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135B1 -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135B1
KR102276135B1 KR1020190152206A KR20190152206A KR102276135B1 KR 102276135 B1 KR102276135 B1 KR 102276135B1 KR 1020190152206 A KR1020190152206 A KR 1020190152206A KR 20190152206 A KR20190152206 A KR 20190152206A KR 102276135 B1 KR102276135 B1 KR 10227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sensor
unit
scenario map
evacuation scenar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3732A (en
Inventor
유은상
Original Assignee
유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상 filed Critical 유은상
Priority to KR102019015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135B1/en
Publication of KR2021006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재난 대응 관제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대응장치는, 원격지의 각 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신호가 제1 값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센싱 값의 속성을 기초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aster response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environmental signal sensed by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installed at each site in a remote location, and the received environmental signal from a first value to a second value exceeding a threshold. When it is change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changed sensing value and generating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Description

재난 대응 관제 장치 및 그 시스템{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nd system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재난 대응 관제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사용자의 위치 기반 재난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는 재난 관제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nd a system therefo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disaster control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disaster response solution for a terminal user.

재난 대응 장치는, 센서를 통해 수집한 환경 정보를 통해 화재, 집중 호우, 장마, 지진, 폭설 등의 재난 상황에 관한 재난 데이터를 감지 및 수집함으로써, 재난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The disaster response device detects and collects disaster data related to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torrential rain, rainy season, earthquake, heavy snow, and the like through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nsor, thereby determin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재난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재난의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에 그치지 않고, 발생한 재난 회피 솔루션이 제공되어야 한다.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minimize damage caused by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lutions for avoiding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not just determining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특히, 재난 상황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고 정확한 대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복수의 재난 판단 지표를 토대로 재난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대피 방법을 제시하는 과제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rovide a quick and accurate response method to a user with respect to a disaster situation, a task device and system for accurately determining the type of disaster based on a plurality of disaster determination indicators and presenting an evacu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 real time this should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를 통해 재난 상황을 판별하고, 이에 대응되는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a disaster situation through an environmental signal sensed by at least one sensor and generates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corresponding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고, 사용자 위치 정보가 상기 생성된 대피 시나리오맵의 중심부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재생성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d whe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deviates more than a prese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enerated evacuation scenario map It is to provide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that regenerates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 값을 조합하여 재난 상황을 판별하고, 이에 대응되는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a disaster situation by combining environmental signal values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and generates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corresponding theret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 값을 통해 재난 대피 시나리오 맵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대피 시나리오맵을 사용자 단말에 송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sensors, a server for generating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through environmental signal values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a control server for transmitting the evacuation scenario map to a user terminal It is to provide a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that inclu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군에 의한 측정 값을 기초로, 재난 발생, 재난 강도 및 조치를 결정함으로써, 재난 관련 측정 및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aster to improve disaster-related measurement and prediction accuracy by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he intensity of a disaster, and measures based on measurement values by a group of sensors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It is to provide a respons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응 장치는, 원격지의 각 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신호가 제1 값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센싱 값의 속성을 기초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aster respon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environmental signal sensed by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installed at each site in a remote location, and the received environmental signal exceeds a threshold in a first value When it is changed to the second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changed sensing value, and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정보 및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이 상기 통신부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unit.

다른 실시예에서 재난 대응 장치는, 수신된 환경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saster respons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received environmental signal.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based on the received user location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생성된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의 중심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재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regenerate the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deviates more than a prese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enerate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제1 센싱 값 및 제2 센싱 값을 조합한 환경 신호를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based on an environmental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value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장치는, 복수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값을 기초로 재난 종류에 대한 판별이 가능하고, 각 재난 상황 별로 필요한 대피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Disaster respons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ype of disaster based on environmental values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and can provide an evacuation scenario necessary for each disaster situ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장치는, 복수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값을 조합하여 재난 종류에 대한 정밀한 판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disaster respons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etermine the type of disaster by combining environmental values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재난 대응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 기반으로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생성된 재난 대응 시나리오 맵의 중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 재난 대피 시나리오 맵을 재생성하여 사용자의 구조를 돕는 이점이 있다.A disaster response devic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based on a user's location, and when the user deviates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enerated disaster response scenario map, the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It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the structure of the user by regener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군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측정 값을 바탕으로 재난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재난 분석 정확도가 향상되고, 예측 및 대응 솔루션이 정밀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ensor group is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and a disaster situation is analyzed based on a plurality of measurement values, there are advantages in that disaster analysis accuracy is improved and prediction and response solutions are preci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의 통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 및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unit of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and a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ublish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의 통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 및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unit of a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and a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nd a control unit 130 .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환경 신호, 위치 정보 및 동작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또는 OSI 7 Layer, HTTP 등을 사용한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environmental signals, loca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signal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Internet network using a TCP/IP protocol that can be accessed by wire, a WAP protocol that can be accessed wirelessly, or OSI 7 Layer, HTTP, or the like.

