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468B1 -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468B1
KR102290468B1 KR1020210025515A KR20210025515A KR102290468B1 KR 102290468 B1 KR102290468 B1 KR 102290468B1 KR 1020210025515 A KR1020210025515 A KR 1020210025515A KR 20210025515 A KR20210025515 A KR 20210025515A KR 102290468 B1 KR102290468 B1 KR 10229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online learning
unit
lecture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최지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Priority to KR102021002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discloses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o enable automatic learning design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ection, easily create, manage, and search various content for learning and exams, and increase the security of digital content protection through different protection policies to the user's threat behavior. For example, the system includes: an online learning design unit that provides and manages at least one digital lecture content, and designs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the lecture medium;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that perform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generate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nd conducts at least the type and type of the online test; and an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that calculates online learning and online test results through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nd issues online completion certificates in a batch or individual metho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s.

Description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최근 인터넷 사용자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일선 교육 현장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한 새로운 학습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상에 학습 관련 사이트들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the Internet user population, new learning methods using the Internet are also presented in the front-line education field, and as a result, learning-related sites on the Internet are rapidly growing.

그러나, 현재 운영중인 인터넷 교육 및 시험 관련 사이트들은 단순히 녹화된 동영상 강의나 학습 자료 파일을 등록해서 열람하거나 학습자 PC에 다운로드 받아 학습하고, 시험 문제의 경우 또한 사용자 PC에 다운로드 받아 푼 후, 그 결과를 인터넷 시험 관련 사이트로 전송하고, 이를 채점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사이트 관리자는 그 채점 결과에 의해 개인의 성적을 단순 누계하여 제공하고 있다. However, Internet education and test-related sites currently in operation simply register and view recorded video lectures or learning material files, or download and study them on the learner's PC. The method of sending it to the Internet test-related site and scoring it is adopted, and the site administrator simply accumulates and provides individual grades based on the scoring results.

또한, 학습자와 시험 응시자의 학습 방식에 대한 다양한 선택과 그에 따른 학습 설계가 어렵고, 시험 결과에 대하여 응시자 전체의 전반적인 자료를 제공하지 않고, 개인의 성적만을 단순 누계하여 제공함으로써, 시험 응시자가 자신의 실력에 대한 객관적이고, 포괄적, 심층적, 세부적, 개별화된 평가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and test takers to select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and study design accordingly, and by providing only individual scores without providing overall data on test results, test takers can improve their own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make an objective, comprehensive, in-depth, detailed, and individualized evaluation of competency.

또한,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입장에서도 학습과 시험, 그리고 그 결과물들에 대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고 있으나, 외부 위협으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수단이 부재하여 그 보안 상의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reates and manages various digital contents for learning, tests, and the results, but there is no systematic means to protect the digital contents from external threats, so the security problem is solved. It is holding it as it is.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7177호(공개일자: 2016년05월23일)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7177 (published date: May 23, 2016) 등록특허공보 제10-1024140호(등록일자: 2011년03월15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24140 (Registration Date: March 15, 2011)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른 자동 학습 설계가 가능하고, 학습 및 시험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생성 관리와 검색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위협 행위에 다른 보호 정책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 보호에 대한 보안성을 높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learning design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ection is possible, various content creation management and search for learning and testing are easy, and security for digital content protection through different protec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user's threat behavior We provide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 및 관리하며,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에 기초하여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을 설계하는 온라인 학습 설계부;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를 통해 생성된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며, 적어도 타입과 형태의 온라인 시험을 진행하는 온라인 학습 실행부; 및 상기 온라인 학습 실행부를 통한 온라인 학습 및 온라인 시험 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따라 일괄 또는 개별 방식으로 온라인 수료증을 발급하는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를 포함한다.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line learning design unit that provides and manages at least one or more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designs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the lecture medium;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that conducts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generate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nd conducts an online test of at least type and type; and an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that calculates online learning and online test results through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nd issues an online certificate of completion in a batch or individual mann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s.

또한, 학습자 가입 및 탈퇴를 처리 및 관리하는 학습자 관리부; 및 포털 사이트의 마케팅 플랫폼과 연동하여 상기 학습자 관리부를 통한 학습자의 가입 및 탈퇴 정보,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를 통한 강의 신청, 및 상기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를 통한 강의 수료 및 학습 진행 상황에 대한 각각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learner management unit that processes and manages learner registration and withdrawal; And each statistical data on the registration and withdraw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hrough the learner management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marketing platform of the portal site, the lecture application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nd the course completion and learning progress through the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statistical data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또한,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를 기반으로 실시간 동영상 강의, 실시간 VR 강의, 녹화 동영상 강의, 실시간 오디오 강의 및 녹화 오디오 강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를 등록, 수정 및 삭제 관리하는 강의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강의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고, 선택된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에 대한 스케줄을 등록하여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학습 설계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registers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lecture media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real-time video lecture, a real-time VR lecture, a recorded video lecture, a real-time audio lecture, and a recorded audio lecture based on a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correction and deletion; and a learning design data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lecture medium provided through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registers schedules for the selected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lecture medium, and generates and manages online learning design data. may include

또한, 상기 온라인 학습 실행부는,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에 따른 강의 매체를 통해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는 온라인 학습 진행부; 및 상기 온라인 학습 진행부를 통해 온라인 학습 완료 시 미리 준비된 단답형, 주관식 및 에세이 방식의 온라인 시험을 진행하는 온라인 시험 진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may include: an online learning facilitator configured to perform online learning by providing digital lecture contents through a lecture medium according to th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generate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nd an online test proceeding unit that conducts a pre-prepared short-answer type, short-answer type, and essay type online test upon completion of online learning through the online learning proceeding unit.

