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83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839B1
KR102283839B1 KR1020190137644A KR20190137644A KR102283839B1 KR 102283839 B1 KR102283839 B1 KR 102283839B1 KR 1020190137644 A KR1020190137644 A KR 1020190137644A KR 20190137644 A KR20190137644 A KR 20190137644A KR 102283839 B1 KR102283839 B1 KR 10228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uplink data
uplink
resour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1844A (en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839B1/en
Publication of KR2021005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844A/en
Priority to KR1020210094671A priority patent/KR1023425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의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설정을 통해 논리 채널별로 SR 자원을 설정하며, 상기 SR 자원은 복수의 버퍼 상태 인덱스를 포함하고,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PUSCH 자원 범위가 나뉘어지며, 상기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은,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 및 상기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된 인덱스의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인덱스의 SR에 따라 결정된 상향링크 승인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상향링크 승인에 의해 할당된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을 제공한다.
Disclosed ar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dynamic scheduling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requesting dynamic scheduling of a terminal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the terminal configures SR resources for each logical channel through RRC configur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the SR resources are in a plurality of buffer states. Including an index, the PUSCH resource range is divided for each buffer state index, and the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includes: measuring an uplink data size; selecting a buffer status index based on the uplink data size and the PUSCH resource range; transmitting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to the base station; receiving an uplink gran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by the uplink grant.

Description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dynamic scheduling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5G NR(new radio)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스케줄링을 요청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rminal requesting scheduling from a base station to transmit uplink data to a base station in a 5G new radio (NR) system.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초신뢰 및 저지연 서비스(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및 초연결 서비스(massive machine type commnunications)를 지원한다.The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s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and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시간을 최소화하고, 자원 활용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기지국 스케줄링 기반의 자원 할당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In the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minimize data transmission/reception time and maximize resource utiliza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resource allocation process based on base station scheduling is used.

구체적으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선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승인(UL grant)를 수신함으로써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을 할당 받아야 한다. 즉, 기지국이 임의로 설정한 PUSCH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승인을 단말에게 전송하고, 단말은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Specifically, in order for the terminal to transmit uplink data,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resource must be allocated by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SR) to the base station and receiving an uplink grant (UL grant) from the base station. . That is,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grant including PUSCH resource information set arbitrarily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transmits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PUSCH resource.

하지만,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를 모르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에게 할당해야하는 PUSCH 자원을 임의로 정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However, since the base station does not know the size of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se station must arbitrarily determine the PUSCH resource to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이때, 단말이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PUSCH 자원보다 큰 경우, 단말은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ing: BSR) 과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ize of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is larger than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has to perform a buffer status reporting (BSR) process,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is delayed.

