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80B1 - Dispenser for beverage - Google Patents

Dispenser for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80B1
KR102288480B1 KR1020140145478A KR20140145478A KR102288480B1 KR 102288480 B1 KR102288480 B1 KR 102288480B1 KR 1020140145478 A KR1020140145478 A KR 1020140145478A KR 20140145478 A KR20140145478 A KR 20140145478A KR 102288480 B1 KR102288480 B1 KR 10228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ring
passage
beverage
hole
pour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8079A (en
Inventor
다카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용 디스펜서(10)는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 통로(25)와, 상기 공급 통로에 접속된 개폐 밸브(32)와, 상기 개폐 밸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에 있어서 수직 하방으로 뻗은 주출 통로(39)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 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51)이, 상기 주출 통로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의 중심과 상기 공급 통로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로 할 때 90°에서 270°의 사이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The beverage dispenser 10 includes a supply passage 25 through which beverage is supplied, an on/off valve 32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and a pouring passage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in the supply passage ( 39), wherein at least one through hole 51 is provided in the pouring passage at 90 It is formed at an angular position between 270 degrees.

Description

음료용 디스펜서 {DISPENSER FOR BEVERAGE}Dispenser for beverages {DISPENSER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를 주출하는 음료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ispenser for dispensing beverages.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즉, 워터 서버는 다양한 유형이 시판되고 있는데, 음료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음료의 안전성의 확보와, 음료의 관능면에서의 품질 추구가 높게 요구되고 있다. 음료의 안전성의 확보는 수도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경우, 수도물에 살균을 위하여 첨가하는 염소에 의하여 수도물 그 자체가 어느 정도의 살균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수도물 중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은 억제되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의 경우에는 음료에 살균을 위한 염소 등은 첨가되어 있지 않아서, 음료 중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dispensers for supplying beverages, that is, water servers on the market. As users' interest in beverages increases, securing the safety of beverages and pursuing quality in terms of sensuality of beverages are highly demanded. To ensure the safety of beverages, in the case of a dispenser that supplies tap water, since tap water itself has a certain degree of sterilization by chlorine added to the tap water for sterilizati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ap water is suppressed, so there is not much of a problem. doesn't happen However, in the case of beverages such as mineral water, chlorine for sterilization is not added to the beverage,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he beverage is an important problem.

음료 중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은 미생물이 병원성을 가진 것이라면 인체에 유해하고, 병원성이 없더라도, 음료에 이상한 맛과 이상한 냄새를 부가하거나 또는 음료가 혼탁하거나 한 경우가 있다. 디스펜서는 항상 음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면, 디스펜서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이 일어나기 어렵지만, 예를 들어 오피스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야간 또는 주말 등에는 사용되지 않아서, 장시간에 걸쳐서 디스펜서 내에 음료가 정체하는 상태가 있으면,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는 디스펜서 내에서 미생물의 균총을 서서히 생성하는 경우도 있다.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beverages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if the microorganisms are pathogenic, and even if there is no pathogenicity, strange taste and strange odor may be added to the beverage, or the beverage may become cloudy. If the dispenser is constantly supplying beverages, it is difficult for microorganisms to grow in the dispenser. For example, when used in an office, etc., it is not used at night or on weekends, and the beverage is stagnated in the dispenser for a long time. If there 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icroorganisms may multiply. In addition, there is a case in which a microflora of microorganisms is gradually produced in a dispenser 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종래에는 디스펜서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디스펜서 내의 배관 계통에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살균제나 고온의 물을 주입하고 순환시켜 살균하거나, 디스펜서 내에 제균 여과 장치를 설치하거나 하였다. 그러나, 비용 및 메인터넌스의 관점에서, 음료를 채운 용기로부터 음료를 제공하는 디스펜서의 배관 계통의 특정 부위에 히터를 배치함으로써, 살균 여과 장치 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배관 계통을 가열 살균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uppres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he dispenser, a disinfectant or high-temperature water is injected into the piping system in the dispenser from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and circulated to sterilize, or a sterilization filte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dispenser.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cost and maintenance, by arranging a heater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piping system of a dispenser that provides beverages from a container filled with beverages, heat sterilization of the piping system is performed without separately installing a sterilization filtration device or the like. .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의 배관 계통에는 노즐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노즐과 배관 계통 사이의 접속 부분에는 통상적으로 전자 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전자 밸브에 접속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자 밸브가 개방되어, 음료가 노즐로부터 주출된다. As is known, a nozzle is connected to the piping system of the dispenser. Moreover, a solenoid valve is normally arrange|positioned a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a nozzle and a piping system.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and beverage is poured out from the nozzle.

