical separation type, but the shape may be changed as needed. The moving head 102 has a shape similar to an incandescent light bulb. That is, the moving head 102 has a spherical bulb part 102a and a rod-shaped shaft part 102b. The shaft portion 102b has a shape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bulb portion 102a.

전술한 온수 공급 모듈(200)의 순환 배관(220)은 무빙헤드(102) 내부를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배관(220)은 무빙헤드(102) 내부 자루부(102b)에서 벌브부(102a)까지를 돌아 나가는 순환 유로를 형성한다. 벌브부(102a) 내부 중앙에는 순환 배관(220)으로부터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노즐(14)이 설치된다. 온수 노즐(14)은 상하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됨으로써 온수 노즐(14)에서 떨어지는 물 줄기가 연직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온수 노즐(14)의 상단은 순환 배관(220)에 연결된다. 온수 노즐(14)과 순환 배관(220)은 엘보우 등 소정의 피팅(fitting) 부품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온수 노즐(14)에는 그 개폐를 단속하는 노즐 밸브(15)가 설치된다. 노즐 밸브(15)는 온수 노즐(14)의 중간 지점에 설치된다. 노즐 밸브(15)는 전자 제어 가능한 밸브로써,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pipe 220 of the above-described hot water supply module 200 is configured to circulate inside the moving head 102 .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circulation pipe 220 forms a circulation passage from the inner shaft portion 102b of the moving head 102 to the bulb portion 102a. A hot water nozzle 14 for discharging hot water from the circulation pipe 22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ulb portion 102a. The hot water nozzle 14 is installed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duce a stream of water falling from the hot water nozzle 14 to fall vertically downward.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nozzle 14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220 . The hot water nozzle 14 and the circulation pipe 220 may be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fitting part, such as an elbow. The hot water nozzle 14 is provided with a nozzle valve 15 for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valve 15 is installed at the midpoint of the hot water nozzle 14 . The nozzle valve 15 is a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valve, and its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헤드(102)는 이송기구부(110)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암(104)으로부터 진퇴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무빙헤드(102) 내부에 설치된 온수 노즐(14)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순환 배관(220)도 무빙헤드(102)와 함께 일체로 이송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 드립 추출 장치에 있어서 온수 순환 배관에서 분기되는 온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별도의 배수 배관을 통해 온수 노즐로 공급되었던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추출 장치는 별도의 배수 배관 없이 온수 순환 배관(220)이 온수 노즐(14)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순환 배관(220)을 흐르는 온수가 냉각되지 않고 바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온수 노즐(14) 내부에 극소량의 물이 남아 있을 수는 있으나 이는 종래 배수 배관에 남아 있던 양에 비하면 현저히 적은 양에 불과하다. 그리고 순환 배관(220)을 흐르는 온수로부터 온수 노즐(14)로 지속적인 열전달(heat transfer)이 이루어지는 상태에 있으므로, 온수 노즐(14) 내부에 남아 있는 물도 소정의 고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순환 배관(220) 및 온수 노즐(14) 연결 구조에 따르면 순환 배관(220)을 흐르는 온수가 식지 않고 그대로 커피 원두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배수 배관 내에 냉각된 물이 원두로 공급되는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원두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head 102 is installed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side arm 104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chanism 110 . The hot water nozzle 14 installed inside the moving head 102 and the circulation pipe 220 connected thereto are also integrally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moving head 102 . In the hand drip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ot water branched from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was supplied to the hot water nozzle through a separate drain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ereas the hand drip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drain pipe. Since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2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t water nozzle 14 without a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220 can be directly supplied without cooling. Of course, a very small amount of water may remain inside the hot water nozzle 14, but this is only a remarkably small amount compared to the amount remaining in the conventional drain pipe. In addition, since heat transfer is continuously performed from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220 to the hot water nozzle 14 , the water remaining in the hot water nozzle 14 can also maintain a predetermined high temperature state.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the hot water nozzle 14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220 can be transferred to the coffee beans as it is without cool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phenomenon in which water cooled in the drain pipe is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또한, 무빙헤드(102)의 벌브부(102a) 내부에는 레이저 포인터(16)가 내장된다. 레이저 포인터(16)는 무빙헤드(102)의 연직 하방으로 빔(beam)을 방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사용자가 커피 추출을 위해 드립기구(10)를 회전판(121) 올려 놓는 준비 단계 동안 회전판(121)의 중심에 수직한 방향으로 빔라인(beam line)이 형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제어부는 커피 추출 준비 단계에서 레이저 포인터(16)가 회전판(21) 중심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무빙헤드(10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레이저 포인터(16)를 작동시켜 회전축상에 빔라인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빔라인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드리퍼(11) 중심이 회전축상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리퍼(11)가 놓여야 하는 정위치를 확인할 수단이 없어 전적으로 사용자의 감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리퍼(11)가 놓일 위치의 중앙에 빔라인을 형성하는 레이저 포인터(16)를 구비하고 있어, 드리퍼(11) 위치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 laser pointer 16 is built inside the bulb portion 102a of the moving head 102 . The laser pointer 16 provides a function of emitting a beam vertically downward of the moving head 102 .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so that a beam lin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121 during the preparation step in which the user places the drip mechanism 10 on the rotating plate 121 for coffee extraction. can be The control unit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operates the laser pointer 16 in a state where the moving head 102 is positioned so that the laser pointer 16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21 in the coffee extraction preparation stage to operate the laser pointer 16 on the rotation axis. Control to form a beamline on the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center of the dripper 11 is located on the rotation axis by visually checking the beam line.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no means to confirm the correct position where the dripper 11 should be placed, so it has no choice but to depend entirely on the user's sense, but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11) is provided with a laser pointer 16 that forms a beam line in the center of the position to be placed, so that fin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dripper 11 is possible.

