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223B1 -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223B1
KR102262223B1 KR1020200003567A KR20200003567A KR102262223B1 KR 102262223 B1 KR102262223 B1 KR 102262223B1 KR 1020200003567 A KR1020200003567 A KR 1020200003567A KR 20200003567 A KR20200003567 A KR 20200003567A KR 102262223 B1 KR102262223 B1 KR 10226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toilet water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5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운영
임정서
Original Assignee
임운영
임정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운영, 임정서 filed Critical 임운영
Priority to KR102020000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2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which effectively sucks contaminated air, purifies the sucked air by using toilet water, and desorbs supersaturated moisture in the purified air by using a pressure difference thereby discharging the comfortable purified air without using an additional air purification filter and a water particle removal filter.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 용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세정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된 공기의 수분을 별도의 수분 제거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해소할 수 있는 공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washer using flush toilet water,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not only clean air using toilet water, but also remove moisture from the cleaned air without using a separate water removal filter. It is about an air cleaner.

외부와 분리된 실내 공간은 저마다 고유한 환경을 이루고 있다. 실내환경에는 생활분진, 매연이나 황사 등 외부 공기의 유입, 전기 청소기를 통과한 미세먼지, 음식물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가 상존한다. 이러한 미세먼지 및 생활분진, 연기 등은 인체에 유해하며 특히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실정이다.Each interior space separated from the exterior forms a unique environment. In the indoor environment, living dust, inflow of external air such as soot or yellow dust, fine dust passing through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smoke generated during food cooking are always present. Such fine dust, living dust, smoke, etc.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are a cause of respiratory diseases in particular.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 먼지류 등 공기 중 유해 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여과 기능을 갖춘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ir purifier having a filtration function has been used to filter out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such as fine dust.

공기 청정기는 물, 필터, 전자기장 등을 이용한 청정방식으로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거르고, 걸러진 먼지를 배출한다. Air purifiers filter harmful components in the air by using water, filters, electromagnetic fields, etc., and discharge the filtered dust.

필터를 이용한 청정방식의 일 예로, 국내 등록 특허 제10-1098468호에 의하면, 공기청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기를 제공하고 있다. 공기 정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3')은 제1 하우징(10')내에 제1 하우징(10')과 동일 축선상으로 삽입하여, 소경부(14')의 외주면과 제1 하우징(10')의 일측 내면 사이에 필터 삽입 공간부(17')를 형성한다. 대경부(15')의 외주면과 제1 하우징(10')의 타측 내면 사이에는 통기로(18')가 형성된다. 필터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필터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전후에 2개의 필터(20a')(20b')를 배치하여 넓은 정화 표면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기술한 발명의 공기청정 필터는 정화하려는 공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흡입되면 그 일부는 제2 필터(20b')에서 집진 정화됨과 아울러 나머지는 제1 필터(20a')에 유입되어 집진 정화된 후 통기로(18')를 경유하여 제2 필터(20b')에서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실내용으로 제작되어 소음문제에 자유롭지 못하고, 디자인에 치중되어 있다. 또한, 헤파필터나 나노 필터 등 첨단소재를 이용한 필터로 공기 중의 유해성분을 거르므로,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유지 비용이 비싸다. 나아가 필터의 망목보다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 및 물질은 거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s an example of a cleaning method using a filter,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8468, an air cleaning filter and an air purifi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1, the second housing 13'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0'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14' is A filter insertion space 17'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0'. A ventilation passage 18'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15' and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The filt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two filters 20a' and 20b' are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housing including the filter insertion space to form a large purifying surface area. In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to be purified is suck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part of it is dust-collected and purified in the second filter 20b', and the res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 20a' to collect and purify the air. It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purified from the second filter 20b' via the after vent passage 18'. However, since these air purifiers are manufactured for indoor use, they are not free from noise problems and are focused on design. In addition, since the filter using a high-tech material such as a HEPA filter or a nano filter filters harmful components in the air, it is cumbersome to use as well as expensive to maintain because the filter must be replaced periodically.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fine dust and substances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filter cannot be filtered.