통신부(110)는 센서부(111)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n environmental signal sensed by the sensor of the sensor unit 111 .

센서부(111)는 원격지의 각 현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11)에 포함되는 센서는 온도 감지 센서, 영상 센서, 풍량 감지 센서, 습도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지진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유해가스 감지 센서 및 방사능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nsor unit 111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installed at each site in a remote location.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1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 image sensor, a wind volume sensor, a humidity sensor, a heat sensor, an earthquake sensor, a vib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 harmful gas sensor, and a radiation sensor. It may be at least on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11)의 각 센서는 일정 거리를 주기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센서는 전봇대에 설치될 수 있다. 전봇대에 일정 주기로 설치된 각 센서들을 통해 더 정밀하게 재난을 감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each sensor of the sensor unit 111 may be periodic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each sensor can be installed on a power pole. Disasters can be detected more precisely through each sensor installed on a power pole at regular intervals.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부(111)는 지중 매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부(111)는 초저주파 주파수대역(frequency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재난을 감지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unit 111 may be buried underground.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11 may detect a disaster using a frequency of an infrasound frequency band.

예를 들어, 센서부(111)는 복수개의 저주파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1)는 적어도 3개의 센서를 하나의 센서군으로서 설치될 수 있으며, 3개의 센서 각각은 서로 다른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111)는 복수개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군은 지상, 지중, 특정 구조물 등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w-frequency sensors.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11 may be installed with at least three sensors as one sensor group, and each of the three sensors may perform sensing for frequency bands in different ranges. The sensor unit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and each sensor group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such as on the ground, underground, or in a specific structure.

상기 예에서, 3개의 센서 중, 제1 저주파센서는, 주파수 대역이, 저점주파수 0.1mHz~10 mHz 및 고점주파수 0.1 Hz~10 Hz이며, 최대 감도(maximum sensitivity)가±5 Pa 이상인 것을 이용하여 재난을 측정할 수 있다. 나머지 제2 저주파센서 및 제3 저주파센서는 각각 ULF(3kHz이하) 및 VLF(3∼30kHz) 주파수에 해당하는 재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among the three sensors, the first low-frequency sensor has a frequency band of 0.1 mHz to 10 mHz of low point and 0.1 Hz to 10 Hz of high point, and has a maximum sensitivity of ±5 Pa or more. Disaster can be measured. The remaining second low frequency sensor and the third low frequency sensor may detect disas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LF (3 kHz or less) and VLF (3 to 30 kHz) frequencies, respectively.

센서부(111)의 상기 센서군의 측정 값을 통신부(110)에 송신하면,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측정 값을 기초로 재난 발생여부, 재난 강도, 재난 예측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group of the sensor unit 111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disaster intensity, and disaster predi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상기 예에서, 센서부(111)가 지중 매설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서, 센서부(111)는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부(111)의 일부 센서는 지상에 설치되고, 다른 일부는 지중에 매설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case where the sensor unit 111 is buried undergroun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unit 111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some sensors of the sensor unit 111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other parts may be buried underground.

상술된, 주파수 대역의 저점 및 고점, 최대 감도, 주파수 종류는 예에 불과하며, 센서부(111)를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 센서의 측정 대상,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측정대상 주파수 및 센서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bove-described low point and high point of the frequency band, maximum sensitivity, and frequency type are only examples,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111 , the measurement target of the sens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etc., various measurement target frequencies and sensors are Of course, it can be selected.

