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597B1 - 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 Google Patents

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597B1
KR102271597B1 KR1020150061212A KR20150061212A KR102271597B1 KR 102271597 B1 KR102271597 B1 KR 102271597B1 KR 1020150061212 A KR1020150061212 A KR 1020150061212A KR 20150061212 A KR20150061212 A KR 20150061212A KR 102271597 B1 KR102271597 B1 KR 102271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nagement
network
remot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29956A (en
Inventor
박상길
문종환
최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6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97B1/en
Publication of KR2016012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LTE 데이터 서비스만 지원하고 IMS 서비스나 WCDM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LTE 망 기반으로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는,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LTE 망 접속 시도에 따라 MME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정보가 개통전 단말 정보이거나 또는 LTE 망 접속 완료된 가입자 단말에 대한 단말 데이터 변경을 위한 단말 관리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 확인부; 상기 단말 확인부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로 확인된 경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 접속 요청부; 및 상기 전송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된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또는 UICC)에게로 상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데이터 다운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mote terminal management based on LTE network when the user terminal supports only LTE data service and does not support IMS service or WCDMA service.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MME according to the LTE network access attempt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is the terminal information before opening or the terminal management request message for changing the terminal data for the subscriber terminal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is received,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a terminal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Whe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is identified a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check unit, a server access request for transmitting a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through the MME part; and a data download unit for downloading data for the remote terminal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or UICC) connected based on the transmitted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Description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기반으로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LTE 데이터 서비스만 지원하고 IMS 서비스나 WCDM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LTE 망 기반으로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mote terminal management based o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terminal supports only LTE data service and does not support IMS service or WCDMA service, a server for remote terminal management based on LTE network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는 가입자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UICC(Universal Integrated Chip Card)에 저장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값을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할 수 있는데, UICC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을 이용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금융, 게임, 교통 카드 기능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 가능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이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an perform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billing using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IMSI) value stored in a Universal Integrated Chip Card (UICC) that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a subscriber terminal. It is a smart card that can provide not only communication functions using the Identification Module) but also financial, game, and transportation card functions.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는 서비스 가입 시 부여 받은 UICC를 이용하여 특정 이동 단말기에 상관 없이 통신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Accordingl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can receive communication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regardless of a specific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UICC that is given to them at the time of service subscription.

이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개통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개통 절차는 고객이 신규 번호 신청 후 대리점등을 직접 방문하거나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해당 단말의 UI(User Interface)를 통해서 필요한 절차를 수행하여 통신 서비스 사업자 망측에 새로운 전화번호로의 개통을 요구해야만 하기 때문에, 해당 가입자가 개별적으로 새로운 전화번호로의 개통을 요구하지 않으면 개통이 되지 않아 가입자 개개인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use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norm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procedure in advance. In the existing opening procedure, a customer directly visits an agency after applying for a new number, or a subscriber individually uses the UI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Interface) to request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network to open a new phone number, so if the subscriber does not individually request the opening of a new phone number, the service will not be opened, causing inconvenience to individual subscribers. There was a problem with giving.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의 원격 관리 방안이 일부 제안된 바 있으나, 단말이 LTE Data만 지원하거나 Operator가 IMS, WCDMA 등을 지원하지 않고 LTE 서비스만 지원이 가능한 경우에 단말을 원격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some remote management methods have been proposed. However, when the terminal supports only LTE data or the operator does not support IMS, WCDMA, etc. and only LTE service is supported, the terminal can be remotely managed. There is currently no way to do it.

따라서, 원격으로 단말의 프로파일(Profile)을 프로비저닝(Provisioning) 하거나,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등의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 방안이 필요하고, 특히 IoT 기기와 같은 단말은 LTE만 지원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거나 긴급으로 펌웨어 업그레이드(Firmware upgrade) 등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a remote device management method such as remotely provisioning a profile of the terminal,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the terminal, remote file management of the terminal, etc. is required. In particular, if a terminal such as an IoT device supports only LTE, a remote device management method is urgently needed if it is installed in a location that is physically difficult to access o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firmware upgrade, etc. to be.

