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428B1 -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 Google Patents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428B1
KR102269428B1 KR1020200141843A KR20200141843A KR102269428B1 KR 102269428 B1 KR102269428 B1 KR 102269428B1 KR 1020200141843 A KR1020200141843 A KR 1020200141843A KR 20200141843 A KR20200141843 A KR 20200141843A KR 102269428 B1 KR102269428 B1 KR 10226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ser
treatment
disease
realit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알텍
Priority to KR102020014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4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3Measuring galvanic skin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5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big data-based system and solution for diagnosing, preventing and treating dementia and a brain disease by using virtual reality (VR), which utilize AI and big data to accurately diagnose a disease and give proper prescription, thereby greatly improving an effect of treatment.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R implementing device: a biometric 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biometric signals from a user who watched first VR content provided by the VR implemen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biometric signals from the biometric signal detection unit based on AI and big data to diagnose a diseas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second VR content selected based on a result of the diagnose to the VR implementing device to cause the VR implementing device to provide the second VR content to the user.

Description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및 솔루션{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질환을 진단 및 처방하여 치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및 솔루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 and in particula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can accurately diagnose and prescribe disea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o greatly improve the treatment effect, It is about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preventive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using virtual reality.

치매나 각종 뇌질환의 원인중에 확실한 한가지는 고령화나 각종 스트레스, 상실감등의 이유등으로 뇌의 활동이 위축되어 기억력, 이해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이 낮아지는 현상이다. One of the sure causes of dementia or various brain diseases is the phenomenon that cognitive functions such as memory, comprehension and judgment are lowered due to atrophy of brain activity due to aging, various stresses, and feelings of loss.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인지기능이 현저히 떨어졌을 때 우린 이것을 치매라고 일컫는다. Also, when two or more cognitive functions are significantly reduced, we call this dementia.

치매는 현상에 관한 통칭어이며 일반적으로 알츠하이머, 파킨슨,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알콜성 치매 등이 있다.Dementia is a generic term for a phenomenon, and generally includes Alzheimer's, Parkinson's, vascular dementia, Lewy body dementia, frontotemporal dementia, and alcoholic dementia.

뇌혈관 질환은 뇌졸중, 뇌출혈, 뇌경색등에 의해 뇌조직에 손상을 입어 발생하는 질환이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편마비, 안면마비, 시야장애, 연하곤란, 구음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Cerebrovascular disease is a disease caused by damage to brain tissue due to stroke, cerebral hemorrhage, cerebral infarction, etc. Typical symptoms include hemiplegia, facial paralysis, visual field disturbance, dysphagia, and dysarthria.

특정 공포증(Phobia)이라 함은 고소 공포증, 대인 공포증, 물공포증, 폐쇄공포증, 각종 강박장애, 트라우마 등을 일컬으며 신경증(노이로제)의 한 병형(病型)이며 불안감이 조성되는 비합리적 공포 및 불안증상이다. Specific phobia refers to phobia of heights, phobia of people, phobia of water, claustrophobia, various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rauma, etc. It is a type of neurosis (neurosis) and is an irrational fear and anxiety symptom that creates anxiety. to be.

이는 기질적으로 계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부정적인 경험이 축적될 경우, 그 특정 학습효과로 인해 뇌의 공포 체계가 과민반응 하면서 나타난다. This occurs when the negative experience is accumulated in a person with temperament, and the fear system of the brain overreacts due to the specific learning effect.

또한 우울증이나 조울증, 심리 안정 및 치료, 기타 통증치료등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It can also be used for depression, bipolar disorde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reatment, and other pain treatments.

일반적으로 치매나 각종 뇌질환 및 공포증 치료에는 약물을 활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치매나 뇌질환, 공포증 치료제의 경우, In general, drugs are used to treat dementia, various brain diseases, and phobias. 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dementia, brain disease, and phobia treatment,

첫째, 효과가 미미하거나 일시적이며, First, the effect is negligible or temporary;

둘째, 심각하고 때론 치명적인 부작용(환각등)을 나타내며, Second, it exhibits serious and sometimes fatal side effects (such as hallucinations),

셋째, 다른 약들과의 상호충돌이 너무 많아 위험(쇼크사등) 할 수 있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의학자들로부터 건의되어져 왔다.Third, the point that it can be dangerous (shock death, etc.) because there are too many conflicts with other drugs has been continuously suggested by medical scientists.

의료 선진국으로 불리우는 독일과 프랑스, 미국, 하물며 일본과 한국에서 마저도 약물치료로 인한 부작용 및 미비한 효과로 약물을 활용한 치매 치료는 거의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약물치료에 의한 부작용과 미비한 치료 효과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처방의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Even in Germany,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even Japan and Korea, which are called advanced medical countries, the treatment of dementia using drugs is almost abandoned due to the side effects and insignificant effects of drug treatmen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prescription system that can replace the side effects and insufficient therapeutic effects of drug treat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1647호 (2020년 6월 19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1647 (published on June 19, 2020)

본 발명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질환을 진단 및 처방하여 치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hat can accurately diagnose and prescribe diseases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o greatly improve the treatment effect, and use virtual reality to diagnose dementia and brain diseases, preventive treatment system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soluti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은,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에서 제공된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500)로부터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부(200); 및 상기 생체 신호 검출부(200)로부터의 생체 신호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가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자(500)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A system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s using virtual reality an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a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that detects a biosignal from a user 500 who has viewed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and analyzing the biosignal from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o diagnose the disease of the user 500 and implement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in the virtual reality and a control unit 400 that allows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to provide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user 500 by transmitting it to the device 100 .

