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904B1 -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904B1
KR102306904B1 KR1020190118444A KR20190118444A KR102306904B1 KR 102306904 B1 KR102306904 B1 KR 102306904B1 KR 1020190118444 A KR1020190118444 A KR 1020190118444A KR 20190118444 A KR20190118444 A KR 20190118444A KR 102306904 B1 KR102306904 B1 KR 10230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obile terminal
pad
b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6222A (en
Inventor
이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to KR102019011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904B1/en
Publication of KR2021003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삽입부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홈부에 놓여지며, 중앙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기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측면 양 단부에는, 펼쳐지는 방향 쪽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걸림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패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손가락을 걸었을 때 자판 입력에 불편함이 없고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Disclosed is a multi-purpos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ove formed inwardly from one surface,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groove portion, and a pad portion in which a locking groove portion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placed in the groove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is bent or unfolded so that the both ends move in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both ends of the side of the strap, a pair of protrusions having depressions form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are respectively formed, and when the strap is unfolded, the protrusions are the first locking portions The strap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ccommodated in the pad, and when the strap is ben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to form a finger hoo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case, and a holder or a finger hanger is selectively 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strap is bent, but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and it is inconvenient to input the keyboard when a finger is hung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void and does not impair external aesthetics.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portable terminal, can be wirelessly charged, and whose external appearance is not impaired.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카메라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Recently, many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that are easy to carry and provide a lot of data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have been released. In particular, mobile terminals are gaining popularity by ad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V, movie viewing, and camera in addition to the original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In order to view data through such a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so that the user can see it well.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However, if the user directly holds it by h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te for a long time because it puts a strain on the shoulder and wrist.

따라서 위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많이 개시된 바 있다.Accordingly, a number of cradles for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isclosed so that the above portable terminals can be erected in any place for a long ti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629호는 다용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랩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발명이다. 본 등록특허는 한쪽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중앙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며, 반대쪽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스트랩; 한쪽 면에 상기 스트랩을 배치한 상태로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스트랩의 한쪽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상태에서 반대쪽 가장자리에 상기 스트랩의 반대쪽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스트랩이 배치되어 동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패드; 및 상기 스트랩의 일부를 덮은 상태로 양쪽 단부가 상기 패드의 한쪽 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의 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를 걸어서 상기 스트랩의 근접 이동을 제한하는 스트랩 가이드; 상기 패드의 한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출입구를 통해 카드를 수납하도록 상기 패드의 반대쪽 면에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가 상기 패드의 한쪽 가장자리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카드 포켓; 상기 스트랩의 반대쪽 단부가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패드에 절개되어 상기 카드 포켓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카드 포켓 내의 카드 가장자리를 걸어서 상기 스트랩 가이드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카드 포켓으로부터 카드를 인출시키도록 상기 스트랩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푸싱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한쪽 단부는 상기 패드의 한쪽 가장자리를 관통해서 상기 카드 포켓의 출입구 주변으로 인출된 상태로 상기 패드에 고정되고, 상기 카드 포켓의 출입구 주변을 향한 면에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는 2장의 패드용 시트 부재들 사이에 상기 패드용 시트 부재들과 함께 상기 돌출 영역을 형성하는 크기와 두께를 갖는 속부재를 배치한 상태로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트랩 가이드는 상기 스트랩과 인접한 상기 패드용 시트 부재가 고리 형태로 부분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9629 relates to a multi-purpose holder, and is an invention in which a user selectively mounts a mobile terminal through a strap. The present patent discloses a strap that operates to bend or unfold a central portion as the opposite end moves closer to or spaced apart from one end, and a stopper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 Fixing one end of the strap to one edge with the strap disposed on one side, and supporting the opposite end of the strap on the opposite edge when the strap is unfolded,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strap is placed and operated a pad with a protruding area; and a strap guide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d while covering a part of the strap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strap, and to limit the proximity movement of the strap by hanging the stopper while the strap is bent. a card pocket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pad to receive a card through an entrance adjacent to one edge of the pad, the entrance being located inward than one edge of the pad; a guide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ard pocket by being cut in the pa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movement of the opposite end of the strap; and a pushing protrusion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strap to withdraw the card from the card pocket as it moves to the strap guide by walking the edge of the card in the card pocke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 end of the pad passes through one edge of the pad and is fixed to the pad in a state of being drawn out around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ard pocket,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d pocket facing the entrance and exit; The pad is configured by being coupled along an edge with an inner member having a size and thickness to form the protruding region together with the pad sheet members between the two pad sheet members, and the strap guid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member for the pad adjacent to the strap is partially cut in a ring shape.

