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845B1 -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845B1
KR102248845B1 KR1020140045495A KR20140045495A KR102248845B1 KR 102248845 B1 KR102248845 B1 KR 102248845B1 KR 1020140045495 A KR1020140045495 A KR 1020140045495A KR 20140045495 A KR20140045495 A KR 20140045495A KR 102248845 B1 KR102248845 B1 KR 10224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creen
wearable device
master devic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720A (ko
Inventor
김영재
함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45B1/ko
Priority to PCT/KR2015/003814 priority patent/WO2015160193A1/en
Priority to EP15779356.3A priority patent/EP3132332A4/en
Priority to US14/688,431 priority patent/US9989996B2/en
Publication of KR2015011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720A/ko
Priority to US15/996,052 priority patent/US1024154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WEARABLE DEVICE, MASTER DEVICE OPER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본원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로,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어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인 스마트 디바이스가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갖도록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로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 또는 부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 없이 착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성이 중요시된다. 그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크기 및 무게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각종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며,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인 모단말과 연동되어 사용하는 경우 모단말과 계속적으로 통신하여야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술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모 단말과의 계속적 통신 등으로 인하여 전력 소비가 계속하여 발생하게 된다.
휴대성을 강조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내부 배터리는 제한된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제한된 전력만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내부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하여 휴대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크기 및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켜야만 한다.
그러므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하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충족시키면서,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목이 올라가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의 손목이 내려가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손목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걷는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뛰는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데이터 송신 중단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데이터 송신 재개를 요청하는 제2 메시지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의 신호강도에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 또는 재개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서 획득되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에 근거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 또는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가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온 할지 또는 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5는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마스터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마스터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마스터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스마트 디바이스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두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동작하는 모단말, 및 모단말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단말과 연동되어 동작하거나, 또는 모단말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단말을 '마스터 디바이스'라 칭하고, 모단말과 연동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라 칭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10)는 노트북, 넷북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PDA 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 TV 등과 같이,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어서, 자체적으로 소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신체에 부착, 착용, 또는 이식할 수 있으며,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마스터 디바이스(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자체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어서,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계, 팔찌, 안경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마스터 디바이스(110)로는 스마트 폰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워치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이하에서는 마스터 디바이스(110)가 스마트 폰이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20)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두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 상호간의 동작을 설명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1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110)는 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미디어의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채팅(chatting) 또는 문자 등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메신져 어플리케이션, 게임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마스터 디바이스(11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마스터 디바이스(110)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부(115)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디바이스(110)에서 전화, 알람, 스케쥴, 부재중 전화, 문자 메시지, 채팅 메시지, 이메일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마스터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로 전술한 이벤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마스터 디바이스(11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술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5)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터 디바이스(110)의 알림 상태를 진동 모드로 하고 외투에 넣어두거나, 마스터 디바이스(110)의 알림 상태를 소리 모드로 하고 매우 시끄러운 장소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마스터 디바이스(11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바로 인식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1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진동, 소리, 및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면, 사용자는 마스터 디바이스(11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빠르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110)에서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음악 파일의 선택, 음악 파일의 재생/일시 정시 등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를 통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마스터 디바이스(11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심박수 센서 등과 같은 피트니스와 관련된 센서를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피트니스 기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달리기, 하이킹, 등에서의 운동 시간,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박수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부(220), 센서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통신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부(220)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패널, OLED 패널, AMOLED 패널, 또는 PDP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사용자가 신체 소정 부위에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 소정 부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의 감지 데이터를 로깅(logging)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부(220)를 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20)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센서부(2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220)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온(display on)'이라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전원 공급을 최소화하여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디스플레이 오프(display off)'라 한다. 디스플레이가 오프되면,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이 검은 화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인 마스터 디바이스(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보고 있거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통신부(250)를 통하여 마스터 디바이스(미도시)에서 이벤트의 발생(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수신 등)을 알리는 데이터가 수신되어도,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notification)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세한 동작 및 구성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부(320), 센서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통신부(350),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360), 메모리(370) 및 배터리(3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320), 센서부(330) 및 제어부(340)는 도 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220), 센서부(230) 및 제어부(240)와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있어서, 도 2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2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20)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은 시계 화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내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알리는 화면, 또는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에 발생하는 이벤트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MMS), 이메일, 또는 채팅 중(chaton) 메시지 등의 수신, 스케쥴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스케쥴 발생 알림, 시간 알림 등이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전술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알리는 화면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3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부(2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알림(notification) 화면이라 한다.
