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756B1 -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 Google Patents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756B1
KR102264756B1 KR1020210025929A KR20210025929A KR102264756B1 KR 102264756 B1 KR102264756 B1 KR 102264756B1 KR 1020210025929 A KR1020210025929 A KR 1020210025929A KR 20210025929 A KR20210025929 A KR 20210025929A KR 102264756 B1 KR102264756 B1 KR 10226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ltrasound
supply
signal
wireless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7322A (en
Inventor
진길주
안미정
김남웅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246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3164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756B1/en
Publication of KR2021002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72Wireless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7Device being portable or laptop-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제1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음향 송수신 모듈, 제2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모듈, 제3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의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전원부를 포함하며, 무선 프로브에서 소비되는 전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irst power supply, transmits an ultrasound signal to an object, receives an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and receives an acoustic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for scanning the object, a second power supply,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at generates a pulse for generating the ultrasound signal and generates ultrasound data us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third power supply and transmits/receives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medical device, wireles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be,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block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power sources may be included, and power consumed by the wireless probe may be reduced.

Description

무선 프로브 및 그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A wireless prob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the method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본원 발명은 무선 프로브 및 그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rob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hereto.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전원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프로브 및 그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rob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hereto.

초음파 진단 장치는 무선 프로브(probe)의 트랜스듀서(transducer)로부터 생성되는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로 송출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에코 신호의 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체 내부의 부위에 대한 영상을 얻는다. 특히,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 내부의 관찰, 이물질 검출, 및 상해 측정 등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X선을 이용하는 진단 장치에 비하여 안정성이 높고, 실시간으로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방사능 피폭이 없어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다른 화상 진단 장치와 함께 널리 이용된다.Th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transmits an ultrasound signal generated from a transducer of a wireless probe to an object, and receives information of an ultrasound echo signal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obtain an image of an internal portion of the object. In particular, th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is used for medical purposes such as observing the inside of an object, detecting a foreign substance, and measuring an injury. Thes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es are widely used together with other imaging apparatuses because they have high stability compared to diagnostic apparatuses using X-rays, display images in real time, and are safe because there is no radiation exposure.

초음파 진단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프로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초음파 진단 장치의 본체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무선 프로브가 개발되고 있다. 무선 프로브는 별도의 전원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내부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진단을 위하여 본체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프로브 또는 휴대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에 포함되어 형성되는 무선 프로브가 개발되고 있다. In th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 wireless pro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through a wireless network has been developed so that a user can operate the probe without being limited by space. The wireless probe does not include a separate power line and is powered by an internal battery. Specifically, for ultrasound diagnosis, a wireless prob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main body or a wireless probe that is included in a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having a portable size is being developed.

무선 프로브는 내부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소비되는 전원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를 이용하여 초음파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프로브 및 그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wireless probe is supplied with power using an internal batter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ireless probe capabl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while not inconvenient for a user to perform an ultrasound scan operation using the wireless probe, and a power supply method according thereto.

본원 발명은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프로브 및 그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probe capabl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제1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음향 송수신 모듈, 제2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모듈, 제3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의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irst power supply, transmits an ultrasound signal to an object, receives an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and receives an acoustic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for scanning the object, a second power supply,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at generates a pulse for generating the ultrasound signal and generates ultrasound data us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third power supply and transmits/receives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medical device, wireles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be,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block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power sourc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각각을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may individually supply or cut off each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프로브가 스캔 동작을 수행 중이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wireless probe is performing a scan opera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supply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프로브가 스캔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wireless probe completes the scan opera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cut off the first power and supply at least one of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프로브가 스캔 동작을 완료하고, 상기 초음파 데이터의 처리 동작을 완료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wireless probe completes the scan operation and does not complete the ultrasound data processing opera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cut off the first power and supply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프로브가 스캔 동작 및 상기 초음파 데이터의 처리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wireless probe completes the scan operation and the ultrasound data processing opera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cut off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and supply the third pow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프로브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radio probe is not detected for a first time perio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cut off the supply of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and supply the third pow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프로브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의 공급을 모두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radio probe is not detected for a second time perio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cut off all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프로브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의 공급을 모두 차단하고 상기 무선 프로브가 대기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operation of the radio probe is not detected for the second time period, the control unit cuts off all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and controls the radio probe to enter a standby state. ca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3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프로브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의 공급을 모두 차단하고, 상기 무선 프로브가 파워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radio probe is not detected for a third time period, the control unit cuts off all supplies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and controls the radio probe to be powered off.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사용자가 상기 무선 프로브를 조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user manipulates the wireless probe.

또한,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posi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프로브가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신호 레벨을 갖는 제1 이벤트 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probe scans the objec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sensing unit may generate a first event signal having a first signal leve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음향 송수신 모듈은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 상기 트랜스듀서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초음파 생성부, 및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 집속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transceiving module receives at least one transducer that generates the ultrasonic signal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transducer, and the ultrasonic echo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ducer. It may include a focused ultrasound receiver.

또한,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소정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송신 집속된 싱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송신 빔포밍 전원, 및 수신 집속된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수신 빔포밍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ower supply is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redetermined voltage, an acoustic transmission beamform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the focused transmission ultrasound signal, and an acoustic reception beamform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the reception focused ultrasound echo signal. may contain one.

또한,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펄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및 상기 초음파 데이터 및 상기 초음파 데이터에 대응되는 초음파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second pow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used to generate the pulse and a power used to process at least one of the ultrasound data and an ultras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ultrasound data.

또한, 상기 제3 전원은 상기 의료 장치와 연결(link)되는데 이용되는 페어링 전원, 및 상기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power sour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airing power source used to be linked with the medical device and a power source used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a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의료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generate information indicating a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and control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dicating supply states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제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for setting supply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사용자가 상기 상태 변경을 인식하도록 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changed,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for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change of state. 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또한, 상기 알림부는 스피커, 램프, 진동자, 및 디스플레이 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notif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a lamp, a vibrator, and a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프로브가 파워 온 된 경우, 상기 무선 프로브의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보안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wireless probe is powered 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a security setting menu for allowing manipulation of the wireless probe to be output.

또한, 상기 전원부는 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상기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battery that charges power and supplies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using the charged power source.

또한, 상기 전원부는 외부에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ay receive wireless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using the received wireless pow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음향 송수신 모듈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모듈로 공급되는 제2 전원, 및 외부의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 공급되는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ogniz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and applying an ultrasound signal to an object and receiving an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ceiver module for scanning the object, the second power supplied to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at generates a pulse for generating the ultrasound signal, and generates ultrasound data us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at least one of third power suppli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medical device.

또한,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각각을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ing of the power supply may include individually supplying or blocking each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도 1은 초음파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무선 프로브 및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be and a main body constituting a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dicating a power state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dicating a power state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for sett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명세서 전체에서 "초음파 영상"이란 초음파를 이용하여 획득된 대상체(object)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체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ultrasound image” refers to an image of an object obtained using ultrasound. Also, a subject may include a human or animal, or a part of a human or animal. For example, the object may include organs such as liver, heart, uterus, brain, breast, abdomen, or blood vessels. Also, the object may include a phantom, and the phantom may mean a material having a volume very close to the density and effective atomic number of an organism.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user" may be a medical professional, such as a doctor, a nurse, a clinical pathologist, a medical imaging specialist, or a technician repairing a medical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초음파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무선 프로브 및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be and a main body constituting a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는 무선 프로브(110)와 본체(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includes a wireless probe 110 and a main body 120 .

무선 프로브(110)는 본체(120)와 소정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며,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초음파 영상을 본체(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프로브(110)는 획득된 초음파 데이터를 본체(120)로 전송하며, 이 경우 본체(120)는 전송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wireless probe 11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20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130 , transmits an ultrasound signal to an object, and receives an echo signal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obtain ultrasound data. Then, an ultrasound image may be generated using the acquired ultrasound data, and the generated ultrasoun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20 . Alternatively, the wireless probe 110 transmits the acquired ultrasound data to the main body 120 , and in this case, the main body 120 may generate an ultrasound image by using the transmitted ultrasound data.

본체(120)는 무선 프로브(11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무선 프로브(110)로부터 수신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의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프로브(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체(120)는 카트형뿐만 아니라 휴대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체(120)의 예로는 카트형 초음파 시스템, 팩스 뷰어(PACS viewer),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ain body 120 transmits/receives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the wireless probe 110 , and may generate ultrasound images of various modes by using the ultra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probe 110 . Also,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robe 110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user input. The body 120 may be implemented as a cart type as well as a portable type. Examples of the body 120 may include a cart-type ultrasound system, a fax viewer,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DA, a tablet PC,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가 대상체인 환자의 소정 신체 부위를 무선 프로브(110)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동안에, 무선 프로브(110)와 본체(120)는 계속하여 무선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robe 110 and the main body 120 can continuously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data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130 while the user scans a predetermined body part of the patient, which is the object, using the wireless probe 110 . will be in

무선 프로브(110)는 본체(12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뿐 본체(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으며,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배터리(미도시)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The wireless probe 110 only transmits and receives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the main body 120 , but cannot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ody 120 , and receives power using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by itself.