상기 제어부(400)로부터의 진단 결과를 근거로 치료용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500)에게 공급하는 자극부(300)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stimulation unit 300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from the control unit 400 and supplies it to the user 500 .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진단 결과에 따라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연동되어 상기 치료용 전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자극부(30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stimulation unit 300 to generate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상기 자극부(300)는 경두개 전기 자극부(300) 및 경두개 광파 자극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stimulation unit 30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unit 300 and the transcranial light wave stimulation unit 300 .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상기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일체로 이루어진다.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and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상기 자극부(300)는 일체로 이루어진다.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apparatus 100 and the stimulation unit 300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하여 상기 질환의 종류를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질환의 진행도를 판단한다.The controller 400 diagnoses the disease of the user 500 to specify the type of the disease and determines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상기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상기 사용자(500)의 뇌파를 검출하여 뇌파 검출부(201); 상기 사용자(500)의 심전도 및 심박변이도를 검출하는 심장 신호 검출부(202); 상기 사용자(500)의 근전도를 검출하는 근육 신호 검출부(203); 및 상기 사용자(500)의 피부 저항 신호를 검출하는 피부/체온 신호 검출부(2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includes: an EEG detection unit 201 to detect the EEG of the user 500 ; a heart signal detection unit 202 for detecting an electrocardiogram and heart rate variability of the user 500; a muscle signal detector 203 for detecting the EMG of the user 500; and at least one of a skin/body temperature signal detection unit 204 that detects a skin resistance signal of the user 500 .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솔루션은,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자(500)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500)로부터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하는 단계;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치료용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500)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on treatment solution using virtual reality an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user 500 providing; detecting a biosignal from a user 500 who has viewed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diagnosing the disease of the user 500 by analyzing the detected bio-sig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selecting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for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ing the select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user 500 .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치료용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500)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supplying it to the user 500 .

상기 치료용 전기 신호는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500)에게 공급된다.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is supplied to the user 500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하여 상기 질환의 종류를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질환의 진행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diagnosing the disease of the user 500 includes diagnosing the disease of the user 500 to specify the type of the disease and determining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본 발명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치매 및 뇌질환을 진단 및 처방하여 치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therapeutic effect by accurately diagnosing and prescrib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s by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 및 방법은, 의사마다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다를 수 있는 뇌질환 진단을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함으로써 증폭되어 나타나는 뇌파(EEG)를 통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 효과가 미미하고 부작용이 높은 치매나 뇌질환 약물 치료제를 대신하여 집중력과 몰입도가 높은 가상 현실 컨텐츠와 경두개 전기 자극기기(tDCS, tACS) 경두개 광파자극기기(tMS)를 혼합 활용하여 부작용 없이 위축된 뇌를 활성화시키고 또한 잘못된 경험과 학습 등으로 인해 생긴 각종 공포증과 불안증을 치유하기 위해 그 증상 치료에 맞게 제작되어진 맞춤형 가상 현실 컨텐츠를 처방하여 짧은 시간에 높은 치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mplified by watching virtual reality content to diagnose brain disease, which may be subjectively determined by each doctor. Virtual reality contents with high concentration and immersion in place of drugs for dementia or brain disease, which have minimal effects and high side effects, and enable objective and accurate diagno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hrough the EEG that appears. In order to activate the atrophied brain without side effects by using a combination of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DCS, tACS) and transcranial light wave stimulation device (tMS), and to heal various phobias and anxiety caused by wrong experiences and learning, the symptoms By prescribing customized virtual reality contents created for treat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healing effect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체 신호 검출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극부에 구비된 전극 위치에 따른 뇌 자극의 다양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가상 현실 구현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생체 신호 검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유닛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유닛 모듈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뇌파 검출부를 이용하여 뇌파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2의 뇌파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뇌파의 종류별 분석 및 설명을 나타낸 표이다.
도 9b는 도 9b의 뇌파 분석에 따른 총평을 나타낸 표이다.
도 9c는 도 9b의 뇌파 분석 및 도 9b의 총평에 따른 질환 가능성을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진단될 수 있는 치매 및 뇌질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관련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7은 도 14의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 표시되는 각종 메뉴 창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ffects of brain stimulation according to positions of electrodes provided in the stimulation unit of FIG. 1 .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of FIG. 1 .
FIG.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of FIG. 1 .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it module of a system for trea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nit module of FIG. 6 is worn by a user.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ection of an EEG using the EEG detector of FIG. 2 .
FIG. 9A is a table showing analysis and explanation for each type of EEG detected by the EEG detector of FIG. 2 .
9B is a table showing a gener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EEG analysis of FIG. 9B.
Figure 9c is a table showing the disease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EEG analysis of Figure 9b and the general evaluation of Figure 9b.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iosk of a system for trea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s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olution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mentia and brain disease that can be diagnos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14 is a view showing a window related to the execution of a digital chart application of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27 are views showing various menu windows displayed whe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of FIG. 14 is execu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device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are enlarg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or thir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or third component may also be alternately nam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s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7 .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체 신호 검출부(200)의 상세 블록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자극부(300)에 구비된 전극 위치에 따른 뇌 자극의 다양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of FIG. ,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ffects of brain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electrode positions provided in the stimulation unit 300 of FIG. 1 .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생체 신호 검출부(200), 자극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ystem for trea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reality realization device 100 , a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 and a stimulation unit 300 . ) and a control unit 400 .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는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컨텐츠는 영상, 음향 및 자막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컨텐츠는 생체 신호의 증폭을 위한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와 질환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은 및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은 각각 컬러로 표시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은 컬러로 표시되는 반면,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은 흑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로서 활용되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의 치유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may provide virtual reality content. Virtual reality content may include images, sounds, and subtitl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y include a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for amplification of a biosignal and a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a disease. Here, the image included in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image included i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may be displayed in color, respectively,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included in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in color, whereas the image included in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in color. , the image included i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may be displayed in black and white. In cases like this. The healing effect of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used as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may be increased.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는 전술된 제 1 및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들 중 어느 한 종의 가상 현실 컨텐츠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어느 한 종의 가상 현실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는 일반적인 가상 현실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가 스포츠와 같이 역동적인 컨텐츠를 포함할 때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500)의 생체 신호의 증폭률이 더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는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특정 대상 또는 환경에 대한 공포심을 갖는 사용자(500)를 위해, 그 특정 대상 및 환경을 수위를 조절해가며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500)가 그러한 특정 대상 및 환경에 점진적으로 무감각해질 수 있도록 하는 행동치료 기법의 일종인 체계적 탈감방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관련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may select any one type of virtual reality content from among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the selected virtual reality content. In other words,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may select one type of virtual reality content and provide it to the user 500 according to the control from the controller 400 . Here,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may include general virtual reality content. In this case, when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includes dynamic content such as sports,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biosignal of the user 500 watching the content may be further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s a functional content capable of treating a disease, for example, for the user 500 having a fear of a specific object or environment, repeatedly providing the specific object and environment while adjusting the level. By doing so, the content related to the systematic desensitization method, which is a kind of behavioral therapy technique that allows the user 500 to gradually become insensitive to such a specific object and environment, may be included.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는 가상 환경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시각적으로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 현실(Mixed Reality),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및 3D 홀로그램(3Dimension hologram) 등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청각적으로는 음향 제공 수단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각적으로는 후각 발현 수단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촉각적으로는 햅틱(haptic) 수단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visually provide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xed reality, extended reality, and 3D holograms (3Dimension) to provide virtual environment content. hologram), etc.,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utilize at least one of, auditoryly configured to utilize a sound providing means, and olfactorily configured to utilize an olfactory expression means, and tactile may be configured to utilize haptic means.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에서 제공된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500)로부터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사용자(500)의 생체 신호, 예를 들어 심박수(HR, Heat Rate),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m),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근전도(EMG, Electromyogram), 피부 저항도(GSR, Galvanic skin resistance), 심박 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 등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그 검출된 생체 신호(즉, 아날로그 생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뇌파 검출부(201), 심장 신호 검출부(202), 근육 신호 검출부(203) 및 피부/체온 신호 검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osignal detector 200 may detect a biosignal from the user 500 who has viewed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 The biosignal detector 200 includes the user 500's biosignals, for example, heart rate (HR, heat rate),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myogram (EMG, Electromyogram), and skin resistance. At least one biosignal such as a galvanic skin resistance (GSR) and a heart rate variability (HRV) may be detected in real time. The biosignal detector 200 may convert the detected biosignal (ie, an analog bio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supply it to the controller 400 . The biosignal detector 200 may include an EEG detector 201, a heart signal detector 202, a muscle signal detector 203, and a skin/body temperature signal detector 204,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have.