또한, 상기 온라인 학습 진행부는, 온라인 학습 진행 이전 및 진행 중 어느 한 시점에 학습자의 선택에 따른 튜터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튜터 모드 선택 시 실시간 강의인 경우 강사와 1:1 대화를 통한 개인 지도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고, 녹화 강의인 경우 학습자와 강사 간의 질의응답을 통한 개인 지도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receives a selection of a tutor mode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ection before and during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and provides personal guidance through 1:1 conversation with the instructor in case of a real-time lecture when the tutor mode is selec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corded lecture, individual guidance through question-and-answer between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may be additionally conducted.

또한, 학습자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온라인 학습 실행부를 통해 학습자 통신단말로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학습자 통신단말의 그래픽 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메인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학습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자 식별정보를 학습자 통신단말에 할당하는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 및 상기 학습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학습자와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를 인증하는 인증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digital lecture contents to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nd uses at least one unique identifier of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s graphic card,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ain board to be universally unique. a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that generates the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dentifier and allocates the generated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for authenticating a learner and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based on the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는, 8자리-4자리-4자리-4자리-12자리로 구성되는 총 32자리의 문자-숫자 및 영문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는,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를 생성할 때, 학습자 통신단말의 그래픽 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메인보드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최초의 '8자리' 문자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의 '4자리'-'4자리'문자를 생성하며, 마지막의 '12자리'문자를 랜덤으로 생성하고, 세 번째 '4자리'문자를 상기 범용고유식별자의 검증정보로 생성되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학습자에 의하여 위협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위협 이벤트 감지부; 및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학습자가 위협 도구를 이용하였는지를 감지하고, 학습자의 위협행위를 기초로 학습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하고, 학습자의 위협레벨에 따라 학습자에 대한 보호정책을 달리 설정하는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is set to include a total of 32 alphanumeric characters and English characters consisting of 8 - 4 - 4 - 4 - 12 digits, and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includes the general purpose When creating a unique identifier, the first '8-digit' character is genera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raphic card,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ainboard of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ubsequent '4' using the ID information assigned to the user A digit '-'4 digit' character is generated, the last '12 digit' character is randomly generated, and the third '4 digit' character is generated as ver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and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a threat ev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threat event has occurred by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access record and negative usage record; And, based on each learner's access record and negative use record, it detects whether the learner used the threat tool, sets the learner's threat level based on the learner's threat behavior, and A learner threat that sets a different protection policy may also include a sett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선택에 따른 자동 학습 설계가 가능하고, 학습 및 시험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생성 관리와 검색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위협 행위에 다른 보호 정책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 보호에 대한 보안성을 높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learning design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ection is possible, it is easy to create, manage, and search various contents for learning and testing,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rity of digital content protection through different protec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user's threat behavior. An improved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설계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설계부의 실행 화면을 일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실행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실행부의 실행 화면을 일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진행부의 튜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통신단말의 구성과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의 설치 형태와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for explaining the tutor mode of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nstallation form and location of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shown in FIG. 10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설계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설계부의 실행 화면을 일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실행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실행부의 실행 화면을 일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진행부의 튜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실행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통신단말의 구성과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의 설치 형태와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강의 콘텐츠 보호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execution screen of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nd FIG.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nd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utor mode of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ecution screen,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nstallation form and location of a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gital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shown in FIG.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1000)은 학습자 통신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학습자 통신단말(10)을 통해 접속되는 웹 사이트와, 학습자 통신단말(10)과 유/무선 방식의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2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a website accessed through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 and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 )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anagement server 20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상기 학습자 통신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n e-book terminal,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 MP3 player, It may be a digital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학습자 통신단말(10)과 관리 서버(20) 간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네트워크의 유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동작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be process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Here, an example of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nternet network may be a clos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wide area network (WAN), and preferably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Internet is a TCP/IP protocol and several services existing in its upper layers, namely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and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are provided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EV-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 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management server 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server in terms of hardware, and is implemented through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in softwar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t may contain program modules.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using web server programs that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on general server hardware. have.

한편,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에 탑재된 임대형 서비스로서 확장하여 구현 가능하며, 이를 통해 확장성이 좋고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상품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can be implemented by expanding as a rental service mounted on the cloud server, and through this, it is scalable and can be advantageous for product improvement through continuous upgrad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1000)은 온라인 학습 설계부(100), 온라인 학습 실행부(200),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300), 학습자 관리부(400), 통계 데이터 생성부(500),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 및 인증 관리부(7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line learning design unit 100 ,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200 , an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300 , a learner management unit 400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atistical data generating unit 500 , a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 and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 및 관리하며,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에 기초하여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을 설계할 수 있다.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100 may provide and manage at least one or more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may design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the lecture medium.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 설계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데이터 관리부(110)와 학습 설계 데이터 관리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110 and the learning design data management unit 120 as shown in FIG. 3 .

