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432B1 -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 - Google Patents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432B1
KR102251432B1 KR1020200150916A KR20200150916A KR102251432B1 KR 102251432 B1 KR102251432 B1 KR 102251432B1 KR 1020200150916 A KR1020200150916 A KR 1020200150916A KR 20200150916 A KR20200150916 A KR 20200150916A KR 102251432 B1 KR102251432 B1 KR 10225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diagnostic
endoscope
medical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빈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4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otor driv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A proposed technology relates to a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a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iagnostic device comprising a portable stethoscope, an endoscope, and a microscope for telemedicine; and the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effect of allowing a medical staff to check on a patient's condition from afar.

Description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TECHNICAL FIELD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제안기술은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진료를 위해 휴대용 청진기, 내시경 및 현미경이 일체로 구성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The proposed technology relates to a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a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agnostic device including a portable stethoscope, an endoscope, and a microscop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a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청진기, 내시경 및 현미경은 진단의 수단으로서, 청진기는 인간 또는 동물의 심장, 폐, 위장 등에서 나는 사운드를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내시경은 주고 위장 관계를 살펴보거나 복강내, 기관지를 살펴보는 등 진단 뿐만 아니라 치료의 범위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현미경은 생물학적 물질의 검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stethoscope, an endoscope, and a microscope are used as diagnostic means, and the stethoscope is used to amplify the sound produced by the heart, lungs, stomach, etc. of humans or animals. Endoscopy is widely used not only for diagnosis, but also for treatment, such as examining the gastrointestinal relationship, intraperitoneal, and bronchi. Microscopes are widely used for examination of biological materials.

일반적인 청진기, 내시경 및 현미경의 경우, 의료진이 환자와 근거리에서 환자의 몸에 직접 접촉시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In the case of general stethoscopes, endoscopes, and microscopes, medical staff can determine the patient's condition by making direct contact with the patient's body at close range.

이러한 경우, 의료진이 환자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염병 등에 감염된 환자의 상태 확인 시 의료진이 전염병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this case, since the medical staff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pati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dical staff is exposed to the infectious disease when checking the condition of a patient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or the like.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87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187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원격 진료를 위해 휴대용 청진기, 내시경 및 현미경이 일체로 구성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gnostic system in which a portable stethoscope, an endoscope, and a microscope are integrally configured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에 있어서,In the diagnostic apparatus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케이스 형상의 본체부;A case-shaped body portion;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시경 유닛;Endoscop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현미경 유닛; 및Microscop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And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청진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thoscop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본체부의 하면은 청진기 유닛의 청진판(Sound receiver)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tethoscope plate (Sound receiver) of the stethoscope unit.

본체부의 내부에는 제1모터가 구비되며,A first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내시경 유닛의 하우징 후단은 제1모터에 결합된 제1스크류(screw)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end of the housing of the endoscop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a first screw coupled to the first motor.

내시경 유닛의 하우징은 제1모터의 회전에 의한 제1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of the endoscop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awn out of the body part or inserted into the body part by rotation of the first screw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본체부의 상면에는 내시경 유닛의 하우징을 인출시키거나 삽입시키기 위한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orward button and a reverse butt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pulling out or inserting the housing of the endoscope unit.

본체부의 내부에는 제2모터가 구비되며,A second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현미경 유닛의 하우징 후단은 제2모터에 결합된 제2스크류(screw)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end of the housing of the microscop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a second screw coupled to the second motor.

현미경 유닛의 하우징은 제2모터의 회전에 의한 제2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of the microscop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awn out of the body part or inserted into the body part by rotation of the second screw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본체부의 상면에는 현미경 유닛의 하우징을 인출시키거나 삽입시키기 위한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orward button and a reverse butt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pulling out or inserting the housing of the microscope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diagnostic system comprising a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내시경 유닛, 현미경 유닛 및 청진기 유닛을 통해 진단된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pplication for displaying the result diagnosed through the endoscope unit, the microscope unit and the stethoscope unit.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in a user interface (UI) of the user device.

진단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gnostic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motely controlled using an application.

사용자는 환자 또는 의료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is characterized by being a patient or a medical staff.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dical staff can check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from a distance.

