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89B1 - Electronic pen - Google Patents

Electronic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589B1
KR102286589B1 KR1020150058183A KR20150058183A KR102286589B1 KR 102286589 B1 KR102286589 B1 KR 102286589B1 KR 1020150058183 A KR1020150058183 A KR 1020150058183A KR 20150058183 A KR20150058183 A KR 20150058183A KR 102286589 B1 KR102286589 B1 KR 10228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ay
pen
user
electronic devi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5540A (en
Inventor
이상규
문아람
한유진
박지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05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139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Priority to KR1020150058179A priority patent/KR102337258B1/en
Priority to KR1020150058181A priority patent/KR102370364B1/en
Priority to CN202010241218.1A priority patent/CN111459311A/en
Priority to CN202010236112.2A priority patent/CN111459308A/en
Priority to CN202010241254.8A priority patent/CN111459312A/en
Priority to CN201580056358.9A priority patent/CN107077245B/en
Priority to CN202010236160.1A priority patent/CN111459309A/en
Priority to CN202010236163.5A priority patent/CN111459310A/en
Priority to PCT/KR2015/010641 priority patent/WO2016060409A2/en
Publication of KR2016004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심부; 상기 심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심부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여 상기 심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과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의 타측의 삽입의 한계가 규정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바디부 및 상기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가 장착되어 상기 캡부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장착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전자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re to enable writing on the medium; a body part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core part is ex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and a cap par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for protecting the core part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in a non-use state, wherein the cap part includes, whe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is inserte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nd a position fixing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define a limit of inse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user-gripable body portion and the non-use An electronic pen having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position fixing part is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fixing part is mounted and the cap part is fixed in position to provide a mounting spac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전자펜{ELECTRONIC PEN}Electronic pen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전자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pen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최근 전자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술 및 제품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펜을 이용하여 인식되고 디지털화된 필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개발은 아직 미진하여 사용자가 디지털화된 필기 내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technologies and products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handwriting using an electronic pen and digitizing and storing the recognized content have been commercializ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the recognized and digitized handwriting content to the user in a meaningful way using such an electronic pen has not yet been developed. development is required.

한편, 종래의 전자펜은 심이 사용자가 그립하는 본체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기존의 필기구의 구성을 채용한 것이 일반적이며, 비사용상태에서는 커버에 삽입하여 보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en, the cor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art gripped by the user, and it is common to adopt the 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writing instrument, and is stored by inserting it into the cover when not in use.

여기서, 본체부를 커버에 삽입하는 경우 종래에는 본체부와 커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의 외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커버의 내면에 홈을 형성하여 돌기가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본체부을 커버에 삽입 고정하였다.Here, in the case of inserting the main body into the cover,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cover in such a way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ixed.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사용자가 본체부를 사용하는 도중 발생될 수 있는 외부인자에 의해 돌기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이는 본체부와 커버와의 결합력 저하로 이어져 결국, 전자펜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In this conventional method, the protrusions are frequently damaged by external factors that may occur while the user is using the main body,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which in turn shortens the life of the electronic pen. has occurred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자지 외부 인자가 발생되더라도 본체부와 캡부와의 결합력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여 내구성 및 수명을 극대화되도록 하는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pen that maximizes durability and lifespan by not affect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cap part even when various external factors ar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심부; 상기 심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심부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여 상기 심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과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의 타측의 삽입의 한계가 규정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바디부 및 상기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가 장착되어 상기 캡부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장착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전자펜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to enable writing on the medium; a body part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core part is ex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and a cap par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for protecting the core part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in a non-use state, wherein the cap part includes, whe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is inserte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nd a position fixing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define a limit of inse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user-gripable body portion and the non-use An electronic pen having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position fixing part is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fixing part is mounted and the cap part is fixed in position to provide a mounting spa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심부; 상기 심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심부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여 상기 심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바디부 및 상기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가 장착되어 상기 캡부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장착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선과 상기 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to enable writing on the medium; a body part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core part is ex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and a cap par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for protecting the core part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in a non-use state, wherein the cap part includes a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position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body par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body part and the position fixing part is mounted in the non-use stat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ap part An electronic pen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locking part for providing a mounting space, wherein the core part is eccentrically dispose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ar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ck part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body part and the core part. .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에 의하면, 여러가지 외부 인자가 발생되더라도 본체부와 캡부와의 결합력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여 내구성 및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various external factors are generate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cap part is not affected, so that durability and lifespan can be maximized.

또한, 본체부를 캡부에 삽입하는 경우 언제든지 상기 본체부를 상기 캡부에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cap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y allowing the body part to be mounted on the cap part at any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전자펜 및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미디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펜의 예시적인 외관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기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드 패턴을 구성하는 단위 셀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보코드에 2bit의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에 대한 전자펜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면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플레이 대상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 대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스트로크를 리플레이 하기 위하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다른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에 따라서 리플레이의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리플레이 재생 속도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기의 캡처 동작 시 전체 필기 내용 및 대상 필기 내용에 관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이다.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이다.
도 38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기 위한 전체 필기 내용을 출력하는 화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필기 내용의 식별하는 화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캡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와 캡부를 분해사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캡부를 본체부의 타측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캡부의 내부 구성과 본체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캡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48 및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일측에 캡부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2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바디부에 위치 고정되는 기판부,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5 내지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바디부에 심부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 방법에 대한 첫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 방법에 대한 두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방법에 대한 첫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방법에 대한 두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캡처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pen relat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pe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dium relat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appearanc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unit cells constituting a c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2-bit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cod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pen with respect to a mediu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play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play playback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replay target section as shown in FIG. 16 .
18 and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eplay playback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replay target section as shown in FIG. 16 .
20 to 2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ome embodiments of determining a replay playback time to replay a stroke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reproduction time of a replay based on the number of strok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a replay speed of a repla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a replay target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according to a replay reproduction spe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 replay operation on a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view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nd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during a captur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 to 32 are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3 to 35 are other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6 and 37 are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view of a screen for outputting entire handwritten contents for receiving an input of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9 and 40 are diagrams of a screen for identifying a target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body and the cap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p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4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p and a main body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4 .
4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cap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schematic front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provided in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8 and 49 are schematic sid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cap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 and 51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ploded main body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2 to 5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substrate unit, a camera module, and a lighting module fixed in position on the body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5 to 5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serting a core into a body provided in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8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al-time reproduction of content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9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al-time reproduction of content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0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play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1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play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2 is a flowchart of a handwriting captu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clearly explain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custom, or emergence of new technology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However, if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with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entire specifica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simple term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for easy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s necessary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도 포함할 수 있다.
Electronic devices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pe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etc. It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as well as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대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로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펜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미디엄에 대응되는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미디엄 이미지 상에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인 제1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으로 쉬프트시켜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영역 상의 위치에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의 재현을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a user's handwriting on a mediu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pen det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a medium image corresponding to the medium, and visually displaying the user's handwriting on the medium image; and 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with respect to a first area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medium image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determined. If satisfied, a part of the medium image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is shifted from the first area to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nd the user's handwrit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reproduction of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at a position on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to reproduce the content;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지 여부인 것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whether the user's writing position is out of the first area.

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인 것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whether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is included in the edge area of the first area.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미디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edium.

이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미디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such that the user's wri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edium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또는,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에지의 위치를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cond region may be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edge of the medium image.

특히,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에지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region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edge position of the medium image does not deviat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region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된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한 복수의 펜 데이터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at least some pen data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for one stroke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ca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한 복수의 펜 데이터들 중에서 펜 다운 시점에 대응되는 제1 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first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down time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for the one strok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Also,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econd area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pen data.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한 복수의 펜 데이터들 중에서 펜 업 시점에 대응되는 제2 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second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up time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for the one strok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Also,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econd area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pen dat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스트로크 각각에 대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each of a plurality of strokes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대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로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펜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미디엄에 대응되는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미디엄 이미지 상에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된 제1 스트로크를,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된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펜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펜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트로크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상기 제1 스트로크에 대한 거리 및 방향에 대응시켜 쉬프트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a user's handwriting on a mediu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pen det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a medium image corresponding to the medium, and visually displaying the user's handwriting on the medium image; and displaying the first stroke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edium image, receiving pen data constituting the second stroke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and configuring the second strok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roke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based on at least one pen data among the pen data, and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at least one pen constituting the second stroke a controller for shifting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medium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based on data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first strok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의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지 여부인 것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pen data constituting the second stroke is out of a partial area of the medium image currently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가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쉬프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hift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medium image so th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en data is located in a central por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데이터는 상기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펜 데이터들 중 펜 다운 시점에 대응되는 펜 데이터 및 펜 업 시점에 대응되는 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at least one pen data may be at least one of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 down time point and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 up time point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constituting the second strok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대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로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펜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미디엄에 대응되는 미디엄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미디엄 이미지 상에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이 재현되고 있는 것이 일반 모드인지 확대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일반 모드인 경우, 제1 재현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고, 상기 확대 모드인 경우 제2 재현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재현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기내용을 재현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 모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에 따라 쉬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a user's handwriting on a mediu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pen det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 medium image corresponding to the medium, and visually displaying the user's handwriting on the medium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handwriting is reproduced in a normal mode or an enlarged mode through the display, and if the normal mode, reproduces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a first reproduction mode, and is the enlarged mode a control unit for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reproduction mode; and, when the user's handwriting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the control unit places a partial area of the medium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enlarged mode at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hifts accordingly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대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펜과 통신하는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인 제1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이 재현되는 것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일부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으로 쉬프트시켜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영역 상의 위치에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의 재현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a user's handwriting on a medium, based on pen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pen that detect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determining whether a user's hand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with respect to a first area that is at least a part of a medium imag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 portion of the medium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to be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in order to display through the display that the user's handwriting is reproduced. displaying the second area through the display by shifting to a second area; and displaying the reproduction of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at a location on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to reproduce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지 여부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whether the user's writing position is out of the first area.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whether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is included in an edge area of the first area.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미디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edium.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미디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such that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edium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된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한 복수의 펜 데이터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at least some pen data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for one stroke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in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may be judging.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한 복수의 펜 데이터들 중에서 펜 다운 시점에 대응되는 제1 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first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 down time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for the one stroke.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pen data.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한 복수의 펜 데이터들 중에서 펜 업 시점에 대응되는 제2 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second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up time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for the one stroke.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pen data.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스트로크 각각에 대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each of a plurality of strokes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대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된 제1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펜 데이터들을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된 제1 스트로크를,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된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펜 데이터들을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펜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트로크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 데이터의 상기 제1 스트로크에 대한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쉬프트하는 단계; 및 상기 쉬프트된 일부 영역에 상기 제2 스트로크를 상기 미디엄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a user's handwriting on a medium,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pen data constituting a first stroke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from the electronic pen; displaying a first stroke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edium image; receiving pen data constituting a second stroke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from the electronic pen;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roke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based on at least one pen data among pen data constituting the second stroke;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medium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is shif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first stroke of the at least one pen data constituting the second stroke. to do; and displaying the medium image with the second stroke on the shifted partial reg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미디엄에 대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이 재현되고 있는 것이 일반 모드인지 확대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모드인 경우, 제1 재현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고, 상기 확대 모드인 경우 제2 재현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재현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기내용을 재현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 모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미디엄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에 따라 쉬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s on a medium,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s are being reproduced through a display in a normal mode or an enlarged mode ; and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a first reproduction mode in the normal mode, and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a second reproduction mode in the enlarged mode; and, when the user's handwriting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the control unit places a partial area of the medium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enlarged mode at the user's handwriting position. There may be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hifts accordingly.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먼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과 관련된 전자펜,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가 동작되는 환경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an electronic pen and an electronic device interlocking with the electronic pen related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an operating environment, and the electronic pen and the electronic device interlocking with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시스템 구성><System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전자펜 및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pen and an electronic device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미디엄(1000), 적어도 하나의 전자펜(2000),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300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버(40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medium 1000 , at least one electronic pen 2000 ,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3000 , and at least one server 4000 .

미디엄(10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항을 필기하기 위한 면(surface)를 제공한다.The medium 1000 provides a surface for a user to write a desired item using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미디엄(1000)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미디엄(1000)의 재질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The medium 10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aper, plastic, or metal, and the material of the medium 1000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미디엄(10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이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하는 광학적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전자펜(이하, 광학방식 전자펜이라 함)인 경우, 전자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코드 패턴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코드 패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하기로 한다. 상기 미디엄(1000)에 코드 패턴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코드 패턴은 인쇄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미디엄(1000)에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p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tical electronic pen) implemented using an optical component including a camera module, the medium 1000 is It may have a recognizable code patter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de pattern will be provided later. When the medium 1000 is provided with a code pattern, the code pattern may be provided to the medium 1000 through a method such as printing.

전자펜(2000)은,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여, 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펜데이터는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스트로크 데이터(stroke data) 등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펜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하기로 한다.The electronic pen 2000 may generate pen data by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The pen data may be used to generate stroke data and the like for the user's handwrit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en data will be provided later.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펜데이터를 수신하여 해석할 수 있다. 펜데이터의 해석에 따라 스트로크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and interpret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 Stroke data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pen data.

전자기기(3000)는 해석된 스트로크 데이터를 적절히 처리하여 전자기기(3000)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스트로크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를 실시간으로 재현하여 표시하거나 추후에 리플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appropriately process the analyzed stroke data and reproduce and display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troke data through a display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00 , or may be replayed and displayed later.

또한, 전자기기(3000)는 펜데이터 및/또는 펜데이터의 해석에 따라 생성된 스트로크 데이터를 전자기기(300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 등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서 펜데이터 및/또는스트로크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tore pen data and/or stroke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en data in a memory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00, etc.,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etc. Alternatively, appropriat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stroke data.

전자기기(30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상기 서버(400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4000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서버(40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전자기기(300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The server 400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through a network to receive or transmit necessary information.

서버(4000)는 복수의 전자기기들(3000)과 연결되어 전자기기들(3000)로부터 수신된 펜데이터(혹은, 스트로크 데이터)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The server 400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3000 to database pen data (or stroke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s 3000 .

서버(4000)는 복수의 전자기기들(3000)의 요청 혹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펜데이터(혹은, 스트로크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The server 4000 may appropriately process pen data (or stroke data)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 request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3000 or a user's request.

서버(4000)는 전술한 전자기기(3000)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분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펜데이터를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하고, 펜데이터에 대한 특별한 처리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서버(4000)로 펜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서버(40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펜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트로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스트로크 데이터의 저장, 스트로크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처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4000 may share and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and directly transmit the pen data to the server 4000 without performing a special processing procedure for the pen data. , the server 400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generating stroke data by receiving pen data, storing the stroke data, and additionally processing the stroke data, as described above.

도 1에는 하나의 미디엄(1000-1)이 하나의 전자펜(2000-1)에 대응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미디엄(1000)과 전자펜(2000)의 대응관계는 1:N 혹은 N:1의 대응관계에 따라 대응되어도 무방하다.1 shows that one medium 1000-1 corresponds to one electronic pen 2000-1, but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medium 1000 and the electronic pen 2000 is 1:N or N: It is okay to respo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1.

또한, 도 1에는 하나의 전자펜(2000-1)이 하나의 전자기기(3000-1)에 대응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전자펜(2000)과 전자기기(3000)의 대응관계는 1:N 혹은 N:1의 대응관계에 따라 대응되어도 무방하다.Also, although one electronic pen 2000-1 is shown to correspond to one electronic device 3000-1 in FIG. 1,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electronic pen 2000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is also It is okay to respond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of 1:N or N:1.

아울러, 도 1에는 복수의 전자기기(30000)들이 하나의 서버(40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시스템은 둘 이상의 서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30000 are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one server 4000 in FIG. 1 , a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or more servers.

한편, 도 1에는 전자펜(2000)은 전자기기(3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 및 서버(4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전자펜(2000)은 직접 서버(4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1 , the electronic pen 2000 is shown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is shown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2000 and the server 4000 , However, if necessary, the electronic pen 200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4000 .

<미디엄><Medium>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미디엄(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edium 1000 relat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미디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dium relat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노트 혹은 책이 복수의 미디엄(100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노트 혹은 책을 구성하는 페이지들의 적어도 일부 혹은 전부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10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1000)이 광학방식 전자펜으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 노트 혹은 책을 구성하는 페이지들의 적어도 일부 혹은 전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코드 패턴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t is shown that a notebook or boo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diums 1000 . As shown in FIG. 2 ,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r all of pages constituting a note or book may be implemented as a medium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pen 1000 is implemented as an optical electronic pen, code patter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at least some or all of pages constituting a note or book.

한편, 노트 혹은 책을 구성하는 페이지의 전체면(whole surface)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만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10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1000)이 광학방식 전자펜으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 노트 혹은 책을 구성하는 페이지의 전체면(whole surface)에 코드 패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 영역에만 코드 패턴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only a region of at least a portion of a whole surface of a page constituting a note or book may be implemented as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pen 1000 is implemented as an optical electronic pen, the code pattern is not provided on the whole surface of pages constituting the note or book, but only on a partial area. may have been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칠판 등의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1000)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코드 패턴이 구비되어 있는 칠판(전자 칠판)의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1000)이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lackboard or the like. That is,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lackboard (electronic blackboard) provided with a code pattern.

<전자펜><Electronic Pen>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펜의 예시적인 외관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appearanc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자펜(2000)은, 크게 미디엄(1000)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심부(2010, 도 42 참조)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2020)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심부(2010)를 보호하는 캡부(20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onic pen 2000 has a main body 2020 for fixing the position of a core part 2010 (see FIG. 42 ) that enables writing on the medium 1000 , and the core part 2010 in a non-use state. ) may include a cap portion 2030 to protect it.

여기서, 비사용상태라 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을 보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심부(20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디엄에 필기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non-use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can mean

상기 심부(2010)는 미디엄(1000)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구성요소로, 볼 및 잉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잉크는 유성, 수성 또는 중성 등 다양할 수 있다.The core 2010 is a component to enable writing on the medium 1000 , and may include a ball and ink, and the ink may be oil-based, water-based, or neutral.

또한, 상기 심부(2010)는 연필에 사용되는 흑심일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필기구에 사용되는 심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re 2010 may be a black lead used in a pencil or a lead used in a general writing instrument.

본체부(2020)는 상기 심부(20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심부(2010)를 위치 고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할 수 있는 일종의 그립부를 의미할 수 있다.The body part 2020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core part 2010 is ex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2010, and may refer to a type of grip part that a user can grip by hand.

캡부(2030)는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020)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여 상기 심부(2010)를 보호하도록 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심부(2010)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필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p part 2030 may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o protect the core part 2010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2020 in a non-use stat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2020. In this case, a part of the core 20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enable writing.

다만, 상기 캡부(2030)는 상기 심부(2010)에 의해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반드시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에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본체부(2020)와 분리되어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However, when writing is possible by the core part 2010 , the cap part 203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2020 , and is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2020 and has a predetermined space. It is free even if it is placed i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펜(2000)은, 입력부(2100), 출력부(2200), 패턴감지부(2300), 통신부(2400), 센서부(2500), 메모리(2600), 전원부(2700) 및 제어부(28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시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많이 가지거나 혹은 도시된 구성요소들 보다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지는 전자펜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2100 , an output unit 2200 , a pattern sensing unit 2300 , a communication unit 2400 , a sensor unit 2500 , It may include a memory 2600 , a power supply unit 2700 , a control unit 2800 , and the like. 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are not essential, an electronic pen having man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전자펜(20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ll be described in turn.

입력부(2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버튼 입력,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음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2000)은 사용자로부터 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전자펜(2000)의 전원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rom a user. The user input may be made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button input, a key input, a touch input, and a voice sound. For example, the electronic pen 2000 may receive a button input from the user to control power on/off of the electronic pen 2000 .

입력부(2100)의 예로는 전통적인 형태의 버튼, 조그휠 등은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Examples of the input unit 2100 include a traditional button, a jog wheel, etc., as well as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user's touch,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voice signal, a camera that recognizes gestures through image recognition, and a camera that detects user approach. Comprehensive including a proximity sensor composed of an illuminance sensor or infrared sensor, a motion sensor that recognizes a user's motion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and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detect or receive various types of user input is the concept

출력부(2200)는, 각종 정보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2200)는 사용자의 시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청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촉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자펜(2000)은, 전자펜(2000)의 전원 온-오프 전환 여부, 혹은 오프-온 전환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전자펜(2000)에 구비되어 있는 버저(buzzer) 등을 통해 미리 정해진 특성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펜(20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LED 램프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200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output unit 2200 generates a display that outputs visible light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s eyes, a speaker that outputs a sound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s hearing, and a vibration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s tactile sens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ll of the haptic device and other various types of output means. For example, the electronic pen 2000 includes a buzzer ( buzzer) or the like to output a sound with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For another example, a predetermined visible light may be output through a display such as an LED lamp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pen 2000 .

패턴감지부(2300)는, 미디엄(1000)에 대한 상기 전자펜(20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코드 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카메라 모듈(2320) 및 조명 모듈(2340)을 포함한다.The pattern detection unit 2300 is configured to detect a code pattern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is encoded, and a camera module 2320 and a lighting module ( 2340).

카메라 모듈(2320)은, 미디엄(1000)에 제공되어 있는 코드 패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2320)은, 미디엄(1000) 상에서, 사용자의 필기 등에 따라서 상기 전자펜(2000)이 이동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예를 들어, 1/60초 내지 1/240 초 등)에 맞추어 미디엄(1000)에 제공되어 있는 코드 패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전자펜(1000)은, 추후에 설명하는 코드 패턴의 해석 방법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위 셀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여 미디엄(1000)에 대한 전자펜(2000)의 위치를 좌표 형태로 해석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2320 is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code pattern provided in the medium 1000 . The camera module 2320 adjusts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g, 1/60 second to 1/240 second, etc.) while the electronic pen 2000 moves on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the user's handwriting, etc. An image of a partial region of the code pattern provided in the medium 1000 is acquired. Accordingly, the electronic pen 1000 interprets information on unit cells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according to a code pattern interpretation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 can be interpreted in the form of coordinates.

조명 모듈(2340)은, 카메라 모듈(2320)을 통해 코드 패턴에 대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주파수의 빛을 상기 미디엄(1000)을 향해 조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미디엄(1000)에 제공되는 코드 패턴은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조명 모듈(2340)은 상기 잉크에 의해 잘 흡수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상기 미디엄(1000)에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2320)은 적외선 대역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 상기 카메라 모듈(2320)은 적외선 대역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적외선 필터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The lighting module 2340 irradiates light of a predetermined specific frequency toward the medium 1000 so that an image for the code patter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module 2320 . The code pattern provided to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inted using an infrared absorbing ink. In this case, the lighting module 2340 may be well absorbed by the ink. Light of a wavelength may be irradiated to the medium 1000 . In this case, the camera module 2320 may be configured to take an image for the infrared band, and for this, the camera module 2320 may include an infrared filter that selectively passes only the infrared band.

통신부(240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2000)은 통신부(2400)를 통해 전자기기(3000) 혹은 서버(40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펜(2000)은 외부 기기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2000)은, 통신부(2400)를 통해, 전자펜(2000)에서 생성되는 펜데이터 등을 상기 전자기기(3000) 혹은 서버(4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펜(20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펜(2000)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 및/또는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2400)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3000) 혹은 상기 서버(40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0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electronic pen 200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the server 4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0 . Accordingly, the electronic pen 2000 may transmit/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electronic pen 2000 may transmit pen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2000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the server 4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0, and the electronic pen 2000 ), commands and/or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or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pen 2000 may be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the server 4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0 . .

