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509B1 -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 Google Patents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509B1
KR102290509B1 KR1020150052181A KR20150052181A KR102290509B1 KR 102290509 B1 KR102290509 B1 KR 102290509B1 KR 1020150052181 A KR1020150052181 A KR 1020150052181A KR 20150052181 A KR20150052181 A KR 20150052181A KR 102290509 B1 KR102290509 B1 KR 10229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bration
door lock
lock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22395A (en
Inventor
조성민
송용진
김태원
강호수
권순목
지무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509B1/en
Publication of KR2016012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6Mechanical aspects of locks whose actuation is dependent on geographical location, e.g. by means of a GPS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락 장치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도어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모듈,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 모듈, 상기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폐 모듈을 포함한다.Disclosed are a door lock device and a method for unlocking the door lock device.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ccess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door access of a user possessing a terminal,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terminal, and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successful, by detecting a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erminal, the terminal a position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d a door opening/closing module for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area.

Description

도어락 장치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A door lock device and a method for unlocking the door lock device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기술과 관련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locking and unlocking techniques for doors.

일반적으로, 도어락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인증된 무선 단말을 소지한 채로 실외에서 도어에 접근하면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 제어 기술에 의하면, 인증된 무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구분할 수 없어 종종 오동작하게 된다. 즉, 인증된 무선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오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도식 아파트에서 인증된 무선 단말이 실내에서 도어 인근에 존재하고, 외부인이 도어 앞을 지나가는 경우 의도치 않게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In general,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provides a function of unlocking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when a user approaches a door from the outside while possessing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oor lock control technology, it i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a user possessing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is indoors or outdoors, so it often malfunctions. That is, even though a user possessing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is indoors, a malfunction in which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is released occurs. For example, in a corridor-type apartment, when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exists near a door in the room and an outsider passes in front of the door,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may be unintentionally releas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4728호 (2013.02.13)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34728 (2013.02.13)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means for conveniently opening and closing a door using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또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단말을 이용한 도어 개폐시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means for accuratel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using the terminal.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도어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모듈;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 모듈; 상기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폐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n access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door approach of a user possessing a terminal;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terminal; a position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y sens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successful; and a door opening/closing module for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area.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상기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may transmit a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by us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successful.

상기 제1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단말의 인증시 사용된 무선 통신 수단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the sa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used for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과 구별되는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when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may detect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bration us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무선 통신일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 UWB 진동 스캔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단말의 진동에 의하여 변조되어 반송되는 상기 UWB 진동 스캔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may detect the generation position of the vibration by transmitting a UWB vibration scan signal to the set area and sensing the UWB vibration scan signal that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by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진동 발생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감지된 진동의 패턴 및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진동 발생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진동을 발생시킨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ma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at generated the vibration when the detected vibration pattern and the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included in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are the same.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도어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door approach of a user carrying a terminal; authenticating th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successful,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y detecting a vibration generated in the terminal; and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area.

상기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the posi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us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상기 제1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단말의 인증시 사용된 무선 통신 수단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the sa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used for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과 구별되는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measuring the position, when the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us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may include more.

상기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무선 통신일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 UWB 진동 스캔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진동에 의하여 변조되어 반송되는 상기 UWB 진동 스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include: transmitting a UWB vibration scan signal to the set area; and detecting the UWB vibration scan signal that is transmitted and modulated by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진동 발생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상기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감지된 진동의 패턴 및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진동 발생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진동을 발생시킨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ing of the position may include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at generated the vibration when the detected vibration pattern and the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included in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are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과 도어락 장치간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사용자가 번호를 누르는 동의 동작이 필요치 않게 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user's consent operation to press a number is not requir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을 이용한 도어 개폐시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만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using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only when the user enters the room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in which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is released even though the user is indo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unlock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시스템(100)은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접근 시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잠금 상태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시스템(100)은 도어락 장치(102) 및 단말(104)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opening a locked do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when a user with a terminal approaches. As show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lock device 102 and a terminal 104 .

도어락 장치(102)는 도어(106)에 부착되어 도어(106)를 잠그거나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락 장치(102)는 무선 통신 수단(미도시)을 통해 단말(104)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UWB(Ultra Wide Band), BCC(Body Coupled Commun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door lock device 102 is a device attached to the door 106 to lock or unlock the door 106 . In one embodiment, the door lock device 102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04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Bluetooth (Bluetooth), Wi-Fi (WiFi), Zigbee (Zigbee),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WB (Ultra Wide Band), BCC (Body Coupled) Communi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may be used.

