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848B1 - Wireless controller comprising indicator - Google Patents

Wireless controller comprising 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848B1
KR102305848B1 KR1020150135151A KR20150135151A KR102305848B1 KR 102305848 B1 KR102305848 B1 KR 102305848B1 KR 1020150135151 A KR1020150135151 A KR 1020150135151A KR 20150135151 A KR20150135151 A KR 20150135151A KR 102305848 B1 KR102305848 B1 KR 10230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dicator
control device
wireless control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7025A (en
Inventor
최상화
김보경
서지호
이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56,551 priority Critical patent/US9564130B2/en
Publication of KR2016006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025A/en
Priority to US15/390,092 priority patent/US100743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명령에 순응하거나 불응하는 음성이나 모션 또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무선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는 화분 형태로 마련되고,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이 지칭하는 제어대상을 상기 음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줄기, 잎, 꽃 및 나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provides a wireless control device that displays a voice, motion, or image that conforms to or does not comply with a user's command, and controls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lowerpot, and is generated by a voice recognition unit,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indicated by a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voice, and the control unit a main body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l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and an indica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stem, leaf, flower, and tree and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Figure R1020150135151
Figure R1020150135151

Description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WIRELESS CONTROLLER COMPRISING INDICATOR}Wireless control device including an indicator {WIRELESS CONTROLLER COMPRISING INDICATOR}

본 발명은 외부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무선제어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최근에는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사물 인터넷 기술이 개발되기 전에 출시되거나 판매된 기존의 가전제품들에 사물 인터넷 기술이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존의 가전제품들에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technologies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IoT technology to existing home appliances that were released or sold before the IoT technology was developed.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o these existing home appliances.

개시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명령에 순응하거나 불응하는 음성이나 모션 또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무선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provides a wireless control device that displays a voice, motion, or image that conforms to or does not comply with a user's command, and controls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는 화분 형태로 마련되고,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이 지칭하는 제어대상을 상기 음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줄기, 잎, 꽃 및 나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lowerpot, and is generated by a voice recognition unit,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indicated by a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voice, and the control unit a main body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l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target; and an indica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stem, leaf, flower, and tree and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음성에 따른 제어의 수행 여부 또는 수행 결과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whether or not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oice or the result of the control as a sound.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may output a voice that conforms to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may output a voic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제1인디케이터 및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고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제2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cator includes a first indicator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indicator including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제1인디케이터 및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고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cator includes a first indicator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indicator including a support provid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is detachable.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cator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미리 정해진 조작방식에 따른 조작을 통해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Also, the indicator may be provid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through manipul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nipulation metho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lso, when a command through the indicator is input,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성에 따른 제어의 수행 여부 또는 수행 결과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whether or not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oice or a result of the control as an image or tex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an image or text that conforms to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an image or text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모션을 보여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cator may show a motion that conforms to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모션을 보여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icator may show a motion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대상과 WIFI, Bluetooth, Zigbee, RF 및 IR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target using any one of WIFI, Bluetooth, Zigbee, RF and IR communication methods.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무선제어장치 주변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또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가스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dust sensor, a gas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또한, 상기 본체는,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본체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본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에 따른 제어의 수행 여부 또는 수행 결과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main body display unit may display whether or not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oice or a result of the control as an image.

또한, 상기 본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main body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mage compliant with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본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main body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mag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본체는 외부기기와 연결하도록 마련된 확장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terminal provided to connect to an external device.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명령의 수행여부를 인디케이터의 모션이나 스피커의 음성출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표시 등을 통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whether or not a user command is being performed through the motion of the indicator, the voice output of the speaker, or the display of an image or text on the display.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의 식물형태의 외관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친숙하게 무선제어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more familiarly use the wireless control device by the plant shape appearance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형태의 무선제어장치에 의한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형태의 무선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의 제1인디케이터의 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의 제2인디케이터의 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외부기기의 제어와 관련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의 작동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제 1 꽃만 피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제 1 꽃 및 제 2 꽃이 모두 피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제 1 꽃만 피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제 1 꽃 및 제 2 꽃이 모두 피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물 저장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물 저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물 저장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물 저장유닛에 있어서, 일부 인디케이터의 꽃이 핀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물 저장유닛에 있어서, 모든 인디케이터의 꽃이 핀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4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사시도이다.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by a plant-typ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ontrol device in the form of a plant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ntroll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4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otion of the first indicator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8 to 10 are diagrams showing the motion of the second indicator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11 to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operation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lated to the control of an external device.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flower is in bloom in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flower and the second flower are in bloom in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ic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flower is in bloom in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flower and the second flower are in bloom in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and 2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torage unit to which an indic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storage unit to which an indic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torage unit to which an indic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indic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ered state of some indicators in the water storage unit to which the indicato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ered state of all indicators in the water storage unit to which the indicato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clos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형태의 무선제어장치에 의한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물형태의 무선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by a plant-typ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disclosed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type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FIG. 3 is the disclosed method It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예를 들면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명령이 지칭하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음성명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대상을 TV로 결정하고, TV를 켜기 위한 제어신호를 TV로 전송한다.As shown in FIG. 1 ,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ognizes a command from a user, for example, a voice command, and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540 that the recognized voice command refers to. ) can be controlled by voice commands. For example, when the user says <Turn on TV>,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ognizes the user's voice, determines the control target to be the TV,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TV to the TV. .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제어장치(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외부기기는 공기조화기(520), 텔레비전(530), 공기청정기(540), 가습기(510)와 같은 생활가전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제어장치(500)와 유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라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에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wireless controller 500 includes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an air conditioner 520 , a television 530 , an air purifier 540 , and a humidifier 510 . may include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wireless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may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ntroller 500 . If the device has a func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510, 520, 530, 540)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식물형태, 예를 들면, 화분과 화분에서 자라는 잎사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형태는 일 예일 뿐, 개시된 실시예는 꽃, 잎, 줄기, 나무 등의 식물형태를 가지거나, 이러한 형태가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행운목처럼 본체(300)가 나무형태로 마련되고 인디케이터(400)가 나무에 형성된 잎 형태로 마련될 수 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친근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연친화적인 식물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식물형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이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직관적인 반응을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명령의 수행여부나 주변 환경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As shown in FIG. 1 , the wireless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have a plant form, for example, a flowerpot and a leaf form growing in a flowerpot. The form shown in FIG. 1 is only an example, and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have a plant form such as a flower, a leaf, a stem, a tree, or a combination of these forms. For example, like a lucky tree, the main body 3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ee and the indicator 4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eaf formed in the tree.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ature-friendly plant so that the user can feel familiarity. In addition,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uses a plant form to display an intuitive rea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command or a chan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whether the command is being performed or a chan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be recognized a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2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화분 형태의 본체(300)와, 본체(300)에 마련되고 잎사귀 형태 등을 가진 인디케이터(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body 300 in the form of a flowerpot, and an indicator 400 provided on the body 300 and having a shape of leaves, etc. .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3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음성인식부(320),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330),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음성이나 센서(330)에서 감지한 정보에 따라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고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40),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음성이나 센서(330)에서 감지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350),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음성이나 센서(330)에서 감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 외부기기(510, 520, 530, 54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300)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 또는 외부 저장매체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확장단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300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unit 320 provided to recognize a user's voice, a sensor 330 capable of detecting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 voice Control unit 340 for controlling the indicator 400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320 o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330 and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 a speaker 350 that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330,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r the sensor 330 It may include a main body display unit 310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360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In addition, the main body 30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terminal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or an external storage medium.

인디케이터(400)는 잎사귀 형태 또는 막대형태로 마련되어,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음성이나 센서(330)에서 감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제1인디케이터(410), 줄기 형태로 마련되고 끝부분에 핸드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인디케이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인디케이터(44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와 함께 제2인디케이터(44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제2인디케이터(440)는 전술한 거치대 없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거치대를 포함하는 경우를 제2인디케이터(440)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The indicator 4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eaf or a rod, and a first indicator 410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3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em It may include a second indicator 440 having a support at the end of which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be mounted. Alternatively,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indicator 440 together with a cradl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can be mounted. Alternatively,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include only the display unit provided integrally without the aforementioned cradle. Hereinafter, a case including a crad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econd indicator 440 .

음성인식부(32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40)에 제공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부(320)는 마이크로폰(미도시)이 출력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부(320)는 본체(300)에 내장되어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로폰은 본체(300)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may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that converts the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340 . 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not shown) for amplifying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not shown).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may be provided to be built-in to the main body 300 , and a microphone for acquiring the user's voice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

센서(330)는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센서,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공기의 질을 감지할 수 있는 먼지센서 또는 가스센서,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센서의 종류는 일 예일 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무선제어장치(500)가 마련된 공간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다양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nsor 33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controller 500 .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 humidi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humidity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nd a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apable of detecting the quality of the surrounding air It may include a dust sensor or a gas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brightness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nd the like. The above-described type of sensor is only an example, a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types of various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various information of a space in which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provided. .