도6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16)는 온수 노즐(14)의 후방에 배치된다. 수평면 상에서 온수 노즐(14)과 레이저 포인터(16)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온수 노즐(14)의 이동 경로와 일치되는 관계에 있다. 그리고 무빙헤드(102) 외관을 이루는 헤드케이스(102C)의 벌브브(102a) 저면에는 온수 노즐(14)에서 배수되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홀(102e)과 레이저 포인터(16)의 빔을 통과시키는 빔홀(102f)이 구성된다. 배수홀(102e)과 빔홀(102f)은 온수 노즐(14)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도7 참조). 6 and 8 , the laser pointer 16 is disposed behind the hot water nozzle 14 .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hot water nozzle 14 and the laser pointer 16 on a horizontal plane has a relationship consistent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hot water nozzle 14 .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lb 102a of the head case 102C forming the moving head 102 exterior, the drain hole 102e through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hot water nozzle 14 is discharged and the beam of the laser pointer 16 pass through A beam hole 102f is configured. The drain hole 102e and the beam hole 102f are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hot water nozzle 14 (refer to FIG. 7).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립기구를 거치할 위치를 표시해주는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고 있어, 드립기구를 회전판에 놓을 때 그 중심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이는 드리퍼로 떨어지는 온수가 그리는 낙하 궤적이 설계된 사양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커피 추출 조건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aser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he drip mechanism is to be mounted, so that it is easy to position the drip mechanism so that the center coincides with the center when the drip mechanism is placed on the rotating plate. . This allows the coffee extraction conditions to be precisely controlled by ensuring that the falling trajectory drawn by the hot water falling into the dripper matches the designed specifications.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하는 순환 배관과 온수 노즐이 직접 연결됨으로써 소정 온도의 온수가 원두로 바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드리퍼에 공급되는 온수가 균일한 온도로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되는 물의 온도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be directly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by directly connecting the hot water nozzle and the circulation pipe through which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boiler circulates. Therefore,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dripper can be supplied at a uniform temperatur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upplied water is easy.

10 : 드립기구 11 : 드리퍼
12 : 드립서버 14 : 온수 노즐
15 : 노즐 밸브 16 : 레이저 포인터
20 : 테이블 100 : 헤드 모듈
102 : 무빙헤드 103 : 바디부
104 : 사이드암 110 : 이송기구부
111 : 액추에이터 112 : 가이드브라켓
120 : 회전기구부 121 : 회전판
122 : 액추에이터 130 : 승강기구부
131 : 액추에이터 132 : 승강브라켓
200 : 온수 공급 모듈 210 : 보일러
220 : 순환 배관
10: drip mechanism 11: dripper
12: drip server 14: hot water nozzle
15: nozzle valve 16: laser pointer
20: table 100: head module
102: moving head 103: body part
104: side arm 110: transfer mechanism part
111: actuator 112: guide bracket
120: rotating mechanism 121: rotating plate
122: actuator 130: lifting mechanism part
131: actuator 132: lifting bracket
200: hot water supply module 210: boiler
220: circulation pipe

