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30B1 -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 Google Patents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130B1
KR102306130B1 KR1020200006630A KR20200006630A KR102306130B1 KR 102306130 B1 KR102306130 B1 KR 102306130B1 KR 1020200006630 A KR1020200006630 A KR 1020200006630A KR 20200006630 A KR20200006630 A KR 20200006630A KR 102306130 B1 KR102306130 B1 KR 10230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imulation
stimulation member
wearabl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3410A (en
Inventor
엄성흠
정봉근
안주은
박신석
정수훈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포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포티움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30B1/en
Publication of KR2021009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4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또는 재활 과정 도중 사용자의 인체에 직접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운동 또는 재활 능력을 보조하도록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도중 지속적으로 보행속도 및 보행패턴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자극을 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무리를 하지 않도록 또는 더욱 노력하도록 신속하게 피드백을 줄 수 있어, 사용자의 운동 또는 재활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시간 훈련 등으로 인해 다리의 근 피로도가 증가하는 경우, 자극부재가 다리의 근육에 기계적 진동 자극 또는 전기적 자극을 주어 근 피로를 감소시키고 운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that assists the user's exercise or rehabilitation ability by providing feedback directly to the user's body during exercise or rehabilita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detects the gait speed and gait pattern while the user is walking or running, and allows the user to immediately apply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so that the user does not overwork or it is possible to quickly give feedback so that the user does more effort. ,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user's exercise or rehabilitation ability. In addition, when the user's muscle fatigue of the leg increases due to long-term training, etc., the stimulation member provides mechanical vibration stimul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uscles of the leg to reduce muscle fatigue and improve exercise ability.

Description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본 발명은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 또는 재활 과정 도중 사용자의 인체에 직접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운동 또는 재활 능력을 보조하도록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stimulus that assists the user's exercise or rehabilitation ability by directly providing feedback to the user's body during an exercise or rehabilitation process. It relates to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member.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증가 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건강한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는 만성적 질환 및 신체적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여러 형태의 장애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노인의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노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필요하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노인의 심혈관계질환 등의 유병률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안녕을 증가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As medical expenses increase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interest in healthy aging is increasing. Aging with increasing age causes various types of disability due to chronic diseases and deterioration of physical function, which acts as a factor redu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Regular physical activity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elderly. Regular physical activity reduces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the elderly and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by increasing physical health and mental well-being.

이에 따라 노약자를 포함한 일반인들을 위한 효율적인 운동 보조와 신체활동을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보조 기구가 개발되었다. Accordingly, various exercise assistiv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induce efficient exercise assistance and physical activity for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the elderly.

그러나 이러한 운동 보조 기구는 낮은 착용성과 심미성으로 인하여 소비자로부터 선호 받지 못했으며, 지속적으로 운동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했다.However, these exercise aids were not favored by consumers due to their low wearability and aesthetics, and did not provide customized feedback to induce continuous exercise practice.

이를 바탕으로 하여 최근 출시되는 운동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몸에 간단하게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로 개발되어, 기존의 운동기록은 물론 알람기능과 심박수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어, 실천을 상기시키고 목표 도달에 대한 피드백 기능을 강화하도록 하였다.Based on this, the recently released exercise aid has been developed as a wearable device that is simply worn on the user's body. The feedback function was strengthened.

그러나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걸음 수, 소모칼로리, 거리 등의 단순 활동량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방식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사용자가 제공된 수치 정보를 바탕으로 자의적으로 행동 변화를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유도할 뿐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wearable devices mainly use a method of visually notifying the user of simple activity information such as steps, calories burned, and distanc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the user acts arbitrarily based on the numerical information provi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only guides people to plan and implement changes, but does not provide direct and immediate feedback.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303호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1303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또는 재활 과정 도중 사용자의 인체에 직접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운동 또는 재활 능력을 보조하도록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feedback directly to the user's body during exercise 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to assist the user's exercise or rehabilitation ability. to provide an auxiliary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훈련 등으로 인해 근 피로도가 증가하는 사용자의 근육에 기계적 진동 자극 또는 전기적 자극을 주어 근 피로를 감소시키고 운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muscle fatigue by giving mechanical vibration stimul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uscles of a user whose muscle fatigue is increased due to long-term training, etc. Exercise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to provide an auxiliary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상기 압력감지부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생성하고, 생성한 보행속도와 기 지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신체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주는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mounted on a shoe to detect a load applied by a user;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walking speed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comparing the generated walking speed with a preset reference speed,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a stimulation member positioned on the user's body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stimulate the user's body.

