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387B1 -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 Google Patents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387B1
KR102251387B1 KR1020190116671A KR20190116671A KR102251387B1 KR 102251387 B1 KR102251387 B1 KR 102251387B1 KR 1020190116671 A KR1020190116671 A KR 1020190116671A KR 20190116671 A KR20190116671 A KR 20190116671A KR 102251387 B1 KR102251387 B1 KR 10225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fingerprint
door lock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4837A (en
Inventor
강혜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Priority to KR102019011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387B1/en
Publication of KR2021003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해제 지문의 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와 상기 룸의 사용을 허락받기 위한 소비자의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소비자의 상기 룸 사용을 허용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잠금 해제 지문의 설정을 위한 인증번호를 발급하는 인증번호발급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운영자의 잠금 해제 지문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지문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문설정부; 및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지문 및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지문을 상기 스마트 도어락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에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지문 또는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지문의 입력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지문전송부;를 포함하도록 한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server that connects an operator's terminal with a permission right to use a room in which a smart door lock is installed, which is opened by an input of an unlocking fingerprint, and a consumer's terminal for permission to use the roo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uthentication to set an expiration date for allowing consumers to use the room through the operator's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issue an authentication number for setting the unlocking fingerprint of the smart door lock upon request from the operator's terminal Number issuance department; When an operator's unlock fingerprint used within the valid period is set through an operator's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inputted by a consumer's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the consumer's A fingerprint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unlocked fingerprint of a consumer used within the valid period through a terminal; And a fingerprint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unlocking fingerprint of the operator and the unlocking fingerprint of the consumer to the smart door lock to unlock the unlocked fingerprint of the operator or the unlocking fingerprint of the consumer to the smart door lock. It relates to a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to include; and a smart door lock used therein.

Figure R1020190116671
Figure R1020190116671

Description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s used therein

본 발명은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출입을 허용하도록 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and a smart door lock us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a public space that allows only authorized persons to enter a room used as a private space in a guest room or a share house. It relates to a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the room and a smart door lock used therein.

일반적으로, 실내의 룸도어에는 개폐를 위한 레버타입의 도어락이 설치되는데, 레버타입의 도어락에 설치되는 록킹 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폐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In general, a lever-type door lock for opening/closing is installed on an indoor room door, and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opening/closing is possible as needed by a locking means installed in the lever-type door lock.