이러한 무선 프로브(110)의 배터리(미도시)는 전원 용량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절약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무선 프로브(110)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무선 프로브(110)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he battery (not shown) of the wireless probe 110 has a limit in power capacity. Accordingly, if the battery is not saved, the wireless probe 110 may not be used due to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of the wireless probe 110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소비되는 전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전원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efficiently controlling the power consumed.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는 대상체를 스캔하는 초음파 프로브로, 전원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브로, 도 1에서와 같이 본체와 연결되는 무선 프로브가 될 수 있다. 또는, 트랜스튜서를 포함하여 초음파 스캔이 가능한 스마트 장치 등과 같은 휴대용의 초음파 진단 장치가 될 수도 있다.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ltrasound probe that scans an object, and a probe that performs an ultrasound scanning operation by receiving power from an internally included battery without receiving power through a power line, as shown in FIG. 1 . It may be a wireless pro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gether. Alternatively, it may be a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device such as a smart device capable of ultrasound scanning including a transducer.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200)는 음향 송수신 모듈(210), 신호 처리 모듈(220), 무선 통신 모듈(230), 제어부(240) 및 전원부(2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a wireless prob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a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 a control unit 240 , and a power supply unit 250 . includes

음향 송수신 모듈(210)은 제1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체를 스캔(scan)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송수신 모듈(210)은 트랜스듀서(미도시)를 포함하며,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초음파 스캔한다. 여기서, 제1 전원은 음향 송수신 모듈(210)에서 소비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공급 전원이다. 즉, 음향 송수신 모듈(210)이 초음파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만큼을 전원부(250)서 공급받을 때, 전원부(250)가 음향 송수신 모듈(210)로 공급하는 전원을 제1 전원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송수신 모듈(210)은 아날로그 전압(analog voltage)인 고전압(high voltage)을 트랜스듀서(미도시)에 인가할 수 있는데, 이 때, 제1 전원은 전술한 아날로그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 transceiver module 210 receives the first power, transmits an ultrasound signal to the object, receives the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and scans the object. Specifically,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includes a transducer (not shown), and uses the transducer to perform an ultrasound scan of an object. Here, the first power is a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power consumed by the sound transceiving module 210 . That is, when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50 as much as the power required to perform the ultrasound scan operation,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250 to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is referred to as first power. Specifically,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may apply a high voltage, which is an analog voltage, to the transducer (not shown), in this case, the first power source may include the analog voltage described above. have.

신호 처리 모듈(220)은 제2 전원을 공급받아,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초음파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모듈(220)은 음향 송수신 모듈(210)에서 생성되는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pulse)를 생성, 조절 및 제어한다. 또한, 신호 처리 모듈(220)은 음향 송수신 모듈(210)에서 수신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처리하여 초음파 데이터 또는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원은 신호 처리 모듈(220)에서 소비되는 전원에 대응되는 공급 전원이다. 즉, 신호 처리 모듈(220)이 초음파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만큼을 전원부(250)서 공급받을 때, 전원부(250)가 신호 처리 모듈(220)로 공급하는 전원을 제2 전원이라 한다.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receives the second power, generates a pulse for generating an ultrasound signal, and generates ultrasound data us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Specifically,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generates, adjusts, and controls a pulse for generating an ultrasonic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Als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may process the ultrasound echo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transceiver module 210 to generate ultrasound data or an ultrasound image using the ultrasound data. Here, the second power is a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power consumed by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That is, whe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receives from the power supply unit 250 as much power required to perform the ultrasonic scan operation,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250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is referred to as a second power.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모듈(220)은 전술한 펄스를 생성 및 조절하는데 있어서, 소정 주파수, 소정 클럭 속도(clock speed), 또는 소정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가지는 디지털 전압(digital voltage)을 필요로 하며, 제2 전원은 전술한 디지털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requires a digital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 predetermined clock speed, or a predetermined sampling rate in generating and adjusting the above-described pulse. and the second power source may include the digital power source described above.

무선 통신 모듈(230)은 제3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의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의료 장치(미도시)는 무선 프로브(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link)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의료 장치(미도시)는 도 1에서 전술한 본체(120)와 대응될 수 있으며, 카트형 초음파 시스템, 팩스 뷰어(PACS viewer),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230)과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 장치(미도시)는 병원 내의 서버나 의료 장치뿐만 아니라, 의사나 환자의 휴대용 단말이 될 수도 있으며, CT, MRI, X-ray 시스템과 같은 다른 종류의 의료 영상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receives the third pow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medical device. Here, the medical device (not shown) refers to any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linked to the wireless probe 2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Specifically, the medical device (not shown) may correspond to the main body 120 described above in FIG. 1 , and includes a cart-type ultrasound system, a fax viewer,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DA, and a tablet. It may be a PC or the lik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and a medical device (not shown) that transmits and receives predetermined data may be not only a server or a medical device in a hospital, but also a portable terminal of a doctor or a patient, and a CT, MRI, X-ray system and It could also be another kind of medical imaging system.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230)은 신호 처리 모듈(220)에서 생성된 초음파 데이터 또는 초음파 영상을 의료 장치로 송신하고, 의료 장치는 송신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may transmit ultrasound data or an ultrasound image gener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to the medical device, and the medical device may generate and display the ultrasound image using the transmitted ultrasound data. have.

제어부(240)는 무선 프로브(2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각각을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240 may individually supply or cut off each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200 .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이벤트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신호는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신호는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 음향 송수신 모듈(210), 신호 처리 모듈(220), 및 무선 통신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벤트 신호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he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based on an event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Specifically, the event signal refers to a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supplying or block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Specifically, the event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probe, and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 . The event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

전원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250 supplies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40 .

구체적으로, 전원부(250)는 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배터리(25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51)는 전원을 충전(charge)하고 있으며,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프로브(200)에 포함되는 각 내부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include a battery 251 that charges power and supplies at least one of a first power source, a second power source, and a third power source using the charged power. The battery 251 is charging power, and may supply power to each of the internal components included in the wireless probe 200 using the charged power.

예를 들어, 배터리(251)는 충전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로 구성되어,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면, 전원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다시 충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터리(251)는 외부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에 의해서 충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battery 251 is configured as a rechargeable battery, and when the charged power is discharged, it may be charged again us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line. In addition, the battery 251 may be charged by wireless power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또한, 전원부(250)는 외부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250)는 외부, 예를 들어, 본체(120) 등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변환하여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Also,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receive wireless power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may be supplied using the received wireless power.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receive a wireless power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main body 120 , etc., and store and use power generated by converting the received wireless power signal.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방식으로는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전자기 유도 (Induction) 방식,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전자기 공명 (resonance) 방식, 및 전자파 방사에 기초한 전자기 방사 (radiation) 방식 (즉, 비방사형 무선 에너지 전송 방식),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방식(초음파를 이용한 에너지 전송 특허 US Patents 6798716 by Charych Arthur 참조) 등이 있다. Specifically, a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a wireless power signal, and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by a wireless power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 and an electromagnetic radiation (radiation) method based on electromagnetic radiation (ie, a non-radiative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metho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ultrasonic waves (see patent US Patents 6798716 by Charych Arthur for energy transmission using ultrasound), and the like.

전원부(250)는 전술한 무선 전력 송신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250)는 외부적으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무선 프로브(200)에 포함되는 각 구성에 공급하기 적합하도록 수신된 무선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즉, 전원부(250)는, 무선 프로브(200)의 정격 전압 (rated voltage) 및 정격 전류 (rated current) 이하가 되도록 수신된 무선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250) 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미도시), 승압 장치(미도시), 및/또는 강압 장치(미도시)를 내부적으로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250)에 포함되는 배터리(251)는 수신된 무선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51)는 무선 전력에 의해서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프로브(200)에 포함되는 각 내부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receive power using at least one of the aforemention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s.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externally receive wireless power and convert the received wireless power to be suitable to be supplied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wireless probe 200 .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convert the received wireless power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rated voltage and a rated current of the wireless probe 200 .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50 includes an SMPS (Switched-Mode Power Supply) (not shown), a boosting device (not shown), and/or a step-down device (not shown) internally, and using this, wireless power can be converted In addition, the battery 251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be charged by the received wireless power. The battery 251 may supply power to each of the internal components included in the wireless probe 200 using power charged by wireless power.

