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510B1 -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510B1
KR102268510B1 KR1020150025646A KR20150025646A KR102268510B1 KR 102268510 B1 KR102268510 B1 KR 102268510B1 KR 1020150025646 A KR1020150025646 A KR 1020150025646A KR 20150025646 A KR20150025646 A KR 20150025646A KR 102268510 B1 KR102268510 B1 KR 10226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ntenna
antenna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3313A (en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510B1/en
Publication of KR2016010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at enables the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antennas in the base station by identifying which antenna the terminal receives from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and reporting it to the base sta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suggest a way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of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by identifying which antenna the terminal receives a transmitted signal from and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antennas at the base station It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는, 기지국이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 또는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플렉싱(multiplexing) 기술을 채용한다.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a multiplexing technique is employed in which a base station transmits the same data or different data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단말 입장에서는, 기지국의 다수 안테나를 통해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다양성 이득 향상 또는 데이터 전송 속도 개선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For the terminal, when data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is received through multiple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of improving diversity gain 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speed.

이와 같은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의 장점을 위해 선행되는 것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단말이 기지국의 안테나와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는 절차이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at is preceded for the advantage of such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s a procedure in which a terminal within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repor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tenna of the base st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기지국이 서비스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포트) 별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하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단말은 커버리지 위치에 따라 기지국에서 단일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First, when a base station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for each of a plurality of serviceable antennas (ports), a terminal within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will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single or multiple antennas according to a coverage location.

기지국에서 단일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자신이 수신하는 신호가 몇 개(하나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에서 송신한 신호인지를 구분하여 신호 수신 가능한 기지국의 안테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안테나 개수를 기지국에 보고하게 된다.A terminal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or multiple antennas from a base station distinguishes the number of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umber of antennas (one or several)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receivable base station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number of antennas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이에,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정보 즉 안테나 개수에 따라서, 단말에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지 여부를 판단 및 전송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transmit data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according to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that is, the number of antennas, and transmits it.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정보 보고 방식은, 단말이 신호 수신 가능한 기지국의 안테나 개수를 보고하는 방식으로 한정된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existing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is limited to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reports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이와 같이 기존의 정보 보고 방식이 한정적인 이유는, 기존에는 기지국에서 단말이 보고한 정보를 사용하는 목적이,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만 있었기 때문이다.The reason that the existing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is limited is that the purpose of using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in the existing base station was only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data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만약 정보 보고 방식이,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에 대한 보고가 가능하도록 확장된다면, 기지국에서 단말이 보고한 정보를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If th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is extended to enable the terminal to report on which antenna the terminal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in the base station can be used in more diverse areas.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t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can identify which antenna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report it to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from which antenna the terminal receives the transmitt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n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By identifying and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that enables the base station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antenna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안테나 중 상기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하는 안테나식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한 식별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한 상기 단말장치의 안테나 단위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식별정보보고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an antenna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antenna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that repor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antenna to the base station, and enables the base station to estimate the antenna uni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정보보고부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이한 크기(size)로 구성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may configu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와 비례하는 비트(bit) 수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작을수록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number of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may have a small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decreas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식별부는, 상기 수신하는 신호에서 확인되는 송신안테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may identify the at least one antenna based on a transmit antenna identifier identified in the received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안테나 중 상기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하는 식별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한 식별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한 상기 단말장치의 안테나 단위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보고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rating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an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at least one antenna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a reporting step of repor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antenna to the base station, and enabling the base station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in units of antenna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고단계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이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reporting step,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erminal device and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the terminal identifies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transmitted signal and reports it to the base station. , derives the effect of enabling the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antennas in the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장치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의 시스템이다.As shown in FIG. 1,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ystem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n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0)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는, 기지국(10)이 신호 송수신을 위한 다수의 안테나(1,2, ... N)를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Referring to the base station 10 shown in Fig. 1,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1,2, ... N)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

이때, 기지국(10)은, 매크로기지국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1,2, ... N)는 기지국(10)의 커버리지를 구분한 각 섹터를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0 may be a macro base station, an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antennas 1, 2, ... N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are directed to each sector in which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is divided. can be arranged to do so.

