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64B1 -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64B1
KR102301064B1 KR1020190113913A KR20190113913A KR102301064B1 KR 102301064 B1 KR102301064 B1 KR 102301064B1 KR 1020190113913 A KR1020190113913 A KR 1020190113913A KR 20190113913 A KR20190113913 A KR 20190113913A KR 102301064 B1 KR102301064 B1 KR 10230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user
transaction
user terminal
lo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192A (ko
Inventor
테루이 슈이츠
Original Assignee
디디이핀테크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디이핀테크코리아 (주) filed Critical 디디이핀테크코리아 (주)
Publication of KR2020014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소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사용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거래소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사용처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결제, 환전, 이체, 쇼핑 및 대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메인 서버; 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SYSTEM FOR TRANSACTING ELECTRONIC MONEY INCLUDING PAY}
본 발명은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개입시킨 거래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어 전자 상거래에서는 신용카드(credit card)나 전자 화폐에 의한 전자결제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 시장 경제에서 온라인 직구와 역직구는 엄청난 거래 증가량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국제간 송금 및 결제 시스템의 완벽한 연동이 힘들어 국내 사업자의 중국진출에 많은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국제 통화라는 특수성보다는 전자결제를 위한 중국내 전자 화폐의 이용률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고 이를 뒷받침하여 구현되는 서비스와 기술이 미비하여 국내 사업자가 이를 활용하여 국제간 무역 소거래나 혹은 역직구 사이트를 구축하는데 있어 장애로 발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국진출의 큰 장벽이 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보편화된 전자 화폐를 이용하여 중국 소비자의 결제의 수월성과 함께 접근성을 확보한다면, 중국 진출이 한결 용이해지고 성공적인 진출 교두보를 확보하는데 있어 큰 기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과의 FTA로 점차 시장은 넓어지고 보다 많은 수출입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우리가 시장 확장과 수요창출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하기 위해서는 페이를 바탕으로 국내 은행과의 제휴를 통해 에스크로 기능이 적용된 국제 송금 및 결제 시스템으로 구현이 되어야 국제간 결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전자 화폐인 페이를 거래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자산 관리, 결제, 환전, 이체, 쇼핑 및 대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화폐와 상기 가상 화폐 간 거래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소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사용처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거래소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사용처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결제, 환전, 이체, 쇼핑 및 대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메인 서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래소 서버는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가 거래되는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거래소 서버에 연동되는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소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 화폐가 거래되는 환경 및
상기 전자 화폐와 상기 가상 화폐 간 거래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처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해 상품에 대한 거래를 요청 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화폐를 전달받고, 상기 처리부는 사용처 단말에서 요청 시, 상기 전자 화폐를 실물 화폐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처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해 상품에 대한 거래를 요청 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실물 화폐를 전달받고, 상기 메인 서버의 처리부는, 상품 거래 시점에서 상기 상품의 가치에 상응하는 전자 화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금하고, 상기 상품 거래 시점에서 상기 상품의 가치에 상응하는 실물 화폐를 상기 사용처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전자 화폐를 소유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출 신청 정보를 수신하면 7단계 대출 심사를 진행하고, 대출이 승인되면, 복수의 투자자로부터 투자 받은 투자금 중 유효한 실물 화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어플리케이션에는 메신저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참여한 메신저 대화에서 기 설정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키워드 인식을 트리거 명령으로 하여 적어도 두 사용자 단말 간 P2P 거래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화폐인 페이를 거래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자산 관리, 결제, 환전, 이체, 쇼핑 및 대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화폐와 상기 가상 화폐 간 거래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메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산을 관리해주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자 화폐를 통한 송금, 환전 또는 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자 화폐를 통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자 화폐를 통한 결제 및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직불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메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은 거래소 서버, 메인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사용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는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가 거래되는 환경 및 블록체인 기반 가상 화폐가 거래되는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거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통해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여, 전자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거래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자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거래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소 서버는 상기 전자 화폐와 상기 가상 화폐 간 거래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거래소 서버를 통해, 자신의 현금으로 전자 화폐와 가상 화폐를 구매하거나 판매하여 현금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화폐는 법에 의해 발행 허가를 받은 화폐로, 안정적이고 자금보호가 보장되는 법정 화폐이며, 카카오 페이, 삼성 페이, 구글 페이, 알리 페이, 위챗 페이 등으로 명칭되는 복수의 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 화폐는 페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자 화폐는 공동 전자 화폐 규격(common electronic purse specifications)을 만족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화폐는 화폐적 가치가 어떻게 저장되었는가에 따라서 IC카드형과 네트워크형으로 나뉜다. IC카드형 전자 화폐는 전자지갑형 전자 화폐라고 한다. IC카드에 전자적 방법으로 은행예금의 일부를 옮겨 단말기 등으로 현금처럼 지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IC카드형 전자 화폐는 네트워크형과 호환되지 않으면 전자상거래에서는 쓸 수 없다.
