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784B1 -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784B1
KR102290784B1 KR1020170055349A KR20170055349A KR102290784B1 KR 102290784 B1 KR102290784 B1 KR 102290784B1 KR 1020170055349 A KR1020170055349 A KR 1020170055349A KR 20170055349 A KR20170055349 A KR 20170055349A KR 102290784 B1 KR102290784 B1 KR 10229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u session
entity
terminal
upf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6780A (en
Inventor
이호연
손중제
백영교
이진성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768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74664B1/en
Priority to PCT/KR2018/003086 priority patent/WO2018169341A1/en
Priority to US15/923,672 priority patent/US10939478B2/en
Priority to EP21176481.6A priority patent/EP3902333A1/en
Priority to CN202210385885.6A priority patent/CN114845346B/en
Priority to CN201880017950.1A priority patent/CN110402589B/en
Publication of KR2018010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780A/en
Priority to US16/868,996 priority patent/US11206697B2/en
Priority to US17/189,995 priority patent/US11570827B2/en
Priority to KR1020210105890A priority patent/KR1024366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84B1/en
Priority to US17/556,004 priority patent/US11606824B2/en
Priority to US18/120,062 priority patent/US202302175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PDU session의 데이터 전송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chnique that converges a 5G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a higher data rate after a 4G system with IoT technology, and a system there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intelligent services (eg, smart home, smart building, smart city, smart car or connected car, healthcare, digital education, retail business, security and safety related services, etc.) based on 5G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oT-related technology. )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managing a data transmission connection of a PDU session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network according to a network deci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scription

네트워크에 의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U 세션 연결의 업데이트 방안{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Update method of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by the network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PDU session의 데이터 전송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a data transmission connection of a PDU session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network according to a network decision.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an improved 5G communication system or pre-5G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wireless data traffic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4G communication system. For this reason,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r the pre-5G communication system is called a system after the 4G network (Beyond 4G Network) or after the LTE system (Post LTE). In order to achieve a high data rate,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being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in a very high frequency (mmWave) band (eg, such as a 60 gigabyte (60 GHz) band). In order to mitigate the path loss of radio waves and increase the propagation distance of radio waves in the very high frequency band, in the 5G communication system, beamforming, massive MIMO, and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are used. ),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and large scale antenna technologies are being discussed. In addition, for network improvement of the system, in the 5G communication system, an evolved small cell, an advanced small cell, a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and an ultra-dense network (ultra-dense network) ,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wireless backhaul, moving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Coordinated Multi-Points (CoMP),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underway. In addition, in the 5G system,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and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which are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methods, and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which are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are being developed.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net is evolving from a human-centered connection network where humans create and consume information to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that exchanges and processes information between distributed components such as objects. Internet of Everything (IoE) technology, which combines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rough connection with cloud servers, etc. with IoT technology, is also emerging. In order to implement IoT, technology elements such as sensing technology,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 interface technology, and security technology are required. , M2M), and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are being studied. In the IoT environment, an intelligent IT (Internet Technology) service that collects and analyzes data generated from connected objects and creates new values in human life can be provided. IoT is a field of smart home, smart building, smart city, smart car or connected car, smart grid, health care, smart home appliance, advanced medical service, etc. can be applied to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apply the 5G communication system to the IoT network. For example, in technologies such as sensor network, machine to machine (M2M), and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5G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mplemented by techniques such as beam forming, MIMO, and array antenna. there will be The application of a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as the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the convergence of 5G technology and IoT technology.

최근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PDU session의 데이터 전송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LTE (Long Term Evolution) and LTE-Advanced, research on a technology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network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network decision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data transmission connection of a PDU sess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U session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User Plane 네트워크 기능과 User Plane 네트워크 기능의 제어를 담당하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기능과 무선 구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지국 장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User Plane 네트워크 기능 또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기능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U session과 연관된 User Plane 네트워크 기능과 기지국 장치간의 연결 상태 및 단말의 PDU session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의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user plane network function responsibl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PDU session for data transmission with a terminal, a session management network function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user plane network function, and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section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base station device for Define how to manag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5G 이동통신에서는 서비스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자원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정의한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사업자별 특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업자별 특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해당 사업자 이외의 로밍 망에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network slice composed of network resources that can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each service in 5G mobile communication. A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may define a network slice specialized for each operato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providing a network slice specialized for each operator in a roaming network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operator in a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ontrol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network; processing the received first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processing to the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통해서 이동통신 사업자 망에서 이동통신 사업자가 구성한 네트워크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들 간에 단말의 시그널링을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장치들의 운영을 지원하고 이를 통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terminal signaling between devices in charge of a network function configur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network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 of network devices in various environments support and efficient operation of network resources through this.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계약을 맺은 이동통신 사업자 간 슬라이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로밍 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스 정보를 획득하고, 로밍 망의 슬라이스 정보를 어떻게 관리하고 사용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ice information can be manage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s that have entered into a roaming contrac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UE may obtain slice information usable in the roaming network and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manage and use slice information of the roaming network.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 Network Function에서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과 지기국에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로 설정하고, User Plane Connection을 해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 Network Function에서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과 지기국에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로 설정하고, User Plane Connection을 해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단말 내부에서 PDU 연결 설정을 관리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망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및 HPLMN에 저장되는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c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밍망에서의 단말 registration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동작 플로우 차트 및 단말에 저장되는 정보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PLMN NF의 동작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PLMN NF의 동작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밍망에서의 단말 registration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밍망에서의 세션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A shows an example of a network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B illustrates a procedure for setting the state of a PDU Session to IDLE for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in an SM Network Function and releasing a User Plan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c illustrates a procedure for setting the state of a PDU Session to IDLE for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in the MM Network Function and releasing the User Plan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D illustrates a procedure for managing PDU connection configuration inside the terminal for data processing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stored in a terminal and an HPL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registration process in a roam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operation flowchart and information changes stor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E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VPLMN N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F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n HPLMN N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G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registration process in a roam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H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ssion establishment process in a roam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A term for identifying an access node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term referring to network entities, a term referring to messages, a term referring to an interface between network objects, a term referring to vario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rms described below, and other terms referring to objects having equivalent technical meanings may be used.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erms and names defined in the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stand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names, and may be equally applied to systems conforming to other standards.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a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말(1a-01)과 기지국(1a-02)과 MM(Mobility Management) function(1a-03)과 SM(Session Management) function (1a-04)(1a-06) 과 Subscriber Data(1a-10) 및 NF Repository(1a-11)을 포함한 Control function(1a-12) 과 UP(user plane) function(1a-05)(1a-07) 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과 상기 지기국을 제외한 상기 Control functions 및 User Plane function을 포함한 장치들의 집합을 코어망(CN, Core Network)으로 지칭한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외부의 Application과의 연동을 위해서 DN(Data Network)(1a-08)(1a-09)를 통해서 외부의 서비스와 연관된 서비스 데이터 들을 전달받는다.1A shows an example of a network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A ,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erminal 1a-01, a base station 1a-02, a Mobility Management (MM) function 1a-03, and a Session Management (SM) function 1a-04 ( 1a-06), Subscriber Data (1a-10), Control function (1a-12) including NF Repository (1a-11), and UP (user plane) function (1a-05) (1a-07).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t of devices including the control functions and user plane functions excluding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referred to as a core network (C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ceives service data related to an external service through DN (Data Network) 1a-08 and 1a-09 for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application.

상기 기지국(1a-02)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1a-02)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무선자원을 스케쥴링하고 할당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The base station 1a-02 provides wireless access to terminals. That is, the base station 1a-02 supports a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and a core network (CN) by scheduling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to service users' traffic.

