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661B1 - 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661B1
KR102286661B1 KR1020180156980A KR20180156980A KR102286661B1 KR 102286661 B1 KR102286661 B1 KR 102286661B1 KR 1020180156980 A KR1020180156980 A KR 1020180156980A KR 20180156980 A KR20180156980 A KR 20180156980A KR 102286661 B1 KR102286661 B1 KR 10228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information
purchase
curation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5067A (en
Inventor
김종훈
김한결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8015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6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0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팅 또는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앱이나 프로그램에서의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소비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채팅 처리부, 상기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상기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서 개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 검색엔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상품 큐레이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자가 대화방에서의 채팅을 이용하여 쇼핑과 관련한 상품정보 문의, 상품 정보 획득, 구매 상품 선택 및 구매 대금 결제까지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채팅 기반의 일대일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in an app or program for chatting or shopping, wherein the chatting device determines a message related to a product that a consumer wants to purchase from among at least one message provided in a chat room. A processing unit, a database search engine that provides first product information by searching for the product in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determines a product type by analyzing the product, determines a shopping mall site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a web launched from the shopping mall site and a web search engine that searches a page and provides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a product curation unit that curates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t-based, one-on-one on-demand shopping curation service that enables consumers to conveniently process product information inquiries related to shopping, product information acquisition, purchase product selection, and purchase payment using chatting in a chat room. can do.

Description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채팅 또는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앱이나 프로그램에서의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화방에서 채팅을 기반으로 쇼핑과 관련한 상품정보 문의, 상품 정보 제공, 구매 상품 선택, 이후 구매 대금 결제까지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n-demand shopping curation technology based on chatting or chatting in an app or program for the purpose of shopping, and more particularly, to inquire about shopping-related product information, provide product information, It relates to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proceed from product selection to purchase payment to purchase payment.

온라인 쇼핑몰 등 이커머스 업체의 증가로 인하여 소비자의 업체 선택의 폭은 넓어졌으나 원하는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구매하기 위해서 소비자는 여러 쇼핑몰을 직접 방문해야 하고 상품별 기능과 가격을 직접 비교 검색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며 최종 구매 의사 결정을 하고도 최적의 구매 의사 결정을 했는지에 대해 확신을 갖기 어렵다.Due to the increase of e-commerce companies such as online shopping malls, consumers have a wider choice of companies, but in order to purchase the desired product at a competitive price, consumers have to visit several shopping malls, and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mpare and search functions and prices for each product. It consumes time, and even after making the final purchase decision, it is difficult to be certain that the optimal purchase decision was made.

또한, 네이버, 다음(daum) 또는 특정 사이트에서 상품별 최저가격을 제안해 주는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단순하게 가격 정보와 판매처 정보 리스트를 제공해 주는데 불과하여 소비자가 그 리스트 중에서 다시 개별 검색을 통해 최적의 상품을 찾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고 최적의 구매 의사 결정을 소비자 스스로 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aver, Daum, or specific sites provide a shopping brokerage service that offers the lowest price for each product, it simply provides price information and a list of vendor information, so that consumers can find the best There is still the hassle of finding a product for the consumer, and it may take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consumers to make the optimal purchase decision by themselves.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7079(2016.09.13)호는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웹 상에서의 활동을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한 사용자의 관심 사항 및 구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여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107079 (2016.09.13) relates to a user-customized product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a user's web activity, and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s field of interest, and Disclosed is a technology that can analyze a user's interests based on the user's activity on the web, select a product suitable for the user based on the analyzed user's interests and purchase information, and provide produ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re doing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7079(2016.09.1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07079 (2016.09.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비자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채팅 또는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앱이나 프로그램에서의 채팅을 기반으로 원하는 상품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최적의 가격으로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일대일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one-to-one on-demand shopping queue so that consumers can shop for desired products quickly, easily, and at an optimal price based on chatting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or chatting in apps or programs for shopping purpos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that provides a curation 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얻는 정보 외에 국내외 쇼핑몰에 있는 상품 정보들을 독자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고객들의 최신 구매 트렌드와 선호 상품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product inform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shopping malls is searched in real time using an independent search algorithm, and the latest purchase trends and preferred products of customers are periodically identified through big data analysi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that can be provided to us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 종류별로 정의되는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에 따라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that can provide product information optimized for a user's needs by performing a search according to the effective range of each of a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defined for each product type would like to provide