반면, 단말이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PUSCH 자원보다 큰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PUSCH 자원보다 더 많은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므로 자원 활용률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uplink data that the terminal intends to transmit is larger than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transmits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more resources than the PUSCH resources required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so the resource utilization rate is low. has a problem.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따라 PUSCH 자원 할당량을 다르게 설정할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the base station needs to set the PUSCH resource alloc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uplink data that the terminal intends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한편,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 종류에 따라 기지국의 상향링크 승인 절차를 달리함으로써, 통신 지연 시간을 줄이거나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Meanwhile, it is necessary to reduce communication delay time or increase data transmission reliability by changing the uplink approval procedure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supported by the uplink data that the terminal intends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로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고려하지 않은 채 결정된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함으로써 추가 절차에 의한 시간 지연 또는 자원 활용률 감소를 줄이기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고려한 스케줄링 요청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receives an uplink grant determined without considering an uplink data size from a base station to reduce time delay or resource utilization reduction due to an additional procedure, uplink data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heduling request method in consideration of size and a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 종류에 따라 기지국의 상향링크 승인 절차를 달리함으로써, 통신 지연 시간을 줄이거나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스케줄링 요청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heduling request method capable of reducing communication delay time or increasing data transmission reliability by changing an uplink approval procedure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service type of uplink data that a terminal intends to transmit to a base station, and It has one purpose to provide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의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설정을 통해 논리 채널별로 SR 자원을 설정하며, 상기 SR 자원은 복수의 버퍼 상태 인덱스를 포함하고,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PUSCH 자원 범위가 나뉘어지며, 상기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은,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 및 상기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된 인덱스의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인덱스의 SR에 따라 결정된 상향링크 승인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상향링크 승인에 의해 할당된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requesting dynamic scheduling of a terminal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the terminal configures SR resources for each logical channel through RRC configur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the SR resources are in a plurality of buffer states. Including an index, the PUSCH resource range is divided for each buffer state index, and the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includes: measuring an uplink data size; selecting a buffer status index based on the uplink data size and the PUSCH resource range; transmitting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to the base station; receiving an uplink gran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by the uplink grant.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과의 RRC 설정을 통해 논리 채널별로 설정한 SR 자원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SR 자원은 복수의 버퍼 상태 인덱스를 포함하고,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PUSCH 자원 범위가 나뉘어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 및 상기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인덱스의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인덱스의 SR에 따라 결정된 상향링크 승인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상향링크 승인에 의해 할당된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된 단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is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to a base station, comprising: a memory;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and a processor, wherein the SR resource configured for each logical channel through RRC configur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the SR resource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status indexes, and a PUSCH resource range is divided for each buffer status index. , the processor measures the uplink data size, selects a buffer state index based on the uplink data size and the PUSCH resource range, transmits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to the base station, and according to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Provided is a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determined uplink grant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by the uplink gra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따라 다른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이용하여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따른 자원을 할당받음으로써, 상향링크 자원 할당에 따른 시간 지연 또는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transmits an SR to the base station using a different scheduling request (SR) according to the uplink data size, and receives resources from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uplink data size. By being allocated, it is possible to reduce time delay or resource waste due to uplink resource alloc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 종류에 따라 기지국의 상향링크 승인 절차를 달리함으로써, 통신 지연 시간을 줄이거나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uplink approval procedure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supported by the uplink data that the terminal intends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communication delay time can be reduced or data transmission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기지국, 5GC 사이의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for a control plane between a terminal, a base station, and a 5G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 shows the structure of an uplink sub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uplink resource allocation process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duling request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gNB(g-NodeB),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장치, M2M(Machineto-Machine)장치, D2D(Device-to-Device)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base station has a meaning as a terminal node of a network that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A specific operatio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in this document may be performed by an upper node of the base station in some cases. That is, it is obvious that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network nodes including the base st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or other network nodes other than the base station. 'Base station (BS: Base Station)' is a term such as gNB (g-NodeB), fixed station (fixed station), NodeB, eNB (evolved-NodeB), BTS (base transceiver system), access point (AP: Access Point), etc. can be replaced by In addition, 'terminal' may be fixed or have mobility,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UT (user terminal), MSS (Mobile Subscriber Station), SS (Subscriber Station), AMS ( Advanced Mobile Station), wireless terminal (WT), 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device, machine-to-machine (M2M) device, device-to-device (D2D) device, and the like.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Hereinafter, downlink (DL: down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and uplink (UL: up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the base sta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Spec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Meanwhi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standard documents disclosed in at least one of IEEE 802, 3GPP, and 3GPP2, which are wireless access systems. That is, steps or parts not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revea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the above documents. In addition, all term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explained by the standard document.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기지국, 5GC 사이의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for a control plane between a terminal, a base station, and a 5G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5G 시스템은 단말(100), 기지국(110) 및 5G 코어 네트워크(120)를 포함하며, 각 노드 간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 평면은 단말(100), 기지국(110) 및 5G 코어 네트워크(120)가 호(call)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5G system includes a terminal 100 , a base station 110 , and a 5G core network 120 , and a radio interface protocol structure for a control plane between nodes is illustrated. Here, the control plane means a path through which control messages used by the terminal 100 , the base station 110 , and the 5G core network 120 to manage a call are transmitted.

단말(100)과 기지국(110)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접속(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표준 모델의 하위 3 계층에 기초하여 제1 계층(L1), 제2 계층 (L2) 및 제3 계층 (L3)으로 분할될 수 있다. The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110 are first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well-known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standard model known in the art of communication systems. It may be divided into a layer (L1), a second layer (L2), and a third layer (L3).

제1 계층은 물리계층(physical layer: PHY), 제2 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제3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이다.The first layer is a physical layer (PHY), the second layer is a data link layer, and the third layer is a network layer.

