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462B1 -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 Google Patents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462B1
KR102261462B1 KR1020190126737A KR20190126737A KR102261462B1 KR 102261462 B1 KR102261462 B1 KR 102261462B1 KR 1020190126737 A KR1020190126737 A KR 1020190126737A KR 20190126737 A KR20190126737 A KR 20190126737A KR 102261462 B1 KR102261462 B1 KR 10226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security
security code
door lock
up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3875A (en
Inventor
장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비기술
Priority to KR102019012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462B1/en
Priority to US17/311,399 priority patent/US11430280B2/en
Priority to CN202080025495.7A priority patent/CN113678177B/en
Priority to PCT/KR2020/013966 priority patent/WO2021075833A1/en
Publication of KR2021004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4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가 상기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는 주체가 웹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락을 열 수 있고, 사용자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갱신된 비밀번호를 취득하여 도어락을 열 수 있도록 하되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락 개방은 1회성으로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여성 1인 가구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enhanced security door lock and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oor lock, wherein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installed on a doo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un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a keypad on which numeric keys for entering a password are dispose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ecurity code is stored through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security code reader unit for reading the security code when the user portable terminal enters within a communication radius; a passwor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assword s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a security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urity code s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urity code read from the security code reader unit matches the security code stored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or whether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keypad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and the security code is an unlocking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unlocking means to switch the door to an unlocked state when the passwords match or the passwords match; and after the unlock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ecurity code matches and unlocks the unlocking means,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the password, and transmit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 and a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for storing the updated security code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and storing the updated passwor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itself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nd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managed by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relay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fix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not used. Of course, security can be greatly strengthened because the subject who renews security code and password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web, the door lock can be conveniently opened us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even if the user's mobile terminal is lost. By acquiring an updated password through authentication and opening the door lock, the door lock opening by the password is limited to one-time use, which enhances security and enhances convenience in use, and is particularly useful for single-woman households.

Description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보안 강화 도어락과, 사용자 휴대 단말을 통해 도어락에 접근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때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oviding improved security when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accessing the door lock through a user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해제하는 장치이다. 통상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읽어들여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In general, a door lock is a device installed on a door to lock/unlock the door. In general, a door lock performs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by inputting a password or read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의 도어락은 비교적 저가이며, 다른 사람(예를 들어, 친구, 집주인, 택배 기사, 검침원 등과 같은)에게 알려주기 편리하지만, 다양한 경로로 유출되기 쉽다.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읽는 방식은 고가이며, 등록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이 불가능하여 세대원이 인증한 다른 사람의 출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자키나 전자태그에 의해 도어락을 개폐하는 방식이 있지만, 전자키나 전자태그의 도난이나 무단 복제 등에 의해 무력화되기 쉽다.A door lock that enters a password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it is convenient to inform other people (eg, a friend, a landlord, a courier, a meter reader, etc.), but it is easy to leak through various routes. The method of reading user biometric information is expensiv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ccess of other persons authenticated by household members is fundamentally blocked because access by unregistered persons is impossible. Another method is to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by means of an electronic key or electronic tag, but it is easy to incapacitate due to theft or unauthorized copying of the electronic key or electronic tag.

