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444B1 -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444B1
KR102264444B1 KR1020140117859A KR20140117859A KR102264444B1 KR 102264444 B1 KR102264444 B1 KR 102264444B1 KR 1020140117859 A KR1020140117859 A KR 1020140117859A KR 20140117859 A KR20140117859 A KR 20140117859A KR 102264444 B1 KR102264444 B1 KR 10226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cover
electronic devic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823A (ko
Inventor
전용준
김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444B1/ko
Priority to US14/842,008 priority patent/US9989994B2/en
Publication of KR2016002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커버 장치에 의해 화면이 덮인 상태가 되면, 상기 화면에서 상기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커버 영역을 활성하고,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세서리(예:커버)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또는 태블릿(Tablet) 등의 전자 장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이다. 또한 전자 장치에 연결 가능한 액세서리 장치의 개발 및 이용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장치로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전자 펜,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커버(예: 플립 커버, 슬라이딩 커버, 폴더 커버 등)가 있다.
투영부가 있는 커버와 전자 장치가 결합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전체 화면에서 커버의 화면 투영부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통해 대기 화면이 표시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이나 호버링 입력과 같은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커버(예: 플립커버) 와 같은 액세서리 장치의 투영부는 전체 화면 중에서 일부 영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한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일부 영역의 작은 크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일부 영역을 통해 전자 장치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커버를 열고 전자 장치의 화면에 직접 입력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플립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 장치에 의해 화면이 덮인 상태가 되면, 상기 화면에서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커버 영역을 활성하는 동작과,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과, 전자 장치의 커버 장치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화면이 덮인 상태가 되면, 상기 화면에서 상기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커버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전자 장치가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도1a와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플립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활성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을 나타낸 도면,
도8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15는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을 나타낸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17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표시 장치가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액자, 전자 앨범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커버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장치일 것이다. 커버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자 장치의 표시 장치,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에 대한 가시성이 확보되는 화면 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장치는 외부적 형태 또는 전자 장치와의 결합 방식에 따라 플립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딩 타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커버 장치와 결합되고, 커버 장치에 의해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이 덮임 상태가 되면, 전자 장치는 커버 장치의 화면 투영부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개방 영역에는 정보 또는 다양한 객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의 커버 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에 따른 결과 화면을 개방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커버 장치가 결합된 전자 장치의 사시도를 도1a 및 도1b에 도시하였다. 도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결합된 플립 타입의 커버 장치(300)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립 타입의 커버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에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0) 을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1a 및1b를 참조하면, 커버 장치(300)는 상측에 화면 투영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화면 투영부(310)는 투명 부재로 형성되거나, 뚫려있는 부분일 수 있으며, 하부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0)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 투영부(310)는 전자 장치(100)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 장치(3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장치(300)는 폴더 타입 또는 슬라이딩 타입이 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100)의 외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메뉴 전환키(191-4)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키(161a)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DMB 안테나(141a)는 전자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도3에 나타내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스크린(190)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모듈(150)은 촬영을 위해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쉬(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쿼드 코어 또는 옥타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펜 등의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168)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190)상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장치(168)의 제스처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터치스크린(190)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과, 호버링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펜 등의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168)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객체에 근접함에 따른 호버링이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호버링이 발생한 위치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입력 장치까지의 높이와, 높이에 따른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호버링 입력은 입력 장치에 형성된 버튼 눌림, 입력 장치에 대한 두드림, 입력 장치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객체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통신 모듈(130), 무선랜 모듈(13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제어부(110)는 진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송,수신부라 칭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축소하지 않는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전자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장치(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스크린(190) 상의 커서 움직임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소리와 블루투스를 통해 입력 장치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전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는 입력 장치(168)의 진동 소자(520)의 활성화에 따른 소리, 진동 세기에 대응하여 크기가 달라지는 소리, 및 진동 소자(520)의 비활성화에 따른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리는 입력 장치(168)의 진동 소자(520)의 진동 세기에 따라 볼륨이 제어되거나 또는 진동 소자(520)의 활성과 동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10ms) 이전/이후의 간격으로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163) 및/또는 입력 장치(168)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소리는 진동 소자(520)의 비활성과 동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10ms) 이전/이후의 간격으로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65)는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전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고, 입력 장치(168)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출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68)가 삽입되는 전자 장치(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입력 장치(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제어부(110)로 입력 장치(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입력 장치(168)가 삽입되는 일 영역에 마련되어,입력 장치(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입력 장치(168)와의 직간접적으로 접촉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168)의 장착이나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전자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7),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간편 기능 실행 모드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수행 기능이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간편 기능 실행 모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와 결합하여, 전자 장치(200)의 터치스크린(190)이 덮인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모드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에 하나로 사용자 입력은 각종 사용자 제스처 또는 다양한 입력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간편 기능 실행 모드에서 수행 기능은 사용자 입력 및 애플리케이션의 조합에 맵핑될 수 도 있다. 즉,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라 할지라도,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간편 기능 실행 모드에서 수행 기능은 사용자 입력과, 커버 영역의 서브 영역에 맵핑될 수도 있다. 서브 영역은 커버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분할된 각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라 할지라도, 서브 영역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서브 영역이라 할지라도,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행 기능은 사용자 입력, 서브 영역 및 애플리케이션의 조합에 맵핑될 수도 있다.
