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22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222B1
KR102260222B1 KR1020200118801A KR20200118801A KR102260222B1 KR 102260222 B1 KR102260222 B1 KR 102260222B1 KR 1020200118801 A KR1020200118801 A KR 1020200118801A KR 20200118801 A KR20200118801 A KR 20200118801A KR 102260222 B1 KR102260222 B1 KR 10226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review
importance
reading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삼락
김의영
김상분
이창묵
전민찬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20011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2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7Query execution using vector based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to generate a reading review through a question and an answer on the pages of an electronic book.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sets a priority for each page of an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page set based on text information, detects key sentences from text information of key pages detected based on the priority, outputs a review generation screen including key page images, key sentences, query sentences, and a plurality of sample words, generates a review per a page which combines a review reference sentence with on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ample words, and generates a reading review which combines reviews per a page of pages set as key pages.

Description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review of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독서 감상문 작성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령이 낮은 사용자가 독서한 전자도서의 독서 감상문을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user's reading review,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user's reading review so that a younger user can easily write a reading review for an e-book read will be.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독서를 위해서 온오프라인 서점, 출판사 등에서 실물도서를 구입한다. 이때, 사용자는 비용을 실물도서를 구입하여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비치하거나, 이동 중에 실물도서를 읽는다.In general, users purchase real books from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and publishers for reading. In this case, the user purchases the actual book and keeps it at home or in the office, or reads the real book while moving.

최근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전자도서 전용 태블릿 등과 같이 전자 도서를 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도서(E-Book)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온라인 서점에 비용을 지불한 후 휴대 단말에 전자도서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휴대 단말에 저장된 전자도서를 실행하여 전자도서를 읽는다.In recent years, as the prevalence of portable terminals having an electronic book output function, such as a smartphone, a smart tablet, an e-book-only tablet, etc., increases, the use rate of e-books is increasing. In this case, the user pays the online bookstore, downloads and stores the e-book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reads the e-book by executing the e-book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사용자는 전자도서의 내용을 독서하는 것만으로 그 책의 내용을 완벽하게 파악 또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책의 내용을 정리한 감상문(독후감)을 작성한다.Because users cannot fully grasp or understand the contents of an e-book only by reading the contents of the e-book, most of the users write a review (review) that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book.

이에, 휴대 단말은 전자도서를 독서한 사용자가 독서 감상문을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기능, 스크랩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성인이나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텍스트 입력 및 스크랩 기능만으로도 어느정도 독서 감상문을 작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a text input function, a scrap function, and the like to support a user who has read an electronic book to easily write a reading review. In the case of adults 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is possible to write a reading review to some extent only with text input and scrap functions.

하지만,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육하원칙에 따른 문장 작성, 요약문 작성 등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텍스트 입력 및 스크랩 정도의 기능만을 이용해 독서 감상문을 작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is difficult to write a reading review using only the functions of inputting text and scraping because learning about writing sentences and writing summaries according to the six-and-a-half principle has not been completed.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are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한국등록특허 제10-1645815호(독서 감상문 작성 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45815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a reading review)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에 대한 질의 응답을 통해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도록 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전자 도서의 페이지 이미지 및 주요 문장과 질문 및 답변 예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답변을 이용해 한 줄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전자 도서의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도록 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ading reviews that generate reading reviews by answering questions about pages of an electronic book.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ge image of an electronic book, main sentences, and examples of questions and answers, generates a one-line reading review using the answer selected by the user, and combines them to create a reading review of the electronic boo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view.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독서 감상문을 쓰기 어려워 하는 저학년 사용자에게 전자 도서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생각하고 질의 응답을 통해 자신의 기분이나 생각을 남김으로써 자연스럽게 독서 감상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rough th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low-grade users who have difficulty in writing reading reviews so that they can naturally write reading reviews by thinking about key parts of an electronic book and leaving their feelings or thought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는 선택된 전자 도서의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독서 지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도서 정보 저장 모듈, 도서 정보 저장 모듈로 출력한 텍스트 정보 검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고,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 중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를 검출하고,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핵심 문장을 검출하고, 핵심 페이지로 검출된 페이지의 페이지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매핑한 핵심 페이지 이미지와 핵심 문장을 포함한 감상문 생성 요청을 출력하는 페이지 검출 모듈, 페이지 검출 모듈의 감상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핵심 페이지 이미지, 핵심 문장, 질의 문장 및 복수의 보기 어휘를 포함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생성하고, 도서 정보 저장 모듈로부터 기본 문장 검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자에 연계된 감상문 기준 문장을 수신하고, 감상문 기준 문장과 복수의 보기 어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보기 어휘를 조합한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하고, 핵심 페이지로 설정된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조합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감상문 생성 모듈 및 감상문 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하고, 페이지별 감상문 및 독서 감상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and a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downloading and storing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book identifier of a selected electronic book from a reading support server. Receive tex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text information detection request, set the importance of each page of the e-book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set priority for each page of the e-book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page, and prioritize Based on the ranking, one or more pages of the e-book are detected as core pages, core sentences are detected from text information of pages detected as core pages, and page images and text information of pages detected as core pages are mapped. A page detection module that outputs a request to create a review including a core page image and a key sentence, and a page detection module in response to a request to generate a review, generate a screen for creating a review including a core page image, a key sentence, a query sentence, and a plurality of viewing vocabulary , in response to the basic sentence detection request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receive the review reference sentence linked to the page identifier of the core page, and read the review for each page that combines the review reference sentence and one viewing vocabulary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viewing vocabulary Outputs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and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reading impression by combining the impressions for each page of the pages set as the core page, and outputs the impression creation screen generated by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and outputs at least one of the impressions for each page and the reading reviews contains modules.

도서 정보 저장 모듈은 도서 식별자, 페이지 식별자,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정보 및 감상문 기본 문장이 연계되어 구성된 도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may download and store book information configured by linking a book identifier, a page identifier, a page image, text information, and a basic sentence of a review.

페이지 검출 모듈은 도서명과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설정하되,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도서명과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이 단어를 검출하고, 검출한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1 중요도를 설정하고,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텍스트 정보로부터 전자 도서의 등장 인물, 장소 및 사건을 추정할 수 있는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한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2 중요도를 설정하고, 학습 정보를 근거로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학습 단어와 미학습 단어로 구분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되, 학습 단어에 미학습 단어보다 낮은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제3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한 값을 페이지별 중요도로 설정할 수 있다.The page detection module sets the first importance of the page based on the book name and the text information, but detects a word having a similarity with the book name or more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the first value based on the number of detected words Set the importance, extract the words that can estimate the characters, places, and events of the e-book from the text information through the clustering technique, set the second importance based on the number of extracted words, and set the second importance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The importance is set by dividing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into learning words and unlearned words, but the importance is set to the learning words lower than the unlearned words, and the third importance is set by summing the importance of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nd a value obtained by adding up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level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may be set as the importance level for each page.

페이지 검출 모듈은 우선 순위를 근거로 핵심 페이지를 검출하되, 페이지별 중요도가 설정값 이상이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할 수 있다.The page detection module may detect a core page based on the priority, but may detect a page in which the importance of each p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as the core page.

