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295B1 -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295B1
KR102284295B1 KR1020140161814A KR20140161814A KR102284295B1 KR 102284295 B1 KR102284295 B1 KR 102284295B1 KR 1020140161814 A KR1020140161814 A KR 1020140161814A KR 20140161814 A KR20140161814 A KR 20140161814A KR 102284295 B1 KR102284295 B1 KR 10228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ubscriber terminal
content
resource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242A (ko
Inventor
송문규
정현일
김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4016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295B1/ko
Priority to EP14863071.8A priority patent/EP3061254A4/en
Priority to US14/646,949 priority patent/US9807146B2/en
Priority to PCT/KR2014/012679 priority patent/WO2016080585A1/en
Publication of KR2016006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1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비디오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서버와 구분된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비디오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 합성되도록 제어하여 유저 인터페이스(UIs) 제공 서버의 로드(load)를 현저히 감소시킨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하여 다양한 셋톱박스 및 미디어 디바이스에 일관된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고, 유저 인터페이스(UIs)의 변경 및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본 발명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가입자 단말 장치가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구분된 스토리지로부터 수신하고,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렌더링하는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료방송사업자의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 동향을 포함하는 현재의 방송 환경은 인터넷 기반으로 전환되고 있거나, 일부 하이브리드 형태로 접목하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스마트 접속 장치(smart CE device)의 등장으로 인하여 미디어에 대한 소비 형태도 다변화되고 있고, HTML5나 UHD 기술과 같은 새로운 발전된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고성능 셋톱박스(STB)의 구매,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의 개편, 신규 서비스의 개발 및 헤드엔드 시스템(Head-End system)의 업그레이드와 같은 자금 수요가 발생되어, 그러한 자금 수요는 유료방송사업자에게 부담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료방송사업자들은 기존 유료방송사업자들간이나, OTT(Over-the-top) 사업자, 구글 TV, 애플 TV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 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변화하는 시대적 트랜드에 부합하는 기술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유료방송사업자들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셋톱박스를 성능이 우수한 모델로 교체하고,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추가 도입하며, 다양한 시청자 요구를 분석하여 추천, 검색, 개인화 기능을 추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미디어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멀티스크린(Multi-Screen) 기술을 적용하고, HD를 넘어서 UHD 급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촬영, 편집, 인코더, 네트웍 장비 등에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투자를 통해 이루어 놓은 기존의 헤드엔드 시스템과 셋톱박스를 일시에 교체하기에는 재무적 또는 시간적인 측면에서 힘든 상황에 당면해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 방송 방식이 실시간 방송과 VoD, 기타 양방향 서비스들을 제공하는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비용상의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료방송사업자들이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 단방향 방송환경의 기술 방식을 탈피하고, 양방향 방송환경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며, 다양한 셋톱박스 및 미디어 디바이스에 일관된 UI/UX를 제공 가능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기반 서비스(소셜, 추천, 검색, 개인화)를 제공할 수도 있고, 각 셋톱박스 모델마다 복잡했던 UI/UX의 변경 및 테스트가 용이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 서버에서 가입자 장치로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나타났으나, 클라우드 기반 서버의 컴퓨팅 프로세스의 특성 상 서버의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대역폭 증가, 서버의 로드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기반 서버와 가입자 장치 간 통신 장애 등으로 인하여 세션 연결이 원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1/0296460호(2011.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user interface(UI) service" 미국공개특허 제2013/0091525호(2013.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BASED USER MENU"
본 발명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가입자 단말 장치가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구분된 스토리지로부터 수신하고,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렌더링하여 신규 서비스의 도입이나 고객의 서비스 경험과 직결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의 비용 절감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UIs)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획득하여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아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로드(load)를 현저히 감소시킨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류와 사양이 다른 셋톱박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포팅, 테스트 없이도, 가입자 장치에 일관성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여, 신속한 서비스 출시와 고객 만족도를 증대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낮은 성능의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도 구현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의 구매 비용과 서비스 개발 비용을 절감 시키는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UIs)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가입자 단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렌더링 제어 커맨드 및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 및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커맨드 생성부로 분석된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커맨드 생성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렌더링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렌더링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UI 리소스가 저장된 미디어 스토리지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수신된 