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674B1 -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674B1
KR102276674B1 KR1020210001908A KR20210001908A KR102276674B1 KR 102276674 B1 KR102276674 B1 KR 102276674B1 KR 1020210001908 A KR1020210001908 A KR 1020210001908A KR 20210001908 A KR20210001908 A KR 20210001908A KR 102276674 B1 KR102276674 B1 KR 10227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ircraft
information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근형
Original Assignee
김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형 filed Critical 김근형
Priority to KR102021000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6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674B1/en
Priority to PCT/KR2021/011908 priority patent/WO20221496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32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n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to display an external panoramic view in the aircraft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so that passengers are able to appreciate the external panoramic view. To this end,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of the aircraf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amera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respectively, to photograph and transmit an external panoramic view of the aircraft; a display unit including a single display and a multi-display including a plurality of sub-displays;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aircraf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external environments and states of the aircraft; and a control unit for correcting a photographed image provided by the photographing unit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s and state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generating an event image and a control image through synthesis of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and storing the event image and the control image in a storage unit, and providing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or a panoramic view generated through the synthesis of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본 발명은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설치된 복수의 창에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항공기 내에 시현하여 항공기 승객들이 이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ameras in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to display an external view in the aircraft during flight of the aircraft, so that the aircraft passengers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of an aircraft so that people can appreciate it.

현재 모든 항공사는 안전 절차에 따라 항공기 이륙 시 순항고도에 도달하기 이전과 착륙 시 10,000피트 이하에서는 항공기의 객실창의 윈도우 쉐이드(window shade)를 개방하고 있는데, 그 이외의 경우에는 객실창 가까이 앉은 승객이 윈도우 쉐이드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객실창 가까이 앉은 승객의 경우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선택에 따라 볼 수 있지만 그 시야가 제한되며, 가운데 통로 측 자리에 앉은 승객의 경우에는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보기 어렵다. Currently, in accordance with safety procedures, all airlines open the window shades of aircraft cabin windows before reaching cruising altitude during takeoff and below 10,000 feet upon landing. Window shades can be opened or closed. Passengers seated near the cabin window can see the exterior view of the aircraft during flight depending on their choice, but the field of view is limited. For passengers seated in the middle aisle, it is difficult to see the exterior view of the aircraft during flight.

등록특허 제10-0599540호 "항공기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승객 맞춤형 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항공기 탑승 승객에게 선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맞춤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 예약 시 제공된 승객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수하고 이를 분류, 저장 및 편집하여 각 항공기별 승객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 서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기내 멀티미디어 저장장치와, 상기 컨텐츠 제작 서버에서 제작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관련 컨텐츠를 이륙 전에 상기 기내 멀티미디어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비행 중에 상기 멀티미디어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방송하는 중앙서버와, 승객으로부터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별적으로 수신하는 좌석별 서비스 처리기와, 상기 좌석별 서비스 처리기로부터 상기 선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Registered Patent No. 10-0599540,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media service using in-flight sensor network" relates to a customized multimedia service system and device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to passengers on board, provided at the time of boarding reservation. A content production server that obtains multimedia content based on passenger information, classifies, stores, and edits it to produce passenger content for each aircraft, an in-flight multimedia storage device that stores multimedia content, and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A central server that stores related contents among the multimedia contents in the in-flight multimedia storage device before take-off, and broadcasts multimedia contents received from the multimedia storage device during flight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and receives and stores unique information from passengers, A multimedia service system comprising: a service processor for each seat that selectively receives the multimedia content from the central server based on the unique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selected multimedia content from the service processor for each seat; and 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on.

한편, 공개특허 제10-2014-0024444호 "맞춤형 기내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항공기 탑승 전에 있어서, 기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항목을 소비자에게 제안하는 단계(기내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안 단계)와, 상기 제안된 기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항목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소비자에 의해 선택되는 단계(기내 멀티미디어 서비스 선택 단계)와, 항공기 탑승 후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기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항목을 기내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기를 통해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기내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기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Meanwhi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024444, "Customized in-flight multimedia content, method of providing in-flight service" includes the steps of proposing in-flight multimedia content service items to consumers (in-flight multimedia service proposal step) before boarding an aircraft, and the proposal In the step of selecting one or more of the in-flight multimedia content service items selected by the consumer (in-flight multimedia service selection step), and after boarding the aircraft, the in-flight multimedia content service items selected by the consumer are presented to the consumer through the in-flight multimedia display. It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in-flight multimedia content service, including the step of providing (in-flight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step).

그러나 항공기 승객들이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항공기 내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내 서비스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However, an in-flight service that allows aircraft passengers to enjoy the outside view of the aircraft during flight is not provided.

등록특허 제10-0599540호 "항공기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승객 맞춤형 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2006. 7. 5.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0599540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media service using in-flight sensor network" (registered on July 5, 2006) 공개특허 제10-2014-0024444호 "맞춤형 기내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내 서비스 제공 방법"(2014. 2. 28.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24444 "Customized in-flight multimedia content, method of providing in-flight service" (published on February 28, 2014)

본 발명은 항공기에 설치된 복수의 창에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이용하여 다양한 이벤트 영상과 관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s of an aircraft, wherein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to generate various event images and control images using the external view during flight of the aircraft.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의 요청에 따라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항공기의 착륙 후에 승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n event imag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assenger and provide it to the passenger after the landing of the aircraft.

또한 본 발명은 승객용 좌석 뒷면 등 객실 내의 평면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객실 내 자투리 공간 등 굴곡된 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파노라마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lat space in the cabin, such as the back of the passenger sea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noramic view of the exterior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by installing a flexible display on a curved surface such as a leftover space in the cabin.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이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의 방향별 뷰 및 카메라별 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다양한 각도 및 위치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that allows a passenger to select either a view by direction or a view by camera of the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the aircraft, so that the passenger can enjoy the exterior view from various angles and positions during flight of the aircraft aim to do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항공기 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고서도 항공기 승객들에게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s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to aircraft passenger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an existing aircraft.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통합하여 항공기 승객들에게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ircraft passengers with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by integrating with an existing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는 항공기에 설치된 복수의 창문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항공기의 외부 전경을 촬영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단일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항공기에 장착되어 상기 항공기의 외부 환경 및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한 외부 환경 및 상태를 토대로 상기 촬영부로부터 제공받은 촬영 영상을 보정하며, 상기 보정한 촬영 영상의 합성을 통해 이벤트 영상 및 관제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보정한 촬영 영상 또는 보정한 촬영 영상의 합성을 통해 생성된 파노라믹 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s of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ameras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to photograph and transmit an exterior view of the aircraft, a single display, and a plurality of sub A display unit including a multi-display including a display,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aircraft and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tate of the aircraft,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tat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cts the captured image provid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based on the , generates an event image and a control image through synthesis of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or corrected photographing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panoramic view generated by synthesizing images.

또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항공기 창문의 복수의 레이어 중 소정의 중간 레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항공기 창문에 설치 시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되어 촬영 영상의 촬영 각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of the aircraft window,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n optical fiber cable, and are installed at different angles when installed in the aircraft window, so that the shooting angle of the captured image 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ffere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 각각을 식별하는 카메라 식별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설치 위치 정보는 항공기의 창문에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nages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a plurality of cameras, and synthesizes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in a panoramic view. The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installation angle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on a window of an aircraft.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복수의 카메라 각각을 식별하는 카메라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구분하여 관리하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수신되는 단일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제1 영상 출력 요청 신호 및 멀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고,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믹 뷰로 생성하여 생성된 파노라믹 뷰 영상을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nages by classifying images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using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receives a first image output request signal from a single display and a multi-display received from the display unit. transmits at least one image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panoramic view image generated by Mic View is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multi-display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또한,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구성 정보는 멀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배열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구성 정보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and the controller processes the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Thu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ribution to a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출력할 때 뷰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뷰 선택 메뉴는 항공기에서 카메라 설치 방향에 따른 방향별 뷰를 선택할 수 있는 방향별 뷰 선택 모드 및 카메라별 뷰를 선택할 수 있는 카메라별 뷰 선택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rovides a view selection menu when outputting an image to a single display and a multi-display, and the view selection menu includes a view selection mode for each direction and a view selection mode for each camera that can select a view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in the aircr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view selection mode for each camera in which a view can be selec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식별정보 및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가 단일 디스플레이인지, 멀티 디스플레이인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 및 멀티 디스플레이인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설치 각도 정보 및 인접 디스플레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nages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single display and a multi-display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display typ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display is a single display or a multi-display, a display It includes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multi-display in the case of a multi-display, wherein the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stall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djacent displays.