이 때, 사용자가 음료의 주출 조작을 종료한 후에는,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디스펜서의 배관 계통은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살균할 수 있다. At this time, after the user complete|finishes the pouring operation of a beverage, it has become clear that a beverage remains in the nozzle. The piping system of the dispenser can be sterilized by circulating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그러나, 전자 밸브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노즐에는 그러한 온수가 순환하지 않아서, 노즐을 살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음료의 노즐을 빈번하게 세정할 필요가 있어서 번잡하다. 노즐의 세정을 장시간에 걸쳐서 게을리하였을 경우에는 미생물이 노즐 내에 잔존하는 음료에 번식할 가능성이 있다. However, such hot water does not circulate in the nozzle located downstream of the solenoid valve, so that the nozzle cannot be sterilized.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wash|clean the nozzle of a beverage, and it is troublesome. When washing of the nozzle is negle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icroorganisms may propagate in the beverage remaining in the nozzle.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1-178408호에 개시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노즐은 개폐 밸브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뻗은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음료는 굴곡부를 통과할 때에 난류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기의 정체가 굴곡부 내에 생긴다. 이 때문에, 주출 조작의 종료 후에는 상기 정체된 공기가 노즐 위쪽으로 이동하여, 노즐 선단으로부터 새로운 공기가 들어오고, 그 결과,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The nozzle of the dispenser disclos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178408 is provided with the bending part which extended downward from an on-off valve toward the front. As the beverage becomes turbulent as it passes through the bend, air stagnation occurs in the bend. For this reason, after completion of the pouring operation, the stagnant air moves above the nozzle, and fresh air enters from the tip of the nozzl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beverage remaining in the nozzle.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 2011-178408호 공보에서는 굴곡부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통로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가 관통공을 통하여 노즐 내에 진입하고, 그것에 의하여, 노즐 내의 음료를 공기와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다. Moreover,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178408,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passage located downstream of a bending part. Thus, air enters the nozzle through the through hole, whereby the beverage in the nozzle can be quickly displaced with air.

그러나,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1-178408호에 개시되어 있는 관통공은 굴곡부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통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즐 내의 음료를 공기와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으나, 음료의 주출 유량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큰 폭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However, the through-hole disclos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178408 is a passage located downstream of a bending part, WHEREIN: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far from a user. When the through-hole is formed at this position, the beverage in the nozzle can be quickly replaced with air, bu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rough-hole is not form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everage pouring flow rate of the beverage is greatly reduced.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1-718408호 공보의 굴곡부는 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안쪽 방향으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디스펜서가 안쪽 방향으로 대형화하여, 공간 절약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그러한 디스펜서는 적합하지 않다. In addition, since the bent part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718408 extends downward toward the front, space is required inward by that much. For this reason, the dispenser is enlarged inward, and such a dispenser is not suitable for a place where space saving is requested|requir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출 유량이 큰 폭으로 저하하지 않고 및 대형화하지 않고,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dispenser capable of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remaining in the nozzle without significantly lowering the pouring flow rate or increasing the siz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 통로와, 이 공급 통로에 접속된 개폐 밸브와, 이 개폐 밸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에 대하여 수직 아래쪽으로 뻗은 주출 통로를 구비하고, 이 주출 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 통로의 중심과 상기 공급 통로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로 하여, 90°에서 270° 사이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beverage is supplied, an on-off valv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and an on-off valve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upply passage a passage, wherei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provided in an angular position between 90° and 270°, with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line of the supply passage and the center of the extraction passage in a cross section of the pouring passage at 0° A dispenser for beverages is provided.

두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주출 통로의 길이 부분의 반보다 윗쪽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above half the length of the pouring passage.

세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개폐 밸브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just below the on-off valve.

네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세번째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다섯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네번째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주출 통로의 기단과의 사이의 영역을 적어도 피복하는 커버 부분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 cover portion covering at least a region betwee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and the base end of the pouring passage is provided.

첫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관통공이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출 통로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관통공은 90°에서 270°의 사이, 즉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료의 주출 유량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주출 통로가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뻗어 있으므로, 디스펜서가 안쪽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경우도 없다.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remaining in the pouring passage (nozzle). In addition, since this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90 degrees and 270 degrees, ie, a position close to a user, the pouring flow rate of a beverage hardly falls. Moreover, since the pouring passage extend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penser does not enlarge in the inward direction.

두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 내에 잔존하는 음료를 줄일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beverage remaining in the pouring passage.

세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lmost completely prevent the beverage from remaining in the pouring passage.

네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노즐 내의 음료를 공기와 더욱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다.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beverage in the nozzle can be replaced with air more quickly.