통신부(2400)는, 유선 모듈(2420) 및 무선 모듈(24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400 may include a wired module 2420 and a wireless module 2440 .

유선 모듈(2420)은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유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USB 포트, PS/2 포트, 패러럴 포트, 시리얼 포트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포트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wired module 2420 is a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by wire, and may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 USB port, a PS/2 port, a parallel port, and a serial port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 and further, an Ethernet port for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LAN) may be included.

무선 모듈(2440)은,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The wireless module 2440 i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acces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erie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I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bas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센서부(2500)는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정보는 전자펜(2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전자펜(2000)에 의해 생성되는 펜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센서부(2500)를 통해 센싱된 다양한 정보는 전자기기(3000) 혹은 서버(4000)에 제공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500 may sens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Here, various information may be us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 and may be used to generate pen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2000 . Various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2500 may be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the server 4000 .

센서부(2500)는, 압력센서(2520), 펜심센서(2540), 슬립센서(25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50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2520 , a pen nib sensor 2540 , a slip sensor 2560 , and the like.

압력센서(2520)는, 사용자의 필기 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펜(2000)을 이용하여 필기를 할 때, 필기면에 대한 전자펜(2000)의 접촉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 발생하는 압력이 압력센셔(252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특히, 압력센서(2520)는 전자펜(2000)에 장착되는 펜심(심부, 2010)의 후단부(펜심의 양 끝단 중 펜팁이 아닌 다른 끝단측)에 제공되어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전자펜(2000)은 압력센서(2520)를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을,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는, 펜데이터를 생성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펜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압력값은 사용자가 필기 시에 미디엄(1000)에 가한 필압 정보(pen pressure information)로 가공되어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재현(reproduce)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압력센서(252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프 상태에 있는 전자펜(2000)은 전자펜(2000)의 상태를 온시키기 위한 트리거 신호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pressure sensor 2520 may sens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ser writes. For example, when the user takes notes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 the electronic pen 20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riting surface, and the pressure generated at this tim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2520 . can In particular, the pressure sensor 252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en nib (core, 2010) mounted on the electronic pen 2000 (one end of the pen nib other than the pen tip) to sense the pressure. The electronic pen 2000 may use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2520 to generate pen data,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is case,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en data may be processed into pen pressure information applied to the medium 1000 by the user when writing, and used to reproduce the content written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pen 2000 in the off state may be used as a trigger signal for turning on the electronic pen 2000 based on a signal output through the pressure sensor 2520 .

펜심센서(2540)는, 전자펜(2000)에 장착되는 펜심(심부, 2010)의 종류을 나타내기 위한 펜심 식별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2000)에 장착되는 펜심(심부, 2010)의 외측에는 상기 펜심(심부, 2010)의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펜심 식별자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펜심센서(2540)는 상기 펜심 식별자를 광학적 방식/자기적 방식 기타 다양한 활용 가능한 방식을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펜심센서(2540)에 의해 센싱된 값 혹은 센싱된 값에 의해 해석된 상기 펜심(심부, 2010)에 대한 정보는 전자기기(30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3000)는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재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The pen nib sensor 2540 may detect a nib identifier for indicating the type of the pen nib (core unit 2010) mounted on the electronic pen 2000 . For example, a pen nib identifier for indicating the color of the pen nib (core part, 2010)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en nib (core part, 2010) mounted on the electronic pen 2000, in which case the nib sensor 2540 can detect the pen nib identifier through an optical method/magnetic method and other various available methods. The value sensed by the pen nib sensor 2540 or the information on the pen nib (core, 2010) analyzed by the sensed value may be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It can be used to reproduce the content written by the user based on the

슬립센서(2560)는, 온 상태의 전자펜(2000)이 자동으로 오프상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펜(20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립센서(2560)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하여 상기 전자펜(2000)의 이동유무가 감지될 수 있다. 만약, 슬립센서(2560)를 통해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전자펜(2000)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자펜(2000)은 자동으로 상기 전자펜(200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The sleep sensor 2560 may detect the state of the electronic pen 2000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nic pen 2000 in the on state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off state. For example, the sleep sensor 256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etc., through which the movement of the electronic pen 2000 may be detec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pen 2000 is not mo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slip sensor 2560 , the electronic pen 20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electronic pen 2000 . The state can be switched to the off stat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전자펜(2000)이 온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자펜(2000)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에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 필요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상기 전자펜(2000)이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전자펜(2000)에 구비되어 있는 모든 구성요소들 혹은 일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력이 차단되어 전자펜(2000)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요소들 모두 혹은 일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특히,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전자펜(2000)이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상기 압력센서(2520) 및/또는 압력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해석 모듈 등에는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프 상태에 있는 전자펜(2000)이 압력센서(252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pen 2000 is in the on state,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pen 2000 so that the components operate normally as necessary. However, when the electronic pen 2000 is in the off state, power to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2000 is cut off and the electronic pen 2000 is provided in the off state.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cannot operate normally. In particula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electronic pen 2000 is in the off state, the pressure sensor 2520 and/or the analysis module for interpre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are normally included. Power may be supplied, and accordingly, the electronic pen 2000 in the off state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on state based on a sensed value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2520 .

메모리(26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0)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0)에는 전자펜(2000)을 구동하기 위한 펌웨어(firmware)와 같은 운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자펜(2000)에 의해 생성되는 펜데이터, 센서부(2500)에 의해 출력되는 센싱값 등 전자펜(2000)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 명령,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260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memory 2600 may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store data. An operation program such as firmware for driving the electronic pen 20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0 , and if necessary, pen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2000 and the sensor unit 2500 . Information, commands, and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onic pen 2000, such as a sensing value output by the , may be stored.

메모리(2600)의 예로는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mory 2600 include a hard disk (HDD), a solid state drive (SSD), a flash memory, a read-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This can be.

전원부(2700)는, 전자펜(200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70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펜(2000)의 통신부(2400)가 충전 포트(예를 들어, USB 포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충전포트를 통해 전자펜(2000)이 전자기기(3000)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전자기기(30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는 충전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700 may provide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nic pen 2000 . The power supply unit 2700 may be implemented as a rechargeable battery, an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400 of the electronic pen 2000 includes a charging port (eg, a USB port), the electronic pen ( 200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0, and accordingly, the battery may be charged.

제어부(2800)는, 전자펜(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80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전자펜(20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 To this end, the controller 2800 may perform calculation and processing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may control operations of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pen 2000 .

또한, 제어부(2800)는, 패턴감지부(2300)에 의해 획득된 코드 패턴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획득된 코드 패턴의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위 셀에 인코딩되어 있는 정보들을 디코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디코딩된 정보로부터 상기 전자펜(2000)의 미디엄(1000)에 대한 위치 좌표, 상기 미디엄(1000)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북 정보 또는 페이지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00 may analyze the image for the code pattern obtained by the pattern detection unit 2300, and decode information encoded in the unit cell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obtained code pattern, Furthermor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book information or page information, etc.) of the medium 1000 may be obtained from the decoded information.

제어부(2800)는, 단위 셀에 인코딩되어 있는 정보들을 디코딩하여 획득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펜데이터는 메모리(2600)에 저장되거나 혹은 상기 통신부(2400)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3000) 및/또는 서버(4000)로 전송할 수 있다. 펜데이터의 생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2800 may generate pen data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by decoding information encoded in a unit cell, and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ed pen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2600 or It may transmit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and/or the server 4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eneration of pen data will be provided later.

한편, 제어부(2800)는, 전자펜(20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와 패턴감지부(230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단위 셀을 필요한 정보를 디코딩하고, 전술한 펜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2800)는, 논리적으로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로 분할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가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800 analyzes the image acquired by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pattern detector 2300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deco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nit cell, and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control unit for generating pen data. The control unit 2800 may be logically divided into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but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are physically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어부(28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형태의 제어부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 형태의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according to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hardware-typ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ircuit that processes electrical signals to perform a control function, and in softwar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 for driving the hardware-type control unit.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전자펜(2000)의 동작은 제어부(28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may be interpreted as being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0 .

<전자기기><Electronics>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기기(30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electronic device 3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기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전자기기(3000)는, 입력모듈(3100), 출력모듈(3200), 통신모듈(3300), 메모리모듈(3400) 및 제어모듈(3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시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많이 가지거나 혹은 도시된 구성요소들 보다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5 ,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include an input module 3100 , an output module 3200 , a communication module 3300 , a memory module 3400 , and a control module 3500 . 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are not essential,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an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전자기기(30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will be described in turn.

입력모듈(3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음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모듈(3100)의 예로는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module 3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rom a user. The user input may be made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key input, a touch input, and a voice sound. Examples of the input module 3100 that can receive such a user input include a traditional keypad, keyboard, and mouse, as well as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user's touch,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voice signal, and a gesture through image recognition. camera, a proximity sensor consisting of an illuminance sensor or infrared sensor that detects user approach, a motion sensor that recognizes a user's motion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and other various types of sensing 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user input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input means of Here, the touch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piezoelectric or capacitive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through a touch panel or a touch film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an optical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by an optical method, and the like.

출력모듈(3200)은, 각종 정보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모듈(3200)은 사용자의 시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청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의 촉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The output module 3200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output module 3200 generates a display that outputs visible light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s eyes, a speaker that outputs a sound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s hearing, and a vibration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user's tactile sense.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both haptic devices and other various types of output means.

상기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펜(2000) 및/또는 전자기기(30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을 재현하기 위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may output an image for reproducing contents written by a user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and/or the electronic devic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In addition, the display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holographic display), 프로젝터 및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입력모듈(3100)의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flat panel display (FPD), transparent display, curved display,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 holographic display (holographic display), a concept mean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 a broad sense including all of various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n image output function and other functions am. Such a display may be in the form of a touch display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of the input module 3100 .

통신모듈(3300)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통신모듈(3300)을 통해 전자펜(2000) 혹은 서버(40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3000)는 외부 기기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통신모듈(3300)을 통해, 전자펜(2000)에서 생성되는 펜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전자펜(2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3000)는, 통신모듈(3300)을 통해,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한 펜데이터 혹은 펜데이터의 해석에 의해 획득된 스트로크 데이터를 서버(4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서버(4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30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2000 or the server 4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300 .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transmit/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pen data generated by the electronic pen 2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300 , and may transmit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pen 2000 .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transmit, to the server 4000 ,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or stroke data obtained by analysis of the pen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300 , and necessary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4000 .

통신모듈(3300)은,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LAN 포트, USB 포트, PS/2 포트, 패러럴 포트, 시리얼 포트 등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330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LAN port, a USB port, a PS/2 port, a parallel port, a serial port, etc.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LAN (Local Area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via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accesses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yp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typ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Zigbee It may be composed o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메모리모듈(3400)은,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모듈(3400)은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모듈(3400)에는 전자기기(30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module 340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memory module 3400 may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store data. The memory module 340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3000 , and if necessary, various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and the electronic pen 2000 . An application program for processing various data received from the .

메모리모듈(3400)의 예로는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mory module 3400 include a hard disk (HDD), a solid state drive (SSD), a flash memory, a read-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etc. may exist.

제어모듈(3500)은, 전자기기(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3500)은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전자기기(30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5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3500 may perform calculation and processing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may control operations of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제어모듈(350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형태의 제어모듈은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형태의 제어모듈)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according to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hardware-type control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ircuit that processes electrical signals to perform a control function, and in softwar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 for driving a hardware-type control module).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전자기기(3000)의 동작은 제어모듈(35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be interpreted as being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500 .

<전자펜의 동작><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1000)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2000)을 사용하여 필기를 할 수 있다. A user may take notes on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펜(200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1000)에 구비되어 있는 코드 패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위 셀에 인코딩되어 있는 정보를 해석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펜(2000)은, 사용자가 필기를 하고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코드 패턴에 대한 이미지 및 이로부터 해석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저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추후에 사용자가 상기 미디엄(1000) 상에서 어떠한 궤적을 따라 필기를 진행하였는지를 해석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n image of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code pattern provided in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tained image It is possibl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information encoded in a unit cell included within. The electronic pen 2000 continuously acquires and processes/stores the image of the code patter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terpreted therefrom while the user is taking notes, so that the user can It is possible to generate basic data that can interpret whether or not the handwriting is performed along the trajectory.

이하에서는, 위치 정보 등을 인코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코드 패턴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이러한 코드 패턴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코드 패턴에 인코딩되어 있는 위치 정보 등을 전자펜(2000)이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de patter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enco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will be first describ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encoded in the code pattern using an image of the code pattern will be transferred to the electronic pen (2000). ) and how to interpret it.

다만, 본 발명의 실시에들에 따른 전자펜(20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펜심(심부, 2010)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1000)에 대해서만 필기가 가능한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매체(예를 들어, 코드 패턴이 제공되어 있지 않는 종이 등)에 대한 필기도 가능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 전자펜(2000)은 사용자의 필기 궤적을 해석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사용자 필기 궤적의 실시간 재현 및 리플레이 등의 동작이 전자기기(3000) 등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However, since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generally used pen nib (the core part, 2010), it is necessary to write only for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possible, and writing on a general medium (eg, paper on which a code pattern is not provided, etc.) is also possible.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onic pen 2000 cannot obtain location information for interpreting the user's handwriting trace, operations such as real-time reproduction and replay of the user's handwriting trace, as described later, are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 ( 3000) would be impossible to implement.

1. 코드 패턴1. Code Patter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드 패턴은 하나의 단위 셀들이 2차원적으로 원하는 크기에 맞추어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one unit cell is repeatedly arranged according to a desired size in two dimension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코드 패턴을 구성하는 단위 셀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이다. 6 and 7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unit cells constituting a c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단위 셀들은 선분형태의 코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선분형태의 코드들은 크게 기준코드와 정보코드로 분류될 수 있다. 6 and 7 , each unit cell includes line segment codes, and the line segment cod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reference codes and information codes.

기준코드는 가로기준코드, 세로기준코드 및 교차기준코드로 구성된다.The reference code is composed of a horizontal reference code, a vertical reference code, and a cross reference code.

기준코드는, 코드 패턴의 디코딩 시, 단위 셀의 영역을 확인시켜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reference code has a function of confirming the area of the unit cell when decoding the code pattern.

정보코드는, 나중에 후술하는 방식으로, 단위 셀에 인코딩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code performs a function for indicating information to be encoded in a unit cell, in a manner to be described later.

교차기준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기준코드들, 그리고 정보코드들은 모두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진다. 즉, 교차기준코드를 제외한 기준코드들과 정보코드들은 서로 회전대칭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선분형태'이다.All other reference codes and information codes except for the cross reference code have the same geometric shape. That is, the reference codes and the information codes except for the cross reference code have a shape of rotational symmetry with each other and are 'line segment shape'.

교차기준코드는, 다른 기준코드들 및 정보코드와 달리, 십자가 형태의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The cross reference code, unlike other reference codes and information codes, has a cross-shaped geometric shape.

한편, 단위 셀 내에서, 가상의 선들이 정의될 수 있는데, 가상의 선들은 가로방향으로 늘어져 있는 복수의 가로가상선들 및 세로방향으로 늘어져 있는 복수의 세로가상선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가상선'이라고 칭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미디엄(1000)에 실제로 인쇄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인쇄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unit cell, virtual lines may be defined, and the virtual line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virtual line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vertical virtual line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description of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called 'virtual line' may be actually printed on the medium 1000, but may not be printed.

상기 복수의 가로가상선들 각각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virtual lines is parallel to each other and is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복수의 세로가상선들 각각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virtual lin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복수의 가로가상선들 중 임의의 하나의 가로가상선은 상기 복수의 세로가상선들 중 임의의 하나의 세로가상선과 서로 직교한다.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virtual lines is orthogonal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virtual lines.

복수의 가로가상선들과 복수의 세로가상선들이 서로 만나서 형성하게 되는 복수의 교차점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복수의 교차점들을 이하에서는, 가상기준점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가상점'이라고 칭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미디엄(1000)에 실제로 인쇄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인쇄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A plurality of intersection points formed by meet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virtual lin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virtual lines are formed. These intersections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rtual reference points. In the description of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called a 'virtual store' may be actually printed on the medium 1000, but may not be printed.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단위 셀은 총 7개의 가로가상선들 및 7개의 세로가상선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중 가장 위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가상선에는 상기 가로기준코드들이 배치되어 있고, 가장 왼쪽에 배치되어 있는 세로가상선에는 상기 세로기준코드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 one unit cell is illustrated as having a total of 7 horizontal virtual lines and 7 vertical virtual lines, and the horizontal reference codes are disposed on the horizontal virtual line disposed at the top of them. It is shown that the vertical reference codes are arranged on the vertical virtual line arranged on the leftmost side.

기준코드들은 가상기준점 상에 배치된다. 특히, 기준코드들은, 그 무게중심(center of mass)이 가상기준점에 있도록 배치된다. 즉, 가로기준코드들 및 세로기준코드들은, 각 기준코드들의 양 끝단(both ends)의 중앙에 가상기준점이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십자가 형태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교차기준코드는, 십자가의 중심이 가상기준점에 있도록 배치된다.The reference codes are placed on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n particular, the reference codes are arranged so that their center of mass is at the virtual reference point. That is, the horizontal reference codes and the vertical reference codes are arranged so that the virtual reference point can be located in the center of both ends of each reference cord. In addition, the cross reference code having a cross-shaped geometric shape is arranged so that the center of the cross is at the virtual reference point.

정보코드들 또한 가상기준점 상에 배치된다. 특히, 정보코드들은, 기준코드들과 달리, 그 무게중심(center of mass)이 가상기준점에 배치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가상기준점이 정보코드들의 양 끝단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코드의 경우, 양 끝단(both ends) 중 하나의 끝단(one end)은 가상기준점의 근처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끝단(the other end)은 해당 정보코드에 인코딩하고자 하는 값에 따라서 정해지는, 가상기준점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정보코드들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Information codes are also placed on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codes, unlike the reference codes, are arranged so that their center of mass is not arranged at the virtual reference point. That is,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s not disposed at the center of both ends of the information codes. In the case of information code, one end of both ends is placed near the virtual reference point, and the other en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 to be encoded in the information code. , located at a different location than the virtual reference poi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method of encoding information into information codes.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 및 구성요소를 가지는 코드 패턴은, 상기 미디엄(1000)에 형성되며, 코드 패턴이 실제로 미디엄(1000)에 형성되는 것은, 인쇄 혹은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미디엄(1000)에 상기 코드 패턴이 인쇄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기준코드와 정보코드만이 인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코드 패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가로가상선들, 세로가상선들 및 가상기준점들이 실제로 인쇄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The code pattern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and components is formed on the medium 1000 , and the code pattern actually formed on the medium 1000 may be implemented by printing or a similar method. At this time, when the code pattern is printed on the medium 1000 , as shown in FIG. 7 , only the aforementioned reference code and information code may be printed. That is, horizontal virtual lines, vertical virtual lines, and virtual reference points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code pattern may not be actually printed.

2. 정보의 인코딩/디코딩2. Encoding/decoding of information

정보코드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기본 원칙은, 가상기준점의 근처에 정보코드의 하나의 끝단을 배치시키고, 정보코드가 가상기준점을 지나도록 정보코드의 다른 끝단을 배치시키되, 상기 하나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다른 끝단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코드에 원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이다.The basic principle of encoding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code is to arrange one end of the information code near the virtual reference point and the other end of the information code so that the information code passes through the virtual reference point,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It encodes the desired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ode us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nd.

즉, 정보코드의 하나의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보다 더 가까이 배치된 끝단)으로부터 다른 끝단(상기 가상긱준점에 보다 더 멀리 배치된 끝단)으로 향하는 정보코드의 방향(이하, 정보코드의 방향이라 함)에 따라서, 해당 정보코드에 원하는 정보를 인코딩한다.That is,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code) from one end of the information code (the end disposed closer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to the other end (the end disposed fu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point). ), the desired information is encoded i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ode.

정보코드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정보코드에 인코딩할 수 있는 정보가 2bit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encoding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c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i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encoded in one information code is 2 bit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보코드에 2bit의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coding 2-bit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cod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정보를 인코딩하고자 하는 정보코드를 배치할 가상기준점을 원점으로 하며, 단위 셀 내에 구비되어 있는 가로기준코드들 및 세로기준코드들의 방향에 정의되는 직교좌표계를 상정한다.For clear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origin is a virtual reference point at which an information code to be encoded is arranged, and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defined in the directions of horizontal reference codes and vertical reference codes provided in a unit cell is assumed.

이때, 정보코드를 통해 인코딩하고자 하는 정보가 '00'인 경우, 상기 정보코드의 하나의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는 끝단)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3사분면에, 그리고 다른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멀리 위치하는 끝단)은 상기 직교좌표계의 1사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코드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도 8의 (a) 참고). At this time, if the information to be encoded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is '00', one end of the information code (the end located closer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s in the third quadrant of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e other end (the above)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code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end (end)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point can b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refer to (a) of FIG. 8).

만약 정보코드를 통해 인코딩하고자 하는 정보가 '01'인 경우, 정보코드의 하나의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는 끝단)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4사분면에, 그리고 다른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멀리 위치하는 끝단)은 상기 직교좌표계의 2사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코드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도 8의 (b) 참고).If the information to be encoded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is '01', one end of the information code (the end located closer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s in the fourth quadrant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the other end (the virtual reference point)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code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distal end positioned further away from .

또한, 정보코드를 통해 인코딩하고자 하는 정보가 '10'인 경우, 정보코드의 하나의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는 끝단)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1사분면에, 그리고 다른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멀리 위치하는 끝단)은 상기 직교좌표계의 3사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코드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도 8의 (c)참고).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to be encoded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is '10', one end of the information code (the end located closer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s in the first quadrant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the other end (the above)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code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end (end)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point can be located in the third quadrant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refer to (c) of FIG. 8).

아울러, 정보코드를 통해 인코딩하고자 하는 정보가 '11'인 경우, 정보코드의 하나의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하는 끝단)이 상기 직교좌표계의 2사분면에, 그리고 다른 끝단(상기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멀리 위치하는 끝단)은 직교좌표계의 4사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코드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도 8의 (d)참고).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to be encoded through the information code is '11', one end of the information code (the end located closer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is in the second quadrant of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e other end (the above)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code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end)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virtual reference point can be located in the fourth quadrant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refer to (d) of FIG. 8).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코드에 2bit의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도록 정보코드를 설계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셀에 36개의 정보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단위 셀에 인코딩할 수 있는 정보는 2bit*36=72bit가될 수 있을 것이다.
If, as shown in FIG. 8, the information code is designed to encode 2-bi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code, and as shown in FIGS. 6 and 7, 36 information codes are included in one unit cell. If there is, information that can be encoded in one unit cell may be 2 bits * 36 = 72 bits.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정보코드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은, 정보코드의 하나의 끝단(예를 들어,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가까이 위치한 끝단)으로부터 정보코드의 다른 끝단(예를 들어, 가상기준점에 대해 보다 더 멀리 위치한 끝단)으로의 방향에 의해 인코딩되는 것으로, 정보코드에 인코딩될 수 있는 정보의 비트수는 2bit에 한정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bit 이상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정보코드에 인코딩하기 위해서 정보코드의 방향을 45도 단위로 해석하게 되는 경우, 정보코드의 구별되는 방향은 총 8개가 되며, 이에 따라 하나의 정보코드에 총 3bit의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the method of encoding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c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rom one end of the information code (eg, the end located closer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to the other end of the information code (eg, For example, the number of bits of information that can be encoded in the information code is not limited to 2 bits, and may be 3 bits or more. For example, if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code is interpreted in units of 45 degrees in order to encode information into the information code, there are a total of 8 distinct directions of the information code, and accordingly, a total of 3 bits of information is stored in one information code. can be encoded.