네트워크형 전자 화폐는 가상은행이나 인터넷과 연결된 고객의 컴퓨터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대금결제에 사용하는 형태의 지급결제방식으로 다시 현금형, 신용카드형, 수표형으로 세분된다. 최근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형 전자 화폐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으며 IC형과 네트워크형 전자 화폐가 통합되기도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지불 방식을 완전히 네트워크 상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캐시 방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가상 화폐는 각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발권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비용으로 지불되는 통용 화폐와 달리, 특정 국가의 발권력과 상관없이 소정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채굴하거나 거래할 수 있는 가상의 화폐를 통칭한다.
이러한, 가상 화폐들은 대부분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블록체인은 금융 거래 기록을 중앙 서버에서 관리하는 종래와 달리 중앙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사용자들에게 거래내역을 공유하면서 거래 때마다 대조해 위조를 방지하는 방식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리플과 같은 가상화폐는 전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내역을 보내고,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의 위조를 막는다.
여기서 블록(Block)이란 각종 거래정보가 모아진 형태를 의미하고 이 블록을 통해 이중 결제 및 위조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거래소 서버에서는 전자 화폐와 가상 화폐 사이의 거래, 전자 화폐와 전자 화폐 사이의 거래, 가상 화폐와 가상 화폐 사이의 거래, 전자 화폐와 실물 화폐 사이의 거래 및 가상 화폐와 가상 화폐 사이의 거래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거래소 서버에서는 기축 통화로 설정될 거래소 자체 전자 화폐 및 거래소 자체 가상 화폐를 설정하거나, 메인넷을 통해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거래소 자체 전자 화폐 및 거래소 자체 가상 화폐를 통해 거래를 진행할 경우, 수수료 인하, 포인트 지급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메인 서버는 거래소 서버에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자산 관리, 결제, 환전, 이체, 쇼핑 및 대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서버는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 사용처 단말 및 거래소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는 사용자 단말, 사용처 단말 및 거래소 서버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자산 관리, 결제, 환전, 이체, 쇼핑 및 대출 서비스를 처리하고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산을 관리해주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컨대, 도 3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의 처리부는 거래소 서버에 가입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 가공할 수 있고, 투자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여, 이를 매칭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산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처리부는 자산관리를 통하여, 거래소 이용을 활성화하여 개인 및 다수의 이윤을 창출하고 온라인의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보험, 주식 및 은행에서 사용되는 자산관리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자산을 관리 클라우드 펀딩, P2P 대출 등 자산관리 시스템이 개인의 재정과 목적에 맞는 투자처를 제공하여, 투자를 통한 성공 수수료는 메인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의 이익으로 전환하여 운영 회사의 입장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처리부는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재정과 목적에 맞는 투자처를 제공하여 사용자 자산을 클라우드 펀딩, P2P 대출 등에 투자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는 투자를 통한 성공 수수료를 시스템 운영 회사의 이익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처리부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 및 기준에 따라 투자처를 선정하고 투자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처리부에서 1차적으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 및 기준에 따라 투자처를 선정하고 투자 시기를 결정한 후, 임의의 전문가 집단에 최종 투자 승인을 요구할 수 있으며, 전문가 집단에서 과반수 이상으로 해당 투자에 대해 승인하면 처리부는 최종 투자 승인 여부에 따라 투자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자 화폐를 통한 송금, 환전 또는 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4을 참조하면, 처리부는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인증 및 보안을 향상시키고, 국가간 수요자를 매칭함으로써, 송금, 환전 및 출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는 Pairing 기법을 통해, 각 국가간 수요자를 매칭해 필요한 통화로 교환할 수 있다.
