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473B1 -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473B1
KR102269473B1 KR1020140145140A KR20140145140A KR102269473B1 KR 102269473 B1 KR102269473 B1 KR 102269473B1 KR 1020140145140 A KR1020140145140 A KR 1020140145140A KR 20140145140 A KR20140145140 A KR 20140145140A KR 102269473 B1 KR102269473 B1 KR 10226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setting state
control
input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465A (ko
Inventor
김학준
국승빈
박미라
이상일
정민규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473B1/ko
Priority to PCT/KR2015/010791 priority patent/WO2016064128A1/en
Priority to CN201580057816.0A priority patent/CN107113328B/zh
Priority to EP15853315.8A priority patent/EP3210388B1/en
Priority to US14/881,813 priority patent/US10439838B2/en
Publication of KR2016004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21/42228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the reprogrammable keys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tsel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 및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CONTROL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보급되고 있으며, 하나의 디바이스에서도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조작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리모컨의 버튼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때, 기능 수행을 위한 버튼 조작 횟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디바이스들 각각에 리모컨이 제공됨에 따라, 일반 가정 내의 디바이스의 수만큼 리모컨의 수도 다양해지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기존에는 통합 컨트롤러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 방식은 분류하고자 하는 장치의 모든 기능이나 자료를 하나의 디바이스에 통합하는 것이다. 기존의 통합 컨트롤러에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전원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들이 모두 컨트롤러의 각 버튼에 매핑되어 있다. 하지만, 통합 컨트롤러는 디바이스 수에 대응하여 버튼의 수가 늘어나며, 여러 동작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기존에도 사용자 정의형 리모컨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기존의 사용자 정의형 리모컨에서는 기능 설정에 있어 특정한 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하거나, 특정 하드웨어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을 등록하고, 등록된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 및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최종 변경된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종료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설정 상태를 저장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1 설정 상태를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제2 설정 상태로 변경된 후 상기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2 설정 상태를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실행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함께 등록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 및 설정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 ID, 상기 수신한 설정 상태 정보 및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위젯 아이콘을 생성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안내 메시지와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UI에 포함된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위젯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젯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명령은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실행 명령은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최종 변경된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 종료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설정 상태를 저장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1 설정 상태를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제2 설정 상태로 변경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2 설정 상태를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실행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함께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 및 설정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 ID, 상기 수신한 설정 상태 정보 및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젯 아이콘을 생성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안내 메시지와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UI에 포함된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위젯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젯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명령은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실행 명령은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 시스템은.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고,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설정 모드로 진입한 후 설정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 종료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고,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사용자는 손쉽게 특정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고,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디바이스 환경을 손쉽게 재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간략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형 제어 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TV에서 원하는 설정 상태를 등록하고 실행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복수의 설정 상태를 등록하고,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복수의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간략한 블럭도,
도 9a 및 도 9b는 선호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젯 아이콘을 이용한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제어 시스템은 제어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 시스템은 허브(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허브(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40, 250, 26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허브(300)는 허브(3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40, 250, 26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는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어 설정 상태를 제어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는 제어 장치(100)가 전송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는 직접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지 않고, 허브(300)를 통하여 제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가정에서 여러 전자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장치(100)는 홈네트워크의 허브(300)와 통신하는 것만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어 장치(100)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에 있어, 통신 방식 등이 호환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에 허브(3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실시 예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허브(30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40, 250, 26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허브(300)는 디바이스(200)를 대신하여 허브(300)에 연결된 각 디바이스(200)들의 설정 상태를 저장하거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허브와 같은 경우에 있어 단순한 통신 방식 호환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TV, 전등 등 스마트 허브에 연결된 여러 장치의 설정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설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의 설정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50, 26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합 제어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임의의 설정 환경을 등록하고, 간단한 통합 조작을 통하여 등록된 설정 환경으로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되도록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어 장치(100)가 버튼형 소형 제어 장치로 구현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폰, 리모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버튼 형식의 제어 장치(100)에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접착부(미도시), LED부(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10)는 버튼, 터치 스크린, 위젯, 어플리케이션,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동일 버튼을 누르는 방식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이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110)는 택트 스위치등의 물리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택트 스위치의 경우에 크기가 작으며 단가가 저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입력부(110)는 단일 버튼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향별로 다른 기능을 매핑할 수 있도록 한 2-way, 4-way 등의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일 버튼 형식으로 구현될 경우에, 버튼부(110)는 입력 방식을 달리한 여러 종류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40)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부(110)를 누르는 동작이 유지되면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부(110)를 누르는 동작이 유지되면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와 송수신한다.