상기 강의 데이터 관리부(110)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홈 페이지를 관리하며,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기반의 홈 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동영상 강의, 실시간 VR 강의, 녹화 동영상 강의, 실시간 오디오 강의 및 녹화 오디오 강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를 보다 편리하게 등록, 수정 및 삭제 관리할 수 있다.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110 manages the home page by using a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through a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based home page, a real-time video lecture, a real-time VR lecture, a recorded video lecture, and a real-time audio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lecture media related to at least one of lectures and recorded audio lectures can be more conveniently registered, modified, and deleted and managed.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강의 콘텐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강의와 녹화 강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실시간 강의 경우 동영상, VR, 오디오 강의로 구분하며, 일반 촬영 장비, VR용 카메라 장비 또는 녹음 장비 등을 강의 공간에 설치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에 맞춰 강사의 강의 활동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 중계기를 통해 수강 신청한 학습자 통신단말(10)을 대상으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출될 수 있다. 녹화 강의 경우 또한 동영상과 오디오 강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반 촬영 방비 또는 녹음 장비를 강의 공간에 설치한 상태에서 촬영 또는 녹음된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저장한 후 정해진 시간에 맞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수강한 학습자 통신단말(10)이 열람 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물론 스트리밍 방식으로 해당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igital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divided into a real-time lecture and a recorded lecture as shown in FIG. 4, and in the case of a real-time lecture, it is divided into video, VR, and audio lectures, and general shooting equipment, VR camera equipment, or recording. In a state in which equipment, etc. is installed in the lecture space, the lecture activity of the instructor is filmed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aptured video can be transmitted in a streaming manner to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who has applied for the course through the Internet repeater. In the case of recorded lectures, it can also be divided into video and audio lectures, and learners who have taken digital lecture contents filmed or recorded with general filming protection or record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lecture space and then took the cours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t a set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viewed or downloaded, and of course, the corresponding digital lecture content may be provided in a streaming manner.

한편, 강의 데이터 관리부(110)는 후술하는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를 통해 실시간 동영상 강의, 실시간 VR 강의, 녹화 동영상 강의, 실시간 오디오 강의 및 녹화 오디오 강의에 대한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보호 받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110 can be protected digital lecture contents for real-time video lectures, real-time VR lectures, recorded video lectures, real-time audio lectures and recorded audio lectures through a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

상기 학습 설계 데이터 관리부(120)는, 강의 데이터 관리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고, 선택된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에 대한 스케줄을 등록하여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learning design data management unit 120 receives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gital lecture content and the lecture medium provided through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110, and registers the schedule for the selected digital lecture content and the lecture medium to obtain online learning design data. can be created and managed.

예를 들어, 학습자가 A, B, C 과목에 대하여 실시간 동영상 강의, 실시간 VR 강의, 녹화 오디오 강의라는 3종류의 강의 매체를 선택한 경우, 실시간의 경우 과목 별로 미리 정해진 디지털 강의 콘텐츠의 시간에 맞춰 학습 설계(시간표)가 과목 별로 충돌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프로그래밍 되며, 녹화 오디오 강의 경우, 실시간 강의의 자동 학습 설계 시간표에 맞춰 빈 시간대에 지정되어 전체적인 학습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자동으로 학습 설계된 내용은 학습자의 스케줄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실시간 강의와 녹화 강의 시간이 중복되는 경우 실시간 강의를 우선으로 지정하고, 그에 따라 조정된 스케줄에 따라 녹화 강의를 빈 시간대에 맞춰 지정하여 반 자동으로 학습 설계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학습자가 최종적으로 확인된 학습 설계(이하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학습자의 학습 스케줄로서 등록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learner selects three types of lecture media: real-time video lecture, real-time VR lecture, and recorded audio lecture for subjects A, B, and C, in real time, lear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digital lecture content for each subject. The design (timetable) is automatically programmed to avoid conflicts by subject, and in the case of recorded audio lectures, the entire learning design can be achieved by designating in an empty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automatic learning design timetable of the real-time lecture. Of course, the content designed for automatic learning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schedule. The learning design may be specified semi-automatically, and the learning design finally confirmed by the learner (hereinafter, online learning design data) may be registered as the learning schedule of the learner as shown in FIG. 4 .

상기 온라인 학습 실행부(200)는, 온라인 학습 설계부(100)를 통해 생성된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며, 적어도 타입과 형태의 온라인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200 may perform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generated by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100 , and may conduct an online test of at least type and form.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 실행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학습 진행부(210)와 온라인 시험 진행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online learning processing unit 210 and the online test processing unit 220 as shown in FIG. 5 .

