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429B1 -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429B1
KR102295429B1 KR1020190131557A KR20190131557A KR102295429B1 KR 102295429 B1 KR102295429 B1 KR 102295429B1 KR 1020190131557 A KR1020190131557 A KR 1020190131557A KR 20190131557 A KR20190131557 A KR 20190131557A KR 102295429 B1 KR102295429 B1 KR 10229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vac module
air volume
outlet
mo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7672A (en
Inventor
김진화
손희태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429B1/en
Publication of KR2021004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85Means for monitoring, testing or servicing th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풍량 제어 방법은 후방 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전방 HVAC 모듈과 발 토출구와 컨솔 토출구를 구비하는 후방 HVAC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HVAC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온 상태에서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때를 가정하여 설정된 전방 단독 풍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단독 풍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단독 풍량과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때를 가정하여 설정된 후방 단독 풍량에 미리 설정된 반영률을 곱해서 얻어지는 후방 보정 풍량의 합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air volume control method can be applied to a vehicle HVAC system including a front HVAC module having a rear foot outlet and a rear HVAC module having a foot outlet and a console outlet, wherein the rear HVAC module is turned on when the front HVAC module is turned on Determining whether the state is in the state, if the rear HVAC module is not in an on state, setting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to the front single air volume set assuming that the front HVAC module operates alone, the rear HVAC module judging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is in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 when in the on state, and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not in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is set to the front alone air volume setting, and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in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is set in advance on the assumption that the front single air volume and the rear HVAC module operate alone. and setting it to the sum of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et reflection factor.

Description

차량용 4존 HVAC의 풍량 제어를 위한 풍량 산출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본 발명은 전방 좌측 존, 전방 우측 존, 후방 좌측 존, 후방 우측 존의 네 개의 존에서 독립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HVAC의 풍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of an HVAC for a vehicle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four zones: a front left zone, a front right zone, a rear left zone, and a rear right zone.

독립 4존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HVAC은 전방 좌측 존, 전방 우측 존, 후방 좌측 존, 후방 우측 존에서 조화 공기의 온도와 풍량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vehicle HVAC capable of independent 4-zone control is configured so that the temperature and air volume of the conditioning air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in the front left zone, front right zone, rear left zone, and rear right zone.

통상 4존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HVAC 모듈은 전방 HVAC 모듈과 후방 HVAC 모듈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방 및 후방 HVAC 모듈을 위한 두 개의 제어 로직이 구성되어야 한다. 별도의 제어 로직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어 로직의 개발 비용이 큰 문제가 있다.In general, since the vehicle HVAC module capable of 4-zone control includes a front HVAC module and a rear HVAC module, two control logics for the front and rear HVAC modules must be configured. Since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 separate control logi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velopment cost of the control logic is large.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761 (공개일자: 2018년06월21일)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7761 (published date: June 21, 2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일의 제어 로직에 의해 전방 및 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제어할 수 있는 HVAC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HVAC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air volume of the front and rear HVAC modules by a single control logi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방법은 후방 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전방 HVAC 모듈과 발 토출구와 컨솔 토출구를 구비하는 후방 HVAC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HVAC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온 상태에서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때를 가정하여 설정된 전방 단독 풍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단독 풍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단독 풍량과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때를 가정하여 설정된 후방 단독 풍량에 미리 설정된 반영률을 곱해서 얻어지는 후방 보정 풍량의 합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air volum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vehicle HVAC system including a front HVAC module having a rear foot outlet and a rear HVAC module having a foot outlet and a console outlet, and the front HVAC module is in an on state judging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is in the on state, and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not in the on state, setting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to the front single air volume set assuming that the front HVAC module operates alone judging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is in a mode using the foot outlet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in an on state, and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not in a mode using the foot outlet, setting the air volume to the front single air volume, and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in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is assumed when the front single air volume and the rear HVAC module operate alone and setting as the sum of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et rear single air volume by a preset reflection factor.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 중 발 모드인 경우 상기 후방 보정 풍량은 상기 후방 단독 풍량에 제1 반영률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When the rear HVAC module is a foot mode among modes using the foot outlet,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ear single air volume by a first reflection factor.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두 중 바이레벨 모드인 경우 상기 후방 보정 풍량은 상기 후방 단독 풍량에 상기 제1 반영률보다 작은 제2 반영률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When the rear HVAC module is in the bi-level mode among all using the foot outlet,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ear single air volume by a second reflection rate smaller than the first reflection rate.

상기 제1 반영률은 70%이고 상기 제2 반영률은 30%일 수 있다.The first reflection rate may be 70% and the second reflection rate may be 30%.