실시예들 중에서,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상품쇼핑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채팅 처리부, 상기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상기 상품정보를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서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 검색엔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상품쇼핑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상품 큐레이션부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includes a chat processing unit that determines a message related to product shopping among at least one message provided in a chat room, and provides first product information by searching for the product in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a database search engine, a web search engine that determines a product type by analyzing the product information, determines a shopping mall site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provides second product information by searching a web page posted on the shopping mall site; and a product curation unit for curating customized product shopping information for the us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상기 채팅 처리부는 상기 상품쇼핑과 연관된 메시지를 기초로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The chat processing unit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based on the messag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shopping and determine an effective r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은 상기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상품에 관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인기 순위를 상기 후보 상품정보에 반영하여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database search engine searches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for candidate products in which the number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cluded in the effective r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arch reference number, and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for the product for a specific period based on the search time.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star popularity ranking in the candidate product information.

상기 웹 검색엔진은 상기 제2 상품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상품 정보와 연관된 웹 페이지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1차 정렬하고 상기 제2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2차 정렬할 수 있다.The web search engine may first sort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web page associated with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ary sort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중복된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큐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duplicate product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curation unit may perform the curation based on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큐레이션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The product curation unit may delete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and repeat the curation when there is no user selection for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상기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 payment service regarding a purchased product determined by a user's selection among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상기 상품 결제 처리부는 상기 최종 구매 상품에 관한 쇼핑몰 결제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거나 또는 쇼핑몰 결제를 대신하는 자체적인 구매 대행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may provide a connection to a shopping mall payment page regarding the final purchased product or may provide a connection to an own purchase agency page in place of the shopping mall payment.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얻는 정보 외에 새로운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추가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고객들의 최신 구매 트렌드와 선호 상품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nd adds new product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ddition to information obtained from a database, and periodically updates customers' latest purchase trends and preferred products through big data analysis. It can be identified and provided to us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상품 종류별로 정의되는 복수의 구매관련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에 따라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oduct information optimized for a user's needs by performing a search according to the effective range of each of a plurality of purchase-related product information options defined for each product type.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수행되는 쇼핑 큐레이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pping curation process performed by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of FIG. 1 .
4 is a flowchart of a shopping curation service provided by a shopping cu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hopping curation service provided by a shopping curation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 및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 and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

사용자 단말(110)은 일대일 대화 방식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품 구매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채팅앱 또는 채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대화방을 개설하고 해당 대화방 내에서 채팅을 통해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corresponds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ing a product in a one-to-one conversational mann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 tablet PC, etc.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y open a chat room by executing a chatting app or a chatting program, and use the shopping curation service through chatting in the chat room.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채팅 형식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에 관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별하여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나아가 해당 상품에 관한 결제 기능까지 제공해주는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 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capable of providing a shopping curation service that collects product information in a chatting format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generates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can The shopping curation service may correspond to a service that selects the most suitable product for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product the user wants to purchase,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nd further provides a payment function for the product.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일 실시예에서,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쇼핑 큐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shopping cu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 Meanwhile, unlike FIG. 1 ,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therein. In addition,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가 사용자 구매를 원하는 상품에 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상품 및 구매 상품정보 옵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품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쇼핑몰 웹사이트를 검색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핑 큐레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may stor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 in which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provides a curation service related to a product that the user wants to purchase. 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may store product and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may store a result of searching a database or a shopping mall website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may be stor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product information optimized for a user through shopping curation.

도 2는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채팅 처리부(210),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 웹 검색엔진(230), 상품 큐레이션부(240), 상품 결제 처리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includes a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 a database search engine 220 , a web search engine 230 , a product curation unit 240 , a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250 , and a control unit. (260).