종래의 룸도어용 레버타입의 도어락과 관련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16150호의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인 외부 손잡이, 축 부재, 제1 연동아암, 제2 연동아암, 핀 연결부재, 내부 손잡이로 구성된다. 외부 손잡이는 도어 외측에서 설치되고, 도어 내측의 축 부재와 연동된다. 축 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몸체 상/하단에 돌출되는 상/하단 회동축과, 상단 회동축의 하부 외경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한 고정키로 구성된다. 축 부재는 상/하단 회동축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더 형성하고, 관통공에 외부손잡이가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축 부재는 외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백셋 내부에 설치되는데, 내측에 제1 연동아암이 결합된다. 제1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상단 회동축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과, 삽입공 내주연에 고정키가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키홈과, 삽입공의 바깥 외주연의 적정 구간 내에 핀 연결부재가 관통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돌출 형성하는 좌/우 회동 제한턱으로 이루어진 축 고정부를 구성한다. 축 고정부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홀더 및 래치홀더와 연동되는 래치볼트를 이동시키도록 된 래치홀더 구동부를 구성한다. 제1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일측 외경에 삽입 고정되어 축 부재와 함께 회동되면서, 래치볼트의 문틀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제2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상단 회동축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힌지홀과, 힌지홀의 바깥 외주연의 대향면에 각각 핀 연결부재가 정합되도록 형성하는 핀홀로 이루어진 축 회동부를 구성한다. 축 회동부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동시에 잠금 해제시키도록 하는 데드볼트 구동부를 구성한다. 제2 연동아암은 제1 연동아암에 대면하도록 축 부재에 관통 삽입되고, 축 부재에 관통된 상태로 자유 회동되도록 핀 연결부재와 정합된다. 핀 연결부재는 제2 연동아암의 외주연과 정합되는 한 쌍의 대향핀과, 대향핀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에 내부 손잡이가 결합되도록 형성한 결합홀로 구성된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conventional lever-type door lock for room doors, the "Lever Assembly of the Door Lock Device" in Korean Patent No. 10-0516150 has been proposed. In the case of the outer handle, the shaft member, the first interlocking arm, the second interlocking It consists of an arm, a pin connecting member, and an inner handle. The outer handle is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d is interlocked with the shaft member inside the door. The shaft member includes a cylindrical body, an upper/lower rotation shaft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and a fixing key formed to protrude at least one or more around a lower outer diameter of the upper rotation shaft. The shaft member may further form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lower rotation shaft, and the external handle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The shaft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backset in a rotatable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outer handle, and the first interlocking arm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The first interlocking arm includes an inser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rotation shaft of the shaft member, a key groove formed to couple a fixing key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and a pin connecting member penetrates within an appropriate section of the outer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It constitutes a shaft fixing part consisting of left/right rotation limiting jaws protruding so that rotation is limited. A latch holder driving unit is formed extending to one end of the shaft fixing unit and configured to move the latch holder and the latch bolt interlocked with the latch holder. The first interlocking arm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uter diameter of one side of the shaft membe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haft member, thereby releasing the door frame engagement state of the latch bolt. The second interlocking arm comprises a hinge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rotation axis of the shaft member, and a pin hole formed so that the pin connection member is aligned with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hinge hole. It is formed to extend to one end of the shaft rotation part to constitute a dead bolt driving part that unlocks the latch bolt and the dead bolt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nterlocking arm is inserted through the shaft member so as to face the first interlocking arm, and is matched with the pin connecting member so as to freely rotate while penetrating the shaft member. The pin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opposite pins to be match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interlocking arm, a flat portion connecting one end of the opposite pin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hole formed so that the inner handle is coupled to the flat portion.

한편,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손잡이 회전에 어려움을 갖는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출입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이 경우 타인이 도와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를 개선한 푸시풀(push-pull) 도어락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푸시풀 도어락은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ver-type door lock causes inconvenience in access to the elderly or young children who hold objects in both hands or have difficulty rotating the handle, and in this case, there is a hassle to help others. The use of push-pull door locks is increasing. This push-pull door lock is convenient in use because the door is opened only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이러한 푸시풀 도어락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22760호의 "스마트 도어락"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레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와 연동되어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제1작동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설치부재;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가 푸시풀 동작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손잡이의 푸시풀 동작시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되는 제1회동부를 포함하는 제1작동레버; 및 상기 모티스와 결합되는 제1레버샤프트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제1회동부의 회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의 푸시풀 동작시 상기 제1회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티스와 연동되어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제2작동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작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설치부재;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손잡이가 푸시풀 동작되도록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손잡이의 푸시풀 동작시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되는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제2작동레버; 및 상기 모티스와 결합되는 제2레버샤프트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제2회동부의 회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2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레버의 푸시풀 동작시 상기 제2회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모듈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미리 정해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위치로 회동되는 잠금버튼부; 상기 제1설치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버튼부와 결합되되, 상기 잠금버튼부가 잠금되어 상기 제1작동레버가 푸시풀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일방향 회전되며 상기 잠금버튼부를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제2설치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해제부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잠금버튼부가 잠금되는 경우 상기 제2작동레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가 푸시풀되는 경우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2작동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한다.As a prior art for such a push-pull door lock, a “smart door lock” of Korean Patent No. 10-1822760 has been proposed,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is interlocked with a mortis equipped with a latch bolt by a push-pull operation A smart door lock comprising a first operation modu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herein the first operation module comprises: a first installation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A first handle and a first pivoting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handle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so that the first handle is push-pull, but rotates upward or downward during the push-pull operation of the first handle A first operating lever comprising a; And one end of the first lever shaft coupled to the mortise is coupled, coupled to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pivoting unit, and when the first operating lever is operated with a push-pull A second operation module including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tha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first rotation unit,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and is interlocked with the mortise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a push-pull oper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operation module, a second install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and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portion; A second handle and a second pivoting unit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handle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unit so that the second handle is push-pull, but rotates upward or downward during the push-pull operation of the second handle A second operation lever including a; And one end of the second lever shaft coupled to the mortise is coupled, coupled to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rotation unit, and when a push-pull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lever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tha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rotation unit; and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second operation module, wherei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predetermined locking or unlocking A locking button that is rotated to the position; It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lock button part, and when the lock button part is locked and the first operation lever is push-pull, 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A lock release unit for unlocking the lock button unit; And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ck release unit, and when the lock button unit is locke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engaged so that the second operation lever is fixed, and the And a locking part that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when the first actuating lever is push-pull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second actuating lever.