단말(104)은 도어(106)를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108)가 소지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04)의 예들은 스마트 폰, 휴대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또는 스마트 워치,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의 모바일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단말(104)은 도어락 장치(10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106)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The terminal 104 is a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108 who wants to enter and exit the door 106 . In one embodiment, examples of terminal 104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cell phone, tablet,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notebook, or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Fitness Tracker, or the like. . The terminal 104 may lock or unlock the door 106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lock device 102 .

일 실시예에서, 도어락 장치(102)는 단말(104)을 소지한 사용자(108)가 도어(106) 근처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108)의 접근이 감지되면, 도어락 장치(102)는 단말(104)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단말(104)을 인증한다. 또한, 도어락 장치(102)는 인증된 단말(104)의 위치를 측정하고 단말(104)이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106)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2)는 단말(104) (및 단말(104)을 소지한 사용자(108))가 도어(106)를 기준으로 실내에 있는지 또는 실외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도어(106)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oor lock device 102 may detect that the user 108 carrying the terminal 104 approaches the door 106 . When the approach of the user 108 is detected, the door lock device 102 authenticates the terminal 104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04 . 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102 ma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authenticated terminal 104 and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106 when the terminal 104 is located in a preset area. For example, the door lock device 102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04 (and the user 108 carrying the terminal 104) is indoors or outdoors based on the door 106, and It may be configured to unlock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106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02)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02)는 접근 감지 모듈(202), 인증 모듈(204), 위치 측정 모듈(206) 및 도어 개폐 모듈(208)을 포함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oor lock device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roach detection module 202 , an authentication module 204 , a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module 208 .

접근 감지 모듈(202)은 단말(104)을 소지한 사용자(108)의 도어(106) 접근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 감지 모듈(202)은 적외선(Infrared)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도어(106)의 부근에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근 감지 모듈(202)은 터치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102)의 터치 여부(즉, 누군가가 도어락 장치(102)를 터치했는지 여부)를 통해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근 감지 모듈(202)은 개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해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approach detection module 202 detects the approach of the door 106 of the user 108 carrying the terminal 104 . In an embodiment, the approach detection module 202 may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106 through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approach detection module 202 may include a touch sensor or the like, so that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whether the door lock device 102 is touched (ie, whether someone has touched the door lock device 102 ). You can also check whether it is detected or no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pproach detection module 202 may check whether an object is det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ose disclosed herein.

인증 모듈(204)은 접근 감지 모듈(202)에서 사용자(108)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사용자(108)가 소지한 단말(104)을 인증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모듈(204)은 단말(104)로 인증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인증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인증 모듈(204)은 주변에 어떤 단말(104)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는 상태이므로, 통신 가능 범위 내 모든 단말이 상기 인증 요청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인증 요청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단말(104)은 인증 모듈(204)로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인증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인증 모듈(204)은 인증 요청을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인증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104)의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감지 모듈(202)에서 감지된 물체가 사람이 아니거나 사람이더라도 단말(104)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 모듈(204)이 인증 요청을 전송하더라도 인증 응답이 수신되지 않게 된다.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authenticates the terminal 104 possessed by the user 108 when the approach of the user 108 is detected by the access detection module 202 . In an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may initiate an authentication procedure by sending an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terminal 104 . Since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does not know which terminal 104 is present in the vicinity, it can broadcast the authentication request so that all terminal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can recognize the authentication request. Then, the terminal 104 receiving this may transmit an authentication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 Meanwhile,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may determine that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104 has failed when an authentication respons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set time afte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request. For example, if the object detected by the access detection module 202 is not a person or a person does not possess the terminal 104, even if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quest, an authentication response is not received. .