또한 수행 기능은 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의 조합에 맵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호버링 입력과 터치 입력의 조합에 수행 기능을 맵핑될 수 있다.
그리고 수행 기능은 사용자 입력 및 정해진 센서의 센서값의 조합에 맵핑될 수도 있다.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명령들을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card), 페이퍼 테이프(paper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ㅅ 있다. 또한, 전 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터치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해당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각각의 터치스크린별로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터치스크린은 힌지의 연결을 통한 복수의 하우징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터치스크린들이 힌지 연결 없이 하나의 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하나의 터치스크린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 전자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전자펜과 같은 펜을 통해서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191)을 포함하며, 이러한 펜 인식 패널(191)은 펜과 터치스크린(190)간의 거리를 자기장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와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 접촉하지 않고 검출 가능한 간격(예: 5mm 내외))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와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과,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을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터치 입력과 호버링 입력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입력이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는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터치스크린(190)은 손가락 또는 입력 장치(168)를 통한 입력을 유도 기전력의 변화를 통해 감지하는 패널과, 터치스크린(190)에 손가락 또는 입력 장치(168)를 통한 접촉을 감지하는 패널이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일부 이격되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90)은 다수의 픽셀들을 구비하고,픽셀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90)은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또는 LED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표면에 손가락 또는 입력 장치(168)가 닿거나, 터치스크린(190)의 일정 거리에 놓이게 되면, 놓인 위치를 파악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센서들 각각은 코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들로 형성되는 센서층은 각각의 센서들이 기 설정된 패턴들을 가지며, 복수의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터치스크린(190)은 손가락 또는 입력 장치(168)를 통해 터치스크린(190)에 접촉 또는 호버링 입력이 발생되면, 센서층과 입력 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에 기인하여 파형이 변경된 감지 신호가 발생되는데, 터치스크린(190)은 발생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168)와 터치스크린(190)간의 일정 거리는 코일(43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세기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진동 세기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입력이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90)은 표시 패널(440), 제1 터치 패널(450), 제2 터치 패널(46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440)은 LCD, AMOLED 등과 같은 패널이 될 수 있으며, 휴대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과,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450)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서,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산화 인듐주석)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된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터치 패널(450)의 표면에 입력 장치(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가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터치된 위치로 이동하고, 제1 터치 패널(450)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제1 터치 패널(450)을 통해서는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입력 장치인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의 감지가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460)은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 터치 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터치 패널(460)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입력 장치(168)가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입력 장치(168)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류를 기초로 하여, 입력 장치(168)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미도시)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제2 터치 패널(460)은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입력 장치(168)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그리고 휴대 장치(100)는 표시 패널(440)로부터 입력 장치(168)의 펜촉(430)까지의 높이(h)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90)의 표시 패널(440)에서 펜촉(430)까지의 높이(h)는 휴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널(460)을 통해서는 전자기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이라면 호버링 입력 및 터치 입력의 감지가 가능하며, 제2 터치 패널(460)은 입력 장치(168)에 의한 호버링 입력 또는 터치 입력 감지 전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장치(168)는 전자기 펜 또는 EMR 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68)는제1 터치 패널(450)을 통해 감지되는 공진회로가 포함되지 아니한 일반적인 펜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68)는 펜촉(430)에 인접된 영역의 펜대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와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제1 터치 패널(450)로부터 손 또는 펜 터치 입력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컨대 X, Y, Z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제2 터치 패널(460)로부터 입력 장치(168)의 호버링 입력 또는 터치 입력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로부터 각각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440), 제1 터치 패널(450), 제2 터치 패널(46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손가락이나 펜, 또는 입력 장치(168) 등의 호버링 입력 또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440)에 미리 정해진 형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100)에 의하면제1 터치 패널(45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제2 터치 패널(460)은 입력 장치(168)에 의한 호버링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 입력과, 입력 장치(168)에 의한 호버링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 