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제어 장치 ID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만을 가정한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NFC는 아주 가까운 거리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로 교통, 티켓, 지불 등 여러 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지원되는 NFC의 데이터 통신 속도는 초당 424 kbit이다. 버튼형 제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사이의 연결 및 속성 정보 교환 등을 위하여, NFC Reader와 NFC Tag는 각각 버튼형 제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내장될 수 있다. 내장된 NFC Reader와 NFC Tag를 이용하여 버튼형 제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접촉하는 자연스러운 동작을 통하여 통신 연결 여부가 확인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내장된 NFC Tag 내에 기록된 정보를 버튼형 제어 장치(100)에 내장된 NFC Reader가 읽어들임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정보 등을 통신부(120)가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거리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제어를 버튼형 제어 장치(100)가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무선 LAN(Wireless LAN), IR(InfraRed) 통신, Zigbee 통신,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부(120)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필수적으로 저장부(140)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에서는 설정 모드 진입 명령, 설정 명령, 실행 명령만을 입력받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서 설정 상태 변경 및 선호 설정 상태 저장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코드와 매칭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제어 코드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소형화를 위하여 저장부(140)는 CPU 내부의 캐시 메모리(cache memory)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접착부(미도시)는 버튼형 제어 장치(100)를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버튼형 제어 장치(100)는 저렴한 가격으로 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선호 설정 상태 하나만을 매핑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특정 선호 설정 상태를 자주 사용하는 위치에 버튼형 제어 장치(100)를 부착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어 장치(100)를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특정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버튼형 제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소형화를 위하여, 전원 공급부는 버튼형의 수은 건전지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LED부(미도시)는 버튼형 제어 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버튼형 제어 장치(100)가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한 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에 진입한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LED부에 배치된 LED가 깜빡이는 신호를 내도록 LED부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는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제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형화를 위하여 제어부(1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설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고, 수신한 설정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종료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종료 신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최종 변경된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설정 종료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설정 상태를 저장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어 명령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 신호에는 제어 장치 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저장된 선호 설정 상태로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입력부(100)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최종 변경된 설정 상태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고, 수신한 설정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를 설정 모드로 진입하게 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초기 설정 상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이후에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 것에 대응하여 수신한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와 초기 설정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설정 상태 비교를 통해서 설정 상태가 변경된 부분만을 판단하여 그에 대한 제어 명령만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30)는 설정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디바이스 ID, 설정 상태 정보 및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매칭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복수의 설정 상태 변경을 단일 제어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저장하고 싶을 경우, 간단한 동작으로 현재의 설정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선호 설정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제어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버튼 형식으로 구현된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기본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110)의 버튼이 길게 클릭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모드 진입 명령으로 판단하여 설정 시작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설정 모드가 유지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어부(1240)는 LED부에 내장된 LED가 깜빡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유지되는 동안,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상태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자체의 설정 버튼, 리모콘 등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설정 상태가 원하는 임의의 상태로 변경된 후, 입력부(110)의 버튼이 재차 길게 클릭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설정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종료 신호 전송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변경된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 만일,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것이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LED부에 내장된 LED를 깜빡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설정 종료 신호 전송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설정 상태가 등록되고 나면, 입력부(110)의 버튼이 짧게 클릭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TV에서 원하는 설정 상태를 등록하고 실행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살펴보면, 현재 TV에는 사용자가 바로 가기 설정을 하고 싶은 스포츠 전문 채널(410)이 방송되고 있다.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인 TV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어 장치 ID를 함께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종료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현재 시점의 TV의 설정 상태인 채널이 스포츠 전문 채널(410)로 설정된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 더불어,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의 볼륨, 화면 비율 등이 TV 채널과 함께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TV에서 제공되는 사커 모드 등과 같은 특수 기능 실행 여부에 대한 설정도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행 명령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TV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명령에는 제어 장치(100)의 제어 장치 ID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TV는 수신한 제어 장치 ID에 매핑되어 저장된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한다. TV에 다른 채널(420)이 디스플레이되던 상태에서 입력부(11)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TV의 채널을 저장된 선호 설정 상태인 스포츠 전문 채널(410)로 변경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복수의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고, 등록된 복수의 선호 설정 상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부(110)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여 제1 설정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재차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여 제2 설정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등록된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등록된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TV에서 선호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예로 들면, 도 5a에 도시된 디바이스인 TV(200)에는 스포츠 전문 채널(510)이 방송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시작 신호를 TV(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설정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TV(200)는 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제어부(130)는 설정 모드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어 장치(100)가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TV 리모컨(210)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포츠 전문 채널(510)을 선호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TV 리모컨(210)을 이용하여 채널을 드라마 전문 채널(520)로 변경한 후 선호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종료 신호를 TV(200)에 전송한다.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TV(200)는 설정 모드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 경우에, 스포츠 전문 채널(510)을 선택하는 설정 상태가 제1 선호 설정 상태가 되며, 드라마 전문 채널(530)을 선택하는 설정 상태가 제2 선호 설정 상태가 될 것이다.
