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443B1 - Portable coffee machine - Google Patents

Portable coffe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443B1
KR102270443B1 KR1020190079712A KR20190079712A KR102270443B1 KR 102270443 B1 KR102270443 B1 KR 102270443B1 KR 1020190079712 A KR1020190079712 A KR 1020190079712A KR 20190079712 A KR20190079712 A KR 20190079712A KR 102270443 B1 KR102270443 B1 KR 10227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heating
water
heater
coffe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3634A (en
Inventor
김승근
Original Assignee
파츠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츠너(주) filed Critical 파츠너(주)
Priority to KR102019007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43B1/en
Publication of KR2021000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제 어디서나 패트병의 물을 데워서 캡슐커피의 커피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휴대용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트병의 물과 캡슐커피를 사용함과 더불어 배터리 및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각종 차 등을 손쉽게 추출하여 마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커피머신을 구현함으로써,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야외나 실내 등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커피나 차 등을 마실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및 조립이 쉬워서 깨끗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위생적으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머신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ffee machine that can easily drink coffee capsules by heating the water in a plastic bottle anytime, anywher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ew type of portable coffee machine that can easily extract and drink espresso, Americano, various teas, etc. using a battery and a heating device, as well as using water and capsule coffee from a plastic bottl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handle. We provide a portable coffee machine that you can conveniently drink coffee or tea anytime, anywhere, outdoors or indoors, and because 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it can be washed cleanly and used safely and hygienically.

Description

휴대용 커피머신{Portable coffee machine}Portable coffee machine {Portable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언제 어디서나 패트병의 물을 데워서 캡슐커피의 커피를 추출하여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휴대용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ffe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ffee machine that can easily drink coffee capsules by heating water in a plastic bottle anytime, anywhere.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인스턴트 커피보다 원두커피를 마시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living standards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who drink coffee beans rather than instant coffee is increasing.

이러한 원두커피는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하여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형태로 마시거나, 에스프레소에 온수를 섞어 마시거나, 에스프레소에 우유 등을 혼합하여 마시게 된다.These coffee beans are drunk in the form of espresso in which coffee is extracted in a short time by providing hot water at high pressure to ground coffee beans, or by mixing hot water with espresso, or by mixing milk and the like with espresso.

이렇게 커피문화가 고급화됨에 따라 바리스타가 직접 제공하는 드립커피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드립커피는 원두를 갈아 손수 뜨거운 물을 천천히 내리면서 향을 우려낸 커피를 말한다. As the coffee culture has become more luxurious, drip coffee provided by baristas is gaining popularity. Drip coffee refers to coffee that is brewed with freshly ground coffee beans and brewed with hot water slowly by hand.

보통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포드커피 및 각종 캡슐커피 등과 같은 타서 마시기가 편리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포드커피 등은 원두를 커피가루로 분쇄한 후, 작은 컵이나 팩에 밀봉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원두 또는 커피가루가 공기와 접촉하여 상하거나 산화되는 문제를 방지하였기 때문에 커피의 맛이 아주 향기롭고 간편하게 타서 마실 수 있는 이점때문에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order to meet the demand of ordinary people to drink coffee, products that are convenient to drink, such as pod coffee and various capsule coffees, have been released, but these pod coffees are ground coffee beans into coffee powder and sealed in small cups or packs. As a result, the demand for coffee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due to the fact that the coffee has a very fragrant taste and can be consumed easily because it prevents the problem that general coffee beans or coffee powder are damaged or oxidized in contact with air.

