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439B1 -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439B1
KR102307439B1 KR1020190083997A KR20190083997A KR102307439B1 KR 102307439 B1 KR102307439 B1 KR 102307439B1 KR 1020190083997 A KR1020190083997 A KR 1020190083997A KR 20190083997 A KR20190083997 A KR 20190083997A KR 102307439 B1 KR102307439 B1 KR 10230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unit
pads
mobile robot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7473A (en
Inventor
안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39B1/en
Priority to PCT/KR2020/009038 priority patent/WO2021006671A1/en
Publication of KR2021000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fluid pressure, liquid level or liquid displacement, e.g. Buchholz relays
    • H02H5/08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fluid pressure, liquid level or liquid displacement, e.g. Buchholz relays responsive to the entry or leakage of a liquid into an electrical appli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은,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품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부; 및 상기 침수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침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부품을 보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 로봇의 내부에 물이 침수될 때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침수 감지 회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로봇의 내부에 비용 증가 없고,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침수감지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A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for moving a main body; a functional unit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parts are mounted to detect water ingress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be submerged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and control the component to be protec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d detection circuit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when water is submerged in the mobile robo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d detection circuit that does not increase the cost and does not occupy a large area inside the mobile robot.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이동 로봇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이동 로봇의 감지 및 그에 따른 주행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obot mobile robot and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robot mobile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robot mobile robot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riving technology accordingly.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a part of factory automation.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 중에서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을 이동 로봇이라고 한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이동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 및 잔디 깎기 로봇이다.Recently, the field of application of robots has been further expanded, and medical robots and aerospace robots have been developed, and household robots that can be used in general households are also being made. Among these robots, those capable of driving by their own force are called mobile robots. Representative examples of mobile robots used in homes are robotic vacuum cleaners and lawn mowers.

이동 로봇에 구비된 여러 센서를 통하여 이동 로봇 주변의 환경 및 사용자를 감지하는 여러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동 로봇이 스스로 청소 구역을 학습하여 맵핑하고, 맵 상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청소 구역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Various technologies for detecting an environment and a user around the mobile robot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are known. In addition, techniques are known in which a mobile robot learns and maps a cleaning area by itself, and recognizes a current location on a map. There is known a robot vacuum cleaner that cleans a cleaning area while driving in a predetermined manner.

또한, 종래 기술(한국특허공개번호 20100000455)에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구역의 외곽을 주행하는 벽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패턴 주행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0455) discloses a technique of performing pattern driving in a zigzag pattern along a wall that runs outside the region while driving the region to be cleaned by itself.

한편, 이와 같은 이동 로봇의 사용에 있어서, 물을 포함하는 액체의 침수는 계속적으로 문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se of such a mobile robot, the immersion of a liquid containing water continues to be a problem.

이와 같은 전자 제품에 있어 침수에 의한 기기 고장의 문제는 비단 로봇 청소기만의 문제는 아니다.In such electronic products, the problem of equipment failure due to water immersion is not only a problem of robot vacuum cleaners.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한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0-0006616)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이 침수에 의해 단락될 경우, 상기 출력반전소자에 의해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2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ior art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6616), when the power supply pattern and the conducting wire pattern are short-circuited by immersion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flood detection printed circuit by the output inverting element Disclosed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power supplied to the substrate 121 is cut off.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인쇄회로기판(121)의 전체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도전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출력 반전 소자를 포함하여 비용 및 소형화에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is prior art, a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and there is a problem in cost and miniaturization including an output inversion element.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90925 (공개일자 : 2008년 10월 19일)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90925 (Published date: October 19, 2008)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0-0006616 (공개일자: 2010년 6월 29일)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6616 (Publication date: June 29, 2010)

제1 과제는 이동 로봇의 내부에 물이 침수될 때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침수 감지 회로를 제시하는 것이다.The first task is to present a water immersion detection circuit that can effectively detect when water is submerged inside a mobile robot.

제2 과제는 이동 로봇의 내부에 침수감지회로를 포함하면서, 비용 증가 없고,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침수감지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is to provide a flood detection circuit that includes a flood detection circuit inside the mobile robot, does not increase the cost, and does not occupy a large area.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침수감지회로에서 출력 반전 소자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비용의 증가 및 소자 구동을 위한 회로부가 부가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별도의 회로부 추가 없이 저항 하나만으로 침수에 의한 반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침수감지회로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을 제시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by separately providing an output inverting element in the submersion detection circuit, a circuit portion for increasing the cost and driving the element was additionally required.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obot including a immersion detection circuit capable of outputting an inversion signal due to immersion with only one resistor without adding a separate circuit unit.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4 과제는 주기적으로 침수감지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읽어들여 침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전기부품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Finally,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robot capable of minimizing failure by periodically reading the output from the flood detection circuit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bmerged, and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al parts according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은,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품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부; 및 상기 침수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침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부품을 보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ing unit for moving a main body; a functional unit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parts are mounted to detect water ingress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be submerged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and control the component to be protected.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어부가 구현되어 있는 전자 칩을 실장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mount an electronic chip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mplemented.

상기 침수 감지부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와 이격되어 있으며 접지 되어 있는 제2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와 양의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ood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pad, a second pa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grounded,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d and a positive volt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저항 사이의 전압을 상기 감지 신호로 읽어들일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ad a voltag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first resistor as the sensing signal.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침수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단락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may be a distance that can b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by immersion.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0.1 mm 이하인 것을 충족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may be 0.1 mm or les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감지 신호가 로우로 하강하면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iodically read the detection signal and determine that submersion has occurred when the detection signal falls to low.

상기 침수 감지부는,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와 이격되어 있으며 접지 되어 있는 제2 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드쌍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드쌍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immers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d pairs including the first pad and a second pa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grounded, and the plurality of pad pai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각각의 패드쌍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ad pair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dge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각각의 패드쌍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의 서로 다른 변에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ad pairs may be formed on different sides of an edge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각각의 패드쌍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서 상기 제1 패드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상기 제1 저항에 의해 상기 양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In each of the pad pairs, the first pad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ositive voltage may be applied by one of the first resistors.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어부를 구현하는 전자 칩의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sistor may be dispos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electronic chip implementing the controller.

상기 침수 감지부는, 감지 영역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1 패드를 포함하는 제1 패드 그룹, 상기 감지 영역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제2 패드를 포함하는 제2 패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 그룹의 각각의 상기 제1 패드와 이웃하도록 상기 제2 패드 그룹의 각각의 상기 제2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The immersion de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pad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ads disposed in a sensing area, and a second pad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ads disposed in the sensing area, wherein the first pad group includes: Each of the second pads of the second pad group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first pads of the pad group.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의 일 변이 이웃한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의 일 변과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have a polygonal shape, and one side of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by a first distance. can be

상기 제1 패드 그룹의 복수의 상기 제1 패드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고,a plurality of the first pads of the first pad group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parallel;

상기 제2 패드 그룹의 복수의 상기 제2 패드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pads of the second pad group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parall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가 로우로 하강하면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detection signal falls to low,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submersion has occurred and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본체를 이동시키며 청소를 수행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품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 여부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의 상태가 가변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가 발생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robot that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a main body, comprising: periodically reading a detection signal tha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dicates whether submersion into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parts are mounted; determining that submergence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occurred when the state of the detection signal varies; and cutting off pow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ubmerged.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와 이격되어 있으며 접지 되어 있는 제2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와 양의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pad, a second pa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grounded,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d and a positive voltage may b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감지 신호를 읽어들이는 단계는,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저항 사이의 전압을 상기 감지 신호로 읽어들일 수 있다.The reading of the sensing signal may include reading a voltag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first resistor as the sensing signal.

상기 감지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하강하면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of the detection signal, when the detection signal falls from high to low, it may be determined that submersion has occurred.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의 내부에 물이 침수될 때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침수 감지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lood detection circuit that can effectively detect when water is submerged in the inside of the mobile robot.

또한, 이동 로봇의 내부에 비용 증가 없고,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침수감지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d detection circuit that does not increase the cost and does not occupy a large area inside the mobile robot.

또한, 별도의 회로부 추가 없이 저항 하나만으로 침수에 의한 반전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회로가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In addition, the circuit is simplified and the cost is reduced because an inversion signal by immersion can be output with only one resistor without adding a separate circuit part.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침수감지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읽어들여 침수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전기부품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ailure by periodically reading the output from the flood detection circuit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is submerged, and accordingly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al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을 충전시키는 충전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로봇을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로봇을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로봇을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로봇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침수 감지부가 침수되었을 때의 회로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부를 나타내는 회로 합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을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침수 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robot and a charging stand for charging the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levation view of the mobile robot of FIG. 1 viewed from above.
3 is an elevation view of the mobile robot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4 is an elevation view of the mobile robot of FIG. 1 viewed from the lower sid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mobile robot of FIG. 1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state when 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merged.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synthesis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ar view show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of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설명 전체에 걸쳐 언어적/수학적으로 표현된 대소비교에 있어서, '작거나 같음(이하)'과 '작음(미만)'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크거나 같음(이상)'과 '큼(초과)'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치환하여도 그 효과 발휘에 문제가 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e comparative comparison expressed linguistically/mathematically throughout this description, 'less than or equal to (hereinafter)' and 'less than (less than)' are degrees that are easily substituted for each o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Above)' and 'greater than (exceed)' are degrees that can be easily substituted with each o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even if substituted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f course not a problem to exert the effect.

본 발명의 이동 로봇(100)은 바퀴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을 의미하고, 가정 도우미 로봇 및 이동 로봇 등이 될 수 있다.The mobile robo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robot capable of moving by itself using wheels, etc., and may be a home helper robot, a mobile robot, or the like.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동 로봇 중 로봇 청소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robot cleaner 100 among the mobile robot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이하, 본체(110)의 각부분을 정의함에 있어서, 주행구역 내의 천장을 향하는 부분을 상면부(도 2 참조)로 정의하고, 주행구역 내의 바닥을 향하는 부분을 저면부(도 4 참조)로 정의하고, 상기 상면부와 저면부 사이에서 본체(110)의 둘레를 이루는 부분 중 주행방향을 향하는 부분을 정면부(도 3 참조)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체(110)의 정면부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부분을 후면부로 정의할 수 있다. 본체(110)는 로봇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body 110 . Hereinafter, in defining each part of the main body 110, the portion facing the ceiling in the traveling zone is defined as the upper surface portion (refer to FIG. 2), and the portion facing the floor in the traveling zone is defined as the bottom portion (see FIG. 4). And, a portion facing the traveling direction among the portions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0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defined as a front portion (refer to FIG. 3 ). In addition, a portion fac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10 may be defined as the rear portion. The body 110 may include a case 111 that forms a space in which various par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are accommodated.

로봇 청소기(100)는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는 센싱부(130)를 포함한다.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외부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주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sensing unit 130 that detects a surrounding situation. 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detects a user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n object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

센싱부(130)는 청소 구역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주행면 상의 벽체, 가구 및 낭떠러지 등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천장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주행면 상에 놓여진 물건 및/또는 외부의 상측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상측 물체는, 로봇 청소기(100)의 상측 방향에 배치되는 천장이나 가구의 하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가 감지한 정보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을 맵핑(Mapping)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area.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obstacles such as walls, furniture, and cliffs on the driving surface. 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ceiling. 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n object placed on the driving surface and/or an external upper object. The external upper object may include a ceiling or a lower surface of furniture dispos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 Through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30 , the robot cleaner 100 may map the cleaning area.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주변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로봇 청소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상기 사용자와 로봇 청소기(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user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irection information for the robot cleaner 100 .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user.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 direc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cleaner 100 .