등록특허공보 제 10-1040745호 (2011.06.03.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40745 (Registered on June 3, 20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LTE 데이터 서비스만 지원하고 IMS 서비스나 WCDM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LTE 망 기반으로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terminal management based on an LTE network when the user terminal supports only the LTE data service and does not support the IMS service or the WCDMA service. will provid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는,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LTE 망 접속 시도에 따라 MME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정보가 개통전 단말 정보이거나 또는 LTE 망 접속 완료된 가입자 단말에 대한 단말 데이터 변경을 위한 단말 관리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 확인부; 상기 단말 확인부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로 확인된 경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 접속 요청부; 및 상기 전송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된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또는 UICC)에게로 상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데이터 다운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MME according to the LTE network access attempt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is terminal information before opening or or a terminal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when receiving a terminal management request message for changing terminal data for a subscriber terminal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Whe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is identified a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check unit, a server access request for transmitting a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through the MME part; and a data download unit for downloading data for the remote terminal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or UICC) connected based on the transmitted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상기 원격 단말 관리는 개통 프로파일 프로비저닝(Profile Provisioning),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및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ULR(User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는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방식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terminal manag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ning profile provisioning,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the terminal, and remote file management of the terminal, and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a ULR (User Location Request) may include a message,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 and the download message may include a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message.

상기 단말 확인부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HSS와의 통신으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terminal check unit confirms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based on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o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SS,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only provides LTE service It can be checked whether it is a possible specific termina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은, 통신망의 OTA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LTE 망 접속 시도에 따라 MME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정보가 개통전 단말 정보이거나 또는 LTE 망 접속 완료된 가입자 단말에 대한 단말 데이터 변경을 위한 단말 관리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로 확인된 경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전송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된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또는 UICC)에게로 상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격 단말 관리는 개통 프로파일 프로비저닝(Profile Provisioning),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및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performed by an OTA server of a communication network, (a) receiving from the MME according to an LTE network access attempt from a subscriber terminal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terminal information before opening or when a terminal management request message for changing terminal data for a subscriber terminal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is received, it is checked whether the subscriber terminal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steps to do; (b) whe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is identified a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through step (a), a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through the MME steps to do; and (c) transmitting a download message including data for devic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or UICC) connected based on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transmitted in step (b). may include a step, wherein the remote terminal manag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ning profile provisioning,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the terminal, and remote file management of the terminal. .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ULR(User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는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방식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a),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User Location Request (ULR) message, and in step (b),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 and in step (c) ), the download message may include a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ype message.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HSS와의 통신으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a), based on the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or not, o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SS,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performs the LTE service It can be checked whether it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ser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may be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in a computer is record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lication stored in a medium may be provided to execute the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may be provided to execute the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in a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LTE 데이터 서비스만 지원하고 IMS 서비스나 WCDMA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의 개통 프로파일(Profile)을 프로비저닝(Provisioning) 하거나,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등의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IoT 기기와 같은 단말이 LTE만 지원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거나 긴급으로 펌웨어 업그레이드(Firmware upgrade) 등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도 통신망 기반의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user terminal supports only the LTE data service and does not support the IMS service or the WCDMA service, the terminal's opening profile is provisioned, or the terminal's remote It is possible to provide remote device management services such as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and remote file management of the terminal, and also to physically access if the terminal such as an IoT device supports only LTE. Even if it is installed in a difficult location o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firmware upgrade, etc.,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ommunication network-based remote device management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to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 OTA(Over-The-Air) 서버(20), 가입자 단말(30),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FIG. 1 is a communication network 10, an over-the-air (OTA) server 20, and a subscriber terminal. (30), and a Home Subscriber Server (HSS).

통신망(10)은 OTA(Over-The-Air) 서버(20), 가입자 단말(30),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통신망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1)를 포함하는 LTE 망을 일 예로 설명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0 connects between the Over-The-Air (OTA) server 20, the subscriber terminal 30, and the Home Subscriber Server (HSS) through wired, wireless and/or the Internet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It may be a single or complex communication network, but in this embodiment, an LTE network including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1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TA 서버(20)는 OTA(Over-The-Ai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OTA 서비스는 단말 가입자가 신청한 자료를 전송해주는 무선통신서비스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OTA 서비스는 가입자가 서비스 고객 센터의 OTA 서버(20)에 가입자 정보나 응용프로그램 등과 같은 자료를 신청하면, 서비스 고객 센터의 OTA 서버(20)에서 가입자의 통신 단말로 신청한 자료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가입자는 OTA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통신 단말로 원하는 자료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사업자는 OTA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OTA server 20 is to provide an over-the-air (OTA) service, and the OTA service is the most common fo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hat transmits data requested by a terminal subscriber. The OTA service is a service that transmits the requested data from the OTA server 20 of the service customer center to the subscriber'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subscriber applies for data such as subscriber information or an application program to the OTA server 20 of the service customer center. . A subscriber can receive desired data through his or her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OTA service, and the operator can transmit various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OTA service.