상기 온라인 학습 진행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학습 설계부(100)를 통해 생성된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에 따른 강의 매체(실시간 동영상 강의, 실시간 VR 강의, 녹화 동영상 강의, 실시간 오디오 강의 및 녹화 오디오 강의)를 통해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온라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을 진행함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학습자의 출석 체크, 강의 간 질의응답에 대한 참여도, 간단한 테스트에 따른 결과 등을 산출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과물들은 해당 과목의 성적과 수료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210, as shown in FIG. 6, is a lecture medium (real-time video lecture, real-time VR lecture, recorded video lecture, real-time audio) according to th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generate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100. lectures and recorded audio lectures) to provide digital lecture content to conduct online learning. In this embodiment, the online learning means that digital media content can be played in a streaming manner, and at the same time, the learner's attendance check, participation in Q&A between lectures, and results according to a simple test are calculated.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factor in determining the grades and completion of the subject.

상기 온라인 학습 진행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학습 진행 이전 및 진행 중 어느 한 시점에 학습자의 선택에 따른 튜터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튜터 모드 선택 시 실시간 강의인 경우 강사와 1:1 대화를 통한 개인 지도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고, 녹화 강의인 경우 학습자와 강사 간의 질의응답을 통한 개인 지도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210 receives a selection of a tutor mode according to a learner's selection at any one time before or during the online learning process, and when the tutor mode is selected, in case of a real-time lecture, the instructor and the instructor Personal guidance through 1:1 conversation can be additionally conducted, and in the case of a recorded lecture, individual guidance can be additionally conducted through question-and-answer session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상기 온라인 시험 진행부(220)는, 온라인 학습 진행부(210)를 통해 온라인 학습 완료 시 미리 준비된 단답형, 주관식 및 에세이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온라인 시험에 단답형, 주관식, 에세이 방식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질문 문항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답형, 주관식, 에세이 방식이 각 과목 별로 특화되어 적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답형, 주관식, 에세이 방식을 과목 별로 어떻게 적용할지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답형, 주관식, 에세이 방식 중 적어도 두 가지 방식이 하나의 온라인 시험에 적용되어 복합적 타입의 온라인 시험을 제공할 수 있으면 무방하다.The online test proceeding unit 220 may conduct various types of online tests, such as a short answer type, a short answer type, and an essay type, prepared in advance when online learning is complete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proceeding unit 210 . That is, a question question in which a short-answer type, a subjective type, and an essay type are applied in combination can be applied to one online test, and a short-answer type, a short-answer type, and an essay type can be specialized for each subject. There is no limitation on how to apply this test for each subject, as long as at least two of the short-answer type, the short-response type, and the essay type are applied to one online exam to provide a complex type of online exam.

상기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300)는, 온라인 학습 진행부(210)를 통한 온라인 학습 및 온라인 시험 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따라 일괄 또는 개별 방식으로 온라인 수료증을 발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학습 진행부(210)를 통한 온라인 강의에 대한 시청 여부, 강의 간 질의 응답에 대한 참여도, 강의 간 간단한 테스트에 대한 결과, 강의 별 과목 시험 결과를 각각 수치적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학습자 개별적인 결과를 제공하며, 또한 각 학습자가 해당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 전체 대비 백분율 결과물 등으로 가공하여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학습 및 시험 결과에 따라 미리 책정된 점수 이상인 학습자에 대해서는 수료증이 발급되며, 수료증 발급은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방식(전자 수료증) 및 오프라인 방식(종이 수료증)으로 진행할 수 있다.The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300 may calculate online learning and online test results through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210 , and may issue an online certificate of completion in a batch or individual mann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s. More specifically,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210 numerically calculates whether or not to watch online lectur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lectures, the results of simple tests between lectures, and the subject test results for each lectur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alculated results can be provided individually to each learner, and each learner can be processed and provided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learners taking the corresponding lecture. A certificate of completion is issued to learners with a score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core according to the study and test results.

상기 학습자 관리부(400)는 학습자 가입 및 탈퇴를 처리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학습자의 과목 별, 수강한 강의 별 또는 학습 설계 데이터에 따라서 수강료를 산출하여 청구하고, 결제 처리할 수 있으며, 수료증 또한 발급 신청자에 한해 수수료를 청구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관리부(400)에서는 수강 취소, 강의 추가 신청에 따른 추가 또는 환불 결제도 처리할 수 있다.The learner management unit 400 may process and manage learner registration and withdrawal, and further calculate and bill the tui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subject, each lecture taken, or learning design data, and process payment, and a certificate of completion In addition, only the applicant for issuance can process payment by charging a fee. In addition, the learner management unit 400 may process cancellation of a course, addition or refund payment according to an application for lecture addition.

상기 통계 데이터 생성부(500)는, 포털 사이트의 마케팅 플랫폼과 연동하여 학습자 관리부(400)를 통한 학습자의 가입 및 탈퇴 정보, 온라인 학습 설계부(100)를 통한 강의 신청, 및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300)를 통한 강의 수료 및 학습 진행 상황에 대한 각각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statistical data generating unit 500 interlocks with the marketing platform of the portal site, and the learner's subscription and withdrawal information through the learner management unit 400, the lecture application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100, and the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300 ) can generate and provide statistical data for each lecture completion and learning progress.