제1 계층(L1)인 물리 계층(PHY: physical layer)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사용함으로써 상위 계층으로의 정보 송신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상위 레벨에 위치한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으로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하여 연결되고, 전송 채널을 통하여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된다. A physical layer (PHY), which is the first layer (L1),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 higher layer by using a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located at a higher level through a transport channel, and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MAC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물리 계층은 물리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물리 제어 채널의 종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포함한다.The physical layer transmits data using a physical control channel, and the types of physical control channels include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nd a physical uplink channel. It includes a link shared channel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DCCH는 단말(100)에게 하향링크 공유 채널(DL-SCH: 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을 할당한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승인(UL grant)를 나를 수 있다..The PDCCH allocates resources of a downlink shared channel (DL-SCH) to the terminal 100 . The PDCCH may carry an uplink grant (UL grant) informing the UE of resource allocation of uplink transmission.

PUCCH는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CK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과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CCH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100)은 기지국에게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또는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ing)를 전송할 수 있다.The PUCCH carries up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a scheduling request, HARQ ACK/NACK for downlink transmission, and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The terminal 100 allocated with the PUCCH resource may transmit a scheduling request or a buffer status reporting (BSR) to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PUCCH resource.

PUSCH는 단말(100)에게 PUSCH 자원을 할당한다. PUSCH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100)은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110)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PUSCH allocates PUSCH resources to the UE 100 . The terminal 100 allocated with the PUSCH resource may transmit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110 by using the PUSCH resource.

한편, 제2 계층(L2)의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하여 상위 계층인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이다.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이다.Meanwhile, the MAC layer of the second layer (L2) is a layer that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which is an upper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is a layer that performs user data transfer, header compression, and ciphering functions in a user plane.

제3 계층(L3)의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의 계층으로서, 단말(100)과 기지국(110) 간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100)과 기지국(110)은 RRC 계층을 통해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of the third layer (L3) is a layer of the control plane and serves to control radio resources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110 . To this end,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110 exchange RRC message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RRC layer.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하여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을 제어한다. 여기서,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제2 계층(L2)에 의하여 제공되는 논리적인 경로를 의미한다.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RRC layer controls a logical channel, a transport channel, and a physical channel in relation to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and release of radio bearers. Here, the radio bearer means a logical path provided by the second layer (L2)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Establishing a radio bearer means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radio protocol layer and channel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and setting each specific parameter and operation method.

구체적으로, 단말(100)과 기지국(110) 간 RRC 메시지 교환을 통해, 논리 채널별로 SR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SR 자원은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또는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rough RRC message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110 , an SR resource may be configured for each logical channel. Here, the SR resour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or a PUCCH resource.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2 shows the structure of an uplink sub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가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이 할당된다. PUCCH 자원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예를 들어,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의해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2 , an uplink subframe may be divided into a control region and a data region in the frequency domain. A PUCCH carry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s allocated to the control region. The data area is allocated a PUSCH carrying user data. The PUCCH resource is configured by a SchedulingRequestConfig information element transmitted through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message (eg, an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상위 계층에서 지시되는 경우, 단말은 PUSCH와 PUCCH의 동시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 또는 PUSCH에는 서브 프레임 내에 자원 블록 쌍(resource block pair)이 할당된다. When indicated by a higher layer, the UE may support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PUSCH and PUCCH. A resource block pair is allocated to a PUCCH or PUSCH for one UE in a subframe.

기지국은 단말에게 할당하는 PUSCH 자원의 자원 블록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향링크 승인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단말에게 할당하는 PUSCH 자원의 자원 블록 수가 많을수록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률이 높아진다.The base station can adjust the data rate by transmitting an uplink grant by setting resource blocks of PUSCH resources allocated to the terminal differently. That is, as the number of resource blocks of PUSCH resources alloca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ncreases, the transmission rate of uplink data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ncreases.

