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58B1 - Spoon for baby - Google Patents

Spoon for ba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58B1
KR102291458B1 KR1020200025069A KR20200025069A KR102291458B1 KR 102291458 B1 KR102291458 B1 KR 102291458B1 KR 1020200025069 A KR1020200025069 A KR 1020200025069A KR 20200025069 A KR20200025069 A KR 20200025069A KR 102291458 B1 KR102291458 B1 KR 10229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oon
food
handle portion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102020002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aby spoon, comprising: a food accommodating unit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handle unit connected to the food accommodating unit. The handle unit includes: a first handle portion connected to the food accommodating unit; and a second handle portion connected to cross the first handle portion and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baby spoon which allows babies to easily eat the food alone.

Description

유아용 숟가락{SPOON FOR BABY}Baby Spoon{SPOON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질을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가 용이하게 잡고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spo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spoon that allows an infant who is starting to learn to point a finger to easily hold it and eat on its own.

일반적으로 유아의 경우에는 생후 15개월 정도부터 숟가락질을 배우게 된다. 처음 숟가락질을 배우는 유아들은 숟가락을 잡고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음식을 떠먹는 것이 어려우므로, 숟가락이 좌우로 기우뚱 되어 음식 대부분은 흘리게 된다. 따라서,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기 때문에 숟가락으로 음식을 퍼먹지 않고 손으로 음식을 퍼먹기도 하고, 짜증을 내기도 한다.In general, infants learn to spoon from around 15 months of age. Infants learning to spoon for the first time have difficulty holding the spoon and scooping food to prevent spills, so the spoon tilts left and right, causing most of the food to spill. Therefore, because they do not eat properly, they do not eat food with a spoon, but eat it with their hands, and sometimes become annoyed.

또한, 아기를 돌보는 이들도 아이가 숟가락질하면서 음식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숟가락질을 시키지 않고 음식을 계속 떠먹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이 반복되면, 유아들이 숟가락질에 흥미를 잃게 되어 숟가락 사용을 거부하게 되고, 결국 올바른 숟가락질을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Also, the caregivers of the baby spill a lot of food while the child is spooning, so they continue to eat the food without spooning. And if this happens repeatedly, children lose interest in spooning and refuse to use a spoon, and eventually it takes a lot of time to learn to use a spoon properly.

또한, 종래의 유아용 숟가락의 경우에는 손잡이의 모양과 길이 및 두께 등이 조금씩 다를 뿐, 일반적인 성인용 숟가락의 형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숟가락을 유아들이 사용하게 되면, 손잡이를 잡는 자세에 따라서 실제로 숟가락에 담은 음식을 유아의 입으로 정확하게 도달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즉, 유아들 각각의 특성에 따라서 숟가락을 잡는 자세와 잡는 위치 잡는 모양 등이 다양한 데 반하여, 숟가락의 모양은 일관된 모양을 가지므로, 유아들은 각자의 개성이나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한 숟가락질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aby spoon, the shap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handle are slightly different, and i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shape of a general adult spoon. Therefore, when infants use such a conventional spo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ach the food contained in the spoon to the infant's mouth according to the posture of holding the handle. In other words, while the shape of holding a spoon and holding position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ild, the shape of the spoon has a consistent shape, so it is difficult for infants to spoon in consideration of their individuality o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re is thi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12195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1219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유아들 각각의 개성에 맞는 숟가락질을 할 수 있어서 혼자서도 용이하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숟가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oon for infants that can easily eat a meal alone by making a spoon suitable for each individuality of infa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숟가락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음식물 수용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에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1손잡이부와 교차하도록 연결되고,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b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ood receiving portion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a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food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handle part includes: a first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food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handle part connected to cross the first handle part and having a closed loop shape.

이로써, 유아들이 각자의 개성에 맞게 숟가락질을 할 수 있다.In this way, children can spoon spoon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ity.

여기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는 적어도 한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좋다.Here, the first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cross at least one point.