이와 같이, 룸 도어에 레버타입의 도어락 또는 푸시풀 도어락을 설치할 경우, 현관도어의 사용과는 다른 룸 사용에 특화된 보안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lever type door lock or a push-pull door lock is installed on the room door,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security and convenience specialized for room use different from the use of the entrance door.

특히, 최근에는 국내 및 국외적으로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산업이 국가 정책 및 다양한 산업의 연관성으로 인해,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guest house and share house industr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re experiencing explosive growth due to national policy and the relevance of various industries, and are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그러나, 이러한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의 도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나, 그 밖의 기존 기술에 해당하는 도어락을 설치할 경우, 거주시설에서 일부 공간에 한정된 기간 동안 사용이 허락되는 소비자에 대한 보안성과 편의성을 크게 해치게 됨으로써,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등의 룸에 최적화된 사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f a door lock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or other existing technology is installed on the door of a room used as a private space in a guest house or share house, etc., use is allowed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in some spaces in the residential facility.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optimized for rooms such as guest houses or share houses by greatly compromising security and convenience for consumers.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지문 인식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하며, 유효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nly the authenticated person to enter the room used as a private space in a guest room or a share house through a predetermined fingerprint recognition, as well as an optimized function and In addition, it enables safe public use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crimes in advance, and has excellent security functions to meet privacy and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and allows party consumers to set the expiration date. The purpose of this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and increase the trust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operator by allowing the operator to easily allow the us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문 인식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 상기 룸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소비자에 제공하는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를 등록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가 등록된 룸과 상기 제공기간 내에서 사용기간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룸의 사용료를 결제하도록 하고, 상기 결제를 마친 룸의 사용기간을 이후 소비자의 단말기의 선택으로부터 배제시키는 룸선택결제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등록된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 상기 결제 정보, 상기 소비자가 선택한 룸과 사용기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룸선택결제부에 의해 결제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인증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결제한 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지문 등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지문등록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s terminal having a permission to use a room in which a smart door lock that is opened by fingerprint recognition is installed, a terminal of a consumer using the room, and the smart A service server that allows the door lock to acces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gisters a room provided by the operator's terminal to a consumer, and a service period and a fee for use of the room; The customer's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selects a registered room and a usage period within the provision period, and allows the user to pay for the room usage fee, and the usage period of the room for which the payment is completed is determined by the consumer's terminal. A room selection payment unit to exclude from selection; A database unit for storing a room registered in the service server, a provision period and a usage fee of the room, the payment information, and a room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a usage period; An authentication data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uthentication data to a terminal of a consumer who has paid by the room selection and payment unit; And when the smart door lock accesses and provides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by communication from the consumer's terminal to the service server, the smart door lock controls to perform fingerprint registration for using the paid room during the use period. A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that includes; a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a public use space is provided.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통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룸을 출입시,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을 전달받아, 상기 룸의 사용기간 내에서 출입이 허용되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출입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entering the room by fingerprint recognition register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smart door lock, the access status and access time of the operator are received from the smart door lock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who is allowed to enter the room within the usage period of the room. It may further include an access monitoring unit.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출입 제한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출입 제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소비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개방한 이후부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룸의 내측으로부터 개방될 때까지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출입통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mart door lock accesses and provides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by communication from the consumer's terminal to the service server, an access limit time is set from the consumer's terminal, and the smart door lock is operated during the access limit time. The smart door lock is controlled so that it does not operate on the registered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e smart door lock detec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smart door lock by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and the smart door lock is opened after opening the smart door lock by fingerprint recognition registered by the consumer. It may further include an acces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mart door lock not to operate on fingerprint recognition registered by the operator until it is opened from the inside of the room.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으로서, 상기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록킹과 록킹해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및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통신부; 지문을 입력하도록 설치되는 지문입력부; 상기 제 1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에 제공하면,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하고,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면, 상기 록킹부가 록킹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지문입력부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되는 지문 정보와 상기 지문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는 메모리부;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이 제공된다.A smart door lock used in a system for authenticating a door lock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locking unit installed on a door of the room and configured to perform locking and unlocking so that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sumer's terminal and the operator's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server; A fingerprint input unit installed to input a fingerprint; If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from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to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fingerprint is controlled by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A control unit for registering a fingerprint input to the input unit to allow access during the use period, and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to be unlocked when the fingerprint input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matches the registered fingerprint;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usage perio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and registered by the fingerprint input unit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o provide it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including, a smart door lock is provided.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접속하여, 미리 요구되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사용권한을 획득하면,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출입을 허용하는 본인 또는 타인 지문의 입력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원격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록킹부의 록킹 시점과 록킹 해제 시점을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한 이후부터 상기 사용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한 제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권한위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NF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와 NFC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operator's terminal access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obtains permission to use by entering a password that is required in advance, the operator's terminal permits the input of a fingerprint of the person or other person allowing access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or's terminal. In addition, the smart door lock is remotely locked and unlocked, and the locking point and the unlocking point of the locking unit are controlled to be provided to the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the public spa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From the time after registering the fingerprint inputted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under the control of for access permission during the use period until the use period elapses, the authority delega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authority delegation unit configured to temporarily block control through the operator's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be made of an NFC tag, and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s terminal by an NFC method.

