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707B1 -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707B1
KR102267707B1 KR1020200131861A KR20200131861A KR102267707B1 KR 102267707 B1 KR102267707 B1 KR 102267707B1 KR 1020200131861 A KR1020200131861 A KR 1020200131861A KR 20200131861 A KR20200131861 A KR 20200131861A KR 102267707 B1 KR102267707 B1 KR 10226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signal
measuring device
hub
conn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협
문병기
김종우
김홍렬
김정수
소재우
Original Assignee
(주)웰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리시스 filed Critical (주)웰리시스
Priority to KR102020013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71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using a remote monitoring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연결이 끊긴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을 재시도 하며, 상기 재시도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시간을 연장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허브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혹은 저장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의 배터리 사용량을 절감하여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데이터 측정기간을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Power sav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wearable patch 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 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징상 휴대가 간편해야 하며, 가볍고 오랜 시간 동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저전력 및 전원 관리 기술이 많이 요구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 장비는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거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이 아닌 옷이나 다른 장신구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와 같은 웨어러블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패치형 전극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다양한 신체부위(가슴, 손목, 발목 등)와 접점을 형성시켜 심전도와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부정맥, 심정지와 같은 질환의 발생을 예측 또는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피측정자는 웨어러블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심전도와 같은 생체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의료진은 웨어러블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장착된 센서 및 통신 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전달 받아 예상되는 질환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해 사망위험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의 경우, 심전도 기기 자체에서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없어 휴대전화나 스마트워치를 데이터 전송 혹은 저장허브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생체신호의 장시간 측정에서는 측정기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해당 신호를 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허브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방법도 장치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만약 허브의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 더 이상 심전도 측정기와 통신을 하지 못하므로 웨어러블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도 허브로 사용되는 해당 휴대전화나 스마트워치를 사용할 수 없음에 따른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 10-0922086호(블루투스 및 CDMA 모드의 동작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는 블루투스 및 CDMA 모드의 동작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저장허브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086호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허브의 전력소비를 줄이는 데이터 전송주기를 찾고, 허브의 충전여부에 따라 데이터 측정기간을 늘리고, 연결 재시도 횟수에 따라 연결을 시도하는 주기에 변형을 가함으로써 허브의 배터리 사용량을 절감하여 데이터 측정 기간을 늘리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을 재시도 하며, 상기 재시도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시간을 연장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허브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상기 허브가 배터리 충전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주기를 연장하고, 충전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주기를 유지하는 주기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센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허브로 전송하는 통신부, 사용자와 상기 생체신호 센서 간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접촉이 끊어진 경우, 상기 생체신호 센서로의 전력공급을 중단시키는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허브는, 상기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간에 초기시간을 더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을 재시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횟수를 기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은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허브에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단계, 상기 허브가 배터리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상기 주기를 연장하는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 및 상기 허브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연결을 재시도하는 연결 재시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상기 허브로부터 배터리 충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주기를 연장하고, 상기 충전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주기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에서 상기 연결 재시도단계는, 상기 허브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연결판단단계, 상기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탐색하여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 횟수를 기억하는 연결시도 및 기억단계, 상기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간에 초기시간을 더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을 재시도 하는 시간연장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연결될 때까지 상기 연결판단단계 내지 상기 시간연장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은 사용자와 생체신호 측정장치 간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접촉감지단계 및 접촉이 끊어진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 내에 구비된 생체신호 센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혹은 저장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허브의 배터리 사용량을 절감하여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데이터 측정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사용에 따른 허브의 사용시간 단축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허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의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방법의 연결 재시도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의 접촉감지단계 및 전력제어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연결을 재시도 하며, 재시도 횟수를 기준으로 시간을 연장하는 허브(200) 및 허브(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가공하여 허브(200)로 전송하는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허브(200)에 전송하거나 허브(2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일정한 주기로 생체신호 데이터를 허브(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허브(200)의 배터리를 최소한으로 소모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는 장치 별로 상이할 것이며, 이는 실험을 통해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로서, Galaxy Gear S3의 경우 12초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Galaxy Gear S3를 허브(200)로 하여 데이터 전송 주기를 변경해가면서 실험한 결과이다. 실험결과, 주기를 0.5초로 설정한 경우 배터리 지속시간이 2시간이었으나, 12초로 설정한 경우 배터리 지속시간이 12시간으로 연장되었으며, 주기를 12초 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같이 커지므로 배터리 지속시간이 더 이상 연장되지 않았다. 따라서, Galaxy Gear S3의 경우 12초가 허브(200)의 배터리를 최소한으로 소모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주기에 해당한다.
