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193B1 - 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193B1
KR102312193B1 KR1020210032178A KR20210032178A KR102312193B1 KR 102312193 B1 KR102312193 B1 KR 102312193B1 KR 1020210032178 A KR1020210032178 A KR 1020210032178A KR 20210032178 A KR20210032178 A KR 20210032178A KR 102312193 B1 KR102312193 B1 KR 10231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net
warp
net portion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형욱
Original Assignee
박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욱 filed Critical 박형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bag having a swell preventing function, wherein an edge partition wall of the container bag comprises a first net unit, weaved in a structure in which a strand of a first weft travels back and forth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intersect a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and a second net unit, weaved in a structure in which a strand of a second weft travels back and forth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intersect a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A part of the first wefts of the first net unit intersect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of the second net unit after inters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of the first net unit, and thus can be manufactured by a single weaving process. Like this, the container bag having a swell preventing function can be manufactured in a short time with low cost by being manufacturing by a single weaving process.

Description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 백에 화물이 만충된 경우에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container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bag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a fullness phenomenon occurring when the container bag is full of cargo.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은 화학 제품(분체 또는 분말), 곡물, 곡분, 사료, 비료, 석재, 흙, 시멘트 등의 다양한 제품을 적재하고, 이를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선박이나 차량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벌크 제품, 즉, 비드, 그래뉼, 펠릿, 플레이크 등의 형태로 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ontainer bag is widely used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various products such as chemical products (powder or powder), grain, grain flour, feed, fertilizer, stone, soil, cement,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container bag has been widely used in order to transport large-capacity bulk products, ie, products in the form of beads, granules, pellets, flakes, and the like by using ships or vehicles.

또한, 컨테이너 백은 수백 킬로그램(㎏) 내지 수 톤(ton)에 이르는 무게의 화물을 적재하며, 통상적으로 합성수지(PP, PE 등)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원단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컨테이너 백은 화물의 종류나 사용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며, 화물의 수용 및 배출, 그리고 운반을 위하여 특별한 재질, 형상 및 구조를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bag loads a cargo weighing several hundred kilograms (kg) to several tons (ton), and is usually made of a fabric made of synthetic resin (PP, PE, etc.) as a raw material. Container bag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ype, use, and purpose of the cargo, and have a special material, shape, and structure for receiving, discharging, and transporting the cargo.

또한, 상기 컨테이너 백의 전체 형상은 사용처에 따라 직육면체 타입과 원통형 타입으로 대별된다. 또한, 화물의 수용 및 배출을 위해 컨테이너 백의 상부에 화물 유입부를 가지며, 그 하부에 화물 유출부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컨테이너 백의 상측에 하나의 유출입부를 마련하고, 상기 유출입부를 통해 화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the overall shape of the container bag is roughly divid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ype and a cylindrical typ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In addition, it may have a cargo inlet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cargo, and a cargo outlet at a lower portion thereof. In some cases, a single inlet and outle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ag, and cargo is injec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또한, 컨테이너 백을 하역하거나 근거리 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의 상부 또는 측부에 손잡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는 형태에 따라 로프형과 벨트형으로 대별되며, 컨테니어 백에 부착된 벨트(또는 로프) 중 일부를 로프(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컨테니어 백은 포대, 벌크백, 벌크 컨테이너, 점보백,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In addition, a handle may be provided on the top or side of the container bag to unload or transport the container bag to a short distance. The handle is roughly divided into a rope-type and a belt-type depending on the shape, and a form in which some of the belts (or ropes) attached to the container ba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rope (or belts) may be used. The container bag is also called various names such as a sack, a bulk bag, a bulk container, a jumbo bag, and a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종래의 일례를 살펴보면, 컨테이너 백(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4개의 측면부(110a)(110b)(110c)(110d)와 상면부(112) 및 하면부(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면부(112)에는 화물을 본체에 주입하기 위한 화물 유입부(120)가 마련되며, 상기 화물 유입부(120)에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조임줄(121)이 마련된다. 상기 조임줄(121)과는 별도로 또는 조임줄(121)과 함께 조임 스트랩 또는 기타의 개구 폐쇄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Looking at a conventional example, the container bag 100, as shown in FIG. 1, is ma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dy, and the body has four side parts 110a, 110b, 110c, 110d and an upper surface part ( 112) and a lower surface portion 114. A cargo inlet 120 for injecting cargo into the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12 , and a tightening line 121 for closing the opening is provided on the cargo inlet 120 . A tightening strap or other opening clos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or together with the tightening line 121 .

상기 상면부(112)와 유사하게, 하면부(114)에는 화물을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화물 유출부(130)가 마련되며, 상기 화물 유출부(130)에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조임줄(131)이 마련된다. 상기 조임줄(131)과는 별도로 또는 조임줄(131)과 함께 조임 스트랩 또는 기타의 개구 폐쇄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측면부(110a)(110b)(110c)(110d) 중 서로 인접한 측면부(110a)(110b)(110c)(110d)의 상면에는 컨테이너 백(100)의 하역 및 이송을 위한 손잡이부(140)가 마련된다.Similar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112, the lower portion 114 is provided with a cargo outlet 130 for discharging cargo from the main body, and the cargo outlet 130 has a tightening line 131 for closing the opening. this is provided A tightening strap or other opening clos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or together with the tightening line 131 . Among the four side parts 110a, 110b, 110c, and 110d, the upper surfaces of the adjacent side parts 110a, 110b, 110c, and 110d have a handle 140 for loading and unloading and transporting the container bag 100 . ) is provided.