TV 리모컨(210)의 선호 채널 버튼을 이용하여 복수의 선호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 이외에 버튼형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10)에 추가적인 입력을 받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0)를 길게 누르면 제어부(130)는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TV(200)가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입력부(110)를 짧게 누르면 제어부(130)는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입력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선호 설정 상태를 원하는 만큼 추가하여 설정한 후 입력부(110)를 다시 길게 누르면 제어부(130)는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TV(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b를 살펴보면, 등록된 제1 선호 설정 상태 및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현재 시청하고 있던 채널(530)에서 제1 선호 설정 상태에 해당하는 스포츠 전문 채널(510)로 채널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TV(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어 장치 ID를 TV(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TV(200)의 설정 상태는 제어 장치 ID에 대응되는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된다. 입력부(110)를 통해 재차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스포츠 전문 채널(510)에서 제2 선호 설정 상태에 해당하는 드라마 전문 채널(520)로 채널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TV(20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제2 선호 설정 상태 이상으로 선호 설정 상태가 더 많이 설정되었다면, 다시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방식을 통하여 제어부(130)는 연결된 디바이스(200)가 순차적으로 복수의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경 순서는 반드시 등록된 순서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변경 순서를 별도의 목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아 설정할 수도 있고,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변경 순서가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채널을 등록하는 경우에 등록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채널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고, 등록 순서에 무관하게 채널 번호가 낮은 순서대로 채널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b와 같이 제1 및 제2 선호 설정 상태만이 등록된 경우에, 3번째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의 동작에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3번째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2 선호 설정 상태인 드라마 전문 채널(520)에서 다시 제1 선호 설정 상태인 스포츠 전문 채널(510)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2 선호 설정 상태인 드라마 전문 채널(520)로 변경된 후, 3번째 제2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되기 전에 시청하고 있던 채널(530)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복수의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TV(200)의 설정 상태가 화면 모드를 영화 모드로 하고, 볼륨의 크기를 10으로 하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도 6a에서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TV(200)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TV(200)에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 TV(200)의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제어 장치(100)는 설정 모드 진행중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점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V(200)의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TV(200) 자체의 버튼 또는 TV 리모컨(210)을 이용하여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TV 리모컨(210)을 이용하여 영화 모드로 화면 모드를 변경하고, 볼륨을 조절하여 볼륨의 크기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입력부(110)가 설정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연결된 디바이스인 TV(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TV(200)에는 최종 설정 상태인 '영화 모드 및 볼륨 10'이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TV(200)에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TV(200)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인 '영화 모드 및 볼륨 10'으로 변경한다. 이 경우에 채널을 변경하는 것은 설정된 선호 설정 상태가 아니므로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620)을 유지하며 화면 모드와 볼륨만이 변경된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 같은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의 최종 상태만을 저장하는 이유는, 설정 모드 진입 이후의 설정 상태 변경 과정을 매크로와 같이 그대로 따라갈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볼륨의 크기를 10으로 하는 설정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정 모드 진입 당시 볼륨의 크기가 7이었다면 디바이스는 볼륨이 각각 8, 9, 10인 경우의 설정 상태 변경 과정을 거치게 된다.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고자 할 때, 중간 과정인 볼륨이 8, 9인 상태를 재현할 필요성이 없으며, 단지 최종 상태인 볼륨이 10인 상태를 재현하면 족하다. 다른 예로, 오디오 장치에서 특정 주파수를 갖는 라디오 방송국의 채널로 바로 가고자 하는 것이 사용자의 설정 의도라면, 설정 과정에서의 주파수 스캔 과정 같은 것은 재현될 필요가 없으며, 검색된 최종 주파수로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러한 경우에, 설정 모드로 진입할 때의 설정 상태와 최종 설정 상태를 비교하여 변경된 내용만을 저장할 수 있다. 설정 상태 변경 내용은 각 디바이스(20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저장부(140)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100)의 경우에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연결된 디바이스(200)의 설정을 함께 등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설정 모드 진입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부(130)는 설정 시작 신호를 복수의 연결된 디바이스(200) 각각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각 디바이스(200)에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브로드 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의 디바이스(200)에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복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원하는 설정 상태로 변경시킨 후 입력부(110)에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종료 신호를 복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복수의 디바이스(200) 각각은 이때의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불을 꺼서 환경을 어둡게 하고 영화 모드로 TV를 설정하여 영화를 시청하던 중 다음에도 같은 환경에서 영화를 시청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 경우, 사용자는 현재의 설정 상태를 등록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복수의 연결된 디바이스(200) 각각의 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a를 살펴보면,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 제1 디바이스인 TV(710)의 시청 모드를 TV 리모컨(715)을 이용하여 영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TV(71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한 TV(710)는 영화 