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436B1 - 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436B1
KR102271436B1 KR1020150027799A KR20150027799A KR102271436B1 KR 102271436 B1 KR102271436 B1 KR 102271436B1 KR 1020150027799 A KR1020150027799 A KR 1020150027799A KR 20150027799 A KR20150027799 A KR 20150027799A KR 102271436 B1 KR102271436 B1 KR 10227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terimage
display unit
image
are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6628A (en
Inventor
유승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30,412 priority Critical patent/US9613591B2/en
Priority to EP15174895.1A priority patent/EP2991064B1/en
Priority to CN201510507825.7A priority patent/CN105392055B/en
Publication of KR2016002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잔상 제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화면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한다.Disclosed is a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in a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fterimages,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pecific screen, and displays an afterimage area on the specific screen. , and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잔상 제거 방법{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How to remove an afterimage from a display device {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잔상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from the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aly Panel; 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가 주로 이용된다.As a display device,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is mainly used.

특히 최근에는, 고휘도 및 저소비 전력의 장점을 가지면서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O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O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고착 잔상의 발상을 방지하는 것이 핵심 과제이다.In particular, recently,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LED having advantages of high luminance and low power consumption and not having a separate backlight unit has been widely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such an OLED, it is a key task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ticking afterimage.

도 1은 O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TV(10)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휴대폰(20)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LED. FIG. 1A shows a TV 10 as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nd FIG. 1B shows a mobile phone 20 as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20)의 화면에 각각 잔상(11, 22)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잔상(11, 2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20)에 포함된 OLED의 열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해당 OLED를 교체하지 않는 한 제거할 수 없는 고착 잔상에 해당한다. 이러한 잔상(11, 22)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몇몇 알고리즘이 소개된 바 있으나, 소자 열화에 의한 잔상이 발생하는 속도를 늦출 뿐 일단 발생된 잔상은 제거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 it can be seen that afterimages 11 and 22 appear on the screens of the display devices 10 and 20 , respectively. The afterimages 11 and 22 are generated due to deterioration of the OLED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s 10 and 20 and correspond to a fixed afterimage that cannot be removed unless the OLED is physically replaced. Although several algorithms have been introduc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afterimages 11 and 22,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slows down the generation of the afterimage due to device degradation, but does not remove the generated afterimag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나타난 잔상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removing an afterimage appearing on a screen of a display unit.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나타난 잔상을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상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that enables a user to remove an afterimage appearing on a screen of a display unit while directly checking the user's eyes.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나타난 잔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잔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상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that allows receiving an image including an afterimage displayed on a screen of a display unit from another device and removing the afterimage using the imag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화면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fterimages,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pecific screen, and displays an afterimage area on the specific screen. , and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특정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화면 내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network interface unit to connec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external device. control, execute an appl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pecific screen, and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creen from a specific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Controls the network interface unit, detects an afterimage area in the specific screen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image, and adjusts brightness of a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촬영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특정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camera,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n afterimage of the external device,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nect a specific exter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es the camera, and when a shooting command is detected, acquires an image using the activated camera, and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quired image to the wirel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communication to a specific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나타난 잔상을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상 제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that enables a user to remove the afterimage appearing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ile directly checking the user's ey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나타난 잔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잔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상 제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that enables receiving an image including an after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from another device and removing the afterimage using the image. hav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O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일 예로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잔상과 관련된 로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잔상과 관련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촬영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1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수행된 이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수행이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제1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제2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LED.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device as another example of a display devic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using a remote controll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using a remote controll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using a remote controll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 logo related to an after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indicator related to an after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and 2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ecuting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multimedia device as an example of a firs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a secon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n afterimage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de message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ultimedia device that is a target of afterimage removal when an appl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is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device is photographed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 user to select an afterimage are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image-related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to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fter the primary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fter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of the multimedia device is comple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second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a secon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잔상 제거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TV, 스마트 TV, 네트워크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지털 사이니지,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PDP, LCD, OLED,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D LE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a TV, smart TV, network TV, HBBTV (Hybrid Broadband Television), Internet TV, Web TV, IPTV (Internet Protocol)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Television), digital signage, desktop computer, mobile phone, smart phone, laptop computer,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slate PC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for example, watch-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can do.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PDP, LCD, OLED, QD (quantum dot) display, QD LED display, or the like.

도 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sensing unit 140 , an output unit 150 , an interface unit 160 , a memory 170 , a control unit 180 ,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mobile terminal, so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mong the components i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a touch key, a push key, etc.).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Sensor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print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 optical sensors (eg, cameras (see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barometers, hygrometers, thermometers, radiation detection sensor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 a sound output unit 152 , a haptip module 153 ,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is interface unit 160,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port), a memory card (memory card)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driven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controller 180 .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each other.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cooperatively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before looking at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he above-list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wo or more of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broadcast channel switching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as well as a TV broadcast signal or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may be enco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echnical standards (or broadcast methods, for example, ISO, IEC, DVB, ATSC, et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and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is configured to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may be received using a method suitable for technical standards set by technical standards.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V -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receives a radio signal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 11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may be understood as a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BluetoothTM,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at least one of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 servers)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located in. The local area network may b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i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data (or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mart watch, smart glasses.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vicin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 Furthermore, when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 114) to transmit to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when a call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performs a phone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when a messag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receives the received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essage.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acquiring a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Fo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a GPS module, it can acqui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the Wi-Fi modul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obtained based on information of the Wi-Fi module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If necessar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perform any function of the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obtain data o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a substitute or addition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input unit 120 is for input of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put of image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has one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provided.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structure, and through the cameras 121 forming the matrix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various angles or focal points are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images may be input. Also,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acquir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for realizing a stereoscopic imag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processes an external sound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function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being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Meanwhile,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Such a user input unit 123 is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dome switch (dome switch), a jog wheel,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 input means consists of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key or the visual key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shapes, for example, a graphic, text ), an icon, a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riving 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operations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covered by the touch screen described above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an object having conductivity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object.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or touch sensor) itself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ct of approaching an object on the touch screen without contacting it so that the object is recognized that i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called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object is touched in proximity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object is touched in proximity.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detect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proximity touch distance, proximity touch direction, proximity touch speed, proximity touch time, proximity touch position,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have.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sens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141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provide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It can be printed on the touch screen.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to process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a touch to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contact touch. .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receiv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etect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touch screen or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in the specific part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a touch, an electrostatic capacitance at the time of a touch, etc. in which a touch object apply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is an object that applies a touch to the touch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As such,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a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has been touched, and the like. Here,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component separate from the controller 180 , or may be the controller 180 itself.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may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touch sensor and proximity sensor are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 short (or tap) touch on the touch screen (short touch), long touch (long touch), multi touch (multi touch), drag touch (drag touch)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ype touch, hovering touch, etc. It can sense touch.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may recognize lo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target by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wave source through information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The position of the wave sourc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property that light is much faster than ultrasonic waves, that is, the time for light to reach the optical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for ultrasonic waves to reach the ultrasonic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wave source may be calculated us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that the ultrasonic wave arrives using light as the reference signal.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121 as see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eg, CCD, CMOS, etc.), a photo sensor (or an image sensor), and a laser sensor.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camera 121 and the laser sens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etect a touch of a sensing target for a 3D stereoscopic image. The photo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photo sensor is configur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sensing target close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 sensor mounts photo diodes and transistors (TRs) in rows/columns and scans the contents placed on the photo sensor using electrical signal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s. That is, the photo sensor calculates the coordinates of the sensing targ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light, and through thi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target can be obtained.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A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such as a stereoscopic method (glasses method), an auto stereoscopic method (glasses-free method), or a projection method (holographic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In general, a 3D stereoscopic image consists of a left image (image for left eye) and a right image (image for right eye). Depending on the method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merged into a 3D stereoscopic image, a top-down method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rranged up and down in one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images in one frame L-to-R (left-to-right, side by side) method, which arranges the piec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 a tile form, the checker board method, which arranges the left and right images in columns Alternatively, it is divided into an interlaced method in which a row is alternately arranged, and a 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method in which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re displayed alternately by time.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thumbnail image may be generated as a single image by generating a left image thumbnail and a right image thumbnail from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f the original image frame, respectively, and combining them. In general, a thumbnail means a reduced image or a reduced still image. The generated left image thumbnail and right image thumbnail may be displayed with a left and right distance difference on the screen by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arallax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thereby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sense of space.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necessary for realizing the 3D stereoscopic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by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receives a 3D image (an image of a reference view and an image of an extended view) and set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therefrom, or receives a 2D image and converts it into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unit 152 also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3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controlled by a user's selection or setting of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153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output them sequentially.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3 is configured to respond to stimuli such as a pin arrangement that move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jet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 nozzle or an inlet, a brush against the skin surface, contact of an electrode, an electrostatic force, etc.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an effect caused by heat absorption and an effect by reproducing a feeling of cold and heat using an element capable of absorbing heat or generating heat.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3 may not only deliver a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may also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a muscle sensation such as a finger or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3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154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y 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Examples of the event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output unit 154 is implemented as the mobile terminal emits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toward the front or rear. The signal output may be termin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user's event confirmation.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port),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60 .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It may includ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60 is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is input from the cradle by a user. 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various command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7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etc.).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s and sounds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input.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memory 17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SSD), a silicon disk drive type (SDD), and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type memory (such as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EEPROM) -only memory),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operated in relation to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70 on the Internet.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general. For example, if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atisfies a set con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execute or release a lock state that restricts input of a user's control command to applications.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performs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etc., or performs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capable of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can Furthermore,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y one or a plurality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m.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configured to be re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or the lik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160 to which an external charger that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90 uses one or more of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or a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power can be transmitted.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below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일 예로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device as another example of a display device.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수신부(2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 메모리(230), 디스플레이부(240), 오디오 출력부(250), 전원 공급부(260), 제어부(2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media device 200 includes a receiving unit 210 ,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 a memory 230 , a display unit 240 , an audio output unit 250 , a power supply unit 260 , a control unit 270 , and a user. It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280 and the like.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211), 복조부(2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수신부(210)는 튜너(211)와 복조부(212)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수신부(21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211)를 거쳐 복조부(212)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수신부(210)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The receive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tuner 211 , a demodulator 212 ,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213 . However, in some cases, the receiver 210 may include the tuner 211 and the demodulator 212 , but may not include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 and vice versa.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ing unit 210 includes a multiplexer to multiplex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212 through the tuner 211 and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 You may.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ing unit 21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to demultiplex the multiplexed signal or to demultiplex the demodulated signal or the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

튜너(2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211)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211 receives an RF broadcast signal by tuning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channels stored in advance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lso, the tuner 211 converts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or a baseband signal.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2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2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2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211 may process both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an analog broadcast signal.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211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270 .

또한, 튜너(211)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2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Also, the tuner 211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or a multiple carrier. Meanwhile, the tuner 211 sequentially tunes and receives the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storage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receives them as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signal (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

복조부(212)는, 튜너(2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212)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212 may receive and demodulate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211 , and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or the like. To this end, the demodulator 212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Solomon decoder, or the like, or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ad. - A Solomon decoder, etc. may be provided.

복조부(2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The demodulator 212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re performed.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obtained by multiplexing an image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ransport stream (TS) in whic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are multiplexed.

복조부(2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2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250)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212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270 .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demultiplexing, image/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may control output of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70 and audio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25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provides an interface environment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various external devices.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제어부(27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Blu-ray), game device, camera, camcorder (Camcorder), computer (laptop), tablet PC, smart phone, Bluetooth device (Bluetooth)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loud,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via wired/wireles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data such as an image, video, and voice input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processed image, video, audio, etc. to output a data signal to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V input/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It may include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terminal,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digital devices. The multimedia device 100 i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Bluetooth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and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can be networked with other digital devic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protocols.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set-top-box (STB) and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various terminals to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box (STB).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270) 또는 메모리(230)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270 or the memory 23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WLAN (Wireless LAN) (Wi- 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etc. are availabl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nother user or another digital devic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In particular,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a selected user or a selected digital device among other users or other digital device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may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it is possible to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 corresponding server. In addition,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may be received.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eive content such as a movie, advertisement, game, VOD, broadcast signal, etc.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or the network provider through the network. Also, it is possible to receive firmwar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to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ed through a network.

메모리(230)는, 제어부(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memory 23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ler 270 ,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

또한, 메모리(2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memory 23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 The memory 23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메모리(2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3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

또한, 메모리(23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230 may store various platforms to be described later.