그러나, 포드커피나 캡슐커피를 추출하여 마시기 위해서는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취급이 불편한 커피 추출기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extract and drink pod coffee or capsule coffee, a coffee extractor that is bulky, heavy, and inconvenient to handle is required, so its use is limited outdoors.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휴대가 가능하고 원두를 갈아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머신이 일부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커피머신은 머신 몸체와 상기 머신 몸체 내장되어 원두를 분쇄하는 글라인더로 구성된 것으로서, 원두를 넣고 글라이더에 의하여 분쇄 커피분말을 받아 드립기에서 커피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In consideration of this, some portable coffee machines that are portable and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by grinding coffee beans have been proposed, and these portable coffee machines are composed of a machine body and a grinder that is built-in to the machine body and grinds coffee beans. , It is a product that puts coffee beans, receives ground coffee powder by a glider, and extracts coffee from a drip machine for drinking.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커피머신은 별도의 드립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하고, 글라인더 등을 갖춘 복잡한 구조인 관계로 중량면이나 취급면에서 휴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coffee machine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has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rip machine, and since i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equipped with a grinder, etc., it is difficult to carry in terms of weight or handling.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2050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05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2203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2038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패트병의 물과 캡슐커피를 사용함과 더불어 배터리 및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각종 차 등을 손쉽게 추출하여 마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커피머신을 구현함으로써,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야외나 실내 등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커피나 차 등을 마실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및 조립이 쉬워서 깨끗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위생적으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it is a new type of portable that can easily extract and drink espresso, Americano, various teas, etc. using a battery and a heating device, as well as using water and capsule coffee in a plastic bottle. By implementing the coffee machine, it is easy to carry and handle, so you can drink coffee or tea conveniently anytime, anywhere, outdoors or indoors. Its structure is simple and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so it can be washed and used clean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ffee machine that can be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커피머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coffee machin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커피나 차 등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과, 상기 컵의 상단부 내측에 거치되거나 가열체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캡슐 또는 필터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대와, 상기 컵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제어부와 전원부가 갖추어져 있는 하부 보디와, 상기 하부 보디의 내부에 결합되며 물의 가열을 위한 히터 및 물의 전열을 위한 전열관, 그리고 캡슐의 천공을 위한 첨단 노즐을 가지는 가열체 어셈블리와, 상기 하부 보디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패트병의 장착을 위한 패트병 체결부와 패트병에서 나오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를 가지는 상부 보디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portable coffee machine includes a cup capable of containing a beverage extracted from coffee or tea, a pedestal mounted inside an upper end of the cup or coupled to a lower end of a heating body assembly to support a capsule or filter, and an upper end of the cup. A heating element assembly having a lower body coupl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a heater for water heating and a heat transfer tube for water heat transfer, and an advanced nozzle for perforating the capsul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includes an upper body having a plastic bottle fastening part for mounting a plastic bottle and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coming out of the plastic bottle.

여기서,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는 하부의 물 수집공간부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감지한 후에 이를 제어부측에 제공하는 온도감지센서와, 히터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전열관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어 전열관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가열하는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heating body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lower water collection space portion, detects the temperature of water, and then provides a temperature sensor to the control side, is connected to the heater side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heat pipe.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wire for heating the water flowing inside.

또한,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의 히터는 전열히터, 마이크로파로 물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히터,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er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may include an electric heater, a microwave heater for heating water with microwaves,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heater,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가열체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가열체 어셈블리측에 나사체결구조로 결합되어 캡슐의 크기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pedestal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edestal is coupled to the heating body assembly side in a screw fastening structur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psul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컵의 내부에는 커피나 차 등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별도로 담을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일회용 컵을 넣어 놓고 사용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disposable cup capable of separately holding a beverage extracted from coffee or tea, etc., may be placed inside the cup and used.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상부 보디의 개방부위를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상부 보디에 체결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rtable coffee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lid fastened to the upper body as a means for closing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body.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커피머신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ortable coffee machin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 패트병을 커피머신 보디에 장착하여 패트병 속의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커피머신 보디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 전원 및 가열장치로 물을 가열하여 캡슐커피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야외나 실내 등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커피나 차 등을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you can use the water in the plastic bottle by attach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lastic bottle to the coffee machine body, and you can extract coffee in capsule coffee by heating the water with the battery power and heating device built into the coffee machine body. , It is easy to carry and handle, so you can drink coffee or tea conveniently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hether outdoors or indoors.

둘째,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분해 및 조립이 쉬워서 세척이 용이하기 때문에 항상 깨끗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위생적으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it is easy to clean, so you can always clean it and use it hygienically, and there is an effect that you can use it safely.

셋째, 일반 열선 히터는 물론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커피 추출에 사용되는 물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물의 온도는 물론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의 종류에 맞게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차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할 수 있는 등 커피의 맛과 품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adopting a method of heating water using microwaves as well as a general hot wire heat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being able to quickly heat the water used for coffee extraction, and, of cours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ecause the amount of water can be adjusted, you can choose espresso, Americano, or tea according to the type of drink, and at the same time, you can choose cold or hot water, which has the effect of further enhancing the taste and quality of coffe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머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머신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머신을 나타내는 단면도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ortabl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abl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머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ortabl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커피나 차 등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1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portable coffee machine includes a cup 10 that can contain a beverage extracted from coffee or tea.

상기 컵(10)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용기로서,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후술하는 하부 보디(14)의 숫나사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The cup 10 is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part, and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art, so that a male thread of the lower body 14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astened thereto.

이러한 컵(10)에는 캡슐커피에서 추출되는 커피나 티백 등 찻잎에서 우려 나오는 차 등의 음료를 직접 담을 수 있으며, 음료를 마실 때에는 하부 보디(14)에서 분리한 후에 사용자가 직접 들고 그 속에 채워져 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These cups 10 can directly contain beverages such as tea brewed from tea leaves, such as coffee extracted from coffee capsules or tea bags, and when drinking a beverage, after separating from the lower body 14, the user directly holds it and fills it. drinks are availabl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컵(10)의 내부에는 커피나 차 등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별도로 담을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일회용 컵(25), 예를 들면 여러 개를 차곡차곡 겹쳐놓은 다수 개의 일회용 컵(25)을 넣을 수 있으며, 이때에는 캡슐커피에서 추출되는 커피나 티백 등 찻잎에서 우려 나오는 차 등의 음료를 일회용 컵(25)에 담아서 마실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cup 10 is at least one or more disposable cups 25 that can separately contain a beverage extracted from coffee or tea, for example, a plurality of disposable cups ( 25) can be added, and at this time, there is a convenience in which beverages such as coffee extracted from coffee capsules or tea brewed from tea leaves, such as tea bags, can be placed in the disposable cup 25 and drunk.