채팅 처리부(210)는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소비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채팅 처리부(210)는 사용자와의 일대일 대화 방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중에서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선별할 수 있다.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는 상품의 명칭이나 브랜드명이 포함된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may determine a message related to a product that the consumer wants to purchase from among at least one message provided in the chat room. That is,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may exchange messages in a one-to-one conversation with the user, and may select a message related to a product from among messages input from the user. The message related to the product may correspond to a message including a product name or a brand name.

일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대화방에 참여한 채팅용 로봇인 챗봇(chatbot)을 통해 상품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질의 메시지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처리부(210)는 상품 종류에 따라 미리 정의된 복수의 질의 시나리오를 기초로 챗봇(chatbot)을 통해 질의 시나리오에 따라 질의 메시지를 차례로 제공할 수 있고, 각 질의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로서 수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t processing unit 210 provides at least one inquiry message about the product through a chatbot, which is a chat robot participating in the chat room, and provides a response message of the user to the at least one inquiry messag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It can be determined as a message. For example, the chat processing unit 210 may sequentially provide a query message according to the query scenario through a chatbot based on a plurality of query scenarios predefined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the user's response to each query can be collected as a messag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일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기초로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a)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구매결정 요소와 구매선택 요소로 분류하는 단계, (b) 구매결정 요소에 대해 선호 옵션값과 수신 옵션값 간의 차이를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구매선택 요소에 대해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로 설정된 기본 유효 간격을 제2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차례대로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채팅 처리부(210)는 (a), (b) 및 (c)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분류 모듈, 구매결정 유효 범위 결정 모듈 및 구매선택 유효 범위 결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hat processing unit 210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based on a messag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and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 another embodiment,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a) classifying a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to a purchase decision element and a purchase selection element, (b) a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option value and the received option value for the purchase decision element is set as the first effective interval to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and (c) for the purchase selection element, the basic effective interval set for each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is set as the second effective interval to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in sequenc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 addition,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classification module, a purchase decision validity range determination module, and a purchase selection validity range determination module that perform each step of (a), (b) and (c). can

구매 상품정보 옵션 분류 모듈은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구매결정 요소와 구매선택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구매결정 요소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할 수 있고, 구매선택 요소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구매할 상품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구매에 있어서 구매결정 요소가 구매선택 요소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classification module may classify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to a purchase decision element and a purchase selection element.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may correspond to a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that directly affects the user's decision to purchase a specific product. It may correspond to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required for this purpose. Therefore, in purchasing a product,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may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purchase selection factor.

구매결정 유효 범위 결정 모듈은 구매결정 요소에 대해 선호 옵션값과 수신 옵션값 간의 차이를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수신 옵션값과 해당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선호 옵션값 간의 차이를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고 해당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한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유효 범위는 (수신 옵션값 - 제1 유효 간격) ~ (수신 옵션값 +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purchase decision effective range determining module may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by set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option value and the received option value for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as the first effective interv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option value directly input by the user for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that directly affects the purchase decision by the user and the preferred option value input by multiple users for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is set as the first effective interval and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for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That is, the effective range may be set to (reception option value - first effective interval) to (reception option value + first effective interval).

구매선택 유효 범위 결정 모듈은 구매선택 요소에 대해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로 설정된 기본 유효 간격을 제2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지만 구매를 위하여 선택이 필요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각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로 미리 설정된 기본 유효 간격을 기초로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유효 범위는 (수신 옵션값 - 제2 유효 간격) ~ (수신 옵션값 + 제2 유효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purchase selection effective range determining module may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by setting the basic effective interval set for each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as the second effective interval for the purchase selection element. For a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that does not directly affect a user's purchase decision, but requires selection for purchase, an effective rang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preset effective interval for each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That is, the effective range may be set to (reception option value - second effective interval) to (reception option value + second effective interval).