물론, 기지국(10)은, 기지국모듈(DU : Digital Unit) 및 무선통신모듈(RU : Remote Unit)를 분리하여 각각 원거리에 설치하는 분리형 기지국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1,2, ... N)는 분리된 서비스 공간(예 : 인빌딩의 각 층, 각 사무실 등)의 각 RU에 일체 또는 분리 배치될 수 있다.Of course, the base station 10 may be a separate base station in which a base station module (DU: Digital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U: Remote Unit) are separated and installed at a distance,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 has a plurality of Antenna (1,2, ... N) of the separate service space (eg, each floor of an in-building, each office, etc.) may be disposed integrally or separately in each RU.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10)이 2개의 안테나(1,2)를 구비한 경우로 가정하고, 2개의 안테나(1,2) 각각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2개의 셀(C1,C2)가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10 has two antennas 1 and 2, and two cells ( C1, C2)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the formation.

이러한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기지국(10)은 다수의 안테나 예컨대 2개의 안테나(1,2)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 또는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플렉싱(multiplexing)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In such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the base station 10 may employ a multiplexing technique for transmitting the same data or different data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for example, two antennas 1 and 2 .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셀(C1,C2)이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단말b에 대해서는, 기지국(10)이 2개의 안테나(1,2)를 통해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단말b 입장에서는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의 데이터 수신을 통해 다양성 이득 향상 또는 데이터 전송 속도 개선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 for the terminal b at the position where the two cells C1 and C2 overlap,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data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through the two antennas 1 and 2 . , and thus, from the standpoint of terminal b, through data reception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of improving diversity gain 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speed.

이와 같은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의 장점을 위해서는,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 단말(a,b,c 등)이 기지국(10)의 안테나와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는 절차가 필요하다.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such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a procedure in which the terminals (a, b, c, etc.)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repor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tenna of the base station 10 is required.

기존의 정보 보고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기존에는 기지국이 서비스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포트) 별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하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단말은 커버리지 위치에 따라 기지국에서 단일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To briefly describe the existing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for each of a plurality of serviceable antennas (ports), the terminal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 single or multiple antennas from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coverage location. will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기지국에서 단일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자신이 수신하는 신호가 몇 개(하나 또는 여러 개)의 안테나에서 송신한 신호인지를 구분하여 신호 수신 가능한 기지국의 안테나 개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안테나 개수를 기지국에 보고하게 된다.A terminal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or multiple antennas from a base station distinguishes the number of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number of antennas (one or several)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receivable base station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number of antennas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라면, 기존에는 단말a 및 단말c가 안테나 개수 1개를 기지국에 보고하고, 단말b가 안테나 개수 2개를 기지국에 보고할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shown in FIG. 1 , conventionally, terminal a and terminal c report one antenna number to the base station, and terminal b reports two antenna numbers to the base station.

이에,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정보 즉 안테나 개수에 따라서, 단말에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지 여부를 판단 및 전송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transmit data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according to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that is, the number of antennas, and transmits it.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정보 보고 방식은, 단말이 신호 수신 가능한 기지국의 안테나 개수를 보고하는 방식으로 한정된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existing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is limited to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reports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이와 같이 기존의 정보 보고 방식이 한정적인 이유는, 기존에는 기지국에서 단말이 보고한 정보를 사용하는 목적이,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만 있었기 때문이다.The reason that the existing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is limited is that the purpose of using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in the existing base station was only to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data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만약 정보 보고 방식이,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에 대한 보고가 가능하도록 확장된다면, 기지국에서 단말이 보고한 정보를 보다 다양한 영역(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If th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is extended to enable reporting on which antenna the terminal receives the transmitted signal from, the effect of utilizing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in the base station in more diverse areas (fields) can be expected. can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it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can identify which antenna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report it to the base station.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와, 상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안테나 중 상기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하는 안테나식별부(12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한 식별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한 단말장치(100)의 안테나 단위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식별정보보고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110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an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the An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antenna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among a plurality of antennas, and repor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antenna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that enables the antenna unit position estimation of the apparatus 100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을 참조하여 기지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0)을 언급하고 기지국(10)이 2개의 안테나(1,2)를 구비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10 shown in FIG. 1 is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with reference to FIG. 1 above, and the base station 10 is provided with two antennas 1 and 2 . I will explain.