이러한, 컨테이너 백(100)에 화물, 특히 분체나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하면, 측면부의 중앙 쪽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결국 컨테이너 백(100)의 측면부가 불룩해지는 배불림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배불림 현상은 컨테이너 백(100)을 한정된 공간에 밀집해 적재하는 데에 있어 방해 요인이 되며, 또한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 백(100)의 측면부가 서로 과도하게 접촉함으로써, 장기간 운송시 컨테이너 백(100)이 서로 마찰되어 손상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컨테이너 백(100)을 다층으로 적재하는 경우 어느 한 쪽으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경우도 발생한다.When cargo, in particular, cargo in powder or powder form is loaded in the container bag 100 , a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side portion, resulting in a fullness phenomenon in which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100 bulges. This satiety phenomenon is an obstacle to densely loading the container bag 100 in a limited space, and also the side portions of the loaded container bag 100 excessively contact each other, so that the container bag 100 during long-term transportation ( 100) is also damaged by fric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bag 100 is loaded in multiple layers, it may fall or slide to either sid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100)의 서로 인접한 측면부(110a)(110b)의 내측에 배플(150)을 마련할 수 있다. 배플(150)은 서로 인접한 측면부(110a)(110b)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부가 불룩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직육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100)의 내부에는 총 4개의 배플(1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플(150)에는 분체 또는 분말형 화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개구(151)가 마련된다. 상기 배플(150)의 양측 단부(152)(153)는 측면부(110a)(110b)의 내측에 봉재사(160)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in order to prevent such a full stomach phenomenon, a baffle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ide portions 110a and 110b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container bag 100 . The baffle 150 prevents the side portions from bulging b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110a and 110b adjacent to each other. A total of four baffles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ag 1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penings 151 of various shapes are provided in the baffle 150 so that powder or powdered cargo can flow. Both end portions 152 and 153 of the baffle 15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portions 110a and 110b with a bar yarn 160 .

상기 컨테이너 백(100)의 내부에 배플(150)을 마련함으로써, 배불림 현상을 줄일 수 있으나, 화물 적재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분말과 같은 알갱이 형태의 화물(P)은 컨테이너 백(100)의 상측으로부터 적재될 경우, 알갱이의 슬립성을 인해 하측 중앙부에 화물(P)이 쌓이고, 경사면을 따라 주변부로 화물(P)이 흘러내려가 적재되는데, 컨테이너 백(100) 내부의 배플(150)에 의해 화물(P)의 슬립이 방해가 되어 컨테이너 백(100)의 코너 측에 화물(P)이 잘 적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By providing the baffle 150 inside the container bag 100 , the fullness phenomenon can be reduced, but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when loading cargo. As shown in FIG. 3, when the cargo P in the form of granules such as powder/powder is loa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ag 100, the cargo P is accumulated in the lower central part due to the slip property of the granules, and the inclined surface The cargo (P) flows down to the periphery along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not loading well.

또한, 이로 인해, 화물에 충진된 컨테이너 백(100)의 이송 혹은 컨테이너 백(100)의 하역에 필요한 2단 적층시 상단부의 컨테이너 백(100)의 균형 상실로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배플(150)의 개구부(151)가 아닌 부분에서 특히 두드러지고, 또한 배플(150)로 인해 화물의 배출에도 원활한 배출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86610호 "네트형상의 모서리격벽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격벽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을 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due to th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tainer bag 100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ag 100 may collapse due to loss of balance during the two-layer stacking necessary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bag 100 filled with cargo 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ontainer bag 100 . In addition,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portion other than the opening 151 of the baffle 150, and also has a problem of interfering with the smooth discharge of the cargo due to the baffle 150.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86610 "a container bag provided with a net-shaped corner bulkhead" proposes a container bag provided with a corner bulkhead disposed at each inner corn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이 종래기술에서는 모서리격벽부의 제조에 세 가닥의 씨실이 요구되거나 지지부재가 먼저 제작되어야 하므로 모서리격벽부가 여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르면 모서리격벽부의 제조가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여러 공정 사이에 작업자가 개입해야 될 부분이 많아 작업자 실수로 인한 제조 공정상 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In this prior art, since three weft yarns are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corner bulkhead or the support member must be manufactured first, the corner bulkhead is manufactured through several processes.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nufacturing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art is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and there are many parts in which an operator has to intervene between various processes,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operator error.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 개입이 최소화되어 작업자 실수로 인한 제조 공정상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bag having an anti-full function that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within a short time and minimizes operator interven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minimizing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human error.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 사이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격벽부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 중 제 1 측벽부에 고정되며, 한 가닥의 제 1 씨실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 제 1 네트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 중 제 2 측벽부에 고정되며, 한 가닥의 제 2 씨실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 제 2 네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네트부의 제 1 씨실의 일부는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한 후에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과 교차한다.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ner partition wall part disposed at a corner between two adjacent side wall parts, and the corner partition wall part is fixed to a first side wall part of two adjacent side wall parts, a first net portion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weft yarn intersects with the first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while reciproca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second net portion fixed to a second sidewall portion of the two adjacent sidewall portions and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one second weft yarn crosse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while reciproca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s of the first net portion intersect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of the second net portion after intersecting the first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상기 제 1 네트부의 제 1 씨실의 왕복 구간은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제 2 네트부 측으로의 가로 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한 후에 상기 제 2 네트부 측으로의 가로 방향의 역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하는 단거리왕복구간; 및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2 날실과 차례대로 교차한 후에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과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차례대로 교차하는 장거리왕복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section of the first weft yarn of the first net portion is after the first weft yarn crosses the first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while the first weft yarn proceeds in a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second net portion. a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inters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of the first net portion while proceeding in a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net portion; And, while the first weft yarn proceed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and the second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second net portion sequentially cross each other, and then proceed in the transverse reverse direction while the second It may include a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in turn interse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of the ne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of the first net portion.