한편, 2017년 기준으로 1인 여성 가구는 280만 가구를 넘어섰으며, 2045년에는 380만 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2016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1인 여성 가구의 여성 46%가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37%가 불안 요인으로 범죄 발생을 꼽았다. 형사정책 연구원에 따르면, 1인 여성 가구는 동일한 남성 가구에 비해 주거 침입 피해를 볼 가능성이 1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찰청에 따르면 2014년에서 2017년까지 주거 침입 관련 범죄가 총 7만 1868건에 다다랐으며, 주거침입에 이은 성범죄는 최근 4년간 총 1,310건으로 99.8%는 남성이 가해자였다. 1인 여성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원을 위해 보안성을 강화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도어락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as of 2017, the number of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has exceeded 2.8 million, and is expected to exceed 3.8 million by 2045. And, according to a 2016 survey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46% of women in single-woman households answered that they were uneasy about social safety, and 37% of them cited crime as the cause of anxiety. According to the Crimi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are 11.2 times more likely to suffer from trespassing than male households with the same pers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a total of 71,868 crimes related to house trespassing from 2014 to 2017 were committed, and sexual offenses following house trespassing totaled 1,310 in the past four years, with 99.8% of them being male. There is a demand for a door lock device that is convenient to use while strengthening security for household members who make up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8744호는 지능형 보안 도어락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은 인증된 ID를 송출하는 전자키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도어락에 장치된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도어락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키는 분실되기 쉽고 전자키에 포함되는 ID는 무단으로 복제될 위험성이 높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키를 분실한 경우 도어락을 개방할 수 없어, 특별한 절차를 거쳐 도어락을 강제 개방해야 하며, 여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8744 proposes an intelligent security door lock. The prior document controls to open the door lock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installed on the door lock is input when the electronic key that transmits the authenticated ID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key is easily lost and the ID included in the electronic key has a high risk of being copied without permiss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loses the electronic key, the door lock cannot be opened, and the door lock must be forcibly opened through a special procedure, which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874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8744

본 발명은 도어락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여 특히 여성 1인 가구에 대한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는 주체가 웹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락을 열 수 있고, 사용자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갱신된 비밀번호를 취득하여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the door lock to prevent unauthorized intrusion, especially for single-woman households. The door lock itself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nd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relayed through the user's mobile terminal. By managing it in a remote management server, not only does not use a fix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but also the subject who renew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web, so security can be greatly strengthened, and it is convenient to use the user's mobile terminal A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that can open the door lock securely, and that, even if the user's mobile device is lost, access to the server and obtain an updated passwor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o open the door lock and increase user convenien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door lo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가 상기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를 포함한다.A security-enhanced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installed on an entrance doo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comprising: a lock un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a keypad on which numeric keys for entering a password are dispose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ecurity code is stored through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security code reader unit for reading the security code when the user portable terminal enters within a communication radius; a passwor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assword s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a security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urity code s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urity code read from the security code reader unit matches the security code stored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or whether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keypad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and the security code is an unlocking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unlocking means to switch the door to an unlocked state when the passwords match or the passwords match; and after the unlock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ecurity code matches and unlocks the unlocking means,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the password, and transmit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 and a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for storing the updated security code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and storing the updated passwor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키며,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이후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다시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한다.In the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lock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and, after unlocking the lock unlocking means, temporarily suspends the function of using the password, and prevents the use of the security code. After unlocking the lock unlocking means, the control is performed to activate the function of using the password agai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여 전송한다.In the 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determines that the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and, after unlocking the lock unlocking means, by using the security code, the security code and the When the password is upd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e password is transmitted including the history of use of the passwo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서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한다.The 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turning on a warning ligh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urity code does not match or the password does not match in the unlocking control unit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는 전자적으로 읽기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암호화 하여 전송한다.In the 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code is electronically readable data, the password is data representing a series of numbers, and 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is updated with the user portable terminal. When transmitting the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it is transmitted after being encryp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한 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한다.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code / password update unit when transmitting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After relaying to the remot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t transmits the command data instructing it to be dele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보안 강화 도어락 중 어느 하나의 보안 강화 도어락;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 휴대 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과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상기 보안코드,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하며, 중계 이후에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삭제하며,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발급하며, 사용자가 웹을 통해 접속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알려준다.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of the above-described security-enhanced door lock; a user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security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rough a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storing, and managing the security code, the password, and a history of using the security code and the password for each security-enhanced door lock, The user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from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and relays it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delete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after relaying, and the security management The server issues the updated security code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when there is a next security code issuance request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and informs the updated passwor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we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비밀번호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의 발급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를 구비한다.In the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ecurity management DB for storing and managing a security code for each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password management for storing and managing passwords for each security-enhanced door lock. A DB and a security history management DB for storing and managing a history of issuance and use of security codes and passwords for each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는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는 주체가 웹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락을 열 수 있고, 사용자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갱신된 비밀번호를 취득하여 도어락을 열 수 있도록 하되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락 개방은 1회성으로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여성 1인 가구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oor lock, the door lock itself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nd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managed by a remot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relay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By doing so, not only does not use a fix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but also the subject who renew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web, so security can be greatly strengthened, and the door lock can be conveniently opened us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Even if the user's mobile terminal is lost,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and obtain an updated passwor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o open the door lock. It is especially useful for single-woman househol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보안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door lock operation using a security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door lock operation using a passwor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door secu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parts having similar structures and operations. And,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hape and relative scale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overlapping descriptions or descriptions of obvious techniques in the art are omitted. In addi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othe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described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connected throug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을 예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hanced security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도어락 장치(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키패드(110) 및 레버(120)와, 도어락 장치(100)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 해정 수단(130), 경고부(140), 메모리 수단(150), 근거리 통신 모듈(160), 보안코드 리더부(170),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 및 잠금 해정 제어부(19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110 and a lever 1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and a lock release means 130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device 100 . , a warning unit 140 , a memory unit 150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 a security code reader unit 170 , a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180 , and a lock unlock control unit 190 .

