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169B1 - Tamping device - Google Patents

Tam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169B1
KR102255169B1 KR1020190065437A KR20190065437A KR102255169B1 KR 102255169 B1 KR102255169 B1 KR 102255169B1 KR 1020190065437 A KR1020190065437 A KR 1020190065437A KR 20190065437 A KR20190065437 A KR 20190065437A KR 102255169 B1 KR102255169 B1 KR 10225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er
upper clamp
housing
head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8987A (en
Inventor
오세광
Original Assignee
오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광 filed Critical 오세광
Priority to KR102019006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169B1/en
Publication of KR2020013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탬퍼의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포타필터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와,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는 탬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클램프가 본체에 구비되는 탬퍼하우징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분리되어 탬퍼헤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노출시킴에 따라 탬퍼헤드 측면에 묻는 파우더를 탬퍼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청소할 수 있는 탬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of a tamper, and more specifically, a main body,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 filter, respectively, and tamping the coffee in the porta filter. It consists of a tamper, but the upper clamp is detachably separated from the tamper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expose some or all of the tamper head, so that the powder on the side of the tamper head can be cleaned without separating the tamper from the main body. It relates to a tamping device.

Description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TAMPING DEVICE}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TAMPING DEVICE}

본 발명은 탬퍼의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포타필터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와,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는 탬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클램프가 본체에 구비되는 탬퍼하우징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분리되어 탬퍼헤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노출시킴에 따라 탬퍼헤드 측면에 묻는 파우더를 탬퍼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청소할 수 있는 탬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of a tamper, and more specifically, a main body,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 filter, respectively, and tamping the coffee in the porta filter. It consists of a tamper, but the upper clamp is detachably separated from the tamper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expose some or all of the tamper head, so that the powder on the side of the tamper head can be cleaned without separating the tamper from the main body. It relates to a tamping device.

최근 커피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커피 전문점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상기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갈아진 커피를 포터 필터에 채운 후 탬퍼로 탬핑을 하고 상기 포터 필터를 커피 머신에 장착하여 에스프레소를 제조한다. 상기 탬핑에 의해 상기 포터 필터에 채워진 커피의 상부면이 평탄하게 되어야 에스프레소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탬핑이 커피 전문점에서 근무하는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는데 작업하는 사람에 따라 탬핑 압력이 달라지거나 탬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에스프레소가 균일한 맛을 내지 못할 수 있다. 또, 탬핑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손목이나 팔에 통증이 생기거나 이상이 오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the rapid increase in coffee consumption in recent years, many coffee shops are emerging. In order to manufacture a coffee beverage at the coffee shop, in general, ground coffee is filled in a porter filter, then tampered with a tamper, and the porter filter is mounted on a coffee machine to prepare an espresso. Espresso can be formed smoothly only when the top surface of the coffee filled in the porter filter is flattened by the tamping. Conventionally, the tamping was manually performed by a person working at a coffee shop. However, depending on the person working, the tamping pressure may vary or the tamping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so that the espresso may not have a uniform tas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ain or abnormality occurs in the wrist or arm of the worker by performing the tamping operation for a long tim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842325호 "커피 탬핑 장치"가 있다.(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Accordingly, various technique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ve been proposed, and as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registered patent No. 10-1842325 "Coffee Tamp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상기 종래기술1은 평평한 바닥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파지가능한 손잡이부와, 가압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며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포터필터에 수용된 가루를 다지는 탬퍼; 및 연결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 일단에 형성되어 가압부를 감싸며 포터필터에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연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탬퍼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탬핑 보조부;를 포함하여 탬핑 압력을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The prior art 1 includes a pressing portion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a grippable handle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by connecting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nd a tamper for compacting the powder accommodated in the portafilter; And a guide portion in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to surround the pressing portion and mounted on the portafilter, and a tamping auxiliary portion configured to guide the tamper to mov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t has a feature that can be applied evenly in the direction.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푸쉬하여 가압력을 부여함에 따라 여전히 작업자의 손목이나 팔에 통증이 생기거나 이상이 오는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still has difficulty in solving the problem of causing pain or abnormality in the wrist or arm of the worker as the user manually pushes and applies the pressing force.

따라서 전자동으로 탬핑동작을 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457189호 "포타필터 스탬핑 장치"(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공개특허 제10-2013-0067719호 "자동 탬핑 장치"(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 등록특허 제10-1509140호 "자동 커피 탬퍼기"(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를 들 수 있다.Accordingly, technologies capable of fully automatic tamping operation have been proposed, and such conventional technologies include Patent No. 10-1457189 "Porta Filter Stamp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and Patent Publication No. 10-1457189. 2013-0067719 "automatic tamp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and registered patent No. 10-1509140 "automatic coffee tamp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ntional technology 4").