예를 들어, 통계 데이터 생성부(500)는 구글 애널리틱스, 네이버 애널리틱스 등의 마케팅 플랫폼과 연동하여 본 시스템(1000)에 얼마나 많은 가입자가 있는지, 얼마나 많은 가입자가 탈퇴하였는지, 어떠한 강의를 얼마나 많이 수강하였는지, 얼마나 많은 학습자가 특정 자격증, 시험에 응시해서 얼마나 많이 수료 또는 자격증을 획득하였는지 등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데이터로부터 마케팅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마케팅 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statistical data generating unit 500 interworks with marketing platforms such as Google Analytics and Naver Analytics to determine how many subscribers are in the system 1000, how many subscribers have withdrawn, and what lectures and how many , it is possible to calculate how many learners took specific certifications and exams and obtained how many completions or certifications, etc.

한편, 통계 데이터 생성부(500)는 상기와 같이 마케팅 데이터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학습과 관련된 모든 통계 데이터를 산출하고, 예비 수강 신청자 또는 현 수강자 등 본 시스템(1000)의 홈 페이지를 접속한 모든 사용자가 원하는 통계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tistical data generating unit 500 not only generates marketing data as described above, but also calculates all statistical data related to learning, and all who accessed the home page of the system 1000 , such as pre-registered students or current students. It allows the user to browse the desired statistical data.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는, 학습자 통신단말(10)에 설치되고, 온라인 학습 진행부(210)를 통해 학습자 통신단말(10)로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학습자 통신단말의 그래픽 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메인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학습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자 식별정보를 학습자 통신단말(10)에 할당할 수 있다.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provides digital lecture contents to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210, and a graphic card of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 it is possible to generate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by using at least one unique identifie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main board, and allocate the generated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

이러한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체제에서 구동되는 독자적은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례로,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는 운영체제로부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권한을 부여 받아 컴퓨팅 장치의 저장소, 입력장치, 출력장치 및 통신장치 등에 대한 열람 및 제어 권한을 가질 수 있다.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may be an independent browsing application driven in the operating system as shown in FIG. 8 . For example,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may have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permission granted by the operating system to have reading and control rights for storage, input device, output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of the computing device.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 생성부(610), 서비스 인증부(620), 데이터베이스부(630) 및 콘텐츠 보호부(6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dentifier generation unit 610 , a service authentication unit 620 , a database unit 630 , and a contents protection unit 640 as shown in FIG. 9 . have.

상기 식별자 생성부(610)는 학습자 통신단말(10)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학습자 통신단말 학습자 통신단말(10)에 할당할 수 있다.The identifier generating unit 610 generat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by using the unique identifiers of essential components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uses the genera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learner. It can be assig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예컨대, 식별자 생성부(610)는 그래픽카드, 중앙처리장치, 마더보드 등 학습자 통신단말(10)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필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예컨대, 모델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 통신단말 별로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dentifier generating unit 61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mode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such as a graphic card,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motherboard,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each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여기서, 사용자 식별정보는 범용고유식별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범용고유식별자로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UUID는 8자리-4자리-4자리-4자리-12자리로 구성되는 총 32자리의 문자(숫자 및 영문자를 포함)로 설정될 수 있다. 범용고유식별자를 생성할 때, 학습자 통신단말의 그래픽 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메인보드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최초의 '8자리' 문자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의 '4자리'-'4자리'문자를 생성하며, 마지막의 '12자리'문자를 랜덤으로 생성하고, 세 번째 '4자리'문자를 상기 범용고유식별자의 검증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have the form of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As an example of applying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as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a UUID is a total of 32 characters (including numbers and English characters) consisting of 8-4 digits, 4-4 digits, 4-12 digits. can be set. When creating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the first '8-digit' character is genera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raphic card,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ainboard of the learner'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bsequent '8-digit' characters are generated using the ID information assigned to the user. A 4-digit '-'4-digit' character may be generated, the last '12-digit' character may be randomly generated, and a third '4-digit' character may be generated as ver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상기 식별자 생성부(610)는 학습자 통신단말의 필수 구성요소(예컨대, 중앙처리장치, 바이오스 ID, 디스크ID 등)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16 바이트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UUID는 기존에 설정된 표준 버전과 상이하므로, 식별자 생성부(610)는 기존에 설정된 표준과 다른 버전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The identifier generator 610 may generate 16-byt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ssential components (eg, central processing unit, BIOS ID, disk ID, etc.) of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UUID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set standard version, the identifier generator 610 may set the previously set standard and different version information.

한편, 인증 관리부(700)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를 인증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may authenticate the user and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using su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인증부(620)는 인증 관리부(700)와 연동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서비스 인증부(620)는 인증 관리부(700)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허락된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The service authentication unit 620 may authenticate the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 The service authenticator 620 may check the digital content service permitted to the user by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manager 700 .

상기 데이터베이스(630)는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 식별자 생성부(610)에서 생성한 사용자 식별정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등에 대한 저장 및 삭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atabase 630 may provide a function of storing data used in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storing and deleting a protection policy for a us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dentifier generator 610 , digital content for a digital content service, and the like.

상기 콘텐츠 보호부(640)는 인증 관리부(700)로부터 보호정책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동작하여 학습자 통신단말(10)을 감시할 수 있다. 콘텐츠 보호부(640)는 보호정책을 위반하는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제한하고,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protection unit 640 may receive a protection policy from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 and may monitor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by operating based on the received protection policy. The content protection unit 640 may limit the negative use of the user who violates the protection policy, and may create a record of the user's negative use.