메모리(23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메모리(2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30)는 제어부(27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memory 230 is,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or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a RAM (RAM), and a ROM (EEPROM, etc.)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reproduce content files (movie files, still imag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application files, etc.) stored in the memory 23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230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the controller 27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terface unit 28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270 or transmits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2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70)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3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280 receives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and processing, 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70 to the remote controller 300 .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user interface unit 28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t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27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280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270, or transmits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270 to the sensing unit ( not shown) can be transmitted.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270)는, 튜너(211), 복조부(212)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demultiplexes a stream input through the tuner 211 , the demodulator 212 ,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220 ,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o generate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and output.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외부 출력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24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

제어부(27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튜너(2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tuner 211 to tune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multimedia device 2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80 or an internal program. In particular, by accessing a network, a user can download a desired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211)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240) 또는 오디오 출력부(25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tuner 211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80 . And it processes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The control unit 270 allows the user-selected channel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or the audio output unit 250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다른 예로,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40) 또는 오디오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reprodu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80 , for example, a camera or camcorder. , so that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or the audio output unit 250 .

한편, 제어부(2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21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display 24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211 ,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 or the memory 230 . The stored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2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o reproduce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한편, 제어부(2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entering the application view item,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o display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downloadable from an internal or external network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제어부(2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o install and drive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external network along with various user interfaces. In addition, an image related to an executed application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y a user's selection.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2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unit 240 converts the image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70, or the im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20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generate a drive signal.

디스플레이부(24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may be a PDP, LCD, OLED, flexible display, 3D display, or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24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250)는, 제어부(2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5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250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70 ,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he audio output unit 25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detect the user's gesture, as described above, a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 .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7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80 .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270)에 입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the user may be further provided.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270 .

제어부(2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70 may detect a user's gesture by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an image captured by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a signal sensed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26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multimedia device 200 .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4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particular,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2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unit 24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audio output unit 250 for outputting audio. can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Meanwhil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24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backlight lamps, an inverter capable of Pulse Width Modulation (PWM) operation for luminance variable or dimming driving (invert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ler 300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280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use Bluetooth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ltra Wideband (UWB), ZigBee, or the like.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리모트 컨트롤러(3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receive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280 , and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ler 300 or output voice or vibration.

상술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multimedia device 200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process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of a fixed or mobile ATSC method or a DVB method.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mit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as needed, or may further include non-illustrated components. Meanwhile, unlike the above, the display device does not include a tuner and a demodulator, and may receive and reproduce content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역다중화부(271), 영상 처리부(272), OSD 생성부(273), 믹서(mixer)(274),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275), 및 포맷터(formatter)(276)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270)는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multiplexer 271 , an image processor 272 , an OSD generator 273 , a mixer 274 , and a frame rate. It may include a frame rate converter (FRC) 275 and a formatter 276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27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ing unit and a data processing unit.

역다중화부(271)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271)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271)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271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the demultiplexer 271 may demultiplex the input MPEG-2 TS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Here,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271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a tuner or demodulator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영상 처리부(27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72)는, 영상 디코더(272a) 및 스케일러(272b)를 구비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72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272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272a and a scaler 272b.

영상 디코더(272a)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272b)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The image decoder 272a decodes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and the scaler 272b scales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image signal to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영상 디코더(272a)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272a)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deo decoder 272a may support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the video decoder 272a performs the function of an MPEG-2 decoder when the video signal is encoded in the MPEG-2 standard, and when the video signal is encoded in the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ethod or the H.264 standard.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H.264 decoder may be performed.

한편, 영상 처리부(272)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274)로 입력된다.Meanwhile,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272 is input to the mixer 274 .

OSD 생성부(273)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15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들어, GUI),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274)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OSD generator 273 generates OSD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For example, the OSD generating unit 155 generates data for displaying various data in the form of graphics or tex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user interface unit 280 . create The generated OSD data includes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eg, GUI)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icons, and viewing rate information. do. The OSD generator 274 may generate data for displaying broadcast information based on a caption of a broadcast image or an EPG.

믹서(274)는, OSD 생성부(155)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276)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The mixer 274 mixes the OSD data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155 and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provides them to the formatter 276 . Since the decoded image signal and the OSD data are mixed, the OSD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broadcast image or the external input imag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27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The frame rate converter (FRC) 275 converts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the frame rate converter 275 may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60Hz image to have a frame rate of, for example, 120Hz or 240Hz according to an output frequency of the display unit.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converting the frame rate. For example, when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275 converts the frame rate from 60 Hz to 120 Hz, the same first frame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r a secon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inserted. It can be converted by inserting 3 frames. As another example,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from 60 Hz to 240 Hz, the frame rate converter 275 may convert by inserting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predicted frames between existing frames. Meanwhile, when a separate frame conversion is not performed,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275 may be bypassed.

포맷터(276)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276)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276)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7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The formatter 276 changes the output of the input frame rate converter 275 to match the output format of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the formatter 276 may output R, G, and B data signals, and these R, G, and B data signals are output as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or mini-LVDS. can be In addition, when the output of the input frame rate conversion unit 275 is a 3D video signal, the formatter 276 configures and outputs the 3D form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format of the display unit, thereby providing a 3D ser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 may support

한편, 제어부(270)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ler 270 may perform voic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Such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support processing of various audio formats. As an example, even when the audio signal is encoded in a format such as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it can be processed with a corresponding decoder.

또한, 제어부(270)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Also,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ler 270 may process a base, a treble, and a volume control.

제어부(270)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27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decode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even when it is encoded. Here,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aired on each channel.

한편, 상술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ultimedia device 200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actually implemented display device.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by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을 이용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multimedia device 200 , a front panel (not shown) provided on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be used or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be used.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310), 키보드(330), 포인팅 디바이스(3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 목적은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디바이스 등도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a user interface device (UID)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mainly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remote controller 310 , the keyboard 330 , and the pointing device 320 . , a touch-pad,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not,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capable of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through mode switching may b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300 .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통신 가능하다.The remote controller 300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RS, etc.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by employing at least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as needed.

리모컨(310)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The remote control 310 refers to a general input means provided with various key button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

포인팅 디바이스(3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3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The pointing device 320 is equipped with a gyro sensor to implement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based on the user's movement, pressure, rotation, etc. ) to transmit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The pointing device 320 may be named by various names, such as a magic remote control and a magic controller.

키보드(33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3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The keyboard 330, as the multimedia device 200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a web browser, an application,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n intelligent integrated digital device beyond the conventional broadcasting only, the control is possible only with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310 It was not easy, so it was implemen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text, etc. by implementing it similar to a PC keyboard.

한편, 리모컨(310), 포인팅 디바이스(330), 키보드(320)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ler 300 such as the remote controller 310, the pointing device 330, and the keyboard 320 is provided with a touchpad if necessary, so that text input, pointer movement, enlargement/reduction of pictures or videos, etc. are more convenient. and can be used for various control purposes.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잔상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48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cas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401).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중 디스플레이부(151)에 잔상이 보이는 경우, 잔상 제거를 위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S401). When an afterimage is seen on the display unit 151 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ing used, the user may execute a menu for removing the afterimage.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S402). 상기 제1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방출하는 여러 파장 영역의 광 중에서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51)는 Blue 발광소자, Red 발광소자, Green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Blue 발광소자, Red 발광소자, Green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와 White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구비된 R/G/B/W 발광소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51)에 구비된 R/G/B/W 발광소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광소자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lue 발광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잔상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들은 비활성화하고, Blue 발광소자들만 활성화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first scree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on the display unit 151 (S402). The first screen may b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length range among the light of several wavelength ranges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151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whit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one by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preset order for each of the R/G/B/W light emitting devices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151 , or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151 . It may be performed only for a light emitting device selected by a user among R/G/B/W light emitting devices.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remove the afterimage generated by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the controller 180 deactivates the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light of a different wavelength region and displays the first screen in which only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s are activated. (151) can be output.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감지한다(S403). 잔상은 소자의 열화로 인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예를 들어, 해당 발광소자)이 제 휘도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화면에서 열화된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영역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잔상이 보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에서 잔상이 나타난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detects a first user command for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S403). The afterimage is generated because the area (eg,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display unit 151 does not exhibit its own luminanc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device,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ed light emitting device on the first screen. An afterimage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may be seen. The first user command may correspond to a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formed of a touch screen. The user may touch an area in which the afterimage appears on th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일례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나타나는 잔상은, 화면 상단의 알림 바(notification bar)에 표시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잔여 배터리 용량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 외부 서버와 어느 통신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3 인디케이터,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모드가 소리 모드인지 진동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제4 인디케이터, 이동통신사를 나타내는 제5 인디케이터 등에 대응하거나,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메인 홈 화면에 진입하기 위한 메뉴를 나타내는 제6 인디케이터,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를 나타내는 제7 인디케이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에 대응하는 제8 인디케이터 등에 대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fter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first indicator indica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a wireless signal displayed on a notification bar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a second indicator indicat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 a third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a wireless signal is being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n external server, a fourth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the notification mode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is a sound mode or a vibration mode, and a fifth indicator indicating a mobile operator, etc. or a sixth indicator indicating a menu for entering the main home screen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 seventh indicator indicating a menu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screen, and a menu for checking the history of applications used within a preset time It can correspond to the eighth indicator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 손의 떨림 등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궤적이 고르지 못한 경우 보정 알고리즘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apply a correction algorithm or the like when the trajector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uneven by the first user command due to shaking of the user's hand or the like.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70)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 가능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란, 인디케이터의 형태에 관한 제1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에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관련된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들 중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를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70)에,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시청 가능한 채널의 로고나 프로그램의 로고와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를 상기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n indicator outputable to the display unit 15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Here,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irst information regarding the shape of the indicator and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where the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 Then, the controller 180 outputs a GUI including indicators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to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n indicator selected by a user command among the indicators. may be used to detect the afterimage area.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logo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ogo of a channel or a logo of a program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and the controller 180 may Logo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go may be used to detect the afterimage area.

제어부(180)는, 제1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GUI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한다(S404). 여기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란, 잔상 영역의 경계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 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잔상 영역의 경계부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발생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디케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과 함께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참고하여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리고,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예를 들어, Blue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first GUI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first user command on the display unit 151 (S404). Here,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may mean only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afterimage area, and a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including the boundary of the afterimage area. It may also mean the area of the part 151 .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afterimage area generated on the display unit 151 based on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first user command. Here, when the indicator selected by the user exists, the residual image region may be detected by referring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indicator together with the residual image region selected by the first user command. Then, the display unit 151 is controlled to display a first GUI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eg, the luminance of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실시예에 따라, 제1 GUI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바 및 상기 조절 바 상에서 이동 가능한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GUI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 메뉴 아이콘 및/또는 ? 메뉴 아이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GUI may include an adjustment bar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and an indicator movable on the adjustment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GUI may include a + menu icon and/or ?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It may also include a menu icon.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1 GUI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기 설정된 제1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1 메뉴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GUI includes a first menu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to a preset first level and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It may include at least a second menu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 to a second level lower than the first level.

제어부(180)는, 제1 GUI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조절한다(S405).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제1 GUI에 포함된 지시자를 조절 바 상에서 이동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GUI에 포함된 + 메뉴 아이콘 및/또는 ? 메뉴 아이콘을 적어도 1회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GUI에 포함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GUI (S405). The second user command may include a user command for moving an indicator included in the first GUI on a control bar, and include a + menu icon and/or ? It may include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 menu icon at least once, or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 first menu or a second menu included in the first GUI.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의 조절이란, 잔상이 사용자의 눈에 인지되지 않게 해야 하므로,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본래 설정된 정도보다 낮아지도록 게인 값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게인 값은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용되는 APL(Average Picture Level) 데이터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a preset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and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djusted. Here, the adjustment of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means that the afterimage should not be recognized by the user's eyes, so the gain value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afterimage area is lower than the originally set level. may mean to control For example, the gain value may mean a value of average picture level (APL) data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게인 값을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과 맵핑하여 메모리(170)에 저장한다.Then, the controller 180 maps the gain value to an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70 .

사용자는,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도 있고, 제2 화면에 대하여 상술한 단계들을 재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방출하는 여러 파장 영역의 광 중에서 제2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51)가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들은 비활성화하고, Green 발광소자들만 활성화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may end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or may re-perform the above-described steps for the second screen. The second screen may b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wavelength range among light of various wavelength ranges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151 .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the controller 180 disables the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light of a different wavelength region, and displays a second screen in which only the green light emitting devices are activated. 151) can be printed.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도 3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인 경우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Meanwhile, a cas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the multimedia device 200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 in relation to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is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not be described agai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401).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사용 중 디스플레이부(240)에 잔상이 보이는 경우, 잔상 제거를 위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S401). When an afterimage is seen on the display unit 240 while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being used, the user may execute a menu for removing the afterimage.