센서(330)에서 감지한 정보들은 제어부(340)로 제공되어,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센서나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들은 공기조화기(520)나 제습기의 제어에 필요한 신호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고, 가스센서나 먼지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들은 공기청정기(540)의 제어에 필요한 신호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330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340 and used to generate signals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 For example,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r the humidity sensor may be used to generate a signal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520 or the dehumidifier,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gas sensor or the dust sensor is the air purifier 540 . It can be used to generate a signal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스피커(350)는 제어부(34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제어부(340)가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eaker 350 may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40 into a voice signal, and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not shown) for amplifying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340 .

통신부(360)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알에프(Radio Frequency, RF)통신, 적외선(infrared, IR)통신 등의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기기(510, 520, 530, 540)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제어부(34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어대상에 해당하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로 전송한다.Communication unit 360 is Wi-Fi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Bluetooth), Zigbee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RF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infrared, IR)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6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40 to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제1인디케이터(410)는 다양한 모션을 보여줄 수 있다. 제1인디케이터(410)가 보여주는 다양한 모션에 대해서는 잎 형태로 마련된 인디케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제1인디케이터(410)의 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The first indicator 410 may show various motions. The various motions shown by the first indicator 410 will be described using an indicator provided in the form of a leaf as an example. 4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otion of the first indicator 41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잎 형태로 마련된 제1인디케이터(410)의 줄기 부분은 좌우방향처럼 서로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모션, 서로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졌다가 다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모션, 서로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졌다가 다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짐을 한번 이상 반복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좌우방향은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러한 모션을 제1모션(M1)이라고 한다. 제1모션(M1) 중 제1인디케이터(410)가 기울어지는 각도와 모션 속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제어부(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300)의 내부에는 제1인디케이터(410)의 전술한 제1모션(M1)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tem portion of the first indicator 410 provided in the form of a leaf is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one of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such as left and right, or in any one of the opposite directions in advance. A motion that is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other direction, or a motion that is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on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n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ther direction is repeated more than once. It can be arranged so that The aforementioned left-right direction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his mot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motion M1. The angle and motion speed at which the first indicator 410 is inclined among the first motions M1 may be predetermined and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40 . A motor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 M1 of the first indicator 4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00 .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인디케이터(410)의 줄기 부분은 줄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션, 반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션, 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했다가 반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션, 또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반복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모션을 제2모션(M2)이라고 한다. 제2모션(M2) 중 제1인디케이터(410)가 회전하는 각도와 회전 속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제어부(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300)의 내부에는 제1인디케이터(410)의 전술한 제2모션(M2)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the stem portion of the first indicator 410 has a motion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the stem as a rotation axis, a motion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clockwise rotation in advance. 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motion that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or a motion that repeats rotation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Hereinafter, this mo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motion M2. The angle and rotation speed at which the first indicator 410 rotates among the second motion M2 may be predetermined and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40 . A motor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second motion M2 of the first indicator 4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300 .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인디케이터(410)의 줄기 부분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승강하는 모션,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하는 모션,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승강했다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하는 모션 또는 승강 및 하강을 반복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모션을 제3모션(M3)이라고 한다. 제3모션(M3) 중 제1인디케이터(410)의 승하강 거리와 속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제어부(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300)의 내부에는 제1인디케이터(410)의 전술한 제3모션(M3)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6 , the stem portion of the first indicator 410 moves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scend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cends and descend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descend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motion that repeats the descending. Hereinafter, this motion is referred to as a third motion M3. The elevating distance and speed of the first indicator 410 of the third motion M3 may be predetermined and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40 . A motor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third motion M3 of the first indicator 4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00 .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인디케이터(410)의 잎사귀 부분은 상하방향처럼 서로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모션 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졌다가 다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짐을 한번 이상 반복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상하방향은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잎사귀가 둘 이상인 경우, 어느 하나의 잎사귀만 전술한 모션을 보여줄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잎사귀가 동일한 방향으로 전술한 모션을 보여줄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잎사귀 중 적어도 하나의 잎사귀가 다른 방향으로 전술한 모션을 보여줄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모션을 제4모션(M4)이라고 한다. 제4모션(M4) 중 제1인디케이터(410)가 기울어지는 각도와 속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제어부(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300)의 내부에는 제1인디케이터(410)의 전술한 제3모션(M3)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7 , the leaf portion of the first indicator 410 is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one of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such as up and down, or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one of the opposite directions. It may be provided so as to perform a motion of repeating the inclina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other direction at least once. The above-described vertical direction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re are two or more leaves, only one of the leaves may show the above-mentioned motion, two or more leaves may show the above-mentioned motion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leaves may show the above-mentioned mo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It can also show motion. Hereinafter, this motion is referred to as a fourth motion M4. The angle and speed at which the first indicator 410 is inclined among the fourth motion M4 may be predetermined and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40 . A motor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third motion M3 of the first indicator 4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00 .

제1인디케이터(410)의 전술한 모션들은 둘 이상이 조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한번에 하나의 모션만 보여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모션(M1) 내지 제4모션(M4)은 일 예일 뿐, 제1인디케이터(410)는 다른 형태의 모션을 보여줄 수도 있다. 제1인디케이터(41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응하여 전술한 모션들을 보여줌으로써,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otions of the first indicator 410 may be perform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r only one motion may be viewed at a time. Also, the first to fourth motions M1 to M4 described above are only examples, and the first indicator 410 may show other types of motion.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the above-described motions in response to the user's voice comman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is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제2인디케이터(440) 또한 다양한 모션을 보여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제2인디케이터(440)의 모션을 나타낸 도면이다.The second indicator 440 may also show various motions. 8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otion of the second indicator 4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제2인디케이터(440)의 줄기 부분은 줄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션, 반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션, 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했다가 반시계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션, 또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반복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인디케이터(440)도 제1인디케이터(410)처럼 제2모션(M2)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모션(M2) 중 제2인디케이터(440)가 회전하는 각도와 회전 속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제어부(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300)의 내부에는 제2인디케이터(440)의 전술한 제2모션(M2)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tem portion of the second indicator 44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the stem as a rotation axis, a motion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motion that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r a motion that repeats rotation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That is,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be provided to perform the second motion M2 like the first indicator 410 . The angle and rotation speed at which the second indicator 440 rotates among the second motion M2 may be predetermined and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40 . A motor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second motion M2 of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300 .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2인디케이터(440)의 줄기 부분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승강하는 모션,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하는 모션,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승강했다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하는 모션 또는 승강 및 하강을 반복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인디케이터(440)도 제1인디케이터(410)처럼 제3모션(M3)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모션(M3) 중 제2인디케이터(440)의 승하강 거리와 속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제어부(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300)의 내부에는 제2인디케이터(440)의 전술한 제3모션(M3)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 the stem portion of the second indicator 440 has a mo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motion of descend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mo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descend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motion that repeats the descending. That is,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be provided to perform the third motion M3 like the first indicator 410 . The elevating distance and speed of the second indicator 440 among the third motion M3 may be predetermined and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40 . A motor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third motion M3 of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00 .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2인디케이터(440)의 줄기 부분에 마련된 지지부는 줄기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부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가 상하방향처럼 서로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모션 또는 서로 반대되는 상하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졌다가 다른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짐을 한번 이상 반복하는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모션을 제5모션(M5)이라고 한다. 제5모션(M5) 중 제2인디케이터(440)의 지지부가 기울어지는 각도와 속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제어부(3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체(300)의 내부에는 제2인디케이터(440)의 지지부의 전술한 제5모션(M5)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0 , the support provided on the stem of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stem. That is, as shown in FIG. 10 , the support part is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one of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one of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such as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support part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y one of the opposite vertical directions. 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motion of repeating the inclina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ne or more times. Hereinafter, this motion is referred to as a fifth motion M5. The angle and speed at which the support part of the second indicator 440 inclines among the fifth motion M5 may be predetermined and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340 . A motor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above-described fifth motion M5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300 .