일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상품 종류별 구매 상품정보 옵션 테이블에서 상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리스트를 검출하고 구매 상품정보 옵션 리스트에 포함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순서에 따라 제공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질의를 통해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품은 종류별로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다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품이 'TV'인 경우 구매 상품정보 옵션으로 '브랜드', '사이즈', '가격',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이 '바지'인 경우 구매 상품정보 옵션으로 '허리사이즈', '길이', '색상', '재질',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종류별 구매 상품정보 옵션은 테이블 형태로 구축되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채팅 처리부(210)는 채팅 봇을 통해 상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리스트에 포함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순서에 따라 구매 상품정보 옵션 질의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각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detects a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lis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product in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table for each product type, and for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cluded in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list in order Messages related to products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provided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query. For each type of product,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if the product is 'TV',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may include 'brand', 'size', 'price', 'function', etc. , when the product is 'pants', 'waist size', 'length', 'color', 'material', 'price', etc. may be included as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for each product type may be built in a table form and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 The chat processing unit 210 may provide a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query in order for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cluded in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lis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product through the chat bot, and each purchase from the user's response Information on product information options may be collected.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는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온라인 쇼핑몰의 카테고리별 쇼핑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으로 상품 종류별 옵션과 해당 쇼핑몰에서의 판매조건 등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고,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의 주기적 갱신을 담당하는 독립적인 장치 또는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상품 정보들 중에서 채팅 처리부(210)에 의해 수집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 결과를 제1 상품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may search for a product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and provide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systematically classifies shopping information by category of the online shopping mall, and may correspond to a database constructed by classifying options for each product type and sales conditions in the corresponding shopping mall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may be periodically updated by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 and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includes an independent device or module responsible for periodic updating of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 can be implemented.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may search for produc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from among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 and may provide the search result as first product information. .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대한 검색 결과를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사용자 인기도를 기초로 정렬하고 해당 정렬 순서에 따라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기도는 사용자들의 최신 구매 트렌드와 선호 상품 등의 정보가 반영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해당할 수 있고,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외부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상품에 대한 사용자 인기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대한 검색 결과에 해당 사용자 인기도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may sort the search results for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based on user popularity from a specific time in the past to the present time and determine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ort order. there is. User popularity may correspond to a result of big data analysis that reflects users' latest purchase trends and information such as preferred products, and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may collect user popularity information for various products through an external system. ,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may provide optimiz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user by reflecting the user's popularity in the search result for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

특히, 사용자 인기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적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사용자 인기도 만을 반영하여 최신 흐름에 맞는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1차적으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기초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 인기도 순으로 2차적인 정렬을 수행한 후 정렬 순서에 따라 상위 N개(N은 자연수)만을 선별하여 제1 상품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user popularity is relative information that changes over time, and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may determine product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latest flow by reflecting only user popularit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ased on the search time. That is,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may primarily perform a search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perform secondary sorting in the order of user popularity in the search results, and then Only (N is a natural number) may be selected and provided as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고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상품에 관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인기 순위를 후보 상품에 반영하여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유효 범위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따라 정확히 일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 옵션 값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옵션 값의 범위로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옵션 범위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품이 '바지'이고 구매 상품정보 옵션 중 하나인 길이가 '90cm'일 경우 '85 ~ 95cm'을 해당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유효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searches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for candidate products in which the number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cluded in the effective r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arch reference number, and searches for products for a specific period based on the search time.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popularity ranking for each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in the candidate product. The effective range of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is the range of option value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 input option value when it is not necessary to exactly match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and may correspond to the option range that can satisfy the user's needs For example, if the product is 'pants' and the length of one of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s '90 cm', '85 ~ 95 cm' may be determined as the effective range of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모두 일치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에도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유효 범위를 기초로 상품을 검색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가능성이 높은 상품들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사용자가 원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복수개인 경우 모든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된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일정 기준 개수 이상이면 후보 상품으로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기준개수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searches for a product based on the effective range of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even if there is no product that matches all of the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of the product the user wants to purchase. These high-quality products can be provided as search results. In addition,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determines tha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desired by the user, the number of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s that match or are included within the effective range even if all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s match or are not included within the effective range are based on a certain standard. If the number is greater than the number, a search may be performed as a candidate product. The number of search criteria may be preset by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

웹 검색엔진(230)는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쇼핑몰 사이트에서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새로운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주요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상품에 연관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할 수 있고, 상품 종류에 연관된 쇼핑몰 사이트에 관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리스트를 기초로 해당 사이트에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web search engine 230 may analyze a product to determine a product type, determine a shopping mall site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provide second product information by searching a web page posted on the shopping mall site. The web search engine 230 may search for product information of a major shopping mall in real time by using an efficient search engine to provide new product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web search engine 230 may determine the product type by analyzing the message related to the product collected from the user, may generate a list of shopping mall sites related to the product type, and based on the list, may determine the product type. You can collect information about products by browsing web pages.