물을 이용한 청정방식의 일 예로, 국내 특허 제10-2018-0046902호에 의하면 물 커튼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0'')는 수조(110''), 분무부(120''), 공기 유입부(130''), 공기 배출부(140''), 물입자 회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무부(120'')는 수조(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조(110'')에 수용된 물(10'')을 수면(a'') 위를 향해 물입자로서 뿜어올릴 수 있다.분무부(120'')는 수조(110'') 내 물(10'')을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비산시킴으로써 수면(a'') 위로 미세입자 형태의 물방울을 분무한다. 이에 따라, 수면(a'') 위에 물입자로 구현된 물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무부(120'')의 배치는, 수조(110'') 내로 유입된 공기가 분무부(120'')에 의해 뿜어 올려진 물을 각 단별로 통과할수록 점점 깨끗해진다. 즉, 유입된 공기가 다단 구조 내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할수록 공기 내 포함된 불순물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물에 접촉됨에 따라, 공기에 수분이 혼입되어 배출 공기에 과수분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배출 공기에 섞인 과도한 물입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공기 중 습도높음 상태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cleaning method using water,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2018-0046902, an air purifier having a water curtain structure is provided. 2, the air purifier 100'' includes a water tank 110'', a spray unit 120'', an air inlet 130'', an air outlet 140'', and wa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rticle recovery unit (150''). The spray unit 1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110'' and can spray water 10''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110'' as water particles toward the water surface a''. The spray unit 120'' sprays water 10'' in the water tank 110''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reby spraying water droplets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onto the water surface (a''). Accordingly, a water curtain implemented with water particles may be formed on the water surface a''. The arrangement of the spraying unit 120'' like this becomes cleaner a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110'' passes through the water sprayed by the spraying unit 120'' for each stage. That is, as the introduced air mov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in the multi-stage structur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are reduc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e air purifier using water, as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moisture is mixed in the air, resulting in excess moisture in the exhaust air. Excessive water particles mixed in the exhaust air may make the user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high humidity in the air.

한편, 주거공간 및 생활 공간에는 화장실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특히 수세식 화장실을 이용하며, 수세식은 중수도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상수도를 사용한다. 중수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무색무취한 청정수이므로 비교적 깨끗한 물이라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oilets are essential in living spaces and living spaces. In particular, flush toilets are used, and most of the flushing uses tap water, except when using gray water. Even when using gray water, it can be said that it is relatively clean water because it is colorless and odorless clean water.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 용수가 담긴 용수통에 공기 세정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변기 용수를 살수하여 오염된 공기를 세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물입자 제거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세정된 공기의 과수분 상태를 해결하고, 공기 세정에 이용된 용수는 변기용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어, 버려지는 청정수인 변기 용수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 세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polluted air by spraying toilet water by adding an air cleaning function to a water container containing toilet water supplied to a flush toilet. Excess moisture in the cleaned air without using a separate water particle removal filt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that can solve the condition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of toilet water, which is discarded clean water, by allowing the water used for air cleaning to be used for the toil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기 용수가 채워지는 하우징과, 변기 용수를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변기 용수를 하우징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파이프와,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변기 용수를 낙하시키는 낙수부와, 낙수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우징 내의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상부 공간과 하부공간을 형성하는 차폐판과,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오염된 공기를 하우징 내로 흡입하는 공기 유입로와,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우징 내에서 세정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로와, 차폐판 중앙의 관통공에 구비되며 공기 유입로에서 유입된 공기를 공기 배출로 방향으로 유도하는 흡입 팬(suction fan)과, 공기 배출로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공기 흡입량 대비 공기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는 공기 배출량을 조절하여 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에 고기압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과포화 수분에 대한 탈리를 유도한다. 나아가 하우징 내의 기압을 측정하고 밸브와 연동되어 측정 결과값에 따라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감지기를 더 포함하며, 흡입 팬은 하우징의 상부 중앙에 구비된다. 밸브는 공기 유입로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보다, 공기 배출로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적게 하고, 차폐판과 흡입팬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에 고기압을 형성한다. 낙수부는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탱크이며, 가장자리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 설치된다. 탱크의 내부 공간에는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변기 용수가 채워지고, 낙수부는 탱크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이며 구획된 하부공간을 향해 탱크 내부에 채워진 변기 용수를 배출하여 낙하시키는 배출공과, 낙하하는 변기 용수에 의해 세정된 공기가 구획된 상부 공간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탱크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통기공이 복수개 교차 배치된다.