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314B1 -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 Google Patents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14B1
KR102279314B1 KR1020190155118A KR20190155118A KR102279314B1 KR 102279314 B1 KR102279314 B1 KR 102279314B1 KR 1020190155118 A KR1020190155118 A KR 1020190155118A KR 20190155118 A KR20190155118 A KR 20190155118A KR 102279314 B1 KR102279314 B1 KR 10227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sis situation
user
entranc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6186A (en
Inventor
박대우
전지윤
Original Assignee
(주)대우루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루컴즈 filed Critical (주)대우루컴즈
Priority to KR102019015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14B1/en
Publication of KR2021006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후 귀가시 위기상황으로 감지되는 경우 알림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관에 설치되는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에 귀가시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 등 귀가정보를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전에 저장해 놓은 다음 사용자가 집에 들어가기 위해 현관에 접근할 때 사전에 저장해 놓은 귀가정보와 상이한 상황으로 인식되는 경우 위기상황으로 인지하여 알림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sis situation recognition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of a front door that activates a notification device when a user returns home after going out of a crisis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is is to store return information such as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and the number of people expected to arrive at the time of returning home in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entrance hall in advance using communication means, and then the user approaches the entrance to enter the house When it is recognized as a situation different from the home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t is recognized as a crisis situation and the notification device is activated.

Description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후 귀가시 위기상황으로 감지되는 경우 알림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에 설치되는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에 귀가시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 등 귀가정보를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전에 저장해 놓은 다음 사용자가 집에 들어가기 위해 현관에 접근할 때 사전에 저장해 놓은 귀가정보와 상이한 상황으로 인식되는 경우 위기상황으로 인지하여 알림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of a door that activates a notification device when a user returns home after going out, and more particularly, when returning home to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installed at the entrance Afte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and the number of people expected to arrive in advance using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ront door to enter the house, it is recognized as a crisis situation if it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situation from the previously stored return information. It relates to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to operate the notification device.

최근 각 세대별 거주하는 사람의 수는 점차 줄어, 전 세계적으로 1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혼자 사는 여성 1인 가구는 범죄 상황에 노출되기 쉬워, 집으로 가는 길을 따라오는 것은 물론, 집 문까지 따라오거나, 집 문까지 따라와 출입문에 설치된 디지털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알아내서 각종 범죄로 이어지는 등 스토킹 범죄가 많아지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each household h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continuously increasing worldwide. In particular,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living alone are easily exposed to criminal situations, leading to various crimes by not only following the way home, but also following the door to the house or to the door to find out the password of the digital door lock installed on the door. Stalking crimes are on the rise.

종래에는 범죄에 취약한 어린이, 여성이 위기 상황에서 휴대전화 등으로 단출키를 눌러 신고하면 경찰이 신고자 위치를 확인하여 즉시 출동하는 서비스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통신기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휴대폰은 앱서비스를 통해 원터치로 가까운 경찰서에 가입한 뒤, 위금상황 시 사전에 등록한 단축번호를 눌러 신고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Conventionally, when a child or a woman who is vulnerable to crime reports by pressing a button on a mobile phone in a crisis situation, there is a service in which the police check the location of the reporter and immediately dispatch the person. These services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device that an individual has, but usually mobile phones consist of a system that registers with a nearby police station with one touch through an app service, and then reports by pressing a pre-registered speed dial number in case of a fine.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기상황을 인지한 후, 자신의 휴대폰에 전원을 투입하여 작동상태로 만든다음, 사전에 설정된 단축번호를 눌러야만 신고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현관 앞에서 사용자의 뒤에 범죄의심자가 따라오거나 접근해 있는 위기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설혹 범죄의심자가 접근해 있는 상황을 인지한다고 하더라도 사전에 설정된 단축번호를 누르는데까지 소정 시간이 소요되어 위기상황을 주변에 알려 위기상황을 벗어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is system, after the user recognizes a crisis situatio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to his/her cell phone to make it operational, and then presses a preset speed dial number to report a crime, so that the user is behind the user at the front door. Even if you do not recognize the crisis situation that the suspect is following or are approaching, or even if you recognize the situation that the suspect is approaching,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press the preset number, so you can get out of the crisis by notifying the people around you. There was a limit to