페이지 검출 모듈은 텍스트 정보로부터 검출한 각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문장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문장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검출할 수 있다.The page detection module may set the sentence importance by summing the importance of words included in each sentence detected from the text information, and may detect a sentence having the highest sentence importance among sentence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s a core senten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는 사용자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감상문 생성 모듈은 사용자 문장을 더 포함하는 독서 감상문을 생성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impre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 sentence, and the impression generating module may generate a reading impression further including the user sente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은 전자 도서의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독서 지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한 도서 정보의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 중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핵심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핵심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매핑한 핵심 페이지 이미지, 핵심 문장, 질의 문장 및 복수의 보기 어휘를 포함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한 도서 정보로부터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자에 연계된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 감상문 생성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보기 어휘 중에서 선택된 답변 어휘 및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감상문 기본 문장을 조합한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에서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조합하여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ownloading and storing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book identifier of an electronic book from a reading support server, and storing the book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ing step.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of each page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the step of detecting one or more pages among the pages of the e-book as a core page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page set in the setting step, the step of detecting the core page as a core page The step of detecting a key sentence from the text information of the page, the step of outputting the impression generation screen including the page image of the core page and the core page image mapped with the text information, the key sentence, the query sentence, and a plurality of viewing vocabularies, the step of saving Detecting basic sentences of impressions linked to the page identifier of the core page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ed in , the basic sentences of impressions detected in the steps of detecting the answer vocabulary and basic sentence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view words included in the impression creation screen It may include generating a reading review by combining the page-by-page impressions of the pages detected as the core page in the step of generating a review for each page and the step of detecting as the core page.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도서 식별자, 페이지 식별자,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정보 및 감상문 기본 문장이 연계되어 구성된 도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the storing step, book information composed of a book identifier, a page identifier, a page image, text information, and a basic sentence of a review may be downloaded and stored.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도서명과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도서명과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이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1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includes the step of setting the first importance of the page based on the book name and text information, and in the step of setting the first importance, the similarity with the book name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importance may be set based on the number of these words.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제2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전자 도서의 등장 인물, 장소 및 사건을 추정할 수 있는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2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etting the second importance by a clustering technique using text information, and in the step of setting the second importance, the characters, places and The second importance may be set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from which the event can be estimated.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학습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제3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학습 정보를 근거로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학습 단어와 미학습 단어로 구분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되, 학습 단어에 미학습 단어보다 낮은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제3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etting a third importance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text information, and in the step of setting the third importance,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are selected as learning words. and the unlearned word to set the importance, but a lower importance than the unlearned word may be set for the learned word, and the third importance may be set by summing the importance of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한 값을 페이지별 중요도로 설정하는 단계, 페이지별 중요도로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is the step of setting the sum of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value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as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and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e-book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priority on the page.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는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설정된 우선 순위를 기준으로 핵심 페이지를 검출하되, 페이지별 중요도가 설정값 이상이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as a core page, a core page is detected based on the priority set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set in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but a page whose importance for each page exceeds the set value can be detected as a core page. have.

핵심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텍스트 정보로부터 검출한 각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문장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문장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검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the key sentence, the importance of the words included in each sentence detected from the text information is summed to set the sentence importance, and the sentence having the highest sentence importance among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can be detected as the core sentence.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은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문장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페이지별 감상문과 사용자 문장을 조합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할 수 있다.The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a user sentence before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review, and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review, the reading review by combining the review for each page and the user sentence can create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전자 도서의 핵심 페이지에 대해 질의 답변 과정을 통해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하고, 이들을 이용해 독서 감상문을 생성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과 같이 육하원칙에 따른 문장 작성, 요약문 작성 등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의 사용자도 손쉽게 독서 감상문을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generate a reading review for each page through a question and answer process for key pages of an electronic book, and use them to create a reading review, such a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re is an effect that even a user who has not completed learning about writing a summary can easily write a reading review.

또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대해 중요도를 설정하여 핵심 페이지를 설정하고, 핵심 페이지에 대한 질의 답변 과정을 통해 독서 감상문을 생성함으로써, 전자 도서의 중요한 내용이 독서 감상문에서 제외되는 것을 방지하여 독서 감상문 적성이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도 손쉽게 독서 감상문을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set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of the e-book to set the core page, and generate a reading review through the question and answer process for the core page, so that the important content of the e-book is the reading review By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excluded from reading reviews,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reading reviews can easily write reading reviews.

또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은 핵심 페이지 설정을 위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어휘 학습이 미숙한 사용자들에게 어휘 학습의 기회를 부여하면서 독서 감상문을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has the effect of using the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information to set a core page, thereby giving users who are inexperienced in vocabulary learning an opportunity to learn vocabulary while writing a reading review.

또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타이핑을 통해 직접 입력한 문장을 독서 감상문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생각이 추가된 독서 감상문을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has an effect of writing a reading review to which the user's personal thoughts are added by reflecting a sentence directly input by the user through typing in the reading revie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도서 정보 저장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페이지 검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12는 도 2의 감상문 생성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도 13에서 페이지별 중요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writing review for rea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of FIG.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age detection module of FIG. 2 ;
6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impression generation module of FIG.
13 and 14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tep of calculating an importance level for each page in FIG. 13 ;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xplain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독서 지원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독서 지원 서버(200)로부터 도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도서 정보를 이용해 전자 도서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독서가 완료되면 독서 감상문 작성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전자 도서의 독서에 사용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전자 도서 전용 리더기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독서를 지원하기 위해 전자 도서를 출력하는 기술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100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reading support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downloads and stores book information from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outputs an electronic book by using the book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s reading is completed, it operates in a reading review writing mode. Her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may be a smartphone, tablet, e-book reader, etc. used for reading e-books, and the technology for outputting e-books to support the user's reading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ince it may be applie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 페이지 검출 모듈(120), 감상문 생성 모듈(130), 출력 모듈(140), 입력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includes a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 a page detection module 120 , a review writing module 130 , an output module 140 , and an input module 150 . is composed by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의 중앙처리장치(미도시)는 사용자가 전자 도서의 독서를 완료하면 독서 감상문 작성 모드 진입으로 판단하고, 감상문 작성 모드 진입 요청을 출력한다.When the user completes reading of the electronic book, the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reading review writing mode and outputs a request for entering the reading review writing mode.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중앙처리장치(미도시)의 감상문 작성 모드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도서 리스트 출력 요청을 생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생성한 도서 리스트 출력 요청을 출력 모듈(140)로 전송한다.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book list output request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entering the review writing mode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transmits the generated book list output request to the output module 140 .

출력 모듈(14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도서 리스트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도서 리스트 화면을 출력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로부터 도서 리스트 출력 요청을 수신하면, 출력 모듈(140)은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로부터 도서명을 검출하고, 도서명을 리스트 형태로 구성한 도서 리스트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 모듈(140)은 도서명과 연계된 도서 표지 이미지를 도서명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a book list screen in response to the book list output request of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 Upon receiving the book list output request from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 the output module 140 detects the book name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and outputs a book list screen in which the book name is configured in a list form. 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140 may output the book cover image associated with the book name together with the book name.