또한, 상기 촬영부의 복수의 카메라 중 승객의 좌석과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각 카메라는 식별 정보로 좌석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촬영 영상과 설정된 상기 좌석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항공기의 좌석 뒤편에 장착되며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좌석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석 정보와 보정한 촬영 영상을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로부터 좌석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좌석 정보에 매칭된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s of the photographing unit, seat information is set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camera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s seat, and provides a photographed image and the set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It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and allows user input, and includes a single display that transmits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wherein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seat information with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 As the sea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ingle disp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hot image matched to the seat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항공기의 좌석 뒤편에 장착되고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좌석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이벤트 영상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의 보정을 통해 이벤트 영상에 대응되는 파노라믹 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좌석 정보에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of the aircraft, a user input is possible, and includes a single display that transmits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n event image generation request signal by the user input When is received, a panoramic view corresponding to the event image is generated through correction of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the panoramic view is matched with the seat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가 착륙함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좌석 정보가 매칭된 이벤트 영상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좌석 정보에 대응되는 항공기 티켓을 구매한 승객에 의해 등록된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을 상기 승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event image matched with the sea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s the aircraft lands, and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s a passenger who purchases an aircraft ticket corresponding to the sea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ent image is provided to the passenger by using the passenger information registered by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항공기의 비행 경로 상에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에 대한 정보가 셋팅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formation on an event image generation time on the flight path of the aircraft is set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an event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based on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의 착륙과 더불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벤트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항공기에 탑승한 승객에 의해 등록된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을 상기 승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even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long with the landing of the aircraft, and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information for passengers registered by the passenger on the aircr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ent image is provided to the passenger using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항공기의 흔들림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흔들림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떨림 정도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떨림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aircraft, and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sensed degree of shaking, and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shaking,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rrection is performed on the captured image.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항공기의 흔들림 또는 비행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흔들림 또는 비행 각도에 의거하여 흔들림 변화 또는 비행 각도 변화 정도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흔들림 변화 또는 비행 각도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의 보정을 통해 관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shaking or flight angle of the aircraft, and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degree of shaking change or flight angle change based on the sensed shaking or flight angle, and the calculated shaking change Alternatively, when the degree of flight angle change is out of a preset critical range, the control image is generated by correcting the captured image.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기에 설치된 복수의 창에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항공기 내에 시현하여 항공기 승객들이 이를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지점에서의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수집할 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ameras in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the external view of the aircraft during flight is displayed in the aircraft, so that passengers of the aircraft can appreciate it, as well as generate and collect event images at their desired point.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용 좌석 뒷면 등 객실 내의 평면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객실 내 자투리 공간 등 굴곡된 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파노라마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noramic view of the exterior of the aircraft during flight by installing a flexible display on a curved surface such as a leftover space in the cabin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flat space in the cabin, such as the back of the passenger sea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이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의 방향별 뷰 및 카메라별 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을 다양한 각도 및 위치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passenger to select any one of the view by direction and the view by camera of the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the aircraft, the effect of allowing the passenger to enjoy the exterior view from various angles and positions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항공기 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고서도 항공기 승객들에게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tents of the external view during the flight of the aircraft to the passengers of the aircraft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aircraf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통합하여 항공기 승객들에게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tegrated with the existing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to provide aircraft passengers with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비행 중에 외부 전경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일 디스플레이에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멀티 디스플레이에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선택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방향별 뷰 선택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카메라별 뷰 선택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창문에 삽입된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항공기의 창문에 삽입된 카메라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3의 사용자 입력 감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항공기의 일등석에서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항공기의 비즈니스석에서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항공기의 이코노미석에서 멀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servic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nd providing a service based there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creen on which an external foreground view image of an aircraft is provided on the single display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creen on which an external foreground view image of an aircraft is provided on the multi-display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iew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iew selection menu for each direction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iew selection menu for each camera of FIG. 6;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control unit of FIG.
11 is a view showing a camera inserted into a windo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amera inserted into the window of the aircraft of FIG. 11;
1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isplay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user input sensing layer of FIG. 13;
15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n external foreground view image of an aircraft is provided through a single display and multiple displays in the first class of the aircraf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that an external view of the aircraft is provided through a single display and multiple displays in the business class of the aircraf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exterior panoramic view of an aircraft is provided through a multi-display in an economy seat of the aircraf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100)는 촬영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10 , a control unit 120 , and a display unit 130 .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40 , a user input unit 150 , and a storage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실시예에 따라 촬영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감지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전부 또는 일부의 연결이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촬영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는 항공기의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110 , the control unit 120 , the display unit 130 , the sensing unit 140 , the user input unit 150 , and the storage unit 160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network, and all or part of them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network.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Here, the photographing unit 110 , the control unit 120 , and the display unit 130 may be operated using an internal power source of the aircraft.

촬영부(110)는 항공기에 설치된 복수의 창문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항공기의 외부 전경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를 포함한다. 항공기의 창문은 통상적으로 이중창으로 설치되므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는 항공기 창문의 복수의 레이어, 예를 들어 이중창의 중간 레이어에 설치하여 기존 항공기 구조에 변화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 상 촬영부(110)에 제1 카메라(112), 제2 카메라(114) 및 제3 카메라(116)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촬영부(110)에 포함되는 카메라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photographing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to capture an external view of the aircraft. Since the window of the aircraft is typically installed as a double-glazed window,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and 116 may b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aircraft window, for example,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double-glazed window, and installed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aircraft structure. 1 shows that the first camera 112, the second camera 114, and the third camera 116 are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110 for convenience,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통상적으로 항공기는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창문에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를 설치 시 창문에 수직으로 설치하더라도 설치 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설치 각도에 따라 촬영 영상의 촬영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는 창문에 설치 시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되어 촬영 영상의 촬영 각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 In general, since an aircraft has a streamlined shape, when a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116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indows, the installation angl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if they ar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indow, and the shooting angle of the captured im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may var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angles when installed on a window, so that a photographing angle of a photographed image may be different.

항공기에 설치된 복수의 창문은 항공기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승객 좌석에서 외부를 볼 수 있는 복수의 창문 및 항공기의 조종석 전면에 설치되어 기장이 외부를 볼 수 있는 항공기 전면 창문을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항공기 조종석 전면 창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는 각각 제어부(120)에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include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ircraft to view the outside from the passenger seat, and an aircraft front window installed in front of the cockpit of the aircraft so that the captain can see the outside.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and 116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window of the aircraft cockpit, and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and 116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through an optical fiber cable,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various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제어부(120)는 촬영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30)와 연결되어 촬영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감지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30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30 .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sensing unit 140 , the user input unit 150 , and the storage unit 160 that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the aircraft.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 각각을 식별하는 카메라 식별정보를 관리하여,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 각각을 식별하는 카메라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영상이 각각 수신되는 경우, 각 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를 영상 프레임에 추가하여 촬영된 영상을 촬영 시간 정보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receives and processes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 The controller 120 manages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 and displays images captur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with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116 . ) can be managed separately using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each. When images are respectively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 the controller 120 may add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each image to an image frame to manage the captured images together with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 식별정보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 각각이 설치된 창문과 인접한 좌석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창문에 설치된 카메라(112)와 인접한 좌석이 세 개일 경우 세 개의 좌석 정보가 카메라 식별정보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a seat adjacent to a window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116 is installed. For example, when there are three seats adjacent to the camera 112 installed in one window, three seat information may be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의 카메라 식별정보와 함께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의 설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설치 정보는 항공기의 창문에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가 설치된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항공기 내부 창문의 설치 위치를 좌표화하여 항공기의 창문의 설치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manage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together with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installation positions and installation angles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re installed on a window of the aircraft. 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a process of synthesizing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based on install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s a panoramic view.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20 may coordin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ndow inside the aircraft and manage it as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window of the aircraft.