신호수신부(110)는, 다수의 안테나 예컨대 2개의 안테나(1,2)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10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for example, two antennas 1 and 2 .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은, 2개의 안테나(1,2) 별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10 will transmit a reference signal for each of the two antennas 1 and 2 .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 즉 신호수신부(110)는, 단말장치(100)가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기지국(10)에서 안테나(1)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및 안테나 (2)를 통해 송신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 that is,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10 through the antenna 1 according to where the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 and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2 .

안테나식별부(120)는,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다수의 안테나 즉 2개의 안테나(1,2) 중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하게 된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한다.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a plurality of antennas, that is, at least one of the two antennas 1 and 2 tha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Identify the antenna.

예를 들면, 안테나식별부(120)는,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하는 신호에서 확인되는 송신안테나 식별자에 기초하여, 다수의 안테나 즉 2개의 안테나(1,2)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identifi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that is, the two antennas 1 and 2 based on the transmission antenna identifier identified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 can do.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10)은, 단말장치(100)를 비롯하여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각 단말로, 보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base station 10 preferably provides report-related information to each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including the terminal device 100 .

이때, 보고 관련된 정보란, 단말이 기지국(10)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10)에 보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report-related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terminal to identify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1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port it to the base station 10 .

예를 들면, 보고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 보고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or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a transmit antenna identifier of each antenna, a report period,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기지국(10)은, 보고 관련된 정보를 단말의 상태 즉 유휴 상태(Idle) 또는 활성화 상태(Active)에 따라 구분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In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 base station 10 may provide report-related information in a form divid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that is, an idle state or an active state.

예를 들면, 기지국(10)은,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유휴 상태의 단말로,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10)은, 유휴 상태의 단말로 정보를 제공할 때, SIB2의 Radio resource Antenna control IE의 Antenna information의 antenna port count를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0 is an idle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 and may provide the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and a transmit antenna identifier of each antenna.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 may utilize the antenna port count of the antenna information of the Radio resource Antenna control IE of SIB2 when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the idle state.

이에,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유휴 상태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10)의 안테나 개수(예 : 2개),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dle state, the number of antennas (eg, two) of the base station 10, the transmit antenna identifier of each antenna can figure out

그리고, 기지국(10)은,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활성화 상태의 단말로, 보고 주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10)은, 활성화 상태의 단말로 정보를 제공할 때,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10 may provide a reporting period to a terminal in an active stat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 may utilize th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 when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 the active state.

이에,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활성화 상태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보고 주기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may determine the reporting perio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active state.

그리고, 기지국(10)에서 2개의 안테나(1,2) 별로 송신하는 참조 신호에는, 어떤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었는지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송신안테나 식별자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10 for each of the two antennas 1 and 2 includes a transmission antenna identifier that enables identification through which antenna was transmitted.

따라서, 안테나식별부(120)는, 미리 파악하고 있는 보고 주기 및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를 토대로, 보고 주기에 도달 시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하는 신호에서 확인되는 송신안테나 식별자에 기초하여, 다수의 안테나 즉 2개의 안테나(1,2) 중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based on the previously known reporting period and the transmission antenna identifier of each antenna, when the reporting period is reached, based on the transmission antenna identifier identified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It is possible to identify at least one antenna that has transmitted a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that is, the two antennas 1 and 2 .

예컨대,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2개의 셀(C1,C2)이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면, 안테나식별부(120)는,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서, 안테나(1) 및 안테나(2)를 식별해 낼 것이다.For example, if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position where the two cells C1 and C2 shown in FIG. 1 overlap,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is at least one antenna that transmits a signal, the antenna (1) and antenna (2) will be identified.