렌더링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 내의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로컬 UI 리소스를 독출하고,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독출된 로컬 UI 리소스를 렌더링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커맨드 생성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말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단말 초기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및 세션 접속 및 세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 정보,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입력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및 서비스 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상태 수집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 장치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미디어 스토리지로 UI 리소스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UI 리소스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리소스 수신부; 및 상기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상기 미디어 스토리지로의 요청을 제어하고, 상기 리소스 수신부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렌더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로컬 UI 리소스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로컬 UI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수신부는 상기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로컬 UI 리소스를 수신하여 상기 렌더링부로 상기 수신된 로컬 UI 리소스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로컬 UI 리소스의 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및 상기 수신된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독출된 로컬 UI 리소스를 렌더링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 생성부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해석하고, 상기 해석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가입자 단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렌더링 제어 커맨드 및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미디어 스토리지로 UI 리소스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요청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과 연관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제어 커맨드에 따라 가입자 단말 장치가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구분된 스토리지로부터 수신하고,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렌더링하여 신규 서비스의 도입이나 고객의 서비스 경험과 직결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의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획득하여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아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로드(load)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류와 사양이 다른 셋톱박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포팅, 테스트 없이도, 가입자 장치에 일관성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여, 신속한 서비스 출시와 고객 만족도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성능의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도 구현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의 구매 비용과 서비스 개발 비용을 절감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 제공 시스템의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가입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가입자 단말 장치 간 제어 커맨드를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하여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말 장치를 통하여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 제공 시스템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가입자 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상태 정보에 따라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가입자 장치(200)로 전송하고,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가입자 단말 장치(210)를 제어하거나,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서의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렌더링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장치(200) 내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 대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상태 정보로부터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서의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또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 자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생성된 제어 커맨드를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가입자 장치(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의 제어 커맨드에 의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30)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 정보,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동하는 입력 장치(220)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 및 서비스 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 간 세션 연결 시 세션 접속 정보와 함께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부터 생성되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부터 생성되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헤드엔드 시스템(head end system) 또는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제공 서버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510)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며, 데이터 스토리지(520)로부터 가입자 정보, 미디어 정보, 소셜 네트워크 연관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장치(200) 내의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가입자 단말 장치(210) 자체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구분되어 존재하는 컨텐츠 스토리지(410) 및 UI 리소스 스토리지(420)로부터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수신하여 렌더링을 수행한다.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미디어 스토리지(400)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와 같은 미디어의 전송을 요청한다. 미디어 스토리지(400)는 저장되는 미디어의 종류 또는 형태에 따라 컨텐츠 스토리지(410) 및 UI 리소스 스토리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컨텐츠 스토리지(410)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UI 리소스 스토리지(420)로 UI 리소스의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 스토리지(4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UI 리소스 스토리지(420)로부터 UI 리소스를 수신한다.