디스플레이부(130)는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 상 하나의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하나의 멀티 디스플레이(134)가 도시되어 있으나,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설치 개수 및 설치 장소는 항공기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single display 132 and a multi-display 134 including a plurality of sub-displays. 1, one single display 132 and one multi-display 134 are shown for convenience, but the number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ingle display 132 and the multi-display 13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ircraft. one is not limited

단일 디스플레이(132)는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고, 멀티 디스플레이(134)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항공기의 벽면 및 좌석 뒷면 등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접거나 구부려도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LCD 패널, 플렉시블 OLED 또는 전자종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ingle display 132 may be configured as a flat panel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and the multi display 134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and the flexible display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for attaching to a wall surface of an aircraft, a back of a seat, or the like. The flexible display can display an image of the same quality even when folded or bent, and the flexible display can be implemented with a flexible LCD panel, flexible OLED, or electronic paper.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멀티 디스플레이(134)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게 되면 평판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항공기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낮은 전력 사용으로 항공기의 전력 사용을 낮출 수 있으며, 굴곡면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객실의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를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When the single display 132 and the multi-display 134 are configured as flexible displays, the weight of the aircraf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flat panel displa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ircraft can be lowered by using low power, and it can be installed o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Depending on the shape,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and shapes.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단일 디스플레이(132)로부터의 제1 영상 출력 요청 신호 및 멀티 디스플레이(134)로부터의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서 촬영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하고,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믹 뷰로 생성하여 생성된 파노라믹 뷰 영상을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배열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디스플레이(134)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ccording to a first image output request signal from the single display 132 and a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from the multi-display 134 , which are received from the display unit 130 . 116) transmits at least one image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to the display unit 130, and when a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is received, it use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116 to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utput the panoramic view image generated by generating the panoramic view to the multi-display 134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134 .

멀티 디스플레이(134)는 항공기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공간(예를 들어, 에어버스 320의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상하 폭은 45cm임)에 설치되고, 제어부(120)는 항공기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멀티 디스플레이(134)를 통해서 해당 공간에 인접한 복수의 창문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할 수 있다. The multi-display 134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ceiling in the aircraft cabin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width between the window and the ceiling in the cabin of the Airbus 320 is 45 cm), and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window in the cabin of the aircraft.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installed on a plurality of windows adjacent to the space may be provided in a panoramic view through the multi-display 134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pace and the ceiling.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배열 구성 정보는 멀티 디스플레이(134)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배열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배열 구성 정보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멀티 디스플레이(134)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에 분배할 수 있다.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134 may includ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134 and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The controller 120 may process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134 and distribute it to a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134 .

제어부(120)는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멀티 디스플레이(134)로 영상을 출력할 때 뷰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뷰 선택 메뉴는 항공기에서 카메라 설치 방향에 따른 방향별 뷰를 선택할 수 있는 방향별 뷰 선택 모드 및 카메라별 뷰를 선택할 수 있는 카메라별 뷰 선택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provides a view selection menu when outputting an image to the single display 132 and the multi-display 134, and the view selection menu is a view by direction for selecting a view by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is installed in the aircraft. It may include a selection mode and a view selection mode for each camera in which a view for each camera can be selected.

또한, 제어부(120)는 뷰 선택 메뉴를 통해 카메라 촬영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에서 수집된 디스플레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뷰 선택 메뉴를 통해 카메라 촬영 영상을 출력 중인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ollects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camera shot image through the view selection menu, and selects the view selection menu using the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splay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display that is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된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디스플레이 식별정보 및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관리하고,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가 단일 디스플레이인지, 멀티 디스플레이인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 및 멀티 디스플레이인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설치 각도 정보 및 인접 디스플레이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manages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ingle display 132 and the multi-display 134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is a single display or a multi-display. Display typ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 multi-display, may includ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The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stall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adjacent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각 디스플레이에 설치되어 각 디스플레이의 설치 형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센서 및 인접한 디스플레이를 인식하고 제어부(120)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과의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sensors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to detect the installation form of each display, and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recognizing adjacent displays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120 . can b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0 may collect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of the display unit 130 .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각 디스플레이는 각각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인접 디스플레이와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각 디스플레이의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된 각 디스플레이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각 디스플레이는 인접한 다른 디스플레이의 식별정보 및 당해 인접한 디스플레이의 설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접한 다른 디스플레이의 식별정보 및 당해 인접한 디스플레이의 설치 위치 정보를 또 다른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거나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ransmits/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to each other through an adjacent display and a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and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It can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using and transmit and receive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0 coll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djacent displays and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djacent displays, and collects the col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adjacent displays and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djacent displays. It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display or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100)는 항공기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42, 144, 146)로 구성된 감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40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142 , 144 , and 146 for sensing an external environment of the aircr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센서(142, 144, 146)를 통해 감지되는 정보의 예로는 항공기 속도 정보, 외부 온도 변화 정보, 비행 각도 정보, 항공기의 흔들림 정보 및 항공기의 고도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144, 146 include aircraft speed informatio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information, flight angle information, shaking information of the aircraft, an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aircraf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센서(142, 144, 146)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센서(142, 144, 146)는 자신이 감지한 정보를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제어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서(142, 144, 146)는 사물간 통신을 이용하는 비IP 기반의 네트워크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예컨대 블루투스, 블루투스 Le, 지그비(ZigBee), RFID, ZWAVE 등을 기반으로 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어 제어부(120)에 감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 144 , and 146 operate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 144 , and 146 may transmit information sensed by them to the controller 120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 144 , and 146 are wireless sensor networks that are non-IP-based networks using inter-object communication, for example, wireless sensors based on Bluetooth, Bluetooth Le, ZigBee, RFID, ZWAVE, and the like. They are interconnected using a network to transmit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20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142, 144, 146)는 IEEE 802.15.4를 PHY/MAC으로 하는 저전력 WPAN상에 IPv6를 탑재하여 기존 IP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6LoWPAN(IPv6 over Low power WPAN)과 같은 기술을 탑재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미도시됨),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모듈(미도시됨),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제어모듈(미도시됨) 및 데이터를 전송하여 물리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미도시됨)을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sensors 142, 144, and 14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quipped with IPv6 on a low-power WPAN using IEEE 802.15.4 as PHY/MAC to connect to an existing IP network (6LoWPAN ( Equipped with technologies such as IPv6 over Low power WPAN), a power module (not shown) that supplies stable power necessary for overall operation, a sensing module (not shown) for sensing information, and a sensing module A control module (not shown)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and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not shown) for performing physical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data may be provided.

상술한 모듈들은 사물간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의 칩 형태, 예컨대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odule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chip performing inter-thing communication,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chip.

사용자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멀티 디스플레이(134)에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장치, 예를 들어 리모콘, 버튼, 키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단일 디스플레이(132) 및 멀티 디스플레이(134)에 각각 통합되어 터치 패드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의 사용자 입력 신호는 제어부(120)로 전달되며,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동작이나, 영상 뷰 제공 등을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5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user input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user input on the single display 132 and the multi-display 134 of the display unit 130,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a button, a keypad, and the like. have. The user input unit 150 may be integrated into the single display 132 and the multi-display 134, respectively,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The user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provide an application operation or an image view according to the user input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의 예로는 이벤트 영상 생성을 위한 것, 파노라믹 뷰 영상 요청을 위한 것, 인접한 항공기의 창문에서 바라보는 영상을 요청하기 위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user input include generating an event image, requesting a panoramic view image, requesting an image viewed from a window of an adjacent aircraft,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될 때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와 더불어 좌석 정보를 제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input is generated, the user input unit 150 may provide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together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저장부(160)는 제어부(120)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nd manag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data for performing various data processing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20 .

또한, 저장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각 카메라별 식별정보 및 촬영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에 설치 정보, 카메라 식별정보, 복수의 센서(142, 144, 146)에 의해 감지한 정보 등을 매핑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nd manage the image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for each camer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60 detects installation information,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sensors 142 , 144 , 146 i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 It is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image data to which information is mapped.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20 may generate various images based o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pturing unit 110 ,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servic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다양한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영상 보정 모듈(122),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 및 관제 영상 생성 모듈(1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ontroller 120 may include an image correction module 122 , an event image generating module 124 , and a control image generating module 126 to generate various images.

영상 보정 모듈(122)은 복수의 센서(142, 144, 146)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보정 모듈(122)은 복수의 센서(142, 144, 146)에 의해 감지된 정보 중 항공기의 흔들림 정보 및 비행 각도 정보를 기초하여 흔들림 및 비행 각도 변화 정도를 산출하며, 흔들림 및 비행 각도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 내에서 벗어날 경우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The image correction module 122 may be configured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 144 , and 146 . Specifically, the image correction module 122 calculates the degree of shaking and flight angle change based on the shaking information and the flight angle information of the aircraft amo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144, and 146, and the shaking and flight When the degree of angle change is out of a preset threshold range,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may be corrected.