장치(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동작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동작5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커버 덮임 상태를 검출하면, 간편 기능 실행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커버 덮임 상태는 전자 장치(100)에 커버 장치(300)가 결합되어, 커버 장치(300)에 의해 전자 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0)이 덮인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동작503에서, 커버 장치(300)의 화면 투영부(310)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190)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동작507에서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동작 509에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커버 영역은 터치스크린(190)에서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커버 장치(300)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상에서 다양한 사용자 제스처 또는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 장치(168)를 이용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할 수도 있고,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동작511에서 커버 영역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기호, 문자, 메모 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패턴 또는 제스쳐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동작513에서 제어부(110)는 검출된 사용자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기능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활성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의 상태 360과 같이, 전자 장치(100)에 커버 장치(300)가 결합되어, 커버 장치(300)에 의해 전자 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0)이 덮인 상태가 되면, 근접 센서(170b)의 센서 값이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도5의 501단계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커버 덮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홀센서(미도시) 또는 지자계센서(미도시)의 센서값이 제어부(110)에 전달되어, 도5의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커버 덮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간편 기능 실행 모드를 설정하고, 503단계에서 터치스크린의 개방 영역(210)을 활성화한다. 개방 영역(210)은 커버 장치(300)의 화면 투영부(310)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개방 영역(210)을 활성함에 따라, 개방 영역(210)에 현 시점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기능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대기 상태라면, 개방 영역(210)에는 시간 정보, 날짜 정보, 날씨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100)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중이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방 영역(210)이 활성되면, 전자 장치(100)는 개방 영역(210)을 통해,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6에서, 상태360은, 대기 상태에 따른 대기 화면이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개방 영역(210)에는 시간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영역(220)에 대한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는 활성 아이콘(231)이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커버 영역(220)은 터치스크린(190)에서 개방 영역(2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커버 장치(300)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의 실시예에서 커버 영역(220)은 개방 영역(210)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커버 영역(220)이 활성화 되더라도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커버 장치(300)의 표면을 터치하거나, 커버 장치(300)의 표면 위쪽에서 호버링 입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커버 영역(220)이 활성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활성 아이콘(23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제스처가 입력됨에 따라,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활성화 이벤트는 커버 영역(220)의 활성을 야기하는 이벤트로서, 활성 아이콘(231)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특정 버튼(161d) 이 입력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또는, 활성화 이벤트는 통화호의 착,발신,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또는 활성화 이벤트는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기호, 문자, 메모인 경우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및 실행 화면의 예를 도7 도8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동작 601에서 커버 덮임 상태가 검출되면, 동작 603에서 간편 기능 실행 모드를 설정하고 터치스크린(190)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 또는 통화 호 착발신 또는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동작 605에서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동작 607에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을 활성할 수 있다.
커버 영역(220)이 활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입력 장치(168)를 이용해 커버 영역(220)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버 영역(220)에 특정 기호를 그릴수도 있고, 특정 문자나 숫자를 쓸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호, 문자, 메모로 구분할 수 있다. 기호는 각종 도형이나 지표 같은 심벌을 나타내는 입력 패턴이다. 문자는 각종 언어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나타내는 입력 패턴이다. 메모는 복수의 문자들이 조합되어 메모로 처리될 수 있는 입력 패턴이다.
사용자가 커버 영역(200)을 통해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동작 609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것을 검출하고,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기호인 경우, 동작611에서 제어부(110)는 검출된 기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이 문자인 경우, 제어부(110)는 동작 613단계에서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609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이 메모인 경우, 제어부(110)는 동작 615에서 메모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
도8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커버 영역이 활성되기 전에 전자 장치(100)의 개방 영역이 대기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8은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이 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화살표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상태650과 같이, 사용자는 커버 영역(220)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기호 인 것으로 결정하고, 기호 에 대응하는 기능, 즉, 오른쪽 방향 화살표에 대응하여 등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8의 예에서 오른쪽 방향 화살표에 대응하는 기능은 날씨 정보 표시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8의 상태655와 같이, 오늘의 날씨 정보가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다른 방향의 화살표, 예를 들어 왼쪽 방향 화살표, 상방향 화살표, 하방향 화살표 각각에 다른 기능이 등록될 수 도 있다.