센서부(3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30)는 사용자의 몸짓(gesture)과 같은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330)는 상, 하, 좌, 우, 전, 및 후의 6개의 축(6-axis)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3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30)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onsor)(3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3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332)는 x, y, 및 z 축에 대한 중력 가속도 및 운동 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속도 및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 센서(333)는 x, y, 및 z 축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여 변화한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속도 및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330)는 가속도 센서(333)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331)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6개의 축 방향으로의 사용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30)는 페도미터(pedometer)(335) 및 심박수 센서(33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도미터(335)는 사용자의 발걸음 수를 기록하기 위한 센서로, 사용자의 이동을 발걸음 수로써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심박수 센서(336)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 또는 건강 상태 체크를 위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심박수 센서(336)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30)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미도시), 중력 센서(gravity sensor)(미도시), 광센서(light sensor)(미도시),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미도시)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각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다. 그리고, 중력 센서(미도시)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알아내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세로 방향인지 가로 방향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미도시)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센서부(330)는 전술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몸짓을 포함하는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인 마스터 디바이스(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50)는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보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MMS), 이메일, 채팅 중(chaton) 메시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통신부(350)는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전술한 단문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이메일, 채팅중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되어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통신부(35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알림(notification) 데이터'라 한다. 그리고, 알림 데이터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화면을 '알림 화면'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5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311)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란 전자기기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블루투스는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소비전력이 매우 적으며,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마스터 디바이스(미도시)간의 데이터 송수신하면,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면서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311)은 직렬 포트 프로파일(SPP: Serial Port Profile) 방식으로 마스터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알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311)은 직렬 포트 프로파일 방식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메시지(MMS), 이메일, 또는 채팅 중(chaton) 메시지, 스케쥴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스케쥴 발생 알림 정보, 시간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50)는 WLAN(Wireless LAN)(Wi-Fi), 3G,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모듈 등을 포함하여, 마스터 디바이스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통신부(350)는 근거리 통신 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근접 연결 방식을 지원하여, 마스터 디바이스가 인접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부(350)가 블루투스 모듈(311)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블루투스 모듈(311)은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제어부(340)는 블루투스 모듈(311)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의 신호 강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311)은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전송되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는 블루투스 모듈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제어부(620)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신호강도에 따라서, 마스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 또는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마스터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마스터 디바이스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며, 알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마스터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획득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마스터 디바이스(600)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지 또는 가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블루투스 모듈(311)의 사양에 따라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311)이 작은 수신 신호까지 감지가능하다면, 제1 기준값을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기준값은 -70dBm 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가 -70dBm 미만이 되면, 제어부(3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마스터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가 -70dBm 이상이 되면, 제어부(3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마스터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320)를 보고 있지 않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을 