입력 모듈(150)은 출력 모듈(140)에서 출력된 도서 리스트 화면에 포함된 도서명 중 하나를 도서 선택 정보로 입력받는다. 일례로, 출력 모듈(140)에서 도서 리스트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서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도서명(또는 도서 표지 이미지) 중 하나를 터치하면, 입력 모듈(150)은 도서 리스트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의 좌표인 터치 좌표를 검출하여 도서 선택 정보로 입력받는다. 입력 모듈(150)은 터치 좌표인 도서 선택 정보를 감상문 생성 모듈(130)로 전송한다.The input module 150 receives one of the book names included in the book list screen output from the output module 140 as book sele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one of the book names (or book cover images) displayed on the book list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the book list screen, the input module 150 allows the user to touch the book list screen on the book list screen. Touch coordinates, which are coordinates of an area, are detected and input as book selection information. The input module 150 transmits the book selec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ouch coordinate, to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입력 모듈(150)의 도서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로 도서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전송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입력 모듈(150)의 도서 선택 정보로부터 터치 위치 좌표를 검출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터치 위치 좌표를 근거로 도서 리스트 화면으로부터 도서명을 검출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검출한 도서명을 포함한 도서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생성하여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로 전송한다.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transmits a book information download request to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in response to the book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module 150 .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detects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s from the book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module 150 .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detects the book name from the book list screen based on the touch location coordinates.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book information download request including the detected book name and transmits it to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도서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독서 지원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도서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도서 정보 다운로드 요청으로부터 도서명을 검출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기저장된 도서 리스트 정보 중에서 검출한 도서명에 연계된 도서 식별자를 검출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검출한 도서 식별자를 포함한 도서 정보 전송 요청을 생성하여 독서 지원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도서 식별자와 도서명이 연계된 도서 리스트 정보를 저장한다.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downloads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ook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book information download request of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detects a book name from the book information download request of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detects a book identifier linked to the detected book name from the pre-stored book list information.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generates a book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including the detected book identifier and transmits it to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 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stores book lis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book identifier and a book name.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도서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도서 식별자, 페이지 식별자,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정보, 감상문 기본 문장을 포함한 도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도서 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감상문 생성 모듈(130)로 다운로드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receives and stores the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ook identifier in response to the book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receives and stores book information including a book identifier, a page identifier, a page image, text information, and a basic sentence of a review.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transmits a download completion signal to the review writing generating module 130 when the storage of the book information is completed.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도서 식별자 컬럼, 페이지 식별자 컬럼, 페이지 이미지 컬럼, 텍스트 정보 컬럼, 감상문 기본 문장 컬럼을 포함한 저장 테이블에 도서 정보를 저장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도서 정보에 포함된 도서 식별자, 페이지 식별자,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정보, 감상문 기본 문장을 도서 식별자 컬럼, 페이지 식별자 컬럼, 페이지 이미지 컬럼, 텍스트 정보 컬럼, 감상문 기본 문장 컬럼에 각각 저장한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stores book information in a storage table including a book identifier column, a page identifier column, a page image column, a text information column, and a basic sentence column of a review.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stores the book identifier, page identifier, page image, text information, and review basic sentences included in the book information in the book identifier column, page identifier column, page image column, text information column, and review basic sentence column. save each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의 다운로드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도서명을 포함하는 페이지 검출 요청을 생성하고, 페이지 검출 요청을 페이지 검출 모듈(120)로 전송한다.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page detection request including a book name in response to the download completion signal of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 and transmits the page detection request to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페이지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텍스트 정보 검출 요청을 생성하고, 텍스트 정보 검출 요청을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로 전송한다.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generates a text information detection request in response to the page detection request of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 and transmits the text information detection request to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페이지 검출 모듈(120)의 텍스트 정보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텍스트 정보에 연계된 페이지 식별자를 함께 검출하고, 페이지 식별자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페이지 검출 모듈(120)로 전송한다.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detects tex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text information detection request of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detects a page identifier associated with text information together,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page identifier and text information to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

텍스트 정보 검출 요청에 대한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응답 신호로부터 페이지 식별자 및 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검출한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한다.Whe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to the text information detection request,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a page identifier and text information from the response signal.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importance of each page of th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detected text information.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페이지 검출 요청으로부터 도서명을 검출하고, 검출한 도서명을 텍스트 정보와 비교하여 제1 중요도를 설정한다. 이때,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설정하되,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도서명과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이 단어를 검출하고, 검출한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1 중요도를 설정한다. 다시 말해,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와 도서명을 비교하여 제1 중요도를 설정하며, 도서명과 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많이 포함한 텍스트 정보에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중요도를 설정한다.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a book name from the page detection request of the review writing module 130 , compares the detected book name with text information, and sets a first importance level. In this cas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first importance level of the page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but detects a word having a similarity with a book name of more than a reference value among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number of detected words to set the first importance. In other words,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first importance by comparing the word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with the book name, and sets a relatively high first importance to the text information including many words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book name.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도서명이 "이순신 장군은 혼자가 아니야!"이면,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제1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배", "일본", "학", "날개", "수군", "이순신", "장군", "조선", "승리"를 도서명과 유사도가 높은 단어로 검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제2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일본군", "이겼나봐", "만세", "승리"를 도서명과 유사도가 높은 단어로 검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제1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에서 검출한 단어가 제2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에서 검출한 단어보다 많으므로 제1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제2 페이지의 제1 중요도보다 높게 설정한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5 , if the book name is “General Yi Sun-sin is not alon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ship”, “Japan”, “crane”, “wings” from the text information of the first page. ", "Sugun", "Sun-Shin Yi", "General", "Joseon", and "Seungri" are detected as words with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o the book nam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Japanese Army", "I think I won", "Hurray", and "Victory" as words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book name from the text information of the second pag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first importance of the first page to be higher than the first importance of the second page because the number of words detected in the text information of the first pag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words detected in the text information of the second page .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제1 중요도 산출이 완료되면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각 페이지에 대한 제2 중요도를 설정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로부터 등장 인물(예를 들면, 이름, 호칭, 별명 등), 장소, 사건 등을 추정할 수 있는 단어를 추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검출한 단어 수가 많은 페이지에 상대적으로 높은 제2 중요도를 설정한다.When the first importance calculation is completed,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second importance for each page through the clustering techniqu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extracts words from which characters (eg, names, titles, nicknames, etc.), places, and events can be estimated from the text information.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a relatively high second importance to a page having a large number of detected words.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의 학습 정보와 비교하여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독서 지원 서버(200)로 학습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학습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어휘별 학습 여부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수신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각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어휘(단어)와 학습 정보를 비교하여 각 페이지에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학습 정보를 근거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학습 단어와 미학습 단어로 구분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되, 학습 단어에 미학습 단어보다 낮은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compares the text information with the user's learning information and sets the third importance level.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transmits a learning information request to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 and receives learning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o learn each vocabulary in response to the learning information request.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compares the vocabulary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of each page with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sets the third importance level for each pag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importance by classifying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into learned words and unlearned words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but sets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 words to a lower level than the unlearned words, and sets the importance to the text information. The third importance is set by adding up the importance of the included words.

일례로,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어휘 각각의 중요도를 설정하되, 학습된 어휘에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설정하고, 학습이 안된 어휘에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설정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의 모든 어휘에 중요도 설정이 완료되면 어휘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텍스트 정보의 제3 중요도로 설정한다. 이때,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학습된 어휘가 많은 텍스트 정보에 상대적으로 낮은 제3 중요도를 설정하고, 학습된 어휘가 적은 텍스트 정보에 상대적으로 높은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 For exampl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importance of each vocabulary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sets a relatively low importance to a learned vocabulary, and sets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to an unlearned vocabulary. When the importance setting for all vocabulary of text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adds up the importance of the vocabulary and sets the third importance level of the tex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a relatively low third importance to text information having a large number of learned vocabulary, and sets a relatively high third importance to text information having a small number of learned vocabulary.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하여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고,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우선순위를 설정한다.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priorities for each page of th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levels.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by adding up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level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and sets the priority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우선순위를 근거로 전자 도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페이지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핵심 페이지를 검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우선순위를 근거로 복수의 핵심 페이지를 검출한다. 이때,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중요도가 설정값 이상인 페이지들을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다.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one or more key pages from among a plurality of pages constituting th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priority.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one or more pages as a core page in the order of priority.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a plurality of core pages based on the priority. In this cas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pages having an impor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as core pages.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핵심 문장을 검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의 각 문장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텍스트 정보로부터 검출한 각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문장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문장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검출한다. 이때, 각 문장의 중요도 설정은 도서명과의 유사도, 클러스터링 기법 등을 통해 수행되며, 상술한 페이지의 중요도 설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장을 해당 페이지의 핵심 문장으로 검출한다.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a core sentence from text information of a page detected as a core pag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importance of each sentence of text information.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sets the sentence importance by summing the importance of words included in each sentence detected from the text information, and detects a sentence having the highest sentence importance among sentence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s a core sentence. At this time, the importance setting of each sentence is performed through similarity with the book name, a clustering technique, etc., and since it is similar to the importance setting of the above-described pag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the sentence with the highest importance as the core sentence of the corresponding page.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핵심 페이지로 검출된 페이지의 페이지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페이지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매핑하여 핵심 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검출한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핵심 문장을 포함한 감상문 생성 요청을 감상문 생성 모듈(130)로 전송한다.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a page image and text information of a page detected as a core pag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generates a core page image by mapping text information to the page imag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transmits a review generation request including the detected core page image and key sentences to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