상기 위치 정보는, 센싱부(130)의 감지에 의해 곧바로 획득될 수도 있고, 제어부(140)에 의해 처리되어 획득될 수도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rectly obtained by sensing by the sensing unit 130 or may be obtained by processing by the control unit 140 .

센싱부(130)는 주변의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 감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특정 방향으로 영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의 전방으로 영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 감지부(135)는 주행구역을 촬영하는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상기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상기 광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n image sensing unit 135 that senses an image around it. The image sensing unit 135 may detect an image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bot cleaner 100 . For example, the image sensing unit 135 may detect an image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image sensing unit 135 captures the driving area and may include a digital camera. The digital camera includes at least one optical lens and an image sensor (eg, CMOS image sensor)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hotodiodes (eg, pixels) on which an image is formed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lens.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onfigured to construct an image based 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hotodiode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may generate a still image as well as a moving image composed of frames composed of still images.

센싱부(130)는 주변의 벽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감지부(131)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와 주변의 벽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부(131)는, 로봇 청소기(100)의 특정 방향으로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한다. 거리 감지부(131)는 카메라, 초음파 센서 또는 IR(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 distance sensing unit 131 that detects a distance to a surrounding wall.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surrounding wall may be detected through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detects a distance to the user in a specific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distance sensor 131 may include a camera, an ultrasonic sensor, or an IR (infrared) sensor.

거리 감지부(131)는 본체(110)의 정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측방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or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거리 감지부(131)는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거리 감지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may detect a nearby obstacle. A plurality of distance sensing units 131 may be provided.

센싱부(130)는 주행구역 내 바닥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낭떠러지 감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낭떠러지 감지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 cliff sensing unit 132 that detects whether a cliff exists on the floor in the driving zone. A plurality of cliff detection units 132 may be provided.

센싱부(130)는 바닥의 영상을 획득하는 하부 영상 센서(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image sensor 137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floor.

한편,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로 침수가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for detecting whether the interior of the robot cleaner 100 has been submerged.

침수 감지부(137)는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동 모듈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21)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may be specifically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121 on which a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are mounted.

이와 같은 침수 감지부(137)는 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액체가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에 침투하여 구동 모듈인 전자 부품에 고장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지한다. 이러한 침수 감지부(137)는 제어부(140)를 이루는 프로세서 모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40)로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이를 판독하여 침수가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Such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detects a risk that various liquids including water may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cause a failure in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is a driving module.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ocessor module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40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40 may read it and determine whether submersion has been achieved. .

이와 같은 침수 감지부(137)는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면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Such a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areas.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60)를 포함한다. 주행부(160)는 바닥에 대해 본체(110)를 이동시킨다. 주행부(160)는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바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160)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바퀴(166)는 본체(110)의 좌, 우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 각각 좌륜(166(L))과 우륜(166(R))이라고 한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traveling unit 160 that moves the main body 110 . The traveling unit 160 moves the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floor. The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driving wheel 166 for moving the main body 110 . The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The driving wheels 166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10, respective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ft wheel 166(L) and a right wheel 166(R), respectively.

좌륜(166(L))과 우륜(166(R))은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좌륜(166(L))을 구동시키는 좌륜 구동 모터와 우륜(166(R))을 구동시키는 우륜 구동 모터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좌륜(166(L))과 우륜(166(R))의 회전 속도에 차이를 두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본체(110)의 주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The left wheel 166(L) and the right wheel 166(R) may be driven by one driving motor, but if necessary, the left wheel drive motor and the right wheel 166(R) for driving the left wheel 166(L) ) may be provided with right-wheel drive motors respectivel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switched to the left or right by making a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left wheel 166(L) and the right wheel 166(R).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청소부(180)를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leaning unit 180 that performs a cleaning function.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을 이동하며 청소부(180)에 의해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청소부(180)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 비질을 수행하는 브러시(184, 185), 흡입장치나 브러시에 의해 수거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먼지통(미도시) 및/또는 걸레질을 수행하는 걸레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may move the cleaning area and clean the floor by the cleaner 180 . The cleaning unit 180 includes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brushes 184 and 185 for performing brooming, a dust bin (not shown) for storing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by the suction device or brush, and/or a mop part for mopping. (not shown) and the like.

본체(110)의 저면부에는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180h)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 내에는 흡입구(180h)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장치(미도시)와, 흡입구(180h)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A suction port 180h through which air is sucke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 In the main body 110, a suction device (not shown) that provides a suction force so that air can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and a dust container (not shown) that collects dust suck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This may be provided.

케이스(111)에는 상기 먼지통의 삽입과 탈거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먼지통 커버(112)가 케이스(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n opening for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dust container may be formed in the case 111 , and a dust container cover 1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ase 111 .

흡입구(180h)를 통해 노출되는 솔들을 갖는 롤형의 메인 브러시(184)와, 본체(110)의 저면부 전방측에 위치하며,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솔을 갖는 보조 브러시(18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브러시(184, 185)들의 회전에 의해 주행구역 내 바닥으로부터 먼지들이 제거되며, 이렇게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먼지들은 흡입구(180h)를 통해 흡입되어 먼지통에 모인다.A roll-type main brush 184 having brushes exposed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and an auxiliary brush 185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and having a brush composed of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ed wings. may be provided. The rotation of these brushes 184 and 185 removes dust from the floor in the driving area, and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loo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and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배터리(138)는 상기 구동 모터뿐만 아니라, 로봇 청소기(100)의 작동 전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38)가 방전될 시, 로봇 청소기(100)는 충전을 위해 충전대(200)로 복귀하는 주행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귀 주행 중, 로봇 청소기(100)는 스스로 충전대(200)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The battery 138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s well as the driving motor. When the battery 138 is discharged, the robot cleaner 100 may perform a driving to return to the charging station 200 for charging, and during this return driving, the robot cleaner 100 may self-locate the charging station 200 . can be detected.

충전대(200)는 소정의 복귀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신호는 초음파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charging station 200 may include a signal transmitting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return signal. The return signal may be an ultrasonic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영상감지부(135)는 본체(110)의 상면부에 구비되어, 청지역 내의 천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나, 영상감지부(135)의 위치와 촬영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상감지부(135)는 본체(110)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sensing unit 13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acquire an image of the ceiling in the blue area, but the position and shooting range of the image sensing unit 135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the image sensing unit 135 may be provided to acqui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

또한, 로봇 청소기(100)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inputting On/Off or various commands.

도 5를 참고하여, 로봇 청소기(100)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저장부(150)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들이 기록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various data. Various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150 . The storage unit 150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microprocessor, and includes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저장부(150)에는 청소 구역의 맵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맵은 로봇 청소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고, 로봇 청소기(100)가 스스로 학습을 하여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외부 단말기로는 맵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리모컨, PDA, 랩탑(laptop), 스마트 폰, 태블렛 등을 예로 들 수 있다.A map of the cleaning are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The map may be input by an external terminal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be generated by the robot cleaner 100 learning itself. In the former case, examples of the external terminal include a remote controller, a PDA, a laptop, a smart phone, a tablet, etc.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setting a map.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상기 영상 감지부(135)에서 획득된 영상을 근거로 주행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주행 변위는,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로봇 청소기(100)의 연속적인 이동에 따라 달라지는 바닥 영상의 연속적인 픽셀(pixel) 비교를 통해서 주행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driv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driving displacement based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sensing unit 135 . The traveling displacement is a concept including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100 . For example, the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traveling displacement through continuous pixel comparison of a floor imag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00 .

또한,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주행부(160)의 동작을 근거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구동 바퀴(136)의 회전속도를 근거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또는 과거의 이동속도, 주행한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각 구동 바퀴(136(L), 136(R))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재 또는 과거의 방향 전환 과정 또한 측정할 수 있다. Also, the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traveling displacement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traveling unit 16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measure the current or past moving speed, the distance traveled, etc.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wheel 136 , and each driving wheel 136(L) ) and 136(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 current or past direction change process can also be measured.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거리 감지부(131) 및 영상 감지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변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traveling displacemen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and the image sensing unit 135 .

제어부(140)는 이렇게 측정된 주행 변위를 바탕으로,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based on the measured traveling displacement.

송신부(170)는 로봇 청소기의 정보를 다른 로봇 청소기나 중앙 서버에 송신해줄 수 있다. 수신부(190)는 다른 로봇 청소기나 중앙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170)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수신부(190)가 수신하는 정보는 로봇 청소기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17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robot cleaner to another robot cleaner or a central server. The receiver 19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nother robot cleaner or a central serv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170 o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er 190 may includ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로봇 청소기(100)는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청소 구역을 학습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맵 상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로봇 청소기(100)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들(예를 들어, 주행 변위 측정부(165), 거리 감지부(131), 침수 감지부(137), 영상감지부(135), 주행부(160), 송신부(170), 수신부(190) 등)의 제어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40 that processes and determin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for learning the cleaning area.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for recognizing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eg, a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 a distance sensing unit 131 , a immersion sensing unit 137 , an image sensing unit 135 , Through the control of the traveling unit 160 , the transmitting unit 170 , the receiving unit 190 , etc.),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controll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1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고, 상기 제어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40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may be a robot cleaner 100 including a control unit 140 for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each step of the control method,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in a computer is recorded. Th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bile robot control system including both hardware and software.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40)는 맵핑 및/또는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등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및 학습을 통해 청소 구역을 맵핑하고 현재 위치를 맵 상에서 인식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슬램(SLAM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of the robot cleaner 100 processes and determin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mapping and/or recognizing a current location. The controller 140 may be provided to map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image and learning and to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That is,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a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unction.

제어부(140)는 주행부(1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청소부(1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60 .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unit 180 .

로봇 청소기(10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저장부(150)는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various data. The storage unit 150 record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control of the robot cleaner 100 , and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현실의 청소 구역은 맵 상의 청소 구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청소 구역은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 경험이 있는 모든 평면 상의 구역 및 현재 주행하고 있는 평면 상의 구역을 모두 합한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The real cleaning area may correspond to the cleaning area on the map. The cleaning area may be defined as a range including all areas on a plan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has a driving experience and an area on a plan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is currently traveling.

제어부(140)는 주행부(160)의 동작을 바탕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구동 바퀴(166)의 회전속도를 바탕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또는 과거의 이동속도, 주행한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 구동 바퀴(166(L), 166(R))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재 또는 과거의 방향 전환 과정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가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가 갱신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6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current or past moving speed, the distance traveled, etc.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wheel 166, and each driving wheel 166(L) , 166(R)), the current or past direction change process can also be grasp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may be updat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dentified in this way. Also,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may be updated using the imag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제어하고, 설정되는 주행 모드에 따라 주행부(1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주행부(160)의 주행 모드로서, 지그재그 모드, 엣지 모드, 나선형 모드 또는 복합형 모드 등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60 according to a set driving mode. As the driving mode of the driving unit 160 , a zigzag mode, an edge mode, a spiral mode, or a complex mode may be selectively set.