도9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이 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도형을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의 상태660과 같이, 사용자는 커버 영역(220)에 별을 그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기호 패턴인 것으로 결정하고, 기호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 즉, 별에 대응하여 등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9의 예에서 별에 대응하는 기능은 연락처 리스트 중에서 즐겨 찾는 사용자로 체크된 사용자 리스트의 제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9의 상태665와 같이, 즐겨 찾는 사용자 리스트가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위에서 아래 방향, 또는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한다면,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즐겨 찾는 사용자 리스트의 드래그 결과가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도10은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이 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직선을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도10의 상태670과 같이, 사용자는 커버 영역(220)에 세 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터치하여, 세 개의 직선을 그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기호 인 것으로 결정하고, 기호 에 대응하는 기능, 즉, 동시에 입력되는 세 개의 직선에 대응하여 등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10의 예에서 세 개의 직선에 대응하는 기능은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자주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의 제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10의 상태675와 같이, 자주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개방 영역(210)에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커버 영역(220)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두 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터치하여, 두 개의 직선을 위에서 아래로 그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기호인 것으로 결정하고, 동시에 입력되는 두 개의 직선에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진동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아래서 위로 두 개의 직선을 그린다면, 제어부(110)가 진동 모드를 해제하도록 설정할 수 도 있다.
도8 내지 도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기호 패턴 및 수행 기능이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모 모양의 기호 검출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NFC 모듈이 on 또는 off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통화 호가 착신되어, 개방 영역(210)에는 호 착신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X를 입력하면, 전화 수신 거부가 실행될 수도 있다.
도11은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이 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예를 들어, 도11의 상태680과 같이, 사용자는 커버 영역(220)에 영문자 S를 쓸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문자인 것으로 결정하고, 문자 에 대응하는 기능, 즉, 영문자 S에 대응하여 등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11의 예에서 영문자 S에 대응하는 기능은 전자 장치(200) 저장된 연락처 리스트 중에서 영문자 S로 시작하는 사용자 이름으로 등록된 연락처 리스트의 제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11의 상태685와 같이, 영문자 S로 시작되는 사용자 이름으로 등록된 연락처 리스트가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개방 영역(210)에서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의 한 항목을 터치하거나, 커버 영역(220)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하여, 해당 사용자로의 호 발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12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이 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도12의 상태690과 같이, 사용자는 커버 영역(220)에 숫자 3을 쓸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문자인 것으로 결정하고,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 즉, 숫자 3에 대응하여 등록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12의 예에서 숫자에 대응하는 기능은 단축 번호 발신 기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12의 상태695와 같이, 숫자 3에 등록된 사용자 연락처로 발신하고, 발신 안내 정보가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도13은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이 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메모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의 상태710과 같이, 사용자는 커버 영역(220)에 복수의 문자를 쓸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메모 인 것으로 결정하고, 입력된 문자열을 상태720과 같이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들은 상태720과 같이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위에 오버랩 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입력된 문자들을 OCR 기능을 이용해 텍스트로 전환하고, 전환된 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없다면 문자열을 메모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열이 “음악 재생”이고, “음악 재생”이라는 문자열에 음악 재생 기능이 등록되어 있다면,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할 것이다. 하지만, 분석된 문자열에 특정 기능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문자열은 도13의 상태730과 같이 메모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로, 문자열이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메모의 문자열들은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커버 장치(300)와 결합하여, 커버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0)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간편 기능 실행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14의 예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연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14를 참조하면, 상태 760은 통화 연결에 따라 개방 영역(210)에 통화 연결된 상대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중에 일정 확인이 필요할 때, 사용자는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의 오늘 일정 확인 기능에 맵핑된 체크 기호를 커버 영역(220)에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체크 기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됨에 따라, 스케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태765와 같이 개방 영역(710)에 오늘 일정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통화 상대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때, 이전 화면 기능에 맵핑된 사용자 제스처를 커버 영역(22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전 화면 기능에 맵핑된 사용자 입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그리는 직선으로 가정한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그리는 직선이 커버 영역(220)에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태775와 같이 개방 영역(210)에 통화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늘 일정 리스트가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각 일정 항목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해당 일정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커버 영역(220)에 입력할 수 있다. 