즉, 영상 보정 모듈(122)은 흔들림 및 비행 각도 변화 정도에 대한 데이터 값을 기초하여 촬영 영상의 떨림 정도를 계산하며, 계산한 떨림 정도에 의거하여 촬영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correction module 122 may calculate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data values for the degree of shaking and flight angle change, and may correct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shaking.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은 사용자, 예컨대 항공기 승객의 요청에 따라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항공기 승객의 요청은 사용자 입력부(150)의 조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The event image generating module 124 may generate an event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for example, an aircraft passenger. Here, the aircraft passenger's request may be generat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50 .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은 사용자 입력부(150)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은 사용자 입력부(150)의 조작, 예컨대 이벤트 영상 생성 요청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을 생성한 후 이벤트 영상에 이벤트 영상 생성 요청 시 수신되는 승객의 좌석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The event image generating module 124 generates and stores an event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t the point in time when a user input signal is input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50 . may be stored in the unit 160 . Specifically, the event image generating module 124 generates an event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50 , for example, an event image generation request. After the event image is matched with the seat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received when the event image creation request is made, i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또한,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은 기 설정된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은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인 항공기의 위치(비행 좌표 정보) 및 비행 시간대에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event image generation module 124 may generate an event image based on preset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event image generation module 124 is an event image based on the image taken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and 116 in the flight time zone and the location (fligh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ircraft as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After generating the , i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는 항공기가 이륙전에 셋팅되는 정보로서, 다양한 정보 수집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 수집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is information set before an aircraft takes off, and may be set through various information collection. Here, information colle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

즉,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와의 연동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다양한 항공기 이용 고객과의 연동을 통해 스팟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한 스팟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120)의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에 셋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항공기 이용 고객들이 추천하는 지역에 해당되는 스팟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운항 중인 항공기의 비행 경로와 스팟 위치 정보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벤트 영상 생성이 가능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collects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r collects spo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customers using various aircraft, and collects the collected spot location information. After generating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it may be set in the event image generation module 124 of the controller 120 . Specificall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collects spot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recommended by customers using the aircraft,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enables event image gener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flight route and spo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in operation. can cre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벤트 영상 생성 모듈(124)은 영상 보정 모듈(122)을 통해 보정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image generating module 124 may generate an event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corrected through the image correction module 122 .

관제 영상 생성 모듈(126)은 복수의 센서(142, 144, 146)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거하여 사고 이벤트 발생을 체크하고, 사고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정보를 포함시켜 관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제 영상 생성 모듈(126)은 복수의 센서(142, 144, 146)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거하여 급격한 고도 변화, 외부 환경 변화, 흔들림 변화, 비행 각도 변화가 있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에 의거하여 사고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후 사고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관제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image generating module 126 may check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event based on information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 144 , and 146 , and may generate a control image by including event information when the accident event occurs. Specifically, the control image generating module 126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rupt change in altitude, an external environment change, a shake change, or a flight angle chang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144, and 146, and the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accident event occurs afte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event based on the , a control imag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s taken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

또한, 관제 영상 생성 모듈(126)은 영상 보정 모듈(122)을 통해 보정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관제 영상을 생성하며, 복수의 센서(142, 144, 146)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관제 영상에 매칭시켜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image generating module 126 generates a control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corrected through the image correction module 122, and applies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142, 144, and 146 to the control image. It can be match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

한편, 제어부(120)는 영상 전송 모듈(128)을 통해 항공기가 착륙함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 즉 정보가 매칭된 관제 영상, 좌석 정보가 매칭된 이벤트 영상, 파노라믹 뷰 데이터 및 카메라 식별정보가 매칭된 촬영 영상 등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s the aircraft lands through the image transmission module 128, that is, a control image with matching information, an event image with matching seat information, and panoramic view data. and a captured image matched with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영상 전송 모듈(128)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에 전송할 때, 항공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When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to the external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 the image transmission module 128 may transmi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together.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제어부(120)를 통해 제공받은 영상을 항공기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may match the image provided through the controller 120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180 .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항공기 티켓 발권 서버(미도시됨)와의 연동을 통해 항공기 티켓 정보 및 항공기 티켓을 구매한 승객에 의해 등록된 승객용 정보를 관리하며, 항공기 티켓 정보 내 좌석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이벤트 영상을 검색한 후 이를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manages aircraft ticket information and passenger information registered by a passenger who has purchased an aircraft ticket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aircraft ticket issuance server (not shown), and uses seat information in the aircraft ticket information. Thus, after searching for the event image in the database 180, it can be provided to the passenger by using the passeng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객용 정보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로서, 그 예로 스마트폰 번호, 이메일 정보 등을 들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ng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with an image service, such as a smartphone number, e-mail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영상을 기초하여 비즈니스, 퍼스트 클래스에 탑승한 승객만을 위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비즈니스, 퍼스트 클래스에 탑승한 승객에 의해 등록된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영상, 즉 파노라믹 뷰 영상,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벤트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may provide an image service only for passengers who board the business or first class based on the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180 . Specificall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uses information for passengers registered by passengers who boarded business or first class to retrieve images stored in the database 180, that is, panoramic view images and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vent image, etc. generated by using the .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이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generating an image by the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servicing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비행 중에 외부 전경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 external foreground content during flight of an aircraft and providing a service based there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항공기 티켓 발권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이륙 준비 중인 항공기의 티켓 발권 정보에서 승객의 좌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좌석 정보와 항공기의 승객으로부터 제공받은 승객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S300).As shown in FIG. 3 ,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extracts passenger seat information from the ticket issuance information of the aircraft preparing for takeoff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ircraft ticket issuance server, and extracts the seat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seat information and the aircraft passenger. The received passeng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180 (S300).

그런 다음,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제어부(120)와의 통신을 통해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를 제어부(120)에 셋팅시킨다(S302).Then,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sets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120 (S302).

이후, 항공기가 이륙하게 되면, 제어부(120)는 감지부(14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영상 보정 모듈(122)을 이용하여 보정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04).After that, when the aircraft takes off, the controller 120 correct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pturing unit 110 using the image correction module 122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 and the storage unit It is stored in (160) (S304).

이와 더불어, 제어부(120)는 이륙한 항공기가 기 셋팅된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시간대에 도달한 경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 대한 보정 작업과 더불어 보정된 촬영 영상을 합성 프로세스를 거쳐 이벤트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06).In addition, when the takeoff aircraft reaches a location or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the controller 120 performs a correction operation o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as well as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After generating an event image through a synthesis process, 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S306).

한편, 항공기가 이륙한 후 제어부(120)는 특정 좌석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으로 이벤트 영상 생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 대한 보정 작업과 더불어 보정된 촬영 영상을 합성 프로세스를 거쳐 이벤트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좌석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08).On the other hand, when an event image generation request is received as a user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disposed in a specific seat after the aircraft takes off, the control unit 120 corrects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 In addition, an event image is generated through a synthesizing process with the corrected captured image, and it is matched with seat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S308).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영상과 승객의 요청에 따른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By repeated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ev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formation and an event image according to a passenger's reques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60 . can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도중 제어부(120)는 감지부(14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관제 영상의 생성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310).While performing these steps,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control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S310).

S310의 판단 결과, 관제 영상의 생성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에 대한 보정 작업과 더불어 보정된 촬영 영상을 합성 프로세스를 거쳐 관제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감지된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12).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310, if generation of the control image is required,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image through a process of synthesizing the corrected captured image along with a correction operation for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and then The detected information is match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S312).

이러한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항공기가 착륙함에 따라, 제어부(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시킨다(S314).As the aircraft lands after repeatedly performing these steps,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160 to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180 ( S314).

이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170)는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영상을 승객에게 제공한다(S316).Accordingly,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70 provides the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180 to the passenger by using the passenger information (S31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일 디스플레이에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n external foreground view image of an aircraft is provided on the single display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단일 디스플레이(132)의 일 예로 도 4와 같은 단일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항공기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단일 디스플레이(200)는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항공기 승객의 좌석 뒷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단일 디스플레이(200)가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 영상을 제공할 때 뷰 선택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뷰 선택 메뉴 아이콘(210)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single display 132 of FIG. 1 , a foreground view image of the outside of the aircraf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ingle display 200 as shown in FIG. 4 . The single display 200 may be a flat panel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seat of an aircraft passenger. When the single display 200 provides an external foreground view image of the aircraft, a view selection menu icon 210 for providing a view selection menu may be provided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뷰 선택 메뉴 아이콘(21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단일 디스플레이(200)는 좌석 정보를 제어부(120)에 전송하고, 제어부(120)는 좌석 정보에 대응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저장부(160)에서 검색한 후 이를 단일 디스플레이(200)에 표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le display 200 transmits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on the view selection menu icon 210, and the controller 120 uses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seat information. After the captured image is retrieved from the storage unit 160 , it may be displayed on the single display 2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멀티 디스플레이에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n external foreground view image of an aircraft is provided on the multi-display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일 예로, 도 5에 멀티 디스플레이(300)가 도시되어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3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항공기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공간 등 항공기 객실 벽면의 이용 가능한 다양한 위치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멀티 디스플레이(300)는 4개의 서브 디스플레이(301, 302, 303, 304)를 포함하며, 서브 디스플레이(301, 302, 303, 304)가 2×2 행렬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멀티 디스플레이(134)에 포함되는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멀티 디스플레이(134)가 설치가능한 공간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는 1×3, 1×5, 2×3 등 다양한 배열로 설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multi-display 134 of FIG. 1 , the multi-display 300 is illustrated in FIG. 5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ulti-display 300 may be installed in a space of various available positions on the wall of the aircraft cabin, such as a space between a window and a ceiling in the aircraft cabin. The multi-display 300 of FIG. 5 includes four sub-displays 301 , 302 , 303 , and 304 , and the sub-displays 301 , 302 , 303 , and 304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2×2 matrix. However,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134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ub-displays may be installed in various arrangements, such as 1×3, 1×5, 2×3, etc.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pace in which the multi-display 134 can be installed.