인증 응답이 수신되면, 다음으로 인증 모듈(204)은 상기 인증 응답에 정보 등을 이용하여 단말(104)을 인증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모듈(204)은 인증 요청을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인증 응답이 수신된 경우, 수신한 인증 응답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모듈(204)은 수신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가 동일한 경우,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response is received,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then authenticates the terminal 104 using information or the like in the authentication response. In an embodiment, when an authentication response is received within a preset time afte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request,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compar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response with pre-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authentication succeeds. can In this case, when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may determine tha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을 포함하는 단말(104)과 인증 모듈(204) 간의 통신은 전술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4) 및 인증 모듈(204)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인증을 위한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4 and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request and authentication response may be made through the aforementione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the terminal 104 and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may exchange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또한, 전술한 인증 절차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인증 모듈(204)은 기술한 것 이외에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단말(104)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uthentication procedure is merely exemplary, an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may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104 through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위치 측정 모듈(206)은 인증된 단말(104)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단말(104)의 위치를 측정한다.Next,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4 by detecting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authenticated terminal 104 .

구체적으로, 위치 측정 모듈(206)은 인증된 단말(104)로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위치 측정 모듈(206)은 인증 모듈(204)에서 단말(104)의 인증시 사용된 무선 통신 수단과 동일한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모듈(204)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단말(104)을 인증한 경우, 위치 측정 모듈(206) 또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단말(104)로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단말(104)과 별도로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할 필요 없이, 인증을 위해 기존에 성립된 무선 통신 채널을 그대로 이용하면 되므로 효율적이다.Specifically,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transmits a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authenticated terminal 104 . In this case,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may transmit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using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used i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104 in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 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authenticates the terminal 104 using Bluetooth,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206 may also transmit a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104 using Bluetooth. In the case of this configuration, it is efficient to use the previously establish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s it is for authentication without the need to set up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104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단순히 기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3초간) 단말(104)의 진동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요청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수신한 단말(104)은 요청된 기간 동안 단말(104)의 진동 기능을 턴-온(turn-on) 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진동 발생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 발생 패턴은 펄스, 또는 모르스 부호 등과 유사한 형태로 단말(104)의 진동을 반복하여 온/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진동 발생 패턴에 포함된 각각의 온 또는 오프 간격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 발생 패턴을 단말(104)로 전송할 경우 단말(104)에서는 수신된 진동 발생 패턴에 맞게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In an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may simply include a request for activating the vibr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104 for a preset time (eg, 3 seconds). In this case, the terminal 104 receiving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generates vibration by turning on the vibr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104 for the requested period. In another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For example, the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may be configured to repeatedly turn on/off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104 in a form similar to a pulse or Morse code. In this case, each on or off interval included in the vibration generating pattern may be set differently. When the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4 in this way, the terminal 104 generates vibr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따라 단말(104)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위치 측정 모듈(206)은 상기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단말(104)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측정 모듈(206)은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 무선 통신(제1 무선 통신)과 구별되는 무선 통신 수단(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위치 측정 모듈(206)은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진동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When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104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4 by detecting the vibration. In one embodiment,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distinc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sed to transmit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will detect Specifically,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may detect a vibration generating position using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communication).

UWB 통신은 기존의 스펙트럼에 비해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경우 전파 특성상 물체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108)가 단말(104)을 바지 뒷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넣어두고 있을 경우에는 통신 감도가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를 감안하여 도어락 장치(102)의 수신 감도를 높일 경우에는 반대로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102)의 근처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단말(104)을 감지하여 도어(106)가 개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해, UWB 통신의 경우 전파가 몸을 투과하기 때문에 사용자(108)가 단말(104)을 어느 위치에 두더라도 위치 측정이 가능하며, 센티미터 단위의 정확도 높은 위치 측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108)가 문 앞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UWB communica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ith low power over a very wide band compared to the existing spectrum. In general, in the case of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since the object transmittance is 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adio waves, if the user 108 puts the terminal 104 in a back pocket of pants or a ba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is abruptly lowe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door lock device 102 in consideration of this,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user is not near the door lock device 102, the terminal 104 is detected and the door 106 is opened. do. In contrast, in the case of UWB communication, since radio waves pass through the body, the user 108 can measure the position no matter where the user 108 puts the terminal 104.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it is located in front or not.

구체적으로, 위치 측정 모듈(206)은 기 설정된 영역으로 UWB 진동 스캔 신호를 발신하고, 단말(104)의 진동에 의하여 변조되어 반송되는 UWB 진동 스캔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진동의 발생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역은 사용자(108)가 도어(106)로 진입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도어(106)를 포함하는 입구 주변의 일정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4)가 집의 현관에 구비된 경우, 상기 영역은 현관으로부터 특정 거리 내로 설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transmits a UWB vibration scan signal to a preset area, and detects the UWB vibration scan signal that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by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104 to measure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In this case, the area is an are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108 intends to enter the door 106 , and may b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area around the entrance including the door 106 . For example, when the door lock device 104 is provided in the front door of the house, the area may be set within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front door.