허브(200)는 수신 받은 생체신호로부터 발생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허브(200)는 사용자의 휴대전화나 스마트워치일 수 있고, 병원 내 의료진의 휴대전화나 스마트워치일 수 있다.
서버(300)는 허브(200)로부터 전송 받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가공 또는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허브(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또는 의료진에게 생체신호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질병 유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0)는 병원의 내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는 신호처리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300)에 의해 가공 또는 처리된 생체신호 정보는 허브(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서버(300)는 아날로그 신호인 생체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가공된 정보인 생체신호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아날로그 신호인 생체신호의 파형을 실시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과정, 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과정, 저장된 파일을 다시 불러오는 과정, 아스키 형태로 저장하여 다른 소프트웨어 툴에서 읽어오는 과정 등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파수 분석, 상관계수, 바이스펙트럼, 비선형계산 등의 신호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허브(200)가 배터리 충전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충전 중인 경우 주기를 연장하고, 충전 중이 아닌 경우 주기를 유지하는 주기 설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도면 미도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센서(110) 및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기 설정부(130)는 배터리 충전상태를 기준으로 허브(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가 배터리 충전 중인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주기를 18초로, 허브가 배터리 충전 중이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주기를 12초로 설정하여 허브의 배터리 충전 여부에 따라 통신부(12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생체신호 센서(11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의 외부 한쪽 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피부표면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전극을 통해 검출된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목표하는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생체신호 센서(110)는 미약한 초기 확보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 환경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신호만을 추출하는 필터 등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는 뇌파, 심전도, 근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체지방, 자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표면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이 해당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생체신호 센서(11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심전도를 센싱할 수 있는 전극,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센서, 체온 측정 센서, 체지방 측정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gyro) 센서, 기타 생체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은 패치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탈부착 될 수 있으며, 전극은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패치형, 밴드형, 반지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비콘(beac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WI-FI 통신, Z-wave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원거리 무선 통신인 LTE 통신, 5G통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블루투스 통신에의 적용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사용자와 상기 생체신호 센서(110) 간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140) 및 상기 접촉이 끊어진 경우, 상기 생체신호 센서(110)로의 전력공급을 중단시키는 센서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피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0)는 정전식 접촉 감지 센서 또는 감압식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0)는 사용자 피부와 접촉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150)는 생체신호 센서(110)와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기준으로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땀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생체신호 센서(110)가 사용자의 몸에서 떨어져 정확한 신호를 측정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생체신호 센서(11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생체신호 데이터 측정을 일시 정지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피부와 생체신호 센서(110) 간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생체신호 센서(110)가 사용자 피부에서 떨어진 경우 생체신호 센서(1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생체신호 센서(110)가 피부에서 떨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센서(110)에서 불필요한 데이터(즉, 노이즈)를 측정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불필요한 데이터를 허브(200)로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소모 또한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허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에서 허브(200)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해당하는 경우 시간에 초기시간을 더한 시간이 지난 후 연결을 재시도하는 제어부(220)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고, 횟수를 기억하는 연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허브(20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 및 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간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연결이 될 때까지 연결을 반복하여 시도하며 복수의 연결시도 사이의 간격을 연결을 시도한 횟수를 기준으로 하여 연장한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간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특정 시간을 주기로 지속적으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아닌, 5분 단위로 연결을 시도하다가 연결을 시도한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10분, 15분 단위로 조금씩 연결시도 사이의 간격을 연장한다.