통신부(110)는 위치 정보 수신부(112)를 통해 재난이 발생한 지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12)는 GPS 위성으로부터 재난이 발생한 지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12)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재난이 발생한 해당 지역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n area where a disaster has occurr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12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n area in which a disaster occurs from a GPS satelli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12 may receiv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a region in which a disaster has occurred, received from a GPS satellite.

또한, 통신부(110)를 통해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수집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입력부(120)에서는 상기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환경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버튼식, 터치식,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environmenta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input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a button type, a touch type, or any type well known in the art.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환경 신호 수치의 임계치가 입력될 수 있다. 후술되는 제어부(130)는 입력부(120)에서 입력된 임계치를 기준으로 수신된 환경 신호의 값이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hreshold value of the environmental signal value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 The controll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determine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when the value of the environmental signal received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input from the input unit 120 is equal to or exceeds the threshold value.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하기 위한 환경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되는 환경 정보는 대피소 위치 및 구조 기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건물의 노후도, 구조 장치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 The input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map including a location of an evacuation shelter and a location of a rescue organization, an age of a building, a location of a rescue device, and the like.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ay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the user terminal. To this end,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모리, 예를 들어 RAM을 구성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or unit (M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memory, for example, a RAM as a configuration. Also, the controller 130 may store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drivi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111)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의 값의 변경이 감지되면, 센싱 값의 속성을 기초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신된 환경 신호 값이 제1 값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 센싱된 환경 신호 값의 속성을 기초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통신부(110)의 통신망을 통해 지진 감지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 값이 제1 값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지진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a change in the value of the environmental signal sensed by the sensor 111 is detecte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sensed value. More specifically, when the received environmental signal value is changed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sensed environmental signal valu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information in which an environmental signal value sensed by the earthquake detection sensor is changed from a first value to a second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an earthquake has occurred.

상기 환경 신호의 임계치에 대한 설정은 제어부(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환경 신호의 임계치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어 제어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The setting for the threshold value of the environmental signal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roller 130 . For example, the threshold value of the environmental signal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and stored in the control unit 130 .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제1 센서에서 센싱하는 제1 환경 신호 값 및 제2 센서에서 센싱하는 제2 환경 신호 값을 조합한 값으로부터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센서에서 센싱하는 제1 환경 신호 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고, 제2 센서에서 센싱하는 제1 환경 신호 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것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 특정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및 영상 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 값들이 각각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만족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first environmental signal value sensed by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environmental signal value sensed by the second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value of the first environment signal sensed by the first sensor is changed to a second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and the value of the first environment signal sensed by the second sensor is changed to a second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When both of these are satisfie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specific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For example, when the environmental signal values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heat sensor, the infrared sensor, and the image sensor each exceed a threshol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제어부(13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110)의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재난 위치를 기반으로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based on the disaster loc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12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

일 실시예에서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은, 재난 대피 경로, 대피소, 구조 기관 및 해당 지역에 설치된 재난 방지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disaster evacuation routes, shelters, rescue organizations, and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area.

상기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하기 위한 지도 정보, 대피소, 구조 기관 및 해당 지역에 설치된 재난 방지 장비의 위치 정보는 제어부(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Map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 location information of shelters, rescue organizations, and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roller 130 .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지진 발생 판단 시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수집되는 환경 신호를 통해 건물이나 도시 내의 실시간 지진 충격파를 모니터링하고, 지진 파형 분포에 따른 지표 주변의 지질 구조를 파악하여 지진 진행 방향을 예측함으로써 대피 경로, 대피소 및 구조 기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onitors a real-time earthquake shock wave within a building or city through the environmental signal collec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when determining that an earthquake occurs, and grasps the geological structure around the surfac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quake waveform to determine the earthquake. By predicting the proceeding direction,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n evacuation route, an evacuation center, and a rescue organization may be generated.