제어부(27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한다(S402). 상기 제1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40)에서 방출하는 여러 파장 영역의 광 중에서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240)가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Blue 발광소자, Red 발광소자, Green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Blue 발광소자, Red 발광소자, Green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와 White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lue 발광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잔상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들은 비활성화하고, Blue 발광소자들만 활성화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displays the first scree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on the display unit 240 (S402). The first screen may be a screen corresponding to a first wavelength region among light of several wavelength regions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240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red light emitting device. Th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white light emitting device.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remove the afterimage generated by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the controller 270 deactivates the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light of a different wavelength region and displays the first screen in which only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s are activated. (240) can be output.

제어부(270)는, 상기 제1 화면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감지한다(S403). 제1 사용자 명령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 상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통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detects a first user command for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S403). The first user comm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0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user may select an afterimage area through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on th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

일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나타나는 잔상 영역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시청 가능한 채널의 로고, 각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로고 등에 대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fterimage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a logo of a channel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 a logo of a program transmitted through each channel,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30)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시청 가능한 채널의 로고, 각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로고 등과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로고 관련 정보란, 로고의 형태에 관한 제1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상에서 로고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관련된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로고들을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하고, 상기 로고들 중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를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30)에,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 가능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 가능한 인디케이터란, 화면의 상단/하단의 알림 바 또는 메뉴 바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를 상기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logo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ogo of a channel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a logo of a program transmitted through each channel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30 . Here, the logo-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irst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logo and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where the logo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 Then, the controller 180 outputs a GUI including logos corresponding to the logo-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30 to the display unit 240, and logo-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ogo selected by a user command from among the logos. may be used to detect the afterimage area.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n indicator outputable to the display unit 24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30 . Here, the indicator outputable on the display unit 240 may mean an indicator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bar or menu bar at the top/bottom of the screen. The controller 270 may use indicator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dicator selected by the user to detect the afterimage area.

제어부(270)는, 제1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GUI를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한다(S404). 여기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란, 잔상 영역의 경계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영역 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잔상 영역의 경계부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제1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발생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고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과 함께 상기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정보를 참고하여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리고,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70 displays a first GUI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first user command on the display unit 240 (S404). Here,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may mean only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afterimage area, and a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including the boundary of the afterimage area. It may also mean an area of the unit 240 . The controller 270 detects the afterimage area generated on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first user command. Here, when the logo selected by the user exists, the afterimage area may be detected by referring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logo together with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first user command. Then, the display unit 240 is controlled to display a first GUI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area surrounding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제어부(270)는, 제1 GUI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를 조절한다(S405).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게인 값을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와 맵핑하여 메모리(230)에 저장한다.The controller 270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GUI (S405). Then, the controller 270 maps the gain value to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afterimage region and stores it in the memory 230 .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잔상 제거 방법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afterimage removal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6 , taking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to be removed is the multimedia device 200 as an example. do.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41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사용 중 디스플레이부(240)에 잔상이 보이는 경우, 잔상 제거를 위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execute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and output the execution screen 410 to the display unit 240 . When an afterimage is seen on the display unit 240 while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being used, the user may execute a menu for removing the afterimage.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Blue 발광소자, Red 발광소자, Green 발광소자 및 White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unit 240 includes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red light emitting device,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white light emitting device.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R/G/B/W 발광소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R/G/B/W 발광소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광소자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Blue 발광소자 및 Green 발광소자에 대해서만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by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may be performed in a preset order for each of the R/G/B/W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 or R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 It may be performed only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G/B/W light emitting devices.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user performs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only for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green light emitting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실행 화면(240)에서 확인 메뉴(411)를 선택하면, 도 8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될 수 있다. 먼저, Blue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firmation menu 411 on the execution screen 240 shown in FIG. 7 , the screen of FIG. 8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240 . First, an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제어부(270)는, 제1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발광소자(일례로, Blue 발광소자)는 활성화되고 그 밖의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일례로, G/R/W 발광소자)는 비활성화된 제1 화면(42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에 의해 나타나는 잔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1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때의 제1 화면(420)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화면(420)에 "LOGO"라는 잔상(S)이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controller 270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eg,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emitting light of a first wavelength region and a light emitting device (eg, G/R/ W light emitting device) may output the deactivated first screen 420 to the display unit 240 . In order to check the afterimage displayed by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it is intended to check the first screen 420 whe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is activ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n afterimage S of “LOGO” appears on the first screen 420 .

제어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421)를 상기 제1 화면(420)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사용하여 상기 잔상(S)에 대응하는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display 240 to output a guide message 421 for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42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 The user may select an after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S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using a remote controll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화면(420)에 나타난 잔상(S)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9 , a portion of the afterimage 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420 is enlarged.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P)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P)가 잔상(S)의 테두리를 지나가게 함으로써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포인터(P)가 지나간 부분에는 포인터(P)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궤적(421)이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사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기에 상기 잔상(S)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 제어부(270)는, 상기 제1 화면(42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afterimage area using the pointer P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 For example, the afterimage area may be selected by allowing the pointer P to pass through the edge of the afterimage S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3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rajectory 421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P may be displayed on a portion through which the pointer P passes while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pr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afterimage S is too small to select the afterimage area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 the controller 270 may enlarge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420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controlled.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제1 화면(42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할 때, 상기 제1 화면(420) 상에 여러 셀(cell)을 포함하는 격자 무늬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셀 각각은 제1 화면(420)을 구성하는 영상의 픽셀 각각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1 화면(420)을 구성하는 영상의 픽셀들 중 인접한 두 개의 픽셀 또는 네 개의 픽셀과 대응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P)를 이용하여, 상기 격자 무늬에 포함된 셀을 선택함으로써 잔상 영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420 is enlarged, the controller 270 displays a grid pattern including several cells on the first screen 420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controlled. Each of the cells may correspond to each pixel of the image constituting the first screen 420 , or may correspond to two or four adjacent pixels among pixels of the image constituting the first screen 420 . A user can easily select an afterimage area by selecting a cell included in the grid pattern using the pointer P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제1 화면(42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할 때, 제1 화면(420) 중에서 상기 포인터(P)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한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하고, 상기 부분 확대 화면은 표시 배율이 변경되지 않은 상기 제1 화면(420)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확대 화면은 상기 포인터(P)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420) 상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420 is enlarged, the controller 270 enlarges a partial area of the first screen 420 including the point where the pointer P is located. to output the partially enlarged screen represented by this to the display unit 240 , and the partially enlarged screen may be overlaid and output on the first screen 420 in which the display magnification is not changed. Also, the position of the partially enlarged screen may be changed on the first screen 42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P.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제1 화면(42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할 때, 디스플레이부(240)에 상기 제1 화면(420)이 확대되어 표시된 부분이 표시 배율이 변경되지 않은 제1 화면(420)의 전체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상기 제1 화면(420)이 확대되어 표시된 부분 상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ntroller 270 enlarges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420 , the portion displayed by the enlarged first screen 420 on the display unit 240 has a display magnification. A graphic image for indicating which part of the entire part of the first screen 420 that has not been changed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The graphic image may be overlaid on the display unit 240 and displayed on the enlarged first screen 420 and outpu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using a remote controll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화면(420)에 나타난 잔상(S)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10 , a portion of the afterimage 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420 is enlarged.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P)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 손의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하여 실제 잔상(S)을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afterimage area using the pointer P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 However,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to select the afterimage area to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afterimage S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due to shaking of the user's hand.

제어부(270)는, 도 10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해 표시된 궤적(421a)이 고르지 못한 경우, 상기 궤적(421a)을, 기 설정된 보정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여 도 10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은 궤적(421b)의 형태로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70)는, 상기 궤적(421a)의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포인터(P)를 아래 방향의 일직선 상에서 움직이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눌린 시점에 포인터(P)가 위치하는 지점과 상기 특정 버튼의 눌림이 해제된 시점에 포인터(P)가 위치하는 지점을 잇는 일직선의 궤적(421b)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trajectory 421a displayed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uneven as shown in (a) of FIG. 10 , the controller 270 applies a preset correction algorithm to the trajectory 421a in FIG. 10 . It can be corrected in the form of the trajectory 421b as shown in (b) of FIG.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may determine the user's intention to move the pointer P in a downward straight line based on the shape of the trajectory 421a, and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300 . A straight trajectory 421b linking the point at which the pointer P is positioned at the pressed point and the point at which the pointer P is positioned when the specific button is released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using a remote controll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화면(420)에 나타난 잔상(S)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11 , a portion of the afterimage 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420 is enlarged.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P)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 손의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하여 실제 잔상(S)을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afterimage area using the pointer P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 However,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to select the afterimage area to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afterimage S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due to shaking of the user's hand.

제어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한 잔상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도형 메뉴(43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형 메뉴(430)에는, 직선에 대응하는 제1 메뉴(431), 곡선에 대응하는 제2 메뉴(432), 사각형에 대응하는 제3 메뉴(433), 원형에 대응하는 제4 메뉴(43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output a figure menu 430 that can be used by a user to the display unit 240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select an afterimage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 For example, in the figure menu 430 , a first menu 431 corresponding to a straight line, a second menu 432 corresponding to a curve, a third menu 433 corresponding to a rectangle, and a fourth menu corresponding to a circle are included. A menu 434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일례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사용하여 직선에 대응하는 제1 메뉴(431)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1 메뉴(4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P)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menu 431 corresponding to a straight line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enu 431 is activated, The afterimage area may be selected using the corresponding pointer P.

도 9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270)는, 이를 토대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when the user selects the afterimage area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and presses the OK button, the controller 270 may detect the afterimage area based on thi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70)가 상기 제1 화면(42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70 may utiliz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go selected by the user in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420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잔상과 관련된 로고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 logo related to an after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3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시청 가능한 채널의 로고, 각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로고 등과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로고 관련 정보란, 로고의 형태에 관한 제1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상에서 로고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관련된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로고가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좌표 정보는, 로고가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상에서 대략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아니라, 로고로서 표시되는 영역 전체에 대한 정확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mory 23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store logo-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ogo of a channel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a logo of a program transmitted through each channel, and the like. Here, the logo-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irst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logo and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where the logo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for indicating where the logo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include accurate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entire region displayed as a logo, rather than information indicating in which region the logo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

일반적으로, 동일한 채널의 경우 화면 상의 동일한 위치에 방송국의 로고가 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로고는 움직이지 않는 정지 영상으로 표현되므로, 상기 로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발광소자가 열화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동일한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화면 상의 동일한 위치에 프로그램의 로고가 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로고 역시 움직이지 않는 정지 영상으로 표현되므로, 해당 발광소자의 열화로 인한 잔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 및 특정 프로그램의 로고와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하고, 제어부(270)는 상기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를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same channel, the logo of a broadcasting station is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screen in most cases, and since this logo is expressed as a still image that does not move,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unit 240 on which the logo is displayed may be deteriorated. high portential.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same program, since the logo of the program is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screen in most cases and the logo is also expressed as a still image that does not move, there is a risk of an afterimag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ly, logo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logo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program are stored in the memory 230, and the controller 270 may use the stored logo related information to detect an afterimage area. .

이러한 로고 관련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방송 신호 내 EPG 데이터에 로고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상기 EPG 데이터를 파싱하여 로고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Such logo-related information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may be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upd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logo-related information is included in EPG data in a broadcast signal, the controller 270 may parse the EPG data to obtain logo-related information.

제어부(27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로고들을 포함하는 GUI(4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GUI(440)는, 도 8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된 이후에 출력될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되기 전에 출력될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한 잔상 영역의 선택과 무관하게 출력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display 240 to display the GUI 440 including logos corresponding to logo-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30 . The GUI 440 may be output after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 or before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 may be output, or may be output irrespective of the selection of the afterimage area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

상기 GUI(4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로고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된 이후라면,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로고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잔상 영역의 형태 및 위치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로고들의 목록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GUI 440 may include a list of all logos corresponding to the logo-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30 , and if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 the logo stored in the memory 230 . Among all logos corresponding to the related information, only a list of logos determined to be similar to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selected afterimage area may be included.

