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06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006B1
KR102295006B1 KR1020190109238A KR20190109238A KR102295006B1 KR 102295006 B1 KR102295006 B1 KR 102295006B1 KR 1020190109238 A KR1020190109238 A KR 1020190109238A KR 20190109238 A KR20190109238 A KR 20190109238A KR 102295006 B1 KR102295006 B1 KR 10229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customer
providing
menu
shared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8333A (en
Inventor
정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유있는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유있는사람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유있는사람들
Priority to KR102019010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06B1/en
Publication of KR2021002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3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입점주들이 주방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공유 주방 설비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판매하는 메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주문 관리부 및 상기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고, 상기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발생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하는 결제 정산부를 포함한다.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hared kitchen equipment used by a plurality of store owners by sharing a kitchen, and provides menu information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the customer, When an order is received, an order management unit that selects at least one store owner related to the order and provides order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and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are provided to the customer, and generate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and a settlement settlement unit that settles the sales amount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Description

공유주방 설비를 이용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hared kitchen service using shared kitchen facilities

본 발명은 공유주방 설비를 이용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using a shared kitchen facility.

음식점 등 요식업에 대한 창업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맞벌이와 1인 가구 증대 등으로 배달 요식업에 대한 니즈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The start-up of the catering industry such as restaurants is continuously being made, and in particular, recently, the need for the delivery catering industry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dual-income earner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또한, 배달 앱이라 불리우는 다양한 요식업 배달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이 범용화됨에 따라, 이러한 배달 요식업의 시장은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as various food service delivery platform applications called delivery apps are generalized, the market of the food delivery industry is steadily growing.

통상적으로 전문화된 창업을 지원하는 프랜차이즈 방식의 창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프랜차이즈는 외식업, 유통업, 서비스업 등의 분야에서 지역별로 다수의 가맹점을 모집하고 소속된 가맹점에 인테리어시공, 물품재료공급, 서비스 노하우 제공 등의 창업 및 영업지원을 하는 방식을 말한다.In general, franchise-type start-ups that support specialized start-ups are being made. Franchise refers to a method of recruiting a large number of franchisees by region in the food service business, distribution business, service business, etc.

그러나, 프랜차이즈를 통한 창업의 경우, 개별적으로 매장에 대한 투자도 상당수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프랜차이즈사 가입 비용, 인테리어 시설 비용 및 월 가맹비 등의 고정비가 상당하여 부담이 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tarting a business through a franchise, a significant amount of investment in individual stores must be made, and fixed costs such as franchise company subscription fee, interior facility cost, and monthly membership fee are considerable, which is burdensome.

