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232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232B1
KR102303232B1 KR1020140169666A KR20140169666A KR102303232B1 KR 102303232 B1 KR102303232 B1 KR 102303232B1 KR 1020140169666 A KR1020140169666 A KR 1020140169666A KR 20140169666 A KR20140169666 A KR 20140169666A KR 102303232 B1 KR102303232 B1 KR 10230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ob
signal
tailgate
vehicle
rs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5546A (en
Inventor
박용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232B1/en
Publication of KR2016006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bstract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키 포브(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상기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상기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를 송신하는 범퍼 송수신부; 상기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 및 상기 키 포브로부터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수신하면, 테일 게이트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테일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F 응답은, 테일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키 포브에서 수행한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re disclosed. The tailgate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key fob ID including tailgate function data and the key fob ID for opening the tailgate of the vehicle when a user with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a bumper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 LF signal;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for transmitting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confirm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a tailgat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execution of a tailgate function upon receiving a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from the key fob.
The first RF response is a response signal to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ID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RSSI performed by the key fob in order to perform a tailgate function characterized by being.

Description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 핸들에 위치한 LF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세기 신호(RSSI)에 기초하여 테일 게이트 기능과 웰컴 기능의 작동거리를 이원화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ilgate function and a welcome function based on a reception intensity signal (RSSI) of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transmitted from an LF antenna located on a vehicle door handle. It relates to an apparatus capable of dualizing working distances and a method therefor.

일반적으로 차량용 테일 게이트(Tail gate)는 화물이나 사람을 싣기 위하여 차량의 후방에 형성된 문이다. 특히, SUV 차량 또는 승합 차량 등은 화물을 많이 적재하기 위하여 후방의 넓은 개방 면적을 요구하므로, 테일 게이트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a tail gate for a vehicle is a door formed at the rear of a vehicle to load cargo or people. In particular, since an SUV vehicle or a van vehicle requires a large open area at the rear to load a lot of cargo, the tailgate is formed large.

테일 게이트는 종류에 따라 사람의 손을 사용해 수동으로 개폐를 할 수 있지만,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테일 게이트도 존재한다.Depending on the type of tailgate, it can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using a human hand, but there are also tailgates that open and close automatically by mechanical manipulation.

자동 제어형 테일 게이트 시스템은 각종 소프트웨어와 RKE(Remote Keyless Entry)를 이용하여 테일 게이트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하고, 또한 테일 게이트의 잠금과 잠금 해제 역시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 automatically controlled tailgate system is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tailgate using various software and RKE (Remote Keyless Entry), and also automatically operate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tailgate.

한편, 웰컴 기능(Welcome 기능)은 사용자가 멀리서 차량으로부터 2 m이내로 접근하면 차량은 근처에 사용자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의 차량을 알려주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welcome function,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from a distance within 2 m, 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earby and informs the user of the vehicle.

테일 게이트 기능(Tailgate 기능)은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트렁크 근처 1m 이내로 접근을 하면 트렁크를 자동으로 열어주는 기능으로 웰컴 기능과 테일 게이트 기능의 작동 범위(10,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다. The tailgate function (Tailgate function)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trunk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runk within 1m with heavy luggage. different.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시동을 끄고 차량 도어를 잠근 후, 차량에서 멀어지면 LF 안테나를 통해 차량에 등록된 키 포브 아이디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오른쪽 도어핸들, 범퍼 LF안테나가 순차적으로 LF 데이터를 주변으로 송신하고 이 경우 실내 LF 안테나는 구동하지 않는다.The smart key system of the vehicle periodically transmits the key fob ID register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LF antenna when the user turns off the ignition and locks the vehicle door and moves away from the vehicl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s and the bumper LF antenna sequentially transmit LF data to the surroundings, and in this case, the indoor LF antenna is not driven.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기 위해 키 포브를 가지고 차량에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을 할 때, 사용자가 소지한 포브의 포브 아이디와 차량에서 송출된 포브 아이디가 일치하면, 포브는 RF 응답을 한다.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within a certain distance with the key fob to use the vehicle, if the FOB ID of the FOB the user has and the FOB ID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atch, the FOB responds with an RF.

