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514B1 - wearable smart thermometer - Google Patents

wearable smart thermo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514B1
KR102285514B1 KR1020210045656A KR20210045656A KR102285514B1 KR 102285514 B1 KR102285514 B1 KR 102285514B1 KR 1020210045656 A KR1020210045656 A KR 1020210045656A KR 20210045656 A KR20210045656 A KR 20210045656A KR 102285514 B1 KR102285514 B1 KR 10228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tate
switching circuit
coupl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Priority to KR102021004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5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65Handheld, por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7Constructional 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parts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which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of body temperature to a smart device or a receiving device while worn around the wrist or ankle of the user to check the body temperature of people whose body temperature needs to be checked frequently because of self-quarantine caused by contact with a confirmed patient of infectious disease, or to regularly check the body temperature of patients admitted to a hospital.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body temperature us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skin surface of a user,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an error caused by infrared rays transmitted unnecessarily to a measured region during the measurement of body temperature or conduction heat transmitted through a main body from skin in contact, enables a smart device or a receiving device to detect whether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is worn by a user, using electric signals transmitted from a band, and provides an inductive impedance coupling method when the electric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and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thereby enhancing the waterproofness of a product.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to a smart device or a receiving device; and a b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Description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wearable smart thermometer}Wearable smart thermometer {wearable smart thermometer}

본 발명은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감염병 확진자를 접촉하였던 사유 등으로 자가격리 중이어서 수시로 체온확인이 필요한 사람들의 체온확인 목적 또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 등에게 착용시켜 체온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 된 상태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된 체온값을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는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하며, 체온 측정 시 측정부위에 불필요하게 전달되는 적외선 또는 접촉되는 피부에서 본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밴드에서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인지 아니면 착용하지 않은 상태인지를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에서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본체에 전달될 때 유도성 임피던스 결합방식도 제공하기 때문에 제품의 방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More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body temperature of people who need to check their body temperature frequently because they are in self-quarantine for reasons such as contact with a confirmed person of an infectious disease, or for the purpose of regularly measuring body temperature by wearing it to patients hospitalized, etc. It relates to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measures a user's body temperature while worn on the wrist or ankle and transmits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value to a smart device or receiver through IoT communication.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body temperature us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user's skin surface, and when measuring body temperature, infrared rays that are unnecessarily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site or conduction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body from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body temperature are measured. It has a structure that can reduce it, and by using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nd, the smart device or receiving device can detect whether the user is wearing it or no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band When the transmitted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it also provides an inductive impedance coupling method,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proofness of the product.

지난 2019년 말 중국의 우한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발병되기 시작하였던 코로나19(COVID-19)는 치명률은 높은 반면, 발병 당시에는 치료법이나 백신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그 전염력이 매우 높아서 무서운 속도로 전 세계로 퍼져 나가면서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등,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큰 타격을 입고 있는데,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위협받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한 경제활동의 위축으로 전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수 백만명이 사망하고, 항공로의 폐쇄와 도시의 봉쇄 등으로 많은 이들이 경제적, 육체적 어려움과 절망 속에서 지내고 있는 등 전 세계는 아직도 코로나19와의 끝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 중에 있다. 코로나19와 같이 치명률이 높고 전염력이 높은 전염병의 확산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이나 치료제 또는 치료법 등의 개발 및 보급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를 통하여 확산을 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Corona 19 (COVID-19), which started intensively in Wuhan, China at the end of 2019, has a high fatality rate, but at the time of the outbreak there was no treatment or vaccine, and its contagiousness was very high, so it spreads at a frightening rate. As it spreads around the world, it causes a lot of casualties, making the whole world tremble in fear. In the case of our country, it is also being hit hard, and not only the health and life of the people are threatened, but also the entire nation is suffering from a contraction in economic activity due to this. In addition, millions of people worldwide have died, and many people are living in economic and physical difficulties and despair due to the closure of air routes and blockades of cities. The world is still fighting an endless war against Corona 19.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with high fatality rate and high contagiousness such as COVID-19,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accines, therapeutics or treatments is important, bu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stop the spread through rapid and accurat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코로나19 등과 같이 사람 간의 밀접접촉을 통하여 감염되는 감염병의 역학조사에서는, 감염병에 감염된 것으로 확진된 확진자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확진자가 다녀간 장소를 특정하고, 같은 시간대에 해당 장소에 있었던 밀접접촉자들을 찾아내어 검사 및 격리조치를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진자와 밀접접촉하여 격리대상자로 된 사람들은 특정한 격리시설에 분리하여 격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자신의 거주지 등에서 자가격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전염병의 증세에 발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역당국은 자가격리자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체온을 파악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자가격리자는 자신의 체온을 스스로 측정하여 정기적으로 방역당국에 알려주게 되는데, 체온측정을 하루에도 수 회씩 실시하다 보니 자가격리자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측정시간이 도래했는지 여부조차도 잊을 때도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방역당국 입장에서는 자가격리자의 체온 확인에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해서 행정력이 많이 소요되는 실정이었다. In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infectious diseases transmitted through close contact, such as COVID-19, when a confirmed person is confirmed to be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specify the place that the confirmed person has visited, and find close contacts who were in that place at the same time. It is desirable to have them take out inspection and quarantine measures. People who have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a confirmed person and are subject to isolation may be separated and isolated in a specific isolation facility, but most of them self-quarantine at their place of residence. And, if the symptoms of an infectious disease include a fever, the quarantine authorities will check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elf-quarantine on a regular basis. For this purpose, self-quarantine measures their own body temperature and regularly informs the quarantine authorities. However, since the body temperature is measured several times a day, it is very cumbersome for the self-quarantine, and even when they forget whether the measurement time has arrived or no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Not only that, the quarantine authorities had to put in a lot of manpower to check the body temperature of self-quarantined people, which required a lot of administrative power.

한편, 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에서는 입원환자의 체온을 정기적으로 측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간호사 등의 간호인력이 각 입원실을 돌아다니면서 입원환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낮 시간대는 물론 밤에도 입원환자를 방문하여 체온을 측정하게 되고, 심지어는 심야시간대에도 돌아다니면서 체온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입원환자의 숙면을 방해하기도 하고, 정기적인 체온측정에 간호인력을 투입하다 보니 간호인력의 부족 현상을 초래하고 병원입장에서는 투입 인건비가 부담이 되는 실정이었다.Meanwhile, in hospitals or nursing facilities, the body temperature of inpatients must be measured regularly. For this purpose, nursing personnel such as nurses travel around each hospital room to measure and record the body temperature of inpatients. Therefore, they visit inpatients during the day as well as at night to measure their body temperature, and even go around the night time to measure their body temperature, which sometimes interferes with the inpatient's sleep and requires nursing staff to regularly measure body temperature. This resulted in a shortage of nursing manpower, and the input labor cost became a burden from the hospital's point of view.

이러한 어려움과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가격리자나 입원환자의 체온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생체정보 수집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즉 자가격리자나 입원환자의 손목이나 발목 등에 암밴드(arm band) 타입의 체온측정장치(웨어러블 체온계)를 착용하도록 하고, 웨어러블 체온계에서는 이를 착용한 사용자의 체온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신호에 수록하여 송출하면, 자가격리자의 스마트기기 또는 입원실 내에 설치된 BLE수신장치에서 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관리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체온을 정기적으로 자동 측정 및 기록,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체온계에서 체온을 측정하는 기술이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피부 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피부 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제 체온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to collec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self-isolated or hospitalized patients is being discussed. That is, the self-quarantine or hospitalized patient should wear an arm band-type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wearable thermometer) on the wrist or ankle, and the wearable thermometer regularly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earer to obtain BLE (Bluetooth Low Energy). When the signal is recorded and transmitted, the self-quarantine's smart device or the BLE receiver installed in the hospital room receiv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records, and manages it, and automatically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on a regular basis. and recording and management skills. There may be several technologies or methods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in such a wearable thermometer, and it measures the user's skin temperature by measur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skin surface and then converts it to actual body temperature using a software algorithm that converts it. A conversion method is also used.