모드 설정을 TV(710)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 제2 디바이스인 조명 장치(720)의 전원을 스위치(725)를 이용하여 OFF로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설정 명령을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조명 장치(72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한 조명 장치(720)는 선호 설정 상태를 전원이 OFF된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각각의 디바이스(200)에 따로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브로드 캐스트 방식을 통해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200)에 동시에 설정 시작 신호, 설정 종료 신호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에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각 디바이스(2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각 디바이스(200)에 제어 장치 ID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을 수신한 제1 디바이스인 TV(710)는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시청 모드를 영화 모드로 설정하고, 제2 디바이스인 조명 장치(720)는 전원을 OFF되도록 설정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1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복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원하는 설정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제어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성 입력부(160), 음성 출력부(170), 카메라부(18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제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110)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젯과 같은 형태의 가상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과 매핑된 단축 아이콘이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에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와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제어 장치 ID, 설정 정보 요청 신호, 제어 명령 등을 송신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설정 정보, 디바이스 ID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무선 LAN(Wireless LAN), IR(InfraRed) 통신, ZigBee 통신, Bluetooth 통신, WiFi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무선 LAN을 통해 제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연결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사이의 상호 인식을 위해 일종의 정해진 프로토콜로 통신 연결 여부에 대한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OSI 7 계층 모델(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Model)에서 상위 레벨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또는 프리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를 통하여 해당 프로토콜이 정의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와 같이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통신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통신부(120)는 직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와 송수신한다. 만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와 다른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 송수신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부(120)는 허브(3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신부(120)는 허브(300)로 제어 명령 등을 송신하고, 허브(300)가 수신한 제어 명령을 재송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하여도 허브(300)는 유선 연결을 통하여 제어 명령 등을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 장치(100)와 허브(300) 사이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 허브(300)와 디바이스(200) 사이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300)가 WiFi와 BLE(Bluetooth Low Energy)를 모두 지원한다고 할 때, 허브(300)는 제어 장치(100)와는 WiFi로 통신하고, 디바이스(200)와는 BLE로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는 각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제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선호 설정 상태 및 순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가상 버튼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장부(140)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only memory)이 포함될 수 있다. 관련 분야에 잘 알려져 있듯이, ROM은 단방향(uni-directionally)으로 CPU에 데이터와 명령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RAM은 일반적으로 양방향(bi-directional)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선호 설정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4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DP(Plasma Display Panel),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주로 발광형으로 이루어질 것이지만, 반사형 디스플레이(E-ink, P-ink, Photonic Crystal)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등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주로 스마트폰과 같은 형태로 제어 장치(100)가 구현된 경우에 제공된다.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 설정 순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 상태를 등록했는지를 바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설정 상태는 이에 대응되는 위젯 아이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에 단축 아이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이를 누를 경우 제어 명령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입력부(11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의 화면이 입력부(100)의 기능과 디스플레이부(150)의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것이다.
음성 입력부(160)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설정 명령을 버튼을 통해 입력받는 방식이 아니라, 음성 입력부(160)가 음성으로 설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성 입력부(160)는 스마트폰의 소형 마이크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설정된 음성 신호에 실행 기능이 매핑된 경우에,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음성 신호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모드 진입'이라는 음성 신호가 '설정 모드 진입 명령'과 매핑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70)는 제어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상태 설정 등록 완료를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가 음성 신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부(180)는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카메라부(180)는 촬영된 오브젝트의 형태를 인식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달받은 오브젝트의 형태를 분석하고,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 구성요소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등 제어 장치(100)의 다른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30)의 기능에 대한 기재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기재를 피하도록 한다.