우선 상기 종래기술2는 커피가 담긴 포타필터가 장착되는 포타필터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포타필터장착부에 장착된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유닛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포타필터에 공급되어 저장된 분말커피를 평탄화시키기 위한 포타필터에 진동 또는 타격력을 제공하는 타격유닛과, 포타필터와 인접된 측에 설치되어 포타필터의 내부에 공급된 커피분말의 평탄화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유닛과, 상기 센서유닛과 타격유닛 및 가압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 기술이고,First of all, the prior art 2 pressurizes the coffee in the porta filter mounted on the porta filter mounting part by being supported by a base body having a porta filter mounting part on which a porta filter containing coffee is mounted, and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body. A pressing unit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to provide vibration or striking force to the porta filter for flattening the stored coffee powder; and a striking unit install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porta filter to provide the interior of the porta filter. It is a technology provided with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flattening state of the coffee powder supplied to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he striking unit, and the pressurizing unit,

종래기술3은 탬퍼에는 포터 필터로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부가 마련되고, 자동 탬핑 수단은 상기 탬퍼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탬핑 구동부,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 값을 설정하는 조작부, 상기 탬핑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에서 설정된 압력 값과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탬핑 구동부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탬핑 구동부, 제어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술을 제시하고 있고,In the prior art 3, a pressure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by a porter filter is provided in the tamper, and the automatic tamping means is a tamping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tamper up and down, an operation unit that sets the pressure value desired by the user, and the tamping drive unit is controlled.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pressure value set by the control unit with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temporarily stopping the tamping driving unit when the comparison value matches, and the tamping dr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It proposes a technology consisting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종래기술4는 포터 필터가 장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The prior art 4 is a support on which a porter filter is mounted,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상기 포터 필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포터 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는 탬퍼부, 상기 탬퍼부에 연결되어 상기 탬퍼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탬퍼 이동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탬퍼 이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A sensor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porter filter is mounted, a tamper unit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to tamp coffee in the porter filter, a tamper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tamper unit to move the tamper unit up and down, and the sensor unit and It relates to a technology including a circui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mper moving part.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본원 발명의 어퍼클램프와 같은 구성의 부재로 가압유닛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포타필터의 테두리부분과 가압유닛의 테두리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However, in the above case, when the pressing unit descends with a member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pper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blem that frequently occurs is that the rim of the porta filter and the rim of the pressing unit do not exactly match. Has become.

아울러, 가압유닛 또는 탬퍼를 어퍼클램프에서 하강시키는 방식의 경우에는 장착되는 포타필터가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탬퍼의 승하강 시 원두가 탬퍼헤드 외면에 묻어 어퍼클램프의 관통공과 탬퍼헤드 외면에 파우더가 잔존하여 비위생적이고 교차오염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 경우 탬퍼 전체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시켜야 청소가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도7 참조)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lowering the pressing unit or the tamper from the upper clamp,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unted porta filter can be stably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Powder remai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 and tamper head, which causes unsanitary and cross-contamination, and in this case, there is a limit that cleaning is possible only when the entire tamp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see Fig. 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체와,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 상기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도록 승하강하는 탬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클램프를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탬퍼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탬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Consisting of a main body,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 filter to be mounted, and a tamper that rises and falls to tam the coffee in the porta filter, the upper clamp is separated from the tamper housing provided in the main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mping device that is easy to clean and is designed to expose part or all of the tamper.

구체적으로 상기 어퍼클램프가 탬퍼하우징으로부터 상하 탈착, 또는 회전에 의해 탬퍼헤드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청소 시 탬퍼를 본체로부터 분해할 필요가 없도록 고안된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amping device that is easy to clean, designed so that the upper clamp can expose the tamper head by vertical detachment or rotation from the tamper housing, so that the tamper does not need to be disassembled from the main body during cleaning.

아울러, 상기 로어클램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포타필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높이를 변경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sy-to-clean tamping device designed to stably fix the lower clamp by changing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orta filter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wer clam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포타필터가 장착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탬퍼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A main body comprising a space portion on which a porta filter is mounted and a tamper housing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에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respectively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 filter mounted in the space;

상기 공간부에 장착된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도록 상기 어퍼클램프에 구비되는 탬퍼헤드와, 상기 탬퍼헤드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탬퍼축을 포함하는 탬퍼;A tamper including a tamper head provided in the upper clamp so as to tam the coffee in the porta filter mounted on the space, and a tamper shaft provided in the tamper head and raised and lowered by a driving means;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ncluding,

상기 어퍼클램프는The upper clamp is

상기 탬퍼하우징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It is detachably provided under the tamper housing,

상기 어퍼클램프를 상기 탬퍼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탬퍼헤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upper clamp is separated from the tamper housing, a part or all of the tamper head is expo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는As described above, the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체와, 자동으로 포타필터에 수용된 커피를 탬핑하도록 승하강하는 탬퍼로 이루어지되, 어퍼클램프를 구비하여 탬퍼헤드가 포타필터의 바스켓 안에 정확하게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하고,It consists of a main body and a tamper that lifts and descends to automatically tam the coffee contained in the porta filter, and has an upper clamp so that the tamper head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basket of the porta filter,

상기 어퍼클램프 안에 탬퍼헤드가 위치함에 따라 청소 시 탬퍼를 분리하여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상기 어퍼클램프를 탬퍼하우징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탬퍼헤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청소를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hassle of removing the tamper during cleaning as the tamper head is located in the upper clamp, the upper clamp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tamper housing so that part or all of the tamper head can be exposed, making cleaning conveni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easily.

