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197B1 -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197B1
KR102249197B1 KR1020140066592A KR20140066592A KR102249197B1 KR 102249197 B1 KR102249197 B1 KR 102249197B1 KR 1020140066592 A KR1020140066592 A KR 1020140066592A KR 20140066592 A KR20140066592 A KR 20140066592A KR 102249197 B1 KR102249197 B1 KR 102249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information
messenger service
screen
partici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911A (ko
Inventor
박경은
김규호
김철승
한명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197B1/ko
Priority to US14/727,275 priority patent/US10637804B2/en
Publication of KR2015013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메신저 서비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고,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해당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앱 제공 서버로부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앱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신저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적은 양의 문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사용자가 대화 상대를 등록하고 메신저 화면에 출력되는 대화 상대 목록에 있는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최근에는 PC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에서도 메신저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인스턴트 메신저는 단순히, 텍스트, 이미지 등의 컨텐츠만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실시간 인터렉션이 가능한 앱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고,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앱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2 이벤트에 따라 앱 관리 서버로부터 앱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앱 리스트 상에서 하나의 앱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 제공되는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앱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따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앱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웹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면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대화창 내에서 제공된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설정된 형태의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을 수신하여 반영할 수 있는 앱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앱 구성 정보 및 앱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앱 실행 정보에 대응되는 앱 실행 화면 내에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이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앱이 실행되면, 앱 실행 화면을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앱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이전 화면을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앱 관리 서버는, 웹을 통해 실행 가능한 웹 앱(web app)의 URL 정보 및 실행 명령을 관리하며, 상기 앱 제공 서버는, 상기 웹 앱의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 앱의 리소스 및 코드를 관리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앱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은,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실행 가능한 웹 앱의 정보를 관리하는 앱 관리 서버 및,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앱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앱에 대응되는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의 참여자 정보를 대응되는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앱을 실행시키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상기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기설정된 제2 이벤트에 따라 앱 관리 서버로부터 앱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앱 리스트 상에서 하나의 앱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앱 관리 서버 및 앱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따라 상기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앱 접속 정보를 상기 앱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웹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면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대화창 내에서 제공된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설정된 형태의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을 수신하여 반영할 수 있는 앱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앱 구성 정보 및 앱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앱 실행 정보에 대응되는 앱 실행 화면 내에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이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기설정된 형태의 앱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면, 상기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앱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앱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a 내지 6h,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앱 실행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앱의 개발 및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 앱 관리 서버(200),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10) 및, 앱 제공 서버(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 PMP, PDA,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PC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추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블릿 PC,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10)와 네트워크(30)를 통해 통신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신저 서비스는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서비스는 인터넷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두 명 이상 사용자의 실시간 텍스트 통신을 지원하는 서비스로서, 해당 서비스에 이용되는 인스턴트 메신저는 해당 서비스에 이용되는 클라이언트가 된다. 즉각적인 통신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라고도 하며, 인터넷을 통한 메신저라는 의미에서 인터넷 메신저라고도 한다.