이때,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우선 순위가 1 순위인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제1 핵심 문장, 내지 우선 순위가 n 순위인 페이지에 대응하는 제n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제n 핵심 문장을 포함하는 감상문 생성 요청을 감상문 생성 모듈(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페이지 검출 모듈(120)은 제1 핵심 페이지 및 제1 핵심 문장을 포함한 제1 감상문 생성 요청, 내지 제n 핵심 페이지 및 제n 핵심 문장을 포함한 제n 감상문 생성 요청을 각각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re page image and a first core sentence corresponding to a page having a priority of 1, or an nth core page image and an nth core corresponding to a page having a priority of n. A request for generating a review including a sentence is transmitted to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 Here,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generates and sequentially transmits a first impression generation request including the first core page and the first core sentence, and an nth review generation request including the n-th core page and the n-th core sentence, respectively. may be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페이지 검출 모듈(120)의 감상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감상문 생성 화면을 생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감상문 생성 요청으로부터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핵심 문장을 검출하여 감상문 생성 화면을 생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핵심 페이지 이미지, 핵심 문장, 질의 문장 및 보기 어휘를 포함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구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복수의 핵심 페이지가 포함된 경우 각각의 핵심 페이지에 대응하는 감상문 생성 화면을 구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생성된 감상문 생성 화면을 포함한 출력 요청을 생성하여 출력 모듈(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질의 문장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질의 문장 중 하나이며, 보기 어휘는 질의 문장의 답변으로 연계된 복수의 어휘를 포함한다. 보기 어휘는 질의 문장에 대해 다른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어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view generating screen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generating a review by the page detection module 120 .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view generating screen by detecting a key page image and a key sentence from the review generating request.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configures a review generating screen including a core page image, a key sentence, a query sentence, and a viewing vocabulary. When a plurality of core pages are included,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configures a review generation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core page. The impressio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n output request including the generated impression creation screen and transmits it to the output module 140 . Here, the query sentence is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query sentences, and the example vocabulary includes a plurality of words linked to answers of the query sentences. The example vocabulary may include a vocabulary directly input by another user with respect to the query sentence.

출력 모듈(14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한다. 즉, 출력 모듈(14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출력 요청으로부터 감상문 생성 화면을 검출하여 출력한다.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an impression creation screen in response to the output request of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130 . That is, the output module 140 detects and outputs the impression creation screen from the output request of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130 .

입력 모듈(150)은 출력 모듈(140)에서 출력된 감상문 생성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보기 어휘 중 하나를 답변 선택 정보로 입력받는다. 일례로, 출력 모듈(140)에서 감상문 생성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보기 어휘 중 하나를 터치하면, 입력 모듈(150)은 감상문 생성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의 좌표인 터치 좌표를 검출하여 답변 선택 정보로 입력받는다. 입력 모듈(150)은 터치 좌표인 답변 선택 정보를 감상문 생성 모듈(130)로 전송한다.The input module 150 receives, a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ne of a plurality of view vocabulary included in the impression generation screen output from the output module 140 .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one of a plurality of vocabulary words while the impression creation screen is output from the output module 140, the input module 150 displays the touch coordinates, which are the coordinates of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on the impression creation screen. It is detected and inputted a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The input module 150 transmits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hich is touch coordinates, to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130 .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로 기본 문장 검출 요청을 전송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자를 포함한 기본 문장 검출 요청을 생성하여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로 전송한다.The review writing module 130 transmits a basic sentence detection request to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basic sentence detection request including the page identifier of the core page and transmits it to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기본 문장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기본 문장 검출 요청에 포함된 페이지 식별자와 연계된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한다.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은 검출한 감상문 기본 문장을 포함한 응답 신호를 감상문 생성 모듈(130)로 전송한다.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detects the basic sentences of the impressions in response to the basic sentence detection request of the impressions generation module 130 .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detects a basic sentence of a review associated with a page identifier included in the basic sentence detection request.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basic sentences to the reviews generating module 130 .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도서 정보 저장 모듈(110)의 응답 신호에 응답하여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응답 신호로부터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입력 모듈(150)의 답변 선택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보기 어휘 중 하나를 답변 어휘로 검출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감상문 기본 문장 및 답변 어휘를 조합하여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한다.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view for each page in response to a response signal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0 . The impression generation module 130 detects the basic sentence of the impression from the response signal.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detects one of the plurality of example vocabulary as the answer vocabulary based on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module 150 .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view for each page by combining the basic text of the review and the answer vocabulary.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핵심 페이지가 복수인 경우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핵심 페이지 각각에 대응하는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한다. 즉,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핵심 페이지로 검출된 페이지 수와 동일한 갯수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한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re pages,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view for each p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re pages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at is,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view for each page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pages detected as the core page.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페이지별 감상문을 포함한 페이지별 감상문 출력 요청을 출력 모듈(140)로 전송하고, 출력 모듈(140)은 페이지별 감상문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페이지별 감상문을 화면에 출력한다.The impression generation module 130 transmits a page-by-page impression output request including the page-specific impressions to the output module 140, and 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the impression per page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page-by-page impression output request.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모든 핵심 페이지들에 대한 페이지별 감상문 생성이 완료되면 전자 도서에 대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핵심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조합하여 독서 감상문을 생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핵심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합쳐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한다.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reading review for the electronic book when the page-by-page review for all core pages is completed.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ading review by combining the page-by-page review of the core pages.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ading review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tences by combining the review for each page of the core pages.

일례로,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1 및 제2 핵심 페이지를 검출하고, 제1 핵심 페이지가 한산도 대첩의 학익진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 및 페이지 이미지를 포함하고, 제1 핵심 페이지에 연계된 제1 핵심 문장이 텍스트 정보 중 "마치 학이 날개를 활짝 펼친 것처럼 말이에요"이고, 제2 핵심 페이지가 일본군과의 공성전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 및 페이지 이미지를 포함하고, 제2 핵심 페이지에 연계된 제2 핵심 문장이 텍스트 정보 중 "적들이 퇴각하고 있다! 몽땅 도망치고 있어!"인 것으로 가정한다.As an example,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detects the first and second core pages, the first core page includes text information and page images related to Hakikjin of the Battle of Hansando, and the first core page linked to the first core page The key sentence is "as if a crane spreads its wings wide" among the text information, the second key page contains text information and page images related to the siege with the Japanese army, and the second key sentence linked to the second key page It is assumed that the text information in this text is "The enemies are retreating! They are all running away!"

도 6을 참조하면,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감상문 생성 요청으로부터 제1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제1 핵심 문장을 검출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1 핵심 페이지 이미지의 하단에 제1 핵심 문장을 배치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1 핵심 페이지 이미지에 관련된 질의 문장인 "이 장면 기억나? 너의 느낌은 어땠어?"를 제1 핵심 문장의 하단에 배치하고, 보기 어휘인 "무서웠어요", "놀랐어요", "멋있었어요", "대단했어요", "너무 대단하고 멋졌어요", "엄청 자랑스러웠어요"를 버튼 형태로 구성하여 질의 문장의 하단에 배치함으로써 제1 감상문 생성 화면을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impression generation module 130 detects a first core page image and a first core sentence from the impression generation request.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arranges the first key sentence at the bottom of the first core page image. The impression generation module 130 places the query sentences related to the first core page image, “Remember this scene? How did you feel?”, at the bottom of the first core sentence, and the example vocabulary “I was scared”, “I was surprised”. The first impression creation screen is composed by placing buttons such as "It was great", "It was great", "It was so great and wonderful", and "I was very proud" in the form of buttons and placed at the bottom of the query sentence.