뇌파 검출부(201)는 사용자(500)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5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를 착용하고 있는 바, 그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500)의 뇌파가 증폭되며, 그 증폭된 뇌파는 생체 신호 검출부(200)의 뇌파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The EEG detector 201 may detect the EEG of the user 500 . For example, the user 500 wears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and the biosignal detector 200 , and the user who watches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from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 500) is amplified, and the amplified EEG may be detected by the EEG detection unit 201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

심장 신호 검출부(202)는 사용자(500)의 심전도 및 심박변이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5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를 착용하고 있는 바, 그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500)의 심전도 및 심박변이도가 증폭되며, 그 증폭된 심전도 및 심박변이도는 생체 신호 검출부(200)의 심장 신호 검출부(20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The heart signal detector 202 may detect an electrocardiogram and a heart rate variability of the user 500 . For example, the user 500 wears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and the biosignal detector 200 , and the user who watches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from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 500 , the ECG and heart rate variability are amplified, and the amplified ECG and heart rate variability may be detected by the heart signal detection unit 202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

근육 신호 검출부(203)는 사용자(500)의 근전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5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를 착용하고 있는 바, 그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500)의 근전도가 증폭되며, 그 증폭된 근전도는 생체 신호 검출부(200)의 근육 신호 검출부(203)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The muscle signal detector 203 may detect the EMG of the user 500 . For example, the user 500 wears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and the biosignal detector 200 , and the user who watches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from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 500) is amplified, and the amplified EMG may be detected by the muscle signal detection unit 203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

피부/체온 신호 검출부(204)는 사용자(500)의 피부 저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5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를 착용하고 있는 바, 그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500)의 피부 저항 신호가 증폭되며, 그 증폭된 피부 저항 신호는 생체 신호 검출부(200)의 피부/체온 신호 검출부(204)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The skin/body temperature signal detector 204 may detect a skin resistance signal of the user 500 . For example, the user 500 wears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and the biosignal detector 200 , and the user who watches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from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100 ( The skin resistance signal of 500 is amplified, and the amplified skin resistance signal may be detected by the skin/body temperature signal detection unit 204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

이 외에도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예를 들어, 사용자(500)의 안구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안구 전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n eyeball conduc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eye movement of the user 500 .

*한편, 하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데이터화된 생체 신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생체 신호 분석 기준 데이터(참고치)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500)의 정신적인 상태 및 신체적인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판단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500)의 질환을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able 1 below, the control unit 400 compares and analyzes the datad biosignal information with preset biosignal analysis reference data (reference value), thereby real-time mental state and physical state of the user 500 . can be judged Then, the disease of the user 5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Figure 112020115150212-pat00001
Figure 112020115150212-pat00001

특히, 제어부(400)는 생체 신호 검출부(200)로부터의 생체 신호(예를 들어, 뇌파, 심전도, 심박변이도, 근전도 및 피부 저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전술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함으로써 그 질환의 종류를 특정함과 아울러, 그 질환의 진행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그 진단 결과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진단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으로서, 그 진행도의 질환 치료에 적합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검색하고, 그 검색된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400 analyzes the biosignal (eg, at least one of EEG, electrocardiogram, heart rate variability, EMG, and skin resistance signal) from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o analyze the user ( 500) can be diagnose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00 may diagnose the disease of the user 500 using the aforemention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o specify the type of the disease and determine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Also, the controller 400 may present at least one or mor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searches for a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uitable for treating a disease of a progression level as a prescription for treating a diagnosed disea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as a result of the search, one or more 2 Virtual reality content can be presented.

한편, 검색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가 하나 이상일 때, 제어부(400)는 특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나의 최적의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400)는 그 검색된 복수의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들을 모두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5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를 통해 표시되는 메뉴 목록의 복수의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more than one search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he controller 400 selects one optimal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using a specific algorithm, and applies the select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 ) can be provid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400 may provide all of the plurality of search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 and in this case, the user 500 displays it through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watc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s of the menu list.