다섯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부주의 등으로 관통공에 접촉하거나 이물질이 관통공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while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remaining in the pouring pass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inadvertently contacting the through hole or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through hole.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 특징 및 이점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한층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s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의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냉수용 전자 밸브 및 주출 통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주출 유량 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용 디스펜서의 주출 통로의 선단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penser for beverages based on the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dispens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dispenser for beverag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of the solenoid valve for cold water, and a pouring passage.
5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ormation position of a through hole and a pouring flow rate.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front-end|tip vicinity of the pouring passage of the dispenser for beverages in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였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도면은 축척을 적절하게 변경하였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members.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se figures have been appropriately scaled.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음료의 일례로서 음료수를 채운 음료수 용기(12)는 백 인 박스(in-box)형 용기이며, 백 인 박스(in-box)형 용기의 안쪽 백(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성형되어 있는 주출용 튜브의 일단을 꺼내어 디스펜서(10)에 장착하였다. 음료수가 채워진 용기는 가열에 의한 음료수의 용적 팽창분을 흡수할 수 있고, 밀봉성이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백 인 박스형 용기에서, 예컨대 안쪽 백에 스파우트가 설치되어 있는 유형의 것이면, 그 스파우트와 접속 기구를 통하여 디스펜서측과 접속시키면 좋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penser for beverag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a beverage, the beverage container 12 filled with beverage is a bag-in-box-type container, and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an inner bag (not shown) of the bag-in-box-type container. One end of the tube was taken out and mounted on the dispenser (10). As long as the container filled with beverage can absorb the volume expansion of the beverage by heating and has sealability, any type of container may be us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nnect with the dispenser side through a spout and a connection mechanism.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수 용기(12)로부터 뻗어 있는 공통 배관(21)은 분기관(22) 및 분기관(28)에 분기되어 있고, 이들 분기관(22, 28)은 2 종류의 저류 탱크인 온수 탱크(13) 및 냉수 탱크(1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음료수 용기(12)로부터 온수 탱크(13)로 공급된 음료수는 온수 탱크(13)에 설치된 가열 장치(15)에 의하여 적절한 온도, 예를 들면 약 70°이상으로 가열된다. 마찬가지로 음료수 용기(12)로부터 냉수 탱크(14)로 공급된 음료수는 냉수 탱크(14)에 설치된 냉각 장치(16)에 의하여 약 4° 내지 10° 정도로 냉각된다. 또한, 온수 탱크(13)에 접속된 배관(23)에 설치된 온수용 전자 밸브(31)를 조작함으로써 주출 통로(38)의 선단으로부터 온수가 주출되고, 또한, 냉수 탱크(14)에 접속된 배관(25)에 설치된 냉수용 전자 밸브(32)를 조작함으로써 주출 통로(39)의 선단으로부터 냉수가 주출된다. 또한, 이들 전자 밸브(31, 32) 대신에, 주출 코크 또는 주출 레버를 채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mmon pipe 21 extending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2 is branched to a branch pipe 22 and a branch pipe 28, and these branch pipes 22 and 28 are two types of storage. It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13 and the cold water tank 14 which are tanks. The beverage suppli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2 to the hot water tank 13 is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70° or more by a heating device 15 installed in the hot water tank 13 . Similarly, the beverage suppli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12 to the cold water tank 14 is cooled to about 4° to 10° by the cooling device 16 installed in the cold water tank 14 . Moreover, by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31 for hot water provided in the piping 23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13, hot water is poured out from the front-end|tip of the pouring passage 38, and the piping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14 further. Cold water is poured out from the front-end|tip of the pouring passage 39 by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provided in (25). In addition, instead of these solenoid valves 31 and 32, a pouring cock or a pouring lever can be employ|adopted.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13)에 음료수를 주입하는 분기관(22)은 온수 탱크(13)의 깊은 층, 예를 들면 75%를 초과하는 깊이까지 뻗어있고, 한편, 온수 탱크(1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는 배관(23)은 온수 탱크(13)의 얕은 층, 예를 들면 25%를 넘지 않는 깊이까지만 뻗어있다. 온수는 온수 탱크(13)의 정부(頂部) (도 1에 있어서의 위쪽)를 향하여 대류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온수 탱크(13)로부터 온수를 주출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branch 22 for pouring beverage into the hot water tank 13 extends to a deep layer of the hot water tank 13 , for example greater than 75%, while , the pipe 23 for dispensing beverages from the hot water tank 13 extends only to a shallow layer of the hot water tank 13, for example, to a depth not exceeding 25%. Since hot water convections toward the top (upper side in FIG. 1) of the hot water tank 13, hot water can be poured out from the hot water tank 13 efficiently.