인디케이터(400)는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반응을 모션으로 보여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진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의 잎 부분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조작, 즉 전술한 제4모션(M4)에 대응되는 조작을 통해 에어컨의 온도나 텔레비전(530)의 채널을 조절하는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400)를 통해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조작방법이 미리 설정되어 무선제어장치(500)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음성명령뿐만 아니라 인디케이터(400)의 조작을 통해서도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명령과 인디케이터(400)의 조작을 조합하여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텔레비전(530) 채널이라고 말하고, 제1인디케이터(410)의 잎 부분을 제4모션(M4)에 대응되는 조작방법을 통해 조작하여 텔레비전(530)의 채널을 조절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400)의 조작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icator 400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input a desired command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as well as a function of showing a response to the user's voice command as a motion.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or the channel of the television 530 is adju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raising or lowering the leaf portion of the first indicator 410 , that is,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motion M4 described above. You can enter commands such as Various operation methods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through the indicator 400 may be preset and stored in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nd the user may use the indicator 400 as well as a voice command. You can also input the desired command through the operation of .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a desired command by combining the voice command and the manipulation of the indicator 400 . For example, the user says the channel of the television 530 and receives a command to control the channel of the television 530 by manipulating the leaf portion of the first indicator 410 through a manipul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fourth motion M4. You can also enter Manipulation of the indicator 4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manipulated in various ways.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음성명령 또는 인디케이터(400)의 조작을 통한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명령이 지칭하는 제어대상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대상을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40)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제어 대상인 외부기기(510, 520, 530, 540)로 전송하여 외부기기(510, 520, 530, 540)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수신한 외부기기(510, 520, 530, 540)가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면,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했다는 음성을 스피커(35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명령의 수행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모션으로 인디케이터(400)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명령의 수행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무선제어장치(500)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나 제2인디케이터(440)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이미지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명령의 수행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스피커(350)를 통한 음성 출력과, 인디케이터(400)의 모션 또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이미지 표시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명령의 수행을 알릴 수도 있다.When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eives a voice command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r a comman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indicator 400, the control indicated by the received command A target is determined,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termined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34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 and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540 control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make it possible And, when the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that have received the control signal oper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ends a voice indicating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speaker ( 350),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may notify the user of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by operating the indicator 400 with a motion se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Alternatively, by displaying an image se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or the support unit of the second indicator 440 .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at least one of a voi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350, a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an imag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or the support unit. may be combined to notify the user of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을 통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7은 외부기기(510, 520, 530, 540)의 제어와 관련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작동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1 to 17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operation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해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음성인식부(320)는 사용자의 <TV켜>라는 음성을 인식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무선제어장치(500)의 스피커(350)를 통해 <네, 알겠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1 , when the user says <Turn on TV> to turn on the television 530,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eives the user's voice saying <Turn on TV>. Recognize.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 A voice saying <Yes, I understa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350 .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이나 제4모션(M4)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10에 도시된 제5모션(M5)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인디케이터(400)가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음성만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350)와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도 보여주고 음성도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350)와 인디케이터(400) 둘 다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and responds to the user's voice command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to let the user know that it is responding.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 M1 or fourth motion M4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has recognized the user's voice command. do. The first indicator 410 as well as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show the fifth motion M5 shown in FIG. 10 .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only one of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or control all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an control only one of the speaker 350 and the indicator 400 so as to show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output only the voice, and the indicator 40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both the speaker 350 and the indicator 400 to show the motion and output the voice.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명령에 따라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한 턴 온(turn on)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턴 온 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텔레비전(530)으로 전송한다. 또는, 전술한 무선제어장치(500)가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무선제어장치(500)는 마스터 장치의 역할을 하고, 나머지 무선제어장치(500)는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마스터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500)가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한 턴 온신호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500)로 전송하고,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500)가 주변의 텔레비전(530)으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무선제어장치(500)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제어장치(50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500)는 IR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마스터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외부기기(510, 520, 530, 54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제어장치(500)들은 마스터 장치의 역할과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슬레이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500)는 마스터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일부 구성으로써 마스터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착탈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무선제어장치(500)의 모든 구성을 다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통신부(360)와 제어부(340)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generates a turn-on signal for turning on the television 530 according to a voice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urn-on signal to the television 5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 send to Alternatively, when a plurality of the aforementioned wireless controllers 500 are provided, one wireless controller 500 may serve as a master device, and the other wireless controller 500 may serve as a slave device. . That i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erving as a master device generates a turn-on signal for turning on the television 530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ntroller 500 serving as a slave device, and serves as a slave device.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that performs , may transmit a turn-on signal to the nearby television 530 . That i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an communicate with other wireless control devices 500 as well as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 a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erves as a slave device. may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erving as a master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540 using the IR communication method. The plurality of wireless control devices 500 may perform both the role of the master device and the role of the slave device. Alternatively, the wireless controller 500 performing the role of the slave device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ster device as a part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performing the role of the master device. Even if it is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ll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t least the communication unit 360 and the control unit 340 .

한편, 텔레비전(530)은 무선제어장치(500)로부터 전송된 턴 온 신호에 따라 턴 온되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텔레비전(530)이 턴 온되면, 스피커(350)를 통해 <TV를 켰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사용자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스피커(350)를 통한 음성출력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levision 53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turn-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ntroller 500 , 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turns on the television 530 when the speaker 350 is turned on. Outputs a voice saying <TV is on> through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through a voi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35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 내지 제4모션(M4)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이 조합된 모션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행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2모션(M2), 제3모션(M3) 및 제5모션(M5)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이 조합된 모션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인디케이터(400)가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음성만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350)와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도 보여주고 음성도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350)와 인디케이터(400) 둘 다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so that the user knows that the user's voice command has been performed. make it possible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s M1 to M4, or a motion in which at least one motion is combined, so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I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at the user has performed the user's voice command. The first indicator 410 as well as the second indicator 440 are any one of the second motion M2, the third motion M3, and the fifth motion M5 shown in FIGS. 8 to 10, or At least one motion may show a combined motion.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only one of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or control all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an control only one of the speaker 350 and the indicator 400 so as to show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output only the voice, and the indicator 40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both the speaker 350 and the indicator 400 to show the motion and output the voice.

도 11의 경우,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고 있지만, 전술한 것처럼, 인디케이터(400)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조작하여 동일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음성명령과 인디케이터(400)의 조작을 조합하여 동일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스피커(350)를 통해 출력되는 <네 알겠습니다>나, <TV를 켰습니다>와 같은 표현은 출력되는 표현의 일 예일 뿐, 유사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표현이 무선제어장치(5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미리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표현들이 랜덤하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스피커(350)는 전술한 음성뿐만 아니라 미리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신호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FIG. 11 , the user is inputting a command through voice, but as described above, the same command may be input by manipulating the indicator 400 in a predetermined manner, or a combination of the voice command and the manipulation of the indicator 400 . You can also enter the same command. Expressions such as <Yes, I understand> or <I turned on the TV> output through the speaker 350 are just examples of output expressions, and various types of expressions that can convey similar meanings are provided to the wireless controller 500 . It may be stored in advance, and various types of pre-stored expressions representing similar meanings may be randomly output. In addition, the speaker 35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may output not only the aforementioned voice but also various types of pre-stored signal sounds.

전술한 것처럼 도 11에는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반응이나 명령의 수행결과를 인디케이터(400)와 스피커(350)를 통해 출력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반응이나 명령의 수행결과를 디스플레이부와 인디케이터(400)를 통해 표시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ireless controller 500 outputs a response to a user's command or a result of command execution through the indicator 400 and the speaker 350 . 12 and 13 show examples in which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displays a response to a user's command or a result of command execu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indicator 400 .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해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음성인식부(320)는 사용자의 <TV켜>라는 음성을 인식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무선제어장치(500)의 제2인디케이터(440)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네, 알겠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가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텍스트나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텍스트나 이미지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음성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2 , when the user says <Turn on TV> to turn on the television 530,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ognizes the user's voice saying <Turn on TV>. Recognize.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 Through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of the second indicator 440, the text <Yes, I understand> or the text and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ext or images to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or recognizes the user's voice from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for example, a smart phone. Thus, the corresponding text or image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an application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command and displaying a text or image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mount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not only text or images but also voices as shown in FIG. 11 .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이나 제4모션(M4)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10에 도시된 제5모션(M5)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인디케이터(400)가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텍스트나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도 보여주고 텍스트나 이미지도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디케이터(400) 둘 다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and responds to the user's voice command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to let the user know that it is responding.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 M1 or fourth motion M4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has recognized the user's voice command. do. The first indicator 410 as well as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show the fifth motion M5 shown in FIG. 10 .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only one of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or control all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Also,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400 so as to show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display only text or images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Bo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400 may be controlled to show the motion of 400 and display text or images.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명령에 따라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한 턴 온(turn on)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턴 온 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텔레비전(530)으로 전송한다. 텔레비전(530)은 무선제어장치(500)로부터 전송된 턴 온 신호에 따라 턴 온되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텔레비전(530)이 턴 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TV를 켰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가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텍스트나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텔레비전(530)의 턴 온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외부기기(510, 520, 530, 540)의 작동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텍스트나 이미지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음성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generates a turn-on signal for turning on the television 530 according to a voice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urn-on signal to the television 5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 send to The television 53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turn-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and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receives <TV> through the display device when the TV 530 is turned on. is turned on> or both text and images are displayed.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ext or images to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or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for example, a smart phone, controls the television 530 .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ext or images corresponding to turn-on. In this case,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may b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comman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and displays a text or image corresponding thereto. have.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not only text or images but also voices as shown in FIG. 11 .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by checking the text 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 내지 제4모션(M4)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이 조합된 모션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행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2모션(M2), 제3모션(M3) 및 제5모션(M5)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이 조합된 모션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인디케이터(400)가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텍스트나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도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도 보여주고 텍스트나 이미지도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디케이터(400)를 둘 다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so that the user knows that the user's voice command has been performed. make it possible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s M1 to M4, or a motion in which at least one motion is combined, so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I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at the user has performed the user's voice command. The first indicator 410 as well as the second indicator 440 are any one of the second motion M2, the third motion M3, and the fifth motion M5 shown in FIGS. 8 to 10, or At least one motion may show a combined motion.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only one of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or control all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400 so as to show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display only text or images on the display device, the indicator Bo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400 may be controlled to show the motion of the 400 and display text or images.