상기 MM(1a-03)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과 연결하여 이동성 관리와 관련한 제어 신호를 단말에게 전달한다. The MM 1a-03 performs a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mobility management to the terminal in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SM(1a-04)(1a-06)는 상기 단말이 상기 Data NW을 통해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session을 관리하며 상기 UP function(1a-05)(1a-07)과 연락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들을 전송을 관리한다.The SM (1a-04) (1a-06) manages a session in which the terminal can perform a service through the Data NW, and communicates with the UP function (1a-05) (1a-07) to connect the terminal Manages the transmission of service data for

상기 UP function(1a-05)(1a-07)은 상기 기지국(1a-02)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상기 기지국(1a-02)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The UP function (1a-05) (1a-07) processes a packet arriving from the base station (1a-02) or a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a-02).

상기 Control Functions(1a-12)이 상기 단말(1a-01)과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서 설정된 연결을 NG1 연결이라 칭한다.A connection established for the Control Functions 1a-12 to send and receive control signals to and from the terminal 1a-01 is referred to as an NG1 connection.

상기 Control Functions(1a-12)이 상기 기지국(1a-02)과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서 설정된 연결을 NG2 연결이라 칭한다. 상기 NG1 연결을 통해서 상기 단말(1a-01)이 상기 Control Functions(1a-12)과 주고 받는 패킷들은 무선접속을 통해서 상기 단말(1a-01)과 상기 기지국(1a-02) 사이에 전달되며, 상기 NG2 연결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Control Functions 사이에 전달된다.A connection established for the Control Functions 1a-12 to send and receive control signals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1a-02 is referred to as an NG2 connection. Packets exchanged by the terminal 1a-01 with the Control Functions 1a-12 through the NG1 connection are transferred between the terminal 1a-01 and the base station 1a-02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It is transmitt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ntrol Functions through the NG2 connection.

상기 UP function(1a-05)(1a-07)이 단말과 패킷을 주고 받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1a-02)와 패킷을 주고 받는 연결을 NG3 연결이라 칭한다.A connection through which the UP function (1a-05) (1a-07) exchanges packets with the base station (1a-02) in order to send and receive packets with the terminal is referred to as an NG3 connection.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1a-01)이 여러 종류의 외부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상기 Data Network(1a-09)(1a-08)과 복수개의 상기 UP function(1a-05)(1a-07)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Data Network(1a-08)과 상기 Data Network(1a-09)들은 각각 상기 UP function (1a-05)와 상기 UP function(1a-07)을 통해서 각각 상기 단말(1a-01)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the Data Networks 1a-09 (1a-08) and a plurality of the UP functions (1a-05) so that the terminal 1a-01 can perform various types of external services. Data can be exchanged through (1a-07). At this time, the Data Networks 1a-08 and the Data Networks 1a-09 respectively transmit data through the terminal 1a-01 through the UP function 1a-05 and the UP function 1a-07, respectively. can be exchanged

이때, 상기 UP function(1a-05)와 상기 단말(1a-01) 및 상기 기지국(1a-02)와의 연결을 위한 상기 UP function(1a-05)의 제어는 상기 SM function(1a-04)를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UP function(1a-07)와 상기 단말(1a-01) 및 상기 기지국(1a-02)와의 연결을 위한 상기 UP function(1a-07)의 제어는 또 다른 상기 SM function(1a-06)를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1a-01)과 상기 SM(1a-04)와 SM(1a-06)간의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연결은 상기 MM(1a-03)과 상기 단말(1a-01)간의 NG1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기지국(1a-02)과 상기 SM(1a-04)와 SM(1a-06)간의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연결은 상기 MM(1a-03)과 상기 기지국(1a-02)간의 NG2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In this case, the control of the UP function 1a-05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 function 1a-05 and the terminal 1a-01 and the base station 1a-02 is performed by the SM function 1a-04. can be done through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UP function 1a-07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 function 1a-07 and the terminal 1a-01 and the base station 1a-02 is another SM function 1a-06 ) can be done through At this time, the connection for exchanging control signals between the terminal 1a-01 and the SM 1a-04 and the SM 1a-06 is NG1 between the MM 1a-03 and the terminal 1a-01. This is done through connec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for exchanging control signals between the base station 1a-02 and the SM 1a-04 and the SM 1a-06 is the NG2 connection between the MM 1a-03 and the base station 1a-02. is done through

이때, 상기 MM은 상기 단말(1a-01)에서 수신한 상기 SM(1a-04)(1a-06)과의 PDU 연결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지 않고 상기 SM(1a-04) 또는 상기 SM(1a-06)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MM은 상기 단말(1a-01)에서 수신한 PDU 연결 설정을 처리할 적당한 SM function을 상기 SM(1a-04) 또는 상기 SM(1a-06)에서 선택하여서 상기 PDU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MM does not process the signaling message for establishing a PDU connection with the SM (1a-04) (1a-06) received from the terminal (1a-01), the SM (1a-04) or the SM (1a-06). In this case, the MM selects an appropriate SM function to process the PDU connection establishmen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a-01 in the SM 1a-04 or the SM 1a-06 and delivers the PDU connection establishment message. do.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 Network Function에서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과 지기국에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로 설정하고, User Plane Connection을 해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1B illustrates a procedure for setting the state of a PDU Session to IDLE for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in an SM Network Function and releasing a User Plan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SM Network Function (이하 SM)(1b-04)은 상기 PDU Session을 통해서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이 당분간 없을 것으로 예상 될 때, 상기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 로 변경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1b-06) 이때, 상기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 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정을 위한 조건은 상기 UP(1b-05)에서 상기 PDU Session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일정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PDU Session이 일정 범위에서만 가능하나, 상기 단말이 상기 PDU Session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인지된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거나, 서비스 데이터의 송수신이 금지된 영역에 접근한 경우, 또는 제반 사정을 이유로 상기 SM이 상기 PDU Session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일시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판단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 Network Function (hereinafter, SM) (1b-04) may determine to change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to Idle whe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no data transmission to the UE through the PDU Session for a while (1b-06). At this time, the condition for determining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to Idle is wh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in the UP 1b-05 does not exi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the PDU Session is It is possible only in a certain range, but when the terminal is recognized as out of the service range of the PDU Session, or the terminal is out of an area where data service can be receiv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n area in whi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ervice data is prohibited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SM determines that data transmission/reception through the PDU Session is temporarily difficult for various reasons.

상기 SM(1b-04)는 상기 PDU Session을 Idle 상태로 변경이 필요함을 결정한 경우, 상기 UP(1b-05)에게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설정된 상기 UP(1b-05)와 상기 기지국(1b-02)간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 N3 path release request(1b-07)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는 상기 PDU Session의 ID 등의 상기 PDU Session을 지칭할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M 1b-04 determines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DU Session to the Idle state, the UP 1b-05 and the In order to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1b-02, an N3 path release request (1b-07) is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N3 path release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DU Session, such as an ID of the PDU Session.