이로써, 유아들이 다양한 자세와 위치에서 숟가락을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 있다.As a result, children can hold and spoon spoons in various postures and positions.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와의 교차지점에서 상기 제2손잡이부의 원호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ood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and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rc center direction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at an intersection point with the second handle portion.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와의 교차지점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서로 마주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rst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ood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and a hold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intersection with the second handle portion and connected to a symmetrical posi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이로써, 제1손잡이부의 파지부를 잡은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에 손목이나 팔이 지지되어 숟가락이 기우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oon from being tilted by the wrist or arm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portion of the first handle is held.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에 연결된 일단부터 타단까지 하향 경사지게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rst handl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in an inclined downward direction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ood receiving unit to the other end.

이로써, 제1 또는 제2손잡이부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때, 음식물 수용부가 유아의 입으로 쉽게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spooning while holding the first or second handle, the food receiving unit can be easily accessed through the infant's mouth.

또한, 상기 제2손잡이부는 원형의 폐루프 형상을 가지며, 내주에는 파지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handle portion has a circular closed loop shape, and gripping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로써, 유아들이 제2손잡이부를 편하게 잡을 수 있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children can comfortably hold the second handle and prevent slipping.

또한, 상기 제2손잡이부의 하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는 이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andle portion.

이로써, 숟가락의 위와 아래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숟가락질할 수 있고, 음식물 수용부에서 흐르는 음식물이 주변으로 떨어져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oon can be spooned by clearly divi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o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flowing from the food container from falling to the surroundings and contaminating it.

본 발명의 유아용 숟가락에 따르면, 숟가락질하기 위해서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이 다양하게 제공되므로, 유아들의 신체적 발달 상황, 개성 등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유아들이 원하는 위치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baby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grippable parts are provided for spooning, the infants can hold the desired position and spoon in various postures according to the physical developmental situation, personality, etc. of the infants.

따라서, 유아들이 각자가 편한 자세로 숟가락을 잡고 숟가락질을 하게 되어, 스스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고, 숟가락질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켜서 식사시간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infants each hold a spoon in a comfortable position and use the spoon, so that they can ingest food on their own, improve their interest in spooning,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meal time.

또한, 유아들 스스로 숟가락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유아들을 돌보는 일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use of spoons by the infants themselve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hands taking care of the infants.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숟가락의 경우에는 제2손잡이부가 폐루프 구조를 가짐으로써, 세척 후에 수저통 등에 거치하지 않고 별도로 고리 등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다른 수저들과 격리시켜 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aby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handle has a closed loop structure, it can be stored by hanging on a hook or the like separately without being mounted on a cutlery container after washing, so that it can be dried by separating it from other spoons.

즉, 유아의 숟가락을 타인의 수저 등과 별도로 보관 및 건조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tore and dry the infant's spoon separately from other people's spoon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naged more hygien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숟가락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숟가락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숟가락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숟가락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아용 숟가락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유아용 숟가락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각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숟가락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sp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infant spoo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infant spoon shown in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spo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infant spoon shown in FIG. 5 .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infant spoon shown in Figure 5;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6 .
9 and 10 are each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baby spo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숟가락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aby spo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숟가락(100)은 음식물 수용부(110), 음식물 수용부(11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20)를 구비한다.1 to 4 , the baby spo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accommodating part 110 and a handle part 120 connected to the food accommodating part 110 .

상기 음식물 수용부(110)는 유아의 입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고, 음식물이 담기는 수용홈(111)은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홈(111)의 깊이와 모양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food accommodat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fant's mouth, and the accommodating groove 111 to contain the foo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Here, it is natural that the depth and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111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상기 손잡이부(120)는 음식물 수용부(110)에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121)와, 제1손잡이부(121)에 연결되는 제2손잡이부(123)를 구비한다.The handle unit 120 includes a first handle unit 121 connected to the food receiving unit 110 and a second handle unit 123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unit 121 .

상기 제1손잡이부(121)는 일단은 음식물 수용부(110)에 연결되며, 소정 길이의 바 형상 또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손잡이부(121)의 타단부(자유단)는 유아들이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지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One end of the first handle unit 121 is connected to the food receiving unit 110 , and may have a bar shape or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other end (free end) of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is preferably formed thicker than the periphery to prevent slipping or falling out when children hold it by hand.