도14의 예에서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동시에 그어지는 두 개의 직선이 상세 정보 확인 기능에 맵핑된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커버 영역(220)에 두 개의 손가락으로 직선을 그렸을 때, 제어부(110)는 두 개의 직선이 동시에 입력됨에 따라, 스케줄 애플리케이션과 동시에 입력되는 두 개의 직선에 조합에 대응되는 스케줄 상세 정보 기능을 실행하고, 상태 785와 같이 일정 항목의 상세 정보를 개방 영역(21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제어부(11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의 커버 영역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와 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영역(220)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브 영역과 특정 사용자 제스처를 조합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 영역(220)을 구성하는 서브 영역들은 개별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활성화 이벤트 발생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활성화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를 도15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브 영역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브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동작 801에서 커버 덮임 상태가 검출되면, 동작 803에서 간편 기능 실행 모드를 설정하고 터치스크린(190)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한다. 이후,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 또는 통화 호 착,발신 또는 메시지 송,수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같은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동작 805에서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동작 807에서, 서브 영역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브 영역 모드는 커버 영역(220)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영역을 개별적으로 활성 또는 이용하는 동작이다. 이러한 서브 영역 모드는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어떤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 요인에 따라 서브 영역 모드의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서브 영역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면, 제어부(110)는 동작 809으로 진행하여, 커버 영역(220) 전체를 영역 구분 없이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811에서 사용자 제스처 입력이 확인되면 동작 813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동작 815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검출된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807에서, 서브 영역 모드 설정을 결정한다면, 제어부(110)는 동작 817으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로,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일부 서브 영역만이 활성화 될 수도 있고, 모든 서브 영역이 활성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에 하나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활성화된 후에, 동작 819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동작 821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위치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이 활성화된 서브 영역에서 발생하였다면, 동작 823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된 서브 영역과 사용자 입력의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서브 영역 A와 서브 영역 B가 동작817에서 활성되고, 사용자 제스처 A가 서브 영역 B에서 발생하였다면, 서브 영역 B와 사용자 제스처 A의 조합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제스처 A가 서브 영역 A에서 발생하였다면, 서브 영역 A와 사용자 제스처 A의 조합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도1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동작 823에서 서브 영역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 후에, 실행된 기능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110)는 비활성 서브 영역을 활성화 하거나, 활성화된 서브 영역을 비활성하고, 동작 819 내지 동작 823를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에 하나로, 도16과 같이, 개방 영역(210)만 활성화된 상태 850에서, 전자 장치(100)가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메시지 수신에 따른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한다. 그리고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태855에서 서브 영역 모드가 설정되어, 커버 영역(2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 즉, 제1서브 영역(230)이 활성화 되고, 개방 영역(210)에는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16의 실시 예에서는 커버 영역(220)은 4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고, 메시지 수신에 따라 제1서브 영역(230)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표시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는 제1서브 영역(230)에서의 체크 기호 입력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수신에 따라 4개의 서브 영역 모두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커버 영역(220)의 적정한 위치에서 미리 약속된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제1서브 영역(230)에 체크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만약, 제1서브 영역(230)이 아닌 커버 영역(220)의 다른 부분에 체크 기호가 입력된다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은 개방 영역(21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16의 실시 예에서, 상태860과 같이, 사용자가 제1서브 영역(230)에 체크 기호를 입력한다면, 제어부(110)는 제1서브 영역(230)에서 체크 기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었음을 검출하게 되고, 상태865와 같이, 개방 영역(210)에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메시지 내용 표시 기능을 실행함에 따라, 제1서브 영역(230)은 비활성화하고, 제2서브 영역(240)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서브 영역(230)에 적정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해야 적정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기능, 예를 들어, 메시지 삭제와 같은 기능에 대한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영역(220)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영역 마다 사용자 제스처를 매칭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영역(200)의 서브 영역 개수, 위치, 각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 및 수행 기능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다.