지그재그 모드는 벽면이나 장애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지그재그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엣지 모드는 벽면에 붙어서 지그재그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나선형 모드는 대기 중의 한 곳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 내에서 나선형으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The zigzag mode is defined as a mode of cleaning while driving in a zigzag spaced apart from a wall surface or an obsta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Edge mode is defined as a mode that attaches to the wall and cleans while driving in a zigzag manner. The spiral mode is defined as a spiral cleaning mode within a certain area centered on one place in the atmosphere.

한편, 제어부(140)는 청소 구역의 맵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140)는 선행 청소를 통해 인식된 위치 및 각 지점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청소 구역의 맵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각 지점에서 획득한 영상을 상기 맵 상의 각 노드(node)와 매칭시킨다. 획득 영상들은 노드 들에 일대일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40 creates a map of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controller 140 may form a map of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location recognized through prior cleaning and the images acquired at each point. The controller 140 matches the image acquired at each point with each node on the map. Acquired images may correspond to nodes one-to-one.

제어부(140)는 거리 감지부(131) 및 영상감지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맵 상에서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sensor 131 and the image sensor 135 and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입력부(171)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71)는 버튼, 키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71)는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71 may receive On/Off or various commands. The input unit 171 may include a button, a key, or a touch-type display. The input unit 171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voice recognition.

출력부(173)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출력부(173)는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73 may notify the user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73 may include a speaker and/or a display.

한편, 이와 같은 제어부(140)는 침수 감지부(137)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액체가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에 침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침수 감지부(137)는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면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such a control unit 140 read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to determine whether various liquids including water have penetrated into the inside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Such a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inside the robot cleaner 100,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areas.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제어부(140)를 구현하는 프로세서 모듈 주위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침수 감지부(137)와 연동하여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submergence occurs in conjunction with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that is formed around the processor module implementing the control unit 1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침수 감지부(137) 및 그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flood detection unit 137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obot cleaner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침수 감지부가 침수되었을 때의 회로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state when 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merged.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로봇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11)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111)와 맞물려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 The main body 110 includes an upper case 111 that forms a space in which various par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are accommodated, and a lower case that engages with the upper case 111 to form a space in which various parts are accommodated ( 120) may be included.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20)가 맞물려 형성하는 내부의 공간 내에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21)이 수용되어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interlocking of the upper case 111 and the lower case 120 .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다양한 전자 부품 및 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nd circui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일 예로, 센싱부(130)를 이루는 각종 센서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거리감지부(131) 및 영상 감지부(135)를 이루는 센서 소자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소자들 후방으로 제어부(140) 및 통신부(170, 190)를 포함하는 프로세서가 칩(141) 상태로 일체화되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various sensor elements constituting the sen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and may be sensor elements constituting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and the image sensing unit 135 . A process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communication units 170 and 190 may be integrated into the chip 141 state and mounted to the rear of these sensor elements.

이와 같은 프로세서를 이루는 전자 칩(141)은 인쇄회로기판(121)에 직접 실장할 수 있도록 표면 실장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21)의 전자 회로에 바로 부착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chip 141 constituting such a processor may be formed as a surface mount component to be direct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and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2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침수 감지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침수 감지부(137)는 프로세서를 이루는 전자칩과 기판에 인쇄된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소자 및 복수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hip constituting the processor by a pattern printed on the substrate, and may be formed of a resistance element and a plurality of pads formed on the substrate.

이러한 침수 감지부(137)의 복수의 패드는 수분이 케이스 내로 침투할 우려가 있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12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ads of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moisture is likely to penetrate into the case, preferably at an edge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즉, 도 7을 참고하면, 침수 감지부(137)는 제1 패드(138a) 및 제2 패드(138b)를 포함하는 패드부(138)를 포함한다.That is, referring to FIG. 7 ,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includes a pad unit 138 including a first pad 138a and a second pad 138b.

제1 패드(138a)는 중심 노드(no)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패턴 영역으로 정의된다.The first pad 138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node no and is defined as a pattern region exposed to the outside.

제1 패드(138a)는 제1 폭(w1)을 가지고, 제1 길이(h1)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pad 138a has a first width w1, is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h1, is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plated with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there may be

제2 패드(138b)는 제2 폭(w2)을 가지고, 제2 길이(h2)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패드(138b)는 일 단이 제1 패드(138a)와 마주보고 있으며, 타 단이 접지되어 있다. The second pad 138b has a second width w2, is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h2, is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plated with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there may be One end of the second pad 138b faces the first pad 138a,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제1 폭(w1)과 제2 폭(w2)은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길이(h1)와 제2 길이(h2)는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width w2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first length h1 and the second length h2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는 제1 거리(d1)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Meanwhile,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have a first distance d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거리(d1)는 침수에 의해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가 단락(short)를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작은 거리로서, 일 예로 0.1mm 이하, 구체적으로는 0.05mm 이하일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d1 is a very small distance at which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can form a short by immersion, for example, 0.1 mm or less, specifically, 0.05 mm or less. can

한편, 제1 패드(138a)와 연결되어 있는 중심 노드(no)와 양의 전압(VDD) 사이에 감지 저항(R1)(139)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 sensing resistor R1 139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node no connected to the first pad 138a and the positive voltage VDD.

감지 저항(R1)(139)은 고 저항 소자로서, 적어도 100kΩ 일 수 있으며, 그 이상일 수 있다. The sensing resistor (R1) 139 is a high resistance element, and may be at least 100 kΩ, or more.

이와 같은 중심 노드(no)는 제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칩의 In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의 침수에 다른 쇼트 여부에 따라 In 단자로 고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Such a central node (no)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 terminal of the chip on which the control unit is formed,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are submerged in another short circuit, a high voltage or a high voltage or A ground voltage is applied.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침수 감지부(137)는 감지 저항(R1)(139)이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 패드(138a, 138b) 근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칩(141) 근처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lood detection unit 137 formed in this way, the sensing resistors R1 and 139 may be disposed near the first and second pads 138a and 138b as shown in FIG. 6 , but, unlike the chip 141 , near the may be formed in

다만, 제1 패드(138a) 및 제2 패드(138b)는 서로 제1 거리(d1)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쇄회로기판(121)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침수 여부에 따라 서로 쇼트되거나 연결되지 않는다. However, since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are located in the edge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while maintaining a first distance d1 from each other, they are short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whether water is immersed from the outside. or not connected.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제어 방법은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면들의 각 단계와 순서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용 컴퓨터 등에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순서도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The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40 . Each step of the flowchart drawings of the control method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rawing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general purpose computer or a special purpose computer, etc., and the instructions create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step(s).

또한, 몇 가지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in some embodiments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the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 in question.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동작이 시작되면, 선행 청소를 통해 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선행 청소가 완료되면, 왼료까지 소요된 시간 및 선행 청소가 진행된 청소 면적을 기록한다. 저장부(150)에 기록되어 있는 맵 중 해당 청소 구역에 대한 이전 청소에 적용된 이전 맵이 있는 경우, 청소 구역에 대한 이전 맵에 현재 작성된 맵을 오버랩하고 오차 부분을 수정하여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robot cleaner 100 starts to operate, it may form a map through preceding cleaning. That is, when the preceding clean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40 records the time taken until the left-hand side and the cleaning area in which the preceding cleaning has been performed. If there is a previous map applied to the previous cleaning for the cleaning area among the maps recorded in the storage 150 , the current map may be overlapped with the previous map for the cleaning area and the error portion may be corrected to increase accuracy.

이와 같이 청소 구역에 대한 맵핑이 종료되면, 제어부(140)는 맵핑 결과에 따라 청소 구역의 청소 방법을 설정하고, 해당 청소 방법에 따라 청소 구역의 청소를 진행한다. 청소 구역의 청소가 완료되면, 저장부(150)에 해당 청소 구역에 대한 청소 결과를 기록하여 다음 청소 진행 시에 참고할 수 있다. When the mapping of the cleaning area is finish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40 sets a cleaning method of the cleaning area according to the mapping result, and performs cleaning of the cleaning area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leaning method. When the cleaning of the cleaning area is completed, the cleaning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cleaning area may be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150 for reference in the next cleaning proces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 방법은 선행 청소를 통한 청소 구역의 맵핑을 진행하여, 청소 구역의 형태에 따라 적합한 청소 방법을 매칭하고 그 효율을 연산하여 청소 구역에 대하여 최적의 청소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mapping of the cleaning area through prior cleaning, matches a suitable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ing area, and calculates the efficiency of the cleaning area An optimal cleaning method can be applied to

이때, 도 8을 참고하면, 로봇 청소기(100)가 구동을 하는 동안, 제어부(140)는 침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칩(141)의 In 단자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인다(S10).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8 , while the robot cleaner 100 is driven, the control unit 140 periodically adjusts the voltage of the In terminal of the chip 141 on which the control unit 140 is form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bmerged. read (S10).

이때,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하이(high) 인지 로우(low) 인지 판단한다(S20).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voltage is higher or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S20).

검출된 전압이 하이인 경우, 중심 노드(no)에 양의 전압(VDD)이 일부 하강된 레벨의 전압이 검출된 것으로서 이는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도통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 것을 나타낸다.When the detected voltage is high, a voltage of a partially lowered level of the positive voltage VDD is detected at the central node no, which means that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ndicates that the state is maintained in a non-conductive state.

따라서, 제어부(140)는 다음 주기에 다시 In 단자의 전압을 읽어들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주기적으로 인쇄회로기판(121) 내의 침수 여부를 감지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repeatedly performs the operation of reading the voltage of the In terminal again in the next cycle to periodically detect whether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is submerged.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인쇄회로기판(121) 내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중, In 단자의 검출 전압이 로우로 잡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인쇄회로기판(121)에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30).As such, when the detection voltage of the In terminal is set to low while periodically detecting whether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is submerge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is submerged (S30). .

즉, In 단자에 로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는 도 9와 같다.That is, the case in which a low voltage is applied to the In terminal is shown in FIG. 9 .

도 9를 참고하면, 침수에 의해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가 서로 도통되어 양의 전압(VDD)으로부터의 전류가 감지 저항(R1)(139)을 통해 제1 및 제2 패드(138a, 138b)를 통과하여 접지로 흐르게 되는 쇼트가 된 상태로, 중심 노드(no)에 접지 전압이 설정된다. 따라서, 중심 노드(no)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대로 전달되는 In 단자의 전압이 로우가 된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conduct with each other by immersion, so that the current from the positive voltage VDD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ds 139 through the sense resistor R1 139 . The ground voltage is set at the center node (no) in a state in which a short is passed through the two pads 138a and 138b and flows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voltage at the In terminal to which the voltage applied to the central node no is transferred as it is becomes low.

따라서, 침수 여부에 따라 In 단자에서 감지되는 전압 값, 즉 신호 값이 완전히 상반되는 값을 가지게 되므로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In 단자의 전압을 읽어냄으로써 침수 여부를 감지해낼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voltage value sensed at the In terminal, ie, the signal value, has completely opposite values depending on whether the In terminal is submerged, the controller 140 can detect whether the In terminal is submerged by periodically reading the voltage of the In terminal.