일 실시예에서, 웹 검색엔진(230)은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웹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채팅 처리부(210)에 의해 결정된 유효 범위를 기초로 해당 범위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상품들을 후보 상품으로서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웹 검색엔진(230)은 사용자가 입력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총 5개이고 검색 기준개수가 4인 경우 5개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 모두가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에 있는 상품 뿐만 아니라 4개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에 있는 상품도 검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eb search engine 230 may search the web page for candidate products in which the number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cluded in the effective r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search criteria. Based on the effective range determined by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 the web search engine 230 may search for products in which the number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r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search criteria as candidate products. 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put by the user is 5 in total and the number of search criteria is 4, the web search engine 230 performs 4 purchases as well as products in which all 5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match or are within the effective range. You can also search for products with matching product information options or within the effective range.

일 실시예에서, 웹 검색엔진(230)은 제2 상품 정보에 대해 해당 상품 정보와 연관된 웹 페이지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1차 정렬하고 제2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2차 정렬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가 수집하지 못하는 최신 상품 정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장 최근 갱신된 상품을 중심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상품을 게시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최신 갱신일 및 해당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단계적인 정렬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제2 상품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b search engine 230 may first sort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web pag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and perform secondary sorting based on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there is. The web search engine 230 may perform a search focusing on the most recently updated product in order to supplement the latest product information that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cannot collect, and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web page posting the product. and a stepwise sort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and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orted order.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채팅앱 또는 채팅 프로그램의 대화방에서의 채팅을 통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 쇼핑(구매)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대상으로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로 큐레이션할 수 있다. 큐레이션은 다양한 상품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할 확률이 높은 상품만을 선별하여 정보를 구성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검색 결과와 검색 엔진을 통한 검색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큐레이션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curate user-customized product shopping (purchase) information through chatting in a chat room of a chatting app or chatting program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determine product information finally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may curate the product information as 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Curation may correspond to composing information by selecting only a product with a high probability of being suitable for a user from among various products.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e curation service provided to the user by synthesizing the search results through the database and the search results through the search engine.

일 실시예에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중복된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큐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제2 상품 정보가 가장 최신 정보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상품 정보의 중복이 발생한 경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큐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a duplicate product exists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perform curation based on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Sinc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is the most up-to-date information,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perform curation based on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when duplicate product information occurs.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삭제하고 큐레이션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는 복수의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추천된 상품을 거부한 것으로 결정하고 쇼핑 큐레이션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만을 삭제한 후 새로운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 및 웹 검색엔진(230)을 통한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의 검색을 재수행한 후 새로운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delete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and repeat the curation when there is no user selection for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duct information, and a payment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ccordingly, when there is no user's selection for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rejected the recommended product, and may repeatedly perform shopping curation. At this time,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may configure new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after deleting only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from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and the web search engine ( After re-searching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through 230), new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일 실시예에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채팅 처리부(210)에 의해 분류된 구매결정 요소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매선택 요소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한 후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추천 점수의 총합을 통해 결정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구매결정 요소는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 영향을 미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하고 구매선택 요소는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 영향을 주진 않지만 구매를 위하여 선택이 필요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결정 요소가 구매선택 요소보다 더 높은 우선위를 가질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구매결정 요소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매선택 요소에 제1 가중치보다 낮은 제2 가중치를 부여한 후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추천 점수의 총합을 통해 결정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gives a first weight to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classified by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and gives a second weight to the purchase selection factor. Information on products determined through the total may be determined as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corresponds to a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that directly affects the user's purchase decision, and the purchase selection factor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user's purchase decision, but may correspond to a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that needs to be selected for purchase. there is. Therefore,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may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purchase selection factor, and by reflecting this,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gives a first weight to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and a lower value than the first weight to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2 After weighting, product information determined through the sum of recommended scores for each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may be determined as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상품 결제 처리부(250)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정보만을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까지 해당 대화방 내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품 구매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250 may provide a payment service regarding a purchased product determined by the user's selection among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may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n purchasing a product by not only providing optimiz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user, but also allowing payment for the product to be processed in the chat room.