그러나, 적외선 방식으로 체온을 측정하는 종래의 웨어러블 체온계는, 체온계의 적외선 센서와 피부 표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측정오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적외선 센서는 시야각 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측정해야 하는데, 시야각을 벗어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열이 체온계의 본체를 통하여 반사 또는 전도되거나 복사되는 과정에서 측정오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체온계를 벗어버리는 경우 측정이 불가능하여 측정값을 수집할 수 없게 되는데, 이 경우 웨어러블 체온계 자체가 고장난 것인지, 웨어러블 체온계를 벗었기 때문에 측정값을 수집할 수 없는 것인지 알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있어왔다. 또한, 웨어러블 체온계를 쉽게 벗었다 다시 착용할 수 있게 하면, 벗었다가 다시 착용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또는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이 착용하는 경우, 이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입원환자 중 다른 사람의 체온이 수집되는 경우 해당 환자에 대한 의료상 처치가 잘못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자가격리자의 체온이 잘못 수집되는 경우 감염병의 확산방지 등에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earable thermometer that measures body temperature in the infrared method, not only a measurement error occurs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frared sensor of the thermometer and the skin surface, but also the infrared sensor has to measure infrared rays generated within the viewing angle. Measurement errors may occur in the process where heat generated from the deviated part is reflected, conducted, or radiated through the body of the thermometer. In addition, if the user takes off the wearable thermometer, measurement is impossible and measurement values cannot be collected. There has been a problem with In addition, if the wearable thermometer can be easily taken off and worn again, a problem arises if another person accidentally or intentionally wears it during the process of taking it off and putting it back on again. In som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dical treatment for the patient is wrong, and if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elf-quarantine is incorrectly collected, there are serious problems such as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 된 상태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또는 체온정보 수신장치에 전송하며,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는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ile worn on the user's wrist or ankl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s smart device or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through IoT communication, and the smart device or receiving device The device aim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can transmit it to a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함에 있어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측정한 후 이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하여 체온값으로 변환하여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또는 체온정보 수신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by measur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user's skin surface, converting it into a body temperature value through a software algorithm, and sending it to the user's smart device or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through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It aim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측정함에 있어 본체와 피부 표면 사이의 경사각이 발생되더라도 측정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easurement error does not occur even if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body and the skin surface occurs when measur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user's skin surface in order to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aim to d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측정함에 있어 적외선 센서의 시야각을 벗어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열이 체온계의 본체를 통하여 반사, 전도 또는 복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측정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reflection, conduction or radiation of heat generated from a portion out of the viewing angle of the infrared sensor through the body of the thermometer when measur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user's skin surface to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does not cause measurement erro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에 알려 줄 수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apable of detecting when a user wears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ifying the user's smart device or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했다 벗어버리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를 통하여 관리서버에 알려 줄 수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apable of detecting when a user puts on and takes of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ifies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user's smart device or receiving device. do it wit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했다 벗어버리는 경우, 다시 착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착용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wearing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it impossible for a user to wear it again when he/she puts on and takes of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밴드에서 발생되는 스위칭정보를 본체에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전달체를 통한 습기의 침투를 예방하는 등, 본체의 방수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main body, such as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moisture through the carrier, even though the user has a structure that transmits switch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band to the main body. aim to do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 된 상태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 표면과 접촉되는 쪽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개구부, -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체온센서, - 상기 본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 상기 본체의 외면 중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부착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 튜브 형상으로 된 에어튜브 및 -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ile being worn on the user's wrist or ankle and transmits it to a smart device or a receiving device. a body capable of transmitting to the receiving device; and a b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or ankle,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 an open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surface when worn, - the An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that is fixed toward the opening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measures the skin surface temperature of the user through the opening, a Fresnel len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opening, the An air tube in the shape of a tire tube, which is attached while enclosing the rim of the open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It is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of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에어튜브는, - 하부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환형 결합홈에 부착되며, - 상부가 상기 본체의 외면 위 일정높이까지 돌출되며, - 한쪽에 압력이 가해지면, 그 압력이 다른 부위로 전달되어 반대쪽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를 작동하여 상기 측정값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광량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 측정된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의 측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in addition to the above features, the air tube is, - the lower part is attached to the annular coupling groove surrounding the rim of the opening, - the upper part protrudes to a certain height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 one sid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pressure is transmitted to another part and the opposite side swells up. The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a sensor, wherein the control module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measured when the light quantity measured by the light quantity sensor is below a certain level when operating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to transmit the measured valu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어모듈은, - 상기 스마트체온계를 사용자가 착용하기 전의 제1상태인지, 착용한 상태인 제2상태인지, 또는 착용했다가 다시 벗어놓은 제3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 상기 제2상태 또는 상기 제3상태로 상태변화가 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변화 결과를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는, -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값 및 상기 상태변화 결과를 반영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in addition to the above features,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 Whether the smart thermometer is in a first state before the user wears it,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it, or in a third state in which the smart thermometer is worn and then removed agai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and the result of the stat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by reflecting the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he result of the state change.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밴드는, 제1밴드와 제2밴드로 나뉘어져 각각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반대쪽 종단은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싸면서 채워지며,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 각각에는 상기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 또는 상기 제어모듈과 임피던스 결합되는 2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가 포함되되, -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는 연결상태로 되고,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는 개방상태로 되며, -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가 서로 결합된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모두 연결상태로 되며, - 결합되었던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서로 분리시킨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모두 개방상태로 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회로가 개방상태인지 또는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스마트체온계가 상기 제1상태, 상기 제2상태 또는 상기 제3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band is divided into a first band and a second band so that one end of ea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opposite end is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s wrist or ankle is secured.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each include a swi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or a switching circuit connected to a secondary coil that is impedance-coupled to the control module, - the first band and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second bands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first band is in a connected state, and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second band is in an open state, - the first band and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second b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oth the switching circuits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in a connected state, and - the coupled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eparated third state, both the switching circuits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in an open state, and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witching circuits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in an open stat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art thermometer is in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의 종단 쪽에는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결합시켰다 분리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다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각각 포함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였다가 분리한 경우에는 서로 다시 결합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t the ends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above features, The coupling means, while maintaining the switching circuit in a connected state, makes the switching circuit open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and separated, and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includes the While maintaining the switching circuit in an open state,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the switching circuit is put into a connected state, and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separated again, the switching circuit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separated, they cannot be coupled again.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결합돌기로서, - 하단이 상기 제1밴드에 결합되는 걸림기둥과 상기 걸림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캡을 포함하되, - 상기 걸림캡은, 버섯머리 모양의 수축가능한 탄성소재로서, 상기 걸림기둥의 상단과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걸림기둥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단턱부를 가지며, - 상기 걸림기둥에는, 일정 폭으로 외주면을 두르는 도체띠를 포함하며, - 상기 걸림기둥과 상기 걸림캡 내부에는, 상기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만드는 연결선이 배선되며,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환형기둥 형상의 결합링으로서, - 내주면에는 상기 스위칭회로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이 형성되고, -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걸림캡의 단턱부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링에 끼워지는 경우, - 상기 걸림캡의 단턱부가 상기 결합링의 상단에 걸려서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며, -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상기 걸림기둥의 도체띠를 통하여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에 서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결합링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를 빼면, 상기 걸림캡의 단턱부가 상기 결합링의 상단에 걸려서 상기 걸림캡이 상기 걸림기둥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캡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 걸림캡이 상기 걸림기둥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연결선이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선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가능한 구조 또는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band is a coupling protrusion, including a locking pole whos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and and a locking cap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ole. However, the locking cap is a mushroom head-shaped contractible elastic material, and has a stepped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locking pole at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ole, and a conductor band surrounding the locking pole and inside the locking cap, a connection line for making the switching circuit in a connected state is wired, and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is capable of being fitt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A coupling ring having an annular column shape, - a pair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case of loss, - the stepped portion of the locking cap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ing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 the pair of electrodes is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or band of the locking pol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n a direction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removed from the coupling ring, the step portion of the locking cap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ing, so that the locking cap is closed.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le, the locking cap is a material that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and when the lock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le, the connecting line is cut so that the connecting line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uttable structure or material.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축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축의 양쪽에는 도체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상기 도체부 상호간을 절연시키는 절연부를 가지며, 상기 도체부 중, -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부분은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에 끼워진 부분은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거나,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금속제의 결합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가 상기 결합축에 끼워진 부분에는,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 내에서 상기 2차측 코일이 상기 결합축을 감으면서 형성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의 양단은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 내부에는 ㄷ자 철심이 각각 포함되며, 상기 ㄷ자 철심의 중앙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1차측 코일이 감겨 있으며, 상기 ㄷ자 철심의 양단은 상기 결합축의 양단과 마주하되, 상기 ㄷ자 철심의 양단과 상기 결합축의 양단 사이에는 공극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on both sides of the body, coupling shafts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body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haft A conductor portion is formed, and an insula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middle to insulate the conductor portions from each other, and among the conductor portion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The part fitted in the band is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or on both sides of the body, both ends of the body are fitted with one end of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respectively. and a metal coupling shaft coupled thereto, wherein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is fitted to the coupling shaft, and the secondary coil is formed while winding the coupling shaft within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and a C-shaped iron core is included i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center of the C-shaped iron core has a primary coi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wound. ,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C-shaped iron core face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and air gaps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C-shaped core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는, 적외선 센서가 체온을 측정하는 부위인, 개구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부착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 튜브 형상으로 된, 에어튜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의 체온측정 부위가 다른 부위와 단절된 상태로 체온측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체온측정 시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tube, which is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rim of the opening, where the infrared sensor measures body temperature, and has the shape of a tire tube in which air is injec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easure body temperature while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part of the infrared sensor is disconnected from other parts, which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measurement error during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 에어튜브의 하부는, 개구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환형 결합홈에 부착되며, 상부는 본체 외면 위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기 때문에, 개구부 주변의 피부가 본체와 이격되고, 이로 인하여 피부와 본체가 밀접접촉할 때 본체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체온측정 시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air tu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annular coupling groove surrounding the rim of the opening, and since the upper part protrudes to a certain height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skin around the opening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ereby Conductive heat transferred to the body when the skin and the body come into close contact can be minimized, s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measurement error when measuring body temperatur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포함된 에어튜브는, 한쪽에 압력이 가해지면, 그 압력이 다른 부위로 전달되어 반대쪽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의 시야각에 해당되는 측정부위가 항상 외부와 단절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전달 및 반사되는 적외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체온측정 시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tu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pressure is applied to one side, the pressure is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inflated, the measurement site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infrared sensor is always connected to the outside. Since it is in a disconnected state, and thus infrared rays transmitted and reflected from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measurement errors when measuring body temperature.

그리고 본 발명에는, 본체의 내부에서 개구부를 향하여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센서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제어모듈은, 적외선 체온센서를 작동하여 측정값을 전송하는 경우, 광량센서가 측정한 광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만 측정된 적외선 체온센서의 측정값을 전송하도록 하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가 측정하여 전송하는 측정값은, 에어튜브 내부로 들어오는 광량이 최소일 때 측정한 값이 되므로, 에어튜브가 피부표면에 밀접접촉한 상태에서만 측정되며, 이에따라 체온측정 시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 quantity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opening,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to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he light quantity measured by the light quantity sensor is constant Since the measured value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is transmitted only when the level is below the level, the measured value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infrared sensor becomes the value measured when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air tube is the minimum. It is measured only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so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measurement error when measuring body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 제어모듈은, 스마트체온계를 사용자가 착용하기 전의 제1상태인지, 착용한 상태인 제2상태인지, 또는 착용했다가 다시 벗어놓은 제3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태변화가 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변화 결과를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며,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는,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측정값 및 상태변화 결과를 반영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또는 벗어놨는지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smart thermometer is in a first state before the user wears it,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it, or in a third state in which the smart thermometer is worn and removed again. , when there is a state change, the state chang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operates by reflecting the measurement value and the state change result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so that the user The manag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smart thermometer is worn or not, and can take action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연결된 밴드가 제1밴드와 제2밴드로 나뉘어져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싸면서 채워지며, 제1밴드 및 제2밴드 각각에는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 또는 ‘제어모듈과 임피던스 결합되는 2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가 포함되고, 제1밴드 및 제2밴드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제1상태에서는, 제1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는 연결상태로 되고,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는 개방상태로 되며, 제1밴드 및 제2밴드가 서로 결합된 제2상태에서는, 제1밴드 및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모두 연결상태로 되며, 결합되었던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서로 분리시킨 제3상태에서는, 제1밴드 및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모두 개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어모듈은, 제1밴드 및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개방상태인지 또는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스마트체온계가 제1상태, 제2상태 또는 제3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또는 벗어놨는지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hile wrapping the user's wrist or ankle by dividing the b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to a first band and a second band to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has a 'swi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 or 'swi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that is impedance-coupled to the control module' is included, and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first band is connected and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second band is in an open state, and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circuits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all connected. and, in the third state in which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ban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ince the switching circuit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ands are all open,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bands. By determining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second band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thermometer is in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Accordingly, the manag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earing the smart thermometer or not, and can take action accordingly.