도 3a 및 도 3b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uplink resource allocation process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5G 시스템은 자원의 활용을 최대화하기 위해 기지국의 스케줄링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우선적으로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5G system uses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based on the base station's scheduling to maximize resource utilization. This means that, when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he terminal first requests the uplink resource alloc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can transmit data using only the uplink resourc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상향링크의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기지국은 각 단말 별로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얼마만큼 상향 링크로 전송할지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단말이 직접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기지국은 이에 기반하여 해당 단말에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자신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양으로서, 이를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라고 지칭한다. In order to efficiently use uplink radio resources, the base station needs to know what type of data to transmit on the uplink and by how much for each terminal. Accordingly, the terminal directly transmits information about uplink data it wants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an allocate uplink resource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uplink data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s the amount of uplink data stored in its buffer, and is referred to as a buffer status report (BSR).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100)이 기지국(110)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보다 작은 PUSCH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ing)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이 예시된다.Referring to FIG. 3A , when the terminal 100 is allocated a PUSCH resource smaller than the uplink data size from the base station 110 , a process of perform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BSR) procedure is exemplified.

단말(100)과 기지국(110)은 RRC 메시지 교환을 통해 SR 자원을 미리 설정한다. 여기서, SR 자원은 SR 주기(SR periodicity),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110 preset SR resources through RRC message exchange. Here, the SR resource may include an SR periodicity,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a PUCCH resource.

단말(100)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110)에게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110)에게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를 전송한다(S300). 단말(10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할당 받은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110)에게 SR을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transmits a scheduling request (SR) to the base station 110 in order to transmit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110 (S300). Th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SR to the base station 110 using the PUCCH resourc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110 .

단말(100)로부터 SR을 수신한 기지국(110)은 단말(100)에게 상향링크 승인(UL grant)를 전송한다(S302). 기지국(110)은 상향링크 승인을 통해 단말(100)에게 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110)은 단말(100)이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알 수 없으므로, 단말(100)에게 임의로 설정된 PUSCH 자원을 할당할 수 밖에 없다.The base station 110 receiving the SR from the terminal 100 transmits an uplink grant (UL grant) to the terminal 100 (S302). The base station 110 may allocate a PUSCH resource to the terminal 100 through uplink grant. However, since the base station 110 cannot know the size of uplink data that the terminal 100 intends to transmit, it has no choice but to allocate an arbitrarily set PUSCH resource to the terminal 100 .

단말(10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할당 받은 PUSCH 자원이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110)에게 추가적인 자원 할당을 위해 BSR을 전송한다(S304). 여기서, BSR은 단말(100)이 기지국(110)에게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When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110 is smaller than the uplink data size, the terminal 100 transmits a BSR to the base station 110 for additional resource allocation (S304). Here, the BSR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ize of uplink data that the terminal 100 intends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110 .

기지국(110)은 BSR을 통해 단말(100)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를 확인하고,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PUSCH 자원에 대한 상향링크 승인을 단말(100)에게 전송한다(S306). The base station 110 confirms the size of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uplink by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BSR, and transmits an uplink grant for the PUSCH resource corresponding to the uplink data size to the terminal 100 (S306).

단말(10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할당 받은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110)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S308).The terminal 100 transmits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110 by using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110 (S308).

결과적으로, 기지국(110)이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말(100)에게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BSR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단말(100)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지연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base station 110 allocates a PUSCH resource to the terminal 100 without considering the size of the uplink data, the BSR procedure must be additionally performed, so that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100 may be delayed. there is.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100)이 기지국(110)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보다 큰 PUSCH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BSR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이 예시된다.Referring to FIG. 3B , when the terminal 100 is allocated a PUSCH resource larger than the uplink data size from the base station 110 , a process of performing the BSR procedure is exemplified.

단말(100)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110)에게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110)에게 SR을 전송한다(S310).The terminal 100 transmits an SR to the base station 110 in order to transmit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110 (S310).

기지국(110)은 임의로 설정된 PUSCH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향링크 승인을 단말(100)에게 전송한다(S312).The base station 110 transmits an uplink grant to the terminal 100 to allocate an arbitrarily set PUSCH resource (S312).

단말(100)은 기지국(110)으로부터 할당 받은 PUSCH 자원이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보다 큰 경우,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110)에게 전송한다.When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from the base station 11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uplink data,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110 by using the PUSCH resource.