또한, 전염병에 감염된 환자 등의 진찰 시 전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infection when examining a patient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유닛의 내시경과 현미경 노출 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유닛의 내시경과 현미경 미 노출 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유닛의 하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및 현미경의 작동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시스템에서 환자 측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시스템에서 의료진 측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시스템에서 의료진 측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gnost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osed to an endoscope and a microscop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iagnost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oscope and microscope are not exposed.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diagnost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endoscope and micr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pplication screen executed on a patient-side smartphone in the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pplication screen executed on a smartphone on the side of a medical staff in the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pplication screen executed on a computer of a medical staff in the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be able to.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merely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진료를 위해 휴대용 청진기, 내시경 및 현미경이 일체로 구성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a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agnostic device including a portable stethoscope, an endoscope, and a microscop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and a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유닛의 내시경과 현미경 노출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유닛의 내시경과 현미경 미 노출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유닛의 하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및 현미경의 작동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iagnost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oscope and microscope are exposed, FIG. 2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iagnost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oscope and the microscope are not exposed, and FIG.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diagnostic unit is shown,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ndoscope and a micr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진단 장치는 케이스 형상의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시경 유닛(4)과, 상기 본체부(2)의 내부에 결합되는 현미경 유닛(14)과, 상기 본체부(2)의 내부에 결합되는 청진기 유닛(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agnostic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shaped body portion 2, an endoscope unit 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 and a microscope unit 1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ethoscope unit 2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상기 청진기 유닛(24)은 일반적인 청진기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청진판(Sound receiver)(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ethoscope unit 24 functions as a general stethoscope, and includes a sound receiver 26.

상기 청진판(26)은 진동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컵 모양의 벨(bell)과 높은 진동수를 감지할 수 있게 해주는 디스크 모양의 다이어프램(diaphragm)으로 이루어진다.The auscultation plate 26 is made of a cup-shaped bell to detect a frequency and a disk-shaped diaphragm to detect a high frequency.

몸으로부터의 사운드는 벨 또는 다이어프램을 통해 수동적으로 증폭되어 공기 체적부(air volume)에 전송된다. Sound from the body is passively amplified through a bell or diaphragm and transmitted to the air volume.

상기 본체부(2)의 하면은 상기 청진판(26)으로 구성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is composed of the auscultation plate 26.

상기 내시경 유닛(4)은 케이스 형상의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내부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하우징(6)의 내부에 결합되며, 인체 내에 삽입되는 삽입 튜브를 포함하는 내시경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내시경 모듈을 구동하고 제어하는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ndoscope unit 4 includes a case-shaped housing 6, a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6, and an insertion tu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6 and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ndoscope module,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endoscope module.

상기 본체부(2)의 내부에는 상기 내시경 유닛(4)을 상기 본체부(2)의 내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모터(8)가 구비된다. 상기 내시경 유닛(4)의 하우징(6) 후단은 제1모터(8)에 결합된 제1스크류(screw)(10)에 결합된다.A first motor 8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 to move the endoscope unit 4 into and out of the main body 2. The rear end of the housing 6 of the endoscope unit 4 is coupled to a first screw 10 coupled to the first motor 8.

상기 내시경 유닛(4)의 하우징(6)은 상기 제1모터(8)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스크류(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부(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부(2)의 내부로 삽입된다.The housing 6 of the endoscope unit 4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2 or the main body 2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crew 10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8. ) Is inserted into the inside.

상기 본체부(2)에 대한 상기 내시경 유닛(4)의 인출 및 삽입은 상기 본체부(2)의 상면에 형성된 내시경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12)에 의해 조절된다.The withdrawal and insertion of the endoscope unit 4 into the main body 2 is controlled by an endoscope forward button and a reverse button 1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상기 현미경 유닛(14)은 케이스 형상의 하우징(16)과,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결합되어 광원을 환자의 환부로 조사되도록 연결해주는 광케이블과,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결합되어 환자의 안구를 확대해 주는 대물렌즈와, 상기 하우징(16)의 내부에 결합되어 확대된 안구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한 접안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icroscope unit 14 is a case-shaped housing 16, a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6,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6 to connect a light source to irradiate the patient's affected area. It comprises an optical cable, an objective len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6 to enlarge a patient's eyeball, and an eyepiec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6 to check the enlarged eyeball with the naked eye. .

상기 본체부(2)의 내부에는 상기 현미경 유닛(14)을 상기 본체부(2)의 내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18)가 구비된다. 상기 현미경 유닛(14)의 하우징(16) 후단은 상기 제2모터(18)에 결합된 제2스크류(screw)(20)에 결합된다.A second motor 18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 to move the microscope unit 14 inside and outside the main body 2.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6 of the microscope unit 14 is coupled to a second screw 20 coupled to the second motor 18.

상기 현미경 유닛(14)의 하우징(16)은 상기 제2모터(18)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부(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부(2)의 내부로 삽입된다.The housing 16 of the microscope unit 14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2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crew 20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18 or the main body 2 ) Is inserted into the inside.