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로서, 회원 가입 및 인증을 통해 단말 간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해당 메신저 서비스에 로그인한 사용자들에게 대화를 나누거나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이하, ‘대화창’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기능은 기존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앱이란 스스로 실행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라는 용어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영상, 애니메이션, 비디오, 및 인터랙티브(Interactivity) 컨텐츠,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로부터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컨텐츠,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전자 메시지, 현재 이벤트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 상에서 제공되는 앱을 관리하는 앱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여 메신저 서비스 제공 도중 앱 실행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앱 관리 서버(200)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앱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앱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앱 관리 서버(200)는 웹을 통해 실행 가능한 웹 앱(web app)의 URL 정보(경우에 따라 실행 명령이 포함)을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웹 앱의 URL 정보(경우에 따라 실행 명령이 포함)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웹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웹 앱의 URL 정보(경우에 따라 실행 명령이 포함)에 기초하여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앱 정보를 수신하여 앱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제공 서버(20)는 앱의 리소스 및/또는 소스 코드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앱 제공 서버(20)는 실제 해당 앱을 개발한 개발자 및/또는 개발 회사에서 관리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앱 제공 서버(20)는 웹 앱의 리소스 및/또는 소스 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앱을 개발한 개발자 및/또는 개발 회사는 해당 웹 앱에 접근 가능한 URL 정보 만을 앱 관리 서버(200)에 제공하고, 웹 앱의 실체 즉, 리소스 및/또는 소스 코드는 별도의 서버 즉, 앱 제공 서버(20)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존의 인스턴트 메신저 즉, 상용 인스턴트 메신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참여자 정보에 최적화되고,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인터렉션할 수 있는 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메시지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출력 메시지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기초하여 수신된 메시지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메시지 수신에 따라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구동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구동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 및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는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화면 상에서 상대 단말로 전송할 텍스트, 이미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사용자 명령, 해당 서비스 화면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등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해당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리모콘 수신부, 마우스, 물리적 버튼, 카메라, 마이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인스턴트 메신저 화면 내에서 앱 특히, 웹 앱을 실행하는 앱 실행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앱 실행 모드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 웹 앱 실행을 위한 추가 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인스턴트 메신저는 기존과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 자체에서 웹 앱 실행을 위한 추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에 참여한 참여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인터렉션할 수 있는 앱을 해당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고,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해당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20)로 전송하고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앱 실행을 위한 기 설치된 앱 런처(app launcher) 소프트웨어를 통해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별도의 앱 런처 소프트웨어에 앱 실행을 위임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타입의 메신저와 연동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앱 키워드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는데, 해당 앱 키워드는 메신저 서비스 내에서 키워드 자체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앱 런처에 요청한 후, 이를 제공받아 대화창 내에서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 설치된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입력된 앱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앱 런처에 앱 실행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특정 키워드와 함께 입력되는 앱 식별 정보(예를 들어, @사다리)를 인식하고, 해당 키워드를 앱 런처에 제공하여 앱 런처에 앱 실행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앱 런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된 앱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앱 접속 정보, 예를 들어 URL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앱 제공 서버(20)에서 제공하는 웹 앱에 접속하고, 웹 앱에 참여자 정보를 제공하여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이용하여 참여자 정보를 웹 앱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자 정보는, 참여자 아이디, 닉네임, 프로필 정보, 프로필 이미지 등 참여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앱 런처가 앱 실행을 수행하기 위한 기설정된 제1 이벤트는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대화창 내에서 제공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즉, 앱 키워드가 대화창 내에서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아이콘이 대화창 내에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앱 실행을 위한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으나, 아이콘이 대화창 내에 디스플레이된 후,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앱 실행을 위한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에는 앱 실행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앱 구성 정보 뿐 아니라 앱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대화창 내에 앱 실행 정보가 제공된 후, 해당 앱이 실행되면 이미 실행된 앱 실행 정보는, 아직 실행되지 않은 앱의 앱 실행 정보와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 실행 정보가 해당 앱에 대응되는 아이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이미 실행된 앱에 대응되는 아이콘은 비활성화 상태(예를 들어 회색 톤)으로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아직 실행되지 않아 활성화 상태로 표시된 앱의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1 이벤트에 따라 앱이 실행되면 앱 실행 화면을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앱 실행이 종료되면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이전 화면을 복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앱 실행 화면은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별개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제2 이벤트에 따라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앱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앱 리스트 상에서 하나의 앱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2 이벤트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 제공되는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관리 서버(200)에 링크된 기설정된 아이템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앱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앱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정 식별 부호와 함께 앱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워드(예를 들어, /앱 리스트)를 직접 대화창에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앱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앱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프트웨어 버튼, 하드웨어 버튼, 음성, 펜 입력, 모션 인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앱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앱 실행 모드가 실시간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상술한 제1 이벤트에 따라 앱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앱 제공 서버(20)의 