오프하거나,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의 발생 알림(notification)이 수신되어도 알림(notification) 화면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에서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를 로깅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는지 또는 움직이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테이블 등에 올려놓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하고 자는 경우에는 센서부(33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온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소비를 차단하기 위해서,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340)에서 자체적으로 소정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에서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를 로깅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3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331) 및 가속도 센서(33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330)가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온도 센서에서 체온에 대응되는 온도가 감지되면, 제어부(34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330)가 심박수 센서(336)를 포함하는 경우, 심박수 센서(336)에서 사용자의 심박수가 감지되면, 제어부(34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에서 출력되는 감지 데이터를 로깅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드는지, 또는 사용자가 손목을 돌리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사용자가 손목을 드는 몸짓이 감지되는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온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부(320)를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 또는 명령, 또는 기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과 결합되는 터치 패드(touch pa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는 터치 패드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의 소정 지점, 예를 들어, 미러링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는 터치 패드를 통하여 터치된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40)는 터치된 지점을 해석하여 사용자의 명령, 요청 및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38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각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드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의 손목이 내려가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목(410)을 위로 들고 나서, 후속하여 손목(420)을 아래로 내리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421)이 오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손목(410)을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들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화면(41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나면, 다시 손목(420)을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릴 것이다. 손목(420)이 내려가면, 사용자는 화면(421)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화면(421)을 디스플레이 온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손목(410)이 올라갔을 때는 화면(411) 상에 소정 화면(411)이 출력되나, 손목(420)이 내려가면, 화면(421) 상에 425 영역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화면도 출력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손목이 위로 올려진 후 다시 내려가면, 바로 디스플레이 오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340)의 손목 움직임 감지 동작은 이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센서부(330)의 가속도 센서(332)는 감지 데이터를 제어부(340)로 전송한다. 제어부(340)는 감지 데이터를 로깅하면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있다가 움직임이 없어지는 'No move'를 인식한다. 그리고, No move 시점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No move 시점에서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는 동작을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가속도 센서(332)에서 No move
Figure 112014036280840-pat00001
시점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의 변화량이 x 축 방향으로, -
Figure 112014036280840-pat00002
내지
Figure 112014036280840-pat00003
의 값을 가지고, No move 시점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의 y 축 방향으로의 변화량과 z 축 방향으로의 변화량을 합하여
Figure 112014036280840-pat00004
이상이 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는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는 자세로 판단되는 가속도 센서(332)의 데이터 값은, 실험 또는 통계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는 자세에서, 가속도 센서(332)의 데이터값인 가속도 변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는 자세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예에서의 기준값은 실험 결과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팔을 내려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지 않는 동작은, 센서 데이터를 로깅하여, 팔을 올렸을 때의 감지 데이터의 변화량의 역방향으로 변화량이 감지되면, 팔을 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y 축 방향은 사용자의 전후 방향이 될 수 있고, z 축 방향은 사용자의 좌 우 방향이 될 수 있으며, z축 방향은 사용자의 상 하 방향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330)의 가속도 센서(332)는 x축, y 축, z 축 방향으로의 가속도 변화량을 측정하고, 제어부(340)는 가속도 센서(332)에서 측정된 변화량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몸짓을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의 이벤트가 발생하여,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를 알리는 알림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340)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20)는 디스플레이 온하여,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손목(410)을 들어 알림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알림 화면을 확인한 후, 손목(420)을 내리면,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320)가 디스플레이 오프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손목이 올라가는 제1 동작이 감지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손목이 내려가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또한,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510)가 손목(530)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5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525)을 확인한다.