상기 본체부(2)에 대한 상기 내시경 유닛(4)의 인출 및 삽입은 상기 본체부(2)의 상면에 형성된 현미경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22)에 의해 조절된다.The withdrawal and insertion of the endoscope unit 4 into the main body 2 is controlled by a microscope advance button and a reverse button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상기 본체부(2)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2), 상기 내시경 유닛(4), 상기 현미경 유닛(14) 및 상기 청진기 유닛(24)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다.A connection cable for supplying power 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the main body 2, the endoscope unit 4, the microscope unit 14 and the stethoscope unit 2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 Can be.

또한, 상기 본체부(2)에는 상기 내시경 유닛(4), 상기 현미경 유닛(14) 및 상기 청진기 유닛(24)으로부터 진단된 결과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모듈이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wireless network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agnosis results from the endoscope unit 4, the microscope unit 14, and the stethoscope unit 24.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시스템에서 환자 측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시스템에서 의료진 측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시스템에서 의료진 측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5 shows an application screen executed on a patient-side smartphone in the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n application screen executed on a medical staff-side smartphone in the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reen of an application executed on a computer of a medical staff in the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내시경 유닛(4), 현미경 유닛(14) 및 청진기 유닛(24)을 통해 진단된 결과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디스플레이된다.The results diagnosed through the endoscope unit 4, the microscope unit 14, and the stethoscope unit 24 are displayed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n a user interface (UI) of a user device.

상기 사용자는 환자 또는 의료진 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PC 등 일 수 있다.The user may be a patient or a medical staff, and the user device may be a smartphone or a PC.

상기 진단 장치는 원격 진료를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될 수 있다.The diagnostic device may be remotely controlled using the application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상기 진단 시스템의 이용 시, 상기 환자가 상기 본체부(2)에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면, 상기 진단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진단 장치와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의료진 및 상기 환자의 디바이스에 각각 디스플레이된다.When using the diagnostic system, when the patient switches the power switch configured on the main body 2 to an on state, power is supplied to the diagnostic device, and an application connected to the diagnostic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is is displayed on the device of the medical staff and the patient, respectively.

상기 진단 장치와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은 상기 본체부(2)에 구성된 상태 표시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diagnostic device and the device can be confirmed through a status indicator configured in the main body 2.

이후, 상기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상기 환자 또는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상기 본체부(2)를 상기 환자의 인체에 접촉된다.Thereaft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medical staff, the patient or the patient's guardian contacts the body part 2 with the patient's human body.

상기 환자 측의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의료진의 모습과 상기 의료진에게 전달되는 환자 측의 모습이 보여진다.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patient's device, the image of the medical staff and the image of the patient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are shown.

또한, 상기 내시경 유닛(4)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내시경 유닛(4)의 카메라 모듈로 촬영되는 영상이 보여지며, 상기 현미경 유닛(14)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현미경 유닛(14)의 카메라 모듈로 촬영되는 영상이 보여진다. 상기 청진기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청진기 유닛(24)의 청진음이 전달된다.In addition, when the endoscope unit 4 is use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of the endoscope unit 4 is shown, and when the microscope unit 14 is used,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module of the microscope unit 14 is used. The video is displayed. When the stethoscope unit is used, the stethoscope sound of the stethoscope unit 24 is transmitted.

상기 의료진의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상기 환자 측의 모습과 상기 환자 측에 전달되는 의료진의 모습이 보여진다.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evice of the medical staff, the image of the patient and the image of the medical staff transmitted to the patient are shown.

또한, 상기 내시경 유닛(4)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내시경 유닛(4)의 카메라 모듈로 촬영되는 영상이 보여지며, 상기 현미경 유닛(14)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현미경 유닛(14)의 카메라 모듈로 촬영되는 영상이 보여진다. 상기 청진기 유닛(24)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청진기 유닛(24)의 청진음이 전달된다.In addition, when the endoscope unit 4 is use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of the endoscope unit 4 is shown, and when the microscope unit 14 is used,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module of the microscope unit 14 is used. The video is displayed. When the stethoscope unit 24 is used, the stethoscope sound of the stethoscope unit 24 is transmitted.

상기 의료진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진단 장치를 원격 제어하게 된다.The medical staff remotely controls the diagnostic device using the application.

상기 의료진의 애플리케이션에는 청진기 유닛, 내시경 유닛 및 현미경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된다.The medical staff's application displays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one of a stethoscope unit, an endoscope unit, and a microscope unit.