또한,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종단 쪽에는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각각 포함하며, 제1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유지하다가,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결합시켰다 분리하는 경우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만들며, 제2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다가,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만들며,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다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제어모듈은, 제1밴드 및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개방상태인지 또는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하여 스마트체온계가 제1상태, 제2상태 또는 제3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한 상태가 유지되는지, 또는 벗어놨는지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included at the ends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respectively, and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band maintains the switching circuit in a connected state,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mbined and separated, the switching circuit is opened, and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maintains the switching circuit in an open state, and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mbined makes the switching circuit in a connected state, and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separated again, the switching circuit is made in an open state, so the control module checks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ands are in an open state.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thermometer is in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in the connected state. Therefore,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earing the smart thermometer or not, and can take action accordingly.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밴드 및 제2밴드에 각각 포함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였다가 분리한 경우에는 서로 다시 결합할 수 없는 특징도 가지기 때문에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한 사용자가 이를 벗게되는 경우에는 다시 착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다른 사람에게 채우는 것도 불가능한 반면, 그 상태를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관리자가 알게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체온계를 통하여 다른 사람의 체온이 감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스마트체온계를 탈착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자가격리자 또는 입원환자로부터 획득하는 체온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separated, they cannot be coupled again.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wear it again, and it is impossible to fill it with another person. By preventing the smart thermometer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ed from self-quarantine or hospitalized patients.

또한, 결합돌기와 결합링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가지고 있고, 결합돌기는 버섯머리 모양의 수축가능한 탄성소재로 된 걸림캡을 가지고 있으며, 걸림캡은 걸림기둥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단턱부를 가지기 때문에 결합돌기를 결합링에 결합시켰을 때 걸림캡의 단턱부가 결합링의 상단에 걸려서 제1밴드와 제2밴드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has a coupling means consisting of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ring, and the coupling protrusion has a locking cap made of a mushroom head-shaped contractible elastic material, and since the locking cap has a stepped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locking pillar,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When coupled to the coupling ring, the stepped portion of the locking cap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ing, so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can be maintained.

또한 걸림기둥에는, 일정 폭으로 외주면을 두르는 도체띠를 포함하며, 결합링의 내주면에는 스위칭회로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돌기를 결합링에 결합시켰을 때, 한 쌍의 전극이 걸림기둥의 도체띠를 통하여 연결상태가 되므로,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종단이 결합되어 제2상태가 된 경우 제어모듈에서 즉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le includes a conductor strip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certain width, and since a pair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ring, the pair of Since the electrode is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or band of the locking pole, when the ends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to the second state, the control module can immediately detect it.

그리고, 걸림캡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 가능한 재질이고, 걸림캡이 걸림기둥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연결선이 절단될 수 있도록, 연결선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가능한 구조 또는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체온계를 벗어버리기 위하여, 제1밴드와 제2밴드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결합링으로부터 결합돌기를 빼면, 걸림캡의 단턱부가 결합링의 상단에 걸려서 걸림캡이 걸림기둥으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결합돌기 내부의 연결선이 끊어지므로 제1밴드의 스위칭회로는 개방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체온계를 벗어버리는 즉시 제어모듈은 제3상태로 된 것을 파악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cap is a material that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and when the lock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le, so that the connecting wire can be cut, the connecting wire is made of a structure or material that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In order to remove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by apply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separating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is removed from the engaging ring, the step portion of the engaging cap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ring and the engag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illar, Accordingly, the connection line inside the coupling protrusion is cut, so that the switching circuit of the first band is in an open state. Therefore, as soon as the user takes off the smart thermometer, the control module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cognize that it has entered the third state.

또한 본체의 양측에는,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축을 포함하며, 결합축의 양쪽에는 도체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도체부 상호간을 절연시키는 절연부를 가지며, 도체부 중, 본체 내부에 삽입된 부분은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에 끼워진 부분은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스위칭회로가 개방상태인지 연결상태인지를 제어모듈이 즉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body include coupling shafts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body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respectively, conductor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haft, and an insulating part for insulating the conductor parts from each other in the middle and, among the conductor parts,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so that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rol module can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band's switching circuit is open or connected.

이뿐만 아니라, 본체의 양측에는,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본체와 결합되는 금속제의 결합축을 포함하며, 제1밴드 또는 제2밴드가 결합축에 끼워진 부분에는, 제1밴드 또는 제2밴드 내에서 2차측 코일이 결합축을 감으면서 형성되며, 코일의 양단은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의 양측 내부에는 ㄷ자 철심이 각각 포함되며, ㄷ자 철심의 중앙은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1차측 코일이 감겨 있으며, ㄷ자 철심의 양단은 결합축의 양단과 마주하되, ㄷ자 철심의 양단과 결합축의 양단 사이에는 공극이 각각 형성되는 특징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위칭회로와 제어모듈을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지 않더라도, 유도성 임피던스 결합을 통하여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스위칭회로가 개방상태인지 연결상태인지를 제어모듈이 즉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체 내부의 제어모듈과 밴드 내부의 스위칭회로는 전기적이나 기계적으로 직접적인 연결이 없으므로 수분 등이 침투할 여지가 없어 스마트체온계 본체에 대한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o this, both sides of the main body include a metal coupling shaft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body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respectively. , The secondary side coil is formed while winding the coupling shaft within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both ends of the coi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and U-shaped iron cores are included in both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and the center of the U-shaped core is The primary side coi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is wound, and both ends of the U-shaped iron core face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but air gaps ar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U-shaped core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Even if the module is not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trol module can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of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through inductive impedance coupling. Accordingly, there is no direct electrical or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module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switching circuit inside the band, so there is no room for moisture to penetrate, thereby increasing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smart thermometer bod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웨어러블 체온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가 펼쳐진 상태의 뒷면(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가 펼쳐진 상태의 앞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에서 적외선 센서 부분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에서 적외선 센서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된 에어튜브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결합돌기 및 결합링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의 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와 제어모듈과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모듈과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개방여부에 따라 임피던스가 달라지는 원리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f a wearable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user's body.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n an unfolded state o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infrared sensor part o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frared sensor part o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tu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coupling r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band o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ing circuit and the control modul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with a control modu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that impedanc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features become clear,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already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among the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to be omitted.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also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may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wherein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give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specific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o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above express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웨어러블 체온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웨어러블 체온계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0) 안에 수납되는 기판(290) 위에 적외선 체온센서(20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본체(100) 중 신체(10)의 피부표면과 마주하는 면에 개구부(24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가 상기 개구부(240)를 통하여 상기 피부(10)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적외선량에 대하여 변환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체온으로 변환한 후 스마트기기에 전달하거나, 측정되는 적외선량을 직접 스마트기기에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스마트기기는 수신된 적외선량에 대하여 변환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체온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외선 체온센서(200)와 측정부위(243) 사이에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230)를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프레넬 렌즈(230)는 렌즈의 표면을 원환상(圓環狀)의 수 개의 띠로 분할 한 것이다. 상기 프레넬 렌즈(230)는 동일 초점 거리를 가지는 통상의 렌즈보다 두께가 얇고, 광의 효율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온도센서 디바이스의 박형화 추세에 따라 렌즈부가 결합되는 본체(100)의 외부와 기판(290) 사이의 이격거리가 감소되고 있다보니, 일반적인 렌즈보다 상기 프레넬 렌즈(230)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프레넬 렌즈(230)는 광의 투과율이 높아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f a wearable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general, in a wearable thermometer using an infrared sensor, as shown in FIG. 1 ,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is fixedly installed on a substrate 290 accommodated in the body 100, and the body 10 of the body 100 is By forming the opening 240 on the surface facing the skin surface,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measures the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skin 10 through the opening 240, and the measured infrared The conversion algorithm is applied to convert to body temperature and then i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or the measured infrared amoun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do. In this proces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 Fresnel lens 230 may be included between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and the measurement part 243 . The Fresnel lens 230 is obtained by dividing the surface of the lens into several bands of an annular shape. The Fresnel lens 230 has advantages in that it has a thinner thickness and higher light efficiency than a conventional lens having the same focal length. In particula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o which the lens unit is coupled and the substrate 290 is decreasing according to the trend toward thinner temperature sensor devices,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Fresnel lens 230 rather than a general lens. . In addition, since the Fresnel lens 230 has a high light transmittance, measurement accuracy may be improved.