계속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510)는 화면(525)을 확인한 후, 손목(550)을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한다. 손목(550)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어부(3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40)의 화면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525)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손목(530)을 회전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화면(525)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나면, 다시 손목(530)을 원상태로 놓을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550)이 원상태로 돌아가서 웨어러블 디바이스(540)의 화면이 사용자(510)의 얼굴을 향하고 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40)의 화면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온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손목이 제1 방향으로 돌아간 후 다시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돌아가면, 바로 디스플레이 오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의 이벤트가 발생하여,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를 알리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340)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20)는 디스플레이 온하여,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손목(530)을 제1 방향으로 돌려서 알림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알림 화면을 확인한 후, 손목(550)을 제2 방향으로 돌리면, 제어부(340)는 센서부(3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20)가 디스플레이 오프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뛰는 동작이 감지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30)는 가속도 센서(333)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속도 값, 심박수 센서(336)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심박수 값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뛰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중인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의 이벤트 발생으로 인한 알림(notification)이 전송되어도, 사용자가 알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20)가 디스플레이 오프되도록 하여, 알림 화면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걷는 동작이 감지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30)는 가속도 센서(333)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속도 값, 페도미터(335)의 발걸음 수 증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걷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걸어가는 도중에는 마스터 디바이스의 이벤트 발생으로 인한 알림(notification)이 전송되어도, 사용자가 알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20)가 디스플레이 오프되도록 하여, 알림 화면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마스터 디바이스(6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연동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로, 도 1에서 설명한 마스터 디바이스(110)와 동일 대응된다. 따라서, 마스터 디바이스(600)에 있어서, 도 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마스터 디바이스(600)는 노트북, 넷북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PDA 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 TV 등과 같이,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어서, 자체적으로 소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터 디바이스(6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연동하여 동작 가능한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터 디바이스(600)는 통신부(610), 및 제어부(6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스터 디바이스(600)는 디스플레이부(6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40), 배터리(650) 및 메모리(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610)는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이메일, 문자 수신, 채팅 메시지 수신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림(notification)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통신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10)는 소정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서버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6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6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10)는 WLAN(Wireless LAN)(Wi-Fi), 3G,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모듈 등을 포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통신부(610)는 근거리 통신 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근접 연결 방식을 지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기기가 인접하거나 접촉하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부(610)가 블루투스 모듈(615)을 포함하며, 블루투스 모듈(615)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61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블루투스 모듈(61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신호강도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 또는 재개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블루투스 모듈에서 획득되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 또는 재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20)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마스터 디바이서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6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마스터 디바이스(600)의 블루투스 모듈(615)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획득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마스터 디바이스(600)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지 또는 가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블루투스 모듈(615)의 사양에 따라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615)이 작은 수신 신호까지 감지가능하면, 제1 기준값을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기준값은 -70dBm 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620)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가 -70dBm 미만이 되면, 제어부(6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마스터 디바이스(600)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가 -70dBm 이상이 되면, 제어부(6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마스터 디바이스(600)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63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은 마스터 디바이스(6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출력되는 화면, 메뉴 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4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 또는 명령, 또는 기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40)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40)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과 결합되는 터치 패드(touch pa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40)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40)는 터치 패드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의 소정 지점, 예를 들어, 미러링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40)는 터치된 지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620)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65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포함하여, 마스터 디바이스(600)의 각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메모리(660)는 각종 데이터, 마스터 디바이스(6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들, 어플리케이션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7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는 각각 전술한 마스터 디바이스(6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3 및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터 디바이스(7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720)와의 거리에 따라서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 또는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720)와 마스터 디바이스(710)간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Dref) 이하이면, 데이터 송신을 유지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720)와 마스터 디바이스(710)간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Dref) 초과이면, 데이터 송신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송신이 차단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720)와 마스터 디바이스(710)간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Dref) 이하로 된 경우에 다시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720)가 마스터 디바이스(710)로부터 제1 거리(D1) 만큼 떨어진 지점(P1)에 위치하는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7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 데이터 송신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720)가 마스터 디바이스(710)로부터 제2 거리(D2) 만큼 떨어진 지점(P2)에 위치하는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7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 데이터 송신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디바이스(71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720) 간의 거리는 전술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에 근거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제1 기준 거리(Dref)는 전술한 제1 기준값(-70dBm)에 대응되는 거리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마스터 디바이스의 동작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810) 및 마스터 디바이스(830)는 각각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마스터 디바이스(60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3 및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810)의 내부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내부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마스터 디바이스(820)의 내부 구성은 도 6에서 설명한 마스터 디바이스(600)의 내부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810)의 센서부(330)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인 감지 데이터를 제어부(340)로 전송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810)의 제어부(340)는 제1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데이터 송신 중단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가 마스터 디바이스(8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810)의 센서부(3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80). 제어부(340)는 감지 결과를 전송받고, 감지 결과를 로깅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1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데이터 송신 중단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마스터 디바이스(820)로 전송한다(S82).