상기 의료진이 상기 청진기 유닛(24)을 선택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다이어프램 모드 또는 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Dia/bell 전환 버튼(32)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의료진은 상기 Dia/bell 전환 버튼(32)을 이용하여 상기 청진기 유닛을 다이어프램 모드 또는 벨 모드로 원격 전환하게 된다.When the medical staff selects the stethoscope unit 24, a Dia/bell switching button 32 for switching to a diaphragm mode or a bell m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The medical staff remotely switches the stethoscope unit to a diaphragm mode or a bell mode by using the Dia/bell switch button 32.

상기 의료진이 상기 내시경 유닛(4)을 선택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상기 내시경 유닛(4)의 카메라 모듈을 핀치 아웃(pinch out)/핀치 인(pinch in) 시키기 위한 축소 및 확대 버튼(34)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의료진은 상기 축소 및 확대 버튼(34)을 이용하여 상기 내시경 유닛(4)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보여지는 화면을 축소 및 확대 가능하다. When the medical staff selects the endoscope unit 4, a reduction and enlargement button 34 for pinching out/pinching the camera module of the endoscope unit 4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34) Is displayed. The medical staff can reduce and enlarge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endoscope unit 4 by using the reduction and enlargement button 34.

상기 의료진이 상기 현미경 유닛(14)을 선택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상기 현미경 유닛(14)의 카메라 모듈을 핀치 아웃(pinch out)/핀치 인(pinch in) 시키기 위한 축소 및 확대 버튼(34) 및 배율을 확대 및 축소시키기 위한 배율 확대 및 축소 버튼(36)이 디스플레이 된다. When the medical staff selects the microscope unit 14, a reduction and enlargement button 34 for pinching out/pinching the camera module of the microscope unit 14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34) And a magnification magnification and reduction button 36 for magnifying and reducing magnification.

상기 의료진은 상기 축소 및 확대 버튼(34) 을 이용하여 상기 현미경 유닛(14)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보여지는 화면을 축소 및 확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율 확대 및 축소 버튼(36)을 이용하여 상기 현미경 유닛(14)의 배율을 축소 또는 확대 가능하다.The medical staff can reduce and enlarge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microscope unit 14 by using the reduction and enlargement button 34.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or enlarge the magnification of the microscope unit 14 by using the magnification enlargement and reduction button 36.

상기 현미경 유닛(14), 상기 내시경 유닛(4) 및 상기 청진기 유닛(24)에서 진단된 검진 결과는 실시간으로 해당 환자의 서버에 저장되어 추후 언제든 청취할 수 있다. The examination results diagnosed by the microscope unit 14, the endoscope unit 4, and the stethoscope unit 24 are stored in the server of the patient in real time and can be listened to at any time later.

또한, 상기 의료진이 진단 장치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여 상기 진단 장치로부터 전송된 진단 결과를 실시간으로 들을 수 없는 상황일 때에도 상기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장소라면 어디에서도 상기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edical staff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agnosis device and cannot hear the diagnosis result transmitted from the diagnosis device in real time, the diagnosis result stored in the server can be checked. Wherever possible, the patient's condition can be check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진단 장치 및 진단 시스템은 일정 거리 이상의 원거리에서도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전염병 환자의 상태 확인 시 의료진이 전염병에 노출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diagnosis apparatus and 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nables medical staff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even at a distance greater than a certain distanc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medical staff are exposed to infectious diseases when checking the condition of a patient with an infectious diseas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2 : 본체부
4 : 내시경 유닛
6 : 내시경 유닛의 하우징
8 : 제1모터
10 : 제1스크류
12 : 내시경 유닛의 전후진 버튼
14 : 현미경 유닛
16 : 현미경 유닛의 하우징
18 : 제2모터
20 : 제2스크류
22 : 현미경 유닛의 전후진 버튼
24 : 청진기 유닛
26 : 청진판
28 : 연결 케이블
30 : 선택 버튼
32 : Dia/bell 전환 버튼
34 : 축소 및 확대
36 : 배율 확대 및 축소 버튼
2: main body
4: Endoscope unit
6: housing of the endoscope unit
8: first motor
10: first screw
12: forward and backward button of the endoscope unit
14: microscope unit
16: housing of the microscope unit
18: second motor
20: second screw
22: forward and backward button of the microscope unit
24: stethoscope unit
26: stethoscope plate
28: connection cable
30: select button
32: Dia/bell switch button
34: reduction and enlargement
36: Magnification enlargement and reduction buttons

Claims (12)