이러한 콘텐츠 보호부(640)는, 인증 관리부(700)와의 실시간 연동 없이 콘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콘텐츠 보호부(640)는 사전에 인증 관리부(700)로부터 보호정책을 제공받으면, 해당 보호정책을 기반으로 사학습자 통신단말(10)에서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보호를 위하여 인증 관리부(700)와의 연동이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부정적인 사용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The content protection unit 640 may perform content protection without real-time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 That is, if the content protection unit 640 receives a protection policy from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in advance, it can operate independently in the privat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10 based on the protection policy. Therefore,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is not required for content protection, and a user's negative usage can be immediately detected and quickly responded to.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가 설치될 때 기본 보호정책이 함께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는 기본 보호정책에 따라 콘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별 감지를 기반으로 인증 관리부(700)는 사용자 별 보호정책을 수립할 수 있고,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는 인증 관리부(700)로부터 사용자 별 보호정책을 제공받으면 그를 기초로 콘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basic protection policy may be set together when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is installed, and in this case, the digital lecture contents protection unit 600 may perform content protection according to the basic protection policy . Thereafter,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and detection by user,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may establish a protection policy for each user, and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receives a protection policy for each user from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 Content protection can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상기 인증 관리부(700)는, 학습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학습자와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를 인증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may authenticate the learner and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based on the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러한 인증 관리부(7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협 이벤트 감지부(710)와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reat event detection unit 710 and a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

상기 위협 이벤트 감지부(710)는,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학습자에 의하여 위협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위협 이벤트 감지부(710)는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하여 위협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가 위협 도구를 이용하였는지도 감지할 수 있다. The threat event detection unit 710 may detect whether a threat event has occurred by a learner based on each learner's access records and negative usage records. The threat event detection unit 710 may detect whether a threat event has occurred by a user based on each learner's access record and negative use record, and based on each learner's access record and negative use record In this way, it can also detect whether the user has used a threat tool.

상기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학습자가 위협 도구를 이용하였는지를 감지하고, 학습자의 위협행위를 기초로 학습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하고, 학습자의 위협레벨에 따라 학습자에 대한 보호정책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위협 이벤트를 사전에 정의하고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협 이벤트 중 경미한 일부 이벤트-예컨대, 마우스 우 클릭을 통한 HTML 소스 보기 등-는 위협레벨 1로 설정할 수 있다.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detects whether the learner used the threat tool based on each learner's access record and negative use record, and sets the learner's threat level based on the learner's threat behavior, , it is possible to set different protection policies for learners according to the learner's threat leve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may define and set threat events in advance, and some minor events among these threat events - for example, viewing HTML source by right-clicking a mouse, etc. can be set to threat level 1.

상기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위협 도구를 사전에 정의하고, 이러한 위협 도구를 실행하는 것을 위협레벨 2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위협도구로는 화면 녹화 프로그램이나 해킹 도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may define a threat tool in advance, and set the execution of the threat tool to the threat level 2 . For example, such a threat tool may include a screen recording program or a hacking tool.

상기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사용자가 이전에 위협 행위를 수행한 히스토리, 위협 이벤트 발생 및 위협 도구의 사용을 기초로 위협레벨 3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전에 위협 이벤트를 실행한 히스토리가 존재하며, 설정된 횟수 이상 위협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경우에 해당하면, 위협레벨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전에 위협 도구를 실행한 히스토리가 존재하며, 이전의 위협 도구와 다른 새로운 위협 도구를 실행한 경우에 해당하면, 위협레벨 3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learner's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may set the threat level 3 based on a history of a user's previous threat action, occurrence of a threat event, and use of a threat tool. For example, if there is a history of executing a threat event in the past and the threat event is continuously generated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the threat level 3 may be set. As another example, if there is a history of previously executing a threat tool and a new threat tool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hreat tool is executed, the threat level 3 may be set.

상기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사용자의 위협행위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사용자가 수행한 위협행위의 레벨을 사용자의 위협레벨로서 설정할 수 있다.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may set the user's threat level based on the user's threat behavior. For example, the us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may set the level of the threat performed by the user as the user's threat level.

이와 같이, 상기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사용자의 위협행위에 따라 사용자의 위협레벨을 다르게 설정하고, 사용자에 대한 보호정책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사전적이고 예방적인 콘텐츠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위협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를 한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보호정책을 보다 높은 정책으로 설정하여 콘텐츠 보호 브라우저에서 차단되는 이벤트나 위협도구를 보다 강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can perform proactive and preventive content protection by differently setting the user's threat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threat behavior and setting different protection policies for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s threat level is high, the type of content provided may be limited, or the user's protection policy may be set to a higher policy, so that the event or threat tool blocked by the content protection browser may be set more intensely.