상기 제 1 씨실의 장거리왕복구간은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하는 제 1 날실교차구간;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제 1 날실교차구간에 이어서 상기 제 1 네트부와 상기 제 2 네트부 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1 격벽보강구간;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제 1 격벽보강구간에 이어서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과 교차하는 제 2 날실교차구간;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제 2 날실교차구간에 이어서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과 교차하는 제 3 날실교차구간;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제 3 날실교차구간에 이어서 상기 제 1 네트부와 상기 제 2 네트부 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2 격벽보강구간; 및 상기 제 1 씨실이 상기 제 2 격벽보강구간에 이어서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하는 제 4 날실교차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of the first weft may include: a first warp crossing section in which the first weft intersects the first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while the first weft thread proceed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a first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in which the first weft thread proceed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b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net part and the second net part following the first warp thread crossing section; a second warp yarn crossing section in which the first weft yarn crosse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of the second net portion while proceeding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following the first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a third warp crossing section in which the first weft thread intersects the second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second net portion while proceeding in the horizontally reverse direction following the second warp thread crossing section; a second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in which the first weft thread proceeds in the transverse reverse direction b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net part and the second net part following the third warp thread crossing section; and a fourth warp crossing section in which the first weft thread crosse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of the first net portion while proceeding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following the second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 중 일부는 나머지 제 1 날실과는 다른 색깔의 실로 상기 제 1 씨실과 체결되는 고리형 매듭이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 중 일부는 나머지 제 2 날실과는 다른 색깔의 실로 상기 제 1 씨실과 상기 제 2 씨실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는 고리형 매듭이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직조되고,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 중 일부의 고리형 매듭의 노출면과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 중 일부의 고리형 매듭의 노출면은 모두 전면이 되거나 모두 후면이 되도록, 상기 제 1 네트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네트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에 고정될 수 있다.Some of the first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are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an annular knot fastened to the first weft yarn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different color from the other first warp yarns, the second Some of the second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net portion are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an annular knot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weft yarn and the second weft yarn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different color from the other second warp yarns. and an exposed surface of a part of an annular knot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of the first net part and an exposed surface of a part of an annular knot among a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of the second net part are all front surfaces or all rear surfaces Thus, the first net portion may be fixed to the first sidewall portion and the second net portion may be fixed to the first sidewall portion.

상기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 중 일부의 각 고리형 매듭은 직선형으로 진행하는 제 1 직선구간; 및 상기 제 1 직선구간에 포개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직선구간에 이어서 고리형으로 꼬인 구조로 진행하는 제 1 고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Each annular knot of a portion of the first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includes a first straight section running in a straight line; And it may include a first ring section that proceeds in a structure twisted in an annular shape following the first straight section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first straight section.

상기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 중 일부의 각 고리형 매듭은 직선형으로 진행하는 제 2 직선구간; 및 상기 제 2 직선구간에 포개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직선구간에 이어서 고리형으로 꼬인 구조로 진행하는 제 2 고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Each annular knot of a portion of the second warp yarns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second net portion includes a second straight section running in a straight line; And it may include a second ring section which proceeds in a structure twisted in an annular shape following the second straight section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second straight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격벽부는 한 가닥의 제 1 씨실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 제 1 네트부와 한 가닥의 제 2 씨실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 제 2 네트부를 포함하고, 제 1 네트부의 제 1 씨실의 일부는 제 1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과 교차한 후에 제 2 네트부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과 교차함으로써 단일 직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n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t portion and the second weft yarn of one strand reciproc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one strand of the first weft yarn intersects with the first warp yarn while reciproca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second net portion woven in a structure that intersect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while a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of the first net portion intersect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of the first net portion after crossing the plurality of second net portions It can be made by a single weaving process by crossing the second warp yarn of the strand.