그리고, 이와 유사한 발명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58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9354호 등이 있다.And, as similar inventions, there a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5819,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39354, and the like.

그러나 상술한 발명들은 스트랩이 패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에 위 발명을 부착한 상태에서 스트랩을 펼치더라도 돌출 배치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놓으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다. However, in the above inventions, since the strap maintains the protruding arrangement from one surface of the pad, even if the strap is unfolded in a state where the above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leased due to the protruding arrangement, it is inclined to one side.

최근 휴대 단말기를 직접 전원에 연결하여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 단말기를 충전기 상에 놓거나 거치시켜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발명은 돌출된 스트랩 및 스트랩 상의 기타 구성에 의해 평평하지 않아 충전기 상에 기울어진 상태로 놓여지게 되므로 무선충전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Recently, a wireless charger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placed on or mounted on a charger to charge the mobile terminal, rather than being charged by direct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to a power source. However,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is not flat due to the protruding strap and other components on the strap, so it is placed in an inclined state on the charger, so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wireless charging is not performed.

또한 상술한 발명들은 스트랩이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스트랩을 구부려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거치대(손가락 걸이부)의 위치가 패드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하게 되는데,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이 고정됨으로써 손의 위치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s are provided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is bent or unfolded to move relatively while one end is fixed. Therefore, when the strap is bent to form a holder or a finger holder, the position of the holder (finger holder) is bias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pad. The user puts his or her finger on the finger hanger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from dropping, and by fixing the finger to the finger hanger, the position of the hand is fixed.

이 때 일측으로 치우쳐진 거치대(손가락 걸이부)의 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상의 자판을 누르는데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due to the position of the cradle (finger hanger) tilted to one sid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press the keyboard on the mobile termina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629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796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581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058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9354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3935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8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3887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20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207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이 되도록 하여 무선충전도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and selectively forms a holder or a finger hook part depending on whether the strap is bent, but when the strap is unfolded, the overal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has a flat shape to enable wireless charg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mobile terminal that allows the user to have an optimal hand position when inputting the keyboard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uses his/her fingers by ben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rad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does not impair external aesthetic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삽입부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홈부에 놓여지며, 중앙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기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측면 양 단부에는, 펼쳐지는 방향 쪽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걸림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패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된다.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ove formed inwardly from one surface,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groove portion, and a pad portion in which a locking groove portion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placed in the groove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is bent or unfolded so that the both ends move in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both ends of the side of the strap, a pair of protrusions having depressions form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are respectively formed, and when the strap is unfolded, the protrusions are the first locking portions The strap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ccommodated in the pad, and when the strap is ben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to form a finger hook.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locking groove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스트랩은 투명의 연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trap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soft material.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패드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는 카드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card pocket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to accommodate the car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and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selectively forms a holder or a finger hook part depending on whether the strap is bent.

또한,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이 되도록 하여 무선충전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rap is unfolde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by making the overall flat shape.

또한,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is bent,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an optimal hand position when inputting the keyboard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uses his/her fingers.

또한, 홈부를 제외한 일면의 영역이 모두 평평하여 패드에 디자인을 형성하여도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ll areas of one surface except for the groove portion are flat, even if the design is formed on the pad, the external appearance is not damaged.

또한, 스트랩의 돌기부의 함몰부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이동할 때 간섭이 최소화되어 이동이 용이하며, 또한 구부러졌을 때 그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terference is minimized when bent or moved by the recessed por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strap, and thus movement is facilitated, and the shape of the strap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when bent.