한편, 여기에서는, 인증 관리부(700)의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에서 직접 사용자 위협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는 사용자의 위협레벨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600)의 위협행위 분석부(미도시)에 제공하고, 위협행위 분석부(미도시)가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720)가 위협 이벤트 감지 기능 및/또는 위협 도구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herein that the user threat level is directly set by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of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user's threat level to the threat behavior analysis unit (not shown) of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600, and the threat behavior analysis unit (not shown) is the learner It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are performed. To this end, the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720 may include a threat event detection function and/or a threat tool detection func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is not limited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0: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100: 온라인 학습 설계부
110: 강의 데이터 관리부
120: 학습 설계 데이터 관리부
200: 온라인 학습 진행부
210: 온라인 학습 진행부
220: 온라인 시험 진행부
300: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
400: 학습자 관리부
500: 통계 데이터 생성부
600: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
610: 식별자 생성부
620: 서비스 인증부
630: 데이터베이스부
640: 콘텐츠 보호부
700: 인증 관리부
710: 위협 이벤트 감지부
720: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
10: 학습자 단말
20: 관리 서버
1000: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0: Online Learning Design Department
110: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120: learning design data management unit
200: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210: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220: Online exam progress section
300: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400: learner management department
500: statistical data generating unit
600: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department
610: identifier generator
620: service authentication unit
630: database unit
640: content protection unit
700: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710: threat event detection unit
720: learner threat level setting unit
10: learner terminal
20: management server

Claims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 및 관리하며,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에 기초하여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을 설계하는 온라인 학습 설계부;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를 통해 생성된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 별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며, 적어도 타입과 형태의 온라인 시험을 진행하는 온라인 학습 실행부;
상기 온라인 학습 실행부를 통한 온라인 학습 및 온라인 시험 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따라 일괄 또는 개별 방식으로 온라인 수료증을 발급하는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
학습자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온라인 학습 실행부를 통해 학습자 통신단말로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학습자 통신단말의 그래픽 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메인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범용고유식별자 형태의 학습자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자 식별정보를 학습자 통신단말에 할당하는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 및
상기 학습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학습자와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를 인증하는 인증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는,
8자리-4자리-4자리-4자리-12자리로 구성되는 총 32자리의 문자-숫자 및 영문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 보호부는,
상기 범용고유식별자를 생성할 때, 학습자 통신단말의 그래픽 카드, 중앙처리장치 및 메인보드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최초의 '8자리' 문자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의 '4자리'-'4자리'문자를 생성하며, 마지막의 '12자리'문자를 랜덤으로 생성하고, 세 번째 '4자리'문자를 상기 범용고유식별자의 검증정보로 생성되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학습자에 의하여 위협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위협 이벤트 감지부; 및
각 학습자의 접속기록 및 부정적인 사용에 대한 기록을 기초로, 학습자가 위협 도구를 이용하였는지를 감지하고, 학습자의 위협행위를 기초로 학습자의 위협레벨을 설정하고, 학습자의 위협레벨에 따라 학습자에 대한 보호정책을 달리 설정하는 학습자 위협도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an online learning design unit that provides and manages at least one digital lecture content and designs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digital lecture content and the lecture medium;
an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that conducts online learning for each learner based on th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generate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nd conducts an online test of at least type and type;
an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that calculates online learning and online test results through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nd issues an online certificate of completion in a batch or individual mann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It is installed in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digital lecture contents to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nd uses at least one unique identifier among the graphic card,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ain board of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to form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A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for generating the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nd allocating the generated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d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for authenticating the learner and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based on the lear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is
It is set to contain a total of 32 alphanumeric characters and alphabetic characters consisting of 8-4 digits, 4-4 digits, and 12-12 digits,
The digital lecture content protection unit,
When generating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the first '8-digit' character is genera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graphic card,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ain board of the learn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ing the ID information assigned to the user '4 digits'-'4 digits' characters are generated, the last '12 digits' characters are randomly generated, and the third '4 digits' character is generated as ver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a threat ev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threat event has occurred by a learner based on each learner's access record and negative use record; and
Based on each learner's access record and negative use record, it detects whether the learner used the threat tool, sets the learner's threat level based on the learner's threatening behavior, and protects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learner's threat level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earner threat setting unit that sets different policies.
제1 항에 있어서,
학습자 가입 및 탈퇴를 처리 및 관리하는 학습자 관리부; 및
포털 사이트의 마케팅 플랫폼과 연동하여 상기 학습자 관리부를 통한 학습자의 가입 및 탈퇴 정보,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를 통한 강의 신청, 및 상기 온라인 학습 결과 처리부를 통한 강의 수료 및 학습 진행 상황에 대한 각각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Learner management unit that handles and manages learner registration and withdrawal; and
In conjunction with the marketing platform of the portal site, each statistical data on the registration and withdrawal information of the learner through the learner management unit, the lecture application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nd the course completion and learning progress through the online learning result processing unit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atistical data generation unit to generate and prov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를 기반으로 실시간 동영상 강의, 실시간 VR 강의, 녹화 동영상 강의, 실시간 오디오 강의 및 녹화 오디오 강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를 등록, 수정 및 삭제 관리하는 강의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강의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고, 선택된 디지털 강의 콘텐츠와 강의 매체에 대한 스케줄을 등록하여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학습 설계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that registers, edits and deletes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lecture media related to at least one of real-time video lectures, real-time VR lectures, recorded video lectures, real-time audio lectures, and recorded audio lectures based on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 ; and
A learning design data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the lecture medium provided through the lecture data management unit, and registering a schedule for the selected digital lecture contents and lecture medium to generate and manag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실행부는,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온라인 학습 설계 데이터에 따른 강의 매체를 통해 디지털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는 온라인 학습 진행부; 및
상기 온라인 학습 진행부를 통해 온라인 학습 완료 시 미리 준비된 단답형, 주관식 및 에세이 방식의 온라인 시험을 진행하는 온라인 시험 진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nline learning execution unit,
an online learning facilitator configured to perform online learning by providing digital lecture contents through a lecture medium according to the online learning design data generated through the online learning design unit; and
and an online test proceeding unit that conducts a pre-prepared short-answer type, short-answer type, and essay-type online test upon completion of online learning through the online learning proceed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진행부는,
온라인 학습 진행 이전 및 진행 중 어느 한 시점에 학습자의 선택에 따른 튜터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튜터 모드 선택 시 실시간 강의인 경우 강사와 1:1 대화를 통한 개인 지도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고, 녹화 강의인 경우 학습자와 강사 간의 질의응답을 통한 개인 지도를 추가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nline learning progress unit,
At any point before or during online learning, a tutor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ection, and when the tutor mode is selected, in the case of a real-time lecture, personal guidance through 1:1 conversation with the instructor is additionally conducted, and in the case of a recorded lectur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dditional personal guidance through question and answer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KR1020210025515A 2021-02-25 2021-02-25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KR1022904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15A KR102290468B1 (en) 2021-02-25 2021-02-25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15A KR102290468B1 (en) 2021-02-25 2021-02-25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68B1 true KR102290468B1 (en) 2021-08-18