상기 SM(1b-04)는 상기 UP(1b-05)에게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전송할 때, 상기 UP(1b-05)에서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수신한 경우, 상기 UP(1b-05)가 상기 SM(1b-04)에게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전송하도록 할 것인지, 다른 요청이 없을 때까지는 상기 데이터를 버리도록 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Packet Discard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M 1b-04 transmit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to the UP 1b-05, when the UP 1b-05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from the outside, the UP 1b -05) transmits a Downlink Dat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data has been received to the SM 1b-04, or a packet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indicating whether to discard the data until there is no other request. Discard-rela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상기 UP(1b-05)는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1b-07)을 수신한 경우, 상기 UP(1b-05)와 상기 기지국(1b-02)간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SM(1b-04)에게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전송한다(1b-08). 이때, 상기 UP(1b-05)는 상기 PDU session 관련한 연결을 해제하면서, 상기 PDU Session을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UP 1b-05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1b-07, the UP 1b-05 relea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 1b-05 and the base station 1b-02, and the SM 1b-04 ) to the N3 path release response (1b-08). In this case, the UP 1b-05 may remove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the PDU session while releasing the connec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상기 UP(1b-05)는 상기 SM(1b-04)에게서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1b-07)을 수신할 때,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상기 Packet Discard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Packet Discard 관련 정보에 따라서,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버릴 것인지, 상기 SM (1b-04)에게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전송하도록 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When the UP 1b-05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1b-07 from the SM 1b-04, when receiving the Packet Discard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the Packet Discard relat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discard the externally received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or to transmit a Downlink Data Notification informing the SM 1b-04 that the data has been received and process the data. .

상기 SM(1b-04)는 상기 UP(1b-05)에게서 N3 path release response(1b-08)을 수신한 후, 상기 MM(1b-03)에게 상기 기지국(1b-02)에서도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상기 UP(1b-05)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N3 path release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1b-09).After receiving the N3 path release response (1b-08) from the UP (1b-05), the SM (1b-04) sends the MM (1b-03) to the base station (1b-02) with the PDU session and An N3 path release request for releasing a connection with the related UP (1b-05) may be transmitted (1b-09).

상기 MM(1b-03)은 상기 SM(1b-04)에게서 N3 path release request를 수신한 경우,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상기 단말(1b-01)이 접속하여 있는 상기 기지국(1b-02)에게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연결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기 위하여 N3 path release request를 전송한다.(1b-10)When the MM 1b-03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from the SM 1b-04, the MM 1b-03 send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to the base station 1b-02 to which the terminal 1b-01 is connected. In order to request to release the connec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an N3 path release request is transmitted (1b-10).

상기 기지국(1b-02)는 상기 MM(1b-03)에게서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수신한 경우,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상기 UP(1b-05)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무선 자원 구간의 해제 및 상기 PDU session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base station 1b-02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from the MM 1b-03, it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UP 1b-05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releases the radio resource interval,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control the PDU session can be removed.

이때, 상기 기지국(1b-02)는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무선 자원 구간이 해제 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 상기 단말(1b-01)에게 RRC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을 전송할 수 있다.(1b-11).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b-02 may transmit an RRC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to the terminal 1b-01 to inform that the radio resource section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is released (1b-11).

상기 단말(1b-01)은 상기 기지국(1b-02)에게서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무선 자원들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수신한 경우,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연결이 유지되지 않고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로 관리한다. 상기 PDU Session이 Idle 상태로 관리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PDU Session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기지국(1b-02)와 상기 MM(1b-03)에게 상기 PDU Session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구간의 연결의 재 설정과 상기 기지국(1b-02)와 상기 PDU session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UP 간의 연결의 재설정을 요청해야 한다.When the terminal 1b-01 receives th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informing that the radio resources related to the PDU session are released from the base station 1b-02, it recognizes that the connec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is not maintained and , manages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as Idle. When the PDU Session is managed in an Idle state, when the terminal wants to transmit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the base station 1b-02 and the MM 1b-03 for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PDU Session. It is necessary to request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nection of the radio section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b-02 and the UP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상기 기지국(1b-02)는 상기 PDU session을 위한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 상기 MM(1b-03)에게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1b-13)The base station 1b-02 may release the connection for the PDU session and transmit an N3 path release response to the MM 1b-03 to inform that the connection is released. (1b-13)

상기 MM(1b-03)은 상기 기지국(1b-02)에게서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수신한 후, 상기 SM에게 상기 PDU Session을 위한 상기 기지국(1b-02)와 상기 UP(1b-05)의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1b-14)After receiving the N3 path release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1b-02, the MM 1b-03 connects the base station 1b-02 and the UP 1b-05 to the SM for the PDU session. It can transmit an N3 path release response indicating that this has been released. (1b-14)

상기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SM(1b-04)는 상기 UP(1b-05)에게서 전송할 N3 path release request(1b-07)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MM(1b-03)에게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먼저 전송하여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상기 기지국(1b-02)에서의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연결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MM에게서 N3 path release response(1b-14)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UP(1b-05)에게서 전송할 N3 path release request(1b-07)을 요청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 1b-04 send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to the MM 1b-03 before requesting the N3 path release request 1b-07 to be transmitted from the UP 1b-05. Request to release the connec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in the base station 1b-02 related to the PDU session by first sending a request, and receive an N3 path release response (1b-14) from the MM in response After that, the UP (1b-05) may request an N3 path release request (1b-07) to be transmitted.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 Network Function에서의 결정에 따라서 단말과 지기국에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로 설정하고, User Plane Connection을 해제하는 절차를 도시한다.FIG. 1c illustrates a procedure for setting the state of a PDU Session to IDLE for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in the MM Network Function and releasing the User Plan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MM(1c-03)은 상기 단말(1c-01)이 상기 PDU Session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인지된 경우 등을 포함하여 상기 PDU Session을 통해서 상기 단말(1c-01)과의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1c-06)The MM 1c-03 temporarily provides service with the terminal 1c-01 through the PDU Session, including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terminal 1c-01 is out of the service range of the PDU Sess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mpossible, it may be determin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to Idle. (1c-06)

상기 MM은 상기 PDU Session을 Idle 상태로 변경할 것을 결정하고 상기 SM에게 상기 PDU Session의 연결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는 N3 path release request(1c-07)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MM는 상기 SM에게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전송할 때, 상기 단말(1c-01)의 상기 PDU session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진입하여서 발생하는 경우, 상기 SM에게 상기 PDU session의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The MM may determine to change the PDU Session to an Idle state and transmit an N3 path release request (1c-07) requesting the SM to release the connection of the PDU Session. When the MM transmit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to the SM, when it occurs by entering an area where data service is not possible, such as out of the service range of the PDU session of the terminal 1c-01, the SM can inform that the service of the PDU session is not possible.

상기 SM은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수신한 경우, 상기 UP(1c-05)에게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설정된 상기 UP(1c-05)와 상기 기지국(1c-02)간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 N3 path release request(1c-08)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는 상기 PDU Session의 ID 등의 상기 PDU Session을 지칭할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M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the SM establishes a connection between the UP (1c-05) and the base station (1c-02) configured to deliver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to the UP (1c-05). In order to release, the N3 path release request (1c-08) is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N3 path release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DU Session, such as an ID of the PDU Session.

상기 SM은 상기 UP(1c-05)에게 전송하는 N3 path release request(1c-08)에 상기 UP(1b-05)에서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수신한 경우, 상기 UP(1b-05)가 상기 SM(1b-04)에게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전송하도록 할 것인지, 다른 요청이 없을 때 까지는 상기 데이터를 버리도록 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Packet Discard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상기 Packet Discard 관련 정보는 상기 SM이 상기 MM에게서 N3 path release request를 수신할 때, PDU session의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임을 수신한 경우이거나 상기 SM에 설정된 사업자의 정책 등을 포함하는 여러 조건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SM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from the UP (1b-05) from the outside in the N3 path release request (1c-08) transmitted to the UP (1c-05), the UP (1b-05) ) related to the PDU sess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indicating whether to transmit a Downlink Dat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data has been received to the SM 1b-04, or to discard the data until there is no other reque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Packet Discard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is a case in which the SM receives a state that the service of the PDU session is not possible when the SM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from the MM, or the policy of the operator set in the SM. It can be set according to several conditions including.