자극부(300)는 사용자(500)의 뇌 주변에 접촉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자극부(300)는 사용자(500)의 머리에 접촉되는 제 1 전극(예를 들어, 양극) 및 제 2 전극(예를 들어,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자극부(30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진단 결과를 근거로 치료용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그 생성된 치료용 전기 신호를 사용자(50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전술된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가 주요 치료 수단으로 사용될 때, 자극부(300)는 그 주요 치료 수단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치료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자극부(300)로부터의 치료용 전기 신호는 직류 형태 또는 펄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timulation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brain of the user 500 . The stimulation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eg, positive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eg, negative electrode)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user 500 . The stimulation unit 300 may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from the controller 400 , and may supply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to the user 500 . Whe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utilized for the above-described treatment purpose is used as a main treatment means, the stimulation unit 300 may be used as an auxiliary treatment means for improving the treatment effect of the main treatment means. Here, the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from the stimulation unit 300 may have a DC form or a pulse form.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500)의 두부에서의 자극부(300)의 전극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 치료용 전기 신호는 특정 뇌기능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조절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각각 사용자(500)의 우측 측두부 및 좌측 전두부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시각인지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각각 사용자(500)의 두부의 중앙에 위치한 정수리 및 후두부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그리고 기억인지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각각 사용자(500)의 좌측 전두부 및 우측 전두부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하나의 예로서, 진단 결과 사용자(500)의 질환이 기억인지 능력의 저하에 따른 치매에 관련된 것일 때, 치매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가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사용자(500)에게 제공됨과 아울러, 제 1 전극이 사용자(500)의 좌측 전두부에 배치되고 제 2 전극이 사용자(500)의 우측 전두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극부(300)의 치료용 전류가 사용자(500)에 인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may selectively improve a specific brain func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electrodes of the stimulation unit 300 in the head of the user 500 . For example, it is effective to arrang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n the right temporal part and the left frontal part of the user 500, respectively, in order to improve the movement control ability, and to improve the visual recognition ability,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t is effective that the electrodes are disposed on the parietal and occipital region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ead of the user 500 , respectively, and in order to improve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respectively placed on the left frontal and right frontal regions of the user 500 , respectively. It is effective to be placed in Accordingly, as an example, when the diagnosis result is that the disease of the user 500 is related to dementia due to deterioration of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ncluding the dementia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s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 ) is provided to the user 500 and the treatment current of the stimulation unit 300 in a state where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left frontal part of the user 500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right frontal part of the user 500 . may be applied to the user 500 .

자극부(300)는 전술된 전기 신호 외에도 광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주파수를 병행 활용하여 사용자(500)의 뇌에 자극을 가할 수 있다. The stimulation unit 300 may apply stimulation to the brain of the user 500 by using an optical signal or a radio frequency (RF) frequency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signal.

자극부(300)는, 예를 들어, 경두개 전기 자극부 및 경두개 광파 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mulation unit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nd a transcranial light wave stimulation unit.

한편, 제어부(400)는 진단 결과에 따라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매칭되어 치료용 전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자극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자극부(300)로부터의 치료용 전기 신호는 현재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치료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400 may control the stimulation unit 300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by matching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In other words, the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from the stimulation unit 300 may be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currently provided to the viewer from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apparatus 100 . In this case, the therapeutic effect can be greatly improved.

이러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와 치료용 전기 신호 간의 연동 관련 실시예로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음악(또는 배경 음악)에 맞춰 자극부(300)의 치료용 전기 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음의 음악에서는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지고, 저음의 음악에서는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빠른 템포의 음악에서는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지고, 느린 템포의 음악에서는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가 음악(또는 배경 음악) 및 치료용 암시(예를 들어, 언어 암시, 또는 최면 암시) 음성을 포함하고 있을 때, 암시 음성이 출력되지 않을 때 보다 암시 음성이 출력될 때 치료용 전기 신호의 크기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치료 암시 음성이 뇌에 더 깊이 각인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심리 관련 뇌질환을 치유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interworking betwee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of the stimulation unit 300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or background music) included i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can be For example, in high-pitched music,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rapy may be increased, and in low-pitched music,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rapy may be low. As another example,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therapeutic signal may be increased in the fast-tempo music, and the frequency of the therapeutic electric signal may be lowered in the slow-tempo music.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bove-describ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ncludes music (or background music) and therapeutic suggestion (eg, verbal suggestion, or hypnotic suggestion) voice, than when no suggestion voice is output. When the suggestive voice is output,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may be higher. By doing so, the treatment-suggestive voice can be more deeply imprinted in the brain, making it more effective, for example, in curing psychological-related brain disorders.

또한, 전술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와 치료용 전기 신호 간의 연동 관련 실시예로서, 전술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에 맞춰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보다 높을 경우 치료용 전기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주파수보다 더 높아지며, 그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가 그 기준 주파수보다 낮을 경우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그 임계 주파수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와 동일해지도록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치료용 전기 신호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와 동일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영상의 프레임 속도와 배경 음악의 템포 간의 조화(harmony)가 향상되어 치유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related to interworking betwee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frequency, the electric frequency for treatment becomes higher than the preset threshold frequency, and when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is the threshold It can be lower than the frequency. As another example,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may be controlled to be the same as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n other words, the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may be controlled to be equal to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n this case, the harmony between the frame rate of the image and the tempo of the background music is improved, so that the healing effect may be increased.

도 4는 도 1의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의 상세 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of FIG. 1 .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101), 컨트롤러(102) 및 모션 센서(1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headset 101 , a controller 102 , and a motion sensor 103 , as shown in FIG. 4 .

헤드셋(101)은 사용자(500)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전술된 가상 현실 컨텐츠(즉,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 또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전술된 가상 현실 컨텐츠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101)은, 예를 들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set 101 is worn on the head of the user 500 , and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surrounding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of the aforementioned virtual reality content (ie,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or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actics. It may include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 headset 101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d mounted display (HMD).

컨트롤러(102)는 사용자(500)에 의해 파지되는 것으로 좌측 컨트롤러(102) 및 우측 컨트롤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컨트롤러(102)에 의해 사용자(500)는 가상 현실 컨텐츠(제 1 가상 현실 컨텐츠 또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의해 구현된 가상 현실과 상효 작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2 is held by the user 500 and may include a left controller 102 and a right controller 102 . This controller 102 allows the user 500 to interact with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ed by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or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모션 센서(103)는 사용자(500)의 동작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The motion sensor 103 recognizes the motion of the user 500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400 .

도 5는 도 1의 생체 신호 검출부(200)의 상세 구성도이다.FIG.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of FIG. 1 .

생체 신호 검출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500)의 머리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검출 전극(201)들 및 그 검출 전극(201)들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20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on electrodes 201 disposed around the head of the user 500 and a cable ( 202) may be included.

케이블(202)은 전술된 제어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able 20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400 described above.

검출 전극(201)들에 의해 검출된 생체 신호들은 케이블(202)을 통해 제어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biosignals detected by the detection electrodes 201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0 through the cable 202 .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유닛 모듈(6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유닛 모듈(600)이 사용자(500)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unit module 600 of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the unit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e 600 is worn by the user 500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닛 모듈(6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와 도 5의 생체 신호 검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유닛 모듈(600)은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가 일체로 이루어진 장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unit modul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of FIG. 4 and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of FIG. 5 . have. In other words, the unit module 600 may be a device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realization apparatus 100 and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are integrally formed.

