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255B1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255B1
KR102265255B1 KR1020200090587A KR20200090587A KR102265255B1 KR 102265255 B1 KR102265255 B1 KR 102265255B1 KR 1020200090587 A KR1020200090587 A KR 1020200090587A KR 20200090587 A KR20200090587 A KR 20200090587A KR 102265255 B1 KR102265255 B1 KR 102265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s
hangul
unit
consonant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이나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이나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이나르샤
Priority to KR102020009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55B1/ko
Priority to PCT/KR2021/009245 priority patent/WO20220195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음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부;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발음기호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및 영어 발음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서 한글 자음과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인접하게 표시되고, 한글 모음과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인접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Systmem for educating Hangeul using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for foreigner learner}
본 발명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한글 학습 방법은 자음과 모음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외우게 하고 결합하여 음절 및 단어를 생성하는 방법을 통한 학습 방법이 대부분으로 학습자가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암기하도록 함으로써 한글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한다.
한편, 최근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닌 사용자들의 한글 학습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나아가 한글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말을 문자로 활용하는데, 이들 사용자의 경우 한글 발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4-0031732호(2004.04.13.)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음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부;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발음기호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및 영어 발음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서 한글 자음과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인접하게 표시되고, 한글 모음과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인접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음부는, 기본 자음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되는 한글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생성부; 및 'ㄱ', 'ㄴ', 'ㅁ', 'ㅅ', 'ㅇ', 및 'ㄹ'을 기준 위치에 배치하고 가획 또는 병서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배열되는 한글 자음 구조도를 제공하는 자음 배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음 배열부는, 'ㄱ', 'ㄴ', 'ㅁ', 'ㅅ', 'ㅇ', 및 'ㄹ'이 배치되는 상기 기준위치의 외곽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배열하고, 상기 외곽에 배열된 자음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최외곽에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자음 배열부는,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는 자음과; 해당 자음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상기 모음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천(ㆍ), 지(ㅡ), 인(ㅣ)을 결합한 모음에 대응되는 한글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생성부; 및 천(ㆍ), 지(ㅡ), 인(ㅣ)을 기준 위치에 배치하고 천(ㆍ), 지(ㅡ), 인(ㅣ)이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배열되는 한글 모음 구조도를 제공하는 모음 배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 배열부는 천(ㆍ), 지(ㅡ), 인(ㅣ)이 배치되는 상기 기준위치의 외곽에 초출자 'ㅏ', 'ㅓ', 'ㅗ', 'ㅜ' 를 배열하고, 'ㅣ' 와 상기 외곽에 배치된 모음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ㅑ', 'ㅕ', 'ㅛ', 'ㅠ' 를 최외곽에 배열할 수 있다.
상기 모음 배열부는 'ㅏ', 'ㅓ', 'ㅗ', 'ㅜ'를 상기 기준위치에서 90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구획되어 배치되는 음소목록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음소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생성하는 음절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절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상기 음절에 인접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한글 자음, 상기 한글 모음 및 상기 음절에 대응하는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는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절을 구성하는 초성과 중성의 결합 발음 속도를 시간흐름에 따라 증가시키고 상기 음절을 구성하는 초성과 중성에 대한 상기 영어 발음기호의 간격을 시간흐름에 따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발음기호부는, 종성에 사용되는 한글 자음의 영어 발음기호에 대한 제1데이터베이스; 및 이중모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에 대한 제2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학습을 위해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음절에 대한 영어 발음기호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음절에 해당하는 한글 모음과 한글 자음의 조합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자음 배열과 영어 발음기호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모음 배열과 영어 발음기호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음절과 영어 발음기호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음절 생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음절 학습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받침 학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받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이중모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의 다른 학습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은 전용 단말기에 탑재되어 제공되거나, 앱이나 프로그램 형태로 사용자가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랫, 노트북 및 데스크탑 노트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센서부(10), 음성출력부(40) 및 표시부(50)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환경에 따라 단말기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음부(21), 모음부(22), 발음기호부(23), 음절생성부(24) 및 제어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학습대상인 사용자는 한국어를 모국어 사용하는지 여부는 고려하지 않으나, 특히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은 사용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외국인'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음소는 말의 의미를 분화시켜 뜻을 구별하게 하는 소리로 각각의 자음과 모음 단위를 의미하고, 음절은 직관적으로 인지되는 단어나 말의 기본 음성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음'이란 단어는 'ㅈ','ㅏ','ㅇ','ㅡ','ㅁ' 총 5개의 음소로 구성되고 '자','음' 총 2개의 음절로 구성된다.