도 7을 참조하면, 출력 모듈(140)에서 제1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기 어휘인 "멋있었어요"를 터치하면,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1 핵심 페이지와 연계된 감상문 기본 문장인 ""마치 학이 날개를 활짝 펼친 것처럼 말이에요"가 있는 장면에서"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보기 어휘와 결합한 ""마치 학이 날개를 활짝 펼친 것처럼 말이에요"가 있는 장면에서 나는 멋있다고 느꼈습니다."를 제1 페이지별 감상문으로 생성한다. 출력 모듈(140)은 제1 핵심 페이지 이미지, 감상문 생성 모듈(130)에서 생성한 제1 페이지별 감상문 및 안내 문장을 포함한 제1 페이지별 감상문 화면을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user touches the viewing vocabulary “it was cool” in a state in which 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the first impression creation screen,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130 generates the impressions linked with the first core page. I felt cool in a scene with ""as if a crane spread its wings", which was combined with the user-selected viewing vocabulary and detected the basic sentence ""as if the crane had spread its wings". It is created as a review for each page of the first page. 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the impression screen for each first page including the first core page image, the review for each first page, and the guide sentence generated by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

도 8을 참조하면,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감상문 생성 요청으로부터 제2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제2 핵심 문장을 검출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2 핵심 페이지 이미지의 하단에 제2 핵심 문장을 배치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2 핵심 페이지 이미지에 관련된 질의 문장인 "이렇게 이야기 한 부분에서 너의 느낌은 어땠어?"를 제2 핵심 문장의 하단에 배치하고, 보기 어휘인 "눈물났어요", "통쾌했어요", "신났어요", "흥분했어요"를 버튼 형태로 구성하여 질의 문장의 하단에 배치함으로써 제2 감상문 생성 화면을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impression generating module 130 detects a second key page image and a second key sentence from the request for generating a review.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arranges the second core sentence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re page image.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130 places the query sentences related to the second core page image, "How was your feeling in this part of the story?",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re sentence, and the example vocabulary, "I'm in tears", "exciting I did", "I was excited", and "I was excited" in the form of buttons and placed at the bottom of the query sentence to compose the second impression creation screen.

도 9를 참조하면, 출력 모듈(140)에서 제2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기 어휘인 "신났어요"를 터치하면,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2 핵심 페이지와 연계된 감상문 기본 문장인 ""적들이 퇴각하고 있다! 몽땅 도망치고 있어!"라고 말하는 부분에서는"을 검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보기 어휘와 결합한 ""적들이 퇴각하고 있다! 몽땅 도망치고 있어!"라고 말하는 부분에서는 신이 났습니다."를 제2 페이지별 감상문으로 생성한다. 출력 모듈(140)은 제2 핵심 페이지 이미지, 감상문 생성 모듈(130)에서 생성한 제2 페이지별 감상문 및 안내 문장을 포함한 제2 페이지별 감상문 화면을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9 , when the user touches the viewing vocabulary "I'm excit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the second impression creation screen,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130 generates the impressions associated with the second core page. The basic sentence ""Enemies are retreating! They are all running away!" is detected and ""enemy is retreating, combined with the user-selected example vocabulary! I was excited at the part where I said, "Everyone is running away!" is created as a review for each page of the second page. 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the impression screen for each second page including the second core page image, the review for each second page and the guide sentence generated by the review generation module 130 .

도 10을 참조하면,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1 핵심 페이지 및 제2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합쳐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고, 출력 모듈(140)은 독서 감상문을 포함한 화면을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ading review by combining the review for each page of the first core page and the second core page, and 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a screen including the reading review.

한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문장을 입력받고, 이를 포함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may receive a text input from the user and generate a reading review including the text input.

감상문 생성 장치는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별 감상문 생성이 완료되면 전자 도서 내의 핵심 어휘와 문장 입력을 유도하는 질의 문장 및 문장 입력창을 포함한 한 줄 느낌 입력 화면을 생성한다. 이때, 핵심 어휘는 전자 도서별로 미리 설정된 어휘이거나, 상술한 중요도 설정을 통해 설정된 어휘일 수 있다.When the generation of the review for each page of the core page is completed, the review generating device generates a single-line impression input screen including a query sentence and a sentence input window for inducing input of key vocabulary and sentences in the electronic book. In this case, the core vocabulary may be a vocabulary preset for each electronic book or a vocabulary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importance setting.

입력 모듈(150)은 문장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 문장을 입력받아 감상문 생성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출력 모듈(14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문장을 한 줄 느낌 입력 화면의 문장 입력창에 표시한다.The input module 150 receives the user's sentence through the sentence input window and transmits it to the impression generating device. At this time, the output module 140 displays the user sentence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50 on the sentence input window of the single-line feeling input screen.

감상문 생성 장치는 입력 모듈(15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문장을 포함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한다.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핵심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과 사용자 문장을 조합하여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한다.The review writing device generates a reading review including the user sentence received from the input module 150 .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ading review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tences by combining the page-by-page review of the core pages and the user sentence.

일례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2 핵심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별 감상문 생성이 완료되면, 감상문 생성 장치는 제1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제2 핵심 문장을 유지하고, 핵심 어휘 및 문장 입력창을 추가 배치한 한 줄 느낌 입력 화면을 생성한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1 , when the generation of a page-by-page review for the second core page is completed, the review generating device maintains the first core page image and the second key sentence, and additionally arranges a key vocabulary and sentence input window Creates a line-by-line input screen.

입력 모듈(150)은 문장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 문장인 "나도 이순신 장군처럼 멋지고 용기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을 입력받아 감상문 생성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출력 모듈(14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문장을 한 줄 느낌 입력 화면의 문장 입력창에 표시한다.The input module 150 receives the user's sentence "I want to become a cool and courageous person like Admiral Yi Sun-shin" through the sentence input window and transmits it to the impression generating device. At this time, the output module 140 displays the user sentence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50 on the sentence input window of the single-line feeling input screen.

도 12를 참조하면,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제1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별 감상문, 제2 핵심 페이지의 한중 감상문 및 사용자 문장을 조합하여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고, 출력 모듈(140)은 감상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독서 감상문을 포함한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 모듈(140)은 핵심 어휘 중 사용자 문장에 사용된 어휘를 사용되지 않은 핵심 어휘와 구분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review generating module 130 generates a reading review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tences by combining the page-by-page review of the first core page, the Korean/Chinese review of the second core page, and the user sentence, and the output module 140 ) outputs a screen including a reading review generated by the review writing device. 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140 may output a screen in which the vocabulary used in the user sentence among the core vocabulary is distinguished from the unused core vocabulary.

감상문 생성 모듈(130)은 생성된 독서 감상문을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거나, 독서 지원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독서 지원 서버(200)는 감상문 생성 모듈(130)의 독서 감상문을 사용자 정보(즉, 사용자 식별자) 및 전자 도서(즉, 도서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한다.The review writing module 130 stores the generated reading review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or transmits it to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 In this case,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stores the reading impressions of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130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ie, user identifier) and electronic books (ie, book identifier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전자 도서 리스트를 출력한다(S105).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전자 도서들의 도서명을 리스트 형태로 구성한 도서 리스트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도서명과 연계된 도서 표지 이미지를 포함한 도서 리스트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13 and 14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outputs an electronic book list ( S105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outputs a book list screen in which book names of electronic books are configured in a list form. In this cas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may output a book list screen including a book cover image associated with a book name.