무선 프로브(200)에 있어서 전술한 3개의 모듈인 음향 송수신 모듈(210), 신호 처리 모듈(220), 및 무선 통신 모듈(230)이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무선 프로브(200)에서 이용되는 전원을 크게 3개의 전원인 음향 송수신 모듈(210)로 공급되는 제1 전원, 신호 처리 모듈(220)로 공급되는 제2 전원, 및 무선 통신 모듈(230)로 공급되는 제3 전원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전술한 3 종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 In the wireless probe 200, the above-described three modules,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focusing on the point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wireless probe ( 200 ),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the second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and the third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 which are three main power sources. classified by power.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hree types of power are selectively supplied or cut off.

즉, 무선 프로브(200)는 전술한 3개의 모듈인 음향 송수신 모듈(210), 신호 처리 모듈(220), 및 무선 통신 모듈(230)이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동작상태에 따라서 소정 모듈의 전원을 차단하여도 다른 모듈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음향 송수신 모듈(210), 신호 처리 모듈(220), 및 무선 통신 모듈(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한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200)는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더라도, 무선 프로브(200)가 수행하고 있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무선 프로브(200)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wireless probe 200 ,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 which are the three modules described above,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Even if the power of the module is cut off, the operation of other modules is not affected. 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is individually supplied or cut off. Accordingly, the wireless prob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even if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the wireless probe 200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without affecting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wireless probe 200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3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무선 프로브(100, 200)와 동일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프로브(300)에 포함되는 음향 송수신 모듈(310), 신호 처리 모듈(320), 무선 통신 모듈(330), 제어부(340) 및 전원부(350)는 각각 도 2에서 설명한 무선 프로브(200)에 포함되는 음향 송수신 모듈(210), 신호 처리 모듈(220), 무선 통신 모듈(230), 제어부(240) 및 전원부(250)와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무선 프로브(3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무선 프로브(300)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로브(200)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부(360), 감지부(370), 알림부(38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wireless prob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wireless probes 100 and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Specifically,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the control unit 340, and the power supply unit 350 included in the wireless probe 300 each include the wireless probe ( 200 ,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 the control unit 240 , and the power supply unit 250 correspond to the same. Accordingly, in describing the wireless probe 300 ,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ose in FIGS. 1 to 2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wireless probe 300 illustrated in FIG. 3 has a display unit 360 , a detection unit 370 , a notification unit 380 , and a user interface unit 390 compared to the wireless probe 200 illustrated in FIG. 2 .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음향 송수신 모듈(310)은 제1 전원을 공급받아,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체를 스캔(scan)하며, 초음파 송신부(311), 트랜스듀서(315) 및 초음파 수신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듀서(315)는 초음파 스캔 소자로, 음향 송수신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나, 도 3에서는 편의상 '트랜스듀서(315)'로 도시하였다.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receives the first power, transmits an ultrasound signal to the object, receives an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scans the object, and the ultrasound transmitter 311, the transducer 315 and the ultrasound It may include a receiver 316 . Here, the transducer 315 is an ultrasonic scanning element, and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includes at least one transducer, but in FIG. 3 it is illustrated as a 'transducer 315' for convenience.

초음파 송신부(311)는 트랜스듀서(315)가 송신 집속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트랜스듀서(315)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송신부(311)는 펄스 생성부(312), 송신 지연부(313) 및 펄서(3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ltrasound transmitter 311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transducer 315 so that the transducer 315 can generate a transmission-focused ultrasound signal. Specifically, the ultrasound transmitter 311 may include a pulse generator 312 , a transmission delay unit 313 , and a pulser 314 .

펄스 생성부(312)는 소정의 펄스 반복 주파수(PRF, Pulse Repetition Frequency)에 따른 송신 초음파를 형성하기 위한 펄스(pulse)를 생성한다. The pulse generator 312 generates a pulse for forming a transmission ultrasou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

송신 지연부(313)는 송신 지향성(transmission directionality)을 결정하기 위한 지연 시간(delay time)을 펄스에 적용한다. 여기서, 지연 시간이 적용된 각각의 펄스는, 트랜스듀서(315)에 포함된 복수의 압전 진동자(piezoelectric vibrators)(미도시)에 각각 대응된다. 여기서, 압전 진동자는 피에조 소자로 불리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송신 지연부(313)는 송신 초음파를 송신 집속하여 송신 집속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한다. The transmission delay unit 313 applies a delay tim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directionality to the pulse. Here, each pulse to which the delay time is applied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vibrators (not shown) included in the transducer 315 , respectively. Here, the piezoelectric vibrator is also called a piezo element.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delay unit 313 transmits and focuses the transmitted ultrasound to generate a pulse for generating the transmitted focused ultrasound signal.

펄서(314)는, 지연 시간이 적용된 각각의 펄스에 대응하는 타이밍(timing)으로, 트랜스듀서(315)에 구동 신호(또는, 구동 펄스(driving pulse))를 인가한다. The pulser 314 applies a driving signal (or a driving pulse) to the transducer 315 at a timing corresponding to each pulse to which a delay time is applied.

트랜스듀서(315)는 인가된 전기적 신호인 펄스에 따라 진동하며 음향 에너지인 초음파를 발생시켜 대상체로 송출한다. 그리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인 초음파 에코(echo) 신호를 수신한다. The transducer 315 vibrates according to a pulse, which is an applied electrical signal, and generates ultrasonic waves, which are acoustic energy, and transmits them to the object. Then, an ultrasound echo signal that is an ultrasound signal reflected from the object is received.

트랜스듀서(315)는 음향 렌즈(미도시), 압전 소자(미도시), 정합층(미도시) 및 흡음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ducer 315 may include an acoustic lens (not shown), a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a matching layer (not shown), and a sound absorbing layer (not shown).

압전 소자는 전기적인 신호와 음향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압전 효과 물질(piezoelectric effect element)로 형성된다. 여기서, 압전 효과 물질은 피에조 현상을 일으키는 압전 세라믹, 단결정, 상기 재료와 고분자를 복합한 복합 압전 물질 등일 수 있다. 압전 소자로 펄서(314)가 생성한 전기적인 신호인 펄스를 인가하면, 압전 소자 내에서 초음파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전 소자로 인가되는 펄스는 전압 신호로, 소정 전압값을 갖는다.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formed of a piezoelectric effect element that mutually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and an acoustic signal. Here, the piezoelectric effect material may be a piezoelectric ceramic that causes a piezoelectric effect, a single crystal, or a composite piezoelectric material in which the material and a polymer are combined. When a pulse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pulser 314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an ultrasonic signal may be generated within the piezoelectric element. Here, the puls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a voltage signal and has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정합층(미도시)은 압전 소자(미도시)의 전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압전 소자(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음향 임피던스를 단계적으로 변경시켜 초음파의 음향 임피던스를 대상체의 음향 임피던스와 가깝게 한다. 여기서, 압전 소자(미도시)의 전면은 초음파가 대상체로 인가되는 동안 압전 소자(미도시)의 면 중 대상체와 가장 가까운 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면은 전면의 반대편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정합층(미도시)은 음향 정합층(acoustic matching layer)이라고도 한다. A matching lay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Then, the acoustic impedanc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is changed stepwise so that the acoustic impedance of the ultrasonic wave is close to the acoustic impedance of the object. 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may mean a surface closest to the object among the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while ultrasonic waves are applied to the object, and the rear surface may mean a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The matching layer (not shown) is also referred to as an acoustic matching layer.

흡음층(미도시)은 압전 소자(미도시)의 후면에서 압전 소자(미도시)를 지지하며, 압전 소자(미도시)의 뒤쪽으로 송신되어 검사 또는 진단 등에 직접 사용되지 않는 초음파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음층(미도시)내에는 압전 소자(미도시)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복수 개의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ound absorbing layer (not shown) supports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from the rear sid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and can absorb ultrasonic waves that are transmitted to the back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and are not directly used for inspection or diagnosis have.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ound absorbing layer (not shown).

음향 렌즈(미도시)는 트랜스듀서(315)의 전면에 배치되며, 압전 소자(미도시)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집속시킨다. 음향 렌즈(미도시)는 대상체에 가까운 음향 임피던스를 가진 실리콘 고무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n acoustic lens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ducer 315, and focuse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not shown). The acoustic lens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having an acoustic impedance close to the object.

초음파 수신부(316)는 트랜스듀서(315)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 집속하여 수신 집속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수신부(316)는 트랜스듀서(315)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 집속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ultrasound receiver 316 receives and focuses the ultrasound echo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ducer 315 to generate the received focused ultrasound echo signal. Specifically, the ultrasound receiver 316 may receive and focus the ultrasound echo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ducer 315 to generate ultrasound data.

구체적으로, 초음파 수신부(316)는 증폭기(317), ADC(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Analog Digital converter)(318), 수신 지연부(319), 및 합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ltrasound receiver 316 may include an amplifier 317 ,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318 , a reception delay unit 319 , and a summation unit 321 .