상기 UP(1c-05)는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을 수신한 경우, 상기 UP(1c-05)와 상기 기지국(1c-02)간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SM(1c-04)에게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전송한다(1c-09). 이때, 상기 UP(1c-05)는 상기 PDU session 관련한 연결을 해제하면서, 상기 PDU Session을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제거할 수 있다. When the UP 1c-05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the UP 1c-05 relea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 1c-05 and the base station 1c-02, and N3 path release to the SM 1c-04 Transmit the response (1c-09). In this case, the UP 1c-05 may remove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the PDU session while releasing the connec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상기 UP(1c-05)는 상기 SM(1c-04)에게서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을 수신할 때,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상기 Packet Discard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Packet Discard 관련 정보에 따라서,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버릴 것인지, 상기 SM (1b-04)에게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Downlink Data Notification을 전송하도록 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When the UP 1c-05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from the SM 1c-04, upon receiving the Packet Discard 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according to the Packet Discard related information, The data is processed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discard the externally received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or to transmit a Downlink Data Notification informing the SM 1b-04 that the data has been received.

상기 SM(1c-04)는 상기 UP(1c-05)에게서 N3 path release response(1c-08)을 수신한 후, 상기 MM(1c-03)에게 상기 UP(1c-05)가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연결을 해제하였음을 알리는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 (1c-10)After receiving the N3 path release response (1c-08) from the UP (1c-05), the SM (1c-04) sends the UP (1c-05) to the MM (1c-03) with the PDU session An N3 path release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related connection has been released may be transmitted. (1c-10)

상기 MM(1c-03)은 상기 SM(1c-04)에게서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1c-01)이 접속하여 있는 상기 기지국(1c-02)에게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연결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기 위하여 N3 path release request를 전송한다.(1c-11)After receiving the N3 path release response from the SM 1c-04, the MM 1c-03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1c-02 to which the terminal 1c-01 is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PDU session. Transmits N3 path release request to request release. (1c-11)

상기 기지국(1c-02)는 상기 MM(1c-03)에게서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수신한 경우,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상기 UP(1c-05)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무선 자원 구간의 해제 및 상기 PDU session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base station 1c-02 receive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from the MM 1c-03, the base station 1c-02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UP 1c-05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releases the radio resource interval, and Information necessary to control the PDU session can be removed.

이때, 상기 기지국(1c-02)는 상기 PDU session과 연관된 무선 자원 구간이 해제 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 상기 단말(1c-01)에게 RRC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을 전송할 수 있다.(1c-12).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c-02 may transmit an RRC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to the terminal 1c-01 to inform that the radio resource section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has been released (1c-12).

상기 단말(1c-01)은 상기 기지국(1c-02)에게서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무선 자원들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수신한 경우,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연결이 유지되지 않고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PDU session의 상태를 Idle로 관리한다. 상기 PDU Session이 Idle 상태로 관리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PDU Session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기지국(1c-02)와 상기 MM(1c-03)에게 상기 PDU Session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구간의 연결의 재 설정과 상기 기지국(1c-02)와 상기 PDU session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UP 간의 연결의 재설정을 요청해야 한다.When the terminal 1c-01 receives th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informing that the radio resources related to the PDU session are released from the base station 1c-02, it recognizes that the connec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is not maintained and , manages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as Idle. When the PDU Session is managed in the Idle state, when the terminal wants to transmit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the base station 1c-02 and the MM 1c-03 for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PDU Session. It is necessary to request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nection of the radio section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c-02 and the UP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상기 기지국(1c-02)는 상기 PDU session을 위한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 상기 MM(1c-03)에게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1c-14)The base station 1c-02 may release the connection for the PDU session and transmit an N3 path release response to the MM 1c-03 to inform that the connection is released. (1c-14)

상기 MM(1c-03)은 상기 기지국(1c-02)에게서 N3 path release response를 수신한 후, 상기 SM에게 상기 PDU Session을 위한 상기 기지국(1c-02)와 상기 UP(1c-05)의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N3 path release Confirm를 전송할 수 있다.(1c-15)After receiving the N3 path release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1c-02, the MM 1c-03 connects the base station 1c-02 and the UP 1c-05 to the SM for the PDU session. An N3 path release Confirm indicating that this has been released can be transmitted. (1c-15)

상기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MM(1c-03)는 상기 SM(1c-04)에게 N3 path release request(1c-07)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1c-02)에게 상기 N3 path release request를 먼저 전송하여 상기 PDU session과 관련한 연결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1c-02)에게서 N3 path release response(1c-14)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SM(1c-04)에게 상기 PDU Session의 연결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는 N3 path release request(1c-07)을 전송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M 1c-03 sends the N3 path release request to the base station 1c-02 before requesting the N3 path release request 1c-07 to the SM 1c-04. first to request to release the connection related to the PDU session, and after receiving an N3 path release response (1c-14) from the base station 1c-02 in response ) may transmit an N3 path release request (1c-07) requesting to release the connection of the PDU Session.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단말 내부에서 PDU 연결 설정을 관리하는 절차를 예시한다.1D illustrates a procedure for managing PDU connection configuration inside the terminal for data processing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말은 단말 내 Application등의 사용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고,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전송할 것을 요청받은 경우, (1d-01)When the terminal generate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use of an application in the terminal, and is requested to transmit i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d-01)

상기 발생한 데이터와 연관된 PDU Session이 유효한 무선접속 연결과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상기 PDU Session의 상태를 판단한다.(1d-02)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DU Session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data maintains a valid wireless connection connection and a network connection. (1d-02)

이때,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PDU Session이 유효한 무선접속 연결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무선접속 연결을 통해서 자원을 할당 받고 상기 무선 자원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1d-03)At this time, if the PDU Session associated with the data has a valid radio access connection, resources are allocated through the radio access connection an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radio resource (1d-03).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lem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singular or plural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s presented. However, the singular or plural expression is appropriately selected for the situation presen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ngular or plural element, and even if the element is expressed in plural, it is composed of the singular or singular. Even an expressed componen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Also,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3GPP will mainly focus on the communication standard set by the standard, but the main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It can be applied with some modifications in the range not specified, which will be possible at the discretion of a person having technical knowledge skill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 슬라이스, 서비스, 네트워크 슬라이스,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슬라이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Also,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lice, service, network slice, network service, application slice, application service, and the like may be mixed and used.

슬라이스 정보(Slice info)는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S-NSSAI를 의미한다. NSSAI는 S-NSSAI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Slice info for HPLMN은 HPLMN 이동통신사업자가 정한 슬라이스 정보 값 즉, HPLMN에서 사용 가능한 NSSAI 또는 S-NSSAI를 의미한다. Slice info for VPLMN은 VPLMN 이동통신사업자가 정한 슬라이스 정보 값 즉,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NSSAI 또는 S-NSSAI를 의미한다.Slice information means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NSSAI) or S-NSSAI. NSSAI is composed of a set of S-NSSAI. Slice info for HPLMN refers to the slice information value determined by the HPLMN mobile operator, that is, NSSAI or S-NSSAI that can be used in HPLMN. Slice info for VPLMN means a slice information value determined by a VPLMN mobile operator, that is, an NSSAI or S-NSSAI that can be used in the VPLMN.