실시예에 따라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진동 발생 패턴이 포함된 경우, 위치 측정 모듈(206)은 감지된 진동의 패턴 및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진동 발생 패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에만 진동을 발생시킨 단말(104)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어락 장치(102)의 주변에 위치한 타 단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문자 또는 전화 수신시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인해 위치 측정 모듈(206)이 오동작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번 진동 패턴을 바꾸어 단말(104)로 송신함으로써 도어락 장치(102)의 보안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determines whether the pattern of the sensed vibration and the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included in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are identical, and only if they are the sam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4 that generated the vibration may be measured. When configur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from malfunctioning due to vibration (such as vibration generated when receiving a text or phone call) generated by other terminal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lock device 102, By changing the vibration pattern each time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104, the security of the door lock device 102 can be further strengthened.

도어 개폐 모듈(208)은 위치 측정 모듈(206)에서 단말(104)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106)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사용자(108)가 도어(106)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4 is within a preset area, the door opening/closing module 208 unlocks the door 106 so that the user 108 opens the door 106. allow it to pas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02)의 잠금 해제 방법(3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unlocking method 300 of the door lock device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flowchart, the method is described by dividing the method into a plurality of steps, but at least some of the steps are performed in a reversed order, are performed together in combination with other steps, are omitted, are performed separately, or are not shown. One or more steps may be added and performed.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or more steps not shown in the method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method.

단계 302에서, 도어락 장치(102)의 접근 감지 모듈(202)은 단말(104)을 소지한 사용자(108)의 도어(106) 접근을 감지한다.In step 302 , the approach detection module 202 of the door lock device 102 detects the approach of the door 106 of the user 108 holding the terminal 104 .

단계 304에서, 도어락 장치(102)의 인증 모듈(204)은 도어(106)로 접근한 단말(104)로 인증 요청을 송신한다.In step 304 ,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of the door lock device 102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terminal 104 approaching the door 106 .

단계 306에서, 상기 인증 요청을 수신한 단말(104)은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한 인증 응답을 도어락 장치(102)로 송신하고, 인증 모듈(204)은 상기 인증 응답을 이용하여 단말(104)을 인증한다.In step 306, the terminal 104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request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door lock device 102, and the authentication module 204 authenticates the terminal 104 using the authentication response do.

단계 308에서, 도어락 장치(102)의 위치 측정 모듈(206)은 인증된 단말(104)로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진동 발생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308 ,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of the door lock device 102 transmits a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authenticated terminal 104 .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in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단계 310에서, 상기 진동 발생 신호를 수신한 단말(104)은 진동을 발생시킨다.In step 310, the terminal 104 receiving the vibration generating signal generates vibration.

단계 312에서, 위치 측정 모듈(206)은 설정된 영역으로 UWB 진동 스캔 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312 단계는 310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함께 수행된다.In step 312,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6 sends a UWB vibration scan signal to the set area. Step 312 is performed together while step 310 is performed.

단계 314에서, 위치 측정 모듈(206)은 단말(104)의 진동에 의하여 변조되어 반송되는 UWB 진동 스캔 신호에 따라 단말(104)의 진동을 감지하고 진동이 발생된 지점의 위치를 측정한다.In step 314 , the position measuring module 206 detects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104 according to the UWB vibration scan signal that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by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104 , and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point where the vibration is generated.