또한, 배달 앱은 영업적인 효과, 즉 고객 유치의 효과는 있으나, 그 외에 별도의 서비스는 없는 반면 매출에 대한 높은 수수료가 발생하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app has a sales effect, that is, an effect of attracting customers, but there is no separate service other than that,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that a high commission for sales occur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346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83460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입점주에게 공유 주방 설비를 제공하고 시스템을 통하여 홍보, 주문, 배달, 결제, 정산 등을 제공함으로써, 입점주에게는 최소한의 리스크로 배달 요식업을 창업할 수 있고, 시스템 운영자는 통합적인 서비스 및 고객 관리를 통한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공유주방 설비를 이용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by providing shared kitchen equipment to the occupant at a low cost and providing publicity, order, delivery, payment, settlement, etc. through the system, entering a store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using a shared kitchen facility that can start a delivery catering business with minimal risk to the state, and the system operator can generate revenue through integrated service and customer managemen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고객의 레시피를 활용하여 입점주의 신규 메뉴를 개발을 지원하고, 해당 메뉴에 대한 매출의 일부를 고객에게 정산함으로써, 레시피 아이디어의 직접적인 거래 및 활성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공유주방 설비를 이용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new menu for the store owner by using the customer's recipe, and to settle a portion of the sales for the menu to the customer, thereby enabling direct transaction and activation of recipe idea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using a shared kitchen facility.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입점주들이 주방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공유 주방 설비를 이용한다.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판매하는 메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주문 관리부 및 상기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고, 상기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발생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하는 결제 정산부를 포함한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uses shared kitchen equipment used by a plurality of store owners by sharing a kitchen.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es menu information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customers, and when an order is received from the customer, selects at least one store owner related to the order and orders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and a payment settlement unit that provides an order management unit providing information and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and settles the amount of sales generate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문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입점주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각각 판매하는 메뉴를 상호 연관하여 관리하는 메뉴 정보 모듈, 상기 고객에게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고객의 주문을 접수하는 주문 접수 모듈 및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를 각각 식별하고, 식별된 각각의 주문 메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입점주 알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rder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menu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hrough an order interface, a menu information module that correlates and manages the menus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respectively, The order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customer's order input through the order interface and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re respectively identified, and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identified order menu is selected. Then, it may include a store owner notification module that provides th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menu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 정산부는. 상기 주문과 관련된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여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주문 결제 모듈 및 상기 메뉴 정보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선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정산하는 정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yment settlement unit.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nd at least one for providing each of the order payment module and the menu information module to provide the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to perform payment for the order After selecting one resident, the settlement module may include a settlement module that settles the sales amount paid for the order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resid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산부는,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에 따른 입점주 사용료를 산정하는 입점주 사용료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individually managing usage details of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for the plurality of occupants, wherein the payment settlement unit includes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resident usage fee management module for calculating the resident usage fee according to the usage details for th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주문 관리부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객의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배달부를 선별하고, 상기 배달부에게 배달 요청을 제공하는 배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receives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unit, selects a delivery unit associated with the customer's request delivery loc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provides a delivery request to the delivery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management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달 관리부는, 상기 주문 관리부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접수받는 배달관리 모듈 및 상기 배달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요청 배달 위치를 제공받고, 지역별로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배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배달부를 선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달부와 연동하여 배달을 수행할 배달부를 선정하는 배달요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livery management unit,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unit and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receiving the requested delivery location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using a plurality of delive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region It may include a delivery request module for selecting at least one delivery unit associated with the requested delivery location, and selecting a delivery person to perform delivery in conjunction with the at least one delivery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고유한 레시피를 올릴 수 있는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고객 레시피와 연관하여 신규 메뉴 생성을 지원하는 오픈 컨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to upload a customer's own recipe, and supports creation of a new menu in association with the customer recipe.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픈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의 신규 메뉴에 대한 컨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그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정보를 관리하는 신규메뉴 모듈, 상기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는 고객 레시피 모듈 및 상기 신규메뉴 모듈 또는 상기 고객 레시피 모듈과 연동하여 메뉴를 생성 또는 변경하는 메뉴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a new menu module for providing content for the new menu of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the customer, and managing the customer's evaluation information therefor, the customer providing the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It may include a recipe module and a menu update module for creating or changing a menu in conjunction with the new menu module or the customer recipe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독 설정을 생성하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구독 설정과 연관하여 개별적인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독 경제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for individually generating a subscription setting for each customer and providing an individual purchase service in connection with the subscription setting to the custom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독 경제 관리부는, 상기 고객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구독 설정을 생성하고, 상기 구독 설정과 연관되는 메뉴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고객 각각에게 제공하는 고객 구독 모듈,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이전에 개별 고객별로 사전에 선불 금액을 설정하는 선불 구매 관리 모듈 및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별 맞춤 주문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고객별 맞춤 주문에 따라 구독 구매를 수행하는 구독 구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generates the subscription settings for each of the customers individually, and provides information on menus and events related to the subscription settings to each of the set customers. A prepaid purchase management module that sets the prepaid amount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prior to ordering upon request, and a subscription purchase that sets up a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in advance according to a customer's request and performs a subscription purchase according to the set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It can contain modules.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입점주들이 주방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공유 주방 설비를 이용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판매하는 메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발생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The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is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using shared kitchen equipment used by a plurality of store owners by sharing a kitchen,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menu information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the customer; When this is received, the steps of selecting at least one store owner related to the order, providing order information for the order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and the payment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sales generated through the interfac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점주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각각 판매하는 메뉴를 상호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를 각각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각각의 주문 메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order information for the order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may include managing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menus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in correlation with each other; Each of the steps of identifying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the steps of selecting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identified order menu, and th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menu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선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settling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of them, and the sales paid for the order It may include the step of settling the amount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store own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에 따른 입점주 사용료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includes: managing usage details for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individually for the plurality of occupants, and a tenant usage fee according to the usage details for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객의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배달부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부에게 배달 요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method, the step of selecting a delivery unit associated with the customer's request delivery loc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the step of providing a delivery request to the delivery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일예를 제공한다.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입점주들이 주방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공유 주방 설비를 이용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고객의 고유한 레시피를 올릴 수 있는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객 레시피와 연관하여 신규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레시피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규 메뉴에 대한 매출금액에 대하여, 상기 고객에게 일정 지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The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is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using a shared kitchen equipment used by a plurality of store owners by sharing a kitchen,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to upload a customer's unique recipe; It may include the steps of generating a new menu in association with the recipe and setting a certain share to the customer with respect to the sales amount for the new menu generated by the customer reci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의 신규 메뉴에 대한 컨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그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content for a new menu of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the customer, and managing the customer's evaluation information thereof.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독 설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에게 상기 구독 설정과 연관된 메뉴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고객 각각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individually creating a subscription setting for each customer and providing the customer with information about menus and events related to the subscription setting to each set customer.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이전에 개별 고객별로 사전에 선불 금액을 설정하는 단계 및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별 맞춤 주문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고객별 맞춤 주문에 따라 구독 구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prepaid amount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setting a customized order for each custome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the set custom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 subscription purchase according to a star custom order.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입점주에게 공유 주방 설비를 제공하고 시스템을 통하여 홍보, 주문, 배달, 결제, 정산 등을 제공함으로써, 입점주는제품의 개발 및 조리에만 집중하도록 하여 최소 비용으로 요식사업을 효율적으로 창업 및 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shared kitchen equipment to occupants at low cost and providing publicity, ordering, delivery, payment, settlement, etc. through the system, occupants can focus only on the development and cooking of products to minimize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starting and starting a catering business at a low cos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객의 레시피를 활용하여 입점주의 신규 메뉴를 개발을 지원하, 해당 메뉴에 대한 매출의 일부를 고객에게 정산함으로써, 레시피 아이디어의 직접적인 거래 및 활성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trade and activate recipe ideas by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new menu for the store owner by using the customer's recipe and paying a portion of the sales for the menu to the customer.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문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결제 정산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달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오픈 컨텐츠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구독 경제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운영 데이터베이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rder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ayment settlement unit shown in FIG. 1 .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delivery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database shown in FIG. 1 .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various flowcharts are disclo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flowchart. That is,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performed in an order according to the flowchart,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in the flowch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유 주방 설비(10)를 제공하고, 복수의 입점주(20)는 공유 주방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es shared kitchen equipment 10 , and a plurality of store owners 20 may share and use the shared kitchen.

즉, 공유 주방 설비(10)와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제공자는, 복수의 입점주(20)에게 공유 주방을 제공하고, 복수의 입점주(20)는 공유 주방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여 고객(30)에게 판매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vider of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10 and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provides a shared kitchen to a plurality of occupants 20 , and the plurality of occupants 20 serve food using the shared kitchen. It can be cooked and sold to the customer 30 .

또한,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입점주(20)에게 공유 주방 설비(10)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주문, 배달, 결제, 정산 등을 제공함으로써, 입점주(20)는 가게를 운영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 업무를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입점주(20)는 제품의 개발 및 조리에만 집중하도록 하여 최소 비용으로 요식사업을 효율적으로 창업 및 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provides not only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10 to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20 but also orders, delivery, payment, settlement, etc. with customers, so that the store owners 20 can store A separate management task for operating and managing the restaurant can be conveniently solved through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therefore, the store owner 20 can focus only on the development and cooking of the product, so that the catering business can be carried out at a minimum cost. You can start and start a business efficiently.