이때, 기지국(110)은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보다 많은 PUSCH 자원을 단말(100)에게 할당하므로, 상향링크 데이터와 PUSCH 자원의 차이만큼 자원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지국(110)이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말(100)에게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PUSCH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base station 110 allocates more PUSCH resources than the uplink data size to the terminal 100, resource loss occurs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link data and the PUSCH resources. Accordingly, when the base station 110 allocates the PUSCH resource to the terminal 100 without considering the size of uplink data, the PUSCH resource may be was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duling request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기지국과 RRC 설정을 통해 논리 채널별로 SR 자원을 설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R 자원은 복수의 버퍼 상태 인덱스(buffer status index)를 포함하고, SR 주기(periodicity), SR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정보 또는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n SR resource for each logical channel through RRC configuration with the base station. Here, the SR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status indexes, and at least one of SR periodicity,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or PUCCH resources. may further include.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SR 자원의 예시다.Table 1 is an example of SR resources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SR 자원SR resource 버퍼 상태 인덱스buffer state index SR 주기SR cycle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PUCCH 자원PUCCH Resources 1One 00 1One 22 33 22 1One 44 55 66 33 22 44 55 77

표 1을 참조하면, 각각의 숫자는 단위를 고려하지 않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논리 채널별로 SR 자원이 설정되며,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또는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 상태 인덱스 0의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의 값은 각각 1, 2, 3이며, 버퍼 상태 인덱스 1의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의 값은 4, 5, 6이다. 다시 말하면,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의 값에 따라 버퍼 상태 인덱스가 구별된다. 기지국은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에 따른 SR을 수신함으로써 버퍼 상태 인덱스를 인식할 수 있으며, 버퍼 상태 인덱스에 따른 PUSCH 자원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이 각각 4, 5, 7인 SR을 수신하면, 버퍼 상태 인덱스가 2인 것으로 판단한다.Referring to Table 1, each number is only an example that does not consider a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SR resource is configured for each logical channel, and at least one of an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or PUCCH resource may be differently configured for each buffer status index. For example, the values of the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 of buffer state index 0 are 1, 2, and 3, respectively, and the values of the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 of buffer state index 1 are It is 4, 5, 6. In other words, the buffer status index is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the value of the PUCCH resource. The base station may recognize the buffer status index by receiving the SR according to the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 and may determine the PUSCH resource range according to the buffer status index.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SR having an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s of 4, 5, and 7, respectively, it is determined that the buffer status index is 2.

버퍼 상태 인덱스는 PUSCH 자원 범위를 나누는 기준이 된다. 즉,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PUSCH 자원 범위가 구분되며,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PUSCH 자원 범위에 해당하는 버퍼 상태 인덱스의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기지국은 버퍼 상태 인덱스에 해당하는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PUSCH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한다.The buffer status index is a criterion for dividing the PUSCH resource range. That is, PUSCH resource ranges are divided for each buffer status index, and the UE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the SR of the buffer status index corresponding to the PUSCH resource range including the uplink data size,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PUSCH resource range corresponding to the buffer status index. PUSCH resources are allocated to the UE based on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버퍼 상태 인덱스 테이블이다.Table 2 is a buffer state index tabl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버퍼 상태 인덱스buffer state index PUSCH 자원 범위PUSCH resource range 00 <10<10 1One <100<100 22 <1000<1000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PUSCH 자원 범위가 나뉘어진 버퍼 상태 인덱스 테이블이 예시되어 있다. 도 4,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기지국에게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측정한다(S400). 이하에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가 50인 것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Tables 1 and 2, a buffer state index table in which PUSCH resource ranges are divided for each buffer state index is exemplified. 4, Table 1 and Table 2,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size of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S400).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uplink data size is 50.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 및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한다(S402).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가 50이고,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가 포함되는 PUSCH 자원 범위의 버퍼 상태 인덱스는 1이다. 따라서, 단말은 버퍼 상태 1을 선택한다.The UE selects a buffer status index based on the uplink data size and PUSCH resource range (S402). The uplink data size is 50, and the buffer state index of the PUSCH resource range including the uplink data size is 1. Accordingly, the terminal selects buffer state 1.