구체적으로, 증폭기(317)는 초음파 에코 신호를 각 채널(channel) 마다 증폭하며, ADC(318)는 증폭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수신 지연부(319)는 수신 지향성(reception directionality)을 결정하기 위한 지연 시간을 디지털 변환된 초음파 에코 신호에 적용한다. 여기서, 채널은 트랜스듀서의 각 소자별 채널을 뜻한다. Specifically, the amplifier 317 amplifies the ultrasonic echo signal for each channel, and the ADC 318 analog-digitizes the amplified ultrasonic echo signal. The reception delay unit 319 applies a delay time for determining reception directionality to the digitally converted ultrasound echo signal. Here, the channel means a channel for each element of the transducer.

그리고, 합산부(321)는 수신 지연부(319)에 의해 처리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초음파 수신부(316)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증폭기(317)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트랜스듀서(315)의 초음파 에코 신호 수신 감도가 향상되거나 ADC(318)의 처리 비트(bit) 수가 향상되어, 수신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증폭할 필요가 없는 경우, 증폭기(317)는 생략될 수도 있다.Then, the summing unit 321 generates ultrasound data by add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s processed by the reception delay unit 319 . Meanwhile, the ultrasound receiver 316 may not include the amplifier 317 according to its implementation form. That is, when the ultrasonic echo signal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transducer 315 is improved or the number of processing bits of the ADC 318 is improved, and there is no need to amplify the received ultrasonic echo signal, the amplifier 317 may be omitted. may be

구체적으로, 음향 송수신 모듈(310)이 공급받는 제1 전원은 트랜스듀서(315)에서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가받는 전압에 대응되는 전원, 송신 집속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송신 빔포밍 전원, 및 수신 집속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수신 빔포밍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is power corresponding to a voltage applied to generate an ultrasound signal from the transducer 315, and an acoustic transmission beamforming power source for generating a focused transmission ultrasound signal. and at least one of an acoustic reception beamforming power source for generating a reception focused ultrasound echo signal.

구체적으로, 음향 송신 빔포밍 전원은 초음파 수신부(311)에서 요구되는 전원으로, 대상체로 송출되는 초음파 신호에 지연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송출되는 초음파 신호의 빔을 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원을 뜻한다. 그리고, 음향 수신 빔포밍 전원은 초음파 수신부(316)에서 요구되는 전원으로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의 동적 집속(dynamic focusing)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뜻한다. Specifically, the sound transmission beamforming power is power required by the ultrasound receiver 311, and refers to power required to focus the beam of the transmitted ultrasound signal by applying a delay time to the ultra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object. In addition, the acoustic reception beamforming power is power required by the ultrasound receiver 316 and refers to power required to adjust dynamic focusing of an ultrasound signal reflected from an object.

구체적으로, 트랜스듀서(315)가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인가받아야 하는 전압(이하, '트랜스듀서 공급 고전압')은 압전 소자로 인가되는 전압으로 +100V 및 -100V 전후의 고전압이 될 수 있다. 또한, 2D 또는 3D 무선 프로브의 경우, 수백 내지 수천개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수백 내지 수천 개 이상의 채널을 복수개의 단계에 걸쳐에 그룹핑(grouping)하고, 그룹핑된 수백 내지 수천개 이상의 채널을 단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ASIC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ASIC 회로가 초음파 수신부(311)에 포함되는 경우, 음향 송수신 모듈(310)에서 소비되는 전원은 ASIC 동작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0V 전후의 전압이 이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transducer 315 in order to generate an ultrasonic signal (hereinafter, 'transducer supply high voltage') is a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may be a high voltage around +100V and -100V.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2D or 3D wireless probe, since it may include hundreds to thousands of channels or more, grouping hundreds to thousands of channels over a plurality of steps, and grouping hundreds to thousands of channels An ASIC circuit for stepwise control may be used. When the ASIC circuit is included in the ultrasonic receiver 311 , the power consumed by the sound transceiver module 310 may further include an ASIC operating power, for example, a voltage of around +-40V may be used.

또한, 음향 송신 빔포밍 전원은 펄스 생성부(312), 송신 지연부(313), 및 펄서(314)의 동작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수신 빔포밍 전원은 증폭기(317), ADC(318), 수신 지연부(319), 및 합산부(321)의 동작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transmission beamforming power may include operation power of the pulse generator 312 , the transmission delay unit 313 , and the pulser 314 . In addition, the sound reception beamforming power source may include operating power of the amplifier 317 , the ADC 318 , the reception delay unit 319 , and the summing unit 321 .

따라서, 제1 전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송수신 모듈(310)의 동작에 있어서 필요한 전원들에 대응되는 전원이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power is a power corresponding to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ound transceiving module 310 as described above.

신호 처리 모듈(320)은 구동 제어부(325) 및 영상 처리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may include a driving control unit 325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326 .

구동 제어부(325)는 초음파 수신부(311)의 초음파 신호 생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체로 빔을 포커싱하기 위해서, 깊이 및 포컬 포인트(focal point) 등에 따라서 송출되는 초음파 신호의 지연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구동 제어부(325)는 이러한 지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펄서(314)에서 생성되는 펄스는 소정의 주파수 값을 가지는데, 이 경우 펄서(314)에 인가될 주파수 값에 대응되는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야 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325)는 전술한 샘플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325)는 지연 시간 설정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구동 전압을 공급받아야 한다. The driving controller 325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ultrasonic signal generating operation of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311 . Specifically, in order to focus a beam onto an object, a delay time of the transmitted ultrasound signal must be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a depth, a focal point, and the like. The driving controller 325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etting such a delay time. In addition, the pulse generated by the pulser 314 has a predetermined frequency value. In this case, a sampl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value to be applied to the pulser 314 must be generated. Accordingly, the driving controller 325 may generate the above-described sampling signal. Accordingly, the driving controller 325 needs to be supplied with a driving voltage requi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nd a sampling signal for setting a delay time.

영상 처리부(326)는 초음파 수신부(316)에서 전송되는 초음파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326)는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 데이터 변환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 데이터를 스캔 변환(scan conversion)하여 초음파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326 receives and processes ultra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ultrasound receiving unit 316 . Specifically, the image processing unit 326 may perform signal processing such as noise removal and data conversion using the ultrasound data, and may scan-convert the ultrasound data to generate an ultrasound image signal.

또한, 영상 처리부(326)는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을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326)는 초음파 수신부(316)에서 전송되는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A 모드(amplitude mode), B 모드(brightness mode), M 모드(motion mode), 및 도플러 모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lso, the image processing unit 326 may directly generate the displayed ultrasound image. Specifically, the image processing unit 326 generates an A-mode (amplitude mode), B-mode (brightness mode), M-mode (motion mode), and Doppler mode images by using the ultra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ultrasound receiver 316 . can do.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모듈(320)로 공급되는 제2 전원은 구동 제어부(325) 및 영상 처리부(326)가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원은, 펄스 생성부(312)에서 펄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및 초음파 데이터 및 초음파 데이터에 대응되는 초음파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원은 구동 제어부(325)가 지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필요한 전압, 펄서(314)로 공급되는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필요한 전압, 영상 처리부(326)가 초음파 데이터 처리 및 영상 처리를 하는데 필요한 구동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includes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driving control unit 325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26 . Specifically, the second pow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used to generate a pulse by the pulse generator 312 and a power used to generate at least one of ultrasound data and an ultras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ultrasound data. have. For example, the second power is a voltage required for the driving controller 325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delay time, a voltage required to generate a sampling signal supplied to the pulser 314 , and an ultrasonic wave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326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iving voltage required for data processing and image processing.

무선 통신 모듈(330)은 의료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330)은 근거리 통신 모듈(331), 유선 통신 모듈(332) 및 이동 통신 모듈(3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l devic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31 ,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332 ,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33 .

근거리 통신 모듈(331)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31 means a modul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ireless LAN, Wi-Fi, Bluetooth, Zigbee, Wi-Fi Direct (WFD), ultra wideband (UWB), infrared commun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유선 통신 모듈(332)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332 means a module for communication using an electrical signal or an optical signal, and in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air cable, a coaxial cable, an optical fiber cable, an Ethernet cable, etc. may be included.

이동 통신 모듈(33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33 transmits/receives a radio signal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무선 통신 모듈(330)은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의료 장치(미도시)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may transmit/receive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medical device (not shown)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d internally.

제3 전원은 무선 통신 모듈(33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으로, 의료 장치와 연결(link)되는데 이용되는 페어링(pairing) 전원, 및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 조절 회로의 작동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프로브(300)가 외부의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무선 프로브(300)와 의료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link)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무선 프로브(300)와 의료 장치가 동기되화되어서 소정 주기마다 계속적으로 통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3 전원은 무선 통신 모듈(330)과 의료 장치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인 페어링 전원,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전원,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신호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power is power requir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to operate, and is a pairing power used to be linked with a medical device, and a sensitivity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power source. In order for the wireless probe 300 to transmit/receive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medical device, the wireless probe 300 and the medical device should be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such a connection, the wireless probe 300 and the medical device must be synchronized to continuously communic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ly, the third power supply is pairing power, which is power required to mainta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and the medic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medical device is interconnected, power required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data, and power to adjust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may include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각각을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서,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40 controls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 Specifically,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 each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may be individually supplied or cut off. Specifically,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he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according to the event signal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

디스플레이 부(36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부(360)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의료 영상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60 displays a predetermined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40 .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360 includes a display panel (not shown), and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screen, a medical image screen, and the like on the display panel.