또한, 고객은 하나의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다양한 메뉴 및 요식 서비스 업체에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 환경에서의 결제, 구독 경제, 오픈 컨텐츠 향유 등 다양하고 폭넓은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In addition, customers can not only access a variety of menu and catering service providers through on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 but also experience a wide range of services such as payment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subscription economy, and enjoyment of open content. can do.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 관리부(110), 결제 정산부(120), 배달 관리부(130), 제어부(140), 오픈 컨텐츠 관리부(150), 구독 경제 관리부(160) 및 운영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여러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2,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an order management unit 110, a payment settlement unit 120, a delivery management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n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150, a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 160 ) and an operational database 17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some of the various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replaced with a separate system.

주문 관리부(110)는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를 통한 메뉴 제공 및 고객의 주문을 접수받고 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주문 관리부(110)는 복수의 입점주들이 판매하는 메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order management unit 110 may provide a menu through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 receive an order from a customer, and process the menu. For example, the order management unit 110 provides menu information sold by a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the customer, and when an order is received from the customer, selects at least one store owner related to the order and orders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결제 정산부(120)는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의 결제를 수행하고, 각 구성원 간의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정산부(120)는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발생된 매출금액을 입점주 별로 정산할 수 있다.The payment settlement unit 120 may perform payment for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perform settlement between each member. For example, the payment settlement unit 120 may provide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an order to the customer, and may settle the amount of sales generate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for each store owner.

배달 관리부(130)는 고객이 주문한 주문과 연관하여 배달부를 선정하고, 선정된 배달부에게 배달을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관리부(11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주문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배달부를 선별하고, 해당 배달부에게 배달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The delivery management unit 130 may select a delivery person in relation to an order ordered by the customer, and automatically request delivery to the selected delivery pers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eive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unit 110 , select a delivery person associated with a customer's requested delivery loc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provide a delivery request to the delivery person.

제어부(140)는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을 상호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mutually control all components of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

또한, 제어부(140)는 입점주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복수의 입점주들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manage the store owner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manage usage details of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for a plurality of store owners, respectively.

오픈 컨텐츠 관리부(150)는 오픈 컨텐츠의 업로드, 생성, 공유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픈 컨텐츠는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를 통해 고객 또는 입점주가 공개하는 컨텐츠를 통칭하는 것이다. 일 예로, 오픈 컨텐츠 관리부(150)는 고객의 고유한 레시피를 올릴 수 있는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고, 고객 레시피와 연관하여 신규 메뉴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The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150 may manage upload, creation, and sharing of open content. Here, the open content refers to content disclosed by a customer or a store owner through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 For example, the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150 may provide a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in which a customer's unique recipe can be uploaded, and may support creation of a new menu in association with the customer recipe.

구독 경제 관리부(160)는 고객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독 설정을 생성하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구독 설정과 연관하여 개별적인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160 may individually create a subscription setting for each customer and provide an individual purchase service to the customer in connection with the subscription setting.

운영 데이터베이스(170)는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과 관련된 데이터들의 집합체로서, 제어부(140)와 타 구성요소들의 수행에 따라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The operation database 170 is a collection of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 and data may be added or upd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ontroller 140 and other components.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문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rder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주문 관리부(110)는 메뉴 정보 모듈(111), 주문 접수 모듈(112), 입점주 알림 모듈(113) 및 주문 현황 알림 모듈(1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order management unit 110 may include a menu information module 111 , an order reception module 112 , a store owner notification module 113 , and an order status notification module 114 .

메뉴 정보 모듈(111)은 복수의 입점주와, 복수의 입점주들이 각각 판매하는 메뉴를 상호 연관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menu information module 111 may manage a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menus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in correlation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메뉴 정보 모듈(111)은 고객의 주문 이력 정보와 연동하여, 고객별 추천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고객별 추천 메뉴는 복수의 입점주들이 함께 연관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고객이 기존의 배달 어플을 이용하여 주문하는 경우 서로 다른 음식점에서 각각 주문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 음식점 별로 메뉴를 별도로 서치하고 또한 배달비도 이중으로 비용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메뉴 정보 모듈(111)이 고객의 구매 기록을 기초로 선호 메뉴를 선정하여 고객별 추천 메뉴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입점주들의 개별 메뉴들을 하나의 고객별 추천 메뉴에 연관하여 묶어서 제공함으로써, 고객입장에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추천 메뉴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nu information module 111 may provide a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by interworking with the customer's order history information, where a plurality of store owners may be associated with the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a customer places an order using an existing delivery application, in order to place an order at a different restaurant, the menu is separately searched for each restaurant, and the delivery cost is doubl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menu information module 111 may select a preferred menu based on the customer's purchase record, generate a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and provide it to the customer, and also provide individual menus of a plurality of store owners into one single menu. By providing bundles in relation to each customer's recommended menu, it is possible to have a more convenient and diverse recommended menu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주문 접수 모듈(112)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주문 인터페이스는 스마트 폰의 주문용 어플이나, 웹 기반의 주문 사이트 등을 포괄한다.The order receiving module 112 provides an order interface. The order interface includes a smart phone ordering application, a web-based ordering site, and the like.

주문 접수 모듈(112)는 고객에게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뉴 정보 또는 추천 메뉴를 제공하고,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고객의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The order receiving module 112 may provide menu information or a recommended menu to the customer through the order interface, and receive the customer's order input through the order interface.

주문 접수 모듈(112)는 주문이 접수되면 이에 대하여 입점주 알림 모듈(113)에 제공한다.When an order is received, the order receiving module 112 provides it to the store owner notification module 113 for this.

입점주 알림 모듈(113)은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를 각각 식별하고, 식별된 각각의 주문 메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해당 입점주에게 주문 메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ore owner notification module 113 identifies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selects at least one store owner who provides each identified order menu, and includes an order menu to the corresponding store owner. Ord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입점주들은 각각 개별적인 입점주 단말, 예를 들어, 입점주의 스마트폰이나 별도의 전용 단말기를 가지고 있으며, 입점주 알림 모듈(113)은 이러한 입점주 단말에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store owner has an individual store owner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of the store owner or a separate dedicated terminal, and the store owner notification module 113 may provide order information to these store owner terminals. have.