또한, 상기 압력감지부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자극부재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and the stimulation member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재는 상기 착용밴드의 안쪽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다리에 자극을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further comprises a wearable band formed in the form of a wearable band on the user's leg, wherein the stimulation member is a wearable stimul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give stimulation to the user's leg in a stat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earable band A motion assistance system using a member is provided.

또한,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imulation member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 to deliver electrical stimulation.

또한,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진동 자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imulation member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s to deliver the vibration stimulation.

또한,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다리의 앞정강근 또는 비복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imulation member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bialis anterior or gastrocnemius muscle of the user's leg.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자극모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한 선택모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자극부재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선택모드에 해당하는 자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y one selection mod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stimulation mod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stimulation member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sends the selection mode to the user's body. It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giving the stimulation corresponding to.

또한, 상기 자극모드는 자극의 강도, 자극의 주기 및 자극의 변화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imulation mode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intensity of stimulation, stimulation cycle, and stimulation change patter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부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와 보행시간을 생성하고, 생성한 보행속도 및 보행시간과 기 지정된 기준속도 및 기준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to generate the user's walking speed and walking time, compares the generated walking speed and walking time with a preset reference speed and reference time,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압력감지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왼쪽 신발 및 오른쪽 신발에 장착되고,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왼쪽 다리 및 오른쪽 다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왼쪽 신발에 장착된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압력정보와 오른쪽 신발에 장착된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제 2 압력정보를 구분하여, 제 1 압력정보와 제 2 압력정보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하중이 더 쏠린 방향의 다리에 장착된 상기 자극부재로 더 강한 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mounted on the left shoe and the right shoe worn by the user, the stimulation member is mounted on the user's left leg and right leg, and the control unit is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mounted on the left shoe.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mounted on the right shoe are distinguished,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it is mounted on the le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is more concentrated. It provide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a stronger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timulation member.

또한, 상기 압력감지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왼쪽 신발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감지부 및 사용자가 착용한 오른쪽 신발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왼쪽 다리의 좌측과 우측 및 사용자의 오른쪽 다리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압력감지부가 전달하는 제 1 압력정보로부터 왼쪽 신발의 어느 쪽에 체중이 더 쏠리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압력감지부가 전달하는 제 2 압력정보로부터 오른쪽 신발의 어느 쪽에 체중이 더 쏠리는지를 감지하여, 특정 방향으로 체중이 더 쏠리는 경우, 체중이 더 쏠리는 방향의 다리에 장착된 자극부재로 더 강한 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essure sensing unit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shoe worn by the user and a plurality of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ght shoe worn by the user, , the stimulation member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left leg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right leg,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ich side of the left shoe weight from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weight is leaning further, and detects which side of the right shoe is more focused from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a stronger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timulation memb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부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파악된 압력 변화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보행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보행속도가 기 지정된 기준속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보행 패턴과 기 지정된 기준보행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보행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recognizes a pressure change pattern applied by the user, generates a user's walking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pressure change pattern, and the walking speed is preset Exercise assistance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peed deviates from the reference speed, the user's current walking situat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alking pattern and the preset reference walking patter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provide the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도중 지속적으로 보행속도 및 보행패턴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자극을 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무리를 하지 않도록 또는 더욱 노력하도록 신속하게 피드백을 줄 수 있어, 사용자의 운동 또는 재활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detects the gait speed and gait pattern while the user is walking or running, and allows the user to immediately apply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so that the user does not overwork or it is possible to quickly give feedback so that the user does more effort. ,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user's exercise or rehabilitation ability.

또한, 사용자가 장시간 훈련 등으로 인해 다리의 근 피로도가 증가하는 경우, 자극부재가 보행에 직접 관여하는 앞정강근 및 비복근에 기계적 진동 자극 또는 전기적 자극을 주므로, 근 피로를 감소시키고 운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muscle fatigue in the legs increases due to long-term training, etc., the stimulation member applies mechanical vibration stimul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s directly involved in walking, thereby reducing muscle fatigue and enhancing exercise ability.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또한, 전기자극부를 이용하여 보행에 관여하는 앞정강근 및 비복근의 근 수축을 유도하므로, 보행 과정에서 실질적인 다리의 근력 수축 및 이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근육 훈련을 통한 만족도를 높이고 운동 또는 재활 훈련에 대한 의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induces muscle contraction of the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s involved in walking, it can help in actual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legs during walking, increase satisfaction through muscle training, and exercise or rehabilitation training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sire for

또한, 사용자의 다리와 마주보는 착용밴드의 안쪽에 부착된 자극부재는 사용자가 걷거나 뛰더라도 착용밴드에 지지된 상태로 안정감 있게 사용자의 다리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timulation memb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earing band facing the user's leg has an effect of stably stimulating the user's le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wearing band even when the user walks or runs.