상기 제2손잡이부(123)는 원형의 폐루프 형상을 가진다. 제1손잡이부재(123)는 제1손잡이부(121)와 한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손잡이부(123)의 내주에는 아이들이 숟가락질을 위해서 손으로 잡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아서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123a)이 형성된다. 파지홈(123a)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The second handle part 123 has a circular closed loop shape. The first handle member 123 is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to cross each other at one point. A gripping groove 123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handle 123 to prevent slipping when children hold the spoon with their hands, and to allow the fingers to stably place and grip. The gripping grooves 123a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손잡이부(121,123)의 교차지점(125)은 제1손잡이부(121)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음식물 수용부(110)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제1손잡이부(121)는 음식물 수용부(110)와 제2손잡이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21a)와, 교차지점(125)에서 제2손잡이부(123)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파지부(121b)를 가진다.Also, preferably, the intersection point 125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121 and 123 is located to be biased toward the food receiving unit 110 based on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 Accordingly,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21a connecting the food receiv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20, and at the intersection 125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It has an extended holding part 121b.

또한, 제1손잡이부(121)는 교차지점(125)을 기준으로 연결부(121a)에서 파지부(121b) 쪽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아이들이 파지부(121b)를 손으로 잡고 숟가락질을 할 때 음식물 수용부(110)가 손으로 파지한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여 음식물 수용부(110)를 입으로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grip portion 121b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21a with respect to the intersection point 125 . Accordingly, when children hold the grip portion 121b with their hands and spoon, the food container 11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position gripped by the hand, so that the food container 110 can be easily approached with the mouth.

또한, 파지부(121b)의 끝단의 높이가 제2손잡이부(123)의 중심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므로, 아이가 파지부(121b)를 잡았을 때, 아이의 손목이나 팔이 제2손잡이부(123)에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숟가락질할 때 숟가락(100) 전체가 기우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이 숟가락질할 때, 음식물 수용부(110)에 담은 음식물을 흘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grip portion 121b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when the child holds the grip portion 121b, the child's wrist or arm is the second handle portion Since it can be supported in natural contact with the 12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ire spoon 100 from tilting when spoon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contained in the food container 110 from spilling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children spoon.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부(121,1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s 121 and 123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구성을 가지는 유아용 숟가락(100)은 아이들이 제1손잡이부(121)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도 있고, 제2손잡이부(123)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도 있다. 특히, 제1손잡이부(121)의 파지부(121b)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때는 제2손잡이부(123)가 아이의 손목이나 팔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숟가락(100)이 기울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이 흐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숟가락질을 할 수 있다.In the infant spoon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hildren may spoon while holding the first handle 121 or spooning while holding the second handle 123 . In particular, when spooning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121b of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serves to contact and support the child's wrist or arm, so the spoon 100 is tilted or By preventing shaking, it is possible to stably spoon while preventing food from flowing as much as possible.

또한, 아이들이 물건을 잡는 특성이나 개성에 따라서 제2손잡이부(123)의 다양한 위치를 다양한 자세로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가지는 아이들은 자신이 숟가락질하기 편한 위치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수용부(110)에 담긴 음식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음식물 수용부(110)를 아이들의 입으로 용이하게 접근시켜서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children can hold various positions of the second handle 123 in various postur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ity of holding objects, and use the spoon. Therefore, children with various personalities and characteristics can spoon while holding a position where they are comfortable with spooning. You can easily access it so you can eat on your own.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숟가락(100')은 음식물 수용부(110)와, 음식물 수용부(11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20')를 가진다.5 to 8 , the baby spoon 1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accommodating part 110 and a handle 120 ′ connected to the food accommodating part 110 . ) has

상기 음식물 수용부(1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유아용 숟가락(100)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ood accommodating unit 110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infant spoon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손잡이부(120')는 음식물 수용부(110)에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121')와, 제1손잡이부(121')에 연결되는 제2손잡이부(123), 제2손잡이부(123)의 하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부(127)를 구비한다.The handle unit 120' includes a first handle unit 121' connected to the food receiving unit 110, a second handle unit 123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unit 121', and a second handle unit. A cover portion 127 installed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123 is provided.

제1손잡이부(121')는 바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음식물 수용부(110)와 제2손잡이부(123)를 연결하는 연결부(121a')와, 연결부(121a')에서 연장되어 제2손잡이부(123)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연결되는 파지부(121b')를 구비한다.The first handle portion 121 ′ has a bar or rod shape, and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21a ′ connecting the food receiv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21a ′. A grip portion 121b ′ connected to cross the center of the handle portion 123 is provided.