이 외에도, 나홀로 사는 여성 1인 가구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장치으로서, 집 안에서 모니터로 외부 사람을 확인하고 화면 캡쳐도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창', 문 혹은 창문을 강제로 열면 경보음과 함께 연락처에 등록된 지인에게 문자가 전송되는 '문 열림 센서', 위기 상황 발생시 112와 연락처에 등록된 지인에게 비상 메시지가 자동 전송되는 '휴대용 비상벨', 도어록과 별개로 이중 잠금되는 '현관문 보조키' 등이 알려져 있다.In addition to this, as a device to relieve anxiety of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living alone, the 'digital video window' that allows you to check external people on a monitor in the house and capture screens, and an alarm sound when you forcefully open a door or window A 'door opening sensor' that sends a text message to a registered acquaintance, a 'portable emergency bell' that automatically sends an emergency message to 112 and acquaintances registered in the contact information in case of a crisis, and a 'door auxiliary key' that is double-locked separately from the door lock etc. are known.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도 범죄의심자가 사용자의 집 현관 앞까지 따라와 성희롱, 성폭행, 주거 침입을 시도하려 할 때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devices also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respond quickly when a suspected crime follows the user to the front door of the user's house and tries to sexually harass, assault, or break into the home.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8-0014631 (2018.02.09 공개)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14631 (published on Feb. 09, 2018)

상기한 사정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관에 귀가 시간과 인원 등 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과 현관 앞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귀가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귀가정보와 일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기 상황으로 인지하여 사전에 설정된 비상 연락처로 위기 상황 알림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1인 가구의 사용자의 안전한 귀가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turn information is consistent with the retur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mage in front of the entrance and a means for storing return information such as the return time and number of people in the user's entrance hall. In this case, it is a technical task to provide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door so that a single-person household user can go home safely by recognizing a crisis situation and sending a crisis situation notification to a preset emergency cont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를 감지하는 비콘신호 감지부, 현관 전방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사용자의 휴대폰 앱을 통해 전송되는 귀가정보를 저장하는 귀가정보 저장부, 상기 귀가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귀가정보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귀가 형태를 판단한 후 위기상황으로 인지되는 경우 위기상황 발생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위기상황 발생신호가 출력되면 시청각적인 경고신호를 출력시켜 위기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주변에 알리는 경고부, 그리고 사용자의 휴대폰 앱을 통해 전송되는 귀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i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a person, a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beacon signal generated from the user's mobile phone, and shoots the front of the entrance A camera unit to obtain image information, a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hom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mobile phone app, and home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by comparing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risis situation occurrence signal when a crisis situation is recognized after determining the user's return form, and a warning unit to inform the surroundings that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by outputting an audiovisual warning signal when the crisis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hom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mobile phone app.

상기 귀가정보는 사용자의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homecoming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user and the number of people expected to arrive.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정보는 정지화상정보 또는 동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ll image information or moving pictur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에는 위기상황 인지시 연락할 비상연락처 저장부가 추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mergency contact storage unit to be contacted upon recognizing a crisis situation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에는 카메라의 이미지정보와 비교하여 위기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위기상황정보 저장부가 추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risis situ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by comparing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순간부터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cquire and analyze the image information by operating the camera unit from the moment the human approach is detect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부는 귀가형태 판단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의 수신강도가 소정 크기 이상 수신되고, 도착인원이 사전에 설정된 도착예정인원과 상이하며, 도착인원 간에 팔의 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접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turn typ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s mobile phone is receiv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number of arrivals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scheduled arrivals set in advance, and the arm position is in contact between the arri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적 약자인 1인 귀가자가 귀가하는 과정에서 현관 앞에 도달하였을 때 실제 실제 감지되는 귀가정보가 현관 입구에 설치되는 본 시스템에 휴대폰 앱을 통해 사전에 설정해 놓는 귀가정보와 상이하여 위기상황이라 판단되는 경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거나 사전에 저장해 놓은 비상연락처로 위기상황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범죄발생을 예방하고 안전귀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home information set in advance through a mobile phone app in this system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to the actual home information actually sensed when a single returnee, who is physically weak, arrives at the front door in the process of returning home. Therefore, when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crisis situation, it is effective to prevent crime and promote a safe return home by operating a warning means or sending a crisis situation notification to the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에 따른 시스템 본체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의 시스템 본체(10)에 휴대폰 앱을 통해 귀가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
1 is an external view of a system body according to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ure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tting hom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phone app in the system body 10 of the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에 따른 시스템 본체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1 shows an external view of a system body according to the crisis situation recognition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의 시스템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사용자가 귀가시 반드시 접근하게 되는 현관 입구의 도어락(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도어락(20)에 일체로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귀가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1 , the system body 10 of the crisis situation recogniti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in the door lock 20 of the entrance door that the user must access when returning hom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door lock 20 and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that can easily detect the approach of the returnee.