도어락 장치(100)의 전면에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110)와, 출입문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120)가 설치된다. 키패드(110)는 물리적인 숫자 키패드, 터치키, TUI(Touch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숫자 키 아이콘 등이 표시되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잠금 해정 제어부(190)에 의해 도어락이 해정되는 순간 해정 상태를 알리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고, 이때 레버(120)의 동작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사용자가 레베(120)를 조작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On the front of the door lock device 100, a keypad 110 on which number keys for entering a password are disposed, and a lever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re installed. The keypad 110 may include a physical numeric keypad, a touch key, and a touch screen on which a numeric key icon supporting a touch user interface (TUI) is displayed. As with a normal door lock, a voice signal notifying the unlocking state is output at the moment the door lock is unlocked by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At this time, the operation lock of the lever 120 is released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lever 120 to open the door. can be opened

잠금 해정 수단(130)은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0)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나 전동 모터가 구비되며, 출입문에 설치된 걸쇠를 전후진 시켜 문틀에 형성된 걸쇠 홈에 삽입시키거나 후퇴시키는 것으로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시킨다.The unlocking means 130 is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For example, a solenoid or an electric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latch installed on the door is moved back and forth and inserted or retracted into the latch groove formed in the door frame to lock or unlock the door.

경고부(14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 또는 스피커이거나,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광등,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고부(140)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에서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시킨다.The warning unit 140 may be a buzzer or a speaker that generates a warning sound, or may be configured as a warning light, an LED, or the like for visually warning. The warning unit 140 outputs a warning sound or turns on a warning ligh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urity code does not match or the password does not match in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

메모리 수단(150)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152)와, 후술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154)를 포함한다. 메모리 수단(150)은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mory means 150 includes a password storage unit 152 for storing a password designated by a user, and a security code storage unit 154 for storing a security code updated by a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180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s The memory means 150 may be composed of a flash memory or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160)은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160)은 예컨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6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may be configured of modules such as, for examp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luetooth, Wi-Fi, and Zigbee.

보안코드 리더부(17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근거리 통신 모듈(160)의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수단이다. The security code reader unit 170 is a means for reading the security code whe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enters withi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가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출입문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에는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저장하고, 갱신된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저장한다.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180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nd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fter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security code matches and switches the door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Then, the updated security code is stored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154 , and the updated password is store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152 .

예를 들어, 보안코드는 전자적으로 읽기 가능한 데이터로서, 암호화 된 키 정보이다.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 또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에서 갱신되는 신규의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한 것이다.For example, the security code is electronically readable data, which is encrypted key information. A password is a series of numbers or data representing a series of numbers. For example, the new password updated by 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180 is obtained by encrypting data representing a series of numbers.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암호화 하여 전송하며,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 후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는 삭제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대한 해킹을 통해 보안코드나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안코드의 갱신과 함께 비밀번호를 갱신하며(비록 비밀번호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조차도 갱신된 비밀번호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가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180 encrypts and transmit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when transmitting the user mobile terminal 200, and relay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to the remot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command data to be dele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urity code or password from being leaked through hacking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In addition, the password is updated along with the update of the security code (even if the password is not used), and even the user cannot recognize the updated password,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ssword from being leaked without permission.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잠금 해정 수단(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보안코드 리더부(170)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잠금 해정 수단(130)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 상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후술하는 보안 관리 서버(500)에서 신규의 보안코드를 발급받고, 보안코드 리더부(170)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보안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unlocking controller 19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locking means 130 .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security code read from the security code reader unit 170 matches the security code stored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154 and switches the unlocking means 130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control to do For example, when the user runs the security management app o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a new security code is issued from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urity code reader unit 170 is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curity code matches or not by reading the security code.