한편,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의 3요소로 이루어지므로 한 음절의 구성 요소를 '자음+모음+자음'으로 보면 첫머리 자음을 초성, 가운데 모음을 중성, 끝의 자음을 종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달'의 경우 'ㄷ'이 초성, 'ㅏ'가 중성, 'ㄹ'이 종성에 해당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한글 교육 시스템(1)은 센서부(10), 자음부(21), 모음부(22), 발음기호부(23), 음절생성부(24), 제어부(30), 음성출력부(40) 및 표시부(5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센서부(10)를 통해 자음과 모음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터치화면에서의 터치,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클릭 등을 통해 자음과 모음 등을 선택한다. 터치는 짧은 터치, 긴터치, 이중 터치(짧은 시간 내에 동일 위치 2회 터치), 다중 터치(이격된 2곳 이상을 동시에 처치) 및 드래그 등 다양할 수 있다.
자음부(21)는 센서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을 생성한다. 이 때 발음기호부(23)는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는 한글 자음과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인접하게 표시부(50)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화면에서는 음성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내지 아이콘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자음 배열과 영어 발음기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는 일부 자음에 대한 영어 발음기호만을 나타내었다.
자음부(21)는 자음 생성부와 자음 배열부를 포함한다. 자음 생성부는 기본 자음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되는 한글 자음을 생성하며, 자음 배열부는 'ㄱ', 'ㄴ', 'ㅁ', 'ㅅ', 'ㅇ', 및 'ㄹ'을 기준 위치에 배치하고 가획 또는 병서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배열한다.
자음 배열부는 'ㄱ', 'ㄴ', 'ㅁ', 'ㅅ', 'ㅇ', 및 'ㄹ'이 배치되는 기준위치의 외곽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배열하고, 외곽에 배열된 자음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최외곽에 배열한다.
자음 배열부는, 기준위치에 위치하는 자음과, 해당 자음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음을 제시하는 순서에 있어서 기존 'ㄱ, ㄴ, ㄷ,··· , ㅎ'의 순서로 제시되는 것을 'ㄱ-ㅋ(-ㄲ), ㄴ-ㄷ(-ㄸ)-ㅌ, ㅁ-ㅂ(-ㅃ)-ㅍ, ㅅ(-ㅆ)-ㅈ(-ㅉ)-ㅊ, ㅇ-ㅎ, ㄹ'로 제시한다. 이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기본자에 획이 추가되면서 발음이 강해지는 한글자음의 제자원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획이 추가되면서 발음이 세지는 것을 통해 글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비슷한 모양의 글자를 비교하며 학습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빠른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응용하는 한글 자음 제자 원리의 기본은 상형, 가획 및 병서이다. 즉, 우리 몸의 발음작용 모양 또는 발음기관을 본 딴 상형자인 초성의 기본 5자 'ㄱ(아음)','ㄴ(설음), 'ㅁ(순음)','ㅅ(치음)','ㅇ(후음)'에 가획, 병서 또는 이체로 다른 자음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ㄱ'에 가획을 통해 'ㅋ'이 생성되며, 'ㄱ'의 병서에 의해 'ㄲ'이 생성된다. 또한 가획 또는 병서 제자 원리를 벗어나는 글자인 'ㄹ'이 이체자로 생성된다.
