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340B1 -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340B1
KR102268340B1 KR1020190144104A KR20190144104A KR102268340B1 KR 102268340 B1 KR102268340 B1 KR 102268340B1 KR 1020190144104 A KR1020190144104 A KR 1020190144104A KR 20190144104 A KR20190144104 A KR 20190144104A KR 102268340 B1 KR102268340 B1 KR 10226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relationship
proxim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7396A (en
Inventor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이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주 filed Critical 이은주
Priority to KR102019014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340B1/en
Publication of KR2021005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계 개선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또 다른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운트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집계하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는,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카운트되는 횟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 목걸이, 팔찌, 반지 등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제작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서로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irst wearable device mounted on a body of a first user and counting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with another user and the first wearable device, A first user device that counts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counted by one wearable device, wherein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is determined by the first wearable device and at least one preset second wearable device. is the number of times c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earable device manufactured to be easily mounted without inconvenience, such as a watch, necklace, bracelet, ring, etc., users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신체 접촉을 카운트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관계 개선 시스템{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A wearable device that counts body contact and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체 접촉을 카운트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관계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두 명의 사용자 간의 신체 접촉을 카운트하고, 누적된 카운트 값을 기초로 사용자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간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counting body contact and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In more detail, a relationship that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hat can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by counting body contact between two users for a certain period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based on the accumulated count value It is about an improvement system.

최근 손에 기기를 휴대하지 않고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각광받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와 같은 착용 컴퓨터, 스마트 의류, HMD와 같은 가상 현실 체험 기기 등 일상 생활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산업, 군사 등 다양한 분야 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손목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및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건강 관리 기능 및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used with both hands free without carrying the device in the hand have been in the spotlight. Wearable devices can be used not only in everyday life, such as smart watches, wearable computers such as smart glasses, smart clothing,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devices such as HMD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and military. Among them, the most commonly used wrist-attached wearable device (smart watch) provides a health management function that collects the user's bio-signals to check the user's movement and health status,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that sends a phone call or text message. have.

한편,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위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가 수집한 정보 외에도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필요로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사용자의 인터랙션 없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순히 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user's movement using such a wearable device, there is a hassle that user interaction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various sensors (position sensor, gyro sensor, acceleration sensor, etc.) provided inside the device. , a wearable device without user interaction simply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 signal received from a sensor.

그에 따라, 사용자의 인터랙션 없이도 사용자의 의미 있는 움직임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또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보(피드백)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wearable device and system that can determine a meaningful movement of a user without user interaction, and provide information (feedback) for improving a relationship with another us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8648호 (2019.05.0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8648 (2019.05.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연관되어 있는 사용자 간의 신체 접촉(포옹, 악수)을 인지하고, 이를 카운트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d counting body contact (hug, handshake) between users who are rela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간의 신체 접촉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계측함으로써, 두 사용자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관계 개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that can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users and provide feedback by measuring the physical contact between each other using a devic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ll provid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계 개선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또 다른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운트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집계하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는,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카운트되는 횟수이다.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first wearable device mounted on a body of a first user 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with another user, and the first wearable device A first user device connected to a device and counting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counted by the first wearable device, wherein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is at least one second preset with the first wearable device It is the number of times that is counted as wearable devices are interconnec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1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한 제2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획득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한 제2 사용자 간의 친밀도를 정량적으로 구분하는 사용자 관계 분석부 및 상기 친밀도,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관계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user device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first us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and second user information forming a relationship with the first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rough the first wearable device. A user relationship analyzer for quantitatively classifying the intimacy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equipped with the second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obtained body contact and proximity count, and the intimacy and the first and second user information. It may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based on the basi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 접촉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계 개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계 개선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기초로 관계 개선 정보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comprising a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connected to a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user contact, wherein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includes,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Based on ,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is required may be s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계 개선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신체 접속/근접 횟수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관계 개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compares the reference data with the number of times of body access/proximity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provides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can be s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또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different wearable de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to detect another user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wearable device It may include a sensing unit for obtaining sensing data for the purpose and a control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based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by the sensor un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부는, 온도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ing unit may acquire sensing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contact sens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입력된 사용자의 감정을 시간, 날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감정은, 상기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to which a user's emotion is inpu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putted user's emotion by time and date by classifying them, The user's emotion may be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or at least one hardware button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 목걸이, 팔찌, 반지 등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제작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서로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earable device manufactured to be easily mounted without inconvenience, such as a watch, necklace, bracelet, ring, etc., users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또한, 디바이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근접하거나 실제로 접촉한 상황에서만 생체 데이터를 카운트하여 불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고 유효한 데이터 만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nly valid data can be used without collecting unnecessary data by counting biometric data only when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or actuall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계 개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계 개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the stated component, step and/or action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I never do that.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계 개선 시스템(10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계 개선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관계 개선 시스템(1000)은 제1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 제1 사용자가 소지한 제1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접촉/근접할 수 있는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제2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디바이스로서,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근접함에 따라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00 includes a first wearable device 10 mounted on a body of a first user, a first user device 100 and a first wearable device 10 carried by the first user. It may include a second wearable device 20 capable of contacting/proximity to the . Here, the second wearable device 20 is a device mounted on the body of the second user, and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10 and 20 are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10 and 20 according to the contact/proximity of the body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can be counted.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람의 손, 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팔찌, 목걸이, 반지 타입의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 간의 신체가 접촉/근접하는 경우는 시계/팔찌-팔짱, 손잡기, 목걸이-포옹, 반지-손잡기 등일 수 있다.Meanwhile, the wearable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tch/bracelet, necklace, or ring typ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person's hand or neck. , holding a hand, a necklace-hug, a ring-holding hand, and the like.