도서 리스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도서 리스트 화면에 표시된 도서명(또는 도서 표지 이미지) 중 하나를 터치하면,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터치 영역 좌표를 도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S110; 예),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도서명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독서 지원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S115).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도서 선택 정보인 터치 영역 좌표를 근거로 도서명을 검출한 후 도서명에 대응하는 도서 식별자를 검출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검출한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독서 지원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이때,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도서 식별자 컬럼, 페이지 식별자 컬럼, 페이지 이미지 컬럼, 텍스트 정보 컬럼, 감상문 기본 문장 컬럼을 포함한 저장 테이블을 포함하며, 독서 지원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한 도서 정보에 포함된 도서 식별자, 페이지 식별자,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정보, 감상문 기본 문장을 각 컬럼에 저장한다.When one of the book names (or book cover images) displayed on the book list screen is touched while the book list screen is output,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receives the touch area coordinates as the book selection information. When the book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S110; Yes),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ownloads and stores the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ook nam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S115). After detecting the book name based on the touch area coordinates that are the book selection information, the apparatus 100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detects a book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book nam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downloads and stores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book identifier from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 In this cas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includes a storage table including a book identifier column, a page identifier column, a page image column, a text information column, and a basic sentence column for a review, and information about books downloaded from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 The book identifier, page identifier, page image, text information, and basic sentence included in the review are stored in each column.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저장된 도서 정보 중에서 텍스트 정보를 검출하되,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연계된 텍스트 정보를 순차적으로 검출한다(S12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저장 테이블에 도서 정보로부터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연계된 텍스트 정보를 순차적으로 검출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text information from among the stored book information, but sequentially detects text information linked to each page of the electronic book (S120).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sequentially detects text information linked to each page of the electronic book from the book information in the storage table.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한다(S125).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전자 도서의 도서명과 텍스트 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각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설정하고,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각 페이지에 대한 제2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어휘의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각 페이지의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하여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고,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페이지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level of importance for each page of th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S125).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analyz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book name of the electronic book and the text information to set the first importance of each page, sets the second importance for each page through the clustering technique, and includes it in the text information The third level of importance of each page is set using the learning information of the acquired vocabular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by summing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level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and sets the priority of the pages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핵심 페이지를 검출한다(S13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S125 단계에서 설정된 각 페이지의 우선순위를 근거로 전자 도서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핵심 페이지를 검출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다. 이때,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중요도가 설정값 이상인 페이지들을 대상으로 하여 핵심 페이지를 검출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a key page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page (S130).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one or more key pages constituting th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priority of each page set in step S125.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one or more pages as core pages in the order of priority. In this cas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a core page by targeting pages having an impor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로부터 핵심 문장 검출한다(S135).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핵심 문장을 검출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의 각 문장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한다. 이때, 각 문장의 중요도 설정은 도서명과의 유사도, 클러스터링 기법 등을 통해 수행되며, 상술한 S125 단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장을 해당 페이지의 핵심 문장으로 검출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detects a core sentence from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e page (S135).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detects a core sentence from text information of a page detected as a core page. The reading appreciation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importance of each sentence of the tex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mportance setting of each sentence is performed through the similarity with the book name and the clustering technique, and since it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tep S125,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a sentence having the highest importance as a core sentence of a corresponding page.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매핑하여 핵심 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한다(S14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기저장된 도서 정보로부터 핵심 페이지로 검출된 페이지의 페이지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페이지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매핑하여 핵심 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별로 핵심 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한다. 일례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가 n개이면 n개의 핵심 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creates a core page image by mapping the page image and text information of the core page ( S140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a page image and text information of a page detected as a core page from pre-stored book information.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creates a core page image by mapping text information to a page image. In this cas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generates a core page image for each core page.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core pages is n,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generates n core page images.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 이미지, 핵심 문장, 질의 문장 및 보기 어휘를 포함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한다(S145).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S140 단계에서 생성한 핵심 페이지 이미지 및 S135 단계에서 검출한 핵심 문장을 검출하여 감상문 생성 화면을 생성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 이미지, 핵심 문장, 질의 문장 및 보기 어휘를 포함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구성한다. 여기서, 질의 문장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질의 문장 중 하나이며, 보기 어휘는 질의 문장의 답변으로 연계된 복수의 어휘를 포함한다. 보기 어휘는 질의 문장에 대해 다른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어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복수의 핵심 페이지가 포함된 경우 각각의 핵심 페이지에 대응하는 감상문 생성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outputs a review writing screen including a core page image, a key sentence, a query sentence, and a viewing vocabulary ( S145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the core page image generated in step S140 and the key sentence detected in step S135 to generate a review creation screen.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configures a review writing screen including a core page image, a key sentence, a query sentence, and a viewing vocabulary. Here, the query sentence is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query sentences, and the example vocabulary includes a plurality of words linked to answers of the query sentences. The example vocabulary may include a vocabulary directly input by another user with respect to the query sentence. When a plurality of core pages are included,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configures and outputs a review writing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core page.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감상문 생성 화면의 질의 문장에 대한 답변 선택 정보로 입력받는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감상문 생성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보기 어휘 중 하나의 보기 어휘를 답변 선택 정보로 입력받는다. 답변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S150; 예),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답변 선택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보기 어휘 중 하나를 답변 어휘로 검출한다(S155).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receives an input a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for a question sentence on the review writing screen.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receives one of the plurality of viewing vocabulary included in the review writing screen as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hen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S150; Yes),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one of a plurality of example vocabulary as an answer vocabulary based on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S155).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에 연계된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한다(S16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기저장된 도서 정보로부터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자와 연계된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detects a basic text of the review linked to the core page (S160).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a basic review text sentence associated with a page identifier of a core page from pre-stored book information.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감상문 기분 문장과 답변 어휘를 조합하여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하고(S165), 화면에 페이지별 감상문을 출력한다(S170). 이때, S130 단계에서 복수의 핵심 페이지를 검출한 경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상술한 S135 단계 내지 S165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핵심 페이지 각각에 대응하는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한다. 이에,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로 검출된 페이지 수와 동일한 갯수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generates a review for each page of the core page by combining the sentiment sentence and the answer vocabulary (S165), and outputs the review for each page on the screen (S170).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core pages is detected in step S130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repeats steps S135 to S165 to generate a review for each p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re pages. Accordingl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generates a review for each page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pages detected as the core page.

모든 핵심 페이지들에 대한 페이지별 감상문 생성이 완료되면(S175; 예), 전자 도서 내의 핵심 어휘와 문장 입력을 유도하는 질의 문장 및 문장 입력창을 포함한 한 줄 느낌 입력 화면을 출력한다(S180). 여기서, 핵심 어휘는 전자 도서별로 미리 설정된 어휘이거나, 상술한 중요도 설정을 통해 설정된 어휘일 수 있다.When the page-by-page review for all the core pages is completed (S175; Yes), a single-line feeling input screen including a query sentence and a sentence input window for inducing input of key vocabulary and sentences in the electronic book is output (S180). Here, the core vocabulary may be a vocabulary preset for each electronic book or a vocabulary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importance setting.