3. 단위 셀 정보의 구성3. Composition of unit cell information

이어서, 단위 셀에 인코딩되어 있는 정보들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information encoded in the unit cell will be described.

단위 셀에 인코딩되어 있는 단위 셀 정보는, 에러 검증 정보, 미디엄 식별 정보, 좌표 정보, 기타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cell information encoded in the unit cell may include error verification information,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에러 검증 정보는, 단위 셀의 인코딩 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The error ver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during encoding of the unit cell.

미디엄 식별 정보는, 상기 단위 셀이 제공되어 있는 미디엄(1000)에 대한 식별 정보이다. 미디엄 식별 정보는, 북 정보, 페이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medium 1000 in which the unit cell is provided. The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book information, page information, and the like.

북 정보는, 복수의 미디엄들(1000)이 노트나 책과 같은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해당 노트나 책에 부여되는 식별정보를 의미한다.The book information refers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a corresponding note or book when the plurality of mediums 1000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note or book.

페이지 정보는, 복수의 미디엄들(1000)이 노트나 책과 같은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해당 노트나 책에서 상기 단위 셀이 제공되어 있는 미디엄(1000)이 몇 번째 페이지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The page information is for identifying which page the medium 1000 on which the unit cell i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note or book is located when the plurality of mediums 1000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notebook or book. means information.

이외에도, 미디엄(1000)이 특별한 용도에 따라 특별한 포맷을 가지도록 구현된 경우(예를 들어, 보안 점검용 체크리스트를 포함하는 용지, 시험지 용지 등), 미디엄 식별 정보는, 해당 미디엄(1000)이 어떠한 포맷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dium 1000 is implemented to have a special format according to a special purpose (eg, a paper including a checklist for security check, a test paper, etc.), the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dium 1000 is It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ich format it has.

좌표 정보는, 상기 단위 셀이, 상기 단위 셀이 제공되어 있는 미디엄(1000) 상에서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단위 셀인지를 나타내는 2차원 좌표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좌표 정보는 x좌표, y좌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coordinate information means two-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ing at which position the unit cell is located on the medium 1000 in which the unit cell is provided. Accordingly,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include an x-coordinate and a y-coordinate.

기타 부가 정보는, 기타 필요한 다른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엄(1000)에 제공되는 좌표 코드 등에 대한 라이선스 정보가 상기 기타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Other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other necessary information. For example, license information on a coordinate code provided to the medium 1000 may be included in the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펜(2000)은, 상기 패턴감지부(230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셀을 분석하고, 해당 단위 셀에 인코딩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단위 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위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엄 식별 정보, 좌표 정보, 기타 부가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pen 2000 analyzes at least one unit cell included in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pattern detection unit 2300 and decodes information encoded in the unit cell, Cel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and accordingly,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nit cel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4. 펜데이터의 생성4. Creation of pen data

이어서, 단위 셀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펜(2000)이 펜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the electronic pen 2000 to generate pen data based on unit cell inform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펜데이터란, 전자펜(2000)에 의해 획득된 단위 셀 정보에 더하여, 사용자의 필기 궤적을 실시간으로 재현하거나 추후에 리플레이하기 위하여 필요한 스트로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The pen data refers to information used to generate stroke data necessary to reproduce a user's writing trajectory in real time or to replay it later, in addition to unit cel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lectronic pen 2000 .

펜데이터는, 시각 정보, 필압 정보, 위치 정보 및 미디엄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en data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pen pressur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시각 정보는, 하나의 단위 펜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이미지가 획득된 시점 혹은 하나의 단위 펜데이터가 생성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이다.The visu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time point at which an image used to generate one unit of pen data is acquired or a time point at which one unit of pen data is generated.

필압 정보는, 하나의 단위 펜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이미지가 획득된 시점 혹은 하나의 단위 펜데이터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상기 압력센서(2520)로부터 출력된 압력 정보이다.The pen pressure information is pressur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2520 when an image used to generate one unit of pen data is acquired or when one unit of pen data is generated.

미디엄 식별 정보는, 단위 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nit cell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위치 정보는, 단위 셀 정보로부터 획득된 좌표 정보에 필요한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미디엄(1000)에 대한 전자펜(20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위치 정보는 단위 셀 정보로부터 획득된 좌표 정보와 일치할 수도 있으나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위치 정보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that is generated by performing a correction operation necessary for coordin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unit cell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or may not coincide with coordin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unit cell information, and a method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미디엄에 대한 전자펜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pen with respect to a mediu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전자펜(2000)의 카메라모듈(232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I)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된 이미지(I)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셀(UC)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위 셀(UC)의 위치(CC)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단위 셀에 인코딩되어 있는 정보를 해석하여 좌표 형태로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정보를 해석하는 데에 사용된 단위 셀(UC)은 획득된 이미지(I)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단위 셀(UC)의 해석에 의해 획득된 좌표 정보는 미디엄(1000)에 대한 전자펜(2000)의 정확한 위치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획득된 이미지(I)의 중앙(IC)이 미디엄(1000)에 대한 전자펜(2000)의 위치에 가장 근접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데, 획득된 이미지(I)의 중앙(IC)이 단위 셀(UC)로부터 획득한 좌표 정보에 의해 획득된 좌표(x,y)와 다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n image I acquired by the camera module 2320 of the electronic pen 2000 is exemplarily shown. As shown in FIG. 9 , the acquired image I includes at least one The above unit cell UC may be included, and the location CC of the unit cell UC may be obtained in the form of coordinates by interpreting information encoded in the unit cell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t this time, as shown, since the unit cell UC used to interpret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not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cquired image I, the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exact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 That 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center IC of the acquired image I is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and the center IC of the acquired image I is the unit cell.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coordinates (x,y) obtained b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UC).

이에 따라, 전자펜(2000)은, 획득된 이미지(I)의 중앙(IC)의 좌표(x', y')를 획득하기 위하여, 단위 셀(UC)로부터 획득된 좌표 정보와 획득된 이미지(I)의 중앙(IC) 사이의 오프셋값(offset)을 계산하고, 단위 셀(UC)로부터 획득된 좌표 정보 (x, y)에 계산된 오프셋값 (?x, ?y)를 가감하여, 획득된 이미지(I)의 중앙(IC)의 좌표(x', y')를 산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electronic pen 2000, in order to obtain the coordinates (x', y') of the center (IC) of the acquired image I, coordin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nit cell UC and the Calculate the offset value between the center (IC) of I), and add or subtract the calculated offset value (?x, ?y)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x, y) obtained from the unit cell UC to obtain The coordinates (x', y') of the center (IC) of the image (I) are calculated.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미디엄(1000)에 대한 전자펜(2000)의 위치를 보다 더 정확하게 산출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보정된 좌표값 (x', y')가 전술한 위치 정보이다.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can be more accurately calculat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nd the coordinate values (x', y') corrected in the above manner are used as the above-described position information. am.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펜(2000)은 펜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에 따라서 전자펜(2000)의 미디엄(1000)에 대한 위치 이동이 펜데이터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펜데이터는 추후에 필요에 따라 전자기기(3000) 혹은 서버(4000)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처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pen 2000 can continuously generate pen data,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th respect to the medium 1000 according to the user's handwriting is real-time in the form of pen data. , and the pen data may be appropriately processed as needed by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the server 4000 later as needed.

<전자기기의 동작><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전술한 바와 같이, 펜데이터가 생성되면, 전자펜(2000)은 펜데이터를 메모리(2600)에 저장하거나 혹은, 통신부(2400)를 통해, 전자기기(3000)로 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pen data is generated, the electronic pen 2000 may store the pen data in the memory 2600 or transmit the pen data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00 .

예를 들어, 전자펜(2000)이 전자기기(3000)와 통신가능한 상태인 경우, 전자펜(2000)은 펜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바로 전자기기(3000)로 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만약 전자펜(2000)이 전자기기(3000)와 통신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 전자펜(2000)은 펜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2600)에 저장하였다가, 추후에 전자기기(3000)와 통신가능한 상태가 되면 저장하여 두었던 펜데이터들을 전자기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pen 2000 is in a stat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the electronic pen 2000 may generate pen data and directly transmit the pen data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in real time, but if When the electronic pen 2000 is not in a stat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the electronic pen 2000 generates pen data and stores it in the memory 2600 , and later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3000 is possible. , the stored pe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

이하에서는, 펜데이터를 수신한 전자기기(30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ceiving the pen data will be described.

1.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 #11. Real-time reproduction of user-written content #1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한 펜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엄(1000)에 필기하고 있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여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사항을 실시간으로 재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produce the content that the user is taking notes on the medium 1000 in real time 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Hereinafter, a method of reproducing what a user is writing in real time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will be described.

이하의 설명을 위하여, 전자펜(2000)과 전자기기(3000)는 서로 통신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며, 전자펜(20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자기기(3000)로 전송하는 것을 가정한다.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onic pen 2000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ommunicable state, and the electronic pen 2000 transmits the pen data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n real time to the electronic device ( 3000) is assumed.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한 펜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엄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target medium 1000 on which the user is taking notes based on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대상 미디엄(1000)이, 특별한 용도를 위해 특정 포맷을 가지고 있는 미디엄인지, 혹은 책 혹은 노트 형태로 제공되는 제품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미디엄인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medium 1000 on which the user is taking notes is a medium having a specific format for a special purpose, or a medium forming a part of a product provided in the form of a book or note. You can check whether you are aware or not.

아울러, 만약, 대상 미디엄(1000)이 책 혹은 노트 형태로 제공되는 제품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미디엄인 경우, 대상 미디엄(1000)이 상기 책 혹은 노트의 몇 페이지에 위치하고 있는 미디엄인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arget medium 1000 is a medium that forms a part of a product provided in the form of a book or note,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target medium 1000 is a medium located on several pages of the book or note. there is.

전자기기(3000)는, 획득된 미디엄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해 미리 저장되어 있던 템플릿 혹은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해 이미 사용자가 기재하였던 필기내용 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Based on the obtained medium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rough a display, a template stored in advance for the target medium 1000 or handwritten content already written by the user for the target medium 1000 . can

이 때, 미리 저장되어 있던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한 템플릿은, 대상 미디엄(1000)에 코드 패턴 이외에 이미 인쇄되어 있는 텍스트, 이미지, 형상, 심볼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상 미디엄(1000)이 노트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경우, 대상 미디엄(1000)에는 사용자의 용이한 필기를 위하여 복수의 선들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복수의 선들이 인쇄되어 있다는 등의 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되어 있던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한 템플릿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상 미디엄(1000)이 다이어리와 같은 형태의 노트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경우, 대상 미디엄(1000)에는 2015년 2월 1일과 같은 특정한 날짜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대상 미디엄(1000)에 특별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는 것도 상기 미리 정해진 템플릿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에 따라, 전술한 템플릿 정보 등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상기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해 표시되는 이미지를 미디엄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tored template for the target medium 1000 is meant to include text, images, shapes, symbols, etc. already printed on the target medium 1000 in addition to the code pattern, for example, When the target medium 1000 forms a part of a note, a plurality of lines may be printed on the target medium 1000 for easy writing by the user, and information such as that the plurality of lines are printed It may be included in the previously stored template information for the target medium 1000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arget medium 1000 forms a part of a notebook-like form, a specific date such as February 1, 2015 may be printed on the target medium 1000. As such, the target medium The fact that special information is printed at 1000 may also be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template informa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an image displayed for the target medium 100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emplate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referred to as a medium image.

이어서, 전자기기(3000)는, 수신한 펜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 및 시각 정보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할,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궤적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스트로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펜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generate stroke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jectory the user is taking notes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en data. In order to generate the stroke data, at least one unit pen data may be used.

스트로크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트로크 데이터에 따라서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하여 필기한 궤적을, 그대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미리 정해진 템플릿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도 10에 사용자가 대상 미디엄(1000b)에 필기한 내용이 실시간으로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에 재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When the stroke data is generated, the electronic device 3000 can reproduce the trajectory written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target medium 100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predetermined template displayed on the display as it is, according to the generated stroke data. . FIG. 10 illustrates that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on the target medium 1000b are reproduced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in real time.

사용자의 필기 내용이 전자기기(3000)를 통해 재현될 때,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의 궤적,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의 대상 미디엄(1000)에 대한 위치 등은, 펜데이터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재현될 수 있다.When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is reproduc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the trajectory of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the location of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with respect to the target medium 1000, etc. ar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en data information. based on it, it can be accurately reproduced.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3000)가 동작하는 것을 '일반 재현 모드'로 동작한다고 할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may be said that the electronic device 3000 operates in a 'normal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al time.

2.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 #22. Real-time reproduction of user-written content #2

이어서, 사용자가 대상 미디엄(1000)에 필기하고 있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user's writing on the target medium 1000 is reproduced in real time will be described.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면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1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기기(3000)를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는 현재 사용자가 필기를 하고 있는 대상 미디엄(1000)의 전체 면(whole surface)이 모두 전자기기(30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기를 원할 수 있지만, 몇몇 경우에 따라서는, 대상 미디엄(1000)의 일부 면(a part of surface)만을 전자기기(30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기를 원할 수 있다.While the user is using the electronic devic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uses the electronic device 3000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medium 1000 on which the user is currently taking notes. However, in some cases, only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arget medium 1000 may be desir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이하에서, 대상 미디엄(1000)에 대응되는 미디엄 이미지 중 전자기기(3000)를 통해서 표시되고 있는 적어도 일부 영역을 표시영역이라 한다. 또한, '대상 미디엄의 일부 영역(혹은 표시 영역)이 표시된다'는 의미는 미디엄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에서 대상 미디엄의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 영역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at least a partial area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among the medium image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medium 1000 is referred to as a display area. Also, 'a partial area (or display area) of the target medium is displayed' may mean that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area of the target medium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medium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s the display area.

도 11에는, 대상 미디엄(1000)의 일부 영역만이 전자기기(300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1 , it is exemplarily shown that only a partial area of the target medium 1000 is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이때, 만약, 사용자가 전자기기(300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일부 영역을 벗어난 다른 영역에 필기를 하게 되는 경우, 전자기기(3000)를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기하는 내용이 실시간으로 재현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CD'의 우측으로 'EFG'를 사용자가 더 필기를 하게 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일부 영역을 계속하여 전자기기(3000)를 통해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필기하고 있는 'E'에 대응되는 내용을 전자기기(3000)를 통해서 볼 수 없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user takes notes in another area out of the partial area being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the contents of the user's notes are displayed in real time. What is reproduced may not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when the user further writes 'EFG' to the right of 'ABCD', as shown in FIG. When displayed,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E' that the user is additionally writing cannot be view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다른 실시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현재 필기하고 있는 내용의 대상 미디엄(1000)에서의 위치(이하, 필기 위치)를 수신된 펜데이터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heck a lo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riting location) o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written by the user on the target medium 1000 based on the received pen data.

이어서, 전자기기(3000)는 확인된 필기 위치가, 현재 표시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firmed 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the current display area.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상기 필기 위치가 표시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3000)는 상기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writing position corresponds to a position outside the display area. In this case, when determining that the writing position is outside the display area,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a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확인된 필기 위치가, 현재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3000)는, 상기 필기 위치가 현재 표시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더라고,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3000)는, 상기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d writing position corresponds to an edge region of the current display area.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writing position corresponds to an edge area of the display area even though the writing position is currently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In this case, when determining that the writing position corresponds to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area,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a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만약, 전자기기(3000)가 상기 필기 위치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예를 들어, 필기 위치가 표시 영역에 포함된다고 판단된 경우), 전자기기(30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영역을 쉬프트 시키지 않은 채로,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에 대응되는 내용인 'E'를 전자기기(3000)를 통해 재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If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that the writing position does not satisfy a predetermined condition (e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riting position is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the electronic device 3000 is shown in FIG. 12 . As described above, without shifting the display area, 'E', which i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written by the user,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반면, 전자기기(3000)가 상기 필기 위치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만족한다고 판단한 경우(예를 들어, 필기 위치가 표시 영역에서 벗어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자기기(3000)는 상기 필기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가 상기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that the 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e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riting position is out of the display area), the electronic device 3000 corresponds to the writ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may be shifted so that the displayed posi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ABCDE'라고 기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F'를 추가적으로 더 기재하면, 전자기기(3000)는 표시 영역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하고, 쉬프트된 표시 영역에 사용자의 필기에 대응되는 내용을 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tate where 'ABCDE' is described as shown in FIG. 12, if the user additionally writes 'F', the electronic device 3000 shifts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13,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handwriting may be reproduced in the shifted display area.

전자기기(3000)가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 시키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o a method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3000 shift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기재하고 있던 내용들의 필기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 시킬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direction to shif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writing direction of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도 13에는, 사용자가 필기를 하고 있던 내용들인 'ABCDE'의 필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 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다.13 shows th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is shif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riting direction of 'ABCDE', which is the contents that the user was taking notes.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원래의 표시 영역에서 벗어나서 기재된 필기의 내용이 쉬프트된 표시 영역의 중앙 부분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 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hif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so that the contents of the handwriting written out of the original display area are display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ifted display area.

도 14에는, 원래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재된 'F'가 쉬프트된 표시 영역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영역이 쉬프트 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14 shows that the display area is shifted so that the 'F' written out of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can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hifted display area.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바로 직전에 필기되었던 내용과 원래의 표시 영역에서 벗어나서 기재된 필기의 내용 사이의 거리와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 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hif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content written immediately before and the content written out of the original display area.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 시킬 때, 상기 미디어 이미지의 에지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이미지의 에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미디어 이미지의 에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미리어 이미지의 에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이격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 영역의 위치를 쉬프트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shif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onsider the edge of the media image.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may be shifted so that the edge of the media image does not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scree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may be shifted so that the edge of the media image does not deviate from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screen.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may be shifted so that the edge of the preview image is not displayed at a distan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screen.

한편, 전자기기(3000)가, 필기 위치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되는 펜데이터를 고려하게 되는데, 전자기기(3000)가 필기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펜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considers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o a method of sampling pen data for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모든 단위 펜데이터에 대해서 필기 위치가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예를 들어,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게 되는 경우, 전자기기(3000)는 가장 실시간 재현에 가깝에 사용자의 필기를 전자기기(3000)를 통해 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나, 연산량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whether the 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the partial region (eg, whether the writing position is outside the display region) for all unit pen data. can do.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will be able to reproduce the user's handwriting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as it is closest to real-time reproduction, but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calculation is increased.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스트로크 단위로 묶일 수 있는 펜데이터들 중 적어도 일부의 펜데이터에 대해서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a 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the display area with respect to at least some of the pen data that may be grouped in stroke units.

스트로크라 함은, 펜이 필기면에 접촉한 후 펜이 필기면에서 떨어질 때까지 펜에 의해 필기면에 그어진 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획'이라고 할 수도 있다. 즉, 'A'는 일반적으로 3개의 스트로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B'는 일반적으로 2개의 스트로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C'는 일반적으로 1개의 스트로크로, 'D'는 일반적으로 2개의 스트로크로, 'E'는 일반적으로 3개의 스트로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스트로크를 필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전자펜(2000)을 대상 미디엄(1000)에 접촉시키는 동작을 '펜 다운(pen down)'이라고 하고, 하나의 스트로크를 필기한 후 사용자가 전자펜(2000)을 대상 미디엄(1000)으로부터 떼는 동작을 '펜 업(pen up)'이라고 하기로 한다.Stroke refers to a line drawn by a pen on a writing surface after the pen contacts the writing surface until the pen is removed from the writing surface,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troke'. That is, 'A' is generally composed of three strokes, 'B' is generally composed of two strokes, 'C' is generally composed of one stroke, and 'D' is generally composed of two strokes. As such, the 'E' is generally composed of three stroke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brings the electronic pen 2000 into contact with the target medium 1000 in order to write one stroke is referred to as 'pen down', and Afterward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removes the electronic pen 2000 from the target medium 1000 will be referred to as 'pen up'.

이때, 전자펜(2000)은, 펜데이터에 압력 센서를 통해서 센싱되는 필압을 펜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하고, 생성된 펜데이터는 전자기기(3000)로 전송되므로, 전자기기(3000)는, 펜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필압값을 이용하여 '펜 다운' 또는 '펜 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펜데이터의 수신 중에 필압값이 '0'에서 특정한 값으로 갑자기 상승된 경우, 전자기기(3000)는, 필압값이 갑자기 상승된 시점에 '펜 다운'이 일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편의 상, 이 시점을 '펜 다운 시점'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펜데이터의 수신 중에 필압값이 갑자기 '0'가 되는 경우, 전자기기(3000)는 필압값이 갑자기 '0'이 된 시점에 '펜 업'이 일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편의 상, 이 시점을 '펜 업 시점'으로 정의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electronic pen 2000 includes pen data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in the pen data and generates the pen data, and the generated p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3000 . Whether 'pen down' or 'pen up'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pen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data. That is, when the pen pressure value suddenly rises from '0' to a specific value while receiving pen data,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at 'pen down' occurs when the pen pressure value suddenly rises. For convenience, this time point will be defined as a 'pen-down time point'. Also, when the pen pressure value suddenly becomes '0' while receiving pen data,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at 'pen up' occurs when the pen pressure value suddenly becomes '0'. For convenience, this time point will be defined as a 'pen-up time point'.

전자기기(3000)는 스트로크 단위로 묶인 펜데이터들 중에서, 펜 다운 시점에 대응되는 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이하, 펜 다운 기반 쉬프트 방식). 이와 같은 경우, 전자기기(3000)는 펜 다운 시점의 필기 위치만을 사용하고 스트로크 단위로 묶인 복수의 펜데이터 그룹들 중 나머지 펜데이터들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들은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the display area using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en data corresponding to the pen-down time, among pen data grouped in stroke units. There is (hereinafter, pen-down-based shift metho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uses only the writing position at the time of pen-dow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maining pen data among the plurality of pen data groups grouped in stroke units indicates that the writing position is in advance of the display area. It may not be used in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한편, 전자기기(3000)는, 스트로크 단위로 묶인 펜데이터들 중에서, 펜 업 시점에 대응되는 펜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이하, 펜 업 기반 쉬프트 방식). 이와 같은 경우, 전자기기(3000)는 펜 업 시점의 필기 위치만을 사용하고 스트로크 단위로 묶인 복수의 펜데이터 그룹들 중 나머지 펜데이터들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정보들은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whether the writing posi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the display area using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en data corresponding to the pen-up time, among the pen data grouped in stroke units. can be determi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n-up-based shift metho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uses only the writing position at the time of pen-up,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maining pen dat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en data groups grouped in stroke units is determined as to the position of the writing position in advance of the display area. It may not be used in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또는, 전자기기(3000)는, 스트로크 단위로 묶인 펜데이터들 중에서, 펜 업 시점 및 펜 다운 시점에 대응되는 펜데이터들에 포함된 위치 정보들을 모두 이용하여 필기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이하, 하이브리드 쉬프트 방식). 이와 같은 경우, 전자기기(3000)는 펜 다운 시점 및 펜 업 시점의 필기 위치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펜데이터들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uses all of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en data corresponding to the pen-up time and the pen-down time, among the pen data grouped in stroke units, so that the writing position is determined in advance for the display area.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ondition is satisfied (hereinafter, a hybrid shift metho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use only the writing position at the pen-down time and the pen-up time, and may not use the rest of the pen data.