도 9a 및 도 9b는 선호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의 내용이나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설정 상태대로 등록된 것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로 구현될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의 내용 등을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2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a는 선호 설정 상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장치(1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의 내용을 표시하는 UI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어 장치(100)에서 직접 설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 1에는 4개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선호 설정 상태 1은 TV의 시청 모드는 영화 모드로 설정(905)하고, 전등은 전원을 OFF(910)하며, 에어컨은 무소음 모드로 설정(915)하고, 오디오는 3D 모드로 설정(920)하는 내용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여 원하는 설정 상태에 대응되도록 선호 설정 상태가 등록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만일 일부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사용자가 의도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UI 상에서 해당 부분을 삭제 또는 수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선호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는 UI 상의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9a에 나타난 선호 설정 상태 목록 중 에어컨에 대한 설정 상태가 사용자가 의도한 부분이 아니라면, 제어부(130)는 해당 부분(915)을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는 선호 설정 상태 목록에서 일부를 삭제하는 동작이 UI 상에서 해당 부분을 드래그하여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 밖으로 던지는 동작과 같은 특정 사용자 인터렉션과 매핑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b는 선호 설정 상태의 내용 및 등록된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장치(1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등록된 선호 상태 및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함께 표시하는 UI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상태 변경 순서는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 각각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순서를 말한다. 도 9b를 살펴보면,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의 내용 옆에 변경 순서가 함께 표시되어 있어, 제어부(130)는 어떤 디바이스에 먼저 제어 명령이 전송되는가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b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입력부(110)에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가장 먼저 TV에 시청 모드를 영화 모드로 변경(925)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다음으로 전등의 전원을 OFF 상태로 변경(930)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등으로 전송하며, 이어서 에어컨에 무소음 모드로 동작(935)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오디오에 3D 모드로 출력(940)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50)에 마련된 UI상의 가상 화살표 버튼(945, 950)을 이용하여 받은 입력을 통해 제어부(130)는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선호 설정 상태와 관련된 부분(935)을 선택하고, 위쪽 화살표 버튼(945)을 한 차례 누르면 제어부(130)는 에어컨의 선호 설정 상태(935)를 전등의 선호 설정 상태(930)와 바꿔서 에어컨의 변경 순서가 두 번째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것이다.
다른 예로, 특정한 설정 상태 변경 명령이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정해진 순서에 의해 실행되어야만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만일, UI 상에서 해당 설정 순서를 반대로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에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위젯 아이콘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100)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1010)에 위젯 아이콘(1011)을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위젯 아이콘(1011)을 생성함과 동시에 연결된 디바이스인 TV(200)를 설정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신호인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화면(1010)에 설정 모드가 유지되고 있다는 안내 메시지(1012) 및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UI 버튼(1013)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를 방송하는 TV 채널로 바로 가는 기능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TV 리모컨(210)을 이용하여 TV(200)의 채널을 축구 경기를 방송하는 TV 채널로 변경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이 변경된 후 UI 버튼(1013)을 눌러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설정 종료 신호를 TV(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아이콘(1011)을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매핑된 선호 설정 상태에 대응되는 내용을 위젯 아이콘(1011)의 명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0d의 위젯 아이콘(1011)의 명칭은 '축구 경기를 방송하는 TV 채널로 바로 가기' 기능과 대응되는 'TV 축구'로 자동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매핑된 선호 설정 상태의 내용을 목록에 입력하여 나타내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위젯 아이콘(1011)이 선택되면, 위젯 아이콘(1011)에 매핑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제어부(130)는 TV(200)에 축구 경기를 방송하는 TV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위젯 아이콘(1011)에 매핑된 기능 번호와 같은 단순한 정보만을 TV(200)에 전송하고, TV(200)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된 선호 설정 상태를 이용하여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 이외에도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의하는 설정 상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인 전등(1110), 에어컨(1120), TV(1130), 조명 장치(1140), 로봇 청소기(1150)에 대하여 외출시에 단일 조작만으로 전부 전원을 OFF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를 통하여, 사용자는 여러 위치에 분포되어있는 디바이스들을 일일이 찾아다니거나, 여러 개의 리모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쉽게 외출 시에 모든 디바이스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각의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제어부(130)는 홈네트워크의 허브(300)와 통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선호 설정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00)는 특정 컨텐츠와 매핑되는 버튼을 설정하고, 설정된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컨텐츠와 매핑되는 버튼은 물리적인 버튼일 수도 있으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제공되는 가상 버튼, 위젯, 아이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을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말과 관련된 TV 시리즈와 매핑하는 버튼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에 의해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는 TV 시리즈가 방영되는 TV 채널로 변경하도록 하는 설정일 수도 있고, IPTV 등과 같은 VOD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연결하여 TV 시리즈의 페이지를 브라우징하도록 하는 설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OD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시청을 완료한 지점을 저장하고, 선호 설정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통하여, 버튼 조작만으로 기존에 시청을 완료한 지점의 바로 다음부터 시청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디바이스(200)에 동일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TV(1310)와 오디오 장치(132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TV(1310)를 시청하던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오는 상황과 같이 주위의 소음을 줄여야 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복수의 디바이스인 TV(1310)와 오디오 장치(1320)가 같은 동작인 음소거 모드로 들어가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이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기능에 대하여 동일한 제어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특별한 디바이스를 구별하는 신호가 필요 없이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전송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디바이스마다 제어 코드가 상이한 경우는 선호 설정 상태로 음소거 상태인 것을 등록하는 방식으로 제어부(130)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과 같은 경우에, 제어 장치(100)가 소형 버튼으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스마트폰으로 제어 장치(100)가 구현된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마련된 버튼을 클릭하여 TV(1310)와 오디오 장치(1320)를 음소거 모드로 변경시킨 후, 통화 버튼을 눌러 전화통화를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4는 특히 버튼형 제어 장치(100)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버튼형 제어 장치(100)의 가장 큰 장점은 조작이 단순하다는 점이다. 