또한, 보행 도중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발에 의한 압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 및 보행패턴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user's walking speed and gait pattern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foot, which is inevitably generated during walk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자극부재가 착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인솔에 장착되는 복수의 압력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자극부재가 다리에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착용밴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복수의 자극모드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where the stimulation member of the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the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3 is a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ing units mounted on an insole of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where the stimulation member of the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the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e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band of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stimulation mod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the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rcise assistance method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자극부재가 착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otion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where the stimulation member is wor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300)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은 압력감지부(100), 단말기(200) 및 자극부재(300)를 포함하고, 착용밴드(400: 도 5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the wearable stimulation member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100, a terminal 200, and a stimulation member 300, and , a wearing band 400 (shown in FIG. 5 ) may be further included.

압력감지부(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에 장착되며 신발은 운동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압력감지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닿는 운동화의 인솔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도중 인솔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압력감지부(100)는 발바닥 또는 발뒤꿈치와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도중 인솔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한다.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is mounted on the shoes worn by the user, and the shoes may be composed of sneakers or the like. In detail,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is mounted on the insole of the running shoe that the user's foot touches, and generates pressure information by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ole while the user walks or runs.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is positioned to face the sole or the heel, and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sole while walking or running by the user.

단말기(20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휴대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력감지부(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후술하는 자극부재(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통상의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단말기(200)는 메모리 등의 저장부(220)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제어부(210)를 포함하며, 이들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 phone or a mobile phone carried by the us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composed of conventional Bluetooth, Wi-Fi, NFC, and the lik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inal 200 includes a storage unit 220 such as a memory and a control unit 210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CU (Micro Controller Unit), and may have an application or program for smoothly executing them. may be

저장부(220)는 사용자의 기준 보행 속도 및 기준 보행 패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기준 보행 속도 및 기준 보행 패턴은 나이 및 개인의 신체 능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자극모드가 저장된다. 자극모드는 예를 들면, 자극의 강도가 강한 자극모드, 자극의 주기가 짧은 자극모드, 자극의 주기가 긴 자극모드 및 자극의 강도 패턴과 주기 패턴이 가변하는 마사지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0 stores the user's reference walking speed and reference walking pattern. The reference gait speed and reference gait pattern may be differentially stored according to the age and physical ability of the individual.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20 stores a plurality of different stimulation modes. The stimulation mode may include, for example, a stimulation mode in which the intensity of stimulation is strong, a stimulation mode in which the stimulation period is short, a stimulation mode in which the stimulation period is long, and a massage mode in which the intensity pattern and periodic pattern of stimulation are variable.

제어부(21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압력감지부(100)로부터 압력정보를 전달받으며, 압력감지부(100)가 전달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압력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정보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생성한 보행속도와 저장부(220)에 기 지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자극부재(300)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생성한 보행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린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보행속도를 더욱 빠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모드 중 자극의 주기가 짧은 자극모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자극부재(300)로 전달한다. 또는, 제어부(210)는 생성한 보행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빠른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보행속도를 느리게 유도하기 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모드 중 자극의 주기가 긴 자극모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자극부재(300)로 전달한다. 이는, 운동 또는 재활 과정 도중 사용자가 기준속도보다 빠르게 걷거나 뛰는 경우, 이를 지속적으로 알려주도록 하여, 사용자가 무리를 하지 않도록 또는 더욱 노력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의 운동 또는 재활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 unit 210 receives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alyzes the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to generate a walking speed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10 may generate the walking speed of the user by, for example, counting the number of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for a preset time. The controller 210 compares the generated walking speed with a reference speed preset in the storage 220 ,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 For example, when the generated walking speed is slow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a stimulation mode with a short stimulation period among a plurality of stimulation modes stored in the storage 220 in order to induce a faster walking speed by the use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 Alternatively, when the generated walking speed is fast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a plurality of stimulation modes stored in the storage 220 to induce a user to slow down a walking speed corresponding to a stimulation mode having a long stimulation perio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 This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user's exercise or rehabilitation ability by continuously informing the user of the fact that he or she walks or runs faster than the reference speed during the exercise or rehabilitation process, so that the user does not overdo it or makes more efforts.