사용자가 상기 GUI(440)에 포함된 로고들 중에서 상기 잔상(S)과 관련된 "LOGO"를 선택하고 확인 메뉴(441)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제어부(27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LOGO"의 형태 및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상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It is assumed that the user selects “LOGO” related to the afterimage S from among the logos included in the GUI 440 and selects the confirmation menu 441 . The control unit 270 may determine the shape of the “LOGO” and the loc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logo-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30 .

일례로, 상기 GUI(440)가 도 8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출력된 경우, 제어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과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420)에 나타난 잔상(S)에 대응하는 잔상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디텍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GUI(44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하기 전에,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에 기초하여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한 정보란,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 중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 도형, 아이콘, 로고 등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GUI는, 사용자에게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이는 잔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GUI(440)가 도 8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의한 잔상 영역의 선택 없이 출력된 경우라도, 제어부(270)는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420)에 나타난 잔상(S)에 대응하는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UI 440 is output before or after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300 . ),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after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420 based on the logo-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30 and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 According to an embodiment, before outputting the GUI 440 to the display unit 240 , the controller 270 detects an afterimage area based on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 and the detection A GUI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sidual image area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among the logo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30 , and may include characters, figures, It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con, a logo, or the like. The GUI may include a guide message for the user to confirm whether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matches the afterimage visible to the user. As another example, even when the GUI 440 is output without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by the remote controller 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 the controller 270 stores the memory 230 in the memory 230 . An after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420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stored logo related information.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and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예를 들어,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GUI(45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when the afterimage area is detected,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ontrol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40 corresponding to the area surrounding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eg, The first GUI 450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detected afterimage region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일례로, 제1 GUI(450)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 바(451) 및 상기 조절 바(451) 상에서 이동 가능한 지시자(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지시자(452)가 조절 바(451) 상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지시자(452)가 조절 바(451)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잔상(S)은 소자의 열화로 인해 해당 발광소자가 제 휘도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하는 것이므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휘도를 낮춤으로써, 잔상(S)이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본 실시예는 잔상(S)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므로, 지시자(452)가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만 조절 바(451) 상에서 움직이도록 제1 GUI(450)가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UI 450 may include an adjustment bar 451 and an indicator 452 movable on the adjustment bar 451 to adjust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have. When the indicator 452 moves to the right on the control bar 451 , the control unit 240 increases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indicator 452 moves the control bar 451 to the right. When the image moves to the left,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may be reduced accordingly. Since the afterimage S is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device,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is unable to exert its luminance. to make it invisi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removing the afterimage S, the indicator 452 moves on the adjustment bar 451 only in a direction for reducing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To this end, the first GUI 450 may be implemented.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 화면(420)에서 잔상(S)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지시자(452)를 조절 바(451)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the user moves the indicator 452 on the control bar 451 until the afterimage S is no longer visible on the first screen 420 , so that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You can adjust the luminance of

제어부(270)는, 상기 제1 GUI(450) 내 확인 메뉴(453)가 선택된 경우, 지시자(452)가 위치하는 조절 바(451) 상의 지점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와 맵핑하여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confirmation menu 453 in the first GUI 450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270 sets a gain value corresponding to a point on the control bar 451 where the indicator 452 is located in the second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1 may be mapped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stored in the memory 23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제1 GUI(450)에 의해 선택된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정도보다 낮을 경우, 사용자에게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이 어둡게 보일 수 있다는 알림 메시지(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240 selected by the first GUI 450 is lower than a preset level, the controller 270 provides the user with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area. You can also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or warning message) that this may appear dark.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270)는,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도(예를 들어,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GUI(46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afterimage area is detected,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is configured to control a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40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eg,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The second GUI 460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일례로, 제2 GUI(460)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기 설정된 제1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1 메뉴(461),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2 메뉴(462) 및 상기 제2 레벨보다 낮은 제3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3 메뉴(46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GUI 460 may include a first menu 461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to a preset first level, and to a second level lower than the first level. It may include a second menu 462 for adjusting and a third menu 463 for adjusting to a third level lower than the second level.

제어부(270)는, 지금까지 Blue 발광소자에 대해 수행된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횟수, Blue 발광소자에 대해 수행된 직전 잔상 제거 프로세스로부터 지금까지 흐른 시간, Blue 발광소자에 대해 수행된 직전 잔상 제거 프로세스에서 적용된 게인 값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레벨, 제2 레벨 및 제3 레벨 각각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벨, 제2 레벨 및 제3 레벨 각각에 대응하는 게인 값은, 발광소자의 종류 및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수행 시마다 달라질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70, the number of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per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so far, the time elapsed from the last afterimage removal process per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until now,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afterimage removal process per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gain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level, the second level, and the third level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ed gain value and the like. A gain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level, the second level, and the third level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when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사용자가 상기 제1 메뉴(461), 제2 메뉴(462) 및 제3 메뉴(46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미리보기 메뉴(464)를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 레벨을 조절하고,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 나타난 잔상(S)의 정도 및 유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메뉴(461), 제2 메뉴(462) 및 제3 메뉴(463) 중 어느 하나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 메뉴(461), 제2 메뉴(462) 및 제3 메뉴(46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확인 메뉴(465)를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와 맵핑하여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menu 461, the second menu 462, and the third menu 463 and then selects the preview menu 464,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luminance level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may be adjusted using the gain value, and a preview screen including the adjustment resul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The user decides which one of the first menu 461 , the second menu 462 , and the third menu 463 to finally select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and presence of the afterimage S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can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menu 461 , the second menu 462 , and the third menu 463 and then selects the confirmation menu 465 ,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gai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value may be mapp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and stored in the memory 23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제2 GUI(460)를 통해 제2 메뉴(162) 또는 제3 메뉴(163)가 선택될 경우, 사용자에게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이 어둡게 보일 수 있다는 알림 메시지(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second menu 162 or the third menu 163 is selected through the second GUI 460 , the controller 270 provides the user with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area. It can also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or warning message) that the screen may look dark.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사용자가 Blue 발광소자 및 Green 발광소자에 대해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으로 선택하였으므로, 상술한 바에 따라 Blue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완료된 이후 Green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7, since the user has selected to perform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leted,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green light emitting device may proceed. have.

제어부(270)는, 제2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제2 발광소자(일례로, Green 발광소자)는 활성화하고 그 밖의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일례로, B/R/W 발광소자)는 비활성화된 제2 화면(47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화면(470)에 "LOGO"라는 잔상(S)이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control unit 270 activates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eg,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emit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region and a light emitting device (eg, B/R/ W light emitting device) may output the deactivated second screen 470 to the display unit 240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n afterimage S of “LOGO” appears on the second screen 470 .

제어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471)를 상기 제2 화면(470)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사용하여 상기 잔상(S)에 대응하는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display 240 to output a guide message 471 for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on the second screen 47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 The user may select an after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S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

그 이후의 과정은 도 9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ubsequent process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5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잔상 제거 방법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7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자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afterimage removal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 taking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to be removed is the mobile terminal 100 as an example. do. However,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 in relation to FIGS. 7 to 16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and for the overlapping cont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 content.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된 여러 파장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방광소자들 중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length range among the bladder devices emitting light of various wavelength range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5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발광소자(일례로, Blue 발광소자)는 활성화하고 그 밖의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는 비활성화된 제1 화면(51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잔상(T)이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first screen 510 in which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eg,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is activated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light of other wavelength ranges are deactivated. It can output to the unit 151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n afterimage T corresponding to an indicator indicating a menu for returning to a previous screen appears.

제어부(180)는, 잔상 영역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511)를 상기 제1 화면(510)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51)을 터치하여 상기 잔상(T)에 대응하는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잔상 영역을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151)을 터치할 때, 이러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궤적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상기 잔상(T)의 크기가 작아서 사용자가 손으로 잔상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기 어려운 경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화면(51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을 토대로, 상기 제1 화면(510)에 나타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51 to output a guide message 511 to select an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510 . The user may select an after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T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151 .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151 to select the afterimage area,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In some implementations, when the size of the afterimage T is small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urately touch the afterimage area with a hand, the controller 180 adjusts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510 according to a preset touch input.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trolled to enlarge.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e afterimage area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510 based on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user's touch input.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51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할 때, 상기 제1 화면(510) 상에 여러 셀(cell)을 포함하는 격자 무늬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셀 각각은 제1 화면(510)을 구성하는 영상의 픽셀 각각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1 화면(510)을 구성하는 영상의 픽셀들 중 인접한 두 개의 픽셀 또는 네 개의 픽셀과 대응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격자 무늬에 포함된 셀을 선택함으로써 잔상 영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510 is enlarg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grid pattern including several cells on the first screen 510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trolled. Each of the cells may correspond to each pixel of the image constituting the first screen 510 or may correspond to two or four adjacent pixels among pixels of the image constituting the first screen 510 . A user may easily select an afterimage area by selecting a cell included in the grid pattern.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51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할 때, 제1 화면(510) 중에서 상기 포인터(P)가 위치하는 지점을 포함한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상기 부분 확대 화면은 표시 배율이 변경되지 않은 상기 제1 화면(510)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확대 화면은 상기 포인터(P)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510) 상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510 is enlarged, the controller 180 enlarges a partial area of the first screen 510 including the point where the pointer P is located. A partially enlarged screen represented by the 'A'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partially enlarged screen may be overlaid and output on the first screen 510 in which the display magnification is not changed. Also, the position of the partially enlarged screen may be changed on the first screen 51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P.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510)의 표시 배율을 확대할 때,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 화면(510)이 확대되어 표시된 부분이 표시 배율이 변경되지 않은 제1 화면(510)의 전체 부분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 화면(510)이 확대되어 표시된 부분 상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잔상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이 이동 단말기(1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ntroller 180 enlarges the display magnification of the first screen 510 , the portion displayed by the enlarged first screen 510 on the display unit 151 has a display magnification. A graphic image for indicating which part of the entire part of the first screen 510 that has not been changed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graphic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by being overlaid on the enlarged portion of the first screen 510 and output. Of course, when the user selects the afterimage area, the same or similar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80)가 상기 제1 화면(51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utiliz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dicator selected by the user in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510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잔상과 관련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indicator related to an after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 가능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란, 인디케이터의 형태에 관한 제1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에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관련된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좌표 정보는,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에서 대략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아니라,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되는 영역 전체에 대한 정확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tore indicator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n indicator that can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151 . Here,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irst information regarding the shape of the indicator and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where the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for indicating where the indicator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 For example,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include accurate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entire region displayed as the indicator, rather than information indicating in which region the indicator is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

상기 인디케이터란, 화면 상단의 알림 바(notification bar)에 표시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제1 인디케이터, 잔여 배터리 용량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터, 외부 서버와 어느 통신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3 인디케이터,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모드가 소리 모드인지 진동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제4 인디케이터, 이동통신사를 나타내는 제5 인디케이터 등에 해당할 수 있고,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메인 홈 화면에 진입하기 위한 메뉴를 나타내는 제6 인디케이터,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를 나타내는 제7 인디케이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이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에 대응하는 제8 인디케이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The indicator means a first indicator indica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a wireless signal displayed on a notification bar at the top of the screen, a second indicator indicat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an external server and through which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t may correspond to a third indicator indicating, a fourth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the notification mode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is a sound mode or a vibration mode, a fifth indicator indicating a mobile operator, etc., and entering the main home screen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t may correspond to a sixth indicator indicating a menu for the user, a seventh indicator indicating a menu for returning to a previous screen, an eighth indicator corresponding to a menu for checking a history of applications used within a preset time,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동일한 인디케이터의 경우 화면 상의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발광소자가 열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를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In general, the same indicator may be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screen,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display unit 151 on which the indicator is displayed is deteriorated. Accordingly, indicator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stored indicator related information to detect the afterimage area.

이러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Such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may be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updated.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70)에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동 단말기(1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므로, 도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로고 관련 정보도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로고에 대응하는 로고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7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sinc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eive a broadcast signal, the logo-related informatio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12 is also stored in the memory ( 170) may be stor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utilize logo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go selected by the user in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마찬가지로, 도 12에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30)에 로고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 가능한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도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어부(270)는, 상기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Similarly, in FIG. 12 , a case in which logo-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3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dicator that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is also stored in the memory 230 . Of course, it may be stor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70 may utiliz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 selected by the user in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하는 GUI(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GUI(520)는,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된 이후에 출력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되기 전에 출력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에 의한 잔상 영역의 선택과 무관하게 출력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8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51 to display the GUI 520 including indicators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7 , the GUI 520 may be output after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may be output before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or may be output by the touch input. It may be output irrespective of the selection of the afterimage area.

