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695B1 -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695B1
KR102263695B1 KR1020140006939A KR20140006939A KR102263695B1 KR 102263695 B1 KR102263695 B1 KR 102263695B1 KR 1020140006939 A KR1020140006939 A KR 1020140006939A KR 20140006939 A KR20140006939 A KR 20140006939A KR 102263695 B1 KR102263695 B1 KR 102263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rget
information
dista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840A (ko
Inventor
이종우
문혜진
송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95B1/ko
Priority to PCT/KR2015/000587 priority patent/WO2015108401A1/ko
Priority to US15/112,833 priority patent/US20160335916A1/en
Publication of KR2015008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에서 1개 이상의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시각적 입력 장치가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과 주변의 사물 사이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청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사물의 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식별 방법 및 식별 유효 거리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따라 각기 다른 주변 사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DEVICE USING MULTIPLE CAMERAS}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사물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이에 대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들이 소형화 되면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장치에 주변의 사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시간 장애인을 위한 장치로 카메라를 통해 주변의 사물을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가 다수 제공되고 있다. 시각 장애인들이 스마트 폰을 사용하기 위해 "Voice Over" 또는 "접근성"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일상생활 속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교육과 노력이 필요하며,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컨텐츠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해당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거동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장치의 경우 위치 정보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나 GPS와 같은 사용자의 위치 감지 모둘의 정확성과 데이터 베이스의 부족으로 인해 시각 장애인과 같이 시각적 식별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과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에서 시각적 입력장치를 통해 판단된 주변의 목적물(object)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오디오 출력을 통해 알려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에서 1개 이상의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미지 입력을 수신하는 휴대 단말은 이미지 입력을 수신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이미지에서 1개 이상의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시각적 입력 장치가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과 주변의 사물 사이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청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사물의 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식별 방법 및 식별 유효 거리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따라 각기 다른 주변 사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목적물(object)의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목적물의 거리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내의 요소들 사이에 신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과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포함된 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포함된 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프레임부(100), 복수개의 카메라부(112, 114), 오디오 출력부(122, 124) 및 인터페이스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단말을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안경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부(112, 114)는 프레임부(100)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시야와 대응되는 방향의 시각적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각기 상기 상기 시야와 대응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있어, 감지되는 사물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부분에 별도의 카메라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별도의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시야와 대응되는 방향이 추가의 카메라부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2, 124)는 프레임부(100)에 부착되거나, 연장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할 수 있는 이어폰의 형태를 띌 수 있으나 오디오 출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른 현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2, 124)는 상기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오디오적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부(122, 124)는 카메라부(112, 114)를 통해 입력된 시각적 입력을 분석하여, 문자인식, 안면 인식 및 주변 사물의 정보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오디오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2)는 외부의 장치(140)와 단말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 수신 및 전원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의 장치(140)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시 예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2)는 유선 연결이 아닌 무선 연결을 통해 별도의 단말과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5에서 상기 단말은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시야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는 제어부의 제어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또는 사용자의 동작을 기반으로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21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입력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 내에 있는 목적물을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부분을 기반으로 목적물을 추출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로세싱 동작을 기반으로 목적물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215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추출된 목적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에서 추출된 목적물 중 동일한 목적물을 판단하고, 상기 동일한 목적물의 복수개 이미지에서 계산되는 위상 차이 값을 기반으로 목적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상기 단말은 사용자의 모드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모드 설정은 단계 205의 전부터 단계 220사이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분석할 목적물의 거리 범위, 목적물의 분석 방법 및 출력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설정은 사용자의 별도 입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25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설정된 모드를 기반으로 추출된 목적물을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목적물을 분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목적물을 분석하는 것은 문자 인식, 안면 인식, 및 거리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목적물 분석 결과를 출력부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분석 결과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출력되는 결과는 상기 목적물 분석 결과에 따른 문자 인식, 안면 인식 및 거리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목적물(object)의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단말은 좌측 카메라(302), 우측 카메라(30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는 목적물(306)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좌측 카메라(302)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이미지(312)와 우측 카메라(304)에 의해 형성되는 우측 이미지(314)에서 목적물(306)는 각각 식별번호 322 및 324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목적물(306)의 거리 Depth는 아래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Figure 112014005872898-pat00001