그러나 일반적으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웨어러블 체온계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가 상기 신체(10)와 항상 접촉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신체(10)와 접촉된 상기 본체(100)에는 피부에서 발생한 열이 전도될 수밖에 없고(빨간 화살표 참조),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100)는 상기 신체(10)에서 발생한 전도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0)는 전도열로 인한 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이 상기 신체(10) 중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시야각(211) 이내 즉,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측정부위(243)로 방사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위(243)에서 측정된 적외선량은 상기 신체(10)에서 방출하는 적외선보다 많게 된다. 또한, 상기 신체(10)에서 발생한 전도열로 가열된 상기 본체(100)는 상기 프레넬 렌즈(230)에 대하여 전도열을 전달하기도 하고, 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상기 프레넬 렌즈(230)의 온도를 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는 상기 신체(10)에서 방출하는 적외선은 물론, 상기 프레넬 렌즈(230)에서 방출하는 적외선까지 측정하게 되므로 이 또한 측정오류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체온계는 손목이나 발목 등에 착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움직이다 보면,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표면과 상기 신체(10)의 피부 표면 사이에 경사각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경사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측정부위(243)를 벗어나는 범위(242)에서 발생되는 적외선까지 측정되기 때문에 측정오차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와 상기 신체(10)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통하여 상기 측정부위(243) 외의 신체(10)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상기 본체(10)에 반사되어 상기 측정부위(243)를 가열하기도 하고, 상기 신체(10)와의 장시간 접촉을 통하여 전도열을 전달받은 본체(100)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상기 측정부위(243)로 방사되기도 하므로 이 또한 측정오차 발생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However, in general, in a wearable thermometer using an infrared sensor, as shown in FIG. Heat generated from the skin is inevitably conducted to 100 (refer to the red arrow),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body 100 increases due to the conductive heat generated in the body 10, and accordingly, the body 100 Infrared radiation is emitted due to conduction heat. Accordingly, the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body 100 are radiated to within the viewing angle 211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of the body 10 , that is, to the measurement part 243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 Accordingly, the amount of infrared radi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portion 243 is greater than the infrared radiation emitted from the body 10 . In addition, the body 100 heated by the conductive heat generated in the body 10 also transfers conductive heat to the Fresnel lens 230 and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Fresnel lens 230 by emitting infrared rays. . Accordingly, since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measures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body 10 as well as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Fresnel lens 230, this also acts as a cause of measurement errors. In addition to this, since the wearable thermometer is typically worn on the wrist or ankle, etc., when the user moves, 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skin surface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1(b) . Inevitably,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generated in this way, a measurement error occurs because infrared rays generated in the range 242 out of the measurement portion 243 are measured. In addition,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body 10 other than the measuring part 243 are reflected by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body 10, and the measuring part 243 is reflected. Also, since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100 that have received conductive heat through long-term contact with the body 10 are radiated to the measurement portion 243, this also causes aggravation of measurement errors.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가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 등 사용자의 신체(10)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가 펼쳐진 상태의 뒷면(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면)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 4에는 앞면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적외선 센서 부분을 분해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는,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10)에 착용 된 상태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신호 등과 같은 사물인터넷 신호로 스마트기기(미도시) 또는 수신장치(미도시)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를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10)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양측 연결부(110)에 연결되는 밴드(3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밴드(3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로 나뉘어지도록 하고, 두 개의 밴드(300a, 300b)의 종단을 서로 결합함으로서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10)에 안정적으로 착용된 상태가 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body 10 such as the user's wrist or ankle, and in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s show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thereof. 5 shows the side o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infrared sensor part is disassembled.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As shown in FIGS. 2 to 6 ,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ile being worn on the user's wrist or ankle 10 and converts it into an IoT signal such as a BLE (Bluetooth Low Energy) signal. As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transmits to a smart device (not shown) or a receiving device (not shown), the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that can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d transmit it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are used by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and 30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dy 100 so as to be worn on the wrist or ankle 10 of the body 100 . And the band 300 is divided into two as shown in FIG. 2, and by combining the ends of the two bands 300a and 300b with each other, it can be stably worn on the user's wrist or ankle 10. It is preferable to have

한편 상기 본체(100)는, 착용 시 사용자의 신체(10)의 피부 표면과 접촉되는 쪽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개구부(24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240)를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240)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체온센서(200)를 포함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40)는 상기 본체(100)의 외면쪽 반경이 내면쪽 반경보다 커지도록 테두리(241)의 절개면이 경사지도록 하며, 상기 테두리(241)의 절개면의 경사도(θ)는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시야각(211, 도 7참조)이 센서표면과 이루는 각도와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는 통상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캔모양으로 된 몸체 중앙부에 센서렌즈(210)가 위치하며, 내부에는 센서(미도시)가 자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면에는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프레넬 렌즈(230)를 부착하도록 하되, 상기 프레넬 렌즈(230)가 상기 개구부(240)를 밀폐시키도록 부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는 시야각(211)의 범위내에 있는 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즉 상기 시야각(211)의 범위 내에 있는 피부 표면이 측정부위(241, 도 1 참조)가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opening 240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of the user's body 10 when worn. It is fixed toward 240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for measuring the skin surface temperature of the user through the opening 240 . And the opening 240 is such that the cut surface of the edge 241 is inclined so that the outer radius of the main body 100 is larger than the inner radius, and the inclination θ of the cut surface of the edge 241 is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angle 211 (refer to FIG. 7)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is the same as the angle formed with the sensor surface. As shown in FIG. 6 ,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has a sensor lens 210 positioned in the center of a can-shaped body, and a sensor (not shown) is positioned therein. And a Fresnel lens 230 for increasing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Fresnel lens 230 closes the opening 240 . It is more preferable to attach.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measures the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amount of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surface within the range of the viewing angle 211 . That is, the skin surface within the range of the viewing angle 211 becomes the measurement site 241 (refer to FIG. 1 ).

또한 상기 본체(100)의 외면에는, 상기 개구부(240)의 테두리(241)를 둘러싸면서 부착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 튜브 형상으로 된 에어튜브(250)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튜브(250)는 실리콘소재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낮고 탄성율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도록 하고, 내부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252)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에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측정값을 사물인터넷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모듈(50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500)에는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500)이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상기 측정값을 전송할 때는,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가 측정한 로데이터(raw data)값에 대하여, 변환알고리즘을 가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체온으로 변환한 체온값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가 측정한 로데이터(raw data)값을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가 이에 대하여 소프트웨어적인 변환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체온값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제어모듈(500)을 비롯하여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 등을 작동시키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air tube 250 in the shape of a tire tube attached while surrounding the rim 241 of the opening 240 , in which air is injected. The air tube 25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modulus of elasticity, such as a silicon material, and an internal space 252 into which air can be injected as shown in FIG. 6 is included. .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is transmitted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method.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ntrol module 500 for transmitting to the receiving devic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module 500 includes a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When the control module 500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the raw data value measured by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is converted using software having a conversion algorithm. It is also preferable to transmit the body temperature value converted into body temperature, and the control module 500 transmits the raw data value measured by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and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It is also desirable to convert the device into a body temperature value using a software conversion algorithm.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power supply means (not shown) for operating the control module 500 and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etc., and a battery is used as the power supply means. Preferably,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olar cell.

상기 적외선 센서(200)와 상기 개구부(240)에 대한 상세구조와 상기 에어튜브(250)의 작동원리가 도6,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200), 상기 개구부(240) 및 상기 에어튜브(250) 등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에어튜브(25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250)는, 하부가 상기 개구부(240)의 테두리(241)를 둘러싸는 환형 결합홈(251)에 부착되며, 상부는 상기 본체(100)의 외면 위 일정높이(h)까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외면 위 일정높이(h)까지 돌출되는 상기 에어튜브(25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개구부(240) 주변에서는,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사용자의 신체(10) 와의 거리를 상기 일정높이(h) 만큼 떼어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10)로부터 상기 본체(100)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적외선 센서(200)의 측정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nfrared sensor 200 and the opening 240 and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tube 250 are shown in FIGS. 6, 7 and 8, which are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frared sensor 200, the opening 240, and the air tube 250 in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and FIG. 8 explain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tube 25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air tube 250 is attached to an annular coupling groove 251 having a lower portion surrounding the rim 241 of the opening 240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up to a certain height (h) above the outer surfac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ir tube 250 protruding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round the opening 240,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user's body 10 can be separated by the predetermined height h, thereby minimizing the conduction heat transferred from the user's body 10 to the main body 1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infrared sensor 200 .