또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잠금 해정 수단(130)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분실하거나 지참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보안 관리 서버(5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쳐 신규의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110)의 터치스크린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면, 잠금 해정 제어부(190)가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152 and controls the unlocking means 130 to switch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loses or does not bring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the user can access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check the new passwor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And if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password while the touch screen of the keypad 110 is activated,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여기서,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잠금 해정 수단(130)을 해정시킨 후에는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킨다. 즉, 비밀번호가 사용된 이후에는 보안코드의 일치 여부만을 판단해서 잠금 해정 수단(130)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잠금 해정 수단(130)을 해정시킨 이후에는 다시 비밀번호 사용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따라서 비밀번호의 사용을 1회성으로 제한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Here,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and after unlocking the locking unlocking means 130 , temporarily suspends the function of using the password. That is, after the password is used, only whether the security code matches or not, the lock unlocking means 130 is operated. And after unlocking the unlocking means 130 by using the security code to activate the password use function again. Therefore, security can be strengthened by limiting the use of passwords to one-time use.

한편,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보안코드 또는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술한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operates the above-described warning unit 140 when the security code or password does not match.

도 2는 본 발명에서 보안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동작 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door lock operation using a security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oor lock operation using a passwo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도 2를 참조하면,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근거리 통신 모듈(160)의 무선 통신 반경 내로 진입했는지를 판단한다(ST1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조작하여 전용의 앱(App)을 실행시킬 때 근거리 통신 모듈(160)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감지될 때 근거리 통신 모듈(160)이 활성화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nlocking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has entered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radius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ST110).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may be activat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o execute a dedicated App.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is detecte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may be activated.

이후, 보안코드 리더부(17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인다(ST120). 그리고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기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130).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ST140).Thereafter, the security code reader 170 reads the security code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ST12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d security code matches the security code pre-stored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154 (ST130). If they do not match, the warning unit 140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ST140).

만약 단계 ST130에서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을 해정한다(ST150). 이때 도어락의 해정 상태를 비프음이나 다른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urity code matches in step ST130, the door lock is released (ST150). At this time, the un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may be output as a beep sound or other voice signal.

이후,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보안코드 저장부(154) 및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각각 저장한다(ST160). 그리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암호화 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ST170).Thereafter, 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180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s described above, and store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154 and the password storage unit 152, respectively (ST160). ). Then,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ST170).

여기서, 중요한 점 중 하나는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도어락 자체에서 갱신하며,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가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서만 전송된다는 점이다. 만약, 도어락이 웹을 통해 직접 원격의 관리 서버로 보안코드를 전송할 경우, 공용망을 통해 보안코드가 유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도어락은 보안코드가 사용될 때마다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함으로써, 또한, 후술하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와 같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 후 삭제함으로써,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가 웹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 휴대 단말에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Here, one of the important points is that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updated in the door lock itself, and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300). If the door lock directly transmits the security code to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eb, the security code may be leaked through the public network. However,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by itself whenever the security code is used, and also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i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as in the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By transmitting to the remot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and then deleting it,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web and at the same time not remaining i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ereby greatly enhancing security.

또한, 다른 중요한 점은 보안코드만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안코드의 갱신 시에 비밀번호도 함께 갱신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보안코드가 사용되었을 때, 도어락 자체에서 보안코드와 비밀번호를 함께 갱신함으로써, 미사용 비밀번호가 갱신되지 않고 장시간 유지되어 노출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even though only the security code is used, when the security code is updated, the password is also updated. In this way, when the security code is used, by updating the security code and the password together in the door lock itself,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that the unused password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updated and exposed.