상기 GUI(52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인디케이터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된 이후라면, 메모리(170)에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인디케이터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잔상 영역이 형태 및 위치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인디케이터들의 목록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GUI 520 may include a list of all indicators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f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a touch input,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Among all the corresponding indicators, the selected afterimage area may include only a list of indicators determined to be similar in shape and location.

사용자가 상기 GUI(520)에 포함된 인디케이터들 중에서 상기 잔상(T)과 관련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고 확인 메뉴(521)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의 형태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user selects an indicator related to the afterimage T from among the indicators included in the GUI 520 and selects the confirmation menu 521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shape of the selected indicator and the loc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based on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

일례로, 상기 GUI(520)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에 의해 잔상 영역이 선택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출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과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510)에 나타난 잔상(T)에 대응하는 잔상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디텍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GUI(5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기 전에,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에 기초하여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한 정보란, 메모리(170)에 저장된 로고 관련 정보 중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과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 도형, 아이콘, 인디케이터 등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GUI는, 사용자에게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이 사용자에게 보이는 잔상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UI 520 is output before or after the afterimage area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7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touch input and the memory Based on the indicator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170 , the after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T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510 may be more accurately det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before outputting the GUI 520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ler 180 detects an afterimage area based on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a touch input, and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A GUI including information on . .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among the logo 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 and may include characters, figures, It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con, an indicator, or the like. The GUI may include a guide message for the user to confirm whether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matches the afterimage visible to the user.

다른 일례로, 상기 GUI(520)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입력에 의한 잔상 영역의 선택 없이 출력된 경우라도,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인디케이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510)에 나타난 잔상(T)에 대응하는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even when the GUI 520 is output without selection of an afterimage area by a touch inpu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7 , the controller 180 is based on the indicato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 Thus, the after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T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510 may be detected.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GUI(53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when the afterimage area is detec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to adjust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rea surrounding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The GUI 53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일례로, 제1 GUI(530)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 바(531) 및 상기 조절 바(531) 상에서 이동 가능한 지시자(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지시자(532)가 조절 바(531) 상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지시자(532)가 조절 바(531)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UI 530 may include an adjustment bar 531 and an indicator 532 movable on the adjustment bar 531 to adjust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have. When the indicator 532 moves to the right on the control bar 531 , the controller 180 increases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and the indicator 532 moves the control bar 531 to the right. When the image moves to the left,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may be reduced accordingly.

사용자는, 상기 제1 화면(510)에서 잔상(T)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지시자(532)를 조절 바(531)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by moving the indicator 532 on the control bar 531 until the afterimage T is not visible on the first screen 510 . .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지시자(532)가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조절 바(451) 상의 지점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와 맵핑하여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ps a gain value corresponding to a point on the control bar 451 at which the indicator 532 is finally positioned by the user with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70 . ca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GUI(530)에 의해 선택된 디스플레이부(151)의 휘도가 기 설정된 정도보다 낮을 경우, 사용자에게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어둡게 보일 수 있다는 알림 메시지(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 selected by the first GUI 530 is lower than a preset level,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area may appear dark. A message (or warning message) can also be output.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GUI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GUI output to a display unit to remove an afterimage when an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GUI(54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afterimage area is detec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second GUI 540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rea surrounding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It can output to the unit 151 .

일례로, 제2 GUI(540)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기 설정된 제1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1 메뉴(541),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2 메뉴(542) 및 상기 제2 레벨보다 낮은 제3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3 메뉴(54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GUI 540 may include a first menu 541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to a preset first level, and to a second level lower than the first level. It may include a second menu 542 for adjusting and a third menu 543 for adjusting to a third level lower than the second level.

제어부(180)는, 지금까지 Blue 발광소자에 대해 수행된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횟수, Blue 발광소자에 대해 수행된 직전 잔상 제거 프로세스로부터 지금까지 흐른 시간 및 Blue 발광소자에 대해 수행된 직전 잔상 제거 프로세스에서 적용된 게인 값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레벨, 제2 레벨 및 제3 레벨 각각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벨, 제2 레벨 및 제3 레벨 각각에 대응하는 게인 값은, 발광소자의 종류 및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수행 시마다 달라질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number of afterimage removal processes per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so far, the time elapsed from the last afterimage removal process per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until now,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afterimage removal process performed on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gain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level, the second level, and the third level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ed gain value and the like. A gain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level, the second level, and the third level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when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사용자가 상기 제1 메뉴(541), 제2 메뉴(542) 및 제3 메뉴(54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미리보기 메뉴(544)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 레벨을 조절하고,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 나타난 잔상(T)의 정도 및 유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메뉴(541), 제2 메뉴(542) 및 제3 메뉴(543) 중 어느 하나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 메뉴(541), 제2 메뉴(542) 및 제3 메뉴(54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확인 메뉴(545)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게인 값을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와 맵핑하여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menu 541, the second menu 542, and the third menu 543 and then selects the preview menu 544,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luminance level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may be adjusted using the gain value, and a preview screen including the adjustment resul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user decides which one of the first menu 541 , the second menu 542 , and the third menu 543 to finally select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and presence of the afterimage T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can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menu 541 , the second menu 542 , and the third menu 543 and then selects the confirmation menu 545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gai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value may be mapp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and stored in the memory 23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2 GUI(540)를 통해 제2 메뉴(542) 또는 제3 메뉴(543)가 선택될 경우, 사용자에게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이 어둡게 보일 수 있다는 알림 메시지(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second menu 542 or the third menu 543 is selected through the second GUI 540 , the controller 180 provides the user with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area. It can also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or warning message) that the screen may look dark.

도 17 내지 도 2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그 밖의 다른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에 대해서도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 a user may also perform an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light emitting devices corresponding to other wavelength range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이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잔상 제거를 위하여 이용되는 장치로서 카메라를 구비하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예를 들어, 페어링된 또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디바이스인 것으로 가정한다.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1 , a first display device is a device to be removed after an afterimage, and a second display device is an apparatus used to remove an afterimag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ich includes a camera and is interoperable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eg, For example, it is assumed to be a paired or wirelessly connected device).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601).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고, 그 이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도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S601).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n after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of the external device may be first executed in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may be executed also in the firs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The latter cas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5 to 28 .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602). 상기 제1 화면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방출하는 여러 파장 영역의 광 중에서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Blue 발광소자, Red 발광소자, Green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Blue 발광소자, Red 발광소자, Green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와 White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R/G/B/W 발광소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R/G/B/W 발광소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광소자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lue 발광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잔상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들은 비활성화하고, Blue 발광소자들만 활성화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In the first display device, a first screen is displayed (S602). The first screen may b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length range among light of various wavelength ranges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 red light emitting device, and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whit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one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preset order for each of the R/G/B/W light emitting devices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R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It may be performed only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G/B/W light emitting devices.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remove the afterimage generated by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the first display device deactivates the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light of a different wavelength region and displays the first screen in which only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s are activated. can be printed on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reset signal transmitted from a second display device to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is detected,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execute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fterimages and output the first screen to the display unit .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한다(S603).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도 있다.The second display device activates the camera and acquires the first image by using the camera (S603). 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output a guide message to the display unit to photograph the first screen using the camera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o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first display device.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의 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디스커버리(검색)하고, 기 연결된 이력이 있는 디바이스(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스커버리에 의해 확인된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잔상 제거를 위한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first execut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device discovers (searche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device with a pre-connected history (second display device) ) or a first signal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to a device (second display device)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devices identified by the discovery.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execute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activate a camera, and display a preview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on the display unit have.

다른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의 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디스커버리하고, 기 연결된 이력이 있는 디바이스(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스커버리에 의해 확인된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잔상 제거를 위한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first execut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second display device discover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has a pre-connected history (the first display device) or A second signal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to a device (first display devic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devices identified by the discovery may be transmitted.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execute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and output the first screen to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activate the camera and display the preview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on the display unit.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리뷰 이미지를 출력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된 제1 화면을 촬영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outputting the preview image,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output a guide message to photograph the first screen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on the display unit.

한편, 상기 제1 이미지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화면을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mage may be an image including a first scree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obtained by a camera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04). The second display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to the first display device (S604).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출력된 제1 이미지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제1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신호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시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device outputs a first image to the display unit, detects a first signal for selecting a residual image region from the outputted first image,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residual image region selected by the first signal. It may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다른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출력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잔상과 관련된 로고 및/또는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제2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신호에 의해 선택된 로고 및/또는 인디케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시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display device outputs a first image to the display unit, detects a second signal for selecting a logo and/or an indicator related to an afterimage included in the outputted first image, and the second signal Information about the logo and/or indicator selected by . may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또 다른 일례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휘도를 갖는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 제1 이미지 내에서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및 제1 이미지 내에서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형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시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display device detects a region having a luminanc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level in the first image, and includes luminance data of the detected region and the detected region in the first image. At least one of location data and shape data of the detected region in the first image may be included 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세 가지 예시가 조합된 예시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above three examples are combined is also possible.

상기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영역 또는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영역 또는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형태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영역 또는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데이터 및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includes image data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en acquired by the camera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the selected region or the location data of the detected area), shape data of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the selected area or the detected area), and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uminance data of the selected area or the detected area), data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data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된 제1 화면 자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가 셀프 캡쳐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rocessing of predetermined image data is possible in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device self-captures the first screen itself outpu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to obtain the first image may also be possible.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화면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S605).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제1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화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영역에서 잔상으로 추정되는 제2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영역 내 상기 제2 영역의 위치(예를 들어, 상대적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영역 또는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형태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휘도 데이터,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데이터 및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device may receiv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from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may detect an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S605). The first display device is configured to detect a first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en from the first image based on image data of the first image included 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and from the detected first area A second area estimated to be an afterimage may be detected, and the afterimage area may be detected on the first screen based on a location (eg,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within the first area. 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include location data of a region (eg, the selected region or the detected region) estimated to be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and the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At least one of shap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 luminanc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data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data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may be referred to.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한다(S606). 즉,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n, the first display device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S606). That is,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제1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와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디텍트하고, 상기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와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의 차이가 감소하도록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include, based on image data of the first image included 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a luminance of a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and a periphery of the afterimage area.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area may be detected, and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may be adjusted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afterimage area and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area is reduced.

다른 일례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휘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휘도와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의 차이가 감소하도록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of the detected afterimage region and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region is reduced based on luminanc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may be adjusted to do so.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 조절에 이용된 게인 값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store a gain value used to adjust luminance of a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in a memory.

그 후,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다시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재 출력된 제1 화면에 잔상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고, 남아있다면 단계(S603~604)를 다시 수행하여 제1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재 출력된 제1 화면에 잔상이 남아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다른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output the first screen in which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length region is activated again to the display unit. The user may check whether an afterimage remains on the re-output first screen, and if there is, perform steps S603 to 604 again to perform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o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gain. If there is no afterimage remaining on the re-output first screen, the user may terminate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or proceed with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wavelength region.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44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이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인 경우에, 도 21과 관련하여 상술한 잔상 제거 방법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afterimage removal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1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is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the mobile terminal 100 using FIGS. 22 to 44 will be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2 and 2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ecuting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환경 설정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감지된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GUI(70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거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외관에 구비된 특정 버튼이 선택된 경우 발생될 수 있다.When a signal for executing the environment setting menu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sensed,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outputs the GUI 700 as shown in FIG. 22 to the display unit 240 . can do.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ler or may be generated when a specific button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selected.

상기 GUI(7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소정 기능과 관련된 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GUI(700)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GUI(7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잔상방지/영상/음향/네트워크 등과 관련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메뉴 리스트(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 리스트(710) 내 잔상방지 메뉴(711)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발생된 잔상을 제거하거나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메뉴 리스트(720)를 상기 GUI(700)에 포함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메뉴 리스트(720)는 GUI(700) 내에서 제1 메뉴 리스트(71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GUI 700 may include a menu list for setting an environment relat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For example, when the GUI 700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ignal, the GUI 700 is a first menu list 710 for setting functions related to afterimage prevention/image/sound/network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 may be included. When the afterimage prevention menu 711 in the first menu list 710 is selected, the controller 270 removes the afterimage generated on the display unit 240 or prevents the afterimage from occurring on the display unit 240 . A second menu list 720 for display may be included in the GUI 700 . For example, the second menu list 720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menu list 710 in the GUI 700 .