그에 따라서, 마스터 디바이스(820)의 통신부(610)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620)로 전달한다. 제어부(6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단한다(S84). 예를 들어,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면, 마스터 디바이스(820)에 이메일, 문자 메시지, 또는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여도, 마스터 디바이스(820)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데이터(notification data)를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로 전송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810)의 센서부(3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데이터 송신 재개를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마스터 디바이스(820)로 전송한다(S86). 마스터 디바이스(820)는 제2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전송 중단(S84)으로 인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로 전송되지 못하였던 알림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로 전송할 수 있다(S87). S87 단계에서 알림 데이터가 수신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는 수신된 알림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820)에서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면(S88), 마스터 디바이스(820)의 통신부(610)는 새로운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로 전송한다(S89). 또한, S89 단계에서 알림 데이터가 수신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는 수신된 알림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를 착용하지 않거나, 취침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알림 화면을 출력하여도 사용자가 알림 확인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810)를 이용하지 않아서 움직임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810)가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하고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및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마스터 디바이스의 동작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98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910) 및 마스터 디바이스(920)는 각각 전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마스터 디바이스(60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3 및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내부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내부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마스터 디바이스(920)의 내부 구성은 도 6에서 설명한 마스터 디바이스(600)의 내부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센서부(330)는 움직임을 감지한다(S91).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부(320)가 디스플레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S92).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되면(S92), 마스터 디바이스(92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도 그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디바이스(920)에서 제1 이벤트가 발생하면, 마스터 디바이스(920)의 통신부(350)는 제1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제1 알림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통신부(350)로 전송한다(S94). 웨어러블 디바이스(910)는 디스플레이 오프(S92) 상태이므로, 제1 알림 데이터가 수신되어도, 제1 알림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메모리(370)는 제1 알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계속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센서부(330)의 감지 결과,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면(S95), 디스플레이부(32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96). 즉,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면(S95), 디스플레이부(320)의 상태는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온 상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움직임이 발생하면(S95), 이전에 수신되어 메모리(37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알림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이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96).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920)에서 새로운 이벤트인 제2 이벤트가 발생하면(S97), 마스터 디바이스(920)의 통신부(610)는 제2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알림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910)로 전송한다(S89). 웨어러블 디바이스(910)가 디스플레이 온 상태이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910)의 디스플레이 부(320)는 제2 알림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99).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910)를 착용하지 않거나, 취침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91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알림 화면을 출력하여도 사용자가 알림 확인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910)를 이용하지 않아서 움직임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910)가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마스터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10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는 각각 전술한 마스터 디바이스(6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3 및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생략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010)의 제어부(620)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마스터 디바이스(101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는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S101 단계). 마스터 디바이스(1010)의 블루투스 모듈(61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S102). 마스터 디바이스(1010)의 블루투스 모듈(615)은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는, 마스터 디바이스(1010)의 블루투스 모듈(61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에서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 데이터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가 제1 기준값 미만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차단한다(S103). 