여기에서, 주문 정보는 그 입점주가 판매하는 메뉴로서 고객이 주문한 주문 메뉴 뿐만 아니라, 고객 정보, 고객 구매 이력 정보, 고객 주문 성향, 고객의 해당 주문 메뉴에 대한 후기 및 평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rder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order menu ordered by the customer as a menu sold by the store owner, but also customer information, customer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customer order tendency, reviews and evaluations of the customer's corresponding ordered menu, and the like.

주문 현황 알림 모듈(114)은 고객에게 주문 현황을 알려줄 수 있다. 주문 현황 알림 모듈(114)은 고객 주문 인터페이스나 별도의 문자, 메시징 어플의 메시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객에게 주문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The order status notification module 114 may notify the customer of the order status. The order status notification module 114 may provide the order status to the customer in various ways, such as a customer order interface, a separate text message, or a message of a messaging application.

일 실시예에서, 주문 현황 알림 모듈(114)은 주문 접수 모듈(112)에서 제공된 고객의 주문을 기초로, 주문 확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rder status notification module 114 may provide an order confirmation notification based on the customer's order provided by the order reception module 112 .

일 실시예에서, 주문 현황 알림 모듈(114)은 입점주 알림 모듈(113)과 연동하여 입점주의 주문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주문 현황으로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현황 알림 모듈(114)은 주문된 메뉴의 예상 조리 시간, 배달 예상 시간 등을 주문 현황으로서 생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rder status notification module 114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order status of the shop owner in conjunction with the shop owner notification module 113 and provide it to the customer as the order status. For example, the order status notification module 114 may generate an expected cooking time, an expected delivery time, and the like of the ordered menu as the order status and provide it to the customer.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결제 정산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ayment settlement unit shown in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결제 정산부(120)는 주문 결제 모듈(121), 입점주 사용료 관리모듈(122), 오픈 컨텐츠 결제 모듈(123) 및 정산 모듈(1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ayment settlement unit 120 may include an order settlement module 121 , a store owner usage fee management module 122 , an open content payment module 123 , and a settlement module 124 .

주문 결제 모듈(121)은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주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The order payment module 121 may perform payment for an order by providing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입점주 사용료 관리모듈(122)은 공유 주방 설비(10)에 대한 사용 내역에 따른 입점주 사용료를 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입점주 사용료는 정산 모듈(124)에 제공되어 매출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tenant usage fee management module 122 may calculate the tenant usage fee according to the usage history for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10 . The user fee calculated in this way may be provided to the settlement module 124 to allow settlement of sales.

일 예로, 공유 주방 설비(10)는 주방 장소 또는 사용 시간에 따라 차등적으로 비용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서 공유 주방 설비(10)는 각 입점주 별로 공유 주방 설비(10)에 대한 사용료를 산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st of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10 may be differentially set according to the kitchen location or usage time. can be calculated.

다른 예로, 공유 주방 설비(10)는 입점주에 대하여 일정한 비용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서 공유 주방 설비(10)는 각 입점주에 대한 사용료를 확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10 may set a certain cost for the occupants, and in this example,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10 may check the usage fee for each resident.

오픈 컨텐츠 결제 모듈(123)은 오픈 컨텐츠과 연관된 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업로드 한 고객 레시피를 어느 특정 입점주가 구매하는 경우, 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오픈 컨텐츠 결제 모듈(123)은 결제 결과에 대하여 정산 모듈(124)에 제공할 수 있다.The open content payment module 123 may provide payment related to the open content. For example, when a specific store owner purchases a customer recipe uploaded by the customer, payment can be made for it. The open content payment module 123 may provide the payment result to the settlement module 124 .

정산 모듈(124)은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하여 발생한 매출에 대하여 각 구성원 -예컨대, 입점주,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영주체, 고객 등- 간의 매출을 정산할 수 있다.The settlement module 124 may settle sales between each member (eg, a store owner,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operator, a customer, etc.) with respect to the sales generated through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

일 예로, 하나의 주문을 통해 복수의 입점주가 매출이 발생한 경우, 정산 모듈(124)은 하나의 주문에 대하여 복수의 임점주 들간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정산 모듈(124)은 메뉴 정보 모듈과 연동하여,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선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정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store owners generate sales through one order, the settlement module 124 may perform settlement among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with respect to one order. The settlement module 124 interworks with the menu information module, selects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nd at least one store owner who provides them, respectively, and then sets the sales amount paid for the order at the selected at least one Settlement can be made to one store owner.

다른 예로, 정산 모듈(124)은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료를 기준으로,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영 주체와 입점주 간의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정산 모듈(124)은 입점주 사용료 관리모듈(122)로부터 제공된 입점주 사용료를 기초로 해당 입점주의 매출에서 입점주 사용료를 차감하여 정산할 수 있다. 또는 정산 모듈(124)은 입점주의 매출의 일부를 입점주 사용료로서 산정하여 차감 정산하고 이를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영 주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ttlement module 124 may perform settlement between an operator of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store owner based on the usage fee of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e settlement module 124 may calculate the settlement by deducting the resident usage fee from the sales of the resident based on the resident usage fee provided from the resident usage fee management module 122 . Alternatively, the settlement module 124 may calculate a portion of the resident's sales as the resident's usage fee, deduct it, and provide it to the operating entity of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다른 예로, 정산 모듈(124)은 오픈 컨텐츠 결재 금액에 대한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고객이 업로드한 고객 레시피를 특정 입점주가 구매한 경우, 구매 비용으로서 특정 입점주의 해당 레시피 메뉴의 매출에 대한 일부 퍼센트를 고객에게 정산해 줄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매출에 대해서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영 주체에게도 건당 비용 또는 일정 퍼센트의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ttlement module 124 may perform settlement on the open content payment amount. That is, when a specific store owner purchases a customer recipe uploaded by the customer, a certain percentage of sales of the corresponding recipe menu of the specific store owner may be settled to the customer as a purchase cost. In addition, with respect to such sales, a cost per case or a certain percentage of the cost may be settled to the operating entity of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달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delivery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도 5를 참조하면, 배달 관리부(130)는 배달관리 모듈(131), 배달요청 모듈(132), 테이크아웃 관리모듈(133) 및 배달광고 관리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elivery management unit 130 may include a delivery management module 131 , a delivery request module 132 , a takeout management module 133 , and a delivery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34 .