단계 316에서, 위치 측정 모듈(206)은 진동이 감지된 위치, 즉 단말(104)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In step 316 , the position measuring module 206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is sensed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4 is within a preset area.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on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RAMs, flash memories,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도어 개폐 시스템
102: 도어락 장치
104: 사용자 단말
106: 도어
108: 사용자
202: 접근 감지 모듈
204: 인증 모듈
206: 위치 측정 모듈
208: 도어 개폐 모듈
100: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2: door lock device
104: user terminal
106: door
108: user
202: approach detection module
204: authentication module
206: position measurement module
208: door opening and closing module

Claims (16)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도어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 모듈;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 모듈;
상기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로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폐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an access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door access of a user possessing a terminal;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terminal;
a position measurement module for transmitting a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successful,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y sens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and
and a door opening/closing module for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area. door lock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도어락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the door lock device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us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단말의 인증시 사용된 무선 통신 수단과 동일한 것인, 도어락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the sa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used during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the door lock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과 구별되는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락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osition measurement module, when the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he door lock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us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무선 통신인, 도어락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an ultra-wideband (UWB; Ultra Wide Band) wireless communication, the door lock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 UWB 진동 스캔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단말의 진동에 의하여 변조되어 반송되는 상기 UWB 진동 스캔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락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sition measuring module transmits a UWB vibration scan signal to the set area, and detects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by detecting the UWB vibration scan signal that is modulated and conveyed by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the door lock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진동 발생 패턴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the door lock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모듈은, 감지된 진동의 패턴 및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진동 발생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진동을 발생시킨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도어락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sition measuring module, when the pattern of the sensed vibration and the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included in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are the sam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at generated the vibration, the door lock device.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의 도어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로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영역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detecting a door access of a user who possesses a terminal;
authenticating the terminal;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a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successful, and detect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s within a preset area, the method of unlocking a door lock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unlocking the doo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Measuring the position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us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unlocking method of the door lock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단말의 인증시 사용된 무선 통신 수단과 동일한 것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the sa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used i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the unlocking method of the door lock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과 구별되는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Measuring the position comprises:
When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us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locking the door lock device How to unlock.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초광대역(UWB; Ultra Wide Band) 무선 통신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an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communication, a method of unlocking a door lock devic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의 발생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영역으로 UWB 진동 스캔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진동에 의하여 변조되어 반송되는 상기 UWB 진동 스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vibration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ransmitting a UWB vibration scan signal to the set area; and
The method of unlocking a door lock device further comprising detecting the UWB vibration scan signal that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by the vibration of the termina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는 진동 발생 패턴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the unlocking method of the door lock devic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감지된 진동의 패턴 및 상기 진동 발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진동 발생 패턴이 동일한 경우 상기 진동을 발생시킨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Measuring the position comprises:
When the pattern of the sensed vibration and the vibration generation pattern included in the vibration generation request signal are the sam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at generated the vibration is measured, the unlocking method of the door lock device.
KR1020150052181A 2015-04-14 2015-04-14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KR1022905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81A KR102290509B1 (en) 2015-04-14 2015-04-14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181A KR102290509B1 (en) 2015-04-14 2015-04-14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95A KR20160122395A (en) 2016-10-24
KR102290509B1 true KR102290509B1 (en) 2021-08-13

Family

ID=5725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181A KR102290509B1 (en) 2015-04-14 2015-04-14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5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715B1 (en) * 2019-09-27 2021-08-20 (주)디앤써 Door lock control system by interaction with wearable terminal
KR20220102797A (en) 2021-01-14 2022-07-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3947826A (en) * 2021-09-30 2022-01-18 熵基科技股份有限公司 Door lock control method, devic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based on UWB
KR102557537B1 (en) 2022-08-25 2023-07-20 김형미 Smart door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utilizing improved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551B1 (en) * 2003-11-24 2005-12-05 블루솔텍(주)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Wireless Door Locking Device
KR101071477B1 (en) * 2009-03-10 2011-10-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Location estimation system using a vibration sensor and method therefor
KR101234728B1 (en) 2011-09-01 2013-02-19 (주)아이티씨이오코리아 Apparatus for clearing door lock locking using key pad being figure or graphics and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95A (en)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2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door entry using beacon signal
US110691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using biometric recognition coupled with tag authentication
US9483887B1 (en) Hands-free access control
US20220109561A1 (en) Smart lock unlock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0445956B2 (en) Access control reader for secure handsfree access with mobile devices
US20200329037A1 (en) Security system with a wireless security device
KR102290509B1 (en) Door 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thereof
US11800353B2 (en) Lo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5897B1 (en)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2569880U (en) Door opening system of Bluetooth induction lock
KR102326692B1 (en) Apparatus for door loc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using the same
KR102227461B1 (en)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KR102393498B1 (en) Enhanced Security Admission Control Method Using Beacon And Geofencing Technology And System Th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