도 3을 참조하면,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키패드(11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ST210). 만약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다음 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220).Referring to FIG. 3 , the unlocking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whether a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ST210). If the password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ssword input in the next step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152 (ST220).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연속적으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소정 횟수(예컨대, 5회)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ST230). 단계 ST230에서 'Yes'로 판단되면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ST240).If the passwords do not mat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consecutive password mismatches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eg, 5 times) (ST230). If 'Yes' is determined in step ST230, the warning unit 140 is operated (ST240).

만약 단계 ST220에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을 해정한다(ST250). 이때 도어락의 해정 상태를 비프음이나 다른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words match in step ST220, the door lock is unlocked (ST250). At this time, the un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may be output as a beep sound or other voice signal.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비밀번호에 의해 도어락이 개방되는 경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킨다. 즉, 이후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락이 개방될 수 없다.The unlocking control unit 190 temporarily suspends the function of using the password when the door lock is opened by the password. That is, thereafter, the door lock cannot be opened by inputting the password.

다음으로, 보안코드를 사용하여 도어락이 해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260). 보안코드를 사용하여 도어락이 해정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or lock is unlocked using the security code (ST260). The process of unlocking the door lock using the security cod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만약, 보안코드를 사용하여 도어락이 해정되었다면, 도 2의 ST160 및 ST170을 진행하며,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전송할 때 이전의 비밀번호 사용이력을 포함하여 전송한다(ST270).If the door lock is unlocked using the security code, ST160 and ST170 of FIG. 2 are performed, and when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upd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he previous password usage history is transmitted (ST270). ).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store and manage the password usage history in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follows.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과,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보안 관리 서버(500)로 구성된다.The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 a user portable terminal 200 , and a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전용의 단말기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는 보안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전용의 앱(App)이 설치될 수 있다.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through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and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300 .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a dedicated terminal, but is preferably a smartphone. A dedicated app for managing the security code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본 발명에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보안 관리 앱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으로부터 도 2의 단계 ST170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 또는, 도 3의 단계 ST270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 사용이력을 보안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 후에 자체적으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삭제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serves to relay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updated in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to the remot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 And the security management app installed i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i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updated by step ST170 of FIG. 2 from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or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updated by step ST270 of FIG. And after transmitting the password usage history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can be programmed to delete the self-renew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보안 관리 서버(500)는 광대역 이동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통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안 관리 서버(500)는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코드 관리 DB(510)와,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비밀번호 관리 DB(520)와,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의 발급 이력과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530)를 구비한다.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400 . Referring to FIG. 4 ,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stores and manages a security code management DB 510 for storing and managing security codes for each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 and a password for storing and managing passwords for each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 A management DB 520 and a security history management DB 530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issuance history and usage history of security codes and passwords for each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are provided.

본 발명에서 보안 관리 서버(500)는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직접 생성하지 않는다. 단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통해 중계 받은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보안 강화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갱신된)를 저장하고 관리할 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does not directly generate a security code and password. It only stores and manage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renewed by itself in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relayed through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보안코드 관리 DB(510)에 저장된 최신의 보안코드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When there is a security code issuance request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transmits the latest security code stored in the security code management DB 510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after going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보안 관리 서버(500)로 인증 요청이 전송된다.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의 전화번호 또는 Mac address를 인식하여 보안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security management app i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an authentication reques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may issue a security code by recognizing the phone number or Mac address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