시스템 본체(10)내에는 인체감지센서(11), 비콘신호 감지부(12), 카메라부(13), 귀가정보 저장부(14), 제어부(15), 경고부(16) 그리고 통신부(17)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the system body 10,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a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a camera unit 13, a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 a control unit 15, a warning unit 16, and a communication unit 17 ) may be included.

상기 인체감지센서(11)는 귀가를 위해 현관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인체감지센서(11)로는 예컨대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PIR센서가 채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초음파 센서나 레이더 센서와 같이 현관 앞에서 움직이는 물체나 사람 등을 검출하거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The human body sensor 11 detects a user approaching the entrance to return home. As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for example, a PIR sensor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by detecting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human body may be employed. Measurable sensors may optionally be employed.

상기 비콘신호 감지부(12)는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관에 접근하는 거리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예컨대 BLE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스템 본체(10)에서는 상기 비콘신호의 수신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귀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is a means for detecting the distance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entrance by detecting the beacon signal generated by the user's mobile phone, for example, may be composed of a BLE module, and in the system body 10, the beac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et user returns home normally according to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상기 카메라부(13)는 현관 전방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이며, 상기 이미지정보로서 정지화상정보 또는 동영상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3 is a means for obtain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entrance hall, and may extract still image information or moving image information as the image information.

귀가정보 저장부(14)는 사용자의 휴대폰 앱을 통해 전송되는 귀가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이동통신수단 또는 와이파이 통신수단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귀가정보로는 사용자의 도착예정시간 및 도착예정인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 is a means for storing hom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mobile phone app, and may be composed of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a Wi-Fi communication means, and the return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s estimated time of arrival and expected arrival. may include personnel.

한편, 제어부(15)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1)에서 감지하는 인체감지신호에 의거 카메라부(13)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평소에는 카메라부(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인체감지센서(11)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인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3)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정보로부터 사람, 팔, 손, 위험한 물체(칼, 도끼, 몸둥이 등) 등을 감지한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서는 Fast RCNN , mask RCNN, SSD, YOLO 등 물체 인식 알고리즘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귀가정보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귀가정보와 상기 카메라부(13)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정보를 분석한 실제 귀가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귀가 형태를 판단하는 수단이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5 operates the camera unit 13 based o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 This is configured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block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amera unit 13 and supplying power only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to detect the human body. In addition, a person, an arm, a hand, a dangerous object (a knife, an axe, a trunk, etc.) are dete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3 b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s an AI algorithm,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such as Fast RCNN, mask RCNN, SSD, and YOLO may be employed. And it is a means for determining the user's homecoming form by comparing the return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 and the actual return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3 .

이때 제어부(15)가 판단하는 사용자의 귀가 형태로는 사용자가 정상 귀가를 한 경우인지, 사용자가 비정상적인 귀가를 한 경우인지, 혹은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At this time, as the user's return form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returns home normally, the user returns abnormally, or a crisis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사용자가 정상 귀가를 한 경우는, 비콘신호 감지부(12)에서 감지된 RSSI 신호가 일정 크기 이상이며, 카메라부(13)에서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영상처리 한 결과값으로부터 귀가정보 저장부(14)에 저장된 도착예정인원 수와 일치할 경우가 해당된다. 또한 사용자가 비정상적인 귀가를 한 경우는, 비콘신호 감지부(12)에서 RSSI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감지되었다고 하더라도 카메라부(13)에서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영상처리 한 결과값으로부터 귀가정보 저장부(14)에 저장된 도착예정인원 수와 상이할 경우가 해당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경우는, 비콘신호 감지부(12)에서 RSSI 신호가 소정 크기 이상 감지되었으나, 카메라부(13)에서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영상처리 한 결과값으로부터 귀가정보 저장부(14)에 저장된 도착예정인원 수와 상이하고 소정 시간(예컨대 10초) 이상 계속 검출이 이루어지면서 사람의 팔의 위치가 다른 사람의 신체영역에 접촉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13)에서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영상처리 한 결과값으로부터 위험한 물체가 감지된 경우도 위기상황이 발생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user returns home normally, the RSSI signal detected by 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size, and the return information storage unit 14 is obtained from the image processing result of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unit 13 . )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expected arrivals stored in ). In addition, when the user returns home abnormally, the RSSI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or even if it is detected, the return information storage unit ( 14)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expected arrivals stored in the above. And when a crisis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the RSSI signal is detected by 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or more, but the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 uses the image processing result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13 to process the image information. ) may be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expected arrivals stored in ) and a case where the position of a person's arm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person's body area while the detection is continuously made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0 seconds) or more.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case in which a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result of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unit 13 may be determined as a case in which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상기와 같은 귀가 형태에 따라 제어부(15)는 사용자가 정상 귀가를 한 경우 아무런 제어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return form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5 does not perform any control operation when the user returns home normally.