이후,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수신된 컨텐츠 및 수신된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렌더링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입자 장치(200)는 제어 커맨드에 기반하여 컨텐츠 스토리지(410)와 형성된 컨텐츠 채널을 통하여 컨텐츠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고, UI 리소스 스토리지(420)와 형성된 UI 리소스 채널을 통하여 UI 리소스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UI 리소스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비트맵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프리미티브(graphic primitiv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UI 리소스는 사업자 서비스 및 가입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장치(20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 입력 장치(220) 및 디스플레이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셋톱 터미널(STTs, set-top terminals), 셋톱 박스(STBs, set-top boxes), 통신 터미널(communication terminal), PC,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노트패드, PDA, 태블릿 PC 와 같이 유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전자 장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컨텐츠 스토리지(410) 및 UI 리소스 스토리지(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신호 처리, 대역폭 제어 프로세스 및 그래픽 처리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MPEG-2 전송 스트림(MPEG-2 transport stream)을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것과 같은 그래픽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 내 저장되어 유지되는 로컬 UI 리소스 및 수신된 미디어(UI 리소스 및 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EPG(electronic program guide), VOD, 및 DVR(digital video recorder) 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220)는 리모콘, 키보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입력 장치(22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30)를 통하여 렌더링되어 제공되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에 대한 양방향성을 기초로 하는 인터랙션(interaction) 기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스트림 요청(stream request), 세션 초기화, 클릭 스트림(clickstream)와 같은 다양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입력 장치(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제어 커맨드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리소스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리소스 상태에 맞춰서 재가공되는 경우, 리소스에 대한 재가공 과정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상태 정보의 전송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서 입력 장치(2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리소스의 직접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30)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통신 모니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와 같이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사용자에게 시각과 청각을 통하여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스토리지(410)는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실시간 TV 방송 프로그램, 주문형 프로그램, SNS 정보, 채팅 메시지, 상품 및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스토리지(410)는 MPEG-2 전송 패킷, MPEG-4, DVB 와 같은 특정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포맷의 컨텐츠 또는 특정 프로토콜이 적용되지 않은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서, 컨텐츠 스토리지(410)는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인 경우,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컨텐츠 스토리지(410)가 방송 컨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 컨텐츠를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방송 컨텐츠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스토리지(410)는 방송 컨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하기 위해 방송 편성 정보를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상태 정보가 분할 저장된 방송 컨텐츠의 수신 대기 상태인 경우,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분할 저장된 방송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전송한다.
제어 커맨드를 수신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컨텐츠 스토리지(410)로 방송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전송하고, 컨텐츠 스토리지(410)는 분할 컨텐츠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검색한 후 해당 요청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분할 컨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합성하여 사용자 컨텐츠로서 가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스토리지(410)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가입자 단말 장치(210)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스토리지(410)는 클라우드 저장 공간에 방송 컨텐츠, 분할 컨텐츠 및 사용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소지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에 대한 연속 재생('N-스크린 서비스')이 가능하도록 끊임 없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또는 컨텐츠 스토리지(410) 중 어느 하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별 컨텐츠 재생 이력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컨텐츠 스토리지(410) 및 UI 리소스 스토리지(420)로부터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대응하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입자 장치(200)로 각각 상이하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1 가입자 장치 및 제2 가입자 장치는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 방식의 컨텐츠 및 UI 리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 제공 시스템의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가입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상태 정보에 따라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전송하고,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가입자 단말 장치(210)를 제어하거나,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서의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렌더링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상태 정보 수집부(110),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 수집부(11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상태 정보 수집부(11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상태 정보의 수집을 위해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의 제어 커맨드에 의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동하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30)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 정보,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동하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220)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 및 서비스 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 간 세션 연결 시 세션 접속 정보와 함께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부터 생성되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부터 생성되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태 정보를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는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서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렌더링 제어 커맨드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는 생성된 제어 커맨드를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서 렌더링 시 요구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상태 정보 수집부(11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로 분석된 상태 정보를 전달하거나,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상태 정보 요청, 상태 정보 수신, 제어 커맨드의 전송과 연관된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의 시그널 패스(signal path)를 형성하는 트랜스포트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그널 패스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트랜스포트 모듈(213)과 단일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트랜스포트 모듈(140)의 시그널 패스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트랜스포트 모듈(140)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 설치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의 인증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가입자 단말 장치(210) 자체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구분되어 존재하는 미디어 스토리지로부터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수신하여 렌더링을 수행한다.
미디어 스토리지는 저장되는 미디어의 종류 또는 형태에 따라 컨텐츠 스토리지 및 UI 리소스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컨텐츠 스토리지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UI 리소스 스토리지로 UI 리소스의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 스토리지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UI 리소스 스토리지(420)로부터 UI 리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미디어 스토리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및 수신된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렌더링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상태 정보 생성부(211), UI 리소스 수신부(212), 컨텐츠 수신부(213) 및 렌더링부(214)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 생성부(211)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상태 정보는 컨텐츠 수신 대기 상태나, 사용자 입력의 처리가 필요한 상태와 같은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의 제어 커맨드를 대기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수신부(212)는 미디어 스토리지로 UI 리소스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UI 리소스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
UI 리소스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비트맵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프리미티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UI 리소스는 사업자 서비스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렌더링부(214)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로부터 수신된 UI 커맨드를 기반으로 미디어 스토리지로의 요청을 제어하고, 리소스 수신부(212)로부터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렌더링한다.