만약, 펜 다운 기반 쉬프트 방식에 의할 경우, 펜 다운 시점에서만 상기 표시 영역의 쉬프트만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한 스트로크의 시점은 상기 원래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어 있으나, 스트로크의 종점은 상기 원래의 표시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쉬프트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트로크(S)를 모두 완료하고 난 후에도, 스트로크(S)의 시점(SP)은 원래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스트로크(S)의 종점(EP)이 원래의 표시 영역을 벗어난 경우라고 할지라도, 펜 업 시점(Tup)에서도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는, 도 15의 (b)와 같은 화면이 도시되고 있을 수 있다.If, in the case of the pen-down-based shift method, only the shift of the display area occurs at the time of pen-down, the start point of the stroke input by the user is included in the original display area, but the end point of the stroke is the original display area. If it is out of the display area of , the sh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ccur. That is, as shown in FIG. 15 , even after the user completes all the strokes S, the start point SP of the stroke S was included in the original display area, so the end point ( Even when the EP) is out of the original display area, a screen as shown in FIG. 15B may be shown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even at the pen-up time Tup.

만약, 펜 업 기반 쉬프트 방식에 의할 경우, 펜 업 시점에서만 상기 표시 영역의 쉬프트만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하나의 스트로크를 긴 시간 동안 입력한 경우(예를 들어, 약 5초 동안 하나의 스트로크가 입력된 경우),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입력이 끝나기 전에는 상기 쉬프트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될 수 있다.If, according to the pen-up-based shift method, only the shift of the display area occurs at the time of pen-up, when the user inputs one stroke for a long time (for example, one stroke for about 5 seconds) is inpu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not perform the shift operation until the user's stroke input is finished.

만약, 하이브리드 쉬프트 방식에 의할 경우, 펜 다운 기반 쉬프트 방식 및 펜 다운 기반 쉬프트 방식의 장점이 모두 취해질 수 있을 것이다.
If the hybrid shift method is used, the advantages of both the pen-down-based shift method and the pen-down-based shift method may be taken.

한편, 스트로크 단위로 묶일 수 있는 복수의 펜데이터들 중 일부를 사용하여 필기 위치에 대한 판단을 하고, 그에 따라 쉬프트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펜 다운 시점의 펜데이터, 펜 업 시점의 펜데이터, 펜 다운 및 펜 업 시점의 펜데이터를 취사하여 사용하는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서 선택되는 펜데이터들을 사용하여 필기 위치에 대한 판단을 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펜 다운 시점의 펜데이터, 펜 다운 시점에서 0.05초가 지난 시점의 펜데이터, 펜 다운 시점에서 0.10초가 지난 시점의 펜데이터 및 펜 다운 시점에서 0.15초가 지난 시점의 펜데이터 등을 취사하여 필기 위치에 대한 판단을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이 0.05초 인 경우).Meanwhile, in a method of determining a writing position using some of a plurality of pen data that can be grouped in stroke units and performing a shift operation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pen data at the time of pen down and the pen data at the time of pen up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method of cooking and using the pen data at the point of view, the pen data at the time of pen down and the pen up, and for example, determination of the writing position using pen data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re may be ways to do it. That is, the pen data at the time of pen-down, pen data at the time of 0.05 seconds after the time of pen-down, pen data at the time of 0.10 second at the time of pen-down, and pen data at the time of 0.15 second at the time of pen-down, etc. There may be a method of making a judgment about , and the lik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0.05 seconds).

전자기기(3000)는, 하나의 스트로크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번의 쉬프트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3000)는, 스트로크 각각에 대해서, 스트로크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펜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기기(3000)는, 하나의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펜 다운 시점에 대응되는 펜데이터(제1 펜데이터)와 펜 업 시점에 대응되는 펜데이터(제2 펜데이터) 및 제1 펜데이터와 제2 펜데이터의 사이에 있는 모든 펜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의 만족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t least one shift operation with respect to one stroke. That is, for each strok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using at least one pen data among a plurality of pen data included in the stroke.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device 3000 includes pen data (first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 down time point constituting one stroke, pen data (second pen data) corresponding to a pen up time point, and first pen data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may be determined using at least one pen data among all the pen data between and the second pen data.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상 미디엄(1000)에 필기하고 있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전자기기(3000)의 화면이 확대되어 있어 대상 미디엄(1000)의 표시 영역만을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여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user's handwriting on the target medium 1000 is reproduced in real time,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is enlarged so that only the display area of the target medium 1000 is displayed. Even when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produce the contents that the user is writing in real time and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occur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3000)가 동작하는 것을 '확대 재현 모드'로 동작한다고 할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may be said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reproduces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magnified reproduction mode'.

3.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 #33. Real-time reproduction of user-written content #3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대상 미디엄(1000)의 일부 영역만이 전자기기(300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모드를 '확대 모드'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미디엄(1000)의 전체 영역이 모두 전자기기(300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모드를 '일반 모드'라고 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mode in which only a partial area of the target medium 1000 is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be referred to as an 'enlargement mode', and the entire area of the target medium 1000 . All of these modes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be referred to as 'normal mode'.

전자기기(3000)는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일반 재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고, '확대 재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operate in the 'general reproduction mode' or the 'enlarged reproduction mode' in order to reproduce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현재 전자기기(3000)의 표시 모드가 '일반 모드'인지 '확대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3000)는, 전자기기(3000)의 표시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에는, 전술한 '일반 재현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고, 전자기기(3000)의 표시 모드가 '확대 모드'인 경우에는, 전술한 '확대 재현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mode of the current electronic device 3000 is the 'normal mode' or the 'magnification mode', and reproduces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can be operated by selecting the mode for That is, when the display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is the 'normal mode',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produces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normal reproduction mode',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 When the display mode of is 'enlarged mode', the user's handwriting may be reproduc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nlarged reproduction mode'.

이와 같이, 선택적으로 재현 모드가 설정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연산량이 더 많아지는 '확대 재현 모드'는 화면이 확대되어 표시되는 경우에만 적용하고, 화면이 확대되어 표시되고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대적으로 연산량이 더 적은 '일반 재현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필기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In this way, when the reproduction mode is selectively set and operated, the 'magnified reproduction mode', in which the amount of computation is relatively higher, is applied only when the screen is enlarged and display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the 'normal reproduction mode', which requires less computation, so that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s can be reproduced in real time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4.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14. Replay of Written Content #1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한 펜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엄(1000)에 필기하고 있는 내용을 추후에 리플레이하여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사항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리플레이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later replay the content that the user is taking notes on the medium 1000 to display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Hereinafter, a method of replaying and displaying items that the user is taking notes on the display in real time will be described.

이하의 설명을 위하여, 전자펜(2000)과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전자펜(2000)을 이용하여 대상 미디엄(1000)에 필기한 사항에 관한 펜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onic pen 2000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ceive and store pen data related to notes written on the target medium 1000 by the user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 do.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리플레이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ct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for replaying the user's handwriting has occurred.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는 사용자의 요청일 수 있다. 즉,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필기 내용에 대한 리플레이를 요청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상기 전자기기(30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기 내용에 대한 리플레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3000)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내용의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event may be a user's request.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UI) through which the user can request a replay of the handwritten conten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and the user may take notes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replay of the content may be requested, and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at a predetermined event has occurred, and may perform a replay operation of the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는, 상기 전자기기(3000)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혹은 상기 전자기기(3000)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요청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edetermined event may be a request of an operating system (OS)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anothe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00 .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에 대한 도달'이라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자기기(3000)는 현재 시각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의 '특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전술한 예와 같이 '시간'에 대한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edetermined event may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of 'arrival at a specific time' is se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onitors the current time,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time' of the predetermined condition has been reached, and arrives at the time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a predetermined event has occurred, and a replay operation for the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dition for 'time' as in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set in various forms.

전자기기(30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면, 필기 내용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target content for performing a replay operation on the handwritten content.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에는, 사용자가 전자펜(2000)을 이용하여 미디엄(1000)에 필기한 내용들에 대한 펜데이터가 모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필기 내용들 중,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대상 필기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만약 대상 미디엄(1000)이 노트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경우, 전자기기(3000)는 해당 노트의 복수의 페이지에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을 모두 펜데이터 형태(혹은, 스트로크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전자기기(3000)는 복수의 페이지 중 어느 페이지(하나의 페이지 혹은 복수의 페이지)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혹은, 동일한 페이지 내에서도 페이지의 어떠한 특정 영역에 필기된 내용에 대해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lectronic device 3000 , pen data for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on the medium 1000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may be all stored, and among these writing contents, a replay operation may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to be performed. That is, if the target medium 1000 is provided in the same form as a note,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cords all of the notes written by the user on a plurality of pages of the note in the form of pen data (or stroke data form). may be stored, an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which page (one page or a plurality of pages) among a plurality of pages to perform a replay operation, or any specific page of the page even within the same pa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 replay operation on the content written in the area.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 대상 내용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를 고려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onsider the predetermined event in determining the replay target content.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사용자의 요청인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리플레이 대상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운영체제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인 경우, 해당 요청을 고려하여 상기 리플레이 대상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event is a user's request, the replay target conte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s anothe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event is a request from an operating system or another application, the replay target conten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est.

상기 리플레이 대상 내용이 결정되면, 리플레이 대상 구간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가 리플레이 대상 내용으로 노트의 특정 페이지를 리플레이 대상 구간으로 결정한 경우, 결정된 특정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복수의 스트로크들이 리플레이 대상으로 결정되며, 리플레이 대상 구간은 상기 복수의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 및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 사이의 시간적 관계에 의해서 정의된다. 이하에서,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 대해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When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determined, a replay target section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a specific page of the note as the replay target section as the replay target section, a plurality of strokes described in the determined specific page are determined as the replay target, and the replay target section includes the plurality of replay target sections. It is defined by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play target strokes and the replay target strokes. Hereinafter, the replay target se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플레이 대상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리플레이 대상 구간(replay section, RS)은, 스트로크 구간(stroke section,SS) 및 사이 구간(gap section, GS)을 포함한다. 특히, 도 16에는, 리플레이 대상 구간(RS)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구간(SS1, SS2, SS3, SS4) 및 제1 내지 제3 사이 구간(GS1, GS2, GS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play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6 , a replay section 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oke section SS and a gap section GS. In particular, FIG. 16 shows that the replay target section RS includes the first to fourth stroke sections SS1, SS2, SS3, SS4 and the first to third sections GS1, GS2, and GS3. has been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리플레이 대상 구간을 리플레이 대상을 사용자가 필기하는 데에 소요된 시간으로 정의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eplay target section is defined as the time taken for the user to take notes on the replay target.

즉, 리플레이 대상 구간은 리플레이를 요청하는 대상 필기 내용의 가장 첫 획을 사용자가 필기하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대상 필기 내용의 가장 마지막 획을 사용자가 필기를 종료한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을 리플레이 대상 구간이라 정의 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레이 대상 구간이 결정된 경우, 리플레이 대상 구간(RS)의 길이는, (t8-t1)이 된다.That is, the replay target section is defined as the replay target section as a time section from when the user starts writing the first stroke of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requesting replay to the time when the user finishes writing the last stroke of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do. For example, when the replay target section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16 , the length of the replay target section RS becomes (t8-t1).

스트로크 구간이라 함은, 사용자가 필기를 할 때, 하나의 스트로크를 입력할 때 소요된 시간으로 정의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트로크를 입력하기 위하여 대상 미디엄(1000)에 펜 다운되는 시점으로부터 대상 미디엄(1000)으로부터 펜 업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스트로크 구간이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1 스트로크 구간(SS1)의 길이는 (t2-t1), 제2 스트로크 구간(SS2)의 길이는 (t4-t3), 제3 스트로크 구간(SS3)의 길이는(t6-t5), 제4 스트로크 구간(SS4)의 길이는 (t8-t7)이다.The stroke section is defined as a time taken when a user writes notes or inputs one stroke.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time from the point of pen-down to the target medium 1000 to the point of pen-up from the target medium 1000 in order to input one stroke is defined as a stroke s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the length of the first stroke section SS1 is (t2-t1), the length of the second stroke section SS2 is (t4-t3), and the third stroke section ( The length of SS3 is (t6-t5), and the length of the fourth stroke section SS4 is (t8-t7).

사이 구간(GS)이라 함은, 사용자가 필기를 할 때, 하나의 스트로크를 입력한 후, 그 입력된 스트로크의 바로 뒤를 따르는 다른 스트로크를 입력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정의 한다. 즉, 입력이 완료된 스트로크의 펜 업 시점으로부터 그 다음 입력되는 스트로크의 펜 다운 시점까지의 시간을 사이 구간(GS)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1 사이 구간(GS1)의 길이는 (t3,t2), 제2 사이 구간(GS2)의 길이는 (t5-64), 제3 사이 구간(GS3)의 길이는 (t7-t6)이다.The interval GS is defined as the time from input of one stroke to input of another stroke immediately following the input stroke when the user takes notes. That is, the time from the pen-up time of the input stroke to the pen-down time of the next input stroke is defined as the interval G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the length of the first interval GS1 is (t3, t2), the length of the second interval GS2 is (t5-64), and the third interval ( The length of GS3) is (t7-t6).

사이 구간(GS)을 정의할 때, 두 개의 스트로크의 관계에 의해서 정의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 때, 사이 구간을 정의하기 위한 두 개의 스트로크는 리플레이 대상으로 결정된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들의 관계에 의해서면 결정되며,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스트로크들은 고려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트로크(스트로크 A)가 제1 영역(예를 들어, A노트의 x페이지)에 기록되고 사실상 그 다음 스트로크(스트로크 B)는 제2 영역(예를 들어, A노트의 y페이지)에 기릭된 후, 그 다음 스트로크(스트로크 C)가 제1 영역에 다시 기재된 경우, 리플레이할 대상 내용으로 x페이지만 선택이 되고 y페이지는 선택되지 않았다면, 스트로크 B는 리플레이할 대상 내용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술한 사이 구간(GS)을 정의하는 데에 고려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경우,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는, 스트로크 B에 의해 정의되는 스트로크 구간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트로크 A 및 스트로크 B 사이의 사이 구간 및 스트로크 B 및 스트로크 C 사이의 사이 구간도 정의되지 않으며, 스트로크 A 및 스트로크 C 사이의 사이 구간만 정의될 수 있다.When defining the interval GS, it was explained that it is def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rokes. Strokes that are determined in writing and are not included in the content for replay will not be considered. For example, one stroke (stroke A) is recorded in a first area (eg, page x of note A) and in effect the next stroke (stroke B) is written in a second area (eg, y of note A) page), if the next stroke (stroke C) is written again in the first area, if only page x is selected and page y is not selected, stroke B is included in the target content to be replayed Since it is not, it is not taken into account in defining the above-described interval GS. That is, in this case, the stroke section defined by the stroke B does not exist in the replay target section, and the section between the strokes A and B and the section between the strokes B and C are not defined. Only the interval between stroke A and stroke C can be defined.

이어서,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들에 대한 펜데이터를 메모리 모듈(3400)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펜데이터들에 기초하여 리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리플레이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을 리플레이 하는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로써, 스트로크들에 대한 펜데이터들을 샘플링하여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리플레이 데이터는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스트로크의 위치, 스트로크들 간의 표시 순서, 스트로크들을 표시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obtain pen data for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from the memory module 3400 , and may generate replay data based on the obtained pen data. The replay data is data generated to perform a replay operation of replay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ata generated by sampling pen data for strokes. In addition, the replay data may be interpreted as a very comprehensive meaning that includes stroke positions for displaying on a display, a display order between strokes, tim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strokes, and the like, when performing a replay operation.

전자기기(3000)는, 이어서, 리플레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then performs a rep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replay data.

이하에서는, 리플레이 동작에 대해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play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필기 내용의 리플레이 동작에 있어서,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은 리플레이 대상 내용을 사용자가 필기하는 데에 소요된 시간과 서로 다르다.In the replay operation of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lay time is different from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write the replay target content.

예를 들어, 리플레이 대상 내용으로 특정 페이지가 선택이 될 수 있고, 리플레이 대상 내용으로 선택된 특정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의 일부는 오전 10시에 작성될 수 있고, 상기 특정 페이지에 포함된 내용의 다른 일부는 오후 8시에 작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리플레이 대상 내용을 필기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은 10시간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필기 내용을 리플레이 할 때 해당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은 수분일 수 있다. 즉, 리플레이 대상 구간의 필기 소요 시간(리플레이 대상 구간의 길이)보다 상기 리플레이 대상 구간의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For example, a specific page may be selected as the replay target content, a part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pecific page selected as the replay target content may be written at 10:00 am, and another part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pecific page may be selected. can be written at 8 pm. In this case,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write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10 hours,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written content is replayed, the replay is played Time may be minutes. That is, the replay playback time of the replay target section may be shorter than the required writing time (the length of the replay target section) of the replay target section.

다른 예를 들어, 리플레이 대상 내용으로 특정 단어가 선택이 될 수 있고, 리플레이 대상 내용으로 선택된 특정 단어를 사용자가 실제로 기재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은 2초이지만, 해당 단어에 대한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은 2초 이상의 시간일 수 있다. 즉, 리플레이 대상 구간의 필기 소요 시간(리플레이 대상 구간의 길이)보다 상기 리플레이 대상 구간의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더 길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specific word may be selected as the replay target content, and the time it takes for the user to actually write the specific word selected as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2 seconds, but the playback time of the replay for the word is It may be more than 2 seconds. That is, the replay playback time of the replay target section may be longer than the required writing time (the length of the replay target section) of the replay target section.

(1) 스트로크 구간의 리플레이 재생 시간의 결정(1) Determination of replay playback time of stroke section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들의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replay replay time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와 리플레이 재생 시간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stroke length and replay dur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이 실제로 필기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을 고려하여,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replay replay time for each of the replay target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to be actually written.

도 17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플레이 대상 구간(RS)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play reproduction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replay target section RS as shown in FIG. 16 .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구간들(SS1, SS2, SS3, SS4)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리플레이 재생시간들(SR1, SR2, SR3, SR4)의 길이가 각각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구간들(SS1, SS2, SS3, SS4)의 길이에 비례하여 결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이 실제로 필기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lengths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replay playback times SR1 , SR2 , SR3 , and SR4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sections SS1 , SS2 , SS3 , and SS4 are respectively second. Wha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s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sections SS1, SS2, SS3, and SS4 is illustrated. As such,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to be actually written.

다만, 도 17에는,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각각의 스트로크 구간들의 길이에 비례하도록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결정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비례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간별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트로크들의 실제로 필기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을 구간별로 나누어 대응 시키고, 서로 다른 구간들에는 서로 다른 리플레이 재생시간을 대응시키는 방식에 따라서,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두 개의 스트로크들에 대해서, 실제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는 조금 상이하더라도 두 개의 스트로크들이 동일한 구간으로 분류되는 경우에, 상기 두 개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는,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만을 고려한 것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으나,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로크의 길이를 더 고려하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때, 스트로크의 길이를 고려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However, although FIG. 1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is determined so that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troke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each stroke section, it is not necessarily determined proportionally, an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ection is not necessarily 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according to a method in which the time required for the actual writing of each stroke is divided by section an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different replay playback time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sections, the replay playback time for each stroke is may be decided. That is, with respect to the two strokes, even if the length of the actual stroke period is slightly different, when the two strokes are classified as the same perio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two strokes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In addition, although FIG. 17 shows that only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is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troke, in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not only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is considered, but the stroke The replay playback time may be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length of . A method of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stroke when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달리,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에 대해서, 서로 동일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same replay replay time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이 실제로 필기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of the strokes to be replayed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strokes to be replayed to be actually written.

이때,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의 실제로 필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각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 각각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스트로크들에 대해서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pre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time as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of the replay object strokes, regardless of the time required to actually write the replay object strokes. That is, the replay replay time determined for all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may be the same.

도 18 및 도 19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플레이 대상 구간(RS)에 대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이다.18 and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eplay playback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replay target section RS as shown in FIG. 16 .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구간들(SS1, SS2, SS3, SS4)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리플레이 재생시간들(SR1, SR2, SR3, SR4)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결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이 실제로 필기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lengths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replay playback times SR1 , SR2 , SR3 and SR4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sections SS1 , SS2 , SS3 and SS4 are the same. What has been decided is shown. As such,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taken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to be actually written.

다만, 도 18에는,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모두 동일하게 결정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때, 스트로크의 길이를 고려하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스트로크의 길이를 고려하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스트로크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시간은 서로 달라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때, 스트로크의 길이를 고려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However, in FIG. 18 , in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trok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is equally determined without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at all, but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strok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may be determined, and when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strok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trok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method of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stroke when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18에는, 동일하게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시간 구간(time duration)'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하나의 '시점(time point)'로 결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sam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time is illustrated as a 'time duration' in FIG. 18 , th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time may be determined as one 'time point'.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구간들(SS1, SS2, SS3, SS4)의 스토로크들을 리플레이 할 때, 전자기기(3000)는 제1 시점에 제1 스트로크 구간(SS1)에 대응되는 스트로크를 한꺼번에 표시하고, 제2 시점에 제2 스트로크 구간(SS2)에 대응되는 스트로크를 한꺼번에 표시하고, 제3 시점에 제3 스트로크 구간(SS3)에 대응되는 스트로크를 한꺼번에 표시하고, 제4 시점에 제4 스트로크 구간(SS4)에 대응되는 스트로크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로크를 한꺼번에 표시한다는 말의 의미는, 스트로크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점들이 해당 시점에 한꺼번에 모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 when replaying the strokes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sections SS1 , SS2 , SS3 , and SS4 , the electronic device 3000 displays the first Th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stroke section SS1 are displayed at once, th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roke section SS2 are displayed at once at a second time point, and th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stroke section SS3 are displayed at the third time point. They may be displayed all at once, and the strokes corresponding to the fourth stroke section SS4 may be displayed at once at the fourth time point. Here, the meaning of displaying the stroke at once may be understood to mean that all points constituting the stroke are all displayed on the display at the same time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즉, 도 18에는, 각각의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점들이 결정된 리플레이가 진행됨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도 19는, 스트로크를 구성하는 점들이 한번에 한꺼번에 디스플에이에 표시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That is, Fig. 18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ints constituting each stroke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as the determined replay proceeds, and Fig. 19 shows that the dots constituting the strok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t once It relates to an embodiment.

이상,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와 그에 대하여 결정되는 리플레이 재생 시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스트로크의 길이(실제로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스트로크의 물리적인 길이)와 그에 따라 결정되는 리플레이 재생 시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an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determined therefor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stroke (the physical length of the stroke actually written by the user) an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determined accordingly will be described.