도 12의 경우,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고 있지만, 전술한 것처럼, 인디케이터(400)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조작하여 동일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음성명령과 인디케이터(400)의 조작을 조합하여 동일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네 알겠습니다>나, <TV를 켰습니다>와 같은 텍스트는 표시되는 표현의 일 예일 뿐, 유사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표현이 무선제어장치(500)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미리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표현들이 랜덤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와 함께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도 미리 무선제어장치(500)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텍스트와 함께 랜덤하게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12 , the user is inputting a command through voice, but, as described above, the same command may be input by manipulating the indicator 400 in a predetermined manner, or a combination of the voice command and the manipulation of the indicator 400 . You can also enter the same command. Text such as <Yes, I understand> or <I turned on the TV>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just an example of the displayed expression, and various types of expressions that can convey a similar meaning are available to the wireless controller 500 or the display device. Pre-stored, various kinds of pre-stored expressions representing similar meanings may be randomly displayed.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images that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ext may be stored in the wireless controller 500 or the display device in advance and displayed randomly along with the text.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해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음성인식부(320)는 사용자의 <TV켜>라는 음성을 인식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무선제어장치(500)의 제2인디케이터(440)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네, 알겠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가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텍스트나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텍스트나 이미지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음성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2 , when the user says <Turn on TV> to turn on the television 530,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ognizes the user's voice saying <Turn on TV>. Recognize.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 Through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of the second indicator 440, the text <Yes, I understand> or the text and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ext or images to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or recognizes the user's voice from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for example, a smart phone. Thus, the corresponding text or image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an application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command and displaying a text or image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mount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not only text or images but also voices as shown in FIG. 11 .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이나 제4모션(M4)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10에 도시된 제5모션(M5)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인디케이터(400)가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텍스트나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도 보여주고 텍스트나 이미지도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디케이터(400) 둘 다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and responds to the user's voice command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to let the user know that it is responding.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 M1 or fourth motion M4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has recognized the user's voice command. do. The first indicator 410 as well as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show the fifth motion M5 shown in FIG. 10 .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only one of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or control all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Also,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400 so as to show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display only text or images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Bo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dicator 400 may be controlled to show the motion of 400 and display text or images.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명령에 따라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한 턴 온(turn on)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턴 온 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텔레비전(530)으로 전송한다. 텔레비전(530)은 무선제어장치(500)로부터 전송된 턴 온 신호에 따라 턴 온되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텔레비전(530)이 턴 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TV를 켰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가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텍스트나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텔레비전(530)의 턴 온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외부기기(510, 520, 530, 540)의 작동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텍스트나 이미지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음성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generates a turn-on signal for turning on the television 530 according to a voice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urn-on signal to the television 5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 send to The television 53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turn-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and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receives <TV> through the display device when the TV 530 is turned on. is turned on> or both text and images are displayed.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ext or images to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or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for example, a smart phone, controls the television 530 .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ext or images corresponding to turn-on. In this case,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may b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comman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and displays a text or image corresponding thereto. have. The display device may output not only text or images but also voices as shown in FIG. 11 .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by checking the text 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해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음성인식부(320)는 사용자의 <TV켜>라는 음성을 인식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무선제어장치(500)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네, 알겠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가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3 , when the user says <Turn on TV> to turn on the television 530,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eives the user's voice saying <Turn on TV>. Recognize.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 The text <Yes, I understand> or a text and an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controls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so that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can display text or images.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1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에 텍스트나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도록,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와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도 보여주고 텍스트나 이미지도 표시될 수 있도록,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와 인디케이터(400) 둘 다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and responds to the user's voice command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to let the user know that it is responding. Since this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12 , it is omit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displays only text or images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of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and the indicator 400 . Either one may be controlled, and both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and the indicator 400 may be controlled to show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and display text or images.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명령에 따라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한 턴 온(turn on)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턴 온 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텔레비전(530)으로 전송한다. 텔레비전(530)은 무선제어장치(500)로부터 전송된 턴 온 신호에 따라 턴 온되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텔레비전(530)이 턴 온되면,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TV를 켰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가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generates a turn-on signal for turning on the television 530 according to a voice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urn-on signal to the television 5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 send to The television 53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turn-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ntroller 500 , 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radio controller 500 turns on the television 530 when the television 530 is turned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 Display the text or text and image together of <TV is turned on> through .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controls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so that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can display text or images.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by checking the text or image displayed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1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에 텍스트나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도록,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와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도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도 보여주고 텍스트나 이미지도 표시될 수 있도록,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와 인디케이터(400)를 둘 다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so that the user knows that the user's voice command has been performed. make it possible Since this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FIG. 12 , it is omit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r displays only text or images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of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and the indicator 400 . Either one may be controlled, or both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and the indicator 400 may be controlled to show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and display text or images.

도 13의 경우,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고 있지만, 전술한 것처럼, 인디케이터(400)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조작하여 동일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음성명령과 인디케이터(400)의 조작을 조합하여 동일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되는 <네 알겠습니다>나, <TV를 켰습니다>와 같은 텍스트는 표시되는 표현의 일 예일 뿐, 유사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표현이 무선제어장치(5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미리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표현들이 랜덤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와 함께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도 미리 무선제어장치(500)에 저장되어 텍스트와 함께 랜덤하게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13 , the user is inputting a command through voice, but as described above, the same command may be input by manipulating the indicator 400 in a predetermined manner, or a combination of the voice command and the manipulation of the indicator 400 . You can also enter the same command. Text such as <Yes, I understand> or <I turned on the TV> displayed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is just an example of the displayed expression, and various types of expressions that can convey a similar meaning are provided in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may be pre-stored in , and various kinds of pre-stored expressions representing similar meanings may be randomly displayed.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images that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ext may also be stored in the wireless controller 500 in advance and displayed randomly along with tex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센서(330)에서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가 센서(330)의 감지정보에 따라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The wireless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control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330 , the external devices 510 , 510 , 520, 530, and 540 may be controlled. 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controls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330 .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제어장치(500)의 센서(330)에서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정보를 감지하면, 제어부(340)는 감지된 정보에 대응하여 인디케이터(400)의 모션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습도센서에서 무선제어장치(500)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고, 습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보다 낮으면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제1인디케이터(410)를 제어하여 제1인디케이터(410)의 잎 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모션을 보이도록 함으로써 실내가 건조함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4 , when the sensor 33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detects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the controller 340 controls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in response to the detected information. do. For example, the humidity sensor detects the humidity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nd when the humidity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first indicator 410 to 1 By making the leaf part of the indicator 410 show a downward tilting motion, it indicates that the room is dry.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보다 낮으면, 실내 습도가 미리 정해진 습도 이상이 되도록 가습기(51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40)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가습기(510)로 전송하여, 가습기(510)가 가동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umidifier 510 so that the indoor humidity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humidity. The controller 34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humidifier 5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so that the humidifier 510 is operated.

가습기(510)가 가동된 후, 무선제어장치(500)의 습도센서에서 감지한 습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이 되면,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제1인디케이터(410)를 제어하여 제1인디케이터(410)의 잎 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모션을 보이기 전의 상태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실내가 적정 습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나타낸다.After the humidifier 510 is operated, when the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above a predetermined level,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first indicator 410 . Thus, by moving the leaf part of the first indicator 410 to the state before showing the downward tilting motion, it intuitively indicates that the indoor humidity is being maintained.

습도센서를 센서(330)의 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도센서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공기조화기(520)를 제어하거나, 먼지센서나 가스센서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공기청정기(540)를 제어하는 등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센서(330)에서 감지된 정보와 관련된 외부기기(510, 520, 530, 540)를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the humidity sens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ensor 330,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conditioner 520 is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or the air purifier ( The wireless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such as controlling the 540 , may control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related to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330 .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전술한 것처럼 순응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고(예를 들어, 네 알겠습니다), 도 15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명령에 불응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싫어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불응하는 음성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무선제어장치(500)의 이용에 대한 흥미나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무선제어장치(500)를 보다 친숙하게 느끼도록 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output a compliant voice or display text or images as described above (eg, yes, I know), and FIGS. 15 to 17 . As shown in , it is possible to output a voic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user's command or display text or images (eg, dislike).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outputs a voice, image, or text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user's command, thereby causing interest or fun in using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to the user, and the user It is possible to make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feel more familiar.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해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음성인식부(320)는 사용자의 <TV켜>라는 음성을 인식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불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제어장치(500)의 스피커(350)를 통해 <싫어요>라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도 16및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제어장치(500)의 제2인디케이터(440)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싫어요>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사용자의 명령불응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불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 내지 제4모션(M4) 중, 고개를 가로젓는 듯한 제2모션(M2)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불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10에 도시된 제2모션(M2)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인디케이터(400)가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의 표시, 및 스피커(350)를 통한 음성 출력 중 어느 하나만 이루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 스피커(350) 및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400)의 모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의 표시, 및 스피커(350)를 통한 음성 출력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 스피커(350) 및 인디케이터(400)를 모두 제어할 수도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명령에 불응하는 반응이 미리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 스피커(350) 및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상치 못한 무선제어장치(500)의 불응은 사용자에게 무선제어장치(500)의 이용에 대한 흥미나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무선제어장치(500)를 보다 친숙하게 느끼도록 할 수 있다.15 to 17 , when the user says <Turn on TV> to turn on the television 530,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performs <Turn on TV> of the user. recognize the voice As shown in FIG. 15,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llows the user to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not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utputs the voice of <dislike> through the speaker 35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or, as shown in FIGS. 16 and 17, mounted on the support of the second indicator 4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The text <dislike> or a text and an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or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 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an show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mmand non-response, and responds to the user's voice command. It allows the user to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not responding.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the second motion M2 as if shaking the head among the first to fourth motions M1 to M4 described above, so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allows the user I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at the user is not 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Not only the first indicator 410 but also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show the second motion M2 shown in FIG. 10 .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control only one of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or control all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a display device so that only one of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r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and the audio output through the speaker 350 is made, Only one of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the speaker 350, and the indicator 400 can be controlled, and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r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and the speaker 350 All of the display device,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 the speaker 350 , and the indicator 400 may be controlled so that all audio output may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display device,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the speaker 350, and the indicator 400 so that a respons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user's command can be made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that is not predetermined. can be controlled The unexpected non-response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may cause interest or fun in using the wireless controller 500 to the user, and may make the user feel more familiar with the wireless controller 500 .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전술한 무선제어장치(500)의 불응을 확인하고, 다시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해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는 사용자의 명령에 순응하는 반응을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 스피커(350) 및 인디케이터(40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명령에 순응하는 경우의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3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15 to 17 ,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above-mentioned radio control device 500 does not respond and says <turn on TV> to turn on the television 530 again, the radio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 500 may implement a response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isplay device,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 the speaker 350 , and the indicator 400 . A description of the case in which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mplies with the user's command is the same as that of FIGS. 11 to 13 and thus will be omitted.