특히, 종래에는 탬퍼헤드를 청소하기 위하여 본체와 탬퍼를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 탬퍼 전체를 분해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어퍼클램프가 탬퍼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청소 시 어퍼클램프를 분리시켜 노출된 탬퍼헤드를 손쉽게 청소 할 수 있으며,In particular,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clean the tamper head, the entire tamper had to be disassembled by loosening the bolt fixing the main body and the tamp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clamp can be separated from the tamper housing, the upper clamp is separated and exposed during cleaning. The tamper head can be cleaned easily,

평상시에는 상기 탬퍼헤드가 어퍼클램프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탬퍼헤드 외면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Normally, as the tamper head is located inside the upper clamp,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prevented from being deposi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mper head, so that it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나아가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어클램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돌고 고안되어, 포타필터의 크기에 따라 로어클램프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포타필터를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wer clamp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porta filter to be install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rta filter can be mounted more stabl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wer clam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 fil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의 어퍼클램프의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의 로어클램프의 실시예
도 7은 종래의 탬핌장치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n embodiment of an upper clamp of a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mbodiments of the lower clamp of the tamping device for easy clea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roblem of a conventional tamping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of the bar, implementation (態樣, aspect) (or embodiment) that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ens and ones, 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th the same tens, ones, and alphabet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can be identifi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 (or thick) or small (or thin) or simplified their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is.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sun, 態樣, aspect) (or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T)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어퍼클램프(20) 및 로어클램프(30), 그리고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커피를 탬핑하는 탬퍼(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easy-to-clean tamping device (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ms the coffee of the main body 10, the upper clamp 20 and the lower clamp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a porta filter to be installed. It is made by including a tamper (40).

도1 및 도2, 그리고 도5 또는 도6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Referring to Figs. 1 and 2, and Fig. 5 or 6,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은 탬핑장치(T)와 글라인더(G)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체(10)로 구성되며, 상기 글라인더(G)는 포타필터에 원두를 분쇄하여 파우더 형식으로 채우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탬핑장치(T)는 포타필터에 채워진 파우더를 탬핑동작을 통해 압착 및 평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10 consisting of a tamping device (T) and a grinder (G), the grinder (G) is filled in a powder form by pulverizing coffee beans in a porta filter. And the tamping device T is for compressing and flattening the powder filled in the porta filter through a tamping opera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상기 글라인더(G)와 탬핑장치(T)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Unlike shown in the drawings, the grinder G and the tamping device T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devices,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and interpreted.

다시, 상기 탬핑장치(T)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어퍼클램프(20) 및 로어클램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Again, the tamping device T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n upper clamp 20 and a lower clamp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 전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는 포타필터가 장착되는 공간으로, 보다 엄밀하게는 포타필터는 어퍼클램프(20)와 로어클램프(30) 사이에 안착되며, 이 공간을 공간부(11)라 한다.More specifically, a space 11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pace 11 is a space in which a porta filter is mounted, and more precisely, the porta filter is an upper clamp 20 and a lower clamp. It is seated between (30), this space is referred to as the space (11).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본체(10)에는 탬퍼(40)가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는 탬퍼하우징(15)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 탬퍼하우징(15) 하부에 어퍼클램프(20)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More precisely, the main body 10 has a tamper housing 15 on which the tamper 40 can elevate and descend, and the upper clamp 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amper housing 15 Consists of

종래에는 상기 탬퍼하우징(15)과 어퍼클램프(20)가 일체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탬퍼하우징(15)을 수평방향으로 분할시켜 하부에 어퍼클램프(20)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탬퍼하우징(15)의 하부면과 상기 어퍼클램프(20)의 상부면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Conventionally,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upper clamp 20 were made of an integral memb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mper housing 15 is di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clamp 20 is detachably formed at the bottom. It is configu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coupled and separated by a coupling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시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제어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어부(13)는 상기 탬퍼(40)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압착 강도 및 횟수, 빠르기 등을 설정하거나, 탬퍼(40)를 아래로 내리는 동작을 하기 위한 제어부(13)로, 탬퍼(40)의 탬핑동작은 후술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Again, a control unit 1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ntrol unit 13 does not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tamper 40, but sets the compression strength, the number of times, the speed, etc., or the tamper ( As the control unit 13 for lowering 40), the tampering operation of the tamper 40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탬퍼(40)는 포타필터에 수용된 커피 파우더를 가압하는 탬퍼헤드(41)와, 상기 탬퍼헤드(41)에 구비되는 탬퍼축(4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탬퍼축(43)의 외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에 모터(45)의 구동축이 톱니결합을 하여 모터(45)의 회전방향에 다라 상기 탬퍼(40)가 승하강 하여 탬핑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The tamper 40 is composed of a tamper head 41 for pressing coffee powder accommodated in the porta filter, and a tamper shaft 43 provided in the tamper head 41, and a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mper shaft 43 Is formed, and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45 is tooth-coupled to the protrusion, so that the tamper 40 moves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45 to perform a tamping operation,