이를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7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동작901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커버 영역 매니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커버 영역 매니저 애플리케이션은 커버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의 개수, 위치, 각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 및 수행 기능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90)에 커버 영역이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생성하고자 하는 서브 영역의 개수와 위치 형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브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n 분할할 수도 있고, 세로 방향으로 n분할할 수도 있고, 격자 모양으로 n분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 903에서 제어부(110)는 커버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원하는 사용자 입력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할된 서브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 영역에 원하는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고, 완료 명령을 입력한다면, 90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선택된 서브 영역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원하는 수행 기능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할된 서브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서브 영역에 등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서브 영역에 등록된 사용자 입력이 있다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리스트 중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907에서 제어부(110)는 각 서브 영역 및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는 수행 기능을 등록할 수 있고, 동작 909에서 서브 영역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버 영역을 서브 영역A, 서브 영역B, 서브 영역C로 분할하고, 서브 영역 B에 별 모양의 사용자 제스처를 등록하고, 잠금 해제 기능을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서브 영역 B를 활성하고, 서브 영역B에 별 모양의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전자 장치(100)의 커버 영역(220)을 이용한 다른 기능 수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서브 영역, 사용자 제스처, 수행 기능 등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영역(220)에서의 사용자 입력 검출시 오동작을 감소 시킬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18은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동작1001에서 커버 덮임 상태가 검출되면, 동작1003에서 간편 기능 실행 모드를 설정하고 터치스크린(190)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 또는 통화 호 착발신 또는 메시지 송수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같은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동작 1005에서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1007에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을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1009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동작1011에서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90)을 전자 펜으로 최초 터치한 이후에, 터치를 유지하면, 그에 따라 계속해서 사용자의 입력이 검출될 수 있다. 하지만 터치스크린(190)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이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동작 1009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은 유효하지 않은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사용자 의도와 상관 없이 어떤 오브젝트가 스침에 따라 사용자 입력이 감지될 수도 있고, 이러한 입력은 무효한 입력으로 처리되는 것이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때문에, 동작 1009에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후에, 미리 저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재발생되지 않는 다면, 동작 1009단계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은 무시될 수 있다. 이렇게,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을 확인하는 것은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
도18의 동작1011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다면, 제어부(110)는 동작 1013에서 진행하여 사용자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만약,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다면, 제어부(110)는 동작 1015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패턴이 검출되면, 제어부(110)는 동작 1017에서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입력의 타입 조합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기능이 실행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타입은 터치 입력과 호버링 입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9에서는 호버링 입력과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가 제1사용자 입력이고, 나머지 하나가 제2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동작 1101에서 커버 덮임 상태가 검출되면, 동작 1103에서 간편 기능 실행 모드를 설정하고 터치스크린(190)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 또는 통화 호 착발신 또는 메시지 송수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같은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동작 1105에서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1107에서 터치스크린(190)의 커버 영역(220)을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1109에서 제1사용자 입력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동작 1111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사용자 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다면, 제어부(110)는 동작 1113에서 제1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동작 1115단계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사용자 입력이 발생한다면, 제어부(110)는 동작 1117에서 제1사용자 입력 및 제2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동작 1119에서, 두 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호버링 입력으로 체크 기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고, 전자 장치(100)의 커버 영역(220)을 터치하는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 장치에 의해 화면이 덮인 상태가 되면, 상기 화면에서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커버 영역을 활성하는 동작과,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장치의 개방 영역이 활성화 되면, 상기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활성화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결과가 상기 개방 영역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영역을 활성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활성화 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서브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입력과, 상기 검출된 서브 영역의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수행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발생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입력에 대응하는 패턴을 검출하는 동작과,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패턴의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한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한 제2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제 2의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력과 제 2 입력은 터치, 호버링 또는 펜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이 커버 장치에 의해 덮인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커버 장치에 포함된 투영부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개방 영역이 활성화되고 커버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상기 커버 영역을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미리 정해진 기호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호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결과가 상기 개방 영역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영역을 활성화하는 동작은,