또한,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을 이용하여 웹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하거나 공인인증서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관리 DB(520)에 저장된 최신의 비밀번호를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e web using a computer terminal capable of the Internet,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checks the user's ID and password or checks the public certificat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latest information stored in the password management DB 520 . You can provide a passwor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광대역 이동 통신망(600)을 통해 보안 관리 서버(5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연결되는 경찰청 서버(700), 보호자 휴대 단말(800), 또는 기타 다른 서버나 단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4, the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or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600, the National Police Agency server 700, the guardian portable terminal 800) , or other servers or terminals may be further included.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보안 관리 앱은 사용자가 특정 키, 키 조합, 앱 실행화면 상에 배치되는 비상상황 알림 아이콘 등을 입력할 경우, 보안 관리 서버(500), 경찰청 서버(700), 또는 보호자 휴대 단말(800)로 비상상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1인 가구의 세대원이 출입문을 열기 위해 대기 중이거나 출입문 앞에서 치한이 접근한 경우 비상상황 메시지가 보안 관리 서버(500) 또는 미리 지정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The security management app installed i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is a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the National Police Agency server 700, when the user inputs a specific key, key combination, an emergency notification icon, etc. placed on the app execution screen, Alternatively, an emergency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portable terminal 800 . For example, when a member of a single female household is waiting to open a door or a molester approaches the door, an emergency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or a pre-designated server or terminal.

또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 보안 강화 도어락(100)으로 비상상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보안코드에 의한 도어락 해정 기능을 정지시키고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서만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도록 기능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탈취되어 탈취자에 의해 무단으로 도어락이 해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may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to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300 . At this time,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may stop the function of unlocking the door lock by the security code and the function may be switched to unlock the door lock only by inputting a passwor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from being stolen and the door lock being unlocked by the steal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door secu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a data flow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고자 사용자 휴대 단말(200) 상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보안 관리 서버(500)로 보안코드 발급 요청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①).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쳐 보안코드를 발급한다(단계 ②).When the user runs the security management app o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o open the door, a security code issuanc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step ①).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issues a security code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step ②).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보안 강화 도어락(100)의 근거리 무선 반경 이내로 접근한 후에, 사용자가 앱 화면 상에서 도어 열기 아이콘을 입력하는 경우, 또는,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서 잠금 해정 제어부(190)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보안 강화 도어락(100)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저장된 보안코드를 읽어 들인다(단계 ③).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기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④).After the user mobile terminal 200 approaches within a short-distance wireless radius of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when the user inputs the door open icon on the app screen, or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unlocks the lock control unit 190 is automatically activated, the security enhanced door lock 100 reads the security code stored in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step ③).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determines whether the read security code matches the pre-stored security code (step ④).

단계 ① 내지 단계 ④를 대체하여 사용자가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 구비된 키패드(110)를 통해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단계 ⑤).When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password through the keypad 110 provided in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by replacing steps ① to ④,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pre-stored password. There is (step ⑤).

단계 ① 내지 ④를 통해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락을 해정하고,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갱신한 후 자체적으로 보안코드 저장부(154) 및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각각 저장한다(단계 ⑥).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urity code matches through steps ① to ④, unlock the door lock, update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and then store them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154 and the password storage unit 152 by themselves (steps) ⑥).

그리고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단계 ⑦). 이때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암호화 하여 전송하며,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서버 측으로 중계한 이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And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transmit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step ⑦). At this time,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re encrypted and transmitted, and command data instructing to delete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after relaying to the server side can be transmitted.

만약, 단계 ⑤를 통해 사용자 입력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도어락을 해정한다. 그리고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락이 해정되는 경우 비밀번호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후 도 3의 ST260에 따라 보안코드에 의한 도어락 해정을 판단한 후, 단계 ST270에 따라 단계 ⑦에서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와 함께 이전의 비밀번호 사용이력을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전송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put password matches through step ⑤,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unlocks the door lock. And when the door lock is unlocked by entering the password, the password use function is temporarily stopped. After determining the unlocking of the door lock by the security code according to ST260 of FIG. 3 , the previous password usage history is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updated in step ⑦ according to step ST270.

단계 ⑦에 이어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다(단계 ⑧).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의 명령에 의해, 또는, 보안 관리 앱의 자체적인 기능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를 보안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 후 내부의 일시 저장 메모리에서 삭제한다(단계 ⑨).Following step ⑦,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relay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password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step ⑧).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relays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updated by the command of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100, or by the self-function of the security management app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and then temporarily stores the inside Delete from memory (step ⑨).