도 1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제어장치(500)에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면(700), 무선제어장치(500)는 인식된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이미지, 모션 또는 음성을 출력한다.As shown in FIG. 18 , when the user's voice command is recognized by the wireless controller 500 ( 700 ), the wireless controller 500 outputs an image, motion, or voic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command.

사용자가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해 <TV켜>라고 말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장치(500)의 음성인식부(320)는 사용자의 <TV켜>라는 음성을 인식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인식부(3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무선제어장치(500)의 스피커(350)를 통해 <네, 알겠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무선제어장치(500)가 반응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이나 제4모션(M4)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10에 도시된 제5모션(M5)을 보여줄 수 있다. 또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제2인디케이터(440)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네, 알겠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가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하고,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텍스트나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ays <Turn on TV> to turn on the television 530,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recognizes the user's voice saying <Turn on TV>.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is 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ommand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320 . A voice saying <Yes, I understa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350 . 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and responds to the user's voice command to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 to let the user know that it is responding.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 M1 or fourth motion M4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has recognized the user's voice command. do. The first indicator 410 as well as the second indicator 440 may show the fifth motion M5 shown in FIG. 10 .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display the text “Yes, I understand” or Display text and images together.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so that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displays text or images, and displays text or images with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A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for Alternatively, a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for example, a smartphone may recognize a user's voice and display a text or image corresponding thereto. In this case, an application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command and displaying a text or image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mount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또한, 무선제어장치(500)는 인식된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720), 생성된 제어신호를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로 전송한다(730). 무선제어장치(500)는 외부기기(510, 520, 530, 540)가 작동하면 외부기기(510, 520, 530, 540)의 작동에 대응하는 이미지, 모션 또는 음성을 출력한다(740).In addition,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command (72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s (510, 520, 530, 540)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 730). When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and 540 operate, the wireless controller 500 outputs an image, motion or voic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510 , 520 , 530 , 540 ( 740 ).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음성명령에 따라 텔레비전(530)을 켜기 위한 턴 온(turn on)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턴 온 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텔레비전(530)으로 전송한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텔레비전(530)이 턴 온되면, 스피커(350)를 통해 <TV를 켰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는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나 지지부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TV를 켰습니다>라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스피커(350)를 통한 음성출력이나, 본체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generates a turn-on signal for turning on the television 530 according to a voice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urn-on signal to the television 5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 send to When the television 530 is turned on,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outputs a voice saying <TV is turned on> through the speaker 350 . Alternatively, the text or text and image of <TV is turned on> is displayed through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or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s command has been performed by checking the audio output through the speaker 35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or the text or image displayed on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

그리고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인디케이터(400)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이 수행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인디케이터(410)가 전술한 제1모션(M1) 내지 제4모션(M4)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이 조합된 모션을 보여주어 무선제어장치(500)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행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인디케이터(410) 뿐만 아니라 제2인디케이터(440)도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2모션(M2), 제3모션(M3) 및 제5모션(M5) 중 어느 하나의 모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이 조합된 모션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 중 어느 하나만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인디케이터(400)가 모션을 보여주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만 보여주거나 음성만 출력하거나, 이미지 또는 텍스만 표시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400), 스피커(350), 본체 디스플레이부(310),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무선제어장치(500)의 제어부(340)는 인디케이터(400)의 모션, 스피커(350)의 음성출력, 본체 디스플레이부(310)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또는 텍스트 표시가 중 적어도 하나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피커(350), 인디케이터(400), 본체 디스플레이부(310)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도 있다.And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controls the indicator 400 so that the indicator 40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shows a predetermined motion, so that the user knows that the user's voice command has been performed. make it possible For example, the first indicator 410 shows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motions M1 to M4, or a motion in which at least one motion is combined, so that the wireless controller 500 I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that the user has performed the user's voice command. The first indicator 410 as well as the second indicator 440 are any one of the second motion M2, the third motion M3, and the fifth motion M5 shown in FIGS. 8 to 10, or At least one motion may show a combined motion.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0 may control only one of the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or control all indicators 400 to show mo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show only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output only the voice, or display only the image or text, the indicator 400, the speaker 350, the main body display unit ( 310),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s may be controll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40 of the wireless control device 50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motion of the indicator 400, the voice output of the speaker 350, and the image or text display of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or the display device. In this way, at least one of the speaker 350 , the indicator 400 , the main body display unit 310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controlled.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인디케이터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도 19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디케이터와 달리, 꽃과 줄기 및 화분 형태까지 포괄하여 인디케이터라 지칭한다.Meanwhile, hereinafter, an ind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indic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34 . In the following embodiment, unlike the indica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 the indicator includes flowers, stems, and pots, and is referred to as an indicator.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indic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9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1)는 화분(10)과, 화분(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줄기(11, 12)와, 한 쌍의 줄기(11, 12)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개화되는 한 쌍의 꽃(13, 14)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15)와, 구동장치(1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줄기(11, 12)들이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장치(16)를 포함하며, 구동장치(15) 및 승강장치(16)는 화분(10) 내에 수용된다. As shown in FIGS. 19 and 22 , the indicato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erpot 10 and a pair of stems 11 and 12 movably installed in the flowerpot 10 up and down. ), a pair of flowers 13 and 14 that bloom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air of stems 11 and 12, a driving device 15 for generating power, and power from the driving device 15 It includes a lifting device 16 for receiving and elevating the stems 11 and 12 , and the driving device 15 and the lifting device 16 are accommodated in the flowerpot 10 .

줄기(11, 12)들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도 19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꽃(13) 및 제 2 꽃(14)이 모두 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줄기(11, 12)들이 상승함에 따라 도 20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꽃(13)만이 핀 상태와, 도 21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꽃(13)과 제 2 꽃(14)이 모두 핀 상태로 차례로 변경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stems 11 and 12 have moved downward, as shown in FIGS. 19 and 22 , both the first flower 13 and the second flower 14 are kept in a down state, and then the stems 11 and 12 ) as shown in FIGS. 20 and 23, only the first flower 13 is in bloom, and as shown in FIGS. 21 and 24, the first flower 13 and the second flower 14 are All are changed to pin state in turn.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10)은 대략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구동장치(15) 및 승강장치(16)를 내부에 수용하는 화분 몸체(101)와, 개방된 화분 몸체(101)의 상면을 폐쇄하는 화분 커버(102)와, 화분 커버(102)의 중앙에 설치되어 줄기(11, 12)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03)를 포함한다. 25 and 26, the flowerpot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planter body 101 for accommodating the driving device 15 and the elevating device 16 described above therein; It includes a flowerpot cover 102 that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flowerpot body 101, and a guide member 103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lowerpot cover 102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ems 11 and 12.

화분 몸체(101)의 하부에는 화분 몸체(101)가 각종 수평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104)가 설치된다. A pedestal 104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body 101 so that the pot body 101 can be stably supported on various horizontal surfaces.

가이드부재(103)의 중앙에는 줄기(11, 12)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홀(103a)이 마련되며, 하측에는 후술할 제 2 승강가이드(163)가 설치되고, 상측에는 후술할 제 2 꽃(14)이 설치된다. A guide hole 103a in which the stems 11 and 12 are movably installed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member 103, and a second elevating guide 163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ide. A flower 14 is installed.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줄기(11, 12)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줄기(11)와, 제 1 줄기(11)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줄기(12)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stems 11 and 12 includes a first stem 11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stem 12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first stem 11 . .

제 2 줄기(12)는 승강장치(16)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제 1 줄기(11)는 제 2 줄기(12)를 통해 힘을 전달받아 제 1 줄기(11)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The second stem 12 moves up and down by the lifting device 16 , and the first stem 11 receives a force through the second stem 12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stem 11 .