<스트로크의 길이와 리플레이 재생 시간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stroke length and replay du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의 길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lay time for each of the replay target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replay target strokes.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스트로크를 리플레이 하기 위하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다른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20 to 2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ome embodiments of determining a replay playback time to replay a stroke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S1, S2, S3, S4)가 대상 미디엄(1000)에 필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20 , it is shown that the first to fourth strokes S1 , S2 , S3 , and S4 are written on the target medium 1000 .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스트로크(S1)는, 도 16에 도시된 제1 스트로크 구간(SS1) 동안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것이고, 제2 스트로크(S2)는 도 16에 도시된 제2 스트로크 구간(SS2) 동안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것이며, 제3 스트로크(S3)는 도 16에 도시된 제3 스트로크 구간(SS3) 동안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것이고, 제4 스트로크(S4)는 도 16에 도시된 제4 스트로크 구간(SS4) 동안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것이라고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stroke S1 is written by the user during the first stroke section SS1 shown in FIG. 16 , and the second stroke S2 is the second stroke section shown in FIG. 16 . It is written by the user during SS2, the third stroke S3 is written by the user during the third stroke section SS3 shown in FIG. 16, and the fourth stroke S4 is shown in FIG. It is assumed that it is written by the user during the fourth stroke section SS4.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들(S1, S2, S3, S4)의 각각의 길이를 SL1, SL2, SL3, SL4라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SL4>SL1>SL3>SL2의 관계가 성립한다고 가정한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length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s S1 , S2 , S3 , and S4 is referred to as SL1 , SL2 , SL3 , and SL4 , and similarly as shown in the drawings, SL4>SL1 Assume that the relationship >SL3>SL2 holds.

여기서, 스트로크의 길이라 함은, 대상 미디엄(1000)에 사용자가 실제로 필기한 스트로크의 물리적인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이 때 길이는 절대적인 길이로 이해될 수도 있으나, 스트로크들 간의 상대적인 길이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length of the stroke may be understood to mean the physical length of the stroke actually written by the user on the target medium 1000 . However, in this case, the length may be understood as an absolute length, but may also be understood as a relative length between strokes.

이때,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들의 길이를 고려하여 스트로크들 각각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of the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s of the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들(S1, S2, S3, S4)에 대해, 본 발명의 몇몇 실실예들에 따라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도시하고 있다.FIG. 21 shows replay playback times determin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trokes S1 , S2 , S3 , and S4 included in the content to be replayed as shown in FIG. 20 .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들(S1, S2, S3, S4)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리플레이 재생시간들(SR1, SR2, SR3, SR4)의 길이가 각각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들(S1, S2, S3, S4)의 길이에 비례하여 결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이 실제로 필기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 the lengths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 replay replay times SR1 , SR2 , SR3 and SR4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s S1 , S2 , S3 , and S4 are respectively the first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s of the to fourth strokes S1, S2, S3, and S4 are illustrated. As such,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to be actually written.

다만, 도 21에는,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각각의 스트로크들의 길이에 비례하도록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결정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비례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간별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트로크들의 필기된 길이를 구간별로 나누어 대응 시키고, 서로 다른 구간들에는 서로 다른 리플레이 재생시간을 대응시키는 방식에 따라서,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두 개의 스트로크들에 대해서, 실제 스트로크의 필기된 길이는 조금 상이하더라도 두 개의 스트로크들이 동일한 구간으로 분류되는 경우에, 상기 두 개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1에는,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스트로크의 필기된 길이만을 고려한 것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으나,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스트로크의 필기된 길이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스트로크가 실제로 필기되는 데 소요된 시간)를 더 고려하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FIG. 2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is determined so that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troke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each stroke, it is not necessarily determined proportionally, an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ection This may be decided. For exampl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trok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method in which the written length of each stroke is divided into sections an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different replay reproduction time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sections. That is, with respect to the two strokes, even though the actual stroke lengths are slightly different, when the two strokes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section,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two strokes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In addition, although FIG. 21 shows that only the written length of the stroke is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replay playback time for each stroke, only the written length of the stroke is not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replay playback time. , as described above, the replay playback time may be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stroke to be actually written).

이와 달리,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에 대해서, 스트로크들의 필기된 길이와 무관하게, 서로 동일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의 필기된 길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same replay replay time with respect to the replay target strokes, regardless of the written length of the strokes.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stroke without considering the written length of the replay target strokes.

도 22 및 도 23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에 대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이다.22 and 2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eplay reproduction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as illustrated in FIG. 20 .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들(S1, S2, S3, S4)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 리플레이 재생시간들(SR1, SR2, SR3, SR4)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결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의 필기된 길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first to fourth stroke replay playback times SR1 , SR2 , SR3 , and SR4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s S1 , S2 , S3 , and S4 have the same length. Determination is shown. In this wa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replay target strokes without considering the written length of the replay target strokes at all.

한편, 도 22에는, 동일하게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시간 구간(time duration)'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하나의 '시점(time point)'로 결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sam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time is illustrated as a 'time duration' in FIG. 22, th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time may be determined as one 'time point'.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스트로크들(S1, S2, S3, S4)의 스토로크들을 리플레이 할 때, 전자기기(3000)는 제1 시점에 제1 스트로크(S1)에 대한 리플레이를 한꺼번에 표시하고, 제2 시점에 제2 스트로크(S2)에 대한 리플레이를 한꺼번에 표시하고, 제3 시점에 제3 스트로크(S3)에 대한 리플레이를 한꺼번에 표시하고, 제4 시점에 제4 스트로크(S4)에 대한 리플레이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 , when replaying the strokes of the first to fourth strokes S1 , S2 , S3 , and S4 , the electronic device 3000 performs the first stroke at the first time point. The replay for (S1) is displayed at once, the replay for the second stroke (S2) is displayed at a time at a second time point, the replay for the third stroke (S3) is displayed at a time at the third time point, and a fourth time point is displayed. The replay for the fourth stroke S4 may be displayed at once.

(2) 사이 구간의 리플레이 재생 시간 결정(2) Determination of replay playback time in the interval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들 사이에 존재하는 사이 구간의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replay reproduction time of an interval between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을 사용자가 실제로 필기할 때,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사이의 실제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각각의 사이 구간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사이 구간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전술한스트로크 구간의 길이를 고려하거나 혹은 고려하지 않고 스트로크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과 거의 유사하므로 간략한 설명만 한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actually writes the replay target strokes,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the replay playback time for each interval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time interval between the stroke and the stroke. ca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inter-section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stroke section with or without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y are similar, only a brief description is provided.

이에 대해, 다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9 .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사이 구간들(GS1, GS2, GS3) 각각에 대한 제1 내지 제3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시간들(GR1, GR2, GR3)의 길이가 각각 제1 내지 제3 사이 구간들(GS1, GS2, GS3)의 길이에 비례하여 결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을 재생함에 있어서, 스트로크와 스트로크의 사이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실제로 필기하면서 발생한 스트로크와 스트로크들 사이의 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lengths of the first to third replay playback times GR1 , GR2 , and GR3 for each of the first to third sections GS1 , GS2 and GS3 are respectively the first to second It is shown that i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s of the sections GS1 , GS2 , and GS3 between 3 . In this way,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produces the content to be replaye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interval between the stroke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trokes and the strokes that occur while actually taking notes.

다만, 사이 구간에 대해 결정되는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사이 구간의 길이에 대해 반드시 비례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간별로 나누어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determined for the inter-secti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portionally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inter-section, and may be determined separately for each section.

이와 달리, 전자기기(30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레이 대상 사이 구간들에 대해서, 서로 동일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들이 실제로 필기되는 데에 소요된 시간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각각의 스트로크들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8 ,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same replay replay time for sections between replay targets.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each of the strokes to be replayed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strokes to be replayed to be actually written.

(3) 리플레이 재생 속도 및 그에 기초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의 결정(3) Determination of replay replay speed and replay replay time based thereon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3000)는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lay replay speed for the user's handwriting may be determined,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play replay speed, the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replay operation for .

전자기기(3000)는, 선택된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 포함된 스트로크의 수를 고려하여,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roduction spe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selected replay target section.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 적어도 제1 미리 정해진 조건 및 제2 미리 정해진 조건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선택된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 포함된 스트로크의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스트로크의 수가 제1 미리 정해진 조건 이하인 경우, 제1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응되어 있는 제1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상기 선택된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속도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확인된 스트로크의 수가 제1 미리 정해진 조건 초과 제2 미리 정해진 조건 이하인 경우, 제2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응되어 있는 제2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상기 선택된 리플레이 대상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3000)는 제1 미리 정해진 조건 및 제2 미리 정해진 조건 보다 더 많은 미리 정해진 조건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미리 정해진 조건들 각각에는 미리 정해진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stores at least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condition in advance, checks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selected replay target section,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checked strokes in the first advance.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r less, the first replay reproduc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replay reproduction speed for the selected replay target section, or the number of the checked strokes exceeds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second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r less, the second replay reproduc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replay reproduction speed for the selected replay target sec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tore more predetermined condition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condition, and a pre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speed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conditions.

상기 제1 미리 정해진 조건이 상기 제2 미리 정해진 조건 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제1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응되는 제1 리플레이 재생 속도는 상기 제2 미리 정해진 조건에 대응되는 제2 리플레이 재생 속도 보다 더 느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미리 정해진 조건이 100개이고, 상기 제2 미리 정해진 조건이 200개인 경우, 상기 제1 미리 정해진 리플레이 재생 속도는 상기 제2 미리 정해진 리플레이 재생 속도보다 더 느릴 수 있다.When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is small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condition, a first replay reproduc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slower than a second replay reproduc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determined condition. can For example, when the first predetermined condition is 100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condition is 200, the first pre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speed may be slow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speed.

전자기기(3000)는,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스트로크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 및 사이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a stroke section and a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an interval between strokes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speed.

제1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제2 리플레이 재생 속도 보다 더 빠른 경우,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제1 리플레이 재생속도일 때 결정되는 스트로크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제2 리플레이 재생 속도일 때 결정되는 스트로크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 보다 더 짧을 수 있다.When the first replay playback speed is faster than the second replay playback speed, the stroke section replay playback time determined when the determined replay playback speed is the first replay playback speed is determined when the determined replay playback speed is the second replay playback speed The stroke section may be shorter than the replay playback time.

유사하게, 제1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제2 리플레이 재생 속다 보다 더 빠른 경우,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제1 리플레이 재생 속도일 때 결정되는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은,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제2 리플레이 재생 속도일 때 결정되는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 보다 더 짧을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first replay playback speed is faster than the second replay playback speed, the interval replay playback time determined when the determined replay playback speed is the first replay playback speed is, the determined replay playback speed is the second replay playback speed It may be shorter than the interval replay playback time determined when .

재생 속도에 기초하여 스트로크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와 재생 속도에 기초하여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속도가 더 빨라졌을 때, 스트로크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더 짧게 결정함과 동시에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더 짧게 결정할 수도 있으나, 스트로크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 및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 중 어느 하나만을 더 짧게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roke section replay playback time based on the playback speed an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inter-section replay playback time based on the playback speed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determined to be shorter and the inter-section replay reproduction time may be determined to be shorter, but only one of the stroke-section replay reproduction time and the inter-section replay reproduction time may be determined to be shorter.

(4) 리플레이의 전체 재생 시간의 결정 및 리플레이 동작(4) Determination of the total playing time of the replay and the action of the replay

이어서, 전자기기(3000)는, 선택된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들 및 스트로크들 사이에 존재하는 사이 구간들 각각에 대해, 전술한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 사이 구간의 길이, 스트로크의 필기된 길이 및 재생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재생 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선택된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대한 전체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for each of the strokes included in the selected replay target content and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strokes, the above-described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the length of the inter-section, and the written length of the stroke. and a playback tim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layback speed to determine a total playback time for the selected replay target content.

이어서,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에 따라서, 전자기기(3000)는, 선택된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Th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play replay time, the electronic device 3000 performs a replay operation on the selected replay target content.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리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in which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are replayed through th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기기(30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을 전술한 바에 따라 결정된 스트로크 구간 및 사이 구간들에 대해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스트로크들을 리플레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quentially replay the strokes of the user's handwritten content as shown in FIG. 20 , based on the replay replay time determined for the stroke section and the sections between the stroke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만약, 도 21 또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 사이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시간 구간'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기기(3000)는, 결정된 상기 제1 스트로크 재생 시간(SR1) 동안 제1 스트로크(S1)를 구성하는 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 24의 (a)와 같은 화면이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기기(3000)는 결정된 제1 사이 구간 리플레이 시간(GR1) 동안 도 24의 (a)와 같은 화면을 유지하고, 이어서 결정된 상기 제2 스트로크 재생 시간(SR2) 동안 제2 스트로크(S2)를 구성하는 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도 24의 (b)와 같은 화면이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3 및 제4 스트로크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f,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or FIG. 22 , when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stroke section an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interval section are determined as the 'time sec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the determined first stroke Points constituting the first stroke S1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during the reproduction time SR1 , and as a result, a screen as shown in FIG. 24 ( a )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Subsequent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intains the screen as shown in (a) of FIG. 24 for the determined first interval replay time GR1, and then performs a second stroke S2 during the determined second stroke replay time SR2. The points constituting the ?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and as a result, a screen as shown in FIG. 24 (b)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In a similar manner, replay operations for the third and fourth strokes may be performed.

한편,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시점'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기기(3000)는, 상기 제1 시점에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 후, 결정된 제1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GR1) 동안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유지하고, 제2 시점에 도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 후, 결정된 제2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GR2) 동안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3 및 제4 스트로크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 when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stroke section is determined as the 'time point', the electronic device 3000 displays the screen as shown in FIG. 24 (a) at the first time point. After displaying on the display, the screen as shown in (a) of FIG. 24 is maintained for the determined first interval replay playback time GR1, and at the second time point, as shown in (b) of FIG. After displaying the same screen through the display, the screen as shown in (b) of FIG. 24 may be maintained for the determined second interval replay reproduction time GR2. In a similar manner, replay operations for the third and fourth strokes may b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스트로크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에 비례하여 스트로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경우, 사이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도 사이 구간의 길이에 비례하여 사이 구간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도 17에 도시되어 있으며,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와 무관하게 스트로크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동일하게 결정하는 경우, 사이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도 사이 구간의 길이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결정되는 것으로 도 18에 도시되어 있으나, 스트로크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동작과 사이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동작은 서로 독립된 것으로써, 반드시 도 17 및 도 18 등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트로크 구간에 대한 리플레이 재생 시간이 스트로크 구간의 길이에 의존적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도, 사이 구간에 대한 리플렐이 재생 시간은 사이 구간의 길이와 무관하게 결정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In the above, the replay operation for the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stroke section, when the stroke replay reproduction time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interval is also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interval It is shown in FIG. 17 to determine the replay replay time between sections, and when the stroke replay replay time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the replay replay time for the inter section is also irrespective of the length of the section Although it is shown in FIG. 18 as being determined identically,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stroke section and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interval section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must be shown in FIGS. 17 and 18, etc. It is not limited to the bar, and even when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for the stroke section is determined dependently on the length of the stroke sec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play playback time for the interval section is determined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interval section is also possible, and the The opposite is also true.

5.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25. Replay of Written Content #2

이하에서는,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한 펜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미디엄(1000)에 필기하고 있는 내용을 추후에 리플레이하여 전자기기(30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필기하고 있는 사항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에 리플레이하여 표시하는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play the content that the user is taking notes on the medium 1000 later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 can Hereinafter, another method of replaying and displaying the notes that the user is taking notes on the display in real time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도, 이하의 설명을 위하여, 전자펜(2000)과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전자펜(2000)을 이용하여 대상 미디엄(1000)에 필기한 사항에 관한 펜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Hereinafter, 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electronic pen 2000 a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ceive and store pen data related to notes written on the target medium 1000 by the user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and assume that there is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리플레이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ct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for replaying the user's handwriting has occurred. Since the predetermined event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어서,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필기한 내용들 중 리플레이 하고자 하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리플레이 대상 내용 및 리플레이 대상 내용의 결정에 대해서도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n, th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the replay target content to be replayed from among the notes written by the user. Since the determination of the replay target content and the replay target content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이 결정된 후,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after the content to be replayed is determine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heck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and determine the replay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based on the checked number of strokes.

전자기기(3000)는, 확인된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단위 시간 당 리플레이 재생을 할 스트로크의 개수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1초 동안 리플레이 재생을 할 스트로크의 개수를 4개로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1초 동안 리플레이 재생을 할 스트로크의 개수를 2개로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1초 동안 리플레이 재생을 할 스트로크의 개수를 8개로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re-store the number of strokes to be replayed per unit time in order to determine the replay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based on the checked number of strokes.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re-store the number of strokes to be replayed to four for one second.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re-store the number of strokes to be replayed to two for one second.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re-store the number of strokes to be replayed for one second to eight.

전자기기(3000)는, 확인된 스트로크의 개수와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재생을 할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플레이 대상으로 결정된 내용에 총 100개의 스트로크가 포함되어 있고, 1초 동안 리플레이 재생을 할 스트로크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은 100(개)/4(개/초)=25(초)로 결정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based on the checked number of strokes and the number of strokes to be replayed per unit time. For example, if a content determined as a replay target includes a total of 100 strokes and the number of strokes to be replayed for 1 second is 4, the playback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is 100 (pieces)/4 (pieces/ seconds) = 25 (seconds).

즉, 전자기기(3000)에 의해 결정되는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은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에 비례적으로 결정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로크의 개수가 100개이고, 미리 정해진 초당 재생 스트로크의 개수가 4개인 경우에는, 25초로 재생 시간이 결정될 수 있으나, 스트로크의 개수가 200개로 확인된 경우, 50초로 재생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That is,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determined b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strokes is 100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layback strokes per second is 4, the playback time may be determined as 25 seconds, but when the number of strokes is confirmed to be 200, the playback time may be determined as 50 seconds. there is.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가 N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 동안 재생되는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의 개수가 M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전자기기(3000)에 의해 결정되는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은 N/M*(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로 결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which is the target of the replay operation, may be defined as N, and the number of predetermined strokes reproduced for a predetermined unit time. may be defined as M.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determined b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be determined as N/M* (predetermined unit time).

한편, 전술한 예에서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의 N배인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스트로크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의 배수가 안인 경우에 대해서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xample, only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N times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predetermined unit tim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Embodiments of determining the reproduction time of a replay for a case where the number is not a multiple will be described.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자기기(300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만약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가 102개이고,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가 4인 경우, 102(개)/4(개/초)=25.5(초)로 상기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time of the replay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if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102 and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predetermined unit time is 4, the replay is reproduced as 102 (pieces)/4 (pieces/sec) = 25.5 (seconds). Time can be determined.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가 N으로 정의되고, 1초 동안 재생되는 재생되는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의 개수를 M으로 정의되며, N을 M으로 나누었을 때 몫을 Q, 나머지를 R로 정의할 때, 상기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Q+1)(초)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가 102개이고,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가 4인 경우, 102를 4로 나눈 몫은 25이므로, 상기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25+1)=26(초)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other exemplary embodiments, in the electronic device 3000 ,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which is the target of the replay operation, is defined as N, and the number of predetermined strokes reproduced for 1 second is defined as N. is defined as M, and when N is divided by M, when the quotient is Q and the remainder is defined as R, the playback time of the replay can be determined as (Q+1) (seconds). That is, if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102 and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predetermined unit time is 4, the quotient obtained by dividing 102 by 4 is 25, so that the replay time of the replay is (25+1) = It can be decided as 26 (seconds).

정리하자면,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가 N으로 정의되고, 1초 동안 재생되는 재생되는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의 개수를 M으로 정의되며, N을 M으로 나누었을 때 몫을 Q, 나머지를 R로 정의할 때, 만약 R이 0이라면,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Q로 결정하고, 만약 R이 0이 아니라면(즉, R이 M보다 작은 정수라면),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Q+1)로 결정할 수 있다.In summary,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user's handwriting, which is the target of the replay operation, is defined as N, the number of the predetermined strokes reproduced for 1 second is defined as M, and N is divided by M. When defining the quotient as Q and the remainder as R, if R is 0,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as Q, and if R is not 0 (ie, R is greater than M) If it is a small integer),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as (Q+1).

다만, 이와 같은 경우,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은 스트로크의 개수에 대하여 비례적으로 결정될 수는 있으나, 완전히 비례하여 결정되지는 않는다. 즉, 스트로크의 개수가 100인 경우와, 스트로크의 개수가 200개인 경우에는,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이 2배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스트로크의 개수가 101개인 경우와, 스트로크의 개수가 102개인 경우 및 스트로크의 개수가 103개인 경우에는 상기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이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5를 참조하면,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가 4인 경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리플레이의 재생 시간이 결정될 때, 스트로크의 개수와 리플레이 재생 시간과의 관계를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may be determined proportionally to the number of strokes, but is not determined completely proportionally. That is, when the number of strokes is 100 and the number of strokes is 200, the replay time may be doubled, but when the number of strokes is 101, when the number of strokes is 102, When the number of strokes is 103,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may be equally determined.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replay time based on the number of strok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5 , when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is 4 , when the reproduction time of a replay is determin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replay reproduction tim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한편, 전자기기(3000)는, 하나의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저장하고 있기 보다는, 복수의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따라서, 적절한 복수의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tore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rather than storing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an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event, an appropriate plurality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You can determine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또한,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3000)가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speed of the replay operation. There are various method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the replay speed of the replay operation.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속도를 상기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플레이 동작에 대한 재생 속도를 별도로 요청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재생 속도에 따라서 상기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3000)의 운영 체제 혹은 상기 전자기기(3000)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리플레이 동작에 대한 재생 속도를 별도로 요청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3000)는, 상기 운영체제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요청한 재생 속도에 따라서 상기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speed of the rep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event. The user may separately request a replay speed for a replay operation.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replay speed according to the replay speed requested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operating system of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another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parately request the replay speed for the replay operation.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 the replay playback spe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layback speed requested by the operating system or the application.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속도를 상기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replay speed of the replay operation based on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도 2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에 따라서 리플레이의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a replay speed of a repla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a replay target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를 참조하면, 스트로크의 개수에 따라서 복수 개의 구간이 나누어져 있고, 각 구간 마다 미리 정해진 재생 속도가 대응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기기(3000)는,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테이블을 메모리 모듈(3400)에 미리 저장해 놓고,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전체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스트로크의 전체 개수에 따라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로크의 개수에 따른 구간이 500개 단위로 결정되는 경우,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가 1개 이상 500개 미만인 경우에는 1배속으로 상기 리플레이의 재생속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가 500개 이상 1000개 미만인 경우에는 2배속으로 상기 리플레이의 속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구간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리플레이의 재생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 it is illustrated that a plurality of section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and a predetermined reproduction speed is associated with each sec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stores the table shown in FIG. 26 in the memory module 3400 in advance, checks the total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and according to the confirmed total number of strokes, in advance By referring to the stored tab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play playback speed. For example, when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okes is determined in units of 500, when the number of replay target strokes is 1 or more and less than 500, the replay speed of the replay may be determined at 1x speed, and the replay target stroke is 500 When the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0, the speed of the replay may be determined at double speed, and the replay speed of the replay may be similarly determined for a sec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1000.

이때,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는 해당 리플레이 동작에 대하여 기본 재생 속도로 결정될 수 있으며, 결정된 기본 재생 속도는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즉,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의 개수가 300개인 경우에는, 1배속이 추천 리플레이 속도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으며,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의 개수가 700개인 경우에는, 2배속이 추천 리플레이 속도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ermined replay playback speed may be determined as a basic playback speed for a corresponding replay operation, and the determined basic playback speed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That is, when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300, 1x speed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as the recommended replay speed, and when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700, double speed is recommended I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at the replay rate.

이와 같이, 리플레이 재생 속도가 결정된 후, 전자기기(3000)는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after the replay reproduction speed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based on th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speed.