웹 앱에 접속하고, 대화창에 참여한 참여자 정보를 웹 앱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참여자 정보를 메신저 클라이언트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앱 리스트 상에서 특정 앱 식별 정보(예를 들어 앱 아이콘 등)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설정된 형태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이 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앱 식별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앱 식별 정보를 특정 식별 부호와 함께 입력함으로써 특정 앱을 바로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다리"의 형태의 정보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사다리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앱 실행이 종료되면, 앱 실행 화면 내에서 대화창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이 반영된 앱 실행 결과를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화창 내의 참여자들의 사용자 단말에서도 앱 실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앱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h 및 도 7a 내지 도 7e의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의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일한 대화창에 접속한 타 사용자 단말 장치(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h 및 도 7a 내지 도 7e의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의 경우도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경우에는 앱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가 생략되며 앱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는 부분부터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인식 가능할 것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 장치(134)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런처(luancher)를 저장한다. 런처는 앱 관리 서버(200) 및 앱 제공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여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선택된 앱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런처는 독립적으로 실행되지 않고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에 대한 실행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런처는 해당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작시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서비스 모듈(14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보안 모듈(141-2) 및 네트워크 모듈(14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보안 모듈(141-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센싱 모듈(14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4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4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46)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모듈(146)에는 상술한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의 앱 실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런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구현 예에 따른 것이며, 런처 프로그램은 실시 예에 따라 다른 모듈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51) 및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그 밖에 통신부(150')는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NFC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인스턴트 메신저 제공 서버(10), 앱 제공 서버(20) 및 앱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서버와의 통신에는 동일한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무선 통신 칩(153)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오디오 처리부, 비디오 처리부, 스피커, 버튼, USB 포트, 카메라, 마이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카메라, 마이크 등을 통해 모션 제어 모드,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처 및 앱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gamification platform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앱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앱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통신부(150)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220)는 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20)는 웹을 통해 실행 가능한 웹 앱(web app)의 식별 정보, URL 정보 및 실행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앱 키워드, 웹 앱 아이콘, 웹 앱 디스크립션 등 다양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앱 관리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앱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앱 매핑 기능 및 앱 제작자가 앱을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앱 리스트를 제공하는 앱 스토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앱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다양한 웹 앱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앱 리스트를 제공하는 앱 스토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앱 스토어 기능을 통해 신규 웹 앱이 등록되는 경우 자동으로 웹 매핑 기능을 통해 관리되는 테이블에도 해당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웹 앱의 실행 명령어와 웹 앱의 URL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을 관리하는 앱 매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앱 스토어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앱 리스트가 제공되고, 앱 리스트 상에서 웹 앱이 선택되면, 앱 매핑 기능을 통해 선택된 앱에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앱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앱 리스트 상에서 웹 앱이 선택되면, 상술한 테이블에 기초하여 웹 앱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웹 앱의 URL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URL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 다만, 사용자 설정에 따라 앱 리스트 상에서 웹 앱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웹 앱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대화창에 제공된 앱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웹 앱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웹 앱의 URL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URL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는 기 설치된 런처를 업데이트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웹 앱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앱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앱 매핑 기능과, 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앱 스토어 기능이 하나의 앱 관리 서버(200)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며, 앱 매핑 기능 및 앱 스토어 기능 각각 별개의 서버, 즉 앱 매핑 서버 및 앱 스토어 서버로 구현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앱 매핑 서버 및 앱 스토어 서버 각각과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거나, 어느 하나의 서버를 통해 다른 하나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통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이 활성화된 상태에 있다(S511).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는 해당 메신저 서비스에 로그인한 사용자들이 대화를 나누는 대화창이 활성화된 상태에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앱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앱 리스트 요청 신호를 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12).