예컨대, 달러를 원화로 교환하길 희망하는 사용자와 원화를 달러로 교환하길 희망하는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매칭해 상호간 통화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는 암호화를 통해 통화 교환을 승인하고, 이후 통화 교환을 희망하는 적어도 두 사용자 각각의 전자서명 정보를 수신한 후, 각 전자서명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없을 시, 상호간 송금을 승인하여 송금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사용자는 통화 교환의 수수료를 자신이 소유한 전자 화폐로 지불할 수 있고, 처리부는 통화 교환 수수료를 시스템 운영 회사의 이익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Pooling 기법을 통해, 다수의 소액 송금을 모아 하나의 송금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송금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여러 명이 나눠서 부담해 개인별 수수료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Netting 기법을 통해, 대리점별 거래내역을 상계 처리하여 정산할 수 있다.
여기서, 네팅(Netting)은 보낼 돈과 받은 돈을 상계처리 하는 개념으로 외화송금 서비스를 진행한다. 불법 환치기를 대체하는 합법적인 송금 방식으로,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빠른 송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자 화폐를 통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처리부는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담보로 하고,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기반으로 대출 시점에 전자 화폐의 가치의 대략 70%정도의 실물 화폐(현금)을 사용자에게 대출하는 대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 중 대출에 담보 잡힌 전자 화폐는 락이 설정되어, 대출 만기 기한 까지 사용자가 임의로 매도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대출 만기 시점에 대출금을 완납하지 못하면, 담보 잡힌 전자 화폐는 처리부에서 임의로 매도하여, 대출금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는 전자 화폐를 소유한 특정 사용자의 대출 신청 정보를 수신한 후, 특정 사용자의 대출 신용을 조회하고, 대출 신청 정보 상의 대출 금액, 상환 방식 및 대출 목적 등의 정보를 판단하여, 대출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이자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 대출에 따른 이자를 자동 계산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는 NICE 신용 평정 심사, 재정평가 심사, 부채정보 심사, 개인&기업 정보 심사, 증빙서류 심사, 자체 신용점수 심사 및 자체 평가 심사를 포함하는 7단계 심사를 통해 사용자 대출 심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는 대출 심사를 통과한 특정 사용자의 대출 건에 대해 P2P 투자자 모집을 게시하고, 온라인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온라인 투자자들에게 적정한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정한 보상은 시스템에서 운영중인 전자화폐일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자 화폐를 통한 결제 및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6를 참조하면, 처리부는 쇼핑몰 또는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 제휴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해 해당 업체에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서비스는 P2P, O2O, B2C, B2B 간 다양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 또는 특정 이벤트나 거래를 통해 획득한 별도의 포인트를 재화로 가치를 인정하여,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생활잡화에서 여행 서비스까지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러한 결제 서비스는 메인 서버 운영 회사에 수익을 남기기 위한 수익 모듈이 아니라, 회원 유치 및 홍보를 위한 이벤트 성으로 제휴 업체에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거래되는 금액 중 최저일 수 있다.