한편, 본 발명의 유닛 모듈(600)은 전술된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 외에도 전술된 자극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유닛 모듈(600)은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생체 신호 검출부(200) 및 자극부(300)가 일체로 이루어진 장치일 수 있다.Meanwhile, the unit modul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above-described stimulation unit 300 in addition to the virtual reality realization apparatus 100 and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unit module 600 may be a device in which the virtual reality realization apparatus 100 ,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 and the stimulation unit 300 are integrally formed.

도 8은 도 2의 뇌파 검출부(201)를 이용하여 뇌파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a는 도 2의 뇌파 검출부(201)를 통해 검출된 뇌파의 종류별 분석 및 설명을 나타낸 표이며, 도 9b는 도 9b의 뇌파 분석에 따른 총평을 나타낸 표이며, 그리고 도 9c는 도 9b의 뇌파 분석 및 도 9b의 총평에 따른 질환 가능성을 나타낸 표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ection of EEG using the EEG detecting unit 201 of FIG. 2 , and FIG. 9A is a table showing analysis and explanation for each type of EEG detected through the EEG detecting unit 201 of FIG. 2 . , FIG. 9B is a table showing the gener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EEG analysis of FIG. 9B , and FIG. 9C is a table showing the disease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EEG analysis of FIG. 9B and the general evaluation of FIG. 9B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의 특정 영역으로부터 검출된 뇌파는 다양한 크기 및 파형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EEG detected from a specific region of the brain may have various sizes and waveforms.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는 주파수 및 신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3Hz 내지 30Hz의 주파수를 갖는 베타파의 뇌파는 작은 진폭을 갖는 바, 이러한 뇌파는 병리적 현상 및 약물 효과와 관련이 있다.As shown in FIGS. 9A to 9C , brain waves may exhibit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requency and signal shape. For example, the EEG of beta waves having a frequency of 13 Hz to 30 Hz has a small amplitude, and such EEG is related to pathological phenomena and drug effects.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키오스크(700)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iosk 700 of a system for trea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s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 may further include a kiosk 700 .

키오스크(7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현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키오스크(700)로부터 출력되는 가상 현실 컨텐츠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가상 현실 컨텐츠와 동일하다.The kiosk 700 may output the same content a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from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apparatus 100 . In other word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output from the kiosk 700 is the same a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output from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

키오스크(700)의 화면을 통해 제 3 자는 사용자(500)가 현재 시청하는 가상 현실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Through the screen of the kiosk 700 , a third party may check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urrently viewed by the user 500 .

한편, 키오스크(700)는 전술된 화면 외에도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는 바, 제 3 자를 포함한 외부인은 그 제어 패널을 조작하여 전술된 복수의 추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키오스크(70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가 선택되면,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는 그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자(500)에게 제공한다. 제 3 자를 포함한 외부인은, 예를 들어, 사용자(500)를 치료하기 위한 의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kiosk 700 further includes a control panel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creen, and an outsider including a third party may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s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When any on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s selected by the kiosk 700 ,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provides the select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user 500 . Outsiders, including third parties, may include, for example, a physician to treat user 500 .

키오스크(700)는 제어부(400) 및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키오스크(700)는 제어부(400)로부터의 가상 현실 컨텐츠(예를 들어,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 및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및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의 가상 현실 컨텐츠(예를 들어,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 및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kiosk 7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apparatus 100 . That is, the kiosk 700 inclu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eg, at least one of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from the controller 400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 (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may be supplied.

한편, 키오스크(700)의 화면에는 사용자(500)로부터 검출된 생체 신호, 예를 들어 도 8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뇌파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오스크(700)는 제어부(4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키오스크(700)는 제어부(400)로부터 분석된 생체 신호에 관련된 데이터 또는 생체 신호 검출부(200)로부터의 생체 신호를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a biosignal detected from the user 500, for example, an EEG as shown in FIG. 8 or FIG. 9A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kiosk 700 . To this end, the kiosk 7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ler 400 and the biosignal detector 200 . In other words, the kiosk 700 may receive data related to the biosignal analyzed from the controller 400 or the biosignal from the biosignal detector 200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된 사용자(500)의 생체 신호는 키오스크(700)가 아닌, 별도로 마련된 표시 장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러한 별도의 표시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 및 생체 신호 검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전술된 생체 신호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biosignal of the user 500 described above may be displayed on a separately provided display device instead of the kiosk 700 .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e display device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troller 400 and the biosignal detector 200 to receive the biosignal related data described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the system for trea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800 .

서버(800)는, 예를 들어, 다양한 가상 현실 컨텐츠들(예를 들어,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 및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이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고객(즉, 사용자(500) 또는 환자) 정보가 저장된 고객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800 is, for example, a content database server in which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eg,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an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are stored and customer (ie, user 500 or pati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stored customer database server.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들은, 후술될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다양한 질환들의 치료에 적합한 다양한 치료용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server may include various treatment contents suitable f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as shown in FIG. 13 to be described later.

고객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고객의 이름, 성별, 연령, 질환, 증상, 처방 내역, 처방 단계별 치료 효과, 치료 기간 별 뇌파 변동 추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stomer database server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customer's name, gender, age, disease, symptom, prescription history, treatment effect by each prescription, and EEG fluctuations for each treatment period.

컨텐츠 데이터서버 및 고객 데이터서버의 데이터들은 인터넷 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갱신됨으로써 항상 최신의 내용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data of the content data server and the customer data server are periodically updated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they can be always kept up to date.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솔루션(또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진단될 수 있는 치매 및 뇌질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olution (or method)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iagnos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mentia and brain disease that can be.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500)는 유닛 모듈(600)을 착용한다(S1). 이 유닛 모듈(600)은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 생체 신호 검출부(200) 및 자극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2 , the user 500 wears the unit module 600 ( S1 ). The unit module 600 may include the virtual reality realization apparatus 100 ,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200 , and the stimulation unit 300 .

이후, 사용자(5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다(S2, S3).Thereafter, the user 500 views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from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apparatus 100 ( S2 , S3 ).