상기 연결부(121a')는 바람직하게는 음식물 수용부(110)에서 제2손잡이부(123)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음식물 수용부(110)가 제2손잡이부(12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아이들이 손잡이부(120')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때, 음식물 수용부(110)가 입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21a ′ is preferably connected from the food accommodating part 110 to the second handle 123 at a downward slope, so that the food accommodating part 110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handle 123 . good to do Accordingly, when children hold the handle 120 ′ and spoon, the food receiving unit 110 can be easily accessed through their mouth.

상기 제1손잡이부(121')는 제2손잡이부(123)와 두 지점에서 교차하여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손잡이부(121')가 제2손잡이부(123)의 원호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좋다. 제1손잡이부(121')와 제2손잡이부(123)의 교차지점(125)을 기준으로 연결부(121a')의 길이가 파지부(121b')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first handle portion 121 ′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at two points crossing it, and preferably,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arc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 It's good to be conn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121a ′ is shorter than that of the gripping portion 121b ′ based on the intersection 125 of the first handle portion 121 ′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

파지부(121b')는 양단이 제2손잡이부(123)의 서로 마주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27)를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아이들이 파지부(121b')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때, 편안하게 파지부(121b')를 잡을 수 있고, 파지부(121b')를 잡은 상태에서 아이의 팔이나 팔목이 제2손잡이부(123)에 안정되게 접촉 지지되도록 하여 숟가락(100')이 기울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121b ′ is connected at opposite ends to symmetrical positions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cover portion 127 . Accordingly, when the children hold the grip portion 121b' and spoon, they can comfortably hold the grip portion 121b', and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121b', the child's arm or wrist is the second handl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oon 100 ′ from being tilted or shaken by being stably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123 .

상기 제2손잡이부(123)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유아용 숟가락(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econd handle 123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infant spoon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커버부(127)는 제2손잡이부(123)의 하부를 덮도록 제2손잡이부(123)에 연결된다. 커버부(127)는 파지부(121b')와의 사이의 일정 공간이 확보되어 아이가 파지부(121b')를 잡을 때, 손이 커버부(127)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27)는 제2손잡이부(123)의 하부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커버부(127)는 아이가 파지부(121b')를 잡을 때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127)는 아이가 파지부(121b')와 제2손잡이부(123)의 다양한 위치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때, 음식물 수용부(110)에서 흘러내리거나 떨어지는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담기도록 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27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part 123 so as to cover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andle part 123 . The cover part 127 secures a certain space between the grip part 121b ′ so that the h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ver part 127 when the child holds the grip part 121b ′. Preferably, the cover portion 127 is formed in a dome shape as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 Accordingly, the cover portion 127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hild's grasping the grip portion 121b'. The cover portion 127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contain food that flows or falls from the food receiving portion 110 when the child holds the grip portion 121b ′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23 at various positions and spoons. This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또한, 커버부(127)가 제2손잡이부(123)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아이가 숟가락질할 때, 음식물 수용부(110)가 뒤집히지 않고 정상적인 자세가 되도록 파지부(121b')나 제2손잡이부(123)를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part 127 is installed under the second handle part 123, when the child spoons, the grip part 121b' or the second grip part 121b' so that the food receiving part 110 does not turn over and returns to a normal posture. It may be induced to hold the handle part 123 .

따라서, 아이들이 상기 구성을 갖는 유아용 숟가락(100')을 이용하여 자신이 편한 위치를 잡고 숟가락질을 할 수 있고, 음식물이 주변으로 흘러서 오염시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children can use the baby spoon 100 ′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o hold a convenient position and spoon,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s much as possible the contamination of food from flowing to the surroundings.