이와 같이 침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칩(141)으로 침수되어 전기 부품이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칩(141) 내의 전원부, 즉 인쇄회로기판(121) 내로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의 전원을 차단한다(S40).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ubmerged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40 is submerged into the chip 141 and power is applied into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chip 141 ,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in order to prevent damage or failure of electrical components. Cut off the power to the part to be (S40).

이때, 제어부(140)는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침수된 사실을 알람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로봇 청소기(100)를 침수가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이동시키거나, 침수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S50).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may induce the user to move the robot cleaner 100 from the submerged part or to deal with the submersion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fact that the robot is submerged through a sound or a display. (S5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침수 감지부(137)가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d detection unit 137 may be implement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부(137)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20)가 맞물려 형성하는 내부의 공간 내에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21)이 수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ted circuit board ( 121) is accepted.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다양한 전자 부품 및 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제어부(140)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가 칩(141) 상태로 일체화되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nd circuit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The process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integrated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in the state of the chip 141 .

이와 같은 프로세서를 이루는 전자 칩(141)은 인쇄회로기판(121)에 직접 실장할 수 있도록 표면 실장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21)의 전자 회로에 바로 부착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chip 141 constituting such a processor may be formed as a surface mount component to be direct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and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21) 상에 침수 감지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침수 감지부(137)는 프로세서를 이루는 전자 칩(141)과 기판에 인쇄된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판(121)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 저항(R0) 및 복수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hip 141 constituting the processor by a pattern printed on the substrate, and may be formed of a sensing resistor R0 and a plurality of pads formed on the substrate 121 . have.

이러한 침수 감지부(137)의 복수의 패드는 수분이 케이스(111, 120) 내로 침투할 우려가 있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12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ads of 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moisture is likely to penetrate into the cases 111 and 120 , preferably at an edge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이때, 복수의 패드는 도 10과 같이 복수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ads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and 138 4 to each other in parallel as shown in FIG. 10 .

각각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은 도 7과 같이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를 포함한다.Each of the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and 138 4 includes a first pad 138a and a second pad 138b as shown in FIG. 7 .

제1 패드(138a)는 중심 노드(no)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패턴 영역으로 정의된다.The first pad 138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node no and is defined as a pattern region exposed to the outside.

제1 패드(138a)는 제1 폭(w1)을 가지고, 제1 길이(h1)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pad 138a has a first width w1, is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h1, is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plated with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there may be

제2 패드(138b)는 제2 폭(w2)을 가지고, 제2 길이(h2)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패드(138b)는 일 단이 제1 패드(138a)와 마주보고 있으며, 타단이 접지되어 있다. The second pad 138b has a second width w2, is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h2, is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plated with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there may be The second pad 138b has one end facing the first pad 138a,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제1 폭(w1)과 제2 폭(w2)은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길이(h1)와 제2 길이(h2)는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width w2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first length h1 and the second length h2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는 제1 거리(d1)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Meanwhile,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have a first distance d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거리(d1)는 침수에 의해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가 쇼트를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작은 거리로서, 일 예로 0.1mm 이하, 구체적으로는 0.05mm 이하일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d1 is a very small distance at which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may form a short by immersion, and may be, for example, 0.1 mm or less, specifically, 0.05 mm or less.

이와 같은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의 모든 제1 패드(138a)는 중심 노드(no)에서 인쇄 회로 패턴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All of the first pads 138a of the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and 138 4 are connected through a printed circuit pattern at the central node no.

이때, 제1 패드(138a)와 연결되어 있는 중심 노드(no)와 양의 전압(VDD) 사이에 감지 저항(R1)(139)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 sensing resistor R1 139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node no connected to the first pad 138a and the positive voltage VDD.

감지 저항(R1)(139)은 고 저항 소자로서, 적어도 100kΩ 일 수 있으며, 그 이상일 수 있다. The sensing resistor (R1) 139 is a high resistance element, and may be at least 100 kΩ, or more.

이러한 복수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은 서로 이격되어 인쇄회로기판(12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일 예로 각각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이 서로 다른 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lurality of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and 138 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on the edge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As an example, each of the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and 138 4 may be formed on different s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침수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영역에 더 많은 수효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이 배치될 수 있으며, 그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That is, a greater number of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and 138 4 may be disposed in an area where flooding is likely to occur, and the arrangement thereof may be variously changed.

이와 같은 중심 노드(no)는 제어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칩(141)의 In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의 침수에 다른 쇼트 여부에 따라 In 단자로 양의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Such a central node (no)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 terminal of the chip 141 on which the control unit 140 is formed, and whether there is another short circuit due to the submersion of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Accordingly, a positive voltage or a ground voltage is applied to the In terminal.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침수 감지부(137)는 저항(R1)이 도 10과 같이 칩(141) 근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In the flood detection unit 137 formed in this way, the resistor R1 may be formed near the chip 141 as shown in FIG. 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침수 감지부(137)는 복수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 중 어느 한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에 침수에 의해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개방되어 있는 복수의 패드쌍(1381, 1382, 1383, 1384) 중 해당하는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에서 쇼트가 발생하여 쇼트가 발생한 패드쌍(1381, 1382, 1383, 1384)으로 전류가 흐른다.The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138 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mong the plurality of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138 4 . When a short occurs due to immersion in any one pad pair 138 1 , 138 2 , 138 3 , 138 4 ,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lurality of open pad pairs 138 1 , 138 2 , 138 3 , 138 4 ) pad pair (138 1, 138 2, 138 3, 138 4) short circuit occurred pad pairs by short circuit occurs in the (138 1, 138 2, 138 3, 138 4), a current flows into.

따라서, 중심 노드(no)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 칩(141)의 In 단자에 로우 감지 신호가 읽혀지게 된다.Accordingly, a ground voltage is applied to the central node no, and a row detection signal is read from the In terminal of the control chip 141 .

이와 같이, 하나의 감지 In 단자에서 복수의 영역의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침수 감지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lurality of areas are submerged in one sensing I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submers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수 감지부(137)를 나타내는 회로 합성도이다.11 is a circuit synthesis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20)가 맞물려 형성하는 내부의 공간 내에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21)이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침수 감지부(137) 또한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1 , in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interlocking an upper case 111 and a lower case 120 . 121 is disposed, and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is also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즉,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제어부(140)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가 칩(141) 상태로 일체화되어 실장되어 있으며, 그와 함께 침수 감지부(137)가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is integrated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in the state of the chip 141 , and the submerged detection unit 137 is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with it. can be

침수 감지부(137)는 프로세서를 이루는 전자 칩(141)과 기판에 인쇄된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판(121)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소자(R1) 및 복수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hip 141 constituting the processor by a pattern printed on the substrate, and may be formed of a resistance element R1 and a plurality of pads formed on the substrate 121 . have.

이러한 침수 감지부(137)의 복수의 패드는 수분이 케이스 내로 침투할 우려가 있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12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ads of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moisture is likely to penetrate into the case, preferably at an edge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이때, 침수 감지부(137)는 제1 패드그룹(P1)과 제2 패드그룹(P2)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137 includes a first pad group P1 and a second pad group P2.

제1 패드그룹(P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패턴 영역인 복수의 제1 패드(138a)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패드(138a)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직병렬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복수의 제1 패드(138a)는 그 일단이 중심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제2 패드(138b)의 일단과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ad group P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ds 138a that are pattern region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lurality of first pads 138a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pads 138a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lectrically condu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node n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ad 138b by a first distance d1. It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각각의 제1 패드(138a)는 제1 폭(w1)을 가지고, 제2 길이(h1)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Each of the first pads 138a has a first width w1 and is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h1, is a region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made of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may be plated.

제2 패드그룹(P2)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패턴 영역인 복수의 제2 패드(138b)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패드(138b)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직병렬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복수의 제2 패드(138b)는 타단이 접지되어 있으며 일단은 제1 패드(138a)의 타단과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pad group P2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ads 138b that are pattern region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ads 138b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econd pads 138b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lectrically conduction may have the other end grounded and one e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d 138a by a first distance d1.

제2 패드(138b)는 제2 폭(w2)을 가지고, 제2 길이(h2)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econd pad 138b has a second width w2, is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h2, is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plated with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there may be

제1 폭(w1)과 제2 폭(w2)은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길이(h1)와 제2 길이(h2)는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width w2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first length h1 and the second length h2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는 모두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Both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have a polygonal shape, and may preferably have a rectangular shape, more specifically, a rectangular shape.

이와 같은 각각의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때,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each of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has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may have the sam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이때,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는 일 변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이웃하는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는 거리(d1)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are disposed so that one side i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adjacent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have a distance d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제1 거리(d1)는 침수에 의해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가 쇼트를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작은 거리로서, 일 예로 0.1mm 이하, 구체적으로는 0.05mm 이하일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d1 is a very small distance at which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may form a short by immersion, and may be, for example, 0.1 mm or less, specifically, 0.05 mm or less.

도 11과 같이 제1 패드(138a) 및 제2 패드(138b)가 서로 제1 거리(d1)를 갖도록 이웃하게 배치되면서도 복수의 제1 패드(138a) 사이가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제2 패드(138b) 사이가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어 회로적으로는 도 6과 동일한 상태를 나타낸다.11 , while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have a first distance d1 , the plurality of first pads 138a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second pads 138b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circuit shows the same state as in FIG. 6 .

이와 같이 각각의 제1 패드(138a) 및 제2 패드(138b)를 나타내는 영역(S1)을 복수의 패드 편으로 나누어 배치하는 경우, 침수 영역이 다면적에서 발생할 때, 이를 보다 민감하게 읽어낼 수 있어 침수 감지에 보다 용이하다.When the area S1 representing each of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d pieces and arrang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bmerged area occurs in multiple areas, it can be read more sensitively. It is easier to detect submergence.

한편, 제1 패드그룹(P1)과 연결되어 있는 중심 노드(n1)와 양의 전압(VDD) 사이에 감지 저항(R1)(139)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 sensing resistor R1 139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node n1 connected to the first pad group P1 and the positive voltage VDD.

감지 저항(R1)(139)은 고 저항 소자로서, 적어도 100kΩ 일 수 있으며, 그 이상일 수 있다. The sensing resistor (R1) 139 is a high resistance element, and may be at least 100 kΩ, or more.

이러한 대면적의 패드그룹(P1, P2)은 인쇄회로기판(12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침수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영역에 더 넓은 면적의 패드편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d groups P1 and P2 having a large area may be disposed in an edge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1 , and a pad piece having a larger area may be formed in an area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being flooded.

이와 같은 중심 노드(n1)는 제어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칩(141)의 In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패드(138a)와 제2 패드(138b)의 침수에 따른 쇼트 여부에 따라 In 단자로 양의 전압(VDD) 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Such a central node n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 terminal of the chip 141 on which the control unit 140 is formed, and whether the first pad 138a and the second pad 138b are shorted due to immersion. Accordingly, a positive voltage (VDD) or a ground voltage is applied to the In terminal.

이러한 침수 감지부(137)는 패드 편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패드 편 중 어느 하나의 제1 패드(138a)와 이웃한 제2 패드(138b)가 침수에 의해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개방되어 있는 제1 패드(138a)와 이웃한 제2 패드(138b)의 쇼트 경로를 따라 전류가 흐른다.The submersion sensing unit 137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is open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a first pad 138a and an adjacent second pad 138b among a plurality of pad pieces. A current flows along the short path of the first pad 138a and the adjacent second pad 138b.