한 줄 느낌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 문장이 입력되면(S185; 예),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과 사용자 문장을 조합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19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핵심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과 사용자 문장을 조합하여 복수의 문장으로 구성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한다. 이때,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독서 감상문을 독서 지원 서버(200)로 전송하고, 독서 지원 서버(200)는 독서 감상문을 사용자 정보(즉, 사용자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When a user sentence is input through the one-line feeling input screen (S185; Yes), the reading impression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generates and outputs a reading impression by combining the user's sentence with the page-by-page impression of the core pages (S190).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generates a reading review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tences by combining the page-by-page review of the core pages and the user sentence. In this cas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reading review text to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 and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may store the reading review text in association with user information (ie, a user identifier).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의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 단계(S125)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of each page of the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125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5 .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전자 도서의 도서명을 각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와 비교하여 제1 중요도를 설정한다(S210). 이때,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도서명과 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많이 포함한 텍스트 정보에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중요도를 설정한다. 일례로, 도서명이 "이순신 장군은 혼자가 아니야!"이면,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제1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배", "일본", "학", "날개", "수군", "이순신", "장군", "조선", "승리"를 도서명과 유사도가 높은 단어로 검출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제2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일본군", "이겼나봐", "만세", "승리"를 도서명과 유사도가 높은 단어로 검출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제1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에서 검출한 단어가 제2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에서 검출한 단어보다 많으므로 제1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제2 페이지의 제1 중요도보다 높게 설정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compares the book name of the electronic book with the text information of each page to set the first importance (S210). In this cas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a relatively high first importance to text information including many words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book name. For example, if the book name is "General Yi Sun-sin is not alon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uses the text information of the first page as "ship", "Japan", "crane", "wings", "sea army" ", "Sun-Shin Yi", "General", "Joseon", and "Seungri" are detected as words with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o the book name. The reading impression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detects "Japanese Army", "I think I won", "Hurray", and "Victory" as words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book name from the text information of the second page. Since the number of words detected in the text information of the first pag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words detected in the text information of the second pag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first importance of the first page to be higher than the first importance of the second page set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각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각 페이지에 대한 제2 중요도를 설정한다(S22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로부터 등장 인물(예를 들면, 이름, 호칭, 별명 등), 장소, 사건 등을 추정할 수 있는 단어를 추출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검출한 단어 수가 많은 페이지에 상대적으로 높은 제2 중요도를 설정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second importance for each page through a clustering technique using text information of each page ( S220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extracts words from which characters (eg, names, titles, nicknames, etc.), places, and events can be estimated from the text information.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a relatively high second importance to a page having a large number of detected words.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의 학습 정보와 비교하여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S23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독서 지원 서버(200)로 학습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학습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어휘별 학습 여부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수신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각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어휘(단어)와 학습 정보를 비교하여 각 페이지에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 일례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어휘 각각의 중요도를 설정하되, 학습된 어휘에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설정하고, 학습이 안된 어휘에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설정한다.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의 모든 어휘에 중요도 설정이 완료되면 어휘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텍스트 정보의 제3 중요도로 설정한다. 이때,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학습된 어휘가 많은 텍스트 정보에 상대적으로 낮은 제3 중요도를 설정하고, 학습된 어휘가 적은 텍스트 정보에 상대적으로 높은 제3 중요도를 설정한다.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compares the text information with the user's learning information and sets a third importance level ( S230 ).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transmits a learning information request to the reading support server 200 , and receives learning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o learn by vocabulary in response to the learning information request.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compares the vocabulary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of each page with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sets the third importance to each page. For example, the reading appreciation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importance of each vocabulary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but sets a relatively low importance to the learned vocabulary, and sets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to the unlearned vocabulary. When the importance setting for all the words of the text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apparatus 100 for supporting reading impressions adds up the importance of the vocabulary and sets the third importance level of the tex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reading appreciation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a relatively low third importance to text information having a large number of learned vocabulary, and sets a relatively high third importance to text information having a small number of learned vocabulary.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근거로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한다(S24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하여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based on the first to the third importance (S240). As an example,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importance level for each page by adding up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level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25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하여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고,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우선순위를 설정한다.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00 sets a priority for each page of th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page (S250).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100 sets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by adding up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level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and sets the priority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it can be implemented.

100: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110: 도서 정보 저장 모듈
120: 페이지 검출 모듈 130: 감상문 생성 모듈
140: 출력 모듈 150: 입력 모듈
200: 독서 지원 서버
100: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110: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120: page detection module 130: review generation module
140: output module 150: input module
200: reading support server

Claims (19)