Family

ID=7746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15A KR102290468B1 (en) 2021-02-25 2021-02-25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6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0555A (en) * 2008-11-27 2010-06-07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Virtual university using rfid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024140B1 (en) 2008-11-13 2011-03-22 박덕용 System for offering online education contents
KR101390968B1 (en) * 2013-10-22 2014-05-02 (주)나라소프트 Smart education system
KR20160057177A (en) 2014-11-13 2016-05-23 (주)소프트월드 S-on solution searching recommendation online education control system
KR20190107637A (en) * 2019-09-09 2019-09-20 주식회사 그로티 System for managing the studying schedule and the method thereof
KR20200140029A (en)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System for providing video lecture and method thereof
KR102222906B1 (en) * 2020-08-24 2021-03-04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Content protection system using content secure browser and content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140B1 (en) 2008-11-13 2011-03-22 박덕용 System for offering online education contents
KR20100060555A (en) * 2008-11-27 2010-06-07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Virtual university using rfid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390968B1 (en) * 2013-10-22 2014-05-02 (주)나라소프트 Smart education system
KR20160057177A (en) 2014-11-13 2016-05-23 (주)소프트월드 S-on solution searching recommendation online education control system
KR20200140029A (en)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System for providing video lecture and method thereof
KR20190107637A (en) * 2019-09-09 2019-09-20 주식회사 그로티 System for managing the studying schedule and the method thereof
KR102222906B1 (en) * 2020-08-24 2021-03-04 주식회사 한국이러닝개발원 Content protection system using content secure browser and content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0267A1 (en) Multi-dimensional cybersecurity skills assessment method and system
Toth et al. A role-based model for federal information technology/cyber security training
US10861116B1 (en) System and methods to facilitate student data privacy compliance and management for schools
Crick et al.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teaching cybersecurity in UK computer science degree programmes
Pan et al. Gamified digital forensics course modules for undergraduates
Li Penetration testing curriculum development in practice
Pan et al. Game-based forensics course for first year students
Bubas et al. Strategies for implementation of Web 2.0 tools in academic education
KR102290468B1 (en) System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US20140344672A1 (en) Learning application template management in a modular learning system
Tsado et al. Exploring careers in cybersecurity and digital forensics
Peruma et al. Providing an experiential cybersecurity learning experience through mobile security labs
US202103908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reer selection and adaptive learning techniques in the field of cybersecurity
Attai Protecting student data privacy: Classroom fundamentals
Djeki et al. Analyzing Learners’ Privacy in MOOC and Online Learning Platform
Papanikolaou et al. A framework for teaching network security in academic environments
Moore et al. A short-cycle framework approach to integrating psychometric feedback and data analytics to rapid cyber defense
Karimnia et al. Culturally-sensitive Cybersecurity Awareness Program Design for Iranian High-school Students.
Mathoosoothenen et al. An integrated real-time simulated ethical hacking toolkit with interactive gamification capabilities and cyber security educational platform
Anderson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eaching forensics at a university degree level
Omiya et al. IoT-Poly: An IoT Security Game Practice Tool for Learners Motivation and Skills Acquisition
Choi et al. Feasibility of virtual security laboratory for three-tiered distance education
KR102303074B1 (en) Time magnet e-learning system
Kercher et al. Risks, rewards and raising awareness: training a cyber workforce using student red teams
Kimani Technology Supported Web-based It Security Awareness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