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변기 뒷면에 설치된 저수탱크이고, 공기 배출로에는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풍도(風道)가 더 연결되며 풍도는 건물 천정부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 내측 하부공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낙수음 방지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낙수음 방지 판은 빗변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낙하하는 변기 용수 물방울이 낙수음 방지 판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려 낙수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filled with toilet water, a pump for supplying toilet water, a pipe for moving toilet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dropping toilet water delivered from the pipe a falling water unit, a shielding plate provided at the top of the falling water unit and having a circular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dividing the space in the hou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polluted air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an air inflow path that sucks in into the housing, an air exhaust path provid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air cleaned in the housing is discharged, and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late for remov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path a suction fan guiding in the direction, and a valve provided adjacent to the air discharge path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 compared to the amount of air intake, wherein the valve regulate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form a high pressure in the upper space of the housing. It induces desorption of supersaturated moisture. Furthermore, the sensor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in the housing and interlocking with the valve to control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suction fan is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The valve reduce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ath rather than the intake amount of air suctioned from the air inlet path, and forms a high pressure in the upper space in the housing partitioned by the shield plate and the suction fan. The dripping part is a flat-panel tank with an enclosed space formed therein, and is horizontally installed so that the e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ank is filled with toilet water delivered from the pipe, and the dripping part i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and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and dropping the toilet water filled inside the tank toward the partitioned lower space; A plurality of vent holes vertically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nk are intersected so that the air cleaned by the air can move toward the partitioned upper space. The housing is a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one or more toilet bowls, and the air discharge path is further connected to a wind duct for moving air to an external space, and the wind duct may be disposed in an empty space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Furthermore,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dripping prevention plates provided in the inner lower space of the housing. The drip-proof plate is formed to have a hypotenuse plate shape, and falling water droplets can flow down the surface of the drip-proof plate to reduce the dripping soun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용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세정하고, 세정된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물 입자를 회수하는 물 입자 회수 필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기압차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공기의 과수분 상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정화를 위해 이용된 변기 용수를 변기용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water particle recovery filter that cleans the air using toilet water and recovers water particle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leaned air, the excessive moisture state of the air is naturally removed by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difference. In addition to solving the problem, the toilet water used for air purification can be reused for the toilet, so water can be saved and water resources can be used efficiently.

도 1은 종래 필터를 사용한 공기 청정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물을 사용한 공기 청정기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형상 및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내의 공기 흐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세정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우징 상부에서 기압차에 의한 과포화 수분에 대한 탈 리가 발생하는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낙수음 방지 판이 더 구비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와 측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ir purifier using a conventional filter.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using wat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state of air flow in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of a state in which desorption of supersaturated moisture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state in which a drip sound prevention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exemplary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titute the claims Embodiments including substitutable elements as equivalents in el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형상 및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와 측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변기 용수가 채워지는 하우징(100)과, 변기 용수를 공급하는 펌프(110)와, 펌프(110)로부터 공급되는 변기 용수를 하우징(100)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파이프(120)와, 파이프(120)로부터 전달되는 변기 용수를 낙하시키는 낙수부(130)와, 낙수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우징 내의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상부 공간과 하부공간을 형성하는 차폐판(163)과, 오염된 공기를 하우징(100) 내로 흡입하는 공기 유입로(140)와 , 하우징(100) 내에서 세정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로(150)와, 차폐판 중앙의 관통공에 구비되며 공기 유입로(14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공기 배출로(150)로 이동시키는 흡입 팬(suction fan)(160)과, 배출 공기 중의 과수분을 해소하기 위하여 흡입량 대비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170)를 포함한다. 차폐판은 테두리부가 하우징 내측면에 밀착되고, 원형의 관통공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두께를 갖도록 상부 공간을 향해 수직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하나 이상의 변기 뒷면에 설치된 저수탱크일 수 있다.