상기 탬퍼(40)는 탬퍼하우징(15)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탬퍼(40)의 탬퍼축(43)이 탬퍼하우징(15)에 구비되고, 상기 탬퍼헤드(41)는 상기 탬퍼하우징(15) 하부에 결합된 어퍼클램프(20)에 위치하게 된다.The tamper 40 is provided in the tamper housing 15, and more precisely, the tamper shaft 43 of the tamper 40 is provided in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tamper head 41 is the tamper housing. (15) It is located on the upper clamp 20 coupled to the lower part.

본 명세서에서 탬핑동작이란 상기 탬퍼(40)가 하강하여 포타필터에 수용된 파우더 상면을 압착 및 평탄화하는 동작을 말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탬퍼(40)의 승하강 동작은 2~3번 이상 반복되도록 이루어지며, 이 반복되는 동작을 통칭하여 말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amping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tamper 40 descends and compresses and flattens the upper surface of the powder accommodated in the porta filter, and more specifically,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tamper 40 is repeated 2-3 times or more. It is done, and this repetitive mo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포타필터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피 파우더를 수용하는 바스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바스켓의 입구는 원형의 형상으로, 상기 필터헤드의 형상 또한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스켓 내의 파우더를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porta filter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 basket for accommodating coffee powder is formed, and the mouth of the basket is in a circular shape, and the filter head is also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powder in the basket can be uniformly compressed. Done.

본 발명은 종래의 탬핑장치(T)와 마찬가지로, 포타필터를 공간부(11)에 장착하면 상기 탬퍼(40)가 하강하여 파우더를 압착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탬퍼(40)가 하강할 때 포타필터의 바스켓을 정확한 위치에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맞춘다 하더라도, 상기 탬퍼(40)가 하강하면서 바스켓의 테두리에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onventional tamping device (T), when the porta filter is mounted on the space part 11, the tamper 40 descends to compress the powder. This method is used when the tamper 40 descends. There is a hassle of aligning the basket of the filter to the correct position, and even if it is adjusted to the correct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mper 40 falls and hits the rim of the baske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퍼클램프(20)를 도입한 것으로서, 상기 어퍼클램프(20)에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4)에 상기 탬퍼헤드(41)가 위치하고 있다가, 탬핑동작에 의해 포타필터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the upper clamp 20 to solve this problem, the upper clamp 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4, the tamper head 41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24 Then, it is made to be able to descend to the porta filter by the tamping operation.

또한 상기 어퍼클램프(20) 하단에는 포타필터의 상부 테두리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가이드(25)이 더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a seating guide 25 into which the upper rim of the porta filter can be fitted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lamp 20.

따라서 사용자가 포타필터의 상부 테두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안착가이드(25)에 끼우면, 상기 포타필터의 테두리와 상기 관통공(24)의 테두리가 밀착되고, 상기 장착공의 중점과, 상기 바스켓의 중점이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정위치되며, 이 결과, 상기 관통공(24)의 내벽(GW)과 상기 수용부의 내벽이 동일선상에 배치됨에 따라 탬퍼헤드(41)가 하강할 때 상기 탬퍼헤드(41)가 관통공(24)의 내벽과 수용부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여 파우더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user inserts the upper rim of the porta filter into the seating guide 25 in a sliding manner, the rim of the porta filter and the rim of the through hole 2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idpoint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midpoint of the basket. The tamper head is positioned so as to lie on the virtual vertical line, and as a result, when the tamper head 41 descends as the inner wall GW of the through hole 24 and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41) is made to descen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4 and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to compress the powder.

아울러, 도1 및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에는 로어클램프(30)가 더 구비되어, 포타필터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5 and 6, a lower clamp 30 is further provided in the space 11,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 filter.

상기 로어클램프(30)는 포타필터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장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포타필터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ower clamp 30 is configured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porta filter by forming a mounting portion 31 having an open side to insert the porta filter in the sliding direction.

그러나, 실제 사용되는 포타필터의 크기는 다양하며, 이를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어클램프(30)와 어퍼클램프(20) 사이의 거리, 즉 공간부(11)의 크기를 변경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로어클램프(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다.However, the sizes of the porta filters that are actually used vary, and in order to accommodate them all,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clamp 30 and the upper clamp 20, that is, the size of the space 11 must be changed. 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wer clamp 30.