이동통신 사업자는 슬라이스별로 또는 특정 슬라이스의 셋트 별로 해당 서비스에 적합한 core network node를 할당할 수 있다. 도 2-a는 해당 망 구성도 예를 나타낸다. 단말은 3GPP에서 정의한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on-3GPP에서 정의한 Access Network(AN, 예, WiFi)를 통해 3GPP 5G Core Network(CN)에 접속할 수 있다. 5G CN은 제어 시그널을 전송하는 Control Plane(CP)과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User Plane(UP)으로 나뉜다. CP function은 모든 슬라이스에 공유되는 부분이 있고, 특정 슬라이스에 속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UP function은 특정 슬라이스에 속해 있을 수 있다. 단말이 망에 초기 접속 시,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보낸다. 이 때, 등록 요청 메시지에 단말이 망 접속 후 사용하고자 하는 슬라이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a를 구성하는 각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은 해당 슬라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해당 슬라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엔티티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망 접속 후,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 설정 요청(PDU session setup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 때, 요청하는 PDU 세션이 어떤 슬라이스에 해당하는지를 알리기 위해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에 슬라이스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받은 Shared CN CP function은 요청받은 슬라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slice specific CN CP를 선택할 수 있다. 일련의 과정에서 설명한 슬라이스 정보는 표준값으로 정의되어,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값일 수도 있고,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가 정한 임의의 값이 될 수도 있다. A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may allocate a core network node suitable for a corresponding service for each slice or for each set of a specific slice. 2A shows an example of a corresponding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The UE may access the 3GPP 5G Core Network (CN) through a Radio Access Network (RAN) defined in 3GPP or an Access Network (AN, eg, WiFi) defined in non-3GPP. 5G CN is divided into Control Plane (CP) that transmits control signals and User Plane (UP) that transmits data traffic. The CP function may have a part shared by all slices and a part belonging to a specific slice. The UP function may belong to a specific slice. When the terminal initially accesses the network, it sends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 this case, slice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intends to use after accessing the network may be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Each of the network entities constituting FIG. 2-a transmits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by selecting an entity capable of supporting the corresponding slice based on the corresponding slice information. After connecting to the network, the terminal may send a PDU session setup request message for data transmission. In this case, slice-relate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to indicate which slice the requested PDU session corresponds to. The Shared CN CP function receiving the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may select a slice specific CN CP based on the requested slice information. The slice information described in a series of processes is defined as a standard value and may be a value that all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s can understand, or it may be an arbitrary value determined by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도 2-b는 단말과 HPLMN에 저장된 슬라이스 관련 정보를 도식화한다. 단말은 HPLMN에 가입하여 특정 슬라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스 정보는 단말에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별로 연관된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PLMN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UDM)에 단말별 가입정보를 저장한다. 도 2-b에서 기술한 예는 UDM에 UE A 의 가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UE A가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2-b diagrams slice-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nd HPLMN. A UE can use a specific slice by subscribing to HPLMN. Slice information usable by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terminal, and may include sl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HPLMN stores subscription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in a 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 (UDM). In the example described in FIG. 2-b , subscription information of UE A is stored in UDM, and slice information available to UE A may also be included.

도 2-c는 단말이 HPLMN 이외의 로밍망에 접속했을 때 등록 과정을 기술한다. 단말은 VPLMN에 접속하기 위해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스텝 1)한다.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받은 VPLMN의 AMF(도 2-a의 shared CN CP function에 해당)는 HPLMN의 UDM에 접속하여 단말의 가입 정보를 확인(스텝 2, 3)한다. AMF는 UDM으로부터 받은 단말의 가입 정보, local policy 등을 기반으로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접속 승인을 위해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스텝 4)한다. 이때, 단말에 저장된 정보, 망의 동작 방법에 따라 각 스텝에 포함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Figure 2-c describes a registration process when the terminal accesses a roaming network other than HPLMN. The terminal transmits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to access the VPLMN (step 1). Upon receiving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the AMF of the VPLMN (corresponding to the shared CN CP function of FIG. 2-a) accesses the UDM of the HPLMN and checks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teps 2 and 3).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terminal is accessible based on the terminal's subscription information and local policy received from the UDM, the AMF transmits a Registration Accept message to the terminal for access approval (step 4). In this case,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step may vary according to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접속 과정이 일어나기 전, 단말에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단말은 스텝 1의 메시지에 requested slice info for VPLMN을 포함하여 전달한다. 스텝 1의 메시지를 전달받은 AMF는 local policy 및 roaming agreements 등을 기반으로 메시지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가 VPLMN에서 제공하는 슬라이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 확인 과정은 스텝 3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스텝 2, 스텝 3 과정을 통해 단말이 해당 슬라이스를 사용 가능한지 가입 정보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텝 2에 단말 정보와 함께 단말이 보낸 requested slice info for VPLMN 정보를 UDM에게 보낸다. UDM은 단말의 가입 정보와 HPLMN과 VPLMN간 로밍 협약(roaming agreements)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이 해당 슬라이스를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고, 스텝 3에 단말이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 (slice info for VPLMN)을 AMF에게 보낸다. AMF는 local policy 및 roaming agreements 등을 기반으로 UDM으로부터 전달받은 slice info for VPLMN이 VPLMN에서 현재 제공 가능한 슬라이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최종 결정된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을 포함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스텝 4에서 단말에게 보낸다.If slice information usable in the VPLMN is stored in the UE before the access process occurs, the UE transmits the requested slice info for VPLMN in the message of step 1. Upon receiving the message of step 1, the AMF can check whether the sl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is the slice provided by the VPLMN based on local policy and roaming agreements. This verification process may occur after step 3. Through the steps 2 and 3, the UE checks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to see if the corresponding slice can be used. Specifically, in step 2, the requested slice info for VPLMN information sent by the terminal is sent to the UDM along with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UDM checks whether the UE can use the corresponding slice based on the UE's subscription information and roaming agreements between HPLMN and VPLMN, and in step 3, AMF provides slice information for the UE to use in the VPLMN. send to AMF can check whether slice info for VPLMN received from UDM is a slice currently available from VPLMN based on local policy and roaming agreements. In step 4, a Registration Accept message including the finally determined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is sent to the UE.