보안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와 함께 보안코드/비밀번호 사용 이력 등의 보안이력을 업데이트 한다(단계 ⑩). 보안 관리 서버(500)는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보안코드 관리 DB(510)에 저장된 최신의 보안코드를 발급하며, 웹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비밀번호 관리 DB(520)에 저장된 최신의 비밀번호를 안내한다.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updates the security history such as the security code/password usage history together with the security code and password received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 (step ⑩).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issues the latest security code stored in the security code management DB 510 when the next security code issuance request occurs, and passes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web to the password management DB 520 It guides you to the latest saved password.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isclosed above without detracting from the basic idea. That is, all of the above embodim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no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f the components limited in the appended claims are substituted with equivalents, it should be consider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도어락 장치(보안 강화 도어락)
110 : 키패드 120 : 레버
130 : 잠금 해정 수단 140 : 경고부
150 : 메모리 수단 152 : 비밀번호 저장부
154 : 보안코드 저장부 160 : 근거리 통신 모듈
170 : 보안코드 리더부 180 :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
190 : 잠금 해정 제어부 200 : 사용자 휴대 단말
220 : 손가락 300 : 무선 근거리 통신망
400 : 광역 이동 통신망 500 : 보안 관리 서버
510 : 보안코드 관리 DB 520 : 보안이력 관리 DB
600 : 광역 이동 통신망 700 : 경찰청 서버
800 : 보호자 휴대 단말
100: door lock device (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110: keypad 120: lever
130: unlocking means 140: warning unit
150: memory means 152: password storage unit
154: security code storage unit 16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70: security code reader unit 180: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190: lock unlock control unit 200: user mobile terminal
220: finger 300: wireless local area network
400: wide area mobile network 500: security management server
510: security code management DB 520: security history management DB
600: wide are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00: National Police Agency server
800: guardian mobile terminal

Claims (8)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가 상기 보안코드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 및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코드는 전자적으로 읽기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비밀번호는 일련의 숫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원격의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한 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암호화 하여 전송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In the door lock installed on the doo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locking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a keypad on which numeric keys for entering a password are dispose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ecurity code is stored through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security code reader unit for reading the security code when the user portable terminal enters within a communication radius;
a passwor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assword s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a security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urity code s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loc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urity code read from the security code reader unit matches the security code stored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or whether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keypad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and the security code is an unlocking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unlocking means to switch the door to an unlocked state when the passwords match or the passwords match; and
After the unlock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ecurity code matches and unlocks the lock unlocking means, updates the security code and the password, and transmit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A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for storing the updated security code in the security code storage unit and storing the updated passwor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includes,
The security code is electronically readable data, the password is data representing a series of numbers, and 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transmit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A security-enhanced door lock that transmits the encrypted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including command data for instructing to be deleted after relaying to a remote security management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일시 정지시키며,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이후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기능을 다시 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According to claim 1,
The unlock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and, after unlocking the lock unlocking means, temporarily suspends the function of using the password, and uses the password after unlocking the locking unlocking means by using the security code. A security-enhanced door lock that controls to re-enable the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비밀번호 갱신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일치로 판단하여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해정시킨 후에는, 상기 보안코드의 사용에 의해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를 갱신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security code/password update unit determines that the password matches and unlocks the lock unlocking means, the security code and the password are updated by using the security code and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of the password. Security-enhanced door locks that transmit, including usage hist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서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According to claim 1,
Security-enhanced door lock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turning on a warning ligh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urity code does not match or the password does not match in the unlocking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안 강화 도어락;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 휴대 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과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상기 보안코드,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보안코드 및 상기 비밀번호의 사용 이력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보안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 관리 서버로 중계하며, 중계 이후에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 및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삭제하며,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발급하며, 사용자가 웹을 통해 접속할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갱신된 비밀번호를 알려주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Claims 1 to 4 of any one of the security-reinforced door locks;
a user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security management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rough a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stores, and manages the security code, the password, and the usage history of the security code and the password for each security-enhanced door lock
includes,
The user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from the security-enhanced door lock and relays it to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deletes the updated security code and the updated password after relaying,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ssues the updated security code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when there is a next security code issuance request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and informs the user of the updated passwor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when the user accesses through the web is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비밀번호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의 발급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를 구비하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ecurity management DB that stores and manages a security code for each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 password management DB that stores and manages a password for each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issuance of a security code and password for each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having a security history management DB that stores and manages history and usage history.
KR1020190126737A 2019-10-14 2019-10-14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KR1022614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37A KR102261462B1 (en) 2019-10-14 2019-10-14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US17/311,399 US11430280B2 (en) 2019-10-14 2020-10-14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CN202080025495.7A CN113678177B (en) 2019-10-14 2020-10-14 Security enhancement door lock and access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PCT/KR2020/013966 WO2021075833A1 (en) 2019-10-14 2020-10-14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37A KR102261462B1 (en) 2019-10-14 2019-10-14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875A KR20210043875A (en) 2021-04-22
KR102261462B1 true KR102261462B1 (en) 2021-06-07