또한, 냉수 탱크(14)에 음료수를 주입하는 분기관은 냉수 탱크(14)의 얕은 층, 예를 들면 25%를 넘지 않는 깊이까지만 뻗어있고, 한편, 냉수 탱크(14)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는 배관(25)은 냉수 탱크(14)의 깊은 층, 예를 들면 75%를 초과하는 깊이까지 뻗어 있다. 냉수는 냉수 탱크(14)의 바닥부 (도 1에 있어서의 아래쪽)를 향하여 대류하기 때문에, 효율 좋게 냉수 탱크(14)로부터 냉수를 주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nch pipe for pouring beverage into the cold water tank 14 extends only to a shallow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14 , for example, to a depth not exceeding 25%, and on the other hand, a pipe for dispensing beverage from the cold water tank 14 . 25 extends to a deep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14 , for example greater than 75%. Since cold water convects toward the bottom part (lower side in FIG. 1) of the cold water tank 14, cold water can be poured out from the cold water tank 14 efficiently.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13)로부터 뻗은 연통 배관(24)이 배관(25)의 냉수용 전자 밸브(32)에 접속되어 있고, 연통 배관(24)에는 순환 밸브(35) 및 순환 펌프(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순환 밸브(35)는, 예컨대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자 밸브이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33)을 구비한 배관(26)이 연통 배관(24)로부터 뻗어 있고, 똑같이 드레인 밸브(34)를 구비한 배관(27)이 냉수 탱크(14)로부터 뻗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예컨대 야간에 있어서 순환 밸브(35)를 개방하는 동시에 순환 펌프(40)을 구동함으로써, 온수 탱크(13) 내의 온수를 연통 배관(24), 냉수 탱크(14), 배관(22) 및 배관(28)에 통과시켜 순환시킴으로써, 이들을 가열 살균할 수 있다. 1, the communication pipe 24 extending from the hot water tank 13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of the pipe 25, and the communication pipe 24 has a circulation valve ( 35) and a circulation pump 40 are provided. This circulation valve 35 is, for example, a solenoid operated solenoid valve. Moreover, as shown in figure, the pipe 26 provided with the drain valve 33 extends from the communication pipe 24, and the pipe 27 provided with the drain valve 34 similarly extends from the cold water tank 14. there is. In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by opening the circulation valve 35 and driving the circulation pump 40 at night,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3 is communicated to the piping 24, the cold water tank 14, the piping ( 22) and by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28, these can be heat-sterilized.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10)의 하우징(11)의 전면(11a)에는 컵(C)를 배치할 수 있는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5)의 윗면으로부터 커버(44)가 아래쪽을 향하여 뻗어있고, 또한 주출 통로(38, 39)가 커버(44)의 하단을 넘어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for beverage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2 , in the front surface 11a of the housing 11 of the dispenser 10 , a recess 45 in which the cup C can be placed is formed. The cover 44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 45 , and the pouring passages 38 and 39 extend downward beyond the lower ends of the cover 44 .

또한, 하우징(11)의 전면(11a)에는 조작 패널(41)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41)의 주출 버튼(48, 49)을 누르면, 대응하는 전자 밸브(31, 32)가 구동하고, 주출 통로(38, 39)의 선단으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가 주출된다. In addition, an operation panel 41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11a of the housing 11 . When the pouring buttons 48 and 49 of the operation panel 41 are pressed, the corresponding solenoid valves 31 and 32 are driven, and hot water or cold water is poured out from the front-end|tip of the pouring passages 38 and 39.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14) 및 이에 대응하는 냉수용 전자 밸브(32) 및 주출 통로(39)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간결하게 하기 위한 목적에서, 도 3에서는 연통 배관(24)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수 탱크(13) 및 이에 대응하는 온수용 전자 밸브(31) 및 주출 통로(38)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으로 한다.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dispenser for beverag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cold water tank 14 and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and the pouring passage 39 corresponding thereto are shown as an example.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brevity, illustration of the communication pipe 24 is abbreviate|omitted in FI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hot water tank 13 and the solenoid valve 31 for hot water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pouring passage 38 are also set as the thing of a structure as mentioned later.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14)와 냉수용 전자 밸브(32)를 접속하는 배관(25)은 수평 방향으로 뻗어 냉수용 전자 밸브(32)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냉수용 전자 밸브(32)로부터 뻗은 주출 통로(39)는 대략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즉, 배관(25)과 주출 통로(39)는 서로 거의 수직이다. As shown in FIG. 3, the piping 25 which connects the cold water tank 14 and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Moreover, the pouring passage 39 extended from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extends substantially vertically downward. That is, the pipe 25 and the pouring passage 39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에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51)은 배관(25)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공(51)은 하우징(11)의 전면(前面)(11a)의 가까운 측, 즉,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의 내경이 8.5 mm이고, 관통공(51)의 직경은 1.5 mm 내지 2.0 mm이다. 다만, 주출 통로(39) 및 관통공(51)의 치수가 전술한 것과 달라도 된다. As shown in FIG. 3 ,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51 is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39 . This through hole 51 is formed in a part of the pouring passage 39 located far from the pipe 25 . In other words, the through hole 51 is form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front surface 11a of the housing 11, that is, in a position close to the user. In one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pouring passage 39 is 8.5 mm, a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51 is 1.5 mm to 2.0 mm. However, the dimensions of the pouring passage 39 and the through hole 51 may be different from those described above.

냉수용 전자 밸브(32)를 정지하여 주출 통로(39)의 선단으로부터 음료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 음료가 주출 통로(3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잔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관통공(51)을 통하여 주출 통로(39)에 진입하므로, 주출 통로(39) 내에 잔존하고 있던 음료는 주출 통로(39)의 선단으로부터 배출된다. 즉, 주출 통로(39) 내의 음료는 관통공(51)으로부터 진입한 공기에 의하여 치환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 내에 음료는 거의 잔존하지 않고, 따라서, 미생물이 주출 통로(39) 내에서 번식하는 경우도 없다. When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is stopped and the beverage is not supplied from the tip of the pouring passage 39 , the beverage remains at least partially in the pouring passage 39 .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ir from the outside enters the pouring passage 39 through the through hole 51 , the beverage remaining in the pouring passage 39 is discharged from the tip of the pouring passage 39 . That is, the beverage in the pouring passage (39) is replaced by the air entering from the through hole (51).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most no beverage remains in the pouring passage 39 , and therefore, no microorganisms propagate in the pouring passage 39 .

