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017B1 -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017B1
KR102278017B1 KR1020200003787A KR20200003787A KR102278017B1 KR 102278017 B1 KR102278017 B1 KR 102278017B1 KR 1020200003787 A KR1020200003787 A KR 1020200003787A KR 20200003787 A KR20200003787 A KR 20200003787A KR 102278017 B1 KR102278017 B1 KR 10227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
relationship
users
register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061A (ko
Inventor
송승준
유워노 쿠즈마완 푸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622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7166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to KR102020000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0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061A/ko
Priority to KR1020210018497A priority patent/KR102402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을 기반으로 한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SNS 서버(900)는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단말기가 올리는 사진들로부터 등록된 사용자의 인물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사용자 인물이 확인된 등록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들에 대하여 분석을 하여 개개의 등록사용자들에 대하여 관계가 있는 다른 사용자를 판단하고, 관계가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들에 대하여 이들의 연결을 설정하여 이들 사이에 소셜네트워킹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photos}
본 발명은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관계가 있는 자들을 상호간에 연결시키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셜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사용자들은 연결시키고 연결된 사용자들 사이에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facebook)이나 링크드인(linkedin) 등이 이러한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업적으로 알려진 플랫폼(platform)이다.
사용자들을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통상적으로는 개개의 사용자들이 올리는 프로필(profile)을 베이스로 하고 있으며 연결된 사용자의 관계를 친구(friend)라 칭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발전으로 일반인들은 사진의 촬영을 쉽게 이룰 수 있고 이들 촬영된 사진을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저장소에 쉽게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다.
사진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아이가 웃는 모습이 찍힌 사진이라면 그 사진은 아빠나 엄마가 찍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는 아이가 인지하는 안전하고 편안한 사람이라는 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복수인이 찍힌 사진은 사진속의 인물들끼리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식당에서 같이 식사하는 젊은 남녀의 사진이라면, 이들은 친구 또는 연인관계 일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사진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는데, 이를 활용하여 소셜네트워킹 서비스에서 사용자와 사용자를 연결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우선 사진은 본래 관계를 내포하는 것이므로 내재적으로 연결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연결시킬 가능성이 높고, 많은 사람들이 사진을 찍어 인터넷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추세를 이용하여 부담없이 소셜네트워킹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을 연결시키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가 행하는 것으로서, (a)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단말기가 올리는 사진들로부터 등록된 사용자의 인물을 확인하는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와; (b) 상기 등록사용자 인물이 확인된 등록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들에 대하여 분석을 하여 개개의 등록사용자들에 대하여 관계가 있는 다른 사용자를 판단하는 관계판단단계; (c) 관계가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들에 대하여 이들의 연결을 설정하여 이들 사이에 소셜네트워킹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연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등록된 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을 기반으로 이들 사용자간에 관계를 추출하여 관계가 있는 자들을 상호간에 연결시키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가 적용되는 환경의 예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사용자들이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를 통하여 상기 SNS 서버에 로그인을 하고 이후 사진들을 올리고, 이렇게 사진이 올려지면 상기 SNS 서버가 상기 사진들을 분석하여 사진 속에서 등록된 사용자 본인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
도 3은 앞면과 뒷면에 각각 카메라사 설치된 스마트폰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SNS 서버가 사용자들에 대하여 관계를 설정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
도 5는 사용자들 간에 관계가 있게 되는 사진의 유형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가 적용되는 환경(1000)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셜네크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900)가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 SNS 서버(900)는 다수개의 모바일단말기(10a)(10b)...(10n)와 통신네트워크(800)를 통하여 연결되고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10a)(10b)...(10n)는 사진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사진을 상기 SNS 서버(90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스마트폰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모바일단말기(10a)(10b)...(10n)에는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가 설치된다.