도 2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는 리플레이 재생 속도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according to a replay reproduction spe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을 참조하면, 재생 속도 각각에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가 대응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기기(300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메모리 모듈(3400)에 미리 저장해 놓고,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에 따라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 속도가 1배속인 경우, 상기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1초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는 4개로 대응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재생 속도가 2배속인 경우, 상기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1초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는 8개로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it is illustrated that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corresponds to each reproduction speed. The electronic device 3000 pre-stores the table as shown in FIG. 27 in the memory module 3400,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by referring to the pre-stored tab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speed. can For example, when the replay speed is 1x,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second) may correspond to 4, and when the replay speed is 2x,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The number of strokes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second) may correspond to eight.

이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As such,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play reproduction speed.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리플레이 대상 내용이 결정된 후, 사용자의 요청, 운영 체제의 요청, 어플리케이션의 요청, 혹은 리플레이 대상 내용에 포함된 스트로크의 개수 등에 기초하여,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replay target content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produces a replay operation based on a user request, an operating system request, an application request, or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replay target content. You can decide the time.

이어서, 전자기기(3000)는, 결정된 리플레이 동작 재생 시간 등에 따라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3000 performs a rep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play operation replay time and the like.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때, 한번에 하나의 스트로크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performing the replay opera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erform the replay operation so that one strok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t a time.

도 2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 replay operation on a user's handwriting,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특히 상기 1초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가 4개인 경우에 리플레이 대상 스트로크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28을 참조하면, 0.25초 간격으로 스트로크 하나씩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제1 스트로크가 0초에서 0.25초 사이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0초에 모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해,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가 결정되면, 리플레이 동작 수행 시,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사이의 표시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상기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때, 한번에 하나의 스트로크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하나씩 표시되도록 상기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IG. 28 shows the timing at which the replay target strok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especially when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second is 4, and referring to FIG. 28, it can be seen that one strok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t 0.25 second intervals.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stroke is not displayed sequentially between 0 seconds and 0.25 seconds, but is displayed all at once at 0 second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is determined, when the replay operation is performed, the stroke and the display interval between the strokes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the replay opera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erform the replay operation so that one strok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ne at a time.

또는, 스트로크 전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간은 하나의 특정 시점에 이루어지는 대신,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사이의 표시 간격(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 0.25초)보다 매우 짧은 시간 간격 동안 스트로크 전체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entire stroke may be displayed for a time interval that is much shorter than the display interval between strokes (for example, 0.25 seconds in the example above) instead of at one specific point in time when the entire strok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ll be.

다만,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한번에 두 개 이상의 스트로크가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형태로 리플레이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wo or more strokes at a time may be replayed in a form displayed on the display at the same time.

한편, 전자기기(3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 및 결정된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에 기초하여,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던 중, 미리 정해진 다른 이벤트에 따라서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hange the replay playback speed according to another predetermined event while performing the replay oper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replay playback speed and the determined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재생 중인 리플레이 재생 속도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재생 중인 리플레이 재생 속도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request a change in the playback speed of the currently playing replay, and the operating system or another application may request the change of the currently playing replay playback speed.

이와 같은 경우, 전자기기(30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다른 이벤트에 따라서, 리플레이 재생 속도를 변경하고, 변경된 리플레이 재생 속도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수를 변경한 후, 변경된 단위 시간당 리플레이 스트로크의 수에 따라서 나머지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changes the replay replay speed according to the other predetermined event, changes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based on the changed replay replay speed, and then changes the number of replay strokes per unit time Accordingly, the remaining replay operations may be per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리플레이 하게 되면, 사용자의 필기 시의 타이밍과 리플레이 재생 시의 타이밍이 서로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리플레이 되지는 않지만, 보다 더 빠른 시간 안에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여 리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handwriting is replayed, the timing of the user's handwriting and the timing of the replay reproduction are not temporally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but the replay is faster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replay by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within time occurs.

6. 필기 내용의 캡처
6. Capture of handwriting

전자 기기(3000)는 전자 펜(2000)에 의해 필기된 필기 내용을 캡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3000)는 전체 필기 내용 중 캡처하고자 하는 특정 부분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체 필기 내용 중 특정 부분을 선택적으로 캡처할 수 있다. 또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에게 전체 필기 내용 중 어떤 부분이 캡처를 위해 선택된 부분인지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apture the handwritten content written by the electronic pen 2000 . Here, the electronic device 300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pecific part to be captured among the entire handwriting content, and through this, a specific part of the entire handwriting content can be selectively captured.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user interface for checking which part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is selected for capturing.

전자 기기(3000)는 전체 필기 내용 중 캡처하고자 하는 부분(이하 ‘대상 필기 내용’이라 함)을 판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portion to be captu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rget writing content') among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 기기의 캡처 동작 시 전체 필기 내용 및 대상 필기 내용에 관한 도면이다. 29 is a view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nd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during a captur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전체 필기 내용이란 리플레이를 통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임의의 필기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3000)가 미디엄(1000)의 페이지 단위로 끊어서 필기 내용을 재생하는 경우에 전체 필기 내용(A)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지에 기재된 모든 필기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단일 페이지에 필기된 필기 내용이 필요에 따라 분할되어 재생되는 경우에는 해당 페이지 내의 필기 내용 중 일부만이 전술한 전체 필기 내용에 해당할 수 있으며, 또 한번에 복수 매의 페이지에 필기된 필기 내용이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경우에는 그 복수 매의 페이지들에 기재된 필기 내용 모두가 전체 필기 내용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may mean any handwritten content that can be continuously reproduced through replay.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produces the handwritten content by breaking it in page units of the medium 1000 ,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 may include all the handwritten content written on the corresponding page as shown in FIG. 29 . can Of course, when the handwritten content written on a single page is divided and reproduced as needed, only a part of the handwritten content in the corresponding page may correspond to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described above, and the handwritten content written on a plurality of pages at once may be reproduced. When continuously reproduced, all of the handwritten contents written on the plurality of pages may correspond to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s.

또 여기서, 대상 필기 내용은, 전체 필기 내용의 일부 또는 그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필기 내용은 전체 필기 내용 중 연속되는 일련의 필기들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필기 내용으로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기 내용(T1)이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대상 필기 내용으로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기 내용(T1) 및 제2 필기 내용(T2)이 선택될 수 있다.
Also, here,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may include a part or the entirety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may include one or more portions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including a continuous series of handwritten notes. For example, as the target writing content, the first writing content T1 may be selected as shown in FIG. 29 .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9 , the first handwritten content T1 and the second handwritten content T2 may be selected as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전자 기기(3000)는 전체 필기 내용의 재생 구간 중 대상 구간을 설정하고, 전체 필기 내용 중 설정된 대상 구간에 대응되는 부분을 대상 필기 내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t a target section among the reproduction sections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nd determine a portion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t target section as the target writing content.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로부터 전체 필기 내용의 재생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from the user at least one viewpoint among the reproduction sections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nd set the target section based thereon.

예를 들어,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로부터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전체 필기 내용의 재생 구간 중 시작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을 대상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from the user, and accordingly set a section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time among the reproduction sections of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s the target section.

다른 예를 들면,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로부터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자 기기(3000)는 시작 시점으로부터 재생 구간의 끝까지를 대상 구간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재생 구간의 처음부터 종료 시점까지를 대상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시작 시점만 입력된 경우에는 전체 재생 구간의 끝이 종료 시점이 되고, 반대로 종료 시점만 입력된 경우에는 전체 재생 구간의 처음이 시작 시점이 되는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either a start time or an end time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t the target section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of the playback section or set the beginning to the end time of the playback section as the target section. That is, when only the start time is input, the end of the entire reproduction section becomes the end time, and when only the end time is input, the beginning of the entire reproduction section becomes the start time.

이와 달리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로부터 제외 구간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제외 구간을 설정하고, 전체 재생 구간 중 제외 구간을 뺀 나머지 구간을 대상 구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the exclusion section from the user, set the exclusion section based thereon, and set the remaining section excluding the exclusion section from among the entire reproduction section as the target section.

예를 들어,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로부터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전체 재생 구간 중 시작 시점으로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을 제외 구간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구간을 대상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from the user, and accordingly set the section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time among the entire playback section as an excluded section, and set the remaining sections as the target section. there is.

한편, 전자 기기(3000)는 서로 이격된 서로 이격된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시작 시점, 제1 종료 시점, 제2 시작 시점 및 제2 종료 시점을 입력받고, 제1 시작 시점으로부터 제1 종료 시점까지를 제1 대상 구간으로 설정하고 제2 시작 시점으로부터 제2 종료 시점까지를 제2 대상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t target s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ceives a first start time, a first end time, a second start time, and a second end time from the user, and sets the first target period from the first start time to the first end time. , and a second target section may be set from the second start time to the second end time.

이상에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입력받기 위하여 전자 기기(30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receive the at least one viewpoint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user interfaces.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30 to 32 are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3000)는 전체 필기 내용과 함께 프로그래시브 바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로그래시브 바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이에 기초하여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progressive bar together with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progressive bar, and set the target section based thereon.

여기서, 프로그래시브 바란 필기 내용을 재생할 때 그 재생의 진행과 연동되는 인디케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래시브 바(P)는 일반적으로 화면 하단에 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 그 형태가 반드시 도 30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progressive bar may mean an indicator that is linked with the progress of the reproduction when the handwritten content is reproduced. As shown in FIG. 30 , the progressive bar P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at the bottom of the screen, but the form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 30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프로그래시브 바가 표현하는 총 재생 시간은 리플레이에 따라 필기 내용이 재현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는 펜 데이터에 포함된 필기 시각, 필기 획수 및 인접한 필기 시각 간의 간격 등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reproduction time expressed by the progressive bar may correspond to the time at which the handwritten content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replay, which is based on the handwriting time included in the pen data, the number of handwritten strokes, and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handwriting times. can be determined

예를 들면, 프로그래시브 바에 따른 총 재생 시간은 해당 필기 내용의 첫 스트로크에 대한 펜 데이터의 필기 시각으로부터 마지막 스트로크의 펜 데이터의 필기 시각까지의 시간 간격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전자 펜(20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디엄(1000)에 필기한 시간과 프로그래시브 바에 따른 종 리플레이 시간은 동일하게 정해질 것이다.For example, the total reproduction time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bar may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time interval from a writing time of pen data for a first stroke of the corresponding handwritten content to a writing time of pen data of the last stroke. In this case, the time the user writes on the medium 1000 using the actual electronic pen 2000 and the longitudinal replay time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bar will be set to be the same.

다른 예로, 프로그래시브 바에 따른 총 재생 시간은 해당 필기 내용의 첫 스트로크에 대한 펜 데이터의 필기 시각으로부터 마지막 스트로크의 펜 데이터의 필기 시각까지의 시간 간격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후, 필기 순서 상 인접한 스트로크 간의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간격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시간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특정 스트로크가 수행된 필기 시각과 특정 스트로크의 다음 스트로크가 수행된 필기 시간의 시간 간격이 20초로 설정된 기준 간격보다 큰 경우에는 이를 5초의 시간 간격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그래시브 바에 따른 총 리플레이 시간은 전자 펜(20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미디엄(1000)에 필기한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otal playback time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bar is set to correspond to a time interval from the writing time of the pen data for the first stroke of the corresponding handwritten content to the writing time of the pen data of the last stroke, and thereafter, between adjacent strokes in the writing order. When the time interval is larger than the preset reference interval,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may be decreased. That is, when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writing time at which the specific stroke is performed and the writing time at which the next stroke of the specific stroke is performed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set to 20 seconds, it may be reduced to a time interval of 5 seconds. In this case, the total replay time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bar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the user actually took notes on the medium 1000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그래시브 바에 따른 총 재생 시간은 해당 필기 내용의 전체 스트로크 수(즉, 필기 획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즉, 리플레이 상의 1초에 3개의 스트로크를 대응시켜 총 300개의 스트로크로 이루어진 필기 내용에 대해서는 프로그래시브 바의 리플레이 시간을 100초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프로그래시브 바에 따른 총 리플레이 시간이 실제 필기 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otal reproduction time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ba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strokes (ie, the number of handwritten strokes) of the corresponding handwritten content. That is, the replay time of the progressive bar may be determined to be 100 seconds for the handwritten content composed of a total of 300 strokes by matching 3 strokes to 1 second on the replay. In this case, the total replay time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bar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writing time.

전자 기기(3000)는 이러한 프로그래시브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대상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래시브 바 상에서 두 지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기기(3000)는 앞의 지점을 시작 시점으로 뒤의 지점을 종료 시점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래시브 바 상에서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각각 식별하는 시작 인디케이터(I-1)와 종료 인디케이터(I-2)에 표시될 수 있다. 또 프로그래시브 바(P) 상에는 대상 구간(R)이 나머지 구간과 식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0과 같이 프로그래시브 바 상에서 원하는 지점을 터치하거나 마우스 클릭 등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 31과 같이 프로그래시브 바 상의 일 지점으로부터 타 지점까지를 드래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기기(3000)는 드래그 된 구간을 대상 구간(R)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드래그된 구간 중 맨 앞이 시작 지점(I-1)이 되고 가장 뒤가 종료 지점(I-2)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입력에 따라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구간(R)에 대응되는 대상 필기 내용이 판단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도 32와 같이 프로그래시브 바(P)에서 이격된 둘 이상의 대상 구간(R-1, R-2)을 설정하여 복수의 대상 필기 내용(T-1, T-2)을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tting a target section from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such a progressive bar.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wo points on the progressive bar as shown in FIG. 30 , and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the front point as the start time and the rear point as the end time, Accordingly, the target section may be set. In this case, it may be displayed on the start indicator I-1 and the end indicator I-2 that respectively identify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n the progressive bar. In addition, the target section R may be displayed on the progressive bar P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emaining sections.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point on the progressive bar as shown in FIG. 30 or by clicking a mouse. Alternatively, the user may drag from one point to another point on the progressive bar as shown in FIG. 31 , an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t the dragged section as the target section R. That is, the front of the dragged section becomes the starting point (I-1) and the rearmost becomes the ending point (I-2). According to this input, as shown in FIGS. 30 and 31 , the target wri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ection R may be determin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2 , the user sets two or more target sections R-1 and R-2 spaced apart from the progressive bar P to determine a plurality of target writing contents T-1 and T-2. possible.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이다.33 to 35 are other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3000)는 필기 내용 전체를 디스플레이하고, 필기 내용 중 스트로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스트로크 간 선택된 경우 그 중 먼저 필기된 스트로크로부터 나중에 필기된 스트로크 사이의 스트로크들에 의한 필기 내용을 대상 필기 내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기기(3000)는 선택된 스트로크의 재생 시점을 대상 구간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으로 하여 대상 필기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nd set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troke from among the handwritten content. In more detail, when two strokes are selected, handwriting content by strokes between the first and later written strokes among them may be selected as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t the target writing content by setting the playback time of the selected stroke as the start time or the end time of the target section.

도 3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체 필기 내용 중 두 개의 스트로크(S-1, S-2)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그 두 스트로크와 그 사이의 스트로크들로 대상 필기 내용(T)이 정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 the user selects two strokes S-1 and S-2 from among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and accordingly,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T may be determined by the two strokes and the strokes therebetween. there is.

이와 달리 사용자는 도 3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전체 필기 내용 중 시작 스트로크(S-1)로부터 종료 스트로크(S-2)까지를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이들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자 기기(3000)는 두 스트로크(S-1, S-2)가 각각 선택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상 필기 내용(T)을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may select them by dragging from the start stroke S-1 to the end stroke S-2 among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s similarly to that shown in FIG. 34 , and even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target writing content T as in the case where the two strokes S-1 and S-2 are respectively selected.

또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도 35와 같이 복수의 대상 필기 내용을 선택하기 위해 복수의 대상 구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it is possible to set a plurality of target sections in order to select a plurality of target writing contents as shown in FIG. 35 using this method.

이와 같이 필기 내용 중 스트로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스트로크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특정 스트로크가 정확하게 선택되지 않더라도 전자 기기(3000)는 해당 사용자 입력을 받는 지점에 가장 가까운 스트로크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a stroke among the handwriting contents can accurately select the displayed stroke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ven if a specific stroke is not accurately selected, the electronic device 3000 determines that the stroke closest to th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is received is accurately selected. can be considered selected.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이다.36 and 37 are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전자기기(30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체 필기 내용을 동영상 형태로 재생하고, 그 재생 중 사용자 입력을 받아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시점을 시작 시점이나 종료 시점으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6을 살펴보면, “In the evening” 부분(U-1)까지 필기 내용의 재현이 진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 시점을 시작 시점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 도 37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secure” 부분(U-2)까지 재현이 진행된 상태에서 그 시점을 종료 시점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n the evening” 부분(U-1)부터 “secure” 부분(U-2)까지가 대상 구간으로 설정되어 대상 필기 내용(T)이 정해질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콘트롤 패널(C)의 시점 설정 버튼(B)을 선택하거나 정해진 클릭, 터치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가 있다. 여기서도 복수의 대상 구간, 대상 필기 내용이 선택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면에는 시점 설정 버튼(B)이 하나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버튼의 선택 순서에 따라 먼저 선택된 시간이 시작 시점이 되고 나중에 선택된 시간이 종료 시점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달리 시점 설정 버튼이 시작 시점 설정 버튼과 종료 시점 설정 버튼을 각각 포함하여 해당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각각의 시점이 정해지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produce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in the form of a moving picture through the display, and may receive a user input during the reproduction and obtain a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occurs as a start time or an end tim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6 , in a state in which the handwritten content is reproduced up to the “In the evening” part U-1, the user may input that time as the starting time.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7 , the user may input the time point as the end time point in a state in which reproduction has progressed up to the “secure” part U-2. Accordingly, from the “In the evening” part (U-1) to the “secure” part (U-2) is set as the target section, and the target writing content T may be determined. As shown in FIGS. 36 and 37 , this may be accomplished by selecting the viewpoint setting button B of the control panel C provided as a user interface, or by clicking or touching a predetermined poin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here to select a plurality of target sections and target writing contents. The figure shows that one time setting button (B)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rder of the buttons, the first selected time may be the start time and the later selected time may be the end tim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ime point setting button includes a start time setting button and an end time setting button, respectively, and each time point may be determined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button.

한편, 재생 중 시작 시점이나 종료 시점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전자기기(3000)는 일시적으로 재생을 중단하거나 또는 지속적으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start time or an end time occurs during reproduc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temporarily stop reproduction or continuously perform reprodu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 필기 내용을 판단할 수 있는데,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가 대상 필기 내용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 필기 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3000 can set the target section through a user input and can determine the target writing content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allows the user to easily select the target writing content,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at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s.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구간을 입력받기 위한 전체 필기 내용을 출력하는 화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전자기기(30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또는 대상 필기 내용의 판단이 완료되기 전에 필기 내용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체 필기 내용을 확인하면서 어느 부분을 켭처할 대상 필기 내용이 되도록 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다. 38 is a view of a screen for outputting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for receiving an input of a target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8 ,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before receiving the user's input or before determining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Accordingly, the user can determine which part is to be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to be turned on while checking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대상 필기 내용의 식별하는 화면에 관한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3000)는 대상 필기 내용이 판단되면, 대상 필기 내용을 다른 필기 내용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상 필기 내용과 나머지 필기 내용은 서로 상이한 디스플레이 속성(예를 들어, 명암, 색상, 폰트 종류, 폰트 형태, 폰트 사이즈 등)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도 4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3000)는 대상 필기 내용이 판단되면, 나머지 필기 내용은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대상 필기 내용만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39 and 40 are diagrams of a screen for identifying a target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9 , when the target writing content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target writing content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writing contents. In other words,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and the remaining handwritten content may be displayed with different display properties (eg, contrast, color, font type, font shape, font size, etc.). Also, referring to FIG. 40 , when the target writing content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only the target writing content on the screen without displaying the remaining writing content on the screen.

또 전자 기기(3000)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래시브 바 등에 대상 구간이 나머지 구간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으며, 프로그래시브 바 상에 대상 구간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9 and 40 ,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target sec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est of the section on a progressive bar or the like, and display the start and end times of the target section on the progressive bar. An indicator to be displayed can be displayed.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캡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4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자 기기(3000)는 이와 같이 판단된 대상 필기 내용을 캡처할 수 있다. 대상 필기 내용의 캡처는 이미지 형태의 캡처는 물론, 펜 데이터의 형태로 캡처하는 것도 가능하다. 펜 데이터 형태의 캡처란 대상 필기 내용을 별도의 펜 데이터로 저장하여 전자 기기(3000)나 다른 전자 기기(3000)에서 이를 이용하여 대상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apture the determined target writing content. Capturing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may be captured in the form of pen data as well as capturing in the form of an image. Capturing in the form of pen data may mean storing the target writing content as separate pen data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3000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3000 can use it to check the target writing content.

이미지 형태의 캡처에서는 전자 기기(3000)는 대상 필기 내용이 포함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에는 대상 필기 내용만이 포함되거나 또는 대상 필기 내용의 배경으로 미디엄 이미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캡처되는 이미지에는 대상 필기 내용 이외에 나머지 필기 내용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경우에는 대상 필기 내용이 나머지 필기 내용과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의 캡처는 대상 필기 내용의 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엄 이미지 상에 대상 필기 내용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생성되거나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캡처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In the image-type captur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generate an image including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Such an image may include only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or a medium image as a background of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In some cases, the captured image may include the remaining handwritten contents in addition to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s, and in this case,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s may be displayed in a form distinguishable from the remaining handwritten contents. Meanwhile, the capture of the image may take the form of capturing an image that is generated or displayed on a screen in a manner of writing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on a medium image using pen data of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한편, 전자 기기(3000)는 대상 필기 내용의 캡처하는 대신 또는 캡처와 함께 대상 필기 내용을 별도로 저장하거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3000)는 지정된 이메일로 대상 필기 내용이 캡처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parately store or transmit the target writing content to an external device instead of capturing the target writing content or together with the captur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transmit an image in which the target handwriting content is captured to a designated e-mail.

구체적으로,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리플레이 하게 되면, 사용자의 필기 시의 타이밍과 리플레이 재생 시의 타이밍이 서로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리플레이 되지는 않지만, 보다 더 빠른 시간 안에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여 리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handwriting is replayed, the timing of the user's handwriting and the timing of the replay reproduction are not replayed because the timing of the user's handwriting is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replay can be performed by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in a shorter time.

<전자 펜의 구조>
<Structure of Electronic P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와 캡부를 분해사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캡부를 본체부의 타측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4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body and the cap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3 is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ap provided to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serted into the .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은 미디엄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심부(2010), 상기 심부(2010)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2020)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심부를 보호하는 캡부(2030)를 포함할 수 있다.42 and 43 ,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part 2010 that enables writing on a medium, a body part 202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2010, and It may include a cap part 2030 that protects the core part in a non-use state.

여기서, 비사용상태라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을 보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심부(20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디엄에 필기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non-use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can mean

상기 심부(2010)는 미디엄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볼 및 잉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잉크는 유성, 수성 또는 중성 등 다양할 수 있다.The core 2010 is a component that enables writing on the medium, and may include a ball and ink, and the ink may be oil-based, water-based, or neutral.

또한, 상기 심부(2010)는 연필에 사용되는 흑심일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필기구에 사용되는 심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re 2010 may be a black lead used in a pencil or a lead used in a general writing instrument.

본체부(2020)는 상기 심부(20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심부(2010)를 위치 고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할 수 있는 일종의 그립부를 의미할 수 있다.The body part 2020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core part 2010 is ex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2010, and may refer to a type of grip part that a user can grip by hand.

캡부(2030)는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020)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여 상기 심부(2010)를 보호하도록 하는 소정의 내부공간(S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심부(2010)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필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p part 2030 may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S1 to protect the core part 2010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2020 in a non-use state.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a part of the core part 20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enable writing.