한편, 종래기술과 같이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은 신체에 튼튼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아, 보행 도중 가방 및 주머니 안에서 흔들리게 되는데, 이는 보행 속도에 심각한 오차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압력감지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행하는 도중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210)가 분석하여 보행속도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보행 도중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발에 의한 압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 및 후술하는 보행패턴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prior art, the user's walking speed can be generated through a smartphone, etc., but the smartphone is not firmly fixed to the body, so it shakes in a bag or pocket while walking, which causes a serious error in the walking speed. caus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ressure generated while the user is walking by using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210 analyzes this to generate a walking speed.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measuring a user's walking speed and a gait patter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foot, which is inevitably generated during walking.

또한, 제어부(210)는 생성한 보행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빠른 경우, 압력감지부(100)가 전달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보행시간을 생성하고, 생성한 보행속도 및 보행시간과 기 지정된 기준속도 및 기준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보행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빠른 경우,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보행속도를 유지하였는지를 비교하여, 기준시간보다 오랫동안 보행속도를 유지한 경우, 사용자의 다리를 마사지하도록 마사지모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자극부재(300)로 전달한다. 이는, 사용자가 장시간 훈련 등으로 인해 다리의 근 피로도가 증가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210)가 감지하여, 사용자의 보행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다리의 근육 즉, 앞정강근(T) 및 비복근(S)에 기계적 진동 자극 또는 전기적 자극을 주어 근 피로를 감소시키고 운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generated walking speed is fast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 unit 210 analyzes the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to generate a walking time, and the generated walking speed and walking time and a preset reference speed. and a reference time may be compared, and a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when the walking speed is fast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210 compares how long the walking speed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when the walking speed is maintain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massage mode to massage the user's le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 In this case, when the user's leg muscle fatigue increases due to long-term training, etc., the control unit 210 detects this, and the leg muscles directly involved in the user's gait, that is, the tibialis anterior (T) and gastrocnemius (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muscle fatigue and improving exercise capacity by giving mechanical vibration stimul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body.

또한, 제어부(210)는 압력감지부(100)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신발에 가하는 압력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파악된 압력 변화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보행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저장부(220)에는 보행속도에 따른 정상 보행 패턴, 비정상 보행 패턴, 응급 상황 보행 패턴 등과 같이, 각종 보행속도 및 보행 패턴에 따른 보행 상황 판단 기준이 기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압력감지부(100)를 밟을 때 감지되는 압력 분포값의 변화 패턴을 파악하여, 보행패턴을 생성하고, 기 생성한 보행속도 및 보행패턴과 저장부(220)에 저장된 기준치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보행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생성한 보행속도가 기준속도에 해당한다 하더라도, 보행패턴이 비정상 보행 패턴으로 파악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기 저장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자극부재(300)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may analyze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to determine the pressure change pattern applied by the user to the shoe, and generate the user's gai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pressure change pattern. have. At this time, in the storage unit 220, the gait situation determination criteria according to various gait speeds and gait patterns, such as a normal gait pattern, an abnormal gait pattern, an emergency gait pattern, etc. according to the gait speed, are previously register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10 recognizes a change pattern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value sensed when the user steps on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 generates a walking pattern, and stores the previously generated walking speed and walking pattern and the storage unit 220 .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 the user's current walking situation may be determined, and a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example, even if the generated walking speed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speed, when the walking pattern is recognized as an abnormal walking pattern, the controller 210 generates a pre-stored control signal to notify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 do.

또한, 제어부(210)는 압력감지부(100)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 보행패턴 및 보행시간을 생성하고, 생성한 보행속도, 보행패턴 및 보행시간과 기 지정된 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analyzes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to generate the user's walking speed, walking pattern, and walking time, and the generated walking speed, walking pattern and walking time, and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mparison may be performed and a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자극부재(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전기자극부(310) 및 진동자극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자극부(310) 및 진동자극부(3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신체 중 다리에 착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기자극부(310) 및 진동자극부(320) 모두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기자극부(310)는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저주파 자극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또는 FES(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자극부(320)는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진동 자극을 전달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휴대폰의 진동모듈과 같은 진동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극부재(30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리의 앞정강근(T) 및 비복근(S)에 착용될 수 있다. The stimulation member 300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10 to stimulate the user's body, and includes an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10 and a vibration stimulation unit 32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selected from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10 and the vibration stimulation unit 320 may be worn on the user's body, and in some cases,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10 and the vibration stimulation unit All of the parts 320 may be worn on the user's leg.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10 includes a low-frequency stimulato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 to deliver electrical stimul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The vibration stimulation unit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 to deliver vibration stimulation, for example, may be configured as a vibration means such as a vibration module of a mobile phone. The stimulation member 3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for example, may be worn on the anterior tibialis anterior (T) and gastrocnemius (S) of the leg.