또한, 스트랩과 패드의 요철에 의해 구부러졌을 때 그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bent by the unevenness of the strap and the pad, the shape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A-A`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작동 관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카드 포켓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요부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d portion of a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pad portion of a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nt stat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ent stat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relationship diagram of the strap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of a multi-purpos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card pocke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main part of a multi-purpos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Before the description, the term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mean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손가락을 걸었을 때 자판 입력에 불편함이 없고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more particularly,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nd selectively forms a holder or a finger hook by whether the strap is bent or not,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has no inconvenience in inputting a keyboard when a finger is hung, and does not impair external aesthetic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1000)는, 패드부(100)와, 스트랩(200) 및 카드 포켓(300)을 포함한다.The multi-purpose holder 10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part 100 , a strap 200 , and a card pocket 300 .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A-A`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2의 (b)와 도 4의 점선은 패드부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plan view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tted lines of FIGS. 2B and 4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ad part.

패드부(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1000)의 베이스가 되는 구성이다. 후술하는 카드 포켓(300)은 제조시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바, 카드 포켓(300)이 없는 경우 패드부(100)는 휴대 단말기(10)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20)의 뒷면에 접착된다. 카드 포켓(300)이 형성되는 경우 패드부(100)의 타면에는 카드 포켓(300)이 결합된다.The pad part 100 is a component that becomes the base of the multi-purpose cradle 10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d pocket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lectively coupled during manufacture, and when the card pocket 300 is not present, the pad part 100 is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10 or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20 . is glued When the card pocket 300 is formed, the card pocket 300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ad part 100 .

패드부(100)는 스트랩(200)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가죽이나 천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d part 10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rap 200 is mounted,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or cloth.

패드부(100)는 대략 판형으로 마련되며 일면에는 내측(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110)가 형성된다. 홈부(110)의 폭은 스트랩(200)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홈부(110)의 폭이 스트랩(200)의 폭보다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며 홈부(110)의 길이는 스트랩(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홈부(110)는 패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The pad part 10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a groove part 110 recessed inward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width of the groove 11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strap 200 or the width of the groove 11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ap 200 , and the length of the groove 110 is the length of the strap 200 .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part 110 is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d part 100 .

홈부(110)의 양 단부에는 삽입부(120)가 형성된다. 삽입부(120)는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영역이다. 삽입부(120)는 홈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따라서 홈부(110)와 삽입부(120)는 서로 연통된다.Insertion portions 1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roove portion 110 . The insertion part 120 is a region into which both ends of the strap 200 are inserted. The insertion part 120 is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groove part 110 , and thus the groove part 110 and the insertion part 1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패드부(100)는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은 평평하게 마련되며 따라서 삽입부(120)는 패드부(100)의 두께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다.The pad part 100 is provided in a flat area except for the groove part 110 , and thus the insertion part 120 is an empty space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d part 100 .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패드부(100)에 삽입되며 스트랩(200)의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다. 즉 스트랩(200)의 중앙부만 외부로 노출된다.Both ends of the strap 200 are inserted into the pad part 100 , and the central part of the strap 200 is placed in the groove part 110 . That is,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200)이 펼쳐져 있을 때 스트랩(200)은 패드부(100)에 수용된다. 여기서 수용된다는 의미는 스트랩(200)의 양단부는 삽입부(120)에 삽입되며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 상태로서, 스트랩(200)이 패드부(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홈부(110)를 제외한 패드부(100)의 영역이 평평하므로 스트랩(200)이 펼쳐졌을 때 전체적으로 평평해진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strap 200 is unfolded, the strap 200 is accommodated in the pad part 100 . Accepted here means that both ends of the strap 20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and the central part is placed in the groove part 110 , and the strap 200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ad part 100 .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ea of the pad part 100 excluding the groove part 110 is flat, when the strap 200 is unfolded, the entire area is flat.

일반적으로 무선충전은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방식의 차이점은 크게 단말기와 충전기 간 접촉 여부이다.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무선 충전기는 자기유도 방식이다. 자기유도 방식은 전력 송신부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이 자기장이 수신부의 2차 코일에 유도돼 전류를 공급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기술이다. 코일이 근접거리에 위치해야 가능하다. 자기유도 방식은 전력 전송 효율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장점이 있지만, 수 cm 이상 떨어지거나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전력이 거의 전송되지 않을 정도로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통상의 무선충전기는 자기유도 방식이다.In general, wireless charging can be divided into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s largely whether the terminal and the charger are in contact. The wireless charger used by most mobile terminal users is magnetic induction.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technology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tter and this magnetic field is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er to supply current. This is possible only when the coil is located in close proximity.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very high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of 90% or mor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is rapidly reduced to the extent that power is hardly transmitted if it is dropped by more than a few cm or the centers of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receiving coil do not exactly match. . In general, a common wireless charger that is commonly used is a magnetic induction type.