한 쌍의 꽃(13, 14)은 제 1 꽃(13)과, 제 1 꽃(13)이 져 있는 상태에서 제 1 꽃(13) 내부에 수용되는 제 2 꽃(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꽃(13)은 화분(10)의 가이드부재(103)에 설치되어 제 1 줄기(11)들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피거나 진다. 제 2 꽃(14)은 제 2 줄기(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 1 줄기(11)와 제 2 줄기(12)의 상대 위치에 따라 피거나 오므려진다. The pair of flowers 13 and 14 includes a first flower 13 and a second flower 14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flower 1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lower 13 is plac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lower 13 is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103 of the flowerpot 10 and blooms or falls in associa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stems 11 . The second flower 14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m 12 and blooms or is clos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stem 11 and the second stem 12 .

제 2 줄기(12)는 승강장치(16)에 의해 힘을 전달받아 상하 이동하며, 제 1 줄기(11)는 제 2 줄기(12)를 통해 힘을 전달받아 일정 거리 내에서만 제 2 줄기(12)와 함께 이동한다. 즉, 제 1 줄기(11)와 제 2 줄기(12)는 함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한 후 제 1 줄기(11)의 이동은 정지되고, 제 2 줄기(12)만이 추가로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 1 줄기(11)가 제 2 줄기(1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줄기(11)의 상부에는 제 2 줄기(12)의 외주면에 탄성 지지되는 복수의 탄지부(11a, 도 24 참조)를 포함한다. The second stem 12 receives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lifting device 16 to move up and down, and the first stem 11 receives the force through the second stem 12 and receives the force through the second stem 12 only within a certain distance. ) and move with That is, after the first stem 11 and the second stem 12 both move up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vement of the first stem 11 is stopped, and only the second stem 12 is further moved up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do. In this way, the first stem 11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m 1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em 11 so that the first stem 11 can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stem 12, in Fig. 24 . see) are included.

제 1 꽃(13)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꽃잎(141)들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꽃(14)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꽃잎(141)들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제 2 꽃(14)은 제 1 꽃(13)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꽃(13)이 오므려져 있는 상태에서 제 1 꽃(1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flower 13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econd petals 141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econd flower 14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econd petals 141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do. At this time, the second flower 14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size compared to the first flower 13 so that the first flower 13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flower 13 in a closed state. has been

제 1 꽃잎(131)들은 상술한 가이드부재(103)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103)에는 제 1 꽃잎(131)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힌지부(103b)들이 마련되고, 제 1 꽃잎(131)들의 하부에는 제 1 힌지부(103b)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141a)들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힌지부(103b)들 및 제 2 힌지부(141a)들에는 핀(104)이 각각 관통 설치되어 제 1 힌지부(103b)와 제 2 힌지부(141a)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The first petals 131 are rotatably installed above the guide member 103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guide member 103 is provided with first hinge parts 103b on which the first petals 131 are rotatably installed, and rotates on the first hinge parts 103b under the first petals 131 . The second hinge parts 141a that are installed operably ar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pins 104 are installed through the first hinge parts 103b and the second hinge parts 141a,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hinge part 103b and the second hinge part 141a can rotate with each other. to be tightly coupled.

제 1 꽃(13)이 줄기(11, 12)들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피거나 지도록 하기 위해 제 1 꽃잎(131)들에는 걸림부(141b)가 각각 마련되며, 제 1 줄기(11)의 외주면에는 걸림부(141b)가 걸리는 걸림홈(11c)들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141b)는 제 2 힌지부(141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줄기(11)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걸림부(141b)가 걸림홈(11c)에 걸려 제 1 꽃잎(131)들은 오므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줄기(11)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부(141b)는 걸림홈(11c)으로부터 이탈하여 제 1 줄기(11)의 외면에 지지되면서 제 1 꽃잎(131)들이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제 1 꽃(13)은 핀다.In order for the first flower 13 to bloom or fall in associa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ems 11 and 12 , the first petals 131 are provided with locking portions 141b, respectivel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m 11 . There are provided locking grooves 11c through which the locking portion 141b is cau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141b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second hinge portion 141a.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em 11 is moved downward, the locking part 141b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11c, and the first petals 131 ar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s the first stem 11 moves upward, the locking portion 141b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1c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em 11 while the first petals 131 rotate outward to the first The flower 13 blooms.

제 2 꽃잎(141)들은 제 2 줄기(1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줄기(12)의 상단에는 제 2 꽃잎(141)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힌지부(12a)가 마련되고, 제 2 꽃잎(141)들의 하부에는 제 3 힌지부(1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힌지부(141a)들이 각각 마련된다.The second petals 141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m 12 . A third hinge portion 12a on which the second petals 141 are rotatably installe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em 12 , and the third hinge portion 12a is rot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etals 141 . The fourth hinge parts 141a that are installed operably are provided, respectively.

제 2 꽃잎(141)들이 제 4 힌지부(141a)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줄기(11)의 상단에는 받침부(11b)가 형성된다. 받침부(11b)는 제 1 줄기(11)와 제 2 줄기(12)의 상대 위치에 따라 제 2 꽃잎(141)들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제 2 꽃잎(141)들이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제 1 줄기(11)와 제 2 줄기(12)가 함께 이동할 경우에는 제 2 꽃잎(141)들의 외면이 받침부(11b)에 의해 지지되어 제 2 꽃잎(141)들이 오므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 2 줄기(12)만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제 2 꽃잎(141)들의 외면이 받침부(11b)로부터 이격되므로, 제 2 꽃잎(141)들이 자중에 의해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A support portion 11b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em 11 so that the second petals 141 rotate around the fourth hinge portion 141a. The support portion 11b selectively supports the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petals 141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stem 11 and the second stem 12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petals 141 . do. That is, when the first stem 11 and the second stem 12 move together,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petals 141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11b to provide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etals 141 are closed. While maintaining, when only the second stem 12 moves upward, since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petals 141 ar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1b, the second petals 141 rotate outward by their own weight.

구동장치(15)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1)와, 복수의 기어(152a)들에 의해 형성되는 감속유닛(152)을 포함한다. The driving device 15 includes a driving motor 15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and a reduction unit 152 formed by a plurality of gears 152a.

승강장치(16)는 제 2 줄기(1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161)와, 내측에 승강부재(16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속유닛(152)과 연결되어 감속유닛(152)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승강가이드(162)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 1 승강가이드(162)가 수용되는 제 2 승강가이드(163)를 포함한다. The lifting device 16 includes a lifting member 16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em 12, and a lifting member 161 on the inside is installed movably up and down, and is connected to the deceleration unit 152. It includes a first elevating guide 162 rotated by the reduction unit 152, and a second elevating guide 163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inside.

승강부재(161)는 스크류(164)를 통해 제 2 줄기(12)의 하단에 설치된다. 스크류(164)는 승강부재(161)의 중앙에 마련된 관통공(161a)을 관통하여 제 2 줄기(12)의 하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부재(161)가 회전하더라도 제 1 줄기(11)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승강부재(161)는 그 외면 양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가이드홈(163a) 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61b)를 포함한다.The lifting member 16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em 12 through the screw 164 . The screw 164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161a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elevating member 161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em 12 . Therefore, even when the lifting member 161 rotates, the first stem 11 does not rotate. In addition, the lifting member 161 includes a pair of guide projections 161b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and installed in a guide groove 163a to be described later.

제 1 승강가이드(162)는 구동장치(15)에 연결되어 구동장치(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 1 승강가이드(162)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줄기(11, 12)들 및 승강부재(16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승강가이드(162)의 양측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돌기(161b)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163a)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 1 승강가이드(162)가 회전하면 승강부재(161)는 가이드돌기(161b)를 통해 힘을 전달받아 제 1 승강가이드(162)와 함께 회전한다.The first lifting guide 16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5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device 15 .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stems 11 and 12 and the elevating member 161 are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 A pair of guide slots 163a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bove-described pair of guide protrusions 161b extending up and down. Therefore, when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rotates, the elevating member 161 receives a force through the guide protrusion 161b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

제 2 승강가이드(163)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 1 승강가이드(162)가 마련되며, 제 2 승강가이드(163)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돌기(161b)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홈(163a)이 마련된다. 따라서 승강부재(161)가 제 1 승강가이드(162)에 의해 회전하면, 승강부재(161)에 마련된 가이드돌기(161b)가 가이드홈(163a)에 의해 안내되므로 승강부재(161)가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일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승강부재(161)의 이동 방향은 제 1 승강가이드(162)의 회전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The second elevating guide 163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is provided inside, and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161b are mov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levating guide 163 . A guide groove (163a) having a spiral shape that is installed is provided. Therefore, when the elevating member 161 is rotated by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the guide protrusion 161b provided on the elevating member 161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163a, so that the elevating member 161 moves upward and downward. move to either side. At this tim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ing member 161 is determined by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인디케이터(1)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indicato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9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줄기(12) 및 제 1 줄기(11)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 2 꽃잎(141)들 및 제 1 꽃잎(131)들이 모두 오므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9 and 22 ,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m 12 and the first stem 11 are moved downward, the second petals 141 and the first petals 131 are all closed. keep the status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장치(15)에 의해 제 1 승강가이드(16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승강가이드(162) 내의 승강부재(161)가 제 1 승강가이드(162)와 함께 회전한다. 승강부재(161)에 마련된 가이드돌기(161b)는 나선 형상의 가이드홈(163a)을 따라 이동하므로, 승강부재(161)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제 2 줄기(12)는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 1 줄기(11)는 탄지부(11a)를 통해 제 2 줄기(1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 2 줄기(12)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When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device 15 in this state, the elevating member 161 in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 Since the guide protrusion 161b provided on the elevating member 161 moves along the spiral guide groove 163a, the elevating member 161 moves upward, and accordingly, the second stem 12 moves upward. Since the first stem 11 is supported on the second stem 12 through the tanji portion 11a, it moves upward together with the second stem 12 .