여기서, 제1 기준값은 블루투스 모듈(615)의 사양에 따라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계속하여, 신호 강도 측정 결과(S102),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가 제1 기준값 이상이면, 마스터 디바이스(1010)의 제어부(6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로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마스터 디바이스(101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마스터 디바이스(1010)의 통신부(610)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알림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20)로 전송된다(S10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1100)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300)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1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300)의 동작 구성과 동일한 단계 구성을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1100)은 도 3에서 설명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1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1110 단계). 1110 단계의 동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센서부(3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1110 단계의 움직임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온 할지 또는 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1120 단계). 1120 단계의 동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제어부(3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제어부(340)는 센서부(330)의 움직임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1120 단계의 결정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1130 단계). 1130 단계의 동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130 단계는 1120 단계에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디스플레이부(320)는 디스플레이 오프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그리고, 1130 단계는 1120 단계에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디스플레이부(320)는 디스플레이 온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온 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내부의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방법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웨어러블 디바이스
220: 디스플레이부
230: 센서부
240: 제어부
250: 통신부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311: 블루투스 모듈
320: 디스플레이부
330: 센서부
340: 제어부
350: 통신부
360: 인터페이스부
370: 메모리
380: 배터리
600: 마스터 디바이스
610: 통신부
615: 블루투스 모듈
620: 제어부
630: 디스플레이부
6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50: 배터리
660: 메모리

Claims (20)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제1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데이터 송신 중단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가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목이 올라가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의 손목이 내려가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손목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걷는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뛰는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데이터 송신 재개를 요청하는 제2 메시지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온 할지 또는 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시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데이터 송신 중단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손목을 드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의 손목이 내려가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손목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동작이 감지되고 후속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데이터 송신 재개를 요청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알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40045495A 2014-04-16 2014-04-16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24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95A KR102248845B1 (ko) 2014-04-16 2014-04-16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CT/KR2015/003814 WO2015160193A1 (en) 2014-04-16 2015-04-16 Wearable device, master device oper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EP15779356.3A EP3132332A4 (en) 2014-04-16 2015-04-16 Wearable device, master device oper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US14/688,431 US9989996B2 (en) 2014-04-16 2015-04-16 Wearable device, master device oper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US15/996,052 US10241541B2 (en) 2014-04-16 2018-06-01 Wearable device, master device oper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95A KR102248845B1 (ko) 2014-04-16 2014-04-16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720A KR20150119720A (ko) 2015-10-26
KR102248845B1 true KR102248845B1 (ko) 2021-05-06

Family

ID=5432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495A KR102248845B1 (ko) 2014-04-16 2014-04-16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989996B2 (ko)
EP (1) EP3132332A4 (ko)
KR (1) KR102248845B1 (ko)
WO (1) WO2015160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3111610A (ru) * 2010-08-19 2014-09-27 Владимир КРАНЦ Локализация и активация лиц по угрозой
TWI547826B (zh) * 2014-10-14 2016-09-0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穿戴式電子裝置間之通知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US9459698B2 (en) * 2014-12-10 2016-10-04 TCL Research America Inc. Gesture base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6127439A1 (zh) * 2015-02-15 2016-08-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显示屏的方法、装置及终端
US9986569B2 (en) * 2015-03-18 2018-05-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ttery-backed RAM for wearable devices
KR102359281B1 (ko) * 2015-06-17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장치
CN106376059A (zh) * 2015-07-30 2017-02-0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呼叫处理方法及其装置
US10484484B2 (en) 2016-02-05 2019-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aware task processing for multiple devices
US10044798B2 (en) * 2016-02-05 2018-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aware task offloading among multiple devices
CN107278367B (zh) * 2016-02-29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可穿戴设备和消息传送方法
US20170289766A1 (en) * 2016-03-29 2017-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Assistant Experience based on Presence Detection
TWI618375B (zh) * 2016-04-14 2018-03-11 立創智能股份有限公司 藍芽人員定位系統