도 4는 냉수용 전자 밸브 및 주출 통로의 정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세 개의 관통공(51, 52, 53)이 주출 통로(39)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어느 하나의 관통공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관통공(51)은 냉수용 전자 밸브(32) 바로 아래의 위치(P1)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3)은 주출 통로(39)의 선단 근방의 위치(P3)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52)은 냉수용 전자 밸브(32)로부터 뻗은 주출 통로(39)의 길이 부분의 약 반의 위치(P2)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수용 전자 밸브(32)로부터 뻗어 있는 주출 통로(39)의 길이는 28.5 mm이다. It is a front view of the solenoid valve for cold water, and a pouring passage. In FIG. 4 , three through-holes 51 , 52 , 53 are shown on the pouring passage 39 , but it is assumed that only one of the through-holes is actually formed. The through hole 51 is formed in the position P1 just below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The through hole 53 is formed in the position P3 near the tip of the pouring passage 39 .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52 is formed in the position P2 of about half of the length part of the pouring passage 39 extended from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pouring passage 39 extending from the solenoid valve 32 for cold water is 28.5 mm.

또한, 표 1은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주출 유량 등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샘플 번호 0의 주출 통로(39)를 기준으로 하여, 높이 위치 P1, P2, P3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진 주출 통로(39)(샘플 번호 1 내지 3)와 비교하고 있다. In addition, Table 1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position of a through-hole, pouring flow volume, etc. In Table 1, on the basis of the pouring passage 39 of Sample No. 0 in which no through-holes are formed, the pouring passages 39 having through-holes formed at height positions P1, P2, and P3 (Sample Nos. 1 to 3) and are comparing

Figure 112014102244901-pat00001
Figure 112014102244901-pat00001

표 1에는 음료의 주출을 정지한 후에 있어서의 주출 통로(39) 내의 음료의 잔량이 나타나 있다. 샘플 번호 0을 기준으로 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의 경우 (샘플 번호 1)에는 주출 통로(39) 내의 잔량은 마이너스 87%까지 저하되어, 음료는 거의 잔존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미생물이 주출 통로(39) 내에서 번식할 일도 없다. 그러므로, 주출 통로를 세정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Table 1 show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verage in the pouring passage 39 after stopping the pouring of the beverage. Based on sample number 0,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 P1 of the through hole (sample number 1), the remaining amount in the pouring passage 39 decreases to minus 87%, and almost no beverage remains. For this reason, there is no chance that microorganisms will propagate in the pouring passage 39 . Therefore, the frequency of cleaning the pouring passage can be reduced.

또한, 관통공의 높이 위치 P2, P3의 경우 (샘플 번호 2, 3)에는 주출 통로(39) 내의 잔량은 마이너스 82%이다. 즉, 이 경우에는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의 경우보다 다량의 음료가 주출 통로(39) 내에 잔존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s P2 and P3 of the through-holes (Sample Nos. 2 and 3), the remaining amount in the pouring passage 39 is minus 82%. That is,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beverage remains in the pouring passage 39 than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 P1 of the through hole.

이 때문에,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의 경우 (샘플 번호 1)에는 액체가 흘러내리지 않지만, 관통공의 높이 위치 P2, P3의 경우 (샘플 번호 2, 3)에는 소량의 액체가 흘러내릴 수 있다 (1.0 ㎖ 또는 1.5 ㎖).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 P1 of the through hole (Sample No. 1), the liquid does not flow, but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s P2 and P3 of the through hole (Sample No. 2, 3), a small amount of liquid can flow down ( 1.0 ml or 1.5 ml).

또한, 주출 유량에 대하여는 샘플 번호 O를 기준으로 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2(샘플 번호 2)의 경우에는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1%이고, 관통공의 높이 위치 P3(샘플 번호 3)의 경우에는 주출 유량은 플러스 0.2%이다. 또한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샘플 번호 1)의 경우에는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2.8%이다. 그러나, 샘플 번호 0과 비교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샘플 번호 1)의 경우의 주출 유량의 저하는 극히 적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샘플 번호 1)의 경우에도, 주출 유량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pouring flow rate, based on sample number O, the pouring flow rate is minus 1.1% in the case of the through-hole height position P2 (sample number 2), and in the case of the through-hole height position P3 (sample number 3). The pour flow rate is plus 0.2%. Moreover,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 P1 (sample number 1) of a through-hole, the pouring flow rate is minus 2.8%. However, compared with sample number 0, the fall of the pouring flow rate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 P1 (sample number 1) of a through-hole is very small. In other words, even in the case of the height position P1 (sample number 1) of a through-hole, the pouring flow rate hardly falls.