따라서, 통상의 무선충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기가 반드시 접촉되어야할 필요는 없지만, 이격거리가 짧아야 하며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기가 정렬되어야 한다.Therefore, when using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er,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harger be in contact, but the separation distance should be short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harger should be align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부(100)의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이 평평하고 스트랩(200)이 펼쳐지면 스트랩(200)이 패드부(100)에 수용되므로, 스트랩(200)을 펼친 상태에서 무선 충전기에 휴대 단말기를 올려놓으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기가 정렬되며, 따라서 무선충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ea except for the groove part 110 of the pad part 100 is flat and when the strap 200 is unfolded, the strap 200 is accommodated in the pad part 100, so that the strap 200 is opened. If you put the mobile terminal on the wireless charger in this state, it does not tilt to either side and maintains a flat stat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harger are aligned, and thus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wireless charg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작동 관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예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nt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of the pad part of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the multi-purpos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ent stat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of the pad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of use of the multi-purpos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스트랩(200)은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스트랩(200)의 노출된 부분을 당기거나 밀어 스트랩(200)의 중앙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을 한다.The strap 2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form a cradle or a finger hanger.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exposed portion of the strap 20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200 is bent or unfolded, and both ends of the strap 200 move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스트랩(20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예시로 고무, 우레탄, 실리콘, 가죽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의 연질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strap 200 is made of a bendable material.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ith rubber, urethane, silicone, leather, etc.,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soft material.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스트랩(200)의 측면에는 돌기부(2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210)는 4개가 형성된다.A protrusion 21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trap 200 . In this embodiment, four protrusions 210 are formed.

한편 패드부(100)에는 걸림홈부(121)가 더 형성된다. 걸림홈부(121)는 삽입부(120)의 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걸림홈부(121)는 돌기부(2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locking groove 121 is further formed in the pad part 100 . The locking groove part 12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insertion part 120 . The locking groove part 12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part 210 .

걸림홈부(121)는 제1걸림홈부(121a)와 제2걸림홈부(121b)를 포함한다. 제1걸림홈부(121a)와 제2걸림홈부(121b)는 각 삽입부(120)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패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즉, 제1걸림홈부(121a)와 제2걸림홈부(121b)는 스트랩(200)의 단부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이격된다.The locking groove portion 121 includes a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121a and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121b. The first locking groove part 121a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part 121b are provided as a pair in each insertion part 120 ,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d part 100 . That is,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121a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12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nd of the strap 200 .

스트랩(200)이 펼쳐진 경우 돌기부(210)는 제1걸림홈부(121a)에 삽입되며, 스트랩(200)이 구부러진 경우 돌기부(210)는 제2걸림홈부(121b)에 삽입되어 그 형태가 유지된다. 돌기부(210)가 제2걸림홈부(121b)에 삽입됨으로써 스트랩(200)이 더이상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구부러진 스트랩(200)이 소정 크기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strap 200 is unfolded, the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121a, and when the strap 200 is bent, the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21b to maintain its shape. . The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21b to serve as a stopper to prevent the strap 200 from being bent any longer, and to prevent the bent strap 200 from being unfolded by a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plays a role

여기서, 돌기부(210)에는 함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함몰부(211)는 스트랩(200)이 펼쳐지는 방향 쪽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a depression 211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210 . In the drawings, the depression 21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p 200 is unfol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position.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걸림홈부(121)는 돌기부(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nd, unlike the drawing, the locking groove part 12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part 210 .

한편 스트랩(200)이 구부러져 볼록한 고리 모양의 공간이 되어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는데, 스트랩(200)의 중앙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할 때,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rap 200 is bent to become a convex ring-shaped space to form a holder or a finger hanger. When inputting the keyboard of the mobile terminal, the optimal hand position is obtained.