또한,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수용부(110",110")의 평면 형상이 유선형을 이루도록 하여 구성된 유아용 숟가락들(100")도 가능하다. 이경우, 상기 음식물 수용부(110",110")는 수용홈(111')의 깊이를 낮게 구성하고, 전체 평면 형상을 비원형, 예를 들어 타원형, 계란형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아이들이 편하게 숟가락질을 하여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use the baby spoons 100 ″ configured such that the planar shape of the food accommodating parts 110" and 110" forms a streamlined shape. In this case, the food accommodating part (110", 110") configure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111' to be low, and by forming the overall planar shape in a non-circular shape, for example, an oval shape, an egg shape, etc., children can easily eat food by spooning. there will b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100',100"..유아용 숟가락 110,110'..음식물 수용부
111..수용홈 120,120'..손잡이부
121,121'..제1손잡이부 121a,121a'..연결부
121b,121b'..파지부 123,123'..제2손잡이부
125..교차지점 127..커버부
100,100',100".Baby Spoon 110,110'.Food Receptacle
111..Receiving groove 120,120'.Handle part
121,121'.. first handle 121a, 121a'..connection
121b,121b'.Gripping part 123,123'.Second handle part
125..Intersection 127..Cover part

Claims (7)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음식물 수용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에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
상기 제1손잡이부와 교차하도록 연결되고,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제2손잡이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의 하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는 이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a food accommodating unit for accommodating food; and
and a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food receiving part;
The handle portion,
a first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food receiving part;
a second handle portion connected to cross the first handle portion and having a closed loop shape; and
Infa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s installed so as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the cov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는 적어도 한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According to claim 1,
Infa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are connected to cross at least one poi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와의 교차지점에서 상기 제2손잡이부의 원호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handle portion,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ood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handle part; and
Infant spoon comprising a; a grip portion extending in the arc center direction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at the intersection with the second handl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손잡이부와의 교차지점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손잡이부의 서로 마주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handle portion,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ood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handle part; and
Infa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extending from the intersection with the second handle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symmetrical posi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에 연결된 일단부터 타단까지 하향 경사지게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fant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and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ood receiving portion to the other en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부는 원형의 폐루프 형상을 가지며, 내주에는 파지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숟가락.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cond handle has a circular closed loop shape,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spoon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삭제delete
KR1020200025069A 2020-02-28 2020-02-28 Spoon for baby KR1022914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69A KR102291458B1 (en) 2020-02-28 2020-02-28 Spoon for ba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69A KR102291458B1 (en) 2020-02-28 2020-02-28 Spoon for ba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458B1 true KR102291458B1 (en) 2021-08-18

Family

ID=7746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069A KR102291458B1 (en) 2020-02-28 2020-02-28 Spoon for ba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45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708A (en) * 1989-10-16 1996-01-02 Thomas; Martha M. Utensil holder for infants
JP3040994U (en) * 1997-02-27 1997-09-05 ファイン株式会社 Multipurpose grip
JP2003000415A (en) * 2001-06-21 2003-01-07 Kokuyo Co Ltd Grip and utensil
KR20100012195U (en) 2009-06-03 2010-12-13 박귀영 Device for eating fo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708A (en) * 1989-10-16 1996-01-02 Thomas; Martha M. Utensil holder for infants
JP3040994U (en) * 1997-02-27 1997-09-05 ファイン株式会社 Multipurpose grip
JP2003000415A (en) * 2001-06-21 2003-01-07 Kokuyo Co Ltd Grip and utensil
KR20100012195U (en) 2009-06-03 2010-12-13 박귀영 Device for eating fo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09370A2 (en) Baby spoon
KR102291458B1 (en) Spoon for baby
US6027151A (en) Utensil holder
JP2015524335A (en) Feeder and feeder
US20020117520A1 (en) Portable infant carrier
AU2017239155B2 (en) Feeding aid and method of use
US20140190021A1 (en) Toddler natural grip flatware
JP4475626B2 (en) Tableware
US20200337949A1 (en) Pacifier Holder
JP3035008U (en) Beverage container
KR20140005688U (en) baby spoon
JPH0719326Y2 (en) Eating device
WO2009050438A1 (en) Device for holding a dummy
KR200472619Y1 (en) Tableware
KR20170003884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KR200258439Y1 (en) Spoon for baby
KR20160001370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KR102198098B1 (en) Sanitary spoon
US20160058221A1 (en) Baby spoon and bowl
KR20150004011U (en) Spoon for correcting using an infant
JP2003259959A (en) Handle of spoon for eating and drinking
US4972851A (en) Diversional and therapeutic device for organic brain syndrome patients
JP2003230475A (en) Bowl for food
KR20200145016A (en) Fork Aid for Infants
KR970005292Y1 (en) Chopsticks and spo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