가입자 단말(30)은 UICC(Universal Integrated Chip Card)를 장착하여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메시지 통신, 데이터 통신, 및/또는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M2M 기기, IoT 기기 등을 나타낸다.The subscriber terminal 30 is equipped with a UICC (Universal Integrated Chip Card) to enable voic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messag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and/or Internet communication, etc.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mart phone, M2M device, IoT device, etc. indicates.

HSS(40)는 가입자/단말 정보 관리, 위치 등록 등을 위한 서버로, 본 실시예에서 HSS(40)는 위치 등록 시 해당 가입자 단말(30)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이하, LTE only device라 칭함)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OTA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HSS 40 is a server for subscriber/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location registration, etc., and in this embodiment, the HSS 40 is a specific terminal (hereinafter, LTE only device) capable of only LTE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30 during location regist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the OTA server 20 to the OTA server 2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일 예로 도 1의 OTA 서버(20)에 적용되는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확인부(21), 서버접속 요청부(23), 다운로드부(25), 저장부(27), 및 인식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it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applied to the OTA server 20 of FIG. 1 , and as shown in the diagram, terminal confirmation It may include a unit 21 , a server connection request unit 23 , a download unit 25 , a storage unit 27 , and a recognition unit 29 .

단말 확인부(21)는, 일 예로 가입자 단말(30)로부터의 LTE 망(10) 접속 시도에 따라 MME(11)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로서의 ULR(User Location Request) 메시지 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URL 메시지 내의 단말 정보(예를들어, IMSI, IMEI 등)가 개통전 단말 정보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개통전 단말 정보일 경우 해당 가입자 단말(30)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 즉, LTE only device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예로 LTE 망(10)에 접속이 완료된 가입자 단말(30)에 대하여 영업전산서버(IT), 오퍼레이터(Operator),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 등으로부터 단말 데이터 변경을 위한 단말 관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HSS(40)와 통신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30)이 LTE only device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terminal check unit 21, for example, when a ULR (User Location Request) message as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ME 11 according to an attempt to access the LTE network 10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30, the received URL message It is checked whether the terminal information (eg, IMSI, IMEI, etc.) in the terminal information is the terminal information before opening, and if it is terminal information before ope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30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that is, an LTE only device. or not, and as another example, for the subscriber terminal 30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10, the terminal data change from the IT, operator, service provider, etc. When a terminal management request message is received, it can communicate with the HSS 40 to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30 is an LTE only device.

서버접속 요청부(23)는 단말 확인부를 통해 해당 가입자 단말(30)이 LTE only device로 확인된 경우, 개통 프로파일 프로비저닝(Profile Provisioning),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및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11)를 통해 해당 가입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는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30 is identified as an LTE only device through the terminal confirmation unit, the server access request unit 23 is configured to perform profile provisioning,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th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of the terminal. To transmit a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remote fil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30 through the MME 11,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

다운로드부(25)는 서버접속 요청부(23)를 통해 전송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해당 가입자 단말(30)이 접속되면 그 접속된 해당 가입자 단말(또는 UICC)(30)에게로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데이터는 개통 프로파일 프로비저닝(Profile Provisioning) 데이터,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데이터, 및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다운로드 메시지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방식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wnload unit 25 sends a remote terminal to the connected subscriber terminal (or UICC) 30 whe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30 is connected on the basis of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connection requester 23 . For downloading data for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data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includes opening profile provisioning data,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data of the terminal, and remote of the terminal It may be at least one of remote file management data, and the download message may include a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type message.