컨텐츠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미디어 스토리지는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실시간 TV 방송 프로그램, 주문형 프로그램, SNS 정보, 채팅 메시지, 상품 및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스토리지는 MPEG-2 전송 패킷, MPEG-4, DVB 와 같은 특정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포맷의 컨텐츠 또는 특정 프로토콜이 적용되지 않은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서, 미디어 스토리지는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스토리지는 방송 컨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 컨텐츠를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방송 컨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디어 스토리지는 방송 컨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하기 위해 방송 편성 정보를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의 상태 정보 수집부(110)는 상태 정보 생성부(211)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정보 분석부(12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분석된 상태 정보가 분할 저장된 방송 컨텐츠의 수신 대기 상태인 경우,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는 분할 저장된 방송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렌더링부(214)로 전송한다.
제어 커맨드를 수신한 렌더링부(214)는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컨텐츠 스토리지로 방송 컨텐츠의 전송 요청을 전송하고, 컨텐츠 스토리지는 분할 컨텐츠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검색한 후 해당 요청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분할 컨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합성하여 사용자 컨텐츠로서 가공하여 렌더링부(2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스토리지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가입자 단말 장치(210)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스토리지는 클라우드 저장 공간에 방송 컨텐츠, 분할 컨텐츠 및 사용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소지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에 대한 연속 재생('N-스크린 서비스')이 가능하도록 끊임 없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별 컨텐츠 재생 이력을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로컬 UI 리소스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로컬 UI 스토리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더링부(214)는 로컬 UI 리소스의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커맨드를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렌더링부(214)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130)로부터 수신된 UI 커맨드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로컬 UI 리소스를 렌더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소스 수신부(212)는 로컬 UI 스토리지(215)로부터 로컬 UI 리소스를 수신하여 렌더링부(214)로 수신된 로컬 UI 리소스를 전달할 수 있고, 렌더링부(214)는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로컬 UI 스토리지(215)로부터 로컬 UI 리소스의 독출을 제어하고, 로컬 UI 리소스와, 수신된 UI 리소스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미디어를 렌더링할 수 있다.
로컬 UI 리소스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빈번하고 신속한 응답성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로컬 UI 리소스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대응하는 UI 리소스일 수 있다. EPG는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시청자)는 가입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EPG를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시간, 제목, 채널, 장르 등의 기준을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다.
반면, UI 리소스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UI 리소스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성능을 넘어서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렌더링부(214)는 상태 정보 생성부(211)과 연동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제어 커맨드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리소스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리소스 상태에 맞춰서 재가공되는 경우, 리소스에 대한 재가공 과정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상태 정보의 전송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렌더링부(214)는 상태 정보 생성부(211)과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리소스의 직접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세션 접속, 상태 정보, UI 리소스 및 컨텐츠를 포함하는 리소스, 및 제어 커맨드와 연관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의 시그널 패스(signal path)를 형성하는 트랜스포트 모듈(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그널 패스는 단일 패스일 수 있다.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트랜스포트 모듈(213)의 시그널 패스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트랜스포트 모듈(213)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 설치되는 로컬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서비스의 추가 및 변경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가입자 단말 장치 간 제어 커맨드를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가입자 단말 장치(210) 간 세션이 연결된다.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 간 세션 연결은 가입자 단말 장치(210)가 세션 접속 요청을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단계 602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
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의 제어 커맨드에 의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 정보, 가입자 단말 장치(210)와 연동하는 입력 장치와 같은 디바이스 정보, 및 서비스 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602는 단계 601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 간 세션 연결과 더불어 가입자 단말 장치(210)가 세션 접속 요청과 함께 상태 정보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603에서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 604에서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생성된 상태 정보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후, 단계 605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단계 606에서 분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가입자 단말 장치(210)에서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렌더링 제어 커맨드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단계 607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가입자 단말 장치(210)로 생성된 제어 커맨드를 전송한다.