단말은 선택된 인덱스의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한다(S404). 선택된 인덱스는 버퍼 상태 인덱스 1이며, 그에 따른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의 값은 각각 4, 5, 6이다. 따라서, 단말은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 값이 각각 4, 5, 6인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한다.The terminal transmits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to the base station (S404). The selected index is the buffer state index 1, and the corresponding values of the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 are 4, 5, and 6,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UE transmits SRs having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 values of 4, 5, and 6 to the base station, respectively.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선택된 인덱스의 SR에 따라 결정된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한다(S406). 다시 말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SR의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 값에 따라 버퍼 상태 인덱스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승인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기지국이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 값이 각각 4, 5, 6인 SR을 수신하면, 버퍼 상태 인덱스 1에 해당하는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PUSCH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한다. The terminal receives an uplink gran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R of the selected index from the base station (S406). In other words,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e buffer status index according to the SR period of the SR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he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the PUCCH resource value, and transmits an uplink grant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corresponding PUSCH resource range.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SR having an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 values of 4, 5, and 6, respectively, it allocates a PUSCH resource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PUSCH resource range corresponding to the buffer state index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선택된 버퍼 상태 인덱스에 대응되는 PUSCH 자원 범위의 최대값을 PUSCH 자원으로 할당 받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SR의 버퍼 상태 인덱스에 대응되는 PUSCH 자원 범위의 최대값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수신한 SR의 버퍼 상태 인덱스 값이 1인 경우, 기지국은 100의 PUSCH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llocated the maximum value of the PUSCH resource ran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ffer state index as the PUSCH resourc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the maximum value of the PUSCH resource range corresponding to the buffer state index of the SR received from the terminal. When the buffer state index value of the SR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is 1, the base station may allocate a PUSCH resource of 100 to the terminal.

단말은 상향링크 승인에 의해 할당된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S408).The terminal transmits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by the uplink grant (S408).

따라서, 단말이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따라 PUSCH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받음으로써, BSR 절차를 수행하는 빈도가 적으므로 시간 지연이 최소화되고, 적절한 PUSCH 자원을 할당 받으므로 자원 낭비도 최소화된다.Accordingly, since the UE is dynamically allocated PUSCH resources according to the size of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since the frequency of performing the BSR procedure is small, the time delay is minimized, and since the UE is allocated an appropriate PUSCH resource, resource waste is also minimiz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수신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uplink reception process according to a support service type of uplink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설정을 통해 SR 자원을 설정하며, SR 자원은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n SR resource through RRC configur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the SR resour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a PUCCH resource.

이때,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려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별로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 및 기지국은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및 PUCCH 자원의 값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를 구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support service of uplink data that the terminal intends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an distinguish the support service of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SR period,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the value of the PUCCH resou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를 지원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승인을 소정의 횟수만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uplink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the terminal may receive an uplink grant from the base st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향링크 데이터가 eMBB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많은 PUSCH 자원을 할당 받아야 한다. 즉,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승인을 여러 번 수신하고, 상향링크 승인을 수신할 때마다 PUSCH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으며, 할당 받은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크기가 큰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plink data supports the eMBB service, the UE needs to be allocated many PUSCH resources from the base station because the size of the uplink data is large. That is, the terminal may receive an uplink grant from the base station multiple times, and each time receiving an uplink grant, the terminal may be allocated a PUSCH resource, and may transmit uplink data having a large data size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allocated PUSCH resource.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가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target BLER(block error rate) 값이

Figure 112019111737835-pat00001
을 만족하도록 상향링크 MCS 레벨 및 상향링크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 수를 할당 받고, 할당 받은 상향링크 MCS 레벨 및 상향링크 자원 블록 수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상향링크 데이터가 URLLC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단말과 기지국은 낮은 target BLER을 만족하도록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When the uplink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n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service, the terminal receives a target block error rate (BLER) value from the base station.
Figure 112019111737835-pat00001
An uplink MCS level and the number of uplink resource blocks (RBs) are allocated to satisfy , and uplink data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allocated uplink MCS level and the number of uplink resource blocks. When the uplink data supports the URLLC service, in order to increase the uplink data rate, the UE and the base station must allocate resources to satisfy a low target BL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5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조하면, 5G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500)과 기지국(500)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5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a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500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510 located within an area of the base station 500 .

기지국(500)은 프로세서(processor, 501), 메모리(memory, 502) 및 통신부(5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1)는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5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02)는 프로세서(5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5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503)는 프로세서(5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The base station 500 includes a processor 501 , a memory 502 , and a communication unit 503 . The processor 501 implements the functions, processes and/or methods previously proposed in FIGS. 1 to 4 . The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501 . The memory 502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501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501 . The communication unit 503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501 to transmit and/or receive a radio signal.