앱 관리 서버(200)는 앱 리스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513).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앱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앱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앱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앱 리스트 상에서 특정 앱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S514).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앱 리스트 상에서 특정 앱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앱 관리 서버(200)에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앱 접속 정보를 요청하고(S515), 앱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S516).
이어서, 수신된 앱 접속 정보 및 대화방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20)로 전송한다(S517).
이 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앱 정보를 수신하고(S517), 수신된 앱 정보에 기초하여 앱을 실행하게 된다(S519). 이에 따라 해당 대화창에 참여한 사용자들은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통해 앱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6h,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앱 실행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6h, 도 7a 내지 도 7e에서는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를 인접하게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를 통해 동일한 메신저 서비스에 접속하고 있는 상태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6a 내지 6h는 앱 실행 도중 실시간 사용자 인터렉션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앱 실행 결과가 제공되는 앱에 대한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의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그룹 대화방 내에서 텍스트 및 이미지 기반 대화를 하다가 액션 기반의 실시간 인터렉션을 위한 앱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에서 앱 실행을 위한 특정 아이템(50)이 선택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는 앱 리스트(6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앱 리스트(610)는 앱을 나타내는 아이콘(611, 612), 앱 네임, 디스크립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는 아이템(50) 선택 명령에 따라 앱 관리 서버(20)에 접속하고,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앱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앱 리스트(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에 디스플레이된 앱 리스트(610) 상에서 특정 앱(예를 들어, 사다리 게임 앱)을 나타내는 아이콘(611)이 선택되면, 선택된 앱에 대응되는 앱 식별 정보(621 내지 623)가 대화창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앱 식별 정보(621 내지 623)이 입력되었음을 인식한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각각 단말에 기설치된 앱 런처에 앱 실행을 요구하고 앱 런처는 앱 식별 정보621 내지 623)에 기초하여 앱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에 기설치된 앱 런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된 앱 식별 정보(예를 들어 카워드)에 대응되는 앱 접속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를 앱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앱 제공 서버(20)에 업로드하고,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앱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하게 된다. 한편,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가 앱 제공 서버(20)에 앱 접속 정보를 업로드하는 경우, 대화창 내의 참여자 정보를 함께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는, 단순한 웹 앱 정보가 아닌, 대화창 내의 참여자들의 정보가 반영된 앱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식별 정보(621 내지 623)가 대화창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됨에 따라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에서 자동으로 실행되어 제공되는 앱 실행 화면은 대화창 내의 참여자 수, 참여자 식별 정보(631 내지 633) 등이 반영된 앱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f 및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실행이 진행되어 종료되면,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실행 결과(641, 642, 643)가 대화창 내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어 모든 참여자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는 앱 제공 서버(20)로부터 앱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대화창 내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각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의 메신저 클라이언트가 웹 앱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웹 앱으로부터 직접 앱 실행 결과를 제공받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실행이 종료되면, 이미 실행이 된 앱 실행 정보(621 내지 623) 즉, 앱 아이콘은 비활성화된 상태 예를 들어 회색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내지 100-3)의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앱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됨을 인식하여 그 시점에 기초하여 동기화된 앱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e는 실시간 사용자 인터렉션을 반영하는 앱을 실행하는 경우의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에 디스플레이된 앱 리스트(610) 상에서 특정 앱(예를 들어, 투표 앱)을 나타내는 아이콘(612)이 선택되면, 선택된 앱에 대응되는 앱 식별 정보(711 내지 713)가 대화창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식별 정보(711 내지 713)가 대화창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됨에 따라 제1 내지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 100-3)에서 자동으로 실행되어 제공되는 앱 실행 화면은 참여자들의 실시간 인터렉션을 수신할 수 있는 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창의 참여자들이 앱 화면에 대한 실시간 인터렉션(예를 들어, 음료 메뉴를 선택하는 인터렉션)을 입력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입력 정보(731 내지 733)를 웹 앱 기능을 통해 앱 실행 화면에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의 실시간 인터렉션(예를 들어 터치 인터렉션)은 다른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앱을 실행한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에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에 없는 앱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GUI(741)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제3 사용자 단말 장치(100-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앱 실행이 종료되면,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실행 결과(751, 752, 753)가 대화창 내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어 모든 참여자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a 내지 6h, 도 7a 내지 도 7e에서는 앱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 즉, 앱 식별 정보가 대화창 내에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자동으로 앱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대화창 내에 제공된 앱 식별 정보, 즉 앱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앱이 실행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Messengers 영역(810), Gamification platform 영역(820) 및 Web Apps 영역(830)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가상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gamification 이란,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게임과 무관한 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게임과 연관된 개념을 활용하는 신조어로서 본 발명의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해 사용한 임의적 명칭에 불과하다.