다른 예에서 제어부(130)는, 화재 발생 판단 시, 통신부(110)를 통해 소방소에 화재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출동 요청을 할 수 있으며, 화재 분포를 계산하여 안전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fir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to the fire st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request a dispatch, and includes information on a safe evacuation route by calculating the fire distribution. A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may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이 수집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수신된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대피소로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대피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generate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based 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including information on an optimal evacuation route for the user to reach the shelter based on the received user loc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11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생성된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의 중심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2)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불가피하게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의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빠른 구조를 위해서 변경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새로운 대피 경로, 대피소 및 구조 기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deviates from the center of the generated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by more than a preset distanc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2) can be created. The user may inevitably deviate from the path of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new evacuation route, shelter, and rescue organization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user for quick rescue of the user. can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부(111)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 값의 변화에 따라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및 영상센서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 값들이 각각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판단하여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을 생성한다. 그 후, 제어부(130)는 풍향 감지 센서 및 영상 센서 등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의 변화 값을 이용하여 화재의 진행 경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이 대피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2)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may generate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2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111 .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that the environmental signal values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heat sensor, the infrared sensor, and the image sensor each exceed a threshold value to determine the fire occurrence situation and first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is generated. Then, the control unit 130 analyzes the progress path of the fire in real time using the change value of the environmental signal sensed by the wind direction sensor and the image sensor, so that the generated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is appropriate for evacu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not,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2 may be generated.

제어부(130)는 상기 재난 정보, 상기 생성된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 맵(201) 또는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2)이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aster information, the generated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or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2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사용자 단말은 재난 경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재난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의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재난 발생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 또는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2)을 수신 받고,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1) 또는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202)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로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와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고, 외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문자, 이미지, 동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컴퓨터 장치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 패드, 노트북, 스마트 폰,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HHT(Hand Held Terminal) 등의 개인정보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is equipped with a disaster warning application, is connected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executing the disaster management application, and is a first disaster evacuation including disaster occurrenc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100 . The device receives the scenario map 201 or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2 and outputs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1 or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2 to the outside through a display.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Internet browser capable of displaying web contents to enabl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xt, image, and video data. As a devic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s such a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 (Hand Personal Computer), web pad, notebook, smart phone,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Palm PC, HHT (Hand Held Terminal), etc. can

이상에서는 입력부(110)가 구비된 재난 대응 관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110)가 생략된 구성 역시 가능하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the input unit 11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put unit 110 is omitted is also possible.

한편, 제어부(130)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된 센서군의 3개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값을 종합하여 재난여부 판정, 재난의 강도 판정 및 대응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측정 값을 기초로, 재난 상황을 예측하고, 비상경보 등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군의 3개 센서의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측정하는 센서이므로,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보다 정확한 재난관련 결정이 가능해진다.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exists, determine the intensity of a disaster, and take countermeasures by synthesizing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three sensors of the sensor group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1 . Also, the controller 130 may predict a disaster situation based on the measured value and generate a message such as an emergency alert. In the case of three sensors in the sensor group, since they are sensors that measure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enables a more accurate disaster-related determination.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부가 서로 다른 지점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중에 매설된 제1 센서군이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개별 센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측정한다. 지상에 설치된 제2 센서군 역시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측정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sensor units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points.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group buried in the ground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individual sensors measure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 second sensor group installed on the ground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measures different frequency bands.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군들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특정 영역의 내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군, 상기 특정 영역의 외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군에 의해 센싱된 측정 값을 기초로 재난의 발생 및 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For example,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e occurrence and intensity of a disaster based on measured values sensed by one or more sensor groups inside the specific area and one or more sensor groups outside the specific area You may.

이와 같이,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통신부(110)가 각기 서로 다른 센서군으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함으로써, 제어부(130)의 재난 관련 판정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3개 지점의 센서군 측정 결과가 모두 동일한 경우, 해당 측정 값이 지시하는 재난의 발생 가능성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measurement values from different sensor groups, so that the accuracy of the disaster-related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unit 130 may be improved. Whe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sensor groups at three points are all the same, the controller 130 may highly evaluat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disaster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value.

제어부(130)는 재난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군의 측정 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재난이 지진인 경우, 지중 매설된 센서군의 측정 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give weights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nsor groups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For example, when the disaster is an earthquake, the controller 130 may assign a weight to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group buried underground.

제어부(130)는 또한, 측정 장소 또는 측정 시간에 따라 측정 값을 보정하거나,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also correct the measurement value or assign a weigh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location or measurement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추가적 및/또는 보조적 판단 요소로서, 전리층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may use the ionosphere information as an additional and/or auxiliary determination element.