감지부(370)는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70)는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를 조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70)는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를 이용하여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지, 스캔 동작을 수행하고 있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70 may detect an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37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operates the wireless prob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37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performing a scan operation using the wireless probe or not.

알림부(380)는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사용자가 전원의 공급 상태 변경을 인식하도록 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림부(380)는 스피커, 램프, 진동자, 및 디스플레이 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changed, the notification unit 38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for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change in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unit 38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a lamp, a vibrator, and a display unit.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부(3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보고 소정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를 통하여 소정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390 may generate and output a user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command or data from a user. In addition, a predetermined command or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user may recognize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viewing the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60 , and may input predetermined commands or data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390 .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소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하드 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에 포함되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소정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390 may include a mouse, a keyboard, or an input device including hard keys for inputting predetermined data.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predetermined data or commands by manipulating at least one of a mouse, a keyboard, and other input devices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unit 390 .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는 터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는 디스플레이 부(36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과 결합되는 터치 패드(touch pa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소정 명령이 입력되면, 터치 패드에서 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3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340)는 감지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명령을 인식 및 실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390 may be formed of a touch pad. Specifically, the user interface unit 390 may include a touch pad (not shown) coupled to a display panel (not shown)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360 .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output on the display panel. Then, when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touch pad detects it and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40 . Then, the controller 340 may interpret the sensed information to recognize and execute a predetermined command input by the user.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가 터치 패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정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는 터치된 지점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40)는 감지된 위치에 표시된 메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명령을 인식하며, 인식된 요청 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390 is formed of a touch pad, when the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user interface unit 39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touched point. Then, the sens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40 . Then, the controller 340 may recognize the user's request o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enu displayed at the detected position, and may perform the recognized request or command.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대상체의 스캔 동작이 수행 중이면,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이 모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can operation of the object is being performed,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supply all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그리고, 제어부(340)는 대상체의 스캔 동작이 완료되면,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대상체의 스캔 동작이 완료되고 초음파 데이터의 처리 동작이 완료되지 않으면,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대상체의 스캔 동작 및 초음파 데이터의 처리 동작이 완료되면,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차단하고,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when the scan operation of the object is completed,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cut off the first power and supply at least one of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Specifically, when the scanning operation of the object is completed and the ultrasound data processing operation is not completed,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cut off the first power and supply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Then, when the scan operation of the object an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ultrasound data are completed,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cut off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and supply the third power.

또한, 제어부(340)는 제1 시간 동안 사용자의 무선 프로브(300) 조작이 없으면,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초음파 데이터 획득 및 처리에 필요한 시간으로, 무선 프로브(300)의 데이터 처리 속도 등의 제품 사양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간은 음향 송수신 모듈(310)에서 대상체의 스캔을 완료한 후, 신호 처리 모듈(320)에서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되는 초음파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 의료 장치로 송신할 데이터 생성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은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wireless probe 300 for the first time,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cut off the supply of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and supply the third power. Here, the first time is a time required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ultrasound data, an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product specifications such as a data processing speed of the wireless probe 300 . Specifically,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completes the scan of the object,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processes the ultrasound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object to generate data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medical device. You can set the time it takes to complete. Also, the first time may be set by the user.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300)를 조작하지 않은 이후에 제1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340)는 의료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페어링 전원을 포함하는 제3 전원만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전원의 공급은 차단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time elapses after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wireless probe 300 , the controller 340 supplies only the third power including the pairing power for connection with the medical device, and the first and The supply of the second power may be cut off.

또한, 제어부(340)는 제1 시간보다 큰 제2 시간 동안 사용자의 무선 프로브(300) 조작이 없으면,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의 공급을 모두 차단할 수 있다. 제2 시간은 무선 통신 모듈(330)에서 외부 의료 장치로 신호 처리 모듈(320)에서 생성된 초음파 데이터 또는 초음파 영상의 전송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시간은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의 공급을 모두 차단되면, 무선 프로브(300)는 대기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Also,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wireless probe 300 for a second time period greater than the first time period, the controller 340 may cut off all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The second time period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a time required to complete transmission of the ultrasound data or ultrasound image generated by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to the external medical device. In addition, the second time may be set by the user. When the supply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all cut off, the wireless probe 300 enters the standby state.

또한, 제어부(340)는 제2 시간 보다 큰 제3 시간 동안 사용자의 무선 프로브(300) 조작이 없으면, 무선 프로브(300)를 완전히 오프(Off)하여, 무선 프로브(300)의 대기 상태 유지를 위한 대기 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wireless probe 300 for a third time period greater than the second time period, the controller 340 completely turns off the wireless probe 300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ndby power for

또한,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를 완전히 오프(Off)하기 이전에, 현재 상태 및 무선 프로브(300)의 환경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가 다시 무선 프로브(300)를 온(On)하여 작동시킬 경우, 제어부(340)는 이전에 저장된 상태 및 환경 설정을 이용하여 재부팅(re-booting)을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프로브(300)가 완전히 오프(off)되어 대기 전원조차도 소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파워 오프(power off)' 라 하며, 무선 프로브(300)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것을 '파워 온(power on)'이라 한다. Also, before completely turning off the wireless probe 300 , the controller 340 may store the current state and environment settings of the wireless probe 300 . Accordingly, when the user turns on and operates the wireless probe 300 again, the controller 340 may reboot the wireless probe 300 using previously stored state and environment settings. Hereinafter, the process in which the wireless probe 300 is completely turned off so that it does not consume even standby power is referred to as 'power off', and the wireless probe 300 is powered off again in the power-off state to operate This is called 'power 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음향 송수신 모듈(210), 신호 처리 모듈(220), 및 무선 통신 모듈(230)로 공급되는 전압 각각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무선 프로브(300)의 현재 동작 상태에서 필요한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현재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불필요한 전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무선 프로브(3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 the voltage supplied to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2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20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0 . By selectively supplying or blocking each of them, only the power required i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may be selectively suppl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ut off unnecessary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probe 300 .

구체적으로,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는 감지부(37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부(37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제어부(340)는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의 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370 , and the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a third power supply state.

감지부(370)는 자이로 센서,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 등과 같은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70)의 동작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sensing unit 37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a posi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3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

또한,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레벨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350)에 충전된 전원량이 소정 한계값 이하로 감소하면, 제1 전원에 포함되는 전술한 고전압의 레벨을 소정 오프셋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350)에 충전된 전원량이 30%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제어부(340)는 트랜스듀서(315)에 공급될 고전압이 100V에서 70V로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원을 감소시켜 인가할 경우, 획득되는 초음파 신호의 신호값은 감소할 수 있으나, 초음파 스캔 동작의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340 may decrease or increase the power leve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power supply unit 350 decrease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level of the above-described high voltage included in the first power supply may be decreased by a predetermined offset.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power supply unit 350 is reduced to 30% or less,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he high voltage to be supplied to the transducer 315 to be reduced from 100V to 70V.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ower is reduced and applied, the signal value of the acquired ultrasound signal may decrease, but the duration time of the ultrasound scan operation may be increas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를 참조하면, 감지부(370)는 사용자(420)가 무선 프로브(410)를 접촉하여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센서(미도시) 및 압력 센서 등과 같은 터치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70)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감지부(370)는 사용자(420)가 무선 프로브(410)를 접촉되었을 때의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사용자가(420)가 무선 프로브(410)를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sensing unit 37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and a pressure that allows the user 420 to determine whether a scan operation is performed by contacting the wireless probe 410 .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not shown) such as a sensor may be included.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unit 37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the sensing unit 370 detects the user's body temperature when the user 420 touches the wireless probe 410 , and the user 42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operating the wireless probe 410 .

또한, 감지부(370)가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420)가 무선 프로브(410)를 터치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420)가 무선 프로브(410)를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unit 370 includes a touch sensor, when the user 420 touches the wireless probe 410 , it is detec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420 is operating the wireless probe 410 . can judge

도 4의 (b)를 참조하면, 감지부(370)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및 위치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중력 방향으로 힘을 받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위치 센서는 무선 프로브(410)의 위치를 감지한다. Referring to FIG. 4B , the sensing unit 37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not shown) and a position sensor (not shown). The gyro sensor detects whether the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position sens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probe 410 .