반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가, 셀(C1)의 위치에 있다면 안테나식별부(120)는 안테나(1)를 식별해 낼 것이고, 셀(C2)의 위치에 있다면 안테나식별부(120)는 안테나(2)를 식별해 낼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cell C1,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will identify the antenna 1, and if it is located in the cell C2,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is located in the cell C2. ) will identify the antenna 2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장치(100)가 2개의 셀(C1,C2)이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안테나식별부(120)에서 안테나(1) 및 안테나(2)를 식별해 낸 것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two cells C1 and C2 overlap, and the antenna 1 and the antenna 2 are identified in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 Let me explain what I did.

식별정보보고부(130)는,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한 식별정보를 기지국(10)에 보고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repor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antenna to the base station 10 as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별정보보고부(130)는,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에 따라 식별정보를 상이한 크기(size)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configu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

이때, 식별정보는,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와 비례하는 비트(bit) 수로 구성되어,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작을수록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the number of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small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s smaller.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별정보보고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으로부터 제공되는 보고 관련된 정보에서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를 이미 파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may already determine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from the report-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10 as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이 2개의 안테나(1,2)를 구비하는 경우, 식별정보보고부(130)는,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를 2개로 파악하고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se station 10 is provided with two antennas 1 and 2,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will grasp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as two.

식별정보보고부(130)는, 이처럼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가 2개인 경우, 안테나 개수(2개)와 비례하는 비트 수(예 : 2bits)로 안테나식별부(120)에서 식별한 식별정보를 구성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when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is two, the number of bits (eg, 2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antennas (two) identified by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Consist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만약에, 식별정보보고부(130)는,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가 4개인 경우라면, 안테나 개수(4개)와 비례하는 비트 수(예 : 4bits)로 안테나식별부(120)에서 식별한 식별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is 4,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sets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to the number of bits (eg, 4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antennas (4).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in can be configured.

이에, 식별정보는,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작을수록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고,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클수록 큰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decreases, and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increases.

이처럼,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에 따라 식별정보의 크기를 상이하게 구성하는 이유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10)으로 보고되는 상향 링크의 정보(식별정보) 량을 줄이기 위함이다.As such, 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siz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is to reduce the amount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plink that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10 by the terminal.

이하의 표1은, 기지국(10)이 2개의 안테나(1,2)를 구비한 경우로 가정할 때, 도 1에 도시된 단말a,b,c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라면, 각 단말a,b,c에서 보고될 식별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In Table 1 below, assuming that the base station 10 has two antennas 1 and 2, if terminals a, b, and c shown in FIG. 1 are all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reported from terminals a, b, and c.

단말terminal 식별정보(비트 맵핑)Identification information (bit mapping) 단말aterminal a 01b01b 단말bterminal b 11b11b 단말cterminal c 10b10b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가 2개이므로, 보고되는 각 식별정보는 2bits로 구성된다. 그리고, 식별정보의 각 bit는, LSB에서 MSB 순서로 1번째 안테나에서 N번째 안테나와 각각 대응되어, 식별된 안테나를 나타낸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since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is two, each repor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sists of 2 bits. In addition, each bit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N-th antenna from the first antenna in the LSB to the MSB order, respectively, indicating the identified antenna.

이에, 전술한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2개의 셀(C1,C2)이 중첩되는 위치에 있고, 안테나식별부(120)에서 안테나(1) 및 안테나(2)를 식별해 낸 경우라면, 표 1의 단말b와 같이 식별정보보고부(130)는, 2bits 의 식별정보로서 “11b”를 구성하여, 기지국(10)에 보고할 것이다. Accordingly,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position where the two cells C1 and C2 shown in FIG. 1 overlap, and the antenna 1 and the antenna in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20 . If (2) is identifi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130 as shown in terminal b in Table 1 configures “11b” as 2 bit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ports it to the base station 10 .