배달관리 모듈(131)은 주문 관리부(11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접수받는다. 배달관리 모듈(131)은 주문 정보를 확인하여, 배달 주문이면 배달요청 모듈(132)을 통하여 배달 진행을, 테이크아웃 주문이면 테이크아웃 관리 모듈(133)을 통하여 테이크아웃 진행을 하도록 한다.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131 receives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unit 110 .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131 checks the order information, and if it is a delivery order, the delivery proceeds through the delivery request module 132 , and if it is a takeout order, the takeout proceeds through the takeout management module 133 .

배달요청 모듈(132)은 배달관리 모듈(131)로부터 요청 배달 위치를 제공받고, 지역별로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배달부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배달부를 선별하고, 해당 배달부와 연동하여 배달을 수행할 배달부를 선정할 수 있다. The delivery request module 132 receives the requested delivery location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131, selects at least one delivery person associated with the requested delivery location using a plurality of delivery delivery information related to each region, and works with the delivery person This allows you to select a delivery person to perform the delivery.

예를 들어, 배달요청 모듈(132)은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복수의 배달부를 선별하고, 해당 배달부들에게 배달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배달요청 모듈(132)은 해당 배달 요청에 대하여 최초로 응답이 회신되는 배달부를 배달을 수행할 배달부로 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livery request module 132 may select a plurality of deliverers associated with the requested delivery location, and provide a delivery request to the delivery agents. The delivery request module 132 may select the delivery person to which the first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delivery request is returned as the delivery person to perform the delivery.

일 실시예에서, 배달요청 모듈(132)은 고객의 평가를 기반으로 배달부를 선정할 수 있다. 배달관리 모듈(131)은 배달이 완료된 후 해당 배달에 대한 고객의 피드백 정보-예컨대, 배달부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배달요청 모듈(132)은 그러한 배달부 평가 정보를 기반으로 각 고객에게 평가도가 높은 배달부가 우선적으로 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elivery request module 132 may select a delivery person based on the customer's evaluation.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131 may generate customer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delivery after the delivery is completed (eg, delivery person evaluation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request module 132 evaluates each customer based on the delivery person assessment information. A delivery person with a higher degree may be selected with priority.

테이크아웃 관리모듈(133)은 배달관리 모듈(131)로부터 테이크아웃 여부를 확인하고, 테이크아웃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입점주에게 알릴 수 있다. 테이크아웃 정보에는 공유 주방 설비(10) 중 고객이 대기할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테이크아웃 관리모듈(133)은 고객 휴게 장소를 구분하고, 테이크아웃이 이루어질 고객 휴게 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점주에게 알림으로서 테이크아웃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The takeout management module 133 may check whether a takeout is performed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131 , generate takeout information, and notify the store owner thereof. The takeou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location where the customer will wait among the shared kitchen facilities 10 . That is, the takeout management module 133 can provide the takeout smoothly and conveniently by classifying the customer resting place and notifying the store owner of information on the customer resting place where the takeout will be made.

배달광고 관리모듈(134)는 배달 용기에 부착된 광고 코드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 용기에는 QR 코드나 AR 코드 등이 부착될 수 있고, 배달광고 관리모듈(134)는 해당 QR 코드나 AR 코드를 통하여 연결된 고객에게 메뉴 광고나 배달음식 맛있게 먹는 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Delivery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34 may perform processing on the advertisement code attached to the delivery container. For example, a QR code or AR code may be attached to the delivery container, and the delivery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34 provides information on menu advertisements or delicious food delivered to customers connec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QR code or AR code. can provid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오픈 컨텐츠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도 6을 참조하면, 오픈 컨텐츠 관리부(150)는 컨텐츠 관리 모듈(151), 신규메뉴 모듈(152), 고객 레시피 모듈(153) 및 메뉴 업데이트 모듈(15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150 may include a content management module 151 , a new menu module 152 , a customer recipe module 153 , and a menu update module 154 .

컨텐츠 관리 모듈(151)은 오픈 컨텐츠의 업로드, 생성, 공유 등을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151 may manage upload, creation, and sharing of open content.

신규메뉴 모듈(152)은 고객으로부터 신규 메뉴에 대한 컨텐츠를 요청받고, 이를 입점주들의 신규 메뉴에 대한 컨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특정 맛집의 메뉴를 신규 메뉴로서 요청받을 수 있고, 이를 입점주에 대하여 전달할 수 있다. The new menu module 152 may receive a request for content for a new menu from a customer, and may provide the content for a new menu of store owners to the customer. For example, a menu of a specific restaurant may be requested from a customer as a new menu, and this may be delivered to the store owner.

신규메뉴 모듈(152)은 신규 메뉴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정보를 입점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new menu module 152 may create and manage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new menu, and may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store owner.

고객 레시피 모듈(153)은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한다. 고객으로부터 레시피가 업로드되고, 그에 대하여 특정 입점주가 구매를 결정하면, 메뉴 업데이트 모듈(154)은 주문 관리부(110)와 연동하여 해당 고객 레시피를 특정 입점주의 메뉴로서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레시피 모듈(153)은 결제 정산부(120)와 연동하여 고객 레시피로부터 파생된 메뉴에 대한 매출이 발생할 때, 해당 레시피를 업로드한 고객에 대하여 매출에 대한 정산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customer recipe module 153 provides a space for uploading customer recipes. When a recipe is uploaded from a customer and a specific store owner decides to purchase it, the menu update module 154 may link with the order management unit 110 to add the corresponding customer recipe as a menu of the specific store owner. In addition, when the customer recipe module 153 is linked with the payment settlement unit 120 to generate sales for a menu derived from a customer recipe, the customer who has uploaded the recipe may settle the sales.