이어서, 자극부(300)는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500)로부터 발생되는 생체 신호를 검출한다(S4).Next, the stimulation unit 300 detects a biosignal generated from the user 500 viewing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S4).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검출된 생체 신호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500)의 질환을 진단한다(S5). 예를 들어, 이 질환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츠하이머, 뇌전증, 파킨슨병, 트라우마, 뇌졸증(뇌경색), 통증, 비행 공포증, 고소 공포증, 운전 공포증, 폐쇄 공포증, 혼란 장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그 진단된 질환에 적합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처방한다(S5). 한편, 인공지능은 뇌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뇌파지도(Brain wave map)나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phy)와 그 뇌지도를 읽고 병명 및 병의 진행정도를 판명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400 analyzes the detected bio-sig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disease of the user 500 is diagnosed (S5). For example, this disease includes Alzheimer's, epilepsy, Parkinson's disease, trauma, stroke (cerebral infarction), pain, phobia of flying, phobia of heights, phobia of driving, claustrophobia, confusion disorder, etc., as shown in FIG. 13 . can do. Also, the controller 400 prescribes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uitable for the diagnosed disease (S5). Mean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may include a brain wave map 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capable of discriminating a brain disease and a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the name of the disease and the degree of disease progression by reading the brain map.

이후, 처방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공급받은 가상 현실 구현 장치(100)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자(500)에게 제공한다(S6). 사용자(500)는 그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다(S7). 한편, 이에 더하여, 사용자(500)는 보조 치료 수단으로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연동된 치료용 전기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S8). 이 치료용 전기 신호는 자극부(300)로부터 공급된다.Thereafter,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100 supplied with the prescrib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s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user 500 ( S6 ). The user 500 views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ncluding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7). 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the user 500 may receive, as an auxiliary treatment means, an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linked to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8). This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is supplied from the stimulation unit 300 .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 현실 컨텐츠 활용 치매 및 뇌질환 치료 시스템의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관련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window related to the execution of a digital chart application of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treat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예를 들어, 컴퓨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may be software that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Here, the termi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computer,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the like.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고객의 이름, 성별, 연령, 질환, 증상, 처방 내역, 처방 단계별 치료 효과, 치료 기간 별 뇌파 변동 추이 등의 고객의 각종 정보, 그리고 진료 및 처방 관련 각종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provides a function to check the customer'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customer's name, gender, age, disease, symptoms, prescription history, treatment effect for each prescription step, EEG fluctuations by treatment period, and various matters related to treatment and prescription. to provide.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어느 지역에서도 진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어느 지역에서도 기존 디지털 처방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어느 지역에서도 디지털 처방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provides the ability to check medical records in any area where an Internet connection is available. In addition, the Digital Charts application provides the ability to view existing digital prescription records from any location with an Internet connection. The digital charting application also provides the ability to receive digital prescriptions from any location with an internet connection.

한편, 기존 사용 중인 전자 차트가 존재할 경우,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기 사용 중인 전자 차트와의 연동을 통해 그 전자 차트의 각종 진료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electronic chart in use,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provides a function to check various medical records of the electronic chart through linking with the electronic chart in use.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원외에서 환자별로 수납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provides a function to check the receipt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outside the hospital.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환자(또는 고객) 별로 간단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provides the ability to write simple notes for each patient (or customer).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진료 이미지 등록 및 이미지 편집 및 메모 작성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provides the functions of registering medical images and editing images and taking notes.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환자별로 문자 메시지 및 이메일을 발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provides the ability to send text messages and emails per patient.

또한,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은 발신자를 확인하고 및 전화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옵션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may optionally provide the ability to identify the caller and make a call.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메뉴 창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예를 들어, 컴퓨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is executed, as shown in FIG. 14 , a setting menu window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Here, the termi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computer,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the like.

설정 메뉴 창은 진로 관리 항목, 문진 관리 항목, 고객 관리 항목, 설정 항목 및 종료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tting menu window may include a career management item, a questionnaire management item, a customer management item, a setting item, and an end item.

도 15 내지 도 26은 도 14의 디지털 차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 표시되는 각종 메뉴 창들을 나타낸 도면이다.15 to 26 are views showing various menu windows displayed when the digital chart application of FIG. 14 is executed.

도 14의 설정 항목이 실행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기존 사용 중인 전자 차트와의 연동을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해당 기관의 요양기관설정 정보 입력 후 정보 변경 항목이 실행되면 연결설정 값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후, 접속 승인번호가 입력된 후 연결확인 항목이 실행되면 기존 사용 중인 전자 차트와의 연결이 완료된다. 그러면, 기존 전자 차트로부터 원하는 해당 기간의 고객 정보가 해당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화면 터치 등을 통해 날짜의 입력 및 변경이 가능하다.When the setting item of FIG. 14 is executed, a setting window as shown in FIG. 15 may be displayed. 15 shows a setting for interworking with an existing electronic chart. For example, when an information change item is executed after inputting the health care institution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nstitution, the connection setting value is automatically input. After that, when the connection confirmation item is executed after the access approval number is input, the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electronic chart is completed. Then, customer information of the desired perio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existing electronic chart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put and change the date by touching the screen or the like.

한편, 내보내기 항목이 실행되면 작성된 메모가 해당 단말기에 백업되며, 가져오기 항목이 실행되면 서버에 등록(또는 저장)된 각종 이미지가 해당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된 항목이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export item is executed, the written memo is backed up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when the import item is executed, various images registered (or stored) in the serve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It is desirable that the above items be executed periodically to prevent data loss.

도 14의 진료 관리 항목이 실행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목록 창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객목록 창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treatment management item of FIG. 14 is executed, a waiting list window as shown in FIG. 16 and a customer list window as shown in FIG. 17 may be displayed.

도 16 및 도 17의 대기목록 창 및 고객 목록 창은 현재 고객의 대기 현황과, 이미 처치(또는 처방)을 받았던 기존 고객의 이력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대기목록 창은 현재 방문 중인 고객의 대기 현황 및 고객의 기본 정보를 표시한다. The waiting list window and the customer list window of FIGS. 16 and 17 display the waiting status of the current customer and the history of the existing customer who has already received treatment (or prescription). Specifically, the waiting list window of FIG. 16 displays the waiting status of the currently visiting customer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customer.

한편, 전술된 도 15의 고객정보 가져오기 항목이 실행되면 도 17과 같은 고객목록 창이 표시된다. 도 17의 고객목록 창에는 고객 정보 가져오기 항목에서 선택된 고객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성명, 주민번호, 고객번호에 따라 고객의 검색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described customer information import item of FIG. 15 is executed, a customer list window as shown in FIG. 17 is displayed. In the customer list window of FIG. 17, the customer information selected in the import customer information item is display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customers according to their name, resident number, and customer number.