그러나 사용자가 비정상적인 귀가를 한 경우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 팝업 메시지 창을 통해 예컨대, '등록된 인원보다 많은 인원이 감지되었습니다', '아직 귀가하지 않으셨습니다', '무슨 일 있으신가요?' 등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폰에 팝업 메시지 창을 통해 알림 신호를 전송했음에도 소정시간 회신이 없는 경우 대표 비상연락처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알림 메시지는 예컨대 '000님의 안전을 확인해 주세요'라는 안전확인 메시지를 보내 비상연락처로 등록된 사람에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을 확인하게 하여 사고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has returned home abnormally, a notification signal is sent to the user's mobile phone and a pop-up message window is displayed through a pop-up message window, for example, 'more than the registered number has been detected', 'You have not returned home yet', 'What are you doing? ' and the like, and if there is no reply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though a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pop-up message window to the user's mobile phone, a notification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representative emergency contact. The notification message at this time, for example, by sending a safety confirmation message 'Please confirm the safety of 000' to the person registered as an emergency contact to confirm the safety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accidents.

또한, 사용자에게 위기상황이 발생한 경우는 위기상황 발생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휴대폰 및 후술되는 바와 같은 비상연락처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 '000님이 현재 위험한 상황입니다. 경찰에 신고해 주세요' 등의 상황알림 메시지를 전달함과 함께 경고부(16)를 제어하여 시청각적인 경고신호를 출력시켜 위기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주변에 알려 범죄 의도를 예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안전할 경우 사용자는 위기상황 인지 알림 구동 앱에 설정되어 있는 별도의 버튼을 작동을 통해 시스템 본체(10)에 안전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risis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it outputs a crisis situation occurrence signal and send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s mobile phone and emergency contact as described below, so that '000 is currently in a dangerous situation. Please report it to the police', and control the warning unit 16 to output an audiovisual warning signal to inform the surrounding area that a crisis has occurred, thereby preventing criminal intent. If the user is safe, the user may transmit a safety confirmation message to the system main body 10 by operating a separate button set in the emergency awareness notification driving app.

그리고 통신부(17)는 사용자가 휴대폰 앱을 통해 귀가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귀가정보 저장부(14)에 저장하거나, 귀가 상태가 비정상 귀가인 경우로 판단되거나 위기상황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위기상황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이동통신수단 또는 와이파이 통신수단과 같은 무선통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And when the user sends home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phone app, the communication unit 17 receives it and stores it in the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turn state is an abnormal return home or a crisis situation occurs in advance As a means for transmitting a crisis notification signal to a set emergency contact, it may be configur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a Wi-Fi communication means.

이와 더불어 상기 시스템 본체(10)내의 제어부(15)에는 비상연락처 저장부(18)와 위기상황정보 저장부(19)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mergency contact storage unit 18 and a crisis situ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9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 in the system body 10 .

상기 비상연락처 저장부(18)는 위기상황 발생시 그 인지신호를 전송하여 위기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비상연락처 즉 전화번호들이 저장되는 수단으로, 사용자의 휴대폰 앱을 통해 신규등록,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emergency contact storage unit 18 is a means for storing emergency contacts that can quickly respond to a crisis situation by transmitting a recognition signal when a crisis situation occurs, that is, a phone number that can be newly registered, added, and deleted through the user's mobile phone app. It is preferable to