다만, 상기 캡부(2030)는 상기 심부(2010)에 의해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반드시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에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본체부(2020)와 분리되어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when writing is possible by the core part 2010 , the cap part 203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2020 , and is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2020 and has a predetermined space. It is free even if it is placed in

한편, 상기 본체부(2020) 및 상기 캡부(2030)는 횡방향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횡방향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2020 and the cap portion 203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transverse cross-section,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transverse cross-section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캡부의 내부 구성과 본체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5는 도 44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캡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4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p and a main body provided in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4, and FIG. 4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ap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또한,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다.
Also, FIG. 47 is a schematic front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은 캡부(2030) 및 심부(2010)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20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44 to 47 ,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2020 for fixing a position of a cap part 2030 and a core part 201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The ele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캡부(2030)는 본체부(2020)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S1)을 구비하는 수용부(2032)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2034)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p part 2030 includes a accommodating part 2032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S1 to accommodate one side of the main body 2020 and a position fixing part 2034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부(2034)는 반드시 상기 수용부(2032)의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수용부(2032)의 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Here, the position fixing part 2034 is not necessarily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32, for example,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32. do.

상기 캡부(2030)는 상기 위치고정부(2034)가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위치고정부(2034)의 외면과 상기 수용부(2032)의 바닥면을 서로 연결하는 강성보강부(20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ap part 2030 connects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on fixing part 203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2032 to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 fixing part 2034 is st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1. It may further include a rigidity reinforcing part 2036.

상기 강성보강부(2036)는 상기 위치고정부(2034)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일종의 보강 리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rigidity reinforcing unit 2036 ma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position fixing unit 2034 and may perform a kind of reinforcing rib function.

상기 수용부(2032)는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2034)는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과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의 삽입의 한계가 규정되도록 상기 내부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2020 is inserted, the receiving part 2032 may accommodate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2020. In this case, the position fixing part 2034 is the body part 2020. )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20 may be arranged in the inner space (S1) so that the limit of the insertion of the other side is defined.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부(2020)는 타측이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하여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단이 상기 위치고정부(2034)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삽입을 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의 상기 내부공간(S1)으로의 적절한 삽입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2020 is inserted toward the inner space S1,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2020 is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fixing part 2034 to prevent further inser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guide an appropriate insertion position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020).

여기서,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에는 전자펜(2000)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광발산부(2028, 도 4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위치고정부(2034)로 인해 상기 본체부(2020)의 타측의 상기 내부공간(S1)으로의 삽입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수용부(2032)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2038, 도 2 및 도 3 참조)로 상기 광발산부(202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Here, a light emitting part 2028 (refer to FIG. 43 )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electronic pen 2000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2020. Due to the position fixing part 2034, the main body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part 2020 into the internal space S1 is adjusted, and the light emitting part 2028 is formed through the accommodating part 2032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2038 (refer to FIGS. 2 and 3 ). )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장착공간(S2)은 본체부(2020)의 걸림부(2023)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2020)는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바디부(2024)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2034)가 장착되어 상기 캡부(2030)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부(2024)의 일측에 돌출되어 장착공간(S2)이 제공되도록 하는 걸림부(20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unting space S2 may be a space provided by the locking part 2023 of the body part 2020, and the body part 2020 is the body part 2024 that the user can grip and the position in the non-use state. A locking part 2023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2024 to provide a mounting space S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government 2034 is mounted and the cap part 2030 is fixed in position.

구체적으로, 걸림부(2023)는 바디부(2024)의 일측에 상기 바디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걸림부(2021) 및 상기 제1 걸림부(2021)와 이격되고 상기 바디부(202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제2 걸림부(20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걸림부(2021)와 상기 제2 걸림부(2022) 사이에는 소정의 장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part 2023 is a first locking part 2021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part on one side of the body 2024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part 2021 and the body part 2024. may include a second engaging portion 2022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 and a predetermined mounting space S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021 and 2022. .

상기 장착공간(S2)은 상기 위치고정부(2034)의 장착부(2033)가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2033)는 상기 수용부(2032)의 일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2031)의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mounting space S2 may be a space in which the mounting part 2033 of the position fixing part 2034 is mounted, and the mounting part 2033 is the inner space S1 from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2032 . It may be a component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2031 protruding toward the.

여기서, 상기 수용부(2032) 및 상기 바디부(2024)는 횡방향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횡방향 단면이 제K 각형(K는 3이상의 자연수)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2032 and the body portion 2024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transverse cross-section,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a K-th square (K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3) in the transverse cross-section. and may be formed in a tri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장착부(2033)는 상기 바디부(2024)가 상기 수용부(203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공간(S2)의 위치 변화에 상관없이 상기 장착공간(S2)에 장착되도록 상기 돌출부(2031)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부(2032)의 횡방향 단면의 꼭지점을 향해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2033 includes the protrusion 2031 to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S2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space S2 when the body 202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2032 . It may be form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32 toward the vertex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여기서, 꼭지점이라함은 일반적으로 다각형을 구성하는 선분이 만나는 교점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곡률반경이 최소인 지점도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Here, the vertex generally refers to an intersection where line segments constituting a polygon mee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arified that the concept includes a point having a minimum radius of curvature.

상기 장착부(2033)는 상기 돌출부(2031)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므로, 바디부(2024)가 수용부(2032)에 삽입되는 경우 어떻게 삽입하는지 상관없이 본 발명은 제1 걸림부(2021)와 제2 걸림부(20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공간(S2)에 장착부(2033)가 장착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Since the mounting portion 2033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203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irst locking portion 2021 regardless of how the body portion 202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032 . ) and the second locking part 2022, the mounting part 2033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S2 formed between the part, so that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장착부(2033a)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031a)의 단부로부터 원형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6 , the mounting portion 2033a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ular radial form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2031a.

심부(2010)는 바디부(2024)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디부(2024)의 횡방향 단면의 꼭지점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걸림부(2021) 및 제2 걸림부(2022)는 상기 바디부(2024)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선과 상기 심부(20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re portion 2010 may be eccentrically disposed from the center of the lateral cross-section of the body 2024 toward the vertex of the lateral cross-section of the body 2024,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2021 and the second engaging The portion 2022 may be formed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body portion 2024 and the core portion 2010 .

이로 인해, 장착부(2033)가 장착되는 장착공간(S2)도 상기 바디부(2024)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선과 상기 심부(2010) 사이에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심부(2010)로 미디엄에 필기를 진행하는 동안 외부 인자에 의한 제1 걸림부(2021) 및 제2 걸림부(2022)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상기 장착공간(S2)의 기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mounting space S2 in which the mounting part 2033 is mounted is also formed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body part 2024 and the core part 2010, so that the user writes on the medium with the core part 2010. During the process, damage to the first locking part 2021 and the second locking part 2022 due to external factors is minimize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mounting space S2 in advance.

도 48 및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의 일측에 캡부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48 and 49 are schematic sid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cap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을 비사용상태로 하여 보관하려는 경우, 본체부(2020)의 일측을 캡부(2030)에 삽입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8 , when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tored in an unused state, one side of the main body 2020 is inserted into the cap part 2030 .

이 경우, 본체부(2020)의 제1 걸림부(2021)는 캡부(2030)의 수용부(203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걸림부(2021)는 상기 제1 걸림부(2021)가 상기 수용부(203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2033)가 접촉된 후 상기 장착공간(S2)에 진입할 수 있도록 삽입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삽입경사면(2026)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locking part 2021 of the body part 202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2032 of the cap part 2030 , and the first locking part 2021 is the first locking part 2021 .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2032 , an insertion inclined surface 2026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may be provided to enter the mounting space S2 after the mounting part 2033 is in contact.

상기 삽입경사면(2026)은 상기 바디부(2024)가 상기 수용부(2032)에 삽입되는 경우, 장착부(2033)와 접촉되어 1차적으로 상기 바디부(2024)의 상기 수용부(2032)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일종의 1차 차단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body part 2024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2032 ,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202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ounting part 2033 to primarily insert the body 2024 into the accommodating part 2032 .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kind of primary barrier that limits the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2024)를 상기 수용부(2032)의 내부공간(S1)을 향하여 계속적인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장착부(2033)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경사면(2026)을 지나게 되어 최종적으로 장착공간(S2)에 장착되게 된다.Here, when the user continuously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body portion 2024 toward the inner space S1 of the receiving portion 2032, the mounting portion 2033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surface 2026 as shown in FIG. is finally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S2).

사용자의 계속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2033)가 상기 장착공간(S2)에 배치되면, 계속적인 외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바디부(2024)는 상기 수용부(2032)의 내부공간(S1)으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2차 차단벽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2 걸림부(202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mounting part 2033 is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S2 by the user's continuous external force, the body 2024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receiving part 2032 even when a continuous external force is applied. This may not be the case, and this may be implemented by the second locking part 2022 providing the function of the secondary blocking wall.

상기 제2 걸림부(2022)는 상기 바디부(2024)가 상기 수용부(203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2033)가 상기 장착공간(S2)을 초과하여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부(2033)와 면접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삽입 방향과 수직인 초과삽입방지면(2025)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art 2022 is the mounting part ( 2033) may be in surface contact, and specifically, an over-insertion prevention surface 2025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may be provided.

결국, 사용자의 계속적인 외력이 있더라도 장착부(2033)는 상기 초과삽입방지면(2025)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되므로, 장착공간(S2)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there is a user's continuous external force, the mounting portion 2033 is in contact with the over-insertion prevention surface 2025 to prevent further insertion, so that it can be stab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S2.

여기서, 상기 제2 걸림부(2022)의 단부는 상기 제1 걸림부(2021)의 단부보다 상기 바디부(2024)의 중심에 더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걸림부(2021)가 1차 차단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장착부(2033)가 지나가야 하는 구성요소인 반면, 제2 걸림부(2022)는 장착부(2033)가 지나가서는 안되는 2차 차단벽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Here, the end of the second locking part 2022 may be form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ody part 2024 than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part 2021, which means that the first locking part 2021 is This is because,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rimary blocking wall, it is a component through which the mounting unit 2033 must pass, while the second stopping unit 2022 has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secondary blocking wall through which the mounting unit 2033 must not pass. am.

상기 장착부(2033)가 상기 장착공간(S2)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장착공간(S2)을 규정하는 상기 제1 걸림부(2021)와 상기 제2 걸림부(2022) 사이의 바디부(2024)의 일면(2028)은 상기 장착부(2033)와 면접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2024)의 상기 수용부(2032)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mounting portion 2033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S2), the body portion 2024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02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022 defining the mounting space (S2). One surface 2028 of the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2033, specifically,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024 into the receiving portion (2032).

상기 장착공간(S2) 내에서 상기 장착부(2033)와 상기 바디부(2024)의 면접촉으로 인해, 상기 캡부(2030)와 본체부(2020)의 결합력을 증대될 수 있으며, 비이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캡부(2030)와 상기 본체부(2020)의 분리는 발생되지 않는다.Due to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part 2033 and the body part 2024 in the mounting space S2,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p part 2030 and the body part 2020 may be increased, and a non-ideal external force may not be applied. However, separation of the cap part 2030 and the body part 2020 does not occur.

한편, 상기 장착부(2033)가 장착공간(S2)에 장착된 상태에서, 즉, 전자펜(2000)의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전자펜(2000)을 필기를 하기 위한 사용상태로 변경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외력을 인가하여 캡부(2030)를 본체부(2020)로부터 분리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electronic pen 2000 from the non-use state to the use state for taking notes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unit 2033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S2, the user separates the cap part 2030 from the body part 202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이를 위해, 상기 제1 걸림부(2021)는 상기 수용부(2032)에 삽입된 상기 바디부(2024)를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장착공간(S2)에 장착된 상기 장착부(2033)가 상기 장착공간(S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분리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리경사면(2027)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 first locking part 2021 separates the body part 202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2032 , the mounting part 2033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S2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spac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inclined surface 2027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separation direc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S2).

상기 분리경사면(2027)은 앞서 설명한 삽입경사면(2026)과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각도가 다소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The separation inclined surface 2027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2026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slightly different.

이하에서는 전자펜(2000)에 대한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en 20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본체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2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바디부에 위치 고정되는 기판부,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50 and 51 are exploded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ain body provided in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2 to 54 are a body portion provided in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describing a substrate unit, a camera module, and a lighting module that are fixed in position.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0)은 도 42 내지 도 49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캡부(20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캡부(2030)는 상기 전자펜(20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음을 밝혀둔다.
First,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ap part 203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2 to 49 , but the cap part 2030 must be used to implement the electronic pen 2000 . Note that this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도 50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은 심부(2010)에 의한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2320)과 조명 모듈(2340), 상기 카메라 모듈(2320)과 상기 조명 모듈(2340)이 연결되는 기판부(2110), 중공(S5)을 구비하여, 상기 중공(S5)에 수용되는 수용기판부(C1)와 상기 중공(S5)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기판부(C2)로 상기 기판부(2110)가 정의되도록 하며, 무선 통신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도록 제1 물질로 구성되는 메인바디(2120), 상기 카메라 모듈(2320)과 상기 조명 모듈(2340)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부(2160) 및 상기 노출기판부(C2)에 장착되어 다른 전자기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2440)을 포함할 수 있다.50 to 54 ,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module 2320 and a lighting module 2340 for recognizing a user's handwriting by a core part 2010; The camera module 2320 and the lighting module 2340 are provided with a substrate portion 2110 and a hollow (S5) connected, the receiving substrate portion (C1) and the hollow (S5) accommodated in the hollow (S5) The substrate part 2110 is defined as the exposed substrate part C2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main body 2120 and the camera module 2320 are made of a first material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battery unit 2160 for driving the lighting module 234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mounted on the exposed substrate unit C2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상기 카메라 모듈(2320), 상기 조명 모듈(2340)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40)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amera module 2320, the lighting module 234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have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인바디(2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2000)의 외관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기판고정부(2030) 및 기판보호부(2140)와 함께 본체부(2020)를 구성할 수 있다.The main body 2120 may be a component provid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2020 together with the substrate fixing unit 2030 and the substrate protection unit 2140 . can be configured.

기판부(21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0)에 있어서 단일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복수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2112), 제2 기판(2114) 및 제3 기판(2116)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ubstrate unit 2110 may be embodied as a single unit in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embodied as a plurality,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substrate 2112 and the second It may be implemented with the substrate 2114 and the third substrate 2116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기판부(2110)가 3개의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substrate unit 2110 includes three substrat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부(2110)는 심부(2010)가 노출되는 상기 메인바디(2120)의 제1 끝단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1 기판(2112) 및 상기 제1 끝단의 반대 끝단인 제2 끝단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2 기판(2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판(2112)과 상기 제2 기판(2114)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판(2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bstrate portion 2110 is a first substrate 2112 disposed close to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2120 to which the core portion 2010 is exposed, and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It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2114 disposed close to it,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bstrate 2116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2112 and the second substrate 2114 .

여기서, 상기 제1 기판(2112), 상기 제2 기판(2114) 및 상기 제3 기판(2116)은 서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바디(2120)의 중공(S5)에 수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수용기판부(C1)와 노출기판부(C2)로 정의될 수 있고, 특정 기판은 수용기판부(C1)와 노출기판부(C2)를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substrate 2112 , the second substrate 2114 , and the third substrate 211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C), and the hollow of the main body 2120 .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accommodated in ( S5 ), it may be defined as the accommodating substrate part C1 and the exposed substrate part C2 , and a specific substrate may include the accommodating substrate part C1 and the exposed substrate part C2 at the same time.

상기 수용기판부(C1)와 상기 노출기판부(C2)는 기판의 영역을 상기 메인바디(2120)의 중공(S5)에 수용되는 부분과 상기 중공(S5)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가상으로 구분한 개념으로, 하나의 기판에 상기 수용기판부(C1)와 상기 노출기판부(C2)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The receiving substrate portion C1 and the exposed substrate portion C2 virtually divide the substrate region into a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llow S5 of the main body 2120 and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S5. As a concept, the receiving substrate unit C1 and the exposed substrate unit C2 may simultaneously exist on one substrate.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판(2112) 및 상기 제3 기판(2116)은 상기 메인바디(2120)의 중공(S5)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전체가 수용기판부(C1)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substrate 2112 and the third substrate 2116 are accommodated in the hollow S5 of the main body 2120, so that the entirety of the receiving substrate part C1 is formed. can be formed

반면에, 상기 제2 기판(2114)은 일부만 상기 중공(S5)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수용된 부분은 수용기판부(C1)를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는 노출기판부(C2)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only a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2114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S5, the accommodated portion may form the receiving substrate portion C1,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form the exposed substrate portion C2.

즉, 상기 제2 기판(2114)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0)에 있어서 수용기판부(C1)의 적어도 일부와 노출기판부(C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substrate 2114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substrate portion C1 and the exposed substrate portion C2 in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체부(2020)는 상기 메인바디(2120)와 함께 상기 수용기판부(C1)가 장착되어 상기 수용기판부(C1)를 상기 중공(S5)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바디(2120)와 연결되는 기판고정부(20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노출기판부(C2)는 상기 기판고정부(2030)에 장착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2020 is the main body 2120 and the main body 2120 so that the receiving substrate portion C1 is moun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2120 to fix the receiving substrate portion C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ollow S5. A connected substrate fixing unit 2030 may be provided, and the exposed substrate unit C2 may be mounted to the substrate fixing unit 2030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기판고정부(2030)는 제1 기판(2112), 제2 기판(2114) 및 제3 기판(2116)을 고정시키기 위한 일종의 구조물일 수 있으며, 제1 기판(2112), 제2 기판(2114) 및 제3 기판(2116)은 추가구성요소(2150)에 의해 상기 기판고정부(2030)에 장착될 수 있다.The substrate fixing part 2030 may be a kind of structure for fixing the first substrate 2112 , the second substrate 2114 , and the third substrate 2116 , and the first substrate 2112 , the second substrate 2114 . ) and the third substrate 2116 may be mounted to the substrate fixing unit 2030 by an additional component 2150 .

상기 기판고정부(2030)는 단일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substrate fixing unit 2030 may be formed of a single compon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2 기판(2114)의 일부인 노출기판부(C2)는 상기 심부(2010)가 노출되는 상기 메인바디(2120)의 제1 끝단의 반대 끝단인 제2 끝단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제2 끝단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posed substrate portion C2, which is a part of the second substrate 2114,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2120 to which the core portion 20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is may be arranged to be close to the second end.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2320) 및 상기 조명 모듈(2340)은 상기 제1 기판(21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판(2112)에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Here, the camera module 2320 and the lighting module 234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211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2112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C). free of charge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2320)과 상기 조명 모듈(23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부(2160)는 제1 기판(2112)과 제2 기판(2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unit 2160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camera module 2320 and the lighting module 23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2112 and the second substrate 2114 .

상기 배터리부(2160)는 장착공간(S6)을 제공하는 기판장착부(2132)에 장착될 수 있다.The battery unit 2160 may be mounted on a substrate mounting unit 2132 providing a mounting space S6.

상기 배터리부(2160)는 상기 제1 기판(2112)과 상기 제2 기판(2114) 사이에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메인바디(2120)의 제2 끝단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기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전자펜(2000)의 무게 중심이 메인바디(2120)의 제1 끝단에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바디(2120)의 제1 끝단에 치우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battery unit 2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2112 and the second substrate 2114 so as to be biased toward the second end of the main body 2120 as a whole, but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writ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lectronic pen 2000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2120 in order to increase the weight.

한편, 제2 기판(2114)에는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2440)이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판(2114) 중 노출기판부(C2)에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40)이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ubstrate 2114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specifically, the exposed substrate portion C2 of the second substrate 2114, th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may be mounted.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40)은 제1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메인바디(2120)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물질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함에 있어서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을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20 made of a first material, and may not receive any obstacles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despite the first material. there is.

여기서, 메인바디(212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물질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40)에 의한 무선 통신 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알루미늄(Al)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first material constituting the main body 2120 may include aluminum (Al)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but must be made of aluminum (Al). It does not have to be, and any material capable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applicable.

상기와 같이,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2440)은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제1 물질로 구성되는 메인바디(212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바디(2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기판부(C2)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바디(2120)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통신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기의 인식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for implemen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20 made of a first material capable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Since it is mounted on the exposed board part C2 exposed to the outside,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implement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ain body 2120 in any wa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cognition of the user's handwriting.

그리고, 제1 물질로 구성되는 메인바디(212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0)은 무선 통신 모듈(2440)에 의한 무선 통신 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메인바디(212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 통신 시 발생되는 전자기파의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And, by the main body 2120 made of the first material,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it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2120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armfulness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preventing

또한, 제1 물질로 구성되는 메인바디(212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기판고정부(2030)보다 열전달계수가 크므로, 조명 모듈(2340) 등의 동작에 의한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시켜 전자펜(20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2120 made of the first material has a high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substrate fixing part 2030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hea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module 2340 and the like is effectively radiated to the outside. Thus,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nic pen 2000 may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0)에 제공되는 본체부(2020)는 상기 메인바디(2120) 및 기판고정부(2030)와 함께 노출기판부(C2)를 포위하여 상기 노출기판부(C2)를 보호하도록 상기 메인바디(2120)와 연결되는 기판보호부(2140)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portion 2020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the exposed substrate portion C2 together with the main body 2120 and the substrate fixing portion 2030 to form the exposed substrate portion C2. ) may be provided with a substrate protection unit 214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20 to protect.

상기 기판보호부(2140)는 상기 메인바디(2120)의 제2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노출기판부(C2)를 커버하는 일종의 캡일 수 있으며, 상기 노출기판부(C2)는 제2 기판(2114)의 일부분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substrate protection part 2140 may be a kind of cap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main body 2120 and covers the exposed substrate part C2, and the exposed substrate part C2 is a second substrate 2114. It may be a part of as described above.

상기 기판보호부(2140)는 상기 노출기판부(C2)에 장착되는 무선 통신 모듈(2440)에 의한 무선 통신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제2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무선 통신 모듈(2440)은 상기 기판보호부(2140)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함에 있어서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을 수 있다.The substrate protection unit 2140 may be made of a second material that allow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40 mounted on the exposed substrate unit C2 to pass therethrough,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dule 2440 may not receive any obstacle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despite the substrate protection unit 2140 .

여기서, 상기 제2 물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일 수 있으며, 제1 물질에 비해 열전달계수가 더 낮을 수 있다.
Here, the second material may be a synthetic resin including plastic, and may have a low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at of the first material.

도 55 내지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제공되는 바디부에 심부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55 to 5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serting a core into a body provided in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5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0)은 심부(2010)의 교체가 자유로울 수 있으며, 상기 심부(2010)는 본체부(2020)의 기판고정부(2030)에 형성된 심부삽입공(S7)에 삽입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5 , in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part 2010 can be freely replaced, and the core part 2010 is a core part formed in the substrate fixing part 2030 of the body part 2020 . 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7).

도 56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고정부(2030)는 수용기판부(C1)가 장착되는 기판장착부(2132), 상기 심부(2010)가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심부삽입안내부(2134) 및 상기 심부삽입안내부(2134) 에 삽입된 상기 심부(2010)가 억지끼움되도록 하여 상기 심부(2010)를 고정시키는 심부고정부(2136)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6 , the substrate fixing unit 2030 includes a substrate mounting unit 2132 to which the receiving substrate C1 is mounted, a core insertion guide 2134 providing a path into which the core 2010 is inserted, and the core. A deep part fixing part 2136 for fixing the core part 20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re part 20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uide part 2134 is press-fitted.