상기 구성은 본체(10)의 공간부(11)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바(51)와, 상기 가이드바(51)에 결합되도록 상기 로어클램프(30)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승하강유닛이며,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The configuration includes a guide bar 51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and a guide protrusion provided on the lower clamp 30 so as to be coupled to the guide bar 51 (not shown). ) Is a lifting unit consisting of,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상기 본체(10)의 전면, 보다 정확하게 공간부(11)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바(51)가 구비되고, 상기 로어클램프(30)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바(51)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로어클램프(30)가 상기 가이드바(51)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운동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First, a guide bar 51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more accurately on one side of the space 11, and a rear end of the lower clamp 30 is provided with the guide bar 51 A pair of guide protrusions (not shown) that can be coupled to both sides are provided so that the lower clamp 30 can vertically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51.

아울러, 상기 구성에 의하여 로어클램프(3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더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스토핑유닛(60)을 통하여 이를 해결하였으며, 상기 스토핑유닛(60)은 두 가지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lower clamp 30 is adjust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a separate device for fixing it is further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was solved through the stopping unit 60, and the stopping unit 60 Can be made in two embodiments.

먼저 제1실시예로 상기 스토핑유닛(6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어클램프(30) 후단에 구비되는 스토핑부재(63)와, 상기 로어클램프(30) 전방으로부터, 상기 로어클램프(30), 스토핑부재(63)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의 가이드바(51)에 결합되는 고정볼트(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opping unit 60 includes a stopping member 63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clamp 30, and from the front of the lower clamp 30, as shown in FIG. It comprises a fixing bolt 67 that is coupled to the guide bar 51 of the main body 10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lower clamp 30 and the stopping member 63.

이는 고정볼트(67)를 조임으로서, 고정볼트(67)의 고정력을 통하여 상기 로어클램프(30)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보다 안정적인 고정 및 단계적인 높낮이 변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바(51) 전단에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톱니부(61)를 구성하고, 상기 스토핑부재(63) 후단에 상기 톱니부(61)에 대응결합되는 대응톱니부(631)를 구성하여, 톱니부(61)와 대응톱니부(631) 사이의 톱니결합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로어클램프(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 고정볼트(67)를 통해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is is a method of fixing the lower clamp 30 through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bolt 67 by tightening the fixing bolt 67, for more stable fixing and stepwise height chan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ar 51 ) To configure a toothed portion 6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at the front end, and constitute a corresponding toothed portion 631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toothed portion 61 at the rear end of the stopping member 63, and the toothed portion 6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lamp 30 is fixed more stably through tooth coupling between the) and the corresponding toothed portion 631. Of course, the fixing can be performed when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fixing bolt 67.

아울러, 상기 로어클램프(30)에는 장공(33)이 더 형성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장공(33)은 상기 고정볼트(67)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 장공(33)에는 별도의 수평조정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본체(10)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로어클램프(30)가 흔들림 없이 수평을 유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장공(33)과 수평조정볼트의 구성은 하기 실시예2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lamp 30 is further formed with long holes 33, more precisely, the long holes 3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bolt 67, respectively, and this long hole 33 has a separate By combining the horizontal adjustment bolt of the body 10 and fixing it to the main body 10, the lower clamp 30 is made to maintain the horizontal level without shaking, so that it can be firmly fix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long hole 33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bolt The same can be applied in Example 2 below.

도6은 상기 스토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앞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톱니부(61), 대응톱니부(631)가 구비된 스토핑부재(63)의 구성은 동일하나, 고정볼트(67)가 구비되지 않는 점과, 상기 스토핑부재(63)의 형상이 차이가 있다는 점, 나아가 탄성체(65)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topp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topping member 63 provided with the toothed portion 61 and the corresponding toothed portion 631 is the sam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fixing bolt 67 is not provided, the shape of the stopping member 63 is different, and further, the elastic body 65 is further provided.

우선, 상기 스토핑부재(63)는 앞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부가 상기 로어클램프(30)에 힌지결합되어 로어클램프(30)보다 더 아래로 노출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스토핑부재(63)의 하부 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본체(10)와 이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Firs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topping member 63 has a bar shape whose upper portion is hinged to the lower clamp 30 to be exposed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clamp 30. The lower end of the topping member 63 is formed to be ben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

또한 상기 스토핑부재(63)의 앞면과, 상기 로어클램프(30)의 후면 사이에는 탄성체(65)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핑부재(63)가 가이드바(51)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elastic body 65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ing member 6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clamp 30 so that the stopping member 63 can receiv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bar 51. It is composed.

결과적으로,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볼트(67)의 가압력을 상기 탄성체(65)의 탄성력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탄성체(65)를 수축시키도록 상기 스토핑부재(63)를 당기면, 상기 톱니부(61)와 대응톱니부(631)가 서로 이격되어 로어클램프(30)를 승하강 시킬 수 있으며, 스토핑부재(63)를 당기던 힘을 해제하면, 자연스럽게 톱니부(61)와 대응톱니부(631)가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로어클램프(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pressing force of the fixing bolt 67 is replaced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65, and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ing member 63 to contract the elastic body 65 , The toothed portion 61 and the corresponding toothed portion 6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clamp 30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when the force that pulls the stopping member 63 is released, the toothed portion 61 naturally The corresponding toothed portion 6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clamp 30 can be fixed.