또한,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컵(10)의 상단부 내측에 거치되거나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캡슐 또는 필터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대(1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ffee machine includes a pedestal 11 mount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cup 10 o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to support the capsule or filter.

상기 받침대(11)는 상단 둘레에 플랜지 부분을 가지는 동시에 바닥에 다수의 받침대 홀(27)을 가지는 상부 개방형의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pedestal 11 is formed in the form of an upper open container having a flange portion around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pedestal holes 27 at the bottom.

이러한 받침대(11)는 상단 둘레의 플랜지 부분을 이용하여 컵(10)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턱부(28)에 얹혀져 거치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pedestal 11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it is mounted on the chin 28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up 10 using a flange portion around the upper end.

그리고 상기 받침대(11)의 내측에는 커피분말이 들어 있는 캡슐커피 등이 놓여질 수 있게 되거나, 받침대(11)의 내측 벽면에는 찻잎을 우릴 때 찌꺼기를 거를 수 있는 종이 필터 등이 놓여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coffee capsule containing coffee powder can be placed on the inside of the pedestal 11, or a paper filter capable of filtering off residues when brewing tea leaves can be placed on the inner wall of the pedestal 11.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11) 상에 놓여져 있는 캡슐커피에서 추출되는 커피 또는 종이 필터를 거쳐 추출되는 차 등의 음료는 받침대(11)의 받침대 홀(27)을 통해 밑으로 떨어져 컵(10)에 모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beverages such as coffee extracted from coffee capsules placed on the pedestal 11 or tea extracted through a paper filter fall down through the pedestal hole 27 of the pedestal 11 to the cup 10. be able to gather

이와 같은 받침대(11)의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 부분이 없는 상부 개방형의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때의 받침대(11)의 상단 내주면에는 받침대 암나사부(29)가 형성되어 있어서 받침대(11)는 받침대 암나사부(29)를 이용한 체결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of such a pedestal 11, as shown in FIG. 4,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container of an upper open type without a flange portion, and at this time, the upp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edestal 11 has a pedestal female screw part 29. is formed so that the pedestal 11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fastening structure using the pedestal female screw part 29 .

이를 위하여, 후술하는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하부 블록(30)에는 하향 연장 형성되는 관체 부분에 블록 숫나사부(31a)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블록 숫나사부(31a)에 받침대(11)의 받침대 암나사부(29)가 체결되므로서, 받침대(11)는 가열체 어셈블리(18)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되며, 또 이때의 블록 숫나사부(31a)와 받침대 암나사부(29) 간의 체결 정도에 따라 받침대(1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in the lower block 30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block male screw part 31a is formed on the tubular body part extending downward, and the block male screw part 31a formed in this way is provided with the pedestal 11. As the pedestal female screw part 29 is fastened, the pedestal 11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side, and the block male screw part 31a and the pedestal female screw part 29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edestal 1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stening between them.

예를 들면, 상기 받침대(11) 안에 넣어지는 캡슐커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받침대(11)를 가열체 어셈블리(18)측에 좀더 체결하면 받침대(11)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되며, 상기 받침대(11) 안에 넣어지는 캡슐커피의 크기가 상대적을 작은 경우에는 받침대(11)를 가열체 어셈블리(18)측에 좀 더 해제하면 받침대(11)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므로서, 캡슐커피의 크기에 따라 받침대(11)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열체 어셈블리(18)에 있는 첨단 노즐(17)로 하여금 캡슐커피의 비닐박지를 충분히 꿰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coffee capsules placed in the pedestal 11 is relatively large, the height of the pedestal 11 can be increased by further fastening the pedestal 11 to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side, When the size of the coffee capsules placed in the pedestal 11 is relatively small, the height of the pedestal 11 can be lowered by releasing the pedestal 11 to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side, so that the coffee capsule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11 according to the size of , the tip nozzle 17 in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can sufficiently penetrate the plastic foil of the coffee capsule.

또한,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컵(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제어부(12)와 전원부(13)가 갖추어져 있는 하부 보디(1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coffee machin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includes a lower body 14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12 and a power supply unit 13 .