따라서, 중심 노드(n1)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 칩(141)의 In 단자에 로우 감지 신호가 읽혀지게 된다.Accordingly, a ground voltage is applied to the central node n1 , and a row detection signal is read from the In terminal of the control chip 141 .

이와 같이, 하나의 감지 In 단자에서 복수의 영역의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침수 감지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lurality of areas are submerged in one sensing I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submers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에 적용되는 침수 감지부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ubmerged detection unit applied to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을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의 침수 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rear view show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of the mobile robot.

도 12 내지 도 14의 이동 로봇은 잔디 깎이 로봇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면 부호 200으로 설명한다.The mobile robot of FIGS. 12 to 14 may be a lawn mower robot, which will b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erence numeral 200 .

이동 로봇(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210)를 포함한다. 바디(2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동 로봇(200)은 주행면에 대해 바디(21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20)을 포함한다. 이동 로봇(200)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130)를 포함한다.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body 210 that forms an exterior. The body 210 forms an inner space.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traveling unit 120 that moves the body 210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surface.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work unit 130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task.

바디(210)는 후술할 구동 모터 모듈(123)이 고정되는 프레임(211)을 포함한다. 프레임(211)에 후술할 블레이드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된다. 프레임(211)은 후술할 배터리를 지지한다. 프레임(211)은 그 밖에도 다른 여러 부품들을 지지하는 뼈대 구조를 제공한다. 프레임(211)은 보조 휠(225)및 구동 휠(221)에 의해 지지된다. The body 210 includes a frame 211 to which a driving motor module 1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ixed. A blade moto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frame 211 . The frame 211 supports a battery to be described later. The frame 211 also provides a skeletal structure for supporting various other components. The frame 211 is supported by an auxiliary wheel 225 and a driving wheel 221 .

바디(210)는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의 양측방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블레이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측방 차단부(211a)를 포함한다. 측방 차단부(211a)는 프레임(211)에 고정된다. 측방 차단부(211a)는 프레임(211)의 다른 부분의 하측면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측방 차단부(211a)는 구동 휠(221)과 보조 휠(225)의 사이 공간의 상측부를 커버하며 배치된다. The body 210 includes side blocking portions 211a from both sides of the blade (not shown) to block the user's finger from entering the blade. The side blocking portion 211a is fixed to the frame 211 . The side blocking portion 211a is disposed to protrude downward compa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portion of the frame 211 . The side blocking portion 211a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driving wheel 221 and the auxiliary wheel 225 .

한 쌍의 측방 차단부(211a-1, 211a-2)가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치된다. 측방 차단부(211a)는 블레이드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A pair of side blocking portions 211a-1 and 211a-2 are disposed left and right with the blad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ide blocking portion 211a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la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측방 차단부(211a)의 전방면(211af)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전방면(211af)은 측방 차단부(211a)의 하측면에서 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상측으로 꺾이는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방면(211af)의 형상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2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측방 차단부(211a)는 소정 기준 이하의 하부 장애물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211af of the side blocking part 211a is formed to be round. The front surface 211af forms a surface that is rounded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blocking part 211a toward the front. By using the shape of the front surface 211af, when the mobile robot 200 moves forward, the side blocking unit 211a can easily ride over a lower obstacle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바디(210)는 블레이드의 전방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블레이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방 차단부(211b)를 포함한다. 전방 차단부(211b)는 프레임(211)에 고정된다. 전방 차단부(211b)는 한 쌍의 보조 휠(225(L), 225(R))의 사이 공간의 상측부의 일부를 커버하며 배치된다. The body 210 includes a front blocking portion 211b for blocking the user's finger from entering the blade from the front of the blade. The front blocking portion 211b is fixed to the frame 211 . The front blocking portion 211b is disposed to cover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225(L) and 225(R).

전방 차단부(211b)는 프레임(211)의 다른 부분의 하측면에 비해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리브(211ba)를 포함한다. 돌출 리브(211b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 리브(211ba)의 상단부는 프레임(211)에 고정되고, 돌출 리브(211ba)의 하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한다. The front blocking portion 211b includes a protruding rib 211ba that protrudes downward compa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portion of the frame 211 . The protruding ribs 211ba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rib 211ba is fixed to the frame 211,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rib 211ba forms a free end.

복수의 돌출 리브(211ba)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 리브(211b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하는 2개의 돌출 리브(211ba)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211ba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211ba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 gap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ding ribs 211ba.

돌출 리브(211ba)의 전방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돌출 리브(211ba)의 전방면은 돌출 리브(211ba)의 하측면에서 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상측으로 꺾이는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 리브(211ba)의 전방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2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돌출 리브(211ba)는 소정 기준 이하의 하부 장애물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ing rib 211ba is formed to be 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ing rib 211ba forms a surface that is rounded and bent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rib 211ba toward the front. By using the shap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ing rib 211ba, when the mobile robot 200 moves forward, the protruding rib 211ba can easily ride over a lower obstacle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전방 차단부(211b)는 강성을 보조하는 보조 리브(211bb)를 포함한다. 인접하는 2개의 돌출 리브(211ba)의 상단부의 사이에, 전방 차단부(211b)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 리브(211bb)가 배치된다. 보조 리브(211bb)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격자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blocking portion 211b includes an auxiliary rib 211bb that assists in rigidity. An auxiliary rib 211bb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ront blocking portion 211b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two adjacent protruding ribs 211ba. The auxiliary rib 211bb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extend in a grid shape.

프레임(211)에는 보조 휠(22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미도시)가 배치된다. 캐스터는 프레임(2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캐스터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스터는 프레임(211)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보조 휠(225)에 대응하는 한 쌍의 캐스터가 구비된다. A caster (not show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auxiliary wheel 225 is disposed on the frame 211 . The caster is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 The caster is rotatably provided about a vertical axis. The caster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211 . A pair of caster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225 are provided.

바디(210)는 프레임(211)을 상측에서 덮어주는 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케이스(212)는 이동 로봇(200)의 상측면 및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한다. The body 210 includes a case 212 that covers the frame 211 from the upper side. The case 212 forms the upper side and the front/rear/left/right side of the mobile robot 200 .

바디(210)는 케이스(212)를 프레임(211)에 고정시키는 케이스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의 상단에 케이스(212)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프레임(211)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프레임(2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소정 범위 내에서만 유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는 케이스(212)와 일체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212)는 프레임(211)에 대해 유동이 가능하다. The body 210 may include a case connection part (not shown) for fixing the case 212 to the frame 211 . It may be fixed to the case 212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connection part. The case connection part may be movably disposed on the frame 211 . The case connection part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 The cas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ase connection part flows integrally with the case 212 . Accordingly, the case 212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

바디(210)는 전방부에 배치되는 범퍼(212b)를 포함한다. 범퍼(212b)는 외부의 장애물과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범퍼(212b) 정면부에는, 후측으로 함몰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범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범퍼 홈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 리브(211ba)의 하단이 보조 리브(211bb)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The body 210 includes a bumper 212b disposed on the front part. The bumper 212b functions to absorb an impact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 external obstacle. The bumper 212b may be formed with a bumper groove that is recessed to the rear side and is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umper 212b. A plurality of bumper groove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rib 211ba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rib 211bb.

범퍼(212b)는 전방면 및 좌우 측면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범퍼(212b)의 전방면 및 측면은 라운드지게 연결된다. The bumper 212b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to each other.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bumper 212b are connected in a round manner.

바디(210)는 범퍼(212b)의 외표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범퍼 보조부(212c)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 보조부(212c)는 범퍼(212b)에 결합된다. 범퍼 보조부(212c)는 범퍼(212b)의 전방면의 하부 및 좌우 측면의 하부를 감싸준다. 범퍼 보조부(212c)는 범퍼(212b)의 전방면 및 좌우 측면의 하반부를 덮어줄 수 있다. The body 210 may include a bumper auxiliary part 212c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mper 212b. The auxiliary bumper 212c is coupled to the bumper 212b. The auxiliary bumper 212c surrounds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umper 212b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umper 212b. The auxiliary bumper 212c may cover the front surface and lower halv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umper 212b.

범퍼 보조부(212c)의 전단면은 범퍼(212b)의 전단면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범퍼 보조부(212c)는 범퍼(212b)의 표면에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한다.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auxiliary bumper 212c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bumper 212b. The bumper auxiliary portion 212c forms a surfac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umper 212b.

범퍼 보조부(212c)는 고무 등 충격 흡수에 유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범퍼 보조부(212c)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bumper 212c may be formed of a material advantageous to shock absorption, such as rubber. The auxiliary bumper 212c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프레임(211)에는, 범퍼(212b)가 고정되는 유동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동 고정부는 프레임(21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고정부의 상단부에 범퍼(212b)가 고정될 수 있다. The frame 211 may include a flow fixing unit (not shown) to which the bumper 212b is fixed. The flow fixing unit may be disposed to protrude upward of the frame 211 . A bumper 212b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low fixing unit.

범퍼(212b)는 프레임(211)에 대해 소정 범위 내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범퍼(212b)는 유동 고정부에 고정되어 유동 고정부와 일체로 유동할 수 있다. The bumper 212b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 The bumper 212b may be fixed to the flow fixing unit and may flow integrally with the flow fixing unit.

유동 고정부는 프레임(211)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고정부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유동 고정부가 프레임(211)에 대해 소정 범위 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범퍼(212b)는 프레임(211)에 대해 유동 고정부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flow fixing unit may be movably disposed on the frame 211 . The flow fixing unit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about the virtual rotation axis. Accordingly, the bumper 212b may be rotatably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low fix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

바디(210)는 손잡이(213)를 포함한다. 손잡이(213)는 케이스(212)의 후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210 includes a handle 213 . The handle 213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ase 212 .

바디(210)는 높이 조절부(256)및 높이 표시부(257)가 배치된 부분을 개폐시키는 제1 개폐부(217)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217)는 케이스(212)에 힌지(hinge) 결합되어, 열림 동작 및 닫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 개폐부(217)는 케이스(212)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The body 210 includes a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ion where the height adjustment unit 256 and the height display unit 257 are disposed.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217 is hinged to the case 212, so that an opening operation and a closing operation are possible.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217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12 .

제1 개폐부(217)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닫힘 상태에서 높이 조절부(256)및 높이 표시부(257)의 상측을 덮어준다.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7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covers upper sides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256 and the height display part 257 in the closed state.

바디(210)는 디스플레이 모듈(265)및 입력부(264)가 배치된 부분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부(218)를 포함한다. 제2 개폐부(218)는 케이스(212)에 힌지 결합되어, 열림 동작 및 닫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 개폐부(218)는 케이스(212)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제2 개폐부(218)는 제1 개폐부(217)의 후방에 배치된다. The body 210 includes a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that opens and closes a portion where the display module 265 and the input unit 264 are disposed. The second opening/closing part 218 is hinged to the case 212 so that an opening operation and a closing operation are possible. The second opening/closing part 218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12 .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

제2 개폐부(218)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닫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65) 및 입력부(264)를 덮어준다.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cover the display module 265 and the input unit 264 in a closed state.