제어부(120)는 멀티 디스플레이(134)로 항공기의 외부 전경 뷰 영상을 출력할 때에는, 자체적으로 정해진 카메라들로부터의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When outputting the external foreground view image of the aircraft to the multi-display 134 , the controller 120 may collect images from cameras determined by itself, and generate and output the collected images as a panoramic view.

선택적으로, 제어부(120)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301, 302, 303, 304) 중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304)에는 뷰 선택 메뉴 아이콘(310)을 제공할 수 있다.Optionally, the controller 120 may provide a view selection menu icon 310 to one sub-display 304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301 , 302 , 303 , 304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선택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ew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뷰 선택 메뉴(400)는 방향별 뷰 선택 메뉴(410) 및 카메라별 뷰 선택 메뉴(4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ew selection menu 400 may include a view selection menu 410 for each direction and a view selection menu 420 for each camera.

방향별 뷰 선택 메뉴(410)는 카메라 설치 방향에 따른 방향별 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메뉴이다. 카메라별 뷰 선택 메뉴(420)는 설치된 카메라별로 촬영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메뉴이다. The view selection menu 410 for each direction is a menu provided to select a view for ea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camera installation direction. The view selection menu 420 for each camera is a menu provided to select an image captured by each installed camera.

도 7은 도 6의 방향별 뷰 선택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ew selection menu for each direction of FIG. 6 .

도 6의 방향별 뷰 선택 메뉴(410, 도 7에서는 도면부호 500)를 선택하면, 항공기의 전면 뷰 메뉴(510), 좌측면 뷰 메뉴(520) 및 우측면 뷰 메뉴(530)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전면 뷰 메뉴(510)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항공기 전방의 뷰가 디스플레이부(130)에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좌측면 뷰 메뉴(520)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항공기의 좌측면 뷰가 디스플레이부(130)에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우측면 뷰 메뉴(530)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항공기의 우측면 뷰가 디스플레이부(130)에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view selection menu 410 by direction of FIG. 6 (reference numeral 500 in FIG. 7 ) is selected, the front view menu 510 of the aircraft, the left side view menu 520 , and the right side view menu 530 may be provided. . When the front view menu 51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0 so that a view of the front of the aircraft is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30 . When the left side view menu 52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0 to provide the left side view of the aircraft to the display unit 130 . When the right side view menu 53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0 to provide a right side view of the aircraft to the display unit 13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별 뷰 선택 메뉴(410)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카메라 설치 방향에 따른 방향별 뷰를 항공기 전방 좌측 카메라 뷰, 항공기 전방 우측 카메라 뷰, 항공기 후방 좌측 카메라 뷰 및 항공기 후방 우측 카메라 뷰로 구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ew selection menu 410 for each directi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20 selects the views according to the camera install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camera installation direction in the front left camera view, the aircraft front right camera view, and the rear left side of the aircraft. A camera view and a rear right camera view of the aircraft may be provided separately.

도 8은 도 6의 카메라별 뷰 선택 메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ew selection menu for each camera of FIG. 6 .

도 6의 카메라별 뷰 선택 메뉴(420, 도 8에서는 도면부호 600)를 선택하면, 제1 카메라 뷰(610), 제2 카메라 뷰(620), 제3 카메라 뷰(630), 제4 카메라 뷰(640) 및 제5 카메라 뷰(650)와 같이 카메라별 뷰가 선택될 수 있다. 도 8에는 편의상 5개의 카메라 뷰가 제공되는 메뉴가 도시되어 있으나, 카메라 뷰는 항공기에 설치된 카메라 개수만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별 뷰(600) 메뉴는 항공기 모형 형태로 제공되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항공기 모형에서 복수의 각 카메라 위치를 표시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복수의 각 카메라 위치 중에서 소정의 카메라 위치가 선택되면,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view selection menu 420 for each camera of FIG. 6 (reference numeral 600 in FIG. 8) is selected, the first camera view 610, the second camera view 620, the third camera view 630, and the fourth camera view As shown in 640 and the fifth camera view 650 , a view for each camera may be selected. 8 shows a menu in which five camera views are provided for convenience, but the number of camera views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cameras installed in the aircraft. In addition, the view 600 menu for each camer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aircraft model, and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and provides a plurality of camera positions in the aircraft model on the display unit 130 and provides i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50 . When a predetermined camera positio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 positions, an image captured by the selected camera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

도 9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1 .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영상 수집부(710), 디스플레이 제어부(720) 및 서비스 제공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집부(710), 디스플레이 제어부(720) 및 서비스 제공부(730)는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and 9 ,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n image collection unit 710 , a display control unit 720 ,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730 . The image collection unit 710 , the display control unit 720 ,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73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영상 수집부(710)는 촬영부(110)에 포함된 각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수집한다. 각 영상은 각 카메라(112, 114, 116)를 식별하는 카메라 식별 정보와 함께 수집되어, 촬영 영상이 어느 카메라에서 촬영된 것인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집부(71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영상이 각각 수신되는 경우, 각 영상의 촬영 시간 정보를 영상 프레임에 추가하여 촬영된 영상을 촬영 시간 정보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The image collection unit 710 collects images input from each of the cameras 112 , 114 , and 116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unit 110 . Each image may be collected together with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camera 112 , 114 , and 116 , and it may be identified from which camera the captured image was captured. In addition, when images ar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 the image collection unit 710 manages the captured images together with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by adding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each image to the image frame. can

디스플레이 제어부(720)는 영상 수집부(710)에서 수집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의 각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부(72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된 단일 디스플레이(132),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디스플레이 식별정보 및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가 단일 디스플레이(132)인지, 멀티 디스플레이(134)인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 멀티 디스플레이(134)인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134)의 배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설치 각도 정보 및 인접 디스플레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720 controls the display of the image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ion unit 710 to match each display characteristic of the display unit 130 . To this end, the display control unit 720 may manage the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ingle display 132 and the multi-display 134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0 . Th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display typ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display is a single display 132 or a multi-display 134,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134 in the case of the multi-display 134 can do. Here, the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stall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adjacent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디스플레이 특성정보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된 각 디스플레이(132, 134)에 설치되어 각 디스플레이(132, 134)의 설치 형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센서 및 인접한 디스플레이를 인식하는 통신 모듈(예를 들어, NFC, Wi-Fi)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installed on each display (132, 134)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0, a plurality of display sensors for detecting the installation form of each display (132, 134)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ognizing an adjacent display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be collected through NFC, Wi-Fi, etc.).

서비스 제공부(73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뷰 선택 메뉴(400)와 연동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730 executes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perform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tha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 Here,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may include an entertainment application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user's view selection menu 400 .

또한, 서비스 제공부(730)는 뷰 선택 메뉴(400)를 통해 카메라 촬영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디스플레이부(13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에서 수집된 디스플레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뷰 선택 메뉴(400)를 통해 카메라 촬영 영상을 출력중인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730 collects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camera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view selection menu 400 , and uses the collected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display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30 .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play on which the camera-captured image is being output through the view selection menu 400 .

또한, 서비스 제공부(730)는 사용자의 뷰 선택 메뉴(400)와 연동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용 애플리케이션을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통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내 멀티미디어 구현을 가능케 함으로써, 승객들이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함께 외부 전경 뷰를 포함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730 integrates an entertainment application that can be linked with the user's view selection menu 400 with the existing entertainment system to enable various types of in-flight multimedia implementation, so that passengers can interact with the existing entertainment system Together, you can make use of a variety of application services, including exterior foreground views.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제어부(72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control unit 720 of FIG. 9 .