그런데 종래 기술은 단순히 포브 RF 응답의 RF 수신 신호강도 값의 크기를 확인하여 기준값 이상이면 포브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이드 미러를 펼치고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므로, 웰컴 기능의 작동 범위와 스마트 테일 게이트의 작동 범위를 달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art simply checks the magnitude of the RF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FOB RF response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a FOB if it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unfolds the side mirror and opens the tailgate, so that the operating range of the welcome function and the operating range of the smart tailgate are reduc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done otherwise.

특히, 사용자가 키 포브를 들고 차량 도어핸들을 쪽으로 접근 하면 스마트키 제어부(SMK ECU)는 유효한 포브인지를 확인을 하고 웰컴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어 핸들에 위치한 LF 안테나에서 웰컴 기능 데이터(Welcome light LF command) 송신을 중지한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door handle with the key fob, the smart key control unit (SMK ECU) checks whether the fob is valid and performs a welcome function. Then, the LF antenna located on the door handle stops transmitting the welcome function data (Welcome light LF command).

하지만, 테일 게이트 기능을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Smart tailgate LF command)는 범퍼 LF 안테나를 통해 계속 송신된다. 이때 사용자의 키 포브가 도어 핸들에 근접할 경우, 도어핸들에 유기된 Smart tailgate LF command를 키 포브가 수신하여 RF응답을 하여 사용자에게 키 포브가 테일 게이트(tailgate) 동작 영역에 있음을 알린다. However, tailgate function data (Smart tailgate LF command) for the tailgate function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hrough the bumper LF antenna. At this time, when the user's key fob approaches the door handle, the key fob receives the Smart tailgate LF command induced in the door handle and responds with an RF to notify the user that the key fob is in the tailgate operation area.

이에 따라, 키 포브가 도어핸들 근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테일 게이트 동작 영역 근처에 있다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오작동이 발생한다.Accordingly, a malfunction occurs informing the user that the key fob is near the tailgate operation area even though it is near the door handle.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 핸들에 위치한 LF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세기 신호(RSSI)에 기초하여 테일 게이트 기능과 웰컴 기능의 작동거리를 이원화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dualizing the working distance of a tailgate function and a welcome function based on a reception intensity signal (RSSI) of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transmitted from an LF antenna located on a vehicle door handle. aim to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키 포브(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상기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상기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를 송신하는 범퍼 송수신부; 상기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 및 상기 키 포브로부터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수신하면, 테일 게이트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테일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tailgate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ailgate function data for opening the tailgate of the vehicle when a user with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a bumper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first LF signal including a key fob ID;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for transmitting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confirm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a tailgat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execution of a tailgate function upon receiving a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from the key fob.

상기 제1 RF 응답은, 테일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키 포브에서 수행한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F response is a response signal to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ID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RSSI performed by the key fob in order to perform a tailgate function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 테일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응답에 포함된 상기 키 포브 ID를 등록된 키 포브 ID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등록된 키 포브로 인증되면 테일 게이트의 오픈 동작을 수행하도록 테일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한다.The tailgate controller compares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RF response with a registered key fob ID to authenticate, and controls the tailgate driving unit to perform an open operation of the tailgate when the registered key fob is authenticated. do.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키 포브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 및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RF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키 제어부; 및 상기 제1 RF 응답을 송신하는 RF 송신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key fob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F signal including the key fob ID and the tail gate function data for opening the tail gate of the vehicle and the key fob to confirm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ehicle LF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 smart key control unit controlling to transmit a first RF respons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ID and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a reference RSSI; and an R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first RF response.