제2 개폐부(218)의 열림 가능 각도 는 제1 개폐부(217)의 열림 가능 각도 에 비해 작도록, 기설정된다. 이를 통해, 제2 개폐부(218)의 열림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제1 개폐부(217)를 쉽게 열게 해주고, 사용자가 쉽게 높이 조절부(256)를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제2 개폐부(218)의 열림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높이 표시부(257)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The openable angle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is preset to be smaller than the opening possible angle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 Through this, even in an open state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 the user can easily open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and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height adjusting unit 256 . In addition, even in an open state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contents of the height display unit 257 .

예를 들어, 제1 개폐부(217)의 열림 가능 각도 는 닫힘 상태를 기준으로 약 80 내지 90도 정도 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폐부(218)의 열림 가능 각도는 닫힘 상태를 기준으로 약 45 내지 60도 정도 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ning possible angl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7 may be provided to be about 80 to 90 degrees based on the closed state. For example, the openable angle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18 may be about 45 to 60 degrees based on the closed state.

제1 개폐부(217)는 전단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열림 동작하고, 제2 개폐부(218)는 전단부를 중심으로 후단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열림 동작한다. 이를 통해, 잔디 깎기 로봇(20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도 안전한 지역인 잔디 깎기 로봇(200)의 후방에서, 사용자가 제1 개폐부(217)및 제2 개폐부(218)를 여닫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제1 개폐부(217)의 열림 동작과 제2 개폐부(218)의 열림 동작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operates by lifting the rear end upwardly with the front end as the center,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operates by lifting the rear end toward the upper side around the front end. Through this,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7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18 at the rear of the lawn mower robot 200 , which is a safe area even when the lawn mower robot 200 moves forward. Also, through thi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may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제1 개폐부(217)의 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개폐부(217)가 케이스(212)에 대해 회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폐부(218)의 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개폐부(218)가 케이스(212)에 대해 회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ase 212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ase 212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

주행부는, 구동 모터 모듈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휠(2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휠(221)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좌우에 구비되는 제1휠(221(L))및 제2휠(221(R))을 포함한다. 제1휠(221(L))는 좌측에 배치되고, 제2휠(221(R))는 우측에 배치된다. 제1휠(221(L))및 제2휠(221(R))은 좌우로 이격 배치된다. 제1휠(221(L))및 제2휠(221(R))은 바디(210)의 후측 하방부에 배치된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pair of driving wheels 221 that ar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module. The driving wheel 221 includes a first wheel 221(L) and a second wheel 221(R) which are each independently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The first wheel 221(L)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wheel 221(R)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The first wheel 221 (L) and the second wheel 221 (R)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to the left and right. The first wheel 221 (L) and the second wheel 221 (R) are disposed o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body 210 .

제1휠(221(L))및 제2휠(221(R))은 바디(210)가 지면에 대해 회전 운동 및 전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휠(221(L))과 제2휠(221(R))이 같은 회전 속도로 회전할 때, 바디(210)는 지면에 대해 전진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휠(221(L))의 회전 속도 가 제2휠(221(R))의 회전 속도 보다 빠르거나 제1휠(221(L))의 회전 방향 및 제2휠(221(R))의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를 때, 바디(210)는 지면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first wheel 221 (L) and the second wheel 221 (R) are each independently rotatably provided so that the body 210 can rotate and move for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wheel 221(L) and the second wheel 221(R) ro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the body 210 may move for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For example,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wheel 221 (L) is fast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wheel 221 (R), o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wheel 221 (L) and the second wheel 221 When the rotation directions of (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body 210 may perform a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제1휠(221(L))및 제2휠(221(R))은 보조 휠(22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 휠(221)은 지면과 접촉하는 휠 외주부(221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휠 외주부(221b)는 타이어일 수 있다. 휠 외주부(221b)에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wheel 221 (L) and the second wheel 221 (R)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uxiliary wheel 225 . The driving wheel 221 includes a wheel outer periphery 221b in contact with the ground. For example, the wheel outer periphery 221b may be a tire.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heel 221b to increase friction with the ground.

구동 휠(221)은 휠 외주부(221b)를 고정시키고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휠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휠 프레임의 중앙부에 모터(의 축이 고정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휠 외주부(221b)는 휠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된다. The driving wheel 221 may include a wheel frame (not shown) that fixes the wheel outer periphery 221b and receives power from the motor. The shaft of the motor is fix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wheel frame, and rotational force may be transmitted. The wheel outer periphery 221b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frame.

구동 휠(221)은 휠 프레임의 외측 표면을 덮어주는 휠 커버(221a)를 포함한다. 휠 커버(221a)는 휠 프레임을 기준으로 모터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휠 커버(221a)는 휠 외주부(221b)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The driving wheel 221 includes a wheel cover 221a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frame. The wheel cover 221a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tor is disposed based on the wheel frame. The wheel cover 221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heel outer periphery 221b.

주행부는, 구동 휠(221)과 함께 바디(210)를 지지하는 보조 휠(225)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휠(225)은 블레이드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휠(225)은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휠로서, 바디(210)를 지면에 대해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휠(225)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캐스터는 수직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211)에 결합된다. 좌측에 배치된 제1보조 휠(225(L))과 우측에 배치된 제2보조 휠(225(R))이 구비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n auxiliary wheel 225 supporting the body 210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 221 . Auxiliary wheel 225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blade. The auxiliary wheel 225 is a wheel that does not receive driving force by the motor, and serves to support the body 2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caster suppor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wheel 22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211 about a vertical axis. A first auxiliary wheel 225(L)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a second auxiliary wheel 225(R) disposed on the right side may be provided.

작업부(도시하지 않음)는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작업부는 바디(210)에 배치된다. A work unit (not shown) is provid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task. The working part is disposed on the body 210 .

일 예로, 작업부는 청소나 잔디 깎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작업부는 물건의 운반이나 물건 찾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작업부는 주변의 외부 침입자나 위험 상황 등을 감지하는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ork un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work such as cleaning or lawn mowing. As another example, the work un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task such as transporting an object or finding an object. As another example, the work unit may perform a security function to detect an external intruder or a dangerous situation in the vicinity.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부가 잔디 깎기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작업부의 작업의 종류는 여러 가지 예시가 있을 수 있으며, 본 설명의 예시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working unit performs lawn mowing, but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of the type of work of the working unit, and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description.

작업부는 잔디를 깎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부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orking unit may include a blade rotatably provided for mowing the lawn. The working unit may include a blade motor (not shown)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블레이드는 구동 휠(221)과 보조 휠(225)의 사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는 바디(210)의 하측부에 배치된다. 블레이드는 바디(210)의 하측에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블레이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잔디를 깎는다. The blade i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wheel 221 and the auxiliary wheel 225 . The blad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210 . The blade is provided to be expos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210 . The blade rotates abou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w the lawn.

블레이드 모터는 제1휠(221(L))및 제2휠(221(R))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132)는 바디(21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중앙부의 하측에 배치된다. The blade motor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wheel 221 (L) and the second wheel 221 (R). The blade motor 132 is disposed below the central por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210 .

블레이드 모터(132)는 보조 휠(225)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터는 바디(21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축의 회전력은 기어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블레이드에 전달된다. The blade motor 13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wheel 225 . The blade motor may b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210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shaft is transmitted to the blade using a structure such as a gear.

이동 로봇(200)은 지면에 대한 블레이드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어, 잔디의 깎는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동 로봇(200)은 사용자가 블레이드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256)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256)는 회전 가능한 다이얼을 포함하여,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블레이드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height of the blad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mowing height of the grass.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unit 256 for a user to change the height of the blade. The height adjustment unit 256 may include a rotatable dial to change the height of the blade by rotating the dial.

이동 로봇(200)은 블레이드의 높이의 수준을 표시해주는 높이 표시부(257)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256)의 조작에 따라 블레이드의 높이가 변경되면, 높이 표시부(257)가 표시하는 높이 수준도 같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높이 표시부(257)에는 현재의 블레이드높이 상태로 이동 로봇(200)이 잔디 깎기를 수행한 후 예상되는 잔디의 높이 값이 표시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height display unit 257 for indicating the level of the blade height. When the height of the bla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56, the height level displayed by the height display unit 257 is also changed. For example, the height display unit 257 may display an expected height value of the grass after the mobile robot 200 mows the lawn in the current blade height state.

이동 로봇(200)은 도킹 기기에 도킹 시, 도킹 기기와 연결되는 도킹 삽입부(258)를 포함한다. 도킹 삽입부(258)는 도킹 기기의 도킹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되게 구비된다. 도킹 삽입부(258)는 바디(210)의 정면부에 배치된다. 도킹 삽입부(258)와 도킹 연결부의 연결에 의해, 이동 로봇(200)이 충전 시 정확한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When the mobile robot 200 is docked with the docking device,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docking insertion unit 258 that is connected to the docking device. The docking insertion part 258 is provid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docking connection part of the docking device is inserted. The docking insert 258 is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 By connecting the docking insertion unit 258 and the docking connection unit, an accurate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200 may be guided when charging.

이동 로봇(200)은, 도킹 삽입부(258)가 도킹 연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충전 대응 단자(259)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응 단자(259)는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충전 대응 단자(259a, 259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충전 대응 단자(259a, 259b)는 도킹 삽입부(258)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may include a charging corresponding terminal 259 disposed at a contactable position while the docking insertion unit 258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connection unit. The charging corresponding terminal 259 may include a pair of charging corresponding terminals 259a and 259b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charging terminals 211 , 211a and 211b. The pair of charging corresponding terminals 259a and 259b may be disposed left and right with the docking insert 258 interposed therebetween.

도킹 삽입부(258)와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를 개폐 가능하게 덮어주는 단자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로봇(200)의 주행 시, 단자 커버는 도킹 삽입부(258)와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를 가려줄 수 있다. 이동 로봇(200)이 도킹 기기와 연결 시, 단자 커버가 열려 도킹 삽입부(258)와 한 쌍의 충전 단자(211)(211a, 211b)가 노출될 수 있다. A terminal cove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cking insertion unit 258 and the pair of charging terminals 211, 211a, 211b may be provided. When the mobile robot 200 is traveling, the terminal cover may cover the docking insertion unit 258 and the pair of charging terminals 211 , 211a and 211b. When the mobile robot 20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device, the terminal cover may be opened to expose the docking insertion unit 258 and the pair of charging terminals 211 , 211a and 211b.

한편, 이동 로봇(200)의 주행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기 위한 경계 와이어(도시하지 않음)가 구현될 수 있다. 경계 와이어는 소정의 경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동 로봇(200)은 경계 신호를 감지하여, 경계 와이어에 의해 설정된 주행 영역의 경계를 인식할 수 있다. Meanwhile, a boundary wire (not shown) for setting the boundary of the traveling area of the mobile robot 200 may be implemented. The boundary wire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boundary signal. The mobile robot 200 may detect the boundary signal and recognize the boundary of the traveling area set by the boundary wire.

도 12를 참고하면, 이동 로봇(200)은 사용자의 각종 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64)는 버튼, 다이얼, 터치형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64)는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212)의 상측부에 다수의 버튼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2 , the mobile robot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64 for inputting various user instructions. The input unit 264 may include a button, a dial, a touch-type display, and the like. The input unit 264 may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for voice recognition.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buttons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212 .