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변기 용수의 양은, 변기의 1회당 물 사용량을 반영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변기가 1회당 사용하는 물의 양보다 많은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수세식 화장실이 구비된 모든 건물 및 생활 공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기는 별도의 공기 정화용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 유지비용이 낮으며,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나아가 물로 세정된 공기는 비가 개인날의 싱그러움을 상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하우징(100) 내의 기압을 측정하고, 밸브(170)와 연동되어 측정 결과값에 따라 밸브(170)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감지기(1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100 filled with toilet water, a pump 110 for supplying toilet water, and a pipe for moving toilet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1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 120, a dripping part 130 for dropping toilet water delivered from the pipe 120, provided on the top of the dripping part, a circular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upper space by dividing the space in the hou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ield plate 163 forming a lower space, an air inlet path 140 for sucking polluted air into the housing 100 , and an air outlet path 150 through which the cleaned air in the housing 100 is discharged. and a suction fan 160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in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late and mov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40 to the air outlet 150, and to remove excess moisture in the exhaust air In order to include a valve 17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discharge compared to the intake. The shielding plate includes a protrusion vertically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pace so that the edge portion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long the edge of the circular through hole. The housing 100 may be a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one or more toilet bowls. The amount of toilet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s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amount of water used per one time of the toilet, and preferably more than the amount of water used by one or more toilets per one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buildings and living spaces provided with flush toilets.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filter for air purification, so the maintenance cost is low and management is very easy. Furthermore, the air washed with water can always realize the freshness of a rainy day.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00 further includes a detector 180 that measures the air pressure in the housing 100 and interlocks with the valve 170 to control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valve 170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내의 공기 흐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the state of air flow in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유입로(14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로(15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공기 유입로(140)는 하우징(100)에 연결된 파이프(120)이거나, 하우징(100)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관통공일 수 있다. 공기 유입로가 관통공일 경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클수록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 올바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유입로(140)는 하우징 내에 채워진 변기용수의 수위(水位)보다 높게 구비된다. 나아가 공기 유입로(14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하우징의 양 측면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4 , the air inlet 140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 and the air outlet 150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 The air inlet 140 may be a pipe 120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or a through hol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one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0 . When the air inlet is a through hole, the larger the area occupied by one side of the housing, the more air can be sucked in. According to the correct embodiment, the air inlet 140 is provided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toilet water filled in the housing.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air inflow paths 140 are provid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유입로(140)가 관통공 형상을 갖을 때, 관통공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유입공 커버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공 커버부는 관통공의 가장자리 하부를 따라 외측 방향을 향해 일정 폭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의 끝단이 개방된다. 공기는 유입공 커버부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유입된다. 공기 유입로와 연결된 유입공 커버부에 낙수 및 변기 용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공 커버부(141)의 바닥면은, 공기 유입로와 연결되며 동시에 변기용수의 수위(水位)보다 높게 구비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inlet 140 has a through hole shape, it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hole cover portion 141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cover part protrudes outward by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ower edge of the through hole, it extends long toward the upper part, and the end of the extended part is opene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 end of the inlet cover part. In order to prevent dripping water and pooling of toilet water in the inlet cover part connected to the air inle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et cover part 141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at the same time is provided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toilet water. do.

밸브(170)는 공기 배출로(150)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밸브(170)는 공기 유입로(140)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보다, 공기 배출로(15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적게 함으로써, 하우징(100) 내에 고기압을 형성한다. 흡입 팬(160)은 본 기술을 사용하는 자에게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흡입 팬(160)은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61)와 블레이드(16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블레이드(162)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흡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흡입 팬(160)의 흡입효율에 따라 공기 유입로(1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흡입 팬(160)의 구동에 의해 공기 유입로(140)를 거쳐 흡입된 공기가 상승하며 물에 접촉된다. 물에 접촉된 공기는, 수분이 혼입되면서 세정된다. 밸브(170)는 흡입량 대비 배출량을 적게 하여 하우징(100) 내의 상부 공간에 고기압을 형성한다. 