디스플레이 제어부(720)는 통합 제어부(810),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820),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830) 및 제3 디스플레이 제어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3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개수는 항공기에 설치된 전체 디스플레이의 개수에 대응한다.The display controller 720 may include an integrated controller 810 , a first display controller 820 , a second display controller 830 , and a third display controller 840 . Here, three display control units are shown for convenience, but the number of display control units corresponds to the total number of displays installed in the aircraft.

통합 제어부(810)는 영상 수집부(710)에서 수집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의 각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도록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820),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830) 및 제3 디스플레이 제어부(840)를 제어한다. The integrated control unit 810 includes a first display control unit 820 , a second display control unit 830 and a third display control unit ( ) to match the image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ion unit 710 to each display characteristic of the display unit 130 . 840) is controlled.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82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단일 디스플레이(132)인 경우에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8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뷰, 예를 들어, 방향별 뷰 및 카메라별 뷰를 하나의 전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control unit 820 is a single display 132 , the first display control unit 820 may display a view selected by a user, for example, a view per direction and a view per camera in one full screen. can be provided as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83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멀티 디스플레이(134)인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의 카메라 식별정보와 함께 복수의 카메라의 설치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합성되어 생성된 파노라믹 뷰를 복수 개의 서브 디스플레이 분할하여 분배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control unit 830 is the multi-display 134 , the control unit 120 manages install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ameras together with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obtain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as a panoramic view, a process of synthesizing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based on install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and the synthesized panoramic views may be divided and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sub-displays.

예를 들어, 멀티 디스플레이(13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2×2 구성의 4개의 서브 디스플레이(301, 302, 303, 304)로 구성되는 경우, 파노라믹 뷰 영상을 4개의 서브 디스플레이(301, 302, 303, 304)에 2×2 구성으로 분할하여 분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ulti-display 134 is composed of four sub-displays 301, 302, 303, and 304 of a 2×2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 the panoramic view image is displayed on four sub-displays. The display 301, 302, 303, 304 can be divided and distributed in a 2×2 configur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창문에 삽입된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illustrating a camera inserted into a windo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920)가 삽입된 항공기의 창문(900)은 제1 지지부재(940), 제1 레이어(910), 카메라(920), 제2 레이어(930) 및 제2 지지부재(9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ow 900 of the aircraft into which the camera 920 is inserted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940 , a first layer 910 , a camera 920 , a second layer 930 , and a second support member 950 . can do.

제1 레이어(910) 및 제2 레이어(9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1 레이어(910)의 제1 홈(901) 및 제2 레이어(930)의 제2 홈(903) 사이에 카메라(92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910)의 제1 홈(901) 및 제2 레이어(930)의 제2 홈(903)은 카메라(920)의 외형에 따라 그 형태 및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The first layer 910 and the second layer 930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camera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oove 901 of the first layer 910 and the second groove 903 of the second layer 930 . 92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The shape and depth of the first groove 901 of the first layer 910 and the second groove 903 of the second layer 930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ernal shape of the camera 920 .

제1 지지부재(940)는 제1 레이어(910)를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제2 지지부재(950)는 제2 레이어(930)를 지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레이어(910) 및 제2 레이어(930)의 테두리는 제1 지지부재(940) 및 제2 지지부재(950) 사이에서 제1 레이어(910) 및 제2 레이어(930)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실리콘을 충진시켜 밀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940) 및 제2 지지부재(950)는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support member 940 may be designed to support the first layer 910 ,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950 may be designed to support the second layer 930 . The edges of the first layer 910 and the second layer 930 ar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94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950 and the foreign material between the first layer 910 and the second layer 930 . It can be sealed by filling with silicone to prevent it from entering. The first support member 94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950 may be coupled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에서는 창문(900)이 이중 레이어, 즉 이중창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창문(900)은 삼중 또는 사중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920)는 창문(900)의 복수의 레이어 중 소정의 중간 레이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FIG. 11 , the window 900 is illustrated as having a structure of a double layer, that is, a double window, but the window 900 may be configured as a triple or quadruple layer, and the camera 920 includes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window 900 . It may be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layer.

도 12은 도 11의 항공기의 창문에 삽입된 카메라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amera inserted into the window of the aircraft of FIG. 11 .

제1 레이어(910) 및 제2 레이어(930) 사이에 카메라(920)가 삽입되고, 카메라(920)에는 광섬유(935)가 연결되어 도 1의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카메라(9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제어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A camera 92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layer 910 and the second layer 930 , and an optical fiber 935 is connected to the camera 920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0 of FIG. 1 , the camera 920 . The capture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디스플레이부(130)의 단일 디스플레이(132) 또는 멀티 디스플레이(13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는 기판(1101), 구동부(1102), 디스플레이 패널(1103) 및 보호층(1104)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는 항공기의 소정의 공간에 손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층(110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ingle display 132 or the multi-display 134 of the display unit 130 of FIG. 1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1100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3 . The flexible display 1100 includes a substrate 1101 , a driver 1102 , a display panel 1103 , and a protective layer 1104 .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1105 to be easily attached to a predetermined space of an aircraft.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The flexible display 1100 refers to a device that can be bent, bent, folded, or rolled like paper while maintain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기판(110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0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bstrate 1101 may be implemented as a plastic substrate (eg, a polymer film) that can be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Meanwhile, as the substrate 1101 , in addition to a plastic substrate, a material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such as thin glass or metal foil may be used.

구동부(110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0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102 functions to drive the display panel 1103 . Specifically, the driver 1102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display panel 1103,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a-si TFT, a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TFT, or an organic TFT (OTFT). have.

디스플레이 패널(110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In addition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display panel 1103 may be implemented as an 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 electrochromic display (ECD), a liquid crystal disply (LCD), an AM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the like. However, in the case of LCD, a separate backlight is required in that it cannot emit light by itself. For LCDs without backlight, ambient light is used.

보호층(1104)은 디스플레이 패널(110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보호층(110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3)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1104 serves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1103 . The protective layer 1104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film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3 .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unlike shown in FIG. 13 , the flexible display 1100 may be implemented with electronic paper.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ink are applied to paper, and it is different from general flat panel displays in that it uses reflected light. On the other hand, in electronic paper, pictures or characters can be changed using twist balls or electrophoresis using capsul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감지층(11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감지층(1106)은 보호층(1104) 상면 또는 보호층(1104)과 디스플레이 패널(1103)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입력 감지층(1106)은 포함되는 센서의 유형 및 개수에 따라서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11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sensing layer 1106 for sensing a user input to the flexible display 1100 . The user input sensing layer 110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104 or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1104 and the display panel 110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도 14는 도 13의 사용자 입력 감지층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isplay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user input sensing layer of FIG. 13 .

사용자 입력 감지층(1106)은 터치 센서(1201), 지자기 센서(1202), 가속도 센서(1203), 벤드 센서(1204), 압력 센서(1205), 근접 센서(1206), 그립 센서(1207)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sensing layer 1106 includes a touch sensor 1201 , a geomagnetic sensor 1202 , an acceleration sensor 1203 , a bend sensor 1204 , a pressure sensor 1205 , a proximity sensor 1206 , a grip sensor 1207 , and the like. I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터치 센서(1201)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The touch sensor 1201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type or a pressure-sensitive type. The capacitive type is a method of calculating touch coordinates by sensing microelectricity excited by the user's body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is touched on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using a dielectric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The decompression type includes two electrode plates,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he touch coordinates are calculated by detecting that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touched point come into contact and current flows.

지자기 센서(120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1203)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1202) 및 가속도 센서(1203)는 각각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와 별도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의 회전 상태 또는 기울기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geomagnetic sensor 1202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tate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03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 The geomagnetic sensor 1202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03 may be used for detecting bending characteristics such as a bending direction or a bending region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respectively, but separately, the rotation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or It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a tilt state or the like.

벤드 센서(1204)는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The bend sensor 1204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nd numbers to detect a bending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

압력 센서(1205)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205)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압력 센서(1205)가 터치 센서(1201)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센서(1201)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 센서가 압력 센서(1205)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The pressure sensor 1205 senses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1100 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or bending operation,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20 . The pressure sensor 1205 may include a piezo film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30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lthough the pressure sensor 1205 is illustrated as being separate from the touch sensor 1201 in FIG. 14 , when the touch sensor 1201 is implemented as a pressure-sensitive touch sensor, the pressure-sensitive touch sensor also serves as the pressure sensor 1205 . may be

근접 센서(1206)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1206)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1206 is a sensor for detecting a motion approaching the display surface without direct contact. The proximity sensor 1206 forms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and detects a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that detects a current induced by a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 that changes when an object is approached, a magnetic type that uses a magnet, and a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that detects the capacitance that changes due to the approach of the objec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capacitive type.