저장부(27)는 신규 가입자에 대해 할당된 개통 전 사용할 제1 단말번호 정보 및 개통 후 사용할 제2 단말번호 정보를 예를 들어 영업전산 서버(60)로부터 프로비저닝 받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단말번호 정보는 개통 전에 임시로 사용할 가입자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로서 Pseudo-IMSI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단말번호 정보는 개통 후 실제 사용할 가입자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로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 is for storing the first terminal number information to be used before the opening and the second terminal number information to be used after the opening allocated for the new subscriber, for example, provisioned from the business computer server 60 and stored therein. The number information may include pseudo-IMSI information as information about a phone number of a subscriber terminal to be used temporarily before opening, and the second terminal num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phone number of a subscriber terminal to be used after opening, and is information about an international mobile phone number (IMSI).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인식부(29)는 가입자 단말(30)로부터의 등록 요청으로 인해 발생된 등록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번호 정보가 저장부(27)에 저장된 제1 및 제2 단말번호 정보 중 어느 것에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개통 필요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The recognition unit 29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number information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generated du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30 matches any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 . This is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opening is necessary.

다른 예로, 인식부(29)는 HSS(40)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HSS(40)에서 개통 필요 인식 시 개통 요청 메시지를 OTA 서버(20)에 전달하여 OTA 서버(20)가 개통 필요 여부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cognition unit 29 may be included in the HSS 40 . In this case, when the HSS 40 recognizes the need for opening, the OTA server 20 transmits an opening request message to the OTA server 20 . It can be made to recognize whether an opening is necessar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LTE 망 기반의 원격 개통 프로파일 프로비저닝(Profile Provisioning)을 위한 흐름도이고, 도 1 내지 도 2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chart for LTE network-based remote opening profile provisioning, and is applied to the apparatus of FIGS. 1 to 2 It will be describ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the device.

통신사에 신규 가입 또는 USIM 교체 등으로 신규 USIM에 대한 고객이 신청한 전화번호로의 개통을 신청하는 경우, 영업전산서버(IT)에서는 OTA(20)와 같은 네트워크(NW)의 원격 유심 개통 시스템으로 가입자 정보를 프로비저닝 하고(S301), 이에 따라 OTA(20)는 개통 전 IMSI Profile(예컨대, 제1 단말번호 정보)와 개통 후에 사용할 전화 번호 Profile(예컨대, 제2 단말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S302).When an application for opening a new USIM with a phone number requested by a customer is requested by new subscription to a telecommunication company or replacement of USIM, the sales computer server (IT) uses the same network (NW) remote SIM opening system as the OTA (20). Subscriber information is provisioned (S301), and accordingly, the OTA 20 provides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an IMSI Profile before opening (eg, first terminal number information) and a phone number Profile to be used after opening (eg, second terminal number information). to store (S302).

개통 전 USIM(또는 UICC라 칭함)을 단말(30)에 장착한 후, 전원을 켜면 단말(UICC/UE)(30)은 적어도 개통 전 제1 단말번호 정보를 가지고 LTE 망(10)으로 어태치(Attach)를 시도하고(S303), MME(11)는 SMS in MME 관련 정보(SMS-Register-Request, MME-Number-for-MT-SMS 등) 및 제1 단말정보(IMEI)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로서의 ULR 메시지를 OTA(20)에게 전송한다(S304). 여기서, OTA(20)는 HSS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fter mounting the USIM (or referred to as UICC) in the terminal 30 before opening,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terminal (UICC / UE) 30 attaches to the LTE network 10 with at least the first terminal number information before opening (Attach) is attempted (S303), and the MME 11 registers SMS in MME-related information (SMS-Register-Request, MME-Number-for-MT-SMS, etc.) and first terminal information (IMEI) A ULR message as a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OTA 20 (S304). Here, the OTA 20 may perform the role of the HSS.