또 다른 경우로, 접속 과정이 일어나기 전, 단말에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가 없을 경우, 단말은 스텝 1의 메시지에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스텝 1의 메시지를 전달받은 AMF는 local policy 및 roaming agreements 등을 기반으로 HPLMN의 가입자인 단말에게 어떤 슬라이스가 제공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이 확인 과정은 스텝 3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스텝 2, 스텝 3 과정을 통해 단말이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텝 2에 단말 정보를 UDM에게 보낸다. UDM은 단말의 가입 정보와 HPLMN과 VPLMN간 로밍 협약(roaming agreements)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이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가 무엇인지를 선택한다. 스텝 1에서 단말이 아무런 슬라이스 요청을 하지 않았으므로, HPLMN은 UDM에 저장된 가입 정보를 바탕으로 default slices를 선택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slice info for VPLMN이 아니라 slice info for HPLMN이다. 스텝 3에서 단말이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slice info for HPLMN 또는 slice info for VPLMN)를 AMF에게 보낸다. 스텝 3에서 slice info for HPLMN이 포함되었을 경우, AMF는 local policy 및 roaming agreements 등을 기반으로 UDM으로부터 전달받은 slice info for HPLMN을 VPLMN에 해당하는 값인 slice info for VPLMN 값으로 대칭하고, VPLMN에서 현재 제공 가능한 슬라이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UDM은 선택한 slice info for HPLMN을 로밍 어그리먼트를 기반으로 slice info for VPLMN 값으로 변경하여 스텝 3에 slice info for VPLMN이 포함할 수 있다. AMF는 local policy 및 roaming agreements 등을 기반으로 UDM으로부터 전달받은 slice info for VPLMN이 VPLMN에서 현재 제공 가능한 슬라이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최종 결정된 slice info for VPLMN 을 포함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스텝 4에서 단말에게 보낸다. In another case, if there is no slice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VPLMN in the terminal before the access process occurs, the terminal may not include the slice information in the message of step 1. Upon receiving the message of step 1, the AMF can check which slices can be provided to the UE, which is a subscriber of HPLMN, based on local policy and roaming agreements. This verification process may occur after step 3. Through steps 2 and 3, the UE may check available slice information. Specifically, in step 2, the terminal information is sent to the UDM. The UDM selects which slices the UE can use based on the UE's subscrip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roaming agreements between the HPLMN and the VPLMN. Since the UE did not request any slices in step 1, the HPLMN can select default slices based on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DM. This information is slice info for HPLMN, not slice info for VPLMN. In step 3, the UE sends slice information (slice info for HPLMN or slice info for VPLMN) usable in the VPLMN to the AMF. If slice info for HPLMN is included in step 3, AMF mirrors the slice info for HPLMN received from UDM based on local policy and roaming agreements with the value corresponding to VPLMN, slice info for VPLMN, and is currently provided by VPLMN. You can check if the slice is possible. Alternatively, the UDM may change the selected slice info for HPLMN to the slice info for VPLMN value based on the roaming aggregation and include slice info for VPLMN in step 3. AMF can check whether slice info for VPLMN received from UDM is a slice currently available from VPLMN based on local policy and roaming agreements. In step 4, a Registration Accept message including the finally decided slice info for VPLMN is sent to the UE.

이때, Registration Accept에는 slice info for VPLMN과 대응되는 slice info for HPLMN 값이 함께 전달될 수 있다.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받은 UE는 도 2-d에 기술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즉, 단말에 저장된 정보인 어플리케이션과 HPLN S-NSSAI 맵핑 정보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된 Slice info for HPLMN(a set of S-NSSAIs) 과 slice info for VPLMN(a set of S-NSSAIs)의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VPLMN에서 사용하는 S-NSSAI 값의 맵핑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lice info for VPLMN and corresponding slice info for HPLMN values may be delivered to Registration Accept. Upon receiving the Registration Accept message, the UE performs an operation as described in FIG. 2-d. That is, mapping information of application and HPLN S-NSSAI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nd Slice info for HPLMN (a set of S-NSSAIs) and slice info for VPLMN (a set of S-NSSAI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Accept message. By using ,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mapping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NSSAI value used in the VPLMN.

스텝 1에서 단말이 아무런 슬라이스 요청을 하지 않았으므로, 스텝 4에서 단말에게 허락된 슬라이스는 UDM에 저장된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한 default slices 일 수 있다. 이후 동작에서 단말이 PDU session setup을 요청할 때,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에 맵핑된 VPLMN의 S-NSSAI 값을 포함하여 PDU session setup 요청을 보내게 된다.Since the UE did not request any slices in step 1, the slices allowed to the UE in step 4 may be default slices based on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DM. In the subsequent operation, when the terminal requests PDU session setup, the terminal sends a PDU session setup request including the S-NSSAI value of the VPLMN mapped to the application.

또 다른 경우로, 접속 과정이 일어나기 전, 단말에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가 없을 경우, 단말은 스텝 1의 메시지에 requested slice info for HPLMN을 포함하여 전달한다. 스텝 1의 메시지를 전달받은 AMF는 단말로부터 받은 requested slice info for HPLMN 정보를 스텝 2에 포함하여 UDM에게 전달할 수 있다. UDM은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를 최종 선택하여, 해당 슬라이스 정보인 allowed slice info for HPLMN을 스텝 3에서 AMF에게 보낼 수 있다. AMF는 roaming agreements 를 기반으로 allowed slice info for HPLMN을 VPLMN에 해당하는 값이 slice info for VPLMN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local policy 등을 기반으로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슬라이스인 allowed slice info for VPLMN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AMF는 allowed slice info for VPLMN과 그에 해당하는 slice info for HPLMN 정보를 포함하여 스텝 4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스텝 2 이후에 UDM은 allowed slice info for HPLMN을 결정한 후, 로밍 어그리먼트를 기반으로 allowed slice info for HPLMN을 VPLMN에서 사용하는 값이 slice info for VPLMN으로 변경하여 스텝 3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AMF는 local policy 등을 기반으로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슬라이스인 allowed slice info for VPLMN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AMF는 allowed slice info for VPLMN과 그에 해당하는 slice info for HPLMN 정보를 포함하여 스텝 4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한다.In another case, if there is no slice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VPLMN in the terminal before the access process occurs, the terminal transmits the requested slice info for HPLMN in the message of step 1. Upon receiving the message in step 1, the AMF may include the requested slice info for HPLM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tep 2 and deliver it to the UDM. The UDM may finally select a slice that the UE can use based on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and may send the corresponding slice information, allowed slice info for HPLMN, to the AMF in step 3 . AMF may change allowed slice info for HPLMN to slice info for VPLMN with a value corresponding to VPLMN based on roaming agreements. In addition, the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which is a slic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E, may be finally determined based on local policy or the like. The AMF transmits a step 4 message including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and corresponding slice info for HPLMN information to the UE. After step 2, the UDM determines the allowed slice info for HPLMN, and then changes the allowed slice info for HPLMN to slice info for VPLMN based on the roaming aggregation to be included in the step 3 message. The AMF may finally determine the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which is a slic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E, based on local policy or the like. The AMF transmits a step 4 message including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and corresponding slice info for HPLMN information to the UE.

도 2-c의 스텝 3 단계에서 UDM은 특정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단말에게 제공되어야 할 망의 요구사항 정보(예, QoS 프로파일)를 줄 수 있다. 해당 정보를 받은 AMF는 요구사항에 맞는 VPLMN의 슬라이스를 선택하여, 즉 allowed slice info for VPLMN를 결정하여 스텝 4에 포함하여 단말에게 보낼 수 있다. In step 3 of FIG. 2-c , the UDM does not include specific slice information, but may provide network requirement information (eg, QoS profile) to be provided to the UE. 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 AMF may select a slice of the VPLMN that meets the requirements, that is, determine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and include it in step 4 and send it to the UE.

도 2-d는 도 2-c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단말 동작 플로우 차트를 도식화한다. 또한, 초기 접속 시 단말에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slice info가 없는 경우, 등록 전, 후에 단말에 저장되는 슬라이스 정보의 변화를 나타낸다.FIG. 2-d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erminal operation flow char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2-c.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slice info available in the VPLMN in the terminal at the time of initial access, it indicates a change in sl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before and after registration.

도 2-e는 도 2-c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AMF 동작 플로우 차트를 도식화한다. Fig. 2-e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MF operation flow char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2-c.

도 2-f는 도 2-c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UDM 동작 플로우 차트를 도식화한다. Fig. 2-f illustrates a flow chart of UDM ope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2-c.