상기 하부 보디(14)는 원통형의 관 형태로서,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하부 보디(14)의 하단부에 있는 숫나사에는 컵(10)의 암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하부 보디(14)의 상단부에 있는 숫나사에는 상부 보디(21)의 암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The lower body 14 is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tube, and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the female screw of the cup 10 is fastened to the male screw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14 at this time. At the same time, the female screw of the upper body 21 is fastened to the male screw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14 so that it can be coupled.

이러한 하부 보디(1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부위의 내주면에는 보디 암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보디 암나사부(32)에는 가열체 어셈블리(18)의 상부 블록(33)에 있는 블롯 숫나사부(31b)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A body female screw part 3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14 , and the body female screw part 32 formed in this way has an upper block 33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 Blot male thread part 31b in the can be fastened.

그리고, 상기 하부 보디(14)의 측면부 일측에는 스위치(34)가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12)가 설치됨과 더불어 하부 보디(14)의 측면부 다른 일측에는 전원부(13)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 provided with the switch 3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lower body 14 , and the power supply 13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of the lower body 14 .

여기서, 상기 제어부(12)는 전원부(13)를 출력 제어하면서 가열체 어셈블리(18)에 속해 있는 히터(15)측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역할 등을 하게 되고, 상기 전원부(13)는 외부에서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 타입 또는 자체 전원으로서의 배터리 타입 또는 충전기와 배터리를 조합한 타입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control unit 12 serves to intermittentl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5 included in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while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ower supply unit 13 , and the power supply unit 13 is provided from the outside. A charger type that can be charged, a battery type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a type in which a charger and a battery are combined may be applied.

또한,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하부 보디(14)의 내부에 결합되며 물의 가열을 위한 히터(15) 및 물의 전열을 위한 전열관(16), 그리고 캡슐의 천공을 위한 첨단 노즐(17)을 가지는 가열체 어셈블리(18)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ffee machin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14 and has a heater 15 for heating water, a heat pipe 16 for heat transfer of water, and a heating element having a tip nozzle 17 for perforating the capsule. assembly 18 .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는 커피 등의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serves to heat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order to extract a beverage such as coffee.

이를 위하여,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는 상부 블록(33)과 하부 블록(30), 그리고 그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열관(16)을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상부 블록(33)의 외주면에는 블록 숫나사부(31b)가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block 33, the lower block 30,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16 connected and installed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upper block ( 3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ock male screw portion (31b).

이러한 가열체 어셈블리(18)는 하부 보디(14)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상부 블록(33)에 있는 블록 숫나사부(31b)를 이용하여 하부 보디(14)의 상측에 있는 보디 암나사부(32)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is heating body assembly 18 is disposed concentrically inside the lower body 14 and using the block male screw portion 31b in the upper block 33, the body female screw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4 ( 32) and can be installed in a supported structure.

그리고,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하부 블록(30)에는 윗쪽의 전열관(16)측 및 아래쪽의 첨단 노즐(17)측과 통하는 물 수집공간부(22)가 조성되며, 이에 따라 전열관(16)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뜨거운 물, 예를 들면 약 100℃ 정도의 온도를 가지는 뜨거운 물이 물 수집공간부(22)로 모여서 약간 체류한 다음에 아래쪽의 첨단 노즐(17)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lower block 30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a water collection space 22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heat transfer tube 16 side and the lower tip nozzle 17 side is formed, and accordingly, the heat transfer tube 16 ), the hot water heated while passing, for example,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of about 100°C, gathers in the water collection space 22, stays a little, and then exits through the tip nozzle 17 below. do.

특히, 상기 상부 블록(33)의 저면부에는 히터(15)가 설치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전열관(16)의 둘레에는 히터(15)측과 연결되어 있는 열선(24)이 감겨지게 된다. In particular, the heater 15 can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block 33 , and the heating wire 24 connected to the heater 15 is wound around the heat transfer tube 16 .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의 출력 제어에 의한 히터(15)의 작동 시 열선(24)이 발열되면서 전열관(16)을 가열하게 되므로서, 결국 이때의 열과 전열관(16)의 내부를 통과하는 물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물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heater 15 is operated by the output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 the heating wire 24 is heated and the heat pipe 16 is heated, so that the heat at this time and the inside of the heat pipe 16 pass through As heat exchange between the water is made, the water can be heated.

이와 더불어,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하부 블록(30)에 형성되어 있는 물 수집공간부(22)에는 온도감지센서(23)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23)는 물 수집공간부(22)에 모여 있는 물의 온도를 감지한 후, 이때의 감지신호를 제어부(12)측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결국 온도감지센서(23)측에서 제공되는 온도값을 입력으로 하는 제어부(12)의 출력 제어에 의해 히터(15)의 작동이 컨트롤되면서 커피 등의 추출 시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23 is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on space 22 formed in the lower block 30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and the temperature sensor 23 installed in this way collects water. Afte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llected in the space 22, it serves to provide a detection signal at this time to the control unit 12, and eventually the temperature value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3 is input. A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5 is controlled by the output control of the controller 12,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for extracting coffee or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여기서,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히터(15)는 전열히터, 마이크로파로 물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히터,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 펠티어 히터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heater 15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may be an electric heater, a microwave heater for heating water with microwaves,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heater, a Peltier heater, or the like.