본 발명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의하면,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지문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door lock used therein, only a person who has been authenticated to a room used as a private space in a guest room or a share house allows access through a predetermined fingerprint inpu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have optimized functions and behaviors, and thereby enable safe public use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crime in advance, as well as excellent security functions to satisfy privacy and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 By allowing the operator to easily allow the use of party consumers along with setting the period of u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ust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operator while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authenticating a door lock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It can b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authenticating a door lock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10)은 서비스서버(11), 룸선택결제부(12), 데이터베이스부(13), 인증데이터제공부(14) 및 지문등록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10 for a room in a public u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server 11, a room selection payment unit 12, a database unit 13, and an authentication data providing unit. (14) and a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15 may be included.

서비스서버(11)는 지문 인식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1), 룸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단말기(2), 그리고 스마트 도어락(20,30)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고, 운영자의 단말기(1)가 소비자에 제공하는 룸과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를 등록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기(1,2)는 어플레이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를 통해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함과 아울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처리 및 통신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비롯하여, PC 또는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해서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서비스서버(11)로부터 제공되는 등록페이지에서 자신의 룸 모두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룸 각각에 대한 제공기간과 사용료를 각각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rvice server 11 includes an operator's terminal 1 with a permission to use the room in which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that are opened by fingerprint recognition are installed, the user's terminal 2 using the room, and the smart door lock 20. ,30) is to b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oom provided by the operator's terminal (1) to the consumer, and the period of the room and the usage fee are registered. Here, the terminals 1 and 2 are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that enable communication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as well as receiving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pplications or programs. Including a phone or a tablet PC, a PC or a notebook may be used. Therefore, by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11 through the operator's terminal 1, it is possible to register all of their rooms on the registration page provided from the service server 11, and the provision period and usage fee for each of these rooms. Each can be registered.