OTA(20)는 MME(11)로 부터 전달된 IMEI 정보를 기반으로 개통에 필요한 APN list를 전달하거나, IMEI 정보를 체크하지 않고, 사전에 정의된 개통에 필요한 APN list를 전달할 수 있다. OTA(20)는 ULA 메시지에 SMS in MME 관련 Profile을 실어 MME(11)로 전송한다. 즉, OTA(20)는 단계 S304에서 LTE 망의 MME(11)로 부터 ULR(User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정보를 기반으로 개통에 필요한 APN list(예컨대, OTA 접속 정보)를 ULA(User Location Answer) 메시지를 통해 LTE 망의 MME(11)로 전달하거나, IMEI 정보를 체크하지 않고 사전에 정의된 개통에 필요한 APN list를 MME(10)로 전달하며(S305), MME(11)가 Attach Accept 메시지를 단말(30)로 전달하면, 단말(30)이 LTE 망 접속(획득)에 성공한다(S306).The OTA 20 may deliver an APN list required for opening based on the IMEI information delivered from the MME 11 or may deliver a predefined APN list necessary for opening without checking the IMEI information. The OTA 20 loads the SMS in MME-related Profile in the ULA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MME 11 . That is, the OTA 20 is an APN list (eg, OTA) required for opening based on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User Location Request (ULR) message from the MME 11 of the LTE network in step S304. access information) to the MME 11 of the LTE network through a User Location Answer (ULA) message, or a predefined APN list required for opening without checking the IMEI information to the MME 10 (S305) , when the MME 11 transmits the Attach Accept message to the terminal 30, the terminal 30 succeeds in accessing (obtaining) the LTE network (S306).

LTE 망 획득이 성공 후, OTA(20)는 단계 S304의 ULR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번호 정보(IMSI)를 기초로 해당 가입자가 개통이 필요한 가입자인지를 사전에 정의한 IMSI 정보(Pseudo-IMSI range check)(제1 단말번호 정보)의 부합 여부에 따라 판단하고, 개통이 필요한 가입자이면 MME(11)로 부터 수신된 IMEI 정보로 device capability를 확인하여, 만일 해당 가입자 단말(30)이 LTE Only device이면 개통 진행을 위한 TFR(MT Forward Short Message Request) 메시지를 MME(11)로 전송하고(S307), MME(11)로부터 TFR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TFA(MT Forward Short Message Answer) 메시지를 수신한다(S308).After the LTE network acquisition is successful, the OTA 20 performs IMSI information (Pseudo-IMSI range check) that defines in advance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is a subscriber in need of opening based on the terminal number information (IMSI) included in the ULR message of step S304. (1st terminal number information) is jud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ubscriber is in need of opening, device capability is checked with the IMEI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ME 11, and if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30 is an LTE-only device, it is opened Transmits a TFR (MT Forward Short Message Request) message for progress to the MME 11 (S307), and receives a TFA (MT Forward Short Message Answer) message in response to the TFR message from the MME 11 (S308) .

본 실시예에서는 OTA(20)가 HSS의 역할(S6a Interface 기능 제공)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HSS로의 S6c 메시지 전송(Send Routing Info for SMS Procedure)을 하지 않고, 단계 S307에서 MME(11)로 TF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OTA 20 can perform the role of the HSS (providing the S6a Interface function), the TFR to the MME 11 in step S307 without sending the S6c message to the HSS (Send Routing Info for SMS Procedure). message can be sent.

이어, MME(11)는 개통을 위한 OTA 접속 요청 정보를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에 실어 가입자 단말(30)로 전송한다(S309). 본 실시예에서 단계 S309의 NAS 메시지는 HTTP 접속을 위한 트리거(Trigger) 용도로 사용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통 데이터의 사이즈(size)가 작은 경우 단계 S309의 NAS 메시지에 개통 데이터를 실어 전송할 수 있다. Next, the MME 11 transmits OTA access request information for opening to the subscriber terminal 30 by loading it in a 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 (S309). In this embodiment, the NAS message of step S309 is used as a trigger for HTTP ac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size of the opening data is small, the NAS message of step S309 can be transmitted by loading the opening data. .

단계 S309에서 NAS 메시지를 트리거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는 OTA(20)가 다운로드 해야 하는 데이터 구분을 위해 가입자 단말(또는 UICC)(30)와 사전에 정의한 서비스 구분 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When the NAS message is used as a trigger in step S309, the OTA 20 transmits the data including the subscriber terminal (or UICC) 30 and a predefined service identification ID to classify the data to be downloaded.