Family

ID=7573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737A KR102261462B1 (en) 2019-10-14 2019-10-14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1462B1 (en)
CN (1) CN11367817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46B1 (en) * 2022-12-29 2023-08-04 (주) 담비기술 A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a secur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74B1 (en) * 2022-03-14 2024-04-08 양건화 Access control system using differen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2563152B1 (en) * 2023-01-30 2023-08-04 (주) 담비기술 A loto-bas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42B1 (en) * 2018-03-19 2019-09-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Digital Door-lock Management server and Opening/Closing Controll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Communicating Smartpho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4851B2 (en) * 2004-04-16 2010-06-3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Lock system, portable terminal, computer program, and password invalidation method
KR20100056688A (en)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 a door lock based on body area network in portable terminal
KR101208744B1 (en) 2010-10-25 2012-12-05 김일붕 Intelligent security doorloc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4197761A (en) * 2013-03-29 2014-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KR101376279B1 (en) *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Electrical security locking system for ground facility case
CN205297041U (en) * 2015-04-07 2016-06-08 傅万清 Electronic lock of compatible electron password of NFC cell -phone unblock
KR101726356B1 (en) * 2015-11-17 2017-04-12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 and close of door lock using mobile application
CN205348993U (en) * 2015-12-17 2016-06-29 沈晓春 Bluetooth intelligent security lock
KR101829018B1 (en) * 2016-04-12 2018-02-13 주식회사 차후 Digital doorlock system
CN106131179A (en) * 2016-07-05 2016-11-16 林哲敏 The password Rights Management System of a kind of intelligent door lock and method
JP6544371B2 (en) * 2017-03-09 2019-07-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Key unit, vehicle
CN109754503A (en) * 2018-12-12 2019-05-14 胡渐佳 Intelligent door lock method for unloc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42B1 (en) * 2018-03-19 2019-09-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Digital Door-lock Management server and Opening/Closing Controll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Communicating Smart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46B1 (en) * 2022-12-29 2023-08-04 (주) 담비기술 A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a secur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875A (en) 2021-04-22
CN113678177A (en) 2021-11-19
CN113678177B (en)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CN107889536B (en) Lock and method for redundant access control
KR101296863B1 (en) Entry authentication system using nfc door lock
US96726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KR102261462B1 (en)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KR10162374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of the home network system
TW20170689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ndant access control systems based on mobile devices
CA2399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TWI492191B (en) Security System
KR101995663B1 (en) Keyless doorlock system and mathod
CN108712389A (en) A kind of intelligent lock system
KR1016024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ck device using the server and the terminal
KR102239274B1 (en)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KR20200048418A (en) Smart door lock
JP2004120257A (en) Lock management system and lock management method
KR101236581B1 (en) Security service system with a ??self-authentication registration function
KR101230369B1 (en) The door-lock apparatus available to prevent hacking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smart-keys using the same
Raju et al. Smart lock controlled using voice call
US11430280B2 (en)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KR102239276B1 (en) 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JP6796804B2 (en) Electric lock system and electric lock device
TWM491703U (en) Security system
JP2015176411A (en) Room entry/exit management system
KR20200080893A (en) Smart doorlock
KR102182152B1 (en) Digital DoorLock Control Method of Smart Terminal with Keypad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