즉 선행기술의 경우 스트랩이 일단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는 등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스트랩을 구부려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손가락 걸이부의 위치가 패드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의 보호케이스에 부착하는 방향에 따라 손가락 걸이부가 너무 아래에 위치하거나 너무 위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상의 자판을 누르는데 불편함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one end of the strap is provided to be relatively moved while the other end is bent or unfolded in a fixed state. Therefore, when the strap is bent to form a cradle or a finger hook, the position of the finger hook is bias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pad.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attached to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the finger hook part is positioned too low or too high, so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press the keyboard on the mobile terminal.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스트랩(200)이 구부러지는 위치가 중앙 부분이므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부착하는 방향과 관계없이 손가락을 걸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때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되는 효과가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ent position of the strap 200 is the central por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p 200 is attached to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using the mobile terminal by hanging a finger, the optimal hand position is the effect of inputting the keyboard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100)는 홈부(110)를 제외하고는 평평하게 마련되며, 스트랩(200)은 투명의 연질 재질로 마련된다. 홈부(110)를 포함하여 패드부(100) 전체에 디자인을 형성할 때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에는 어떠한 구성도 없으므로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홈부(110)에도 투명 재질의 스트랩(200)이 놓여지므로 스트랩(200)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는 작동 하에서도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ad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be flat except for the groove part 110, and the strap 200 is made of a transparent soft material. When the design is formed on the entire pad portion 100 including the groove portion 110,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in the region except the groove portion 110, the design is not affected and the strap 200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also provided in the groove portion 110. Since it is placed, the design is not affected even when the strap 200 is bent or unfolded, and the external appearance is not damaged.

돌기부(210)에 함몰부(211)가 형성되며 돌기부(210)는 연질 재질로 마련되므로, 홈부(110)와 삽입부(120)를 따라 스트랩(200)이 이동할 때 돌기부(210)가 압축되어(함몰부(211)에 의해 접혀져) 간섭이 최소화되어 이동되며, 돌기부(210)가 걸림홈부(121)에 위치되면 압축된 돌기부(210)가 복원되어 스트랩(200)의 이동이 보다 제한되며 스트랩(200)의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 depression 211 is formed in the protrusion 210 and the protrusion 210 is made of a soft material, so when the strap 200 moves along the groove 110 and the insertion part 120, the protrusion 210 is compressed. (folded by the recessed portion 211) is moved with minimal interference, and when the projection 210 is positioned in the locking groove 121, the compressed projection 210 is restor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trap 200 is more limited and the strap The shape of (200)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또한, 스트랩(200)의 중앙부분을 누르면 함몰부(211)에 의해 돌기부(210)가 압축되어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스트랩(200)이 펼쳐진다.In addition,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200 is pressed, the protrusion 210 is compressed by the recessed portion 211 and the strap 200 is unfolded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카드 포켓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ard pocket of a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드 포켓(300)은 거치대와 손가락 걸이부 기능에 더하여 신용카드 등의 카드를 넣어서 보관/휴대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드 포켓(300)은 패드부(100)의 타면에 재봉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card pocket 300 is configured to store/carry a card such as a credit card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holder and the finger hook. The card pocket 30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ad part 100 through sewing or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카드 포켓(300)은 일단은 개방되어 카드를 넣고 뺄 수 있도록 되며, 타단은 패드부(100)에 결합된다. 또한 카드 포켓(300)의 길이는 패드부(10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된다. 또한, 카드 포켓(300)의 하단부에는 재봉되지 않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카드를 손쉽게 뺄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card pocket 300 is opened so that cards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pad unit 100 .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ard pocket 300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d part 100 . In addition, a recess that is not sew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ard pocket 300 so that the card can be easily removed.

카드 포켓(300)이 패드부(100)에 결합된 경우, 카드 포켓(300)의 일면에는 양면 테이프, 접착물질 또는 접착 시트 등이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10) 또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20)에 접착될 수 있다.When the card pocket 300 is coupled to the pad part 100 , a double-sided tape, an adhesive material or an adhesive shee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rd pocket 300 to be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10 or the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20 . can be glu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ulti-purpos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요부 설명도이다.10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main part of a multi-purpos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2000)는, 패드부(400)와, 스트랩(500) 및 카드 포켓(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부(400)와 스트랩(500)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패드부(400)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The multipurpose holder 20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part 400 , a strap 500 , and a card pocket 300 . In this embodiment, except for the pad part 400 and the strap 500,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o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pad part 400 is also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a part,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part will be omitted.