US10757755B2 (en) * 2016-06-16 2020-08-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wearable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10592185B2 (en) 2017-01-04 2020-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application view management
US10423236B2 (en) 2017-05-25 2019-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to contro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en
KR102463281B1 (ko) * 2017-08-25 202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 스위칭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216358B1 (ko) * 2017-09-07 2021-02-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쳐를 이용하는 단말 제어 방법
CN107817891B (zh) * 2017-11-13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304341B1 (en) * 2018-02-09 201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 and bicycle communication to avoid vehicle door crash accidents
CN108990032A (zh) * 2018-06-04 2018-12-11 上海康斐信息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其运动数据分享方法、装置
CN108989991A (zh) * 2018-06-04 2018-12-11 上海康斐信息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其运动数据分享方法、装置
KR102652811B1 (ko) * 2018-09-04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CN112764343A (zh) * 2021-01-20 2021-05-07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智能手表的控制方法、装置、智能手表及存储介质
CN116339485B (zh) * 2023-05-31 2023-08-08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穿戴设备智能熄屏方法、系统和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5497A1 (en) * 2008-02-01 2009-08-06 Pillar Ventures, Llc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JP2013146557A (ja) * 2012-01-18 2013-08-01 Nike Internatl Ltd 運動機能性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アセンブリ
KR101295583B1 (ko) * 2010-09-13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931A (en) * 1994-07-07 1997-03-18 Casio Computer Co., Ltd.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US6452494B1 (en) * 1999-09-27 2002-09-17 Intel Corporation Activating devices
US6809724B1 (en) * 2000-01-18 2004-10-26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2358149A (ja) 2001-06-01 2002-12-13 Sony Corp ユーザ入力装置
US7467060B2 (en) * 2006-03-03 2008-12-16 Garmi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motion parameter
US20120149352A1 (en) 2010-07-26 2012-06-14 Ari Backholm Context aware traffic management for resource con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436231B2 (en) * 2011-04-07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Rest detection using accelerometer
US20130194066A1 (en) * 2011-06-10 2013-08-01 Aliphcom Motion profile templates and movement languages for wearable devices
KR20130047474A (ko) 2011-10-31 2013-05-08 대덕위즈주식회사 착용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방법
US9189062B2 (en) * 2012-03-07 2015-1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based on user motion
US8907867B2 (en) 2012-03-21 2014-12-09 Google Inc. Don and doff sensing using capacitive sensors
US20140045463A1 (en) 2012-08-10 2014-02-13 Silverplus, Inc.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TW201423367A (zh) * 2012-12-14 2014-06-16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及其省電方法
US20140308930A1 (en) * 2013-04-12 2014-10-16 Bao Tran Timely, glanceable information on a wearable device
CN103713740A (zh) * 2013-12-31 201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腕戴式终端设备及其显示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5497A1 (en) * 2008-02-01 2009-08-06 Pillar Ventures, Llc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KR101295583B1 (ko) * 2010-09-13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JP2013146557A (ja) * 2012-01-18 2013-08-01 Nike Internatl Ltd 運動機能性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2332A4 (en) 2018-04-25
EP3132332A1 (en) 2017-02-22
US9989996B2 (en) 2018-06-05
US20150301574A1 (en) 2015-10-22
WO2015160193A1 (en) 2015-10-22
KR20150119720A (ko) 2015-10-26
US10241541B2 (en) 2019-03-26
US20180275716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845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1729721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유저 모션에 기초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63621B1 (ko) 웨어러블 기기의 스크린의 표시 방법 및 웨어러블 기기
US20190082289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US10390140B2 (en) Output device outputting audio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00133B1 (en) Buttonless display activation
US8884874B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383681B (zh) 游戏进程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20150026326A (ko)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KR20150105709A (ko) 전자 장치의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CN103472993A (zh) 旋转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9699595B2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a portable terminal
US20170144042A1 (en) Mobile terminal, training management program and training management method
KR20160069936A (ko) 절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EP299631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9116983B (zh) 移动终端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8369447A (zh) 控制可穿戴电子设备运行状态的方法和装置
CN103955279A (zh) 一种视角反馈方法及终端
US2015022825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10719361B (zh) 信息发送方法、移动终端和存储介质
TWI581651B (zh) 無線連接單元之運作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KR101489620B1 (ko)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10573484U (zh) 一种显示装置和可穿戴设备
US20180253213A1 (en) Intelligent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007993A (zh) 信息加载、展示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