상기 기판장착부(2132)는 상기 기판고정부(2030)를 구성하는 일종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상기 심부삽입안내부(2134) 는 상기 심부삽입공(S7)과 연통되는 경로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mounting part 2132 may be a kind of frame constituting the substrate fixing part 2030, and the deep part insertion guide part 2134 may be formed in an open state through a path communicating with the deep part insertion hole (S7). can

다만, 상기 심부삽입안내부(2134) 는 반드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일종의 홈 또는 홀로 형성어도 무방하다.However, the deep insertion guide portion 2134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an open state, and may be formed as a kind of groove or hole.

한편,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심부삽입안내부(2134) 는 상기 심부(2010)가 통과하는 제1 심부삽입안내부(2135) 및 상기 심부고정부(2136)가 장착되는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심부고정부(2136)는 상기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55 and 56 , the deep insertion guide 2134 includes the first deep insertion guide 2135 through which the core 2010 passes and the second core in which the deep fixing part 2136 is mounted. An insertion guide part 2137 may be provided, and the deep part fixing part 2136 may be slidably mounted in the second deep part insertion guide part 2137 .

상기 심부고정부(2136)는 상기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내에서 이탈되지 않은 채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기부(2139)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ep part fixing part 2136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second deep part insertion guide part 2137, and when it is mounted on the second deep part insertion guide part 2137, the second deep part insertion guide part 2137 )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2139 that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so that it can slid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그리고, 상기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는 상기 돌기부(2139)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대응부(2131)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re insertion guide portion 2137 may include a projection corresponding portion 2131 formed to protrud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projection portion 2139 is mounted.

상기 심부고정부(2136)는 상기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2139)가 상기 돌기대응부(2131)에 걸리게 되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deep part fixing part 2136 is mounted on the second deep part insertion guide part 2137, the protrusion part 2139 is caught by the protrusion corresponding part 2131,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to the outside.

상기 심부고정부(2136)가 상기 심부삽입안내부(2134)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2000)은 사용자가 필기하는 동안 필기의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As the core fixing part 2136 is slidably mounted in the core insertion guide part 2134 , the electronic pen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feel comfortable in writing while taking notes.

한편, 상기 심부고정부(2136)는 상기 제2 심부삽입안내부(2137) 내에서 기판장착부(2132)와 인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인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제1 자석(2172) 및 제2 자석(2174)에 의한 자력을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ep part fixing part 2136 may have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substrate mounting part 2132 in the second deep part insertion guide part 2137, and a first magnet 2172 and a second magnet as a means for generating an attractive force. The magnetic force by (2174) can be used.

상기 제1 자석(2172)은 심부고정부(213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석(2174)은 기판장착부(2132)에 장착되어 상기 심부고정부(2136)가 상기 기판장착부(2132)과 인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first magnet 2172 may be mounted on the deep fixing part 2136 , and the second magnet 2174 is mounted on the substrate mounting part 2132 so that the deep fixing part 2136 is the substrate mounting part 2132 . and the force of attraction can be maintained.

상기 제1 자석(2172)과 상기 제2 자석(2174) 사이에는 탄성을 구비하는 탄성체(2176)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2176)는 사용자가 미디엄에 필기하는 동안 부드러움을 제공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n elastic body 2176 having elasticity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2172 and the second magnet 2174, and the elastic body 2176 provides softness while the user writes on the medium fo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전자기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1.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방법 #11. Real-time reproduction method #1 of content written by the u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al-time reproduction of content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 방법은, 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획득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미디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0), 대상 미디엄에 대응되는 미디엄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130), 획득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엄 이미지 상에 사용자의 필기를 재현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58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al-time reproduction of content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8 , the real-time reproduction method of content written by a user includes acquiring pen data ( S110 ), acquiring information on a target medium based on the acquired pen data ( S120 ), and a target medium Displaying a medium image corresponding to ( S130 ), and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on the medium image based on the acquired pen data ( S140 ).

상기 사용자의 필기를 재현하는 단계(S140)는, 상기 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스트로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엄 이미지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 S140 ) may include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medium image in real time based on the stroke data generated from the pen data.

이로써,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하여 전자기기(30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produce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and display i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0 .

전술한 전자기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각 단계들에 대응되는 설명은 이미 자세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is described, the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p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2.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방법 #22. Real-time reproduction method #2 of the content written by the u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al-time reproduction of content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9를 참조하면, 상기 필기된 내용의 실시간 재현 방법은, 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0), 획득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고 있는 미디엄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인 제1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미디엄 이미지의 일부를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쉬프트시켜 표시하는 단계(S230), 상기 쉬프트된 제2 영역 상에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재현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59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al-time reproduction of content written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9 , in the real-time reproduction method of the handwritten content, a step of acquiring pen data ( S210 ),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a first area that is at least a part of a medium image being displayed based on the acquired pen data is satisfied (S220), if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 part of the medium image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is shifted from the first area to the second area and displayed (S230), the shifted second area is displayed. and reproducing the user's handwriting on the second area ( S240 ).

이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지 여부인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의 필기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whether the user's writing position is out of the first area. That is, when the user's writing position is out of the first area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이로써,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재현할 때, 대상 미디엄이 확대되어 표시되고 잇어서 대상 미디엄의 전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지 않고 일부만 표시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고 있지 않은 다른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필기가 입력된다고 하여도 해당 영역으로 표시영역을 쉬프트한 후 사용자의 필기를 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produces the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the target medium is enlarged and displayed so that the entire target medium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area is not displayed and only a portion is displayed, even if the user's handwriting is input to another area that is not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the user's handwriting can be reproduced after the display area is shifted to the corresponding area.

전술한 전자기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각 단계들에 대응되는 설명은 이미 자세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is described, the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p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3.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13. Replay of Written Content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play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310),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320), 적어도 제1 스트로크 및 상기 제2 스트로크를 뒤따르는 제2 스트로크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순차적으로 리플레이하는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60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play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0 , the step of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from the electronic pen detecting the information (S310), the step of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in a memory (S320), at least a first stroke and and performing a replay operation of sequentially replaying the user's handwriting including a second stroke following the second stroke on the display (S330).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스트로크 및 상기 제2 스트로크를 필기하는 데 소요된 시간과 무관하게, 상기 제1 스트로크 및 상기 제2 스트로크가 한번에 하나씩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제1 시점에 상기 제1 스트로크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제1 시점 보다 더 늦은 제2 시점에 상기 제2 스트로크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troke and the second strok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ne at a time, regardless of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write the first stroke and the second stroke, and at a first time point, the first stroke A strok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second strok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t a second time point later than the first time point.

이로써,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필기를 리플레이 할 때, 사용자가 실제로 필기를 입력한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 내에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리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plays the user's handwriting 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the electronic device 3000 can replay the user's handwriting within a shorter time than the time the user actually inputs the handwriting. there will be

전술한 전자기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각 단계들에 대응되는 설명은 이미 자세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is described, the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p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4.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24. Replay of Written Content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play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1을 참조하면, 상기 필기된 내용의 리플레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필기에 관한 정보인 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10), 상기 수신된 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420), 및 상기 저장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순차적으로 리플레이하는 리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61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playing handwritten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1 , the method for replaying the handwritten content includes receiving,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pen data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andwriting (S410), and storing the received pen data in a memory (S420). ), and performing a replay operation of sequentially replaying the user's handwriting on a display based on the stored pen data (S430).

이때,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은 상기 리플레이 동작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필기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In this case, the replay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stroke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of the user who is the target of the replay operation.

이로써, 전자기기(3000)는 전자펜(2000)으로부터 수신된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필기를 리플레이 할 때, 리플레이 동작의 재생 시간을 스트로크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로 필기를 입력한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 내에 사용자의 필기 내용을 리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0 replays the user's handwriting based on the pen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 the user actually inputs the handwriting by determining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play operation based on the number of strokes. Users' handwriting can be replayed in less than an hour.

전술한 전자기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각 단계들에 대응되는 설명은 이미 자세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is described, the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p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5. 필기 내용의 캡처5. Capture of your handwri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필기 캡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andwriting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캡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2를 참조하면, 필기 캡처 방법은, 전자 펜(2000)으로부터 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510), 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S520), 필기 내용의 재생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S530),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S540), 필기 내용 중 대상 구간에 해당하는 대상 필기 내용을 판단하는 단계(S550) 및 대상 필기 내용이 포함된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S560)을 포함할 수 있다.
62 is a flowchart of a handwriting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2 , the handwriting capture method includes at least one of receiving pen data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 S510 ), obtaining handwriting content based on the pen data ( S520 ), and a reproduction section of the handwriting content A step of receiving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of ( S530 ), a step of setting a target section based on the user input ( S540 ), a step of determining the target wri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ection among the handwriting contents ( S550 ), and the target It may include capturing an image including the handwritten content (S560).

먼저 전자 기기(3000)는 전자 펜(2000)으로부터 필기에 관한 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10). 펜 데이터에는 전자 펜(2000)을 이용하여 미디엄(1000)에 필기된 좌표 데이터 및 필기 시각에 관한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Firs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pen data related to writing from the electronic pen 2000 ( S510 ). The pen data may include coordinate data written on the medium 1000 using the electronic pen 2000 and data regarding a writing time.

전자 기기(3000)는 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획득할 수 있다(S520). 필기 내용은 필기 시각 순으로 좌표 데이터를 연결하여 스트로크로 생성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acquire the writing content by using the pen data ( S520 ). The handwritten content may be obtained by connecting the coordinate data in the order of the handwriting time and generating the stroke.

전자 기기(3000)는 재생 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S530). 이를 위해 전자 기기(3000)는 프로그래시브 바를 표시하여 프로그래시브 바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필기 내용을 표시하여 필기 내용 중 특정 스트로크에 대한 입력을 받거나, 필기 내용을 재현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전자 기기(300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재생 구간 중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어느 하나의 시점만 획득된 경우 나머지 시점은 전자 기기(300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receive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oint in the playback section ( S530 ). To this end,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progressive bar to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progressive bar, display the handwriting to receive an input for a specific stroke among the handwritten content, or receive a user input while reproducing the handwritten content. there is.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acquire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the reproduc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f only one viewpoint is acquired, the other viewpoints may be set by the electronic device 3000 itself.

또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하여 전자 기기(3000)는 전체 필기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도울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ceive such a user inpu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entire handwritten content on the screen to help the user input.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S540). 전자 기기(30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상 구간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대상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set a target section based on a user input (S540).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the target sec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set the target section accordingly.

대상 구간이 설정되면 전자 기기(3000)는 전체 필기 내용 중 대상 필기 내용을 판단할 수 있다(S550). 대상 필기 내용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판단될 수 있다. 또 전자 기기(3000)는 대상 필기 내용이 나머지 필기 내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어떤 필기 내용이 대상 필기 내용으로 판단되고 있는지를 피드백할 수 있다. When the target section is set,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etermine the target writing content among all the writing contents ( S550 ). One or a plurality of target writing contents may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display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rest of the handwritten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feedback which handwritten content is determined as the target handwritten content.

전자 기기(3000)는 선택된 대상 필기 구간을 캡처할 수 있다(S560). 캡처는 이미지 캡처 방식 또는 펜 데이터를 통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캡처된 이미지는 외부기기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거나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00 may capture the selected target writing section (S560). The capture may be performed in an image capture method or through pen data. In addition, the captured image may be transmitted externally through an external device or the Internet or stored separately.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figuring each embodiment is not essential, and therefore each embodiment may selectively include the above-described step. In addition, each step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and a step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described earli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de or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and such code o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Furthermore, steps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steps constituting other embodiments.

1000: 미디엄
2000: 전자펜
3000: 전자기기
4000: 서버
1000: medium
2000: electronic pen
3000: electronic device
4000: server

Claims (18)

삭제delete 미디엄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심부;
상기 심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심부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여 상기 심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과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의 타측의 삽입의 한계가 규정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바디부 및 상기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가 장착되어 상기 캡부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장착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사이에 상기 장착공간에 제공되도록 하는 전자펜.
a core that enables writing on the medium;
a body part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core part is ex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and
It includes; a cap par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o protect the core part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in a non-use state,
The cap part,
Whe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position fixing portion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define a limit of inse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body part,
A body part that a user can grip and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position fixing part is mounted in the non-use stat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ap part to provide a mounting space,
The position fixing unit,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nto the inner space and a mounting part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protrusion and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The locking part,
An electronic pen having a first locking part and a second locking par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part so as to be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between the first locking part and the second lock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unting part,
An electronic pen extending radially from an end of the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바디부는,
횡방향 단면이 제K 각형(K는 3이상의 자연수)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공간의 위치 변화에 상관없이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횡방향 단면의 꼭지점을 향해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part and the body part,
The transverse section is formed in a Kth square (K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3),
The mounting part,
When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the electronic pen is formed by radiall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protrusion toward a vertex of a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so as to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sp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는,
상기 바디부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횡방향 단면의 꼭지점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선과 상기 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re is
It is arrang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body part toward the vertex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body pa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 electronic pen formed between a center line of a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body and the co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가 접촉된 후 상기 장착공간에 진입하도록 삽입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삽입경사면을 구비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locking part,
and an insertio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along an insertion direction to enter the mounting space after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art when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바디부를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기 장착부가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분리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분리경사면을 구비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locking part,
and a separatio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along a separation direction so that the mounting part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when the body par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is separ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가 상기 장착공간을 초과하여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면접촉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locking part,
When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the electronic pen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mounting part to prevent the mounting part from being inserted beyond the mount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가 상기 장착공간을 초과하여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 방향과 수직인 초과삽입방지면을 구비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locking part,
and an over-insertion preventing surface perpendicular to an insertion direction to prevent the mounting part from being inserted beyond the mounting space when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의 단부는,
상기 제1 걸림부의 단부보다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 더 근접하게 형성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d of the second locking part,
The electronic pen is form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than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사이의 상기 바디부의 일면은,
상기 장착부와 면접촉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defining the mounting space,
An electronic pe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mounting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사이의 상기 바디부의 일면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수용부로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자펜.
12. The method of claim 11,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defining the mounting space,
The electronic pen is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into the receiv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위치고정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위치고정부의 외면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서로 연결하는 강성보강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p part,
The electronic pen further comprising a rigidity reinforcing unit connecting an outer surface of the position fixing unit and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to each other so that the rigidity of the position fixing unit is reinforced.
미디엄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심부;
상기 심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심부를 위치 고정하는 본체부; 및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이 삽입 가능하여 상기 심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그립 가능한 바디부 및 상기 비사용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가 장착되어 상기 캡부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장착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선과 상기 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펜.
a core that enables writing on the medium;
a body part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core part is expo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and
It includes; a cap par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o protect the core part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in a non-use state,
The cap part,
and a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 position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The body part,
It includes a body part that a user can grip and a locking part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position fixing part is mounted in the non-use state so that the cap part is fixed in position to provide a mounting space,
The core is
It is arrang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ar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ocking part,
An electronic pen formed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body part and the core pa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사이에 상기 장착공간에 제공되도록 하는 전자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sition fixing unit,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nto the inner space and a mounting part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protrusion and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The locking part,
An electronic pen having a first locking part and a second locking par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part so as to be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between the first locking part and the second locking p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전자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mounting part,
An electronic pen extending radially from an end of the protrus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바디부는,
횡방향 단면이 제K 각형(K는 3이상의 자연수)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공간의 위치 변화에 상관없이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횡방향 단면의 꼭지점을 향해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전자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ceiving part and the body part,
The transverse section is formed in a Kth square (K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3),
The mounting part,
When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the electronic pen is formed by radiall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protrusion toward a vertex of a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so as to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spa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는,
상기 바디부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횡방향 단면의 꼭지점을 향해 편심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바디부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선과 상기 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re is
It is arrang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body part toward the vertex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body pa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 electronic pen formed between a center line of a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body and the core.
KR1020150058183A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KR1022865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179A KR102337258B1 (en)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20150058181A KR102370364B1 (en) 2014-10-17 2015-04-24 Method for capturing hand writing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20150058177A KR102359139B1 (en)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2010236112.2A CN111459308A (en) 2014-10-17 2015-10-08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linked to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2010241218.1A CN111459311A (en) 2014-10-17 2015-10-08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linked to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2010241254.8A CN111459312A (en) 2014-10-17 2015-10-08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linked to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1580056358.9A CN107077245B (en) 2014-10-17 2015-10-08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linked to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2010236160.1A CN111459309A (en) 2014-10-17 2015-10-08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linked to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2010236163.5A CN111459310A (en) 2014-10-17 2015-10-08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linked to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PCT/KR2015/010641 WO2016060409A2 (en) 2014-10-17 2015-10-08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linked to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5283P 2014-10-17 2014-10-17
US62/065,283 2014-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540A KR20160045540A (en) 2016-04-27
KR102286589B1 true KR102286589B1 (en) 2021-08-05

Family

ID=5591477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180A KR102487643B1 (en)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n which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KR1020150058182A KR102286587B1 (en)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KR1020150058183A KR102286589B1 (en)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180A KR102487643B1 (en)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n which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KR1020150058182A KR102286587B1 (en) 2014-10-17 2015-04-24 Electronic pe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487643B1 (en)
CN (6) CN11145930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480A1 (en) * 2017-07-07 2019-01-10 황문진 Electronic board using dot code
US10817083B2 (en) * 2018-09-07 2020-10-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on of pen location relative to an electronic device
KR102264313B1 (en) * 2018-10-19 2021-06-14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Electronic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80878A1 (en) * 2018-10-19 2020-04-23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115145460A (en) * 2021-03-31 2022-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remote writing display
CN112947779A (en) * 2021-04-19 2021-06-11 广州宏途教育网络科技有限公司 Writing start system based on operation of intelligent pen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1526B1 (en) * 1996-09-04 2001-03-13 Motorola, Inc. Visual display device
CA2538337C (en) * 1998-03-26 2008-08-19 Bic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US7564995B1 (en) * 2000-03-07 2009-07-2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organizing ink information in pen-aware computer systems
CN1161906C (en) * 2001-06-04 2004-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Hand-written script radio-transmitting and recognizing method
SE0102287L (en) * 2001-06-26 2002-12-27 Anoto Ab Electronic pen, mounting piece therefor and way to make the pen
SE520504C2 (en) * 2001-11-30 2003-07-15 Anoto Ab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recording handwritten information
SE0200419L (en) * 2002-02-12 2003-08-13 Anoto Ab Electronic pen and sensor arrangement and control device for such
JP2003237287A (en) * 2002-02-21 2003-08-27 Takuo Tomita Writing instrument with slide type cap
KR100923023B1 (en) * 2003-03-28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Light pen and light-sensi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0380907C (en) * 2003-04-18 2008-04-09 张烂熳 Method of realizing handwriting information exchange for cmmunication terminal
JP2005010863A (en) * 2003-06-16 2005-01-13 Toho Business Kanri Center:Kk Terminal equipment,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729879B2 (en) 2004-07-20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CN100590646C (en) * 2004-09-21 2010-02-17 北京优士东方数码科技有限公司 Method of realizing hand writing instant information
US7627703B2 (en) * 2005-06-29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audio capabilities
JP4740665B2 (en) * 2005-07-05 2011-08-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Image recording device
JP2007079943A (en) * 2005-09-14 2007-03-29 Toshiba Corp Character reading program, character reading method and character reader
WO2007086106A1 (en) * 2006-01-24 2007-08-02 Fujitsu Limited Pen unit and electronic device
JP5543055B2 (en) * 2007-04-25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KR20080106621A (en) * 2007-06-04 2008-12-09 제노젠(주) Paper-based electronic pocket note, electronic pen, workst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erver,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20090075489A (en)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이지시스템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king document by digital pen in working area of computer program
US8275197B2 (en) * 2008-06-14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a whiteboard for multimedia conference events
US9268413B2 (en) * 2008-07-07 2016-02-23 Rpx Clearinghouse Llc Multi-touch touchscreen incorporating pen tracking
FR2939079B1 (en) * 2008-11-28 2011-08-19 Bic Soc WRITING INSTRUMENT AND CAP FOR A WRITING INSTRUMENT
KR101035490B1 (en) * 2009-02-05 2011-05-20 주식회사 이롬테크 Antenna module for receiv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obile having it
JP5333758B2 (en) * 2009-02-27 2013-11-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KR20100128175A (en) * 2009-05-27 2010-12-07 백송곤 System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 using function of displaying the order of making stroke
KR101019143B1 (en) * 2009-08-21 2011-03-03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Moving trace measuring method of reader and reader thereof
WO2011024325A1 (en) * 2009-08-31 2011-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Computer
KR20110092858A (en) * 2010-02-10 2011-08-18 백송곤 Associative learning system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 using function of removing the order of making stroke successively
KR200463222Y1 (en) * 2010-03-31 2012-10-30 남효정 Portable cosmetic case with touch pen or ballpoint pen
KR101068029B1 (en) * 2010-08-13 2011-09-28 (주)삼원에스티 Pen capable of capacitive touch sensing
CN106267470B (en) * 2011-03-16 2019-06-04 贝克顿·迪金森公司 Medication delivery pens
KR101240273B1 (en) * 2011-06-01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270528B1 (en) * 2011-08-26 2013-06-24 신현관 electronic pen having a hands free function
JP5760887B2 (en) * 2011-09-15 2015-08-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erminal device, electronic pen system, and program
KR20130045108A (en) * 2011-10-25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3455250A (en) * 2012-05-30 2013-12-18 联合永道(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Record broadcasting, class recording system writing stroke processing and displaying method
US9403399B2 (en) * 2012-06-06 2016-08-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arking pen
KR102043146B1 (en) * 2012-08-02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note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JP5270027B1 (en) 2012-09-07 2013-08-21 株式会社東芝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handwritten document search method
JP5267717B2 (en) * 2012-10-22 2013-08-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Stroke playback device and program
CN103853488A (en) * 2012-11-29 2014-06-11 北京千橡网景科技发展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trokes based on touch screen
KR102065703B1 (en) * 2013-02-07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A touch p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he touch p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4174858A (en) * 2013-03-12 2014-09-22 Panasonic Corp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isplay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book and computer control program
KR20140112810A (en) * 2013-03-14 2014-09-24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of providing separate object display-view for drawing points on touchscree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JP5360324B2 (en) * 2013-05-01 2013-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Stroke playback device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537A (en) 2016-04-27
CN111459308A (en) 2020-07-28
KR20160045539A (en) 2016-04-27
CN111459312A (en) 2020-07-28
CN111459309A (en) 2020-07-28
CN107077245B (en) 2020-04-24
KR102487643B1 (en) 2023-01-11
KR20160045540A (en) 2016-04-27
CN111459310A (en) 2020-07-28
KR102286587B1 (en) 2021-08-05
CN111459311A (en) 2020-07-28
CN107077245A (en)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258B1 (en)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2286589B1 (en) Electronic pen
EP3342143B1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KR2014012612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ock and unlock and method therefor
JP5903131B2 (en) Touch pen and its nib
CN104571521B (en) Hand-written recording equipment and hand-written recording method
US11567590B2 (en)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1975A (en) Multi-mode prosthetic device to facilitate multi-state touch screen detection
CN10367726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KR102509569B1 (en) Electronic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423838A (en) Document dividing and merging
KR20230149797A (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645306B1 (en) Electronic pen, electronic device associated with electronic p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n which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KR101886010B1 (en)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78213B1 (en) Portable apparatus and a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US106353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5069454A (en) Rearrangement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