또한, 도 5는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주출 유량 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나는 샘플 번호 0 내지 샘플 번호 7에 있어서는 관통공(51)이 높이 위치 P1에 있어서 주출 통로(39)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샘플 번호 0의 주출 통로(39)가 기준이 된다. Moreover, FIG. 5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position of a through-hole, pouring flow rate, etc. FIG. In the sample number 0 - sample number 7 shown in FIG. 5, the through-hole 51 shall be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39 in the height position P1. In addition, in FIG. 5, the extraction|pouring passage 39 of the sample number 0 in which the through-hole is not formed serves as a reference|standard.

또한, 도 5에 나타나는 「관통공의 각도 위치」는 주출 통로(39)의 단면에 있어서 주출 통로(39)의 중심과 배관(25)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으로 하였을 경우에, 윗쪽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각도 0°의 경우 (샘플 번호 1)에 있어서는 관통공(51)은 배관(25)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도 180°의 경우 (샘플 번호 4)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51)은 배관(25)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angular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shown in FIG. 5 is 0° when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ouring passage 39 and the center line of the pipe 25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ouring passage 39 is 0° from the upper side. It shall mean the angular position of the through-hole 51 in a bo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0 degree angle (Sample No. 1), the through-hole 51 is formed in a part of the pouring passage 39 located in the position close to the piping 2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ngle of 180 degrees (sample number 4), as shown in FIG. 3, the through-hole 51 is formed in a part of the pouring passage 39 located in the position furthest from the pipe 25. As shown in FIG.

도 5에 있어서,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주출 통로(39) 내의 잔량은 샘플 번호 1 내지 7에 있어서, 마이너스 82% 내지 마이너스 87%의 사이이다. In Fig. 5, the residual amount in the pouring passage 39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through hole 51 is not formed is between minus 82% and minus 87% in Sample Nos. 1 to 7.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위치가 0°인 경우 (샘플 번호 1)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3%까지 저하된다. 각도 위치가 45°인 경우 (샘플 번호 2)에 있어서도,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2%까지 저하된다. Moreover, as shown in FIG. 5, when the angle position is 0 degree (Sample No. 1),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rough-hole 51 is not formed, the pouring flow rate falls to minus 13%. Even when the angular position is 45° (Sample No. 2), the pouring flow rate is reduced to minus 12%.

그러나, 각도 위치가 90°인 경우 (샘플 번호 3)에는 주출 유량의 저하는 마이너스 3.2%에 그친다. 또한, 각도 위치가 180°인 경우 (샘플 번호 3)에는 주출 유량의 저하는 마이너스 2.8%로, 주출 유량의 저하가 가장 작다. 또한, 주출 통로(39)의 단면은 원형이므로, 각도 위치가 270°인 경우 (도시하지 않음)에는 각도 위치가 90°의 경우 (샘플 번호 3)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However, when the angular position is 90° (Sample No. 3), the drop in the pouring flow rate is only minus 3.2%. In addition, when the angular position is 180° (Sample No. 3), the drop in the pouring flow rate is minus 2.8%, and the drop in the pouring flow rate is the smallest. In addition,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pouring passage 39 is circular, when the angular position is 270° (not shown), the same result as in the case where the angular position is 90° (Sample No. 3) can be obtained.

그런데, 도 3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의 상단측에서 그리고 배관(25)측에 위치하는 부위(39a)로부터, 주출 통로(39) 내부로 포물선 상으로 이어진 파선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주출 통로(39)의 내부는 이 파선에 의하여, 2 개의 영역(Z1, Z2)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역 Z1은 배관(25)으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 내의 영역이고, 영역 Z2는 배관(25)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 내의 영역이다. By the way, in FIG. 3, the broken line which continued parabolically from the site|part 39a located in the upper end side of the pouring passage 39 and the piping 25 side into the pouring passage 39 is shown. And the inside of the pouring passage 39 is divided into two areas Z1 and Z2 by this broken line. As can be seen from FIG. 3 , the region Z1 is a region in the pouring passage 39 locat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pipe 25 , and the region Z2 is a region in the pouring passage 39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ipe 25 . is the area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25)은 주출 통로(39)에 대해서 수직이고, 주출 통로(39)는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이 때문에, 영역 Z1에 있어서의 음료의 유속은 영역 Z2에 있어서의 유속보다 크다. 즉, 주출 통로(39)에 있어서의 음료의 유속은 주출 통로(39)의 상단 근방에서 그리고 배관(25)로부터 먼 위치에 있어서 크고, 이 위치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역 Z1에 있어서 관통공(51)이 주출 통로(39)에 형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pe 25 is perpendicular to the pouring passage 39, and the pouring passage 39 extend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flow velocity of the beverage in the region Z1 is greater than the flow velocity in the region Z2. That is, the flow velocity of the beverage in the pouring passage 39 is large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of the pouring passage 39 and at a position far from the pipe 25, and gradually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is position. Moreover, as shown in FIG. 3, in this invention, the through-hole 51 is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39 in the area|region Z1.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180°에 있는 경우, 즉, 관통공(51)이 사용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의 주출 유량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90°에서 270°의 사이에 있는 경우에도, 음료의 주출 유량은 아주 조금 저하된다. For this reason, when the angular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51 is at 180°, that is, when the through hole 51 is form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user, as shown in FIG. 5 , the beverage The pouring flow rate hardly decreases. In addition, even when the angular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51 is between 90° and 270°, the beverage pouring flow rate is very slightly lower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는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만 뻗어 있으므로, 디스펜서(10)가 안쪽 방향으로 대형화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유량이 큰 폭으로 저하하지 않고 및 대형화하지 않고, 주출 통로(39)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uring passage 39 extends only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penser 10 does not enlarge in the inward direction eith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remaining in the pouring passage 39 without significantly lowering the pouring flow rate and not increasing the size.