일례로, 제어부(270)는, 상기 제2 메뉴 리스트(720) 중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메뉴(721)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ignal for selecting the application menu 721 for removing the afterimage from the second menu list 720 is detected, the controller 270 may execute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다른 일례로, 제어부(270)는, 상기 제2 메뉴 리스트(720) 중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메뉴(721)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잔상 제거와 관련된 세부 설정을 위한 제3 메뉴 리스트(730)를 상기 GUI(700)에 포함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메뉴 리스트(73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자체에서 사용자의 수동 선택에 따라 잔상을 제거하기 위한 메뉴(731)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외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잔상을 제거하기 위한 메뉴(7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메뉴 리스트(730)는, 사용자에게 잔상 제거를 위한 알림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73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제3 메뉴 리스트(730) 중에서 메뉴(731) 또는 메뉴(732)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메뉴와 관련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signal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menu 721 for afterimage removal from among the second menu list 720 is detected, the controller 270 includes a third menu list 730 for detailed setting related to afterimage removal. ) may be included in the GUI 700 and displayed. For example, the third menu list 730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a menu 731 for removing an afterimage according to a user's manual selection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itself and an external device interlocked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 may include a menu 732 for removing the after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menu list 730 may further include a menu 733 for setting a notif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to the user. When a signal for selecting the menu 731 or the menu 732 from among the third menu list 730 is detected, the controller 27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and displays an execution screen related to the menu on the display unit. (240) can be output.

한편, 제어부(270)는, 상기 제3 메뉴 리스트(730) 내 메뉴(733)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상 제거를 위한 알림을 설정하기 위한 제4 메뉴 리스트(740)를 상기 GUI(700) 내에 포함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메뉴 리스트(74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실제 시청 시간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메뉴(741) 및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잔상을 제거한 이후 경과한 날짜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메뉴(7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제4 메뉴 리스트(720) 중에서 메뉴(741)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기 설정된 시청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잔상 제거를 위한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하고, 메뉴(742)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잔상 제거가 마지막으로 수행된 이후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잔상 제거를 위한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각 메뉴(741, 742)에는 편집 아이콘(741a, 742b)이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는, 각 편집 아이콘(741a, 742b)을 선택함으로써, 알림 주기의 기초가 되는 시간 또는 날짜를 편집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ignal for selecting the menu 733 in the third menu list 73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70 , as shown in FIG. 23 , is a fourth menu list for setting a notif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740 may be included in the GUI 700 and displayed. For example, the fourth menu list 740 may include a menu 741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ev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based on the actual viewing time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A menu 742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ever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based on the elapsed date after the afterimage is removed may be included. When a signal for selecting the menu 741 from the fourth menu list 72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70 sets to provide a notif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to the user whenever a preset viewing time elapses, When a signal for selecting 742 is detected, it may be set to provide a notif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to the user whenever a preset period has elapsed since afterimage removal was last performed. Each of the menus 741 and 742 includes edit icons 741a and 742b, and the user may edit the time or date, which is the basis of the notification period, by selecting the respective edit icons 741a and 742b.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multimedia device as an example of a firs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예를 들어, Blue 발광소자)에 대하여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지만,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소정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들(예를 들어, R/G/B/W 발광소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진행되거나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소정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들(예를 들어, R/G/B/W 발광소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광소자에 대해서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eg, blue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length region, bu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display unit For each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eg, R/G/B/W light emitting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wavelength region included in 240 , an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in a preset order or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 Of course,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may be performed on a light emitting device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eg, R/G/B/W light emitting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wavelength reg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화면(81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한다. 물론,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화면(410)이 상기 제1 화면(810) 전에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화면(810)은,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다른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들은 비활성화된 화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화면(810)에 "LOGO"라는 잔상(S)이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xecutes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and outputs the first screen 810 to the display unit 240 . Of course, the screen 41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before the first screen 810 . In the first screen 810 ,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length region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are activated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s corresponding to other wavelength region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are deactivated. It could be a scree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n afterimage S of “LOGO” appears on the first screen 810 .

일례로, 제어부(270)는,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감지된 경우,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화면(81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기 연결된 이력이 있는 디바이스(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검색에 의해 확인된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이동 단말기(100))에 잔상 제거를 위한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화면(810)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라는 안내 메시지(811)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신호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command for executing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detected, the controller 270 may execute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and output the first screen 810 to the display unit 24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70 searches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 and provides a device with a pre-connected history (mobile terminal 100 ) or a user among the devices identified by the search. A first signal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to the selected device (mobile terminal 100 )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70 uses the mobile terminal 100 interlocked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photograph the first screen 810 and a guide message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811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utomatically executes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may be

다른 일례로, 제어부(270)는, 외부 디바이스(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잔상 제거를 위한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신호가 수신된 경우,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화면(81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화면(810)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라는 안내 메시지(811)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second signal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270 executes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and performs the first screen 810 .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to connect the mobile terminal 100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0 uses the mobile terminal 100 interlocked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photograph the first screen 810 , and a guide message 811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a secon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에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되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형성된 잔상을 제거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잔상 제거에 이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 사용자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잔상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n afterimage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first display device that is the target of the afterimage removal, the user can remove the afterimage formed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by using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second display device used to remove the afterimag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user may remove the afterimag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by using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이동 단말기(100)의 홈 화면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이 나열된 메뉴 화면에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900)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 내 상기 아이콘(900)을 선택함으로써,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On a hom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a menu screen in which icons of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re listed, an icon 900 of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fterimages is displayed. By selecting the icon 900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user may execute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고 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신호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신호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n afterimage is first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 and accordingly, a first signal for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180 of 10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connec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in response to the first signal, and automatically execute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ppl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행 화면(100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실행 화면(1000)은 출력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특히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도 7과 같은 화면(410)이 출력될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실행 화면(1000)의 출력이 생략될 수도 있다.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execution screen 1000 as shown in FIG. 26 to the display unit 151 .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xecution screen 1000 may not be output. In particular, when the screen 410 as shown in FIG. 7 is output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not output the execution screen 1000 . may be omitted.

상기 실행 화면(1000)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수행할 발광소자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실행 화면(100)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실행 화면(410)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xecution screen 1000 may be a screen for selecting a type of light emitting device to perform an afterimage removal process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be a target of afterimage removal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 Since the execution screen 100 is similar to the execution screen 4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이동 단말기(100) 간에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후 상기 실행 화면(1000)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자신의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발광소자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발광소자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화면(1000)을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execution screen 1000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after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display its own display un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d in 240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 , the execution screen 1000 may be configured.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하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111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search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1110 to the display unit 151 to notify the user that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being searched for afterimage removal.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검색은, 도 2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900)이 선택된 경우 수행될 수도 있고, 도 2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실행 화면(1000)에서 잔상 제거를 원하는 발광소자의 종류를 선택한 후 확인 메뉴가 선택된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검색 및 알림 메시지(1110)의 출력은 생략될 수 있다.The search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when the icon 900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5 , and related to FIG. Therefore, it may be performed when a confirmation menu is selected after selecting the type of light emitting device for which afterimage removal is desired on the execution screen 100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first execut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y a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 , the search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output of the notification message 1110 may be omitted.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11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connec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1120 for notifying the user tha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external device is being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51 .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도 2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에 따라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가 특정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한 경우, 또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먼저 실행되고 특정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external device having a history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exists, the controller 1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user select a specific external device from among the external devices search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7 . , or when the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first executed in a specific external device and a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is detec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controlled to conn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have.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12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tivates the camera 121 and displays the preview image 1200 obtained by the camera 121 on the display unit 151 . can be printed out.

일례로, 제어부(180)는, 도 2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900)이 선택된 경우,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12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후, 도 27 및 도 2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5 , when the icon 900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activates the camera 121 and The preview image 120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Then, thereafter,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7 and 28 may be performed.

다른 일례로, 제어부(180)는, 도 27 및 도 2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수행된 경우,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12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7 and 28 is performed, the controller 180 activates the camera 121 and displays the preview image 1200 obtained by the camera 121 . I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없이,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 내 카메라(121)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카메라(121)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activate the camera 121 according to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121 i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thout selecting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may be

사용자는, 프리뷰 이미지(1200) 내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가 위치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촬영 메뉴(1210)를 선택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잔상 영역이 실제 잔상(S)과 일치하도록 정확히 디텍트되려면 상기 제1 이미지 내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가 왜곡 없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 화면(810)의 올바른 사진 촬영 방법을 가이드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를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r may obtain the first image by selecting the shooting menu 1210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at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located in the preview image 1200 . . The obtained first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used to detect an afterimage area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the afterimage area to match the actual afterimage 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be positioned without distortion in the first image. To this end,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 guide message guiding a correct method of taking a picture of the first screen 810 may be outpu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0 .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de message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된 제1 화면(810)의 올바른 사진 촬영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12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 메시지(1220)는 도 29의 프리뷰 이미지(1200) 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프리뷰 이미지(1200)가 출력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guide message 1220 for guiding a correct method of taking a picture of the first screen 810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the display unit ( 151) can also be printed. The guide message 1220 may be displayed on the preview image 1200 of FIG. 29 or displayed before the preview image 1200 is output.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ultimedia device that is a target of afterimage removal when an appl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is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특정 외부 디바이스(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연결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는, 도 2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한 이력이 있는 디바이스이거나 도 2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에 따라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s a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external device (ie, the multimedia device 200 )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trolled.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9 , a device having a history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or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external devices search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7 . It may be a device.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제어하고, 제1 화면(81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ontrols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to connec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in response to a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first screen 81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상기 제1 화면(810)이란,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발광소자들 중 임의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화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2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수행할 발광소자의 종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발광소자와 관련된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수신된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발광소자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발광소자들 중 소정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제1 화면(81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The first screen 810 may be a screen in which a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wavelength region amo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6 , the typ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be performed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selected by the user,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light emitting device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is received,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ctivates a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wavelength region amo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displayed first screen 81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이하에서는, 도 32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과정의 예시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a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2 to 38 . decide to do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화면을 촬영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device is photographed us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리뷰 이미지(1200) 내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가 위치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촬영 메뉴(1210)를 선택함으로써, 제1 이미지(1300)가 획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9 , the user selects the shooting menu 1210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at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located in the preview image 1200 . By selecting, the first image 1300 may be obtained.

도 3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획득된 제1 이미지(1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2 ,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acquired first image 1300 to the display unit 151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대응하는 영역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윤곽선 검출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잔상 제거를 위하여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서 잔상 제거의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n the first image 13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corresponds to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which is a target of the afterimage removal from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121 to remove the afterimage by using a contour detection algorithm stored in the memory 170 , etc. area can be detected.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영역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1311)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인디케이터(1311)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인디케이터(1311)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인디케이터(1311)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인디케이터(1311)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이 실제 제1 이미지(1300)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영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디케이터(1311)가 실제 제1 이미지(1300)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영역과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detect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n the first image 1300 and displays an indicator 1311 indicating the detected area on the display unit 151 ) can be prin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adjusts the size of the indicator 1311 by touching an arbitrary point of the indicator 1311 and dragging in and out, or by touching and dragging an arbitrary point of the indicator 1311, the indicator ( 1311) can be adjusted. Accordingly, when the area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does not matc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ncluded in the actual first image 1300 , the user receives the indicator 1311 . ) may be adjusted to matc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ncluded in the actual first image 1300 .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대응하는 영역을 디텍트하지 않고, 인디케이터(1311)를 제1 이미지(1300) 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디케이터(1311)가 실제 제1 이미지(1300)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영역과 일치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1311)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인디케이터(1311)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인디케이터(1311)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인디케이터(13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sets the indicator 1311 in the first image ( 1300 ) without detect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n the first image 1300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trolled to output to a predetermined area on the 1300 . Then, the user touches an arbitrary point of the indicator 1311 so that the indicator 1311 matche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ncluded in the actual first image 1300 . The size of the indicator 1311 may be adjusted by dragging in and out, or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1311 may be adjusted by touching and dragging an arbitrary point of the indicator 1311 .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 중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와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 또는 임시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store or temporarily store information about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of the first image 1300 in the memory 170 .