또한, 제어부(210)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때, 왼쪽 운동화의 인솔에 장착된 압력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압력정보와 오른쪽 운동화의 인솔에 장착된 압력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제 2 압력정보를 구분하여, 제 1 압력정보와 제 2 압력정보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제 1 압력정보가 더 큰 경우, 보행 도중 왼쪽으로 하중이 더 쏠린 것으로 판단하고, 하중이 더 쏠린 왼쪽 다리에 장착된 자극부재(300)로 더 강한 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mounted on the insole of the left sneaker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mounted on the insole of the right sneaker. By classifying the received second pressure informa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when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is lar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 is more inclined to the left during walking, and the load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stronger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mounted on the left leg that is more tilte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walk in the right postur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인솔에 장착되는 복수의 압력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ing units mounted on the insole of the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the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력감지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왼쪽 신발의 인솔(I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장착되는 2개의 제 1 압력감지부(110) 및 사용자가 착용한 오른쪽 신발의 인솔(I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장착되는 2개의 제 2 압력감지부(120)를 포함한다. 자극부재(300)는 4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왼쪽 다리의 좌측과 우측 및 오른쪽 다리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자극부재(300)에는 각각의 주소가 부여되어, 제어부(210)는 각각의 자극부재(3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1 to 3 , the pressure sensing unit includes two first pressure sensing units 110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ole I1 of the left shoe worn by the user, respectively, and the insole of the right shoe worn by the user. It includes two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120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I2). The stimulation member 300 is composed of four, and may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left leg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right leg, respectively. Each of the stimulation members 300 is assigned a respective address, so that the control unit 21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stimulation members 300 .

제어부(210)는 제 1 압력감지부(110)가 전달하는 제 1 압력정보로부터 왼쪽 신발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쪽에 체중이 더 쏠리는지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 2 압력감지부(120)가 전달하는 제 2 압력정보로부터 오른쪽 신발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쪽에 체중이 더 쏠리는지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특정 방향으로 체중이 더 쏠리는 경우, 체중이 더 쏠리는 방향의 다리에 장착된 자극부재(300)로 더 강한 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보행 시 자주 나타나는 패턴이 inward(발의 방향이 몸 안쪽) 및 outward(발의 방향이 몸 바깥쪽) 보행이 있는데, 만일, inward 보행인 경우, 제 1 압력감지부(110)는 우측에 체중이 더 쏠릴 것이고, 제 2 압력감지부(120)는 좌측에 체중이 더 쏠릴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제어신호 생성시, 왼쪽 다리의 좌측에 장착되는 자극부재(300) 및 오른쪽 다리의 우측에 장착되는 자극부재(300)로 더 강한 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행 패턴을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10 detects which side of the left shoe or the right side of the weight is more concentrated from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1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detects which side of the weight is more concentrat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right shoe from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20 . Thereafter, when the weight is mo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controller 2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a stronger stimulus is appli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mounted on the le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is more concentrated. For example, there are inward (the direction of the foot is inside the body) and outward (the direction of the foot is outside the body) walking patterns that appear frequently during walking. This will be more inclined,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20 will be more inclined to the left. Accordingly, when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2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stronger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leg and the stimulation member 300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ight leg, It may induce the user to correct the gait patter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자극부재가 다리에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4의 (a)는 다리의 전방에 장착되는 자극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다리의 전방에 장착되는 자극부재를 도시한 것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in which the stimulation member of the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the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eg. The magnetic pole member is shown, and FIG. 4 (b) shows the magnetic pole membe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leg.

도 4를 참조하면, 자극부재(300)는 4개로 구성되어, 다리의 전방의 앞정강근 및 다리의 후방의 비복근에 집중적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앞정강근 및 비복근은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 많이 사용되는 근육으로, 사용자가 장시간 훈련을 하게 되면, 앞정강근 및 비복근에 근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앞정강근 및 비복근에 자극부재(300)를 밀착시켜서 자극부재(300)가 앞정강근 및 비복근에 기계적 진동 자극 또는 전기적 자극을 주어 근 피로를 감소시키고 운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충분한 운동 능력을 내기 어려운 고령자의 운동능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timulation member 300 is composed of four, and is intens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anterior tibialis anterior of the leg and the gastrocnemius of the rear of the leg. The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s are frequently used when a user walks or runs, and when the user trains for a long time, muscle fatigue in the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s increases.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mulation member 3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 so that the stimulation member 300 gives mechanical vibration stimul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uscle to reduce muscle fatigue and improve exercise ability. , it has the effect of restoring the exercise capacity of the elderly who are difficult to achieve sufficient exercise capacity.