이후,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UI 리소스 스토리지로의 UI 리소스에 대한 요청 및 컨텐츠 스토리지로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단계 608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컨텐츠 스토리지로 컨텐츠에 대하여 전송을 요청한다.
컨텐츠는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실시간 TV 방송 프로그램, 주문형 프로그램, SNS 정보, 채팅 메시지, 상품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는 MPEG-2 전송 패킷, MPEG-4, DVB 와 같은 특정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는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스토리지는 방송 컨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 컨텐츠를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방송 컨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609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UI 리소스 스토리지로 UI 리소스에 대하여 전송을 요청한다.
UI 리소스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비트맵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프리미티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UI 리소스는 사업자 서비스 및 가입자 단말 장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단계 610에서 가입자 단말 장치(210)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단계 611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로컬 UI 리소스의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 611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로컬 UI 리소스의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단계 612에서 UI 리소스의 요청 및 컨텐츠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렌더링한다.
반면, 단계 611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로컬 UI 리소스의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계 613에서 UI 리소스의 요청 및 컨텐츠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독출한 로컬 UI 리소스를 렌더링한다.
로컬 UI 리소스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빈번하고 신속한 응답성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로컬 UI 리소스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대응하는 UI 리소스일 수 있다. EPG는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시청자)는 가입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EPG를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시간, 제목, 채널, 장르 등의 기준을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다.
반면, UI 리소스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UI 리소스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가입자 단말 장치(210)의 성능을 넘어서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하여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가입자 단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단계 710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가입자 단말 장치와 세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연결은 가입자 단말 장치가 세션 접속 요청을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단계 720에서 수집된 상태 정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 720은 컨텐츠 및 UI 리소스 수신, 사용자 입력의 처리와 같은 가입자 단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730에서 분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상기 단계 730은 분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렌더링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단계 730은 가입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말 장치를 통하여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단계 810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상태 정보는 가입자 단말 장치가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의 제어 커맨드에 의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단말 장치와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820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UI 리소스 스토리지로의 UI 리소스에 대한 요청 및 컨텐츠 스토리지로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컨텐츠는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실시간 TV 방송 프로그램, 주문형 프로그램, SNS 정보, 채팅 메시지, 상품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는 MPEG-2 전송 패킷, MPEG-4, DVB 와 같은 특정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는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스토리지는 방송 컨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 컨텐츠를 선정된 방식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방송 컨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UI 리소스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비트맵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프리미티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UI 리소스는 사업자 서비스 및 가입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단계 830에서 단계 820에서의 UI 리소스의 요청 및 컨텐츠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렌더링을 처리한다.
이 때, 단계 840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로컬 UI 리소스의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 840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로컬 UI 리소스의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단계 850에서 UI 리소스의 요청 및 컨텐츠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렌더링한다.
반면, 단계 840에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커맨드에 로컬 UI 리소스의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계 860에서 UI 리소스의 요청 및 컨텐츠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독출한 로컬 UI 리소스를 렌더링한다.
로컬 UI 리소스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빈번하고 신속한 응답성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로컬 UI 리소스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대응하는 UI 리소스일 수 있다. EPG는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시청자)는 가입자 장치를 이용하여, EPG를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시간, 제목, 채널, 장르 등의 기준을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다.