한편, 제휴 업체는 사용처 단말을 소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결제 시, 사용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전자 화폐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거래에 따른 수수료를 메인 서버 측에서 보상 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처 단말에서 전자 화폐에 대한 환전을 요청하는 경우, 처리부에서는 요청한 전자 화폐에 대해 실물 화폐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거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거래소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거래를 수행할 수 있으며, 거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신의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간 채팅이 가능한 메신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는 실시간 번역이 제공될 수 있어, 전세계 누구 와도 언어의 장벽없이 의사 소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거래소 서버에 접속할 수 있어 상술한 거래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메신저를 통해 P2P 방식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는 P2P 방식의 거래에서 거래 중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신저 상에서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가 거래를 수행할 경우, 처리부는 제1사용자로부터 전자 화폐를 입금 받고, 제2사용자로부터 실물 화폐를 입금 받아 두 사용자 간의 입금이 완료되면, 제1사용자에게 실물 화폐를 지급하고, 제2사용자에게 전자 화폐를 지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메신저 상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특정 키워드를 통해 P2P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은 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기 설정된 특정 키워드 및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메신저에 기록되는 대화 중에서 기 설정된 특정 키워드를 인식하면, 해당 키워드를 기반으로 P2P 거래의 트리거를 실행할 수 있고, 트리거가 실행되면 이후, 두 사용자 간 P2P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즉, 거래 어플리케이션에는 메신저가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참여한 메신저 대화에서 기 설정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경우, 키워드 인식을 트리거 명령으로 하여 적어도 두 사용자 단말 간 P2P 거래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직불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9을 참조하면,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직불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에서는 거래소 회원을 대상으로 거래 내역을 기준으로 회원 등급을 설정하고, 상위 등급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직불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직불 카드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전자 지갑에 소유한 전자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실물 화폐로 전환하는 방식을 통해, ATM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직불 카드는 수수료가 제로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직불 카드로 특정 가맹점에서 거래를 진행할 시, 가맹점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수수료 명목의 전자 화폐를 적립해줄 수 있다.
가맹점 단말에 적립된 전자 화폐는 가맹점의 요청하는 시점에 실물 화폐로 전환하여 지급될 수 있다.
한편, 직불카드를 발급받은 사용자는 전 세계 모든 매장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은행 계좌가 없는 경우에도 자신이 보유한 전자화폐 또는 가상화폐를 통해 실물 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자신의 전자 지갑에 소유한 전자 화폐 또는 가상 화폐를 실물 화폐로 전환하는 과정에서는 전자 화폐 또는 가상 화폐의 실시간 시세를 반영하여야 한다.
여기서, 실물 화폐로 전환에 사용되는 가상화폐는 가치변동이 매우 작은 기축 화폐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치 변동이 거의 없는 전자화폐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전자화폐에 대해서는 가치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시스템을 운영하는 회사측에서 부담할 수 있다.
예컨대, 직불카드를 이용해 거래를 진행하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 거래 시점에 상품의 거래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를 사용자의 지갑에서 출금하여 메인 서버 측에 입금할 수 있으며, 상품의 거래금액에 상응하는 실물화폐를 메인 서버 측에서 판매자 측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거래 시점을 기준으로 시세를 반영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전자화폐를 실물화폐와 같이 거래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소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사용처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거래소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사용처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한 결제, 환전, 이체, 쇼핑 및 대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메인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는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가 거래되는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거래소 서버에 연동되는 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거래소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 화폐가 거래되는 환경 및
    상기 전자 화폐와 상기 가상 화폐 간 거래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를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인증 및 보안을 향상시키고, 국가간 수요자를 매칭함으로써, 송금, 환전 및 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처리부는 Pairing 기법을 통해, 각 국가간 수요자를 매칭해 필요한 통화로 교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Pooling 기법을 통해, 다수의 소액 송금을 모아 하나의 송금으로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Netting 기법을 통해, 대리점별 거래내역을 상계 처리하여 정산하고,
    상기 처리부는, 전자 화폐를 소유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출 신청 정보를 수신하면 7단계 대출 심사를 진행하고, 대출이 승인되면, 복수의 투자자로부터 투자 받은 투자금 중 유효한 실물 화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 화폐 중 대출에 담보 잡힌 전자 화폐는 락을 설정하여, 대출 만기 기한 까지 사용자가 임의로 매도할 수 없는 상태로 설정하고, 대출 만기 시점에 대출금을 완납하지 못하면, 담보 잡힌 전자 화폐는 임의로 매도하여, 대출금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부는 거래소 회원을 대상으로 거래 내역을 기준으로 회원 등급을 설정하고,