또한 위기상황정보 저장부(19)는 카메라부(13)에서 획득된 이미지정보를 영상처리 한 결과값과 비교하여 위기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정보가 저장되는 수단으로, 예컨대 칼, 도끼, 몸둥이 등과 같은 위험한 물체의 다양한 이미지정보, 위기상황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 사람들간의 신체적 접촉상태에 관한 이미지정보 등이 저장되며, 나아가 위기상황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정보들이 추가로 저장될 수 있는 수단이다.In addition, the crisis situ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9 is a means for storing referenc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by comparing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amera unit 13 with the image processing result value, for example, a knife, Various image information of dangerous objects such as axes and trunks, image information about physical contact between people that can be judged as a crisis situation, etc. are stored, and further, various image information that can be judged as a crisis situation can be additionally stored. there is a mean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5)는 작동 초기에 인체감지센서(11)와 비콘신호 감지부(12)만을 작동시켜 현관 앞에 사용자를 비롯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대기모드시 카메라부(13)의 동작전원은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First, the control unit 15 operates onl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1 and 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at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to perform a standby mode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people including the user in front of the entrance. In the standby mode, the operation power of the camera unit 13 is cut off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또한, 시스템 본체(10)가 대기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도착예정시간 정보와 도착예정인원 정보를 전송하면, 이러한 도착예정시간 정보와 도착예정인원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시스템 본체(10)의 통신부(17)에서 수신되어 귀가정보 저장부(14)에 저장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expected to arrive through the app installed in his/her mobile phone while the system main body 10 is in standby mode,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arrival number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7 of the system body 10 through the system body 10 and is stored in the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14 .

이와 같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제어부(15)는 도착예정시간 정보의 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이 되거나 비콘신호 감지부(12)에 의해 비콘신호가 감지되어 수신되면, 카메라부(13)를 동작시켜 이미지정보를 획득한다.In such a standby mode, when a time corresponding to the range of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or a beacon signal is detected and received by 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the control unit 15 operates the camera unit 13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to acquire

이후 제어부(15)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사람, 팔, 흉기 등을 추출하는 이미지정보 분석 단계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5 performs an image information analysis step of extracting a person, an arm, a weapon, etc.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상기 이미지정보 분석 단계 중 흉기검출 판단단계에서 흉기가 검출되지 않고, 도착인원이 사전에 설정된 도착예정인원보다 많은 사람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정상적 귀가인 경우로 판단하고 초기 대기모드로 돌아간다.In the case where a weapon is not detected in the weapon detection determination step of the image information analysis step and the number of arrivals greater than the number of expected arrivals set in advance is not detected,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return and returns to the initial standby mode.

그러나 대기모드 상태에서 제어부(15)가 도착예정시간 정보의 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이 되었는데 비콘신호 감지부(12)로부터 비콘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정상 귀가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콘신호의 감지에 따라 이미지정보 분석 단계를 수행한 결과 흉기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도착인원이 사전에 설정된 도착예정인원보다 많은 사람이 검출되면, 도착인원들간의 팔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이때 사람의 팔의 위치가 다른 사람의 신체에 가까이 접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정상 귀가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However, in the standby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unit 15 is within the range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beacon signal is not detected from 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 return and notified to the user's mobile phone. transmit a signal In addition,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image information analysis step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beacon signal as described above, if a weapon is not detected, but more people are detected than the number of expected arrivals set in advanc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rm contacts between the arrivals are detected.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person's arm is not close to another person's body, it is determined as an abnormal return and a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phone.

한편 제어부(15)는 상기 흉기 검출 판단단계에서 도착인원 중에서 흉기를 소지한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기상황 발생으로 판단하고 경고부(16)를 작동시켜 시청각적으로 주변에 알림과 동시에, 사전에 비상연락처 저장부(18)에 저장해 놓은 비상연락처로 위기상황 알림을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possessing a weapon among the number of arrivals in the weapon detection determination step, the control unit 15 determines that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and operates the warning unit 16 to notify the surrounding area audiovisually and at the same time, in advance Sends a notification of a crisis situation to the emergency contact stored in the emergency contact storage unit (18).

이에 따라 1인 여성가구 등 신체 취약자의 집 앞까지 따라와 범죄를 저지르려는 사람이 있을 때 범죄의도를 축소시켜 범죄발생을 예방하고 안전귀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re is a person who is trying to commit a crime by following to the front of the house of the physically vulnerable, such as a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riminal intent, prevent the occurrence of crime and promote a safe return ho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의 시스템 본체(10)에 휴대폰 앱을 통해 귀가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4 shows a method of setting hom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phone app in the system main body 10 of the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의 시스템 본체(10)에 귀가정보를 저장할 사용자는 위기상황 인지 알림 구동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First, a user who will store home information in the system main body 10 of the crisis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wnloads and installs the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riving app.