이와 같이, 단일 직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에 따라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 백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 개입이 최소화될 수 있어 작업자 실수로 인한 제조 공정상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효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In this way, as it can be manufactured by a single weaving process, a container bag having an anti-satisfaction function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within a short time. In particular, since operator intervention can be minimized in the container bag manufacturing process,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operator error can be minimized. It is not limited to the effect as described above, and another effect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백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 백에 화물을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서리격벽부(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서리격벽부(10)의 실물 사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복수 가닥의 날실 중 중간 날실(130)의 직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서리격벽부(10)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ag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ag of FIG. 1 .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charging the cargo in the container bag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shown in FIG.
6 is an actual photograph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the weav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among the plurality of warp yarns shown in FIG. 5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shown in FIG. 5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화물의 하중에 의하여 중간 높이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 개입이 최소화되어 작업자 실수로 인한 제조 공정상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을 간략하게 "컨테이너 백"으로 호칭할 수도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 relates to a container bag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fullness phenomenon in which the middle-height portion protrudes outwardly by the load of the cargo, and in particular,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hort time and at low cost. It relates to a container bag having an anti-full function that minimizes operator intervention in the process to minimize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operator error. Hereinafter, a container bag having such an anti-full function may be briefly referred to as a “container ba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컨테이너 백과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네 개의 측벽부(1), 바닥부, 및 덮개부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 사이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격벽부(1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이러한 모서리격벽부(10)에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격벽부(10)가 노출될 수 있도록 도 4에는 덮개부가 생략된 상태의 컨테이너 백이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 백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 사이의 모서리마다 모서리격벽부(10)가 배치된다. 즉, 컨테이너 백은 총 4 개의 모서리격벽부(10)를 구비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ike the conventional container bag shown in FIG. 1 ,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consisting of four side wall parts 1 , a bottom part, and a cover part so that cargo in powder or powder form can be loaded therein. is formed with The container bag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disposed at a corner between two adjacent side wall portions 1, and the feature of this embodiment lies in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Accordingly, the container bag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omitted is shown in FIG. 4 so that the edge partition wall part 10 can be exposed.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s 10 are disposed at each corner between two adjacent side wall portions 1 of the container bag. That is, the container bag includes a total of four corner partition walls 10 .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서리격벽부(10)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서리격벽부(10)의 실물 사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물 사진만으로는 모서리격벽부(10)의 직조 구조에 대한 이해가 곤란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라 직조되는 실에 대해 그 두께를 생략하고 선으로 표현하고 서로 맞닿아 있는 실들의 간격을 넓혀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6을 참조하면, 모서리격벽부(10)는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로 구성된다. 도 6에는 제 1 네트부(110)가 상세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제 1 네트부(110)만 촬영한 사진이다.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shown in FIG. 4 , and FIG. 6 is a real photograph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illustrated in FIG. 4 . Sinc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weaving structure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only with the actual photograph shown in FIG. 6 , the thickness of the yarn wove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omitted and the thickness is expressed as a line, and the spacing of the yar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enlarged and shown in FIG. 5 . Referring to FIGS. 4 to 6 ,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includes a first net portion 110 and a second net portion 110 . 6 is a photograph of only the first net unit 110 so that the first net unit 110 can be shown in detail.

제 1 네트부(11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 중 제 1 측벽부(1)에 고정되며, 한 가닥의 제 1 씨실(112)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다. 제 2 네트부(11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 중 제 2 측벽부(1)에 고정되며, 한 가닥의 제 2 씨실(112)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다. The first net portion 110 is fixed to the first sidewall portion 1 of the two adjacent sidewall portions 1, and a plurality of first weft threads 112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reciproca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woven in a structure that intersects with the warp yarn 130 . The second net portion 110 is fixed to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 of two adjacent sidewall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while one second weft yarn 112 reciproc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and intersecting structur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의 일부는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한 후에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한다.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에 접착 방식, 봉제 방식 등 여러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경우에 봉제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 방식은 본 실시예의 특징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고정 방식에 대한 도시는 생략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crosse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n the second net portion 110 ) crosses the second warp yarn 130 of a plurality of strands.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may be fixed to the two adjacent side wall parts 1 in various ways such as an adhesive method and a sewing method, but in the case of a polypropylene material, a sewing method is preferable. do. Since such a fixing method is not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illustration of the fixing method is omitted.

이에 따라,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의 일부는 제 2 네트부(110)까지 연장되어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에 제 1 씨실(112)이 걸쳐 있게 된다.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에 걸쳐 있는 제 1 씨실(112) 부분은 컨테이너 백에 화물이 채워질 때에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의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에 걸쳐 있는 제 1 씨실(112) 부분은 컨테이너 백에 화물이 채워짐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의 사이가 벌어지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모서리격벽부(1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신축성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is extended to the second net portion 110 , and the first weft yarn is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 (112) is over. The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112 that spans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maintains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two adjacent sidewall portions 1 when the container bag is filled with cargo. plays a role in keeping That is, the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112 that spans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has a gap between the two adjacent sidewall portions 1 as the container bag is filled with cargo. It serves to prevent bloating.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is preferably made of a non-stretchable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본 실시예에서는 모서리격벽부(10)의 제조에 두 가닥의 씨실만 요구되어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의 동시 직조가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격벽부(10)는 단일 직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직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에 따라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 백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 개입이 최소화될 수 있어 작업자 실수로 인한 제조 공정상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only two weft yarns are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corner bulkhead part 10, simultaneous weaving of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is possible, so the corner bulkhead par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10) can be made by a single weaving process. In this way, as it can be manufactured by a single weaving process, a container bag having an anti-satisfaction function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within a short time. In particular, since operator intervention can be minimized in the container bag manufacturing process,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operator error can be minimiz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86610호 "네트형상의 모서리격벽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은 내부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격벽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모서리격벽부의 제조에 세 가닥의 씨실이 요구되거나 지지부재가 먼저 제작되어야 하므로 모서리격벽부가 단일 직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없고, 여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본 실시예에 비해 모서리격벽부의 제조가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여러 공정 사이에 작업자가 개입해야 될 부분이 많아 작업자 실수로 인한 제조 공정상 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86610 "Container bag provided with a net-shaped corner bulkhead" presents a container bag provided with corner bulkheads disposed at each inner corner. In this prior art, since three weft yarns are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art or the support member must be manufactured first, the edge partition wall part cannot be manufactured by a single weaving process, but is manufactured through several processes. Accordingly, in the prior art, compared to the present embodiment, manufacturing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is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and there are many parts that require an operator to intervene between various processes,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operator error.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의 왕복 구간은 서로 번갈아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는 단거리왕복구간(114)과 장거리왕복구간(116)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의 단거리왕복구간(114)은 제 1 씨실(112)이 제 2 네트부(110) 측으로의 가로 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순방향 (도 5의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한 후에 제 2 네트부(110) 측으로의 가로 방향의 역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역방향 (도 5의 좌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간이다. The reciprocating section of the first weft yarn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consists of a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and a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that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of the first weft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i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the right side of FIG. 5 ) in which the first weft 112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second net portion 110 side. direction) and intersect with the first warp yarn 130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n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second net portion 110 (left direction in FIG. 5 ) ) is a section that intersects with the first warp yarn 130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to.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의 장거리왕복구간(116)은 제 1 씨실(112)이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2 날실(130)과 차례대로 교차한 후에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차례대로 교차하는 구간이다.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of the first weft yarn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is a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the first weft yarn 112 proceed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warp yarns 130 and the first plurality of yarns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crossing in turn. It is a section that intersects with the first warp yarn 130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net portion 110 in turn.