일 예로, 센서군이 측정하는 3가지 주파수의 종류가, 각각 제1 주파수는 초저주파 대역이고, 제2 주파수 전파는 ULF, 제3 주파수의 전파는 VLF/LF인 경우를 설명한다.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제4 주파수로 전리층 전자파의 측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 case in which a first frequency is an infrasound band, a second frequency propagation is ULF, and a propagation of the third frequency is VLF/LF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ree types of frequencies measured by the sensor group are respectively.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100 may additionally measure the ionospheric electromagnetic wave at the fourth frequency.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센서부(111)로부터 일반적인 생활소음을 제외한 자연 재난 지진, 해일, 태풍, 강풍, 폭우, 폭설눈사태, 산사태 등에서 일어나는 주파수의 측정 값을 수신하고, 측정 값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매칭 재난별로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대응 관제 장치(100)는 데이터 학습을 통해, 재난의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제 장치는 센서부(310), 서버(320) 및 관제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100 receives, from the sensor unit 111, the measured values of frequencies occurring in natural disasters, earthquakes, tsunamis, typhoons, strong winds, heavy rains, heavy snow avalanches, landslides, etc. ,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by preset matching disasters. In addition,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apparatus 100 may generate disaster prediction information through data learning.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ring to FIG. 4 , the disaster respon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310 , a server 320 , and a control device 330 .

센서부(310)는 원격지의 각 현장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 습도 감지 센서, 영상 센서, 풍량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지진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유해가스 감지 센서 및 방사능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센서부(310)는 상기 나열된 센서들이 결합된 멀티 센서일 수 있다.The sensor unit 31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mage sensor, an air volume sensor, a heat sensor, an earthquake sensor, a vib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 harmful gas detection sensor, and radioactivity installed at each site in a remote location.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lso, the sensor unit 310 may be a multi-sensor in which the sensors listed above are combined.

서버(320)는, 상기 센서에서 수신된 환경 신호가 제1 값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environmental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changes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the server 320 may recognize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may generate a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일 실시예에서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은, 재난 대피 경로, 대피소, 구조 기관 및 해당 지역에 설치된 재난 방지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disaster evacuation routes, shelters, rescue organizations, and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area.

관제 장치(330)는, 상기 재난 정보 및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이 사용자 단말(200)에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30 may control the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재난 대응 관제 장치
110 통신부
111 센서부
112 위치 정보 수신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200 사용자 단말
201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
202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
300 재난 대응 관제 시스템
310 센서부
320 서버
330 관제 장치
100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110 Ministry of Communications
111 sensor unit
112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20 input
130 control unit 200 user terminal
201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202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300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310 sensor unit
320 Servers
330 control unit

Claims (9)