이때, 2bits 의 식별정보 “11b”에서, LSB는 1번째 안테나 즉 안테나(1)가 식별됨을 “1”로서 나타내며, MSB는 N번째 안테나 즉 안테나(2)가 식별됨을 “1”로서 나타낸다.At this time, in the 2-b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11b”, the LSB indicates that the first antenna, that is, the antenna 1 is identified, as “1”, and the MSB indicates that the N-th antenna, that is, the antenna 2, is identified as “1”.

이하의 표2는,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에 따라 구성되는 식별정보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Table 2 below shows exampl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

안테나 개수number of antennas 식별정보 bit 수Number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bits 송신안테나 식별자Transmitting antenna identifier 식별정보(비트 맵핑)Identification information (bit mapping) 22 22 1One 01b01b 2(N)2(N) 10b10b 44 44 1One 0001b0001b 22 0010b0010b 33 0100b0100b 4(N)4(N) 1000b1000b 88 88 1One 00000001b00000001b 22 00000010b0000010b 33 00000100b00000100b 44 00001000b00001000b 55 00010000b00010000b 66 00100000b00100000b 77 01000000b01000000b 8(N)8(N) 10000000b10000000b

표2에 보여진 식별정보 중 4bits 의 식별정보 “0010b”를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면, “0010b”는 LSB에서 MSB 순서로 1번째 안테나에서 N(N=4)번째 안테나와 각각 대응되어, 2번째 안테나 즉 안테나(2)가 식별됨을 “1”로서 나타내며, 나머지 1,3,4번째 안테나가 식별되지 않음을 “0”으로서 나타낸다.Amo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own in Table 2, referring to the 4-b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0010b” as an example, “0010b” corresponds to the N (N=4)-th antenna in the first antenna in the LSB to MSB order, respectively, and the second It indicates that the antenna, that is, the antenna 2 is identified as “1”, and indicates that the remaining 1st, 3rd, and 4th antennas are not identified as “0”.

이처럼,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식별정보를 보고받은 기지국(10)은, 보고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가 신호 수신 가능한 안테나 개수를 파악하여 단말장치(100)에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지 여부를 판단 및 전송할 뿐 아니라, 안테나 단위로 단말장치(100)의 위치까지 추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ase station 10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number of antenna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can receive signals from, as in the prior art, based on the repor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device ( 100)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to determine and transmit whether or not to transmit data, as well as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units of antennas.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10)은, 본 발명의 단말에서 보고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이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서 기지국(10)의 어떤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 가능한지 알 수 있고, 이는 곧 기지국(10)에서 기지국(10)의 어떤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셀에 단말이 위치하는지를, 안테나 단위로 추정할 수 있는 결과와 같다.More specifically, the base station 1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receive a signal through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10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can be received. This is the same as the result of estimating, in units of antennas, which cell is formed by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10 in the base station 10 is located.

이처럼 기지국(10)에서 단말이 보고한 정보(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되면, 이처럼 추정한 단말 위치는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As such, if the base station 10 can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its own antenna based 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utilized in more diverse areas.

예를 들어, 기지국(10)이 매크로기지국인 경우라면, 별도의 섹터 별 단말 밀집도 추측을 위한 시그널링 없이도, 전술과 같이 안테나 단위로 추정한 단말 위치를 기반으로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 섹터 별 단말 밀집도를 추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지국(10)의 다수 안테나에 대한 지향 및 빔 형상의 재배치 효율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base station 10 is a macro base station, a terminal per sector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based on the terminal location estimated in units of antennas as described above, without a separate signaling for estimating the terminal density for each secto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nsity,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rectivity and beam shape rearrangement for multiple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10 .

또한, 기지국(10)이 분리형 기지국인 경우라면, 분리된 서비스 공간(예 : 인빌딩의 각 층, 각 사무실 등)이 세분화되고 밀집된 환경 즉 단말의 위치 추정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전술과 같이 안테나 단위로 단말 위치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공간 별 서비스 활동 지수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RU의 재배치/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base station 10 is a separate base station, the separated service space (eg, each floor of the in-building, each office, etc.) is subdivided and dense, that is,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antenna uni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rminal location can be estimated by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ervice activity index for each service space based on this,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U relocation/operation efficienc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한 식별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고, 특히 식별정보 보고 시 식별정보를 적응적으로 구성하여 상향 링크의 정보(식별정보) 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o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and in particular, adaptively configu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por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mount of uplink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minimized.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by identifying which antenna the terminal receives the transmitted signal from and reporting it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antennas and utilizes it in various areas. environment can be creat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bove.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0)으로부터 보고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S100).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related to reporting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S10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10)은, 단말장치(100)를 비롯하여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각 단말로, 보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base station 10 preferably provides report-related information to each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including the terminal device 100 .