    상기 커버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활성화되는 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호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서브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 입력과, 상기 검출된 서브 영역의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수행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상기 전자 장치의 커버 장치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이 덮인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커버 장치에 포함된 투영부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개방 영역이 활성화되고 커버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상기 커버 영역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미리 정해진 기호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기호 패턴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결과가 상기 개방 영역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영역의 활성화시, 상기 커버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이 활성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서브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과, 상기 검출된 서브 영역의 조합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과,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수행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실행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이 커버 장치에 의해 덮인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커버 장치에 포함된 투영부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개방 영역을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개방 영역이 활성화되고 커버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개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상기 커버 영역을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커버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미리 정해진 기호 패턴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17859A 2014-09-04 2014-09-04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226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59A KR102264444B1 (ko) 2014-09-04 2014-09-04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14/842,008 US9989994B2 (en) 2014-09-04 2015-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59A KR102264444B1 (ko) 2014-09-04 2014-09-04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823A KR20160028823A (ko) 2016-03-14
KR102264444B1 true KR102264444B1 (ko) 2021-06-15

Family

ID=5543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59A KR102264444B1 (ko) 2014-09-04 2014-09-04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89994B2 (ko)
KR (1) KR102264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567A (ja) * 2013-07-19 2015-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60037508A (ko) * 2014-09-29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표시 방법
USD777718S1 (en) 2015-02-16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KR102180404B1 (ko) 2015-06-02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708169B (zh) * 2015-06-02 2020-10-2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US10409439B2 (en) * 2015-08-05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D792387S1 (en) * 2015-11-04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191611B2 (en) * 2015-11-27 2019-01-29 GitSuite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defined cursor displacement tool
US9966984B2 (en) 2016-02-26 2018-05-08 Apple Inc. Device case with balanced hinge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028101A (zh) * 2016-05-19 2016-10-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功能图标的屏幕显示方法及其系统
CN106303018A (zh) * 2016-08-11 2017-01-04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闹钟控制方法与终端
US10318072B2 (en) * 2017-05-01 2019-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prevention of unintended mobile touch screen interaction
TWI656823B (zh) * 2017-05-23 2019-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保護蓋及電子設備
KR102395190B1 (ko) * 2017-07-31 2022-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스토리지 장치, 호스트 및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방법
CN108388393B (zh) 2018-01-02 2020-08-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移动终端点击事件的识别方法和装置
CN112445407B (zh) * 2019-08-30 2023-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和电子设备
KR102563396B1 (ko) * 2021-09-06 2023-08-04 주식회사 토비스 비접촉 터치 기능을 구비한 게임기용 조작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게임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JP3217972B2 (ja) * 1996-08-02 2001-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携帯通信機器
FI104928B (fi) * 1997-11-27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menetelmä langattoman viestimen valmistuksessa
WO2003021922A1 (en) * 2001-09-06 2003-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special input functionality
KR101537683B1 (ko) * 2008-09-02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826830B2 (en) * 2011-10-13 2014-09-09 Nick Pajic Tray table with rotatable inner tray for electronic device docking
TWI436234B (zh) * 2011-11-07 2014-05-01 Shuttle Inc 行動裝置的解鎖方法,使用該方法的行動裝置及應用程式
KR101425443B1 (ko) * 2012-05-09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이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KR101992192B1 (ko) * 2012-11-02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2728762A2 (en) * 2012-11-02 2014-05-07 Newvit Co., Ltd.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KR20140057462A (ko) * 2012-11-02 2014-05-13 주식회사 뉴빛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KR102009744B1 (ko) * 2013-01-03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이의 커버장치
KR102154792B1 (ko) * 2013-02-28 202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케이스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48727B1 (ko) * 2013-03-1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KR102108118B1 (ko) * 2013-05-13 202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I492136B (zh) * 2013-10-11 2015-07-11 Aevoe Inc 可攜式行動裝置之保護裝置
KR20150091607A (ko) * 2014-02-03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5289B1 (ko) * 2014-02-11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TWI595410B (zh) * 2014-03-24 2017-08-1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通過遮蓋控制移動式電子裝置的方法,使用所述方法的移動式電子裝置以及其儲存媒體
KR20150124710A (ko) * 2014-04-29 2015-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US9904314B2 (en) * 2014-05-12 2018-02-27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panel based on cover-related information
KR102293482B1 (ko) * 2014-05-30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전자 장치의 커버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특허 제2004-0248621호(2004.12.09.) 1부.*
일본공개특허 제11-331330호(1999.11.30.)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5650호(2013.11.19.)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6959호(2014.05.12.)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7462호(2014.05.1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70407A1 (en) 2016-03-10
KR20160028823A (ko) 2016-03-14
US9989994B2 (en)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444B1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EP2946265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US10387014B2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icons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US1016251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 gesture to control functions
EP3754471B1 (e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a haptic effect
KR102178845B1 (ko)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55836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10579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KR20140111497A (ko) 터치 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삭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07799A (ko)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34940A (ko)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152383B1 (ko)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7577A (ko) 데이터 병합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50008963A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266191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1010183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cording to floating input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KR20200086653A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