스마트 리모컨이나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제어 장치의 경우는 전자 장치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간편하고 편리할 수 있으나, 전자 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에게는 기존의 리모컨보다 더 복잡하고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버튼형 제어 장치(100)는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만 수행하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노년층과 같이 전자 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버튼형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10)를 클릭하는 동작이 입력되는 것만으로, 제어부(130)는 볼륨의 크기를 키우거나 시청 모드를 실버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는 조작 단계가 어렵게 느껴지는 사용자 계층을 위하여, 디바이스 제조사에서 기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갖는 버튼형 제어 장치(100)를 디바이스 구입 당시 또는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 가능한 시나리오로는, 가족 구성원별로 서로 다른 버튼형 제어 장치(100)에 각자 원하는 선호 채널을 등록하여 사용하는 시나리오, 침대 옆에 부착된 버튼형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잠자리에 들며 거실에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200)의 전원을 OFF시키는 시나리오 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여름철에 집에 들어오며 현관에 배치된 버튼형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110)에 클릭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에어컨을 터보 모드로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홈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S1510). 설정 시작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가 변경되는 동안 대기한다(S1520).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어 장치(100)는 점멸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100)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에 '설정 중입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자체 버튼 또는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설정 방식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설정 상태 변경이 완료된 이후, 제어 장치(100)는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S1530). 설정 종료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를 설정 모드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 신호이다. 제어 장치(100)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S1510 단계나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는 S1530 단계에서 제어 장치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등록한 선호 설정 상태와 제어 장치 ID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1540).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는 제어 장치 ID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제어 장치 ID를 수신하여 매핑된 선호 설정 상태가 무엇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선호 설정 상태로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S1610). 설정 시작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가 변경되는 동안 대기한다(S1620). 도 15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점멸 신호, 안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자체 버튼 또는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설정 방식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장치(100)에 기저장된 제어 코드 등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설정 상태 변경이 완료된 이후 설정 명령을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 및 설정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630). 설정 종료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것을 종료하라는 신호이다. 설정 상태 요청 신호는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 정보를 송신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설정 상태 요청 신호는 각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ID를 변경된 설정 상태 정보와 함께 송신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최종 변경된 설정 상태를 제어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1640). 선호 설정 상태를 제어 장치(100)에서 저장한다는 점이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이다.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매칭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S1650). 실행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 장치(100)에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ID, 설정 상태 정보 및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매칭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제어 코드가 다른 경우에, 디바이스 ID를 이용하여 특정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알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아,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임의의 원하는 설정 상태를 등록하고, 원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의 설정을 제어 장치(100)에 등록된 설정 상태를 이용하여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입력의 시간에 따라 다른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 장치(100)에는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S1710). 버튼은 기존의 리모컨에 배치된 것과 같은 물리적인 버튼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제공되는 가상 버튼일 수도 있다. 또는, 버튼 형식의 원격 소형 독립 컨트롤 장치일 수도 있다. 입력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버튼이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제어 장치(100)는 다양한 입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버튼을 누르고 유지하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지 판단한다(S1720). 만일 기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버튼을 누르는 경우(S1720-Y), 제어 장치(100)는 설정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 명령이 제어 장치(100)에 입력된다(S1730). 입력된 제1 명령에 따라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S1740). 반대로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만 버튼이 눌려서 유지되는 경우(S1720-N), 제어 장치는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행 명령이 제어 장치(100)에 입력된다(S1750). 입력된 실행 명령에 따라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200)에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설정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1760). 상술한 방법과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동일 버튼을 사용하여 상이한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제공되는 가상 버튼의 경우를 가정하면, UI 상에서 버튼을 기준점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제어 장치(100)에 설정 명령이 입력되고, 기준점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면 제어 장치(100)에 실행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통하여,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디바이스(200)의 복수의 기능을 한 번에 실행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복수의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8 및 19를 참조하여 통합 제어 시스템의 시퀀스(sequence)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제어 장치(100)가 신호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각 디바ㅏ이스(200)에서 설정 상태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실시 예를 갖는 통합 제어 시스템의 시퀀스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특히 버튼형으로 구현된 제어 장치(100)를 이용할 때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장소에서 필요한 설정 모드를 제어 장치 ID 정보와 매핑하여 디바이스(200)에 저장하고, 제어 장치(100)가 제어 장치 ID 정보 등의 신호를 전송하여 디바이스에서 저장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통합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200)를 설정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제어 장치(100)에 입력된다(S1805). 제어 장치(100)는 제어 장치 ID 및 설정 시작 신호를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S1810). 디바이스(200)는 원하는 임의의 상태로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S1815). 디바이스(200) 자체의 버튼 또는 리모컨 등을 통하여 설정 상태를 원하는 설정 상태로 변경한다. 원하는 임의의 설정 상태로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완료된 후, 제어 장치(100)에 설정 종료 명령이 입력된다(S1820).