이때, 보고 관련된 정보란, 단말이 기지국(10)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10)에 보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report-related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terminal to identify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1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port it to the base station 10 .

예를 들면, 보고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 보고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or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a transmit antenna identifier of each antenna, a report period,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기지국(10)은, 보고 관련된 정보를 단말의 상태 즉 유휴 상태(Idle) 또는 활성화 상태(Active)에 따라 구분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In a more specific embodiment, the base station 10 may provide report-related information in a form divid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that is, an idle state or an active state.

예를 들면, 기지국(10)은,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유휴 상태의 단말로,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0 is an idle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 and may provide the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and a transmit antenna identifier of each antenna.

이에,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유휴 상태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10)의 안테나 개수(예 : 2개),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dle state, the number of antennas (eg, two) of the base station 10, each antenna of the transmit antenna identifier can be identified.

그리고, 기지국(10)은,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활성화 상태의 단말로, 보고 주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10 may provide a reporting period to a terminal in an active stat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

이에,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활성화 상태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보고 주기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may determine the reporting perio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active stat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안테나 예컨대 2개의 안테나(1,2)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S110).And,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for example, two antennas 1 and 2 ( S110 ).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은, 2개의 안테나(1,2) 별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10 will transmit a reference signal for each of the two antennas 1 and 2 .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가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기지국(10)에서 안테나(1)을 통해 송신하는 신호 및 안테나 (2)를 통해 송신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Accordingly,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and the antenna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10 through the antenna 1 according to where the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 At least one of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2) will be received.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다수의 안테나 즉 2개의 안테나(1,2) 중 S110단계에서 수신하게 된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한다(S120).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in step S110,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ntennas, that is, at least one of the two antennas 1 and 2, which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in step S110. An antenna is identified (S120).

이때, 기지국(10)에서 2개의 안테나(1,2) 별로 송신하는 참조 신호에는, 어떤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었는지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송신안테나 식별자가 포함된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10 for each of the two antennas 1 and 2 includes a transmission antenna identifier that enables identification through which antenna was transmit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미리 파악하고 있는 보고 주기 및 각 안테나의 송신안테나 식별자를 토대로, 보고 주기에 도달 시 S110단계에서 수신하는 신호에서 확인되는 송신안테나 식별자에 기초하여, 다수의 안테나 즉 2개의 안테나(1,2) 중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eviously known reporting period and the transmit antenna identifier of each antenna, when the reporting period is reached, the transmit antenna identifier identified in the signal received in step S110 is Based on the plurality of antennas, at least one antenna that has transmitted a signal among the two antennas 1 and 2 can be identified.

예컨대,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2개의 셀(C1,C2)이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서, 안테나(1) 및 안테나(2)를 식별해 낼 것이다.For example, if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position where the two cells C1 and C2 shown in FIG. 1 overlap,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As one antenna, we will identify antenna 1 and antenna 2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장치(100)가 2개의 셀(C1,C2)이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S120단계에서 안테나(1) 및 안테나(2)를 식별해 낸 것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is in a position where the two cells C1 and C2 overlap, and the antenna 1 and the antenna 2 are identified in step S120. would.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한 식별정보를 기지국(10)에 보고한다(S130,S140).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or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antenna to the base station 10 as described above (S130 and S14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에 따라 식별정보를 상이한 크기(size)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30).More specifically,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S130). .