즉,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제1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또 다른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20)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카운트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wearable device 10 may be mounted on the body of the first user and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with another user, where the number of times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with the first wearable device 10 is It may be counted as the set at least one second wearable device 20 is interconnected.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In this regar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라고 함)는 통신부(11), 센싱부(12), 저장부(13), 제어부(14) 및 사용자 입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10 and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arable devic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 , a sensing unit 12 , and a storage unit 13 . ), a control unit 14 and a user input unit 15 may be included.

한편, 통신부(11), 센싱부(12), 저장부(13), 제어부(14) 및 사용자 입력부(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기능 기준으로 분류한 임시 또는 가상적인 구성일 뿐이며,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성이 전체 구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가 통신부(11), 센싱부(12), 저장부(13), 제어부(14) 및 사용자 입력부(15)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1 , the sensing unit 12 , the storage unit 13 , the control unit 14 , and the user input unit 15 classify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temporary or virtual device. Of course, it is only a configuration, and another configuration may perform a function performed by one configuration together, and one configuration may perform all the functions of the entire configuration. For example, one processor (not shown) may perform all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1 , the sensing unit 12 , the storage unit 13 , the control unit 14 , and the user input unit 15 .

통신부(11)는 또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해당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사용자 센싱 데이터 및 이를 기초로 하는 피드백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무선 랜(Wi-Fi),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wearable device or a corresponding user device to exchange user sensing data and feedback information based there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1 includes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wireless LAN (Wi-Fi), Zigbee, WFD (Wi-Fi Direct), UWB (ultra wideban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etc. of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used.

구체적으로, 통신부(11)는 사용자가 또 다른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근거리에 배치된 또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거나, 해당 사용자가 소지한 디바이스와도 연결되어 카운트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송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 is connected to another wearable device disposed in a short distance so that the user can count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with another user, or is also connected to a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and counts the body It can transmit contact and proximity counts.

또한, 통신부(11)는 해당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 피드백 정보/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 may receive the user's behavioral feedback information/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of the user from the user device possessed by the corresponding user.

센싱부(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또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각종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2)는 온도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또 다른 사용자와 접촉/근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2 may acquire sensing data for detecting another user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wearable device. To this end, the wearabl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for acquiring sensing data.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2 may obtain sensing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contact sensor, and check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proximity with another user.