상기 전방 HVAC 모듈과 상기 후방 HVAC 모듈은 단일의 블로워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The front HVAC module and the rear HVAC module may be operated by a single blower.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제어 로직에 의해 전방 및 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volume of the front and rear HVAC modules by a single control logic.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전방 HVAC 모듈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후방 HVAC 모듈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VAC 시스템의 풍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ront HVAC module to which an air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ar HVAC module to which the air fl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volume of an HVAC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HVAC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HVAC 시스템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방 HVAC 모듈(1) 및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후방 HVAC 모듈(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HVAC 모듈(1)과 후방 HVAC 모듈(2)은 별도의 블로워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HVAC 모듈(1)에서 후방 좌석으로 보내는 조화 공기의 풍량이 후방 HVAC 모듈(2)의 작동과 연계하여 조절될 수 있다.The air volum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control an HVAC system of a vehicle. The HVAC system may include a front HVAC module 1 exemplarily shown in FIG. 1 and a rear HVAC module 2 exemplarily shown in FIG. 2 , a front HVAC module 1 and a rear HVAC module 2 . ) can be operated by a separate blow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air conditioning air sent from the front HVAC module 1 to the rear seat may be adjusted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ar HVAC module 2 .

도 1을 참조하면, 전방 HVAC 모듈(1)은 조화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방 HVAC 모듈(1)은 좌측 사이드 토출구(11), 좌측 중앙 토출구(12), 우측 중앙 토출구(13), 우측 사이드 토출구(14), 좌측 발 토출구(15), 우측 후방 발 토출구(16), 우측 발 토출구(17), 우측 후방 발 토출구(18), 디프로스트 토출구(1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은 운전석 쪽을 의미하고 우측은 조수석 쪽을 의미한다. 전방 HVAC 모듈(1)은 두 개의 존(zone), 즉 운전석(좌측) 존과 조수석(우측) 존의 온도, 풍량, 풍향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존의 요소인 좌측 사이드 토출구(11), 좌측 중앙 토출구(12), 좌측 발 토출구(15), 좌측 후방 발 토출구(16)로 토출되는 조화 공기가 복수의 모드, 예를 들어 벤트 모드(Vent Mode),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 발 모드(Foot Mode), 디포그 모드(Defog Mode), 디프로스트 모드(Defrost Mode), 트라이레벨 모드(Tri-Level Mode), 하이레벨 모드(Hi-Level 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이와 독립적으로 우측 존의 요소인 우측 중앙 토출구(13), 우측 사이드 토출구(14), 우측 발 토출구(17), 우측 후방 발 토출구(18)로 토출되는 조화 공기가 상기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조화 공기의 온도는 전방 HVAC 모듈(1)에 구비되는 증발기, 히터 코어 등을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조화 공기의 풍량은 전방 HVAC 모듈(1)의 블로워 모터의 단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각 토출구로 토출되는 조화 공기는 단일의 블로워에 의해 유발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토출된다. 또한 각 토출구에는 조화 공기의 토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각각 배치되며, 밸브의 개도율에 의해 토출 풍량이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ront HVAC module 1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For example, the front HVAC module 1 has a left side outlet 11 , a left center outlet 12 , a right center outlet 13 , a right side outlet 14 , a left foot outlet 15 , and a right rear foot outlet 16 , a right foot outlet 17 , a right rear foot outlet 18 , and a defrost outlet 19 . Here, the left means the driver's side and the right means the passenger's side. The front HVAC module 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emperature, air volume, and wind direction of two zones, ie, a driver's seat (left) zone and a passenger's seat (right) zone,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For example, the conditioned air discharged to the left side outlet 11 , the left center outlet 12 , the left foot outlet 15 , and the left rear foot outlet 16 which are elements of the left zone may be operated in a plurality of modes, for example, Vent Mode, Bi-Level Mode, Foot Mode, Defog Mode, Defrost Mode, Tri-Level Mode,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y one of the Hi-Level Modes, and independently of this, the right center outlet 13, right side outlet 14, and right foot outlet 17, which are elements of the right zone , the conditioned air discharged to the right rear foot outlet 18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of the conditioned air may be adjusted through an evaporator, a heater core, etc. provided in the front HVAC module 1 , and the air volume of the conditioned air may be adjusted by the number of stages of the blower motor of the front HVAC module 1 . At this time, the conditioning air discharged to each discharge port is discharged by an air flow caused by a single blower. In addition, a valve for controlling a discharge air volume of the conditioned air is disposed at each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air volume may be determined by an opening rate of the valve.