여기서 f는 각 카메라에서 이미지가 맺히는 초점거리 f1, f2의 값으로 본 실시 예에서 두 값은 각각 f로 동일하며, b는 각 카메라부 사이의 거리, (UL-UR)는 각 이미지에서 상이 맺히는 거리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이미지에 맺힌 상에서 목적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목적물의 거리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좌측 카메라를 통해서 입력된 제1이미지(402) 및 우측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제2이미지(404)가 있고 각각 제1목적물(412) 및 제2목적물(414)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목적물 중 제2목적물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해 식별번호 406과 408과 같이 각 이미지에도 중첩되는 이미지를 제거할 경우 제2목적물이 식별번호 422 및 424와 같이 위치할 수 있다. 단말은 각 목적물이 카메라가 좌우로 위치하는 방향 상에서 중심점(432, 434)를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각 카메라를 각각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바, 이미지 상에서 수평방향의 중심점(432, 434)를 계산하고 두 이미지 상에서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X축 좌표를 기준으로 판단하면, 408-312=96 만큼의 거리 차이가 있고, 카메라 사이의 거리 및 초점 거리의 경우 단말에 따라 고정된 값이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목적물(414)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목적물(412)의 경우 제2목적물(414)에 비해 두 이미지 사이에서 거리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제1목적물(412)가 제2목적물(414)보다 먼 거리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고, 두 이미지 사이에서 제1목적물(412)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이미지 상에서 거리를 계산하고 초점거리 및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제1목적물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내의 요소들 사이에 신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제어부(502), 이미지 프로세싱부(504), 카메라부(506) 및 오디오 출력부(508)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502)는 이미지 프로세싱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제어부(502)는 카메라부(506)에 이미지 캡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캡쳐 메시지는 카메라부(506)에 포함된 1개 이상이 카메라에게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15에서 카메라부(506)은 이미지 프로세싱부(504)에 캡쳐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이미지 프로세싱부(504)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1개 이상의 목적물(object)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싱부(504)는 수신된 이미지에서 이미지의 윤곽선을 분석하여 동일한 목적물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부(504)는 복수개의 이미지에서 파악된 목적물의 위상 차이를 기반으로 목적물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525에서 이미지 프로세싱부(504)는 상기 식별된 목적물 중 특정 범위 안에 있는 목적물을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범위의 경우 단말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독서 등을 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할 경우 보다 가까운 거리를 판단하고, 야외에서 이동을 하는 경우와 같이 보다 먼 거리를 판단해야 할 경우 상기 특정 범위는 보다 먼 거리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목적물을 분석하는 동작은 문자인식, 주변 목적물의 거리 인식, 기 저정된 패턴이나 모양 인식 및 안면 인식 중 하나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기 저장된 패턴의 경우 지도상의 건물의 모양, 교통 표지판과 같이 그 형태가 일정 범위 안에 있을 수 있는 목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이미지 프로세싱부(504)는 상기 분석한 목적물 정보를 제어부(502)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35에서 제어부(502)는 상기 수신한 목적물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목적물이 분석 가능한 텍스트를 포함할 경우 텍스트를 읽어주는 음성으로 출력을 결정하 수 있다. 또한 식별된 목적물의 거리를 음성 또는 비프음을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비프음의 경우 거리에 따라 반복되는 주기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패턴의 경우 저장된 패턴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을 출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안면 인식의 경우 기 저정된 안면에 대응하는 사람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을 출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제어부(502)는 결정된 사운드 출력 신호를 오디오출럭부(508)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 545에서 오디오출력부(508)는 수신한 사운드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5에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목적지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목적지 설정 입력은 지도 상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검색 입력을 기반으로 목적지 설정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검색 입력은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지도 데이터는 단말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지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GPS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의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 데이터는 경로 상에 위치하는 목적물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 상에 위치하는 건물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이 카메라부를 통해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건물의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은 동작은 다음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단말은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주변의 목적물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식별되는 목적물은 모드 설정에 따라 특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목적물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서 분석 가능한 목적물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목적물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고, 판단된 목적물을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주변의 목적물의 거리, 목적물 분석 결과 및 수신된 지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GPS센서 등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상기 단말은 이전 식별된 목적물의 거리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는 목적물의 거리 및 이동 속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는 오디오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사물이 인접하여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경우 주의를 요하는 비프음을 통해 사용자가 접근하는 사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object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된 경로로 진행되는 경우 별도의 출력신호를 내보내지 않거나, 경로에 따라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625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식별된 