메뉴 업데이트 모듈(154) 신규메뉴 모듈(152) 또는 고객 레시피 모듈(153)과 연동하여 신규 메뉴 생성 또는 메뉴 변경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고, 이를 주문 관리부(110)에 제공하여 메뉴를 생성 또는 변경할 수 있다.The menu update module 154 generates a request for new menu creation or menu change in conjunction with the new menu module 152 or the customer recipe module 153, and provides it to the order management unit 110 to create or change a menu. have.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구독 경제 관리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shown in FIG. 1 .

도 7을 참조하면, 구독 경제 관리부(160)는 고객 구독 모듈(161), 선불 구매 관리모듈(162) 및 구독 구매모듈(16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160 may include a customer subscription module 161 , a prepaid purchase management module 162 , and a subscription purchase module 163 .

고객 구독 모듈(161)은 고객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구독 설정을 생성하고, 구독 설정과 연관되는 메뉴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고객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ustomer subscription module 161 may individually create subscription settings for each customer, and provide information on menus and events related to subscription settings to each set customer.

선불 구매 관리모듈(162)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이전에 개별 고객별로 사전에 선불 금액을 설정할 수 있다. 고객은 선불 금액 내에서는 별도의 결재 없이 구매 가능하다.The prepaid purchase management module 162 may set a prepaid amount in advance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prior to ordering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Customers can purchase without additional payment within the prepaid amount.

구독 구매모듈(163)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별 맞춤 주문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고객별 맞춤 주문에 따라 구독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주문, 요일별 선호 메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음식량을 개인별 연령, 체질, 선호도 에 따라 설정하여 고객별 맞춤 주문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The subscription purchase module 163 may set a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in advanc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ustomer, and purchase a subscription according to the set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For example, a customized order for each customer can be set in advance by setting a pre-order, a preferred menu for each day of the week, a desired time, and a desired amount of food according to an individual's age, constitution, and preference.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운영 데이터베이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database shown in FIG. 1 .

도 8을 참조하면, 운영 데이터베이스(170)는 입점주 데이터, 공유주방 데이터, 메뉴 데이터, 매출 결제 데이터, 정산 데이터, 고객 데이터, 공유주방 사용 데이터, 오픈 레시피 데이터, 배달자 데이터, 구독 서비스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나, 이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데이터베이스(170)는 타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제어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동되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operation database 170 is store owner data, shared kitchen data, menu data, sales payment data, settlement data, customer data, shared kitchen usage data, open recipe data, delivery data, subscription service payment data Including, but may include various data in addition to this. The operation database 170 may store and manage data by directly interworking with other components or indirectly through a control unit.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a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 However, since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ased on a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it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한 고객으로부터 하나의 주문을 통하여 복수의 입점주에 대한 주문이 접수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9 is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n order for a plurality of store owners is received from one customer through one order.

도 9를 참조하면,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입점주 각각과 협의하여 결정된 메뉴에 대하여 메뉴 정보를 생성한다(S910).Referring to FIG. 9 ,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generates menu information for a menu determined in consultation with each store owner (S910).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입점주들이 판매하는 메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한다(S920).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es menu information sold by a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customers (S920).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S930),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문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고(S940),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950).When an order is received from a customer (S930),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select at least one store owner related to the order (S940), and provide order information for the order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S950) .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S950),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발생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할 수 있다(S970).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provide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an order to the customer (S950), and may settle the amount of sales generate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S970).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정산된 금액을 입점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S980).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provide the settled amount to the store owner (S980).

단계 S940 및 S95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입점주와 복수의 입점주들이 각각 판매하는 메뉴를 상호 연관하여 관리할 수 있다.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를 각각 식별하고, 식별된 각각의 주문 메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할 수 있다. 이후,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주문 메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steps S940 and S950,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correlate and manage a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menus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respectively.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identify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respectively, and select at least one store owner who provides each identified order menu. Thereafter,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provid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n order menu to at least one store owner.

단계 S97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고,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선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정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for step S970,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lects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t least one store owner who provides each of them, and determines the sales amount paid for the order. The payment may be made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일 실시예에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입점주들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을 관리하고,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에 따른 입점주 사용료를 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manage usage details of shared kitchen equipment for a plurality of occupants individually, and calculate a resident usage fee according to the usage details for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

일 실시예에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주문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배달부를 선별하고, 배달부에게 배달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select a delivery person associated with the customer's requested delivery loc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provide a delivery request to the delivery pers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는 고객 레시피를 이용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10 relates to an embodiment using a customer recipe.

도 10을 참조하면,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고유한 레시피를 올릴 수 있는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고(S1010), 그를 통하여 고객 레시피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S1020).Referring to FIG. 10 ,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es a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for uploading a customer's unique recipe (S1010), and can receive a customer recipe uploaded therethrough (S1020).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레시피와 연관하여 신규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S1030).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create a new menu in association with the customer recipe (S1030).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레시피에 의하여 생성된 신규 메뉴에 대한 매출금액에 대하여(S1040), 매출을 정산하고(S1050) 고객에게 일정 지분을 설정하여 지급할 수 있다(S1060).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pay the sales amount for the new menu created by the customer recipe (S1040), settle the sales (S1050), and set a certain share to the customer (S1060).

일 실시예에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입점주들의 신규 메뉴에 대한 컨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그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provide content for a new menu of a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the customer, and manage the customer's evaluation information therefor.

일 실시예에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독 설정을 생성하고, 고객에게 구독 설정과 연관된 메뉴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고객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create a subscription setting for each customer individually, and provide the customer with information on menus and events related to the subscription setting to each set customer.

일 실시예에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이전에 개별 고객별로 사전에 선불 금액을 설정하고,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별 맞춤 주문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고객별 맞춤 주문에 따라 구독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ts a prepayment amount in advance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prior to ordering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sets a customized order for each custome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sets the customer-specific customization Subscription purchases may be made upon ord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nd modified.