이때, 상기 히터(15)로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히터의 경우 약 2.45GHz 정도의 마이크로파 주파수를 주어서 물을 상대적으로 빨리 가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펠티어 히터의 경우에는 냉각과 가열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heater that heats water using microwaves as the heater 15, a microwave frequency of about 2.45 GHz is given to heat water relatively quickly, and in the case of a Peltier heater, cooling and heating Because it can perform all of the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expand the range of choices of users, such as being able to selectively provide cold water and hot water.

그리고,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의 첨단 노즐(17)은 캡슐커피의 비닐박지 등을 뚫을 수 있는 끝이 뾰족한 주사기 형태의 노즐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첨단 노즐(17)은 하부 블록(30)의 저면 중심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첨단 노즐(17)은 하부 블록(30)에 있는 물 수집공간부(22)와 통할 수 있게 된다. And, the tip nozzle 17 of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is made of a syringe-shaped nozzle with a sharp tip that can pierce the plastic foil of capsule coffee, and the tip nozzle 17 is the lower block 30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 and the tip nozzle 17 installed in this way can communicate with the water collection space 22 in the lower block 30 .

이에 따라, 상기 첨단 노즐(17)로 캡슐커피의 비닐박지를 뚫게 되면 물 수집공간부(22)에 있는 뜨거운 물이 첨단 노즐(17)을 따라 내려와서 커피분말이 들어 있는 캡슐 내부로 공급되므로서, 커피분말에서 커피가 추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plastic foil of the capsule coffee is pierced with the tip nozzle 17, the hot water in the water collection space 22 comes down along the tip nozzle 17 and is supplied into the capsule containing the coffee powder. , coffee can be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또한,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하부 보디(14)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패트병의 장착을 위한 패트병 체결부(19)와 패트병에서 나오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20)를 가지는 상부 보디(21)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coffee machin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14 in a detachable structure, the upper body having a plastic bottle fastening part 19 for mounting the plastic bottle and a valve 2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from the plastic bottle ( 21).

상기 상부 보디(21)는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을 가지는 원통형의 블록 형태로서,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와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상부 보디(21)의 하단부에 있는 암나사에는 하부 보디(14)의 수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부 보디(21)의 상단부에 있는 숫나사에는 후술하는 뚜껑(26)의 암나사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The upper body 21 has a cylindrical block shap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long an axis, and male and fe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emale threa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21 has a lower portion. The male screw of the body 14 is fastened to be able to be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the female screw of the lid 26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male screw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21 to be coupled.

특히, 상기 상부 보디(21)의 관통홀 상단 구간에는 암나사 형태, 예를 들면 일반 패트병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에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암나사 형태의 패트병 체결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패트병의 뚜껑을 열고 그 목 부분을 상부 보디(21)의 패트병 체결부(19)에 체결하게 되면, 패트병 속의 물이 상부 보디(21)를 거쳐 가열체 어셈블리(18)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upper section of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body 21, a female screw type, for example, a plastic bottle fastening part 19 of a female screw type having a pitch corresponding to a male screw formed in a general plastic bottle is formed. When the lid is opened and the neck part is fastened to the plastic bottle fastening part 19 of the upper body 21 , the water in the plastic bottle can be sent to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side through the upper body 21 .

그리고, 상기 상부 보디(21)에는 수직의 보디 축선에 대해 90°방향을 이루는 밸브 설치홈(35)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밸브 설치홈(35)에는 끝부분에 손잡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밸브(2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삽입 설치된다. In addition, a valve installation groove 35 is formed in the upper body 21 in a 90°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ody axis, and the valve installation groove 35 formed in this way has a cylindrical valve having a handle at the end ( 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rotatable structure.

이때의 밸브(20)에는 밸브 직경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밸브 홀(36)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밸브 홀(36)의 위치에 따라 패트병 속의 물이 아래쪽으로 주입되거나 차단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valve 20 has at least one valve hole 36 penetrating along the valve diameter direction, an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alve hole 36 thus formed, the water in the plastic bottle can be injected downward or blocked. there will be