룸선택결제부(12)는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2)가 등록된 룸과 제공기간 내에서 사용기간을 선택함과 아울러, 룸의 사용료를 결제하도록 하고, 결제를 마친 룸의 사용기간을 이후 소비자의 단말기(2)의 선택으로부터 배제시키도록 한다. 룸선택결제부(12)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한 결제를 위하여, 외부의 은행 송급 시스템이나 카드 결제 시스템 등과의 통신에 의해, 송금이나 카드 결제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료의 결제를 통해 얻어지는 수익은 정해진 수수료를 제외하고, 운영자에게 입금된다. 또한, 룸선택결제부(12)는 소비자의 단말기(2)가 선택할 사용기간을 다른 소비자의 단말기(2)가 재차 선택하지 못하도록 배제하게 된다. The room selection and payment unit 12 allows the consumer's terminal 2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11 to select the usage period within the registered room and the provision period, and to pay the room usage fee and complete the payment. The period of use of the room is excluded from the consumer's selection of the terminal 2 later. The room selection payment unit 12 may perform remittance or card payment by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bank remittance system or card payment system for payment through the consumer's terminal 2. On the other hand, the profits obtained through payment of the usage fee are deposited to the operator, excluding the set fee. In addition, the room selection and payment unit 12 excludes the use period to be selected by the consumer's terminal 2 so that the other consumer's terminal 2 cannot reselect it.

데이터베이스부(13)는 서비스서버(11)에 등록된 룸과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 결제 정보, 소비자가 선택한 룸과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이 밖에도 스마트 도어락(20,30)의 관리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그리고 운영자 및 소비자의 인적 및 관련 정보와 함께, 그 밖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한다. The database unit 13 stores the room registered in the service server 11, the provision period and usage fee, payment information, the room selected by the consumer, and the usage period, and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Data and programs required for other operations should be stored, along with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provision of related services, and personal and related information of operators and consumers.

인증데이터제공부(14)는 룸선택결제부(12)에 의해 결제한 소비자의 단말기(2)에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한다. 인증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되거나, 정해진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숫자 데이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인증을 위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ing unit 14 provides authentication data to the terminal 2 of the consumer who has paid by the room selection and payment unit 12.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3 or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by a predetermined process. For example, data for authentication in various ways including numeric data may be used.

지문등록제어부(15)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스마트 도어락(20,30)이 결제한 룸을 사용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지문 등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해당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지문 등록 절차의 수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지문등록제어부(15)는 이 밖에도 스마트 도어락(20,30)의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15 provides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by communication from the consumer's terminal 2 by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by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11,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are paid. Controls to perform fingerprint registration for use in one room during the use period, which enables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to perform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procedure through the consumer's terminal 2 providing the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data. In addition,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15 may perform various controls required for management of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10)은 룸에 대한 소비자가 특정시, 운영자의 출입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모니터링부(16)와, 룸에 대한 사용이 확정된 소비자가 특정 시간이나 재실의 경우 운영자가 출입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출입통제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10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 monitoring unit 16 that enables a consumer to monitor the access of an operator at a specific time of a room, and the use of the room It may further include an access control unit 17 that restricts the operator from accessing the determined consumer at a specific time or occupancy.

출입모니터링부(16)는 스마트 도어락(20,30)을 통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룸을 출입시, 스마트 도어락(20,30)으로부터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을 전달받아, 룸의 사용기간 내에서 출입이 허용되는 소비자의 단말기(2)에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되어 필요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When entering the room by fingerprint recognition register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the access monitoring unit 16 receives the operator's access status and access time from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and uses the room. It should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 of the consumer who is allowed to enter within th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data of the operator's access status and access tim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3 to be provided when necessary.