또한, 센싱부(12)는 통신부(11)가 서로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된 경우에 한해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사용자,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한해서만 센싱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불필요한 센싱 데이터가 취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the sensing unit 12 may acquire sensing data on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1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different wearable devices. That is, the wearable device acquires sensing data only from a preset user, that is, the wearable devic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sensing data from being acquired.

저장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1) 및 센싱부(12)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의미 있는 센싱 데이터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센싱 데이터 종류,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 식별 정보(예. Id, ip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13 stores the type of sensing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earable device, the first and the second so that the wearable device can acquire only meaningful sens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 and the sensing unit 12,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wearable device 10 or 2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d, ip address) and the like.

또한, 저장부(13)는 후술하게 될 제어부(14)가 카운트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 시간, 일자 및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제어부(14)는 제1 사용자에게 횟수에 따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은, "11월 13일 오후 9시, 제2 사용자와의 접촉/근접 횟수 7번입니다"와 같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3 may store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counted by the control unit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ime, date, and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Based on this, the control unit 14 provides the first user with information.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ay be something like "November 13, 9:00 PM, the number of contact/proximity with the second user is 7".

제어부(14)는 센서부(12)가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타입(시계/팔찌, 목걸이, 반지)에 따라 구비된 센서의 종류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짧은 시간 동안(예. 5초) 온도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센싱 데이터의 변화 값을 기초로 사용자가 또 다른 사용자와 팔짱을 낀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of the user based on the sensed data obtained by the sensor unit 12 . The control unit 14 checks the type of sensor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wearable device (watch/bracelet, necklace, ring), and counts the number of user's body contact and proximity based on sensing data obtained by at least one sensor can do. For example, in the ring-type wearable device, the controller 14 obtains sensing data from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contact sensor for a short time (eg, 5 seconds).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crossed arms with another user based on the change value of the sensed data.

또한, 제어부(14)는 센서부(12)가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간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1회 이상으로 카운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예. 10초)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3회로 카운트함으로써, 서로 간의 깊은 관계 형성을 위해 사용자들이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 may check the time for which the sensor unit 12 acquires the sensing data, and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of the user to one or more. For example, the time to acquire the sensed data When this preset time (eg, 10 seconds) is exceed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spend a lot of time to form a deep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r's body contact and proximity three time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접촉/근접을 판단하는 것 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버튼이 구비되고, 버튼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을 카운트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입력부(15)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user's body contact/proximity using the sensor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a button is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and the user's emotion may be counted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which is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put unit 15 .

사용자 입력부(1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감정이 입력되기 위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버튼은 희/노/애/락/고통 등 사람이 느끼는 대표적인 감정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5 may input the user's emotion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Here, in order to input the user's emotion,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touch screen or at least one hardware button, and the button may be composed of representative emotions felt by a person, such as joy/nothing/happy/lock/pain. .

한편, 저장부(13)는 사용자 입력부(15)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감정을 시간, 날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일별로 저장된 감정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은, "11월 15일 즐거운 감정을 15회 입력하셨습니다"와 같을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3 may store the user's emotions acquir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5 by time and date, and may provide a notification of the stored emotions for each day.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ay be something like "November 15 you entered 15 pleasant emotions."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제1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등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각종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연결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카운트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집계할 수 있으며, 집계 결과에 따라 의미 있는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user device 1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wearing the first wearable device 10 , and may include various terminals equipped with a display modul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PC. The first user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earable device 10 and may aggregate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counted by the wearable device 10, and ma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aggregation result. can provide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In this regar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제1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00)(200)(이하, "사용자 디바이스"라고 함)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사용자 관계 분석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and second user devices 100 and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devic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nd a user relationship analysis unit ( 130 ), an output unit 140 , and a storage unit 150 .