계속해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연결을 재시도할 경우 사용자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장시간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을 재시도함에 따라 허브(200)의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되기 때문에 이를 줄여 허브(200)의 전력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면서 연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간의 연결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간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제어부(22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연결을 시도 하도록 명령하고, 제어부(220)가 연결을 시도한 횟수를 기억하여 제어부(220)로 제공한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는 각각의 통신부(120, 21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허브(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300)와도 통신할 수 있다. 허브(200)의 통신부(210)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의 소형화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0) 자체로는 서버(300)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사용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허브(200)에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단계(S100), 허브(200)가 배터리 충전 중인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주기를 연장하는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S200) 및 허브(20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연결을 재시도하는 연결 재시도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단계(S100)에서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허브(200)의 배터리를 최소한으로 소모하는 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허브(200)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주기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의 종류 별로 상이할 것이며,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결과이다.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S200)에서는 허브(200)가 배터리 충전상황에 있는 경우 데이터 전송주기를 연장함으로써, 한번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키워 데이터 전송에 따른 허브(200)에서의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데이터를 한번에 많이 전송할 경우, 허브(200)는 단기간에 많은 전류를 소모하므로 허브(200)에서의 배터리 소모량 또한 증가한다. 즉,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뿐만 아니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 또한 배터리의 전력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허브(200)가 배터리 충전 중인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량에 구애 받지 않고 허브(2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에서 허브(200)로 한번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늘릴 수 있으며, 동일한 배터리를 소모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배터리가 없어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연결 재시도단계(S300)에서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의 연결이 끊어졌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을 지연시킨 다음 연결을 재시도한다. 장치 간 연결이 끊어진 순간부터 실시간으로 연결을 재시도할 경우 연결을 재시도할 때마다 허브(200)의 배터리가 소모되므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정하고, 정해진 시간마다 연결을 재시도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와 허브(200)의 거리가 멀어져 양 장치간의 BLE 연결이 끊어진 경우, 연결이 끊어진 시점을 기준으로 5분이 경과된 이후에 연결을 재시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의 데이터 전송 주기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에서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S20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허브(200)로부터 배터리 충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 및 충전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주기를 연장하고, 충전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기를 유지하는 단계(S220, 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허브(200)로부터 배터리 충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는 사용자가 허브(200)를 충전하고 있을 때, 허브(200)가 배터리 충전이 시작됨과 동시에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로 충전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충전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유무를 기준으로 허브(200)가 배터리 충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충전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주기를 연장하고, 충전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기를 유지하는 단계(S220, S230)에서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허브(200)로부터 충전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주기를 연장(T1)하고, 허브(200)로부터 충전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주기를 유지(T2)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장치(100)가 12초를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었는데 허브(200)가 배터리 충전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는 18초를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의 재연결 시도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에서 연결 재시도단계(S300)는, 허브(20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연결판단단계(S320, S340, S370),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생체신호 측정장치(100)를 탐색하여 연결을 시도하고, 시도 횟수를 기억하는 연결시도 및 기억단계(S330, S360, S390),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해당하는 경우 시간에 초기시간을 더한 시간이 지난 후 연결을 재시도 하는 시간연장단계(S350, S380)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연결될 때까지 연결판단단계(S320, S340, S370) 내지 시간연장단계(S350, S380)를 반복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재시도단계(S300)는 허브(200)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에 연결을 시도하는 횟수와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데이터 통신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가게 되면 장치 간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이때 얼마간의 주기로 연결을 재시도하는지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이 달라진다.
연결판단단계(S320, S340, S370)에서는 연결부(230)가 허브(200)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 간의 연결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연결이 끊어진 경우 제어부(220)로 하여금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을 시도하도록 명령한다.
연결시도 및 기억단계(S330, S360, S390)는 제어부(220)가 연결부(230)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은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을 시도한다. 연결부(230)는 제어부(22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을 시도한 횟수를 기억한다.
시간연장단계(S350, S380)에서는 제어부(22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을 시도한 횟수가 기 설정한 횟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22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을 다시 시도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연장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한 횟수가 3회인 경우에 제어부(22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연결을 5분 간격으로 3회 반복하였다면, 4회차 연결시도는 10분 후에 시도하는 것으로 동작한다.
반복단계에서는 연결판단단계(S320, S340, S370), 연결시도 및 기억단계(S330, S360, S390) 및 시간연장단계(S350, S380)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가 연결될 때까지 반복한다. 즉,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 허브(200)가 연결될 때 걸리는 시간에 상관없이 특정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이 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연결을 시도하는 횟수를 점차 줄여나감으로써 허브(200)에서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의 접촉감지단계 및 전력제어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은 사용자와 생체신호 측정장치 간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접촉감지단계(S400) 및 접촉이 끊어진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 내에 구비된 생체신호 센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단계(S510, S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감지단계(S400)는 접촉 감지부(140)가 사용자와 생체신호 측정장치(100) 간의 접촉여부를 판단한다. 접촉 감지부(140)를 통해 사용자 피부와의 접촉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접촉 감지부(140)는 정전식 센서 또는 감압식 센서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제어단계(S510, S520)는 센서 제어부(150)를 통해 접촉이 끊어진 경우 생체신호 측정장치(100) 내에 구비된 생체신호 센서(11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통신부(120)가 허브(200)로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생체신호 센서(110)의 접촉 불량을 알릴 수 있다.