또한 상기 에어튜브(250)는 실리콘소재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낮고 탄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고, 내부에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252)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10)로부터 상기 본체(100)로 직접 전달되는 전도열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재질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마치 타이어 튜브와 같아서 한쪽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부피는 작아지고, 그 압력이 나머지 부위로 전달되어 반대쪽으로 갈수록 점점 부풀어 오르게 된다. 따라서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체온계의 오른쪽이 낮아지게 기울어져서 사용자의 신체(10) 표면과 경사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튜브(250)의 왼쪽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에어튜브(250)의 왼쪽 내부공간(252a)은 압축되어 부피가 작아지게 되는데, 왼쪽 내부공간(252a) 쪽이 압축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이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10)와의 거리가 가장 멀은 위치 즉 상기 에어튜브(250)의 오른쪽 내부공간(252a)은 전달되는 압력에 의하여 가장 큰 높이(h2)로 된다. 그리고 왼쪽(h1)으로부터 오른쪽(h2)로 갈수록 상기 에어튜브(250)의 키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10) 표면과 상기 본체(100)와의 경사각으로 인하여 발생한 틈은 상기 에어튜브(250)에 의하여 모두 막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는 오롯이 상기 측정부위(243)에서 발생되는 적외선량만 측정하게 되므로 측정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c)에는 스마트체온계의 왼쪽이 낮아지게 기울어져서 사용자의 신체(10) 표면과 경사각이 발생되는 경우를 도시해 놨는데, 이는 도 8(b)의 상황과 반대되는 경우로서,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측정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tube 250 uses a material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elasticity, such as a silicon material, and includes an internal space 252 into which air can be injected as shown in FIGS. 6 to 8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duction heat directly transferred from the user's body 10 to the main body 100, as well as be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like a tire tube, the portion to which pressure is applie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one side. The volume of the body becomes smaller, and the pressure is transferred to the rest of the body, and it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opposite side. Therefore, as shown in FIG. 8(b), when the right side of the smart thermometer is inclined low and an inclination angle is generated with the surface of the user's body 10, pressure is applied to the left side of the air tube 250, Accordingly, the left internal space 252a of the air tube 250 is compressed to reduce its volume, and the pressure generated while the left internal space 252a is compressed is transmitted to other parts, and accordingly, the user's body ( 10), that is, the right inner space 252a of the air tube 250 becomes the greatest height h2 by the transmitted pressure. And the height of the air tube 25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left (h1) to the right (h2).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b ), the gap generated due to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surface of the user's body 10 and the body 100 is blocked by the air tube 250 , and accordingly,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Since 200 only measures the amount of infrared radiation generated from the measurement portion 243, measurement error can be minimized. Fig. 8(c) shows a case in which the left side of the smart thermometer is tilted low and an inclination angle is generated with the surface of the user's body 10, which is opposite to the situation of Fig. 8(b). Since the measurement error can be minimized in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b),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240)를 향하여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센서(60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광량센서(60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를 작동하여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값을 전송할 때, 상기 광량센서(600)가 측정한 ‘광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 측정된’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측정값’만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에어튜브(250)가 사용자의 신체(10)와의 사이에 발생한 틈을 완전하게 막고 있을 때에 측정한 값이 가장 정확한 측정값이기 때문이다. 상기 에어튜브(250)가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심하게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스마트체온계의 위치를 바꾸기 위하여 움직일 때는 상기 에어튜브(250)와 사용자의 신체(10)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고, 이 경우 상기 측정부위(243)에서 측정된 값에 측정오차가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 광량센서(60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에어튜브(250)가 사용자의 신체(10)와의 사이에 발생한 틈이 거의 없도록 막고 있을 때의 광량을 상기 일정 수준으로 하여 상기 일정 수준의 광량 이하에서 측정된 측정값만을 사용하도록 하면,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측정값을 정확한 값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스마트체온계가 사용자의 신체(10) 위에서 움직이고 있는 동안일지라도 상기 에어튜브(250)가 사용자의 신체(10)와의 사이에 발생한 틈이 최소화되는 순간이 있을 것이고, 상기 광량센서(600)가 그 순간을 잡아낼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순간에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의 측정값을 전송하게 되면 측정오차가 최소화된 측정값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 light quantity sensor 60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opening 240 . When the light quantity sensor 600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module 500 operates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to measure body temperature and transmit the measured valu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only the 'measured value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measured when the amount of light is below a certain level. This is because the value measured when the air tube 250 completely blocks the gap between the air tube 250 and the user's body 10 is the most accurate measurement value. Even if there is the air tube 250, when the user moves violently or the user move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mart thermometer, a gap may occur between the air tube 250 and the user's body 10, in this case, the A measurement error appears in the value measured at the measurement site 243 . However, when the light quantity sensor 600 is included, the light quantity at the time when the air tube 250 closes the gap between the user's body 10 and the user's body 10 is set to the predetermined level. When only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elow are used, the measured values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can be transmitted as accurate values. That is, even while the smart thermometer is moving on the user's body 10, there will be a moment when the gap between the air tube 250 and the user's body 10 is minimized, and the light quantity sensor 600 is Since the measured value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is transmitted at that mo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measured value with a minimized measurement erro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는, 사용자가 착용하기 전의 상태인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인지 또는 사용자가 착용했다가 벗어놓은 상태인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스마트체온계를 사용자가 착용하기 전의 제1상태인지, 착용한 상태인 제2상태인지, 또는 착용했다가 다시 벗어놓은 제3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상태 또는 상기 제3상태로 상태변화가 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변화 결과를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제어모듈(5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값 및 상기 상태변화 결과를 반영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는 이러한 작동을 위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결합돌기 및 결합링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의 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와 제어모듈과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모듈과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개방여부에 따라 임피던스가 달라지는 원리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 able to determine by itself whether it is in a state before the user wears i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it, or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uts it on and then takes it off.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5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thermometer is in the first state before the user wears it,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it, or in the third state in which the smart thermometer is worn and then taken off again. can be determined, and when the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the result of the stat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includes the control module ( 500), it is preferable to reflect the measurement value and the result of the state change to be operat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include a dedicated application for this operation.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4 . 9 is a detailed view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coupling r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band of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ing circuit and the control modul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modu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impedanc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9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밴드(300)는, 제1밴드(300a)와 제2밴드(300b)로 나뉘어져 각각의 일단은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있는 상기 연결부(110)에 각각 결합되고, 반대쪽 종단은 상호간에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싸면서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 각각에는 ‘상기 제어모듈(500)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410)’ 또는 ‘상기 제어모듈(500)과 임피던스 결합되는 2차측 코일(450)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410)’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기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300a)에 포함된 스위칭회로(410)는 연결상태로 되고, 상기 제2밴드(300b)에 포함된 스위칭회로(410)는 개방상태로 되며,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가 서로 결합된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에 포함된 스위칭회로(410)가 모두 연결상태로 되며, 결합되었던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를 서로 분리시킨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에 포함된 스위칭회로(410)가 모두 개방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회로(410)가 개방상태인지 또는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스마트체온계가 상기 제1상태, 상기 제2상태 또는 상기 제3상태인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to 14, the band 3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first band 300a and a second band 300b, and one end of each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Each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0, and the opposite ends are preferab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filled while wrapping the user's wrist or ankle. And each of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has a 'switching circuit 410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00' or a 'secondary side coil that is impedance-coupled with the control module 500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witching circuit 410' connected to the 450). And in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circuit 410 included in the first band 300a is in a connected state, The switching circuit 410 included in the second band 300b is in an open state, and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300a ) and the switching circuit 410 included in the second band 300b are all connected, and in the third state in which the coupled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switching circuit 410 included in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be in an open state. And the control module 500 detects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410 included in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so that the smart thermometer is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그러므로,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의 종단 쪽에는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각각 포함하도록 하되, 상기 제1밴드(300a)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스위칭회로(410)를 연결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를 결합시켰다 분리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회로(410)를 개방상태로 만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밴드(300b)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스위칭회로(410)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회로(410)를 연결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를 다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회로(410)를 개방상태로 만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에 각각 포함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였다가 분리한 경우에는 서로 다시 결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였다가 분리한 경우에는 서로 다시 결합할 수 없도록 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체온계를 착용했다가 벗어놓은 뒤 다른 사람에게 착용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는 한 사람이 사용한 뒤에는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저가형의 일회용으로 제작하거나, 한번 사용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수거하여 상기 밴드(300)를 새로운 밴드로 교체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refore,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is included at the end of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respectively, and the first band 300b is provided.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band 300a connects and separates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while maintaining the switching circuit 410 in a connected state. ) is desirable to make it open. 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300b maintains the switching circuit 410 in an open state, and when coupling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the switching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ircuit 410 into a connected state, and to make the switching circuit 410 open when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are separated again.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separat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cannot be coupled to each other again. If the coupl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y cannot be coupled again, problems such as wearing the smart thermometer after putting it on and taking it off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is case,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s a low-cost disposable so that one person does not use it again after using it, or collects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used once and replaces the band 300 with a new band for reuse. It will also be possible

한편, 상기 제1밴드(300a) 및 상기 제2밴드(300b)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여러 가지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겠지만, 상기 제1밴드(300a)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결합돌기(310)로 하고, 상기 제2밴드(300b)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돌기(310)가 끼워질 수 있는 환형기둥 형상의 결합링(320)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링(320) 중 하나에 끼워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밴드(300a)에는 하나의 결합돌기(310)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제2밴드(300b)에는 다수의 결합링(320)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10)의 굵기에 따라서 적정한 크기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a variety of coupling means may be applied, but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band 300a i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used, and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300b is an annular column-shaped coupling ring 320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10 can be fitte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fitted into one of the coupling rings 320. As shown in FIGS. 2 to 5, the first band 300a has one coupling protrusion 310 as shown in FIGS. ), an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coupling rings 320 in the second band 300b, it is more preferable to combine and use it in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wrist or ankle 10. do.

상기 결합돌기(310) 및 상기 결합돌기(310)가 끼워지는 결합링(320)의 상세구조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a)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링(320)에 끼워지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b)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링(320)에 끼워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c)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링(320)에 끼워졌다가 빠지는 과정에서 걸림캡(312)이 걸림기둥(311)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연결선(314)이 절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9(c)의 상태는 상술한 설명에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였다가 분리한 경우 서로 다시 결합할 수 없도록 한” 상태이다. 그리고 도 9(d)에는 상기 연결선(314)이 절단되기 전의 모습이, 도 9(e)에는 상기 연결선(314)이 절단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0 and the coupling ring 320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fitted is shown in FIG. 9 . Figure 9 (a) shows the state before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ring 320, and in Fig. 9 (b),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ing 320. appearance is shown. And, in FIG. 9(c), the engaging protrusion 310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ole 311 while the engag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and then removed from the engaging ring 320, and thus the connecting line 314 is A cutaway view is shown. Therefore, the state of Fig. 9 (c) is a state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coupl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separated, they cannot be coupled to each other again”. 9(d) shows a state before the connecting line 314 is cut, and FIG. 9(e) shows a state after the connecting line 314 is cut.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310)에는, 그 하단이 상기 제1밴드(300a)에 결합되는 걸림기둥(311)과 상기 걸림기둥(311)의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캡(312)을 포함하도록 하되, 상기 걸림캡(312)은, 버섯머리 모양의 수축가능한 탄성소재로서, 상기 걸림기둥(311)의 상단과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걸림기둥(3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단턱부(312a)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기둥(311)에는, 일정 폭으로 외주면을 두르는 도체띠(313)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둥(311)과 상기 걸림캡(312) 내부에는, 상기 스위칭회로(410)를 연결상태로 만드는 연결선(314)이 배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선(314)은 상기 걸림기둥(311)의 하단으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기둥(311)과 상기 걸림캡(312)을 왕복한 뒤에 돌아와서 다시 상기 걸림기둥(311)의 하단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9, the engaging protrusion 310 has a locking pole 311 whos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and 300a and a locking cap 312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ole 311. However, the locking cap 312 is a mushroom head-shaped contractible elastic material, and has a stepped portion 312a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locking pillar 311 at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illar 311 . ) is desirable to have. And the locking pillar 311 includes a conductor strip 313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inside the locking pillar 311 and the locking cap 312, the switching circuit 410 is connected in a connected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line 314 to be made is wired. The connecting line 314 is drawn into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llar 311, returns after reciprocating between the locking pillar 311 and the locking cap 312, and is drawn out to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illar 311 again. desirabl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밴드(300b)에 포함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돌기(310)가 끼워질 수 있는 환형기둥 형상의 결합링(3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링(3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위칭회로(41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32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링(320)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걸림캡(312)의 단턱부(312a)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b)에서처럼 상기 결합돌기(310)가 상기 결합링(320)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걸림캡(312)의 단턱부(312a)가 상기 결합링(320)의 상단에 걸려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밴드(300a)와 상기 제2밴드(300b)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극(322)은 상기 걸림기둥(311)의 도체띠(313)를 통하여 연결상태가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300b is preferably a coupling ring 320 having an annular column shap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10 can be fitted. And a pair of electrodes 322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410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ing 320 ,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coupling ring 320 is the stepped portion of the locking cap 312 . (312a) It is preferable to make it smaller than the diameter. Accordingly,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fitted to the coupling ring 32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the pair of electrodes 322 is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or strip 313 of the locking pillar 311 .