목적물 중 분석 가능한 목적물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 가능한 목적물은 단말 또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된 패턴 정보, 목적물에 표시된 텍스트, 상기 단말이 수신한 지도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패턴 정보는 도로 표지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물은 주변의 지형 지물과 단계 615에서 수신한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 가능한 목적물이 있을 경우 단계 630에서 상기 단말은 분석된 목적물 정보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목적물의 정보와 관련된 사운드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과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705에서 실시 예의 단말은 모들 설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설정 입력을 기반으로 안면을 포함하는 목적물을 식별할 지 여부 및 안면을 포함하는 목적물을 식별하는 거리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모드 설정은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 및 사용자의 단말 사용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내에서 이동한다고 판단될 경우 별도의 입력 없이도 모드 설정을 안면 인식에 적합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의 음식이 식별된 경우 안면 인식에 적합한 모드로 모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상기 단말은 카메라로부터 1개 이상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복수개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한 개의 카메라로부터 여러 번 캡쳐된 이미지가 수신될 수도 있다.
단계 715에서 설정된 모드를 기반으로 결정된 거리 범위 내에 식별 가능한 얼굴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식별 가능한 얼굴이 없을 경우 단계 710의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식별 가능한 얼굴이 없다는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이 사용자를 제외한 음성 입력을 수신할 경우, 상기 단말은 우선적으로 안면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식별 가능한 얼굴이 있을 경우, 단계 720에서 상기 단말은 식별된 얼굴이 상기 저장된 얼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된 얼굴은 기 단말이 촬영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725에서 상기 단말은 매칭되는 얼굴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얼굴과 관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상기 단말은 식별된 얼굴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입력 받은 정보를 저장부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05에서 상기 단말은 모드 설정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별도의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포함하고, 스위치 입력, 제스쳐를 통한 입력, 음성을 통한 입력 등 통상 단말에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모드는 독서 모드, 네비게이션 모드, 안면 인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경우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식별 거리 및 식별 대상의 후보군을 선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각 모드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이 있을 경우 단계 810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단말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15에서 단말의 이동 속도가 특정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목적물들의 이동 거리 변화와 캡쳐 시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GPS 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범위의 경우 이동 속도에 따라 여러 단계의 모드로 변경할 수 있고, 모드 변경에 따라 이미지를 캡쳐하는 시간 간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동 속도의 경우 단말에 기 설정되거나 외부의 입력에 따라 결정되어 모드 결정을 위한 이동 속도의 범위를 상기 단말이 판단할 수 있다.
단계 820에서 판단한 이동 속도가 특정 범위에 해당할 경우 해당되는 속도 범위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속도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 야외에서 이동하고 있음을 판단하고 이에 알맞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교통 수단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 속도일 경우 네비게이션 모드를 활성화 하지 않거나, 이동 수단에 맞는 네비게이션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단계 825에서 단말에 입력되는 가속도가 특정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가속도 값을 특정 구간동안 측정하여 가속도가 특정 범위 이상일 경우 상기 단말 또는 사용자가 심하게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830에서 이에 따른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포함된 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카메라부(905), 입력부(910), 음향출력부(915), 영상 표시부(920), 인터페이스부(925), 저장부(930), 유무선 통신부(935), 센서부(940), 제어부(945) 및 프레임부(9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905)는 1개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 대응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에도 카메라가 위치할 수 있으며, 위치한 방향의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입력부(910)는 사용자의 물리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수신하거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915)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식별한 목적물과 관련된 음성을 출력하거나, 단말이 식별한 목적물의 거리와 대응되는 방법으로 비프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920)은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인 출력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하거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 이미지를 포함하기 위해 프로젝터와 같은 유형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925)는 상기 단말을 외부의 기기와 연결하는 것으로 제어신호 및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930)은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도 데이터, 안면인식 데이터 및 이미지에 대응되는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935)는 다른 단말 또는 통신 장치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940)는 센서부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GPS 센서, 동작 인식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중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고, 단말이 놓은 환경 전반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945)는 다른 요소를 제어하여 단말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목적물을 파악하고, 목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파악된 목적물을 식별하고 식별된 결과에 따라 음향 출력부(915), 영상 표시부(920)에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레임부(950)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실시 예에 따르면 안경의 형태를 띌 수 있다. 그러나 그 모양은 한정되지 않으며, 모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의 동작 전반은 제어부(94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포함된 요소들과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10)은 목적물(1005)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1012)는 제1카메라(1012) 및 제2카메라(10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오디오출력부(1022) 및 제2오디오 출력부(1024)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10)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기기(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폰)(1060)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의 단말(1010)은 제1카메라(1012) 및 제2카메라(1014)를 통해 목적물(1005)가 포함된 이미지를 캡쳐하여 외부 기기(106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이미지(1032) 및 제2이미지(1034)는 각각 제1카메라(1012) 및 제2카메라(1014)를 통해 캡쳐된 영상이다.