    상위 등급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직불 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직불 카드는 수수료가 제로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직불 카드로 특정 가맹점에서 거래를 진행할 시, 가맹점에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수수료 명목의 전자 화폐를 적립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소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 화폐가 거래되는 환경 및
    상기 전자 화폐와 상기 가상 화폐 간 거래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해 상품에 대한 거래를 요청 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 화폐를 전달받고,
    상기 처리부는 사용처 단말에서 요청 시, 상기 전자 화폐를 실물 화폐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처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소유한 전자 화폐를 통해 상품에 대한 거래를 요청 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실물 화폐를 전달받고,
    상기 메인 서버의 처리부는,
    상품 거래 시점에서 상기 상품의 가치에 상응하는 전자 화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금하고,
    상기 상품 거래 시점에서 상기 상품의 가치에 상응하는 실물 화폐를 상기 사용처 단말에 전달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전자 화폐를 소유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출 신청 정보를 수신하면 7단계 대출 심사를 진행하고,
    대출이 승인되면, 복수의 투자자로부터 투자 받은 투자금 중 유효한 실물 화폐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어플리케이션에는 메신저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참여한 메신저 대화에서 기 설정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키워드 인식을 트리거 명령으로 하여 적어도 두 사용자 단말 간 P2P 거래 이벤트를 진행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KR1020190113913A 2019-06-14 2019-09-17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KR102301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0506 2019-06-14
KR1020190070506 2019-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92A KR20200143192A (ko) 2020-12-23
KR102301064B1 true KR102301064B1 (ko) 2021-09-14

Family

ID=7408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913A KR102301064B1 (ko) 2019-06-14 2019-09-17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0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353B1 (ko) * 2017-01-31 2018-07-17 권양호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406A (ko) * 2000-05-10 2001-11-23 지한준 가상 화폐 발행 및 거래를 통한 사이버 머니 통합 처리시스템
KR101119422B1 (ko) * 2009-06-16 2012-0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화폐를 이용한 쇼핑 구매금액 결제 시스템 및 쇼핑 구매금액 결제 방법
JP6609627B2 (ja) * 2014-10-27 2019-11-20 フェイスブック,インク. メッセージベースのコンテキスト・プロンプトを使用した支払いの送信および受信の促進
KR20190021139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블록체인을 갖는 전자화폐를 통해 대출을 진행하는 대출관리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353B1 (ko) * 2017-01-31 2018-07-17 권양호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92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hn et al. Why pay? An introduction to payments economics
Winn Clash of the titans: regulating the competition between established and emerging electronic payment systems
US117347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math-based currency exchange
RU2679532C1 (ru) Система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расчетного сервиса
JP2007286697A (ja) 支払い処理支援装置及び支払い処理支援方法
Garratt CAD-coin versus Fedcoin
Johnson et al. Payment Systems, Monetary Policy and the Role of the Central Bank
CN112912917A (zh) 利用区块链技术的不动产交易及加密货币交易系统及方法
Carbó Valverde et al. Payment systems in the US and Europe: efficiency soundness and challenges
US2022023757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cess payments and money remittances nearly instantaneously without using financial intermediaries or bank accounts by using a stable cryptocurrency and unconventional cryptocurrency distribution methods
Bofinger et al. CBDC: Can central banks succeed in the marketplace for digital monies?
Ozuru et al. The use of traditional payments and electronic payment systems in Nigeria: A discourse
Yablonsky E-finance innovation services in Russia
Mathison Increasing the outreach and sustainability of microfinance through ICT innovation
US20190318333A1 (en) Real-time network processing nucleus
US8245939B2 (en) Investing funds from pre-paid payment accounts
CN106127578A (zh) 一种用区块链来表现有价证券流通的方法
Wronka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BDC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traditional banking and monetary policy: an initial analysis
US20190172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Digital Currency Issuance, Secure Transfer and De-Issuance
KR102301064B1 (ko) 페이를 포함하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Alam et al. Development of E-banking in Bangladesh: A Survey Study
KR20000059057A (ko) 가상 개인 계좌 및 상기 가상 개인 계좌를 이용한 거래시스템
Ueda et al. Design of a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in a Highly Dollarized Emerging Market Economy: The Case of Cambodia
Gupta et al. Banking Reforms in India with Special Reference to Digital Banking
Akhtaruzzaman et al. Developing a Common Platform for the Digital Payment System in the SAARC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