출입통제부(17)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출입 제한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출입 제한 시간 동안 스마트 도어락(20,30)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스마트 도어락(20,30)이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함으로써, 스마트 도어락(20,3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소비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스마트 도어락(20,30)을 개방한 이후부터 스마트 도어락(20,30)이 룸의 내측으로부터 개방될 때까지 스마트 도어락(20,30)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ccess control unit 17 provides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by communication from the consumer's terminal 2 through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by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11, the access control unit 17 restricts access from the consumer's terminal 2 The time is set, and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are controlled so that they do not operate o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registered by the operator during the access limit time, and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are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11, so that the smart door lock ( After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are opened by sen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20 and 30) and registered by the consumer by fingerprint recognition, the smart door lock 20 is opened until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are opened from the inside of the room. ,30)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to operate on fingerprint recognition registered by the operator.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20)은 록킹부(21), 제 1 통신부(22), 제 2 통신부(23), 지문입력부(24), 제어부(25), 메모리부(26) 및 전원공급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smart door lock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locking unit 21, a first communication unit 22,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a fingerprint input unit 24, and a control unit ( 25), a memory unit 26 and a power supply unit 27 may be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20)은 일례로서 푸시풀(push-pull)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서 레버 타입의 도어락(3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도어락으로서 역할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20,30)에서 외부 하우징에 해당하는 본체는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후술하게 될 록킹부(21)의 동작에 의한 래치 등의 걸림부재 움직임에 의해, 도어에 대한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door lock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door lock that enables a push-pull operation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s another example, a lever-type door lock (30) may be used, an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to enable the role of a door lock may be used. In addition, in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outer housing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room, and by the movement of a locking member such as a latch by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locking the door and Unlocking can be performed.

록킹부(21)는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도어가 개폐되도록 록킹과 록킹해제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레버타입이나 푸시풀타입 등에 따라 해당하는 개폐구조 및 동작이 적용될 수 있고,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모터나 솔레노이드 또는 실린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지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래치 등의 록킹부재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술로서 사용되는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ocking unit 21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room and performs locking and unlocking so that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corresponding opening/closing structure and operation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lever type or push-pull type,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 order to perform such a function, a locking member such as a latch may be made to perform an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various known actuators, including a motor, a solenoid, or a cylinder, and configurations used as known techniques may be employed to perform this function. Of course there is.

제 1 통신부(22)는 소비자의 단말기(2) 및 운영자의 단말기(1)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NFC 태그로 이루어지고, 소비자의 단말기(2)와 NFC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 allows the consumer's terminal 2 and the operator's terminal 1 to communicate, for example, consisting of an NFC tag,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s terminal 2 by the NFC method. can do.

제 2 통신부(23)는 서비스서버(11)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블루투스, Wi-Fi, 3G, LTE, 5G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11, and for this purpose, it may perform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Wi-Fi, 3G, LTE, and 5G.

지문입력부(24)는 지문을 입력하도록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손가락 접촉시, 접촉한 손가락에 대한 지문의 인식을 가능하도록 한다.The fingerprint input unit 24 is installed to input a fingerprint, and when a user touches a finger, it enables recognition of a fingerprint on the contacted finger.

제어부(25)는 제 1 통신부(22)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제공되는 인증데이터를 제 2 통신부(23)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지문등록제어부(15)에 제공하면, 지문등록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지문입력부(24)에 입력되는 지문을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하도록 하고, 지문입력부(24)에 입력되는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면, 록킹부(21)가 록킹 해제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unit 25 provides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from the consumer's terminal 2 performing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 to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15 performing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 Under the control of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15, the fingerprint input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24 is registered to allow access during the use period, and if the fingerprint input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24 matches the registered fingerprint, It controls the locking part 21 to be unlocked.

메모리부(26)는 지문입력부(24)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되는 지문 정보와 지문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제어부(25)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며, 그 밖에도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6 stores the usage perio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registered and registered by the fingerprint input unit 24, and provides it upon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25,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And programs and the like may be stored.

전원공급부(27)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건전지 등이 본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건전지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하도록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7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and for this purpose, a battery or the like can be removably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and power provided from such batteries is converted to b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an be provided.