도 2를 참조하면, 후방 HVAC 모듈(2) 역시 조화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후방 HVAC 모듈(2)은 좌측 B필러 토출구(21), 좌측 컨솔 토출구(22), 우측 컨솔 토출구(23), 우측 B필러 토출구(24), 좌측 발 토출구(25), 우측 발 토출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HVAC 모듈(2)의 좌측 존의 요소인 좌측 B필러 토출구(21), 좌측 컨솔 토출구(22), 좌측 발 토출구(25)로 토출되는 조화 공기는 복수의 모드, 예를 들어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발 모드, ATC 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이와 독립적으로 우측 존의 요소인 우측 컨솔 토출구(23), 우측 B필러 토출구(24), 우측 발 토출구(26)로 토출되는 조화 공기도 상기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각 토출구에는 조화 공기의 토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각각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rear HVAC module 2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s through which 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For example, the rear HVAC module 2 has a left B-pillar outlet 21, a left console outlet 22, a right console outlet 23, a right B-pillar outlet 24, a left foot outlet 25, and a right foot. It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26 . The conditioned air discharged to the left B-pillar outlet 21, the left console outlet 22, and the left foot outlet 25, which is an element of the left zone of the rear HVAC module 2, is operated in a plurality of modes, for example, a vent mode, a bi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y one of level mode, foot mode, and ATC foot mode, and independently of this, the right console outlet 23, right B-pillar outlet 24, and right foot outlet 26 are elements of the right zone. ) may also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y one of the above modes. At this time, a valv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of the conditioned air is disposed at each outlet.

차량용 HVAC 시스템의 전방 HVAC 모듈(1)과 후방 HVAC 모듈(2)은 두 개의 존, 즉 좌측 존(운전석 측 존) 및 우측 존(조수석 측 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의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 HVAC 모듈(1)과 후방 HVAC 모듈(2)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HVAC 시스템은 네 개의 존, 즉 전방 좌측 존, 전방 우측 존, 후방 좌측 존, 후방 우측 존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HVAC 모듈(1)에 의해 전방 좌측 존은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발 모드, 디포그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 트라이레벨 모드, 하이레벨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될 수 있고, 전방 HVAC 모듈(1)에 의해 전방 우측 존은 전방 좌측 존과 별도로 이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후방 HAVC 모듈(2)에 의해 후방 좌측 존은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될 수 있고, 후방 HVAC 모듈(2)에 의해 후방 우측 존은 후방 우측 존과 별도로 이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HVAC 모듈(2)의 작동 모드 중 바이레벨 모드와 발 모드는 후방 HVAC 모듈(2)의 발 토출구(25, 26)를 사용하는 모드이며, 바이레벨 모드는 발 토출구(25, 26)와 컨솔 토출구(22, 23) 양자로 조화 공기가 토출되는 모드이며 발 모드는 발 토출구(25, 26)로만 조화 공기가 토출되는 모드이다.The front HVAC module (1) and the rear HVAC module (2) of the in-vehicle HVAC system can each independently operate in multiple modes in two zones: the left zone (driver's side zone) and the right zone (passenger's side zone), Also, the front HVAC module 1 and the rear HVAC module 2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reby, the HVAC system can independently control four zones, namely, a front left zone, a front right zone, a rear left zone, and a rear right zone. For example, by the front HVAC module 1, the front left zone can be operated in any one of vent mode, bi-level mode, foot mode, defog mode, defrost mode, tri-level mode, and high-level mode, The HVAC module 1 allows the front right zone to operate in any of these modes separately from the front left zone. On the other hand, by the rear HAVC module 2, the rear left zone can be operated in any one of vent mode, bi-level mode, and foot mode, and by the rear HVAC module 2, the rear right zone can be operated in these modes separately from the rear right zone. Either one can work. Here, among the operating modes of the rear HVAC module 2, the bi-level mode and the foot mode are modes using the foot outlets 25 and 26 of the rear HVAC module 2, and the bi-level mode includes the foot outlets 25 and 26 and The 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from both the console outlets 22 and 23 , and the foo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only from the foot outlets 25 and 26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VAC 시스템의 풍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며,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풍량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풍량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HVAC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volume of an HVAC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volum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 Each step of the air volume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HVAC system.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전방 HVAC 모듈(1)이 온(on) 상태인지가 판단되며(S1), 전방 HVAC 모듈(1)이 온 상태이면 후방 HVAC 모듈(2)이 온 상태인지가 판단된다(S2).First, referring to FIG. 3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ront HVAC module 1 is in an on state (S1), and if the front HVAC module 1 is in an on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2 is in an on state becomes (S2).