이어 가입자 단말단말(USIM)(30)은 OTA(20)로부터 MME(11)를 통해 수신된 NAS 메시지를 기초로 OTA(20)로의 HTTP 접속 요청을 시도하고, 이때 단계 S309에서 OTA(20)로 부터 수신한 서비스 구분 ID를 HTTP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S310).Next, the subscriber terminal (USIM) 30 attempts an HTTP connection request to the OTA 20 based on the NAS message received from the OTA 20 through the MME 11, and at this time, in step S309 to the OTA 20 The received service identification ID is included in the HTTP message and transmitted (S310).

단계 S310과 같이 단말 Trigger 메시지내의 서비스 구분 ID를 단말(USIM)에서의 변경 없이 OTA로 return 하는 것이 서비스 확장성에 용이할 수 있다. As in step S310, returning the service identification ID in the terminal trigger message to the OTA without changing the terminal (USIM) may facilitate service scalability.

OTA(20)는 가입자 단말(USIM)(30)로부터 수신된 HTTP 메시지내의 서비스 구분 ID를 기초로 개통 데이터 다운로드 요청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개통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USIM)(30)로 다운로드 한다(S311).The OTA 20 determines whether it is an opening data download request based on the service classification ID in the HTTP message received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USIM) 30, and downloads the corresponding opening data to the subscriber terminal (USIM) 30 ( S311).

가입자 단말(USIM)(30)은 신규 번호로 개통이 완료되면(S312), 변경된 번호로 망에 접속을 시도한다(S313).When the subscriber station (USIM) 30 completes the opening with the new number (S312), it attempts to access the network with the changed number (S313).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LTE 망 기반의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흐름도이고, 도 1 내지 도 2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for LTE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It will be describ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the device.

가입자 단말(UICC/UE)(30)이 LTE 망 접속에 성공하여 HSS(40)에 등록된 상태에서(S401), OTA(20)는 외부의 영업전산서버(IT), 네트워크 오퍼레이터(Network Operator), 또는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로부터 가입자 단말(30)의 데이터 변경을 위한 단말 관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S402), HSS(40)와 SPR/SPA 메시지를 통해 통신하여(S403) 해당 가입자 단말(30)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04). In the state where the subscriber terminal (UICC / UE) 30 is successfully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and registered in the HSS 40 (S401), the OTA 20 is an external business computer server (IT), network operator (Network Operator) , or when a terminal management request message for data change of the subscriber terminal 30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402), the subscrib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HSS 40 through an SPR/SPA message (S403) (30) It is checked whether this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S404).

예를 들어, 단계 S402에서 망 운영Network Operator가 망 운영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device data(예, PLMN)의 변경 필요 시 또는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device data 변경 필요 시, OTA(20)로 디바이스 데이터 프로비저닝(device data provisioning)을 요청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device data 변경은 Remote File Management, Remote Applet Manag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402, when the network operator needs to change device data (eg, PLMN) for network operation or service provision, or when the service provider needs to change device data, provision device data to the OTA 20 ( device data provisioning) can be requested. Device data change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Remote File Management, Remote Applet Management, and the like.

또한 단계 S403에서 OTA(20)는 디바이스 데이터 프로비저닝(device data provisioning)을 위한 NAS 메시지 전송을 위하여, HSS(40)와 SPR/SPA 메시지를 전송/응답하는데, 이때 HSS(40)는 LTE only device 여부 정보를 SPA 메시지에 실어 OTA(20)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S403, the OTA 20 transmits/responses an SPR/SPA message with the HSS 40 to transmit a NAS message for device data provisioning, in which case the HSS 40 is an LTE-only device.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TA 20 in an SPA message.

이어, 단계 S404에서 가입자 단말(30)이 LTE only device라 확인될 경우, OTA(20)는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11)를 통해 해당 가입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한다(S405~S407). Next, when it is confirmed in step S404 that the subscriber station 30 is an LTE only device, the OTA 20 sends a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30 through the MME 11 . It is transmitted to (S405~S407).

예를 들어, OTA(20)는 MME(40)로 TFR(MT Forward Short Messag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S405), MME(40)는 OTA(20)로 TFA(MT Forward Short Message Answer) 메시지를 보내 TFR 메시지에 응답한 후(S406),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가입자 단말(30)로 전송한다(S407). For example, the OTA 20 transmits a TFR (MT Forward Short Message Request) message to the MME 40 (S405), and the MME 40 sends a TFA (MT Forward Short Message Answer) message to the OTA 20. After sending and responding to the TFR message (S406), a 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terminal 30 (S407).