제 2 네트부(110)의 제 2 씨실(112)의 왕복 구간은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는 단거리왕복구간(114)만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네트부(110)의 제 2 씨실(112)은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한 후에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진행하게 된다.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은 장거리왕복구간(116)에서 제 2 네트부(110)의 제 2 씨실(112)과 함께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2 날실(130)과 교차하게 된다.The reciprocating section of the second weft yarn 112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consists only of the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weft yarn 112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crosse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and then proceeding in the transversely reverse direction. It proceeds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crossing the first warp yarn 130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net portion 110 . The first weft yarn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is the second weft yarn 112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in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together with the second weft yarn 112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2 will intersect with the warp yarn (130).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단거리왕복구간(114) 사이마다 하나의 장거리왕복구간(116)이 배치되는 순서로 단거리왕복구간(114)과 장거리왕복구간(116)이 서로 번갈아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다. 도 6에 도시된 실물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일곱 개의 단거리왕복구간(114) 다음에 하나의 장거리왕복구간(116)이 배치되는 순서로 단거리왕복구간(114)과 장거리왕복구간(116)이 서로 번갈아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다. 그 외 다양한 배치 순서로 단거리왕복구간(114)과 장거리왕복구간(116)이 서로 번갈아 세로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short-distance round-trip section 114 and the long-distance round-trip section 116 alternate with each other in the order in which one long-distance round-trip section 116 is arranged between two adjacent short-distance round-trip sections 114. are arranged vertically. In the real thing shown in FIG. 6, the short-distance round-trip section 114 and the long-distance round-trip section 116 are alternately vertical in the order in which one long-distance round-trip section 116 is arranged after the seven short-distance round-trip sections 114 adjacent to each other. are listed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and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various arrangements.

단거리왕복구간(114)에 대해 장거리왕복구간(116)이 보다 높은 비율로 배치될수록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에 걸쳐 있는 제 1 씨실(112) 부분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나 장거리왕복구간(116)이 촘촘하게 배치되면 큰 알갱이 형태의 화물은 모서리격벽부(10)를 통과하기가 불가능할 수 있다. 단거리왕복구간(114)에 대해 장거리왕복구간(116)이 보다 높은 낮은 비율로 배치될수록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에 걸쳐 있는 제 1 씨실(112) 부분의 개수가 감소함에 따라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나 장거리왕복구간(116)이 듬성듬성하게 배치되면 큰 알갱이 형태의 화물이라도 모서리격벽부(10)를 통과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단거리왕복구간(114)에 대한 장거리왕복구간(116)의 비율은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정도와 화물 분체의 입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As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is arranged at a higher ratio with respect to the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the number of the first weft yarn 112 portions spanning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increases. As the increase increases, the effect of preventing satiation of the container bag may be improved, but if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is densely arranged, it may be impossible for the cargo in the form of large grains to pass through the corner bulkhead 10 . As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is arranged at a higher and lower ratio with respect to the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the number of the first weft yarn 112 portions spanning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Although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atiation phenomenon of the container bag may be reduced as the decrease in , if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is sparsely arranged, even the cargo in the form of large grains may easily pass through the corner bulkheads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to the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is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llness of the container bag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cargo powder.

제 1 씨실(112)의 각 장거리왕복구간(116)은 제 1 날실교차구간(118), 제 1 격벽보강구간(120), 제 2 날실교차구간(118), 제 3 날실교차구간(118), 제 2 격벽보강구간(120), 및 제 4 날실교차구간(118)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날실교차구간(118)은 제 1 씨실(112)이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간이다. 제 1 격벽보강구간(120)은 제 1 씨실(112)이 제 1 날실교차구간(118)에 이어서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의 간격만큼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이다. 제 2 날실교차구간(118)은 제 1 씨실(112)이 제 1 격벽보강구간(120)에 이어서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간이다. Each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of the first weft yarn 112 includes a first warp yarn cross section 118, a first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a second warp yarn cross section 118, and a third warp yarn cross section 118. , a second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 and a fourth warp yarn crossing section 118 . The first warp yarn crossing section 118 is a section in which the first weft yarn 112 crosse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In the first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the first weft yarn 112 proceed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b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following the first warp yarn crossing section 118. is the section The second warp yarn crossing section 118 crosse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while the first weft yarn 112 proceed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following the first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 is the section