한편, 보행은 발목의 움직임과 관련 있는 동작이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발바닥이 지면을 박차는 동작(plantar-flexion)이 필요한데, 이 동작은 비복근(S)이 수축하면서 가능해진다. 또한, 다음 보행을 위해 발바닥이 지면과 안전하게 접촉하기 위해서는 발목의 배측굴곡(dorsi-flexion)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동작은 앞정강근(T)과 관련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극부재(300)가 다리의 앞정강근(T) 및 비복근(S)에 착용되는 것이다. 이처럼 자극부재(300)를 이용하여 앞정강근(T) 및 비복근(S)의 근 수축을 유도하므로, 보행에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근력 수축 및 이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근육 훈련을 통한 만족도를 높이고 운동 또는 재활 훈련에 대한 의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gait is a motio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ankle. In order to move forward, plantar-flexion of the sole of the foot is required, which is made possible by contracting the gastrocnemius muscle (S). Also, dorsi-flexion of the ank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order for the sole to safely contact the ground for the next gait, and this motion is related to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T).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mulation member 300 is worn on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T) and gastrocnemius (S) of the leg. As such, by using the stimulation member 300 to induce muscle contraction of the tibialis anterior (T) and gastrocnemius (S), it can help in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which plays a practical role in walking, and increases satisfaction through muscle training.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motivation for exercise or rehabilitation training.

또한, 자극부재(300)를 이용하여 앞정강근(T) 및 비복근(S)을 마사지하므로, 걷기에 사용되는 근육의 근 피로를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장시간 운동을 하는 운동 선수의 운동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충분한 운동 능력을 내기 어려운 고령자의 운동능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T) and gastrocnemius muscle (S) are massaged using the stimulation member 300, muscle fatigue of the muscles used for walking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athletic ability of an athlete who exercises for a long tim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xercise, and it has the effect of restoring the exercise capacity of the elderly who are difficult to achieve sufficient exercise capacity.