패드부(400)는 대략 판형으로 마련되며 일면에는 내측 또는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110)가 형성된다. 홈부(110)의 폭은 스트랩(400)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홈부(110)의 폭이 스트랩(400)의 폭보다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며 홈부(110)의 길이는 스트랩(4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pad part 40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a groove part 110 which is recessed in the inside or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width of the groove 11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strap 400 or the width of the groove 11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ap 400 , and the length of the groove 110 is the length of the strap 400 .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홈부(110)의 양 단부에는 삽입부(120)가 형성된다. 삽입부(120)는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영역이다. 삽입부(120)는 홈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따라서 홈부(110)와 삽입부(120)는 서로 연통된다.Insertion portions 1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groove portion 110 . The insertion part 120 is a region into which both ends of the strap 200 are inserted. The insertion part 120 is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groove part 110 , and thus the groove part 110 and the insertion part 1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패드부(400)는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은 평평하게 마련되며 따라서 삽입부(120)는 패드부(400)의 두께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다.The pad part 400 is provided in a flat area except for the groove part 110 , and thus the insertion part 120 is an empty space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d part 400 .

스트랩(500)의 양 단부가 패드부(400)에 삽입되며 스트랩(500)의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다. 즉 스트랩(500)의 중앙부만 외부로 노출된다.Both ends of the strap 500 are inserted into the pad part 400 , and the central part of the strap 500 is placed in the groove part 110 . That is,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500)이 펼쳐져 있을 때 스트랩(500)은 패드부(400)에 수용된다. 여기서 수용된다는 의미는 스트랩(500)의 양단부는 삽입부(120)에 삽입되며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 상태로서, 스트랩(500)이 패드부(4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홈부(110)를 제외한 패드부(400)의 영역이 평평하므로 스트랩(500)이 펼쳐졌을 때 전체적으로 평평해진다. 이에 따른 무선충전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trap 500 is unfolded, the strap 500 is accommodated in the pad part 400 . Accepted here means that both ends of the strap 50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and the central part is placed in the groove part 110 , and the strap 500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pad part 400 .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ea of the pad part 400 excluding the groove part 110 is flat, when the strap 500 is unfolded, the entire area is flat. Accordingly, the wireless charging effec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스트랩(500)의 삽입부(120)가 형성된 영역에 제2요철(430)이 형성된다. 즉, 삽입부(120)의 하면은 제2요철(4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unevenness 430 is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insertion part 120 of the strap 500 is formed.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12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cavo-convex 430 .

스트랩(500)은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스트랩(500)의 노출된 부분을 당기거나 밀어 스트랩(500)의 중앙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스트랩(500)의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을 한다.The strap 5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form a cradle or a finger hanger.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exposed portion of the strap 50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500 is bent or unfolded, and both ends of the strap 500 move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스트랩(50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예시로 고무, 우레탄, 실리콘, 가죽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의 연질재질로 마련된다. The strap 500 is made of a bendable material.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ith rubber, urethane, silicone, leather, etc.,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soft material.

스트랩(500)의 양 단부의 하면에는 제1요철(510)이 형성된다.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철부와 요부는 소정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unevenness 51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strap 500 . The first unevenness 510 and the second unevenness 430 may be provided in corresponding shapes, and each of the convex and recessed portions may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에 의해 스트랩(500)이 구부러졌을 때 그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시로,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의 경사에 의해 구부러질 때의 스트랩(500)의 이동은 비교적 쉽게 될 수 있으며, 구부러진 후에는 경사에 의해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500)은 연질 재질로 마련되므로 펼쳐질 때에는 보다 강한 힘을 가하면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에 불구하고도 스트랩(500)의 양단부가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strap 500 is bent by the first unevenness 510 and the second unevenness 430 , its shape may be stably maintained. For example, the movement of the strap 500 when bent by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unevenness 510 and the second unevenness 430 can be relatively easy, and after being bent, the move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is limited by the inclination. The shape can be kept stab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rap 500 is made of a soft material, both ends of the strap 500 may be moved despite the first unevenness 510 and the second unevenness 430 when a stronger force is applied when unfold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손가락을 걸었을 때 자판 입력에 불편함이 없고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case, and a holder or a finger hanger is selectively 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strap is bent, but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and it is inconvenient to input the keyboard when a finger is hung There is provided a multi-purpos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does not have a void and does not impair external aesthetics.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ranges equivalent to or changed from these claims ar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ategory.