도 17의 창에서 특정 고객이 선택되면, 도 18에 도시된 진료정보 창이 표시된다. 진료정보 창에는 선택된 고객의 치유 정보(1일), 고객의 진료과목, 담당요양사, 상병(傷病), 증상, 처방 내역, 당일 처방비용 내역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1일 보다 더 많은 진료 정보가 필요하거나,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오지 못할 경우, 처방기록 가져오기(또는 진료기록 가져오기) 항목이 실행되면 해당 처방내역이 해당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When a specific customer is selected in the window of FIG. 17 ,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window shown in FIG. 18 is displayed. In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window, the selected customer's treatment information (1 day), the customer's medical subject, the caregiver in charge, the disease, the symptoms, the prescription history, and the prescription cost details for the day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if more than one day of medical information is required or data cannot be retrieved from the server, when the import prescription record (or import medical record) item is executed, the corresponding prescription detail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도 18의 진료정보 창에서 진료 이미지 항목이 실행되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료 이미지 관리 창이 표시된다. 도 18 및 도 19의 창은 선택된 고객의 이미지 및 메모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목록 항목이 실행되면 이전에 작성했던 메모나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으며, 추가 항목이 실행되면 메모하기를 선택했을 경우 새로운 메모작성이 가능하고, 펜입력을 선택하였을 경우 터치를 통해 그림 그리기가 가능하다. 한편, 이미지 목록 리스트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진료 이미지 가져오기 항목이 실행되면 이미지 목록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treatment image item is executed in the treatment information window of FIG. 18, the treatment image management window as shown in FIGS. 19 and 20 is displayed. The windows of FIGS. 18 and 19 provide a function for managing images and memos of the selected customer. For example, when the image list item is executed, a previously written memo or image can be called up. drawing is possible Meanwhile, if the image list list does not appear, the image list list may be displayed when the medical image import item is executed.

또한, 도 18의 진료정보 창에서 메일발송 항목 또는 문자발송 항목이 실행될 때,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에게 메일 또는 문자를 발송하기 위한 팝업 창이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l sending item or text sending item is executed in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window of FIG. 18 , a pop-up window for sending a mail or text to the customer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FIGS. 21 and 22 .

도 14의 문진 관리 항목이 실행되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진 관리 창이 표시된다. 문진 관리 창에서 병원 찾기나, 병원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진료 의뢰(문진)를 통해 고객이 진행한 문진 내역을 일자별로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paperweight management item of FIG. 14 is executed, the paperweight management window as shown in FIGS. 23 and 24 is displayed. In the medical questionnaire management window, you can check the history of the customer's medical questionnaire by date through the hospital search, hospital application, or digital medical request (question).

도 14의 고객 관리 항목은 환자들의 예약 내역이나 의료 상담 내역을 확인하고 응대 할 수 있으며, 환자들이 작성한 병원 이용 후기를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customer management item of FIG. 14 provides a function to check and respond to patients' reservation details or medical consultation details, and to view hospital reviews written by patients.

도 14의 고객 관리 항목이 실행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약 관리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치유 기관 찾기 또는 치유 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 환자 및 내역을 디지털 차트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When the customer management item of FIG. 14 is executed, a reservation management window as shown in FIG. 25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Healing Institution Finder or Healing Institutions application, you can view real-time digital charts of patients and their appointments.

도 14의 경영 관리 항목은 하루의 수입과 월별 진료 수입을 산출 및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usiness management item of FIG. 14 may provide a function of calculating and displaying daily income and monthly medical treatment income.

도 14의 경영 관리 항목이 실행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일 진료 수입 창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월별 진료 수입 창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management item of FIG. 14 is executed, the daily treatment income window as shown in FIG. 26 and the monthly treatment income window as shown in FIG. 27 may be displayed.

도 26의 일일 진료 수입 창에는 총 일일 수입 집계가 표시되며, 현금 및 카드 수입 내역도 표시될 수 있다.In the daily medical income window of FIG. 26, the total daily income is displayed, and cash and card income details may also be displayed.

도 27의 월별 진료 수입 창에는 월별 진료 추이, 월별 수입 비교 및 신규 고객의 수가 표시될 수 있다.In the monthly treatment income window of FIG. 27 , monthly treatment trends, monthly income comparison, and the number of new customers may be display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0: 가상 현실 구현 장치 200: 생체 신호 검출부
300: 자극부 400: 제어부
500: 사용자
100: virtual reality realization device 200: bio-signal detection unit
300: stimulation unit 400: control unit
500: user

Claims (12)