제어 장치(100)는 설정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S1825). 제어 장치(100)는 제어 장치 ID를 설정 시작 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대신에 설정 종료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200)는 설정 종료 신호에 대응하여, 변경된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S1830). 즉, 디바이스(200)는 설정 시작 신호와 설정 종료 신호 사이의 시간 동안 변경된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200)는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와 제어 장치 ID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S1835). 제어 장치(100)마다 특정 선호 설정 상태를 매핑하기 위하여,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제어 장치 ID와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매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제어 장치에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하고 TV의 채널을 변경한 후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2 제어 장치에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을 입력하고 TV의 볼륨을 변경한 후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V에는 채널을 설정한 채널로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제 1 제어 장치의 ID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볼륨을 설정한 볼륨으로 변경하는 제어 명령을 제 2 제어 장치의 ID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향후, 사용자가 제 1 제어 장치에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TV의 채널이 변경되고, 제 2 제어 장치에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TV의 볼륨이 변경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제어 장치를 원하는 하나하나의 기능에 매핑시킬 수 있다.
저장된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실행 명령이 제어 장치(100)에 입력된다(S1840).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디바이스(200)에 제어 장치 ID를 전송한다(S1845).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제어 장치 ID에 매핑된 선호 설정 상태가 있는지 판단한다. 수신한 제어 장치 ID에 대응되는 선호 설정 상태가 존재하면, 디바이스(200)는 현재 설정 상태를 저장된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한다(S1850).
도 19는 제어 장치(100)가 설정된 내용을 저장하고 디바이스(20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방식의 실시 예를 갖는 통합 제어 시스템의 시퀀스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통합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200)를 설정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제어 장치(100)에 입력된다(S1905). 제어 장치(100)는 설정 시작 신호를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S1910). 설정 시작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200)는 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디바이스(200)는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1915).
디바이스(200)에서 설정 상태 변경을 완료한 후, 제어 장치(100)에 설정 명령이 입력된다(S1920).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장치(100)는 디바이스(200)에 설정 종료 신호 및 설정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설정 종료 신호는 디바이스(200)가 설정 모드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 신호이다. 설정 상태 요청 신호는 설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이다. 디바이스(200)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제어 장치(100)에 송신한다(S1930). 또한,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 코드를 함께 제어 장치(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설정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설정 상태 정보,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1935).
등록한 선호 설정 상태로 디바이스(2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하여 실행 명령이 제어 장치에 입력된다(S1940). 그리고, 입력된 실행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 장치(100)는 매칭된 제어 코드를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1945). 매칭된 제어 코드는 디바이스(200)에서 등록된 설정 상태와 같이 설정 상태를 변경하게 하는 제어 코드를 담고 있다. 디바이스(200)는 매칭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설정 상태를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와 대응되도록 변경한다(S1950).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에서 직접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하여 설정하는 방식이 적용된 실시 예이다.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직접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S2010).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직접 변경한 설정 상태에 대하여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한다(S2020). 설정 모드 진입과 설정 모드 종료 사이의 시간 동안 변경된 설정 상태를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 정보를 저장할 제어 장치를 지정한다(S2030). 즉, 디바이스에서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디바이스가 제어 장치에 제어 명령 자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디바이스는 지정한 제어 장치에 디바이스 ID 및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S204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제어 장치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음성 입력부 170: 음성 출력부
180: 카메라부

Claims (19)

  1.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 및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설정 종료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설정 상태를 저장하도록 하는 신호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최종 변경된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1 설정 상태를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제2 설정 상태로 변경된 후 상기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2 설정 상태를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실행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함께 등록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 및 설정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 ID, 상기 수신한 설정 상태 정보 및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위젯 아이콘을 생성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안내 메시지와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UI에 포함된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위젯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젯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명령은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실행 명령은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 종료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설정 상태를 저장하도록 하는 신호인,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설정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최종 변경된 설정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선호 설정 상태를 등록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1 설정 상태를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상기 제1 설정 상태에서 제2 설정 상태로 변경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호 설정 상태 추가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2 설정 상태를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1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실행 명령이 재차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를 상기 등록된 제2 선호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함께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설정 상태 변경 순서를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 및 설정 상태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ID 및 설정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 ID, 상기 수신한 설정 상태 정보 및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젯 아이콘을 생성하는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안내 메시지와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UI에 포함된 설정 명령 입력 버튼을 통해 상기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위젯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젯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명령은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고,