제 2 줄기(12) 및 제 1 줄기(11)가 이동함에 따라 걸림홈(11c)에 걸려있던 걸림부(141b)가 걸림홈(11c)으로부터 이탈하고, 그에 따라 제 1 꽃잎(131)들은 핀(104)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20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꽃(13)은 핀다.As the second stem 12 and the first stem 11 move, the locking portion 141b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1c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1c, and accordingly, the first petals 131 are pinned. Rotate outward around (104). Therefore, the first flower 13 blooms as shown in FIGS. 20 and 23 .

계속해서 제 2 줄기(12) 및 제 1 줄기(11)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 2 줄기(12) 및 제 1 줄기(11)가 설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 제 1 줄기(11)의 이동은 멈춘다. 제 1 줄기(11)의 이동이 멈춘 후에도 제 2 줄기(12)는 승강부재(161)에 의해 이동한다. 제 2 줄기(12)만 이동함에 따라 제 1 꽃잎(131)들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던 받침부(11b)는 제 2 꽃잎(141)들과 이격된다. 따라서 도 21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꽃잎(141)들은 자중에 의해 제 4 힌지부(141a)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회전하므로 제 2 꽃(14)은 펴진다. Subsequently, the second stem 12 and the first stem 11 move upward, and after the second stem 12 and the first stem 11 move by a set distance, the movement of the first stem 11 is stop Even after the movement of the first stem 11 is stopped, the second stem 12 is moved by the lifting member 161 . As only the second stem 12 moves, the support portion 11b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tals 13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etals 141 . Therefore, as shown in FIGS. 21 and 24 , the second petals 141 rotate outward around the fourth hinge part 141a by their own weight, so that the second flower 14 is unfolde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줄기(11, 12)들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꽃(13)과 제 2 꽃(14)이 차례로 펴진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as the stems 11 and 12 move upward, the first flower 13 and the second flower 14 are unfolded in sequence.

또한 상기와 같이 제 2 꽃(14) 및 제 1 꽃(13)이 펴져있는 상태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제 1 승강가이드(162)가 반대로 이동하면, 줄기(11, 12)들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제 2 꽃(14) 및 제 1 꽃(13)이 차례로 진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elevating guide 162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driving device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flower 14 and the first flower 13 are unfolded as described above, the stems 11 and 12 move downward and Accordingly, the second flower 14 and the first flower 13 fall in sequence.

상기와 같이 인디케이터(1)의 동작은 실내 온도나 습도와 같은 각종 상태에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최적 상태 값을 설정한 후, 최적 상태값에 가까워질 수록 줄기(11, 12)들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제 1 꽃(13) 및 제 2 꽃(14)이 피도록 하고, 최적 상태 값에서 멀어질수록 줄기(11, 12)들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제 1 꽃(13) 및 제 2 꽃(14)이 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indicator 1 may be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various conditions such as indoor temperature or humidity. That is, after setting the optimal state value, the stems 11 and 12 are moved upward as the optimal state value is approached so that the first flower 13 and the second flower 14 bloom, and the optimal state value The stems 11 and 12 move downward as the distance from , so that the first flower 13 and the second flower 14 fall.

상술한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상태 값은 인디케이터(1)가 온도나 습도와 같은 상태 값 측정을 위한 센서를 포함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태 값들이 인디케이터(1)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state value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llow the indicator 1 to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state values such as temperature or humidity, or to transmit state values measured by a separate device to the indicator 1 possible.

또한 인디케이터(1)는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가습기나 공기조화기와 같은 각종 기기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icator 1 may be used alone as suggested in the above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humidifier or an air condition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ndic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2)는 가습기 등에 사용되는 물 저장유닛(3)에 적용되어, 물 저장유닛(3) 내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7 and 28, the indicator 2 in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3 used in a humidifier, etc., so that the water level fill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 can be displayed. .

물 저장유닛(3)은 상면이 개방되어 물을 담는 물통(31)과, 물통(31)의 상면을 덮는 물통 커버(32)를 포함한다. The water storage unit 3 includes a water container 31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to contain water, and a water container cover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31 .

인디케이터(2)는 물통 커버(3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줄기(21)와, 줄기(21)의 상단에 설치된 꽃(22)과, 줄기(21)의 하단에 설치된 부력체(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2)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5개의 줄기(21)와, 5개의 줄기(21)의 상단에 각각 설치된 5개의 꽃(22)과, 줄기(21)들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5개의 부력체(23)를 포함한다. The indicator 2 includes a stem 21 installed on the bucket cover 32 to be movable up and down, a flower 22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tem 21, and a buoyancy body 23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stem 21 . includes In this embodiment, the indicator 2 includes five stems 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9, and five flowers 22 respectively installed on top of the five stems 21, It includes five buoyancy bodies 23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stems 21 .

물통 커버(32)는 줄기(21)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5개의 가이드부(321)들과, 후술할 제 1 꽃잎(211)들을 지지하여 제 1 꽃잎(212)들이 오므려지도록 하는 받침부(322)를 포함한다. The bucket cover 32 supports five guide parts 321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ems 21 and the first petals 211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rst petals 212 are closed. part 322 .

가이드부(321)는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그 내측에 줄기(21)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홀(321a)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줄기(21)들의 길이 및 가이드부(321)들의 길이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며 단계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물의 수위에 따라 5개의 인디케이터(2)들이 하나씩 차례로 상승하도록 하여, 인디케이터(2)의 꽃(22)들이 하나씩 차례로 피거나 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guide part 321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as shown in FIGS. 30 and 31 , and a guide hole 321a in which the stem 21 is movably installed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tems 21 and the length of the guide parts 321 are formed to be shortened step by step while procee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9, which is five indicators 2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By ascending one by one, the flowers 22 of the indicator 2 bloom or fall one by one.

다시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21)들의 길이는 줄기(2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줄기(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며, 가이드부(321)들의 길이는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며 단계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되는데, 가이드부(321)들과 각 가이드부(321)에 설치된 줄기(21)의 길이 차는 다른 가이드부(321)들과 줄기(21)의 길이 차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꽃(22)들이 동일한 높이에서 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Referring back to FIGS. 30 and 31 , the length of the guide parts 321 is formed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stem 21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em 21 , and the length of the guide parts 321 is the circumference.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guide parts 321 and the stem 21 installed in each guide part 321 is the same as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guide parts 321 and the stem 21. formed to do so. This is so that the flowers 22 bloom at the same height.

받침부(322)는 물통 커버(3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가이드부(321)를 중심으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줄기(21)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술할 제 1 꽃잎(221)들의 외면을 지지하여 제 1 꽃잎(221)들이 오므려지도록 한다. The support part 322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cket cover 32, and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with the guide part 321 as the center, and as the stem 21 moves downward, a first petal ( 221) to suppor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petals 221 to be closed.

줄기(21)는 가이드홀(321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줄기부(211)와, 줄기부(211)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턱부(212)와, 턱부(21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암술부(213)를 포함한다. The stem 21 includes a stem 211 movably installed in the guide hole 321a, a chin 212 extending radi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tem 211, and an upper side from the chin 212. It includes an extended pistil 213 .

꽃(22)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꽃잎(221)들과,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꽃잎(221)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꽃잎(221)들 내측에 수용되는 제 2 꽃잎(222)들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꽃잎(221)들은 상술한 턱부(212)에 마련된 제 1 힌지부(21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221a)를 각각 포함하며, 제 2 꽃잎(222)들은 상술한 암술부(213)에 마련된 제 3 힌지부(213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힌지부(222a)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꽃잎(222)들은 그 외면에 형성되어 제 2 꽃잎(222)들이 제 1 꽃잎(221)들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돌기(222b)들을 포함한다. The flower 22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etals 221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have a size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etals 221 and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formed by the second petals 222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petals 221 each include a second hinge portion 221a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hinge portion 212a provided in the jaw portion 212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petals 222 are the aforementioned pistils. and a fourth hinge part 222a rotatably installed on the third hinge part 213a provided in the part 213 . In addition, the second petals 222 include interlocking protrusions 222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to rotate the second petals 222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petals 221 .

부력체(23)는 물에 뜰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밀폐용기의 형태로 형성되어 줄기(21)의 하단에 설치된다. The buoyancy body 23 is formed in the form of an airtight container filled with air therein so that it can float on water,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m 21 .