접촉감지단계(S400) 및 전력제어단계(S510, S520)를 통해 사용자 피부와 생체신호 센서(110) 간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생체신호 센서(110)가 사용자 피부에서 떨어진 경우 생체신호 센서(1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생체신호 센서(110)가 피부에서 떨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센서(110)가 불필요한 데이터(즉, 노이즈)를 측정할 때 소모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불필요한 데이터를 허브(200)로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소모 또한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허브(200)의 배터리 충전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를 재설정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0), 배터리 충전여부를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에 알리고, 생체신호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여부를 기준으로 시간당 연결시도 횟수를 줄여나가는 허브(200), 허브(200)로부터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 받아 유의미한 결과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서버(300)로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게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생체신호 측정장치
110: 생체신호 센서
120: 통신부
130: 주기 설정부
140: 접촉 감지부
150: 센서 제어부
200: 허브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연결부
300: 서버
t5: 5분 후 연결 시도한 횟수
t10: 10분 후 연결 시도한 횟수

Claims (8)

  1.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확인하여 연결이 끊긴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을 재시도 하며, 상기 재시도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시간을 연장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허브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사용자 피부표면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센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허브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생체신호 센서 간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상기 접촉이 끊어진 경우, 상기 생체신호 센서로의 전력공급을 중단시키는 센서 제어부; 및
    상기 허브가 배터리 충전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주기를 연장하고, 충전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주기를 유지하는 주기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간에 초기시간을 더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을 재시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횟수를 기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는 심전도(ECG)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하여 일정한 주기로 허브에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단계;
    상기 허브가 배터리 충전 중인 경우,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상기 주기를 연장하는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
    상기 허브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연결을 재시도하는 연결 재시도단계;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간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접촉감지단계; 및
    상기 접촉이 끊어진 경우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내에 구비된 생체신호 센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전송주기 변경단계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상기 허브로부터 배터리 충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주기를 연장하고, 상기 충전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주기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재시도단계는,
    상기 허브가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연결판단단계;
    상기 연결이 끊어진 경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탐색하여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 횟수를 기억하는 연결시도 및 기억단계;
    상기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간에 초기시간을 더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을 재시도 하는 시간연장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연결될 때까지 상기 연결판단단계 내지 상기 시간연장단계를 반복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는 심전도(ECG)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31861A 2020-10-13 2020-10-13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26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61A KR102267707B1 (ko) 2020-10-13 2020-10-13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861A KR102267707B1 (ko) 2020-10-13 2020-10-13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707B1 true KR102267707B1 (ko) 2021-06-23

Family

ID=7659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861A KR102267707B1 (ko) 2020-10-13 2020-10-13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7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086B1 (ko) 2001-08-15 2009-10-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블루투스 및 cdma 모드의 동작에서 전력 소비를감소시키는 방법
KR20170019745A (ko) * 2015-08-12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90030005A (ko) * 2017-09-13 2019-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086B1 (ko) 2001-08-15 2009-10-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블루투스 및 cdma 모드의 동작에서 전력 소비를감소시키는 방법
KR20170019745A (ko) * 2015-08-12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90030005A (ko) * 2017-09-13 2019-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3467B2 (en) Detecting conditions using heart rate sensors
US1009857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nitoring system
JP2016127966A (ja) 監視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90142286A1 (en) Photoplethysmographic wearable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KR101604077B1 (ko) 사용자의 생체 정보들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28660B2 (e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system
US11747877B2 (en) Two-phase deployment-initiated wakeup mechanism for body-mountable electronic device
US11191483B2 (en) Wearabl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s
EP3818931A1 (en) Ecg measurement system and ecg transmitter
US20200303058A1 (en) Lifestyle habit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is stored
US10667687B2 (en)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US9905105B1 (en) Method of increasing sensing device noticeability upon low battery level
CN108742514A (zh) 植入装置的远程控制和交互
KR102267707B1 (ko)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40035661A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0463261B2 (en) Automatic estimation of pulse deficit
KR102395151B1 (ko)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46566B1 (ko)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심전도 신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22063864A2 (en)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heart rhythm abnormalities
CN111223578B (zh) 一种穿戴式诊断装置及其数据管理方法、计算机存储介质
CN113303804A (zh) 生理讯号测量装置动态阈值调校系统
KR101849857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US11839446B2 (en) Wir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463572B1 (ko) 체온계를 이용한 체온 정보 제공 방법, iot 기반 신체 탈부착형 센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iot 기반 신체 탈부착형 센서 단말
US20230346231A1 (en)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heart rhythm abnorma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