나열된 기본 자음 목록에서 자음 선택 시 센서부(10)에서 감지되는 터치 횟수, 터치 압력 크기 및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합 자음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한글 자음 구조도에서 기본 자음을 길게 터치하거나 세게 누르는 경우 복합 자음의 생성 및 배열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는 음성출력부(40)를 통해 선택된 자음이 발음되도록 할 수 있다. 자음의 발음은 명칭을 발음하지 않고 임의의 중성을 결합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ㅡ' 중성을 붙여 발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즉, 'ㄱ'의 자음 명칭인 '기역'의 발음을 출력하지 않고 '그'의 발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모음 배열과 영어 발음기호를 나타낸 것이다.
모음부(22)는 모음 생성부와 모음 배열부를 포함한다.
모음 생성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천(ㆍ), 지(ㅡ), 인(ㅣ)을 결합한 모음에 대응되는 한글 모음을 생성하며, 모음 배열부는 천(ㆍ), 지(ㅡ), 인(ㅣ)을 기준 위치에 배치하고 천(ㆍ), 지(ㅡ), 인(ㅣ)이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배열한다.
모음 배열부는 천(ㆍ), 지(ㅡ), 인(ㅣ)이 배치되는 상기 기준위치의 외곽에 초출자 'ㅏ', 'ㅓ', 'ㅗ', 'ㅜ' 를 배열하고, 'ㅣ' 와 상기 외곽에 배치된 모음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ㅑ', 'ㅕ', 'ㅛ', 'ㅠ' 를 최외곽에 배열한다.
도 3과 같이 모음 배열부는 'ㅏ', 'ㅓ', 'ㅗ', 'ㅜ'를 기준위치에서 90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하며, 'ㅑ', 'ㅕ', 'ㅛ', 'ㅠ' 역시 기준위치에서 90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음을 제시하는 순서에 있어서 기존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순서로 제시되는 것을 '· - ㅡ - ㅣ', 'ㅏ-ㅓ-ㅗ-ㅜ', 'ㅑ-ㅕ-ㅛ-ㅠ'로 제시한다. 이는 같은 모양의 글자가 방향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며 학습과정에서 비교를 통한 다른 글자임을 인지하여 보다 정확하고 빠른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응용하는 한글 모음 제자 원리의 기본은 상형 및 결합이다. 즉, 하늘, 땅 및 사람을 본 딴 상형자인 천(ㆍ), 지(ㅡ), 인(ㅣ) 기본 삼재가 있고, 기본 삼재가 한번 결합하여 초출자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ㅣ'에 'ㅇ'를 결합하여 'ㅏ'가 생성된다. 이렇게 천지인 삼재가 한 번 결합하여 생성된 'ㅏ','ㅓ', 'ㅗ', 'ㅜ' 는 초출자에 해당한다. 이러한 초출자에 인(ㅣ)이 결합하여 생성되는 'ㅠ', 'ㅕ', 'ㅛ', 'ㅑ' 는 재출자에 해당한다.
나열된 기본 모음 목록에서 모음 선택 시 센서부(10)에서 감지되는 터치 횟수, 터치 압력 크기 및 터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초출자 및 재출자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는 음성출력부(40)를 통해 선택된 모음이 발음되도록 할 수 있다. 모음의 발음은 명칭을 발음하지 않고 임의의 초성 결합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ㅠ'를 선택한 경우 초성으로 'o'를 붙여 '유'로 발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음 및 모음의 원리와 함께 발음을 배울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음절의 학습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음절과 영어 발음기호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음절 생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같이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음절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에 영어 발음기호를 표시한다. 영어 발음기호는 사용자가 자음, 모음 및 음절을 클릭 또는 터치하면 표시되거나 처음부터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화면에서도 사용자에게 자음, 모음 및 음절의 발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음절생성부(24)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구획되어 배치되는 음소목록을 상기 표시부(50)에 제공하고, 음소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생성한다.
생성된 음절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표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선택 시 생성된 음절 또는 단어에 대한 사전전 의미 설명 및/또는 예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음절 학습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음절을 선택하면 (1) 발음 출력에 있어 음절을 구성하는 초성과 중성의 결합 발음 속도를 시간흐름에 따라 증가시키고 (2) 표시에 있어서 음절을 구성하는 초성과 중성에 대한 영어 발음기호의 간격을 시간흐름에 따라 감소시킨다.