한편, 통신부(110), 입력부(120), 사용자 관계 분석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를 기능 기준으로 분류한 임시 또는 가상적인 구성일 뿐이며,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성이 전체 구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가 통신부(110), 입력부(120), 사용자 관계 분석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input unit 120 , the user relationship analysis unit 130 , the output unit 140 , and the storage unit 150 classify the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function or a temporary or Of course, this is only a virtual configuration, and a function performed by one configuration may be performed by another configuration, and one configuration may perform all functions of the entire configuration. For example, one processor (not shown) may perform all of th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input unit 120 , the user relationship analysis unit 130 , the output unit 140 , and the storage unit 150 .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관계 개선 서버(300)와 연결되어, 관계 개선에 필요한 정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될 경우, 센싱 데이터를 카운트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 신호를 제공해 주 있으며,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관계 개선 서버(300)와 연결되어 카운트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에 따른 관계 개선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or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provides a trigger signal for counting the sensed data when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mproves the relationship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300 to receive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및 해당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한 또 다른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관계를 형성한 또 다른 사용자 정보는 구체적으로,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통신 연결되는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20)를 장착한 사용자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관계를 형성한 두 명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아울러, 관계 개선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관계는 예를 들어, 친구, 연인, 부부, 가족, 동료 등일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other user information that has formed a relationship with the user from the user. Here, the other user information that has formed a relationship specifically refers to a user equipped with the second wearable device 20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wearable device 10 , and the user is two or more users who have formed a relationship You can also ent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who may use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00 may be, for example, a friend, a lover, a couple, a family member, a colleague, or the like.

한편,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또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해당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후술하게 될 출력부(140)를 통해 관계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 받는 것에 앞서, 관계 형성을 위해 필요한 적정한 수준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미리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시간, 일짜 별로 지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imes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with the user while inputting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another user from the user. That is, before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through the output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 may designate an appropriate level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required for relationship formation in advance. In addition, such information may be designated for each time and date.

사용자 관계 분석부(130)는 사용자가 소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획득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와 또 다른 사용자 간의 친밀도를 정량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관계 분석부(130)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예. 하루) 획득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예. 제2 사용자와 5회, 제3 사용자와 9회)를 기초로 제1 사용자와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20) 또는 제3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를 장착한 제2, 제3 사용자 간의 친밀도를 정량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카운트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친밀도가 높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user relationship analyzer 130 may quantitatively classify the intimacy between the user and another user based on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obtained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the user relationship analyzer 130 obtains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eg, 5 times with the second user, 9 times with the third user) acquired through the first wearable device 10 for a certain period (eg, one day). time), the intimacy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and third users equipped with the second wearable device 20 or the third wearable device (not shown) may be quantitatively distinguished. That is, as the number of counted body contact and proximity increases, it may be understood that intimacy is high.

출력부(140)는 친밀도, 제1, 제2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관계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사이가 부모-자식 사이고, 친밀도가 0~100 기준으로 20일 경우, 부모 또는 자식이 소지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출력부(140)는 "하루 동안의 부모님/자녀와의 포옹 횟수가 부족합니다. 부모님/자녀와 포옹해 주세요"라는 피드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feedback information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based on intimacy and the first and seco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output unit 140 is between a parent and a child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nd the intimacy is 20 on the basis of 0-100, the output unit 140 of the user device possessed by the parent or child is It is possible to output feedback information such as "Insufficient number of hugs with parents/children per day. Please hug parents/children".

저장부(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시간, 일자, 사용자 별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또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에 따른 피드백 정보 출력 기준(예. 부모-자식 간 하루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 10회), 피드백 정보의 종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관계를 형성한 사용자의 생일 정보, 기념일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divide and store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for each time, date, and user, and may store feedback information output criteria (eg, parent-child day between user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another user.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10 times), the type of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stored. Also,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birthday information, anniversary information, and the like of a user who has formed a relationship.

한편, 상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 디바이스에는 도 1에 도시된 관계 개선 서버(300)에서 제공한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 web or mobil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shown in FIG. 1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on the wearable device and the user device.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제1 사용자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10) 및 제1 사용자 디바이스(100) 만으로도 또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간의 보다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 개선 서버(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user may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for improving a relationship with another user only with the first wearable device 10 and the first user device 100 ,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form a mor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users A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that provides may be further included.