일반적으로, 무선 프로브(410)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무선 프로브(410)의 트랜스듀서(4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음향 렌즈(411)를 보호하기 위해서, 무선 프로브(410)를 트랜스듀서(411)를 위로 하여 거치대(430)에 걸어 놓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410)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스캔할 때에는 음향 렌즈(411)를 아래쪽으로 하여 무선 프로브(410)를 세워서 이용한다. 자이로 센서 또는 위치 센서는 무선 프로브(410)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렌즈(411)를 위쪽으로 하여 세워져 있는지, 음향 렌즈(411)를 아래로 하여 세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wireless probe 410 is not in use, the user transmits the wireless probe 410 in order to protect the acoustic lens 411 disposed outside the transducer 411 of the wireless probe 410 . It hangs on the cradle 430 with the ducer 411 facing up. In addition, when the user scans an object using the wireless probe 410 , the wireless probe 410 is erected and used with the acoustic lens 411 downward. The gyro sensor or the position sensor detects whether the wireless probe 410 is erected with the acoustic lens 411 upward, as shown in FIG. 4 (b), or the acoustic lens 411 is erected downward. can

자이로 센서 또는 위치 센서의 감지 결과, 무선 프로브(410)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렌즈(411)를 위쪽으로 하여 세워져 있거나 누워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410)를 조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프로브(410)가 음향 렌즈(411)를 아래쪽으로 하여 세워서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410)를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gyro sensor or the position sen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probe 410 is standing or lying with the acoustic lens 411 upward as shown in FIG. ) can be judged as not being manipulated.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probe 410 is standing with the acoustic lens 411 facing dow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operating the wireless probe 410 .

도 4의 (c)를 참조하면, 감지부(370)는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410)를 대상체(450)에 접촉시키고 이동시키면, 가속도 센서는 전술한 이동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410)를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무선 프로브(410)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지 못하면, 사용자가 무선 프로브(410)를 조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 the sensing unit 37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When the user brings the wireless probe 410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450 and moves it,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aforementioned movement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operating the wireless probe 410 . Also,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probe 41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operating the wireless probe 410 .

또한, 무선 프로브(410)는 감지부(37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여 스캔 동작을 수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상체를 스캔할 때, 대상체에 접촉되는 무선 프로브(410)의 음향 렌즈에 초음파 진단 용 겔(gel)을 도포하여 초음파 신호가 대상체로 보다 잘 송출되도록 한다. 이 때, 초음파 겔(gel)이 도포되어 있는 경우와 초음파 겔(gel)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 프로브(410)로 수신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의 형태가 달라진다. 따라서, 무선 프로브(410)의 제어부(34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시키고 그에 따라서 수신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의 형태를 관찰함으로써, 대상체의 스캔 동작을 수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wireless probe 410 may not include the sensing unit 370 , and may determine whether a scan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by periodically transmitting an ultrasound signal. In general, when scanning an object, a gel for ultrasound diagnosis is applied to the acoustic lens of the wireless probe 410 in contact with the object so that the ultrasound signal is better transmitted to the object.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ultrasonic ech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probe 410 is different between the case where the ultrasonic gel is applied and the case where the ultrasonic gel is not appli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probe 410 may determine whether the scan operation of the object is being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ultrasound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observing the shape of the received ultrasound echo signal accordingly.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37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무선 프로브(410)의 동작 상태, 구체적으로, 스캔 동작을 수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제어부(340)가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410, specifically, whether a scan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370, an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40 controls the power supply. can do.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감지부(37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무선 프로브(300)가 대상체를 스캔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probe 300 scans an objec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370 , the controller 340 controls to supply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can do.

구체적으로, 감지부(370)는 무선 프로브(300)가 대상체를 스캔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벤트 신호를 제1 이벤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프로브(300)가 대상체를 스캔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벤트 신호를 제2 이벤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벤트 신호와 제2 이벤트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 신호가 논리 하이 레벨의 신호 값을 가지면, 제2 이벤트 신호는 논리 로우 레벨의 신호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340)는 감지부(370)에서 출력되는 이벤트 신호의 신호 레벨에 근거하여, 무선 프로브(300)가 대상체를 스캔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probe 300 is scanning an object, the sensing unit 370 may output an event signal as a first event signal.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probe 300 is not scanning the object, the event signal may be output as the second event signal. Here, the first event signal and the second event signal may have different signal levels. For example, when the first event signal has a signal value of a logic high level, the second event signal may have a signal value of a logic low level. The controller 340 may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probe 300 scans the object based on the signal level of the event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or 370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알림부(380)는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사용자가 전원의 공급 상태 변경을 인식하도록 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changed, the notification unit 38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for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change in the supply state of the power.

도 5의 (a)를 참조하면, 무선 프로브(510)는 알림부(380)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통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the wireless probe 510 provides a notification sound indicating that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changed through the speaker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unit 380 . can be printed out.

예를 들어, 알림부(380)에 포함되는 스피커는 스캔 동작이 완료되어 음향 송수신 모듈(310)로 공급되었던 제1 전원이 차단된 경우, 1회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계속하여 스캔 동작 및 초음파 데이터 처리 동작이 모두 완료되어, 신호 처리 모듈(320)로 공급되었던 제2 전원이 차단된 경우, 2회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는 스캔 동작이 완료된 후, 제2 시간이 도과되었으면, 3회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3회의 알림음이 출력된 후, 무선 프로브(300)는 바로 OFF 상태로 변경되게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eaker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unit 380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once when the scan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is cut off, and the scanning operation continues and when the second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is cut off after the ultrasonic data processing operation is all completed, two notification sounds may be output. In addition, when the secon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can operation is completed, the speaker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three times. In addition, after three alarm sounds are output, the wireless probe 300 may be changed to an OFF state immediately.

또한, 알림부(380)에서 출력되는 알림음은 전원이 공급될 때와 전원이 차단될 때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음으로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ound output from the notification unit 380 may be output as a different sound by distinguishing between when power is supplied and when power is cut off.

도 5의 (b)를 참조하면, 무선 프로브(520)는 알림부(380)에 포함되는 진동자를 통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을 알리는 물리적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5 , the wireless probe 520 provides a physical vibration that notifies a change in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through the vibrator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unit 380 . can create

예를 들어, 진동자는 스캔 동작이 완료되어 음향 송수신 모듈(310)로 공급되었던 제1 전원이 차단된 경우, 1회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계속하여 스캔 동작 및 초음파 데이터 처리 동작이 모두 완료되어, 신호 처리 모듈(320)로 공급되었던 제2 전원이 차단된 경우, 2회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캔 동작이 완료된 후, 제2 시간이 도과되었으면, 3회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ibrator may generate one vibration when the scan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ceiver module 310 is cut off, and the scan operation and the ultrasonic data processing operation are all completed. , when the second power su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is cut off, two vibrations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if the secon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can operation is completed, three vibrations may be generated.

또한, 진동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와 전원 공급이 개시된 경우 서로 다른 진동 시간을 갖는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brator may generate vibrations having different vibration times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and when the power supply is started.

도 5의 (c)를 참조하면, 무선 프로브(530)는 알림부(380)에 포함되는 램프(531)를 통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을 알리려 점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C , the wireless probe 530 notifies that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changed through the lamp 531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unit 380 . It can be lit to inform.

예를 들어, 램프는 스캔 동작이 완료되어 음향 송수신 모듈(310)로 공급되었던 제1 전원이 차단된 경우, 1회 점등되며, 계속하여 스캔 동작 및 초음파 데이터 처리 동작이 모두 완료되어, 신호 처리 모듈(320)로 공급되었던 제2 전원이 차단된 경우, 2회 점등 될 수 있다. 또한, 스캔 동작이 완료된 후, 제2 시간이 도과되었으면, 3회 점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amp is turned on once when the scan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is cut off, and the scan operation and the ultrasonic data processing operation are all completed continuously, so that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When the second power supplied to 320 is cut off, it may be lit twice. In addition, if the secon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can operation is completed, the light may be lit three times.

또한, 램프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의 경우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lamp may be lit with different colors when power is supplied and disconnected.

도 5의 (d)를 참조하면, 무선 프로브(530)는 디스플레이 패널(541)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의 변경을 알리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d) of FIG. 5 , the wireless probe 530 changes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541 . A notification screen can be output.

전원 공급 상태 및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user interface screen for notifying the power supply state and the change of the power supply st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6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프로브(300)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부(36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부(360)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통하여 전원 공급 상태 및/또는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어부(34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90)에서 생성될 수 있다. The wireless probe 300 includes a display unit 360 by itself, and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informing of a change in the power supply state and/or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a display panel (not shown) of the display unit 360. can Here, the user interface screen may b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40 or the user interface unit 390 .