예를 들면, 상기 밸브 설치홈(35)에 설치되는 밸브(20)는 상부 보디(21)의 관통홀을 윗쪽 구간과 아래쪽 구간으로 격리시켜줄 수 있게 되고, 이때의 밸브(20)에 있는 밸브 홀(36)이 수직 자세를 취하게 되면, 관통홀의 윗쪽 구간과 아래쪽 구간이 연통되면서 윗쪽의 패트병에서 제공되는 물이 아래쪽으로 주입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밸브(20)를 약 90°정도 돌려서 밸브(20)에 있는 밸브 홀(36)이 수평 자세를 취하게 되면, 관통홀의 윗쪽 구간과 아래쪽 구간이 차단되면서 윗쪽의 패트병에서 제공되는 물이 아래쪽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valve 20 installed in the valve installation groove 35 can isolate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body 21 into an upper section and a lower section, and the valve hole in the valve 20 at this time. When (36) takes a vertical posture,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through ho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water provided from the upper plastic bottle can be injected downward, while the valve 20 is rotated by about 90° to the valve When the valve hole 36 in (20) takes a horizontal position, the upper section and the lower section of the through hole are blocked, and water provided from the upper plastic bottle cannot flow downward.

물론, 상기 밸브(20)의 각도를 적절히 회전 조작하여 밸브 홀(36)의 자세를 비스듬하게 경사진 자세 등을 취하도록 하면, 아래쪽의 가열체 어셈블리(18)측으로 보내지는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if the angle of the valve 20 is appropriately rotated to make the posture of the valve hole 36 obliquely inclined, the amount of water sent to the lower heating body assembly 18 sid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re will be

또한, 상기 밸브(20)의 하부 공간부와 연결되게 측방에는 에어펌프(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의 에어펌프(40)는 상부 보디(21)의 측면부, 즉 밸브(20)의 저측 공간부와 연결통로(41)를 형성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In addition, an air pump 4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of the valve 20 . At this time, the air pump 40 is provided so as to inject air by forming a connection passage 41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upper body 21 , that is, the lower space portion of the valve 20 .

또한,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상부 보디(21)의 개방부위를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상부 보디(21)에 체결되는 뚜껑(26)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coffee machine includes a lid 26 fastened to the upper body 21 as a means for closing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body 21 .

이러한 뚜껑(26)은 내주면의 암나사를 이용하여 상부 보디(21)에 있는 숫나사에 체결되는 구조로 닫을 수 있거나 나사 체결을 풀어서 열 수 있게 되며, 미사용 시에 뚜껑(26)으로 상부 보디(21)의 상면을 막아줌으로써, 이물질 등의 유입없이 휴대용 커피머신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is lid 26 can be closed in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a male screw on the upper body 21 using a female scre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can be opened by loosening the screw, and when not in use, the upper body 21 with the lid 26 By block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ffee machine, it is possible to use the portable coffee machine hygienically without introducing foreign substances.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커피머신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여 마시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a method of extracting and drinking coffee using the portable coffee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머신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커피머신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양한 종류의 커피나 차 등을 추출하여 마실 수 있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캡슐커피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예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3 , the portable coffee machine can be conveniently carried and brewed to extract and drink various types of coffee or tea, and an example of extracting coffee from coffee capsules is shown here.

먼저, 하부 보디(14)에서 컵(10)을 분리한 상태에서, 받침대(11) 내에 종이 필터(120)와 캡슐커피(110), 즉 바닥에 홀이 있는 캡슐커피(110)를 똑바로 세워서 넣은 다음, 가열체 어셈블리(18)와 상부 보디(21)을 포함하는 하부 보디(14)에 캡슐커피(110)와 받침대(11)가 들어 있는 컵(10)을 결합한다.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cup 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body 14, the paper filter 120 and the coffee capsule 110, that is, the coffee capsule 110 having a hole in the bottom, are placed in the pedestal 11 upright. Next, the cup 10 containing the coffee capsule 110 and the pedestal 11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14 including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and the upper body 21 .

이렇게 하부 보디(14)에 컵(10)을 결합하면, 가열체 어셈블리(18)에 있는 첨단 노즐(17)이 자연스럽게 캡슐커피(110)의 비닐박지를 뚫게 되고, 이 상태에서 캡슐커피(110)의 내부, 첨단 노즐(17), 물 수집공간부(22), 전열관(16)의 내부, 상부 블록(21)의 관통홀 아래쪽 구간에 그대로 연통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cup 10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14 in this way, the tip nozzle 17 in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naturally pierces the plastic foil of the coffee capsule 110, and in this state, the coffee capsule 110 of the tip nozzle 17 , the water collection space 22 , the inside of the heat transfer tube 16 , and the section below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block 21 as it is.

다음, 상부 보디(21)의 뚜껑(26)의 열고 패트병 체결부(19)에 500㎖나 1,000㎖의 패트병(100)을 장착한다. Next, the lid 26 of the upper body 21 is opened and a 500 ml or 1,000 ml plastic bottle 100 is mounted on the plastic bottle fastening part 19 .

물론, 이때의 밸브(20)는 닫힌 상태이다. Of course, the valve 20 at this time is in a closed state.