아울러, 상기 공간부(11)의 일측, 즉 본체(10)에는 센서부(S)가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센서부는 금속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부가 금속성분을 감지하면 상기 탬퍼(40)의 탬핑동작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sensor unit S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ace 11, that is, the main body 10, and the sensor unit is a sensor that detects a metal component, and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a metal component, the tamper ( It serves to instruct the tamping operation of 40).

이는 일반적으로 포타필터, 보다 정확하게 포타필터의 바스켓은 내열성이 확보되는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포타필터가 공간부(11)의 끝까지 정확하게 안착될 때 상기 센서부가 바스켓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is is generally a porta filter, and more precisely, the basket of the porta filter is made of a metal component that ensures heat resistance, and when the porta filter is accurately seated to the end of the space part 11, the sensor unit can recognize the basket, It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탬퍼헤드(41)가 어퍼클램프(20)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평상시에는 탬퍼헤드(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탬퍼헤드(41) 외면에 이물질이 묻는 등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위생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amper head 41 is located inside the upper clamp 20 as described above, the tamper head 4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normal times, so that foreign matters are bur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mper head 41 and become contaminate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hygienic by preventing it.

그러나 탬퍼헤드(41)는 탬핑동작에 의해 파우더에 접촉되고, 접촉된 파우더가 탬퍼헤드(41)가 승강할 때 함께 올라가 상기 관통공(24)의 내벽(GW)과 탬퍼헤드(41) 사이에 파우더가 묻거나, 교차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However, the tamper head 41 is in contact with the powder by a tamping operation, and the contacted powder rises together when the tamper head 41 is raised and lowered between the inner wall (GW) of the through hole 24 and the tamper head 41. Problems such as powder or cross-contamination may occur.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수시로 탬퍼헤드(41)를 청소해야 하고, 탬퍼헤드(41)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탬퍼(40)를 어퍼클램프(20) 및 탬퍼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 및 분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ser has to clean the tamper head 41 from time to time, and in order to clean the tamper head 41, the tamper 40 must be separated and disassembled from the upper clamp 20 and the tamper housing 15. Can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어퍼클램프(20)를 상기 탬퍼하우징(15)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며, 어퍼클램프(20)를 탬퍼하우징(15)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탬퍼(40), 보다 정확하게는 탬퍼헤드(4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pper clamp 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under the tamper housing 15, and when the upper clamp 20 is separated from the tamper housing 15, the tamper 40 ), more precis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acilitates cleaning by allowing a part or all of the tamper head 41 to be exposed.

도2는 상기 어퍼클램프(2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제2 및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제4 및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Fig. 2 show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upper clamp 20, Fig. 3 shows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Fig. 4 shows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2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First, referring to FIG. 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어퍼클램프(20)는 상기 탬퍼하우징(15)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어퍼클램프(20)는 상기 탬퍼하우징(15)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lamp 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provided under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upper clamp 20 is coupled to the tamper housing 15 by a coupling means.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어퍼클램프(20)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돌기(27)와, 상기 탬퍼하우징(15)에 상기 결합돌기(27)가 내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홀(미도시) 및 상기 결합돌기(27)의 단부 또는 결합홀의 내측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호간에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마그넷을 포함하는 구성을 말한다.The coupling means includes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27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clamp 20, and a coupling hole provided to allow the coupling protrusion 27 to be inserted into the tamper housing 15 ( (Not shown) and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27 or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hole or both of them refers to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agnet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properties.

이 때 상기 결합수단은 마그넷 뿐만 아니라, 후크결합, 부직포, 상호 결합되는 홈과 돌기 등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ans may be composed of not only magnets, but also hook couplings, nonwoven fabrics, grooves and protrusion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따라서, 사용자가 탬퍼헤드(41)를 청소할 때, 상기 어퍼클램프(20)를 탬퍼하우징(15)로부터 아래로 분리시켜, 노출된 탬퍼헤드(41)를 청소하고, 청소 후 다시 결합시키면, 상기 마그넷의 자성에 의해 탬핑장치(T)를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user cleans the tamper head 41, the upper clamp 20 is separated downward from the tamper housing 15, the exposed tamper head 41 is cleaned, and when the tamper head 41 is combined again after cleaning, the magne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leaning by allowing the tamping device T to be operated by the magnetism of the.

또한 상기 어퍼클램프(20)를 보다 손쉽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어퍼클램프(20)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돌기(21)가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어 있으며, 더욱 손쉽게 분리시키기 위해 별도의 이탈유도부재(26)를 더 구비하여 적은힘으로 어퍼클램프(2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more easily separate the upper clamp 20, one or two or more handle protrusions 21 protruding outward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0, and a separate separation inducing member for easier separation It is further provided with 26 so that the upper clamp 20 can be separated with less force.