따라서 물통(31) 내에 물이 채워져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줄기(21)들은 그 하단에 설치된 부력체(23)들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차례로 이동하고, 줄기(21)의 상단에 설치된 꽃(22)들도 상측으로 이동한다. 꽃(22)들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 1 꽃잎(221)들의 외면이 받침부(322)로부터 이격되면, 제 1 꽃잎(221)들은 자중에 의해 제 1 힌지부(212a)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회전하고, 연동돌기(222b)를 통해 제 1 꽃잎(131)에 지지되어 있던 제 2 꽃잎(222)들도 자중에 의해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꽃(22)은 도 27,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례로 피게 된다.Therefore, as water is filled in the bucket 31 and the water level increases, the stems 21 move upward in turn by the buoyancy force acting on the buoyancy bodies 23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flower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em 21 . (22) also moves upward. When the flowers 22 move upward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petals 221 ar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rt 322 , the first petals 221 rotate outwardly around the first hinge part 212a by their own weight. and the second petals 222 supported on the first petals 131 through the interlocking protrusions 222b also rotate outward by their own weight. Accordingly, the flowers 22 are sequentially bloomed as shown in FIGS. 27, 33 and 34 .

또한 물통(31) 내의 물이 사용되어 수위가 낮아짐의 따라 줄기(21)들은 차례로 하측으로 이동하고, 줄기(21)의 하단에 설치된 꽃(22)들도 하측으로 이동한다. 꽃(22)들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 1 꽃잎(221)들의 외면은 받침부(322)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 1 꽃잎(221)들은 안쪽으로 회전하고, 제 2 꽃잎(222)들은 연동돌기(222b)를 통해 제 1 꽃잎(221)들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안쪽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꽃(22)들은 차례로 진다. In addition, as the water in the bucket 31 is used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the stems 21 move downward in turn, and the flowers 22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m 21 also move downward. When the flowers 22 move down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etals 22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322, so the first petals 221 rotate inward, and the second petals 222 have interlocking protrusions 222b. ) receives the force from the first petals 221 and rotates inward. Accordingly, the flowers 22 fall one after the other.

상기와 같이 물통(31) 내의 수위에 따라 피어있는 꽃(22)의 개수가 변경되므로 이를 통해 물통(31) 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umber of blooming flowers 2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31,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31 can be checked through this.

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2)는 부력체(23)를 포함하여 부력체(23)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디케이터가 구동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도록 하여 구동장치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인디케이터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indicator 2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the buoyancy force acting on the buoyancy body 23, including the buoyancy body 2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dicator is a separate driving device such as a driving motor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vertical movement of the indicator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device.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인디케이터가 줄기와 꽃을 포함하여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indicator is formed including a stem and a flow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4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4)가 꽃에 대응하는 구성 대신 가지(43)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34, as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dicator 4 to include a branch 43 instead of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flower.

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4)는 화분(41)과, 화분(41)에 상하로 차례로 배치된 복수의 줄기(42)들과, 줄기(42)들 사이에 배치되어 줄기(42)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마디(43)를 포함하고, 줄기(42)들은 줄기(42)들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가지(44)들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indicator 4 is a flowerpot 41, a plurality of stems 42 arranged in order up and down on the flowerpot 41, and disposed between the stems 42 so that the stems 42 rotate with each oth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43 to be possibly coupled, and the stems 42 include branches 44 extending branching from the stems 42 .

줄기(42) 및 가지(44)는 광을 안내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도광부재로 형성되며, 마디(43) 내에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미도시)이 포함되어 줄기(21) 및 가지(44)에 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stem 42 and the branch 44 are formed of a light guiding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guide light, and a light source (not shown)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is included in the node 43 to guide the stem 21 and Light can be supplied to the branch 44 .

따라서 인디케이터(4)에 전달된 상태 값이 최적 상태 값과 가까워질 수록 아래쪽에 위치한 줄기(42)부터 상측에 위치한 줄기(42)까지 차례로 광원을 통해 광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이 성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4)에 전달된 상태 값이 최적 상태 값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광원을 통해 공급되던 광을 상측에 위치한 줄기(42)부터 하측에 위치한 줄기(42)까지 차례로 차단함으로써 식물이 쇠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refore, as the state value transmitted to the indicator 4 approaches the optimal state value, light is supplied from the stem 42 located at the lower side to the stem 42 located at the upper side through the light source in sequence, so as to have the same effect as the growth of the plant. can represent In addition, as the state value transmitted to the indicator 4 is further away from the optimal state value, the light supplied through the light source is sequentially blocked from the stem 42 located at the upper side to the stem 42 located at the lower side. effect can be shown.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이 마디(43)들에 배치되어 줄기(42)들과 줄기(42)들에 연결된 가지(44)에 동시에 광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가지에도 개별적으로 광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가지들에 꽃들을 배치하고, 전달된 상태 값이 최적 상태 값에 가까워짐에 따라 꽃들에 차례로 광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습도나 온도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is arranged at the nodes 43 to supply light to the stems 42 and the branches 44 connected to the stems 42 at the same time, but this is an example, and even the branches are individually lighted.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Also, although not shown, by arranging flowers on the branches and allowing light to be supplied to the flowers in turn as the transmitted state value approaches the optimal state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state such as humidity or temperatur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500: 무선제어장치
400: 인디케이터
500: radio control device
400: indicator

Claims (23)

화분 형태로 마련되고,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이 지칭하는 제어대상을 상기 음성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줄기, 잎, 꽃 및 나무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lowerpot and outputs a voice recognition unit,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indicated by a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voice, and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s the control target a main body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nd an indica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stem, leaf, flower, and tree and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음성에 따른 제어의 수행 여부 또는 수행 결과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whether or not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oice or the result of the contr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무선제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eaker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voice that conforms to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무선제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eaker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voic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제1인디케이터 및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고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제2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 first indicator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a display device for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 wireless control device comprising a second indica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제1인디케이터 및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모션을 보여주고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 first indicator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a display device for showing a mo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A wireless control device comprising a; a second indicator including a support provided to be detach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미리 정해진 조작방식에 따른 조작을 통해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provid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through an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제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a command through the indicator is inpu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성에 따른 제어의 수행 여부 또는 수행 결과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표시하는 무선제어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display device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oice or a result of the control as an image or text.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무선제어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display device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or text complying with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무선제어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display device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or text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showing a motion in response to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모션을 보여주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showing a motion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대상과 WIFI, Bluetooth, Zigbee, RF 및 IR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target using any one of WIFI, Bluetooth, Zigbee, RF and IR communic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무선제어장치 주변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control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먼지센서, 가스센서 및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ensor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dust sensor, a gas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제어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is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음성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본체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The wireless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main body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에 따른 제어의 수행 여부 또는 수행 결과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무선제어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main body display unit,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oice or a result of the control as an imag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에 순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무선제어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main body display unit,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complying with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한 음성에 따른 명령의 수행에 불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무선제어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main body display unit,
A wireless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execution of a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기기와 연결하도록 마련된 확장단자;를 더 포함하는 무선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terminal provided to connect to an external device.
KR1020150135151A 2014-12-03 2015-09-24 Wireless controller comprising indicator KR102305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56,551 US9564130B2 (en) 2014-12-03 2015-12-02 Wireless controller including indicator
US15/390,092 US10074370B2 (en) 2014-12-03 2016-12-23 Wireless controller including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1972 2014-12-03
KR1020140171972 2014-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025A KR20160067025A (en) 2016-06-13
KR102305848B1 true KR102305848B1 (en) 2021-09-29

Family

ID=5619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151A KR102305848B1 (en) 2014-12-03 2015-09-24 Wireless controller comprising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8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37B1 (en) 2017-12-28 2022-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Sound output system and speech process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920B1 (en) 2005-01-06 2006-05-29 가락전자 주식회사 Robot system based on network using robot having face-motion sensing function
KR101370263B1 (en) 2013-03-15 2014-03-04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provide gesture-based remote control for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2351A (en) * 1994-05-09 1995-11-14 Canon Inc Picture and voice response equipment and method therefor
KR20140112596A (en) * 2013-03-11 2014-09-24 주식회사 파라토브 Control system of object using smar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920B1 (en) 2005-01-06 2006-05-29 가락전자 주식회사 Robot system based on network using robot having face-motion sensing function
KR101370263B1 (en) 2013-03-15 2014-03-04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provide gesture-based remote control for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025A (en)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4370B2 (en) Wireless controller including indicator
US11452183B2 (en) Load control adjustment from a wireless device
CN106457055B (en) Toy building system with formation function unit
US20190003480A1 (en) Programmable Fan
US20160286732A1 (en) Plant growth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5580395A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n infant receiving system and a remote device
JP6703534B2 (en) Lighting dynamics control
US20140244043A1 (en) Combination controller
US20120173024A1 (en) Drapery Assembly with a Powered Carrier
KR102305848B1 (en) Wireless controller comprising indicator
KR102073575B1 (en) Smart pot
KR20120081816A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apparatus
US20160007545A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JP3182181U (en) Linked fan
CN106161161A (en) Household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system
KR20150045552A (en) A smart system of sensible lightings
WO2018163082A1 (en) Device including a droned cover
KR20170069593A (en) Lighting device system
KR20200072210A (en) Mood Lamp
US20200154721A1 (en) Cake Decoration System
ES2770780T3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djustments of a control system to implement a perceptible result spatial distribution
KR100898987B1 (en) Flower-robot system
KR102407172B1 (en) A multimodal AI speaker
KR20200113818A (en) Mushroom grower
JP5529815B2 (en) Plant type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