일 실시예에서, 상품 결제 처리부(250)는 최종 구매 상품에 관한 쇼핑몰 결제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거나 또는 쇼핑몰 결제를 대신하는 구매 대행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방식을 두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품 결제 처리부(250)는 구매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로 사용자를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주요 쇼핑몰과 연결된 자체 결제 시스템으로 사용자를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를 대신하여 구매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250 may provide a connection to a shopping mall payment page related to the final purchased product or a connection to a purchase proxy page instead of shopping mall payment. The payment method for the purchased product may be provided in two forms, and the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250 connects the user to the shopping mall that sells the purchased product, so that the user directly purchases from the corresponding shopping mall or is connected to the main shopping mall. By connecting the user to the payment system, a purchasing agency service can be provided on behalf of the user.

제어부(260)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채팅 처리부(210),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 웹 검색엔진(230), 상품 큐레이션부(240) 및 상품 결제 처리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 the web search engine 230 ,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 and the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It can manag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250 .

도 3은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수행되는 쇼핑 큐레이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pping curation process performed by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채팅 처리부(210)를 통해 대화방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1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를 통해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3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웹 검색엔진(230)를 통해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쇼핑몰 사이트에서 개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50).Referring to FIG. 3 ,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determine a message related to a product among at least one message provided in a chat room through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210 (step S310 ).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search for a product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50 through the database search engine 220 and provide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step S330).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analyzes the product through the web search engine 230 to determine the product type, determines a shopping mall site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provides second product information by searching a web page disclosed in the shopping mall site. can be (step S35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 큐레이션부(240)를 통해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단계 S37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 결제 처리부(250)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90).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curat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product curation unit 240 (step S370). The shopping curation apparatus 130 may provide a payment service regarding a purchased product determined by the user's selection among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250 (step S39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shopping curation service provided by a shopping cu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서 제공되는 채팅 앱에서의 채팅 형식을 이용한 일대일(1:1) 주문형(On-Demand)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는 다음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1) 고객이 채팅 앱에서 '친구추가'로 해당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에 가입하고, 2) 채팅 앱 대화창에서 친구와 대화하듯 쇼핑 큐레이션 챗봇(chatbot)과 대화를 하면서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에 대해서 구체적인 상품 구매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3) 쇼핑 플랫폼 내에서는 자체 운영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빅데이터 분석 결과 그리고 주요 쇼핑몰에 대한 실시간 검색 결과를 종합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최적의 쇼핑 정보를 채팅 앱의 대화창을 통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one-to-one (1:1) on-demand shopping curation service using a chatting format in a chatting app provided by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1) Customers sign up for the corresponding shopping curation service by 'Add Friend' in the chat app, and 2) talk with the shopping curation chatbot as if talking with a friend in the chat app chat window to specify the product they want to purchase. You can reques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3) within the shopping platform, you can collect the best shopping information that meets customer needs by synthesizing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big data analysis results, and real-time search results for major shopping malls within the shopping platform. It can be provided to customers through the chat window of