그립 센서(1207)는 압력 센서(1205)와 별개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1207)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grip sensor 1207 is a sensor that is disposed on the edge or handle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100 separately from the pressure sensor 1205 to detect a user's grip. The grip sensor 1207 may be implemented as a pressure sensor or a touch sensor.

사용자 입력 감지층(1106)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는 제어부(120)로 전달되고,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감지 신호에 따라 다양한 항공기 외부 전경 뷰 영상을 제공하거나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Various detection signals detected by the user input detection layer 1106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20 provides various aircraft exterior foreground view images or displays execution screens of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항공기의 일등석에서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항공기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항공기의 비즈니스석에서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항공기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항공기의 이코노미석에서 멀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항공기 외부 전경 뷰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that a panoramic view image of the outside of the aircraft is provided through a single display and multiple displays in the first class of the aircraf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ingle display and a single display in the business class of the aircraf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view showing that an aircraft exterior foreground view image is provided through a multi-display.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aircraft exterior foreground view image is provided through a multi-display in an economy seat of an aircraf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5,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도 15, 16의 단일 디스플레이(1320, 1420)와 같은 단일 디스플레이(132)로부터의 제1 영상 출력 요청 신호 및 도 15, 16의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와 같은 멀티 디스플레이(134)로부터의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한다.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믹 뷰로 생성하여 생성된 파노라믹 뷰 영상을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의 배열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1 and 15 and 16 , the controller 120 requests output of a first image from a single display 132 such as the single displays 1320 and 1420 of FIGS. 15 and 16 received from the display unit 130 .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from the multi-display 134 such as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of FIGS. 15 and 16, the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116 are processed and processed Th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30 . When the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a panoramic view using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and 116, and displays the generated panoramic view image on a multi-display (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1310 and 14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to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의 배열 구성 정보는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배열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의 배열 구성 정보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에 분배할 수 있다. 도 15에는 7개의 서브 디스플레이가 일렬로, 즉, 7×1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6개의 서브 디스플레이가 일렬로, 즉, 6×1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may includ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and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The controller 120 may process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and distribute it to a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 FIG. 15 shows that seven sub-displays are arranged in a line, that is, in a form of 7×1, and FIG. 16 shows that six sub-displays are arranged in a row, that is, in a form of 6×1. Although illustrate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ub-displays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5, 16의 실시예에서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는 항공기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어부(120)는 항공기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를 통해서 해당 공간에 인접한 복수의 창문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1310, 1410)를 통해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신호가 없이도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영상이 파노라믹 뷰로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S. 15 and 16 ,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ar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ceiling in the aircraft cabin, and the controller 120 is the multi-display 1310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ceiling in the aircraft cabin. 1410),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windows adjacent to a corresponding space may be provided as a panoramic view. That is, a plurality of preset camera images may be set to be provided in a panoramic view through the multi-displays 1310 and 1410 without a separate user input signal.

이를 위하여, 도 1의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의 카메라 식별정보와 함께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의 설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설치 위치 정보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가 설치된 항공기의 창문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항공기 내부 창문의 설치 위치를 좌표화하여 항공기의 창문의 설치 위치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120 of FIG. 1 may manage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together with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 The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stallation position and installation angle information of a window of an aircraft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re installed. 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a process of synthesizing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based on install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s a panoramic view. To this end, the controller 120 may coordin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ndow inside the aircraft and manage it as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ndow of the aircraft.

단일 디스플레이(1320, 1420)는 항공기 승객의 좌석에 설치되고,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영상을 단일 디스플레이(1320, 14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ingle displays 1320 and 1420 are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aircraft passenger,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provide an imag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among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to the single display 1320 and 1420. have.

도 1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도 17의 멀티 디스플레이(1510)와 같은 멀티 디스플레이(134)로부터의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한다.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믹 뷰로 생성하여 생성된 파노라믹 뷰 영상을 멀티 디스플레이(1510)의 배열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디스플레이(151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 and 17 , the controller 120 receives a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from a multi-display 134 such as the multi-display 1510 of FIG. 17 , which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unit 130 , and a plurality of cameras The image captured at 112 , 114 , and 116 is processed and the process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30 . When the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a panoramic view using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114, and 116 and displays the generated panoramic view image on a multi-display ( Based on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151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to the multi-display 1510 .

멀티 디스플레이(1510)의 배열 구성 정보는 멀티 디스플레이(15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배열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멀티 디스플레이(1510)의 배열 구성 정보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멀티 디스플레이(15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에 분배할 수 있다. 도 17에는 7개의 서브 디스플레이가 일렬로, 즉, 7×1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1510 may includ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1510 and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The controller 120 may process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1510 and distribute it to a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1510 . Although it is illustrated in FIG. 17 that seven sub-displays are arranged in a line, that is, in the form of 7×1,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ub-displays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7의 실시예에서 멀티 디스플레이(1510)는 항공기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어부(120)는 항공기 객실 내의 창문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멀티 디스플레이(1510)를 통해서 해당 공간에 인접한 복수의 창문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멀티 디스플레이(1510)를 통해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신호가 없이도 미리 설정된 복수의 카메라 영상이 파노라믹 뷰로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7 , the multi-display 151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ceiling in the aircraft cabin, and the controller 120 uses the multi-display 1510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ceiling in the aircraft cabin through the corresponding space. An image captured by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indows adjacent to the . That is, a plurality of preset camera images may be set to be provided in a panoramic view through the multi-display 1510 without a separate user input signal.

이를 위하여, 도 1의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의 카메라 식별정보와 함께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의 설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설치 위치 정보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가 설치된 항공기의 창문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2, 114, 116)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항공기 내부 창문의 설치 위치를 좌표화하여 항공기의 창문의 설치 위치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120 of FIG. 1 may manag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together with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 The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stallation position and installation angle information of a window of an aircraft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are installed. The controller 120 may perform a process of synthesizing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12 , 114 , and 116 in a panoramic view. To this end, the controller 120 may coordin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ndow inside the aircraft and manage it as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ndow of the aircraft.

도 17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5 및 도 16과 같은 단일 디스플레이가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형태로 항공기 승객의 좌석에 추가적으로 설치되고,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영상을 단일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7, although not shown, a single display as shown in FIGS. 15 and 16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seat of an aircraft passenger in the form of a flat panel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and the control unit 120 is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n imag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among a plurality of images may be provided as a single display.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des and code segments implementing the abov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100 : 항공기의 비행 중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110 : 촬영부 112, 114, 116 : 제1, 2, 3 카메라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32 : 단일 디스플레이 134 : 멀티 디스플레이
140 : 감지부 142, 144, 146 : 제1, 2, 3 센서
150 : 사용자 입력부 160 : 저장부
170 :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 180 : 데이터베이스
200 : 단일 디스플레이 210, 310 : 뷰 선택 메뉴 아이콘
300 : 멀티 디스플레이 301, 302, 303, 304 : 서브 디스플레이
400 : 뷰 선택 메뉴 410, 500 : 방향별 뷰 선택 메뉴
420 : 카메라별 뷰 선택 메뉴 510 : 전면 뷰 메뉴
520 : 좌측면 뷰 메뉴 530 : 우측면 뷰 메뉴
600 : 카메라별 뷰 선택 메뉴
100: Device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s during flight
110: photographing unit 112, 114, 116: first, second, third camera
120: control unit 130: display unit
132: single display 134: multi-display
140: sensing unit 142, 144, 146: first, second, third sensor
150: user input unit 160: storage unit
170: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180: database
200: single display 210, 310: view selection menu icon
300: multi-display 301, 302, 303, 304: sub-display
400: view selection menu 410, 500: view selection menu by direction
420: view selection menu for each camera 510: front view menu
520: left view menu 530: right view menu
600: View selection menu for each camera

Claims (14)