케이스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시경 유닛;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현미경 유닛;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청진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제1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내시경 유닛의 하우징 후단은 제1모터에 결합된 제1스크류(screw)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A case-shaped body portion;
An endoscop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microscop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stethoscope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he rear end of the housing of the endoscope unit is coupled to a first screw coupled to the first motor
A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면은 상기 청진기 유닛의 청진판(Sound receiver)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Diagnosis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sound receiver of the stethoscope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유닛의 하우징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gnostic apparatus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wherein the housing of the endoscope unit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part o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part by rotation of the first screw by rotation of the first mo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내시경 유닛의 하우징을 인출시키거나 삽입시키기 위한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a forward button and a reverse button for pulling out or inserting the housing of the endoscope unit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제2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현미경 유닛의 하우징 후단은 제2모터에 결합된 제2스크류(screw)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of the microscope unit is coupled to a second screw coupled to the second mo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 유닛의 하우징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wherein the housing of the microscope unit is drawn out of the body part or inserted into the body part by rotation of the second screw by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현미경 유닛의 하우징을 인출시키거나 삽입시키기 위한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diagnost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a forward button and a reverse button for pulling out or inserting the housing of the microscope unit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내시경 유닛, 현미경 유닛 및 청진기 유닛을 통해 진단된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시스템.
In a diagnostic system comprising the diagnostic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2 and 4 to 8,
Including; an application in which diagnostic results are displayed through an endoscope unit, a microscope unit, and a stethoscope unit.
Diagnosis system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diagnostic system for telemedic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a user interface (UI) of a user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agnostic system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gnostic device is remotely controlled using the applic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환자 또는 의료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를 위한 진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agnostic system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a patient or a medical staff.
KR1020200150916A 2020-11-12 2020-11-12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 KR102251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916A KR102251432B1 (en) 2020-11-12 2020-11-12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916A KR102251432B1 (en) 2020-11-12 2020-11-12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432B1 true KR102251432B1 (en) 2021-05-11

Family

ID=7591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916A KR102251432B1 (en) 2020-11-12 2020-11-12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43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02A (en) 2001-08-31 2003-03-06 김동준 Electronic stethoscope system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50037826A (en) * 2003-10-20 2005-04-25 김용숙 Real time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and its using method using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image and sound transmission function
KR20070104539A (en) * 2004-12-28 2007-10-26 패트릭 씨. 멜더 Endoscopic imaging system
US20180344160A1 (en) * 2015-05-20 2018-12-06 Comprehensive Telemedicine Multipurpose Diagnostic Examination Apparatus And System
WO2019191818A1 (en) * 2018-04-05 2019-10-10 Rusoke Dierich Olaf Medical device, accessories for use therewith,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02A (en) 2001-08-31 2003-03-06 김동준 Electronic stethoscope system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50037826A (en) * 2003-10-20 2005-04-25 김용숙 Real time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and its using method using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image and sound transmission function
KR20070104539A (en) * 2004-12-28 2007-10-26 패트릭 씨. 멜더 Endoscopic imaging system
US20180344160A1 (en) * 2015-05-20 2018-12-06 Comprehensive Telemedicine Multipurpose Diagnostic Examination Apparatus And System
WO2019191818A1 (en) * 2018-04-05 2019-10-10 Rusoke Dierich Olaf Medical device, accessories for use therewith, and methods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286B2 (en) Endoscope system
JP4416990B2 (en) System for operating a device in vivo
JP2018519860A (en) Dynamic visual field endoscope
US11445890B2 (en) Modular endoscope
CN110913744B (en) Surgical system, control method, surgical device, and program
WO2018069992A1 (en) Insertion system
JPWO2011055614A1 (en) Endoscope system
JP2005169009A (en) Endoscope system and endoscope
JP4880398B2 (en) Endoscopic diagnosis system
JP4297649B2 (en) MEDICAL DEVICE AND MEDICAL DEVICE CONTROL METHOD
JPH0642644Y2 (en) Endoscopic bending device
KR102251432B1 (en) Diagnostic device for telemedicine and Diagnostic system including thereof
JP4789762B2 (en) Capsule endoscope system
JPH02257926A (en) Endoscope
JP2002125926A (en) Endoscope appliance
US9782060B2 (en) Medical system
TWI744977B (en) Medical imag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US20220190524A1 (en) Cable and notification method
US11375878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including a flexible tubular insertion portion
JPH05292504A (en) Endoscope device
JP2001104245A (en) Endoscope and endoscope apparatus
JP2001174714A (en) Endoscopic device
CN212816191U (en) Therapeutic digital otoscope
JP2009077859A (en) Endoscope
KR102515467B1 (en) Endoscopic imaging device with removable radial scanning ultrasound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