고기압이 형성된 하우징(100) 내에서는 과포화 수분에 대한 탈리가 발생함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 valve 170 is formed adjacent to the air discharge path 150 . The valve 170 forms a high pressure in the housing 100 by lower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ath 150 than the amount of air suctioned from the air inlet 140 . The suction fan 160 is a technology commonly known to those who use the present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ction fan 160 includes a motor 161 and a blade 162 that transmit power, and the s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otating the blade 162 at a high spe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suction fan 16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40 may be determined.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flow path 140 rises by the driving of the suction fan 16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The air in contact with water is washed while moisture is mixed. The valve 170 forms a high pressure in the upper space in the housing 100 by reducing the discharge amount compared to the suction amount. As desorption of supersaturated moisture occurs in the housing 100 in which the high pressure is formed, moisture in the discharged air may be removed.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세정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화장실은 외진 곳에 배치되며, 사람의 출입이 적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로(140)가 화장실에 배치되고 탁한 공기를 화장실에서 흡입한 후, 하우징(100) 내에서 공기를 세정하는 것이 좋다. 하우징(100) 내에서 세정된 청정공기는 공기 배출로(150)를 통해 배출되는데, 공기 배출로(150)에는 풍도(風道)(200)가 더 연결되어 청정공기를 풍도(200)를 통해 거실, 방 등 적어도 하나이상의 외부 공간에 보급할 수 있으며, 풍도(200)는 건물 천정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ilet is located in a secluded place, and there are few people in it. Therefore, as shown in FIG. 5 , after the air inlet 140 is disposed in the toilet and the turbid air is sucked from the toilet, it is preferable to clean the air in the housing 100 . The clean air cleaned in the housing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ath 150 , and a wind path 20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ath 150 to supply clean air through the wind path 200 . It can be supplied to at least one external space, such as a living room, a room, etc., and the windpipe 200 is preferably arranged by utilizing an empty space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도 6은 본 발명의 하우징 상부에서 기압차에 의한 과포화 수분에 대한 탈 리가 발생하는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6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esorption of supersaturated moisture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낙수부(13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차폐판과 인접하게 구비된다. 낙수부(130)는 평판 형상의 탱크이고, 가장자리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 설치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탱크의 내부 공간에는 파이프(120)로부터 전달되는 변기 용수가 채워진다. 낙수부는 구획된 하부공간을 향해 변기 용수를 배출하여 낙하시키는 배출공(131)과 낙하하는 변기 용수에 의해 세정된 공기가 구획된 상부 공간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공(132)이 복수개 교차 배치된다. 배출공(131)은 탱크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탱크 내부에 채워진 변기 용수를 배출한다. 배출공(131)에서 배출되는 변기 용수는 공기 중의 수분 혼입을 줄이기 위하여 비산하거나 포말형태가 아닌, 빗줄기 형상을 유지하며 하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통기공(132)은 배출공(131)과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탱크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공기는 흡입 팬(16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변기 용수의 배출 방향(하방)과 반대 방향(상방)으로 이동하며 물과 공기가 서로 부딪히면서 접촉한다. 물과의 접촉에 의해 세정된 공기는 통기공(132)을 통과하여 구획된 상부 공간으로 이동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 도달한 공기는 기압차에 의하여 과포화 수분에 대한 탈리가 발생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dripping part 13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hielding plate. The dripping part 130 is a flat-panel tank, the edge is horizontally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 enclosed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toilet water delivered from the pipe 120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ank. . The dripping part has a plurality of intersecting discharge holes 131 for discharging and dropping toilet water toward the partitioned lower space and vent holes 132 for allowing air cleaned by the falling toilet water to move toward the partitioned upper space. do. The discharge hole 131 i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and discharges the toilet water filled in the tank.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toilet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31 descends while maintaining a rain stream shape, rather than scattering or foaming, in order to reduce the incorporation of moisture in the air. The vent hole 132 is provid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discharge hole 131, and is a through hole that vertically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nk. The air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upward) to the discharge direction (downward) of the toilet water by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suction fan 160, and the water and ai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y collide. Air cleaned by contact with water passes through the vent hole 132 and moves to the partitioned upper space. Desorption of supersaturated moisture occurs in the air reaching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0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낙수음 방지 판이 더 구비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와 측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state in which a drip sound prevention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낙하하는 변기 용수 물방울의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공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낙수음 방지 판(190)을 더 포함한다. 낙수음 방지 판(190)은 빗변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낙하하는 변기 용수 물방울이 빗변판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낙수음을 줄일 수 있다. 공기유입로가 하우징의 일측면과, 일측면의 반대 방향에 구비 된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었을 때, 낙수음 방지판은 상단이 하우징의 일측면을 향하고, 하단이 하우징의 타측면을 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빗편판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복수개 구비 된 낙수음 방지 판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공기유입로가 하우징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었을 때, 낙수음 방지판은 마주보는 공기유입로상의 순방향으로 배치하여 통기성을 구한다. 