10 : 공유주방 설비
20 : 입점주 30 : 고객
100 :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주문 관리부 120 : 배달 관리부
130 : 결제 정산부 140 : 제어부
150 : 오픈 컨텐츠 관리부 160 : 구독 경제 관리부
170 : 운영 DB
111 : 메뉴 정보 모듈 112 : 주문 접수 모듈
113 : 입점주 알림 모듈 114 : 주문현황 알림모듈
121 : 주문결제 모듈 122 : 입점주 사용료 관리모듈
123 : 오픈 컨텐츠 결제모듈 124 : 정산 모듈
131 : 배달관리 모듈 132 : 배달요청 모듈
133 : 테이크아웃 관리모듈 134 : 배달광고 관리 모듈
151 : 컨텐츠 관리 모듈 152 : 신규메뉴 모듈
153 : 고객 레시피 모듈 154 : 메뉴 업데이트 모듈
161 : 고객 구독모듈 162 : 선불구매 관리모듈
163 : 구독구매 모듈 164 : 결제연동 모듈
10: shared kitchen equipment
20: store owner 30: customer
100: Shared kitchen service provision system
110: order management unit 120: delivery management unit
130: payment settlement unit 140: control unit
150: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160: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170: Operation DB
111: menu information module 112: order receiving module
113: store owner notification module 114: order status notification module
121: order payment module 122: store owner usage fee management module
123: open content payment module 124: settlement module
131: delivery management module 132: delivery request module
133: takeout management module 134: delivery advertisement management module
151: content management module 152: new menu module
153: customer recipe module 154: menu update module
161: customer subscription module 162: prepaid purchase management module
163: subscription purchase module 164: payment interworking module

Claims (19)