그리고 상기 제1밴드(300a)와 상기 제2밴드(300b)에 대하여, 이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결합링(320)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310)를 빼게되면, 상기 결합링(320)의 내주면 직경보다 큰 상기 걸림캡(312)의 단턱부(312a)가 상기 결합링(320)의 상단에 걸려서 상기 걸림캡(312)이 상기 걸림기둥(3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캡(312) 또는 상기 걸림기둥(311)과 상기 걸림캡(312)이 결합된 부분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 가능한 재질 또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캡(312) 또는 상기 걸림기둥(311)과 상기 걸림캡(312)이 결합된 부분은,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밴드(300a)와 상기 제2밴드(300b)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유지시키다가, 강한 힘으로 잡아 떼면 떨어질 수 있도록, 인장력에 대하여 적당한 저항력을 가지면서도, 일정한도가 넘어서는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캡(312)이 상기 걸림기둥(3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연질 실리콘 등과 같은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with respect to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by applying a force in a direction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subtracted from the coupling ring 320, the coupling ring ( The step portion 312a of the locking cap 312, which is larg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320,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ing 320 so that the locking cap 312 can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illar 311. desirabl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cap 312 or the engaging pole 311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engaging cap 312 are made of a material or structure that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of the engaging cap 312 or the engaging pillar 311 and the engaging cap 312 is maintained such that the first band 300a and the second band 300b are stably coupled in normal times. Soft silicone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illar 311 when a tensile force exceeding a certain degree is applied while having an appropriate resistance to the tensile force so that it can fall off when pulled off with a strong forc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ame material.

그리고 상기 걸림캡(312)이 상기 걸림기둥(3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연결선(314)이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선(314)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가능한 구조 또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d) 및 도 9(e)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상기 연결선(314)의 피복(316)은 둘로 나뉘어져 있도록 하고(316a, 316b), 심선(315) 또한 둘로 나뉘어져 있도록 하되(315a, 315b), 두 심선(315a, 315b)은 도 9(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 피복(316b)내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9(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에서 잡아당겨지면(청색 화살표 참조) 두 피복(316a, 316b)이 분리되면서, 두 심선(315a, 315b)도 같이 분리되고, 이에 따라 연결상태를 유지하던 연결선(314)이 개방상태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And when the locking cap 31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illar 311, the connection wire 314 may be cut so that the connection wire 314 is preferably made of a structure or material that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do. For example, it is also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9(d) and 9(e), and the covering 316 of the connecting wire 314 is divided into two (316a, 316b), and the core wire 315. In addition, the two core wires 315a and 315b are divided into two so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in one covering 316b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9(e), when pulled from both sides (refer to the blue arrow), the two sheaths 316a and 316b are separated, and the two core wires 315a and 315b are also separated, and thus the connection state is changed. The maintained connection line 314 is changed to an open state.

한편 도 10에는, 밴드 내에서 상기 스위칭회로(410)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스위칭회로(410)와 제어모듈(500)과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스위칭회로(410)가 개방상태인지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회로(410)의 상태를 상기 제어모듈(500)이 알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회로(410)와 상기 제어모듈(500)은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밴드(300a) 또는 상기 제2밴드(300b)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그 양단이 상기 본체(100)의 연결부(110)와 결합되는 결합축(12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축(120)의 양쪽에는 도체부(121)가 형성되도록 하고, 중간에는 양쪽에 형성된 상기 도체부(121) 상호간을 절연시키는 절연부(122)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체부(121) 중, 상기 본체(100)의 연결부(110) 내부에 삽입된 부분은 본체배선(430)을 통하여 상기 제어모듈(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밴드(300a) 또는 상기 제2밴드(300b)에 끼워진 부분에는 금속제로 된 브러쉬(brush, 420)가 상기 도체부(121)에 접촉하면서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러쉬(420)에 연결된 상기 스위칭회로(410)가 상기 제어모듈(5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 FIG. 10 ,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how the switching circuit 410 is connected within the band is shown, and in FIG. 11 ,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500 . A top view is show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module 500 detects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410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500 b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control module 500 can know the state of the switching circuit 410 . To this en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 as shown in FIG. 10 , each end is fitted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300a or the second band 300b, and both ends are the connecting parts of the main body 100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upling shaft 120 coupled to the 110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parts 12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haft 120 , and the insulating parts 122 that insulate the conductor parts 121 formed on both sides in the middle are preferably provided. And, as shown in FIG. 11 , among the conductor parts 121 , the pa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110 of the body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00 through the body wiring 430 , , connected to the brush 420 by wrapping a metal brush 420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part 121 on a portion fitted to the first band 300a or the second band 300b. Preferably, the switching circuit 410 allows the control module 5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은 연결이 이루어 지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회로가 완성되는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500)의 왼쪽에서 인출된 상기 본체배선(430)은 상기 결합축(120)의 한쪽 도체부(121)를 통하여, 상기 도체부(121)를 감싸는 상기 브러쉬(420)를 경유하여, 상기 제1밴드(300a)내에 배선된 상기 스위칭회로(410)에 연결되는데, 상기 스위칭회로(410)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돌기(310) 하나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돌기(310)는 내부에서 상기 연결선(31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모듈(500)에 연결된 상기 제1밴드(300a)의 스위칭회로(410)는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걸림캡(312)이 분리되면서 상기 결합돌기(310)에 포함된 상기 연결선(314)이 절단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1밴드(300a)의 스위칭회로(410)는 개방상태가 된다. When such a connection is made, the circuit shown in FIG. 11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1 , the main body wiring 430 drawn out from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module 500 is one conductor of the coupling shaft 120 . It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410 wired in the first band 300a through the part 121 through the brush 420 surrounding the conductor part 121, the switching circuit 410 On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31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connected from the inside through the connecting line 314, so that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the control module 500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first band 300a connected to is in a connected state, and in the third state, the connecting line 314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separated while the locking cap 312 is separated. Since it is in a cut state,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first band 300a is in an open state.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500)의 오른쪽에서 인출된 상기 본체배선(430)은 상기 결합축(120)의 한쪽 도체부(121)에 연결되며, 상기 도체부(121)를 감싸는 상기 브러쉬(420)를 경유하여 상기 제2밴드(300b)내에 배선된 상기 스위칭회로(410)에 연결되는데, 상기 스위칭회로(410)의 양단에는 복수개의 결합링(320)이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결합링(320) 각각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전극(322)이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모듈(500)에 연결된 상기 제2밴드(300b)의 스위칭회로(410)는 개방상태가 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결합링(320) 중 하나에 상기 결합돌기(310)가 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310)에 포함된 상기 도체띠(313)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322)이 연결되므로, 상기 제어모듈(500)에 연결된 상기 제2밴드(300b)의 스위칭회로(410)는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링(320)에서 상기 결합돌기(310)가 빠져나온 상태가 되므로 상기 도체띠(313)가 빠져나간 상기 한 쌍의 전극(322)은 다시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모듈(500)에 연결된 상기 제2밴드(300b)의 스위칭회로(410)는 다시 개방상태가 된다. And the main body wiring 430 drawn out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ntrol module 500 is connected to one conductor part 121 of the coupling shaft 120, and the brush 420 surrounding the conductor part 121 is removed. It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410 wired in the second band 300b via a plurality of coupling rings 320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rings ( 320) Since the pair of electrodes 322 exist in an open state on eac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second band 300b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00 is opened in the first state. state, and in the second state,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fit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rings 320 ,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protrusion 310 passes through the conductor strip 313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10 . Since the pair of electrodes 322 are connected,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second band 300b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00 is in a connected state, and in the third state, in the coupling ring 320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in a protruding state, the pair of electrodes 322 from which the conductive strip 313 has exited remains open again, so that the second connected protrusion 3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00 .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band 300b is again in an open state.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모듈과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 스위칭회로의 개방여부에 따라 임피던스가 달라지는 원리를 설명하는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스위칭회로(410)가 개방상태인지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스위칭회로(410)의 상태를 상기 제어모듈(500)이 알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회로(410)와 상기 제어모듈(500)은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기 스위칭회로(410)와 상기 제어모듈(50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상기 스위칭회로(410)의 상태를 상기 제어모듈(500)이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Meanwhile,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to a control modu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ing circuit. And, FIG. 1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that the impedance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for the control module 500 to determine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410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and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module 50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witching circuit 4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500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known. However, this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for allowing the control module 500 to know the state of the switching circuit 410 even if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500 are not directly connected.

상기 스위칭회로(410)와 상기 제어모듈(500) 사이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내부공간까지 삽입되는 도체나 금속물 등이 필요하고, 외부로부터 내부공간까지 도체나 금속물 등을 삽입하게 되면, 도체나 금속물과 상기 본체(100)와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통하여 습기가 침투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본체(100)의 기밀성이 약해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100)의 방수기능이 매우 취약해지게 된다. 상기 본체(100) 안에는 회로소자가 부착되고 배선되는 상기 기판(290)을 비롯하여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200)가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면 오작동이 발생하고,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는 사용자의 신체(10)에 상시 착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샤워나 세수, 설거지 등을 하는 경우 습기가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방수기능이 강해야 한다. In order to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500, a conductor or a metal material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ner space is required, and a conductor or a metal material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ner space. When it is done, the airtightness of the main body 100 is weakened because moisture easily penetrates through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conductor or metal object and the main body 100, and thus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very weak. will lose Since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200 is installed in the body 100 as well as the board 290 to which circuit elements are attached and wired, when moisture penetrates from the outside, a malfunction occurs and causes a malfunc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o be worn on the user's body 10 at all times, the possibility of moisture penetration increases when the user takes a shower, washing face, washing dishes, etc., so the waterproof function must be strong.