이때, 식별정보는,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와 비례하는 비트(bit) 수로 구성되어,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작을수록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the number of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small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s smaller.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으로부터 제공되는 보고 관련된 정보에서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를 이미 파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can already be determined from the report-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10 as described above. have.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0)이 2개의 안테나(1,2)를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를 2개로 파악하고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se station 10 has two antennas 1 and 2,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 as two, and There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이처럼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가 2개인 경우, 안테나 개수(2개)와 비례하는 비트 수(예 : 2bits)로 S120단계에서 식별한 식별정보를 구성한다.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10 is two, the number of bits (eg, 2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antennas (two) is identified in step S120. constitutes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만약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가 4개인 경우라면, 안테나 개수(4개)와 비례하는 비트 수(예 : 4bits)로 S120단계에서 식별한 식별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If,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10 is 4, the number of bits (eg, 4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antennas (4) is S12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in the step can be configured.

이에, 식별정보는,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작을수록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고, 기지국(10)이 구비한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클수록 큰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decreases, and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increases.

이처럼, 기지국(10)이 구비한 안테나 개수에 따라 식별정보의 크기를 상이하게 구성하는 이유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10)으로 보고되는 상향 링크의 정보(식별정보) 량을 줄이기 위함이다.As such, 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siz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10 is to reduce the amount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plink that i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10 by the terminal.

이에, 전술한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2개의 셀(C1,C2)이 중첩되는 위치에 있고, S120단계에서 안테나(1) 및 안테나(2)를 식별해 낸 경우라면, 표 1의 단말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2bits 의 식별정보로서“11b”를 구성하여, 기지국(10)에 보고할 것이다(S130,S140). Accordingly,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position where the two cells C1 and C2 shown in FIG. 1 overlap, and in step S120, the antenna 1 and the antenna 2 are connected. If it is identified, as shown in the terminal b of Table 1,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11b” as 2-b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ports it to the base station 10 (S130, S140).

이처럼,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식별정보를 보고받은 기지국(10)은, 보고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가 신호 수신 가능한 안테나 개수를 파악하여 단말장치(100)에 멀티플렉싱 기술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지 여부를 판단 및 전송할 뿐 아니라, 안테나 단위로 단말장치(100)의 위치까지 추정할 수 있다(S150).In this way, the base station 10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number of antenna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can receive signals from, as in the prior art, based on the repor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device ( 100) not only determines and transmits whether data is transmitted based on the multiplexing technology, but also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units of antennas (S15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10)은, 본 발명의 단말에서 보고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이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에서 기지국(10)의 어떤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 가능한지 알 수 있고, 이는 곧 기지국(10)에서 기지국(10)의 어떤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셀에 단말이 위치하는지를, 안테나 단위로 추정할 수 있는 결과와 같다.More specifically, the base station 1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receive a signal through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10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can be received. This is the same as the result of estimating, in units of antennas, which cell is formed by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10 in the base station 10 is located.

이처럼 기지국(10)에서 단말이 보고한 정보(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되면, 이처럼 추정한 단말 위치는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As such, if the base station 10 can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its own antenna based 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utilized in more diverse areas.

예를 들어, 기지국(10)이 매크로기지국인 경우라면, 별도의 섹터 별 단말 밀집도 추측을 위한 시그널링 없이도, 전술과 같이 안테나 단위로 추정한 단말 위치를 기반으로 기지국(10)의 커버리지 내 섹터 별 단말 밀집도를 추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지국(10)의 다수 안테나에 대한 지향 및 빔 형상의 재배치 효율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base station 10 is a macro base station, a terminal per sector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10 based on the terminal location estimated in units of antennas as described above, without a separate signaling for estimating the terminal density for each secto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nsity,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rectivity and beam shape rearrangement for multiple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10 .