이미지를 수신한 외부 기기(1060)는 이미지 식별부(1066), 패턴 데이터베이스(1068), 어플리케이션 및 네트워크부(1062)를 통해 목적물(1005)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출력부(1064)를 통해 단말(1010)에 오디오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1010)은 외부기기(1060)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제1오디오 출력부(1022) 및 제2오디오 출력부(1014)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목적물(1005)가 제1카메라(1012)쪽에 더 더 가까이 있는 바, 제1오디오 출력부에서 더 빠른 주기로 비프음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기기(1060)은 단말(1010)에 전원(1070)을 공급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단말(1010) 자체에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프레임부
112, 114 : 카메라부
122, 124 : 오디오 출력부
132 : 인터페이스부
140 : 외부의 장치

Claims (18)

  1.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에서 1개 이상의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모드에 기반하여 임계 거리 범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목적물에서, 상기 단말의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임계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물에 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이동 수단에 상응하는 상기 단말의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캡쳐한 이미지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각 이미지에 나타난 목적물의 위치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목적물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은 문자 인식, 안면 인식 및 패턴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목적물을 기반으로 안면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물에서 식별된 안면 인식 결과와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일치하는 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식별된 안면 인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부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어방법은
    상기 임계 거리 범위 안에 있는 문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어방법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이 계산한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방법.
  10. 이미지 입력을 수신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을 수신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이미지에서 1개 이상의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목적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단말의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단말의 모드에 기반하여 임계 거리 범위를 확인하며,
    상기 추출한 목적물에서, 상기 단말의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임계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물을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물에 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모드 설정은,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이동 수단에 상응하는 상기 단말의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캡쳐한 이미지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각 이미지에 나타난 목적물의 위치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목적물 분석하고,
    상기 분석은 문자 인식, 안면 인식 및 패턴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물에서 식별된 안면 인식 결과와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일치하는 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식별된 안면 인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부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거리 범위 안에 있는 문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이 계산한 목적물과 상기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40006939A 2014-01-20 2014-01-20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KR10226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939A KR102263695B1 (ko) 2014-01-20 2014-01-20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PCT/KR2015/000587 WO2015108401A1 (ko) 2014-01-20 2015-01-20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US15/112,833 US20160335916A1 (en) 2014-01-20 2015-01-20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plurality of camer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939A KR102263695B1 (ko) 2014-01-20 2014-01-20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40A KR20150086840A (ko) 2015-07-29
KR102263695B1 true KR102263695B1 (ko) 2021-06-10

Family

ID=5354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939A KR102263695B1 (ko) 2014-01-20 2014-01-20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35916A1 (ko)
KR (1) KR102263695B1 (ko)
WO (1) WO2015108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3466B (zh) * 2015-09-25 2019-06-2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攝像裝置及其操作方法
US10444831B2 (en) * 2015-12-07 2019-10-15 Eyeware Tech Sa User-inpu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user-input
CN107360500B (zh) * 2017-08-17 2020-02-1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声音输出方法和装置
KR102173634B1 (ko) * 2019-08-21 2020-11-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5790A1 (en) * 2011-03-16 2012-09-20 Apple Inc. Locking and unlocking a mobile device using facial recognition