상기 이탈유도부재(26)는 상기 탬퍼하우징(15)과 어퍼클램프(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유도부재의 후단이 상기 탬퍼하우징(15)의 후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탈유도부재(26)의 전방이 상기 탬퍼하우징(15)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eparation induction member 26 is provided between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upper clamp 20, and the rear end of the separation induction member is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separation induction member The front of 26 is made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tamper housing 15.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이탈유도부재(26)의 전방을 잡고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어퍼클램프(20)와 탬퍼하우징(15)이 서로 떨어지게 되며, 이 때 손잡이돌기(21)를 잡고 당기면 손쉽게 어퍼클램프(2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별도의 탄성스프링 등을 통하여 상기 이탈유도부재가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 user grabs the front of the departure induction member 26 and lowers it, the upper clamp 20 and the tamper housing 15 naturally fall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protrusion 21 is grabbed and pulled,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upper clamp 20,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separation inducing member have an elastic force through a separate elastic spring, and thus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and interpreted.

도3은 제2 및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어퍼클램프(20)의 형상이 제1실시예와는 다른 것에 차이가 잇다.Fig. 3 shows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which differ in that the shape of the upper clamp 2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어퍼클램프(20)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탬퍼하우징(15)과 어퍼클램프(20)는 그 단면면적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하로 탈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상기 어퍼클램프(20)가, 관통공(24)이 절반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탬퍼하우징(15)의 하부에는 나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iffer only in the shape of the upper clamp 20,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upper clamp 20 have a cross-sectional area thereof. The upper clamp 20 and the third embodiment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but the upper clamp 20 is formed in a half through hole 24, and the lower part of the tamper housing 15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rest can be formed.

즉,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탬퍼헤드(41)의 절반만 노출시키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제1실시예보다 더 손쉽고 빠르게 어퍼클램프(20)를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re may be a limit of exposing only half of the tamper head 41,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per clamp 20 can be separated more easily and quickly than the first embodiment. ,

특히 이 경우에는 어퍼클램프(20)의 절개된 절개선이 상기 관통공(24)의 중심점을 지나는 선으로 절개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cut line of the upper clamp 20 must be cut by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through hole 24.

즉, 관통공(24)의 절반보다 더 크게 형성하도록 절개하면, 상기 탬퍼헤드(4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분리가 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at is, this is because if the cut is made to be larger than half of the through hole 24, a problem that it cannot be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amper head 41 occurs.

아울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와 같이, 힌지부(23)를 통해 탬퍼하우징(15)과 힌지결합되어 스윙동작으로 탬퍼헤드(41)를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며,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s 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it is also hinged with the tamper housing 15 through the hinge 23 to expose the tamper head 41 through a swing motion. Is possible,

이 경우 또한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착공의 중심점을 지나도록 절개되어야 하며, 탬퍼헤드(41)가 일부만 노출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앞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클램프(20)가 완전히 분리되는 방식이 아니라서 분실 또는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과 빠르게 어퍼클램프(20)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as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cut is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tamper head 41 is partially exposed, but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upper clamp 20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risk of loss or damage because the method is not completely separa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pper clamp 20 can be quickly separated.

아울러 제2 내지 제4실시예와 같이 탬퍼헤드(41)의 일부만 노출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13)의 승하강버튼을 동작하여 탬퍼헤드(41)를 더 아래로 하강시키면, 탬퍼헤드(41)의 외면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고, 탬퍼헤드(41)의 상부면까지 청소가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when only part of the tamper head 41 is exposed as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when the tamper head 41 is lowered further by operating the lift button of the control unit 13, the tamper head 41 The outer surface of the can be easily cleaned, and it is possible to clean up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mper head 41, and thus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and interpreted.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bove, a tamping device that is easy to clean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 : 탬핑장치 G : 글라인더
10 : 본체 11 : 공간부
13 : 제어부 15 : 탬퍼하우징
20 : 어퍼클램프 M : 마그넷
21 : 손잡이돌기 23 : 힌지부
25 : 안착가이드 27 : 결합돌기
24 : 관통공 26 : 이탈유도부재
30 : 로어클램프 31 : 장착부
33 ; 장공 40 : 탬퍼
41 : 탬퍼헤드 43 : 탬퍼축
45 : 모터 50 : 승하강유닛
51 : 가이드바
60 : 스토핑유닛 61 : 톱니부
63 : 스토핑부재 631 : 대응톱니부
65 : 탄성체 67 : 고정볼트
T: Tamping device G: Grinder
10: main body 11: space
13: control unit 15: tamper housing
20: upper clamp M: magnet
21: handle protrusion 23: hinge portion
25: seating guide 27: coupling protrusion
24: through hole 26: separation inducing member
30: lower clamp 31: mounting part
33; Long Hole 40: Tamper
41: tamper head 43: tamper shaft
45: motor 50: elevating unit
51: guide bar
60: stopping unit 61: tooth portion
63: stopping member 631: corresponding tooth portion
65: elastic body 67: fixing bolt

Claims (4)