이동 로봇(20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출력해주는 출력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65)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65)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may include an output unit 265 for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user. The output unit 265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that outputs visual information. The output unit 265 may include a speaker (not shown) for outputting auditory information.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65)은 상측 방향으로 화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65)은 케이스(212)의 상측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265)은 액정 표시(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디스플레이 모듈(265)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265 outputs an image in an upward direction. The display module 265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212 .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265 may include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LCD) panel.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265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display panel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이동 로봇(200)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이동 로봇(2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입력부(264)로부터 입력되거나 통신부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이동 로봇(2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record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200 , and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The storage unit may stor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64 or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he storage unit may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200 .

이동 로봇(200)은 외부의 기기(단말기 등), 서버, 공유기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무선 통신하게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의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terminal), a server, a router,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another device or server to communicate with.

이동 로봇(200)은 이동 로봇(200)의 상태나 이동 로봇(200)외부의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센싱부는, 원격 신호 감지부, 장애물 감지부, 레인 감지부, 케이스 유동 센서, 범퍼 센서, 방위각 센서, 경계 신호 감지부(277), GPS 감지부 및 낭떠러지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mobile robot 200 or the environment outside the mobile robot 200 .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mote signal sensing unit, an obstacle sensing unit, a rain sensing unit, a case flow sensor, a bumper sensor, an azimuth sensor, a boundary signal sensing unit 277, a GPS sensing unit, and a cliff sensing unit.

원격 신호 감지부(271)는 외부의 원격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원격 신호가 송신되면, 원격 신호 감지부(271)가 원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신호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다. 원격 신호 감지부(27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The remote signal detection unit 271 receives an external remote signal. When a remote signal is transmitted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signal detecting unit 271 may receive the remote signal. For example, the remote signal may be an infrared signal. A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signal detection unit 271 may be process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복수의 원격 신호 감지부(27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원격 신호 감지부(271)는, 바디(210)의 전방부에 배치된 제1원격 신호 감지부(271a)와, 바디(210)의 후방부에 배치된 제2원격 신호 감지부(2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원격 신호 감지부(271a)는 전방으로부터 송신되는 원격 신호를 수신한다. 제2원격 신호 감지부(271b)는 후방으로부터 송신되는 원격 신호를 수신한다. A plurality of remote signal sensing units 271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remote signal detection units 271 include a first remote signal detection unit 271a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and a second remote signal detection unit 271b disposed on a rear portion of the body 210 . ) may be included. The first remote signal detection unit 271a receives a remo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ront. The second remote signal detection unit 271b receives a remo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ar.

장애물 감지부(272)는 이동 로봇(200)의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한다. 장애물 감지부(272)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장애물 감지부(272a, 272b, 272c)가 구비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272)는 바디(210)의 전방면에 배치된다. 장애물 감지부(272)는 프레임(211)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장애물 감지부(272)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지자기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bstacle detecting unit 272 detects an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mobile robot 200 . The obstacle detecting unit 272 may detect an obstacle in front. A plurality of obstacle detection units 272a, 272b, and 272c may be provided. The obstacle detecting unit 27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210 . The obstacle detecting unit 272 is disposed above the frame 211 . The obstacle detecting unit 272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position sensitive device (PSD) sensor, and the like.

레인 감지부는 이동 로봇(200)이 놓여진 환경에서 비가 올 경우, 비(rain)를 감지한다. 레인 감지부는 케이스(212)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ain detection unit detects rain when it rains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obile robot 200 is placed. The rain detector may be disposed on the case 212 .

케이스 유동 센서는 케이스 연결부의 유동을 감지한다. 프레임(211)에 대해 케이스(212)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케이스연결부가 상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케이스 유동 센서가 케이스(212)의 들어올려짐을 감지하게 된다. 케이스 유동 센서가 케이스(212)의 들어올려짐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블레이드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212)를 들어올리거나 상당한 크기의 하부 장애물이 케이스(212)를 들어올리는 상황 발생시, 케이스 유동 센서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ase flow sensor detects the flow of the case connection. When the case 212 is lif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rame 211 , the case connection part flows upward, and the case flow sensor detects the lifting of the case 212 . When the case flow sensor detects that the case 212 is lift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blade. For example,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a user lifts the case 212 or a lower obstacle of a significant size lifts the case 212 , the case flow sensor may detect it.

범퍼 센서는 유동 고정부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고정부의 하부의 일측에 자석을 배치하고, 프레임(211)에 자석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유동 고정부가 회전 시 센서가 자석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유동 고정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범퍼 센서가 구현될 수 있다. 범퍼(212b)가 외부의 장애물에 충돌하면, 범퍼(212b)와 일체로 유동 고정부가 회전한다. 범퍼 센서가 유동 고정부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범퍼(212b)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The bumper sensor can detect rotation of the floating fixture. For example, a magne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fixing unit,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211 . When the floating fixture rotates, the sensor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thereby implementing a bumper sensor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floating fixture. When the bumper 212b collides with an external obstacle, the flow fixing uni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bumper 212b. When the bumper sensor detects the rotation of the floating fixing unit, the impact of the bumper 212b may be detected.

방위각 센서(AHRS)는 자이로(gyro)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방위각 센서는 가속도 센싱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위각 센서는 자기장 센싱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azimuth sensor AHRS may have a gyro sensing function. The azimuth sensor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ing function. The azimuth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field sensing function.

방위각 센서는 자이로(Gyro) 센싱을 수행하는 자이로 센싱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은 바디(210)의 수평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은 바디(210)의 수평면에 대한 기울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azimuth sensor may include a gyro sensing module that performs gyro sensing. The gyro sensing module may sense the horizontal rotation speed of the body 210 . The gyro sensing module may detect a tilt speed of the body 21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자이로 센싱 모듈은 서로 직교하는 공간 좌표계의 3개의 축에 대한 자이로(Gyro)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모듈에서 수집된 정보는 롤(Roll), 피치(Pitch) 및 요(Yaw) 정보일 수 있다. 처리 모듈은, 롤링(roll), 피칭(pitch), 요(yaw) 각속도를 적분하여 이동 로봇(200)의 방향각의 산출이 가능하다. The gyro sensing module may have a gyro sensing function for three axes of a spatial coordinate system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gyro sensing module may be roll, pitch, and yaw information. The processing module may calculate the direction angle of the mobile robot 200 by integrating the rolling, pitching, and yaw angular velocities.

방위각 센서는 가속도 센싱을 수행하는 가속도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싱 모듈는 서로 직교하는 공간 좌표계의 3개의 축에 대한 가속도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소정의 처리 모듈이 가속도를 적분함으로써 속도를 산출하고, 속도를 적분함으로써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The azimuth sensor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ing module that performs acceleration sensing. The acceleration sensing module may have an acceleration sensing function for three axes of a spatial coordinate system orthogonal to each other. A predetermined processing module may calculate the velocity by integrating the acceleration, and may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by integrating the velocity.

방위각 센서는 자기장 센싱을 수행하는 자기장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센싱 모듈은 서로 직교하는 공간 좌표계의 3개의 축에 대한 자기장 센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자기장 센싱 모듈은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azimuth sensor may include a magnetic field sensing module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The magnetic field sensing module may have a magnetic field sensing function for three axes of a spatial coordinate system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magnetic field sensing module may sense the Earth's magnetic field.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경계 와이어(290)의 경계 신호 또는/및 기준 와이어(270)의 도킹 위치 신호를 감지한다.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detects a boundary signal of the boundary wire 290 and/or a docking position signal of the reference wire 270 .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바디(21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로봇(200)의 주된 주행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주행 영역의 경계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범퍼(212b)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 Through this, the boundary of the traveling area may be detected early while moving forward, which is the main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bile robot 200 .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bumper 212b.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경계 신호 감지부(277a) 및 제2 경계 신호 감지부(27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계 신호 감지부(277a) 및 제2 경계 신호 감지부(277b)는 바디(21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 may include a first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a and a second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b disposed to be left and right spaced apart. The first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a and the second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b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

예를 들면,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한다.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코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적어도 수평 방향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공간상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 includes a magnetic field sensor.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il to detect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may sense at least a horizontal magnetic field.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may detect magnetic fields with respect to three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in space.

구체적으로, 제1 경계 신호 감지부(277a)는 제2 경계 신호 감지부(277b)와 직교되는 방향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경계 신호 감지부(277a) 및 제2 경계 신호 감지부(277b)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의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자기장 신호 값을 조합하여서, 공간상 서로 직교하는 3개 축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a may detect a magnetic field signa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b. The first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a and the second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b detect magnetic field signals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combine the detected magnetic field signal values for three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in space. magnetic field can be detected.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공간상 서로 직교하는 3개 축에 대한 자기장을 감지하게 되면, 3개 축에 대한 합 벡터 값으로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하고, 이러한 자기장의 방향이 수평 방향에 가까우면 도킹 위치 신호 인식하고, 수직 방향에 가까우면 경계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senses the magnetic field with respect to three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in space,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determined by the sum vector value for the three axes, and 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clos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ocking position signal may be recognized, and if it is close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recognized as a boundary signal.

또한,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분할되어 있는 복수의 주행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인접 경계 신호와 복수의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의 세기 차이로 구별하고, 인접 경계 신호와 도킹 위치 신호를 자기장의 방향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divided driving regions exist, the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 distinguishes the boundary signal between the neighboring boundary signal and the boundary signal of the plurality of driving regions by the difference in magnetic field strength, and separates the neighboring boundary signal and the docking position signal. They can be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다른 예로,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분할되어 있는 복수의 주행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인접 경계 신호와 복수의 주행 영역의 경계 신호를 자기장 분포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계 신호 감지부(277)는 평면 좌표 상의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복수 개의 피크를 가지는 것을 감지하여 인접 경계 신호로 인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ivided driving regions,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may distinguish an adjacent boundary signal and boundary signals of the plurality of driving regions by a difference in magnetic field distribution. Specifically, the boundary signal detector 277 may detect tha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has a plurality of peak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plane coordinates and recognize it as an adjacent boundary signal.

GPS 감지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GPS 감지부는 PCB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GPS detector may be provided to detect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The GPS sensing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PCB.

낭떠러지 감지부는 주행면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낭떠러지 감지부는 바디(21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이동 로봇(200)의 전방에 낭떠러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liff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a cliff is present on the driving surface. The cliff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210 to detect the presence of a cliff in front of the mobile robot 200 .

센싱부(170)은 제1 개폐부(217) 및 제2 개폐부(218) 중 적어도 하나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감지부는 케이스(212)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70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sensing unit (not shown) that detect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217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218 is open/closed. The open/close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case 212 .

이동 로봇(200)은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센싱부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264)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The mobile robot 200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The control unit may process the signal of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process the signal of the input unit 264 .

제어부는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블레이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출력부(265)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blade motor.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265 .

제어부는 도 14와 같이, 바디(2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 보드(221)에 실장되어 있는 제어 칩(24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보드(221)는 PCB를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14 , the control unit may be formed of a control chip 241 mounted on the main board 22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210 . The main board 221 means a PCB.