그리고 자극부재(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기자극부(310) 및 진동자극부(320) 중 어느 한 종류가 사용되거나 또는 두 종류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기자극부(310)의 경우, 뇌를 거치지 않고도 외부에서 사용자의 근육에 인위적인 운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을 통한 재활 과정 도중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환자가 판단 실수로 인하여 적절한 운동 명령을 내리지 않아, 보행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제어부(210)가 전기자극부(310)를 통해 보행에 관여하는 근육에 인공적인 전기 신호를 보내서 환자가 안전하게 보행을 하도록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진동자극부(320)의 경우, 사람의 감각 기관, 운동 기관을 더 활성화시켜서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신호를 전달하고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에 따라, 일정 속도를 정해 놓고 그 속도보다 느리게 보행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진동자극부(320)에 자극을 주어, 보행을 통한 근육 훈련에 신속하게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stimulation member 300 , either on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10 and the vibration stimulation unit 320 may be used or a combination of both type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e case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10, it is possible to issue an artificial exercise command to the user's muscles from the outside without going through the brain. For example,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rough walking, when a patient with reduced cognitive function does not give an appropriate exercise command due to a judgment mistake, and the walking speed becomes slow, the control unit 210 is involved in walking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10 . By sending artificial electrical signals to the muscl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ol the patient to walk safely. In the case of the vibration stimulation unit 320, the sensory organs and motor organs of the person are further activated to transmit signal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nd to make a state in which commands can be executed. Accordingly, when a predetermined speed is set and the user walks slower than the speed, the control unit 210 provides stimulation to the vibration stimulation unit 320 to provide a quick feedback to muscle training through walkin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착용밴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band of a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착용밴드(400)는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착용밴드(40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허벅지 부근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다리와 마주보는 착용밴드(400)의 안쪽에 부착된 자극부재(300)는 사용자가 걷거나 뛰더라도 착용밴드(400)에 지지된 상태로 안정감 있게 사용자의 다리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wearable band 4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wearable band on the user's leg. The wearing band 4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vicinity of the user's thigh. In addition, the stimulation member 300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earing band 400 facing the user's leg is supported by the wearing band 400 even when the user walks or runs, and the user's leg can be stimulated in a stable manner. there is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복수의 자극모드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stimulation modes stored in a storage unit of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를 참조하면, 자극의 주기가 짧은 자극모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10초 주기로 신체에 자극이 가해짐을 알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자극의 주기가 긴 자극모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150초 주기로 신체에 자극이 가해짐을 알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자극의 강도 및 패턴이 가변하는 마사지모드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주기 및 강도로 신체에 자극이 가해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 a stimulation mode with a short stimulation period is shown, and it can be seen that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body at a period of 10 seconds. Referring to FIG. 6B , a stimulation mode with a long stimulation period is shown, and it can be seen that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body at a period of 150 seconds. Referring to FIG. 6C , a massage mode in which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stimulation is variable is shown, and it can be seen that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body at various periods and intensities.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rcise assistance method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걷거나 뛰게 되면, 압력감지부(100)는 사용자가 신발에 가하는 하중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는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제어부(210)는 압력감지부(100)로부터 압력정보를 전달받아(S100), 사용자의 보행속도 및 보행패턴을 생성한다(S110). 그 후, 제어부(210)는 생성한 보행속도 및 보행패턴과 저장부(220)에 저장된 기준치를 비교한다(S120). 그 후, 제어부(21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보행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린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보행속도를 더욱 빠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복수의 자극모드 중 자극의 주기가 짧은 자극모드를 선택하고(S130), 선택한 자극모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자극부재(300)로 전달한다(S140).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user walks or runs,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continuously senses the load applied to the shoes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210 . The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100 (S100), and generates the user's walking speed and walking pattern (S110). Then, the control unit 210 compares the generated walking speed and walking pattern with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S120). Then, the control unit 2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when the walking speed is slow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 unit 210 selects a stimulation mode with a short stimulation perio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timulation mod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o induce the user to further increase the walking speed. and (S130),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imulation mod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member 300 (S140).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도중 지속적으로 보행속도 및 보행패턴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자극을 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운동 또는 재활 도중 신속하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운동 능력 또는 재활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detects the walking speed and gait pattern while the user is walking or running, and can immediately apply stimul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rough which the user can quickly receive feedback during exercise or rehabilitation,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exercise ability or rehabilit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압력감지부 200: 단말기
210: 제어부 220: 저장부
300: 자극부재 310: 전기자극부
320: 진동자극부 400: 착용밴드
100: pressure sensing unit 200: terminal
210: control unit 220: storage unit
300: magnetic pole member 310: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20: vibration stimulation unit 400: wear band

Claims (12)