US20130250078A1 (en) * 2012-03-26 2013-09-26 Technology Dynamics Inc. Visual ai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5482A (en) * 1996-02-13 2000-09-05 Ascent Technology, Inc. Voice-output reading system with gesture-based navigation
AU2003241125A1 (en) * 2002-06-13 2003-12-31 I See 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sensor imaging and scene interpretation system to aid the visually impaired
US20050208457A1 (en) * 2004-01-05 2005-09-22 Wolfgang Fink Digital object recognition audio-assistant for the visually impaired
EP1646249A1 (en) * 2004-10-08 2006-04-12 Dialog Semiconductor GmbH Single chip stereo image pick-up system with dual array design
KR20090101733A (ko) * 2008-03-24 2009-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얼굴 인식을 이용한 표시정보의 표시방법
US9579236B2 (en) * 2009-11-03 2017-02-28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Representing visual images by alternative senses
US8566029B1 (en) * 2009-11-12 2013-10-22 Google Inc.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US8139935B2 (en) * 2010-03-31 2012-03-20 James Cameron 3D camera with foreground object distance sensing
US20130271584A1 (en) * 2011-02-17 2013-10-17 Orcam Technologies Ltd. User wearable visual assistance device
US20120212593A1 (en) * 2011-02-17 2012-08-23 Orcam Technologies Ltd. User wearable visual assistance system
KR20130053137A (ko) * 2011-11-15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30286161A1 (en) * 2012-04-25 2013-10-31 Futurewei Technologies, Inc. Three-dimensional face recognition for mobile devices
US9052197B2 (en) * 2012-06-05 2015-06-09 Apple Inc. 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while device is in locked mode
US9560284B2 (en) * 2012-12-27 2017-01-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specified by striped pattern of bright lines
KR20140090318A (ko) * 2013-01-07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 기반 카메라 운용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0248856B2 (en) * 2014-01-14 2019-04-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US10520595B2 (en) * 2014-08-05 2019-12-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sitioning metho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9443488B2 (en) * 2014-10-14 2016-09-13 Digital Vision Enhancement Inc Image transforming vision enhancement device
US9612722B2 (en) * 2014-10-31 2017-04-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their environments using sounds
FR3030072B1 (fr) * 2014-12-16 2018-02-16 Ingenico Group Procede d'indication de proximite, dispositif, programme et support d'enregistrement correspondants
US10037712B2 (en) * 2015-01-30 2018-07-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ision-assist devices and methods of detecting a classification of an obje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5790A1 (en) * 2011-03-16 2012-09-20 Apple Inc. Locking and unlocking a mobile device using facial recognition
US20130250078A1 (en) * 2012-03-26 2013-09-26 Technology Dynamics Inc. Visual a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40A (ko) 2015-07-29
US20160335916A1 (en) 2016-11-17
WO2015108401A1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7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8944454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0395116B2 (en) Dynamically created and updated indoor positioning map
US109097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o notify potential source of interest to user
KR102627636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336243B (zh) 基于智能移动终端的机器人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201945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larm method, and program
CN111681455B (zh) 电子装置的控制方法、电子装置以及记录介质
KR102263695B1 (ko)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JPWO2013042767A1 (ja) 車両周辺監視装置
EP2642463A1 (en) Peripheral monitoring device for vehicle
Ivanchenko et al. Real-time walk light detection with a mobile phone
KR101147212B1 (ko) 주변상황 인식을 이용한 개인안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9764889A (zh) 导盲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TWI641859B (zh) 行動電子機器、行動電子機器控制方法及行動電子機器控制程式
CN111757262B (zh) 基于电子围栏的定位提醒方法、系统及可穿戴设备
US92866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gait of a pedestrian for a portable terminal
JP2020053055A (ja) スマートグラスのための追跡方法および追跡装置、スマートグラス、ならびに記憶媒体
JP2016115125A (ja) ウェアラブル検索システム
JPWO2019021973A1 (ja) 端末装置、危険予測方法、プログラム
CN110334595B (zh) 一种犬尾运动的识别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106217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apidly dimensioning an object
KR102299501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9950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702772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