관계 개선 서버(300)는 하나의 서버(Server) 장치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 접촉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 개선 서버(300)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운트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이때, 사용자가 여러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하였을 경우,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에 따라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가 구분될 수 있다)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is a server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a user device connected to a wearable device to transmit/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user contact.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includes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along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counted by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forms a relationship with several users) ,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또한, 관계 개선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기초로 관계 개선 정보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관계 개선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종류에 따른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관계 개선 정보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 개선 서버(300)는 부모-자식 간의 목걸이를 통한 일, 월 별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의 평균 값을 기준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Also,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may set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is required based on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may calculate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according to the type of wearable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may set this as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is necessary. .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may set the average value of the number of daily and monthly body contact and proximity through the parent-child necklace as reference data.

기준 데이터를 설정한 후, 관계 개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로 관계 개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관계 개선 정보는 사용자에게 어떠한 행동을 알려주는 것 외에도, 사람 간의 관계 형성에 있어 도움이 되는 상품이나 이벤트, 프로그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setting the reference data,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300 may compare the reference data with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for a certain perio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Here,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product, event, or program information that is helpful in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n addition to informing the user of a certain action.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계 개선 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계 개선 및 유지를 희망하는 사용자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서로 간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의식적으로 확인하고, 관계 개선 및 유지를 위해 노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근접하거나 실제로 접촉한 상황에서만 생체 데이터를 카운트하여 불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고 유효한 데이터 만을 이용할 수 있다.So far,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who wish to improve and maintain a relationship can consciously check information about each other's behavior by counting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using a wearable device, and strive to improve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nly valid data can be used without collecting unnecessary data by counting biometric data only when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or actuall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하에서는, 두 사용자 간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와 관계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정보가 어떠한 구성 순으로 수행되는지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what order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between two users and the relationship is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계 개선 시스템(10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가 목걸이 타입이며, 제1 및 제2 사용자가 서로 포옹을 할 경우, 각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1 카운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10 and 20 are necklace types,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s hug each other, each wearable device 10 and 20 is the user's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can be counted by 1.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는 카운트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각각 제1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00)(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00)(200)에는 "제1/제2 사용자와 포옹하였습니다"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가 카운트됨에 따라, 제1 및 제2 사용자 디바이스(100)(200)는 서로에게 "사랑해요"와 같은 문자를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10 and 20 may transmit the counted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devices 100 and 2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user devices ( In 100) ( 200 ), information “I hugged the first/second user” may be output. Meanwhile, as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is counted, the first and second user devices 100 and 200 may transmit a text such as “I love you” to each other.

또한,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100)(200)는 일정 기간(예. 하루, 일주일) 동안 카운트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에 따라 "제2 사용자를 안아 주신 지 오래 되었군요", "제1 사용자와의 현재 친밀도는 최상입니다"라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counted for a certain period (eg, one day, one week),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100 and 200 indicate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you hugged the second user", "The first The current intimacy with the user is the best".

본 지금까지 본 발명의 관계 개선 시스템(1000)을 이용하여 신체 접촉/접근 횟수를 카운트하고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 목걸이, 팔찌, 반지 등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제작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서로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바, 사용자는 임의로 설정한 목표 값(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노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간의 관계가 개선될 수 있다.Heretofore, a method for counting the number of body contact/approach and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earable device manufactured to be easily mounted without inconvenience, such as a watch, a necklace, a bracelet, and a ring, users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such information is periodically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can make more efforts to achieve an arbitrarily set target value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and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can be improv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0: 관계 개선 시스템 10: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통신부 12: 센싱부
13: 저장부 14: 제어부
15: 사용자 입력부 20: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 제1 사용자 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사용자 관계 분석부
140: 출력부 150: 저장부
200: 제2 사용자 디바이스 300: 관계 개선 서버
1000: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10: first wearable device
11: communication unit 12: sensing unit
13: storage unit 14: control unit
15: user input unit 20: second wearable device
100: first user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user relationship analysis unit
140: output unit 150: storage unit
200: second user device 300: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Claims (7)