단말(510)은 프로세서(511), 메모리(512) 및 통신부(51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5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12)는 프로세서(5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5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513)는 프로세서(5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The terminal 510 includes a processor 511 , a memory 512 , and a communication unit 513 . The processor 511 implements the functions, processes and/or methods previously proposed in FIGS. 1 to 4 . The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511 . The memory 512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511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511 . The communication unit 513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511 to transmit and/or receive a radio signal.

메모리(502, 512)는 프로세서(501, 51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501, 51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500) 및/또는 단말(51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The memories 502 and 512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processors 501 and 511 , and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s 501 and 511 by various well-known means.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500 and/or the terminal 510 may have a single antenna or multiple antenna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ould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elements and/or features.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feature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features or feature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fil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hard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PGA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function, etc. that perform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and driven by the processor. The memory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processor by various known means.

도 4에서는 과정 S400 내지 과정 S40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400 내지 과정 S408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it is described in FIG. 4 that steps S400 to S408 are sequentially executed,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change the order described in FIG. 4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perform one of steps S400 to S408. Since the above proces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executing the above process in parallel, FIG. 4 is not limited to a time-series order.

한편, 도 4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es shown in FIG. 4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non-transitory medium such as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also carrier wave (for example, ,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nd may further include a transitory medium such as a data transmission medium.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500: 기지국 501: 프로세서
502: 메모리 510: 단말
500: base station 501: processor
502: memory 510: terminal

Claims (14)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 전송을 위한 단말의 동적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설정을 통해 논리 채널(logical channel)별로 SR 자원을 미리 설정하며, 상기 SR 자원은 복수의 버퍼 상태 인덱스(buffer status index), SR 주기(periodicity), SR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정보 또는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 범위가 나뉘어지며, 상기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상기 SR 주기, 상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또는 상기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되고,
상기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은,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size)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 및 상기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된 인덱스에 대응하는 SR 자원에 기초하여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인덱스에 대응하는 SR 자원에 따라 결정된 상향링크 승인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상향링크 승인에 의해 할당된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In a method of requesting a dynamic scheduling of a terminal for transmission of uplink data,
The terminal presets an SR resource for each logical channel through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figur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SR resource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status indexes, SR periodicity, It includes at least one of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PUCCH resources,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resource range is divided for each buffer status index, and the SR period, the SR sub for each buffer status index At least one of the frame offset information or the PUCCH resource is set differently,
The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includes:
measuring an uplink data size;
selecting a buffer status index based on the uplink data size and the PUSCH resource range;
transmitting the SR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SR re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dex;
receiving, from the base station, an uplink gran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R re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dex; and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by the uplink grant;
A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가 포함되는 PUSCH 자원 범위에 대응되는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하는 것인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lection process is
A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for selecting a buffer state index corresponding to a PUSCH resource range including the uplink data siz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USCH 자원은 상기 PUSCH 자원 범위의 최대값인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SCH resource is a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in which the maximum value of the PUSCH resource ran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 종류별로 상기 SR 주기, 상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또는 상기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되는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R period, the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the PUCCH resource is differently configured for each supported service type of the uplink dat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승인을 소정의 횟수만큼 수신하는 과정인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uplink data supports an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service,
The receiving is a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of receiving the uplink grant from the base st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arget BLER(block error rate) 값이
Figure 112019111737835-pat00002
을 만족하도록 상향링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및 상향링크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수를 할당 받는 과정; 및
상기 상향링크 MCS 레벨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 블록 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동적 스케줄링 요청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uplink data supports an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service,
The target BLER (block error rate) value from the base station
Figure 112019111737835-pat00002
receiving an uplink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level and a number of uplink resource blocks to satisfy and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uplink MCS level and the number of uplink resource blocks;
Dynamic scheduling request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과의 RRC 설정을 통해 논리 채널별로 설정한 SR 자원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SR 자원은 복수의 버퍼 상태 인덱스, SR 주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또는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PUSCH 자원 범위가 나뉘어지며, 상기 버퍼 상태 인덱스별로 상기 SR 주기, 상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또는 상기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 및 상기 PUSCH 자원 범위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인덱스에 대응하는 SR 자원에 기초하여 SR을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인덱스에 대응하는 SR 자원에 따라 결정된 상향링크 승인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상향링크 승인에 의해 할당된 PUSCH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된 단말.
In the terminal for transmitting a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to a base station,
Memory;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and
includes a processor;
SR resources set for each logical channel through RRC configuration with the base st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SR resources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ffer status indexes, SR periods,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or PUCCH resources, A PUSCH resource range is divided for each buffer status index, and at least one of the SR period, the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or the PUCCH resource is set differently for each buffer status index,
The processor measures the uplink data size,
selecting a buffer status index based on the uplink data size and the PUSCH resource range;
Transmitting the SR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SR re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dex,
Receive an uplink gran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R re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dex from the base station,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PUSCH resource allocated by the uplink gra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가 포함되는 PUSCH 자원 범위에 대응되는 버퍼 상태 인덱스를 선택하도록 설정된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A terminal configured to select a buffer state index corresponding to a PUSCH resource range including the uplink data siz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USCH 자원은 상기 PUSCH 자원 범위의 최대값인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USCH resource is the maximum value of the PUSCH resource range U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지원 서비스 종류별로 상기 SR 주기, 상기 SR 서브프레임 오프셋 정보 또는 상기 PUCCH 자원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one of the SR period, the SR subframe offset information, and the PUCCH resource is configured differently for each supported service type of the uplink dat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승인을 소정의 횟수만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uplink data supports an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service,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uplink grant from the base st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target BLER(block error rate) 값이
Figure 112019111737835-pat00003
을 만족하도록 상향링크 MCS 레벨 및 상향링크 자원 블록 수를 할당 받고; 및
상기 상향링크 MCS 레벨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 블록 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된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uplink data supports an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service,
The target BLER (block error rate) value from the base station
Figure 112019111737835-pat00003
to be allocated an uplink MCS level and the number of uplink resource blocks to satisfy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uplink MCS level and the number of uplink resource blocks.
KR1020190137644A 2019-10-31 2019-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KR102283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44A KR102283839B1 (en) 2019-10-31 2019-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KR1020210094671A KR102342583B1 (en) 2019-10-31 2021-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44A KR102283839B1 (en) 2019-10-31 2019-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71A Division KR102342583B1 (en) 2019-10-31 2021-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44A KR20210051844A (en) 2021-05-10
KR102283839B1 true KR102283839B1 (en) 2021-07-30