원격지에 설치되는 센서부에서 센싱되는 환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신호가 제1 값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센싱 값의 속성을 기초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이 상기 통신부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온도 감지 센서, 습도 감지 센서, 영상 센서, 풍량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지진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유해 가스 감지 센서, 방사능 감지 센서 및 저주파 센서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가 상기 저주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를 측정하는 제1 내지 제3 저주파 센서로 구성된 센서군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군들은 각각, 상기 원격지의 지상, 지중 및 특정 구조물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센싱 값의 속성을 기초로, 발생한 재난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재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지상, 지중 및 특정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값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센싱 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재난 진행 방향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한 재난 진행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이 상기 통신부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environmental signal sensed by a sensor unit installed in a remote place; and
When the received environmental signal is changed from the first value to the second value exceeding the threshold, it is recognized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changed sensing value, and a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is generated, and th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selected from among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mage sensor, an air volume sensor, a heat sensor, an earthquake sensor, a vib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 harmful gas sensor, a radiation sensor, and a low-frequency sensor. provided,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the low-frequency sensor,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consisting of first to third low-frequency sensors for measuring different frequency ranges,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groups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ground, underground, and specific structures of the remote location and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The control unit is
Recognizing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changed sensing value,
Select any one of the above-ground, underground and specific structur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ognized disaster,
A weight is given to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installed at the selected location,
Predict the disaster progress direction by monitoring the weighted sensing value in real time,
Create a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based on the predicted disaster progress direction,
Controlling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unit,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환경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received environmental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기 위한 환경 정보를 입력 받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put unit,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receiving an input of environment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map,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은,
재난 대피 경로, 대피소 및 구조 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Disaster evacuation rou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shelter and rescue organization,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receiv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s based on the received user location information,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제1 센싱 값 및 제2 센싱 값을 조합한 환경 신호를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관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disaster has occurred based on an environmental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sensed value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원격지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환경 신호가 제1 값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제1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이 사용자 단말에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관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온도 감지 센서, 습도 감지 센서, 영상 센서, 풍량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지진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유해가스 감지 센서, 방사능 감지 센서 및 저주파 센서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가 상기 저주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를 측정하는 제1 내지 제3 저주파 센서로 구성된 센서군을 복수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군들은 각각, 상기 원격지의 지상, 지중 및 특정 구조물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변경된 센싱 값의 속성을 기초로, 발생한 재난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재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지상, 지중 및 특정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값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센싱 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재난 진행 방향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한 재난 진행 방향에 기초하여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장치는, 상기 제2 재난 대피 시나리오맵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재난 대응 관제 시스템.
a sensor unit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a server that recognizes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generates a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when the environmental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changes from a first value to a second value exceeding a threshol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first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to be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selected from among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mage sensor, an air volume sensor, a heat sensor, an earthquake sensor, a vib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 harmful gas sensor, a radiation sensor, and a low-frequency sensor. provided,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the low-frequency sensor,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consisting of first to third low-frequency sensors for measuring different frequency ranges,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groups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ground, underground, and specific structures of the remote location and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The server is
Recognizing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changed sensing value,
Select any one of the above-ground, underground and specific structur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cognized disaster,
A weight is given to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installed in the selected position,
Predict the disaster progress direction by monitoring the weighted sensing value in real time,
Create a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based on the predicted disaster progress directio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second disaster evacuation scenario map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isaster response control system.
삭제delete
KR1020190152206A 2019-11-25 2019-11-25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2276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06A KR102276135B1 (en) 2019-11-25 2019-11-25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06A KR102276135B1 (en) 2019-11-25 2019-11-25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32A KR20210063732A (en) 2021-06-02
KR102276135B1 true KR102276135B1 (en) 2021-07-12

Family

ID=7637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06A KR102276135B1 (en) 2019-11-25 2019-11-25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1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376A (en) * 2022-07-27 2024-02-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Shortest distance algorithm based evacuation route detection and providing system
KR102534920B1 (en) * 2022-11-08 2023-05-26 주식회사 레오테크 Disaster detection and response suppor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42B1 (en)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System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not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562B1 (en) * 2008-08-29 2010-08-24 랜스(주) fire abnormality-symptom distinction system using temperature sensor.
KR101745887B1 (en) * 2015-05-21 2017-06-12 최낙훈 Apparatus for alerting fire ala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42B1 (en) * 2017-07-06 2018-04-05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System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not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32A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7717C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warning of seismic events
JP4262129B2 (en) Weather forecasting system
CN100407236C (en)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an electronic rendering of an evironmet
KR101045876B1 (en) Field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JP62908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isk prediction and assessment
KR102276135B1 (en) Disaster response device and system thereof
CN102324064B (en) Dynamic fire risk assess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sensor tape
KR101991281B1 (en) IOT based system for monitoring displacement of cultural properties
EP4220233A1 (en) Method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a device
JP2003066152A (en) System for predicting and instantaneously reporting earthquake
US20140067284A1 (en) Structural monitoring
CN110780347B (en) Earthquake destructive power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cyclic neural network
KR1019839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lightning
KR20180023210A (en) Smart monitoring safety system
JP2004280204A (en) Slope collapse prediction system
WO201706377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door position
JP6532016B2 (en) Congestion measurement system and congestion measurement method
KR1021501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on building
KR102365368B1 (en) System for monitoring displacement of slope
CN108280971A (en) A kind of Distributed seismic sensing alerting techniques
US9858791B1 (en) Tracking and accountability device and system
Walter et al. A location technique based on hybrid data fusion used to increase the indoor location accuracy
KR20050083152A (en) Measuring system of structure using gnss network adjustment
JP5836106B2 (en) Environmental measurement system
JP61287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