다음, 제어부(12)의 스위치(34)를 조작하게 되면, 전원부(13)의 전원이 히터(15)로 공급되고, 히터(15)의 작동과 함께 열선(24)이 발열하면서(또는 마이크로파 발생하면서) 전열관(16)이 가열되기 시작하게 된다.Next, when the switch 34 of the control unit 12 is operated,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3 is supplied to the heater 15 , and the heating wire 24 generates heat (or microwaves are generated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5 ). while) the heat transfer tube 16 starts to be heated.

이와 동시에, 밸브(20)를 돌려서 패트병(100) 속의 물을 틀어주게 되면, 패트병(100) 속의 물은 상부 블록(21)의 관통홀 윗쪽 구간, 밸브 홀(36)을 지나서 전열관(16)의 내부로 흘러 들어오게 되고, 계속해서 전열관(16)의 내부를 흐르는 물은 가열되어 있는 전열관(16)측과의 열교환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At the same time, when the water in the plastic bottle 100 is turned on by turning the valve 20, the water in the plastic bottle 100 passes through the upper section of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block 21, the valve hole 36, and the heat pipe 16 The water that flows into the inside and then flows through the heat transfer tube 16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heat exchange with the heated heat transfer tube 16 side.

계속해서, 전열관(16)을 통과하여 가열된 물은 물 수집공간부(22)를 거친 후에 첨단 노즐(17)을 통해 내려가 커피 분말이 들어 있는 캡슐커피(1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의 뜨거운 물과 접촉한 커피 분말에서 액상 커피가 추출되면서 컵(10)으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20)를 닫고 에어펌프(40)를 가동시키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며 내압이 상승하게 되므로 커피를 더 빨리 내려받을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the water heated through the heat transfer tube 16 passes through the water collection space 22 and then goes down through the tip nozzle 17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coffee capsule 110 containing the coffee powder, at this time As the liquid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in contact with hot water, it falls into the cup 10 and is collected. At this time, when the valve 20 is closed and the air pump 40 is operated, air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and the internal pressure rises, so that coffee can be downloaded more quickly.

이후, 어느 정도 충분한 양의 커피 추출액이 컵(10)에 모이게 되면, 하부 보디(14)에서 컵(10)을 분리한 후에 컵(10)에 들어 있는 커피 추출액을 마실 수 있으며, 따라서 야외 등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드립 커피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After that, when a sufficient amount of coffee extract is collected in the cup 10, after separating the cup 10 from the lower body 14, you can drink the coffee extract contained in the cup 10, so that it is simple It is convenient to drink drip coffee easily by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반 패트병의 물을 가열하여 캡슐커피에서 커피를 추출한 후에 이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새로운 휴대용 커피머신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야외나 실내 등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커피나 차 등을 내려서 마실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ew portable coffee machine that can easily drink coffee after extracting coffee from capsule coffee by heating water in a general plastic bottle, it is easy to carry and handle, so that coffee or tea can be conveniently used anytime, anywhere, such as outdoors or indoors. It is convenient to drink with your back down.

10 : 컵
11 : 받침대
12 : 제어부
13 : 전원부
14 : 하부 보디
15 : 히터
16 : 전열관
17 : 첨단 노즐
18 : 가열체 어셈블리
19 : 패트병 체결부
20 : 밸브
21 : 상부 보디
22 : 물 수집공간부
23 : 온도감지센서
24 : 열선
25 : 일회용 컵
26 : 뚜껑
27 : 받침대 홀
28 : 턱부
29 : 받침대 암사나수
30 : 하부 블록
31a,31b : 블록 숫나사부
32 : 보디 암나사부
33 : 상부 블록
34 : 스위치
35 : 밸브 설치홈
26 : 밸브 홀
40 : 에어펌프
10 : cup
11: pedestal
12: control unit
13: power supply
14: lower body
15: heater
16: heat pipe
17: advanced nozzle
18: heating body assembly
19: plastic bottle fastening part
20: valve
21: upper body
22: water collection space part
23: temperature sensor
24: hot wire
25 : disposable cup
26 : lid
27: pedestal hole
28: chin
29: female pedestal
30: lower block
31a, 31b: block male thread
32: body female thread part
33: upper block
34 : switch
35: valve installation groove
26: valve hole
40: air pump

Claims (8)