그리고, 4) 고객은 제공받은 상품 구매 정보를 확인 후 내용이 부족하거나 제안받은 상품 구매 정보가 마음에 안들 경우 챗봇(chatbot)과의 대화를 통하여 추가 상품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안받은 상품 정보가 마음에 들 경우에는 최종 구매의사 결정을 하고 구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5) 구매 의사 결정 후 구매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가 되며 고객이 최종 선택한 상품이 있는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구매 및 결제를 할 수 있도록 중개를 해주며 고객이 바로 대화창에서 구매를 희망할 경우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자체 결제 시스템 화면으로 이동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며 결제 내역 및 정보는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이커머스 업체로 자동으로 연결이 되어 이후 구매 및 배송이 이루어 질 수 있다.And, 4) After check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provided, the customer can request additional product information through a conversation with the chatbot if the contents are insufficient or if the propose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is not satisfactory. If you like it, you can make a final purchase decision and choose a purchase method. In addition, 5) After making a purchase decision, the purchase method is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if the customer wishes to purchase by moving to the relevant shopping mall where the final selected product is located, he/she moves to the relevant shopping mall to make a purchase and payment. If the customer wishes to purchase directly from the chat window, the payment is made by moving to the screen of the self-payment system provided by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and payment details and information ar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e-commerce company selling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After being connected, purchase and delivery can be made.

도 5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hopping curation service provided by a shopping curation device.

그림 (a)에서, 고객이 구매를 희망하는 브랜드와 모델 등이 명확한 경우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해당 브랜드 및 모델에 대해 자체 데이터 베이스 및 주요 쇼핑몰을 검색하여 오늘의 베스트 딜(deal)을 제안해 주며, 고객은 구매결정 후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결제를 할 수도 있고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에서 직접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In Figure (a), when the brand and model that the customer wants to purchase is clear,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searches its own database and major shopping mall for the brand and model to find the best deal of the day. After making a purchase decision, the customer may move to the corresponding shopping mall to make a payment, or may directly proceed with payment in the payment system provided by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

그림 (b)에서, 고객이 구매를 희망하는 브랜드와 모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챗봇이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서 고객이 구매를 희망하는 제품의 브랜드, 사이즈, 기능, 용도나 가격대를 구체화해 나가며 이렇게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 데이터 베이스 및 주요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검색한 후 브랜드와 모델을 엄선하여 오늘의 베스트 딜(deal)을 제안해 주며 1차 제안한 내용이 고객의 마음에 안 들 경우 고객의 요구에 따라 후속 제안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후 고객이 구매 결정을 한 경우 그림 (a)와 동일한 구매 및 결제 과정을 거치게 될 수 있다.In Figure (b), when the brand and model that the customer wants to purchase are not clear, the shopping curation device 130 uses the chatbot to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the brand, size, function, and product of the product the customer wants to purchase. After specifying the purpose and price range, using this information, it searches its own database and product information of major shopping malls, selects brands and models, and suggests today's best deals. In case of dissatisfaction, a follow-up proposal process is made according to the customer's request, and if the customer makes a purchase decision after that, the same purchase and payment process as in Figure (a) may be follow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쇼핑 큐레이션 장치
150: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210: 채팅 처리부 220: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230: 웹 검색엔진 240: 상품 큐레이션부
250: 상품 결제 처리부 260: 제어부
100: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shopping curation device
150: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210: chat processing unit 220: database search engine
230: web search engine 240: product curation unit
250: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260: control unit