상기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는, 예를 들어, 앱(App)과 같은 소프트웨어로서 상기 모바일단말기(10a)(10b)...(10n)에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단말기(10a)(10b)...(10n)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고, 이렇게 촬영된 사진을 상기 SNS 서버(900)로 올리고, 상기 SNS 서버(900)에서 사진을 기반으로 연결이 설정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사용자들은 모바일단말기(10a)(10b)...(10n)에 설치된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를 통하여 상기 SNS 서버(900)에 로그인(login)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확인(identification)은 모바일단말기(10a)(10b)...(10n)의 전화번호로 이루어진다.
즉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은 그 전화번호로 상기 SNS 서버(900)에 등록(registration)하고 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이와 같이 사용자들이 모바일단말기(10a)(10b)...(10n)에 설치된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를 통하여 상기 SNS 서버(900)에 로그인(login)을 하고 이후 사진들을 올리고, 이렇게 사진이 올려지면 상기 SNS 서버(900)가 상기 사진들을 분석하여 사진 속에서 등록된 사용자 본인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단말기(10a)(10b)...(10n)로 사진촬영을 하게 되고 (단계 S201) 이렇게 촬영된 사진을 상기 SNS 서버(900)로 전송한다. (단계 S202)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는 사진을 촬영할 때 단순히 피사체만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가 있는 곳의 반대쪽도 촬영하도록 상기 모바일단말기(10a)(10b)...(10n)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고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인 모바일단말기(10)는 그 앞면(101)에 카메라(1)가 설치되고 또한 그 뒷면(103)에 카메라(3)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는 뒷면(103)의 카메라(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스스로를 찍는 경우 등의 특별한 경우에만 앞면(101)의 카메라(1)를 이용하여 촬영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는 카메라(1)(3)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면 앞면(101)과 뒷면(103)의 카메라(1)(3) 모두가 작동하도록 카메라(1)(3)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빠가 아이를 찍을 경우, 아이만 찍히는 것이 아니라 사진을 찍은 아빠도 찍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단계 S201과 S202에 따라, 상기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가 카메라를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사진을 상기 SNS 서버(900)로 전송할 때는, 모바일단말기의 앞면과 뒷면의 카메라(1)(3)를 모두 활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사진 모두를 상기 SNS 서버(9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바일단말기(10a)(10b)...(10n)로부터 사진이 전송되면 상기 SNS 서버(900)는 이 사진을 그 사용자 ID에 따라 저장하게 된다. (단계 S203) 즉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의 전화번호와 관련되어 이들 사진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의 제어로 앞면과 뒷면의 카메라 모두가 촬영한 사진이 전송되는 경우, 본래 의도하였던 방향의 사진에 그 반대방향의 사진이 종속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아빠가 아이를 찍은 경우 아이사진에 종속되어 아빠의 사진이 저장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SNS 서버(900)는 상기 사진들을 분석하여 (단계 S204) 그 사진과 관계된 사용자를 확인한다. (단계 S205)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양쪽의 카메라(1)(3)가 찍은 양 방향의 사진이 전송되는 경우, 본래 의도하였던 방향의 반대방향의 사진속의 인물에 대하여 분석하여 그 빈도수가 가장 많은 인물을 등록된 사용자로 확인할 수 있다.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기술의 발달로 얼굴인식기술은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사진속의 인물의 특징들을 추출하여 동일인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본래 의도하였던 방향의 반대방향의 사진속의 인물에 대하여 분석하여 그 빈도수가 가장 많은 인물을 등록된 사용자로 확인하는 것이다.