가상 현실 구현 장치;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에서 제공된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부; 및
상기 생체 신호 검출부로부터의 생체 신호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환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가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진단 결과를 근거로 치료용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자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결과에 따라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연동되어 상기 치료용 전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자극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는 영상, 배경 음악 및 치료용 암시 음성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료용 암시 음성이 출력되지 않을 때 보다 상기 치료용 암시 음성이 출력될 때 치료용 전기 신호의 크기가 높아지도록 상기 자극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치료용 전기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주파수보다 더 높아지도록 상기 자극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가 그 기준 주파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임계 주파수보다 더 낮아지도록 상기 자극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의 영상은 컬러로 표시되며,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의 영상은 흑백으로 표시되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 biosignal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biosignal from a user who has viewed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nd
The virtual reality by analyzing the bio-signal from the bio-signal detecto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o diagnose the user's disease, and transmitting a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to the virtual reality realizing device a controller for allowing the implementation device to provide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user; and
and a stimul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from the control unit and supplying it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imulation unit to be linked to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to generate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ncludes an image, background music, and therapeutic suggestive vo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imulation unit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when the suggestive speech for treatment is output than when the suggestive speech for treatment is not output,
When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frequency,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imulation part so that the electric frequency for treatment becomes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frequency, and when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the Controls the stimulation unit so that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is lower than the threshold frequency,
The image of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in color, and the image of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displayed in black and white, and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on treat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경두개 전기 자극부 및 경두개 광파 자극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imulation unit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nd a transcranial light wave stimulation unit, and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on treat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 및 상기 생체 신호 검출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nd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are based on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a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on treat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 및 상기 자극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vice and the stimulation unit ar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hat are integrally formed, and a diagnosis and prevention treatment system for dementia and brain diseases using virtual rea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질환을 진단하여 상기 질환의 종류를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질환의 진행도를 판단하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diagnoses the user's disease and specifies the type of the disease, an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hat determines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and uses virtual reality to diagnose and prevent dementia and brain diseas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하여 뇌파 검출부;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 및 심박변이도를 검출하는 심장 신호 검출부;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를 검출하는 근육 신호 검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 저항 신호를 검출하는 피부/체온 신호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iosignal detection unit,
an EEG detecting unit to detect the user's EEG;
a heart signal detector detecting the user's electrocardiogram and heart rate variability;
a muscle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the user's EMG; and
A system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and brain diseases using virtual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kin/body temperature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the user's skin resistance signal.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를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환을 진단하는 단계;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치료용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치료용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치료용 전기 신호는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공급되며,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는 영상, 배경 음악 및 치료용 암시 음성을 포함하며,
상기 치료용 암시 음성이 출력되지 않을 때 보다 상기 치료용 암시 음성이 출력될 때 치료용 전기 신호의 크기가 높아지며,
상기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치료용 전기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주파수보다 더 높아지고, 상기 영상의 프레임 주파수가 상기 기준 주파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치료용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임계 주파수보다 더 낮아지며,
상기 제 1 가상 현실 컨텐츠의 영상은 컬러로 표시되며, 상기 제 2 가상 현실 컨텐츠의 영상은 흑백으로 표시되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솔루션.
providing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user;
detecting a biosignal from a user who has viewed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diagnosing the user's disease by analyzing the detected bio-sig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selecting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for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providing the selected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us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for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supplying it to the user,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is supplied to the user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ncludes an image, background music, and therapeutic suggestive voice,
When the suggestive sound for treatment is output than when the suggestive speech for treatment is not output, the level of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is increased,
When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frequency, the electric frequency for treatment is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frequency, and when the frame frequency of the im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for treatment is the threshold frequency lower than,
The image of the first virtual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in color, and the image of the second virtual reality content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displayed in black and white, and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on treatment solution using virtual reality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질환을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질환을 진단하여 상기 질환의 종류를 특정함과 아울러 상기 질환의 진행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솔루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diagnosing the user's disease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es virtual reality, including the step of diagnosing the user's disease and specifying the type of the disease and determining the progress of the disease.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solutions.
KR1020200141843A 2020-10-29 2020-10-29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KR102269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43A KR102269428B1 (en) 2020-10-29 2020-10-29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43A KR102269428B1 (en) 2020-10-29 2020-10-29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428B1 true KR102269428B1 (en) 2021-06-29

Family

ID=7662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843A KR102269428B1 (en) 2020-10-29 2020-10-29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42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132B1 (en) * 2021-06-30 2022-03-30 액티브레인바이오(주)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therapeutics information
KR20230045428A (en) 2021-09-28 2023-04-04 최지인 Alzheimer's diagnosis method through iris image analysis and applications and devices using the same
WO2023120840A1 (en) * 2021-12-23 2023-06-29 (주) 마인즈에이아이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 to elderly b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computing device using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55A (en) * 1997-11-26 1999-06-15 Hisanobu Kaitani Phobia treatment equipment
KR20170130204A (en)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메딕션 Mental illness improve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bio-signal analysis
KR101895223B1 (en) * 2017-10-25 2018-09-07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Big data-based senile dementia solution system
KR20200071647A (en) 2019-06-03 2020-06-19 전자부품연구원 Biofeedback method based on virtual/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bio-signal for diagnosis and healing of mental illness
KR102165592B1 (en) * 2019-11-15 2020-10-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Method
KR20200117089A (en) * 2019-04-02 2020-10-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ontrol system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ontrol method operating by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55A (en) * 1997-11-26 1999-06-15 Hisanobu Kaitani Phobia treatment equipment
KR20170130204A (en)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메딕션 Mental illness improvement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bio-signal analysis
KR101895223B1 (en) * 2017-10-25 2018-09-07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Big data-based senile dementia solution system
KR20200117089A (en) * 2019-04-02 2020-10-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ontrol system and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ontrol method operating by the same
KR20200071647A (en) 2019-06-03 2020-06-19 전자부품연구원 Biofeedback method based on virtual/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bio-signal for diagnosis and healing of mental illness
KR102165592B1 (en) * 2019-11-15 2020-10-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132B1 (en) * 2021-06-30 2022-03-30 액티브레인바이오(주)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therapeutics information
KR20230045428A (en) 2021-09-28 2023-04-04 최지인 Alzheimer's diagnosis method through iris image analysis and applications and devices using the same
WO2023120840A1 (en) * 2021-12-23 2023-06-29 (주) 마인즈에이아이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 to elderly b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computing device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428B1 (en) Dementia an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treatment system and solu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d using virtual reality
Malik et al. Designing EEG experiments for studying the brain: Design code and example datasets
US10874340B2 (en) Real time biometric recording, information analytics and monitoring systems for behavioral health management
US20190239791A1 (en) System and method to evaluate and predict mental condition
CN104902814B (en) The configuration and space for detecting the frontal electrode sensor of physiological signal are placed
Sohlberg et al. Cognitive rehabilitation: An integrative neuropsychological approach
Lancioni et al. An overview of intervention options for promoting adaptive behavior of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nd minimally conscious state
Schnakers et al. Preserved covert cognition in noncommunicative patients with severe brain injury?
WO2004091371A2 (en) Determining a psychological state of a subject
Young et al. Cath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children with dystonia: a pilot open-label trial
KR101854812B1 (en) Psychiatric symptoms rating scale system using multiple contents and bio-signal analysis
JP7307970B2 (en) Treatment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based on digital contents
Saeed et al. Personalized driver stress detection with multi-task neural network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Lancioni et al. Technology-based intervention options for post-coma persons with minimally conscious state and pervasive motor disabilities
Vidal Phenomenology of the locked-in syndrome: An overview and some suggestions
Singh et al. Decoding depressive disorder using computer vision
Wu et al. Emerging wearable biosensor technologies for stress monitoring and their real-world applications
Strehl Slow cortical potentials neurofeedback
Schembs et al. How does functional neurodiagnostics inform surrogate decision-making for patients with disorders of consciousness?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with patients’ next of kin
Bruno et al. Consciousness in the locked-in syndrome
Lerens et al. Improved beat asynchrony detection in early blind individuals
US20230306860A1 (en) Training system with interaction assist feature, training arrangement and training
Greulich et al. " Feel, Don't Think"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Neuroscience Methods for Conversational Agent Research.
Yang et al. Effects of self-esteem on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easy and difficult math
Bodis-Wollner Pre-emptive per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