제 3 날실교차구간(118)은 제 1 씨실(112)이 제 2 날실교차구간(118)에 이어서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간이다. 제 2 격벽보강구간(120)은 제 1 씨실(112)이 제 3 날실교차구간(118)에 이어서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의 간격만큼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이다. 제 4 날실교차구간(118)은 제 1 씨실(112)이 제 2 격벽보강구간(120)에 이어서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간이다. The third warp crossing section 118 crosse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130 of the second net part 110 while the first weft thread 112 proceeds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following the second warp thread crossing section 118 . is the section In the second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the first weft yarn 112 proceeds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b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following the third warp yarn crossing section 118. is the section In the fourth warp crossing section 118 , the first weft thread 112 crosse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130 of the first net part 110 while proceeding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following the second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 is the section

여기에서, 제 1 격벽보강구간(120)과 제 2 격벽보강구간(120)은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에 걸쳐 있는 제 1 씨실(112) 부분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에 부착될 때에 제 1 격벽보강구간(120)과 제 2 격벽보강구간(120)은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와의 경계 지점에서 꺾여져서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 공간에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 백에 화물이 가득 채워질 때에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의 사이가 벌어지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first bulkhead reinforcing section 120 and the second bulkhead reinforcing section 120 correspond to the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112 spanning between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 . As shown in FIG. 4 , when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are attached to the two side wall parts 1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partition wall reinforcement section 12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The reinforcement section 120 is bent at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and is diagonally disposed in the corner space of the container bag so that when the container bag is full of cargo, two neighboring parts are formed. It serve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atiation that spreads between the sidewalls (1).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복수 가닥의 날실 중 중간 날실(130)의 직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는 중간 날실(130)의 매듭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중간 날실(130)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의 중간 날실(130)의 직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b)에는 도 5에 도시된 복수 가닥의 날실 중 중간 날실(130)의 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의 (c)에는 도 5에 도시된 복수 가닥의 날실 중 중간 날실(13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의 중간 날실(130)의 직조 구조는 실제 직조될 때에는 팽팽한 상태가 되므로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7의 (b)와 (c)에서 씨실(112)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view showing the weav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among the plurality of warp yarns shown in FIG. 5 . 7( a ) shows a weave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is loosene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knot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 FIG. 7(b) shows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among the plurality of warp yarns shown in FIG. 5, and FIG. ) is shown. The weave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in the loosened state shown in Fig. 7(a) is in a taut state when it is actually woven, so it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s. 7(b) and (c). 7 (b) and (c), the weft yarn 112 is shown by a dotted line.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 중 일부, 예를 들어 제 1 중간 날실(130)은 나머지 제 1 날실(130)과는 다른 색깔의 실로 제 1 씨실(112)과 체결되는 고리형 매듭이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직조된다. 도 8의 실물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 중 제 1 중간 날실(130)로는 검은 색깔의 실이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제 1 날실(130)로는 흰 색깔의 실이 사용될 수 있다. 모서리격벽부(10)의 직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나머지 제 1 날실(130)도 제 1 중간 날실(130)과 동일하게 제 1 씨실(112)과 체결되는 고리형 매듭이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직조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for example, the first intermediate warp yarn 130, is a first weft yarn 112 with a different color from the other first warp yarn 130. It is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annular knots fastened to and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the real photo of FIG. 8 , a black yarn may be used as the first intermediate warp yarn 13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unit 110 , and the remaining first warp yarns ( 130), a white colored thread may be used.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weaving process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the remaining first warp yarns 130 also have an annular knot fastened with the first weft yarns 112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intermediate warp yarns 130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woven into a structure that is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 중 일부, 예를 들어 제 2 중간 날실(130)은 나머지 제 2 날실(130)과는 다른 색깔의 실로 제 1 씨실(112)과 제 2 씨실(112)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는 고리형 매듭이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직조된다. 제 1 씨실(112)의 장거리왕복구간(116)에서는 제 2 중간 날실(130)의 각 고리형 매듭은 제 1 씨실(112)과 제 2 씨실(112)과 체결되고, 제 1 씨실(112)의 단거리왕복구간(114)에서는 제 2 중간 날실(130)의 각 고리형 매듭은 제 1 씨실(112)과 제 2 씨실(112)과 체결된다. 도 6의 제 1 네트부(110)와 마찬가지로,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 중 제 2 중간 날실(130)로는 검은 색깔의 실이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제 2 날실(130)로는 흰 색깔의 실이 사용될 수 있다. 모서리격벽부(10)의 직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나머지 제 2 날실(130)도 제 2 중간 날실(130)과 동일하게 제 2 씨실(112)과 체결되는 고리형 매듭이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직조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for example, the second intermediate warp yarn 130 is a yarn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other second warp yarn 130, the first weft yarn 112 And the second weft thread 112 is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oop knot fastened to at least one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of the first weft yarn 112, each annular knot of the second intermediate warp yarn 130 is fastened with the first weft yarn 112 and the second weft yarn 112, and the first weft yarn 112. In the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of , each annular knot of the second intermediate warp yarn 130 is fastened with the first weft yarn 112 and the second weft yarn 112 . Like the first net part 110 of FIG. 6 , a black thread may be used as the second intermediate warp thread 130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130 of the second net part 110 , and the remaining second warp threads 130 . 2 As the warp yarn 130 , a white colored yarn may be used.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weaving process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the remaining second warp yarns 130 are also arranged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second intermediate warp yarns 130. It can be woven into a structure that is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 중 일부의 고리형 매듭의 노출면과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 중 일부의 고리형 매듭의 노출면은 모두 전면이 되거나 모두 후면이 되도록, 제 1 네트부(110)는 제 1 측벽부(1)에 고정되고 제 2 네트부(110)는 제 1 측벽부(1)에 고정된다. 각 고리형 매듭은 고리 노출 여부에 따라 그것의 전면과 후면의 모양이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에는 제 1 씨실(112)의 여러 가닥의 격벽보강구간(120)이 배치되어 있다. The exposed surface of a part of the annular knot of the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130 of the first net part 110 and a part of the loop knot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130 of the second net part 110 The first net part 110 is fixed to the first side wall part 1 and the second net part 110 is fixed to the first side wall part 1 so that all exposed surfaces of the are front or all rear surfaces. Each loop knot has a different shape on its front and back depending on whether the loop is exposed or not.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 a plurality of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s 120 of the first weft thread 112 are disposed.