보조적으로 다양한 사진의 메타데이터(meta data)가 사진들에서 등록된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셀카사진, 특정지역, 주말 이나 야간의 사진 등 여러 가지 조건에서 그 빈도수가 가장 높게 노출되는 인물이 등록된 사용자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진에서 추출한 메타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대안으로, 상기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50a)(50b)..(50n)는 필수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사진을 올리도록 하고, 이 사진을 상기 SNS 서버(900)가 받아 이를 분석하여 서버로 전송된 여러개의 사진 중에 등록된 사용자의 인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SNS 서버(900)는 등록된 사용자를 사진 속에서 분석하여 확인을 하게 된다. 등록된 사용자의 여러 사진에서의 모습은 타인들의 사진에 담긴 등록된 사용자를 찾고 연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상기 SNS 서버가 사용자들에 대하여 관계를 설정하여 사용자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상기 SNS 서버(900)에는 사용자들이 올리는 다양한 사진들이 올라오게 되는데, 이들 각각의 사진들의 인물에 대하여 상기 SNS 서버(900)는 분석을 하여 개개의 인물들을 확인한다. (단계 S401)
다음, 상기 SNS 서버(900)는 이들 인물들에 대하여 상호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살피고 (단계 S402), 관계가 있으면 이들 관계가 있는 인물의 사용자들을 상호간에 연결한다. (단계 S403)
도 5는 사용자들 간에 관계가 있게 되는 유형을 예시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도 5의 (a)를 참고로, A소유의 모바일단말기(10a)를 사용하여 A를 촬영한 경우, A의 인물사진에 종속되어 B의 사진도 올려 질 것인데, 이와 같은 경우, 사진을 찍은 B와 사진이 찍힌 A는 친구, 가족, 잘 아는사람 등의 관계일 가능성이 높다. 다른 장소와 다른 시간등에서 노출빈도가 높다면 더욱 가능성이 높게 될 것이다.
도 5의 (b)를 참고로, A소유의 모바일단말기(10a)를 사용하여 A와 B가 같이 촬영된 경우, A와 B는 친구, 가족, 연인 등으로 노출되는 횟수 또는 노출되는 지역의 다양성등 비례하여 친밀한 관계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도 5의 (c)를 참고로, N의 소유의 모바일단말기(10n)를 사용하여 C가 D, E, F를 촬영한 경우, 이들 D, E, F는 특정한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직장 또는 동호회 동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진은 같이 찍히는 자들 사이에서, 그리고 찍은 자와 찍히는 자의 사이에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SNS 서버(900)는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들에 대하여 사진속의 개개의 인물들을 확인하고,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하여 각 2명씩으로 그룹을 짓고,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관계가 보여지는 사진들의 숫자에 따라 그리고 그 관계의 유형에 따라 점수를 매기고, 이들 2명의 그룹이 갖게 되는 점수가 특정점수 이상인 경우,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이 둘을 상호간에 연결한다. 즉 상기 SNS 서버(9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이 둘은 상호간에 연결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으로 말하면 친구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된 사용자들에 대하여 상기 SNS 서버(900)는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의 사진에 댓글들을 달 수 있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은 유형의 사진에 대해서는 10점을 부여하고, 도 5의 (b)의 경우는 15점을 부여하고, 도 5의 (c)의 경우는 7점을 부여하는데, 등록된 사용자 a와 b에 대하여 분석을 한 결과 도 5의 (a)의 유형의 사진이 7장, 도 5의 (c)의 유형의 사진이 8장이 발견되는 경우 이들 등록된 사용자 a와 b들 사이의 점수는 126점이 성립한다. 이 점수가 만일 기준점수, 예를 들어, 100점을 넘는 경우라면 이들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사용자들을 연결하기 전에 연결될 사용자들에게 상대 사용자의 사진을 추출하여 발송하고 상호간의 연결의 확인을 구하고 이후 상호간을 연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등록된 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을 기반으로 이들 사용자간에 관계를 추출하여 관계가 있는 자들을 상호간에 연결시키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900: SNS 서버
10a, 10b..., 10n: 모바일단말기
50a, 50b..., 50n: 사진기반 SNS 단말장치

Claims (8)

  1. 단말기가 올리는 사진들로부터 등록사용자의 인물을 확인하는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
    상기 인물이 확인된 등록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등록사용자들 각각과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을 판단하는 관계판단단계; 및
    상기 등록사용자들 각각과 상기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여 상호 간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동일 시점에 촬영된 복수의 사진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주요 방향에 대응되는 제1 사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진들 중 상기 주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응되는 제2 사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진을 상기 제1 사진에 대한 종속 관계로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사진들을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는
    복수의 제2 사진들 각각을 분석하여 주요 인물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인물들 중 빈도수가 가장 높은 인물을 상기 등록된 사용자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사진들 각각의 메타데이터(meta data)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특징 정보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징 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빈도수와 연관된 인물을 상기 등록된 사용자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5. 단말기가 올리는 사진들로부터 등록사용자의 인물을 확인하는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
    상기 인물이 확인된 등록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등록사용자들 각각과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을 판단하는 관계판단단계; 및
    상기 등록사용자들 각각과 상기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여 상호 간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는