도 2-g는 도 2-c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슬라이스 선택 및 맵핑 관련 동작이 AMF와 UDM이 아닌 다른 network function에 발생하는 경우를 도식화한다. AMF는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슬라이스 정보를 스텝 4에서 vNF에게 전달한다. vNF는 hNF와 통신하여 단말이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vNF는 VPLMN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또는 VPLMN의 네트워크 노드를 관리하는 Network Repository Function 일 수 있다. hNF 는 HPLMN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또는 VPLMN의 네트워크 노드를 관리하는 Network Repository Function 또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UDM 일 수 있다. 또한, 스텝 2, 3은 스텝 7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FIG. 2-g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slice selection and mapping related operations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2-c occur in network functions other than AMF and UDM. The AMF delivers the slice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UE to the vNF in step 4. The vNF may communicate with the hNF to determine a slice usable by the UE. vNF may be a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that manages a network slice of a VPLMN or a Network Repository Function that manages a network node of a VPLMN. The hNF may be a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for managing a network slice of the HPLMN, a Network Repository Function for managing a network node of a VPLMN, or a UDM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Also, steps 2 and 3 may be performed after step 7.

Registration 과정을 통해 VPLMN에서 사용 가능한 allowed slice info for VPLMN을 획득한 단말은 이후의 세션 설정 과정에서 이 값을 사용한다. 도 2-h는 PDU session setup 프로시져를 도식화한다. 단말은 사용자가 사용하길 원하는 application에 맵핑된 slice info for VPLMN 값을 확인한다. 해당 슬라이스에 해당하는 PDU session이 현재 없을 경우 또는 있어도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스텝 2에서 새로운 PDU session setup request 메시지를 망에 전송한다. 이때 해당 slice info for VPLMN 값이 포함되어 AMF에게 전송된다. AMF는 해당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SMF를 찾기 위해 vNRF에게 NF 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스텝 3). 스텝 3에 이후의 동작으로 3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4a는 vNRF가 NF discovery response로 vSMF(s) 정보를 받아 오는 방법이다. AMF는 HPLMN의 hSMF 정보는 모른채 PDU session setup request를 vSMF에게 전송한다. 4a 이후에는 5a 또는 5b가 가능하다. 4b는 NF discovery response로 vSMF(s) 정보를 받은 AMF가 HPLMN의 hNRF에게 hSMF(s)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방법이다. 4c는 스텝 3 메시지를 받은 vNRF가 hNRF와 통신하여 hSMF(s) 정보를 획득하고, NF discovery response에 vSMF(s) 정보 및 hSMF(s)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AMF에게 회신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3가지 방법으로 vSMF(s) 정보를 획득한 AMF는 vSMF(s) 중 하나의 vSMF를 선택하여 PDU session setup request 를 전송한다(스텝5). PDU session setup request를 받은 vSMF는 3가지 방법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5a는 AMF로부터 hSMF(s) 정보를 받지 못했을 경우, vSMF가 hNRF에게 해당 슬라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hSMF(s)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경우이다. hSMF(s) 정보를 획득한 vSMF는 이 중 하나의 hSMF를 선택하여 스텝 6에서 PDU session setup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5b는 vSMF가 hNRF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vNRF를 통해 hSMF(s)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hSMF(s) 정보를 획득한 vSMF는 이 중 하나의 hSMF를 선택하여 스텝 6에서 PDU session setup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5c는 스텝 4b 또는 4c 과정을 통해 AMF가 hSMF(s) 정보를 획득하여, vSMF에게 hSMF(s)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이때, AMF가 hSMF(s) 중 하나의 hSMF를 선택하여 vSMF에게 전달할 수 있고, vSMF는 해당 hSMF에게 스텝 6과 같이 PDU session setup request 를 전송한다. 또는 AMF는 hSMF(s) 정보를 그대로 vSMF에게 전달할 수 있고, vSMF 는 이 중 하나의 hSMF를 선택하여 해당 hSMF에게 스텝 6과 같이 PDU session setup request 를 전송한다. 스텝 6의 PDU session setup request 는 slice info for VPLMN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텝 6의 PDU session setup request를 받은 hSMF는 필요한 경우, hNF와 통신하여 slice info for VPLMN에 맵핑되는 HPLMN의 값인 slice info for HPLMN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스텝 7, 8). 이 역할을 수행하는 vNF는 NSSF 이거나 NRF이거 UDM 이거나 또는 그 외의 다른 5G CN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다. 스텝 9~11의 과정을 통해 PDU session setup response가 단말에게 전송된다. A UE that obtains allowed slice info for VPLMN usable in the VPLMN through the registration process uses this value in the subsequent session establishment process. Figure 2-h diagrams a PDU session setup procedure. The terminal checks the slice info for VPLMN value mapped to the application the user wants to use. If a PDU session corresponding to the slice does not currently exist or if it is impossible to use even if there is, a new PDU session setup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in step 2. 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slice info for VPLMN value is included and transmitted to the AMF. The AMF transmits an NF discovery request message to the vNRF to find an SMF supporting the slice (step 3). Three methods are possible with the subsequent operation in step 3. 4a is a method in which vNRF receives vSMF(s) information as an NF discovery response. AMF sends a PDU session setup request to vSMF without knowing the hSMF information of HPLMN. After 4a, 5a or 5b is possible. 4b is a method in which the AMF, which has received vSMF(s) information as an NF discovery response, requests and obtains hSMF(s) information from the hNRF of HPLMN. 4c is a method in which the vNRF, having received the step 3 message, communicates with the hNRF to obtain hSMF(s) information, and includes both vSMF(s) information and hSMF(s) information in the NF discovery response and returns to the AMF. The AMF that has obtained vSMF(s) information in these three ways selects one vSMF among vSMF(s) and transmits a PDU session setup request (step 5). vSMF that has received the PDU session setup request can operate in three ways. 5a is a case in which, when hSMF(s)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AMF, the vSMF requests and obtains hSMF(s) information capable of providing a corresponding slice to the hNRF. vSMF having obtained hSMF(s) information selects one hSMF among them and transmits a PDU session setup request message in step 6. 5b is a method in which vSMF does not communicate directly with hNRF, but obtains hSMF(s) information through vNRF. vSMF having obtained hSMF(s) information selects one hSMF among them and transmits a PDU session setup request message in step 6. 5c is a method in which the AMF acquires hSMF(s)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of step 4b or 4c and delivers hSMF(s) information to vSMF. In this case, the AMF may select one hSMF from among the hSMF(s) and deliver it to the vSMF, and the vSMF transmits a PDU session setup request to the corresponding hSMF as in step 6. Alternatively, the AMF may deliver the hSMF(s) information to the vSMF as it is, and the vSMF selects one of them and transmits a PDU session setup request to the corresponding hSMF as in step 6. The PDU session setup request of step 6 may include a slice info for VPLMN value. If necessary, the hSMF receiving the PDU session setup request of step 6 may communicate with the hNF to obtain a slice info for HPLMN value that is a value of HPLMN mapped to slice info for VPLMN (steps 7 and 8). The vNF performing this role may be an NSSF, an NRF, a UDM, or other network entities constituting a 5G CN. A PDU session setup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process of steps 9 to 11.