위기상황 인지 알림 구동 앱을 처음 실행시키면 귀가정보를 초기설정 하는 것인지 수정등록하는 것인지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When the crisis awareness notification driving app is run for the first time, it provides a screen where you can enter whether you want to set up the initial home information or register it for correction.

이때 초기설정 하는 경우라면 시스템 본체(10)와 휴대폰 간에 BLE를 연결시켜 휴대폰 정보를 등록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initial setting, BLE is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body 10 and the mobile phone to register mobile phone information.

이어 기본값에 해당하는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을 입력하고, 또한 비상연락처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최소 1개 이상 입력한다.Next, enter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expected number of people corresponding to the default values, and also enter at least on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contact number.

이후, 메인화면으로 전환하여 귀가당일의 귀가정보로서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 정보를 설정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해 시스템 본체(10)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main screen, and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expected arrival number information are set as the return information on the day of return, and then transmitted to the system body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에 따라 시스템 본체(10)에서는 통신부(17)를 통해 상기 상기 귀가정보를 수신하여 귀가정보 저장부(14)에 저장한다.Accordingly, the system main body 10 receives the retur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 and stores it in the home return information storage unit 14 .

한편, 위와 같이 초기설정 단계를 거쳐 기본값을 모두 입력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인지 알림 구동 앱을 실행시키면 바로 메인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귀가당일의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you run the crisis awareness notification driving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all default values have been entered through the initial setting step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t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expected number of people on the day of returning home by moving to the main screen immediately. let it be

시스템 본체(10)에서는 사용자가 귀가당일의 귀가정보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 초기설정 단계에서 기본값으로 설정한 귀가정보를 기반으로 위기상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In the system main body 10, if the user does not modify the home information on the day of returning ho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risis situation based on the home information set as a default in the initial setting step.

사용자의 휴대폰은 도착예정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의 소정 범위 시간 동안에는 비콘모드가 되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을 휴대하고 시스템 본체(10)가 설치되어 있는 현관 앞에 접근하게 되면 시스템 본체(10)에서는 사용자의 귀가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user's mobile phone is in a beacon mode for a predetermined range of time set as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ront door where the system body 10 is installed while carrying the mobile phone, the system body 10 returns to the user's ears.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사용자는 휴대폰에 위기상황 인지 알림 구동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위기상황 인지 알림 구동 앱을 통해 귀가당일의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에 대한 귀가정보를 입력한다.5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downloads and installs a crisis awareness notification driving app on a mobile phon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and number of expected arrivals on the day of returning home through the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riving app Enter home information for

상기 휴대폰(30)에 입력된 귀가정보는 네트워크망(40)을 통해 사용자 가정의 통신기기(50)로 전달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본체(10)에서 수신하게 된다. The homecoming information input to the mobile phone 3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50 of the user's home through the network 40 and is received by the system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착예정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휴대폰(30)은 비콘모드가 된다.When the time set as the expected arrival time arrives, the mobile phone 30 enters the beacon mode.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30)을 휴대하고 현관 앞의 시스템 본체(10)에 접근하게 되면 시스템 본체(10)는 비콘신호 감지부(12)를 통해 휴대폰의 RSSI 및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정상적인 귀가인 경우인지, 비정상적인 귀가인지, 혹은 위기상황 발생인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user carries the mobile phone 30 and approaches the system main body 10 in front of the entrance, the system main body 10 receives RSSI and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2 . Thu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matches the user registered in advance, whether it is a normal homecoming, an abnormal homecoming, or a crisis situation.

만일 상기 시스템 본체(10)는 사용자가 비정상적인 귀가인 경우나 위기상황 발생인 경우로 판단된 경우 네트워크망(40)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해당 상황에 대한 알림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returning home abnormally or a crisis situation occurs, the system body 10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to a preset emergency contact via the network 40 .

10 -- 시스템 본체, 11 -- 인체감지센서,
12 -- 비콘신호 감지부, 13 -- 카메라부,
14 -- 귀가정보 저장부, 15 -- 제어부,
16 -- 경고부, 17 --통신부,
18 -- 비상연락처 저장부, 19 -- 위기상황정보 저장부,
20 -- 도어락, 30 -- 휴대폰,
40 -- 네트워크망.
10 -- system body, 11 -- human body sensor,
12 --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13 -- camera unit,
14 --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15 -- control unit,
16 -- warning department, 17 -- communication department,
18 --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storage unit, 19 -- Crisis situ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0 -- door lock, 30 -- mobile phone,
40 -- Network network.