도 6에 표시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음절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음절은 초성과 중성으로만 이루어진 받침이 없는 음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받침 학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초성과 중성으로만 이루어진 음절과 받침을 결합하여 받침이 있는 음절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초성과 중성도 분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받침이 있는 음절에 대해서도 발음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선택된 자음, 모음 및/또는 음절에 해당하는 영어 발음기호는 선택된 자음, 모음 및/또는 음절에 인접하게 표시된다. 영어 발음기호의 표시 지속 시간, 점멸여부 및 색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면 받침의 경우 같은 자음이 초성으로 사용된 경우와는 다른 발음기호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받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발음 기호부(23)는 종성(받침)으로 사용되는 한글 자음의 발음기호에 대한 제1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제1데이터베이스에서는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한글 자음에 대해, 받침으로 사용될 경우의 영문발음이 배정되어 있다.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도 8과 같은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에서 이중모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발음 기호부는 이중모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에 대한 제2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제2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중모임에 대한 영문발음이 배정되어 있다.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도 9와 같은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한글이 먼저 제시 또는 선택되고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어 발음기호를 먼저 표시하고 발음기호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습방법은 별도의 학습모드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육 시스템의 다른 학습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학습모드에서는 임의의 선택에 의해 제시되는 영어 발음기호의 조합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nam'이라는 영어 발음에 대응하는 한글 음절은 '남'이며, 이는 초성 'ㄴ', 중성 'ㅏ' 및 종성 "ㅁ"이 결합된 것이다. 사용자는 도 2 및 도 3에 표시한 한글자음과 한글모음의 배치도로부터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입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3)

  1.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하는 한글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모음에 대응하는 한글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부;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발음기호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및 영어 발음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서 한글 자음과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인접하게 표시되고, 한글 모음과 이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가 인접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구획되어 배치되는 음소목록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음소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생성하는 음절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절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상기 음절에 인접하게 표시하며,
    상기 한글 자음, 상기 한글 모음 및 상기 음절에 대응하는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절을 구성하는 초성과 중성의 결합 발음 속도를 시간흐름에 따라 증가시키고 상기 음절을 구성하는 초성과 중성에 대한 상기 영어 발음기호의 간격을 시간흐름에 따라 감소시키는 한글 교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기본 자음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에 대응되는 한글 자음을 생성하는
    자음 생성부; 및
    'ㄱ', 'ㄴ', 'ㅁ', 'ㅅ', 'ㅇ', 및 'ㄹ'을 기준 위치에 배치하고 가획 또는 병서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배열되는 한글 자음 구조도를 제공하는 자음 배열부를 포함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배열부는
    'ㄱ', 'ㄴ', 'ㅁ', 'ㅅ', 'ㅇ', 및 'ㄹ'이 배치되는 상기 기준위치의 외곽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배열하고, 상기 외곽에 배열된 자음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최외곽에 배열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배열부는,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는 자음과;
    해당 자음에 1회 가획 또는 병서된 자음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천(ㆍ), 지(ㅡ), 인(ㅣ)을 결합한 모음에 대응되는 한글 모음을 생성하는 모음 생성부; 및
    천(ㆍ), 지(ㅡ), 인(ㅣ)을 기준 위치에 배치하고 천(ㆍ), 지(ㅡ), 인(ㅣ)이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멀어지도록 배열되는 한글 모음 구조도를 제공하는 모음 배열부를 포함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배열부는 천(ㆍ), 지(ㅡ), 인(ㅣ)이 배치되는 상기 기준위치의 외곽에 초출자 'ㅏ', 'ㅓ', 'ㅗ', 'ㅜ' 를 배열하고, 'ㆍ' 와 상기 외곽에 배치된 모음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ㅑ', 'ㅕ', 'ㅛ', 'ㅠ' 를 최외곽에 배열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배열부는 'ㅏ', 'ㅓ', 'ㅗ', 'ㅜ'를 상기 기준위치에서 90도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기호부는,
    종성에 사용되는 한글 자음의 영어 발음기호에 대한 제1데이터베이스; 및
    이중모음에 대응하는 영어 발음기호에 대한 제2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학습을 위해 표시부에 표시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절에 대한 영어 발음기호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음절에 해당하는 한글 모음과 한글 자음의 조합을 선택하도록 하는 한글 교육 시스템.