Messengers 영역(810)은 messenger client(811)와 messenger server(812)를 포함한다. 여기서, messenger client(811)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인스턴트 메신저로, messenger server(812)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구현될 수 있다.
Gamification platform 영역(820)은 gamification launcher(821), mapping server(822) 및 web app store(823)를 포함한다. 여기서, gamification launcher(821)는 상술한 런처로, mapping server(822), web app store(823)는 상술한 앱 관리 서버(200)로 구현될 수 있다.
Web Apps 영역(830)은 mobile web server(831)를 포함한다. 여기서, mobile web server(831)는 앱 제공 서버(20)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essenger client(811)가 messenger server(812)에 접속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messenger client(811)에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웹 앱의 키워드 정보 및 대화창의 참여자 정보가 gamification launcher(821)로 제공될 수 있다(1).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화창 내에서 특정 식별 부호(예를 들어, @ 또는 / 등의 특수 문자)를 포함한 앱 키워드가 입력되면,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해당 키워드 정보 및 참여자 정보를 gamification launcher(82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gamification launcher(821)는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mapping server(822)로부터 해당 웹 앱의 U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2). 다만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web app store(823)로부터 앱 리스트를 제공받고, 앱 리스트 상에서 선택된 웹 앱에 대한 URL 정보를 mapping server(822)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어서, gamification launcher(821)는 획득한 URL 정보 및 참여자 정보를 mobile web server(831)에 로딩하여(3), mobile web server(831)로부터 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
이 후, gamification launcher(821)는 수신된 앱 정보를 messenger client(811)로 전송하고, 대화창 내에서 해당 앱 실행 화면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messenger client(811)는 앱 키워드가 대화창에 입력되면,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 정보를 gamification launcher(821)에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대화창 내에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대화창 내의 앱 아이콘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앱 식별 정보를 gamification launcher(821)에 제공하여 앱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messenger client(811)는 앱 키워드가 대화창에 입력되는 즉시 앱 식별 정보를 gamification launcher(821)에 제공하여 앱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앱의 개발 및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부 개발자가 웹 앱을 개발하면, web app server(831)에서 리소스 및/또는 소스 코드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웹 앱 정보를 web app store(823)에 등록할 수 있다. web app store(823)는 외부 개발자에 의해 등록된 웹 앱 정보 예를 들어, 앱 실행 명령, 앱 아이콘, 디스크립션, URL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web app store(823)는 앱 아이콘, 디스크립션 등의 웹 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web app store(823)에서 제공하는 웹 앱 정보에 기초하여 앱을 구매하거나, 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web app server(831)를 통해 웹 앱에 대한 아이템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웹 앱 개발자는 다양한 운영체제 및 메신저 타입과 상관없이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 참여자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이용하여 웹 앱을 개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먼저 메신저 클라이언트 실행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010).