단계 S407에서 NAS 메시지를 트리거(Trigger)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OTA(20)는 단말(USIM)(30)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사전에 정의한 서비스 구분 ID를 TFR 메시지 및 NAS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서비스 구분 ID는 OTA(20)가 가입자 단말(30)로 다운로드 해야 하는 데이터 구분을 위한 것이다.When the NAS message is used for the trigger purpose in step S407, the OTA 20 transmits the terminal (USIM) 30 or the application and the predefined service identification ID in the TFR message and the NAS message, and , the service classification ID is for classifying data that the OTA 20 needs to download to the subscriber terminal 30 .

전술한 단계 S405~S407의 과정은 UICC의 특정 applet delete 경우와 같이 device data의 사이즈가 커서 NAS 메시지를 HTTP 접속을 위한 Trigger용도로 사용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 것이며, 다른 예로 OTA(20)는 다운로드 할 device data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단계 S405~S407에서 TFR메시지 및 NAS 메시지에 해당 device data를 바로 실어 전송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steps S405 to S407 described above describes an example of using a NAS message as a trigger for HTTP connection because the size of device data is large as in the case of a specific applet delete of UICC. When the size of the device data is small, the device data can be directly loaded and transmitted in the TFR message and the NAS message in steps S405 to S407.

이어, 가입자 단말(USIM)(30)은 OTA(20)로부터 MME(11)를 통해 수신된 NAS 메시지를 처리하면서, OTA(20)로의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접속 요청을 시도하고, 이 경우 전술한 과정에서 OTA(20)로 부터 수신한 서비스 구분 ID를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S408). 단말 Trigger 메시지내의 서비스 구분 ID는 단말(USIM)에서는 변경 없이 OTA return 하는 것이 서비스 확장성에 용이하다.Subsequently, the subscriber terminal (USIM) 30 attempts an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connection request to the OTA 20 while processing the NAS message received from the OTA 20 through the MME 11 , in this case In the above process, the service identification ID received from the OTA 20 is included in the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message and transmitted (S408). It is easy to extend the service by returning OTA without changing the service identification ID in the terminal trigger message in the terminal (USIM).

마지막으로, OTA(20)는 단계 S408에서 가입자 단말(USIM)(30)로부터 수신된 HTTP 메시지내의 서비스 ID에 대응하는 device data(즉, 원격 단말 관리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30)로 다운로드 한다.Finally, the OTA 20 downloads device data (ie, remote terminal manage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ID in the HTTP message received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USIM) 30 to the subscriber terminal 30 in step S408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통신망
11: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20: OTA(Over-The-Air) 서버
21: 단말확인부
23: 서버접속 요청부
25: 다운로드부
27: 저장부
29: 인식부
30: 가입자 단말
40: HSS(Home Subscriber Server)
10: network
11: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20: Over-The-Air (OTA) Server
21: terminal confirmation unit
23: server connection request unit
25: Download Department
27: storage
29: recognition unit
30: subscriber terminal
40: Home Subscriber Server (HSS)