제1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다른 사용자와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카운트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집계하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는,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카운트되는 횟수이며,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1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한 제2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획득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한 제2 사용자 간의 친밀도를 정량적으로 구분하는 사용자 관계 분석부; 및 상기 친밀도,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관계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입력된 사용자의 감정을 시간, 날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으로, 사용자의 감정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 개선 시스템.
a first wearable device mounted on a first user's body to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with another user; and a first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wearable device and counting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counted by the first wearable device;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is the number of times counted as the first wearable device and at least one preset second wearable device are interconnected,
The first user device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first us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and second user information forming a relationship with the first user; a user relationship analyzer for quantitatively classifying intimacy between the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who is equipped with the second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obtained through the first wearable de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relationship improvement based on the intimacy and the first and second user information;
The first wearable device and the second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to which a user's emotion is inpu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a storage uni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input user's emotions by time and date.
The user input unit, a touch screen or at least one hardware button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emotion is input,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 접촉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계 개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계 개선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기초로 관계 개선 정보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는, 관계 개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user contact;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for setting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is required based on the number of physical contact and proximity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개선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디바이스로 관계 개선 정보를 송신하는, 관계 개선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server,
and comparing the reference data with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ting relationship improvement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근접 및 접촉하는 다른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가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신체 접촉 및 근접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관계 개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devices ar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obtain sensing data for detecting another user approaching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earable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 wearable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body contact and proximity based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that includ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온도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관계 개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ing unit,
A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contact sensor to obtain sensed data.
삭제delete
KR1020190144104A 2019-11-12 2019-11-12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2268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04A KR102268340B1 (en) 2019-11-12 2019-11-12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04A KR102268340B1 (en) 2019-11-12 2019-11-12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96A KR20210057396A (en) 2021-05-21
KR102268340B1 true KR102268340B1 (en) 2021-06-23

Family

ID=7615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04A KR102268340B1 (en) 2019-11-12 2019-11-12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3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6430B (en) * 2023-06-26 2023-09-26 广东天波教育科技有限公司 Affinity judging method based on electronic certificate and related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80B1 (en) * 2007-07-03 2008-10-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erminal to manage intimacy and intimacy managing method threr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9657A4 (en) * 2014-02-24 2017-09-27 Sony Corporation Smart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with attention level and workload sensing
KR20150123429A (en) * 2014-04-24 201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KR20190048648A (en)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만도 Device for distributing CAN signal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CAN communication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80B1 (en) * 2007-07-03 2008-10-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erminal to manage intimacy and intimacy managing method thr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96A (en)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tar et al. Challenges in sensor-based human activity recogniti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benchmark datasets: A review
US11900437B2 (en) Data mesh based environmental augmentation
US20230234521A1 (en) Messaging achievement pictograph display system
US10347108B2 (en) Monitoring user activity using wearable motion sensing device
US9954857B2 (en) Digital charms system and method
US10841476B2 (en) Wearable unit for selectively withholding actions based on recognized gestures
EP3043709B1 (en) Fal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0377153B (en) Wearable device multi-mode system
US90023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communications
US9625998B2 (en) Interaction method between wearable devices and wearable device thereof
US9013300B2 (en) Method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through a wearable device
KR20210047373A (en) Wearable apparatus and methods for analyzing images
US10019625B2 (en) Wearable camera for reporting the time based on wrist-related trigger
CN109144181A (en) Gestures detection is lifted in equipment
US11468984B2 (en) Devic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stablishing a current load level
CN104434314A (en) Portabl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20190047648A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on action
CN109101106B (en) Electronic device
KR102268340B1 (en) Body contact counting wearable devi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same
Balli et al. The usage of statistical learning methods on wearable devices and a case study: activity recognition on smartwatches
Filios et al. Efficient parameterized methods for physical activity detection using only smartphone sensors
KR20170031358A (en) A mobile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 activity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for supporting management of members in a group
US11580439B1 (en) Fall identification system
KR102551856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edicting emotional state of protected person using walking support device based on deep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Tian et al. Wearable activity recognition for automatic microblog upd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