    사용자를 최초 등록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가 올리는 사진들로부터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인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6. 단말기가 올리는 사진들로부터 등록사용자의 인물을 확인하는 등록사용자 인물확인단계;
    상기 인물이 확인된 등록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등록사용자들 각각과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을 판단하는 관계판단단계; 및
    상기 등록사용자들 각각과 상기 연관된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여 상호 간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계판단단계는
    상기 등록사용자들이 올리는 사진들에 대하여 각 사진의 인물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들을 기초로 적어도 두명으로 구성된 그룹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들 각각과 연관되는 관계 사진들을 결정하고 해당 관계 사진들의 관계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들 중 상기 관계 사진들의 개수 및 상기 관계 유형에 따라 산출된 관계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인 그룹에 대해 상기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판단단계는
    특정 그룹과 연관된 상기 관계 사진들을 상기 관계 유형 별로 분류하는 단계;
    각 관계 유형에 대해 분류된 상기 관계 사진들의 개수 및 상기 관계 유형별 점수 간의 곱연산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곱연산의 적용 결과를 상기 특정 그룹에 대한 상기 관계 점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8. 삭제
KR1020200003787A 2015-11-19 2020-01-10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KR10227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87A KR102278017B1 (ko) 2015-11-19 2020-01-10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KR1020210018497A KR102402472B1 (ko) 2020-01-10 2021-02-09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233A KR102071661B1 (ko) 2015-11-19 2015-11-19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KR1020200003787A KR102278017B1 (ko) 2015-11-19 2020-01-10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233A Division KR102071661B1 (ko) 2015-11-19 2015-11-19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497A Division KR102402472B1 (ko) 2020-01-10 2021-02-09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061A KR20200007061A (ko) 2020-01-21
KR102278017B1 true KR102278017B1 (ko) 2021-07-15

Family

ID=6936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787A KR102278017B1 (ko) 2015-11-19 2020-01-10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0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98B1 (ko) * 2008-03-21 2010-01-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US20130156274A1 (en) * 2011-12-19 2013-06-20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hotograph to initiate and perform action
CN103324636B (zh) * 2012-03-22 2016-04-0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在社交网络中推荐好友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061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619B2 (en) Private photo sharing system, method and network
EP2981063B1 (en) Method of modifying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restricted element,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8917913B2 (en) Searching with face recognition and social networking profiles
EP2676222B1 (en) Facial recognition
KR101759454B1 (ko)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17531950A (ja) 撮影テンプレートデータベースを構築し、且つ撮影推薦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4254859B (zh) 建立社交网络组
KR20180105636A (ko) 얼굴 인식 애플리케이션들에서 긍정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AU2015297230B2 (en) Method of modifying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restricted element, and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534808B1 (ko)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전자 앨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82590B1 (ko) 이미지 분석기반의 관계형 태그생성 및 추천 방법
CN107154890A (zh) 社交网络中添加联系人的方法、装置及系统
JP59241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0958603B2 (en) Instant photo sharing via local area network setups
US20160094651A1 (en) Method of procuring integrating and sharing self potraits for a social network
JP2013219666A (ja) 情報共有システム、照合装置、端末装置、情報共有方法及び情報共有プログラム
KR102278017B1 (ko)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KR101815144B1 (ko) 얼굴인식 기반의 사진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진 공유 시스템
KR102402472B1 (ko)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KR102071661B1 (ko) 사진기반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방법
KR101231156B1 (ko) Qr 코드를 이용하는 사진 폴더 관리 시스템 및 사진 폴더 관리 방법
CA2827639C (en) Facial recognition
KR101514313B1 (ko) 가상 촬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1358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090097691A (ko)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