도 6의 (a)를 참조하면, 무선 프로브(610)는 도 3의 무선 프로브(300)에 동일 대응된다. 무선 프로브(610)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620)은 전원 공급 상태를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23)을 포함한다. 또한, 화면(620)은 트랜스듀서(611)에 의해서 스캔된 대상체를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6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영상(621)은 음향 송수신 모듈(310)에서 획득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이다. Referring to FIG. 6A , the wireless probe 610 corresponds to the wireless probe 300 of FIG. 3 . The screen 620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wireless probe 610 includes a user interface screen 623 indicating a power supply state. Also, the screen 620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und image 621 representing the object scanned by the transducer 611 . Here, the ultrasound image 621 is an image generated using ultrasound data acquired by the sound transceiving module 310 .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23)은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Also, when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changed, the user interface screen 623 may output a message notifying the change of the power supply state.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의료 장치(650)는 무선 프로브(3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의료 장치로, 무선 프로브(300)의 무선 통신 모듈(330)을 통하여 소정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 the medical device 650 is a medic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probe 3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of the wireless probe 300 . can be received

무선 프로브(300)의 제어부(340)는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의 공급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료 장치(6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료 장치(6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전원 공급 상태 및/또는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의료 장치(650)로 전송할 있다. 또한, 무선 프로브(300)는 소정 주기마다 전원의 공급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료 장치(6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프로브(300)는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전술한 전원 공급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의료 장치(65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40 of the wireless probe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including supply states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to the medical device 650 . Also, when the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changed, the controller 340 may transmit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 of the power supply state to the medical device 650 . Also, the controller 340 may generate a user interface screen informing of a change in the power supply state and/or a power supply state, and transmit the generated user interface screen to the medical device 650 . Also, the wireless probe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including a power supply state to the medical device 650 every predetermined period. Also, when a change in the power supply state occurs, the wireless probe 300 may upd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power supply state and transmit it to the medical device 650 .

그러면, 의료 장치(650)는 무선 프로브(300)에서 전송되는 전원 공급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을 포함하는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무선 프로브(300)의 전원 공급 상태 및/또는 전원 공급 상태의 변경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5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The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power supply stat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robe 300 ,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 in the power supply state, and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medical device 650 performs the wireless probe 300 . A user interface screen 651 informing of a change in the power supply state and/or the power supply state may be displayed.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프로브(300)의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의 공급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supply stat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of the wireless probe 300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700)은 무선 프로브(610) 및 의료 장치(65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10)을 포함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dicating a power state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the screen 700 is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probe 610 and the medical device 650 , and includes a user interface screen 710 .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프로브(610) 내의 각 구성인 음향 송수신 모듈(310), 신호 처리 모듈(320), 및 무선 통신 모듈(330)의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7 , the user interface screen 710 shows the power of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 which are each component in the wireless probe 610 , as shown. Indicates the supply status.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항목(720)에 체크 표시(722)가 되어 있으면, 대응되는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항목(720)에 체크 표시(722)가 되어 있지 않으면, 대응되는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 For example, if a check mark 722 is placed on the item 720 indicating the power supply state, it indicates that power is being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module. Also, if item 720 is not checked 722, it indicates that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module.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10)은 전원부(350)의 잔여 전원량을 나타내는 정보(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터리 량: 70%' 등과 같이 현재 남아있는 전원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so, the user interface screen 710 may include information (not shown) indicating the amount of power remaining in the power supply unit 350 . Although not shown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710 of FIG. 7 ,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current remaining power, such as 'battery amount: 70%', may be included.

또한, 도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10)은 음향 송수신 모듈(310), 신호 처리 모듈(320), 및 무선 통신 모듈(330) 각각의 전원 공급을 수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음향 송수신 모듈(310), 신호 처리 모듈(320), 및 무선 통신 모듈(330) 각각이 소비하고 있는 전원량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전원 소비가 많은 모듈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user interface screen 710 of FIG. 7 , the user interface screen 710 manually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 It may further include a menu for adjusting the . In additio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each of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ively c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module that currently consumes a lot of power.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800)은 무선 프로브(610) 및 의료 장치(65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10)을 포함한다. 8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indicating a power state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screen 800 is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probe 610 and the medical device 650 , and includes a user interface screen 810 .

도 8을 참조하면, 화면(800)은 음향 송수신 모듈(310)에 의해서 스캔된 대상체를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screen 800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und image 850 representing an object scanned by the sound transceiving module 310 .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10)은 음향 송수신 모듈(310)의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항목(820), 신호 처리 모듈(320)의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제2 항목(830) 및 무선 통신 모듈(330)의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제3 항목(84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user interface screen 810 includes a first item 820 indicating a power supply state of the sound transceiving module 310 and a second item 830 indicating a power supply state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 and a third item 840 indicating a power supply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

또한, 각 항목(예를 들어, 820)은 각 모듈 내에서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전원에 대한 서브 항목을 포함하여, 서브 항목에 대한 전원 공급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송수신 모듈(310)에서 필요한 전원으로는 'Tx Beamformer'로 표시된 송신 집속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송신 빔포밍 전원, 'PZT 인가 전원'으로 표시된 트랜스듀서의 압전 소자(PZT)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및 'Rx Beamformer'로 표시된 수신 집속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수신 빔포밍 전원 등이 있다. In addition, each item (eg, 820 ) may include a sub-item for at least one power required in each module to display the power supply status for the sub-item. For example, as the power required by the sound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310, the acoustic transmission beamforming power for generating a transmitted focused ultrasound signal indicated by 'Tx Beamformer',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PZT) of the transducer indicated by 'PZT applied power' ), and an acoustic reception beamform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reception focused ultrasound signal indicated by 'Rx Beamformer'.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항목(820)은 음향 송신 빔포밍 전원, PZT 인가 전원 및 음향 수신 빔포밍 전원 각각의 전원 공급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first item 820 may indicate a power supply state of each of the sound transmission beamforming power, the PZT applied power, and the sound reception beamforming power.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creen for sett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부(36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과 관련된 설정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은 제어부(340)가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는 기능인 '자동 On/Off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키(911)를 포함하는 항목(91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display unit 360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900 for setting related to the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40 . can do. Specifically, the user interface screen 900 is for setting whether to use the 'auto On/Off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for the control unit 340 to control the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An item 910 including a menu key 911 may be included.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은 소정 동안에 프로브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 프로브가 파워 오프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키(921)를 포함하는 항목(9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을 통하여 전술한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Also, the user interface screen 900 may include an item 920 including a menu key 921 for setting a time at which the probe is powered off when the probe is not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pecifically, the user may individually set at least one of the first time, the second time, and the third ti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900 .

또한,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가 파워 온 되었을 경우, 무선 프로브(300)의 조작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보안을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프로브(300)는 휴대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허용된 사람만이 무선 프로브(3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보안 설정을 해놓고, 설정된 보안 요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에 한하여 무선 프로브(3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허용 할 수 있다. Also, when the wireless probe 300 is powered on, the controller 340 may set securit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o allow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robe 300 . Specifically, the wireless probe 300 can be used and operated by anyone due to its portability. Accordingly, a security setting is made so that only an authorized person can operate the wireless probe 300 , and only a user who satisfies the set security requirements can be allowed to operate the wireless probe 300 .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가 파워 온 된 경우, 무선 프로브의 조작을 허용하기 위한 보안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wireless probe 300 is powered on,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o output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a security setting menu for allowing manipulation of the wireless probe.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가 파워 온 되었을 경우, 보안 설정 메뉴를 통하여 비밀 번호 등과 같은 텍스트 정보, 패턴, 및 지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입력된 텍스트 정보, 패턴, 및 지문 중 적어도 하나가 등록되어있는 텍스트 정보, 패턴, 및 지문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무선 프로브(3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무선 프로브(300)가 파워 온 되었을 경우, 보안 설정을 알리는 보안 설정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후속하여 얼굴 인식, 홍채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결과가 등록된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무선 프로브(3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wireless probe 300 is powered on, the controller 340 receives at least one of text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a pattern, and a fingerprint through the security setting menu, and receives the input text information, pattern,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ngerprints is the same as at least one of the registered text information, pattern, and fingerprint, an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gerprint is identical, the wireless probe 30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probe 300 is powered on, the controller 340 controls to output a security setting menu indicating security settings, and subsequently performs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such as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and the recognized resul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ireless probe 300 to operate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is the same as the registered information.

또한, 텍스트 정보, 패턴, 또는 지문을 이용하여 보안 설정을 하는 경우,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 부(360)를 통하여, 텍스트 정보, 패턴, 또는 지문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텍스트 정보, 패턴, 또는 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security setting is performed using text information, pattern, or fingerprint, the controller 340 output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text information, pattern, or fingerprint through the display unit 360, and outputs Text information, a pattern, or a fingerprint may be input through the displayed user interface screen.