Claims (7)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를 감지하는 비콘신호 감지부;
현관 전방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사용자의 휴대폰 앱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도착예정시간과 도착예정인원에 대한 귀가정보를 저장하는 귀가정보 저장부;
카메라부의 이미지정보와 비교하여 위기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위기상황의 발생이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한 물체의 이미지정보와 위기상황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 사람들간의 신체적 접촉상태에 관한 이미지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위기상황정보 저장부;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정보를 상기 귀가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귀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귀가 형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위기상황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위기상황정보와 비교한 후 위기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되는 경우 위기상황 발생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위기상황 발생신호가 출력되면 시청각적인 경고신호를 출력시켜 위기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주변에 알리는 경고부;
그리고 사용자의 휴대폰 앱을 통해 전송되는 귀가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person's approach;
a beacon 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beacon signal generated by the user's mobile phone;
A camera unit for obtain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entrance;
Homecoming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user and the number of expected arrivals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mobile phone app;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by comparing it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unit. Image information of various dangerous objects that can be judged to be a crisis situation and image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contact state between people that can be judged as a crisis situation Crisis situ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d in advance;
After receiving the beacon signal generated by the user's mobile phone,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is compared with the home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information storage unit to determine the user's return form and save the crisis situation information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risis situation occurrence signal when it is recognized that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after comparison with the crisis situ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nit;
a warning unit informing the surroundings that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by outputting an audio-visual warning signal when the crisis situation occurrence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hom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mobile phone app;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includ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정보는 정지화상정보 또는 동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is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ll image information or video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위기상황 인지시 연락할 비상연락처 저장부가 추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contact storage unit to be contacted when the crisis situation is recognized is additionally connec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거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순간부터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켜 이미지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 crisis situation recognition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cquire and analyze the image information by operating the camera unit from the moment of detecting the approach of a pers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귀가형태 판단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의 수신강도가 소정 크기 이상 수신되고, 도착인원이 사전에 설정된 도착예정인원과 상이하며, 도착인원 간에 팔의 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접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s mobile phon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when determining the type of return, the number of arrivals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scheduled arrivals set in advance, and the position of the arm between the number of arrivals Crisis situation awareness notification device at the entr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s in contac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KR1020190155118A 2019-11-28 2019-11-28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KR1022793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18A KR102279314B1 (en) 2019-11-28 2019-11-28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18A KR102279314B1 (en) 2019-11-28 2019-11-28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186A KR20210066186A (en) 2021-06-07
KR102279314B1 true KR102279314B1 (en) 2021-07-21

Family

ID=7637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118A KR102279314B1 (en) 2019-11-28 2019-11-28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31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24B1 (en) * 2013-10-23 2015-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Smart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User Terminal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402A (en) * 2013-09-24 2015-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Safety Guard Based on Video Recognition
KR20180014631A (en) 2016-08-01 2018-02-09 주식회사 위기관리씨스템 Crime prevention and call signal alarm system using sms servic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24B1 (en) * 2013-10-23 2015-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Smart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User Terminal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186A (en)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0597C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central monitoring station and registered users about a potential duress situ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US7486187B2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1797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lert message
KR1016133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of dangerous situation in building
US10713931B2 (en) Portable alarm system
US10169983B2 (en) Method of noise suppression for voice based interactive devices
CN106355693A (en) Home security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06549685A (en) The portable secure device of communication for service is monitored with home security system
CN104063969A (en) Access control early warning system and access control early warning control method based on motion detection
EP39891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EP3142089B1 (en) System arm notification based on ble position
KR20160053695A (en) Automatic window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smartphone
KR20150041939A (en) A door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0742754B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N108573584A (en) Intelligent sound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sound
KR101452874B1 (en) Home security system
KR101412793B1 (en) A doll having security function
KR102279314B1 (en) Device for notifying crisis situation at entrance of front door
KR20100009883U (en) Remote security system for coming and out applied door lock
CN106331619A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device
CN106683328A (en) Household security system
KR20090103169A (en) System for notifying of emergency
KR1014404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ecurity
CN106791694A (en) Monitoring system of entering based on electronic equipment
RU2303289C1 (en) System for individual protection of real e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