커피나 차 등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10);
상기 컵(10)의 상단부 내측에 거치되거나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캡슐 또는 필터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대(11);
상기 컵(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제어부(12)와 전원부(13)가 갖추어져 있는 하부 보디(14);
상기 하부 보디(14)의 내부에 결합되며 물의 가열을 위한 히터(15) 및 물의 전열을 위한 전열관(16), 그리고 캡슐의 천공을 위한 첨단 노즐(17)을 가지는 가열체 어셈블리(18);
상기 하부 보디(14)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패트병의 장착을 위한 패트병 체결부(19)와 패트병에서 나오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20)를 가지는 상부 보디(21);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는 하부의 물 수집공간부(22)에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감지한 후에 이를 제어부(12)측에 제공하는 온도감지센서(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보디(21)의 개방부위를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상부 보디(21)에 체결되는 뚜껑(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머신.
A cup 10 that can contain a beverage extracted from coffee or tea;
a pedestal 11 mount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cup 10 o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to support the capsule or filter;
a lower body 1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10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2 and a power supply unit 13;
a heating body assembly 18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14 and having a heater 15 for heating water, a heat pipe 16 for heat transfer of water, and a tip nozzle 17 for puncturing the capsule;
The upper body 21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14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has a plastic bottle fastening part 19 for mounting a plastic bottle and a valve 2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coming out of the plastic bottle; and ,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23 installed in the lower water collection space 22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water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12 side,
Portabl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d (26) fastened to the upper body (21) as a means for closing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body (21).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는 히터(15)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전열관(16)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어 전열관(16)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가열하는 열선(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is connected to the heater 15 side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heat transfer tube 16 to further include a heating wire 24 for heat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heat transfer tube 16 A portable coffee mach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히터(15)는 전열히터 또는 마이크로파로 물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히터 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er 15 of the heating element assembly 18 is a portabl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electric heater or a microwave heater or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for heating water with microwav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는 가열체 어셈블리(18)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경우 가열체 어셈블리(18)측에 나사체결구조로 결합되어 캡슐의 크기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edestal 1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it is coupled to the heating body assembly 18 side by a screw fastening structur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psule. mach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내부에는 커피나 차 등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별도로 담을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일회용 컵(25)이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ide of the cup (10) is a portabl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disposable cup (25) that can separately contain a beverage extracted from coffee or te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20)의 하부 공간부와 연결되게 상부 보디(21)의 측방에는 에어펌프(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rtabl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ump (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body (2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of the valve (20).
KR1020190079712A 2019-07-02 2019-07-02 Portable coffee machine KR102270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12A KR102270443B1 (en) 2019-07-02 2019-07-02 Portable coffe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12A KR102270443B1 (en) 2019-07-02 2019-07-02 Portable coffe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34A KR20210003634A (en) 2021-01-12
KR102270443B1 true KR102270443B1 (en) 2021-06-29

Family

ID=7412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712A KR102270443B1 (en) 2019-07-02 2019-07-02 Portable coffe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4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5287A (en) * 2017-08-22 2017-12-19 江门市创锶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ehicle-mounted capsule coffee machine
CN108784356A (en) * 2018-08-10 2018-11-13 上海旗凌实业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coffee machines
CN108968681A (en) * 2018-07-24 2018-12-11 宁波市金波金属制品有限公司 A kind of coffee machine liner and moulding process and coffee machine
KR101944293B1 (en) * 2018-06-08 2019-04-17 주식회사 유디엔 Disposable dutch coffee caps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412B (en) 2013-08-08 2016-04-20 宋剑芳 A kind of Portable hand operation coffee machine
KR20170022038A (en) 2015-08-19 2017-03-02 김주현 Portable hand-drip coffee mu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5287A (en) * 2017-08-22 2017-12-19 江门市创锶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ehicle-mounted capsule coffee machine
KR101944293B1 (en) * 2018-06-08 2019-04-17 주식회사 유디엔 Disposable dutch coffee capsule
CN108968681A (en) * 2018-07-24 2018-12-11 宁波市金波金属制品有限公司 A kind of coffee machine liner and moulding process and coffee machine
CN108784356A (en) * 2018-08-10 2018-11-13 上海旗凌实业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coffee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34A (en)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23398B2 (en) Beverage machine with ergonomic handling
EP2531079B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for large size beverages
KR101469723B1 (en) A pre-package, single serve beverage container
TWI454239B (en) Beverage cartridge and system
EP1539594B1 (en) A portable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system
US20130186280A1 (en) Compressed Coffee Drip Brewer
CN201551159U (en) Object group suitable for being used in beverage making process
US10827874B2 (en) Automatic beverage maker
JP20085419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exudates
KR20090027292A (en)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US11399653B2 (en) Beverage brewing system
KR101011692B1 (en) a hand mill with all-in-one fillter
US20040216616A1 (en) Brewing apparatus
KR102270443B1 (en) Portable coffee machine
KR101983339B1 (en) Beverage maker
WO2016033573A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20140322410A1 (en) Beverage brewing device
US20220304502A1 (en) Beverage machine heated water source with horizontal heating coil
CN107048913A (en) A kind of three-in-one multiduty teacup for kung-fu tea
US10849453B2 (en) Automatic beverage maker
US11627832B2 (en) Beverage brewer
RU2805680C2 (en) Coffee machine
CN104334059A (en) Infusion box for a beverag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