제어부는 이동 로봇(200)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26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주행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주행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autonomous driving of the mobile robot 200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264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또한, 제어부는 경계 신호 감지부(277)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경계 신호 감지부(277)를 통한 경계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주행 패턴에 따라 주행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may process the signal of the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by analyzing the boundary signal through the boundary signal detection unit 277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pattern.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봇(200)은 바디(210)내에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제어부가 화채되어 있는 제어 칩(241)이 실장되어 있는 메인 보드(221)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4 , in the mobile robo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in which various parts are accommodated is formed in a body 210 , and a control chip 241 having a control unit is mounted in the space. The main board 221 is disposed.

이와 같은 메인 보드(221) 위에 다양한 전자 부품 및 그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nd circuits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are formed on the main board 221 .

일 예로, 센싱부를 이루는 각종 센서 소자(245)들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소자(245)들 후방으로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가 칩(241) 상태로 일체화되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various sensor elements 245 constituting the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A processor including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may be integrated into the chip 241 state and mounted behind such sensor elements 245 .

이와 같은 프로세서를 이루는 제어 칩(241)은 메인보드(221)에 직접 실장할 수 있도록 표면 실장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메인보드(221)의 전자 회로에 바로 부착할 수 있다. The control chip 241 constituting such a processor may be formed as a surface mount component to be directly mounted on the main board 221 , and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main board 221 .

이러한 메인보드(22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침수 감지부(237)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immersion detection unit 237 may be formed on the main board 221 .

침수 감지부(237)는 프로세서를 이루는 전자 칩(241)과 기판에 인쇄된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판(221)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소자 및 복수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23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hip 241 constituting the processor by a pattern printed on the substrate, and may be formed of a resistance element and a plurality of pads formed on the substrate 221 .

이러한 침수 감지부(237)의 복수의 패드는 수분이 케이스 내로 침투할 우려가 있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메인보드(22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ads of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237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moisture is likely to penetrate into the case, preferably at an edge region of the main board 221 .

즉, 도 14를 참고하면, 침수 감지부(237)는 도 6의 침수 감지부(137)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패드(238a) 및 제2 패드(238b)를 포함하는 패드부(238)를 포함한다.That is, referring to FIG. 14 , 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237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137 of FIG. 6 , and the pad unit 238 includes a pad 238a and a second pad 238b. includes

제1 패드(238a)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패턴 영역으로 정의된다.The first pad 238a is defined as a pattern area exposed to the outside.

제1 패드(238a)는 도 7의 제1 패드(138a)와 동일하며, 제1 폭(w1)을 가지고, 제1 길이(h1)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pad 238a is the same as the first pad 138a of FIG. 7 , has a first width w1 , is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h1 , and is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s such, it may be plated with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제2 패드(238b)는 도 7의 제2 패드(138b)와 동일하며, 제2 폭(w2)을 가지고, 제2 길이(h2)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패턴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서, 패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패드(238b)는 일 단이 제1 패드(238a)와 마주보고 있으며, 타 단이 접지되어 있다. The second pad 238b is the same as the second pad 138b of FIG. 7 , has a second width w2 , is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h2 , and is connected from th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s such, it may be plated with at least one metal forming the pad. One end of the second pad 238b faces the first pad 238a,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한편, 제1 패드(238a)와 제2 패드(238b)는 제1 거리(d1)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Meanwhile, the first pad 238a and the second pad 238b have a first distance d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거리(d1)는 침수에 의해 제1 패드(238a)와 제2 패드(238b)가 단락(short)를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작은 거리로서, 일 예로 0.1mm 이하, 구체적으로는 0.05mm 이하일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d1 is a very small distance at which the first pad 238a and the second pad 238b can form a short by immersion, for example, 0.1 mm or less, specifically, 0.05 mm or less. can

한편, 제1 패드(238a)와 연결되어 있는 중심 노드(no)와 양의 전압(VDD) 사이에 감지 저항(R1)(239)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 sensing resistor R1 239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node no connected to the first pad 238a and the positive voltage VDD.

감지 저항(R1)(239)은 고 저항 소자로서, 적어도 200kΩ 일 수 있으며, 그 이상일 수 있다. The sensing resistor (R1) 239 is a high resistance element, and may be at least 200 kΩ, or more.

이와 같은 중심 노드(no)는 제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칩의 In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패드(238a)와 제2 패드(238b)의 침수에 다른 쇼트 여부에 따라 In 단자로 고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Such a central node (no)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 terminal of the chip on which the control unit is formed, and a high voltage or a high voltage or A ground voltage is applied.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침수 감지부(237)는 감지 저항(R1)(239)이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 패드(238a, 238b) 근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칩(241) 근처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lood detection unit 237 formed in this way, the sensing resistors R1 and 239 may be disposed near the first and second pads 238a and 238b as shown in FIG. 6 , but in contrast to this, near the chip 241 . may be formed in

다만, 제1 패드(238a) 및 제2 패드(238b)는 서로 제1 거리(d1)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면서 메인 보드(221)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침수 여부에 따라 서로 쇼트되거나 연결되지 않는다. However, since the first pad 238a and the second pad 238b are located in the edge region of the main board 221 while maintaining a first distance d1 from each other, they may be shorted to each other depending on whether water is immersed from the outside or not. not connected

이와 같은 침수 감지부(237)는 도 6 내지 도 11과 같이 구성되고, 기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액체에 따라 제어 칩(24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uch a submersion detection unit 237 may be configured and function as shown in FIGS. 6 to 11 , and may prevent the control chip 241 from being damaged by a liquid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100, 200 :이동 로봇 120 : 센싱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주행부 135: 영상 감지부
137: 침수 감지부 180 : 청소부
100, 200: mobile robot 120: sensing unit
140: control unit 150: storage unit
160: driving unit 135: image sensing unit
137: flood detection unit 180: cleaning unit

Claims (20)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품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 감지부; 및
주행 영역 내에서 상기 주행부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침수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침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부품을 보호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침수 알람을 진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침수 감지부는
복수의 제1 패드,
상기 복수의 제1 패드와 이격되어 있으며 접지 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와 양의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패드와 이웃하도록 상기 각각의 상기 제2 패드가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제1 패드와 복수의 상기 제2 패드가 행렬을 이루며, 복수의 제1 패드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제2 패드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dy;
a functional unit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a water immersion detec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parts are mounted to detect water ingress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be submerged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ubmersion detection unit while moving by the driving unit in the driving area to protect the parts, and to provide a submersion alarm to the user;
includes,
The flood detection unit
a plurality of first pads;
a plurality of second pad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pads and grounded;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d and a positive voltage; A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wo pads form a matrix, a plurality of first pa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parallel, and a plurality of second pa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어부가 구현되어 있는 전자 칩을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chip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mplemented is mounted.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저항 사이의 전압을 상기 감지 신호로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The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reading the voltag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ads and the first resistor as the sensing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침수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단락될 수 있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5. The method of claim 4,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is a distance that can be electrically shorted to each other by immersion, the mobile robo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 사이의 이격 거리는 0.1 mm 이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meets 0.1 m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감지 신호가 로우로 하강하면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The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by periodically reading the detection signal, and determining that submersion has occurred when the detection signal falls to l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은 상기 제어부를 구현하는 상기 전자 칩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esistor is a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a peripheral area of the electronic chip implementing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의 일 변이 이웃한 상기 제1 패드 또는 상기 제2 패드의 일 변과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It has a polygonal shape,
One side of the first pad or the second pa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pad or the second pad by a first distanc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가 로우로 하강하면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ction signal falls to low, it is determined that submersion has occurred, and the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appli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ut off.
본체를 이동시키며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주행 영역 내에서 주행을 시작하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품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 여부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의 상태가 가변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침수가 발생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침수 알람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복수의 제1 패드, 상기 복수의 제1 패드와 이격되어 있으며 접지 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패드, 및 상기 제1 패드와 양의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저항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 패드와 이웃하도록 상기 각각의 상기 제2 패드가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제1 패드와 복수의 상기 제2 패드가 행렬을 이루어 배치되며,
복수의 제1 패드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제2 패드는 서로 직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신호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robot that moves a main body and performs a set function,
periodically reading a detection signal,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ubmerged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mponent is mounted, while starting to travel within the traveling area;
determining that submergence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occurred when the state of the detection signal varies; and
When submersion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ccurs, cutting off the pow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ceeding with a flood alarm to the us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ds, a plurality of second pad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pads and grounded,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ds and a positive voltage ar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each of the second pads is arrange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f the first pads, so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pads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pads are arranged in a matrix,
The plurality of first pad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ad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to read the sensing signal.
삭제delet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를 읽어들이는 단계는,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1 저항 사이의 전압을 상기 감지 신호로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Reading the detection signal compris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reading a voltag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first resistor as the sensing signa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하강하면 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tection signal,
When the detection signal falls from high to lo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submersion has occurred.

KR1020190083997A 2019-07-11 2019-07-11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07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97A KR102307439B1 (en) 2019-07-11 2019-07-11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09038 WO2021006671A1 (en) 2019-07-11 2020-07-09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97A KR102307439B1 (en) 2019-07-11 2019-07-11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73A KR20210007473A (en) 2021-01-20
KR102307439B1 true KR102307439B1 (en) 2021-09-29

Family

ID=7411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997A KR102307439B1 (en) 2019-07-11 2019-07-11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7439B1 (en)
WO (1) WO202100667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4947A (en) * 2021-03-17 2022-09-27 达利通香港有限公司 Floor material recognition device and suction head and dust collector with same
KR20230090990A (en)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with immersion detection circuit using water indicating label, and operate control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838A (en) 2000-09-29 2002-04-12 Nec Access Technica Ltd Portable terminal
JP4272899B2 (en) 2003-01-28 2009-06-0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Structure and method for detecting wetness of electronic equipment
WO2018159259A1 (en) 2017-03-01 2018-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Vehicle
KR101978282B1 (en) * 2016-05-20 201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1899B1 (en) * 1998-01-23 2003-04-02 Alps Electric Co., Ltd. Power window device and a control device used for the same
KR101281512B1 (en) 2007-04-06 2013-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51696Y1 (en) 2010-01-15 2011-01-04 서상준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undation sensing printed circuit board
KR102353514B1 (en) * 2015-05-18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838A (en) 2000-09-29 2002-04-12 Nec Access Technica Ltd Portable terminal
JP4272899B2 (en) 2003-01-28 2009-06-0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Structure and method for detecting wetness of electronic equipment
KR101978282B1 (en) * 2016-05-20 2019-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WO2018159259A1 (en) 2017-03-01 2018-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73A (en) 2021-01-20
WO2021006671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700B2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57166B2 (en) Autonomous lawn mower and a system for navigating thereof
EP3308911B1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090649B1 (en)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EP3432107B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108328B2 (en) Device for guiding a self-supporting vehicle to a docking station
KR102275300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09177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3631334B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mobile robots
KR102307439B1 (en)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53558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20257074A1 (en)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23573B1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280007A1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4587177B (en) Automatic cleaning equipment
CN113194802A (en) Robot clea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67990B1 (en) Robot cleaner
KR102620361B1 (en) Robot cleaner
WO2020059292A1 (en) Autonomous traveling cleaner
CN212261269U (en) Cleaning robot and side sweeping assembly thereof
KR102297914B1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379478A1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14745B2 (en) Moving robot
AU2019200409A1 (en) An autonomous lawn mower and a system for navigating thereof
AU2019200411A1 (en) An autonomous lawn mower and a system for navigat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