또한, 얼굴 인식, 홍채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인식을 수행하여 보안 설정을 하는 경우, 무선 프로브(300)는 생체 정보 인식을 위한 생체 정보 인식 카메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40)는 생체 정보 인식 카메라(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된 인식 결과를 전송받고, 인식된 결과가 등록된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performing security settings by performing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such as face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the wireless probe 300 may further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camera (not shown) for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and the controller 340 ) may receive a recognition result input through a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camera (not shown), and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result is the same as the registered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은 전술한 보안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 키(931)를 포함하는 항목(930)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user interface screen 900 may include an item 930 including a menu key 931 for determining whether to set the aforementioned security.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0)은 무선 프로브(300) 내에 포함되는 각 구성의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항목(9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user interface screen 900 may further include an item 940 indicating a power supply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wireless probe 30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일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예를 들어, 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1000)을 도 3에 도시된 무선 프로브(30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technical concept of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Therefore, hereinafter,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wireless probe (eg, 30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will be omitted. Also, a method 1000 for controlling power of a wireless prob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wireless probe 300 illustrated in FIG. 3 .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1000)은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를 인식한다(1010 단계). 1010 단계의 동작은 감지부(37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70)에서 감지된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이벤트 신호에 근거하여,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The wireless probe power control method 1000 recogniz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step 1010). Operation 1010 may be performed by the sensing unit 370 . Specifically, the event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70 may be received. And, based on the input event signal,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may be recognized.

1010 단계에서 인식된 무선 프로브(300)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체를 스캔하는 음향 송수신 모듈(310)로 공급되는 제1 전원,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초음파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모듈(320)로 공급되는 제2 전원, 및 외부의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330)로 공급되는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1020 단계). 1020 단계는 제어부(3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probe 300 recognized in step 1010, the first power supplied to the sound transceiver module 310 for scanning the object by transmitting the ultrasound signal to the object and receiv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the ultrasound A second power supply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20 that generates a pulse for generating a signal and generates ultrasound data us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that transmits/receives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medical device ) control the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third power supplied to (step 1020). Step 102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340 .

또한, 1020 단계는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 각각을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Also, in step 1020, each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may be individually supplied or cut off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로브 및 그에 따른 무선 프로브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프로브(300)에서 소비 및 공급되는 전원을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으로 분류하여, 제1 전원, 제2 전원 및 제3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무선 프로브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선 프로브의 소비 전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wireless prob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wireless pro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ed and supplied by the wireless probe 300 is classified into a first power, a second power and a third power. ,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probe can be minimized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upply and cut-off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probe.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무선 프로브
120: 본체
130: 네트워크
200: 무선 프로브
210: 음향 송수신 모듈
220: 신호 처리 모듈
230: 무선 통신 모듈
240: 제어부
250: 전원부
110: radio probe
120: body
130: network
200: radio probe
210: sound transceiver module
220: signal processing module
23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control unit
250: power unit

Claims (21)

제1 전원을 이용하여,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음향 송수신 모듈;
제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모듈;
제3 전원을 이용하여,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 및
디스플레이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가 스캔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n acoustic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n ultrasound signal to an object using a first power source and receive an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to scan the object;
a signal processing module that generates a pulse for generating the ultrasound signal using a second power source and generates ultrasound data us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the medical device by using a third power sourc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or cut of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completes a scan operation, the first power is turned off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su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가 스캔 동작을 수행 중이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o supply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when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is performing a scan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o supply the third power and cut off the supply of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device is not detected for a first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의 공급을 모두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o cut off all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is not detected for a second time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를 조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user operates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송수신 모듈은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듀서;
상기 트랜스듀서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초음파 생성부; 및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 집속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transceiver module
at least one transducer generating the ultrasonic signal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an ultrasonic generator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ransducer; and
and an ultrasound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d focus the ultrasound echo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duc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은
상기 소정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송신 집속된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송신 빔포밍 전원, 및 수신 집속된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향 수신 빔포밍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펄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및 상기 초음파 데이터 및 상기 초음파 데이터에 대응되는 초음파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원은
상기 의료 장치와 연결(link)되는데 이용되는 페어링 전원, 및 상기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is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redetermined voltage, an acoustic transmission beamform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the transmitted focused ultrasound signal, and an acoustic reception beamform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the received and focused ultrasound echo signal,
The second power supply is
at least one of a power used to generate the pulse and a power used to process at least one of the ultrasound data and an ultras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ultrasound data
The third power is
and at least one of a pairing power used to be linked with the medical device and a power used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a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의료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generating information indicating a supply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and controll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indicating supply states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제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setting supply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초음파 데이터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초음파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ultrasound image from the ultrasound data,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ultrasound image,
Portable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commands or data;
Portable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user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a command or data input,
Portable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을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and a battery configured to charge a power source and supply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using the charged power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에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ireless power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is supplied using the received wireless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Portable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안 설정에 관련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based on an input related to a security setting;
Portable ultrasound diagnostic device.
제1 전원을 이용하여, 대상체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단계;
제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초음파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3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의료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서,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
전원부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가 스캔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1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transmitting an ultrasound signal to an object using a first power source and receiving an ultrasound echo signal from the object to scan the object;
generating a pulse for generating the ultrasound signal using a second power source and generating ultrasound data using the ultrasound echo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to and from the medic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third power source;
controlling, by a controller, suppl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supplying or block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and the third power source by a power suppl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ultrasound image; and
and turning off the first power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to be supplied when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device completes a scan opera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가 스캔 동작을 수행 중이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controlling to supply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when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is performing a scan operation.
제18항에 있어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2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3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controlling to supply the third power and cut off the supply of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is not detected for a first time. control method.
제18항에 있어서,
제2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 조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상기 제2 전원 및 상기 제3 전원의 공급을 모두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controlling to cut off all of the first power, the second power, and the third power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portabl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is not detected for a second time. .
KR1020210025929A 2014-02-28 2021-02-25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KR1022647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29A KR102264756B1 (en) 2014-02-28 2021-02-25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657A KR102223164B1 (en) 2014-02-28 2014-02-28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KR1020210025929A KR102264756B1 (en) 2014-02-28 2021-02-25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657A Division KR102223164B1 (en) 2014-02-28 2014-02-28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322A KR20210027322A (en) 2021-03-10
KR102264756B1 true KR102264756B1 (en) 2021-06-14

Family

ID=7514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929A KR102264756B1 (en) 2014-02-28 2021-02-25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75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812A (en) 2002-11-12 2004-06-10 Aloka Co Ltd Power source management system of ultrasonograph
US20080112265A1 (en) 2006-11-10 2008-05-15 Penrith Corporation Transducer array imaging system
WO2009065167A1 (en) 2007-11-19 2009-05-28 Signostics Pty Ltd Low power medical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00277305A1 (en) * 2007-06-01 2010-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Ultrasound Probe Asset Tracking
US20130053697A1 (en) * 2011-08-22 2013-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sound imaging system, ultrasound probe,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JP2013153848A (en) 2012-01-27 2013-08-15 Toshiba Corp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2014132933A (en) 2013-01-08 2014-07-24 Toshiba Corp Medical image cap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812A (en) 2002-11-12 2004-06-10 Aloka Co Ltd Power source management system of ultrasonograph
US20080112265A1 (en) 2006-11-10 2008-05-15 Penrith Corporation Transducer array imaging system
US20100277305A1 (en) * 2007-06-01 2010-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Ultrasound Probe Asset Tracking
WO2009065167A1 (en) 2007-11-19 2009-05-28 Signostics Pty Ltd Low power medical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053697A1 (en) * 2011-08-22 2013-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sound imaging system, ultrasound probe,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JP2013153848A (en) 2012-01-27 2013-08-15 Toshiba Corp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2014132933A (en) 2013-01-08 2014-07-24 Toshiba Corp Medical image cap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322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164B1 (en)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US10631834B2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necting method performed in the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RU2502470C2 (en) Light-weight wireless ultrasonic sensor
KR102532286B1 (en) Wireless probe,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6465835B2 (en) Medical diagnostic imaging Ultrasonic probe Battery pack Communication equipment
US10052084B2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50032004A1 (en) Ultrasonic prob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87776B1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US20150327839A1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EP3912561B1 (en) Ultrason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ltrasonic system
KR20100057341A (en) Ultrasound system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KR102646992B1 (en) A ultrasound probe, a control method of the ultrasound probe and a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ultrasound probe
KR102243037B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62210B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ultrasonic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2011067544A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ode switching method
KR102337980B1 (en) Wireless prob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robe and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KR102264756B1 (en) Wireless probe and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an wireless probe
WO20170108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ultrasonic image
US11730449B2 (en) Ultrasonic diagnostic system
EP3167807B1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of improving power efficiency of such a device
KR102161880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of ultrasonic image, and method for detecting size of biological tissue using thereof
KR102180465B1 (en) Supporting device of ultrasound probe, Handfree ultrasound prob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Handfree ultrasound probe
CN107847222A (en) Ultrasonography generates system and ultrasonic wireless detector
KR20180111162A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operating in low power mode and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KR102107730B1 (en) Transducer with controllable focal l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