Family

ID=759182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644A KR102283839B1 (en) 2019-10-31 2019-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KR1020210094671A KR102342583B1 (en) 2019-10-31 2021-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71A KR102342583B1 (en) 2019-10-31 2021-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383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9469A (en) 2012-08-23 2017-04-2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 Method and device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JP2018033166A (en) 2017-10-26 2018-03-01 テレコム・イタリア・エッセ・ピー・アー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6620B2 (en) * 2013-01-10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s/receptions in wireless networks
KR101655513B1 (en) * 2013-08-09 2016-09-0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CN110856242B (en) * 2014-01-29 2023-07-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5122739A1 (en) * 2014-02-16 2015-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using contention-based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UE042226T2 (en) * 2014-03-21 2019-06-28 Sun Patent Trust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for d2d communication
EP3651486B1 (en) * 2014-05-09 2024-04-17 Sun Patent Trust Resource allocation for d2d discovery transmission
WO2016185923A1 (en) * 2015-05-15 2016-11-24 京セラ株式会社 Wireless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9469A (en) 2012-08-23 2017-04-2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 Method and device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JP2018033166A (en) 2017-10-26 2018-03-01 テレコム・イタリア・エッセ・ピー・アー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218A (en) 2021-07-27
KR102342583B1 (en) 2021-12-23
KR20210051844A (en)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9217B2 (en) Data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base station
US1160678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access network device
US9295040B2 (en) Packet scheduling in communications
KR20220071963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146404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921418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20225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idelink Reports
US2021029718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6017751A (en) Random access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0248101A1 (en) Csi report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7145321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TW202019205A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KR20100113458A (en) Method of configuring radio resource by a mac layer of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879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212372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terminal
CN114073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ransmission adaptation
KR102272640B1 (en) Ongoing indication of an Acknowledgment resource
US2022015000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2021025896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22838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ynamic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EP42668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multi-cell scheduling
WO2021138955A1 (en) Sending time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661670A (en) U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 performed therein
CN117083949A (en) Conflict hand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multiplexing and repetition for single transport block transmission on a multi-slot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KR201600182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