도서 정보를 저장한 독서 지원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있어서,
선택된 전자 도서의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상기 독서 지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도서 정보 저장 모듈;
상기 도서 정보 저장 모듈로 출력한 텍스트 정보 검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고,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각 페이지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근거로 상기 전자 도서의 페이지 중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를 검출하고, 상기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핵심 문장을 검출하고, 상기 핵심 페이지로 검출된 페이지의 페이지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매핑한 핵심 페이지 이미지와 상기 핵심 문장을 포함한 감상문 생성 요청을 출력하는 페이지 검출 모듈;
상기 페이지 검출 모듈의 감상문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핵심 페이지 이미지, 상기 핵심 문장, 질의 문장 및 복수의 보기 어휘를 포함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도서 정보 저장 모듈로부터 기본 문장 검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자에 연계된 감상문 기준 문장을 수신하고, 상기 감상문 기준 문장과 상기 복수의 보기 어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보기 어휘를 조합한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하고, 핵심 페이지로 설정된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조합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감상문 생성 모듈; 및
상기 감상문 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페이지별 감상문 및 상기 독서 감상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In the reading support server and the network-connected reading support writing support device that stores the book information,
a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downloading and storing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ook identifier of the selected electronic book from the reading support server;
Receive text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text information detection request output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set the importance of each page of the e-book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and each page of the e-book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page set a priority in , detect a key page for one or more pages of the e-book based on the priority, detect a key sentence from text information of a page detected as the core page, and select the key page a page detection module for outputting a request for generating a review including a key page image to which a page image of a detected page and text information are mapped and the key sentence;
In response to the page detection module's request to generate a review, a review generation screen including the core page image, the key sentence, a query sentence, and a plurality of viewing vocabulary is generated, and in response to the basic sentence detection request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Receives a review reference sentence linked to the page identifier of the core page, generates a page-by-page review by combining the review reference sentence and one viewing vocabulary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viewing vocabulary, and by page of pages set as the core page a review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reading review by combining the review text; and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n impression generation screen generated by the impression creation module,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impressions for each page and the reading review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정보 저장 모듈은 도서 식별자, 페이지 식별자,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정보 및 감상문 기본 문장이 연계되어 구성된 도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ok information storage module is a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for downloading and storing book information configured in association with a book identifier, a page identifier, a page image, text information, and a basic sentence of a re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검출 모듈은,
도서명과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설정하되,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상기 도서명과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이 단어를 검출하고, 검출한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1 중요도를 설정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ge detection module,
Set a first importance level of a page based on the book name and text information, and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 word having a similarity with the book name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is detected, and the first importa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detected words A device to support writing a reading review to s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검출 모듈은,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상기 텍스트 정보로부터 전자 도서의 등장 인물, 장소 및 사건을 추정할 수 있는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한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2 중요도를 설정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age detection module,
A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for extracting words capable of estimating characters, places, and events of an electronic book from the text information through a clustering technique, and setting a second importance based on the number of extracted word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검출 모듈은,
학습 정보를 근거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학습 단어와 미학습 단어로 구분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되, 학습 단어에 미학습 단어보다 낮은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제3 중요도를 설정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ge detection module,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re divided into a learning word and an unlearned word to set the importance level, the learning word is set at a lower importance than the unlearned word, and the importance of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is added up. A device to support writing a reading review to set the third importance lev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검출 모듈은,
상기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한 값을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로 설정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ge detection module,
A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apparatus for setting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value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as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검출 모듈은 우선 순위를 근거로 핵심 페이지를 검출하되, 페이지별 중요도가 설정값 이상이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ge detection module detects a core page based on a priority, but detects a page whose impor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for each page as a core p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검출 모듈은,
상기 텍스트 정보로부터 검출한 각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문장 중요도를 설정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문장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검출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ge detection module,
A reading appreciation writing support device for setting a sentence importance by summing the importance of words included in each sentence detected from the text information, and detecting a sentence having the highest sentence importance among sentence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s a core sentenc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상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 문장을 더 포함하는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 sentence,
The review writing module is a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for generating a reading review further comprising the user sentence.
도서 정보를 저장한 독서 지원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를 이용한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전자 도서의 도서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서 정보를 상기 독서 지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한 도서 정보의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상기 전자 도서의 페이지 중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핵심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로부터 핵심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매핑한 핵심 페이지 이미지, 상기 핵심 문장, 질의 문장 및 복수의 보기 어휘를 포함한 감상문 생성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한 도서 정보로부터 상기 핵심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자에 연계된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감상문 생성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보기 어휘 중에서 선택된 답변 어휘 및 상기 감상문 기본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감상문 기본 문장을 조합한 페이지별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에서 핵심 페이지로 검출한 페이지들의 페이지별 감상문을 조합하여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In the reading support server storing book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supporting reading review writing using a network-connected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downloading,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boo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book identifier of an electronic book from the reading support server and storing;
setting,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n importance level for each page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of the book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ing step;
detecting,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one or more pages of the electronic book as a core page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set in the setting step;
detecting, by the reading impression writing support device, a key sentence from the text information of the core page detected in the step of detecting as the core page;
outputting,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 review creation screen including a core page image to which a page image of the core page and text information are mapped, the core sentence, a query sentence, and a plurality of viewing vocabulary;
detecting,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 basic text review linked to the page identifier of the core page from the book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ing step;
generating,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 review for each page combining the basic text of the review detecte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basic sentence and the answer vocabulary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view words included in the review generating screen; and
and generating, by the device for supporting reading impressions, a reading impression by combining the page-by-page impressions of the pages detected as the core page in the detecting as the core p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도서 식별자, 페이지 식별자, 페이지 이미지, 텍스트 정보 및 감상문 기본 문장이 연계되어 구성된 도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oring step, the book identifier, the page identifier, the page image,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book information composed of the basic sentence of the review are linked, and the book information is downloaded and stor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도서명과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페이지의 제1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상기 도서명과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이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1 중요도를 설정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is:
setting the first importance of the page based on the book name and text information,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In the step of setting the first importance, the first importance is set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having a similarity with the book name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with a reference value or mo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제2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전자 도서의 등장 인물, 장소 및 사건을 추정할 수 있는 단어의 갯수를 근거로 제2 중요도를 설정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is: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by the reading appreciation writing support device, a second importance level using a clustering technique using text information,
In the step of setting the second importance, the second importance is set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from which characters, places, and events of the electronic book can be estimated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학습 정보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제3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학습 정보를 근거로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학습 단어와 미학습 단어로 구분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되, 학습 단어에 미학습 단어보다 낮은 중요도를 설정하고,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어들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제3 중요도를 설정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is: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by the reading appreciation writing support device, a third degree of importance based on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text information,
In the step of setting the third importance, the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are divided into a learned word and an unlearned word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the importance is set, and the learning word is set to a lower importance than the unlearned word, and the text A method of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that sets the third importance by adding up the importance of word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텍스트 정보에 설정된 제1 중요도 내지 제3 중요도를 합산한 값을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is:
and setting, by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reading impressions,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first to third importance levels set in the text information as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로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전자 도서의 페이지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is:
and setting, by the device for supporting reading reviews, a priority for pages of an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set in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지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페이지별 중요도를 근거로 설정된 우선 순위를 기준으로 핵심 페이지를 검출하되, 페이지별 중요도가 설정값 이상이 페이지를 핵심 페이지로 검출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detecting as the core page is,
A method for supporting reading review writing in which a core page is detected based on a priority set based on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set in the step of setting the importance for each page, and a page having an importance value for each page or great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as a core p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문장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텍스트 정보로부터 검출한 각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문장 중요도를 설정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문장 중요도가 가장 높은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검출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key sentence,
A method for supporting writing a reading review, in which the importance of words included in each sentence detected from the text information is summed to set the sentence importance, and a sentence having the highest sentence importance among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text information is detected as a core senten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장치에 의해, 상기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문장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페이지별 감상문과 상기 사용자 문장을 조합한 독서 감상문을 생성하는 독서 감상문 작성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by the reading review writing support device, a user sentence before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review,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impressions, the reading impression writing support method for generating a reading impression by combining the impressions for each page and the user's sentences.
KR1020200118801A 2020-09-16 2020-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KR102260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801A KR102260222B1 (en) 2020-09-16 2020-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801A KR102260222B1 (en) 2020-09-16 2020-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222B1 true KR102260222B1 (en) 2021-06-03

Family

ID=7639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801A KR102260222B1 (en) 2020-09-16 2020-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22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723B1 (en) * 2022-07-14 2023-10-25 김성택 Reading learning materials and Reading Learning Methods Using It
KR20240026638A (en) 2022-08-22 2024-02-29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post reading activ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10A (en) * 2014-10-23 2016-05-03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book journals
KR20170089369A (en)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마커 Method for automatic summarizing document by user learning
KR101835994B1 (en) * 2016-10-12 2018-03-07 인투씨피에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searching service for electronic books
KR102099364B1 (en) * 2020-02-11 2020-04-09 주식회사 팀플백 Artificial intelligence book writing guiding system an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10A (en) * 2014-10-23 2016-05-03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book journals
KR101645815B1 (en) 2014-10-23 2016-08-04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book journals
KR20170089369A (en)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마커 Method for automatic summarizing document by user learning
KR101835994B1 (en) * 2016-10-12 2018-03-07 인투씨피에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searching service for electronic books
KR102099364B1 (en) * 2020-02-11 2020-04-09 주식회사 팀플백 Artificial intelligence book writing guiding system an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723B1 (en) * 2022-07-14 2023-10-25 김성택 Reading learning materials and Reading Learning Methods Using It
KR20240026638A (en) 2022-08-22 2024-02-29 (주)웅진씽크빅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post reading activ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orge The elements of library research: What every student needs to know
US9202142B1 (en) Automatic assessment of books to determine suitability for audio book conversion
KR1022602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o write reading review
CN108877334B (en) Voice question search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9063819A (en) English word learning support system, server to be used for the same, portable terminal, and learning support program
CN110796911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test questions and language learning method thereof
Bragg et al. Designing an animated character system for American sign language
KR1010501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reading and study training
Qayyum et al. Learning from student experiences for online assessment tasks
EP1697868A1 (en) Electronic pen-computer multimedia interactive system
US8149217B2 (en) Creating responses for an electronic pen-computer multimedia interactive system
Al-Momani et al. An investigation of smartphone reading strategies behaviours from the views of jordanian students
Desilla Happily lost in translation: Misunderstandings in film dialogue
US20170186332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069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ve learning
Varey et al. Book Review: Marketing, Media, and McLuhan: Rereading the Prophet at Century's End
CN115878762A (en) Courseware generation method, courseware display method, courseware generation device, courseware display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Gore et al. Embodied Learning in a Digital Age: Collaborative Undergraduate Instruction in Material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Bernhardt Review essay: Rhetorical technologies, technological rhetorics
KR102657932B1 (en)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 system
Allyn et al. Taming the Wild Text: Literacy Strategies for Today's Reader
Kato et al. Manga Vocabulometer, A new support system for extensive reading with Japanese manga translated into English
Chopra et al. Gesture-Based Alphabet Detection and Scoring Using OpenCV and Tesseract-OCR
Miyagawa Personal Media and the Human Community.
Bein Watsuji on Nature: Japanese Philosophy in the Wake of Heidegger by David W. John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