제어부(180)는, 도 38과 관련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때, 상기 제1 이미지(1300) 중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와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잔상을 제거함에 있어서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When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8 , the controller 180 is a display unit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mong the first image 1300 .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area corresponding to 24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it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accuracy in removing the afterimage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 중에서 인디케이터(1311)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영역만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도 38과 관련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때, 제1 이미지(1300) 중에서 인디케이터(1311)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잔상을 제거함에 있어서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outputs only the area finally selected by the indicator 1311 from among the first image 1300 to the display unit 151,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When information related to one image 1300 is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information related to the area finally selected by the indicator 1311 from among the first image 1300 is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multimedia device ( 200)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accuracy in removing the afterimag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1300)에서 직접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directly select the afterimage area from the acquired first image 1300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3 and 34 .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1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된 제1 화면(610)을 카메라(121)가 촬영한 것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도 3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 중에서 인디케이터(1311)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first image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first image 1300 may be a camera 121 photographing the first screen 610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32 , it may mean an area finally selected by the indicator 1311 from among the first images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의 잔상을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미지(1300)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기 전에, 사용자는,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The first image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may be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used to remove an afterimage of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In this case, before the first image 1300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user may directly select an afterimage area from the first image 130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14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메시지(1400)는 제1 이미지(1300) 상에 출력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guide message 1400 to select an afterimage area from the captur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guide message 1400 may be output on the first image 1300 .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 user to select an afterimage are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과 관련하여 상술한 안내 메시지(1400) 내 확인 메뉴(1410)가 선택되면, 도 34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confirmation menu 1410 in the guide message 14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3 is selected, the screen shown in FIG. 34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사용자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명령은,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first image 1300 to the display unit 151 and detect a signal (user command) for selecting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 . For example, the user command may be a touch input received through the touch screen 151 .

실시예에 따라, 제1 이미지(1300)에 포함된 잔상(S)의 크기가 작아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이미지(1300)를 줌 인하여 크기를 확대시킨 후 잔상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터치 입력에 의한 잔상 영역의 선택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afterimage area because the size of the afterimage 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1300 is small, the user enlarges the size by zooming the first image 1300 and then the afterimage area can also be selected. Since the selection of the afterimage area by the touch input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7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잔상 영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잔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 또는 임시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of the afterimage area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80 may store or temporarily stor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fterimage area in the memory 17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1300)를 분석하여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이를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nalyze the acquired first image 1300 to detect the afterimage area.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5 and 36 .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1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된 제1 화면(610)을 카메라(121)가 촬영한 것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도 3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 중에서 인디케이터(1311)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first image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first image 1300 may be a camera 121 photographing the first screen 610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32 , it may mean an area finally selected by the indicator 1311 from among the first images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의 잔상을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미지(1300)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되기 전에,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에 포함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S)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The first image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may be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used to remove an afterimage of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In this case, before the first image 1300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n afterimage area included in the first image 1300 .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 region estimated to be the afterimage S in the first image 130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3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직접 선택한 경우에는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지 않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직접 선택하더라도 잔상 제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직접 선택하였는지에 무관하게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3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직접 선택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afterimage area from the first image 1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4 , the controller 180 may not detect the afterimage area, and the user Even if the afterimage area is directly selected from the image 1300 , the afterimage area may be dete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afterimage removal, and the afterimage area can be detec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afterimage area from the first image 1300 . may be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afterimage area from the first image 1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4 ,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user. The afterimage area may be detected in the first image 1300 .

일례로,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의 휘도를 분석하여 제1 이미지(1300)에서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휘도를 갖는 제1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변 영역 간의 휘도 차가 기 설정된 정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을 잔상 영역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 또는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에 관한 정보는, 제1 영역의 휘도 데이터, 제1 이미지(1300) 내에서 제1 영역이 위치하는 위치 데이터 및 제1 영역의 형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1300 to detect a first region having a luminance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level in the first image 1300 , and the detected first region When the difference in lumina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peripheral area of the first are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level, the first area may be detected as an afterimage area. The controller 180 may store or temporarily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region in the memory 170 .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uminance data of the first region, position data where the first region is located in the first image 1300 , and shape data of the first region. have.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한 후, 디텍트된 잔상 영역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guide message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6 .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80)는, 도 3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잔상 영역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16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텍트된 잔상 영역을 나타내는 윤곽선, 화살표 및/또는 인디케이터를 제1 이미지(1300)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5 ,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and displays a guide message 1600 for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on the display unit. (151) can be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n outline, an arrow, and/or an indicator indicating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image 1300 .

일례로, 사용자는 안내 메시지(1600) 내 수정 메뉴(1610)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사용자는 안내 메시지(1600) 내 재 검출 메뉴(1620)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부(180)로 하여금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다시 디텍트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directly correct at least a part of the afterimage area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by selecting the correction menu 1610 in the guide message 1600 . As another example, by selecting the re-detection menu 1620 in the guide message 1600 , the user may cause the controller 180 to detect the afterimage area again in the first image 130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 도형, 아이콘, 로고, 인디케이터 등에 대한 정보를 안내 메시지(1600)에 포함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텍트된 잔상이 LOGO가 맞습니까?'와 같은 문구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1600)를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characters, figures, icons, logos, indicators, etc.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in the guide message 16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guide message 1600 including a phrase such as 'Is the detected afterimage LOG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잔상과 관련된 로고 또는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llow the user to select a logo or indicator related to the afterimag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7 .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잔상과 관련된 로고/인디케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잔상과 관련된 로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1700)를 도시하였다. 잔상과 관련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는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utput a GUI for the user to select a logo/indicator related to the afterimage on the display unit 151 .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a GUI 1700 for selecting a logo related to an afterimage is illustrated. Since the GUI for selecting the indicator related to the afterimage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8 ,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모리(170)는, 소정 채널의 로고, 각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로고 등과 관련된 로고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로고 관련 정보란, 로고의 형태에 관한 제1 정보 및 화면 상에서 로고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관련된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고 관련 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emory 170 may store logo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 logo of a predetermined channel, a logo of a program transmitted through each channel, and the like. Here, the logo-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irst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logo and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where the logo is displayed on the scree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logo-related information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7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180)는, 상기 GUI(1700)를 통해 특정 로고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 또는 임시 저장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logo is selected through the GUI 1700 , the controller 180 may store or temporaril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logo in the memory 170 .

제어부(180)는, 도 33 및 도 3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한 후에 상기 GUI(1700)를 출력할 수도 있고, 도 33 및 도 3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기 전에 상기 GUI(1700)를 출력할 수도 있고, 제1 이미지(1200) 또는 제1 이미지(1300)가 획득되기 전에 상기 GUI(1700)를 출력할 수도 있고, 도 35 및 도 3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한 후에 상기 GUI(1700)를 출력할 수도 있고, 도 35 및 도 3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기 전에 상기 GUI(1700)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GUI(1700)를 통해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디텍트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GUI 1700 after the user selects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3 and 34 , and related to FIGS. 33 and 34 . Thus, as described above, the GUI 1700 may be output before the user selects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 and the GUI 1700 may be output before the first image 1200 or the first image 1300 is acquired. 1700 may be output, or the GUI 1700 may be output after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5 and 36 , and FIGS. 35 and 36 .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36 , the GUI 1700 may be output before the afterimage area is detected in the first image 1300 . The controller 180 may more accurately detect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go selected through the GUI 170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도 38과 관련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때, 상기 GUI(1700)를 통해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잔상을 제거함에 있어서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8 , the controller 180 is related to the logo selected through the GUI 1700 . By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it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accuracy in removing an afterimage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image-related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to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란,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1300)의 이미지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형태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데이터 및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refers to image data of the first image 13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to the controller 180 ). Location data of the area detected by the user and/or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the area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 luminance data of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an area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an area selected by the user), data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ata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18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 메시지(1800)는, 제1 이미지(1300)가 획득된 이후 출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제1 이미지(1300) 내 잔상 영역이 선택된 이후 출력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0)에 의해 제1 이미지(1300) 내 잔상 영역이 디텍트된 이후 출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잔상과 관련된 로고/인디케이터가 선택된 이후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 메시지(1800)는 제1 이미지(1300) 상에 출력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guide message 1800 for checking whether to transmit the first image 130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guide message 1800 may be output after the first image 1300 is acquired, may be output after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is selected by the user, and 1 After the afterimage area in the image 1300 is detected, it may be output, or it may be output after a logo/indicator related to the afterimag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guide message 1800 may be output on the first image 1300 .

사용자가, 안내 메시지(1800)의 확인 메뉴(1810)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confirmation menu 1810 of the guide message 1800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ca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면(810)에 포함된 잔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remove the afterimage included in the first screen 810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9 and 40 .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ontrols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130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에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형태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데이터 및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이미지(130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제1 이미지(1300)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도 8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도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GUI(44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270 may output the first image 1300 to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may include, i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an area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a user location data of a region selected by ), shap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a region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a region selected by the user), within the first image At least one of luminance data of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eg, an area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an area selected by the user), data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data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If not included, the first image 130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and the user may select an afterimage area from the first image 1300 . Sinc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afterimage area in the first image 13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70 may output the GUI 44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2 to the display unit 240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잔상 영역을 선택하라는 안내 메시지(190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70 may output a guide message 1900 for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to the display unit 24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화면(81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media device 200 may detect an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81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

일례로, 제어부(270)는, 도 3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잔상 영역에 기초하여 제1 화면(81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may detect the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810 based on the afterimage area select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9 .

다른 일례로,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형태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데이터 및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화면(81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270 may include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eg, a region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 / or location data of a region selected by the user), shap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a region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a region selected by the user); 1 Among the luminanc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image (eg, the region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the region selected by the user), data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data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Based on at least one, the afterimage area may be detected on the first screen 810 .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의해 인지되는 잔상(S)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70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may remove the afterimage S perceived by the user's eyes by reducing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일례로, 제어부(270)는, 도 13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GU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240 using the GUI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

다른 일례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제1 이미지(1300)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화면(810)에서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휘도와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의 휘도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휘도와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의 차이가 감소하도록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first image 1300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 the luminance of the afterimage area detected on the first screen 810 and the area around the afterimage area detects the luminance of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and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area is reduced. have.

또 다른 일례로,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형태 데이터, 제1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예를 들어, 제어부(180)에 의해 디텍트된 영역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데이터 및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휘도와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의 차이가 감소하도록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area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eg, an area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an area selected by a user) position data of , shap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eg, a region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a region selected by a user), and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first image Based on at least one of luminance data of (eg, the region detected by the controller 180 and/or the region selected by the user), data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data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detected afterimage region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of the detected afterimage region and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region is reduced.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1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수행된 이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fter the primary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i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가 조절된 후에, 제1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제1 화면(810)을 다시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시 출력된 제1 화면(810)에는 잔상(S)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고, 잔상 제거가 완벽히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다소 흐릿하게 남아있는 잔상(S)이 보일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ontrols the first screen 810 on which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is activated after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is adjusted. It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again. The afterimage S may not be visible on the re-output first screen 810 , and if the afterimage is not completely removed, the remaining afterimage S may be slightly blurred.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제1 발광소자에 대한 1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완료된 이후 추후 프로세스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210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2100)에는, 제1 발광소자(예를 들어, Blue 발광소자)에 대한 2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1 메뉴(2110), 다른 발광소자(예를 들어, Green 발광소자)에 대한 2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2 메뉴(2120) 및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한 제3 메뉴(21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70 may output a guide message 2100 for guiding a subsequent process after the first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leted to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in the guide message 2100, a first menu 2110 for performing a secondary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eg,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another light emitting device (for example, A second menu 2120 for performing a secondary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rd menu 2130 for terminating an application for removing an afterimage may be included.

사용자가 안내 메시지(2100) 내 제1 메뉴(2110)를 선택하면, 도 22 내지 도 4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의 적어도 일부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제1 발광소자에 대한 2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에서 제1 화면(810)의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 경우, 기존 1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제1 화면(810)에서 디텍트된 잔상 영역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소자에 대한 2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에서 제1 화면(810)의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 조절에 사용되는 게인 값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기존 1차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제1 화면(810)의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휘도 조절에 이용된 게인 값을 참고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menu 2110 in the guide message 2100, at least a part of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40 may be performed ag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of the first screen 810 in the secondary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the controller 270 may be configured to: ), you can refer to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In addition, in determining the gain value used for luminance control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afterimage region of the first screen 810 in the secondary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the existing primary A gain value used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of the first screen 810 of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may be referred to.