이어서,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한다(S1020). 여기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설정된 형태의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후술하는 앱 리스트 상에 앱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이 후,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앱 제공 서버로부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앱을 실행시킨다. (S1030). 여기서, 기설정된 제1 이벤트는,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대화창 내에서 제공된 앱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S1020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제2 이벤트에 따라 앱 관리 서버로부터 앱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앱 리스트 상에서 하나의 앱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고,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2 이벤트는,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 제공되는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앱 관리 서버는, 웹을 통해 실행 가능한 웹 앱(web app)의 URL 정보 및 실행 명령을 관리하며, 앱 제공 서버는, 웹 앱의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 앱의 리소스 및 코드를 관리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앱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는, 제1 이벤트에 따라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앱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앱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웹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면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콘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앱 런처에 제공하여 앱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을 수신하여 반영할 수 있는 앱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앱 구성 정보 및 앱 실행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선택된 앱이 실행되면, 앱 실행 화면을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앱 실행이 종료되면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이전 화면을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수신된 앱 실행 정보에 대응되는 앱 실행 화면 내에서 메신저 서비스 화면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이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신저 타입 및 모바일 플랫폼 타입(예를 들어, Android, iOS, Tizen 등)에 관계없이 동작 가능한 웹 앱 실행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웹 앱 개발자들에게 개발 및 유지 관리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 및 웹 앱 서비스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고, 웹 앱을 다운로드 및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앱 제공 서버로부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제어부

Claims (20)

  1.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앱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앱 관리 서버에 선택된 앱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앱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앱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고,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웹을 통해 앱을 실행시키고,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실행 화면을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에 제공하고, 상기 앱 실행 화면 내에서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2 이벤트에 따라 앱 관리 서버로부터 앱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앱 리스트 상에서 하나의 앱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2 이벤트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 제공되는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를 통해 앱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따라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앱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웹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면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대화창 내에서 제공된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설정된 형태의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을 수신하여 반영할 수 있는 앱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앱 구성 정보 및 앱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앱 실행 정보에 대응되는 앱 실행 화면 내에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이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앱이 실행되면, 앱 실행 화면을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앱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이전 화면을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앱 관리 서버는,
    웹을 통해 실행 가능한 웹 앱(web app)의 URL 정보 및 실행 명령을 관리하며,
    상기 앱 제공 서버는,
    상기 웹 앱의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 앱의 리소스 및 코드를 관리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앱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실행 가능한 웹 앱의 정보를 관리하는 앱 관리 서버; 및
    앱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앱 관리 서버에 선택된 앱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앱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앱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앱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앱에 대응되는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의 참여자 정보를 대응되는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웹을 통해 앱을 실행시키고,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실행 화면을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에 제공하고, 상기 앱 실행 화면 내에서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참여자 정보는 참여자 수 및 참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3.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앱 관리 서버에 선택된 앱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앱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앱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 내에서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앱의 식별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
    기설정된 제1 이벤트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웹을 통해 앱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실행 화면을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앱 실행 화면 내에서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참여자 정보는 참여자 수 및 참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제2 이벤트에 따라 앱 관리 서버로부터 앱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앱 리스트 상에서 하나의 앱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앱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를 통해 앱 관리 서버 및 앱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 설치된 앱 런처 소프트웨어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따라 메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앱 접속 정보를 앱 관리 서버 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웹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면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형상화한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이벤트는,