상기 스카트키 제어부는, 상기 키 포브 ID가 인증되면,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상기 기준 RSSI를 비교한다.When the key fob ID is authenticated, the smart key control unit compares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with the reference RSSI.

상기 스카트키 제어부는,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상기 기준 RSSI를 비교하여,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 보다 작으면, 상기 제1 RF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The smart key control unit compares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with the reference RSSI, and when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controls to transmit the first RF response.

상기 제1 LF 신호는 상기 차량의 범퍼 LF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것이고,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는 상기 차량의 좌측 도어핸들 LF 안테나 또는 우측 도어핸들 LF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LF signal is received from a bumper LF antenna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received from a left door handle LF antenna or a right door handle LF antenna of the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방법은, 키 포브(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상기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상기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키 포브로부터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수신하면, 테일 게이트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ith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tailgate function data for opening the tailgate of the vehicle and the key fob ID Transmitting a first LF signal comprising; transmitting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to confirm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to the vehicle; and upon receiving a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from the key fob, controlling execution of a tailgate function.

상기 제1 RF 응답은, 테일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키 포브에서 수행한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F response is a response signal to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ID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RSSI performed by the key fob in order to perform a tailgate function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 테일 게이트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RF 응답에 포함된 상기 키 포브 ID를 등록된 키 포브 ID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등록된 키 포브로 인증되면 테일 게이트의 오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ling of the tailgate function may include authenticating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RF response by comparing it with a registered key fob ID, and performing an open operation of the tailgate when the registered key fob is authenticated. includ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방법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 및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RF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LF signal including tailgate function data and a key fob ID for opening the tailgate of the vehicle and a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Receiving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confirming the; and transmitting a first RF respons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key fob ID and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a reference RSSI.

상기 제1 RF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상기 기준 RSSI를 비교하여,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 보다 작으면, 상기 제1 RF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transmitting of the first RF response includes comparing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with the reference RSSI, and controlling to transmit the first RF response when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including the steps of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도어 핸들에 위치한 LF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세기 신호(RSSI)에 기초하여 키 포브가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에 대한 RF 응답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도어 핸들에 유기된 테일 게이트 LF 신호에 의해 테일 게이트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fob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F response to the tailgate function data is based on the reception intensity signal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F antenna located on the vehicle door han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ilgate from malfunctioning by the tailgate LF signal.

또한, 추가적인 하드웨어 구성 필요 없이 간단하게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성능 향상을 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t can be reduced becaus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simply changing the software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hardware configuration.

도 1은 웰컴 기능 동작 영역과, 테일 게이트 기능 동작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왼쪽, 오른쪽 도어핸들, 범퍼 LF안테나가 순차적으로 LF 데이터를 주변으로 송신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포브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포브의 동작 순서도.
1 is a view showing a welcome function operation area and a tail gate function operation area;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s and the bumper LF antenna sequentially transmit LF data to the surroundings.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key f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system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a key f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 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은 범퍼 송수신부(110), 좌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20),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30), 테일 게이트 제어부(140) 및 테일 게이트 구동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tailgate control system 10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mper transceiver 110 , a left door handle transceiver 120 , a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 130 , and a tailgate. It includes a controller 140 and a tail gate driver 150 .

상기 범퍼 송수신부(110)는 키 포브(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는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를 송신한다. The bumper transceiver 110 transmits a first LF signal including tailgate function data for opening a tailgate of the vehicle and a key fob ID when a user with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20,130)는 키 포브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차량의 일부 기기를 작동시키는 웰컴 기능 데이터 및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2 및 제3 LF 신호를 송신한다. 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120 and 130 transmit second and third LF signals including welcome function data and key fob ID for operating some devices of the vehicle when a user with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20,130)는 상기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상기 제2 및 제3 LF 신호에 함께 실어 송신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120 and 130 transmit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confirm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on the second and third LF signals.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20,130)는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상기 제2 및 제3 LF 신호와는 별개의 신호로 송신이 가능하다.Preferably, 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120 and 130 may transmit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s a signal separate from the second and third LF signals.