사용자가 안내 메시지(2100) 내 제2 메뉴(2120)를 선택하면, 제2 발광소자에 대하여 도 22 내지 도 4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의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제1 발광소자 대신 제2 발광 소자가 적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2 내지 도 4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menu 2120 in the guide message 2100, at least a part of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40 may be similarly performed for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Since the description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40 except that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is applied instead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자가 안내 메시지(2100) 내 제3 메뉴(2130)를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third menu 2130 in the guide message 2100, the controller 270 may terminate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이하에서는, 도 42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제2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4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n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2 to 44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 in relation to FIGS. 21 to 41 will be omitted.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에서 사용자가 Green 발광소자를 선택하거나, 도 26과 관련하여 상술한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00)에서 사용자가 Green 발광소자를 선택하거나, 도 22 내지 도 4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Blue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수행이 완료된 경우,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화면(2200)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selects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on the execution screen 410 of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 or the execution screen 1000 of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6 . When the user selects the green light emitting device in , or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blue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40 , the second screen 2200 as shown in FIG. 42 is displayed. It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발광소자들 중 제2 발광소자(Green 발광소자)는 활성화하고 그 밖의 다른 발광소자들은 비활성화된 제2 화면(2200)을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화면(2200)에 "LOGO"라는 잔상(S)이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controller 270 displays a second screen 2200 in which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Green light emitting device) is activated amo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and other light emitting devices are deactivated on the display unit 240 . can be printed 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n afterimage S of “LOGO” appears on the second screen 2200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연동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2 화면(2200)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라는 안내 메시지(2210)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70 guides the user to photograph the second screen 2200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interlocked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 and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A message 221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 제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n afterimage remov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12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화면(2200)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기 설정된 제1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12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3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1300)와 관련된 정보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된 경우, 카메라(121)를 다시 활성화하고, 카메라(121)에 의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12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tivate the camera 121 and output the preview image 1200 obtained by the camera 121 to the display unit 151 .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creen 2200 as shown in FIG. 42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ransmits a preset first signal to the network interface to notify it. When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unit 213, and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first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camera 121 is activated and The preview image 12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trols the camera 121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1300 is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8 . It may be activated again, and the preview image 1200 acquired by the camera 121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2 화면(2200)의 올바른 사진 촬영 방법을 가이드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guide message guiding a correct method of taking a picture of the second screen 2200 to the display unit 151 .

그 이후의 제2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는 도 22 및 도 4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thereafter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2 and 41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프 캡쳐에 의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R/G/B/W 발광소자 각각이 기 설정된 순서대로 활성화된 화면을 캡쳐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R/G/B/W 발광소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의 휘도를 분석하여 각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주체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21 내지 도 3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프 캡쳐에 의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프 캡쳐에 의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모든 종류의 발광소자 각각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별도의 사용자 지시 없이 수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특정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각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프 캡쳐에 의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이러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오프에 관계 없이 주기적으로, 비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특정 시간에 백그라운드로 수행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by the self-captur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display R/G/B/W light emitting devices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in a preset order. After capturing an activated screen or capturing a screen in which a light emitting device selected by a user among R/G/B/W light emitting devices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is activated, and analyzing the luminance of the captured screen, an afterimage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You can proceed with the removal process. In this case,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1 to 31 except that the subject acquiring the first image is the first display device, not the second display device, self-captur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by In addition, whe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by the self-captur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device performs the afterimage removal on each of all types of light emitting devices provided in the display unit when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removal process may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user instruction, or when a specific time reserved by the user is reached,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to perform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each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if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by self-captur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is periodically, non-periodically, or scheduled by the user regardless of power on/off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t can also be performed in the background at a specific time.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잔상 제거 프로세스의 수행이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after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of the multimedia device is complet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모든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완료되거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포함된 발광소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종류의 발광소자에 대한 잔상 제거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23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mpletes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all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or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When the afterimage removal process for the type of light emitting device set by the user among the included light emitting devices is completed, a guide message 2300 informing the end of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확인 명령이 감지되거나, 상기 안내 메시지(2300)가 출력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When a separate confirmation command by the user is detected or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guide message 2300 is output, the controller 180 may terminate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확인 명령이 감지되거나, 상기 안내 메시지(2300)가 출력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기 설정된 제2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3)를 통해 상기 제2 신호가 감지된 경우, 별도의 사용자 명령 없이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종료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a preset second signal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when a separate confirmation command by the user is detected or a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guide message 2300 is output. )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When the second signal is sens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13 ,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automatically terminate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without a separate user command.

이하에서는, 도 45 내지 도 48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이동 단말기(100A)이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이동 단말기(100B)인 경우에, 도 21과 관련하여 상술한 잔상 제거 방법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4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5 내지 도 48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아닌 이동 단말기(100)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2 내지 도 4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거의 유사하다.Hereinafter, using FIGS. 45 to 48 ,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is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the afterimage remova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1 . An example of the method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above in relation to FIGS. 21 to 44 will be omitted. 45 to 48 , it is almost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44 , except that the first display device i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not the multimedia device 200 .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제1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180A)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1 화면(2400)을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화면(2400)은, 디스플레이부(151A)에 포함된 발광소자들 중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화면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80A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may output the first screen 2400 to the display unit 151A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first screen 2400 may be a screen in which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mo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51A is activated.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A)는, 제1 이동 단말기(100A)와 연동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화면(2400)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제1 이동 단말기(100A)로 전송하라는 안내 메시지(2410)를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80A, a guide message for photographing the first screen 2400 using a device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241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A.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제2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second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of a secon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이동 단말기(100B)의 제어부(180B)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특정 외부 디바이스(즉, 제1 이동 단말기(100A))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무선 통신부(110B)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란, 제2 이동 단말기(100B)와 무선 통신을 연결한 이력이 있는 디바이스, 제2 이동 단말기(100B)와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의 검색 결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80B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B to connec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external device (ie,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can be controlled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may be a device having a history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a device selected by a user from a search result of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etc.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B)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2500)를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B may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2500 for notifying the user tha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external device is being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51B.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of a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이동 단말기(100B)의 제어부(180B)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카메라(121B)를 활성화하고, 카메라(121B)에 의해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2600)를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is executed, the controller 180B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activates the camera 121B and displays the preview image 2600 obtained by the camera 121B on the display unit 151B. ) can be printed.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B)는, 제1 이동 단말기(100A)의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된 제1 화면(2400)의 올바른 사진 촬영 방법을 가이드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B transmits, to the display unit 151B, a guide message guiding a correct method of taking a picture of the first screen 2400 output on the display unit 151A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You can also print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an afterimage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180A)는, 제2 이동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된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화면(2400)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잔상 영역의 디텍트 방법은 도 4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ler 180A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may detect the afterimage area on the first screen 2400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Since the detection method of the afterimage area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제어부(180A)는,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51A)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휘도 조절 방법은 도 40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A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151A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Since the luminance control method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고착 잔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a sticking afterimage that can be recognized by a use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20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0: mobile terminal
200: multimedia device

Claims (20)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화면에서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고,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GUI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신호에 따라,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isplay unit; and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is
Run the appl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pecific screen,
Detect the afterimage area on the specific screen,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first GUI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brightness of a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is adjusted according to a fir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GUI.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선택하는 제2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신호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ct a second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a part of the area on the specific screen, and detect the afterimage area based on the area selected by the second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가능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인디케이터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fir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dicator outputable to the display unit;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shape of an indicator and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where the indicator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정보와 관련된 인디케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제2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GUI에 포함된 인디케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3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3 신호에 의해 선택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econd GUI including at least one indicator among indicators related to the firs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tecting a third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ndicators included in the second GUI;
and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based on fir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dicator selected by the third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시청 가능한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로고의 형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서 로고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go of the channel viewable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shape of a logo and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where the logo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정보와 관련된 로고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로고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제3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3 GUI에 포함된 로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4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4 신호에 의해 선택된 로고와 관련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s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third GUI including at least one logo among logos rela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tecting a fourth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logos included in the third GUI,
and detecting the afterimage area based on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go selected by the fourth sign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UI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메뉴 아이콘을 적어도 1회 선택하는 신호 또는 상기 메뉴 아이콘을 상기 제1 GUI의 소정 영역 상에서 이동시키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GUI includes a menu icon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area,
The first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gnal for selecting the menu icon at least once or a signal for moving the menu icon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GUI.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UI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제1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1 메뉴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제2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제2 메뉴를 적어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GUI includes a first menu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to a first level and a second menu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to a second level lower than the first level. 2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a menu.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제2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발광소자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특정 화면은 상기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제2 발광소자 중 상기 제1 발광소자가 활성화된 화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발광소자의 휘도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at least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first wavelength region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second wavelength region, and the specific screen includes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mong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It is a scree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device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특정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화면 내 잔상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조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 network interface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display unit; and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is
Controls the network interface unit to connect a specific exter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Executes the application for afterimage removal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pecific screen,
controlling the network interface unit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creen from a specific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Detect an afterimage area in the specific scree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image,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area around the detected afterimage area;
The preset condition i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ondition in which a signal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removing the afterimage from a remote controller is received or a condition in which a prese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기 특정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 상기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위치 데이터, 상기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형태 데이터, 상기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형태 데이터, 상기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휘도 데이터, 특정 채널의 로고와 관련된 데이터 및 특정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may include image data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creen acquired by the camera of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location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image, and a shape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image.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data, shap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image, luminanc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image, data related to a logo of a specific channel, and data related to a specific indicator.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화면을 촬영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guide message to photograph the specific screen using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상기 이미지 내 잔상으로 추정되는 영역의 휘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텍트된 잔상 영역에 대응하는 휘도와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의 차가 기 설정된 정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includes luminance data of a region estimated as an afterimage in the image,
The controller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such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fterimage region and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reg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level based on the luminance data which is a display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GUI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신호에 따라, 상기 잔상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is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GUI for adjust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brightness of a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area of the afterimage area is adjusted according to a fir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GUI.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잔상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촬영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이 연결된 특정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camera;
display unit; and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is
Run the application to remove the afterimage of the external device,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nect a specific exter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e the camera;
When a shooting command is detected, an image is acquired using the activated camera,
A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quired image to a specific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을 촬영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camera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outputs a guide message to take a picture of the screen of the specific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uni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휘도를 갖는 영역을 디텍트하고,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미지 내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휘도 데이터, 상기 이미지 내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내 상기 디텍트된 영역의 형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 unit detects a region having a luminance below a preset level in the imag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includes at least one of luminance data of the detected region in the image, position data of the detected region in the image, and shape data of the detected region in the image.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이미지에서 잔상 영역을 선택하는 제2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2 신호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acquired image to the display unit, and detects a second signal for selecting an afterimage area from the output imag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region selected by the second signal, a display device.
KR1020150027799A 2014-08-29 2015-02-27 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KR1022714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30,412 US9613591B2 (en) 2014-08-29 2015-06-04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EP15174895.1A EP2991064B1 (en) 2014-08-29 2015-07-01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CN201510507825.7A CN105392055B (en) 2014-08-29 2015-08-18 The method of image retention in removal display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4130 2014-08-29
KR1020140114130 2014-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28A KR20160026628A (en) 2016-03-09
KR102271436B1 true KR102271436B1 (en) 2021-07-01

Family

ID=5553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799A KR102271436B1 (en) 2014-08-29 2015-02-27 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4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5850B2 (en) 2020-11-25 2023-04-25 Lx Semico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gradation compensation of an area selected for rubb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167B1 (en) 2016-05-09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rre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546549B1 (en) 2018-08-08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Deterioration calculating metho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mage indicated o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realizing the method
CN114038362B (en) * 2021-11-03 2023-11-1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Residual image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urved display scre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6237A1 (en) * 2005-12-27 2007-06-28 Sung-Tae Le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203790A (en) * 2010-03-24 2011-10-13 Kddi Corp Image verification device
US20130182001A1 (en) * 2010-10-07 2013-07-18 Heeseon Hwang Method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125B1 (en) * 2012-11-27 2019-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6237A1 (en) * 2005-12-27 2007-06-28 Sung-Tae Le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203790A (en) * 2010-03-24 2011-10-13 Kddi Corp Image verification device
US20130182001A1 (en) * 2010-10-07 2013-07-18 Heeseon Hwang Method for produc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5850B2 (en) 2020-11-25 2023-04-25 Lx Semico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gradation compensation of an area selected for rubb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28A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1064B1 (en)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KR10224536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57317B2 (en) Sin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65879B2 (en) Image outpu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mage output devices
KR102340230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60031724A (en) Method for screen mirroring and device for the same
US1143037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thereof
KR102300927B1 (en) Image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KR102336984B1 (en) Multimedia device
KR102271436B1 (en) 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US11190838B2 (en) Multimedia device with standby mode and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KR102459652B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340231B1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78460B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224482B1 (en)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data of a application included in a broadcast receiver through a web brow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1025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5825A (en) Digital signage
KR102246092B1 (en) Image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KR20170042159A (en) Image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02246B1 (en) Image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82164B1 (en)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to a broadcast receiver through a web brow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01970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Digital Signage Using The Same
KR20170112365A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08892A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