Claims (10)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 추출을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공급 모듈과, 상기 온수 공급 모듈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드립기구에 떨어질 때 소정의 낙하 궤적을 형성하도록 기구적 동작을 발생시키는 헤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모듈은 드립기구를 거치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부와,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암과, 상기 사이드암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퇴운동하며 드립기구 위로 온수를 떨어뜨리는 무빙헤드와, 상기 무빙헤드의 수평 운동을 유발하는 이송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공급 모듈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물을 상기 무빙헤드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헤드에는 상기 순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노즐과, 상기 온수 노즐의 개폐를 단속하는 노즐 밸브와, 상기 회전판을 향하여 연직 하방으로 빔을 방사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빔라인을 형성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드립기구를 상기 회전판 위에 거치하는 준비 단계에서 상기 무빙헤드의 수평 이송이 제어되어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상기 회전판의 중심을 향해 연직 하방으로 빔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드립기구가 놓일 정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A hot water supply module for heating and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nd a mechanical operation to form a predetermined falling trajectory when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supply module falls on the drip mechanism including a head module that generates
The head module includes a rotating plate for mounting the drip mechanism, a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a side arm extending laterally from an upper portion spaced from the rotating plate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arm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a moving head for dropping hot water onto the drip mechanism while moving, and a transfer mechanism for caus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moving head,
The hot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 boil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water heated in the boiler to the inside of the moving head,
The moving head includes a hot water nozzle branching from the circulation pipe to discharge hot water, a nozzle valve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t water nozzle, and a beam line that a user can visually check by emitting a beam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rotating plate. A laser pointer to form is installed,
In the preparation step for the user to mount the drip mechanism on the rotating plate, the horizontal transport of the moving head is controlled so that the laser pointer forms a beam line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so that the drip mechanism can be plac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A configured hand drip coffee brew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립기구에 떨어지는 온수의 낙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 및 상기 회전기구부를 일체로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lifting mechanism for vertically moving the rotary plate and the rotary mechanism integrally to adjust the drop of hot water falling on the drip mechanis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노즐과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온수 노즐의 이동 경로와 일치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hot water nozzle and the laser pointer coincides with a movement path of the hot water nozz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노즐은 드립기구를 향해 떨어지는 온수가 연직 하방을 향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t water nozzle is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installed so that the hot water falling toward the drip mechanism is vertically down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30536A 2020-03-12 2020-03-12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KR102314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36A KR102314407B1 (en) 2020-03-12 2020-03-12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KR1020210135490A KR102394633B1 (en) 2020-03-12 2021-10-13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36A KR102314407B1 (en) 2020-03-12 2020-03-12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490A Division KR102394633B1 (en) 2020-03-12 2021-10-13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54A KR20210115154A (en) 2021-09-27
KR102314407B1 true KR102314407B1 (en) 2021-10-19

Family

ID=779252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536A KR102314407B1 (en) 2020-03-12 2020-03-12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KR1020210135490A KR102394633B1 (en) 2020-03-12 2021-10-13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490A KR102394633B1 (en) 2020-03-12 2021-10-13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440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101934343B1 (en) * 2018-04-27 2019-01-02 (주)피앤디시스템 A automatic hand-drip coffe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6863B1 (en) * 2004-11-11 2011-03-02 Nestec S.A. Self-cleaning mixing head for producing a milk-based mixture and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comprising such a mixing head
JP2016209519A (en) * 2015-04-28 2016-12-15 アイメ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Automatic drip coffee m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101934343B1 (en) * 2018-04-27 2019-01-02 (주)피앤디시스템 A automatic hand-drip coffe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897A (en) 2021-10-25
KR102394633B1 (en) 2022-05-06
KR20210115154A (en)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743B1 (en) An automatic hand-drip coffee machine having hot water dispensing quantity control function
JP6564760B2 (en) Automatic coffee drip equipment
KR101934343B1 (en) A automatic hand-drip coffee machine
EP2147621B1 (en) A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based beverages from pre-packaged pods or capsules
KR101392410B1 (en) Espresso coffee machine
US5964143A (en) Brewing appliance having a tower with a water reservoir and brewing basket and an adjacently positioned pitcher receptacle
US20190231117A1 (en) Liquid dispensing machine with speed regulator
KR102314407B1 (en) A hand-drip type coffee extracting machine
KR101190168B1 (en) Apparatus for making tea
US10874248B2 (e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KR20230027208A (en) Electric machine for making coffee
CN104470811B (en) Thermal contraction equipment including the thermal diffusion device forming integral type molectron
BR112020019289A2 (en) APPARATUS TO PREPARE A DRINK, UNDERSTANDING AN IMAGE ACQUISITION DEVICE
KR101615996B1 (en) 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KR101910862B1 (en) Siphon coffee extractor for guiding informartion
KR20210035129A (en) A hand-drip coffee machine
ES2785948T3 (en) A brewing unit and a beverage production device including said brewing unit
US20220346589A1 (en) Pour over coffee extraction device
US20210244230A1 (en) Beverage maker
KR20200120220A (en)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to fix the nozzle
KR102176293B1 (en) A controlling method of hand-drip coffee machine
KR102276609B1 (en) An automatic coffee machine
JP6375261B2 (en) Coffee maker
KR102247724B1 (en) An automatic coffee machine
KR20190124850A (en) A hand drip coffee machine and a method of making hand drip coff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