Claims (8)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소비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채팅 처리부;
상기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상기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서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 검색엔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대화방에서의 채팅을 통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상품 큐레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채팅 처리부는 상기 대화방에 참여한 채팅용 로봇인 챗봇(chatbot)을 통해 상기 상품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질의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로서 결정하며, 상기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기초로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채팅 처리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유효 범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구매결정 요소와 구매선택 요소로 분류하는 제1 단계, 상기 구매결정 요소에 대해 선호 옵션값과 수신 옵션값 간의 차이를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옵션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효 간격을 적용하여 상기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구매선택 요소에 대해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로 설정된 기본 유효 간격을 제2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 옵션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유효 간격을 적용하여 상기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제3 단계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선호 옵션값은 상기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가장 많은 사용자들이 입력한 옵션값에 해당하고 상기 수신 옵션값은 상기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상기 소비자가 직접 입력한 옵션값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a chatting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message related to a product that the consumer wants to purchase from among at least one message provided in the chat room;
a database search engine that searches for the product in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and provides first product information;
a web search engine that analyzes the product to determine a product type, determines a shopping mall site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provides second product information by searching a web page posted on the shopping mall site; and
A product curation unit for curating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through chatting in a chat room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The chat processing unit provides at least one inquiry message about the product through a chatbot, which is a chat robot participating in the chat room, and determines the user's response message to the at least one inquiry message as a messag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and determining a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based on a message associated with the product and determining an effective r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The product curation unit generates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ffective range whil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hatting processing unit,
The determining of the effective range includes a first step of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to a purchase decision factor and a purchase selection factor, and a first effective interval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option value and the received option value for the purchase decision factor.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the effective range by applying the first effective interval based on the reception option value and setting the basic effective interval set for each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for the purchase selection element as the second effective interval and applying the second effective interval based on the reception option value to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The preferred option value corresponds to an option value input by the most users for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and the received option value corresponds to an option value directly input by the consumer for the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option.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은
상기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해당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상품에 관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인기 순위를 상기 후보 상품에 반영하여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base search engine is
Search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for candidate products in which the number of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s included in the effective r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arch reference number, and recall the popularity ranking by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option for the product for a specific period based on the search time A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duct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candidate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검색엔진은
상기 제2 상품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상품 정보와 연관된 웹 페이지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1차 정렬하고 상기 제2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2차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eb search engine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s first sorted based on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web page associated with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and secondary sorted based on the latest update date of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cur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중복된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큐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curation unit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when there is a duplicate product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큐레이션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curation unit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re is no user selection for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is deleted and the cu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최종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 payment service for a final purchased product determined by a user's selection among the user-customized product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결제 처리부는
상기 최종 구매 상품에 관한 쇼핑몰 결제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거나 또는 쇼핑몰 결제를 대신하는 구매 대행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oduct payment processing unit
Chat-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ing a connection to a shopping mall payment page for the final purchased product or providing a connection to a purchase proxy page instead of shopping mall payment.

KR1020180156980A 2018-12-07 2018-12-07 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KR102286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80A KR102286661B1 (en) 2018-12-07 2018-12-07 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80A KR102286661B1 (en) 2018-12-07 2018-12-07 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067A KR20200075067A (en) 2020-06-26
KR102286661B1 true KR102286661B1 (en) 2021-08-05

Family

ID=7113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80A KR102286661B1 (en) 2018-12-07 2018-12-07 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097B1 (en) * 2020-07-22 2021-05-10 (주)비씨에스 Car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697A (en) * 2003-09-01 2005-03-11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A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interactive shopping agent
KR20080042192A (en) * 2006-11-09 2008-05-15 주식회사 다나와 Means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for electronic commerce
KR20160107079A (en)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User customized product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web activity of users
KR20160117678A (en) * 2015-03-30 2016-10-11 (주)엔비스타 Product registration and recommendation method in curation commerce
KR102576455B1 (en) * 2016-07-26 2023-09-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instant messenger
KR20160113568A (en) * 2016-09-20 2016-09-30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real time conver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067A (en)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2693B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server
KR101972285B1 (en) Image evaluation
CN105205089B (en) Account recommendation
US20100250463A1 (en) Information-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applications employing same
US9727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sales of item listings
CN108885624B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WO20191579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ulti-tag user portrait
CN108596695B (en) Entity pushing method and system
WO20151797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search results and recommendations
KR102000076B1 (en)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online sales channel on online shoppingmall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KR1019984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obile commerce information using big data
US20140019244A1 (en) Generating A Ranked List of Offers in A Shopping Query
KR101707660B1 (en) An e-commerce system based on interest category using related keywords
KR102084719B1 (en) Sales forecas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aur et al.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retailing sector
KR102425811B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uploading product sale contents using website crawl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4581175A (en) Commodity push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286661B1 (en) 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KR20150144916A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suited shopping information by customer profiling
CN111831892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information recommendation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JP7017865B2 (en) Judgment device, judgment method and judgment program
KR102398338B1 (en) User Experience Based Medium-Small Enterprise Portal Service System
KR20180092053A (en) Intelligent shopping managing system
KR20210105010A (en) A recording medium f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of program providing on-demand trend analysis service
KR20210105009A (en) A program for providing Trend Analysis Service 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