또한 낙수음 방지판의 상단이 하우징의 일측면을 향하고, 하단이 하우징의 타측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이 부여된 빗변판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복수개 구비 된 낙수음 방지 판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것이 좋다.Referring to FIG. 7 , the housing 1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nti-falling sound plate 190 provided in the inner lower space of the housing 100 to reduce noise generated when the falling toilet water droplets collide. The drip sound prevention plate 190 is formed to have a hypotenuse plate shape to allow falling toilet water droplets to flow down the hypotenuse plate, thereby reducing dripping noise. When the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ide, the water drop prevention plate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end faces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end faces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s it becomes, it has a comb plate shape.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drip prevention plat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hen the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the water drop prevention plate is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on the opposite air inlet to obtain air permeability. In addition, it has a hypotenuse plate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rip sound prevention plate faces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end faces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drip prevention plate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이상의 빗변판이 마주보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높이가 서로 다르게 위치하여 떨어지는 변기 용수 물방울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변판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공기 배출로(150)에는 방향 제습 살균 등의 기능을 부가할수도 있다. 기술한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교실, 사무실, 백화점, 의료시설, 지하철역 등 다중이용공간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0)은 단일의 변기수를 이용하기 보다 복수개의 변기수를 집체한 별도의 저수탱크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hypotenuse plate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toilet water droplets falling at different heights may flow down along the at least one hypotenuse plate. Furthermore, functions such as dehumidification and sterilization may be added to the air discharge path 150 .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applied to multi-use spaces such as classrooms, offices, department stores, medical facilities, and subway stations. In this case, the housing 100 is preferably a separate water storage tank that collects a plurality of toilet water rather than using a single toilet water.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하우징 110 : 펌프
120 : 파이프 130 : 낙수부
131 : 배출공 132 : 통기공
140 : 공기 유입로 141 : 유입공 커버부
150 : 공기 배출로 160 : 흡입 팬
161 : 모터 162 : 블레이드
163 : 차폐판 170 : 밸브
180 : 감지기 190 : 낙수음 방지 판
200 : 풍도
100: housing 110: pump
120: pipe 130: dripping part
131: exhaust hole 132: ventilation hole
140: air inlet 141: inlet hole cover part
150: air exhaust path 160: suction fan
161: motor 162: blade
163: shield plate 170: valve
180: detector 190: anti-fall sound plate
200: wind

Claims (6)

변기 용수가 채워지는 하우징과, 변기 용수를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변기 용수를 하우징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변기 용수를 낙하시키는 낙수부와, 낙수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우징 내의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상부 공간과 하부공간을 형성하는 차폐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오염된 공기를 하우징 내로 흡입하는 공기 유입로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우징 내에서 세정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로와, 차폐판 중앙의 관통공에 구비되며 공기 유입로에서 유입된 공기를 공기 배출로 방향으로 유도하는 흡입 팬(suction fan)과, 상기 공기 배출로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공기 흡입량 대비 공기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공기 배출량을 조절하여 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에 고기압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과포화 수분에 대한 탈리를 유도하는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A housing filled with toilet water, a pump for supplying toilet water, a pipe for moving toilet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dripping part for dropping toilet water delivered from the pip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dripping part a shielding plate provided with a circular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forming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dividing the space in the hou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ir discharge path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air cleaned in the housing is discharged, and a suction fan provided in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of the shielding plate to guid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path toward the air discharge path suction fan) and a valve provided adjacent to the air discharge path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 compared to the amount of air intake, wherein the valve controls the air discharge to form a high pressure in the upper space in the housing to prevent supersaturated moisture in the air. An air scrubber with flush toilet water that induces detachment.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의 기압을 측정하고 밸브와 연동되어 측정 결과값에 따라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감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 팬은 하우징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2.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leaner using a flush toilet water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detector that measures the air pressure in the housing and interlocks with the valve to control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wherein the suction fan is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공기 유입로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보다, 공기 배출로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적게 하고, 차폐판과 흡입팬에 의해 구획된 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에 고기압을 형성하는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lve reduce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path than the amount of air sucked from the air inlet path, and forms a high pressure in the upper space of the housing partitioned by the shield plate and the suction fan. Air using flush toilet water washer.