테일 게이트 제어부(140)는 키 포브(200)로부터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수신하면, 테일 게이트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When the tailgat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from the key fob 200 , the tailgate controller 14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tailgate operation.

예를 들어, 테일 게이트 제어부(140)는 상기 제1 RF 응답에 포함된 상기 키 포브 ID를 등록된 키 포브 ID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등록된 키 포브로 인증되면 테일 게이트의 오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For example, the tailgate control unit 140 compares and authenticates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RF response with a registered key fob ID, and performs an open operation of the tailgate when authenticated with the registered key fob ID. output a control signal.

상기 제1 RF 응답은, 테일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키 포브(200)에서 수행한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대한 응답 신호인 것으로서, 키 포브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The first RF response is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key fob ID and the reference RSSI of the authentication and positioning carrier signal performed by the key fob 200 in order to perform the tail gate function. As a response signal to thi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key fob will be described later along with FIG. 4 .

상기 테일 게이트 구동부(150)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테일 게이트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테일 게이트가 열리도록 동작하거나 닫히도록 동작한다.
The tailgate driver 15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tailgate of the vehicle, and operates to open or close the tailg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tailgate controller 14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포브의 구성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key f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포브(200)는 LF 수신부(210), 스마트키 제어부(220) 및 RF 송신부(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key fob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F receiver 210 , a smart key controller 220 , and an RF transmitter 230 .

상기 LF 수신부(210)는 상기 범퍼 송수신부(11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 LF 신호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20,13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한다.The LF receiver 210 receives the first L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umper transceiver 110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120 and 130 .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상기 제1 LF 신호에 포함된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RF 응답을 RF 송신부(230)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한다.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transmits the first RF response to the RF transmitter ( 230) to control the transmission.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상기 제1 LF 신호와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가 동시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LF 신호에 포함된 키 포브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상기 기준 RSSI를 비교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Whe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LF signal.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ompare RSSI.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키 포브 ID가 인증되는 경우에만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상기 기준 RSSI를 비교한다.For example, 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compares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with the reference RSSI only when the key fob ID is authenticated.

비교 결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보다 작으면, 상기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키 포브가 도어핸들 근처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송신한다.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key fob is not near the door handle and transmits a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do.

따라서, 키 포브는 도어핸들 근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테일 게이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응답을 송신하므로 도어핸들에 유기된 테일 게이트 LF 신호에 의해 테일 게이트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key fob transmits a response for executing the tailgate operation only when it is not located near the door han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ilgate from malfunctioning due to the tailgate LF signal induced in the door handle.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과 상응하는 키 포브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ail gate control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fob will be described in stages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system for controlling a tailg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100)의 범퍼 송수신부(110)는 키 포브(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는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를 송신한다(S510).Referring to FIG. 5 , first, the bumper transceiver 110 of the tailgate control system 100 of the vehicle has a tailgate function that opens the tailgate of the vehicle when a user with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A first LF signal including data and a key fob ID is transmitted (S510).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20,130)는 상기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송신한다(S520).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120 and 130 transmit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confirm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520).

이후, 범퍼 송수신부(110)과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키 포브(200)로부터 수신한다(S530).Thereafter, the bumper transceiver 110 and the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are received from the key fob 200 (S530).

상기 제1 RF 응답을 수신한 테일 게이트 제어부(140)는 상기 제1 RF 응답에 포함된 상기 키 포브 ID를 등록된 키 포브 ID와 비교하여 인증한다(S540).Upon receiving the first RF response, the tailgate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RF response with a registered key fob ID and authenticates (S540).

키 포브 ID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는 기 저장된 키 포브 아이디와 수신된 키 포브 ID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키 포브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1 RF 응답을 재수신한다.The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key fob I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key fob ID and the received key fob ID are identical, and if the key fob ID does not match, the first RF response is re-received.