    상기 실행 명령은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누르는 경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9. 설정 모드 진입 명령이 입력되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설정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정 종료 신호를 전송하고,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설정 모드로 진입한 후 설정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 종료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설정 상태를 선호 설정 상태로 등록하고,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등록된 선호 설정 상태로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140145140A 2014-10-24 2014-10-24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26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40A KR102269473B1 (ko) 2014-10-24 2014-10-24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PCT/KR2015/010791 WO2016064128A1 (en) 2014-10-24 2015-10-13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CN201580057816.0A CN107113328B (zh) 2014-10-24 2015-10-13 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集成控制系统
EP15853315.8A EP3210388B1 (en) 2014-10-24 2015-10-13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US14/881,813 US10439838B2 (en) 2014-10-24 2015-10-13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40A KR102269473B1 (ko) 2014-10-24 2014-10-24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65A KR20160048465A (ko) 2016-05-04
KR102269473B1 true KR102269473B1 (ko) 2021-06-28

Family

ID=5576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40A KR102269473B1 (ko) 2014-10-24 2014-10-24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39838B2 (ko)
EP (1) EP3210388B1 (ko)
KR (1) KR102269473B1 (ko)
CN (1) CN107113328B (ko)
WO (1) WO2016064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536B1 (ko) * 2015-04-01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084685B2 (ja) * 2016-09-02 2022-06-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6909400B2 (ja) * 2017-06-29 2021-07-2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KR102043885B1 (ko) * 2017-12-01 2019-12-02 김태강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봉제품 제조용 스마트 계수기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봉제 생산 관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2166431B1 (ko) * 2019-03-04 2020-10-15 조병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효율적인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366019A (zh) * 2019-07-25 2019-10-2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mcu通讯的智能设备遥控系统
KR20230129857A (ko) * 2022-03-02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7618A1 (en) * 2003-11-04 2005-05-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nd recalling state data for media and home appliances
US20140064738A1 (en) * 2012-08-31 2014-03-0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7957A (en) * 1996-11-06 1999-03-02 Ameritech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gramming at least one appliance to change state upon the occurrence of a trigger event
JP2002534841A (ja) 1998-12-29 2002-10-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分配されたネットワーク装置を有するホーム制御装置
US7555528B2 (en) * 2000-09-06 2009-06-30 Xanb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ly representing devices at remote sites
KR101076924B1 (ko) * 2004-11-01 201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채널 선택 방법
US8606232B2 (en) * 2009-06-08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multi-stage virtual SIM provisioning and setup on mobile devices
CN101794501A (zh) * 2010-01-21 2010-08-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家电进行远程控制的方法和无线上网卡
WO2011140439A1 (en) * 2010-05-06 2011-11-10 Ikanos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to configure and manage broadband-enabled digital command and control systems
CN102299833A (zh) * 2010-06-25 2011-12-28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远程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8922334B2 (en) * 2010-07-12 2014-12-30 Echostar Technologies L.L.C. Assisted remote control macros
US8453186B2 (en) * 2010-09-15 2013-05-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KR101799442B1 (ko) 2011-09-15 201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9737B1 (ko) * 2012-08-28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7618A1 (en) * 2003-11-04 2005-05-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nd recalling state data for media and home appliances
US20140064738A1 (en) * 2012-08-31 2014-03-0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0388A1 (en) 2017-08-30
US10439838B2 (en) 2019-10-08
EP3210388A4 (en) 2017-10-25
CN107113328B (zh) 2020-05-29
WO2016064128A1 (en) 2016-04-28
EP3210388B1 (en) 2019-12-25
US20160119160A1 (en) 2016-04-28
KR20160048465A (ko) 2016-05-04
CN107113328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473B1 (ko) 제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통합 제어 시스템
JP6543719B2 (ja) 機器制御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077233B1 (ko) 컨텐트 제공 방법 및 이동 단말기와 기록 매체
US9723086B2 (en) Providing static or dynamic data to a device in an event-driven manner
JP6508199B2 (ja) スマートホーム機器の制御方法、装置、システムおよび機器
US201802705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26481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5450655A (zh) 设备绑定方法和装置
KR20170112556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882366A (zh) 主机设备和附件的遥控信号学习和处理
CN105338083A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KR102330249B1 (ko) 다중 기기 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2017518718A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の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4378267A (zh) 设备连接的提示方法及装置
JP2018501461A (ja) アラーム設定方法およびアラーム設定装置
US20150149644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er to peer service by using contacts information
JP4621961B2 (ja) 携帯電話機
US20160139742A1 (en)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s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170366855A1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video medi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08230B1 (ko) 음향 효과를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862566A (zh) 遥控方法、设备信息写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582543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CN105227761B (zh) 用户手持方式的判断方法和装置
KR1021069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654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