항공기에 설치된 복수의 창문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항공기의 외부 전경을 촬영하여 송출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와,
단일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항공기에 장착되어 상기 항공기의 외부 환경 및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한 외부 환경 및 상태를 토대로 상기 촬영부로부터 제공받은 촬영 영상을 보정하며, 상기 보정한 촬영 영상의 합성을 통해 이벤트 영상 및 관제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보정한 촬영 영상 또는 보정한 촬영 영상의 합성을 통해 생성된 파노라믹 뷰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항공기의 비행 경로 상에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에 해당되는 비행 좌표 정보 및 비행 시간대가 셋팅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의 착륙과 더불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벤트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항공기에 탑승한 승객에 의해 등록된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을 상기 승객에게 제공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항공기 이용 고객과의 연동을 통해 스팟 위치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ameras tha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windows installed in the aircraft to photograph and transmit an external view of the aircraft;
A display unit including a single display and a multi-display including a plurality of sub-displays;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aircraft and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tate of the aircraft;
Correcting the captured image provid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tate sensed by the sensing unit, generating an event image and a control image through synthesizing the corrected captured image, and storing it in the storage unit, and the display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panoramic view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corrected captured image or the corrected captured image through the unit,
In the storage unit, flight coordinate information and flight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on the flight path of the aircraft are se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event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based on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even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long with the landing of the aircraft to a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event video to the passenger by using the passenger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passenger on the aircraft, and collects information through linking with social network services or interlocks with customers using the aircraft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s of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after collecting spo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 generating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storing the event image generation time in the storage unit of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항공기 창문의 복수의 레이어 중 소정의 중간 레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항공기 창문에 설치 시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되어 촬영 영상의 촬영 각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layer among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aircraft window,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n optical fiber cable, and are installed at different angles when installed in the aircraft window so that the shooting angle of the captured image is different. A device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of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 각각을 식별하는 카메라 식별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촬영 영상을 파노라믹 뷰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설치 위치 정보는 항공기의 창문에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nages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a process of synthesizing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in a panoramic view. perform,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s of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n installation angle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on a window of the aircraf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복수의 카메라 각각을 식별하는 카메라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구분하여 관리하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수신되는 단일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제1 영상 출력 요청 신호 및 멀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고, 제2 영상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파노라믹 뷰로 생성하여 생성된 파노라믹 뷰 영상을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classifies and manages images captur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using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receives a first image output request signal from a single display and a second image from a multi-display received from the display unit. 2 According to the image output request signal, at least one image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second image outpu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is used to display the panoramic view.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of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panoramic view image is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multi-display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구성 정보는 멀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개수 및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배열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구성 정보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and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b-displays,
wherein the control unit processes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multi-display and distributes the captured image to a plurality of sub-displays included in the multi-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출력할 때 뷰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뷰 선택 메뉴는 항공기에서 카메라 설치 방향에 따른 방향별 뷰를 선택할 수 있는 방향별 뷰 선택 모드 및 카메라별 뷰를 선택할 수 있는 카메라별 뷰 선택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provides a view selection menu when outputting an image to a single display and a multi-display,
The view selection menu includes a view selection mode for each direction for selecting a view for each direction according to the camera installation direction in the aircraft, and a view selection mode for each camera for selecting a view for each camera. and providing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단일 디스플레이 및 멀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식별정보 및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가 단일 디스플레이인지, 멀티 디스플레이인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 및 멀티 디스플레이인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의 배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의 설치 각도 정보 및 인접 디스플레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nages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single display and a multi-display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display typ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display is a single display or a multi-display,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multi-display in case of a multi-display,
The display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s of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stall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djacent displ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의 복수의 카메라 중 승객의 좌석과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각 카메라는 식별 정보로 좌석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촬영 영상과 설정된 상기 좌석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항공기의 좌석 뒤편에 장착되며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좌석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석 정보와 보정한 촬영 영상을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로부터 좌석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좌석 정보에 매칭된 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Seat information is set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camera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s seat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s of the photographing unit, and provides a photographed image and the set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of the aircraft, a user input is possible, and includes a single display that transmits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seat information and the corrected photographed imag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and as the sea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ingle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 matched to the seat information is provided. Content creation and delivery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항공기의 좌석 뒤편에 장착되고 사용자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좌석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이벤트 영상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의 보정을 통해 이벤트 영상에 대응되는 파노라믹 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좌석 정보에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ingle display that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of the aircraft and allows user input, and transmits sea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When an event image gener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as the user inpu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anoramic view corresponding to the event image through correction of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then matches it with the seat information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contents of an exterior view of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unit is stor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가 착륙함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좌석 정보가 매칭된 이벤트 영상을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좌석 정보에 대응되는 항공기 티켓을 구매한 승객에 의해 등록된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을 상기 승객에게 제공하되, 비즈니스 또는 퍼스 클래스에 탑승한 승객에 의해 등록된 승객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 시점에 생성된 이벤트 영상 또는 파노라믹뷰 영상을 제공하는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event image matched with the sea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s the aircraft lands,
The content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event image to the passenger by using the passenger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passenger who purchased the flight ticket corresponding to the seat information, but is registered by the passenger in business or Perth clas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xternal foregroun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event image or the panoramic view image generated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event image is provided using passenger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항공기의 흔들림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흔들림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떨림 정도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떨림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aircraf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sensed degree of shaking, and performs correction on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sha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항공기의 흔들림 또는 비행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흔들림 또는 비행 각도에 의거하여 흔들림 변화 또는 비행 각도 변화 정도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흔들림 변화 또는 비행 각도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의 보정을 통해 관제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외부 전경 콘텐츠 생성 및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shaking or flight angle of the aircraf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egree of shake change or flight angle change based on the detected shake or flight angle, and when the calculated shake change or flight angle change degree is out of a preset threshold range, control through correction of the captured imag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content for an external view of an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 image.
KR1020210001908A 2021-01-07 2021-01-07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KR1022766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08A KR102276674B1 (en) 2021-01-07 2021-01-07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PCT/KR2021/011908 WO2022149686A1 (en) 2021-01-07 2021-09-03 Device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outside panoramic view content of aircr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08A KR102276674B1 (en) 2021-01-07 2021-01-07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674B1 true KR102276674B1 (en) 2021-07-12

Family

ID=7685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908A KR102276674B1 (en) 2021-01-07 2021-01-07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6674B1 (en)
WO (1) WO2022149686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86A1 (en) * 2021-01-07 2022-07-14 김근형 Device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outside panoramic view content of aircraft
WO2023146144A1 (en) * 2022-01-27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3498A (en) * 2002-10-30 2004-05-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ing and output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JP2004173086A (en) * 2002-11-21 2004-06-17 Canon Inc System for imaging outside scene in airplane
KR100599540B1 (en) 2004-04-08 2006-07-13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assenger-personalized media service through sensor networking in airplane
KR20140024444A (en) 2014-01-09 2014-02-28 구슬이 Multimedia content tailored cabin, in-flight service providing method
KR20150141804A (en) * 2014-06-10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around view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80081615A1 (en) * 2016-09-20 2018-03-22 Airbus Operations Gmbh Visual output assembly for aircraft cabin
KR102161918B1 (en) * 2019-06-03 2020-10-05 김근형 Apparatus for provid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s for aircraft while fly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74B1 (en) * 2021-01-07 2021-07-12 김근형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3498A (en) * 2002-10-30 2004-05-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ing and output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JP2004173086A (en) * 2002-11-21 2004-06-17 Canon Inc System for imaging outside scene in airplane
KR100599540B1 (en) 2004-04-08 2006-07-13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assenger-personalized media service through sensor networking in airplane
KR20140024444A (en) 2014-01-09 2014-02-28 구슬이 Multimedia content tailored cabin, in-flight service providing method
KR20150141804A (en) * 2014-06-10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around view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80081615A1 (en) * 2016-09-20 2018-03-22 Airbus Operations Gmbh Visual output assembly for aircraft cabin
KR102161918B1 (en) * 2019-06-03 2020-10-05 김근형 Apparatus for provid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s for aircraft while fly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86A1 (en) * 2021-01-07 2022-07-14 김근형 Device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outside panoramic view content of aircraft
WO2023146144A1 (en) * 2022-01-27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9686A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1578A1 (en) Electronic device
KR10227667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nd generat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
KR102161918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external panoramic view contents for aircraft while flying
CN110891144B (en) Im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661526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US9791694B1 (en) Transparent film display system for vehicles
EP288184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4583908B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CN102682742B (en)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al approach thereof
KR20170113066A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US926286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601630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thereof
EP4246503A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EP366806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ing structure of display panel
WO2012162304A2 (en) Wearable heads-up display with integrated finger-tracking input sensor
KR20090047889A (en)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alizing augmented reality using transparent display
CN1034552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using a flexible display
EP4040774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076921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04876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vision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US20220317732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210070466A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portion
US6755533B2 (en) Moveable display device for three dimensional image creation
KR20170066916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CN111008055A (en)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