Claims (15)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LTE 망 접속 시도에 따라 MME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정보가 개통전 단말 정보이거나 또는 LTE 망 접속 완료된 가입자 단말에 대한 단말 데이터 변경을 위한 단말 관리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 확인부;
상기 단말 확인부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로 확인된 경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 접속 요청부; 및
상기 전송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OTA 서버와 접속된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또는 UICC)에게로 상기 OTA 서버로부터 상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메시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데이터 다운로드부를 포함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MME according to the LTE network access attempt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is the terminal information before opening or the terminal management request message for changing the terminal data for the subscriber terminal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is received,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a terminal check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Whe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is identified a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check unit, a server access request for transmitting a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through the MME part; and
Data for downloading a download message including data for device management from the OTA server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or UICC) connected to the OTA server based on the transmitted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A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including a download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관리는 개통 프로파일 프로비저닝(Profile Provisioning),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및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terminal management is a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pening profile provisioning (Profile Provisioning), a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the terminal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and a remote file management of the terminal (Remote File Management) server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ULR(User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a ULR (User Location Request)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확인부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HSS와의 통신으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check unit confirms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based on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o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SS,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only provides LTE service A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cked whether it is a possible specific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는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is a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방식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download message is a server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ype message.
통신망의 OTA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LTE 망 접속 시도에 따라 MME로부터 수신된 등록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정보가 개통전 단말 정보이거나 또는 LTE 망 접속 완료된 가입자 단말에 대한 단말 데이터 변경을 위한 단말 관리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로 확인된 경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를 통해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전송된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OTA 서버와 접속된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또는 UICC)에게로 상기 OTA 서버로부터 상기 원격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
As a method performed by an OTA server of a communication network,
(a) When the terminal information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MME according to the LTE network access attempt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is the terminal information before opening or the terminal management request message for changing the terminal data for the subscriber terminal that has been connected to the LTE network is received , for check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b) when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is identified a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through step (a), a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through the MME steps to do; and
(c) data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from the OTA server to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terminal (or UICC) connected to the OTA server based on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transmitted in step (b)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download message to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 관리는 개통 프로파일 프로비저닝(Profile Provisioning), 단말의 원격 애플리케이션 관리(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및 단말의 원격 파일 관리(Remote File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mote terminal management is a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pening profile provisioning (Profile Provisioning), a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the terminal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and a remote file management of the terminal (Remote File Management) way f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ULR(User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step (a),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a User Location Request (ULR) mess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HSS와의 통신으로 해당 가입자 단말이 LTE 서비스만 가능한 특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step (a), based on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LTE service or not, o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SS,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station performs LTE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cked whether it is a specific terminal capable of only ser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서버 접속 요청 메시지는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b), the server access request message is a method for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ownlink NAS Transport messa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방식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c), the download message is a method for managing a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ype message.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13.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2 on a computer is recorded.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3. An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for managing the communication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2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망 기반 원격 단말 관리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for managing the communication network-based remot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2 in a computer.
KR1020150061212A 2015-04-30 2015-04-30 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KR102271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12A KR102271597B1 (en) 2015-04-30 2015-04-30 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12A KR102271597B1 (en) 2015-04-30 2015-04-30 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56A KR20160129956A (en) 2016-11-10
KR102271597B1 true KR102271597B1 (en) 2021-07-05

Family

ID=5748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212A KR102271597B1 (en) 2015-04-30 2015-04-30 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597B1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393B1 (en) * 2006-09-27 2009-02-27 주식회사 이루온 USIM Card Information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OTA by Web or Voice information
KR101311513B1 (en) * 2006-12-15 2013-09-25 주식회사 케이티 Remote opening to traffic system for customer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KR101040745B1 (en) 2009-06-12 2011-06-10 (주) 티엔피네트워크 Method for opening to mobile communication with USIM
CN101594614B (en) * 2009-06-30 2011-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ata downloading methods and terminal
US8804536B2 (en) * 2010-08-16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nsing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s
US9503833B2 (en) * 2011-03-23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provisioning of mobile entities for peer-to-peer service
KR102121555B1 (en) * 2013-09-16 2020-06-11 팬텍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agnosis information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넷매니아*
표준문서:ETSI TS 124 301 V10.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56A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5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ransfer of profile between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472595B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m
EP3565369B1 (en) Esim card activation method, wireless rout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548780B2 (en) Service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TWI559787B (en) Mobile network operator identification
US9462452B2 (en) Smart card initial personalization
US10142830B2 (en) Communication system
KR1022090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scribing to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69780B2 (en) Remote smart card personalization without third party
US10901716B2 (en) Implicit file creation in APDU scripts
CN105340306A (en) Provisioning wireless subscriptions using software-based subscriber identity modules
US11172350B1 (en) Subscription activation for mobile wireless devices
US11012830B2 (en) Automated activation and onboarding of connected devices
US11129026B1 (en) ESIM switching platform
KR102271597B1 (en) Server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based on Network
US9980129B2 (en) Transferring an assignment regarding an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entity from a first mobile network operator to a second mobile network operator
CN1163688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bundle packages for intelligent security platform
US9451441B2 (en) Smart card personnalization
KR20130074241A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usage history of lost terminal
US10084926B1 (en) Grafting and separation of mobile telephone number lines
KR101560482B1 (en) Server,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hanging MSISDN based 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