반면, UI 리소스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UI 리소스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가입자 단말 장치의 성능을 넘어서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가입자 단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렌더링 제어 커맨드 및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 및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 커맨드 생성부로 분석된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UI 리소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미디어 스토리지로 요청하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커맨드 생성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렌더링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수신된 렌더링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 내의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로컬 UI 리소스를 독출하고,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독출된 로컬 UI 리소스를 렌더링하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커맨드 생성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말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단말 초기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및 세션 접속 및 세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 정보,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와 연동하는 입력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 및 서비스 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상태 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
  6.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상기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미디어 스토리지로 UI 리소스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UI 리소스 및 상기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리소스 수신부; 및
    상기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상기 미디어 스토리지로의 요청을 제어하고, 상기 리소스 수신부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로컬 UI 리소스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로컬 UI 스토리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수신부는 상기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로컬 UI 리소스를 수신하여 상기 렌더링부로 상기 수신된 로컬 UI 리소스를 전달하는 가입자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로컬 UI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로컬 UI 리소스의 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및 상기 수신된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독출된 로컬 UI 리소스를 렌더링하는 가입자 단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생성부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가입자 단말 장치.
  10. 가입자 단말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및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에서의 렌더링 제어를 위한 렌더링 제어 커맨드 및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커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UI 리소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미디어 스토리지로 요청하는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원격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미디어 스토리지로 UI 리소스 및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요청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과 연관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UI 리소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렌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UIs) 제공 방법.
  12.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61814A 2014-11-19 2014-11-19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14A KR102284295B1 (ko) 2014-11-19 2014-11-19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14863071.8A EP3061254A4 (en) 2014-11-19 2014-12-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US14/646,949 US9807146B2 (en) 2014-11-19 2014-12-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PCT/KR2014/012679 WO2016080585A1 (en) 2014-11-19 2014-12-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14A KR102284295B1 (ko) 2014-11-19 2014-11-19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242A KR20160060242A (ko) 2016-05-30
KR102284295B1 true KR102284295B1 (ko) 2021-08-04

Family

ID=5601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814A KR102284295B1 (ko) 2014-11-19 2014-11-19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61254A4 (ko)
KR (1) KR102284295B1 (ko)
WO (1) WO2016080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989B1 (ko) 2016-12-07 2022-11-2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4767A (ko) * 2018-01-09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i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200021817A (ko)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클라우드 tv 제어 장치
KR20210095499A (ko) * 2020-01-23 2021-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2081A1 (en) * 2006-06-15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Composition of local media playback with remotely generated user interface
US20110179106A1 (en) * 2010-01-15 2011-07-21 Ibahn General Holdings Corporation Virtu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6943A1 (en) * 2006-08-18 2008-02-21 Nick Colsey Internet adapter system and method for television
KR101560183B1 (ko) * 2008-04-17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49474A (ko) * 2008-11-03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01115B2 (en) * 2010-06-26 2013-12-03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tate information and remote command execution in a managed media device
US9003455B2 (en) * 2010-07-30 2015-04-07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Hospitality media system employing virtual set top boxes
US9253166B2 (en) * 2011-05-14 2016-02-02 Bitcasa, Inc. Cloud file system
US20130091525A1 (en) * 2011-10-07 2013-04-11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based user menu
WO2014026135A1 (en) * 2012-08-09 2014-02-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System and method bridg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2081A1 (en) * 2006-06-15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Composition of local media playback with remotely generated user interface
US20110179106A1 (en) * 2010-01-15 2011-07-21 Ibahn General Holdings Corporation Virtu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1254A1 (en) 2016-08-31
EP3061254A4 (en) 2016-10-26
WO2016080585A1 (en) 2016-05-26
KR20160060242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673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071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EP2843961A1 (en) Method for relaying contents in contents reproducing device
KR102284295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12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based user interfaces
US10708648B2 (en) System for providing hybrid user interfaces and method thereof
US10764627B2 (en) System for deployment of value-added services over digital broadcast cable
US2017015596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76483A (ko)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30066432A (ko) 클라우드 기반의 iptv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05764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aunching multimedia applications based on device capabilities
KR20210076133A (ko) 네이티브 방송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수신기 디바이스
US96743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from a client device to a server device in a centraliz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2516415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7027A (ko)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US20190200070A1 (en) Streaming methods and systems using tuner buffers
CN113595976A (zh) 多媒体播放方法、云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KR102471989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184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advertisement based on content re-encoding
US10820042B2 (en) Multiplexed delivery of media associated with guide display options
CN111683272A (zh) 一种流媒体播放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