권한위임부(28)는 운영자의 단말기(1)가 제 1 통신부(22)를 통해 접속하여 터치패널 등을 사용하여 미리 요구되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사용권한을 획득하면, 운영자의 단말기(1)의 제어에 의해 출입을 허용하는 본인 또는 타인 지문의 입력을 허용함과 아울러, 스마트 도어락(20,30)을 원격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하고, 록킹부(21)의 록킹 시점과 록킹 해제 시점을 제 2 통신부(23)를 통해서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10)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지문등록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지문입력부(24)에 입력되는 지문을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한 이후부터 사용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한 제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룸의 사용 권한을 획득시, 운영자로부터 정해진 사용기간 동안 자유롭고,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or's terminal 1 access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 and obtains the right to use by entering a password that is required in advance using a touch panel, the authorization commissioning unit 28, the operator's terminal 1 In addition to allowing the input of the fingerprint of the person or other person who allows access under the control of, the smart door locks 20 and 30 are remotely locked and unlocked, and the locking and unlocking timings of the locking unit 21 are determined. Controls to provide to the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10 for rooms in public spac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and allows access to the fingerprint input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24 during the period of use under the control of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15 The operator's control through the terminal 1 is temporarily blocked from registration for the purpose of use until the expiration of the period of use. Accordingly, when a consumer obtains the right to use a room, it is possible to enable free and safe use for a specified period of use from the operato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따르면,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지문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door lock used therein, only a person who has been authenticated to a room used as a private space in a guest room or a share house is allowed to enter through a predetermined fingerprint inpu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functions and operations optimized for this, and thus, to enable safe public use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crime in advance, as well as to ensure excellent security functions to meet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private property. I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operator to easily allow the use of the party consumer along with the setting of the period of u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operator while enhancing convenience of us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 운영자의 단말기 2 : 소비자의 단말기
10 : 도어락 인증 시스템 11 : 서비스서버
12 : 룸선택결제부 13 : 데이터베이스부
14 : 인증데이터제공부 15 : 지문등록제어부
16 : 출입모니터링부 17 : 출입통제부
21 : 록킹부 22 : 제 1 통신부
23 : 제 2 통신부 24 : 지문입력부
25 : 제어부 26 : 메모리부
27 : 전원공급부 28 : 권한위임부
29 : 입력부
1: operator's terminal 2: consumer's terminal
10: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11: service server
12: room selection payment unit 13: database unit
14: authentication data providing unit 15: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16: access monitoring unit 17: access control unit
21: locking unit 22: first communication unit
23: second communication unit 24: fingerprint input unit
25: control unit 26: memory unit
27: power supply unit 28: authority delegate
29: input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문 인식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 상기 룸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소비자에 제공하는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를 등록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가 등록된 룸과 상기 제공기간 내에서 사용기간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룸의 사용료를 결제하도록 하고, 상기 결제를 마친 룸의 사용기간을 이후 소비자의 단말기의 선택으로부터 배제시키는 룸선택결제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등록된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 결제 정보, 상기 소비자가 선택한 룸과 사용기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룸선택결제부에 의해 결제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인증데이터제공부;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결제한 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지문 등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지문등록제어부;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통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룸을 출입시,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을 전달받아, 상기 룸의 사용기간 내에서 출입이 허용되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출입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으로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록킹과 록킹해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및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통신부;
지문을 입력하도록 설치되는 지문입력부;
상기 제 1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에 제공하면,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하고,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면, 상기 록킹부가 록킹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지문입력부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되는 지문 정보와 상기 지문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는 메모리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접속하여, 미리 요구되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사용권한을 획득하면,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출입을 허용하는 본인 또는 타인 지문의 입력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원격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록킹부의 록킹 시점과 록킹 해제 시점을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한 이후부터 상기 사용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한 제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권한위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NF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와 NFC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The operator's terminal having the right to use the room in which the smart door lock is installed, which is opened by fingerprint recognition,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who uses the room, and the smart door lock are access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perator's terminal provides it to the consumer. A service server for registering a room and a provision period and a usage fee of the room;
The customer's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selects a registered room and a usage period within the provision period, and allows the user to pay for the room usage fee, and the usage period of the room after the payment is made to the consumer's terminal. A room selection payment unit to exclude from selection;
A database unit for storing a room registered in the service server, a provision period and a usage fee of the room, payment information, a room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a usage period;
An authentication data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uthentication data to a terminal of a consumer who has paid by the room selection payment unit;
When the smart door lock accesses and provides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by communication from the consumer's terminal to the service server, the smart door lock controls to perform fingerprint registration for using the paid room during the use period.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When entering a room by fingerprint recognition register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smart door lock, the access status and access time of the operator are received from the smart door lock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who is permitted to enter the room within the usage period of the room. Access monitoring unit;
As a smart door lock used in a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a public space including a,
The smart door lock,
A locking unit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room and configured to perform locking and unlocking so that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sumer's terminal and the operator's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server;
A fingerprint input unit installed to input a fingerprint;
If the authentication data provided from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to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fingerprint is controlled by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A control unit for registering a fingerprint input to the input unit to allow access during the use period, and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to be unlocked when the fingerprint input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matches the registered fingerprint;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usage perio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and registered by the fingerprint input unit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o provide it upon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When the operator's terminal access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obtains permission to use by entering a password required in advance, the operator's terminal permits the input of a fingerprint of the person or other person allowing access and In addition, the smart door lock is remotely locked and unlocked, and the locking point and the unlocking point of the locking unit are controlled to be provided to the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a room in the public spa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control unit An authorization unit configured to temporarily block control of the operator's terminal from the time the fingerprint input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is registered to allow access during the use period until the use period elapses;
Includ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de of an NFC tag,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s terminal and NFC method, smart door lock.
삭제delete
KR1020190116671A 2019-09-23 2019-09-23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KR102251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71A KR102251387B1 (en) 2019-09-23 2019-09-23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71A KR102251387B1 (en) 2019-09-23 2019-09-23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37A KR20210034837A (en) 2021-03-31
KR102251387B1 true KR102251387B1 (en) 2021-05-12