도 5에는 모서리격벽부(10)가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모서리격벽부(10)는 직물의 일종이므로 보관, 이동 등 취급 과정에서 대부분 뭉쳐 있게 된다. 뭉쳐진 상태의 모서리격벽부(10)를 펼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에 고정시킬 때에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에 덧댄 후에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봉제하게 된다.Although the edge partition wall part 10 is shown in an unfolded state in FIG. 5 , the edge partition wall part 10 is a kind of fabric, so it is mostly bundled in the handling process such as storage and movement. When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of the agglomerated state is spread and fixed to the two side wall portions 1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are connected to the two adjacent side wall portions 1 ) and then sewn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각각의 전면과 후면 구별이 어려운 경우, 뭉쳐진 상태의 모서리격벽부(10)를 펼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제 1 네트부(110)의 전면이 제 1 측벽부(1)에 대한 부착면이 되고 제 2 네트부(110)의 후면이 제 2 측벽부(1)에 대한 부착면이 될 수 있고, 그 반대일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사이의 여러 가닥의 격벽보강구간(120)은 서로 꼬이게 되고, 그 결과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에 정상적으로 고정될 수 없게 된다. When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corner partition wall part 10 in a bundled state and fixing it to two adjacent side wall parts 1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net part 110 may be an attachment surface for the first side wall part 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net part 110 may be an attachment surface for the second side wall part 1, It could be the other way around.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reinforcement section 120 of several strands between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is twisted with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 110) cannot be normally fixed to the two side wall parts 1 adjacent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 중 일부와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 중 일부는 나머지 날실(130)과는 다른 색깔의 실로 고리형 매듭이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직조됨으로써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각각의 전면과 후면의 구별이 용이하게 되고, 그 결과 이러한 제조 공정상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unit 110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unit 110 are the other warp yarns 130 . ) and a thread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woven in a structure in which a loop knot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becomes easy to distinguis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each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and the As a result, errors in these manufacturing processes can be avoided.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 중 제 1 중간 날실(130)의 각 고리형 매듭은 직선형으로 진행하는 제 1 직선구간(131)과 제 1 직선구간(131)에 포개져서 배치되도록 제 1 직선구간(131)에 이어서 고리형으로 꼬인 구조로 진행하는 제 1 고리구간(132)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 중 제 2 중간 날실(130)의 각 고리형 매듭은 직선형으로 진행하는 제 2 직선구간(131)과 제 2 직선구간(131)에 포개져서 배치되도록 제 2 직선구간(131)에 이어서 고리형으로 꼬인 구조로 진행하는 제 2 고리구간(132)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b) and (c) of Figure 7, each annular knot of the first intermediate warp yarn 130 of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proceeds in a straight line. It consists of a first straight section 131 and a first loop section 132 that proceeds in a structure twisted in an annular shape following the first straight section 131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straight section 131 . Similarly, each annular knot of the second intermediate warp yarn 13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includes a second straight section 131 and a second straight section ( It consists of a second ring section 132 that proceeds in a structure twisted in an annular shape following the second straight section 131 so as to be overlapped on the 131).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서리격벽부(10)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모서리격벽부(10)의 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8에는 도 7에 도시된 중간 날실(130)의 직조 구조가 적용된 모서리격벽부(10)의 전면과 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중간 날실(130)의 전면은 대략 마름모 모양의 고리가 연속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나타나고,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중간 날실(130)의 후면은 직선이 세로방향으로 연속해서 이어진 형태로 나타난다. 도 5,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제 1 네트부(110)와 제 2 네트부(110) 각각의 전면과 후면을 매우 구별할 수 있다.FIG. 8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shown in FIG. 5 . 5 shows the front side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 5 and 8,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to which the weav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warp yarn 130 shown in FIG. 7 is applied are shown. As shown in Figures 5 and 7,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termediate warp yarn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appears in the form of approximately rhombus-shaped ring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net portion (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intermediate warp yarn 130 of 110) appears in a form in which a straight line is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5 and 8, the operator can very distinguish the front and rear of each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inly looked 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 측벽부
10 ... 모서리격벽부
110 ... 네트부
112 ... 씨실
114 ... 단거리왕복구간
116 ... 장거리왕복구간
118 ... 날실교차구간
120 ... 격벽보강구간
130 ... 날실
131 ... 직선구간
132 ... 고리구간
1 ... side wall
10 ... corner bulkheads
110 ... net part
112 ... weft
114 ... short-distance round-trip section
116 ... long-distance round-trip section
118 ... warp cross section
120 ...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30 ... warp
131 ... straight section
132 ... Gori section