1000 :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100 : 패드부
200 : 스트랩 300 : 카드 포켓
1000: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100: pad part
200: strap 300: card pocket

Claims (7)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삽입부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홈부에 놓여지며, 중앙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기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측면 양 단부에는, 펼쳐지는 방향 쪽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걸림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패드부에 수용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a pad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recessed inward from one surface,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groove portion, and a locking groove portion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placed in the groove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p is bent or unfolded so that the both ends move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includes,
The engaging groove includes a first engaging groove and a second engaging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protrusions each having a depression in the unfolding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of the strap,
When the strap is unfolded,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the strap is accommodated in the pad portion, and when the strap is bent, the proj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to form a finger hook.
Multipurpose cradle for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groove portion is a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ortion.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투명의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strap is a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formed of a transparent soft materi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는 카드 포켓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ulti-purpos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card pocket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ad part to receive a card.
KR1020190118444A 2019-09-25 2019-09-25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KR102306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44A KR102306904B1 (en) 2019-09-25 2019-09-25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44A KR102306904B1 (en) 2019-09-25 2019-09-25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22A KR20210036222A (en) 2021-04-02
KR102306904B1 true KR102306904B1 (en) 2021-09-29

Family

ID=7546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444A KR102306904B1 (en) 2019-09-25 2019-09-25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90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33B2 (en) * 1992-07-29 2001-06-11 株式会社東芝 Analog value storage circuit
KR101159815B1 (en) 2012-03-29 2012-06-26 정종우 Mobile case
US20140152034A1 (en) 2012-12-01 2014-06-05 Kevin Alan Tussy Device case with strap
JP2018085108A (en) * 2016-11-14 2018-05-31 きよみ 山代 Hold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device
KR101939354B1 (en) * 2017-02-20 2019-01-16 여창기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KR101979629B1 (en) 2018-12-19 2019-05-17 여창기 Multipurpose holder
KR101989189B1 (en) 2017-09-15 2019-06-14 장대규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33U (en) * 2012-03-28 2012-06-14 輝生 今井 Protective cove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60092074A (en)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하이맥 Card insertion type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838874B1 (en) 2015-02-10 2018-03-15 박진우 Cradle for mobile phone
KR101705819B1 (en) 2016-06-30 2017-02-10 여창기 Magic push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33B2 (en) * 1992-07-29 2001-06-11 株式会社東芝 Analog value storage circuit
KR101159815B1 (en) 2012-03-29 2012-06-26 정종우 Mobile case
US20140152034A1 (en) 2012-12-01 2014-06-05 Kevin Alan Tussy Device case with strap
JP2018085108A (en) * 2016-11-14 2018-05-31 きよみ 山代 Hold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device
KR101939354B1 (en) * 2017-02-20 2019-01-16 여창기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KR101989189B1 (en) 2017-09-15 2019-06-14 장대규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KR101979629B1 (en) 2018-12-19 2019-05-17 여창기 Multipurpos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22A (en)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058Y1 (en)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US8744529B2 (en) Enhanced mobile device having multiple housing configurations
US10394297B1 (en) Changing station for wearable computer band
KR102244886B1 (en) Bookholder with bottom plate
JP2023510335A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method
KR101281064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003379U (en) Suction type stands for electronic instrument
KR102306904B1 (en)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KR200491591Y1 (en) A folding type Cell Phone cradle
KR102151793B1 (en) Mobile phone case with secondary battery fixing function
KR101946952B1 (en) Mobile phone case
KR20130130921A (en) Portable charging battery with holder
KR102072676B1 (en) Smart phone case with card and music album with video and music
KR102200869B1 (en)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KR101921623B1 (en) Mobile phone case with virture reality function
KR102002392B1 (en) Protecting cover
KR101225067B1 (en) A case for tablet pc
KR102371463B1 (en)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160003288U (en) Mobile phone case
KR101155054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240230B1 (en) Strap for mobile device
KR102200573B1 (en) accessory for mobilephone
KR101709636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102256068B1 (e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the left and right can be adjusted and the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