S2 단계에서 후방 HVAC 모듈(2)이 온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즉 전방 HVAC 모듈(1)은 온 상태이고 후방 HVAC 모듈(2)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방 HVAC 모듈(1)의 풍량은 전방 HVAC 모듈(1)이 단독으로 작동할 시의 풍량(a)으로 설정된다(S3). 여기서 전방 HVAC 모듈(1)이 단독으로 작동할 시 풍량(a)은 후방 HVAC 모듈(2)은 작동하지 않고 전방 HVAC 모듈(1)만 작동하는 상태를 가정하여 미리 설정된 풍량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 that the rear HVAC module 2 is not in the on state,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HVAC module 1 is in the on state and the rear HVAC module 2 is in the off state, the The air volume is set to the air volume a when the front HVAC module 1 operates alone (S3). Here, when the front HVAC module 1 operates alone, the air volume a is a preset air volume assuming that the rear HVAC module 2 does not operate and only the front HVAC module 1 operates.

한편, S2 단계에서 후방 HVAC 모듈(2)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즉 전방 HVAC 모듈(1)과 후방 HVAC 모듈(2) 모두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후방 HVAC 모듈(2)이 발 토출구(25, 26)를 사용하는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24). 여기서 발 토출구(25, 26)를 사용하는 모드는 후방 HVAC 모듈(2)의 작동 모드 중 발 토출구(25, 26)와 컨솔 토출구(22, 23)를 동시에 사용하는 바이레벨 모드 및 발 토출구(25, 26)만을 사용하는 발 모드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2 that the rear HVAC module 2 is in the on state,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front HVAC module 1 and the rear HVAC module 2 are in the on state, the rear HVAC module 2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de is in which the outlets 25 and 26 are used (S24). Here,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s 25 and 26 is a bi-level mode using the foot outlets 25 and 26 and the console outlets 22 and 23 simultaneously among the operating modes of the rear HVAC module 2 and the foot outlet 25 , 26) may be in the foot mode only.

S4 단계에서 후방 HVAC 모듈(2)이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전방 HVAC 모듈(1)의 풍량을 상기한 전방 HVAC 모듈(1)이 단독으로 작동할 시의 풍량(a)으로 설정된다(S5).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 that the rear HVAC module 2 is not in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1 is set as the air volume when the front HVAC module 1 operates alone (a) is set to (S5).

한편, S4 단계에서 후방 HVAC 모듈(2)이 발 토출구(25, 26)를 사용하는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후방 HVAC 모듈(2)이 발 모드인지가 판단된다(S6). S6 단계에서 전방 HVAC 모듈(1)의 풍량을 상기한 전방 HVAC 모듈(1)이 단독으로 작동할 시의 풍량(a)과 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시의 풍량에 미리 설정된 제1 반영률을 곱해서 얻어지는 후방 보정 풍량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S7).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1 반영률은 70%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 that the rear HVAC module 2 is in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s 25 and 2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2 is in the foot mode (S6). In step S6,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1 is set in advance to the air volume a when the front HVAC module 1 operates alone and the air volume when the rear HVAC module 1 operates alone. It may be set as the sum of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obtained by multiplying (S7). Here, the preset first reflection rate may be 70%.

한편, S6에서 후방 HVAC 모듈(2)이 발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후방 HVAC 모듈(2)이 바이레벨 모드인지가 판단된다(S8).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HVAC 모듈(2)의 모드 중 두 개의 모드, 발 모드 및 바이레벨 모드가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이기 때문에, S8 단계의 판단은 항상 긍정이 된다. 이 경우 전방 HVAC 모듈(2)의 풍량은 상기한 전방 HVAC 모듈(1)이 단독으로 작동할 시의 풍량(a)과 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시의 풍량에 미리 설정된 제2 반영률을 곱해서 얻어지는 후방 보정 풍량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S9).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2 반영률은 상기한 제1 반영률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30%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6 that the rear HVAC module 2 is not in the foot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2 is in the bi-level mode (S8). In this embodiment, since two of the modes of the rear HVAC module 2, the foot mode and the bi-level mode, are the modes using the foot outlet, the determination in step S8 is always affirmative. In this case,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2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ir volume a when the front HVAC module 1 operates alone and the air volume when the rear HVAC module 1 operates alone multiplied by a preset second reflection factor. It can be set as the sum of the obtained rear corrected air volume (S9). Here, the preset second reflection ratio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lection ratio and may be, for example, 3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1: 전방 HVAC 모듈
11: 좌측 사이드 토출구
12: 좌측 중앙 토출구
13: 우측 중앙 토출구
14: 우측 사이드 토출구
15: 좌측 발 토출구
16: 우측 후방 발 토출구
17: 우측 발 토출구
18: 우측 후방 발 토출구
19: 디프로스트 토출구
2: 후방 HVAC 모듈
21: 좌측 B필러 토출구
22: 좌측 컨솔 토출구
23: 우측 컨솔 토출구
24: 우측 B필러 토출구
25: 좌측 발 토출구
26: 우측 발 토출구
1: Front HVAC module
11: Left side outlet
12: left center outlet
13: Right center outlet
14: right side outlet
15: left foot outlet
16: right rear foot outlet
17: Right foot outlet
18: right rear foot outlet
19: defrost outlet
2: Rear HVAC module
21: Left B-pillar outlet
22: left console outlet
23: right console outlet
24: Right B-pillar outlet
25: left foot outlet
26: right foot outlet