포타필터가 장착되는 공간부(11)와, 상기 공간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탬퍼하우징(15)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11)에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어퍼클램프(20) 및 로어클램프(30);
상기 공간부(11)에 장착된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도록 상기 어퍼클램프(20)에 구비되는 탬퍼헤드(41)와, 상기 탬퍼헤드(41)에 구비되어 모터(45)에 의해 승하강하는 탬퍼축(43)을 포함하는 탬퍼(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클램프(20)는
상기 탬퍼하우징(15)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어퍼클램프(20)를 상기 탬퍼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탬퍼헤드(41)를 하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탬퍼헤드(4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도록 이루어져, 탬퍼헤드(41) 및 분리된 어퍼클램프(20)를 함께 청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
A main body 10 comprising a space part 11 on which a porta filter is mounted and a tamper housing 15 provided above the space part 11;
An upper clamp 20 and a lower clamp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 filter mounted on the space 11, respectively;
A tamper head 41 provided in the upper clamp 20 to tampon the coffee in the porta filter mounted in the space 11, and a tamper head 41 provided in the tamper head 41 to be raised and lowered by a motor 45. A tamper 40 including a tamper shaft 43;
Including,
The upper clamp 20 is
It is provided detachably under the tamper housing 15,
When the upper clamp 20 is separated from the tamper housing 15, a part or all of the tamper head 41 is exposed without lowering the tamper head 41, and the tamper head 41 and separation Easy cleaning tam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be able to clean the upper clamp (20)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클램프(20)는
상기 탬퍼하우징(15)에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clamp 20 is
Easy cleaning tam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mper housing 1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amper housing 15 by a coupling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하우징(15) 하부 일측에는 상기 어퍼클램프(2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3)가 구비되어,
상기 어퍼클램프(20)를 상기 힌지부(23)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탬퍼헤드(4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hinge portion 23 to which the upper clamp 20 is hinged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tamper housing 15,
Easy cleaning tam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lamp (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part (23) to expose part or all of the tamper head (4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클램프(20)는 상기 탬퍼하우징(1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상기 탬퍼하우징(15)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탬퍼하우징(15)의 하부면과 상기 어퍼클램프(20)의 상부면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가 용이한 탬핑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clamp 20 is di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amper housing 15, and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ttom of the tamper housing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asy cleaning tam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tamper housing (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coupled and separated by the coupling means.
KR1020190065437A 2019-06-03 2019-06-03 Tamping device KR102255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7A KR102255169B1 (en) 2019-06-03 2019-06-03 Tam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7A KR102255169B1 (en) 2019-06-03 2019-06-03 Tam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87A KR20200138987A (en) 2020-12-11
KR102255169B1 true KR102255169B1 (en) 2021-05-24

Family

ID=7378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37A KR102255169B1 (en) 2019-06-03 2019-06-03 Tamp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16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0730A (en) 2010-06-01 2014-01-16 ロエブル,オーデッド coffee maker
KR101842325B1 (en) 2015-10-30 2018-03-26 최대성 Apparatus for tamping coffe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0730A (en) 2010-06-01 2014-01-16 ロエブル,オーデッド coffee maker
KR101842325B1 (en) 2015-10-30 2018-03-26 최대성 Apparatus for tamping coffe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youtube.com/watch?v=T-nyRzXtVI8(2018.1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87A (en)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32726A1 (en) Weighing device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and an espresso coffee machine incorporating such a device
US20080121111A1 (en) Unit for Preparing at Least One Espresso Coffe Cup or Other Hot Beverage From a Prepackaged Single So-Called Coffee Pod
US20140203118A1 (en) Apparatus to control the dispensing of a precise amount of ground coffee into an espresso portafilter basket
KR102255169B1 (en) Tamping device
AU2012237037B2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KR20090112956A (en) Brew mechanism for coffee maker
WO2021186195A1 (en) A portafilter cleaning head, device and unit and unit comprising same
KR102221003B1 (en) Tamping device
CN208284804U (en) A kind of fixed cabinet of electricity consumption instrument convenient for meter reading
CN112562195B (en) Full-automatic beverage vending machine
CN110074676A (en) Powder Yao Jun mechanism, coffee automatic coffee making device and method for pouring using it
KR102057500B1 (en) a tamping device
CN105708331A (en) Coffee filter
EP2943102A1 (en)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with integrated use interface and process for operating said machine
CN209961625U (en) Automatic leather testing scratch-resistant machine
KR101862033B1 (en) Lifting and lowering device of the injectio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filler-wrapping food
CN111493665A (en) Powder pressing device
CN219331404U (en) Barbecu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ding seasonings
CN208726163U (en) A kind of height-adjustable operating bed
CN213855669U (en) Old stalk separator of tealeaves
CN208551280U (en) Magnetic-type ground coffee connects device
CN212415489U (en) Powder pressing device
CN211862465U (en) Tea making device
CN214475292U (en) Full-automatic beverage vending machine
CN211215251U (en) Hand exerciser and department of neurology nursing are with temp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