또한, 도 5에 있어서의 샘플 번호 5 내지 7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관통공이 주출 통로(39)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2 개의 관통공은 모두 주출 통로(39)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 P1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ample numbers 5-7 in FIG. 5 have shown the case where two mutually opposing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extraction|pouring passage 39. In FIG. It is assumed that both of these two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height position P1 in the pouring passage 39. As shown in FIG.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0° 및 180°인 경우 (샘플 번호 5)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3%까지 저하된다. 마찬가지로 2 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45° 및 225°인 경우 (샘플 번호 6)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1%까지 저하된다. 또한, 2 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90° 및 270°인 경우 (샘플 번호 7)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주출 유량의 저하는 마이너스 3.7%이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angular positions of the two through-holes 51 are 0° and 180° (Sample No. 5),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rough-holes 51 are not formed, the pouring flow rate is negative. down to 13%. Similarly, in the case where the angular positions of the two through-holes 51 are 45° and 225° (Sample No. 6), the pouring flow rate is reduced to minus 11%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through-holes 51 are not formed. In addition, when the angular positions of the two through-holes 51 are 90° and 270° (Sample No. 7),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rough-holes 51 are not formed, the drop in the pouring flow rate is minus 3.7%. .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샘플 번호 5 내지 7의 각각의 주출 유량의 결과는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각각의 결과와 같다. 예를 들면, 2 개의 관통공(51)이 0° 및 180°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샘플 번호 5에 있어서의 주출 유량은 하나의 관통공(51)이 0°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샘플 번호 0)와 다르지 않다. 다른 샘플 번호 6, 7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As can be seen from FIG. 5 , the results of the respective pouring flow rates of Sample Nos. 5 to 7 are the same as the respective results of Sample Nos. 1 to 3.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ouring flow rate in Sample No. 5 in which two through-holes 51 are formed at angular positions of 0° and 180° is that one through-hole 51 is formed at 0° angular positions. case (Sample No. 0). The same is true for other sample numbers 6 and 7.

이것은 주출 유량의 저하가 주출 유량을 저하시키는 관통공의 각도 위치에 의존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2 개의 관통공(51)을 주출 통로(39)에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주출 유량을 더 저하시키는 관통공의 각도 위치 (예를 들면 샘플 번호 5에 있어서의 각도 위치 0°)에 따라서, 주출 유량은 저하된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셋 이상의 관통공(51)을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같다. 다만, 복수의 관통공을 주출 통로(39)의 동일 높이에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단일의 관통공(51)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주출 조작의 정지 후에 있어서 주출 통로(39) 내의 음료를 공기와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다. This has shown that the fall of the pouring flow rate depends on the angular position of the through-hole which reduces the pouring flow rate. That is, when the two through-holes 51 are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39, it pours out according to the angular position (for example, angular position 0 degree in Sample No. 5) of the through-hole which further reduces the pouring flow rate. The flow rate is lowered. Although not shown in FIG. 5 ,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ree or more through-holes 51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position. However, whe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of the pouring passage 39, the beverage in the pouring passage 39 is mixed with air after stopping the pouring operation, rather than when only a single through-hole 51 is formed. can be replaced quickly.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용 디스펜서의 주출 통로의 선단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디스펜서(10)의 오목부(45)를 아래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44)는 주출 통로(38, 39)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44)의 내면은 주출 통로(38, 39)로부터 어느 정도 이간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출 통로(39)의 관통공(51)은 커버(44)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억세스할 수 없게 피복되어 있다. 커버(44)는 관통공(51)과 주출 통로(39)의 기단과의 사이를 적어도 피복하는 것이 좋다.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front-end|tip vicinity of the pouring passage of the dispenser for beverages in another embodiment.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45 of the dispenser 10 is viewed from below. As can be seen from FIG. 6 , the cover 44 is arranged to surround the pour passages 38 , 39 .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44 is spaced apart from the pouring passages 38 and 39 to some extent. And so that FIG. 3 may show, the through-hole 51 of the extraction|pouring passage 39 is coat|covered with the cover 44 so that it cannot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The cover 44 preferably covers at least between the through hole 51 and the base end of the pouring passage 39 .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사용자가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관통공(51)에 접촉하거나, 이물질이 관통공(51)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44)의 내면은 주출 통로(38, 39)로부터 이간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관통공(51)을 통하여 주출 통로(39) 내에 진입할 수 있고, 따라서, 주출 통로(39)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ue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contacting the through hole 51 due to carelessness or the like, or from attach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through hole 51 . In addition,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44 is spaced apart from the pouring passages 38 and 39 , air can enter into the pouring passage 39 through the through hole 51 , and thus the beverage in the pouring passage 39 .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음료수 용기(12) 내의 물을 주출 통로(38, 39)의 선단으로부터 주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펜서(10)가 물 이외의 음료, 예를 들면 차음료, 쥬스 등을 주출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water in the beverage container 12 is poured from the tips of the pouring passages 38 and 39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clear that the dispenser 10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dispensing beverages other than water, for example, tea beverages, juices, and the like.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전술한 변경 및 여러 가지 다른 변경, 생략, 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ypical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and various other changes, omissions, and addi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 통로와,
상기 공급 통로에 접속된 개폐 밸브와,
상기 개폐 밸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에 대하여 수직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주출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 통로에는 상기 주출 통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의 중심과 상기 공급 통로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로 하여, 90°에서 270°의 사이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a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the beverage is supplied;
an on/off valv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a pouring passage connected to the on-off valve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upply passage;
In the pouring passage, at least one through-hole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pouring passage is formed with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ouring passage and the center of the supply passag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pouring passage as 0°, from 90° to 270° A beverage dispenser formed at an angular position between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주출 통로의 길이 부분의 반보다 윗쪽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The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dispensing passage above half of the length of the dispensing passag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개폐 밸브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The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dispensing passage just below the on-off valve.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The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주출 통로의 기단과의 사이의 영역을 적어도 피복하는 커버 부분을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The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portion covering at least a region betwee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ouring passage and the base end of the pouring passage.
KR1020140145478A 2013-10-25 2014-10-24 Dispenser for beverage KR1022884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2730 2013-10-25
JP2013222730A JP6210373B2 (en) 2013-10-25 2013-10-25 Beverag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79A KR20150048079A (en) 2015-05-06
KR102288480B1 true KR102288480B1 (en) 2021-08-10