제 3항에 있어서
낙수부는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탱크이고, 가장자리가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 공간에는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변기 용수가 채워지고, 낙수부는 탱크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이며 구획된 하부공간을 향해 탱크 내부에 채워진 변기 용수를 배출하여 낙하시키는 배출공과, 낙하하는 변기 용수에 의해 세정된 공기가 구획된 상부 공간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탱크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통기공이 복수개 교차 배치되는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pping part is a flat-panel tank with an enclosed space formed therein, and is horizontally installed so that the e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ormed through hole and the drain hole for discharging and dropping the toilet water filled in the tank toward the partitioned lower spac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nk so that the air cleaned by the falling toilet water can move toward the partitioned upper space An air cleaner using flush toilet water in which a plurality of vent holes passing through th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변기 뒷면에 설치된 저수탱크이고, 상기 공기 배출로에는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풍도(風道)가 더 연결되며 풍도는 건물 천정부의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using is a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one or more toilet bowls, and a wind passage for moving air to an external spac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assage, and the wind passage uses flush toilet water that can be disposed in an empty space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air cleaner.
제 5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측 하부공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낙수음 방지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낙수음 방지 판은 빗변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낙하하는 변기 용수 물방울이 낙수음 방지 판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nti-fall plate provided in the inner lower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anti-fall plate is formed to have a hypotenuse plate shape so that falling toilet water droplets flow down the surface of the drip-proof plate. used air cleaner.
KR1020200003567A 2020-01-10 2020-01-10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KR102262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67A KR102262223B1 (en) 2020-01-10 2020-01-10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67A KR102262223B1 (en) 2020-01-10 2020-01-10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223B1 true KR102262223B1 (en) 2021-06-09

Family

ID=7641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567A KR102262223B1 (en) 2020-01-10 2020-01-10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22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457A (en) * 1997-04-14 1998-11-04 Satoyuki Kobayashi Flush toilet tank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030075641A (en) * 2002-03-20 2003-09-26 정은수 Apparatus for the flow of use water cold-heating
JP2009219537A (en) * 2008-03-13 2009-10-01 Shizuo Nakamura Air cleaning device
KR20130055719A (en) * 2011-11-19 2013-05-29 임기복 Air cleaner and air washer
KR20150114863A (en) * 2014-04-02 2015-10-13 임기복 Air Cleaning Devices
KR102052851B1 (en) * 2019-04-25 2019-12-05 김정대 Air purifiers using raindrop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457A (en) * 1997-04-14 1998-11-04 Satoyuki Kobayashi Flush toilet tank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030075641A (en) * 2002-03-20 2003-09-26 정은수 Apparatus for the flow of use water cold-heating
JP2009219537A (en) * 2008-03-13 2009-10-01 Shizuo Nakamura Air cleaning device
KR20130055719A (en) * 2011-11-19 2013-05-29 임기복 Air cleaner and air washer
KR20150114863A (en) * 2014-04-02 2015-10-13 임기복 Air Cleaning Devices
KR102052851B1 (en) * 2019-04-25 2019-12-05 김정대 Air purifiers using raindro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861B1 (e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KR102031772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0908464B1 (en) Air cleaner
KR100482926B1 (en)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KR101609512B1 (en) Wet Scrubber
KR101752965B1 (en) The filtration method of bad smell and fine dust and thereof device
KR102256116B1 (e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ir conditioner
JP3755010B2 (en) Air purifier
KR102004675B1 (en) Clean air generator
KR101817092B1 (en) Air cleaner
KR102277573B1 (en) Stand-type fine dust and virus removal device
KR102307537B1 (en) Air condensing system for preventing inflow of out air
KR102262223B1 (en)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
KR101999794B1 (en) Ventilation System of Indoor Air
CN208743330U (en) A kind of use for laboratory intelligent ventilating cabinet
JP2006250396A (en) Smoking room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2110122B1 (en) Air cleaner
KR101573398B1 (en) pavilions for smoking
KR102106596B1 (en) Air cleaner
KR100519301B1 (en) wall air-cleaner combined ventilation function
CN210544288U (en) Air purifying device
JP3893518B2 (en) Indoor air purification and deodorization method and indoor air purifica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CN100498082C (en) Fume sucking machine
KR102242149B1 (en)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KR102521924B1 (en) Indoor air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