만약, 인증 결과 수신된 키 포브 ID가 등록된 키 포브로 인증되면, 테일 게이트 제어부(140)는 테일 게이트의 오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550).If, as a result of authentication, the received key fob ID is authenticated as a registered key fob, the tailgate controller 14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n open operation of the tailgate (S55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포브의 동작 순서도이다.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key f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LF 수신부(210)는 상기 범퍼 송수신부(11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1 LF 신호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120,13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한다(S610).Referring to FIG. 6 , first, the LF receiver 210 receives the first L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umper transceiver 110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120 and 130 . do (S610).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상기 제1 LF 신호와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가 동시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LF 신호에 포함된 키 포브 ID를 등록된 키 포브 ID와 비교하여 인증한다(S620).Whe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compares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LF signal with the registered key fob ID and authenticates (S620).

키 포브 ID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는 기 저장된 키 포브 아이디와 수신된 키 포브 ID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키 포브 ID가 인증되는 경우에만, 상기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를 확인한다(S630).The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key fob ID include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viously stored key fob ID and the received key fob ID are identical, and only when the key fob ID is authenticated, 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e location The RSSI of the carrier signal is checked (S630).

그리고, 상기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기준 RSSI를 비교한다(S640).Then, 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compares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with the reference RSSI (S640).

비교 결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보다 작으면, 상기 스마트키 제어부(220)는 키 포브가 도어핸들 근처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송신한다(S650).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the smart key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key fob is not near the door handle and transmits a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do (S6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equivalent to or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키 포브(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상기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상기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를 송신하는 범퍼 송수신부;
상기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좌측 및 우측 도어핸들 송수신부; 및
상기 키 포브로부터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수신하면, 테일 게이트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테일 게이트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RF 응답은, 상기 제1 LF 신호와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가 동시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LF 신호에 포함된 키 포브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기준 RSSI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보다 작은 경우, 키 포브가 도어핸들 근처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전송되는 응답신호인 것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a bumper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first LF signal including tailgate function data for opening a tailgate of the vehicle and a first LF signal including the key fob ID when a user having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left and right door handle transceivers for transmitting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confirm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a tailga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 tailgate function upon receiving a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from the key fob;
The first RF response is, whe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RSSI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LF signal ,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fob is not near the door handle and is transmitted as a respons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응답에 포함된 상기 키 포브 ID를 등록된 키 포브 ID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등록된 키 포브로 인증되면 테일 게이트의 오픈 동작을 수행하도록 테일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
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il gate control unit,
Comparing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RF response with a registered key fob ID for authentication, and controlling the tail gate driver to perform an open operation of the tail gate when authenticated with the registered key fob ID
The vehicle's tailgate control system.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 및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RF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키 제어부; 및
상기 제1 RF 응답을 송신하는 RF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키 제어부는,
상기 제1 LF 신호와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가 동시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LF 신호에 포함된 키 포브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상기 기준 RSSI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보다 작은 경우, 키 포브가 도어핸들 근처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1 RF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키 포브.
an LF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LF signal including tailgate function data and a key fob ID for opening a tailgate of the vehicle and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confirm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 smart key control unit controlling to transmit a first RF respons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ID and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a reference RSSI; and
Including an R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first RF response,
The smart key control unit,
Whe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RSSI are compared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comparison As a result, when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the key fob determines that the key fob is not near the door handle and controls to transmit a first RF respon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F 신호는 상기 차량의 범퍼 LF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것이고,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는 상기 차량의 좌측 도어핸들 LF 안테나 또는 우측 도어핸들 LF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것인 키 포브.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F signal is received from a bumper LF antenna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received from a left door handle LF antenna or a right door handle LF antenna of the vehicle.
키 포브(Key Fob)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 시 상기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상기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키 포브로부터 상기 제1 LF 신호에 대한 제1 RF 응답을 수신하면, 테일 게이트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RF 응답은, 상기 제1 LF 신호와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가 동시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LF 신호에 포함된 키 포브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기준 RSSI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보다 작은 경우, 키 포브가 도어핸들 근처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1 RF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방법.
transmitting a first LF signal including tailgate function data for opening a tailgate of the vehicle and the key fob ID when a user having a key fob approaches the vehicle;
transmitting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to confirm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to the vehicle; and
upon receiving a first RF response to the first LF signal from the key fob, controlling execution of a tailgate function;
The first RF response is, whe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RSSI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LF signal ,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fob is not near the door handle and the control is performed to transmit the first RF response. Wa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게이트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RF 응답에 포함된 상기 키 포브 ID를 등록된 키 포브 ID와 비교하여 인증하고, 등록된 키 포브로 인증되면 테일 게이트의 오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ontrolling the tailgate function comprises:
and comparing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RF response with a registered key fob ID for authentication, and performing an open operation of the tail gate when the registered key fob ID is authenticated. Way.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기능 데이터 및 키 포브 ID를 포함하는 제1 LF 신호 및 키 포브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키 포브 ID의 인증 및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와 기준 RSSI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RF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RF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F 신호와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가 동시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LF 신호에 포함된 키 포브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와 상기 기준 RSSI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위치확인 캐리어 신호의 RSSI가 상기 기준 RSSI보다 작은 경우, 키 포브가 도어핸들 근처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1 RF 응답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방법.
receiving a first LF signal comprising a key fob ID and tailgate function data for opening a tailgate of the vehicle and a positioning carrier signal for ascertain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key fob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a first RF respons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key fob ID and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a reference RSSI,
Transmitting the first RF response comprises:
Whe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and the reference RSSI are compared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key fob ID included in the first LF signal, and the comparison As a result, when the RSSI of the positioning carrier signal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SSI,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fob is not near the door handl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tailgate of the vehicle controls to transmit a first RF response.
삭제delete
KR1020140169666A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KR102303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66A KR102303232B1 (en)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66A KR102303232B1 (en)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46A KR20160065546A (en) 2016-06-09
KR102303232B1 true KR102303232B1 (en) 2021-09-16