복수의 입점주들이 주방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공유 주방 설비를 이용한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판매하는 메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주문 관리부; 및
상기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고, 상기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발생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하는 결제 정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입점주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각각 판매하는 메뉴를 상호 연관하여 관리하는 메뉴 정보 모듈;
상기 고객에게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고객의 주문을 접수하는 주문 접수 모듈; 및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를 각각 식별하고, 식별된 각각의 주문 메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입점주 알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뉴 정보 모듈은
고객의 주문 이력 정보와 연동하여 고객별 추천 메뉴-상기 고객별 추천 메뉴는 복수의 입점주들이 함께 연관되어, 복수의 입점주들의 개별 메뉴들을 하나의 고객별 추천 메뉴에 연관하여 묶어서 제공됨-를 제공하고,
상기 결제 정산부는
상기 주문과 관련된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여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주문 결제 모듈; 및
상기 메뉴 정보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선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정산하는 정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정산 모듈은,
하나의 주문을 통해 복수의 입점주가 매출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뉴 정보 모듈과 연동하여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상기 하나의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각각 개별적으로 정산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s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shared kitchen equipment used by a plurality of occupants by sharing a kitchen,
an order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menu information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customers, selects at least one store owner related to the order when an order is received from the customer, and provides order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and
a payment settlement unit that provides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and settles the amount of sales generate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including,
The order management department
a menu information module that correlates and manages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menus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an order receiving module that provides the menu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hrough an order interface and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put through the order interface; and
Each of the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is identified,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identified order menu is selected, and th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menu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Including; a store owner notification module that provides
The menu information module
In conjunction with the customer's order history information, a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 the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is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a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the individual menus of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are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one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do,
The payment settlement unit
an order payment module for performing payment for the order by providing the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menu information module,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nd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of them, the amount of sales paid for the order is selected at the at least one store Settlement module to settle the state;
including,
The settlement module is
When a plurality of store owners generate sales through one order,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nd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in conjunction with the menu information module, the one order Each individual settlement of the paid sales amount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Shared kitchen service provis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을 관리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산부는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에 따른 입점주 사용료를 산정하는 입점주 사용료 관리 모듈;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a control unit for individually managing usage details of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for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further comprising,
The payment settlement unit
a tenant usage fee management module for calculating a tenant usage fee according to usage details for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주문 관리부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객의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배달부를 선별하고, 상기 배달부에게 배달 요청을 제공하는 배달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a delivery management unit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unit, selecting a delivery unit associated with a delivery location requested by the customer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providing a delivery request to the delivery unit;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관리부는
상기 주문 관리부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접수받는 배달관리 모듈; 및
상기 배달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요청 배달 위치를 제공받고, 지역별로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배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배달부를 선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달부와 연동하여 배달을 수행할 배달부를 선정하는 배달요청 모듈;
을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elivery management unit
a delivery management module for receiving the order information from the order management unit; and
Receive the requested delivery location from the delivery management module, select at least one delivery person associated with the requested delivery location using a plurality of delivery delivery information related to each region, and perform delivery in conjunction with the at least one delivery person Delivery request module to select a delivery person to be;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고유한 레시피를 올릴 수 있는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고객 레시피와 연관하여 신규 메뉴 생성을 지원하는 오픈 컨텐츠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for uploading a customer's own recipe, and supports creation of a new menu in association with the customer recipe;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의 신규 메뉴에 대한 컨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그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정보를 관리하는 신규메뉴 모듈;
상기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는 고객 레시피 모듈; 및
상기 신규메뉴 모듈 또는 상기 고객 레시피 모듈과 연동하여 메뉴를 생성 또는 변경하는 메뉴 업데이트 모듈;
을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n content management unit
a new menu module that provides contents for the new menus of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customers and manages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therefor;
a customer recipe module that provides the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and
a menu update module for creating or changing a menu in conjunction with the new menu module or the customer recipe module;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독 설정을 생성하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구독 설정과 연관하여 개별적인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독 경제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a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that individually creates a subscription setting for each customer and provides an individual purchase service in connection with the subscription setting to the customer;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경제 관리부는
상기 고객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구독 설정을 생성하고, 상기 구독 설정과 연관되는 메뉴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고객 각각에게 제공하는 고객 구독 모듈;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이전에 개별 고객별로 사전에 선불 금액을 설정하는 선불 구매 관리 모듈; 및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별 맞춤 주문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고객별 맞춤 주문에 따라 구독 구매를 수행하는 구독 구매 모듈;
을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bscription economy management unit
a customer subscription module for individually generating the subscription settings for each of the custom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menus and events related to the subscription settings to each set customer;
a prepaid purchase management module that sets a prepaid amount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in advance prior to ordering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a subscription purchase module configured to set a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to purchase a subscription according to the set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includes.
복수의 입점주들이 주방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공유 주방 설비를 이용하여 공유주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판매하는 메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문과 관련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발생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에 대한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점주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이 각각 판매하는 메뉴를 상호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를 각각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각각의 주문 메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상기 주문 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고객의 주문 이력 정보와 연동하여 고객별 추천 메뉴-상기 고객별 추천 메뉴는 복수의 입점주들이 함께 연관되어, 복수의 입점주들의 개별 메뉴들을 하나의 고객별 추천 메뉴에 연관하여 묶어서 제공됨-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과 관련된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여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메뉴 정보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선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에게 정산하는 단계; 및
하나의 주문을 통해 복수의 입점주가 매출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뉴 정보 모듈과 연동하여 주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문 메뉴와, 이를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를 선별한 후, 상기 하나의 주문에 대한 결제된 매출금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점주 별로 각각 개별적으로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performed in a shared kitche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a shared kitchen service using shared kitchen equipment used by a plurality of occupants by sharing a kitchen,
providing menu information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customers;
selecting at least one store owner related to the order when an order is received from a customer, and providing order information regarding the order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a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and
adjusting the amount of sales generate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including,
The step of providing order information for the order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managing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menus sold by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in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dentifying each of the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selecting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identified order menu;
providing th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rder menu to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customer's order history information, a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 the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is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a plurality of store owners, and the individual menus of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are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one recommended menu for each customer to do;
including,
The step of settling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performing payment for the order by providing the payment interface related to the order to the customer;
In conjunction with the menu information module,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nd at least one store providing each of them, the amount of sales paid for the order is determined by the selected at least one store owner Settlement to; and
When a plurality of store owners generate sales through one order,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order menu included in the order and at least one store owner providing each in conjunction with the menu information module, the one order individually setting the paid sales amount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tore owner;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주방 설비에 대한 사용 내역에 따른 입점주 사용료를 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es:
managing usage details of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individually; and
calculating a resident usage fee according to usage details for the shared kitchen equipment;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ing fur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고객의 요청 배달 위치와 연관된 배달부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부에게 배달 요청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es:
selecting a delivery unit associated with the customer's requested delivery loc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providing a delivery request to the delivery unit;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ing fur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의 고유한 레시피를 올릴 수 있는 고객 레시피 업로드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레시피와 연관하여 신규 메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레시피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규 메뉴에 대한 매출금액에 대하여, 상기 고객에게 일정 지분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es:
providing a customer recipe upload space where customers can upload their own recipes; and
creating a new menu in association with the customer recipe; and
setting a certain share to the customer with respect to the sales amount for the new menu generated by the customer recipe;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ing furth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입점주들의 신규 메뉴에 대한 컨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그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es:
providing content for the new menus of the plurality of store owners to customers, and managing customer evaluation information thereof;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ing furth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독 설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에게 상기 구독 설정과 연관된 메뉴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고객 각각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es:
creating subscription settings individually for each customer; and
providing the customer with information on menus and events related to the subscription setting to each set customer;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ing furth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이전에 개별 고객별로 사전에 선불 금액을 설정하는 단계; 및
고객의 요청에 따라 고객별 맞춤 주문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고객별 맞춤 주문에 따라 구독 구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유주방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es:
setting a prepayment amount in advance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prior to ordering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setting a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performing a subscription purchase according to the set custom order for each customer;
A method of providing a shared kitchen service comprising further.
KR1020190109238A 2019-09-04 2019-09-0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 KR102295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38A KR102295006B1 (en) 2019-09-04 2019-09-0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38A KR102295006B1 (en) 2019-09-04 2019-09-0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333A KR20210028333A (en) 2021-03-12
KR102295006B1 true KR102295006B1 (en) 2021-08-27

Family

ID=7517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238A KR102295006B1 (en) 2019-09-04 2019-09-04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0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526B1 (en) * 2021-11-15 2022-06-30 (주)제이에스씨컴퍼니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shared kitchen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29B1 (en) * 2006-11-17 2008-06-12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biquitous food order service according to the volume of orders ranking
KR20130048055A (en) * 2011-11-01 2013-05-09 황영은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staurant or franchise restaurant using recipe
KR101876713B1 (en) * 2016-10-18 2018-07-13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Delivery order distribu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90083460A (en)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바이킹 Delivery and order services system using movable store
KR20190084201A (en) * 2018-01-06 2019-07-16 이인수 Restaurant discounts service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기사 ‘부엌없이 식당 하는 시대 온다 "공유주방" 열풍’(2019.01.2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333A (en)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0428A1 (en) Integration of third party delivery service interface into online retail platform
EP2891046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simplified coding of display pages for operating a closed circuit e-commerce
US20230206175A1 (en) Distributed network of order systems
KR101045587B1 (en) Stock management system and stock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117435B1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f-line, and apparatuses applied to the same
KR2016013878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1022950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using kitchen sharing facilities
KR1017226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190011399A (en) subscription systems for well-being refreshments
KR2016006430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1018162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16014751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160139770A (en) System for providing online sales relay service based on clusters and the method thereof
US10817924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ordering using a wearable device
KR1016790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JP645653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7006141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100056435A (en) System for unification management of shopping mall goods using internet and a method thereof
KR2016007378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KR2021011091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itchen sharing service
WO2017141790A1 (en) Automobile supplies sales system
KR1016692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20080126142A1 (en) Promotional in-store demonstration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KR201201318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region based information
KR20210135680A (en) Relaying order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