상기 스위칭회로(410)와 상기 제어모듈(50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하면, 외부로부터 내부공간까지 삽입되는 도체나 금속물 등이 없기 때문에 습기침투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어 방수성능이 높은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칭회로(410)와 상기 제어모듈(50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하면서도 신호를 전달하려면, 상기 스위칭회로(410)에서 발생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상기 제어모듈(500)에서 이를 수신하게 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그럴 경우 부품수가 늘어나서 비용이 증가하고 고장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밴드(300) 부분에 대한 방수도 강화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의한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에서는 상기 밴드(300)의 스위칭회로 상태를 무선신호로 송출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모듈(500)이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If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500 are not directly connected, moisture penetration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because there is no conductor or metal that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ner space. You can make a thermometer. In order to transmit a signal while the switching circu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500 are not directly connected, a signal generated by the switching circuit 410 is transmitted wirelessly and the control module 500 receives it. There is a way to do it, but in that case,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cost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etc. is high,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proofing of the band 300 part must also be strengthened. However, the wearable smart therm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in which the control module 500 can grasp the state of the switching circuit of the band 300 without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는, 상기 제1밴드(300a) 또는 상기 제2밴드(300b)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본체(100)와 결합되는 금속제의 결합축(12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300a) 또는 상기 제2밴드(300b)가 상기 결합축(120)에 끼워진 부분에는, 상기 제1밴드(300a) 또는 상기 제2밴드(300b) 내에서 상기 2차측 코일(450)이 상기 결합축(120)을 감싸 감으면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2차측 코일(450)의 양단은 상기 스위칭회로(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 내부에는 ㄷ자 철심(460)이 각각 포함되도록 하되, ㄷ자의 열린 부분이 상기 밴드(300)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ㄷ자 철심(460)의 중앙에는 상기 제어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1차측 코일(470)이 감겨져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ㄷ자 철심(460)의 양단은 상기 결합축(120)의 양단과 마주하도록 하되, 상기 ㄷ자 철심(460)의 양단과 상기 결합축(120)의 양단 사이에는 공극(461)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are fitted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300a or the second band 300b, respectively.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upling shaft 120 made of metal to be coupled. And in the portion where the first band 300a or the second band 300b is fitted to the coupling shaft 120, the secondary side coil within the first band 300a or the second band 300b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shaft 120 is formed while being wrapped around the coupling shaft 120 , and both ends of the secondary side coil 4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410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shaped iron cores 460 are included i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 respectively, and the C-shaped open part faces the band 300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imary side coil 4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00 is wound around the center of the C-shaped iron core 460 , and both ends of the C-shaped iron core 460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120 . It is preferable that air gaps 461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C-shaped iron core 460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120 .

이와 같은 연결이 이루어 지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은 회로가 완성되는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500)의 왼쪽에서 인출된 상기 본체배선(430)의 양단은 상기 1차측 코일(470)의 양단에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2차측 코일(450)의 양단은 상기 제1밴드(300a)내에 배선된 상기 스위칭회로(4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1차측 코일(470)과 상기 2차측 코일(450)은 임피던스 결합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300a)내에 배선된 상기 스위칭회로(410)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돌기(310)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돌기(310)는 내부에서 상기 연결선(31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기 2차측 코일(450)에 연결된 상기 제1밴드(300a)의 스위칭회로(410)는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걸림캡(312)이 분리되면서 상기 결합돌기(310)에 포함된 상기 연결선(314)이 절단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1밴드(300a)의 스위칭회로(410)는 개방상태가 된다. When such a connection is made, the circuit as shown in FIG. 13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3 , both ends of the main body wiring 430 drawn from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module 500 are the primary coil 470 . connected to both ends of 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secondary side coil 450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410 wired in the first band 300a. Accordingly, the primary side coil 470 and the secondary side coil 450 are coupled by impedance coupling.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circuit 410 wired in the first band 300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line 314 inside,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first band 300a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coil 450 is in a connected state, and in the third state, the locking cap 312 is Since the connection line 314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cut while being separated,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first band 300a is in an open state.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500)의 오른쪽에서 인출된 상기 본체배선(430)의 양단도 상기 1차측 코일(470)의 양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2차측 코일(450)의 양단은 상기 제2밴드(300b)내에 배선된 상기 스위칭회로(4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500)의 오른 쪽에 연결된 상기 1차측 코일(470)과 상기 2차측 코일(450)도 임피던스 결합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밴드(300b)내에 배선된 상기 스위칭회로(410)의 양단에는 복수개의 결합링(320)이 병렬로 연결되며, 각각의 결합링(3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전극(322)이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제1상태에서는 상기 1차측 코일(470)에 연결된 상기 제2밴드(300b)의 스위칭회로(410)는 개방상태가 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링(320)에 상기 결합돌기(310)가 끼워져서 상기 결합돌기(310)에 포함된 상기 도체띠(313)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전극(322)이 연결되므로, 상기 1차측 코일(470)에 연결된 상기 제2밴드(300b)의 스위칭회로(410)는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링(320)에서 상기 결합돌기(310)가 빠져나온 상태가 되므로 상기 한 쌍의 전극(322)이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1차측 코일(470)에 연결된 상기 제2밴드(300b)의 스위칭회로(410)는 개방상태가 된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main body wiring 430 drawn out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ntrol module 500 are also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imary side coil 470 .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econdary side coil 450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410 wired in the second band 300b. Accordingly, the primary side coil 470 and the secondary side coil 450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control module 500 are also coupled by impedance coupling. A plurality of coupling rings 320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switching circuit 410 wired in the second band 300b, and the pair of electrodes 322 are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coupling ring 320 . ) exists in an open state, so in the first state,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second band 300b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coil 470 is in an open state, and in the second state, the coupling ring (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fitted to 320 and the pair of electrodes 322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or strip 313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t is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470.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second band 300b is in a connected state, and in the third state,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out of the coupling ring 320, so the pair of electrodes 322 ) exists in an open state, so the switching circuit 410 of the second band 300b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coil 470 is in an open stat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500)의 양쪽에 연결된 상기 1차측 코일(470) 각각과 상기 2차측 코일(450) 각각은 임피던스 결합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4(a) 또는 도 14(c)에서 보는 바와 같은 회로를 구성하게 되는데, 도 14(a) 및 도 14(c)는 인덕턴스값을 가진 코일을 통하여 임피던스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 14(a)는 도 14(b)와 같은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으며, 도 14(c)는 도 14(d)와 같은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4(a)와 같이 상기 2차측 코일(450)의 양단이 연결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어모듈(500)에서 측정되는 전체 임피던스(Z)는, 도 1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코일(470)이 가진 임피던스(Zp=Rp+jXp)에 상기 2차측 코일(450)이 가진 임피던스(Zs=Rs+jXs)에 상기 1차측 코일(470)과 상기 2차측 코일(450)의 권선비를 제곱한 값을 더한 값이 전체 임피던스(Z = (Rp+a2Rs) + j(Xp + a2Xs)가 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rimary side coil 470 and the secondary side coil 45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trol module 500 are coupled by impedance coupling. Therefore, the circuit as shown in Fig. 14(a) or Fig. 14(c) is constituted, and Fig. 14(a) and Fig. 14(c) show an impedance-coupled state through a coil having an inductance value. a) may be represented by an equivalent circuit as in FIG. 14(b), and FIG. 14(c) may be represented by an equivalent circuit as in FIG. 14(d). Therefore, when both ends of the secondary side coil 450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14(a), the total impedance (Z) measured by the control module 500 is 1 as shown in FIG. 14(b). The impedance (Zp=Rp+jXp) of the secondary coil 470 and the impedance (Zs=Rs+jXs) of the secondary coil 450 include the primary coil 470 and the secondary coil 450 . The sum of the squared turns ratio is the total impedance (Z = (Rp+a 2 Rs) + j(Xp + a 2 Xs).

그러나, 도 14(c)와 같이 상기 2차측 코일(450)의 양단이 개방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어모듈(500)에서 측정되는 전체 임피던스(Z)는, 상기 2차측 코일(450)이 가진 임피던스(Zs=Rs+jXs)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무시되므로, 상기 1차측 코일(470)이 가진 임피던스(Zp=Rp+jXp)가 전체 임피던스(Z = Rp + jXp)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500)은 전체 임피던스(Z)의 변화값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칭회로(410)가 개방상태인지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데, 전체 임피던스(Z)값이 높은 스위칭회로(410)는 연결상태로 판단하며, 전체 임피던스(Z)값이 낮은 스위칭회로(410)에 대하여는 개방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However, when both ends of the secondary side coil 450 are open as shown in FIG. 14(c) , the total impedance Z measured by the control module 500 is the impedance of the secondary side coil 450 . Since (Zs=Rs+jXs) is in an open state, it is ignored, so the impedance (Zp=Rp+jXp) of the primary side coil 470 becomes the total impedance (Z=Rp+jXp).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500 detects the change value of the total impedance (Z) to determine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410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 is determined as a connected state, and an open state is determined for the switching circuit 410 having a low overall impedance (Z) value.

한편 상기 1차측 코일(470)은 상기 ㄷ자 철심(460)에 감겨져 있고, 상기 2차측 코일(450)은 상기 결합축(120)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ㄷ자 철심(460)의 양단과 상기 결합축(120)은 공극(461)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상기 1차측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2차측 코일(450)에 흐르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속은 상기 ㄷ자 철심(460), 상기 공극(461) 및 상기 결합축(120)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1차측 코일(470)과 상기 2차측 코일(450) 사이에 임피던스 결합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반면 상기 ㄷ자 철심(460)과 상기 결합축(120) 사이에는 상기 공극(46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공극(461)을 통하여 흐르는 자속에 대한 자기저항은 다소 증가할 지라도, 상기 ㄷ자 철심(460)과 상기 결합축(120)이 연결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본체(100)의 방수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side coil 470 is wound around the C-shaped iron core 460, the secondary side coil 450 is wound around the coupling shaft 120, both ends of the U-shaped core 460 and the coupling shaft ( 120) i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air gap 461 therebetween, so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primary coil 470 or the induced current flowing in the secondary coil 450 is the U-shaped iron core 460, It flows through the air gap 461 and the coupling shaft 120, thereby smoothly maintaining impedance coupling between the primary side coil 470 and the secondary side coil 450, while the U-shaped iron core 460. Since there is a gap 461 between the coupling shaft 120 and the C-shaped iron core 460 and the coupling shaft 120, although the magnetic resistance to the magnetic flux flowing through the gap 461 is somewhat increased, Since it is not in this connect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main body 100 .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의 신체(손목 또는 발목)
100 본체
110 연결부 120 결합축
121 도체부 122 절연부
200 적외선 체온센서
210 센서렌즈 211 시야각
230 프레넬 렌즈 240 개구부
241 테두리(절개면) 243 측정부위
250 에어튜브 251 환형 결합홈
252 내부공간 290 기판
300 밴드
300a 제1밴드 300b 제2밴드
310 결합돌기 311 걸림기둥
312 걸림캡 313 도체띠
314 연결선 315 심선
316 피복 320 결합링
322 한 쌍의 전극
410 스위칭회로
420 브러쉬 430 본체배선
450 2차측 코일 460 ㄷ자 철심
461 공극 470 1차측 코일
500 제어모듈
600 광량센서
10 Your body (wrist or ankle)
100 body
110 Connection 120 Coupling Shaft
121 Conductor 122 Insulation
200 infrared temperature sensor
210 sensor lens 211 viewing angle
230 Fresnel lens 240 aperture
241 Edge (incision) 243 Measuring area
250 Air tube 251 Annular mating groove
252 Internal Space 290 Board
300 bands
300a first band 300b second band
310 Joint protrusion 311 Locking pillar
312 Clamping cap 313 Conductive strip
314 connecting wire 315 core wire
316 sheath 320 coupling ring
322 pair of electrodes
410 switching circuit
420 brush 430 main body wiring
450 Secondary coil 460 U-shaped iron core
461 air gap 470 primary coil
500 control module
600 light sensor