Family

ID=5613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666A KR102303232B1 (en)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2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570B1 (en) * 2019-02-26 2020-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099A (en) * 2008-12-03 2010-06-17 Panasonic Corp Radi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2012017558A (en) * 2010-07-06 2012-01-26 Denso Corp Control system
JP2014152511A (en) * 2013-02-07 2014-08-25 Tokai Rika Co Ltd Electronic ke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099A (en) * 2008-12-03 2010-06-17 Panasonic Corp Radi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2012017558A (en) * 2010-07-06 2012-01-26 Denso Corp Control system
JP2014152511A (en) * 2013-02-07 2014-08-25 Tokai Rika Co Ltd Electronic ke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46A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761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9079560B2 (en)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by a vehicle
US9965912B2 (en) On-vehicle apparatus control system, on-vehicl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machine
US9045102B2 (en) System for passive entry and passive start for a motor vehicle
CN110834601B (en) Remote controller,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JP6003938B2 (en) Electronic key system
CN105966353B (en)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er of vehicle and portable machine
US7916021B2 (en) Smart entry system and method
KR20160110100A (en)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machine
JP5423988B2 (en)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s
WO2018003345A1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and occupant detection device
US10431027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and portable device
JP2014061866A (en) Vehicle remote control key variably controlling output of transmission radio signal, an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90064520A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vehicle as well as a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vehicle
US11699313B2 (en) Smart key storage case for vehicle
KR1023032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 gate of vehicles
JP68943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424098B2 (en) Equipment control system
JP2017082407A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KR102303233B1 (en) Smartkey system with the smart tailgate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6284503B2 (en) I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JP2019210726A (en) Control system
KR101459037B1 (en) Door Control System By Using Low Power Radio Waves and Door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038776A1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12132222A (en) On-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vehicl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