또한, 기지국(10)이 분리형 기지국인 경우라면, 분리된 서비스 공간(예 : 인빌딩의 각 층, 각 사무실 등)이 세분화되고 밀집된 환경 즉 단말의 위치 추정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전술과 같이 안테나 단위로 단말 위치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공간 별 서비스 활동 지수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RU의 재배치/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base station 10 is a separate base station, the separated service space (eg, each floor of the in-building, each office, etc.) is subdivided and dense, that is,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antenna uni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rminal location can be estimated by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ervice activity index for each service space based on this,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U relocation/operation efficienc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한 식별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고, 특히 식별정보 보고 시 식별정보를 적응적으로 구성하여 상향 링크의 정보(식별정보) 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which antenna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 transmitted signal can be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and in particula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aptively reporte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port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plink by configuring it as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by identifying which antenna the terminal receives the transmitted signal from and reporting it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units of antennas and utilizes it in various areas. environment can be cre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extent that any person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송신 환경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어떤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지 식별하여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안테나 단위로 단말의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antenna transmission environment, the terminal identifies which antenna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reports it to the base station, thereby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the base station in units of antennas In terms of making it possible, as it goes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business of the applied device, not just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is sufficient, and industrial applicability is high because it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there is an invention

100 : 단말장치
110 : 신호수신부 120 : 안테나식별부
130 : 식별정보보고부
100: terminal device
110: signal receiving unit 120: antenna identification unit
130: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Claims (6)

단말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안테나 중 상기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하는 안테나식별부;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대해 구성한 식별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한 상기 단말장치의 안테나 단위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식별정보보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보고부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이한 크기(size)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In the terminal device,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an antenna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antenna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and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that repor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gured for the identified at least one antenna to the base station, and enables the base station to estimate an antenna uni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orting unit,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in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와 비례하는 비트(bit) 수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가 작을수록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t is composed of a number of bi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has a smaller siz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is sma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식별부는,
상기 수신하는 신호에서 확인되는 송신안테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nna identification unit,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antenna is identified based on a transmit antenna identifier identified in the received signal.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안테나 중 상기 신호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식별하는 식별단계; 및
상기 식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대해 구성한 식별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한 상기 단말장치의 안테나 단위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보고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고단계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 개수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를 상이한 크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at transmits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an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at least one antenna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a reporting step of repor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gured for the identified at least one antenna to the base station, and enabling the base station to estimate the antenna uni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eporting step is
The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in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삭제delete
KR1020150025646A 2015-02-24 2015-02-24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8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646A KR102268510B1 (en) 2015-02-24 2015-02-24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646A KR102268510B1 (en) 2015-02-24 2015-02-24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13A KR20160103313A (en) 2016-09-01
KR102268510B1 true KR102268510B1 (en) 2021-06-22

Family

ID=5694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646A KR102268510B1 (en) 2015-02-24 2015-02-24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510B1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47A (en)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Wireless positioning method for in-building using the delay
KR100581290B1 (en) * 2003-12-10 2006-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for location detecting, its method for location detecting
US8995921B2 (en) * 2004-09-10 2015-03-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support for a smart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17099B2 (en) * 2006-09-01 2012-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180368B2 (en) * 2008-11-11 2012-05-15 Trueposition, Inc. Femto-cell location by direct methods
KR101700956B1 (en) * 2010-01-29 201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osition of user e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184302B1 (en) * 2012-11-08 2020-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im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13A (en)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31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channe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device
JP6498762B2 (en) Efficient beam scanning for high frequency wireless networks
US20160338033A1 (en) Acquisition method, beam sending method, communication nod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0485004B2 (en) Optimizing network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10477612B2 (en)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by using a virtual UE scheme
US10454560B2 (en) Be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9586778B (en) Method and network device for allowing access points to transmit simultaneously on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JP6634982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00244334A1 (en) Beam management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KR102226264B1 (en)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771061B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ing of wireless stations having fixed locations
KR102474104B1 (en) Beam reporting from communication devices
CN109964413B (en) Method and device i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ed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CN114342283A (en) Transmit limited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US978833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70223688A1 (en) Data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Transmit End, Receive End, and System
CN115104275A (en) Method for unified uplink and downlink beam indication
KR102268510B1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93653A1 (e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modes
US20220407584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uplink beam management
KR102265527B1 (en) Terminal device and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KR102124050B1 (en)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US100569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cell information for cancelling inter-cell interference
JP6888663B2 (en) Terminal equipment, base stations, methods and record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