Claims (9)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 된 상태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스마트기기 또는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로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는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 착용 시 사용자의 피부 표면과 접촉되는 쪽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개구부,
-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체온센서,
- 상기 본체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및
-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체온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는,
- 제1밴드와 제2밴드로 나뉘어져 각각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반대쪽 종단은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싸면서 채워지고,
-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 각각에는 상기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 또는 상기 제어모듈과 임피던스 결합되는 2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스위칭회로가 포함되되,
-- 상기 스마트체온계를 사용자가 착용하기 전이어서,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제1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는 연결상태로 되고,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는 개방상태로 되고,
-- 상기 스마트체온계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여서,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가 서로 결합된 제2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모두 연결상태로 되고,
-- 상기 스마트체온계를 사용자가 착용했다가 다시 벗어놓은 상태여서, 결합되었던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가 서로 분리된 제3상태에서는,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스위칭회로가 모두 개방상태로 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상기 스위칭회로가 개방상태인지 또는 연결상태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제1상태인지, 상기 제2상태인지 또는 상기 제3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 상기 제2상태 또는 상기 제3상태로 상태변화가 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변화 결과를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수신장치는,
-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값 및 상기 상태변화 결과를 반영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that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ile worn on the user's wrist or ankle and transmits it to a smart device or receiver through IoT communication,
a body capable of measuring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d transmitting it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and
and a b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or ankle.
The body is
- An opening formed in a circle on the sid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surface when worn;
- An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that is fix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opening and measures the skin surface temperature of the user through the opening;
- a Fresnel len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close the opening, and
- a control module connected to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and to transmit the measured value of the infrared body temperature sensor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The band is
- Divided into a first band and a second band, each end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opposite end is filled while wrapping the user's wrist or ankle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 Each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ncludes a switching circuit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or a switching circuit connected to a secondary coil that is impedance-coupled to the control module,
-- Before the user wears the smart thermometer,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first band is in a connected state, and the second band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band is in an open state,
--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ecause the user is wearing the smart thermometer, the switching circuits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all connected. become,
-- Switching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n the third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cause the user puts on the smart thermometer and then takes it off again All circuits are open
The control module is
- By determining whether the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in an open state or a connected stat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
- When the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state or the third state, the result of the stat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The smart device or the receiving device,
-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by reflecting the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he result of the state chan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의 종단 쪽에는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결합시켰다 분리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를 다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회로를 개방상태로 만들며,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에 각각 포함된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하였다가 분리한 경우에는 서로 다시 결합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According to claim 1,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to the end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included, respectively.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band, while maintaining the switching circuit in a connected state, makes the switching circuit open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and separated,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maintains the switching circuit in an open state, and when coupling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makes the switching circuit into a connected state, and the first band and the When the second band is separated again, the switching circuit is made in an open state,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respectivel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separated, they cannot be coupled aga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결합돌기로서,
- 하단이 상기 제1밴드에 결합되는 걸림기둥과 상기 걸림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캡을 포함하되,
- 상기 걸림캡은, 버섯머리 모양의 수축가능한 탄성소재로서, 상기 걸림기둥의 상단과 결합된 부분에는 상기 걸림기둥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단턱부를 가지며,
- 상기 걸림기둥에는, 일정 폭으로 외주면을 두르는 도체띠를 포함하며,
- 상기 걸림기둥과 상기 걸림캡 내부에는, 상기 스위칭회로를 연결상태로 만드는 연결선이 배선되며,
상기 제2밴드에 포함된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환형기둥 형상의 결합링으로서,
- 내주면에는 상기 스위칭회로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이 형성되고,
-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걸림캡의 단턱부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링에 끼워지는 경우,
- 상기 걸림캡의 단턱부가 상기 결합링의 상단에 걸려서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며,
-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상기 걸림기둥의 도체띠를 통하여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제1밴드와 상기 제2밴드에 서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결합링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를 빼면, 상기 걸림캡의 단턱부가 상기 결합링의 상단에 걸려서 상기 걸림캡이 상기 걸림기둥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캡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 걸림캡이 상기 걸림기둥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연결선이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선은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절단가능한 구조 또는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first band is a coupling protrusion,
- A lower end comprising a locking post coupled to the first band and a locking cap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ost,
- The locking cap is a mushroom head-shaped contractible elastic material, and has a stepped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locking pole at a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illar,
- The locking pole includes a conductor band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certain width,
- A connecting line for making the switching circuit into a connected state is wired in the locking pillar and the locking cap,
The coupling means included in the second band is an annular column-shaped coupling ring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fitted,
- A pair of electrode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pped portion of the locking cap,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itted to the coupling ring,
- The stepped portion of the locking cap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ing, so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maintained,
- The pair of electrodes is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or strip of the locking pol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n a direction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removed from the coupling ring, the step portion of the locking cap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ing so that the lock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le. To be separated, the locking cap is a material that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line is made of a structure or material that can be cut when a certain tensil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connection line can be cut when the locking cap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il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축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축의 양쪽에는 도체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상기 도체부 상호간을 절연시키는 절연부를 가지며,
상기 도체부 중,
-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부분은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에 끼워진 부분은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The method of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includes a coupling shaft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one end, respectively,
Conductive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haft, and an insulating part for insulating the conductor parts from each other is formed in the middle,
Among the conductor parts,
- The par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 A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fitted to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양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금속제의 결합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가 상기 결합축에 끼워진 부분에는, 상기 제1밴드 또는 상기 제2밴드 내에서 상기 2차측 코일이 상기 결합축을 감으면서 형성되며,
상기 2차측 코일의 양단은 상기 스위칭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 내부에는 ㄷ자 철심이 각각 포함되며,
상기 ㄷ자 철심의 중앙은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1차측 코일이 감겨 있으며, 상기 ㄷ자 철심의 양단은 상기 결합축의 양단과 마주하되, 상기 ㄷ자 철심의 양단과 상기 결합축의 양단 사이에는 공극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체온계
The method of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includes a metal coupling shaft,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one end, respectively,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is fitted to the coupling shaft, the secondary coil is formed while winding the coupling shaft in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Both ends of the secondary coi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Inside both sides of the body, a U-shaped iron core is included, respectively,
A primary side coi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is wound around the center of the C-shaped iron core, and both ends of the C-shaped iron core face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and a gap is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C-shaped core 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respectively. Wearable smart thermo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KR1020210045656A 2021-04-08 2021-04-08 wearable smart thermometer KR1022855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56A KR102285514B1 (en) 2021-04-08 2021-04-08 wearable smart thermo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56A KR102285514B1 (en) 2021-04-08 2021-04-08 wearable smart thermom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514B1 true KR102285514B1 (en) 2021-08-05

Family

ID=7731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56A KR102285514B1 (en) 2021-04-08 2021-04-08 wearable smart thermo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5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119B1 (en) * 2022-08-04 2023-05-26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Electrical circuit molding for wearabl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earable device wearing means using such electrical circuit mol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152A (en)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for wearing on the wrist
JP2018511453A (en) * 2015-03-11 2018-04-26 パイオメ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Wearable device having low frequency generation function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US10149521B2 (en) * 2015-03-08 2018-12-11 Apple Inc. Dynamic fit adjustment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44916A (en) * 2017-10-23 2019-05-02 박재홍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152A (en)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for wearing on the wrist
US10149521B2 (en) * 2015-03-08 2018-12-11 Apple Inc. Dynamic fit adjustment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JP2018511453A (en) * 2015-03-11 2018-04-26 パイオメ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Wearable device having low frequency generation function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044916A (en) * 2017-10-23 2019-05-02 박재홍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119B1 (en) * 2022-08-04 2023-05-26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Electrical circuit molding for wearabl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earable device wearing means using such electrical circuit molding
WO2024029860A1 (en) * 2022-08-04 2024-02-08 엘티바이오 주식회사 Molded electric circuit product for wearabl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wearable device wearing means using molded electric circuit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2727B2 (en) Biomedic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having conductive elements
KR102285514B1 (en) wearable smart thermometer
KR101804374B1 (en) Infrared ear thermo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using the same
KR102139047B1 (en) Smart health care mattress
WO2015191203A1 (en) Three-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coil
CN111182470A (en) Wearable body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3565421B (en) A kind of body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nd system
WO2015051219A1 (en) Wearable physiological sensing device with optical pathways
CN102885617B (en) Physical fitness detection device for power supply by using human motion and detection method
CN108652607A (en) A kind of old man's location watch of measurabl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KR101027994B1 (en) apparatus for informing emergency state and method thereof
US20170347890A1 (en) Wearable ocular surface temperature monitor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the same
US20220082456A1 (en) Personal Temperature Recording Device
CN106901709A (en) A kind of Intelligent bracelet of real-time monitoring human body situation
CN103876729B (en) A kind of cardioelectric monitor system based on photoelectric sensing
CN205230270U (en) Old man's wrist -watch based on big dipper technique
CN215767444U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nd temperature measuring system
TWI632356B (en) Dual mode infrare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CN107495931B (en) Human body temperature field measuring device based on optical principle
KR102408484B1 (en) Body temperature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outer temperature
US20210064897A1 (en) Biometric monitoring and protective device
WO2017130569A1 (en) Pulse measurement device
CN111990716A (en) Intelligent protective mask capable of automatically measuring and alarming body temperature
Cui et al. Intelligent Mobil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 management system for nursing home
CN213883181U (en) Wrist strap type body temperature and blood oxygen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