신발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상기 압력감지부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를 생성하고, 생성한 보행속도와 기 지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신체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주는 자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부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보행속도와 보행시간을 생성하고, 생성한 보행속도 및 보행시간과 기 지정된 기준속도 및 기준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보행속도 및 보행시간이 기 저장된 기준속도 및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자극부재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A pressure sensing unit mounted on the shoe to sense the load applied by the user;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walking speed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comparing the generated walking speed with a preset reference speed,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a stimulation member positioned on the user's body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stimulate the user's body;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walking speed and a walking time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compares the generated walking speed and walking tim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and a reference time, and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create,
Wherein the controll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timulation member when the walking speed and the walking time exceed the pre-stored reference speed and referenc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자극부재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stimulation member ar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착용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재는 상기 착용밴드의 안쪽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다리에 자극을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earable band formed in the form of a wearable band on the user's leg,
The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mulation member is configured to give stimulation to the user's leg while being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wearable b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imulation member is a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 to deliver electrical stim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진동 자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imulation member is a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 to deliver vibration stimulation.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다리의 앞정강근 또는 비복근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stimulation member is a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bialis anterior or gastrocnemius muscle of the user's le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서로 상이한 복수의 자극모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한 선택모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자극부재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선택모드에 해당하는 자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y one selection mod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stimulation mod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stimulation member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provides a stimul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to the user's body. An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모드는 자극의 강도, 자극의 주기 및 자극의 변화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imulation mode is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period, and stimulation change patter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왼쪽 신발 및 오른쪽 신발에 장착되고,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왼쪽 다리 및 오른쪽 다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왼쪽 신발에 장착된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압력정보와 오른쪽 신발에 장착된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제 2 압력정보를 구분하여, 제 1 압력정보와 제 2 압력정보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하중이 더 쏠린 방향의 다리에 장착된 상기 자극부재로 더 강한 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mounted on the left shoe and the right shoe worn by the user,
The stimulation member is mounted on the user's left leg and right leg,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mounted on the left shoe and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mounted on the right shoe,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exercise assisting system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a stronger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timulation member mounted on the le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is more concent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왼쪽 신발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 1 압력감지부 및 사용자가 착용한 오른쪽 신발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 2 압력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재는 사용자의 왼쪽 다리의 좌측과 우측 및 사용자의 오른쪽 다리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압력감지부가 전달하는 제 1 압력정보로부터 왼쪽 신발의 어느 쪽에 체중이 더 쏠리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압력감지부가 전달하는 제 2 압력정보로부터 오른쪽 신발의 어느 쪽에 체중이 더 쏠리는지를 감지하여, 특정 방향으로 체중이 더 쏠리는 경우, 체중이 더 쏠리는 방향의 다리에 장착된 자극부재로 더 강한 자극이 가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sens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essure sensing unit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shoe worn by the user and a plurality of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ght shoe worn by the user,
The stimulation member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left leg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right leg,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detects on which side of the left shoe the weight is more concentrated from the first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from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which side of the right shoe has more weight Exercise assistance using a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by sensing whether the body is leaning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a stronger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stimulation member mounted on the le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weight is more concentrated when the body weight is mo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부가 감지하는 압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파악된 압력 변화 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보행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보행속도가 기 지정된 기준속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보행 패턴과 기 지정된 기준보행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보행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recognizes a pressure change pattern applied by the user, and generates a gait patter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pressure change pattern,
Wearab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alking speed deviates from the preset reference speed, the gait pattern and the preset reference gait pattern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user's current gait situation is determined,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 exercise assistance system using a stimulus member.
KR1020200006630A 2020-01-17 2020-01-17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KR102306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30A KR102306130B1 (en) 2020-01-17 2020-01-17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30A KR102306130B1 (en) 2020-01-17 2020-01-17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410A KR20210093410A (en) 2021-07-28
KR102306130B1 true KR102306130B1 (en) 2021-09-30

Family

ID=7712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630A KR102306130B1 (en) 2020-01-17 2020-01-17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584B1 (en) * 2023-02-27 2023-10-11 (주)지오에스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edestrian as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59B1 (en) * 2012-07-23 2014-04-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Wearable vibratory stimulation device and operational protocol thereof
KR101556117B1 (en) * 2013-12-27 2015-09-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joint angles value of knee joint rehabilitation robot
KR101822394B1 (en) * 2016-06-08 2018-01-26 대한민국 User's Walking Intension Analysis and Training System in the Synchronization State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and Gait
KR20180041303A (en) 2016-10-13 2018-04-24 주식회사 웨어러블헬스케어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exercise program using user exercise capability
KR102027398B1 (en) * 2017-09-19 2019-10-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Muscle stimulating wearable apparatus for directional stimul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22413B1 (en) * 2018-03-20 2020-06-12 김창걸 Device and Method for Wearabl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195357B1 (en) * 2019-05-29 2020-12-24 (주)세이포드 Walking safety device for vestibular function rehabil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410A (en)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162B1 (en) Monitoring system of walking balan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CN108135537A (en) For treating th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osteoarthritis
US20140094345A1 (en) Active robotic gait-training system and method
US200702034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it Synchronized Vibratory Stimulation Of The Feet
US201801261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nctional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Posture, Gait and Movement
CA2775849C (en) Apparatus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body
CN111167011A (en) Sensor in footwear or limb garment
KR101882083B1 (en) Gait training system utilizing tva sense
JP6979134B2 (en) Nocturia reduction system
TWI661820B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KR102306130B1 (en)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Winfree et al. An untethered shoe with vibratory feedback for improving gait of Parkinson's patients: the PDShoe
TW201907818A (en) Intelligent apparatus for improving the mobility and postural control for subjects with parkinson's disease
KR20180079786A (en) Device for gait rehabilitation
KR20080099752A (en) Fall prevention assist device
Sacco et al. Effects of white noise achilles tendon vibration on quiet standing and active postural positioning
KR102195357B1 (en) Walking safety device for vestibular function rehabilitation
KR102065278B1 (en) Sensory stimulatiing apparatus for low extremity disorder
KR1017748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JP2018038678A (en) Massage machine
KR101968407B1 (en) Ankle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low frequency stimulation foot orthosis device
US20180336798A1 (en) Passive foot sensor real-time feedback method
US20180028116A1 (en) Proprioceptive enhanc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2282205B1 (en)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KR101686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