Family

ID=5304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478A KR102288480B1 (en) 2013-10-25 2014-10-24 Dispenser for bever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10373B2 (en)
KR (1) KR1022884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5240B1 (en) * 2015-10-14 2016-10-12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Water server with ke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692A (en) * 2001-06-08 2002-12-18 Hoshizaki Electric Co Ltd Foaming drink spouting cock
JP2005263327A (en) 2005-05-12 2005-09-29 Hoshizaki Electric Co Ltd Foaming beverage pouring cock
JP2013216377A (en) * 2012-03-16 2013-10-24 Masahiro Hanada Server for bever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5656Y1 (en) * 1964-08-27 1968-06-29
JPS62125800U (en) * 1986-01-31 1987-08-10
DE9301038U1 (en) * 1993-01-26 1993-05-27 Till, Rudolf, 7573 Sinzheim, De
JP5601448B2 (en) * 2010-02-26 2014-10-08 株式会社ノーリツ Drinking water supply equipment
KR200467891Y1 (en) * 2011-06-15 2013-07-10 최영일 Apparatus of cock used for a liquid container having a dual tube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692A (en) * 2001-06-08 2002-12-18 Hoshizaki Electric Co Ltd Foaming drink spouting cock
JP2005263327A (en) 2005-05-12 2005-09-29 Hoshizaki Electric Co Ltd Foaming beverage pouring cock
JP2013216377A (en) * 2012-03-16 2013-10-24 Masahiro Hanada Server for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83488A (en) 2015-04-30
KR20150048079A (en) 2015-05-06
JP6210373B2 (en)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333B2 (en) Bottom fill kitchen sink feature
JP5572099B2 (en) Water dispenser with reservoir system and divergent faucet
JP5529317B1 (en) Water server
EP2546186B1 (en) Beverages dispenser and a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PT2025268E (en) Apparatus for washing circuits involved in the preparation of milk-based beverages
KR20150127130A (en) Water dispenser
KR20120062645A (en) Beverage server
KR102288480B1 (en) Dispenser for beverage
JP6355545B2 (en) Solenoid valve of beverage supply equipment
EP3699138A1 (en) Water based liquid supply system
CN110864451A (en) Liquid heater
WO2014190994A1 (en) A water dispensing system
US20120234180A1 (en) Water venting systems and methods for aircraft beverage makers
CN214230940U (en) Device for supplying hot water
JP2007062746A (en) Beverage dispenser
KR101600165B1 (en)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JP2017081600A (en) Beverage dispenser
JP4859850B2 (en) Drinking water server
JP6297010B2 (en) Hydrogen water server
KR102038196B1 (en) Beverage distribution device
JP6279205B2 (en) Water purifier
KR101533962B1 (e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JP2015107202A (en) Hot water supply device
KR20190041763A (en) Beverage distribution line replacement device
KR20190041764A (en) Beverage coo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