Claims (6)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 사이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격벽부(1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격벽부(1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 중 제 1 측벽부(1)에 고정되며, 한 가닥의 제 1 씨실(112)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 제 1 네트부(110);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벽부(1) 중 제 2 측벽부(1)에 고정되며, 한 가닥의 제 2 씨실(112)이 가로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하는 구조로 직조된 제 2 네트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의 일부는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한 후에 상기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하고,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제 1 씨실(112)의 왕복 구간은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제 2 네트부(110) 측으로의 가로 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한 후에 상기 제 2 네트부(110) 측으로의 가로 방향의 역방향에 해당하는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단거리왕복구간(114); 및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상기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2 날실(130)과 차례대로 교차한 후에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차례대로 교차하는 장거리왕복구간(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In a container bag comprising a corner partition wall portion (10) disposed at a corner between two adjacent side wall portions (1),
The corner partition wall 10 is
It is fixed to the first sidewall part 1 of the two adjacent sidewall parts 1, and one strand of the first weft thread 112 intersects with the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130 while reciproca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first net portion 110 woven with; and
It is fixed to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 of the two adjacent sidewall portions 1, and one strand of the second weft yarn 112 intersects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while recipro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a second net portion 110 woven in the structure,
A portion of the first weft yarn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intersect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n a plurality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crosses the second warp yarn 130 of the strand,
The reciprocating section of the first weft 112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is
After the first weft yarn 112 crosse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a horizontal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second net portion 110 , A short-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4 that intersect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a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net portion 110 side; and
As the first weft thread 112 progresses in the horizontal forward dir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warp threads 130 of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130 of the second net part 110 are carried out.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and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after crossing in turn. Container ba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ng-distance round-trip section 116 that intersects in tur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씨실(112)의 장거리왕복구간(116)은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제 1 날실교차구간(118);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제 1 날실교차구간(118)에 이어서 상기 제 1 네트부(110)와 상기 제 2 네트부(110) 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1 격벽보강구간(120);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제 1 격벽보강구간(120)에 이어서 상기 가로 순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하는 제 2 날실교차구간(118);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제 2 날실교차구간(118)에 이어서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2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2 날실(130)과 교차하는 제 3 날실교차구간(118);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제 3 날실교차구간(118)에 이어서 상기 제 1 네트부(110)와 상기 제 2 네트부(110) 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2 격벽보강구간(120); 및
상기 제 1 씨실(112)이 상기 제 2 격벽보강구간(120)에 이어서 상기 가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제 1 네트부(110)의 복수 가닥의 제 1 날실(130)과 교차하는 제 4 날실교차구간(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The method of claim 1,
The long-distance reciprocating section 116 of the first weft 112 is
a first warp yarn crossing section 118 in which the first weft yarn 112 crosses the first warp yarn 130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A first bulkhead reinforcement in which the first weft yarn 112 proceeds in the transverse forward direction b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net portion 110 and the second net portion 110 following the first warp yarn crossing section 118 . section 120;
A second warp yarn crossing in which the first weft yarn 112 intersect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yarns 130 of the second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the horizontal forward direction following the first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 section 118;
A third warp thread crossing in which the first weft thread 112 intersects the plurality of second warp threads 130 of the second net part 110 while proceeding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following the second warp thread crossing section 118 section 118;
A second bulkhead reinforcement in which the first weft thread 112 proceeds in the transverse reverse direction b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net part 110 and the second net part 110 following the third warp thread crossing section 118 . section 120; and
A fourth warp yarn crossing in which the first weft yarn 112 intersects the plurality of first warp yarns 130 of the first net portion 110 while proceeding in the horizontal reverse direction following the second bulkhead reinforcement section 120 . A container bag comprising a section (1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32178A 2020-07-09 2021-03-11 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KR10231219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401 2020-07-09
KR20200084401 2020-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193B1 true KR102312193B1 (en) 2021-10-13

Family

ID=7815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178A KR102312193B1 (en) 2020-07-09 2021-03-11 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19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6009A1 (en) * 2014-07-09 2016-01-13 Indutainer GmbH Film insert for a flexible bulk container and flexible bulk container
KR101586610B1 (en) * 2015-05-08 2016-01-20 최방림 Container bag having corner wall member of net structure
KR101647251B1 (en) * 2015-02-23 2016-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Container bag
KR102068975B1 (en) * 2018-10-12 2020-01-22 김영식 Container bag having 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6009A1 (en) * 2014-07-09 2016-01-13 Indutainer GmbH Film insert for a flexible bulk container and flexible bulk container
KR101647251B1 (en) * 2015-02-23 2016-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Container bag
KR101586610B1 (en) * 2015-05-08 2016-01-20 최방림 Container bag having corner wall member of net structure
KR102068975B1 (en) * 2018-10-12 2020-01-22 김영식 Container bag having 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377B1 (en) Baffle type container bag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EP0703162B1 (en)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US5108196A (en) Relating to bulk containers
KR101647251B1 (en) Container bag
AU2006215995B2 (en) Container bag for containing particulate materials
JPH0220499B2 (en)
KR101874264B1 (en) Container bag
JPH0880994A (en) Bag container
US2813745A (en) Cargo sling
KR101625405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supporting belt
US5785175A (en) Flexible bulk bag with improved base
US5934807A (en) Container bag
KR20040027809A (en) A container bag
EP0027309A1 (en) Manufacture of flexible containers
KR101803469B1 (en) Insert-structured container bag having inner bag to be inserted in outer bag
KR102312193B1 (en) 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KR102010193B1 (en) A container bag
US4948265A (en) Container bag
KR101803470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verlap-structured container bag and the container bag by the method
JP2511374B2 (en) Flexible container
KR102068975B1 (en) Container bag having net
KR101964076B1 (en) Container bag
KR0128002Y1 (en) Reinforced container
US5415614A (en) Manufacture of bulk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