Claims (5)

후방 발 토출구를 구비하는 전방 HVAC 모듈과 발 토출구와 컨솔 토출구를 구비하는 후방 HVAC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HVAC 시스템의 풍량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온 상태에서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때를 가정하여 설정된 전방 단독 풍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온 상태인 경우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단독 풍량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인 경우 상기 전방 HVAC 모듈의 풍량을 상기 전방 단독 풍량과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단독으로 작동할 때를 가정하여 설정된 후방 단독 풍량에 미리 설정된 반영률을 곱해서 얻어지는 후방 보정 풍량의 합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드 중 발 모드인 경우 상기 후방 보정 풍량은 상기 후방 단독 풍량에 제1 반영률을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후방 HVAC 모듈이 상기 발 토출구를 사용하는 모두 중 바이레벨 모드인 경우 상기 후방 보정 풍량은 상기 후방 단독 풍량에 상기 제1 반영률보다 작은 제2 반영률을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전방 HVAC 모듈과 상기 후방 HVAC 모듈은 단일의 블로워에 의해 작동하는
풍량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volume of an HVAC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front HVAC module having a rear foot outlet; and a rear HVAC module having a foot outlet and a console outlet,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is in an on-state in the on-state of the front HVAC module;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not in the on state, setting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to the front single air volume set assuming that the front HVAC module operates alone;
determining whether the rear HVAC module is in a mode using the foot outlet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on;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not in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 setting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to the front alone air volume, and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the mode using the foot outlet, the air volume of the front HVAC module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front single air volume and the rear single air volume set assuming that the rear HVAC module operates alone by a preset reflection factor Step to set as the sum of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including,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a foot mode among modes using the foot outlet,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ear single air volume by a first reflection rate,
When the rear HVAC module is in the bi-level mode among all using the foot outlet, the rear corrected air volum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ear single air volume by a second reflection rate smaller than the first reflection rate,
The front HVAC module and the rear HVAC module are operated by a single blower.
How to control air volu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제1 반영률은 70%이고 상기 제2 반영률은 30%인 풍량 제어 방법.
In claim 1,
The first reflection rate is 70% and the second reflection rate is 30%.
삭제delete
KR1020190131557A 2019-10-22 2019-10-22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KR102295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557A KR102295429B1 (en) 2019-10-22 2019-10-22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557A KR102295429B1 (en) 2019-10-22 2019-10-22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672A KR20210047672A (en) 2021-04-30
KR102295429B1 true KR102295429B1 (en) 2021-08-30

Family

ID=7574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557A KR102295429B1 (en) 2019-10-22 2019-10-22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42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1625A (en) * 2004-03-23 2005-10-06 Calsonic Kansei Corp Vehicular air-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138A (en) * 1995-09-25 1997-03-31 Mazda Motor Corp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KR101627733B1 (en) * 2013-02-07 2016-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658077B1 (en) 2016-12-12 2024-04-19 주식회사 두원공조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1625A (en) * 2004-03-23 2005-10-06 Calsonic Kansei Corp Vehicular air-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672A (en)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649B1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
JP5128977B2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US6293339B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independent left/right temperature control during maximum cooling
US6470960B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commercial vehicle
US2017026706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EP2236329B1 (en) Evaporator frost prevention control logic for front and rear integrated HVAC system
US20070095517A1 (en)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229542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conditioned air for air volume control of 4-zone HVAC for vehicles
JP5125937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20070207719A1 (en) Heater or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KR10227558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opening ratio of valve for conditioned air discharge vent for air volume control of dual mode HVAC for vehicles
US6422599B2 (en) Airba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20030102120A1 (en) Temperature control strategy for a rear control system
KR102633946B1 (en) User body temperature assistance system associated with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N108215705B (en)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large-siz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11375B1 (en) Automobi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6769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flow in a vehicular HVAC system
JP7031337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76703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JP3573682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JP508440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665889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20040016250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KR102666736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KR20200059248A (en) Device for operating the ca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unit fo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