    상기 해당 앱의 식별 정보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대화창 내에서 제공된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 내에서 상기 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설정된 형태의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션을 수신하여 반영할 수 있는 앱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앱 구성 정보 및 앱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메신저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신저 서비스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앱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앱 관리 서버에 선택된 앱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앱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앱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형태의 앱 식별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되면, 상기 앱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참여자 정보를 앱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된 앱 정보를 수신하여 웹을 통해 앱을 실행시키고,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실행 화면을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에 제공하고, 상기 앱 실행 화면 내에서 상기 참여자 정보가 반영된 앱 사용 결과를 상기 앱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입력 메시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참여자 정보는 참여자 수 및 참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140066592A 2014-05-31 2014-05-31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92A KR102249197B1 (ko) 2014-05-31 2014-05-31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4/727,275 US10637804B2 (en) 2014-05-31 2015-06-01 User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user terminal apparatus which support a messenger service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92A KR102249197B1 (ko) 2014-05-31 2014-05-31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911A KR20150137911A (ko) 2015-12-09
KR102249197B1 true KR102249197B1 (ko) 2021-05-10

Family

ID=5470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592A KR102249197B1 (ko) 2014-05-31 2014-05-31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37804B2 (ko)
KR (1) KR102249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90718A1 (en) * 2015-09-25 2017-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nking selected messages in electronic message threads
US10757048B2 (en) * 2016-04-08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as a contact
US10158593B2 (en) 2016-04-08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activ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US10263933B2 (en) 2016-05-17 2019-04-16 Google Llc Incorporating selectable application links into message exchange threads
US10291565B2 (en) 2016-05-17 2019-05-14 Google Llc Incorporating selectable application links into conversations with personal assistant modules
IL256693B2 (en) * 2017-05-27 2023-05-01 Segal Efraim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online group
CN108021121A (zh) * 2017-12-07 2018-05-11 苏州骏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维修预警系统及预警方法
US10901752B2 (en) 2018-07-20 2021-01-26 Vmware, Inc. Message based discovery and management of applications
US10977020B2 (en) 2018-12-14 2021-04-13 Vmware, Inc. Providing context-based application suggestions
CN111262882B (zh) * 2020-02-26 2022-04-12 上海云鱼智能科技有限公司 即时通讯中用户类型限定应用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7047033B2 (ja) * 2020-09-03 2022-04-04 Line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4772A1 (en) 2003-05-09 2004-11-11 Microsoft Corporation Instant messaging embedded games
US20130159826A1 (en) 2011-12-20 2013-06-20 Hilary Maso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list of urls
US20130332543A1 (en) 2012-06-12 2013-12-12 Line Corporation Messenger-linke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social graph of a messenger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252B2 (en) * 2001-03-21 2010-12-28 Andrzej Uszok Intelligent software agent system architecture
US7353247B2 (en) * 2001-10-19 2008-04-01 Microsoft Corporation Querying applications using online messenger service
US7287057B2 (en) * 2001-11-15 2007-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ssing information using an instant messaging system
US20070124381A1 (en) * 2005-11-22 2007-05-31 Zurko Mary 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pickup meetings
KR101482151B1 (ko) 2010-05-11 2015-01-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CN103154998A (zh) * 2010-09-08 2013-06-12 利普雷克斯有限公司 图像信息处理服务器
KR101521332B1 (ko) * 2011-11-08 2015-05-20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KR101438596B1 (ko) 2012-07-10 2014-09-1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150302470A1 (en) * 2012-11-27 2015-10-22 Inkwhy, Inc. Embeddable cont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4772A1 (en) 2003-05-09 2004-11-11 Microsoft Corporation Instant messaging embedded games
US20130159826A1 (en) 2011-12-20 2013-06-20 Hilary Maso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list of urls
US20130332543A1 (en) 2012-06-12 2013-12-12 Line Corporation Messenger-linke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social graph of a messenger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37804B2 (en) 2020-04-28
US20150350123A1 (en) 2015-12-03
KR20150137911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19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1144B1 (ko) 하나 이상의 확장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US11778430B2 (en)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US20230370401A1 (en) Conversion of text relating to media content and media extension apps
US20220408231A1 (en) Message extension app store
US10534533B2 (en) Messaging sticker applications
US10852912B2 (en) Image creation app in messaging app
US10554599B2 (en) Conversion of detected URL in text message
US10785175B2 (en) Polling extension application for interacting with a messaging application
CN110710169B (zh) 与动态扩展应用程序交互的即时消息系统
US10194288B2 (en) Sticker distribution system for messaging apps
EP3726376B1 (en) Program orchest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121358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003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89239A1 (en) User interface delegation to a delegated device
CN113419650A (zh) 一种数据移动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2000903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