Claims (20)

무선 통신 시스템의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PDU(protocol data unit) 세션(session)에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에서 벗어났는지 식별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PDU 세션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기 상태를 상기 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한 것에 따라서,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UPF(user plane function) 엔티티와 기지국간 연결(connection)에 대한 정보를 제거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UPF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ent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whether the terminal is out of a service area corresponding to a protocol data unit (PDU) session;
determining, when the terminal leaves the service area corresponding to the PDU session, to change a state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of the terminal to an idle state; and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state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is to be changed to the idle state, a first request message for removing information on a connection between a user plane function (UPF) entity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and a base station is UPF and sending to the ent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를 상기 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이 허용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를 상기 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rmining to change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to the idle state wh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does not exist for a set period; or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o change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to the idle state when the terminal is out of the allowed ran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PDU 세션과 관련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폐기할 것을 상기 UPF 엔티티에게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notifying the UPF entity to discard downlink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UPF 엔티티가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UPF 엔티티가 데이터 통지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도록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UPF entity not to provide a data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UPF entity receives data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PF 엔티티와 상기 기지국간 상기 연결은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기지국 및 상기 UPF 엔티티 사이의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F entity and the base station is a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terminal and the UPF ent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기지국에서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기 위한 제2 요청 메시지를 MMF(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second request message for releasing a radio resource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to a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MMF) entity by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terminal.
무선 통신 시스템의 UPF(user plane function)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PDU(protocol data unit) 세션(session)에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에서 벗어나서 상기 단말의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가 결정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기 UPF 엔티티와 기지국간 연결(connection)에 대한 정보를 제거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SMF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MF 엔티티에게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performed by a user plane function (UPF) ent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entity ha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moves out of a service area corresponding to a protocol data unit (PDU) session and changes the state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of the terminal to an idle state. case, receiving a request message for removing information on a connection between the UPF entity and the base station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of the terminal from the SMF entity; and
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the request message to the SMF entity.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가 상기 idle 상태로 변경될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허용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가 상기 idle 상태로 변경될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does not exist for a set period,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is changed to the idle state, or
When the terminal is out of the allowed range,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is changed to the idle stat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PDU 세션과 관련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폐기할 것을 상기 UPF 엔티티에게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notifying the UPF entity to discard downlink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UPF 엔티티가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UPF 엔티티가 데이터 통지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도록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notifying the UPF entity not to provide a data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UPF entity receives data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UPF 엔티티와 상기 기지국간 연결은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기지국 및 상기 UPF 엔티티 사이의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F entity and the base station is a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terminal and the UPF entity.
무선 통신 시스템의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이 PDU(protocol data unit) 세션(session)에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에서 벗어났는지 식별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PDU 세션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기 상태를 상기 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한 것에 따라서,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UPF(user plane function) 엔티티와 기지국간 연결(connection)에 대한 정보를 제거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UPF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F 엔티티.
In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ent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ceiver; and
Identifies whether the terminal leaves a service area corresponding to a protocol data unit (PDU) session, and when the terminal leaves the service area corresponding to the PDU session, the terminal's PDU session and According to determining to change the associated state to the idle state, and determining to change the state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to the idle state, a connection between a user plane function (UPF) entity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and a base station ) SMF entity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first request message for removing the information to the UPF entity through the transceiver.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DU 세션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를 상기 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허용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를 상기 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F 엔티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through the PDU session does not exist for a set period, it is determin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to the idle state, or
SMF ent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to the idle state when the terminal is out of the allowed rang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PDU 세션과 관련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폐기할 것을 상기 UPF 엔티티에게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F 엔티티. 13. The SMF entity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notifying the UPF entity to discard downlink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UPF 엔티티가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UPF 엔티티가 데이터 통지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도록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F 엔티티. 13. The SMF entity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UPF entity not to provide a data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UPF entity receives data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기지국에서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기 위한 위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MMF(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F 엔티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SMF ent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the terminal transmits a second request message for releasing the radio resource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to a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MMF) entity through the transceiver.
무선 통신 시스템의 UPF(user plane function) 엔티티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이 PDU(protocol data unit) 세션(session)에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에서 벗어나서 상기 단말의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변경할 것으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가 결정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상기 UPF 엔티티와 기지국간 연결(connection)에 대한 정보를 제거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SMF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SMF 엔티티에게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F 엔티티.
In a user plane function (UPF) ent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ceiver; and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entity ha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moves out of a service area corresponding to a protocol data unit (PDU) session and changes the state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of the terminal to an idle state. In this case, a request message for removing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F entity and the base station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of the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MF entity through the transceiver, and to the SMF entity according to the request message UPF entity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hrough the transceiver.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PDU 세션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가 상기 idle 상태로 변경될 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허용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PDU 세션의 상기 상태가 상기 idle 상태로 변경될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F 엔티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PDU session does not exist for a set period,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is changed to the idle state, or
The UPF ent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PDU session is changed to the idle state when the terminal is out of the allowed range.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PDU 세션과 관련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폐기할 것을 상기 UPF 엔티티에게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F 엔티티. 18. The UPF entity of claim 17, wherein the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notifying the UPF entity to discard downlink data related to the PDU session.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UPF 엔티티가 상기 PDU 세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UPF 엔티티가 데이터 통지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도록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F 엔티티.18. The UPF entity of claim 17, wherein the reques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notifying the UPF entity not to provide a data notification message when the UPF entity receives data associated with the PDU session.
KR1020170055349A 2017-03-16 2017-04-28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KR1022907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3086 WO2018169341A1 (en) 2017-03-16 2018-03-16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US15/923,672 US10939478B2 (en) 2017-03-16 2018-03-16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EP21176481.6A EP3902333A1 (en) 2017-03-16 2018-03-16 Terminal registration for connection to roaming network
CN202210385885.6A CN114845346B (en) 2017-03-16 2018-03-16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 entity, terminal and method thereof
EP18768110.1A EP3574664B1 (en) 2017-03-16 2018-03-16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CN201880017950.1A CN110402589B (en) 2017-03-16 2018-03-16 PDU conversation connection updating method between network initiated terminal and network
US16/868,996 US11206697B2 (en) 2017-03-16 2020-05-07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US17/189,995 US11570827B2 (en) 2017-03-16 2021-03-02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KR1020210105890A KR102436667B1 (en) 2017-03-16 2021-08-11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US17/556,004 US11606824B2 (en) 2017-03-16 2021-12-20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US18/120,062 US20230217510A1 (en) 2017-03-16 2023-03-10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79 2017-03-16
KR20170033379 2017-03-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890A Division KR102436667B1 (en) 2017-03-16 2021-08-11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80A KR20180106780A (en) 2018-10-01
KR102290784B1 true KR102290784B1 (en) 2021-08-20

Family

ID=638770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349A KR102290784B1 (en) 2017-03-16 2017-04-28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KR1020210105890A KR102436667B1 (en) 2017-03-16 2021-08-11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890A KR102436667B1 (en) 2017-03-16 2021-08-11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07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8480A1 (en) * 2018-10-31 2020-05-06 Ntt Docomo, Inc. Core network resource selection for roaming terminals
KR102587360B1 (en) * 2019-02-14 2023-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eauthentication of dn authorized pdu session and for managing pdu session according to change in dn authorization data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5286*
3GPP S2-165730
3GPP S2-166612*
3GPP S2-171040
3GPP S2-17115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80A (en) 2018-10-01
KR20210102148A (en) 2021-08-19
KR102436667B1 (en)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6824B2 (en)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KR1024366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s in 5g system
KR102293669B1 (en) Session continuity support for 5g cellular network
US116532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data flow
US202101607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796745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a handover for a ue
KR102449475B1 (en) Mehot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network to terminal based on applicable network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1233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ied attach procedure and mobility and paging support in data communication network
KR20180106804A (en) A method for supporting efficient pdu sess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in cellular networks
KR202001431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38716A (en) Method for transferring sinmaling messages of the terminal between the network function
KR102436667B1 (en) Method for updating pdu session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by the network
KR20200019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du session connection to transmit data
EP3878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eauthentication of dn authorized pdu session and managing pdu session according to change of dn authorization data
KR20230065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lit compu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202201351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149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using non access stratum protocol
US202203220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quests f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terminals concurr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208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user plane security policy for pdu session
KR202300600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li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17223303A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1442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network slicing
KR20220061782A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mmunication for use of network sl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199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6709291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