Family

ID=7523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71A KR102251387B1 (en) 2019-09-23 2019-09-23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38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55B1 (en)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Method for fingerprint certification and door lock open using mobilephone
KR101887978B1 (en) * 2017-04-26 2018-08-13 우용성 System for doorlock comprising IoT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900B1 (en) * 2015-08-05 2017-04-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Door lock system capable of setting a temporary passwo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55B1 (en)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Method for fingerprint certification and door lock open using mobilephone
KR101887978B1 (en) * 2017-04-26 2018-08-13 우용성 System for doorlock comprising IoT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37A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US96726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US9536359B1 (en) Delivery system via electronic lockboxes
US20190311561A1 (en) Access management and resource sharing platform based on biometric identity
US20070290789A1 (en) Intelligent Interactive Lock and Locking System
US9947158B2 (en) Access control device commissioning
JP6935965B1 (en) Key system
JP5686269B1 (en)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lock opening and closing system
CN110349300A (en) With the intelligent lock system towards internal display screen
US9691203B1 (en) Door access control system permitt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CN202711348U (en) Door opened and closed under remote control
KR102190752B1 (en) Room-use authentication system for public use space and smart push-pull door lock
WO2017142098A1 (en) Key unit, key management system, and key management method
JP2005139644A (en) Key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KR102251387B1 (en) 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KR102291627B1 (en) Smart door locks for doors in shared spaces
KR102190753B1 (en) Room-use authentication system for public use space with increased reliability for access and smart push-pull door lock thereof
KR102073494B1 (en) Crime prevention door with smart door lock for public use room with enhanced reliability
US11715339B1 (en) Electronic lockbox with key retainer subassembly
JP4902856B2 (en) Movement information holding device,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73493B1 (en) Smart door lock for public use rooms with enhanced reliability
TWM534768U (en) Access control device featur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functions
KR20200080893A (en) Smart doorlock
JP2020139391A (en)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JP2020139355A (en) Door locking-unlo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