KR1020200090587A 2020-07-21 2020-07-21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KR102265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87A KR102265255B1 (ko) 2020-07-21 2020-07-21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PCT/KR2021/009245 WO2022019589A1 (ko) 2020-07-21 2021-07-19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587A KR102265255B1 (ko) 2020-07-21 2020-07-21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255B1 true KR102265255B1 (ko) 2021-06-16

Family

ID=7660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587A KR102265255B1 (ko) 2020-07-21 2020-07-21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5255B1 (ko)
WO (1) WO20220195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89A1 (ko) * 2020-07-21 2022-01-27 (주)한글이나르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KR102495280B1 (ko) * 2022-02-09 2023-02-07 주식회사 케이센 한글 읽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03394B1 (ko) * 2022-07-20 2023-02-24 베베구쯔 주식회사 한글학습교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732A (ko) 2004-03-11 2004-04-13 유승혁 멀티미디어 한글 학습시스템 및 그 한글 학습방법
KR101573262B1 (ko) * 2015-04-02 2015-12-01 (주)가온한국어 한글 자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201601185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101928424B1 (ko) * 2017-09-29 2018-12-12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소리조합 원리가 구현된 실감형 블록 놀이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78626B1 (ko) * 2019-08-16 2020-02-18 정현욱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326A (ko) * 2011-06-17 2012-12-27 (주)아이오다인 온라인 한글 교육 시스템
KR102265255B1 (ko) * 2020-07-21 2021-06-16 주식회사 한글이나르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732A (ko) 2004-03-11 2004-04-13 유승혁 멀티미디어 한글 학습시스템 및 그 한글 학습방법
KR101573262B1 (ko) * 2015-04-02 2015-12-01 (주)가온한국어 한글 자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201601185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101928424B1 (ko) * 2017-09-29 2018-12-12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소리조합 원리가 구현된 실감형 블록 놀이 교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78626B1 (ko) * 2019-08-16 2020-02-18 정현욱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8542호(2016.10.12. 공개)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573262호(2015.12.1. 공고)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928424호(2018.12.12. 공고)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2078626호(2020.2.18. 공고) 1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89A1 (ko) * 2020-07-21 2022-01-27 (주)한글이나르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KR102495280B1 (ko) * 2022-02-09 2023-02-07 주식회사 케이센 한글 읽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 및 이의 구동방법
WO2023153699A1 (ko) *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케이센 한글 읽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03394B1 (ko) * 2022-07-20 2023-02-24 베베구쯔 주식회사 한글학습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589A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phy et al. History of ESL pronunciation teaching
KR102265255B1 (ko)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TW411422B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 interactive speech and language training
KR101102520B1 (ko)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80000990A (ko)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Murphy et al. Designing auditory cues to enhance spoken mathematic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Erdener Basic to applied research: the benefits of audio-visual speech perception research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CN109389873A (zh) 计算机系统和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KR20160118542A (ko)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CN107041159B (zh) 发音助手
US200501378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synthesis using an annotation system
KR101172580B1 (ko)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방법
Singh et al. HELF (Haptic Encoded Language Framework): a digital script for deaf-blind and visually impaired
KR101326063B1 (ko) 한글 학습 장치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Pimm Language, paralinguistic phenomena and the (same-old) mathematics register
Pettersson Text design
KR20140047838A (ko) 천지인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교육 시스템
Liu et al. CFL learners’ Mandarin syllable-tone word production: effects of task and prior phonological and lexical learning
KR20140071178A (ko) 한글­알파벳 결합서체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027008A1 (en) Reading proficiency system and method
JP2011175220A (ja) 英単語・熟語習得プログラム
KR101573262B1 (ko) 한글 자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US201301496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aching a non-native language
KR100768696B1 (ko)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